{"id": "JAKO202107835829214", "publication_date": "2021.01.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35829214.pdf", "abstract_en": "The areas consisting of frost susceptible soils in cold regions, such as the Arctic area, have problems of frost heave and thaw settlement due to the seasonal air temperature changes and internal temperature of installed structures. Ground stabilization methods for preventing frost heave and thaw settlement of frost susceptible soils include trenching, backfilling and thermo-syphon. The thermo-syphon is the method in which refrigerant can control the ground temperature by transferring the ground temperature to atmosphere in the from of two-phase flow through the heat circulation of the internal refrigerant. This numerical study applied the function of these thermo-syphon as the boundary condition through user-subroutine coding inside ABAQU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temperature results of laboratory experiments.", "abstract": "북극권과 같은 한대지역의 동상민감성 지반은 계절적 대기 온도 변화 및 설치된 구조물의 온도에 의해 지반의 융기 및 침하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동상민감성 지반의 융기 및 침하 방지를 위한 지반안정화 공법으로는 매립 및 치환공법, 열 사이펀 등이 존재한다. 여기서 열 사이펀이란 내부 냉매의 증발, 응축을 반복하며 열 순환을 통해 이상 유동(two-phase flow)의 형태로 냉매가 지반의 온도를 외부로 전달하여 지반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공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열 사이펀의 성능을 열전도율로 수치화하기 위하여 ABAQUS 내부의 User-subroutine 코딩을 통해 열 사이펀을 지중의 한 열원으로 간주, 경계조건으로 적용시켜 기존 문헌의 열 사이펀 실내모형실험의 온도분포 결과와 비교하여 산정하였다."} {"id": "JAKO202113259286406", "publication_date": "2021.04.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406.pdf", "abstract_en": "Scien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recognize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feeling difficulties such as evaluation methods, mood of competition, extra work and lack of time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based on answers from science teachers not experiencing character education. As a rare study of teacher experiencing, previous researches didn't fully address the problems and suggestions about adopting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classrooms. This study is about teacher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on site with the CoProC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program in science classes with which other previous studies shed new light. Five teachers, adapting the CoProC program in their science classes, participated in two interviews, sharing their student achievement in character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student achievement was high when their teacher had experienced th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classes of CoProC rather than their normal teaching career. Teacher recognition on the aims of CoProC influenced difficulties, evaluation, and feedback.", "abstract":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평가, 경쟁적 분위기, 과중한 업무, 시간 부족의 이유로 인성교육을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실제로 인성교육을 수업에 적용한 경험이 없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과학 수업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와 제안점을 논의하는 연구가 흔치 않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그 효과가 논의된 인성역량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프로그램을 수업 현장에 적용한 교사들의 실천에 대한 것이다. 과학 수업에 CoProC 프로그램을 적용한 5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CoProC 프로그램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성역량 성취도와 교사들의 두차례 인터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사의 일반 교직 경력보다는 CoProC 프로그램에 대한 연수, 개발, 수업 경험이 학생의 인성역량 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CoProC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수업에서 어려움, 평가, 피드백에 영향을 미친다."} {"id": "JAKO202113259286415", "publication_date": "2021.04.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415.pdf", "abstract_en": "The study applied chemistry classes based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ompetency(CoProC) Instruction Model to 86 high school seniors and recognized the resulting changes in Character Competence through character competence test, analysis of argumentation, and analysis of reflective writing.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ssessment results showed what each evaluation method meant to assess Character Competence. The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of Character Competence rose in all three assessments, bu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etailed factors. Character competency test is meaningful in helping students participate with a sense of mastery of learning as a self-evalu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argumentation process seems to be an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to evaluate the Character Competence shown by students' words and actions through course evaluations. An analysis of reflective writing showe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nalyze Character competencies that are difficult to show in action by looking back on the entire course of learning. In addition, given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assessment results is very low, it is expected that the three Character competency assessment methods will be conducted together to obtain detailed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students' character competencies.", "abstract":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에 기반한 화학 수업을 고등학교 3학년 86명에게 적용하고 이에 따른 인성역량 변화를 인성역량 검사, 논의과정 분석, 반성 글쓰기 분석으로 알아보았으며, 평가 결과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평가 간 상관관계는 낮았으나 모두 인성역량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고 세부 인성역량 요소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인성역량 검사는 자기평가로써 학생들이 학습의 주인의식을 갖고 참여하도록 하였고, 논의과정 분석은 과정평가로써 학생의 말과 행동으로 나타나는 인성역량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평가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반성 글쓰기 분석은 학생이 학습 전 과정을 되돌아보면서 행동으로 나타나기 어려운 인성역량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였다. 따라서 세 인성역량 평가 방법이 상호 보완적으로 함께 실시되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대한 세부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id": "JAKO20212315717481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74814.pdf", "abstract_en": "Detecting outliers among high-dimensional data encounters a challenging problem of screening the variables since relevant information is often contained in only a few of the variables. Otherwise, when a number of irrelevant variables are included in the data, the distances between all observations tend to become similar which leads to making the degree of outlierness of all observations alike. The subspace outlier detection method overcomes the problem by measuring the degree of outlierness of the observation based on the relevant subsets of the entire variables. In this paper, we survey recent subspace outlier detection techniques, classifying them into three major types according to the subspace selection method. And we summarize the techniques of each type based on how to select the relevant subspaces and how to measure the degree of outlierness. In addition, we introduce some computing tools for implementing the subspace outlier detection techniques and present results from the simulation study and real data analysis.", "abstract": "고차원 자료에서 이상치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상치 탐지에 적합한 정보가 종종 일부 변수에만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많은 수의 부적합한 변수가 자료에 포함될 경우 모든 관측치의 거리가 비슷해지는 집중효과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모든 관측치의 이상정도가 비슷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은 전체 변수 중 이상치 탐지에 적합한 변수들의 집합을 선별하여 관측치의 이상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극복한다. 본 논문은 대표적인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을 부분공간 선정 방식에 따라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속한 방법론을 부분공간 선정 기준과 이상 정도 측정 방식에 따라 요약한다. 더하여,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들을 적용할 수 있는 컴퓨팅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집중효과에 대한 간단한 가상 실험과 자료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id": "JAKO20212315717681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76815.pdf", "abstract_en": "We consider linear regression models in high-dimensional settings (p ≫ n) and compare various classes of priors. The spike and slab prior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riors for Bayesian regression models, but its model space is vast, resulting in a bad performance in finite samples. As an alternative, various continuous shrinkage priors, including the horseshoe prior and its variants, have been proposed. Although each of the above priors has been investigated separately, exhaustive comparative studies of their performance have been conducted very rarely.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spike and slab prior, the horseshoe prior and its variants in various simulation settings. The performance of each method is demonstrated in term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estimation and variable selection. Finally, some remarks and suggestions are given based on comprehensive simulation studi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차원상황(p ≫ n)에서의 회귀분석 모형을 고려하여 다양한 베이지안 회귀분석 방법들을 비교하였다. Spike and slab 사전분포는 고차원 베이지안 회귀분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전분포 중 하나이지만, 탐험해야 하는 모형 공간이 너무 크기 때문에 유한 표본에서 좋지 않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horseshoe 사전분포를 비롯한 다양한 연속 수축사전분포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비록 위 사전분포들 각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포괄적인 비교연구는 매우 드물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ike and slab 사전분포와 다양한 연속수축사 전분포들을 다양한 상황에서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각 방법의 성능은 회귀계수 추정 측면과 변수선택 측면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시뮬레이션 연구에 기반하여, 사용시 몇 가지 주의점과 제안들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8742336071",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742336071.pdf", "abstract_en": "The factors of landslides depend on rainfall intensity, du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slope. The conventional slope stability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by assuming that the slope is saturated. But, a site slope consisting of unsaturated ground must be imitated and interpreted in order to explain a proper behavior of the slope due to rainfall. In this study, by using two major categories of soils in Korea, such as granite and gneiss weathered soils, landslide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have been compared with the difference of seepage and volumetric water content. In general, the permeability of gneiss weathered soil, which contains a lot of fines content, is slower than that of granite weathered soil. As a result, in extreme rainfall, numerical analysis can show results that can penetrate quickly, resulting in saturation or more dangerous collapse.", "abstract": "산사태의 원인들은 강우강도와 강우지속시간 그리고 사면의 함수특성에 따라 좌우된다. 기존의 사면안정해석에서는 사면을 포화토로 가정하여 해석해왔다. 그러나 강우로 인한 적절한 사면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불포화지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장사면을 모사하여 해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한 산지를 구성하고 있는 지반인 화강풍화토와 편마암풍화토를 구분하여 비탈면붕괴에대한 실내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병행하여 강우침투와 사면의 안정성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세립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편마암풍화토의 투수계수는 화강풍화토의 투수계수보다 느리다. 이러한 조건의 특징을 활용하여 두 가지 다른 풍화토의 침투량을 체적함수비 센서를 활용하여 강우로 인한 표층의 침투특성을 실내시험과 수치해석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id": "JAKO20212315716981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69813.pdf", "abstract_en": "Two-stage sampling allows us to estimate population characteristics by both unit and cluster level together. Given a complex auxiliary information, integrated calibration weighting would better reflect the level-wise characteristics as well as multivariate characteristics between levels. This paper explored the integrated calibration weighting methods by Estevao and Särndal (2006) and Kim (2019) through a simulation study, where the efficiency of those weighting methods was compared using an artificial population data. Two weighting methods among others are shown efficient: single step calibration at the unit level with stacked individualized auxiliary information and iterative integrated calibration at each level. Under both methods, cluster calibrated weights are defined as the average of the calibrated weights of the unit(s) within cluster. Both were very good in terms of the goodness-of-fit of estimating the population totals of mutual auxiliary information between clusters and units, and showed small relative bias and relative mean square root errors for estimating the population totals of survey variables that are not included in calibration adjustments.", "abstract": "이단추출은 개체와 집락 단수준별 모집단 특성을 함께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단위수준별 보조정보가 함께 주어질 때, 단위수준별 정보 및 가중치 구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칼리브레이션 가중치를 산출한다면 단위수준별 특성은 물론 수준간의 다변량적 특성도 적절히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Estevao와 Särndal (2006)과 Kim (2019)이 고려한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간단한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이 중 복합보조정보를 개체화한 후 단일단계의 칼리브리이션 조정으로 가중치를 산출하되 집락가중치가 집락 내 개체가중치 평균이 되도록 정의하는 방법과 단위수준별 보조정보를 이용한 수준별 칼리브레이션 조정을 상호 반복적으로 수행하되 집락가중치가 집락 내 개체가중도치 평균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 조정전 가중치의 변동량을 크게 늘리지 않고도 수준간 다변량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락과 개체의 상호간 보조정보에 대한 총합추정의 적합도 측면에서 매우 양호하였고, 칼리브레이션 조정에 포함되지 않는 조사특성들의 총합추정에 대한 상대편향 및 상대 평균 제곱근 오차가 작게 나타났다."} {"id": "JAKO20212315716581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65812.pdf", "abstract_en": "Accelerated failure time (AFT) model represent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log-survival time and covariates. We are interested in the inference of covariate's effect affecting the variation of survival times in the AFT model. Thus, we need to model the variance as well as the mean of survival times. We call the resulting model mean and variance AFT (MV-AFT)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variable selection procedure of regression parameters of mean and variance in MV-AFT model using penalized likelihood function. For the variable selection, we study four penalty functions, i.e.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LASSO), adaptive lasso (ALASSO), smoothly clipped absolute deviation (SCAD) and hierarchical likelihood (HL). With this procedure we can select important covariates and estimate the regression parameters at the same tim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using simulation studies. The proposed method is illustrated with a clinical example dataset.", "abstract": "가속화 실패시간모형은 로그 생존시간과 공변량간의 선형적 관계를 묘사해 준다. 가속화 실패시간모형에서 생존시간의 평균뿐만 아니라 변동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공변량 효과를 추론하는 것은 흥미가 있다. 이를 위해 생존시간의 평균뿐만 아니라 분산을 모형화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모형을 평균-분산 가속화 실패시간모형이라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벌점 가능도함수를 이용하여 평균-분산 가속화 실패시간모형에서 회귀모수에 대한 변수선택 절차를 제안한다. 여기서 벌점함수로서 LASSO, ALASSO, SCAD 그리고 HL (계층가능도)와 같은 네 가지 벌점함수를 연구한다. 제안된 변수선택 절차를 통해 중요한 공변량의 선택 뿐만 아니라 회귀모수의 추정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은 모의실험을 통해 평가하고, 하나의 임상 예제자료를 통해 제안된 방법을 예증하고자 한다."} {"id": "JAKO20212315717081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70813.pdf", "abstract_en": "Popular in discriminant classification analysis, k-nearest neighbor classification methods have limitations that do not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 of the data, considering only the number of fixed neighbors. Considering the local structure of the data, the adaptive nearest neighbor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select the number of neighbors. In the analysis of high-dimensional data, it is common to perform dimension reduction such as random projection techniques before using k-nearest neighbor classification. Recently, an ensemble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that carefully combines the results of such random classifiers and makes final assignments by vot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iscriminant classification technique that combines adaptive nearest neighbor methods with random projection ensemble techniques for analysis on high-dimensional data. Through simulation and real-world data analyses, we confirm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uracy compared to the previously developed methods.", "abstract": "판별분류분석에서 널리 이용되는 k-최근접 이웃 분류 방법은 고정된 이웃의 수만을 고려하여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자료의 국소적 구조를 고려하여 이웃의 개수를 선택하는 적응 최근접이웃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고차원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는 k-최근접 이웃 분류를 사용하기 전에 랜덤 투영 기법 등을 활용하여 차원 축소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랜덤 투영시킨 다수의 분류 결과들을 면밀히 조합하여 투표를 통해 최종 할당을 하는 기법이 최근 개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차원 자료에서의 분석을 위해 적응 최근접이웃방법과 랜덤 투영 앙상블 기법을 조합한 새로운 판별분류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에 개발된 방법에 비해 분류 정확성 측면에서 더 뛰어남을 모의실험 및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id": "JAKO20212315716881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68813.pdf", "abstract_en": "COVID-19 has spread seriously around the world in 2020 and it is still significantly affecting our whole daily life. Currently, the whole world is still undergoing the pandemic and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o it. During the pandemic, South Korea had several events that prevented or accelerated its spread. To establish the prevention policies for infectious diseases,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intervention effect of such events. The susceptible-infected-removed (SIR) model is often used to describe the dynamic behavior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rough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However, the SIR model is a deterministic model without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observed data. To consider the uncertainty in the SIR model, the Bayesian approach can be employed, and this approach allows us to evaluate the intervention effects by time-varying functions of the infection rate in the SIR model.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time trend of the spread of COVID-19 in South Korea and investigate the intervention effects for the events using the stochastic SIR model based on the Bayesian approach.", "abstract": "코로나19 바이러스는 2020년에 전세계적으로 심각하게 확산되었고, 우리의 일상생활 전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전세계는 이 유행병 사태 아래에 여전히 있고 한국 또한 이 상황에 대해 예외가 아니다. 이 유행병 기간동안 한국에서는 이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또는 가속화시킨 몇 가지 사건들이 있었다. 감염병에 대한 방역 정책을 세우기 위해 이러한 사건들의 감염병 확산에 대한 개입 효과를 조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SIR 모형은 미분방정식을 통해 감염병 확산의 동적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SIR 모형은 관찰된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는 결정적인 모형이다. 따라서 SIR 모형에서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베이지안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접근법은 SIR 모형에서 감염률에 대한 시간변이함수에 근거한 개입효과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접근법에 근거한 확률적 SIR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에서의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 추세를 설명하고 그러한 사건들에 대한 개입효과를 조사한다."} {"id": "JAKO20212315717381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73814.pdf", "abstract_en": "In recent years, word embedding has been a popular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search and a skip-gram has become one successful word embedding method. It assigns a word embedding vector to each word using contexts, which provides an effective way to analyze text data.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vector space model, primary word embedding methods assume that every word only have a single meaning. As one faces multi-sense words, that is, words with more than one meaning, in reality, Neelakantan (2014) proposed a multi-sense skip-gram (MSSG) to find embedding vectors corresponding to the each senses of a multi-sense word using a clustering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ified method of the MSSG to improve statistical accuracy. Moreover, we propose a data-adaptive choice of the number of clusters, that is, the number of meanings for a multi-sense word. Some numerical evidence is given by conducting real data-based simulations.", "abstract": "최근 자연어 처리 문제에서의 단어 임베딩은 아주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연구 주제이며 스킵그램은 성공적인 단어 임베딩 기법 중 하나이다. 주변단어들 정보를 이용해서 단어들의 의미를 학습하여 단어 임베딩 벡터를 할당하며 텍스트 자료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벡터 공간 모델의 한계로 인해 기본적인 단어 임베딩 방법들은 모든 단어가 하나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다의어, 즉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진 단어가 실생활에서 존재 하기 때문에 Neelakantan 등 (2014)은 군집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다의어의 여러 의미들에 해당하는 의미 임베딩 벡터를 찾기 위해 MSSG (multi-sense skip-gram)를 제안했다. 본 논문에서는 MSSG의 통계적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변형된 MSSG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가중치를 활용한 가중문맥 벡터를 제안한다. 나아가, 군집의 수, 즉 다의어의 의미 수를 자료에서 자동적으로 추정해주는 x-means 방법을 활용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실증자료를 기반한 모의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id": "JAKO20212315716481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64812.pdf", "abstract_en": "Recommender systems use data from customers to suggest personalized products. The recommender system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cases; collaborative filtering, contents-based filtering, and hybrid recommender system that combines the first two filtering methods. In this work, we introduce and compare deep learning-based recommender system using autoencoder. Autoencoder is an unsupervised deep learning that can effective solve the problem of sparsity in the data matrix. Five versions of autoencoder-based deep learning models are compared via three real data sets. The first three methods are collaborative filtering and the others are hybrid methods. The data sets are composed of customers' ratings having integer values from one to five. The three data sets are sparse data matrix with many zeroes due to non-responses.", "abstract": "추천 시스템은 고객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화된 상품을 추천한다. 추천 시스템은 협업 필터링, 콘텐츠 기반 필터링 그리고 이 두 가지를 합친 하이브리드 방법의 세 가지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딥러닝 방법론에 기초한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에 대한 소개와 그 모형들의 비교 연구를 진행한다. 오토인코더는 데이터 행렬에 0이 많은 경우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딥러닝 기반의 비지도학습 모형이다. 이 연구에서는 세 개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섯 가지 종류의 오토인코더 기반 모형들을 비교한다. 처음의 세 개 모형은 협업 필터링에 속한 모형이고 나머지 두 개의 모형은 하이브리드 모형이다. 실제 데이터는 고객의 평점 데이터이고, 대부분의 평점이 없어서 희박성 비율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id": "JAKO20212315717281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72814.pdf", "abstract_en": "Dynamic treatment regimes (DTRs) are decision-making rules designed to provide personalized treatment to individuals in multi-stage randomized trials. Unlike classical methods, in which all individuals are prescribed the same type of treatment, DTRs prescribe patient-tailored treatments which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may change over time. The Q-learning method, one of regression-based algorithms to figure out optimal treatment rules, becomes more popular as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Q-learning algorithm heavily relies on the correct specification of the Q-function for response, especially in observational studies. In this article, we examine a number of double-robust weighted least-squares estimating methods for Q-learning in high-dimensional settings, where treatment models for propensity score and penalization for sparse estimation are also investigated. We further consider flexible ensemble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the treatment model to achieve double-robustness, so that optimal decision rule can be correctly estimated as long as at least one of the outcome model or treatment model is correct. Extensive simulation studie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s work well with practical sample sizes.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proposed methods is proven with real data example.", "abstract": "동적 치료 요법(dynamic treatment regimes; DTRs)은 다단계 무작위 시험에서 개인에 맞는 치료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의사결정 규칙이다. 모든 개인이 동일한 유형의 치료를 처방받는 고전적인 방법과 달리 DTR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개별 특성을 고려한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최적의 치료 규칙을 파악하기 위한 회귀 기반 알고리즘 중 하나인 Q-학습 방법은 쉽게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Q-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은 Q-함수를 제대로 설정했는지의 여부에 크게 의존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데이터가 수집되는 DTRs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이중강건 Q-학습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가중 최소제곱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중강건성(double-robustness)은 반응변수에 대한 모형 혹은 처리변수에 대한 모형 둘 중 하나만 제대로 설정되어도 불편추정량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양한 모의실험 연구를 통해 제안된 방법이 여러 시나리오 하에서도 잘 작동함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데이터 예제를 통해 방법론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였다."} {"id": "JAKO20212315716781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67812.pdf", "abstract_en": "Hidden Markov model (HMM) is a statistical model in which the system consists of two elements, hidden states and observable results. HMM has been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for time series data in the financial sector, since it has a variety of mathematical structures. Based on the HMM theory,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apply the domestic KOSPI200 stock index as well as the prediction of global stock indexes such as NIKKEI225, HSI, S&P500 and FTSE100.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compare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the HMM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which is frequently used to predict the stock price, due to recent development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ctor.", "abstract":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HMM)은 은닉된 상태와 관찰 가능한 결과의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통계적 모형으로 확률론적 접근이 가능하고, 다양한 수학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금융 분야의 시계열 데이터에 응용되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HMM 이론을 국내 KOSPI200 주가지수와 더불어 NIKKEI225, HSI, S&P500, FTSE100과 같은 해외 주가지수 예측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또한, 최근 인공지능 분야의 발전으로 인해 주식 가격 예측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서포트 벡터 회귀(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id": "JAKO20212315717881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78816.pdf", "abstract_en": "In recent years, as many people post their interests on social media or store documents in digital form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computer technologies, the amount of text data generated has exploded. Accordingly, the demand for technology to create valuable information from numerous document data is also increasing. In this study, 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we investigate how the meanings of Korean words change over time by using the presidential speech records and newspaper articles public data. Using this, we present a strategy that can be utilized in the study of the synchronic change of Hange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ate from the study of the theoretical language phenomenon of Hangeul, which was studied by the intuition of existing linguists or native speakers, to derive numerical values through public documents that can be used by anyone, and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changes in the meaning of words.", "abstract":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관심사를 SNS에 게시하거나 인터넷과 컴퓨터의 기술 발달로 디지털 형태의 문서 저장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생성되는 텍스트 자료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수많은 문서 자료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를 창출하기 위한 기술의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 연설 기록문과 신문기사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글 단어들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의미가 변화되어 가는지를 통계적 기법을 통해 발굴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한글의 통시적 변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기존 언어학자나 원어민의 직관에 의해 연구되던 한글의 이론적 언어 현상 연구에서 벗어나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공공문서를 통해 수치화된 값을 도출하고 단어의 의미변화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id": "JAKO20211756318698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86986.pdf", "abstract_en":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new technology,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dustry researches various analysis methods such as detecting process abnormalities and predicting yield based on equipment sensor data gener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consists of hundreds of processes and thousands of measurement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m, each of which has properties that cannot be defined by chemical or physical equations. In the individual measurement process, the actual measurement ratio does not exceed 0.1% to 5% of the target product, and it cannot be kept constant for each measurement point. For this reason, efforts are being made to determine whether to manage by using equipment sensor data that can indirectly determine the normal state of each step of the process.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Data Analysis (FDA) was proposed to define a process abnormality detection process based on equipment sensor data and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currently applied statistics-based diagnosis method. Anomaly detection accuracy was compared using machine learning on actual field case data,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abstract": "반도체 제조 산업에서는 Big Data에 기초한 Smart Factory 도입과 적용이 가시화되면서 생산 공정의 각 단계에서 수집 가능한 다양한 센서(sensor)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정 이상 탐지 및 최종 수율 예측 등에 다양한 분석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반도체 공정은 원료인 잉곳(ingot)에서 패키징(packaging) 작업 이전의 웨이퍼(wafer) 생산까지 500 600개 이상의 세부 공정과 이와 연계된 수천 개의 계측 공정으로 구성된다. 개별 계측 공정 내의 실제 계측 비율은 대상 제품 대비 0.1%에서 최대 5%를 넘지 못하고 계측 시점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공정 각 단계의 정상 상태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비 센서(sensor)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리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비 센서 데이터 기반의 공정 이상 탐지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현재 적용 되고 있는 기술 통계량 기반 진단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FDA(Functional Data Analysis)방법을 활용하였다. 실제 현장 사례 데이터에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이상 탐지 정확도 비교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1756320599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05993.pdf", "abstract_en":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portfolio optimization since Markowitz (1952) published a diversified investment model. Markowitz's mean-variance portfolio optimization problem is establish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distribution of returns follows a normal distribution. However, in real life, the distribution of returns does not follow a normal distribution, and variance is not a robust statistic as it is heavily influenced by outliers. To overcome these potential issues, mean-shortfall portfolio model was proposed that utilized downside risk, shortfall, as a risk index.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rturbation method that uses the shortfall as a risk index of the portfolio. The proposed portfolio utilizes an adaptive Lasso to obtain a sparse and stable asset selection because it can reduce management and transaction costs. The proposed optimization is easily applicable as it can be computed using an efficient linear programming. In our real data analysis, we show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perturbation method.", "abstract": "Markowitz (1952)의 분산투자 모형 발표 이후 포트폴리오 최적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마코위츠의 평균-분산 포트폴리오 최적화 모형은 수익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서 성립한다. 그러나 실생활에서는 수익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분산은 이상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민감한 지표이다. 이런 분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하방위험인 숏폴(Shortfall)을 위험 지표로 적용함으로써 수익 분포에 대해 최적화가 가능한 평균-숏폴 포트폴리오 모형이 제안되었다. 또한 Jorion (2003)과 Park(2019)은 포트폴리오의 위험도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적은 수의 자산으로 구성(sparse)되고 안정적(stable)인 포트폴리오를 얻는 퍼터베이션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평균-숏폴 포트폴리오 모형에 퍼터베이션 방법과 adaptive Lasso를 적용하여 사용되는 자산의 수가 적으면서 안정적이고 쉽게 적용 가능한 포트폴리오 모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증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id": "JAKO20211756317098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70982.pdf", "abstract_en": "The proliferation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s led to a marked increase in the use of mobile-based internet.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the mobile internet has become important to make opinions on social issue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mobile internet news users' characteristics on formation of opinions about majo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We used the data from the media audience awareness survey by the Korean Press Foundation in 2016 and 2017 in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s users are gender, age, education, income, news usage days, news usage hours, media application usage days, news gathering application usage days, portal usage days, and media official website usage days. These characteristics are known as possible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mobile internet news us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were done with interpretation to know which covariates affect on formation of major opinion.", "abstract":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의 스마트기기의 확산으로 모바일 기반 인터넷의 이용률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모바일 인터넷의 영향력도 중요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일주일동안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본 뉴스 이용자의 어떠한 특성들에 따라 정치, 경제, 사회적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을 형성할 때 모바일 인터넷의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 언론 진흥재단의 2016년과 2017년의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모바일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성별, 연령, 학력, 가구소득, 뉴스 이용일수, 뉴스 이용시간, 언론사 애플리케이션 이용일수, 뉴스모음 애플리케이션 이용일수, 포털 이용일수, 언론사 공식 홈페이지 이용일수를 뉴스 이용자의 특성으로 지정하였다. 모바일 인터넷 의견 형성 여부에 뉴스 이용자의 어떠한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를 적합하고 해석하였다."} {"id": "JAKO20211756315997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59978.pdf", "abstract_en": "Recently the need for network surveillance to detect abnormal behavior within dynamic social networks has increased. We consider a dynamic version of the degree corrected stochastic block model (DCSBM) to simulate dynamic social networks and to monitor for a significant structural change in these networks. To apply a control charting procedure to network surveillance, in-control model parameters must be estimated from the Phase I data, that is from historical data. In network surveillance, however,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sufficient relevant historical data are unavailabl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lf-starting Shewhart control charting procedure for detecting change in the dynamic networks. This procedure can be a very useful option when we have only a few initial samples for parameter estima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cedure has good in-control performance even when the number of initial samples is very small.", "abstract": "최근 동적 연결망의 비정상적 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연결망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연결망의 구조적 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동적 연결망의 모형으로 DCSBM(degree corrected stochastic block model)을 고려하였다. 관리도 절차를 사용하여 동적 연결망을 감시하려면 제1국면을 통해 초기 연결망을 확보한 후 모형의 모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연결망의 감시에서는 충분한 수의 초기 연결망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적 DCSBM을 감시하기 위한 자기출발 관리도 절차를 제안한다. 이 절차는 모형의 모수 추정을 위해 확보한 연결망의 수가 아주 적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절차이다. 모의실험을 통해 절차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제안된 절차는 초기 연결망의 수가 아주 적은 경우에도 좋은 관리상태의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0783582925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35829250.pdf", "abstract_en": "The rock anchorage of a suspension bridge is an outstanding anchorage type from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perspective, although it should be applied when the bearing foundation is fresh enough to resist large cable loads. In practice, geotechnical engineers have encountered difficulties in designing the anchorage structure due to the fact that the physical behaviors of rocks against cable loads have not yet been fully proved and its design method was not established yet. In this study, model tests and numerical studi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behavior of the rock anchorage system planned under hard rock layers in domestic islands, and results suggest that the shape of asymmetric rock wedges can resist the tension loads with self weight and shear resistance. Additionally, real scale trial test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accuracy of an inclined drilling penetrating hard rock layers to install tendon to the bearing plate.", "abstract": "현수교의 지중정착식 앵커리지는 기초 암반이 신선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형식으로, 앵커리지 형식 중 환경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뚜렷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케이블 하중 재하시 암반의 거동특성이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고 설계기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실무자들이 구조물 계획을 수립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서지역의 경암 지반에 계획된 지중정착식 앵커리지를 대상으로 모형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지지암반의 거동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자중과 전단력으로 케이블 하중에 저항하는 비대칭 형태의 암반 쐐기 블록을 제안하였다. 또한 경암 지반에서 강연선 홀 설치를 위한 실규모 시험천공을 실시하고, 경사 천공의 정밀도를 확인하여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id": "JAKO20211756316798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67981.pdf", "abstract_en": "Random forests is a popular method that improves the instability and accuracy of decision trees by ensembles. In contrast to increasing the accuracy, the ease of interpretation is sacrificed; hence, to compensate for this, variable importance is provided. The variable importance indicates which variable plays a role more importantly in constructing the random forests. However, when a predictor is correlated with other predictors, the variable importance of the existing importance algorithm may be distorted. The downward bias of correlated predictors may reduce the importance of truly important predictors. We propose a new algorithm remedying the downward bias of correlated predictor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demonstrated by the simulated data and illustrated by the real data.", "abstract": "랜덤포레스트는 여러 의사결정나무 모형들을 융합하여 안정성과 예측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종종 사용되는 방법이다. 예측력을 증가시키는 반면 해석의 용이성을 희생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 변수의 중요도를 제공한다. 변수의 중요도는 랜덤포레스트를 구축할 때 변수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려 준다. 그러나 어떤 예측변수가 다른 예측변수들과 상관되어 있을 때 기존 알고리즘의 변수중요도는 왜곡될 수 있다. 상관된 예측변수들의 하향 편향은 예측변수의 중요도를 실제 중요도보다 낮게 측정하게 한다. 우리는 기존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상관 예측변수의 하향 편향을 회복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은 모의 자료에 의해 증명되고 실제 자료에 의해 설명된다."} {"id": "JAKO20211756319699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96990.pdf", "abstract_en": "A main goal of pharmacogenomics studies is to predict individual's drug responsiveness based on high dimensional genetic variables. Due to a large number of variables, feature selection is required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variables. The selected features are used to construct a predictive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the present study, we applied several hybrid feature selection methods such as combinations of logistic regression, ReliefF, TurF, random forest, and LASSO to a next generation sequencing data set of 400 epilepsy patients. We then applied the selected features to machine learning methods including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and support vector machine as well as a stacking ensemble metho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stacking model with a hybrid feature selection of random forest and ReliefF performs better than with other combinations of approaches. Based on a 5-fold cross validation partition, the mean test accuracy value of the best model was 0.727 and the mean test AUC value of the best model was 0.761. It also appeared that the stacking models outperform than single machine learning predictive models when using the same selected features.", "abstract": "약물유전체학 연구의 주요 목표는 고차원의 유전 변수를 기반으로 개인의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것이다. 변수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변수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변수 선택이 필요하며, 선택된 변수들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400명의 뇌전증 환자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데이터에 로지스틱 회귀, ReliefF, TurF, 랜덤 포레스트, LASSO의 조합과 같은 여러 가지 혼합 변수 선택 방법을 적용하였다. 선택된 변수들에 랜덤포레스트, 그래디언트 부스팅, 서포트벡터머신을 포함한 머신러닝 방법들을 적용했고 스태킹을 통해 앙상블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랜덤포레스트와 ReliefF의 혼합 변수 선택 방법을 이용한 스태킹 모형이 다른 모형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5-폴드 교차 검증을 기반으로 하여 적합한 최적 모형의 평균 검증 정확도는 0.727이고 평균 검증 AUC 값은 0.761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변수를 사용할 때 스태킹 모델이 단일 머신러닝 예측 모델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756319098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90988.pdf", "abstract_en": "A new statistical model needs additional variables in order to re-evaluate the undecided inference. Then the MNAR assumption is required, since the probabilities for the positivity of the indeterminant and the determinant is calculated differently. In this study, since two statistical models have a hierarchical relationship, we determine the undecided inference under the MNAR assumption using the confidence interval of the difference between two AUCs. Among many methods of estimating the confidence interval of the AUC difference, it is found that four kinds of methods show excellent performance through simulations. And based on these methods, we propose a variable selection method that are useful for the undecided inference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abstract": "미결정자 추론을 재평가하기 위해 기존 변수에 새로운 변수들을 추가하는 통계 모형이 필요하다. 미결정자와 결정자의 양성률은 다르게 계산되기 때문에 MNAR 가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두 통계적 모형이 계층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두 AUC 차이의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MNAR 가정하에서 미결정자를 추론한다. AUC 차이 신뢰구간의 추정방법 중에서 모의실험을 통하여 네 종류의 방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네 종류의 방법을 바탕으로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미결정자 추론에 도움이 되는 변수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id": "JAKO20211756314497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44974.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introduce how to construct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oracle property in penalized linear regression model. We give formal definitions of the oracle estimator, penalized estimator, oracle penalized estimator, and the oracle property of the oracle estimator. Based on the definitions, we present a unified way of constructing optimality conditions for the oracle propert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optimality conditions that covers most of the existing penalties. In addition, we present an illustrative example and results from the numerical study.", "abstract": "본 논문은 선형 회귀모형에서 벌점 추정량의 신의 성질에 대한 충분조건을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신의 추정량, 벌점 추정량, 신의 벌점 추정량, 신의 성질을 명확히 정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의 성질에 대한 최적조건과 최적조건에 대한 충분조건을 구성하는 방법을 대부분의 벌점함수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나의 통합된 원리로 소개하였다. 추가로 신의 성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예제와 함께 가상실험 결과를 첨부하였다."} {"id": "JAKO20211756319999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99991.pdf", "abstract_en": "As time goes by, the amount of data is increasing regardless of government, business, domestic or overseas. Accordingly, research on big data is increasing in academia. Statistics is one of the major disciplines of big data research, and it will be interesting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statistics through big data in the growing number of papers in statistics. In this study, we analyzed what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hrough abstract data of statistical papers in Korea and abroad. Research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of keyword data of the pap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words was visualized through the Word Embedding method. In addition to the keywords selected by the authors, words that are importantly used in statistical papers selected through Textrank were also visualized. Lastly, 10 topics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LDA technique to the abstract data.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topic, we investigated which research topics are frequently studied and which words are used importantly.", "abstract": "시간이 갈 수록, 정부, 기업, 국내, 해외를 막론하고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학계에서도 빅데이터에 대한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통계학은 빅데이터 연구의 중심이 되는 학문들 중 하나이며, 늘어나는 통계학 분야 논문 빅데이터를 통해 통계학의 연구동향을 파악해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해외의 통계학 논문들의 초록데이터를 통해 어떤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저자들이 선정한 논문들의 키워드 데이터 빈도를 통해 국내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Word Embedding 방법을 통해 해당 키워드들의 관계성을 시각화 하였다. 여기서 저자들이 선정한 키워드들 외에 Textrank를 통해 선정된 통계학 분야 논문들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단어들도 추가적으로 시각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록 데이터에 LDA 기법을 적용하여 10가지 토픽을 알아보았다. 각 토픽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어떤 연구 주제들이 자주 연구되며, 어떤 단어들이 중요하게 사용되는지 알아보았다."} {"id": "JAKO20211756321299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1299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treatment on stage III stomach cancer data obtained from the SEER program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and to identify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the survival rates of stage III stomach cancer. Since the proportional hazards assumption was violated for treatment, we used the restricted mean survival time as an alternative to the proportional hazards model. The restricted mean survival time was estimated using pseudo-observations, and the effects of treatment were compared using a test statistic based on the estimated restricted mean survival times. We conducted the regression analysis using a generalized linear model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restricted me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stage III stomach cancer.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tricted mean survival times of treatment groups. Age at diagnosis, race, substage, grade, tumor size, surgery, and treat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restricted me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stage III stomach cancer. Surger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increasing the restricted me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stage III stomach cancer.",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 국립암연구소의 SEER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위암 3기 자료에 대해 항암치료의 효과를 비교하고 위암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위암 3기 자료는 비례위험 가정이 성립하지 않아 대안으로 제한된 평균 생존시간을 이용한 분석 방법을 자료 분석에 적용하였다. 의사-관측들을 이용하여 제한된 평균 생존시간을 추정하였고, 제한된 평균 생존시간 추정량에 기반한 검정통계량을 이용하여 항암치료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일반화 선형모형을 이용한 회귀모형을 통해 위암 3기 환자의 평균 생존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공변량들의 효과를 추정하였다. 항암치료법에 따라 위암 3기 환자의 평균 생존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진단연령, 인종, 세분화병기, 분화도, 종양의 크기, 수술여부, 항암치료가 위암 3기 환자의 평균 생존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였으며, 그 중 수술여부가 위암 3기 환자의 평균 생존시간을 늘리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756319899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98991.pdf", "abstract_en": "The ROC, TOC, and TROC curves, which are visually descriptive methods of exploring the performance of the binary classification model, are implemented with TP, TN, FP, FN which consist of the confusion matrix, as well as their ratios TPR, TNR, FPR, FNR. In this study, we consider two types odds and then propose an odds curve representing these odds. And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dds curve and ROC curve. Based on the odds curve, we propose not only two statistics that measure the discriminant power of the odds curve but also the criteria for validation ratings of the odds curv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dds curves, two classification distributions can be estimated and a criterion for validation ratings can be determined. The odds curve can be meaningfully used like other visual methods, and two kinds of measures for the discriminant power can be also applied together as an alternative criterion.", "abstract": "이진분류모형의 성능을 탐색하는 시각적인 대표적인 방법인 ROC 곡선과 TOC 곡선 그리고 TROC 곡선은 혼동행렬을 구성하는 TP, TN, FP, FN 그리고 이들의 비율인 TPR, TNR, FPR, FNR으로 구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비율비인 오즈를 고려하여 단위면적인 정사각형에서의 구현하는 오즈 곡선을 제안하고, ROC 곡선과의 관계를 보인다. 오즈 곡선에서 판별력을 측정하는 두 종류의 측도를 제안하고, 오즈 곡선들의 형태를 바탕으로 두 종류의 측도를 이용하여 두 분류 분포의 판단 기준을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오즈 곡선은 다른 시각적인 방법 등과 같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오즈 곡선의 판별력을 측정하는 두 종류의 측도들은 분류 성능을 판단하는 대안적인 방법으로 같이 이용할 수 있다."} {"id": "JAKO20211756316398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63980.pdf", "abstract_en": "This paper studies time series analysis with estimation and forecasting for Korean COVID-19 confirmed cases, based on the approach of a heterogeneous autoregressive (HAR) model with two-piece t (TP-T) distributed errors. We consider HAR-TP-T time series models and suggest a step-by-step method to estimate HAR coefficients as well as TP-T distribution parameters. In our proposed step-by-step estimation, the ordinary least squares method is utilized to estimate the HAR coefficients while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method is adopted to estimate the TP-T error parameters. A simulation study on the step-by-step method is conducted and it shows a good performance. For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Korean COVID-19 confirmed cases, estimates in the HAR-TP-T models of order p = 2, 3, 4 are computed along with a couple of selected lags, which include the optimal lags chosen by minimizing the mean squares errors of the models. The estimation results by our proposed method and the solely MLE are compared with some criteria rules. Our proposed step-by-step method outperforms the MLE in two aspects: mean squares error of the HAR model and mean squares difference between the TP-T residuals and their densities. Moreover, forecasting for the Korean COVID-19 confirmed cases is discussed with the optimally selected HAR-TP-T model.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of one-step ahead out-of-sample forecasts is evaluated as 0.0953% in the proposed model. We conclude that our proposed HAR-TP-T time series model with optimally selected lags and its step-by-step estimation provide an accurate forecasting performance for the Korean COVID-19 confirmed cases.",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2개의 혼합된 t-분포(TP-T)의 오차과정을 따르는 이질적 자기회귀 (HAR)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 코로나 (COVID-19) 확진자 수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 분석, 즉 추정과 예측에 대하여 연구한다. HAR-TP-T 시계열 모형을 고려하여 HAR 모형의 계수 뿐 아니라 TP-T 오차과정의 모수를 추정하고자 단계별 추정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단계별 추정법은, HAR 계수 추정을 위해서는 통상적 최소제곱추정법을 채택하고, TP-T 모수 추정을 위해서는 최대우도추정법을 이용한다. 단계별 추정법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한다. 한국 코로나 확진자 수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 분석에서, HAR 모형에서의 차수 p = 2, 3, 4에 대해, 모형의 평균제곱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최적화 시간간격(optimal lag)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시간간격을 고려한 HAR-TP-T 모형의 모수 추정값을 계산한다. 제안된 단계별 추정방법과 기존의 MLE만의 방법을, 추정 결과를 제시함으로 함께 비교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추정은 두 가지의 오차 측면, 즉 HAR 모형의 평균제곱오차와 잔차분포에 대한 밀도함수 추정의 평균제곱오차, 두 측면에서 모두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나아가, 추정 결과를 활용한 코로나 확진자 수 예측을 수행하였고, 예측정확도의 한 측도로서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를 계산하여 0.0953%의 매우 작은 오차값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선택한 최적화 시간간격을 고려한 HAR-TP-T 시계열 모형 및 단계별 추정 방법은, 정확한 한국 코로나 확진자 수 예측 성능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id": "JAKO202116739600335", "publication_date": "2021.06.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600335.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dition of chemistry teacher's student competency assessment based on the inquiry report. To this end, an inquiry report was collected for chemistry teachers who took the training at two universities that conducted the 2020 first-class chemistry teacher training. The science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NAEA analysis framework was used to analyze what kind of competencies teachers assess students through inquiry reports. A total of 63 chemistry teachers submitted inquiry reports, which were analyzed by competency, sub-element of each competency, and detail element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chemistry teachers reflected their 'scientific inquir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ir evaluation through inquiry reports.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ly scientific principles', which is mainly evaluated through paper-based evaluation, was partially used as confirmation of prerequisite learning at the beginning of the inquiry and the weight of evaluating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was not large. In 'scientific inquir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inquiry report, 'design and conduct explorations',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drawing conclusion and suggesting solution' were mainly assessed. However, 'discover and recognize problems' and 'development and use of model' were hardly assessed.", "abstract": "이 연구는 탐구보고서에 기반하여 화학교사의 학생 역량 평가 실태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20학년도 1급 화학 정교사 연수를 수행한 2개의 대학에서 연수를 수강한 화학교사를 대상으로 탐구보고서를 수합하였다. 교사들이 탐구보고서를 통해 학생의 어떠한 역량을 평가하고 있는지를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틀에서 제시한 과학과 교과 역량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63명의 화학교사 탐구보고서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역량별, 각 역량의 하위 요소별, 세부 요소별로 분석하여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화학교사들은 탐구보고서를 통해 '과학적 탐구 및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에 반영하고 있었다. 지필평가를 통해 주로 평가하는 '과학 원리의 이해 및 적용 능력'은 탐구 시작 시 선수학습의 확인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었으며,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 하는 비중은 크지 않았다. 탐구보고서를 통해 '과학적 탐구 및 문제 해결력' 의 경우 '탐구 설계 및 수행', '자료의 분석과 해석', '결론 도출 및 해결 방안 제시'가 주로 평가되고 있었으며, '문제 발견 및 인식'과 '모형의 개발과 사용'은 거의 평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325454056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568.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curved levee was performed according to curvature angle, and radius of curvature to investigate the property of seepage. The hydraulic gradients in the curved parts of levees decreased in the outer levee and increased in the inner levee, compared to the two-dimensional analysis. The smaller the curvature angl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the larger the change of the hydraulic gradient, compared to the two-dimensional analysis. The effect of curvature radius on the hydraulic gradient was greater than the curvature angl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iping safety factor for the critical hydraulic gradient, the safety factor was increased by 2~5% in the outer levee and decreased by 4~12% in the inner levee, compared to the two-dimensional analysis. Considering this reduction, if the two-dimensional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curved part of the levee, and if designed the safety factor for piping is 0.1~0.3 greater than allowable FS=2.0, the safety factor of the curved part is slightly reduced, but there is no difficulty in securing stability.", "abstract": "본 논문은 만곡부 제방에 대해 곡률각도, 곡률반경에 따라 3차원 해석을 실시하여 침투특성을 규명하였다. 제방만곡부에서 동수경사는 2차원 해석 결과에 비해 외측제방에서는 감소하였고, 내측제방에서는 증가하였다. 곡률각도와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2차원 해석 대비 동수경사의 변화가 큰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곡률각도보다는 곡률반경이 동수경사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동수경사에 의한 파이핑 안전율 산정결과, 2차원 해석에 대비하여 안전율은 외측제방에서는 2~5%가 증가되었고, 내측제방에서는 4~12%가 감소되었다. 이 감소폭을 고려해 볼 때 제방만곡부에 대해 2차원 해석을 실시하고 파이핑에 대한 허용안전율 Fs=2.0보다 0.1~0.3정도 더 크게 설계하면 만곡부의 안전율은 약간 감소되지만 안정성 확보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d": "JAKO20211325454058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585.pdf", "abstract_en": "Recently, the enzyme-induced carbonate precipitation (EICP) technique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the cement-based soil reinforcing method. However, the problem with the emission of ammonium ion has not been solved.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ICP without releasing an environmental contaminant (Ze-EICP) is performed using calcium-exchanged zeolite. The results show that the Ze-EICP using calcium-exchanged zeolite reduced the amount of ammonium ions by 96.96% and precipitated almost the same amount of calcium carbonate, compared to the EICP using calcium chloride. In addition, the Ze-EICP shows higher strength improvement rate than the EICP due to densification of zeolite and cementation of calcium carbonate.", "abstract": "최근 효소 기반 탄산칼슘 침전(EICP) 기법은 시멘트 기반 지반보강공법의 대안 중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EICP 기법에서 발생하는 환경 유해 부산물인 암모늄 이온의 배출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칼슘 치환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환경 유해 부산물이 없는 EICP(Ze-EICP)의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실험결과는 칼슘 치환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Ze-EICP가 염화칼슘을 사용하는 EICP와 비교하여 암모늄 이온은 96.96%가 제거되었으며, 거의 동일한 양의 탄산칼슘이 침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Ze-EICP는 제올라이트의 조밀화와 탄산칼슘의 고결화로 인해 EICP 대비 높은 강도증진 효과를 보여주었다."} {"id": "JAKO20211325454058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580.pdf", "abstract_en": "An individual vacuum consolidation system has gained a popularity for a ground improvement of soft clayey soil. Finite element anaylses have been performed to simulate the individual vacuum consolidation system using a Plaxis 2D. The modelling procedures of the vacuum consolidation system are presented with the results of an unit-cell analysis. In addition,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Plaxis 2D for simulating the consolidation behavior of soft ground subjected to the individual vacuum pressure.", "abstract": "개별진공압밀공법을 적용한 연약점토 지반의 압밀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Plaxis 2D를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진공압을 묘사하기 위한 세부적인 방법을 unit-cell 해석 결과와 함께 제시하고, 실제 시공사례를 모델링하여 수치해석결과와 현장계측결과를 비교해봄으로써 개별진공압밀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의 압밀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Plaxis 2D의 사용 가능성 검토와 해석기법을 제시한다."} {"id": "JAKO20211615356138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153561383.pdf", "abstract_en": "In recently, the green algae bloom is one of the most severe challenges. The seven days prior prediction is in operation to issues the water quality warning, but it also needs a longer time of prediction to take preemptive measur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method to conduct a 3-month prior prediction of Chl-a concentration in the Daechong Lake and tested its applicability as a supplementary of current water quality warning. The historical record of water quality in the Daechong Lake and seasonal forecasting of ECMWF were obtained, and its time-serie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Chl-a forecasting model was established using a correlation between Chl-a concentra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 and NARX model, and its efficiency was compared.", "abstract": "최근 반복되고 있는 녹조는 수질관리에 가장 큰 과제로서 대두되고 있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7일 단위의 선행수질예측을 통한 수질예보를 수행하고 있으나, 선제적인 조치를 위해서 좀 더 장기간의 수질예측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예보의 보완자료로서 대청호의 Chl-a 농도를 3개월 선행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청호의 수질자동측정망 자료와 ECMWF의 수문기상예측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각 시계열 자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청호의 Chl-a 농도와의 상관 및 웨이블릿 분석을 바탕으로 수문기상입력인자를 결정하고 지연시간을 가지는 NARX모형을 이용하여 대청호의 Chl-a에 대한 3개월 선행예측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6153564384",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153564384.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plant communities of the Gudam wetland, a riparian wetland in Nakdong River basin,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veritical structure to prepare management plan. In the Gudam wetland, a total of 19 plant communities were found through physiognomical vegetation, and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tree dominant community, shrub dominant community, and herbaceous dominant community according to the vertical structure. When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analysi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in the tree dominant communities but there was concern about a decrease in species diversity due to the influx of exotic plants such as Sicyos angulatus. The shrub dominant community tended to have a biased species diversity index on shrub plants. The herbaceous dominant communities ware divided into wetland herbaceous communities and dryland herbaceous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species diversity index, and measures were needed to reduce the species diversity index due to artificial disturbances. The importance value was the highest in the arboreal Salix genus in the tree dominant communities, and the exotic plants such as Amorpha fruticosa were the highest in the shrub dominant communities. In the herbaceous dominant communities, wetland herbaceous plants such as Phragmites japonicus were hig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ordination the tree dominant communities and shrub dominant communities were differentiated by exotic plant factors, and the herbaceous dominant communities were differentiated by hierarchy number and slop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수계의 하도습지인 구담습지의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식생의 수직적 구조에 따라 군락 특성을 파악하여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구담습지 식물군락은 식생상관적 분류를 통해 총 19개의 군락이 나타났으며, 식생 수직구조에 따라 교목 우점 군락, 관목 우점 군락, 초본 우점 군락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군락 특성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 우점 군락이 가장 높았으나 가시박과 같은 외래식물의 유입으로 종다양도 감소가 우려되었다. 관목 우점 군락은 관목식물의 종수에 의해서 종다양도 지수가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초본 우점 군락은 종다양도 지수에 의해 습생초지 군락과 건생초지 군락으로 나뉘었고, 인위적인 교란으로 인한 종다양도 지수 감소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였다. 중요치는 교목 우점 군락에서는 교목성 버드나무속이 가장 높았고, 관목 우점 군락에서는 족제비싸리와 같은 외래식물의 중요치가 높았다. 또한, 초본 우점 군락에서는 달뿌리풀과 같은 습생초지식물이 높았다. 서열법에 따른 분석결과, 교목 우점 군락과 관목 우점 군락은 외래식물 종수에 의해서 군락이 분화되었고, 초본 우점 군락은 계층 수와 경사도에 의해서 군락이 분화되었다."} {"id": "JAKO202116153567386",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153567386.pdf", "abstract_en": "This study is the first official report on the wild habitats of alien species, Yellow-spotted Amazon River Turtle (Podocnemis unifilis) in Republic of Korea. On July 24, 2020, two P.unifilis were observed basking on rocks at 33°30'20.08\"N 126°38'0.23\"E, Waheul-ri, Jocheon-eup, Jeju-si, Jeju. One individual had a yellow spots on the head where as the other contains black spot. Our observatory site is close to road and easy access to people. Thus, these individuals were believed to be released in the pond after raising as pets. Recently, the number of alien turtles identified in wild(etc. lake, resevoir) is increasing, which is predicted to damage the aquatic ecosystem due to the inflow of exotic turtle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ople's awareness of alien species through citizen science project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e suggest that research on habitat adaptation, reproduction and management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in the future.",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 야생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외래종 견목거북과(Podocnemididae) 아마존노란점거북(Yellow-spotted Amazon River Turtle, Podocnemis unifilis)을 처음으로 관찰한 사실을 학술적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2020년 7월 24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33°30'20.08\"N 126°38'0.23\"E 지점에서 아마존노란점거북 2개체가 바위에서 일광욕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1개체는 머리에 노란색 반점이 있었고, 다른 1개체는 흑화되어 검은색을 띠었다. 관찰된 장소는 도로와 인접해 있고,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곳으로, 애완용으로 사육되던 개체가 연못으로 방사된 것으로 추측된다. 최근 호수, 저수지 등 국내 야생에서 확인되는 외래거북이 증가하고 있으며, 외래거북 유입으로 인한 수생태계의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외래생물에 대한 시민과학 프로젝트와 환경교육을 통한 대중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향후 발견된 개체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야생 적응 여부, 번식과 관련된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id": "JAKO202116153560382",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153560382.pdf", "abstract_en": "In order to analyze wave propagation, tidal current, and sediment transport in the vicinity of the Gaeya open channel, it was classified into before(CASE1W) and after(CASE2W) installation of various artificial structures, and the calculation results for CASE1W and CASE2W were compared. For wave propagation, the results of incident and reflected waves were derived using the SWAN numerical model, and the tidal current velocity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FLOW2DH numerical model for tidal current. The results of the SWAN numerical model and the FLOW2DH numerical model became the input conditions for the SEDTRAN numerical model that predicts sediment transport, and the maximum bed shear stress an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near the Gaeya open channel were calculated through the SEDTRAN numerical model.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SWAN numerical model, the wave height of CASE2W was increased by 40~50 % compared to CASE1W because the incident wave was diffracted and superimposed and the reflected wave was generated by about 7 km long northen jetty.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FLOW2DH numerical model, According to the northen breakwater, the northen jetty and Geumrando, CASE2W was calculated 10~30 % faster than CASE1W in the tidal current of the Gaeya open channel.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SEDTRAN numerical model, the section where the maximum bed shear stress is 1.0 N/m or more and the suspended concentration is 80mg/L or more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Gaeya open channel from the marine environment by the complex wave field(incident wave, reflected wave and tidal wave) and the installation of various artificial structures. it is believed that a sedimentation phenomenon occurred in the Gaeya open channel.", "abstract": "서해 개야수로 인근의 파랑전파, 해수유동, 퇴적물이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각종 인공구조물 설치 전(CASE1W)과 후(CASE2W)로 분류하고, CASE1W와 CASE2W에 대한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파랑전파에 대해서는 SWAN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입사파와 반사파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해수유동에 대해서는 FLOW2DH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유동에 따른 유속 결과를 도출하였다. SWAN 수치모형과 FLOW2DH 수치모형의 결과는 퇴적물이동을 예측하는 SEDTRAN 수치모형의 입력조건이 되어 개야수로 인근의 최대 저면전단응력과 부유사 농도분포를 계산하였다. SWAN 수치모형 계산결과, CASE2W의 경우 약 7 km 길이의 북측 도류제에 의해서 입사파가 회절 및 중첩되고, 반사파가 생성되어 개야수로 인근의 파고를 CASE1W에 비해 40~50 % 증가시켰다. FLOW2DH 수치모형 계산결과, 북방파제, 북측 도류제 및 금란도에 의해서 개야수로의 유속이 CASE1W과 대비하여 CASE2W가 10~30 % 빠르게 계산되었다. SEDTRAN 수침모형의 계산결과, 복합 파랑장(입사파, 반사파, 조석)에 따른 해양환경과 각종 인공구조물의 설치에 의해서 개야수로의 최대 저면전단응력이 1.0 N/m 이상인 구간과 부유사농도가 80 mg/L 이상인 구간이 넓게 분포되었다는 것은 개야수로에 퇴적현상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id": "JAKO202116153565385",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153565385.pdf", "abstract_en":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constructed wetlands are applied in many places. These are technologies that establish ecosystems and important design factors include water depth distribution, inflow and outflow, water flow distribution, hydraulic residence time, water quality treatment efficiency, aspect ratio, and the distribution of open water and covered water surfaces. For high efficiency during the operation of a constructed wetland, the design needs to be optimized and this requires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types and length of the intake dam as well as the type and connection of wetland cell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suggest factors that needs to be considered during the design and for efficient operation measures through field surveys of 23 constructed wetland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in agricultural reservoirs. Results of the field investigation shows that several sites were being operated improperly due to the malfunctioning or failure of the water level sensors, sedimentation in the intake dam, and clogging of the mechanical sluice fram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s the length of the inlet channel increases, the ecological disconnection between the intake dam upstream and the wetland outlet downstream also increases and was identified as a problem. Most of the wetlands are composed of 2 to 5 cells which can result to poor hydraulic efficiency and difficulty in management if they are too large.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flow through a small wetland can be inadequate when there are too many cells due to excessive amounts of headloss.", "abstract": "인공습지는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많은 곳에 적용되고 있다. 인공습지는 수심분포, 유입량 및 유출량, 물흐름 분포, 체류시간, 수질 처리효율, 종횡비, 개방수역/폐쇄수역 구성비 등이 중요한 설계인자이다. 특히, 인공습지 높은 효율 증대를 위해서는 취입보 형식, 유입보, 인입수로 길이, 셀(Cell) 형태, 셀 연결 형태 등의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농업용 저수지에 조성되어 운영중인 23개 인공습지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인자 및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인공습지 중에서 비정상적 운영이 나타나는 습지는 수위센서 미작동, 취입보 내부의 유사퇴적 및 기계식 수문틀의 협잡물 문제가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입수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취입보 하류부와 상류부의 생태적 단절구간이 늘어나는 것도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습지 대부분은 2~5개의 셀로 조성되었으며 셀의 크기가 지나치게 클 경우 수리학적 효율이 떨어지고 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작은 규모의 습지에 많은 셀이 존재하는 경우 큰 수두손실로 인하여 적절한 유수흐름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id": "JAKO202116153568387",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153568387.pdf", "abstract_en": "In the case of small-scale sewage treatment plants, it is reported that the amount of inflow fluctuates and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sewage treatment due to the inflow of unknown water due to the aging of sewage pipes.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overall operational problems due to the decrease in water temperature in winter. In this study, the operation status of small-scal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located in mountainous areas and water quality changes according to temperature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BOD, COD, and SS in effluent water was greatly change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it was found that COD was particularly affected. Accordingly, the water level of the bioreactor was raised by 0.4m in order to temporarily apply measures to lower the water temperature in winter.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when the bioreactor was covered and oper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 occurred. In addition, a plan to improv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bioreactor in winter is to extend the residence time of the bioreactor, a plan to expand the bioreactor specification, a new flow control tank and transport it to the outside, and an oxygen-free air diffuser to be used as an aerobic tank in case of an emergency in winter. The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plan of small-scal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winter.", "abstract":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경우 유입수량의 변동폭이 크고 하수관거 노후화로 인한 불명수 유입 등에 의해 하수처리 운영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동절기 수온저하로 인한 전반적인 운영문제가 많아 본 연구에서는 산악지역에 위치한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의 운영현황과 온도에 따른 수질변화를 분석하였다. BOD, COD, SS의 경우 온도에 따라 방류수 수질 농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OD가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시적으로 동절기 수온 저하 대책을 적용하고자 생물반응조 수위를 0.4m 상승시켰으며, 생물반응조 덮개를 설치하고 운영하였을 때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개선효과가 발생하였다. 이외 동절기 생물반응조 처리효율 저하에 대한 개선방안을 생물반응조 체류시간 연장하는 방안으로 생물반응조 규격을 확대하는 방안, 유량조정조를 신설하고 외부반송하는 방안, 무산소에 산기장치를 설치하여 동절기 비상시 호기조로 사용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동절기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운영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6153566385",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153566385.pdf", "abstract_en": "It is important to extract and assess low-flow recession characteristics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upper reaches of a stream.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groundwater flow recession characteristics for streamflow synthetically. The linear recession model has been widely used by baseflow recession analysis for reason of simplicity and convenience, but recent studies show that nonlinear recession models fit we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rvoir storage of shallow unconfined aquifers and the groundwater discharge was to be identified as nonlinear in the litera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numerous streamflow recession curv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code these nonlinear characteristics, including evaporation loss, storage, and recharge of groundwater using streamflow. By analyzing the observed time series of streamflow from the study area, which is the Pyeongchang River basin in Korea, the main components of the underlying groundwater balance, namely, discharge, evaporation loss, storage, and recharge, can be identified and quant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depletion of groundwater by evapotranspiration losses through the water uptake of tree roots was found to bias the recession curves and the estimated reservoir parameters. The seasonality of both rainfall and potential evaporation, analysis of the recession curves, stratified according to time of the year, allowed the quantification of evapotranspiration loss as a function of a calendar month and stored groundwater storage.", "abstract": "수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갈수시의 유량감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 중에 하나이다. 감쇄특성을 하천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표현하기 위해서 여러 복잡한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편의성을 위하여 선형 감쇄분석이 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 제시된 지하수 유출과 비피압대수층의 저장능력의 비선형성을 고려하면, 비선형 감쇄모형의 적용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출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의 증발손실, 저류 및 재함양과 같은 비선형 특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한강의 상류인 평창강 유역의 유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지하수 수지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인 지하수 유출, 증발손실, 저류, 재함양에 대해서 고찰하고 정량화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서, 식생에 의한 지하수 손실이 감쇄곡선을 편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적 강우와 잠재증발산 경향을 감쇄분석에 적용하여 월별 증발산 손실과 지하수 함양량을 정량화하여 제시하였다."} {"id": "JAKO202116153563384",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153563384.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draw the limitations of wetland restoration related legal systems of ASEAN+3 countries and suggest the improvements. In the case of Korea, there is no integrated law or integrated management organization for wetland restoration, and the legal basis for estuaries restoration is insufficient. As many ASEAN countries depend on wetlands for their livelihood, public support for sustainable use and conservation of wetlands should be preceded through raising awareness about the value of wetlands. Some countries need to establish a specific wetland definition, while developing countries need to strengthen national capacities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 legal basis is needed to eliminate the impacts on peatlands and mangrove forests and conserve them.", "abstract": "본 연구는 아세안+3 13개국의 습지 복원 관련 법 제도의 한계를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우리나라는 통합법 또는 컨트롤타워가 부재하며 하구 복원을 위한 법 제도 기반이 미흡하다. 많은 국가가 습지에 생계를 의존하는 만큼 습지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부 국가는 습지 정의를 구체적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개도국은 국제협력을 통해 국가 역량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 이탄지와 맹그로브 숲에 미치는 영향을 해소하고 이를 보전하기 위한 법 제도 기반이 필요하다."} {"id": "JAKO202107163270344", "publication_date": "2021.02.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270344.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in the results of PISA 2018 science domain.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PISA 2009 to PISA 2018 science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percentage of each performance level and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by achievement level;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y framework subscale was compared with PISA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 has a higher percentage of students at the lower level of achievement as compared to the high-ranking countries of PISA, and the ratio of students at the higher level of achievement was lower. On average, the difference in achievement between boys and girls was negligible; however, but at the higher achievement level, the ratio of boys continued to be higher than that of girls. In addition, in the PISA science framework,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the questions corresponding to 'personal' of 'contexts', 'evaluate and design scientific enquiry' of 'competencies', 'epistemic' of 'knowledge', and 'high' of 'cognitive demand' increased; similarly, and achievement improved as compared to PISA 2015.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improving teaching and evaluation to foster Korean students' scientific competenc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영역 성취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PISA 2009 ~ PISA 2018 과학 영역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수준별 비율과 성취 수준별 남녀 비율을 살펴보았으며, 평가틀 하위 요소별 정답률을 PISA 2015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는 PISA 주요 성취 상위국에 비하여 하위 성취 수준 학생들의 비율이 높았던 반면, 상위 성취 수준 학생들의 비율은 낮았다. 평균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취 차이는 거의 없어졌으나, 상위 성취 수준에서 남학생의 비율은 여학생의 비율보다 높은 것이 유지되고 있었다. 또한, 평가틀에서 '맥락'의 '개인적', '역량'의 '과학 탐구의 설계 및 평가', '지식'의 '인식론적' 지식, '인지적 요구'의 '상'에 해당하는 문항의 정답률이 상승하여 PISA 2015에 비해 성취가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과 평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07163270340", "publication_date": "2021.02.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270340.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extract of Cinnamomum yabunikkei leaves were investigated for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heir active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In the anti-inflammatory tests using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without causing cell toxicity. In addition, the EtOAc fraction reduced expression of iNOS protein an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Upon the anti-oxidative studies by DPPH and ABTS+ radicals,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EtOAc fraction. Five phytochemicals were isolated from the extract of C. yabunikkei leaves; (4S,5R)-4-hydroxy-5-isopropyl-2-methylcyclohex-2-enone (1), methoxy-(3,5-dimethoxy-4-hydroxyphenyl)ethanediol (2), afzelin (3), nicotiflorine (4) and narcissin (5). As far as we know, compounds 1-5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In the anti-inflammatory tests for the isolates, compound 1, 3, 4 and 5 were determined to decrease NO production without causing cell toxicity. Furthermore, compound 1 reduced expression of iNOS protein and exhibited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IL-6).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extract and isolated compounds from C. yabunikkei leaves could be potentially applicable as natural source for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ingredient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생달나무 잎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분획 시료의 NO 생성 억제 활성 실험 결과, EtOAc 분획물이 세포 독성 없는 농도에서 NO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EtOAc 분획물이 iNOS 단백질의 발현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EtOAc 분획물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EtOAc 분획물의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여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4S,5R)-4-hydroxy-5-isopropyl-2-methylcyclohex-2-enone (1), methoxy-(3,5-dimethoxy-4-hydroxyphenyl)ethanediol (2), afzelin (3), nicotiflorine (4), narcissin (5). 화합물 1-5는 모두 생달나무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분리 화합물에 대한 항염 활성 실험 결과, 화합물 1, 3, 4 및 5는 세포 독성 없이 NO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화합물 1은 염증 매개인자인 TNF-α, IL-1β, IL-6의 생성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생달나무 잎은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의약품 및 화장품 관련 천연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id": "JAKO202107163270335", "publication_date": "2021.02.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270335.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DFT calc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B3LYP/6-31G(d,p) basis sets for the reaction process in which phenanthrene decomposes due to the chain reaction of two OH radicals on phenanthrene in the gaseous state of 298 K at 1 atm.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even when two OH radicals act on phenanthrene in a chain, the reaction for producing phenanthren-9-ol is predicted to be more advantageous than the reaction for producing phenanthren-1-ol. On the other h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OH addition process at room temperature would be advantageous for the priority of the OH addition and H abstraction process.",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1기압 298 K 기체 상태에서 페난트렌에 두 개의 OH 라디칼이 연쇄적으로 작용하여 페난트렌이 분해되는 반응 과정을 B3LYP/6-31G(d,p) 기저함수를 사용하여 DFT 계산을 수행하였다. 계산 결과 두 개의 OH 라디칼이 연쇄적으로 페난트렌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phenanthren-9-ol 생성 반응이 phenanthren-1-ol 생성 반응보다 유리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OH 첨가와 H 추출 과정에 대한 우선성은 상온에서 OH 첨가 과정이 유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id": "JAKO202107163270348", "publication_date": "2021.02.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270348.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model cognition level of high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about the two types of acid-base models taught in secondary schools was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the model cognition level of students, 12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cid-base reaction and the dissociation reaction of acids and ba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5 students of two science-gifted school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model cognition levels were analyzed 6 levels in the context of consistency, inconsistency, and unexplainable scope of the two models. In the acid-base reaction item, the largest percentage of students cognized only understanding of the two models. In the acid-base dissociation reaction item, they understood the two models and perceived the 'Known Ignorance' that cognizes the limitations of one model. However, there was only one student who perceived the limitations of both models and all of the 'Unknown Ignorance' that the model could not explain. Through this, we argued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efforts to raise the model cognition level of science-gifted student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두 유형의 산-염기 모델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모델 인지 수준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모델 인지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염기 반응과 산과 염기의 해리와 관련된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개의 과학영재학교에서 95명의 학생들이었다. 설문 분석 결과, 두 모델의 일치 상황, 불일치 상황, 설명할 수 없는 범위의 상황에서 모델 인지 수준은 6가지로 분석되었다. 산-염기 반응의 문항에서는 가장 많은 비율의 학생들이 두 모델을 모두 이해하는 수준이었고, 산과 염기의 해리 문항에서는 두 모델을 이해하고, 한 모델이 갖는 한계를 인식하는 '인지된 이그노런스'만 인식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두 모델이 갖는 한계도 인식하고, 모델이 설명하지 못하는 범위인 '미인지된 이그노런스'까지 모두 인식한 학생은 단 1명 뿐이었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 학생들의 모델 인지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id": "JAKO202117457548198",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48198.pdf", "abstract_en": "After the Gyeongju earthquake, which was the largest in the history of measuring instruments in Korea in 2016, and after the Pohang earthquake, where the pillars of pallet structures were destroyed in 2017, the seismic design standards for all domestic facilities have been revised and supplemented. In particular, dur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ohang Earthquake damage cases, liquefaction damage that occurs mainly in countries with strong earthquak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New Zealand was found, so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depth to improve seismic design standards. In this study, the liquefaction potential assessment in the recently revised seismic design standard for port and harbor was reviewed, and an applicability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newly cited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At this time, by varying the thickness and location of the sandy soil where liquefaction can occur, the LPIs for various cas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Also, 22 LPI values in the practical port area were compared and reviewed along with performance of the liquefaction assessment based on the site response analysis using the boring-hole data of the actual 22 port sites.", "abstract": "2016년 발생한 국내 계기 계측 사상 최대 규모의 경주지진과 2017년 팔레트구조 건축물의 기둥이 파괴되는 등 국내 최대 지진피해가 발생한 포항지진 이후, 국내 모든 시설물에 대한 내진설계기준이 개정되고 있으며 특히, 포항지진 피해사례 조사 도중 미국, 일본, 뉴질랜드 등 주로 강진지역 국가에서 발생하는 액상화 피해가 발견되어 이에 대한 설계기준의 보완도 심도있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개정된 항만 및 어항시설 내진설계기준에서의 액상화 평가방법을 고찰하고 액상화 평가절차에 새롭게 인용된 액상화 가능성 지수(LPI)를 중심으로 적용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때, 액상화 발생가능한 모래지반을 다양하게 조성하고 이에 대한 케이스별 LPI 값을 산정 비교하였다. 또한, 실제 22개소 항만의 지반자료를 이용하여 지진시 지반응답해석에 기초한 액상화 평가의 수행과 함께 22개소의 LPI 값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id": "JAKO20211745751118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11183.pdf", "abstract_en": "Groundwater level (GWL) causes the stress state within soil and affects the bearing capacity and the settlement of foundation. In this study, the analyses of influencing factors on GWL fluctuation were performed. From the results, river stage and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were main influence components for urban near large river and rural area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GW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components. As a result, the effect of main component was significant on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GWL.", "abstract": "지하수위 변동은 지반의 응력 상태에 변화를 일으켜 기초구조물의 지지력 및 침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지하수위 영향인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역에 따라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인자들이 각각 달랐으며, 규모가 큰 하천변에 위치한 도심지역의 경우 하천수위가 지하수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였으며, 지표면 포장율이 낮은 도외지역의 경우는 선행강우를 고려하기 위해 도입된 강우이동평균이 주요 인자였다. 또한, 여러 입력 인자 조합을 고려하여 인공신경망을 통한 지하수위를 예측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지하수위 영향인자가 지하수위 예측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지하수위를 예측할때, 적절한 지하수위 영향인자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예측에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id": "JAKO202110655042623",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655042623.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in income trajectories of the working poor and the non-working poor and explains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marriage, education) and regional (living in large cities) factors on intergroup differences. We use Seoul Survey data collected between 2009-2018 and the latent growth modeling approach. It was found that the trajectory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ce 2016, the income gap widened as the income of the working poor stagnated. The three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better explained the income trajectory of the working poor compared to the working non-poor. In particular, the change in income growth rate was positively related to whether they live in large citie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living in a large city would act as an economic premium for the working poor.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on urban premiums for the working poor.", "abstract": "연구는 근로빈곤층과 근로비빈곤층의 차별적 소득 궤적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실증하고, 이를 인구·사회학적 요인(결혼, 교육수준)과 지역적 요인(대도시 거주)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한국노동패널조사』 12~21차(2009~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차함수형 궤적으로 추정한 근로빈곤층과 근로비빈곤층의 소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2009년에서 2016년까지 근로빈곤층의 소득이 근로비빈곤층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면서 격차가 완화되었지만, 이후 근로빈곤층의 소득이 정체되면서 다시 격차가 심화되었다. 소득 궤적(시작점의 소득 수준과 증가율)에 결혼, 교육수준, 대도시 거주가 미친 영향은 집단 간 차이를 보였는데, 이 요인들은 근로빈곤층의 궤적을 더욱 잘 설명하고 있다. 결과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근로빈곤층의 소득변화율과 대도시 거주 여부의 정(+)적 연관성으로, 대도시에 거주하는 것이 근로빈곤층에 경제적 프리미엄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근로빈곤층의 도시 프리미엄과 관련한 후속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id": "JAKO202119062060709",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062060709.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the sub-structuring technique-applied train-bridge interaction analysis model, which is formulated based on the simplified three-dimensional train-bridge interaction analysis model for high-speed bridge-train interaction analysis, is presented. In the sub-structuring technique, the super-structure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of railway bridges can be modeled as sub-structures, and train-bridge interaction analysi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s a train analysis model, two-dimensional train model is used, and the Lagrange equation of motion is applied to derive the equation of motion of two-dimensional train. In the sub-structuring technique, the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can be reduced by using the condensation method, thus reducing the time and cost for calculating the eigenvalues and eigenvectors, and the time and cost for the subsequent calculation. In this paper, Guyan reduction method is used as sub-structuring technique. By combining simplified three-dimensional bridge-train interaction analysis and Guyan reduction method, the efficient and accurate bridge-train interaction analysis can be performe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고속철도 교량-열차 상호작용 해석을 위한 단순 3 차원 상호작용 해석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정식화한 부구조화 기법 적용 상호작용 해석모델을 제시한다. 부구조화 기법에서는 철도 교량의 상부 구조와 지지 구조를 각각 부구조로 모델링하고, 열차-교량 상호작용 해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열차 해석 모델로는 2차원 열차 모델을 사용하고, Lagrange 운동방정식을 적용하여 2차원 열차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한다. 부구조화 기법에서는 응축 방법을 사용하여 자유도(Degree of freedom)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고유 값 및 고유 벡터 계산을 위한 소요 시간 및 비용과 후속 계산의 소요시간 및 비용이 줄어든다. 본 논문에서는 부구조화 기법으로 Guyan 감소 방법을 사용한다. 단순 3 차원 교량-열차 상호작용 해석과 Guyan 감소 방법을 결합하여 효율적이고 정확한 교량-열차 상호작용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id": "JAKO20211123674459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592.pdf", "abstract_en": "The average annual rainfall in Busan to increase, and in case of Oncheon-Chen in Busan, frequent flooding occurred frequently.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Oncheon-Chen are relatively flat and urban areas are developed. Therefore, due to the frequent flooding of rivers and the large flood damage, a method of effectively eliminating the flow rate of Oncheon-Chen in the event of heavy rain is needed. In this study, underground waterway was established in the east of Hoedong-Reservoir as a measure to reduce floods in hot springs and simulated with EPA-SWMM. The information needed to construct the basin was utilized by GIS. In middle part of the Suyeong-Gang, there is a Hoedong-Reservoir and a dam is installed and has better conditions than the Nakdong-Gang. It also analyzed the effect of the Oncheon-Chen flow through the underground waterway on the Suyeong-Gang when it was transferred to the Hoedong-Reservoir. It was analyzed that the flood reduction rate at the flood risk points set up in this study was reduced by 24.64% on average when the underground waterway was installed, and the inflow of the water into the Suyeong-Gang increased by 1% on average when the flow rate was excluded by the Suyeong-Gang.", "abstract": "부산지역의 연평균 강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 소재 온천천의 경우는 자주 상습침수가 발생하였다. 온천천의 지형적 특징으로 중·하류부는 비교적 평탄하며 도심지가 발달하였다. 따라서 이상호우 시 하천 범람이 잦고 침수피해가 크기 때문에 이상호우 시 온천천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천천의 홍수저감 대책으로 동쪽에 위치한 회동저수지로 지하수로를 구축하였으며 EPA-SWMM으로 모의 분석하였다. 유역구성 시 필요한 정보들은 GIS를 활용하였다. 수영강 중류부에 회동저수지가 있으며 댐이 설치되어있다. 지하수로를 구축하여 온천천의 침수저감률을 분석하였으며 지하수로를 통한 온천천의 유량이 회동저수지로 넘어갔을 시 수영강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침수위험지점에 대한 침수저감률은 지하수로를 설치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24.64%가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수영강으로 유량 배제 시 수영강에는 평균적으로 1% 유입량이 늘어났기 때문에 밀집한 도심지의 경우에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상당히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하수로의 효용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id": "JAKO20211123674463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633.pdf", "abstract_en": "Sewage separation which often involves installing a new pipe to separate wastewater flow from stormwater runoff flow can be costly and depends highly on its feasibility in a site. To be able to develop a potentially more economical alternative that can also lessen major road traffic disturbance during this process, a different approach where a smaller sewage separator pipe is installed inside an existing combined sewer pipe was investigated. A small-scale of a box sewer and the proposed sewage separator pipe was constructed in the laboratory to observe and compare the deposition of solids and other solid-associated major pollutants at different flow rates. In addition, three-dimensional flow simulations considering five different scenarios were conducted using Ansys Fluent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proposed sewage separator pipe to the hydraulic flow if installed inside the combined sewer pipe. Results revealed that the deposition of TSS, TCOD, TN, and TP were reduced by at least 60% when the wastewater was conveyed by the sewage separator pipe instead of the combined sewer pipe. Moreover, the flow simulations conducted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to no major disturbance in hydraulic flow and velocity distribution when the sewage separator was installed inside a straight pipe and even at pipe transitions such as intersections, turns, and drop in elevation. Considering the pipe dimension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promising in terms of reduction in pollutant deposition without a major effect on the hydraulic flow. Further investigation and cost-analysis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to support these preliminary findings and help alleviate the problems caused by combined sewer overflows by introducing an alternative approach.", "abstract": "유역으로부터 발생되는 강우유출수가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우수전용관을 설치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수반되며 현장 시공여건에 따라 대단히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 및 도로 여건상 시공이 어려운 곳에 경제적인 접근방법으로 기존의 하수관거에 별도의 하수분리관을 설치하는 단순하면서 혁신적인 방안에 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실험실 규모의 하수관거 실험장치를 통하여 얻은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관거를 하수 및 우수전용 공간으로 분리할 경우 관내유속을 증가시켜TSS, TCOD, TN, TP 퇴적율을 각각 74-88%, 79-90%, 75%, and 67-9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차원 수리유동 모의결과 하수분리관의 설치가 직선구간, 접속구간, 곡선 및 낙차구간에서 하수의 흐름 및 유속분포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접속구간에 분리관을 설치할 경우 접속면 지역은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운동에너지에 의한 구조물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곡선부에서 분리관은 곡선부의 안쪽보다는 외곽쪽에 설치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정 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폭 3 m 제원을 갖는 하수관거에는 약 0.4 m × 0.4 m 분리관 설치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123674462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629.pdf", "abstract_en": "Active stormwater management is essential to minimize the impact of urban development and improve the hydrological cycle system. In recent years, the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for urban stormwater managemen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reasonable alternative.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is actively used in urban hydrological cycle improvement projects as it provides simulation functions for various GI (Green Infra) facilities through its LID module. However, in order to simulate GI facilities using SWMM,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etting up complex watersheds and deploying GI facilities. In this study, a model that can evaluate the performance of GI facilities is proposed while implementing the core hydrological process of GI facilities. Since the proposed model operates based on hydrological routing, it can not only reflect the infiltration, storage, and evapotranspiration of GI facilities, but als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 of improving urban hydrological cycle by GI facilitie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oposed model with the results of SWMM. In addition, a discussion of errors occurring in the SWMM's permeable pavement system simulation is included.", "abstract": "도시 개발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물 순환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강우유출수 관리가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도시의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합리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Storm Water Management Model(SWMM)은 LID 모듈을 통해 다양한 GI(Green Infra) 시설에 대한 모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도시 물순환 개선 사업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SWMM을 이용하여 GI 시설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유역 설정과 GI 시설 배치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GI 시설의 핵심적인 수문 프로세스를 구현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GI 시설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이 제안된다. 제안된 모형은 수문학적 추적을 기반으로 작동되므로 GI 시설의 침투, 저류, 증발산을 모두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GI 시설에 의한 도시 물순환 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안된 모형의 결과와 SWMM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더붙여서 SWMM의 투수성 포장 모의에서 발생되는 오류에 대한 논의가 포함된다."} {"id": "JAKO20211123674462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625.pdf", "abstract_en": "As the impermeable area increases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influence of non-point pollutants caused by rainfall runoff on the water system is increasing. In the past,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BMP) were used a lot to manage non-point pollutants, but recently, technology that naturally treats them through LID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is widely used. In this study, various rainfall events were simulated through the SWMM model based on the data of rainfall monitoring in bioretention among natural facilities. The characteristic of LID modeling research is that it is difficult to build accurate modeling data with short-term data because real data is the result obtained through natural facilities, an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n accurate model. In this study, the data monitored for 3 year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built a precise model. The actual data monitored a total of 18 times was simulated, and the inflow and outflow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five pollutants were simulate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st of the 7 items showed excellent indicators, and the TN and TP showed relatively low simulation performanc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introduce an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water supply system and the sewage system are substantially integrated and operat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itial stage of rainfall management in the futur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and the extent of rainfall runoff reduction and pollutant reduction in the expected installation area can be predicted in advance. This is expected to prevent overdesign of bioretention.", "abstract":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불투수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강우유출에 의한 비점오염원이 수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과거에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위해 장치형 시설(BMP)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 LID(Low Impact Development)기술을 통해 자연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시설 중 식생체류지에서의 강우 모니터링을 실시한 데이터를 토대로 SWMM 모델을 통해 다양한 강우사상을 모의하였다. LID 모델링 연구의 특징으로 실데이터가 자연시설을 통해 얻은 결과이기 때문에 단기간 데이터로는 정확한 모델링 자료를 구축하기 어려워 정확한 모델을 구현하기가 힘들다는 특징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3년간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통해 정밀한 모델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총 18회 모니터링한 실데이터를 모의하였으며, 유입량과 유출량, 오염물질 5개항목의 제거효율을 모의하였다. 성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7개 항목 대부분이 우수한 지표를 나타내었으며, 상대적으로 TN과 TP 항목이 모의성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는 우리나라도 상수도 시스템과 하수도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통합되어 운영되는 통합물관리 시스템이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미래형 통합물관리시스템에서 강우를 초기에 관리하는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설치예상지역의 강우유출저감 및 오염물질 저감 정도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생체류지의 과다설계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123674461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613.pdf", "abstract_en": "Urban stormwater runoff contains heavy metals that accumulate in on-site treatment systems, thus resulting to facility deterioration and maintenance problem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ies that promote natural materials circulation are widely used. LID facilities are capable of treating heavy metals in the runoff by means of plant uptake; however, the uptake or phytoremediation capabilities of plants have not been studied extensively, making it difficult to select the most suitable plant species for a certain LID desig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egetative components of an LID facility, roadside plants, and plants in landscape areas with different heavy metal exposure and frequency to determine the uptake capabilities of different plant species. The plants harvested inside the LID facilities and roadsides with high vehicular traffic exhibited greater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ir tissues as compared with the plants in landscape areas. Generally, the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the plant tissues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e. influent water quality, air pollution level, etc.). Dianthus, Metasequoia, Rhododendron lateritium, and Mugwort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removing Zn in the urban stormwater runoff. Additionally, Dianthus, Metasequoia, Mugwort, and Ginkgo Biloba exhibited excellent removal of Cu. Cherry Tree, Metasequoia, and mugwort efficiently removed Pb, whereas Dianthus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As, Cr, and Cd in stormwater. Overall, different plant species showed varying heavy metal uptake cap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in selecting suitable plant species for removing heavy metals in the runoff from different land use types.", "abstract": "도시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중금속은 저감시설 내에 축적되면서 기능저하와 유지관리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적 물질순환과정을 가진 LID 시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LID 시설로 유입된 중금속은 식물흡입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식물별 중금속 흡수율이 규명되지 못하여 LID 설계시 식물 종 선정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금속 노출빈도가 다른 LID 시설 내부, 도로변 식물 및 조경공간 식물을 상호비교하여 식물에 의한 중금속 제거특성을 연구하였다. 차량 활동과 접촉빈도가 높은 LID 및 도로변에 식재된 식물류(초본류, 관목류, 교목류)의 체내 중금속 함량은 조경공간 식재 식물체보다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의 체내 축적은 주변환경(유입수 성상, 주변 대기오염 정도 등)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강우유출수에 높은 농도로 함유된 Zn 제거에는 패랭이, 메타세콰이어, 영산홍, 쑥 등이 적정하며, Cu 제거에는 패랭이, 메타세콰이어, 쑥 및 은행나무가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b 제거에는 벚꽃나무, 메타세콰이어 및 조팝나무가 적정하며, As, Cr 및 Cd 제거에는 패랭이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식물별 중금속 흡입능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다양한 토지이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중금속 제거를 위한 식물 종 선정에 활용될 수 있다."} {"id": "JAKO20211123674460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609.pdf", "abstract_en": "The application of nature-based solutions, such as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and green infrastructures, for stormwater management continue to increase in urban areas. Plants are usually utilized in LID facilities to improve their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through phytoremediation. Plants can also reduce maintenance costs and frequency by means of reducing the accumulation of pollutants inside the facility. Plants have long been used in different LID facilities; however, proper plant-selection should be considered since different species tend to exhibit varying pollutant uptake cap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llutant uptake capabilities of plants by comparing the dry matter and nutrient contents of different plant species in roadsides, LID facilities, and landscape areas. The dry matter content of the seven herbaceous plants, shrubs, and arboreal trees ranged from 60% to 90%. In terms of nutrient content, the total nitrogen (TN) concentration in the tissues of herbaceous plants continued to increase until the summer season, but gradually decreased in the succeeding periods. TN concentrations in shrubs and trees were observed to be high from early spring up to the late summer seasons. All plant samples collected from the LID facility exhibited high TP content, indicating that the vegetative components of LID systems are efficient in removing phosphorus. Overall, the nutrient content of different plant species was found to be highly influenced by the urban environment which affected the stormwater runoff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beneficial for establishing plant selection criteria for LID facilities.", "abstract": "도시지역의 강우유출수를 관리하기 위하여 자연기반해법의 LID 및 그린인프라 적용이 늘고 있다. 식물이 LID 시설에 적용되는 이유는 광합성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높이고, 시설 내부 오염물질 축적을 줄여 유지관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LID 시설 내부에서 작용하는 식물의 오염물질 흡입능력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식재 선정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변, LID 시설 및 조경공간에 식재되어있는 식물의 건물률 및 영양물질 함량을 비교하여 오염물질 제거기작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대상인 7종의 초본류, 관목류 및 교목류의 월별 건물률은 60~90% 범위를 보였다. 초본류 몸체 내 TN 함량은 여름철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관목류와 교목류는 초봄과 늦여름에 높은 TN 함량을 보였다. 패랭이를 제외한 LID 시설에 식재된 모든 식물에서 높은 TP 함량을 보였다. 이는 LID의 식물이 인 제거에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식물별 영양염류 함량은 유입수 농도에 영향을 끼치는 도시환경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LID 적용 시 식생 선정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123635038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389.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locations of vertiports were selected and evaluated to operate urban air mobility (UAM)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em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the survey of commuting population and were marked on a map using MATLAB. To cluster the data, the K-means algorithm function built in MATLAB was used to identify the center of the cluster to as the location of vertiports, and using the silhouette techniqu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clustering were evaluated. The locations of the selected vertiports were also identified using satellite maps to ensure that the locations of the selected vertiports were suitable for the actual vertiport location, and, if the location was not appropriate, final vertiports were selected through the repositioning proces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도심항공 모빌리티(UAM)를 우리나라 수도권에서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수직이착륙장의 위치를 선정하고 평가하였다. 통근통학 인구수 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수요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MATLAB을 이용해 지도상에 표현하였다. 또한 데이터들을 군집화하기 위해 MATLAB에 내장되어있는 K 평균 알고리즘 함수를 이용해 수직이착륙장의 위치로 선정할 군집의 중심을 파악하였으며, 실루엣 기법을 이용해 군집화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선정된 수직이착륙장의 위치가 실제 수직이착륙장 설치에 적합한지 위성 지도를 이용해 확인하였으며, 그 위치가 설치 불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위치 조정 과정을 통해 최종 수직이착륙장의 위치를 선정하였다."} {"id": "JAKO20211123635042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28.pdf", "abstract_en": "This paper presents a machine learning model that predicts stroke risks in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using public big data. As the training data, 68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demographic, medical history, health examination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o predict stroke incidenc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we applied deep neural network. We firstly verify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statistical models (CHADS2, CHA2DS2-VASc). Then we compared proposed model with the statistical models for various hyperparameters. Accuracy an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UROC) were mainly used as indicators for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the model using batch normalization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which record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statistical model.", "abstract": "본 논문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발병을 예측하는 기계 학습 모델을 제시한다. 학습 데이터로는 국민 건강 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대한민국 전수에 해당하는 심방세동 환자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보는 인구사회학, 과거 병력, 건강검진을 포함한 68개 독립변수로 구성된다. 본 연구의 목표는 기존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위험도 예측에 사용되던 통계적 모델 (CHADS2, CHA2DS2-VASc)의 성능을 검증하고 기계 학습 모델을 적용하여 기존 모델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안하는 모델의 정확도, AUROC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를 검증한 결과 제안하는 기계 학습 기반의 모형이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위험도를 사용한 모델이 기존의 통계적 모델보다 높은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123635040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01.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the design requirements was produce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site required to operate the urban air mobility (UAM) system in Korea and the size of the take-off and landing pads were defined, and the configuration of vertiport was proposed. First, for the metropolitan area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pilot locations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site were selected based on the demonstration route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tion and determined the number of possible installations of vertiport by measuring each site. After that, variable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rea were set, and the hourly, daily, monthly aircraft operating cycle, the number of acceptable people, and efficiency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multaneous operation and the number of stand. Finally, using CATIA, the configurations of the virtual vertiport was created by applying the design requirement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시스템을 국내에서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국내외 규정을 분석하여 수직이착륙장의 설계 요구 조건을 도출하고 이착륙 패드의 크기를 규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직이착륙장 형상을 제안하였다. 먼저,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도권에 대해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실증노선을 기준으로 수직이착륙장의 시범 위치를 선정하고 각 위치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크기를 측정하여 수직이착륙장의 설치 가능 수를 파악하였다. 이후 수직이착륙장 운영에 필요한 변수들을 설정하여 동시운용과 주기장 수에 따른 시간당, 하루, 한 달 동안의 항공기 운용 가능 대수, 수용 가능 인원, 효율성 등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CATIA를 사용하여 가상의 수직이착륙장 형상을 설계요구조건을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id": "JAKO20211123635038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385.pdf", "abstract_en": "Detect and avoid (DAA) system, which is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UAS, detects intruding aircraft and offers the ranges of turn and climb/descent maneuver that are required to avoid the intruder. This paper uses detect and avoid alerting logic for unmanned systems (DAIDALUS) developed at NASA as a DAA algorithm. Since DAIDALUS offers ranges of avoidance maneuvers, the actual avoidance maneuver must be decided by the UAS pilot as well as the timing and method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route. It can be readily used in real-time human-in-the-loop (HiTL) simulations where a human pilot is making the decision, but a pilot decision model is required in fast-time simulations that proceed without human pilot intervention. This paper proposes a pilot decision model that maneuvers the aircraft based on the DAIDALUS avoidance maneuver range. A series of tests were conducted using test vectors from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aeronautics (RTCA) minimum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 (MOPS). The alert levels differed by the types of encounters, but loss of well clear (LoWC) was avoided. This model will be useful in fast-time simulation of high-volume traffic involving UAS.", "abstract": "무인항공기의 운항에 필수적인 탐지 회피 시스템은 침입기를 감지하여 위험을 벗어나는 데에 필요한 선회 또는 상승/하강 기동의 범위를 제시하여 준다. 본 연구에서는 탐지 회피 알고리즘으로 NASA에서 개발한 DAIDALUS (detect and avoid alerting logic for unmanned systems)를 활용하였다. DAIDALUS는 회피 기동의 범위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실제로 기동의 정도와 방향, 그리고 회피 후 원래 경로나 임무로 복귀하는 시점은 무인항공기 조종사의 결정 사항이다. 이는 실제로 조종사가 개입하는 실시간 HiTL(human-in-the loop) 시뮬레이션에서는 유용하나, 조종사의 개입 없이 시뮬레이션을 진행해야 하는 배속 시뮬레이션에서는 조종사의 의사결정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AIDALUS 결과를 바탕으로 기동하는 조종사의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RTCA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aeronautics) MOPS (minimum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에서 제시하는 표준 조우 벡터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조우 형상에 따라 최대 위험도가 달라지지만, loss of well clear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모델은 무인항공기가 포함된 대규모 교통량에 대한 배속 시뮬레이션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123635039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397.pdf", "abstract_en": "As a means of solving traffic congestion in the downtown of large city, the interest in urban air mobility (UAM) using electric vertical take-off landing personal aerial vehicle (eVTOL PAV) is increasing. eVTOL configurations that will be used for UAM are classified by lift-and-cruise, tilt rotors, tilt-wings, tilted-ducted fans, multicopters, depending on propulsion types. This study tries to perform preliminary conceptual design for a given mission profile using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s by taking the multicopter type Airbus's CityAirbus as a basic model. Wetted area, lift to drag ratio, drag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using the OpenVSP which is an aerodynamic analysis software. The power required for each mission section of CityAirbus were calculated, and the corresponding battery and motor were selected. Also, total weight was predicted by estimating component weights of eVTOL.", "abstract": "대도시 도심의 교통 정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전기수직이착륙 개인항공기(eVTOL PAV)를 활용한 도심항공 모빌리티(UAM)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도심항공 모빌리티에 사용할 비행체인 eVTOL은 추진방식에 따라 복합형, 틸트 로터형, 틸트 날개형, 틸트 덕티드 팬형, 멀티콥터형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콥터형인 에어버스사의 시티에어버스를 기본 모델로 주어진 임무 형상에 맞게 역설계 기법을 사용하여 기본 개념설계를 수행하였다. 공력해석 프로그램인 OpenVSP를 사용하여 표면적과 양항비, 항력계수를 계산하였다. 각 임무 구간별 소요되는 동력을 계산하였고, 그에 맞는 배터리와 모터를 비교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eVTOL 구성품별 중량을 추정하여 전체 총 중량을 예측하였다."} {"id": "JAKO20211546300872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008721.pdf", "abstract_en": "The optical space surveillance systems are used for image capture and location tracking of space objects including satellites. Such an optical space surveillance systems have the advantage of capable of capturing high-level satellite images, but have a disadvantage in that its location tracking performance is lower than that of laser or radar space surveillance system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improve the location tracking performance of the satellite by reducing the location tracking error of the optical space surveillance systems. In this method, two Kalman filters were used to model the constant velocity circular motion and the acceleration motion, and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by applying them to the data of the optical space surveillance systems.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shows an average of 17.34% improvement in performance.", "abstract": "광학 우주감시체계는 인공위성 등을 포함한 우주물체의 영상촬영 및 위치추적에 사용된다. 이러한 광학 우주감시체계는 높은 고도의 인공위성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레이저나 레이다 우주감시체계에 비해 위치추적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광학 우주감시체계의 위치추적 오차를 줄여 인공위성의 위치추적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은 칼만필터를 2개 활용하여 등속원운동 및 가속운동을 모델링하였고, 광학 우주감시체계의 데이터에 이를 적용하여 성능을 개선하였다.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을 적용했을 때 평균 17.34%의 성능향상이 있었다."} {"id": "JAKO20211975936880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68806.pdf", "abstract_en":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to analyze the interference of maritime traffic control radar by wind turbines installed in the sea, and the interference result of the maritime traffic control radars by a small number of wind turbines installed in sea near Gunsan port (Gunsan vessel traffic services). A ray based electromagnetic analysis software is used to analyze the interference.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p containing altitude data, drawing of wind turbines, and sea with waves are imported to the software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terrain and the wind turbines. According to the analysis, a small number of wind turbines, not large scale wind farms, has no severe impact on the operation of the rada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해상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에 의한 해상 관제 레이더의 간섭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군산항 인근 해역에 설치되는 소수의 풍력발전기에 의한 해상 관제 레이더의 간섭 여부를 분석하였다. 레이더 간섭 분석은 ray 기반의 전자기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수치지형도, 풍력발전기 도면 및 파도를 포함하는 해수면을 전자기 해석 프로그램에 맞게 변환하여 주변 지형과 풍력발전기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대규모 풍력발전단지가 아닌 소수의 풍력발전기의 설치는 해상 관제 레이더의 운용에 심각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id": "JAKO20211975937080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70806.pdf", "abstract_en":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implementing an unequal power divider for high splitting ratios by using transmission lines connected with open and short stubs. The proposed method is an equivalent circuit analysis of a transmission line with an additional port so that it can be converted to an arbitrary impedance in the center of a 2-port transmission line and a 3-port transmission line with an open or short stub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port. To prove the validity of this method, a Wilkinson power divider with k = 20 dB splitting ratio and a Gysel power divider with k = 17 dB splitting ratio were designed at a center frequency of 1 GHz using a 3-port transmission line equivalent circuit.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simulation.", "abstract": "본 논문은 단락 또는 단선 스터브가 연결된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높은 분배 비율을 갖는 비대칭 전력 분배기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2포트 전송선로 중앙에 임의의 임피던스로 변환할 수 있도록 별도의 포트를 추가한 3포트 전송선로와 단선 또는 단락 스터브가 각 포트에 병렬로 연결된 3포트 전송선로를 등가회로로 보고 회로를 해석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분배 비율 k = 20 dB를 갖는 윌킨슨 전력분배기와 k = 17 dB를 갖는 Gysel 전력분배기를 3포트 전송선로 등가회로를 이용하여 중심주파수 1 GHz에서 설계하였으며, 전기적 특성의 실험 결과는 시뮬레이션과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975936280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62804.pdf", "abstract_en": "The system needs to be modif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ircraft in operation or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related laws. Appropriate standards are required for the technical skills for remodeling the aircraft system, design verification for airworthiness of the aircraft, and supplemental type certification (STC) certification procedures for type certifi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demand of domestic aircraft remodeling, examines the current supplementary type certification procedure, and diagnoses the problem.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searching measures to improve remodeling technology and certification capabilities to extend the life of the aircraft, improvements in the education system were derived to improve the domestic additional type certification process, such as approval of remodeling agencies and appointment of qualifications for each professional technician.", "abstract": "항공기의 성능 개선이나 관련 법규의 요건 만족을 위해 항공기 시스템 개조는 필요하다. 이러한 개조를 위해 기술력이나 항공기의 감항성을 위한 설계 검증, 형식 증명에 대한 부가형식증명(STC)의 인증 절차는 적절한 표준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 항공기 개조 현황과 수요를 분석하고 현재의 부가형식증명 절차를 검토하여 그 문제점을 진단한다. 또한 늘어난 항공기의 수명에 대하여 개조기술 및 인증 능력 향상방안을 연구한 결과 개조 조직의 인가와 분야별 전문 엔지니어 자격 임명 그리고 교육 체계 개선이 요구되었고 국내 부가형식증명 절차의 개선을 도출하였다."} {"id": "JAKO20211975936480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64805.pdf", "abstract_en": "This paper proposes an assessment method using probability-based index for safe and successful underwater docking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AUVs) to the docking stations(DSs). The proposed method assesses the probability of docking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state of the AUV is consistent with the state criteria for docking. The assessment is performed within a specific area considering the kinematic constraints and docking plans of the AUV. The assessment process is defin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calculating probabilities for reaching 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to position and heading criteria, and computing the probability-based index in real-time. We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data acquired on operation test.", "abstract": "본 논문은 무인잠수정을 도킹스테이션에 성공적으로 안전하게 도킹시키기 위해 확률 기반 평가지표를 설계하여 수중 도킹 과정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무인잠수정 상태와 수중 도킹을 위한 상태 기준의 일치 정도에 따른 도킹 성공 가능성을 확률로써 평가하는 방법이다. 평가는 무인잠수정의 기구학적 구속조건과 도킹 계획을 고려해 정의된 영역 내부에서 수행한다. 평가 과정은 확률밀도함수의 정의, 위치와 방향각 기준과의 차이에 따른 도킹스테이션 도달확률 계산, 확률지표의 산출 순서이며,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중 도킹 과정을 평가한다. 수조실험을 통해 획득한 무인잠수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안하는 평가지표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id": "JAKO20211546313279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32791.pdf", "abstract_en": "Recently, applications that acquire additional information by taking a quick response (QR) code photo with a smart-phone camera is widely used. The QR codes can contain a lot of information, but in order to recognize a QR code, we need to take a photo so that all four corners of the code are cover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propose a method to embed a sequence of code bits to a digital image and detect from the captured image of its photos. The proposed scheme embed the code in the frequency domain so that the code is not lost despite severe image degradation issued during the print-camera process. The conventional frequency-domain approaches usually embed only 1~2 bits, however we designed to be able to contain 16 bits. In particular, we additionally embed alignment bits as well as code bits to facilitate the decoding process. In our experiments, we achieved an average accuracy of 95.2% for images partially captured under random rotation. This corresponds to only 0.76 bits in terms of the average number of error bits.", "abstract": "최근 스마트폰 카메라로 QR (quick response) 코드사진을 촬영하여 추가 정보를 얻는 응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QR 코드는 대용량 정보를 탑재할 수 있으나, 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코드의 네 모서리가 모두 포함되도록 촬영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디지털 영상에 코드 비트열을 탑재하고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프린트-캡처과정에서 발행하는 심한 영상 훼손에도 불구하고 탑재된 코드가 손실되지 않도록 주파수 도메인에 코드를 탑재한다. 기존의 주파수 도메인 탑재 방법은 탑재 비트수가 1~2비트 수준이나 본 논문에서는 16비트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특히, 코드 비트열 외에 정렬 비트를 추가로 탑재하여 복호화 과정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연구실에서 수집한 영상에 대한 실험에서 임의 회전 하에서 일부만 촬영된 영상에 대해서도 평균 인식률 95.2%를 달성하였다. 이것은 평균 오류 비트의 수로 따지면 0.76개에 불과하다."} {"id": "JAKO20211975937280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72806.pdf", "abstract_en": "Major countries in space field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Russia have not only general ground-based space capabilities, but also maritime-based space capabilities. Maritime-based space systems include a maritime-based space surveillance system, a maritime-based space launch vehicle, and a maritime-based 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these maritime-based systems complement the ground-based space system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maritime-based space capabilities of major countries, and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for south Korea's maritime-based space capabilities. The maritime-based space system is essential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which has three sides of the ocean, and it is considered an one of important strategic element to become the seven major country in the space field.", "abstract":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우주 선진국들은 일반적인 지상기반의 우주능력뿐만 아니라 해상기반의 우주능력도 보유하고 있다. 해상기반 우주시스템에는 해상기반 우주감시시스템, 해상기반 우주발사체, 해상기반 우주정보 송·수신 시스템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해상기반의 시스템들은 지상기반의 우주시스템들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요국가의 해상기반 우주능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해상기반 우주능력의 발전방향을 제안한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상 해상기반의 우주시스템은 필수적이며, 우주분야 7대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적 요소라고 판단된다."} {"id": "JAKO20211546313879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38794.pdf", "abstract_en": "This study proposed a system that manages parking spaces for the disabled, this will lead to the promotion of welfare for those who are disabled by using deep learning and cloud platforms. Deep learning used you only look once (YOLO) for license plate detection concerning car images in parking areas,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as used for license plate character recognition from extracted numbers and text images. This system can be managed in real time, and it has been simplified so that it can be managed only with video. In addition, it is recognized and accurate by increasing the recognition rate of Korean characters compared to the exist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and it has the advantage of scalability in the management area by enabling parking management but only if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is installed. This system requires a study to increase the accurate license plate recognition rate. This is an important factor, and a continuous study on the processing speed problem to execute YOLO and CNN algorithms in a somewhat low performance raspberry environment.", "abstract": "본 연구는 딥러닝과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한 장애인 주차 공간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딥러닝은 주차 영역의 자동차 영상에서 번호판 검출을 위하여 YOLO (you only look once)를 사용하였으며, 추출된 숫자 및 문자 영상에서 번호판 문자 인식을 위하여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사용하였다. 본 시스템은 실시간 관리가 가능하고, 동영상만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간소화하였다. 또한 기존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보다 한글 문자 인식률을 높임으로서 안정성 및 정확성이 있으며,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만 설치하면 주차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관리 영역의 확장성의 특장점을 가진다. 본 시스템은 기징 중요한 요소인 정확한 번호판 인식률을 높이는 연구와 다소 성능이 낮은 라즈베리 파이 환경에서 YOLO와 CNN 알고리즘 등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속도 문재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id": "JAKO20211546317481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74814.pdf", "abstract_en":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commends maintaining a positioning accuracy of global satellite navigation system (GNSS) within the range of 10 cm and monitoring its integrity. In order to provide the positioning accuracy of 10 cm or better, high-precision correction information must be used based on the carrier phase of the satellite signal. Furthermore, in order to monitor the integrity of this, the errors should be overbound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correc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GNSS integrity monitoring methods in high-precision position service currently in operation. The integrity monitoring technique of the 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WAAS) of the U.S. is studied. As a conclusion, we propose the integrity monitoring method of Korean high-precision GNSS service in maritime area.", "abstract": "육상에서 자율주행차량이 본격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해상에서도 자율주행선박에 대한 국제적 논의가 계속되고 있고,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해 10 cm 이하의 위치 정확도를 무결성 감시 기능과 함께 보장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10 cm 이하의 위치 정확도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성신호의 반송파를 기반으로 고정밀 보정정보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이에 대한 무결성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각 보정정보 생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overbounding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운용되고 있는 고정밀 위성항법서비스 무결성 감시 방안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미국에서 운용 중인 위성 기반의 광역보강시스템(WAAS; wide area augmentation system)의 무결성 감시기법을 분석하고, 해양 지역에서의 고정밀 위성항법서비스의 무결성 감시 방안을 도출하였다."} {"id": "JAKO20211546310777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07777.pdf", "abstract_e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2019 Safety Report, one accident involving hard landing has caused 41 deaths. The accident was analyzed to be caused by the pilots' final judgement of making a forced the landing in unstabilized conditions. The factors leading to hard landings are unstabilized approach, misjudged flare, inappropriate planning, unexpected change in weather etc. This research aimed to look into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hard landings by utilizing the quick access recorder (QAR) data of 24 recorded hard landing incidents of B777, such as descent rate, flight path angle, threshold passing altitude, initial flare altitude etc. The main causual factors were derived to be low vertical path and late flare. In order to promote proactive an precautionary measures, stabilized approach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continuous monitor of flight path angle below 200 ft to maintain proper vertical path.", "abstract": "2019년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siation) 보고에 따르면 하드랜딩 사고 1건으로 인해 승객 41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는 항공기의 불안정한 접근 상태에서 무리하게 착륙을 시도하여 발생한 하드랜딩 사고로 파악되었다. 하드랜딩의 주요 원인으로 불안정한 접근, 조종사의 플레어(flare) 실수, 잘못된 계획, 갑작스러운 기상 변화 등의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QAR (quick access recorder)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국내 항공사의 B777 기종에서 발생한 24건의 하드랜딩 이벤트를 항공기 강하율(descent rate), 비행 강하각 (flight path angle), 활주로 시단 통과 고도 (threshold passing altitude), 초기 플래어 고도 (initial flare altitude) 등의 분석을 통해, 하드랜딩의 원인이 항공기 접지 전 낮은 비행경로 (low vertical path)와 조종사의 적절지 못한 플래어 시기(late flare)로 식별하였다. 이에 하드랜딩 이벤트 경감 및 항행 안전 증진 방안으로 항공기의 안정된 접근(stabilized approach) 과 특히 200ft 이하의 고도에서 착륙 시까지 항공기의 낮은 비행경로가 되지않도록, 일정한 강하 각 유지를 위한 조종사의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d": "JAKO20211123635042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20.pdf", "abstract_en": "The alternative method for symmetric configuration in optical link consisted of dispersion management and optical phase conjugation for compensating of the distorted optical signals due to chromatic dispersion and nonlinear effects of standard single mode fiber is proposed. The symmetric configuration means number of fiber spans, dispersion distribution in former half section and latter half section, etc should be symmetrical about optical phase conjugator. In dispersion-managed proposed in this research, optical phase conjugator is located after former half section consisted of 6 fiber spans and before latter half section of 14 fiber spans, and the averaged residual dispersion per span (RDPS) of each half section are consistence. The compensation effects of the distorted signals in the proposed link is analyzed by comparing with the results obtained in dispersion-managed link with the unequally averaged RDPS of each half section.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RDPS deviation between adjacent fiber span has a grater effect on the compensation than the equivalent of the averaged RDPS.", "abstract": "표준 단일 모드 광섬유가 가지는 색 분산과 비선형 현상에 의한 광 신호 왜곡을 보상할 수 있는 분산 제어와 광 위상 공액이 결합된 링크의 한계인 대칭적 구조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대칭적 구조는 전반 전송 구간과 후반 전송 구간의 중계 구간수, 분산 분포 등등이 광 위상 공액기를 중심으로 대칭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분산 제어 링크는 광 위상 공액기가 전반의 6개 중계 구간과 후반의 14개 사이에 존재하고, 각 전송 반 구간에서의 평균 중계 구간 당 잉여 분산 (RDPS; residual dispersion per span)이 서로 동일한 구조이다. 제안된 분산 제어 링크에서의 광 신호 왜곡 보상 효과의 분석은 평균 RDPS가 각 전송 반 구간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링크에서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시뮬레이션 결과 전송 반 구간 사이의 RDPS 평균값의 동일 여부보다 인접한 중계 구간 간 RDPS 편차가 보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인하였다."} {"id": "JAKO20211546309577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095771.pdf", "abstract_en": "Object tracking is a technique of signal processing that estimates objects locations based on past locations and present time observed data. While, Kalman filter and particle filter are among the most notable object tracking schemes, these filters need to know the system model to achieve optimal performance. The recursive neural network (RNN) with a feedback loop added to the perceptron neural network can be used for object tracking. Also, RNN evolved into long-short term memory (LSTM) that solved the long-term dependence problem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in order to study the tracking performance of LSTM, we consider a simple problem of one-dimensional object tracking, and compare the tracking performance with Kalman and particle filters. In order to test the tracking performance in diverse observation environments, various noise models such as Gaussian, Laplace, exponential, and uniformly distributed noises are considered. Under the various circumstances, we observe that LSTM neural network achieves fairly stable performance without knowing the system model.", "abstract": "객체추적은 객체의 위치변화를 찾는 것으로, 이전시간의 객체의 위치와 주어진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신호처리의 한 분야이다. 객체추적 기법에는 대표적으로 칼만필터와 파티클필터가 있는데, 두 필터 모두 시스템 모델을 알고 있어야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 퍼셉트론 신경망에 피드백 루프를 추가한 재귀신경망은 데이터의 시계열적 상관관계를 활용할 수 있어 객체 추적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장기의존성 문제를 해결한 LSTM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LSTM의 추적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1차원 객체 추적이라는 공통의 문제를 설정하고, 칼만필터, 파티클필터와의 추적 성능을 비교한다. 보다 다양한 관측 환경에서의 추적 성능 비교검증을 위하여 가우시안 잡음 외에도 라플라스, 지수, 균등 분포의 잡음이 있는 경우도 상정하였다. 그 결과 LSTM 신경망은 시스템 모델이 주어지지 않고, 학습데이터만으로 학습을 하여 안정적인 성능을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123635042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24.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the design method for a high-sensitivity compact resonator for chipless RFID tags is proposed. Proposed high-sensitivity compact resonator uses an interdigital-capacitor structure instead of a capacitor-shaped strip structure in a conventional ELC resonator. The length of the electrode plate of the IDC structure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apacitor-shaped structure, resulting in a larger equivalent capacitance of the resonator. This can lower the resonant peak frequency of the RCS characteristic. Two resonators with the same length of the square loop and the width of the strip are fabricated on an RF-301 substrate with a thickness of 0.8 mm.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resonant peak frequency and value of the bistatic RCS for the ELC resonator were 4.305 GHz and -30.39 dBsm, whereas those of the proposed IDC resonator were 3.295 GHz and -36.91 dBsm. Therefore, the size of the resonator is reduced by 23.5% based on the measured resonant peak frequency of the RCS characteristic.",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chiples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용 고감도 소형 공진기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고감도 소형 공진기는 기존의 전계-결합(ELC; electric field-coupled) 공진기에서 커패시터 모양의 스트립 구조 대신에 인터디지털-커패시터(IDC; interdigital-capacitor) 구조를 사용하였다. IDC 구조의 극판 길이가 기존의 커패시터 모양 구조 보다 더 길어 공진기의 등가 커패시턴스가 더 커지고, 이로 인해 레이다 단면적(RCS; radar cross section)의 공진 피크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정사각형 루프의 길이와 스트립의 폭이 같은 두 공진기를 두께 0.8 mm의 RF-301 기판에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ELC 공진기는 bistatic RCS의 공진 피크 주파수와 값은 4.305 GHz와 -30.39 dBsm이었다. 제안된 IDC 공진기의 경우 bistatic RCS의 공진 피크 주파수와 값은 3.295 GHz와 -36.91 dBsm이었다. 따라서 측정 공진 피크 주파수를 기준으로 공진기 크기가 23.5% 정도 소형화되었다."} {"id": "JAKO20211546311978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19784.pdf", "abstract_en":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air traffic controllers' perception on ASBU (aviation system block upgrade) and their acceptance and intention to use of new technologies. Based on the integrated model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it was empirically analyzed of air traffic controllers' acceptanc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proven the usefulness and self-efficacy of air traffic controller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attitude to use and intention to use. From the usefulness perspective, it was statistically proven air traffic controllers have both acceptance and intention to use new technologies. However, from the ease to use perspective, it shows ease to use has nothing to do with an attitude to use. That is, air traffic controllers perceived ASBU is useful technologies but not easy to use them.", "abstract": "본 연구는 항공교통관제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얼마나 ASBU (aviation system block upgrade)를 인지하고 있고, 신기술을 수용하고 활용할 의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기술 수용 및 활용의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수용모형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통합연구모형을 토대로 수용성을 측정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항공교통관제사들이 인식하는 신기술의 유용성 및 자기효능감은 이용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용태도는 다시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교통관제사들의 신기술 사용의도는 다시 조직 혁신성에도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ASBU 유용성 측면에서만큼은 항공교통관제사들의 신기술 수용 및 활용의도를 보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항공교통관제사들이 인식하는 용이성은 이용태도에 아무런 유의한 인과적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 말해서 현재 ASBU 용이성 측면에서, 항공교통관제사들의 신기술 수용 및 활용의도를 찾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id": "JAKO20211123635041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16.pdf", "abstract_en": "Due to rapidly increasing air traffic congestion and airspace restrictions,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is urging all aircraft to use SBAS by 2025, in order to implement Performance-based navigation to increase airspace capacity. In line with thi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orean-style SBA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airspace environment, continues in Korea. Since there is no flight inspection procedure for performance testing and verification of SBAS in Korea yet, this paper analyzes FAA, ICAO Regulations, and laws enac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o derive essential evaluations and parameters of Korean SBAS, and presents the optimal design using RTK-DGPS as a position fixing system.", "abstract": "급속도로 증가하는 항공 교통량으로 인한 공역 과밀화와 공역제한으로 인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에서는 공역 수용 증대를 위한 performance-based navigation 을 실시하기 위해 2025년 까지 모든 항공기들을 대상으로 하여 SBAS 사용을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맞춰 국내 역시 한국의 공역환경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SBAS의 연구 개발을 지속중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SBAS의 성능 시험 및 검증을 위한 비행검사 절차 및 이에 필요한 탑재장비 구성방안이 수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FAA, ICAO 규정집, 그리고 국토교통부가 제정한 법령을 분석하여 향후 수립될 한국형 SBAS의 필수 평가 사항들과 파라미터들을 도출하고, RTCA 규정집을 참고하여 RTK-DGPS 위치고정 시스템을 이용한 비행검사 최적 장비 구성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id": "JAKO20211123635043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39.pdf", "abstract_en": "Pine nuts are Korea's representative nut forest products and profitable crops. However, pine nuts are harvested by climbing the trees themselves, thus the risk is high.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harvest pine nuts using a robot or an unmanned aerial vehicle(UAV).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learning based detection method for harvesting pine nut in UAV aerial images. For this, a video was recorded in a real pine forest using UAV, and a data augmentation technique was used to supplement a small number of data. As the data for 3D detection, Unity3D was used to model the virtual pine nut and the virtual environment, and the labeling was acquired using the 3D transformation method of the coordinate system. Deep learning algorithms for detection of pine nuts distribution area and 2D and 3D detection of pine nuts objects were used DeepLabV3+, YOLOv4, and CenterNet,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detection rate of pine nuts distribution area was 82.15%, the 2D detection rate was 86.93%, and the 3D detection rate was 59.45%.", "abstract": "잣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견과류 임산물이자 수익형 작물이다. 그러나 잣송이는 사람이 직접 나무 위로 올라가 수확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로봇 또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를 이용한 잣송이 수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AV를 이용한 잣송이 수확을 위해 UAV 항공 영상에서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잣송이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UAV를 이용하여 실제 잣나무 숲에서 동영상을 촬영했으며, 적은 수의 데이터 보완을 위해 데이터 증강기법을 사용했다. 3D 검출을 위한 데이터로는 Unity3D을 이용하여 가상 잣송이 및 가상환경을 3D 모델링 하였으며 라벨링은 좌표계의 3차원 변환법을 이용해 구축했다. 잣 분포 영역 검출, 잣 객체에 대한 2D 및 3D 검출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은 DeepLabV3, YOLOv4, CenterNet을 각각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잣송이 분포 영역 검출률은 82.15%, 2D 검출률은 86.93%, 3D 검출률은 59.45%이었다."} {"id": "JAKO20211123635039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393.pdf", "abstract_en": "Recently, eVTOL, the next-generation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has been in the spotlight due to global warming along with traffic jams in large cities of many countries. This study benchmark the external features of Hyundai Motors S-A1, a compound eVTOL combined fixed and tilt rotors among many types of eVTOLs, to create the basic configuration using reverse design techniques. Basic configurations were created using CATIA and aerodynamic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aircraft design and aerodynamic analysis programs, OpenVSP, XFLR5, and the aircraft wetted area, drag, and lift were calculated after selecting the airfoil, incidence angle, and dihedral and anhedral angles through trade study. Also, required powers were estimated for completing the given mission profile and components weight and the total weight were predicted using the estimation formula and data survey.", "abstract": "최근 많은 나라 대도시의 교통체증과 더불어 지구온난화로 인해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인 eVTOL이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유형의 eVTOL 중 고정로터와 틸트로터가 결합된 복합형 eVTOL인 현대자동차 S-A1의 외부형상을 벤치마킹하여 역설계 기법을 활용하여 기본 형상을 구현하였다. CATIA를 사용하여 기본 형상을 구현한 후 항공기 설계 및 공력해석 프로그램인 OpenVSP, XFLR5를 사용하여 공력해석을 수행하였고 비교분석을 통해 익형과 붙임각, 상/하반각을 선택한 후 항공기 표면적 및 항력, 양력을 계산하였다. 또한 주어진 임무형상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 동력을 산정하고 추정식과 자료조사를 통하여 구성품과 전체 무게를 추정하였다."} {"id": "JAKO20211123635041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1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a GPS/MEMS IMU integrated navigation receiver module capable of operating in a high dynamic environment is designed and fabricated, and the results is confirmed. The designed module is composed of RF receiver unit, inertial measurement unit, signal processing unit, correlator, and navigation S/W. The RF receiver performs the functions of low noise amplification, frequency conversion, filtering, and automatic gain control.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collects measurement data from a MEMS class IMU applied with a 3-axis gyroscope, accelerometer, and geomagnetic sensor. In addition, it provides an interface to transmit to the navigation S/W.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correlator is implemented with FPGA logic to perform filtering and corrrelation value calculation. Navigation S/W is implemented using the internal CPU of the FPGA. The size of the manufactured module is 95.0×85.0×.12.5mm, the weight is 110g, and the navigation accuracy performance within the specification is confirmed in an environment of 1200m/s and acceleration of 10g.",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높은 동특성 환경에서 동작이 가능한 GPS/MEMS IMU 통합항법 수신모듈을 설계 및 제작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설계한 모듈은 RF 수신부, 관성측정부, 신호처리부, 상관기, 항법 S/W로 구성된다. RF 수신부는 저잡음증폭, 주파수 변환, 필터링, 자동이득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관성측정부는 3축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지자기센서가 적용된 MEMS급 IMU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항법S/W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신호처리부 및 상관기는 FPGA 로직으로 구현하여 필터링 및 상관 값 계산을 수행하고, FPGA 내부 CPU를 사용하여 위성항법, 통합항법 S/W를 구현하였다. 제작된 모듈의 크기는 95.0 × 85.0 × 12.5 mm 이고, 무게는 110g을 확인하였으며, 동적성능 1200m/s, 가속도 10g의 환경에서 규격 이내의 항법정확도 성능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123635040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08.pdf", "abstract_e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U.S. are actively researching to commercialize the logistics services using drones. In Korea,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as well as logistics companies are researching and developing the logistics services using drones. However, there's an environmental difference for last-mile delivery between the U.S. and Korea. In Korea, more than 77% of the population lives in apartments and the population density is the 4th highest in the world. Accordingly, in terms of the logistics services using drone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it with the Korean suitable environment. In this paper, a precision positioning method of drone last-mile delivery in urban area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barometer is proposed.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detect a window within 2.5 meter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help improve the logistics services using drones in urban areas.", "abstract":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국가는 드론을 이용한 물류 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해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물류 배송 기업을 비롯하여 이동통신사에서도 드론 물류 배송 서비스의 연구, 개발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미국은 last-mile 물류 배송 환경이 다르다. 우리나라는 인구의 77% 이상이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 살고 있으며 인구 밀도가 전 세계 4위에 달하는 나라이다. 이에 따라 드론 물류 배송에 있어 우리나라 환경에 맞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과 기압계를 활용한 드론 물류 배송의 정밀 위치 판단의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2.5m 이내의 창문도 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도심에서의 드론 물류 배송 기술의 향상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id": "JAKO20211123635043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35.pdf", "abstract_en": "In recent years, human is experiencing an 'untact' era that has not been existed before. A remarkable features of an untact era is a limited or no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and things in a daily life. In order to overcome this special situation, diverse state-of-the-art technologies like ICT technology are being used to give the effect of face-to-face and contact.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technology allows users to actively interact with virtual environments, objects, and other people, thereby providing effects that are as similar as possible to experience in real life. School freshmen are also experiencing various inconveniences because they are not experiencing the environment or academic management of newly admitted schools in the untact era. This research is a study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School Life Experience Content' which provides new students to tour campus, to utilize the school buildings facilities, to experience of academic schedules including course registration, and to participate in school events in an environment that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real campus. Freshmen will be able to easily adapt to a new school through the implemented VR content.", "abstract": "최근 인류는 예전에는 경험하지 못하였던 '언택트(untact)'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언택트 시대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일상생활 환경에서 타인, 물체 등과 대면과 접촉을 하지 않거나 최대한으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ICT 등 여러 최신의 기술들이 대면과 접촉의 효과를 주기 위하여 활용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가상의 환경, 사물, 타인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실제 생활에서 경험과 최대한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학교 신입생들 또한 언택트 시대에 새로 입학한 학교의 환경이나 학사 운영 등을 경험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에 여러 불편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의 신입생들을 위한 가상 학교생활 체험 콘텐츠에 대한 연구와 구현으로, 신입생들이 학교 건물 내외부의 활용, 수강 신청을 비롯한 학사 일정의 경험, 입학식 및 동아리 행사의 참여 등을 실제와 최대한 유사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입생들은 구현된 VR 콘텐츠를 통하여 새로운 학교에 쉽사리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123635043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32.pdf", "abstract_en": "In the case of long-term hospitalization for young patients, 'Hospital Schools' are operated to pursue school classes and to develop social and emotional abilities for them. However, face-to-face classes at hospital schools have been completely prohibited, and the untact or limited contact environment has been strengthened even for young patients due to the COVID-19 in recent years.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enables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content with virtual environments, objects and characters similar to real life. The developed contents should revitalize the imagination of young patients living only in hospitals and allow them to experience, not only acquiring knowledge, but also improving interpersonal skills and social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diverse adventures and in-depth choice experiences to young patients who are struggling in an environment of untact and limited contact by creating experiential fairy tale contents using AR technology. In addition, long-term hospitalized children will be able to cultivate the will to overcome illness with positive emotions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fairy tale content studied and implemented in this study.", "abstract": "어린 환자들이 장기입원을 하는 경우 학교 수업을 쫓아가고, 사회성이나 감성을 기르기 위하여 소위 병원학교를 운영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한 병원학교의 대면 수업은 전면 금지되었고, 어린 환자들에게도 비대면, 비접촉의 환경이 강화되었다. 증강현실 기술은 실제 생활과 유사한 환경과 사물, 캐릭터를 지닌 체험 콘텐츠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병원 생활만 하는 어린 환자들의 상상력을 활성화하고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능력과 사회성을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기능을 활용한 체험동화 콘텐츠를 제작하여, 비대면과 비접촉의 제한된 환경 안에서 힘들어 하는 어린 환자들에게 다채로운 모험과 깊이 있는 선택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장기입원 환자 아이들은 본 연구에서 연구, 구현한 증강현실 체험동화 콘텐츠를 통하여 긍정적인 정서를 가져 병을 이겨낼 수 있다는 의지를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123635040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350405.pdf", "abstract_e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61% of the accidents occurred during the approach and landing phase of the flight, with 16% of the accidents caused by unstable access of the commercial aircraft. It was identified that the pilot's unstable approach and poor manipulation of correction led to accidents by continuing the excessive approach without go-around manuever. The causes of unstable access may vary, including airport approach procedures, pilot error, misplanning, workload, ATC (Air Traffic Contol) congestion, etc. In this study, we use the flight data analysis system to select domestic case airports and aircraft type where unstable approach events occur repeatedly. Through flight data analysis, including main events, airport approach procedures, pilot operations, as well as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eather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t the airport. It aims to identify and eliminate the tendency of unstable approach events and the causes and risks of them to derive implications for mitigating unstable approach events and for developing navigation safety measures.", "abstract":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siation)의 운송용 항공기 사고 집계에 의하면, 사고 건의 61%가 비행의 접근 및 착륙단계에서 발생 되었으며, 이중 항공기의 불안정한 접근으로 인한 사고가 16%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조종사의 불안정한 접근 및 수정 조작 미흡에 따른 복행을 시행하지 않고, 무리하게 접근을 지속하여 사고로 이어진 것으로 식별되었다. 불안정 접근의 원인으로는 공항의 접근 절차, 조종사의 실수, 잘못된 계획, 업무 부하 (workload), ATC (Air Traffic Control) 혼잡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불안정 접근 이벤트가 반복해서 발생하는 국내의 사례 공항과 기종을 선정하여, 주요 발생 이벤트, 공항 접근 절차, 조종사의 조작 뿐만이 아니라 공항의 기상, 지리적 여건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 비행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불안정 접근 이벤트의 경향성과 발생 원인 및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제거하여 불안정 접근 이벤트의 경감조치 및 항행 안전 증진 방안 마련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id": "JAKO202119062062709",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062062709.pdf", "abstract_en": "Pile or column supported embankments have been increasingly employed to construct highway or railway embankments over soft soils. Piles or columns of stiffer material installed in the soft ground can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 by transferring the embankment load to a firm stratum using a soil arching. However, there has been reported to occur a relatively large differential settlement between the piles and the untreated soils. Geosynthetic reinforced pile or column supported embankment (GRPS) is often used to minimize the differential settlement.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lyses have been performed on both the column supported embankments and the geogrid reinforced column supported embankments by using a PLAXIS 2D to evaluate the soil arch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finite element analyses, the stress reduction ratio decreases as the area replacement ratio increases in the column supported embankments. For the geogrid reinforced column supported embankments, the geogrid reinforcemnt can reduce differential settlements effectively. In additon, the use of stiffer geogrid is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differential settlements.", "abstract": "최근 연약지반에 도로 또는 철도 제방을 축조하는 경우 말뚝 또는 개량체 기둥을 연약지반에 설치한 후에 성토하는 말뚝(또는 기둥)지지 성토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 공법은 지반아칭 현상을 이용해서 제방하중의 상당한 부분을 말뚝 또는 기둥을 통해서 지지층으로 전달함으로써 기초지반의 전단파괴를 방지하고 또한 침하량을 효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말뚝 또는 기둥지지 성토제방의 경우 말뚝(또는 기둥)과 미개량 원지반 사이의 부등침하로 인하여 노면의 요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러한 부등침하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토목섬유로 보강한 토목섬유보강 말뚝(또는 기둥)지지 성토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PLAXIS 2D를 이용하여 시멘트 개량체 기둥으로 지지된 성토제방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해서 보강한 기둥지지 성토제방의 지반아칭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 기둥지지 성토제방의 경우 면적치환비가 증가할수록 응력감소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오그리드로 보강한 기둥지지 성토제방의 경우 면적치환비와 지지형식에 따라 부등침하량과 응력감소비의 경감효과가 다소 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지오그리드로 보강하였을 경우 부등침하량과 응력감소비 경감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오그리드로 보강하면 부등침하를 효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123674459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596.pdf", "abstract_en": "Due to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population growth,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the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including nutrients, is increasing every year. In addition to the increasing amount of sewage and wastewater generation, untreated linked treated water (manure, livestock manure, industrial wastewater, leachate, food waste) is also increasing, and many of the linked treated water flows directly into nearby sewage treatment plants. The associated treated water causes many problems because of its own characteristics, low flow rate with high concentration compared to existing inflow sewa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connected treated water whichh is flowed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a study the effect on sewage treatm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inked treated water. Seasonal effect associated with water pollution conditions was considered. In addition, a scenario was created through the distribution and inflow of connected treated water along with the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Through scenario analysis, we intend to optimiz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linked processing.", "abstract": "급속한 산업발전과 인구증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영양염류를 포함한 하·폐수 발생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증가하는 하·폐수 발생량과 더불어 미처리 연계처리수(분뇨, 가축분뇨, 산업폐수, 침출수, 음폐수)또한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고, 연계처리수 상당 수가 인근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여 연계처리되고 있다. 연계처리수는 기존 유입하수와 비교했을 때 저유량 고농도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하수처리장에서는 방류수 수질 악화, 처리량 증가, 오염부하 증가, 충격부하 또는 중금속 유입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에 연계 유입되는 연계처리수의 양 및 수질 등의 조사가 필요하고, 하수처리에 미치는 영향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계처리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4계절에 따른 수온조건을 고려했을 때 연계처리수의 영향 및 연계처리수 유입 유량 분배 등 영향인자를 고려하여 시나리오를 만들고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는 조건을 분석하고자 한다."} {"id": "JAKO20211906206771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062067710.pdf", "abstract_en": "As the utilization of the underground space is activated, deep excavation of ground has been conducted for the installa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the earth retaining wall has widely used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excavated ground. In particular, as deep excavation is actively progressing in an urban area where structures are concentrated, methods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wall have been devised to prevent damage to the structure adjacent to the wall, and one of these methods is the pre-loading method. This method is a method of suppressing the deformation of wall by actively applying a load on the strut to be installed in wall, and research on this method has been conducted recently. However, although related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e management standard for the pre-loading of bracing has not been clearly presented until now. In addition, since the working force in the strut may increase depending on the depth of excavation or the soil condition of the backfill, the magnitude of the pre-loading that can be applied to the brace may decrease. Nevertheless, the magnitude of the pre-loading (more than 50% of the working load) proposed by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has been uniformly applied to the strut. In this study, 3D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pre-loading of H-beam strut according to the soil conditions of backfil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a problem may occur in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of strut due to the earth pressure and the pre-loading when the soil condition is weak and deep excavation proceeds. And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pre-loading was 5%~70% of the working load in strut.", "abstract": "지하공간의 활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지중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깊은 굴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굴착지반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흙막이벽체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에서의 깊은 굴착이 진행함에 따라 벽체에 인접한 구조물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벽체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이들 방법 중 하나가 버팀 선행하중 공법이다. 이 공법은 벽체의 버팀에 주동적으로 하중을 가해 벽체 변형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최근까지 이 공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선행하중에 대한 명확한 관리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굴착 깊이가 깊거나 배면지반의 상태에 따라 버팀의 작용력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버팀에 가할 수 있는 선행하중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결과에서 제안하고 있는 선행하중의 크기(작용하중의 50%이상)를 버팀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벽체의 배면지반조건에 따른 H-빔 버팀보의 선행하중 적용범위를 평가하고자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연약한 지반조건이고 깊은 심도 굴착이 진행하는 경우 토압과 선행하중에 의한 버팀구조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행하중의 적용범위는 버팀 작용하중의 5%~70%인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123674463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636.pdf", "abstract_en": "Two vertical flow biofilters in series (BFS) employing synthetic fiber (FBF) followed by woodchip (WBF)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assess its potential as an alternative to the typical vertical-horizontal flow configuration in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specifically nutrients and organics. These lab-scale column biofilters were operated for 176 days alongside three other columns that were added for control and sampling purposes. The biofilter columns were fed with either a semi-artificial piggery stormwater or artificial stormwater with specific ammonia and nitrate contents. Results reveal that the BFS was more effective than a single biofilter in removing pollutants especially nitrogen. FBF was found to remove up to 100% of ammonia from the stormwater with corresponding increase in nitrate in the outflow which shows evidence of active nitrification. Meanwhile, the succeeding vertical WBF was able to subsequently remove 77% of the nitrate. The effective reduction of nitrate in a vertical flow biofilter was believed to be due to the use of woodchip which can provide a carbon source that is required for denitrification.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support this claim. Nonetheless, the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vertical flow BFS as a nitrogen removal mechanism especially in areas where enough land space for horizontal flow biofilters is limit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합성섬유로 충진된 바이오필터(FBF)와 우드칩으로 충진된 필터(WBF)로 구성된 수직흐름형 습지공정(BFS)의 처리성능을 평가하였다. BFS 시스템에서 단독 필터를 사용한 것보다 두개의 필터를 직렬로 결합한 경우 특히 질소제거에 탁월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FBF 공정에서는 암모니아 질소 100%가 활발한 질산화 반응을 통하여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었으며 후속 WBF에서 77%의 질산성 질소가 제거되어 우드칩이 제공하는 탄소가 탈질반응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바이오필터의 성능은 유입특성에 상관없이 독립적인 성능을 보였으며 인 제거에도 효과가 있었으나 종종 용출징후가 나타났으며 현장적용시에는 이와 같은 사항을 유념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회귀식 분석결과 운전시간에 따른 바이오 필터내부의 미생물 증식상태를 간접적으로 암시해 주었다. 본 연구결과 질소제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여재를 이용한 수직흐름형 직렬식 습지 공정은 전형적인 수직-수평흐름 습지와 비교하여 비용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d": "JAKO20211123674460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605.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f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at each of the eight Multifunctional weirs were derived using a random forest, and a categorical prediction model based on a Algal bloom warning system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ortance of variables in the random forest, it was found that the upstream points were directly affected by weir operation during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This means that cyanobacteria can be managed through efficient security management. DO and E.C were indicated as major influencers in midstream. The midstream section is a section where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es such as Gumi and Gimcheon are concentrated as well as the emissions of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have a great influence. During the period of heatwave and drought, E.C increases along with the discharge of environmental facilities discharged from the basin, which promotes the outbreak of cyanobacteria. Those monitoring sites located in the middle and lower streams are areas that are most affected by heat waves and droughts, and therefore require preemptive management in preparation for the outbreak of cyanobacteria caused by drought in summer.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 at each point were analyzed.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decision-making for customized cyanobacteria managemen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하여 8개 보 지점별 남조류 발생 주요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조류경보제 기반의 범주형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8개 보 지점의 랜덤포레스트의 변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상류의 보 지점들은 남조류 발생에 있어 보 운영에 따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효율적인 보 운영을 통한 남조류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류 구간은 DO와 E.C가 주요 영향인자로 도출되었다. 공간적으로 구미와 김천에 대규모 산업공단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환경기초시설의 배출량이 큰 영향을 끼치는 구간이다. 따라서 폭염 및 가뭄 시기에 중류 유역에서 배출되는 환경기초시설의 방류는 본류의 E.C를 증가하게 하고 남조류 발생을 촉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하류에 위치한 보 지점들은 폭염 및 가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지역으로 여름철 가뭄에 따른 남조류 대발생에 대비하여 선제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점별 남조류 발생 영향인자를 도출하였으며, 맞춤형 조류관리를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325454057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574.pdf", "abstract_en": "Th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produced from nuclear power plants is disposed in a rock-mass at a depth of hundreds meters below the ground level. Since HLW is very dangerous to human being, it must be disposed of safely by the engineered barrier system (EBS). The EBS consists of a disposal canister, backfill material, buffer material, and so on. When the components of EBS are installed, gaps inevitably exist not only between the rock-mass and buffer material but also between the canister and buffer material. The gap can reduce water-retarding capacity and heat release efficiency of the buffer material,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gap-filling materials and to analyze gap spacing effect. Furthermore, there has been few researches considering domestic disposal system compared to overseas researches. In this reason, this research derived the peak temperature of the bentonite buffer material considering domestic disposal system based on the numerical analysis. The gap between the canister and buffer material had a minor effect on the peak temperature of the bentonite buffer material, but there was 40% difference of the peak temperature of the bentonite buffer material because of the gap existence between the buffer material and rock mass.", "abstract":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고준위폐기물은 지하 수백 미터 깊이의 암반에 처분된다. 이러한 고준위폐기물은 인체에 유해하기에 공학적방벽시스템에 의해 안전하게 처분되어야 하며, 공학적방벽시스템은 처분용기, 뒤채움재, 완충재 등으로 구성된다. 고준위폐기물처분장에 이러한 공학적방벽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설치하게 되면, 처분용기 및 완충재 사이, 완충재와 자연 암반 사이 등에 갭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갭의 존재로 인해 공학적방벽재의 차수능과 열전달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에, 갭 공간의 크기 및 갭채움재 특성 평가 등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해외에 비해 국내 처분시스템을 고려한 갭 공간 및 갭채움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국내 처분시스템을 고려한 갭 공간이 공기로 채워져 있는 조건하에서 갭의 크기에 따른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첨두 온도를 도출하였다. 처분용기와 완충재 사이의 갭 공간이 완충재의 첨두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으나, 완충재와 자연 암반 사이의 갭 공간에 따른 완충재의 첨두 온도는 최고 약 40%의 차이를 나타냈다."} {"id": "JAKO20211756315897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58978.pdf", "abstract_en": "Semi-supervised learning uses both labeled data and unlabeled data. Recently consistency regularization is very popular in semi-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data augmentation (UDA) that uses unlabeled data augmentation is also based on the consistency regularization. The Kullback-Leibler divergence is used for the loss of unlabeled data and cross-entropy for the loss of labeled data through UDA learning. UDA uses techniques such as training signal annealing (TSA) and confidence-based masking to promote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propose to use Jensen-Shannon divergence instead of Kullback-Leibler divergence, reverse-TSA and not to use confidence-based masking for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experiment, we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yields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of UDA.", "abstract": "준지도학습(semi-supervised learning)은 목표값이 있는 데이터와 없는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는 학습방법이다. 준지도학습에서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는 일치성규칙(consistency regularization)과 데이터 증대를 이용한 준지도학습(unsupervised data augmentation; UDA)은 목표값이 없는 데이터를 증대하여 학습에 이용한다. 그리고 성능 향상을 위해 훈련신호강화(training signal annealing; TSA)와 신뢰기반 마스킹(confidence based masking)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UDA에서 사용하는 KL-정보량(Kullback-Leibler divergence)과 TSA 대신 JS-정보량(Jensen-Shanon divergene)과 역-TSA를 사용하고 신뢰기반 마스킹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성능이 더 우수함을 보였다."} {"id": "JAKO202107163270352", "publication_date": "2021.02.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270352.pdf", "abstract_en": "This study analyzed the science assessment items that were conducted by the paper and the computer-based assessment in the TIMSS 2019 pre-test, which is an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We examined whether the test mode influenced the percentage of items answered correctly by each grader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ct answer rates of science items according to the test media in 4th and 8th graders. Looking at the each graders, the difference i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relatively large in the fourth grader rather than the eighth grader. In terms of items, the difference i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relatively larger for the constructed items than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of science and assessment items on the influence of the test media, the multiple choice items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paper and the computer-based assessment items, but the answer-type items tended to have a low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the paper-based assessment. In addition, by grade, 4th graders showed lower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in the constructed items than 8th grader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computer-based assessment in Korea, and suggests a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omputer-based assessment to be well established as school evaluation.",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인 TIMSS 2019 사전검사에서 지필 평가와 컴퓨터 기반 평가로 시행된 과학 평가 문항을 분석하여 검사 매체에 따라 문항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문항 및 학년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4학년과 8학년 모두 검사 매체에 따른 과학과 문항 정답률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학년별로 살펴보면, 8학년보다는 4학년의 경우 정답률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선다형 문항보다는 서답형 문항의 경우 정답률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검사 매체 영향에 대한 과학과 평가 문항 내용을 분석한 결과로는 선다형 문항은 지필 평가와 컴퓨터 기반 평가 문항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서답형 문항은 지필 평가에 비해 서답형 문항의 정답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년별로는 4학년 학생들이 8학년 학생들보다 서답형 문항에서 정답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우리나라 컴퓨터 기반 평가의 개발과 현장 도입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고 컴퓨터 기반 평가가 학교 평가로 잘 정착하기 위한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id": "JAKO20211756320799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07994.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study a method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unit roots by using the adaptive lasso.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 that applied the adaptive lasso to the original time series has low power when there is an unknown trend. Therefore, we propose a modified version that fits the ADF regression model without deterministic component using the adaptive lasso to the detrended series instead of the original series. Our Monte Carlo simul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modified method improves the power over the original method and works well in large sample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adaptive lasso 방법을 이용하여 단위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근 원 시계열에 상수항과 선형 추세가 포함된 ADF-회귀모형식을 adaptive lasso로 추정하여 단위근을 식별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미지의 선형 추세가 존재할 때 검정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ADF-회귀모형식을 적합시킬 때 원 시계열 대신 선형 추세가 제거된 시계열을 사용하는 수정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수정안에서는 일차적으로 선형 추세를 제거한 후 모형식을 적합시키기 때문에 ADF-회귀모형식 중 상수항과 선형 추세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모형식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방법보다 수정안을 사용할 때 단위근의 존재를 판단하는 검정력이 향상되는지 모의실험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ADF 검정과 DF-GLS 검정과의 비교 실험도 진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adaptive lasso를 이용하여 단위근의 존재를 판단할 때 원 시계열보다 추세가 제거된 시계열을 사용하는 경우가 높은 정확도를 가지며, 자료의 개수가 충분히 많을 때 단위근을 잘 판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756317198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71982.pdf", "abstract_en": "Visual Question Answering (VQA) and image captioning are tasks that requir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images and linguistic features of text. Therefore, co-attention may be the key to both tasks, which can connect image and tex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o achieve high performance for VQA by image caption generated using a pretrained standard transformer model based on MSCOCO dataset. Captions unrelated to the question can rather interfere with answering, so some captions similar to the question were selected to use based on a similarity to the question. In addition, stopwords in the caption could not affect or interfere with answering, so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fter removing stopword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VQA-v2 data to compare the proposed model with the deep modular co-attention network (MCAN) model, which showed good performance by using co-attention between images and text. As a result,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ed the MCAN model.", "abstract": "시각질의응답과 이미지 캡셔닝은 이미지의 특징과 문장의 언어적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요구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두 가지 작업 모두 이미지와 텍스트를 연결해 줄 수 있는 공동 어텐션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SCOCO 데이터 셋에 대하여 사전 훈련된 transformer 모델을 이용 하여 캡션을 생성한 후 이를 활용해 시각질의응답의 성능을 높이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때 질 문과 관계없는 캡션은 오히려 시각질의응답에서 답을 맞히는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질문과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질문과 유사한 일부의 캡션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캡션에서 불용어는 답을 맞히는데 영향을 주지 못하거나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제거한 후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존 시 각질의응답에서 이미지와 텍스트간의 공동 어텐션을 활용하여 좋은 성능을 보였던 deep modular co-attention network (MCAN)과 유사도 기반의 선별된 캡션을 사용하여 VQA-v2 데이터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MCAN모델과 비교하여 유사도 기반으로 선별된 캡션을 활용했을 때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756320099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00991.pdf", "abstract_en": "Abstract concepts in social research must use measurement tools that are assured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bservation score derived by a measurement tool can be divided into a valid observation score, a biased observation score, and an err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iased value is associated with validit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value is associated with reliability. There are many techniques for seeing whether a measurement tool is valid and reliable. For example, there are construct validity using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based on the Cronbach alpha.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 of the Cronbach alpha is derived through a sample, so we suggest an estimator of the Cronbach alpha under complex sample design and nonresponse. In a simulation,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many other existing estimators of Cronbach alpha under a 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 "abstract": "사회조사에서 추상적 개념은 타당성과 신뢰성이 보장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와 같은 측정도구에 의해 도출된 관측점수는 타당한 관측점수와 편향된 관측점수와 오차로 나눌 수 있으며 편향된 값의 유무가 타당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오차값의 유무가 신뢰성과 연관되어 있다. 측정도구가 타당도 및 신뢰도를 만족하는 지를 보기 위한 기법들이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크론바흐 알파 값에 의한 내적일치도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크론바흐알파값의 계산은 표본을 통해서 도출되는 데 복잡한 표본설계와 무응답이 발생했을 때 크론바흐알파값의 추정법에 대해 살펴본다. 제안된 기법에 대한 모의실험으로 다변량정규분포를 사용하여 기존의 여러 다른 크론바흐알파값의 추정기법과 비교분석한다."} {"id": "JAKO20211756321099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10995.pdf", "abstract_en": "Central banks communicate with the market through a statement on the direction of monetary policy while implementing monetary policy. The rapid contraction of the global economy due to the recent Covid-19 pandemic could be compared to the crisis situation during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text data from the monetary policy statements of the Bank of Korea and Fed reflecting monetary policy directions focusing on how they were affected in the face of a global crisis. For analysis, we collected the text data of the two countries' monetary policy direction reports published from October 1999 to September 2020. We examined the semantic features using word cloud and word embedding, and analyzed the trend of the similarity between two countries' documents through a piecewise regression tree model. The visualization result shows that both the Bank of Korea and the US Fed have published the statements with refined words of clear meaning for transparent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market. The analysis of the dissimilarity trend of documents in both countries also shows that there exists a sense of synchronization between them as the rapid changes in the global economic environment affect monetary policy.", "abstract":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을 운용하면서 통화정책 방향에 관한 보고서를 통해 시장과 소통하고 있다. 최근의 Covid-19 팬데믹은 세계적인 경제의 급격한 위축을 초래하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와 비교해 보더라도 불확실성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그 파급효과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경기침체의 장기화에 관한 우려도 증폭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 연준과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을 담고 있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과 의결문의 특징을 분석하고 세계적인 위기에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1999년 10월부터 2020년 9월까지 공표된 양 국가의 통화정책방향 보고서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워드 클라우드 및 워드 임베딩 등을 이용하여 의미상 특징을 살펴보았다. 조각별 회귀나무 모형을 통해 양국 문서의 비유사성 추이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은행과 미 연준 모두 시장과의 투명하고 효과적인 소통을 위해 명확한 의미를 지닌 단어로 정제된 문서 자료를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격한 글로벌 경제환경의 변화가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치면서 문서 간 의미상 동조화가 이루진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2315716681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66812.pdf", "abstract_en": "ASVspoof 2017 deals with detection of replay attacks and aims to classify real human voices and fake voices. The spoofed voice refers to the voice that reproduces the original voice by different types of microphones and speakers. data augmentation research on image data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nd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ttempt data augmentation on voice. However, there are not many attempts to augment data for voice replay attacks, so this paper explores how audio modification through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affects the detection of replay attacks. A total of 7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and among them, dynamic value change (DVC) and pitch techniques helped improve performance. DVC and pitch showed an improvement of about 8% of the base model EER, and DVC in particular showed noticeable improvement in accuracy in some environments among 57 replay configurations. The greatest increase was achieved in RC53, and DVC led to an approximately 45% improvement in base model accuracy. The high-end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s that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detect were well identified. Based o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DVC and pitch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are helpful in improving performance in the voice spoofing detection problem.",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음성위조공격탐지(Voice spoofing detection) 문제에 데이터 증강을 적용한다. ASVspoof 2017은 리플레이 공격 탐지에 대해 다루며 진짜 사람의 음성과 환경이나 녹음·재생 장치의 조건들을 다르게 하여 위조한 가짜 음성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증강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음성에도 데이터 증강을 시도하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음성 리플레이 공격에 대한 데이터 증강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아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증강기법을 통한 오디오 변형이 리플레이 공격 탐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구해본다. 총 7가지의 데이터 증강기법을 적용해보았으며 그 중 DVC, Pitch 음성 증강기법이 성능향상에 도움되었다. DVC와 Pitch는 기본 모델 EER의 약 8% 개선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DVC는 57개의 환경변수 중 일부 환경에서 눈에 띄는 정확도 향상이 있었다.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RC53의 경우 DVC가 기본 모델 정확도의 약 45% 향상을 이끌어내며 기존에 탐지하기 어려웠던 고사양의 녹음·재생 장치를 잘 구분해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기존에 증강기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음성 위조 탐지 문제에서 DVC, Pitch 데이터 증강기법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id": "JAKO20211756320199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01992.pdf", "abstract_en":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s a popular statistical method to separate independent signals from the mixed data, and Group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s an its multi-subject extension of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t has been appli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data and provides promising results. However, classical Group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works poorly when outliers exist on data which is frequently occurred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ning. In this study, we propose a robust version of the Group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based on ROBPCA. Through the numerical studies, we compare proposed method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verify the robustness of the proposed method.", "abstract": "독립성분분석은 혼합 데이터로부터 독립된 신호들을 분리해내는 대표적인 통계적 방법론이며, 그룹 독립성분분석은 독립성분분석을 여러 개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한 방법론이다. 그룹 독립성분분석은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데이터에 활용되어 의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줌이 알려져있다. 그러나 자기 공명 영상 스캔에서 흔히 일어나는 이상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존의 그룹 독립성분분석은 그 효과가 떨어짐이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ROBPCA 기반의 로버스트한 그룹 독립성분분석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제 자료 분석을 통해 제안한 방법과 기존 방법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제안한 방법론의 로버스트성을 입증했다."} {"id": "JAKO202112054771594",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594.pdf", "abstract_en": "On the construction of new roads, the cut slope is inevitable and thus has been widely applied in the mountainous area. Particularly, the retaining wall with the precast concrete panel is often selected for its higher stability and mostly constructed in bottom-up method. However, the bottom-up method results in steeper slope as 1:0.05 before constructiong retaining wall and thus causes poor compaction at backfill which may induce instability during or after the construc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precast concrete panel retaining wall was attached in-situ ground (so called top-down). This paper presents the evaluation of drainage capacity of top-down method which has impermeable layer between panel and mortar being used to increase the ability of attachment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abstract":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은 지형적인 특성으로 도로와 도시 개발에 따라 산지를 굴착하고 옹벽을 설치하는 공사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Panel식 옹벽은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높으며, 일반적으로 Bottom-up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 1:0.3정도의 기울기로 굴착 후 옹벽을 시공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경사굴착으로 인해 추가 토공처리가 필요하며, 되메움과 다짐불량에 의한 안정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Top-down방식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Panel을 사면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모르타르로 인해 옹벽과 사면 사이에 불투수층이 생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사면에 불투수층을 고려하여 배수시스템들의 역할이 우기시 사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id": "JAKO202107835829219", "publication_date": "2021.01.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35829219.pdf", "abstract_en": "It takes a long period to conduct the test on soil water retention curve (SWRC) in unsaturated soils. To improve such a problem, the high air entry disk has been replaced by micro-membrane. After the soil water retention test, the results by the micro-membrane were compared with those by the ceramic disk. Multiple samples in 5 regions were used to validate that SWRCs by micro-membrane are equivalent to those by ceramic disk. Therefore, a quick procedure based on micro-membrane has been developed, which makes it available to acquire much soil water retention data. The data of SWRCs were obtained for total 29 samples using ceramic disk or micro-membrane. For Korean weathered soils, the unsaturated hydraulic characteristics are sorted by three groups. Based on van Genuchten model, the group is divided by the parameter n, and the value of n could be correlated to the void ratio as each function.", "abstract": "불포화토의 함수특성시험은 오랜 기간이 소요된다. 이를 줄이기 위하여 고압 공기합입치 디스크를 마이크로 멤브레인으로 대체하였다. 마이크로 멤브레인을 적용한 함수특성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세라믹 디스크를 이용한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5개 지역에 대하여 많은 시료를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 멤브레인을 적용한 함수특성곡선은 세라믹 디스크를 이용한 시험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신속한 절차기법을 개발하여 많은 양의 함수특성 성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마이크로 멤브레인을 이용한 시험을 포함하여 총 5개지역 29개 시료에 대한 함수특성곡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국내 풍화토에 대하여 불포화 수리특성은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그룹은 van Genuchten 모델 물성치 n값에 따라서 분류되며 n값은 간극비의 함수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있었다."} {"id": "JAKO20212315717181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71813.pdf", "abstract_en": "This paper aims to help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by analyzing confirmed cases of COVID-19 in Daejeon. A high volume of visitors, downtown areas, and psychological fatigue with prolonged social distancing were considered a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pread of COVID-19. We considered the weekly confirmed cases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s a response variable. Explanatory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passengers getting off at a bus station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elapsed time since the Korean government had imposed distancing in daily life. We employed a mixed-effects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model because the number of cases was repeatedly measured with excess zero-count data. We conducted k-means clustering to identify three group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number of bars, the population size, and the distance to the closest college.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might vary depending on districts' characteristics, the clustering information was incorporated as a categorical explanatory variable. We found that Covid-19 was more prevalent as population size increased and a district is downtown. As the number of passengers getting off at a downtown district increased, the confirmed cases significantly increased.", "abstract":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나타난 확진자 증가 현상을 분석하여 COVID-19의 확산을 방지할 대책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계획되었다. 확진자 증가의 원인이 시민들의 잦은 이동과 장기간 지속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피로와 방심에 있다고 보고, 각 행정동의 주별 확진자 수를 반응변수로,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흐른 시간, 행정동의 버스 하차 인원을 설명변수로 하여 이들의 관계를 모형화하였다. 행정동별 확진자 수가 주 단위로 반복측정 되었고, 포아송분포로 기대되는 0보다 더 많은 0이 관측될 수 있기 때문에 혼합효과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행정동의 성격에 따라 확진자 발생 동향이 다를 수 있어서서 서로 유사한 성격을 갖는 행정동을 군집화하여 이를 범주형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버스 하차 인원의 효과가 행정동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두 변수 간의 교호작용항을 포함하였고 상대적으로 번화한 행정동에서 그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수준=0.1). 모형 적합 결과 인구수의 증가와 번화한 행정동이라는 요인, 그리고 버스 하차 인원의 증가가 확진자 수의 증가와 중요한 연관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보였다. 한편, 추정된 모형에 따르면 인구수와 버스 하차량이 고정되었을 때 번화한 집단의 확진자 수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훨씬 적을 것으로 기대되었는데, 이는 코로나 고위험 지역에 대한 시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d": "JAKO20211205477158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582.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countermeasures for the occurrence of tension cracks in the slope of the rock mass of heavy equipment for road construction. Electric resistivity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andable tensile crack ran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soft zones in the rock mass, a low specific resistance zone was found at the bottom of the access road where tensile cracks occurred. It was confirmed that a low resistivity zone was distributed near the top of the excavation slope. Therefore, reinforcements was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possible tensile crack as the top of the excavation slope. Two rows of reinforced piles and anchors were proposed as a reinforcement method, and the slope stabi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allowable safety factor was satisfied after reinforcements.", "abstract": "본 연구는 도로건설공사 중 발생한 암반 비탈면의 인장균열 발생원인 및 대책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확장 가능한 인장균열 범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암반의 연약대 분포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인장균열이 발생한 부체도로 하단에 저비저항대가 나타나며 굴착 비탈면 상단 부근에 저비저항대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발생 가능한 인장균열 위치를 굴착 비탈면 상단으로 결정하여 보강 설계를 수행하였고, 보강방안으로 앵커와 억지말뚝 2열이 제안되었고 비탈면 안정해석을 통하여 보강 이후 허용안전율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2315717581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57175815.pdf", "abstract_en": "Due to the frequent emergence of global abnormal climates, related studies on meteorological change is being actively proceed. However, the research on trend analysis using weather data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wa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trend of temperature time series data accumulated from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 for 40 years was analyzed by using a non-parametric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Mann-Kendall test on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and seasonal average temperature time series data in South Korea, it has shown that an upward trend exists. In addition,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Sen's slope, which can determine the degree of tendency before and after the searched change point by applying the Pettitt test, recent data after the fluctuation point confirmed that the tendency of temperature rise was even greater.", "abstract": "범지구적 이상기후의 잦은 출현으로 기상 변화에 대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장기간 축적된 기상자료를 이용한 경향성 분석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모수적 분석방법을 이용해 40년간 종관기상관측장비(ASOS)로 부터 축적된 기온 시계열 자료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남한지역의 연평균 기온과 계절별 평균기온 시계열 자료에 대한 Mann-Kendall 검정 결과 상승 경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ettitt 검정을 적용해 탐색된 변동점을 전후로 경향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Sen's slope를 계산한 결과, 변동점 이후의 최근 자료에서 기온의 상승 경향성이 더욱 큰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205477159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590.pdf", "abstract_en": "A dozer is a construction machinery used to move soil mass along large open tracts of land. Soil thrust generated on the soil-track interface determines the performance of the dozer; to improve the tractive performance of the dozer,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inuous-track is designed to protrude with grousers. In this study, we calculated soil thrust of the dozer equipped with grousers with various shape ratios, and evaluated the optimal grouser shape ratio considering ground conditions. Grouser generated additional soil thrust on the side of the continuous-track (e.g., side soil thrust) and converted the shearing surface (e.g., from soil-track interface to soil-soil interface), increasing the soil thrust of dozer by about 1.3 to 1.6 times. The effect of grouser's shape ratio on the soil thrust of dozer differed with the relative density of the ground. As the shape ratios of grouser increased, soil thrust of dozer decreased at the relative density of 40% and increased at the relative density of 80%.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hape ratio of grouser severely affects the dozer's performance; thus,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optimal shape ratio of grouser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mechanical design, evaluation, and optimization of the undercarriage of dozers.", "abstract": "도저는 토공사 현장에서 부지를 평탄화하거나 토사를 모으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이다. 도저의 성능은 지반-궤도 접지면에서 발현되는 지반추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주어진 조건에서 최대한의 지반추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무한궤도 표면에 그라우저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상비를 가지는 그라우저가 부착된 도저의 지반추력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반 특성을 고려한 최적 그라우저 형상비를 평가했다. 그라우저는 궤도 측면에서 추가적인 지반추력(측면지반추력)을 발현시키고 지반-궤도 사이의 전단을 지반-지반 사이의 전단으로 전환시켜, 도저의 지반추력을 약 1.3~1.6배 증가시켰다. 그라우저 형상비가 지반추력에 미치는 영향은 도저가 구동하는 지반의 다짐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느슨한 지반에서는 형상비가 작은 그라우저가, 조밀한 지반에서는 형상비가 큰 그라우저가 도저의 지반추력을 가장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형상으로 평가되었다. 무한궤도에 지반의 다짐도를 고려한 최적 그라우저를 부착한다면 도저의 작업 성능을 보다 크게 강화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장비의 효율적 활용 및 토공사 생산성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975936680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66805.pdf", "abstract_en": "Multiple UAV System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econnaissance, networking and aerial photography. In such systems, it is essential to form and maintain the formation of multiple UAVs. This paper proposes the algorithm that produces an autonomous distributed control for each vehicle for a flexible formation. This command is a repulsive force in the form of the second-order system by the nearest UAV or mission area. The algorithm uses the relative position/speed through sensing and communication for calculating the command without external intervention. The command allows each UAV to follow the reference distance and fill the mission area as densely as possible without overlapping. We determine the reference distance via optimization technique solving the packing problem. The mission area comprises the desired formation outline and can be set flexibly depending on the mission. Numerical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under a complex and flexible environment. The formation is formed in 26.94 seconds and has a packing density of 71.91%.", "abstract": "다수 무인기를 이용한 시스템은 정찰, 네트워킹, 항공 촬영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다수 무인기로 구성된 대형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 무인기의 대형을 형성하기 위한 자율화된 분산형 제어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어명령은 근접 무인기 또는 임무 영역으로부터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2차 시스템 형태의 힘을 고려하였다. 제어명령은 외부의 개입 없이 계측과 통신으로부터 획득되는 상대위치/속도를 통해 계산된다. 이는 개별 무인기들이 기준거리를 추종하도록 하며 임무영역 안에 겹치지 않고 최대한 조밀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기준거리 결정에는 채우기 문제를 풀기 위한 최적화 기법과 유사한 방식을 적용하였다. 임무영역은 형성하고자 하는 대형의 외곽선으로 정의되며 임무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복잡성과 확장성을 고려한 영역에서 약 26.94초에 대형이 형성되며 약 71.91%의 채우기 밀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975936780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67805.pdf", "abstract_en": "In many metropolitan cities around the world, ground and underground transportation networks are saturated due to urbanization. In addition, regulations on carbon emissions to prevent global warming are becoming stricter, and eVTOL, which will be operating in complex cities, is gaining popularity as the next generation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In this study, the hover lift efficiency and disc loading of eVTOLs for each type were calculated by classifying eVTOLs into following types: multicopter, lift+cruise, and vectored thrust. In addition, using the aerodynamic analysis programs OpenVSP, Fluent and Javaprop, the specific battery energy required for the smooth operation of eVTOL, which will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was calculated and analyzed base on reports published by Uber and airworthiness authorities of each country.", "abstract": "전 세계의 많은 대도시는 도시화에 따른 지상 및 지하 교통망이 포화되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탄소배출 규제가 더욱 엄격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복잡한 도심에서도 운행 가능한 eVTOL이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VTOL을 멀티콥터형, 양력+순항형, 추력편향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eVTOL들의 호버 효율과 회전판 하중을 계산하였으며 공력해석 프로그램인 OpenVSP, Fluent와 JavaProp을 이용하여 각국의 감항당국 및 우버 사에서 발표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eVTOL의 원활한 운행에 필요한 배터리 비에너지를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id": "JAKO20211975937180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71806.pdf", "abstract_en": "EOTS(Electro-Optical Tracking System) is utilized in acquiring visual information to assess a guided missile's performance. As the missile travels so fast, it is almost impossible for operator to re-capture the lost target. The RADAR or telemetry data are used to re-capture the lost target however facilities to receive real time data is required, which constrains selection of tracking site. Unlike aforementioned data, pre-calculated nominal trajectory can be used without communication facility.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predict lost target's state by employing nominal trajectory. Firstly, observed trajectory and nominal trajectory are compared using DTW and current target's state is predicted. The predicted state is used as observation in Kalman filter's correction phase to predict target's next state. The plau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applying on actual missile trajectory.", "abstract": "EOTS(electro-optical tracking system)는 유도무기의 성능 평가를 위해 유도무기를 추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유도무기에 대한 추적을 잃어버렸을 경우 유도무기가 매우 빠르게 비행하기 때문에 운용자가 이를 다시 포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레이더나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 포착 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는 통신망의 설치가 수반되어야하기 때문에 장소에 대한 제약이 따른다. 하지만 유도무기 비행시험 수행 시 계산되는 예상 궤적은 실시간으로 수신할 필요 없이 저장해두었다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망 설비와 관계없이 활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리 알고 있는 비행체의 예상 궤적을 활용하여 비행체를 잃어버렸을 시 비행체의 위치를 예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DTW (dynamic time warping)를 통해 예상궤적과 추적궤적을 비교하여 비행체의 각속도를 추정하고 이를 Kalman Filter의 보정단계에서 관측 값으로 활용하여 비행체의 다음 상태를 예측한다.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실제 비행체 궤적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id": "JAKO202121061661479",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061661479.pdf", "abstract_en": "This research studies the stabilization method for improved soil sloped through the on-site application of Paper Flyash ground stabilizers. The target strength required for improved soil is 500 kPa,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for the slope surface needs to be less than 1,000 kPa after the improvement in order to plant vegetation. To meet this condition, we mixed soil from the site and the ground stabilization material, which is the main material for surface improvement material, performed mixing design and conducted various tests including strength test, permeability test and plantation test.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compression test on improved soil slope, we proposed soil constants for the improved soil.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improved soil on the slope, the site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on the collapsed slope and the reinforcement evaluation of the surface of the improvement soil was conducted. The stability was not secured before the reinforcement, but the test shows after the reinforcement with improved soil, the safety rate is secured up to 48 hours during the raining period. In addi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improved soil at the site was secured at more than 200 kPa adhesion as planned, and the soil hardness test result was also found to be within the specified value of 18-23 mm, which increased the resistance to rainfall and ability to grow plant on the surface for improved soil.", "abstract": "본 연구는 제지 플라이애시 지반안정재를 활용하여 개량토 토사 비탈면의 현장 적용을 통한 안정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개량토에 요구되는 목표강도는 500kPa이며 토사 비탈면을 개량후 식생이 발아하기 위한 압축강도는 1,000kPa 이하이다. 이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현장에서 반입된 시료를 가지고 표층개량의 주원료인 지반안정재와 혼합하여 배합설계를 거처 강도시험 및 투수시험 그리고 식생 발아시험 등 다양한 시험을 실시 하였다. 그리고 개량토로 시공된 비탈면에 대한 기존 압축시험 결과를 분석한 후 개량토의 지반정수를 제안하였다. 또한 개량토의 비탈면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붕괴된 비탈면에 대하여 현장 시공을 실시하여 개량토의 표층부 보강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강 전에는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했지만 개량토로 보강한 이후 안전율은 강우 지속시간 48시간까지 최소 안전율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 개량토의 압축강도는 설계치인 점착력 200kPa 이상을 확보하고 토양경도계 시험 결과도 규정 값인 18~23mm 이내로 확인되어 개량토 비탈면의 경우 강우에 저항성이 증대되고 표층부의 식물생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975936380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63805.pdf", "abstract_en": "The main causes of the July 2013 OZ 214 accident were poorly performed approach and the failure to recognize the autothrottle in the HOLD position which the automated speed control was not provided. The pilots late decision for go-around was also a critical factor leading to the accident. The B777 POM restricts the use of FLCH mode beyond the FAF. This research utilized the QAR data of an airline's B777 fleet in the period of two years where 44 cases were found. In many cases, the FLCH mode was used for rapid descent from an higher than normal situation. In addition, in the base turn, continuous use of FLCH mode even when the path was below the glide path were observed. Airports with elevation above 500 ft MSL had a higher rate of occurrence. In this research, the proper descent planning and vertical path monitoring, and the adherence to the limitation set in the manuals and the stabilized approach criteria were re-emphasized as mitigation to reduce event occurences.", "abstract": "2013년 7월 아시아나 OZ 214편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SFO) 사고의 주요 원인은 조종사의 잘못된 접근 조작과 항공기 오토트로틀 홀드(autothrottle hold) 모드로 인해 자동 속도 컨트롤(control)이 불가함을 인지 못하였고, 복행 (go-around) 결심이 늦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B777 POM (pilot operation manual)에는 FAF (final approach fix) 후 FLCH (flight level change) 모드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본 연구는 QAR (quick access recorder)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국내 항공사의 B777 기종에서 2년간 발생한 44건의 해당 이벤트를 분석 한 결과, 정상 강하각 보다 높은 위치에서 조종사가 FLCH 모드를 이용하여 급하게 강하하는 과정에서 해당 이벤트들이 주로 발생하였으며, 항공기 베이스 선회 (base Turn) 시 정상 수직 경로(vertical path)보다 낮은 상태에서도 FLCH 모드를 지속 사용한 예도 있었다. 아울러 공항의 표고가 500 ft 이상의 높은 공항에서 이벤트 발생율이 높은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항공기 접근 시의 강하 계획(descent planning), 수직 경로(vertical path)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자동항법장치 사용 기준 및 안정 접근 항목(stabilized approach criteria)의 준수로 이벤트 경감방안 마련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id": "JAKO20211975936580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65805.pdf", "abstract_en": "Ionosphere, one of the largest error sources, can pose potentially harmful threat to single-frequency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user even after applying ionospheric corrections to their GNSS measurements. To quantitatively assess ionospheric impacts on the satellite navigation-based applications using simulat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 ionospheric errors is needed. Thus, in this paper, we determine conservative statistical quantity that covers typical residual ionospheric errors for nominal days. Extensive data-processing computes TEC (total electron content) estimates from GNSS measurements collected from the Korean reference station networks. We use Klobuchar model as a correction to calculate residual ionospheric errors from TEC (total electron content) estimate. Finally, an exponential delay model for residual ionospheric errors is presented as a function of local time and satellite elevation angle.", "abstract":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측정치 보정 후에 남아 있는 전리층 잔류 오차에 대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영향분석(오차 및 서비스 영역 분석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위해서는 전리층 잔류 오차에 대한 통계적 모델링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GNSS 측정치 및 Klobuchar 모델을 활용하여 국내 정상상태 전리층 환경에서의 전리층 잔류 오차에 대한 보수적인 표준편차의 해석적 모델을 도출하였다. 다양한 전리층 활동 상태를 포함하기 위해 미(美) CAT I (category I) LAAS (local-area augmentation system) 전리층 통계치 산출일 중 ROTI (rate-of-tec index) 지수를 활용하여 전리층 활동이 비정상적인 날짜는 제외하고 GNSS 분석 데이터를 구성하였다. GNSS 데이터 처리를 통해 전리층 잔류 오차를 계산하고, 잔류 오차 거동의 특성을 근거하여 지역 시 및 위성 앙각에 따라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리층 잔류 오차의 확률적 거동을 보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표준편차값에 대한 해석적 모델을 감쇠 지수 접합을 통해 도출하였다."} {"id": "JAKO20211975936980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759369806.pdf", "abstract_e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point to human factors as the main ca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accidents, and HFACS is introduced as a technique to effectively analyze these human factors. Until now,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analyzing the human factors of unmanned aerial vehicle accidents using HFACS were mainly targeted by military unmanned aerial vehicles, which can be used as an objective cause identification and similar accident prevention tool. In particular, identifying the focus of HFACS application considering the performance and operation conditions of domestic civilian unmanned aerial vehicles is expected to greatly help identify the cause and prevent recurrenc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Based on HFACS version 7.0, this study analyzed the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 data conducted by Korea Aviation and Railway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to identify the focus of HFACS application that can be used for domestic civilian unmanned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s.", "abstract": "국내외 연구들은 무인항공기 사고의 주원인으로 인적요인을 지목하고 있고, 이러한 인적요인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으로 HFACS를 소개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HFACS를 이용해 무인항공기 사고의 인적요인을 분석했던 국내외 사례는 주로 군용 무인항공기가 대상이었는데, 항공사고를 유발하는 인적요인 정보를 분석하여 객관적 원인 규명과 유사 사고 예방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HFACS가 국내 민간 무인항공기 분야에서도 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국내 민간 무인항공기의 성능과 운용 여건을 고려한 HFACS 적용중점을 식별한다면 사고 발생 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HFACS version 7.0을 근간으로 우리나라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수행했던 사고조사 결과보고서 자료를 분석하여 국내 민간 무인항공기 사고조사에 활용할 수 있는 HFACS 적용중점을 식별하였다."} {"id": "JAKO202116739597333", "publication_date": "2021.06.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59733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of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single molecule was conducted by changing the solvent proper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glycerol backbone structure in phospholipids according to the solvent properties. DOPC has three different conformations according to glycerol C1-C2 bond: A(θ3 = trans, θ4 = gauche), B(θ3 = gauche, θ4 = gauche-), C(θ3 = gauche-, θ4 = trans). Changes in the glycerol backbone structure of the DOPC were examined using the solvent's dielectric constant and surface tension constant as variables. As a result, the population of the B structure increased as the dielectric constant increased. The reason is that the solvation energy of the B structure is larger than that of A. In addition, as the surface tension constant increased, the population of the B structure increased because the surface area of B was smaller than that of A.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study of phospholipid structure in the futur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용매 특성에 따른 인지질 내 글리세롤 골격 구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단분자에 대한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용매 특성을 변화시켜가며 진행하였다. DOPC 골격구조는 인지질 내 글리세롤 C1-C2 결합의 비틀림각에 따라 A(θ3 = trans, θ4 = gauche), B(θ3 = gauche, θ4 = gauche-), C(θ3 = gauche-, θ4 = trans) 세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용매의 유전상수와 표면장력을 변수로 하여 DOPC의 골격 구조 변화를 살펴본 결과, 유전상수가 증가할수록, 표면장력이 클수록 B 구조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그 이유는 B 구조의 solvation 에너지가 A에 비해서 더 크고, 표면적이 A에 비해서 작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추후 인지질 구조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8742323067",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742323067.pdf", "abstract_en": "Recently, as the occurrence of earthquakes with a magnitude of 5.0 or higher in Korea increases, many studies and interests in seismic design are increasing. A lot of damage was caused by the Pohang earthquake in 2017, and port facilities such as a breakwater were also damaged. This study analyzed the dynamic behavior of the upright breakwater, an external facility, based on a centrifugal model experiment. A series of centrifugal model test was conducted by three different seismic waves such as Pohang Earthquake Wave, Artificial Wave I, and II. As a result, the dynamic behavior of upright breakwater was analyzed. The review showed that acceleration amplification tends to be suppressed as breakwater foundation ground increases support and stiffness through DCM reinforcement and riprap replacement.", "abstract": "최근 국내에 리히터 규모 5.0 이상의 지진의 빈도수가 늘어남에 따라 지진피해가 늘어나면서 내진설계에 대한 많은 연구와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발생한 포항지진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고, 항만시설물 또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구조물 중 외곽시설인 직립식 방파제의 지진 시 발생하는 동적 거동을 원심모형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사법칙을 적용한 직립식 방파제 모형에 포항지진파, 인공지진파 I, II의 총 세 가지 지진파를 적용하고, 지반에 대하여 DCM보강, 사석치환의 두 가지 방식의 보강을 한 경우를 고려하여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획득한 지진 시 직립식 방파제의 동적 거동에 대하여 가속도, 수평·수직 변위를 분석하여 내진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방파제 기초지반이 DCM보강 및 사석치환을 통해 지지력 및 강성이 높아짐에 따라 가속도 증폭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id": "JAKO202121061659479",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06165947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l dam were analyzed during water level fluctuations through a numerical analysis model, and the reservoir safety management plan was prepared. The variation in plastic deviatoric strain, horizontal displacement, stress path, pore water pressure, etc., due to elevation of water level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shell and core were analyzed using numerical analysis software, viz. GTS NX and LIQCA. The analysis results manifest that as the water level in the dam body increases rapidly, the pore water pressure and displacement also increase quickly. It was found that the elevation of the water level causes an increase in pore water pressure in the dam body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saturation of the dam body and decreased effective stress. It is considered that this type of dam behavior can be the cause of the reduction of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dam. Also, it is assumed that the accumulated plastic deviatoric strain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dam body caused by water infiltration causes an increase in displacement.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results of analyses of the existing reservoir safety diagnosis techniques, an improvement plan for dam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on criteria was proposed,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imary data while revising dam safety diagnosis guidelin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모형을 통하여 수위변동시 필댐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저수지의 안전관리 방안을 고찰하였다. 수치해석 프로그램(GTS NX 및 LIQCA)을 이용하여 필댐의 상·하류측 Shell 및 Core에서 수위승강에 따른 소성전단변형률, 수평변위, 응력경로, 간극수압 등을 분석하였다. 제체의 거동을 분석한 결과, 제체 내의 수위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면 간극수압 및 변위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수위의 상승은 제체 내의 간극수압 증가와 제체의 포화도 증가를 유발하며, 제체의 유효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위승강 시 필댐의 거동 특성은 제체의 강도 및 강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침투로 인해 발생하는 제체의 변형에 의해 소성전단변형률이 축적되어 변위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저수지의 정밀안전진단 상태평가 기준 개선안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저수지 안전진단지침 개정안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21061658479",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06165847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o solve a problem that cannot consider the contribution effect of each layers when the apparent earth pressure in homogeneous ground is applied to multi-layered ground, the measured earth pressures at World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pparent earth pressure in mulit-layered ground is different from single ground and that the extra layer's contribution to the earth pressure cannot be considered. The conventional method of calculating the apparent earth pressure for single ground was extended to mulit-layered ground, and proposed and verified the applicable method for both single and mulit-layered ground. The proposed methods predicted the earth pressure closer to the measurements at the excavation depth of 0.1Z/H or below, and the prediction reliability was evaluated to be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mong the proposed methods, the method of considering the area ratio of the active failure has a geotechnical validity and predicts the most similar results to the actual earth pressure.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s, it was presen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proposed methods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for the actual case.", "abstract": "단일지반에서의 경험토압을 다층지반에 적용할 때 각 지층이 토압에 기여하는 효과를 고려할 수 없는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국내외에서 지반굴착시 측정된 토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다층지반의 토압은 단일지반의 경험토압과 상이하고, 대표 토질이 아닌 지층의 토압 기여 효과를 고려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일지반에 대한 경험토압 산정방법을 다층지반까지 확장하여 단일지반과 다층지반 모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제안방법은 굴착심도 0.1Z/H 이하에서 실측값에 더 근접한 토압을 예측하는 등 기존 단일지반의 토압보다 예측 신뢰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안방법 중 주동상태에서의 파괴면적비를 고려하는 방법이 지반공학적 타당성을 갖추고도 실측토압과 가장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제안방법의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실제 설계사례에 대해 제안방법과 기존 방법의 설계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id": "JAKO202121061660479",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061660479.pdf", "abstract_en": "This paper deals with the reinforcement performance of acrylate for reinforcing the settled railway roadbed. Concrete tracks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track maintenance costs and high resistance to track destruction. However, roadbed settlement is occurring in some construction sections, and the safety of railways is a serious concern because of difficulties in maintenance. Currently, maintenance through the track restoration method is being carried out in Korea as a way of roadbed settlement in concrete tracks, but continuous re-settlement can occur because the roadbed itself cannot be reinforced, and there are very few cases of reinforcement of railway roadbeds and field application. So the development of reinforcement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to reinforce railway roadbeds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paper, acrylate was selected as reinforcement material for railway roadbed, and the reinforcement performance of acrylate was analyzed through experiment.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acrylate can penetrate into a permeability coefficient of 1×10 cm/sec, and secure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of 0.5 MPa/30min or more and stiffness of 80 MPa or mor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침하된 철도노반 보강을 위한 아크릴레이트의 보강 성능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콘크리트궤도는 궤도유지보수 비용의 절감과 궤도파괴에 높은 저항력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콘크리트궤도에서의 노반침하가 발생하고 있고, 이에 대한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철도 운행에 안전이 우려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콘크리트궤도의 노반침하에 대한 방안으로 궤도복원공법을 통한 유지보수를 시행중에 있지만 노반 자체를 보강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재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철도노반 보강에 대한 연구 및 현장적용 사례는 극히 드물어 철도노반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료 및 공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철도노반의 보강재료로 아크릴레이트 약액을 선정하였으며, 실내실험을 통해 아크릴레이트 약액의 보강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10 cm/sec 투수계수에 침투가 가능하며, 일축압축강도 0.5MPa/30min, 강성 80MPa 이상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d": "JAKO20211946501202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465012023.pdf", "abstract_en": "Recently, the surface temperature in the seas around Korea has been continuously rising. This temperature rise causes changes in fishery resources and affects leisure activities such as fishing. In particular, high temperatures lead to the occurrence of red tides, causing severe damage to ocean industries such as aquaculture. Meanwhile, changes in sea temperature are closely related to military operation to detect submarines.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diffraction, refraction, or reflection of sound waves used to detect submarines varies depending on the ocean mixed layer. Currently, research on the prediction of changes in sea water temperatur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existing research is focused on predicting only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ocean, so it is difficult to identify fishery resources according to depth and apply them to military operations such as submarine det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edicted the temperature of the ocean mixed layer at a depth of 38m by using temperature data for each water depth in the upper mixed layer and meteorological data such as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and sunlight that are related to the surface temperature. The data used are meteorological data and sea temperature data by water depth observed from 2016 to 2020 at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prediction, LSTM (Long Short-Term Memory), which is known to be suitable for time series data among deep learning technique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the daily prediction, the RMSE (Root Mean Square Error) of the model using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and sunlight data together was 0.473. On the other hand, the RMSE of the model using only the surface temperature was 0.631.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model using meteorological data together shows better performance in predicting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ocean mixed layer.", "abstract": "최근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수온 상승은 어족자원의 변화를 일으켜 낚시와 같은 레저활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특히 고수온은 적조 발생으로 이어져 양식업과 같은 해양산업에 극심한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한편 수온 변화는 잠수함을 탐지하는 군사작전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는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한 음파가 수온층에 따라 회절, 굴절 및 반사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해양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성을 가지는 해양 수온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해수면 온도만을 예측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어 수심별 어족자원의 변화나 잠수함 탐지와 같은 군사분야 활용이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심별 수온자료 및 해수면 온도와 상관관계를 가지는 기온, 기압, 일조량 등의 기상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여 수심 38 m 혼합층의 수온을 예측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관측한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상 데이터와 수심별 수온 자료이며, 예측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딥러닝 기법 중 시계열 자료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1시간 예측을 기준으로 기온과 기압, 일조량 자료를 함께 활용한 모델의 RMSE(Root Mean Square Error)는 0.473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수면 수온만을 활용한 모델의 RMSE는 0.631로 나타나 기상데이터를 함께 활용한 모델이 상부 혼합층 수온 예측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9465002021",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465002021.pdf", "abstract_en": "As the domestic chemical industry continues to develop, handling and transportation of chemicals increases every year. Road freight in Korea accounts for more than 90%, and most of the chemical transportation is done through roads. These chemical vehicles can lead to major accidents if accidents occur. Transportation vehicles are likely to cause water pollution and soil pollution, which are factors of environmental damage, as well as traffic accidents that are the primary damage. In this work, we write a scenario for hydrogen chloride gas leakage by setting Banpo IC and Seocho IC sections as research areas, and use the ALOHA program to measure the predicted distance and analyze the time when hydrogen chloride gas reach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addition, risk assessment using population density was carried out for areas of damage caused by time using GIS. This suggests the need fo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in areas of damage.", "abstract": "국내의 화학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화학물질의 취급량과 운송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도로 화물운송은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화학물질 운송도 대부분 도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화학물질 운송차량들은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운송차량은 1차 피해인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2차 피해인 환경 피해 요인들인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반포IC와 서초IC 구간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여 염화수소 가스 누출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ALOH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예측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에 따라 염화수소 가스가 도달한 시간을 분석하였다. 또한 GIS를 이용해 시간별로 발생한 피해 영역에 대해서 인구밀도를 이용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피해 영역에 대해서 예방·대응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946501502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465015024.pdf", "abstract_en": "The land cover map is a very important data that is used as a basis for decision-making for land policy and environmental policy. The land cover map is mapped using remote sensing data, and the classification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acquisition time of the data used even for the same area.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limit of single-period data, multi-series satellite images were used to learn the difference in the spectral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surface according to seasons on a U-Net model, one of the deep learning algorithms, to improve classification accuracy. In additio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classification accuracy is compared by comparing the accuracy of single-period data. Seoul, which consists of various land covers including 30% of green space and the Han River within the area, was set as the research target and quarterly Sentinel-2 satellite images for 2020 were aquired. The U-Net model was trained using the sub-class land cover map mapp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s a result of learning and classifying the model into single-period, double-series, triple-series, and quadruple-series through the learned U-Net model, it showed an accuracy of 81%, 82% and 79%, which exceeds the standard for securing land cover classification accuracy of 75%, except for a single-perio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lassifica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through multi-series classification.", "abstract": "토지피복도는 국토정책, 환경정책을 위한 의사결정 근거 자료로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토지피복도는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하여 제작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데이터의 취득 시기에 따라 동일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더라도 분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시기 데이터의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다중시기 위성영상을 활용하였으며 계절에 따른 지표면의 분광 반사 특성 차이를 딥러닝 알고리즘의 하나인 U-Net 모델에 학습시켜 분류하였다. 또한 단시기 분류 결과와 정확도 비교를 통해 분류 정확도의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구역 내에 30%의 녹지와 한강을 포함하여 다양한 토지피복으로 이루어진 서울특별시를 연구대상지로 설정하고 2020년 분기별 Sentinel-2 위성영상을 산출하였다. 대한민국 환경부에서 작성한 세분류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U-Net 모델을 학습시켰다. 학습한 U-Net 모델을 통해 단시기, 2시기, 3시기, 4시기로 모델을 학습하여 분류한 결과, 단시기를 제외하고 토지피복도 분류 정확도 확보기준인 75%를 상회하는 81%, 82% 79%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다중 시계열 학습을 통해 토지피복의 분류 정확도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946500802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465008022.pdf", "abstract_en": "Remote sensing techniques using drone-based multispectral image were studied for fast and two-dimensional monitoring of algal blooms in the river. Drone is anticipated to be useful for algal bloom monitoring because of easy access to the field, high spatial resolution, and lowering atmospheric light scattering. In addition, application of multispectral sensors could make image processing and analysis procedures simple, fast, and standardized. Spectral indices derived from the active spectrum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terrestrial plants and phytoplankton were tested for estimating chlorophyll-a concentrations (Chl-a conc.) from drone-based multispectral image. Spectral indices containing the red-edge band showed high relationships with Chl-a conc. and especially, 3-band model (3BM) and normalized difference chlorophyll index (NDCI) were performed well (R =0.86, RMSE=7.5). NDCI uses just two spectral bands, red and red-edge, and provides normalized values, so that data processing becomes simple and rapid. The 3BM which was tuned for accurate prediction of Chl-a conc. in productive water bodies adopts originally two spectral bands in the red-edge range, 720 and 760 nm, but here, the near-infrared band replaced the longer red-edge band because the multispectral sensor in this study had only one shorter red-edge band. This index is expected to predict more accurately Chl-a conc. using the sensor specialized with the red-edge range.", "abstract": "신속하게 면단위(2-Dimension)로 하천의 녹조 우심지역을 관측하기 위해 드론 다중분광영상을 이용한 분석기법을 연구하였다. 드론은 항공기나 위성에 비해 관측 면적이 작지만 높은 공간해상도와 현장접근 및 데이터 획득 용이성, 대기에 의한 간섭 저감, 다중분광센서를 이용한 신속한 자료처리로 녹조 모니터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드론의 다중분광센서 영상으로 하천의 녹조발생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광합성 색소에 의한 분광특성을 반영하는 분광지수들을 비교 분석하고 Chlorophyll-a(Chl-a) 농도 추정식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주로 Red-edge 밴드를 포함하는 분광지수가 Chl-a 농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그 중에서도 3-Band Model(3BM), Normalized Difference Chlorophyll Index(NDCI)가 각각 비슷한 수준으로 가장 높은 통계적 유의성(R =0.86, RMSE=7.5)을 나타내었다. NDCI의 경우에는 두 개의 분광밴드만 적용되는 간결한 수식과 정규화된(Normalizing) 결과값으로 신속하고 표준화된 프로세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드론 녹조 모니터링에서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3BM의 경우에는 Red-edge 영역에서 두 개의 파장대를 적용해야 하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드론 센서에는 한 개의 Red-edge 밴드만 포함되어서 근적외선으로 대체하여 수식을 적용하였는데 Red-edge 파장영역이 세밀한 분광센서를 활용할 경우에 NDCI 보다 높은 정확도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d": "JAKO20211946500702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465007022.pdf", "abstract_en": "The coastal areas around Palau Island and Tonga Island, near the Pacific equator, consist of coral reefs, mangrove and seaweed. In particular, understand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sea surface water in coral reef habitats helps improve the accuracy of remote sensing based habitat mapping and identify tropical ecosystem characteristics. Here, we collecte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ea surface water of Palau Island and Tonga Island and analyzed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matters, absorption coefficient, and remote sensing reflectance to understand the seawater characteristics of the coral reef habita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spended matter concentration analysis, we developed and verified an empirical algorithm to derive the concentration from satellite data using remote sensing reflectance of three bands, 555, 625, 660 nm, showed a high determinant coefficient, 0.98. In conclusion, coral reef habitats in tropical regions are characterized by CASE-I water in terms of the marine optics with oligotrophic properties, and require monitoring using continuous collection and analysis of field data.", "abstract": "태평양 적도 부근에 위치한 팔라우섬과 통가섬 주변 연안해역은 산호초와 맹그로브 및 해초지로 구성된 해역이다. 특히, 산호초 서식지의 표층 해수의 광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원격탐사 기반의 서식지 분류의 정확도를 높이고, 열대해역 생태계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팔라우섬과 통가섬 산호초 서식지의 해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해수 표면의 파장별 분광특성 자료를 수집하고, 해수 표층의 부유물 농도, 흡광계수 및 원격반사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부유물 농도 분석 결과에 의거 위성자료 기반 부유물 농도 추정 경험적 알고리즘을 개발 및 검증하였으며, 555, 625, 660 nm 세 개 밴드를 이용한 원격반사도 밴드비와 부유물 농도의 결정계수가 0.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이 열대해역의 산호초 서식지는 해양광학적으로 빈영양성의 CASE-I 해수 성향이 강하며, 현장자료의 지속적인 수집과 분석을 이용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946499902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9464999020.pdf", "abstract_en": "In order to correct the provided RPC and DEM generated from th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the acquisition of the ground control point (GCP) must be preceded. This task is a very complicate that requires field surveys, GPS surveying, and image coordinate reading corresponding to GCPs.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set up and measure a GCP in areas where access is difficult or impossible (tidal flats, polar regions, volcanic regions, etc.), an alternative method is nee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3D surface matching technique using only the established ground coordinate package, avoiding the ground-image-location survey of the GCP to correct the DEM produced from WorldView-2 satellite images and the provided RPCs. The location data of the public control points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ebsite, and the DEM was corrected by performing 3D surface matching with this package. The accuracy of 3-axis translation and rotation obtained by the matching was evaluated using pre-measured GPS checkpoint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tain results within 2 m in the plane location and 1 m in height.", "abstract": "고해상도 스테레오 위성영상에서 제공되는 초기 RPC의 보정과 이로부터 생성된 DEM 보정을 위해서는 지상기준점 획득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준점 획득은 현장답사와 GPS 측량, 지상기준점에 대응하는 영상좌표 독취 등을 수행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그리고 접근이 힘들거나 불가능한 지역(갯벌, 극지대, 화산지대 등)에는 기준점 설치와 측정이 힘들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WorldView-2 위성영상과 초기 RPC로부터 제작된 DEM 보정을 위해 기준점의 지상좌표와 영상좌표 측량을 피하고 기 구축된 지상좌표 패키지만을 활용한 3차원 표면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에서 공공삼각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제작된 DEM과 3차원 표면매칭을 실시하여 DEM을 보정하였다. 3차원 표면매칭으로 얻은 3축 이동과 회전량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검사점으로 확인한 결과 평면오차는 2 m, 수직오차는 1 m 이내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d": "JAKO202111268730872",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68730872.pdf", "abstract_en": "This study applied reference metadata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GRU-CRF model based on pre-trained language mode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161,315 references extracted by 53,562 academic documents in PDF format collected from 40 journals published in 2018 based on rules. In order to construct an experiment se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utomatically extract the references from academic literature in PDF format. Through this study, the language model with the highest performance was identified, and addition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model to compar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raining set. Finally, the performance of each metadata was confirm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사전학습 된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양방향 게이트 순환 유닛 모델과 조건부 랜덤 필드 모델을 활용하여 참고문헌을 구성하는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은 2018년에 발행된 학술지 40종을 대상으로 수집한 PDF 형식의 학술문헌 53,562건을 규칙 기반으로 분석하여 추출한 참고문헌 161,315개이다. 실험 집합을 구축하기 위하여 PDF 형식의 학술 문헌에서 참고문헌을 분석하여 참고문헌의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연구를 함께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낸 언어 모델을 파악하였으며 해당 모델을 대상으로 추가 실험을 진행하여 학습 집합의 규모에 따른 인식 성능을 비교하고 마지막으로 메타데이터별 성능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0463369869",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69.pdf", "abstract_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peration management strategy for the connectivity which are the designated and managed in sector of the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on the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s. The industrial structure is becoming advanced. The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managed by the shows forms of the cooperative connection and collaborative R&D. Also, in-depth and specific analysis for the disaster safety budget are implemented to consideration for the R&D life cycle. The government responsibility are expanded comprehensively. Needs are exchanging life styles by the economic and safety demands. At this trends, this study encourage facility maintenance and scientific management to the public service. Throughout the result of this study,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are implementing for protection plan of the sustain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we have to prepare and implement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through comprehensive guidelin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y proposed an operation strategy of the cooperative connection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 sector on the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송분야 국가핵심기반 지정 및 관리시 연계성을 고려한 운영관리 전략을 제안한다. 산업구조가 고도화됨에 따라 국가핵심기반은 교통수송분야 연구개발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교통수송분야의 연계 협업형 연구개발 계획과 심층분석을 적용하였다. 국가경제나 국민생활의 활동이 사회의 요건에 밀착되는 등의 포괄적인 국가안전과 국민의 안전 요구 증대로 정부의 책임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의 특징은 유지관리의 필요성과 국가의 책무인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를 수행하였다. 이에, 교통수송분야 국가 핵심기반은 지속가능한 유지·관리를 위한 보호계획 수립과 가이드라인을 고려하여 작성·시행한다. 본 연구는 교통수송분야의 국가핵심기반 지정·관리시 연계성을 고려한 운영 전략을 제안함으로서 효율적인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에 기여한다."} {"id": "JAKO20211046336985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50.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KITNESS, a windows application that feeds back the accuracy of fitness motions based on Kinect sensors. The feature of this application is to use Kinect's camera and joint recognition sensor to give feedback to the user to exercise in the correct fitness position.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Kinect is measured using Kinect's IR Emitter and IR Depth Sensor, and the joint, which is the user's joint position, and the Skeleton data of each joint are measured. Using this data, a certain distance is calculated for each joint position and posture of the user, and the accuracy of the posture is determined. And it is implemented so that users can check their posture through Kinect's RGB camera. That is, if the user's posture is correct, the skeleton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 green line, and if it is not correct, the inaccurate part is displayed as a red line to inform intuitively. Through this application, the user receives feedback on the accuracy of the exercise position, so he can exercise himself in the correct position. This application classifies the exercise area into three areas: neck, waist, and leg, and increases the recognition rate of Kinect by excluding positions that Kinect does not recognize due to overlapping joints in the position of each exercise area. And at the end of the application, the last exercise is shown as an image for 5 seconds to inspire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o continuously exercis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키넥트 센서를 기반으로 한 휘트니스(Fitness) 동작의 정확성을 피드백 하는 윈도우 애플리케이션 KITNESS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은 키넥트의 카메라와 관절 인식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휘트니스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주는 것이다. 이때 키넥트의 IR Emitter와 IR Depth Sensor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키넥트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관절 위치인 조인트(Joint)와 각 관절의 스켈레톤(Skeleton) 데이터를 측정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절 위치와 자세마다 일정 거리를 계산하고 자세의 정확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키넥트의 RGB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본인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즉, 사용자의 자세가 정확하면 스켈레톤 정보를 초록색 선으로 표시하고, 정확하지 않으면 정확하지 않은 부분을 빨간색 선으로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알려준다. 사용자는 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운동하는 자세의 정확도를 피드백 받기 때문에 혼자서도 정확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운동 부위를 목, 허리, 다리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운동 부위의 자세에서 관절이 겹쳐서 키넥트가 인식하지 못하는 자세를 제외함으로써 키넥트의 인식률을 높인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에는 마지막 운동 모습을 이미지로 5초간 보여줌으로써 성취감을 고취시키고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id": "JAKO202110463369873",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73.pdf", "abstract_en": "In recent machine learning studies, in order to consider the quality and completeness of data, derivation of non-functional requirements for data has been proposed from the viewpoint of requirements engineering. In particular, requirements engineers have defined data requirements in machine learning. In this study, data requirements were derived at the data acquisition (DAQ) stage, where data is collected and stored before data preprocessi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requirements of all data required in the existing DAQ system, the presence of tasks (functions) satisfying th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quirements and function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icit requirements and to define the relationship, so that a software design document can be produced, and a systematic approach and direction can be established in terms of software design and maintenance. This research using existing DAQ system cases, scenarios and use cases for requirements engineering approach are created, and data requirements for each case are extracted based on th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quirements, functions, and goals is illustrated through goal modeling.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extract the non-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system, especially the data requirements, from the DAQ system using requirements engineering.", "abstract": "최근의 기계 학습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품질 및 완전성을 고려하기 위해 요구 공학 관점에서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구사항 도출이 제안되고 있으며, 특히 기계 학습에서의 데이터 요구사항을 요구 공학자들이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전처리 이전에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DAQ) 단계에서 데이터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DAQ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데이터 요구사항과 이를 만족시키는 태스크(기능)의 유무, 그리고 요구사항과 기능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표현하고, 그 관계를 정의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 설계 문서의 작성이 가능하고 소프트웨어 설계 및 유지 보수 측면에서 체계적인 접근 및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DAQ 시스템 사례를 이용하여 요구 공학적 접근을 위한 시나리오와 유스 케이스(Use case)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례별 데이터 요구사항을 추출하고 목표 모델링을 통해 요구사항, 기능, 목표 간의 관계를 도식화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요구 공학을 이용한 DAQ 시스템에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비기능적 요구사항, 특히 데이터의 요구사항을 추출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046336988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85.pdf", "abstract_en": "Raising large numbers of animals in very narrow environments such as laying hens house can be very damaged from small environmental change. Previously researched about laying hens sound analysis system has a problem for applying to the laying hens house because considering only the limited situation of laying hens house. In this paper,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 a new laying hens sound analysis model using MFCC feature vector. This model can detect 7 situations that occur in actual laying hens house through 9 kinds of laying hens soun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posed laying hens sound analysis model, the average AUC was 0.93, which is about 43% higher than that of the frequency feature analysis method.", "abstract": "산란계사와 같이 매우 좁은 환경에서 많은 개체를 사육하는 경우 작은 환경 변화에도 큰 피해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끊임없이 소리를 발생하는 산란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산란계 발성음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산란계 발성음 시스템은 산란계사의 제한된 상황만을 고려하거나 실제 산란계사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MFCC 특징 벡터를 이용한 9가지의 산란계 소리 분석을 통해 실제 산란계사 환경에서 발생하는 수 있는 7가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산란계 발성음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분석 모델을 실제 산란계사에서 성능 평가를 진행한 결과, 평균 AUC 0.93의 분류 성능을 나타내어 기존의 주파수 기반의 특징 분석 방법에 비해 약 43%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id": "JAKO202110463369889",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89.pdf", "abstract_e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YouTube use motivation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affect the compulsive YouTube usage and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113 response data obtain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college students in Seoul were used for structural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perceived useful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Second, compulsive YouTube usage has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Third, perceived enjoyment was identified as a factor that plays a role like pharmakon. Th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learning strategies that control the degree of perceived enjoyment as well as the instrumental use of perceived usefulness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튜브 이용의 주요한 동기 요인인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이 강박적 유튜브 사용 및 대학생의 학업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서울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113건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첫째, 인지된 유용성은 학업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박적 유튜브 사용이 높을수록 학업 적응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인지된 즐거움은 학업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강박적 유튜브 사용을 높이는 파르마콘과 같은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학업 적응을 높이기 위해 유용성의 도구적 이용뿐만 아니라 인지된 즐거움의 정도를 조절하는 학습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id": "JAKO202110463369893",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93.pdf", "abstract_en": "Korean police have been established as a national police system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and have been operated as a centralized police system for a long time, and a police committee was established under the enactment of the Police Act in 1991. However,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has a problem that it cannot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original National Police Commission because it is only a simple advisory body, not an institution that reviews and decides major policies related to police administration. As a result, despite the passage of a full amendment to the Police Act in 2020 and the revision of the Act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National Police and Local Police, operational and compositional problems still exis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and problems of the police committee system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abstract": "우리나라 경찰은 광복 이후 국가경찰제도로 자리 잡아 오랜 기간 동안 중앙집권적 경찰제도로 운영되어 왔으며, 1991년 「경찰법」의 제정으로 경찰위원회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경찰위원회는 경찰행정과 관련된 주요정책 등을 심의·의결하는 기관이 아닌 단순 자문기관에 불과한 것으로 본래의 국가경찰위원회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2020년 「경찰법」 전부개정안이 통과되어 법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로 변경·개정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운영상, 구성상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위원회제도의 운영현황 및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id": "JAKO20211046336990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00.pdf", "abstract_en": "The measures to extend local education autonom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confusion of the legal system of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 For this, Article 12, Paragraph 2 and 4 of the 「Special Act on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and Restructuring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which state that \"The State shall endeavor to consolidate systems for autonomy in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autonomy in education an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hall be prescribed separately by Acts\" should be dele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clarify unnecessary legal matters and regulatory measures for unific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proactively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legal trust system, in which education affairs are designated as local governments' own work and the state carries out specific affairs. The decentralization of local education finance is a key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it requires the transfer of authority and resources to the region, and the enhancement of local autonomy and corresponding responsibility. First, the ratio of special grants must be adjusted further (from 3% to 2%) or the ratio of national policy projects must be lowered. Second, the provision that requires a consultation with a mayor/governor when making a budget covered by transfers from general accounts should be delet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elements that limit the authority of city and provincial councils. Fourth,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national education tax and the local education tax to create the education autonomy tax (tentative name) for only one independent purpose. Fif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distribution of the total amount of grants and abolish the settlement regulations for the measurement items of standard financial demand. Sixth is the expansion of the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and experts in the grant distribution process. Seven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ng-term employment system by designating the education finance field as a special field. Eight is the expansion of cooperative governance.", "abstract": "지방교육자치사무권 확대방안으로는 첫째, 지방교육자치제의 법체계의 혼란을 시정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12조 제2항과 제4항에서 \"국가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통합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교육자치와 자치경찰제도의 실시에 관하여는 따로 법률로 정한다.\"고 한 규정은 폐지되어야 한다. 둘째, 국가수준에서 통일을 기하여야 할 불요불급한 법령사항 및 규제조치를 명료히 할 필요가 있고, 교육사무를 기본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고유사무로 하고 특정사무에 대하여 국가가 수행하는 법정수탁사무제의 도입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지방교육재정의 분권화는 지방교육자치제도 발전을 위하여 재원과 권한의 이양, 자율성 제고, 책임성이 요청된다. 첫째, 특별교부금 비율의 추가 조정(3%에서 2%) 또는 내 국가시책사업 비율의 하향 조정이다. 둘째, 세출예산을 편성할시 (일반회계로부터의 전입금으로 충당) 시·도지사와 협의한다는 조항을 삭제한다는 것이다. 셋째, 시·도의회의 권한을 제약하는 요소 제거이다. 네째, 국세교육세와 지방교육세를 통합하여 하나의 독립 목적세인 교육자치세(가칭)를 만들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부금 총액배분 강화와 기준재정수요 측정항목에 대한 정산규정의 폐지이다. 여섯째, 교육부의 교부금 교부과정에 관계자 및 전문가 참여 확대 방안이다. 일곱째, 교육재정분야를 특수분야로 지정하여 장기보직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협력적 거버넌스 확대이다."} {"id": "JAKO202110463369904",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04.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cy of child-friendly city creatio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child-friendly city creation and the creation of child-friendly city. For this purpose,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ertification of child-friendly cities was analyzed for children of local governments certified as child-friendly c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actors in the six major areas of child-friendly city creation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regional satisfaction, living satisfaction, and happines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necessity of creating a child-friendly city and the direction related to the creation of a child-friendly city were presented. We also present the limitations of our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challenges.",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친화도시조성의 효과와 관련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아동친화도시조성의 효율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아동친화도시로 인증 받은 지방자치단체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아동친화도시의 인증 전·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친화도시조성의 6대 영역의 요인들은 아동의 지역만족, 생활만족,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아동친화도시조성의 필요성과 발전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id": "JAKO20211046336984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46.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person re-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three-dimensional RGB-Depth Xtion2 camera considering joint coordinates and dynamic features(velocity, acceleration). The main idea of the proposed identification methodology is to easily extract gait data such as joint coordinates, dynamic features with an RGB-D camera and automatically identify gait patterns through a self-designed on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lassifier(1D-ConvNet). The accuracy was measured based on the F1 Score, and the influence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accuracy with the classifier model (JC) that did not consider dynam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ur proposed classifier model in the case of consider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JCSpeed) showed about 8% higher F1-Score than JC.",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3차원 RGB-D Xtion2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골격좌표를 추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적인 특성(속도, 가속도)을 함께 고려하여 딥러닝 모델을 통해 사람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핵심목표는 RGB-D 카메라로 손쉽게 좌표를 추출하고 새롭게 생성한 동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자체 고안한 1차원 합성곱 신경망 분류기 모델(1D-ConvNet)을 통해 자동으로 보행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다. 1D-ConvNet의 인식 정확도와 동적인 특성이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확도는 F1 Score를 기준으로 측정하였고, 동적인 특성을 고려한 분류기 모델(JCSpeed)과 고려하지 않은 분류기 모델(JC)의 정확도 비교를 통해 영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적인 특성을 고려한 경우의 분류기 모델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F1 Score가 약 8% 높게 나타났다."} {"id": "JAKO20211046336983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31.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optimized media data retrieval and transmission based on the Hybrid CDN/P2P architecture and selective storage through user's prediction of requestability enable seamless data transfer to users and reduction of unnecessary traffic. We also propose a new media management method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transmission delay and packet loss so that media can be utilized in real time. To this end, we construct each media into logical segments, continuously compute weights for each segment, and determine whether to store segment data based on the calculated weights. We also designate scattered computing nodes on the network as local groups by distance and ensure that storage space is efficiently shared and utilized within those groups. Experiments conducted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technique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a relatively good performance evalu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which can enable both initial latency reduction and seamless transmissio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Hybrid CDN/P2P 구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미디어 데이터 탐색과 전송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요청 가능성 예측을 통한 선별적 저장을 통해 사용자로의 끊김없는 데이터 전송과 불필요한 트래픽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송지연 및 패킷 손실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실시간으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미디어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각 미디어를 논리적인 세그먼트로 나누어 구성하고 각 세그먼트에 대한 가중치를 지속적으로 계산하며 계산된 가중치에 따라 세그먼트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상에 산재되어 있는 컴퓨팅 노드들을 거리에 따라 지역적 그룹으로 지정하고 해당 그룹 내에서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활용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식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비교적 좋은 성능 평가가 도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전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초기 지연시간 감소와 끊김 없는 전송 모두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d": "JAKO20211046336989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9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about emotional labor of sales service workers.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PASW 18.0 program using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ales service workers had higher deep acting than the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econd, it was found that altruism differed according to working period, conscientiousness according to gender, and work-family conflic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and average customer response time per day. Third, the higher the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the higher the altruism. And the higher the deep acting, the less job burnout and work-family conflict decreased, and the altruism and conscientiousness increase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related to emotional labor,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was the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bstract": "본 연구는 판매서비스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판매서비스직 종사자들은 감정노동의 표면행동보다 내면행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타주의는 근무경력에 따라, 양심행동은 성별에 따라, 직장-가정 갈등은 연령, 결혼여부, 1일 평균 고객 응대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의 표면행동이 높을수록 이타주의는 증가하였으며, 내면행동이 높을수록 직무소진과 직장-가정 갈등은 감소하였고, 이타주의와 양심행동은 증가하였다. 넷째,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정노동의 내면행동이었다."} {"id": "JAKO20211046336988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81.pdf", "abstract_en": "The modern pentathlon is an exercise in which people and people compete, as well as exercise without equipment, exercise using equipment, and exercise with animals, and it is an exercise that includes static and dynamic exercise. The ethical issues of modern pentathlon athletes are also related to the poor environment and economic reasons, and the athlete's ethical awareness, attitude, and spiri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athlete's mental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ethical problems, which are different as important issues in modern sports, was examine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explore the sports spirit and ethics of the modern pentathlon. Correct sports should not deviate from the intended purpose of the exercise or cause or force the athlete to suffer physical or mental pain. In sports, compensatoryism can be a direct cause of improved performance or record-breaking, but sometimes it can also cause distorted athletes. Air doping has ethical issues that can cause controversy over the health or fairness of athletes, mental and physical damage to athletes, and harm. Responsibilities and ethical issues of athletes who take prohibited substances or leaders or supervisors who neglect or encourage them should be treated as very important matters. In the sports field, the reward system that is subordinate to the athlete's or leader's performance is related to the athlete's or leader's livelihood. For a fair and just game progression,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development of athletes who are only focused on performance. The problem of Unethical issues must be overcome by emphasizing the restoration of ethics that are reasonably recognized in ideology and logic.", "abstract": "근대5종 경기는 기구 없이 하는 운동과 기구를 사용하는 운동 그리고 동물과 함께하는 운동은 물론 사람과 사람이 경쟁하는 운동뿐만 아니라 정적운동과 동적운동을 포함하는 운동 종목이다. 근대5종 경기 선수들의 윤리적인 문제는 열악한 환경과 경제적 이유와도 관계가 있으며 운동선수의 윤리인식과 태도, 그리고 정신은 스포츠 선수의 심적 환경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스포츠에서 중요한 문제로 다르고 있는 윤리적인 문제들의 개선 방향을 검토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근대5종 경기의 스포츠 정신과 윤리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스포츠에서 보상주의는 경기력 향상이나 기록 갱신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왜곡된 선수상의 형성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에어도핑은 선수의 건강이나 공정성의 논란과 함께 스포츠선수의 정신적 육체적 손상과 폐해를 야기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안고 있다. 금지약물을 복용하는 선수나 이를 방치하거나 종용하는 지도자나 감독자의 책임과 윤리문제는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다루어지고 취급되어야한다.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나 감독 지도자의 경기실적에 종속된 보수체계가 선수나 지도자의 생계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공정하고 정의로운 경기진행을 위해 성과에만 매달리는 선수육성에서 탈피하여 이념과 논리에서 합리적으로 인식되는 윤리성회복을 강조함으로써 비윤리성문제가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id": "JAKO20211046336985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57.pdf", "abstract_en": "Blockchain technology began in 2008 when an unidentified person named Satoshi Nakamoto proposed a cryptocurrency called Bitcoin. Satoshi Nakamoto had distrust of the existing financial system and wanted to implement a financial system that is robust against hacking or mannipulation without a middleman such as a bank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Satoshi proposed a blockchain as a technology to prevent the creation of the bitcoin and forging of transactions, and through this, the functions of issuance, transaction, and verification of currency were implemented. Since then, Ethereum, a cryptocurrency that can implement the smart contract on the blockchain, has been developed, allowing financial products that require complex contracts such as deposits, loans, insurance, and derivatives to be brought into the area of cryptocurrency. In addition, it is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products provided by financial institutions through combination with real assets. These applications are defined as Decentralized Finance (DeFi). This paper was prepared to understand the overall technical understanding of DeFi and to introduce the services currently in operation. First, the technologies and ecosystems that implement the overall DeFi are explained, and then the representative DeFi services are categorized by feature and described.", "abstract": "블록체인 기술은 2008년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신원미상의 인물이 비트코인이라는 암호화폐를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나카모토 사토시는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었고 은행과 같은 중개자 없이도 해킹이나 변조에 견고한 금융시스템을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다. 사토시는 비트코인의 생성과, 거래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블록체인을 제안하였고 이를 통해 화폐의 발행과 거래, 그리고 검증의 기능을 구현하였다. 이후 스마트 계약을 블록체인 상에서 구현할 수 있는 암호화폐인 이더리움이 개발되면서 예금, 대출, 보험, 파생상품 등 복잡한 계약이 필요한 금융상품을 암호화폐의 영역으로 끌어들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실물자산과 결합을 통해 금융 기관이 제공했던 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을 Decentralized Finance(DeFi)라고 정의한다. 본 논문은 전반적인 DeFi의 기술적 이해와 현재 운영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소개를 위하여 작성되었다. 먼저 전반적인 DeFi를 구현하는 기술들과 생태계에 대해서 설명한 후 대표적인 DeFi 애플리케이션들을 특징별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id": "JAKO202110463369839",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39.pdf", "abstract_en": "Esophagogastroduodenoscopy is a method commonly used for early diagnosis of upper gastrointestinal lesions. However, 10-20 percent of the gastric lesions are reported to be missed, due to human error. And countries including the US, the UK, and Japan, the World Endoscopy Organization (WEO) suggested guidelines about essential gastrointestinal parts to take pictures of so that all gastric lesions are observed. In this paper, we propose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classification of anatomical sites, aiming for the system that informs practitioners whether they successfully did the gastroscopy without blind spots. The proposed model uses pre-processing modules and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suitable for gastroscopy images. Not only does the experiment result with a maximum F1 score of 99.6%, but it also shows a error rate of less than 4% based on the actual data. Given the performance results, we found the model to be explainable with the potential to be utilized in the clinical area.", "abstract": "위내시경 촬영은 조기에 위 병변을 진단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위내시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위 내부를 자세히 관찰하지 못해서 10~20% 위 병변을 놓치는 경우가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일부 국가와 세계내시경협회(Wold Endoscopy Organization)에서는 위내시경 시에 맹점 없는 관찰을 위해서 반드시 촬영해야 할 부위에 대한 촬영지침을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련의가 내시경을 하는 데 있어 위 내부를 자동으로 맹점 없이 관찰하는데 필요한 딥러닝 기술인 해부학적 분류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위내시경 이미지에 적합한 전처리 모듈과 데이터 증강 기술들을 사용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최대 F1 점수 99.6% 분류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 데이터를 통한 실험결과에서도 에러율이 4% 미만을 보였다. 이러한 성능을 바탕으로 설명 가능한 모델임을 보여 임상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604713400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34009.pdf", "abstract_en": "The government budget for promoting startup have been skyrocketed as catching up with increasing demands for high-tech startup by disruptive innovation resulted from rapid technology change. However, major trend of startup have still fallen on self-employed type of startup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and fund in spite of desperate government policy efforts. In reality, the access to high-tech startup has been very limited and too high huddle to would-be entrepreneur. This paper implement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 competency and satisfaction level to government support, considering these as the KSF for the growth and success of high-tech startup,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In particular, it focus on defin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high-tech startup through differential proving by the backgrounds of entrepreneur such as major, R&D experience, patent possession, CTO possession. This research carry out survey to 217 entrepreneurs in high-tech company in Daejon and Daegue at R&D Special Innopolis Zon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entrepreneurial achievement competencies, conceptualization competencies, network competencies and market recognition competencies positively affect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and technical competencies, while organizational and technological competencies only positively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government support showe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entrepreneurial achievement competenc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while no significant effect in other competencies. Third, positive differential effect by the technological background of entrepreneur such as Major, R&D experience, patent possession, CTO possession) have been confirmed. This paper deliver several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s, First, it propose classified and systematized entrepreneur competency through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views. Second, it proves the need for the wider spread of team based startup culture rather then sole startup. Third, it also proves the important role of technological background of entrepreneur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high-tech startup.", "abstract": "급속한 기술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혁신을 기반으로 한 기술창업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의 창업지원 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적극적인 창업활성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창업'의 증가, 전문인력 및 자금 수급의 문제 등으로 여전히 기술창업으로의 접근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장 및 성공 창출의 핵심 요인을 창업가의 역량, 정부지원 만족도로 보고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가의 기술적 배경(전공연계성, 연구경험, 특허보유, CTO보유)에 따른 차이검증을 통해 기술창업의 독자적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 7일부터 26일까지 대전, 대구 지역의 연구개발특구와 창업보육센터에 위치한 업력 7년 이내의 기술창업자를 대상으로 217개의 유효 설문을 수집하여 연구 검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업가의 성취역량, 개념화 역량, 네트워크역량, 시장인지 역량은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적 역량과 기술적 역량은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지원만족도는 창업자의 성취역량과 재무성과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 효과를 보인 반면, 다른 역량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자의 기술적 배경(전공연계, 연구 경험, 특허보유, CTO보유)에 따라 차별적인 정(+)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국내외 정책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체계화되고 분류된 기업가 역량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고, 개인 창업보다는 팀 창업을 제고하는 문화가 더욱 확산 되어야 함을 증명하였으며, 기술창업의 독자적인 특성인 기술적 배경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id": "JAKO20211604721104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211047.pdf", "abstract_en": "The question of why do you want to start a \"start?\" Is the most basic step in trying to do something. In other word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degree of confidence in an individual's decision affects the setting of a specific purpose.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riving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goal-oriented behavioral model on college students' self-determination and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through the 5 factor mode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October 01 to November 11, 2019 for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located in Gyeonggi-do, Seoul.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25 par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25 parts with insincere responses or error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4, and reliability, valid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for mediating effect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goal-oriented behavioral model on self-determination showed that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nd positive and negative expect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d not affect. Therefore, the higher the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 higher the university students' self-determination. Second,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goal-oriented behavioral model 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was as follows.). As a result, the higher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ositive expectation, the higher the intention to start up. Third, regression model 1 showed that the behavioral control and positive expectation sentiment among the goal-oriented behavioral mod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Affected. Regression model II added the parameters of the 5 factor model, which increased 2.5% of explanatory power than the first regression model.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ositive expecta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negative expecta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nd among the 5 factor model, open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Affected.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oriented behavior model and intention to start up.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goal-oriented behavioral model of college students is an important variable in implementing self-determination and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In addition, by using his Big 5 personality factors as positive feedback, he has proved to play an important role by identifying the mediation role that can be set, planned and utilized to plan and achieve his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colleg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intention of individual start-ups, so they are not freed from difficult employment difficulties.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useful in the age of creation of government.", "abstract": "'왜?'창업을 하려는 지에 대한 질문은 어떠한 특정의 행동을 하려는 데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어떠한 특정의 목적을 설정함에 있어서 개인은 자신의 결정에 대한 확신의 정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성격 5요인을 매개로 한 대학생의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이 자기결정성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창업교육 방향성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국공립 및 사립 대학교에 재학하면서 벤처 동아리에 소속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01일에서 11월 11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이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긍정적 기대와 부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들의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지각된 행동통제와 긍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회귀모델 I에서는 대학생의 창업의지와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 중에 지각된 행동통제, 긍정적 기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성격 5요인을 매개변수로 투입한 회귀모델 II에서는 지각된 행동통제, 긍정적 기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이 자기결정성 및 창업의지를 실행함에 있어 중요 변인임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자신의 성격 5요인을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기 위해 목표를 세우고 계획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성격을 매개역할이 확인되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증명 되었다."} {"id": "JAKO20211604725106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251067.pdf", "abstract_e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for companies to sec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continue to grow. Korea operates a certification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to promote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and strives to enhance SMEs'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mong these, the representative system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is the New Excellent Technology (NET) certification. NET is certified through a strict three-stage screening process, and is operated for the purpose of commercialization of new technology, technology trading, and promotion of early market entry by companies. Acquiring NET certification means that the company has a certain level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which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of companies affect the success of R&D projects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centering on NET certification system. To verify this, technology strategy, technology planning, systematic R&D process, internal cooperation, and external cooperation activities were set as major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ll variables set in this study individually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R&D project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when looking at a comprehensive level that considers all variables, it was analyzed that systematic R&D process management an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external organization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D project success, and technology strategy establishment and technology planning activities, which are the initial stages of R&D,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innovation-oriented SMEs that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corporate R&D centers and are actively conducting R&D activiti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abstract": "기술혁신 활동은 기업이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활동이다. 우리나라는 기업의 혁신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국가차원에서 인증제도를 운영하며, 중소기업의 글로벌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가운데 기술혁신과 관련된 대표적인 제도가 신기술(NET) 인증이다. 신기술 인증제도는 엄격한 3단계 심사과정을 거쳐 인증하고 있으며, 기업의 신기술 상용화, 기술거래 및 초기시장 진출 촉진 등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신기술 인증을 획득했다는 것은 해당 기업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기술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기업의 어떠한 기술혁신활동이 R&D프로젝트 성공과 경영성과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주요변수로 기술전략, 기술기획, 체계화된 R&D프로세스, 내부협력, 외부협력 활동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 모두 개별적으로 R&D프로젝트 성공과 경영성과 제고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모든 변수를 고려한 종합적인 차원에서 살펴보면, R&D프로젝트 성공을 위해서는 체계화된 R&D프로세스 관리와 외부기관과의 협력 활동이, 경영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연구개발 초기 단계인 기술전략 수립과 기술기획 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운영하고 있으며, 활발히 연구개발(R&D)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혁신지향적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id": "JAKO20211604720604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206045.pdf", "abstract_en": "With the recent increase in senior retirement, and senior start-ups are becoming more active due to high interest in start-ups. Research on young entrepreneurship, including college student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 on senior entrepreneurship was conducted mainly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vironment, and there were not many empirical studi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In this study,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entrepreneurial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e as the influencing factors of senior entrepreneurship.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the founder's competency was adopted as two factors: technical competence and creative competency, and the entrepreneurial support policy was divided into education support and funding support. Mentoring was set as a controlling variabl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A total of 232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seniors in their 40s or older were empirically analyz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SPSS 23 was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3.4 was used for moderation effec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technic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educational support, and funding a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ill of entrepreneurship. It was found that creative competency(𝛽=.318), funding support(𝛽=.188), educational support(𝛽=.152), and technical competence(𝛽=.139), in this order, influence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mentoring was significant between technic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mentoring between educational support, fund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no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senior start-up support policie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nd differentiated start-up support programs by studying the factors of senior start-up capabilities and start-up support policies. It is also believ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ways to increase creative capabilities that have a high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and the expansion of mentoring functions.", "abstract": "최근 시니어의 퇴직이 많아지며 창업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시니어 창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 창업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고 있으나 시니어 창업에 대한 선행연구 대부분은 개인적 특성과 사회 환경에 대한 연구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창업지원정책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 창업의 영향요인으로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자 역량에 대한 연구와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로 창업자 역량을 기술적 역량, 창의적 역량의 두 가지 요인을 채택하였고 창업지원정책은 교육지원, 자금지원으로 구분하였다. 조절변수로 멘토링, 종속변수로는 창업의지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인 40대 이상 시니어들로부터 수집한 총 232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은 SPSS 23, 조절효과는 Process 3.4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술적 역량, 창의적 역량, 교육지원, 자금지원의 요인은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역량(𝛽=.318), 자금지원(𝛽=.188), 교육지원(𝛽=.152), 기술적 역량(𝛽=.139)순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역량 및 창의적 역량과 창업의지 간에 멘토링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교육지원 및 자금지원과 창업의지 간 멘토링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시니어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역량과 창업지원정책을 위주로 창업의지를 활성화하는 영향요인을 연구함으로써 시니어 창업지원정책의 연구와 제도적 보완 그리고 차별화된 창업지원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창업의지에 높은 영향력이 있는 창의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과 멘토링 기능의 확대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604713501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35010.pdf", "abstract_en": "On December 2015,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announced the four key thematic audit review areas, one of them is an appropriation of unbilled revenue. Accounting of unbilled revenue is intertwined with a percentage of completion, that is concerned about discretionary decision by manager. Therefore, if manager motivated by income-increasing manipulation is exaggerating percentage of completion, unbilled revenue is excessively recognized. This problem is caused the serious accounting issues(e.g., shock at a loss for 2013 fiscal year by some construction firms, malpractice of accounting in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 Distrust of accounting was grown because the shipbuild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successively went poor management and bad accounting of them is revealed. Those accounting issues were the trigger for problem recognition of unbilled revenue, they were background for the designation of appropriation unbilled revenue as thematic audit review areas by FS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effectiveness of thematic audit review by empirically analyzing whether designation of thematic audit review makes the firm increases conservative behavior. Conservative accounting is estimated by using Basu(1997) model.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thematic audit review on conservative accounting of unbilled revenue by comparing with reflecting unbilled revenue or not. The sample for test consists of firm-years the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from 2012 to 2017. The test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servative accounting of unbilled revenue after designation of the thematic audit review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e also tested again by classifying whether or not it is construction industry. We found that construction industry is more conservative than the other industry only for the designated year of the thematic audit review, otherwise there was not any evidence for significantly increasing conservatism.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mpirically analysing relationship of the unbilled revenue to the thematic audit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ervatism and verifying effectiveness of the thematic audit review.", "abstract": "2015년 12월 금융감독원은 4대 중점 테마감리분야 중 하나로 미청구공사 금액의 적정성을 지정하였다. 주요한 지정원인 중 하나는 미청구공사 회계처리 시 밀접하게 연관되는 공사진행률이 경영자의 재량적 판단이 반영되어 미청구공사를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만약 경영자가 이익을 상향할 목적으로 진행률을 부풀린다면 미청구공사가 과다하게 인식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2013년 일부 건설업체의 어닝쇼크를 비롯하여 수주산업에서의 회계부실 문제와 같은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던 이슈들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조선업과 건설업의 잇달은 부실과 함께 미청구공사와 관련된 회계 불투명성이 크게 드러나는 등 회계자료에 대한 불신이 증가되었다. 이처럼 미청구공사에 대한 문제 인식은 공사진행률 과대산정을 비롯한 회계적 의혹에서부터 출발하였으며, 미청구공사 과대계상 이슈는 금융감독원이 미청구공사를 테마감리 대상으로 지정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청구공사의 테마감리 지정으로 인해 해당 기업의 보수주의 성향이 증가하였는지 실증분석하여 테마감리 지정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보수주의 성향은 Basu(1997)의 측정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순이익에서 미청구공사의 영향을 반영하기 전과 후로 비교하여 테마감리 지정이 미청구공사의 보수적 회계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의 제조업 및 건설업에 속하는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테마감리 지정 이후에 미청구공사에 대한 보수적 회계처리가 유의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건설업과 그렇지 않은 산업으로 나누어 재검증한 결과 테마감리 지정연도에서 건설업의 보수주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나, 그 외에는 보수주의 증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확장하여 보수주의 관점에서 미청구공사와 테마감리 지정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고 테마감리의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d": "JAKO20211604716902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69026.pdf", "abstract_en": "Recently, universities are being requested to educate a wider range of technical and social skills in order to respond to the government's policy for promoting youth employment and the industrial demand arising from social changes. Accordingly, field practice at universities is being further strengthened. It is important to analyze whether the work experience and information that students gained through field practice can improve their confidence in their career path, and can serve as a motive for not only employment but also start-up after graduation. In this study, the motivational aspect which leads to action by improving students' confidence in their career path i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field practice experience on employ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also analyzed by setting a self-directed career attitude as a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ability, but does not directly affect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elf-directed career attitude of students with experience of field practice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employability. Third, the higher the self-directed career attitude has also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shows the influence of field practice on employ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eyond the limit of the existing research that was divided into employment and start-up.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whether universities can achieve practical results simultaneously in government policy for employment and start-up is also provided.", "abstract": "최근 대학은 정부의 청년고용 활성화 정책 방향과 사회변화에 따른 산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더 넓은 범위의 기술적, 사회적 스킬을 교육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의 현장실습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학생들이 현장실습을 통해 얻은 일 경험과 정보가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졸업 이후에는 취업뿐만 아니라 창업의 동기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현장실습을 통해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킴으로써 그에 따른 결과와 행동을 끌어내는 동기적 측면에 대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장실습 경험이 고용 가능성과 창업 의도에 주는 영향을 자기 주도적 경력 태도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은 고용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창업 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은 자기 주도적 경력 태도가 높을수록 고용 가능성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 주도적 경력 태도가 높을수록 창업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과 창업으로 양분되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대학생의 현장실습 활동이 고용 가능성과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학이 정부의 취·창업지원정책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는지 분석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id": "JAKO20211604715501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55019.pdf", "abstract_en": "This study analyzed the ripple effect of the demand-side support for start-up venture companies on the macro economy using Dynamic General Equilibrium model. In the model, start-up venture companies were expressed in a manner that distinguished between workers and entrepreneurs by applying the span of control in the Lucas(197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the share of public procurement of start-up venture companies was increased from 5.7% to 10%, the actual production of start-up venture companies increased by about 46.17% and the number of venture companies increased by about 150%.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jobs through venture companies increased by about 61.56%.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effect was greatly reduced when the start-up venture company was supported as a subsidy for the supply sector with the same amount as the public procurement support. This is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if the government implements the supply-side support policy, the expansion of supply causes the price of start-up venture companies to fall, reducing the effect of the support policy in half. Therefore, when supporting start-up venture companies,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maximize the policy effect by expanding the demand-side support through public procurement and reducing the payment of simple subsidies to start-up venture companies.", "abstract": "본 연구는 창업벤처기업에 대한 수요 측 지원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모형은 Lucas(1978)의 기업가의 통제범위 모형을 준용한 동태일반균형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창업벤처기업의 공공조달 비중을 5.7%에서 10%로 확대시켰을 때, 창업벤처기업의 실질생산이 약 46.17% 증가하고 벤처기업 수는 약 150%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벤처기업을 통한 일자리는 약 61.56%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공공조달 지원과 동일한 금액을 공급부문에 대한 지원금으로 창업벤처기업에 지원해 줄 경우 경제적 효과는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공급 측 지원 정책을 실시하면 공급 확대가 창업벤처기업제품의 가격 하락을 야기해 지원정책의 효과를 반감시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정부는 창업벤처기업 지원 시 공공조달을 통한 수요 측 지원을 확대하고 창업벤처기업에 대한 단순 지원금 지급을 축소함으로써 정책효과를 극대화 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id": "JAKO20211604720704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207045.pdf", "abstract_en":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made and policies have formulated for an increase in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in Korea is only 50% and much lower than in other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women's continuance intention in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their motivation for economic activities, women's perception of work, and government support recognition. We empirically analyze and examine such fa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women nationwide to be distributed evenly among various age groups, ranging from those in their 20s to those in their 50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on a total of 406 people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economic and self-realization motivation, women's perception of work, and government support was seen as having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women's Continuance Intention in Economic Activities. Second, the impact of women's work perception on their continuance intention in economic activities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family support, and its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between economic and self-realization motivation, government support recognition, and the women's continuance intention for economic activities To increase women's continuance intention for economic activities, both support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polic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Government support will also be needed in order to enable women with abundant experience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abstract":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대한 다양한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현재 50% 수준에 불과하여 주요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실정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로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동기,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 지원제도 등과 같은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대한 영향관계에서 각종 요인들과 가족지지의 조절 효과에 관한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근로여성을 대상으로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근로여성 40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동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및 자아실현 동기 등 경제활동 동기,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 지원제도는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의 일 인식이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지지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지지의 중요성을 통해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id": "JAKO20211604717402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74028.pdf", "abstract_en": "Existing research on the investment relationship between venture capital and start-up companies has mainly focused on choosing a startup from the perspective of venture capital, an investor. However, as competition among venture capital has increased recently, excellent start-ups with proven technology are choosing venture capital in reversely. This study investigated key elements that affect the selection of the venture capital by a startup. To this end, we looked at which venture capital company was selected as the final investor for startups that have received investment proposals from multiple venture capitals at the same time. Six early start-ups(pre-series A/Series A) and five mid-term (Series B/C) start-ups were interviewed to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 three elements regarding venture capital - 1) venture capital reputation, 2) relationship between cofounders and investors, and 3) value adding service provided by venture capital - on choi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vestment portfolio among the reputations of venture capital wa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selecting venture capital.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age and asset under management of venture capital are not important. Relationships have emerged as a very important element. Finally, as for venture capital's value-adding services, start-ups in this study did not consider it important. In particular, consulting and monitoring by venture capital has been found to be a burdening attribute for startup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that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investment by venture capital in the investment market where investment competition is fierce, and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venture capital and startups.", "abstract": "벤처캐피탈과 신생 기업의 투자 관계를 다룬 기존 연구는 주로 투자자인 벤처캐피탈의 입장에서 스타트업을 선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최근 벤처캐피탈 사이의 경쟁이 높아짐에 따라 기술력이 검증된 우수한 스타트업의 경우 역으로 벤처캐피탈을 선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이 벤처캐피탈을 선택할 경우, 벤처캐피탈과 관련된 어떤 요소가 선택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복수의 벤처캐피탈로부터 동시에 투자제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국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어떤 벤처캐피탈 회사를 최종 투자자로 택했는지 살펴보았다. 창업 초기단계(Pre-series A/Series A) 창업가 6명, 중기단계(Series B/C) 창업가 5명을 인터뷰하여 벤처캐피탈의 세 가지 요소: 1) 벤처캐피탈 명성(reputation), 2) 창업자와 투자자와의 관계(Relationship), 3) 벤처캐피탈이 제공하는 가치 증대 활동(Value adding service)이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벤처캐피탈의 명성 중 투자포트폴리오는 매우 중요한 벤처캐피탈의 선정 기준이 되였다. 하지만, 벤처캐피탈의 운용기간과 펀드 운용액은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벤처캐피탈의 가치 증대 활동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특히, 벤처캐피탈의 컨설팅과 모니터링은 오히려 스타트업에게 부담을 주는 요소로 작용했다. 본 연구는 투자 경쟁이 치열한 투자시장에서 벤처캐피탈의 투자 성공 확률을 높여주고, 벤처캐피탈과 스타트업 간의 상호 이해를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id": "JAKO20211604716402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64023.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o examine the process of starting a business in an online shopping mall for young self-employed people with experience in using Company N's Partner Square (Gwangju), a startup infrastructure institution.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survey data were used, and theoretical sampling method was used in the selection of study participants. After proceeding in the order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it was analyzed with a paradigm model.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ven when parents were unaware about online shopping malls or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it, but they had a positive mindset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s, it was found that their children tended to start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es. However, if parents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online shopping malls and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 then the child could not start an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is important as a condition for entrepreneurship and achievement in online shopping malls for young people. In particular, Partner Square (Gwangju) was found to increase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and positively influence startups in online shopping malls. Third, it was found that young people have increased their self-esteem, discovering opportunities, and reinforcing their creativity, in addition to simply increasing their sales after starting the online shopping mall.",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 인프라 기관인 N사의 파트너스퀘어(광주)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년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하는 과정을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을 활용해 규명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심층 면접 조사 자료를 활용했는데, 연구 참여자의 선정에 있어 이론적 표본 추출 (Theoretical Sampling)방식을 사용했으며,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 순으로 진행한 후 패러다임모형으로 분석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는 온라인쇼핑몰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부정적이라도 자녀의 창업에 대해서 긍정적이면 자녀가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가 온라인쇼핑몰에 대해서 부정적이고, 자녀의 창업에도 부정적이면 자녀는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의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과 성과 창출 조건으로 온라인쇼핑몰 활용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파트너스퀘어 (광주)는 온라인쇼핑몰 활용능력을 증대시켜, 청년층의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층은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 이후 단순한 매출액 증가 이외에 자존감 상승, 기회발견, 창의성 역량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22349873769",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73769.pdf", "abstract_en": "The Study studied the Inspection Method of Images to obtain a sharp image of the Costume among the bones Composed of Thoracic Using the Thoracic Cage Rando Phantom. At 80 cm of the phantom Distance at the X-ray tube focus, the position of the Phantom was Examined by Changing the Rt and Lt Posterior Oblique(LAO) and Rt and Lt Posterior Postero Oblique positions by 20°, 25° and 30°. The acquired images were Subjectively Evaluated by the Radiographer, and the Evaluation data were analyzed as SPSS ver. 3.0. The signal-to-noise ratio (SNR) was Calculated using the ImageJ Program. As a result, the Cronbach Alpha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0.789. The results of the Signal-to-Noise Ratio (SNR) were high at 20° to 6.038 in the right posterior Transcription Direction at the time of Examination and 7.860, in the Supine Position, for images of Sternum bones. In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e patient posi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Right Anterior Oblique(RAO) Position 20° if the X-ray technique is used to obtain the Sternum's advanced image, and the Left Anterior Oblique(LAO) Position 25° when filming in the Rght lying position.", "abstract": "본 연구는 Thoracic cage Rando Phantom을 이용하여 가슴우리 구성하는 뼈중에서 복장의 선예한 영상을 얻고자 영상의 검사방법을 연구하였다. 엑스선관 초점에서 팬톰거리는 80Cm에서 엑스선관 각도에는 수직으로 팬톰의 자세는 우측 및 좌측의 후전사방향과 우측 및 좌측 전후 사방향 자세로 20°, 25°, 30° 변경하여 검사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방사선사가 주관적으로 영상평가 하였으며, 평가 데이터를 SPSS ver. 3.0으로 분석하였다. ImageJ Program을 이용하여 신호대잡음비(SNR)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Cronbach Alpha 값이 0.789로 유의하게 높았다. 신호대잡음비(SNR)의 결과는 갈비과 정확한 복장뼈의 영상을 얻고자 할 때는 엎드린 자세에서는 검사 시 우측 후전사방향 20°에서 6.038으로 높았으며 바로누운자세에서는 좌측 전후사 방향 25° 검사 시 에서 7.860으로 높았다. 결론으로 복장뼈의 선예한 영상을 얻고자 엑스선 촬영기법으로 엎드려서 촬영할 경우에는 환자자세를 우측후전사방향 20°에서 또한 바로누운자세에서 촬영 할 경우에는 좌측전후사방향 25°에서 촬영기법을 이용한다면 선예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id": "JAKO202122349870769",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70769.pdf", "abstract_en": "This study evaluates the radiation protection effects of Schizonepeta tenuifolia water extract on white rat by gender. Schizonepeta tenuifolia contains polyphenol and flavonoid, which are typical substances that remove free radical. Thu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radiation protection, the Schizonepeta tenuifolia water extract was administered to Sparaqu-Dawely (SD) rat males and females for two weeks, followed by hematological analysis, analysis of changes in the length of the small intestine villi length, and SOD activity evaluation. The male rat in ST+IR group showed a slightly greater recovery of platelets than the IR group. The ST+IR group also showed a higher platelet recovery capability than the IR group. lymphocyte showed that male and female rat ST+IR groups have higher resilience than IR groups likewise platelet. After irradiation, the villi length of the male rat and female rat decreased less in ST+IR group than in the IR group, indicating that the villi length of all genders was less damaged. This result confirmed that the Schizonepeta tenuifolia water extract had a radiation protection effect.", "abstract": "본 연구는 형개 열수추출물이 흰 쥐의 성별에 따라 미치는 방사선 방호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형개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polyphenol과 flavonoid를 함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사선 방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형개 열수추출물을 SD rat 수컷과 암컷에 2 주 동안 경구투여 한 후 혈액학적 분석, 소장 융모 길이 변화 분석, SOD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컷 SD rat ST+IR군은 IR군에 비해 혈소판의 회복능력이 조금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컷 또한 ST+IR군이 IR군에 비해 혈소판 회복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림프구 수치도 혈소판 수치와 마찬가지로 수컷과 암컷 SD rat ST+IR군이 IR군보다 회복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방사선 조사 후 수컷 SD rat과 암컷 SD rat의 소장 융모 길이가 IR군보다 ST+IR군이 덜 감소한 것으로 보아 모든 성별의 SD rat 소장 융모가 손상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형개 열수추출물이 방사선 방호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d": "JAKO202122349869769",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69769.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quantitative changes in images according to the use of compressed sensing in expressing the slow flow rate in TOF MRA test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is study set different blood flow rate sections by using auto-injector and flow phantom and compared changes in the SNR, CNR, SSIM, and RMSE measurements by different CS factors between TOF with CS and TOF without CS.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 on the image induced by the increase of the CS factor. The results revealed that TOF MRA with CS significantly decreased scan time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SNR and CNR compared to TOF MRA with C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in SSIM and RMSE between TOF with CS and TOF without CS increased as the CS factor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reduce scan time by adapting the CS technique while considering the appropriate range of the CS factor. Additionally, more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CS factors and the similarity precision of images further.",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TOF MRA 검사에서 flow rate 2.0 ml 이하의 유속을 표현함에 있어 Compressed sensing의 사용에 따른 영상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Auto-injector와 Flow phantom을 이용하여 각각의 혈류속도 구간을 설정하고 CS를 사용하지 않은 TOF without CS 기법과 CS를 이용한 TOF with CS 기법에서 CS factor의 변화에 따른 SNR, CNR, SSIM, RMSE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CS factor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영상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CS를 사용한 TOF MRA는 CS를 사용하지 않은 TOF MRA와 비교하여 SNR 및 CNR의 유의한 차이 없이 scan time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CS factor의 증가에 따라 SSIM 및 RMSE는 TOF without CS 영상과의 차이가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TOF MRA 검사 시 CS 기법을 통해 scan time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되 적절한 CS factor의 범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또한 CS factor와 영상의 유사도, 정밀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22349872769",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72769.pdf", "abstract_en":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metabolic syndrome, and several studies have already reported that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score are closely related to the amount of atherosclerotic plaqu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9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calcium CT who visited the comprehensive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Daegu city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020 to February 2021.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score and blood facto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bnormal group increased the risk of calcification by 1.113 time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n the waist circumference factor. In the fasting glucose factor, the abnormal group increased the risk of calcification by 1.036 time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nd in the triglyceride factor, the abnormal group was normal. As the risk of calcification increased 1.008 times compared to the group, the waist circumference factor, fasting glucose factor, and triglyceride factor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score. The risk of developing calcification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waist circumference, anemia and triglycerides, and health care and health checks are expected to help reduce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duce medical costs.", "abstract": "관상동맥 석회화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연관이 있으며, 동맥경화반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선행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대구시 소재 S 영상의 학과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하여 관상동맥 Calcium scoring CT를 시행한 109명을 대상으로 혈액인자가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허리둘레 인자에서는 비정상 군이 정상군에 비해 석회화 발생 위험도가 1.113배 증가하였고, 공복혈당 인자에서는 비정상 군이 정상 군에 비해 석회화 발생 위험도가 1.036배 증가하였으며, 중성지방 인자에서는 비정상 군이 정상 군에 비해 석회화 발생 위험도가 1.008배 증가하였으므로 허리둘레 인자와 공복혈당인자, 중성지방 인자가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에 영향을 주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석회화 수치 발생 위험도는 허리둘레 인자와 공복혈당인자, 중성지방 인자와 유의한 관계가 있으므로 석회화 수치와 연관성이 있는 위험 변수들의 수치를 줄이기 위하여 평소 건강관리에 관심을 갖고 건강검진을 통하여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심혈관질환의 발생률을 낮추고,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의료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id": "JAKO20211606240002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62400022.pdf", "abstract_en": "Curricular noticing is about how teachers understand the content and pedagogical opportunities inherent in curriculum materials. Since the enacted curriculum differs depending on which aspect of the curriculum material is paid attention to and how to interpret i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urricular Attending and Curricular Interpreting in Curricular Noticing for enhancing the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the objects that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attended when planning the lesson for rate. Second, in order to find out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those objects, it was analyzed what factors were related to interpret. By discussing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rawn on how to use Curricular Noticing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the pedagogical design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abstract":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은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에 내재된 내용과 교수학적 기회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어떤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교육과정의 실행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의 과정 중 관심을 기울이고 해석하는 과정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가 비율 수업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자료를 활용할 때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을 찾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설계 역량 신장을 위해 예비교사교육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d": "JAKO20212176531659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765316595.pdf", "abstract_en": "The importance of \"personalization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due to the Covid-19 and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such as AI and big data, which is soon coming beyond personalization into the \"super-personalization era.\" Therefore, in terms of the music streaming service market, it has formed a service supply trend in which individual tastes are respected and companies are seeking to establish a realistic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considering the external market environm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sought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Genie Music's and provide a direction for development based on Genie Music's customer interactive strategy.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ustomer interactive strategies with the 'live music service platform' that moves with customer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corporate development. As an analysis method, we looked at strengths and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 requirements based on SWOT analysis. Afterwards, the company attempted to present specific corporate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TOWS analysis.", "abstract": "코로나 19와 AI, 빅데이터, IT기술 발달 등과 같은 여파로 최근 '개인화 기술' 중요성이 부각되어지고 있으며, 이는 곧 개인화를 넘어 '초개인화 시대'에 도래하고 있다. 따라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측면에서는 개인 취향이 존중되는 서비스 공급 트랜드를 형성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외부 시장 환경을 고려, 냉철한 분석을 토대로 발전방향을 수립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본 논문은 지니뮤직 고객 인터렉티브 전략에 기초하여 장·단점을 분석하고 기업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고객과 함께 움직이는 '라이브음악서비스플랫폼'을 기반으로 고객 인터렉티브 전략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WOT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 요건을 살펴보았다. 이후 TOWS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기업 발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d": "JAKO20212176532959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765329598.pdf", "abstract_en": "Along with the rapid supply of apartments, bathtubs are becoming a must-have item for our lives, but research is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is an empirical case study for formalization of taciturn as a long-time worker in the bathtub field. Bathtubs are developing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due to various factors, and we would like to draw characteristics based on their contents. The bathtub is characterized by its materials according to its manufacturing, housing structure and distribution process. First, it is a locally produced product because import and export is difficult. The second depends on the building soccer team, such as wet and dry. Third, it is different in relation to industries such as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urth countries. We hope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the study of bathtubs, and we hope it will be useful for those involved.", "abstract": "공동주택의 비약적인 공급과 함께 욕조가 우리 생활이 밀접한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연구가 매우 미진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욕조 분야에 오랫동안 종사자로서 암묵지를 형식지 화를 위한 실증사례연구이다. 욕조는 여러 요인으로 재질의 종류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주제로 특성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욕조는 제조, 주택구조, 유통과정 등에 따라 욕조 재질별로 특성을 보이고 있다. 첫째, 수출입이 어려워 현지생산제품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는 습식, 건식 등 주택건축구조에 따라 다르다. 셋째로 제조업과 유통업 등 업종과 관련하여 다르다. 네번째 국가별로 다름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료가 욕조 연구에 초석이 되길 바라며 관계자에게 유용하길 바란다."} {"id": "JAKO202121765321597",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765321597.pdf", "abstract_en": "Recently, as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has increased, Korea is preparing to enter a multicultural coun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a social integration model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social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local social capital for social integr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creasing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ety.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on the formation of local social capital,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intention, focusing on the role of social enterpri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responses to local social capital, subjective quality of life, social participation intention and social identity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A total of 363 valid questionnaires were tes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first, human social capital and corporate social capital of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orporate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of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e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ety. Finally, it was found that social identity plays a partly controlling role when community capital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ffects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ety. Through this analysis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lay a meaningful role as basic data for policy proposals for social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의 증가로 다문화국가로 진입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다문화 가정의 사회 통합이라는 사회적 과제 해결을 목적으로 사회통합모형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사회자본의 개념화와 척도개발을 통해 지역사회자본의 사회통합에서의 역할을 검정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의 역할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지역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삶의 질 및 사회참여의도를 통한 사회통합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지역사회자본 및 주관적 삶의 질, 사회참여의도와 사회적정체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63부의 유효응답을 대상으로 공분산구조모형을 통해 변수간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인적사회자본과 기업사회자본은 주관적 삶의 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기업사회자본과 공동체사회자본은 사회참여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주관적 삶의 질은 사회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지역사회자본이 사회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정체성이 부분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의미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2176532759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765327598.pdf", "abstract_en":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ervic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on service value, learning immersion, major satisfaction. The result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 that servic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ervice value. First, system convenience, system quality, inter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ervice value. Second, System convenience, system quality, inter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immersion Third, Online education on service value had a positive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Fourth, Learning immersion had a positive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abstract":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서비스 품질 구성요소인 시스템 편리성, 시스템품질, 상호작용성이 학생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 가치와 학습몰입과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인 시스템편리성, 시스템품질, 상호작용성의 3가지 요인이 교육서비스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인 시스템편리성, 시스템품질, 상호작용성의 3가지 요인중에서 시스템품질과 상호작용성은 학습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대면 교육서비스 가치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가치는 전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몰입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은 전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21765323597",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76532359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ffice workers' covert narcissism 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identify the (Duel)mediation effects 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This study used a survey of 393 office workers to measure the covert narcissism,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BM SPSS 23 and SPSS PROCESS macro in a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the covert narcissism,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s. In addition,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and all of them showed adequat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etween each variables. Next, the mediating model was verified by mediation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not verified and the avoidance motiv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were gradually mediated through the (Duel)mediation effects model, and the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not on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but also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abstract": "본 연구는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93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내현적 자기애,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동기를 측정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동기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관계에서 모두 적절한 설명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를 매개변수로 하여 매개 모형 검증을 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회피 동기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 변인 사이에서의 이중매개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2176532859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765328598.pdf", "abstract_en": "The HR policy in the public sector was closed and operated mainly on written tests, but in 2006, a new evaluation, promotion and education system based on competence was introduced in the promotion and selection system of civil servants. In particular, the seniority-oriented promotion system was evaluated based on competence by operating an Assessment Center related to promotion. Competency evaluation is known to be the most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method among the evaluation methods used to date and is also known to have high predictive feasibility for performance. In 2001, 19 government standard competency models were designed. In 2006, the competency assessment was implemen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ranking civil service team system. In the public sector, the purpose of the competency evaluation is mainly to select third-grade civil servants, assign fourth-grade civil servants, and promotion fifth-grade civil servants. However, competency assessments in the public sector differ in terms of competency assessment objectives, assessment processes and competency assessment programmes compared to those in the private sector. For the purposes of competency assessment, the public sector is for the promotion of candidates, and the private sector focuses on career development and fostering. Therefore, it is not continuously developing capabilities than the private sector and is not used to enhance performance in performing its duties. In relation to evaluation items, the public sector generally operates a system that passes capacity assessment at 2.5 out of 5 for 6 competencies, lacks feedback on what competencies are lacking, and the private sector uses each individual's competency score. Regarding the selection and operation of evaluators, the public sector focuses on fairness in evaluation, and the private sector focuses on usability,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aspect of developing capabilities and utilizing human resources in the right place. Therefore, the public sector should also improve measures to identify outstanding people and motivate them through capacity evaluation and change the operation of the capacity evaluation system so that they can grow into better managers through accurate reports and individual feedback", "abstract": "공공부문의 인사 관련 정책은 폐쇄적이며 필기시험 위주로 운영이 되어왔으나, 2006년 고위공무원단 도입을 통하여 공무원의 승진과 선발제도에서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와 승진, 교육체계가 새로이 도입되었다. 특히 승진과 관련된 역량평가(Assessment Center)를 운영하여 연공서열 중심의 승진제도가 역량을 기준으로 평가받는 계기가 되었다. 역량평가는 현재까지 사용하는 평가방법들 중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이 가장 높은 평가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과에 대한 예측 타당성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1년 정부 표준역량 19개 역량모델을 설계하였으며, 2006년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시행과 함께 역량평가를 실행하였고, 2015년 중앙부처 과장급으로 확대 시행과 2012년 서울시를 시작으로 하여 광역지방자치단체도 간부급 공무원에 대한 역량평가를 도입, 시행하고 있다. 공공부문에서 역량평가의 활용 목적은 주로 3급은 선발, 4급은 배치(보직), 5급은 승진에 초점을 맞춰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부문의 역량평가는 민간부문과 비교하면, 역량평가의 목적, 평가과정, 역량평가 프로그램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역량평가의 목적에서 공공부문은 후보자 선발 승진을 위한 것이며, 민간부문은 경력개발과 육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민간부문보다 지속적인 역량개발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성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 되지 못하고 있다. 평가항목과 관련해서, 공공부문은 일반적으로 6개 역량에 대하여 5점 만점에 2.5점 이상이면 역량평가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운영하며, 역량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며, 부족한 부문은 무엇인지에 대한 피드백이 미흡한데 반하여, 민간부문은 탈락자를 선별보다는 우수자와 적임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개인별 평균점수 뿐 아니라 각 개인의 역량별 점수를 중요시 하고 이를 활용하여 보직과 경력개발에 활용한다. 평가자 선발 및 운영과 관련해서는 공공부문은 평가에 있어 공정성에 중점을 두고, 민간부문은 활용성에 중점을 두어 공공부문은 역량평가를 통하여 역량을 개발하고 적재적소에 인적자원을 활용한다는 측면에는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부문도 역량평가를 통하여 우수자를 파악하고 이들이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개선하고 정확한 보고서와 개인별 피드백을 통해서 더 우수한 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역량평가제도 운영에 변화를 기하여야 한다."} {"id": "JAKO20212234987977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79770.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gree of exposure of radiation workers assigned to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nd frequent visitors during on-campus practice, and to conduct a basic study on the feasibility and optimization of the radiation protection of the Nuclear Safety Act for the Department of Radiology. . The average exposure dose of occupational workers by year was 0.01 mSv, the lowest in 2014 and 2016. The highest figure was 0.12 mSv in 2018. The average exposure dose of frequent visitors by year was the lowest at 0.013 mSv in 2018, and the highest at 0.022 mSv in 2016. According to this study, the annual exposure dose received by professors, practical assistants, and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department) who use only radiation generators in the course of in-school practice is less than 1 mSv, which is the dose limit for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at the time when the radiation dose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is lower than the dose limit of the general public, the current safety regulation of the Nuclear Safety law is judged to be excessive regula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vise the regulations for radiation generators in the current Nuclear Safety law or to revise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university student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교내 실습 중 방사선(학)과 에 지정된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수시출입자의 피폭 정도를 분석하여 방사선(학)과에 대한 원자력안전법의 방사선 방호에 대한 타당성과 최적화에 대한 기초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연도별 작업종사자의 평균 피폭선량 2014년과 2016년에 0.01 mSv로 가장 낮은 수치가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수치는 2018년도로 0.12 mSv이다. 연도별 수시출입자의 평균 피폭선량은 2018년 0.013 mSv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2016년 0.022 mSv로 가장 높은 수치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 발생장치만을 사용하는 대학의 담당교수, 실습 조교 및 방사선(학)과의 학생들은 교내실습 과정에서 받는 연간 피폭선량은 일반인의 선량한도인 1mSv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러므로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피폭선량이 일반인의 선량한도 보다 낮게 나오는 시점에서 현재 원자력안전법의 안전규제는 과도한 규제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의 원자력안전법에서 방사선 발생장치의 규정을 개정하거나 대학의 재학생에 대한 방사선안전관리 체계를 수정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d": "JAKO20212234987877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78770.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on hospital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education by identifying awareness and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among workers at general hospitals in Busa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t-test and one-way ANOVA to see the difference in general variables,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management were generally low, and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equipment hygiene management were high. In all areas except for men's personal hygiene management, the level of awareness was higher than the level of practice, confirming that the level of practice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level of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As a result of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eople with high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showed a high level of practice, so it was thought that raising the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among hospital workers would be effective in preventing hospital infec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among worker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on hospital infection control, and to make efforts of hospital workers to practice it.", "abstract": "본 연구는 부산 시내에 있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해 파악하여 병원감염관리 방안 및 교육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변수의 차이를 보기 위한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대체적으로 개인 위생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가 낮게 나타났고, 장비 위생관리의 인지도와 실천도는 높게 나타났다. 남성의 개인위생관리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인지도가 실천도보다 높게 나타나 병염감염관리의 인지도에 비해 실천도는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한 결과로는 감염관리에 관한 인지도가 높은 사람이 실천도도 높은 결과를 나타내 병원 종사자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병원감염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병원감염관리에 대하여 지속적인 교육으로 종사자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를 상승시키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병원 종사자들의 노력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2234986576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65768.pdf", "abstract_en": "Wrist PA-grip view is used to diagnose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FCC) tear because it can easily diagnose damage to the surrounding wrist ligaments. However, despite advances in radiology equipment, distortion of images due to geometric elements still has many limit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minimize the distortions of images by analyzing the distortions occurring in the wrist PA-grip view. A source of image distance (SID) were set at 130 cm and 150 cm for comparison with 110 cm. Depending on the SID, the phantom of wrist was moved at 0, 2, 4, 6, 8, and 10 cm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respectively. For quantitative evaluation, the difference of distance between the radius and ulna was measured in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system. As a qualitative evaluation,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 radiologic technologists who examined the Wrist PA-grip view. The Kruskal Wallis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stortion according to the phantom movement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based on the SID, and the Tukey test was performed as a post-test.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s,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in the X-ax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ups (p>0.05).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in the Y-axi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most groups (p<0.05). Therefore, to reduce distortion while maintaining image quality, we recommend what examine the SID at 150 cm than 110 cm.", "abstract": "Wrist PA-grip view는 주변 인대들의 손상을 쉽게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삼각섬유연골 파열 진단에 시행한다. 그러나 의료장비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하학적 요소에 따른 영상의 왜곡은 아직까지도 많은 제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Wrist PA-grip view 검사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검사방법에서 발생되는 왜곡을 분석하여 영상의 왜곡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검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Wrist PA-grip view를 재현하기 위하여 인체모형 팬텀을 사용하였고 source of image distance (SID)는 110 cm와 임의로 정해놓은 130 cm, 150 cm로 설정하였다. 각 SID에 따라서 손목 팬텀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0, 2, 4, 6, 8, 10 cm 이동하였다. 정량적 평가를 하기 위해 손목 팬텀의 이동 시 마다 자뼈와 노뼈의 먼쪽관절면의 거리의 차이를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system을 통해 측정하였다. 정성적 평가로는 방사선사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ID에 따라 나뉜 세 그룹 간의 x축과 y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왜곡도를 비교하기 위해 Kruskal Wallis test 통계기법을 시행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Tukey test를 시행하였다. 정량적 평가 결과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얻은 측정값은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얻은 측정값은 대부분의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영상에서 왜곡이 임상적 진단과 수술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검사의 경우,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영상 후처리로 영상의 질을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기존의 SID인 110 cm 보다는 150 cm에서 검사하여 왜곡을 감소시키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id": "JAKO20212234986776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67768.pdf", "abstract_en": "Digital radiography imaging systems can also help diagnose lesions in patients, but if x-rays that enter the human body cause scatter x-ray due to interaction with substances, they affect the signal and noise characteristics of digital x-ray images. To regard the human body a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nd observe the properties of scattered x-ray generated from PMMA on x-ray images, we analyze signal and noise in the spatial domain as well as noise-power spectrum (NPS), and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DQE) at zero frequency. As PMMA thickness increased, signals decreased, the noise increased, and NPS degradation was identified in overall spatial frequenc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zero-frequency performance was also shown to be degraded. Comparative analysis with Monte-carlo simulations will need to be made to analyze the zero-frequency performance by scattered x-ray of indirect conversion-type x-ray detectors more quantitatively.", "abstract": "디지털 래디오그라피 이미징 시스템으로 환자의 병변 진단에 있어 도움을 줄 수도 있으나 인체에 입사되는 엑스선이 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산란선이 발생되면 엑스선 영상의 신호 및 노이즈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인체를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로 간주하고 PMMA에서 발생되는 산란선이 엑스선 영상에 미치는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공간 영역에서 신호 및 노이즈 분석뿐만 아니라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노이즈-파워 스펙트럼(noise-power spectrum, NPS) 그리고 제로주파수에서 양자검출효율(detective quantum efficiency, DQE)을 계산하였다. PMMA 두께 증가에 따라 신호는 감소, 노이즈는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인 공간주파수에서 노이즈-파워 스펙트럼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제로주파수 성능 또한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다. 간접변환방식 검출기의 산란선에 의한 제로주파수 성능을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몬테칼로 시뮬레이션과의 비교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d": "JAKO20212234987577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75770.pdf", "abstract_en": "The personality education of the existing university is mainly focused on occupational ethics education or basic education, but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s changed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y and the related occupational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s needed. In Korea,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occupational personalities that Health care workers should hav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program for occupational personality education for Health care workers required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In this study, general cases and occupational cases were developed, and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ovided four times for 52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college and university.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 single group pre-post design.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By applying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ccountability, honesty, consideration,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competency were improved. This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vocational character education", "abstract": "기존 대학의 인성교육은 주로 직업윤리 교육이나 기초교양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고 있지만, 최근 4차 산업에 대비하여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방식이 변화되며 이와 관련된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보건의료종사자가 갖추어야 할 직업인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기반학습을 기초로 하여 4차 산업혁명에 요구되는 맞춤형 직업인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례 및 직업 현장에서의 사례를 개발하고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 효능 검증을 위해 연구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4차 산업혁명에 요구되는 맞춤형 직업인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은 1회(120분), 4회차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었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2019년 11월 26일부터 2020년 01월 05일까지 대구시 소재의 방사선과 및 임상병리과 2, 3학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4차 산업혁명에 요구되는 직업인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보건의료종사자의 핵심직업인성 영역인 책임, 정직, 배려, 협업, 소통, 역량에 대해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며, 직업인성교육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id": "JAKO20212234987477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74770.pdf", "abstract_en": "In order to reduce the irresistible radiation exposure of patients who perform periodic examinations using a CT among various scan parameters a method to reduce patient dose was investigated through changes in the tube voltage close to X-ray penetrating power.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100 kVp was applied instead of 120 kVp which is commonly used in clinical practice and CTDI decreased by about 41% during scan. In addition the degree of change in image quality was measured as 1046.1±3.7 HU for CT value and 71.4±7.9 for Pixel value an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0.05", "abstract": "CT 장치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검사를 시행하는 환자의 불가항력적 방사선 피폭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스캔 파라미터 중 X선의 투과력과 밀접한 관전압의 변화를 통해 환자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캔 방법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많이 적용하는 120 kVp 대신 100 kVp를 적용하여 스캔 시 CTDI가 약 41 % 감소하였다. 또한 화질 변화정도는 CT value는 1046.1±3.7 HU, Pixel value는 71.4±7.9로 측정되었으며 통계분석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0.05"} {"id": "JAKO20212234986676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349866768.pdf", "abstract_en": "Metal material inserted into the body have a large difference in density from human tissues or bones around the Metal during CT scans.. Therefore, the Metal material inserted into the body produces Artifact. Metal Artifact, which occurs around Metals, can degrade the quality of CT images, causing confusion when medical team diagnose lesions. Through this experiment, we confirm that the occurrence of Artifacts decrease by using Dual energy CT and MAR algorithm in Single source Dual energy CT. We also want to present basic data on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obtained by each method. Using GE 750HD CT, artificial implants were scanned using general method and Dual energy. Then we apply the MAR algorithm to each image obtained. And all previously acquired imag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amination, such as image quality evaluation and dose evaluation. Images with MAR algorithm and Dual Energy confirmed a decrease in Metal Artifact. Images with MAR algorithm have reduced Metal Artifact, but have the disadvantage of distorting the details of artificial joint implants. On the other hand images teseted with Dual Energy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details than those applied with MAR algorithms, it takes longer to reconstruct the image and the exposure dose was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those applied with MAR algorithm. In order to locate Metals, such as the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 it is useful to apply MAR algorithm to obtain images. And it is more useful to examine with Dual Energy when micro lesion identification, such as cardiac examination, and surgical planning or when tests are performed in diagnostic way.", "abstract": "전산화단층촬영 검사 시 인체 내에 삽입되어 있는 금속물질은 금속주위에 있는 인체조직이나 뼈와 큰 밀도차이가 있어 인공물을 발생시킨다. 이 실험을 통해 Single source Dual energy CT에서 Dual energy검사 및 MAR 알고리즘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임상적으로 적용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려 한다. MAR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Dual Energy를 이용하여 검사하였을 때 금속 인공물이 감소하였는데 MAR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은 세부적인 부분을 왜곡시키는 단점이 있다. Dual Energy로 검사한 영상은 MAR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보다 세부적인 부분까지 구현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구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며 피폭선량이 MAR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보다 약 4배 가량 높았다. 수술 후 Follow up 및 금속물질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MAR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검사적 측면에서 유용하며 미세 병변 확인 및 수술계획을 세우거나 진단적인 측면에서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는 Dual Energy로 검사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 {"id": "JAKO202113259287115",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115.pdf", "abstract_e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of fire damage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 superstructure and PSC bridge superstructure under highway bridge exposed to fire loading. To enhanc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numerical analysis, the proposed heat flow fire analysis method is implemented in ANSYS. The proposed heat flow analysis method is applied to fire damage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Buchen and Yangsan highway bridge. The result of analysis, temperature of concrete slab and lower flange of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 superstructure are exceed the critical temperature. Also, temperature of slab, lower and upper flange, web of PSC bridge superstructure are exceed the critical temperature. However, the major component, tendon, did not exceed the critical temperature.", "abstract": "본 논문은 교량 하부에서 발생된 화재에 대한 강합성 교량 및 PSC 교량 상부구조의 화재손상평가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이다. 수치해석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구성재료의 과도 비선형 열적 특성이 고려된 열유동 해석 기법이 제안되고, 이를 통해 국내 실제 화재가 발생된 강합성 교량인 부천고가교 및 PSC 교량인 양산고가교에 대한 열유동 화재해석이 수행된다. 해석결과 강합성 교량 상부구조의 콘크리트 슬래브 및 강재 거더 하부 플랜지의 경우 임계온도를 초과하였고, PSC 교량 상부구조의 슬래브, 상부 및 하부 플랜지, 그리고 복부의 경우 전부 임계온도를 초과하였으나, 주요 부재인 텐던의 경우 임계온도를 초과하지 않았다."} {"id": "JAKO202113259287161",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161.pdf", "abstract_en":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 usability of the virtual reality(VR)-based BIM object in the construction si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image and the real image should be resolved, and when it is applied to the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mage gap between the virtual completion and the actual comple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rototype of 4D model is developed in which augmented reality (AR) and 3D printing technologies are linked, and the practical usability of a 4D model linked with two technologies is verified. When a schedule simulation is implemented by combining a three-dimensional output and an AR obj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intuitive information as a tangible image-based schedule information when compared to a simple VR-based 4D model. In this study, a methodology and system development of an AR implementation system in which subsequent activities are simulated in 4D model using markers on 3D printing outputs are attempted.", "abstract": "건설현장에서 가상현실 BIM객체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이미지와의 이질감을 해소시켜야 하며, 공정관리 분야 적용시에는 가상현실 공정모습과 실제 공정모습간의 괴리감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AR (Augmented Reality)과 3D 프린팅 기술이 연계된 4D 모델기반 공정관리 시제품을 구성하여 두 기술이 연동된 4D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입체적인 3D 출력물과 AR객체를 접목하여 시공 공정 시뮬레이션을 구현하면 단순한 가상현실기반 4D 모델과 비교시 실체적 이미지기반의 정보로 보다 직관적인 공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출력물에 마커를 이용하여 후속공정이 4D 모델로 시뮬레이션되는 AR구현 체계의 방법론 및 시스템 구성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id": "JAKO202113259287120",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120.pdf", "abstract_en": "Two different types of shear-friction tests were classified by external loadings and referred to as a push-off and a pull-off test. In a pull-off test, a tension force is appli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est specimen to produce a shear stress at the shear plane.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evaluate shear transfer strengths of uncracked pull-off specimens. The method is based on the compression field theory and different constitutive laws are applied in some ways to gain accurate shear strengths considering softening effects of concrete struts based on Modified Compression Field Theory (MCFT) and Softened Truss Model (STM).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examined by applying to some selected test specimens in literatures and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values. A general agreement is observed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at ultimate loading stages in initially uncracked pull-off test specimens. A shear strength evaluation formula considering the effective compressive strength of a concrete strut was propos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ormula was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e literature.", "abstract": "전단마찰 시험체는 재하형태에 따라 압축재하와 인장재하 시험으로 구분된다. 인장재하 시험의 경우에는 외력으로 작용하는 수직방향 인장력에 의하여 전단응력 및 수직방향 인장응력이 유발된다. 이 연구에서는 압축장 이론을 이용하여 인장재하 시험체의 전단전달강도를 평가하였으며, 2축-응력 상태의 콘크리트 최대 압축강도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하여 수정압축장이론, 연화트러스모델의 구성방정식을 사용하였다.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과거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직접전단강도 실험값들과 압축장 이론을 이용하여 구한 값들을 비교한 결과, 비균열 인장재하 시험체의 경우 예측값과 실측치가 대체적으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압축강도를 고려한 전단강도 평가식을 제안하고, 기존 문헌에 수록된 실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제안식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13259287142",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142.pdf", "abstract_en": "Roundabouts have been spreading out all over the world quickly with their attractions including capacity enhancement, safety increase and pollutant emission decrease. The history of Korean roundabout has already been 10 years. However, due to the accumulation of unclear right of way and insufficient data, the advantages of the roundabout are not fully utilized so far. Moreo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apacity model of roundabouts compared to overseas capacity models. In addition, most research tend to concentrate in evaluation of roundabout performance using computer software. This paper, therefore, investigated overseas typical roundabout capacity models; empirical model and gap acceptance model, and then KHCM 2013 was compared to SIDRA model and USHCM 2010 model.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assist and guide practitioners in analyzing and estimating roundabout capacity more precise.", "abstract": "회전교차로는 신호 교차로와 비교 시 용량증대, 안전성 증대 및 대기오염 감소 등의 장점으로 인해 국내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11년 시작된 국내 회전교차로의 역사는 어느덧 10년이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불명확한 통행우선권 및 부족한 자료의 축적 그리고 해외 용량분석과 비교시 차이점으로 인해 회전교차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내 연구는 회전교차로 용량모형에 관한 연구보다는 회전교차로 설치 시 효과분석에 집중된 성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회전교차로의 대표적 모형인 경험적 모형과 간격수락 모형에 대해 살펴보고 호주의 SIDRA 모형과 미국의 USHCM 2010 모형을 국내 도로용량편람 2013 모형과 비교해 보았다. 향후 국내 회전교차로 용량의 예측 시, 더욱 정확한 용량분석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d": "JAKO202113259287151",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151.pdf", "abstract_en": "Along with the emergence of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ll industry sectors are making efforts to dramatically increase productivity by actively introducing high-tech technologies. Recently, the 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trying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low productivity and high accident r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apply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to infrastructure construction through smart construction R&D project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as part of the smart construction R&D project supported by MLIT, and the purpose is to develop a module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moving paths for construction equipment based on the earthwork plan for road construction. The generated moving path can be used to provide safe and efficient paths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to support MC and MG to work efficiently. The moving paths for construction equipment are created based on the Visibility Graph and a case study is performed to show how the paths are generated based on a given construction site.", "abstract":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대두와 더불어 각 산업에서는 첨단기술들을 적극 도입함으로써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국토부에서 스마트 건설기술개발사업 추진을 통하여 인프라 건설에 4차 산업혁명 관련 첨단기술을 적용하여 건설업의 생산성 및 안전성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건설기술개발사업의 일부 연구로 수행되었으며, 도로공사 수행시 투입되는 건설장비를 위하여 작업계획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이동경로를 생성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생성된 이동경로는 건설장비 운전자에게 안전하게 효율적인 작업경로를 제시하고, MC 및 MG가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건설장비 이동경로는 Visibility Graph 기반으로 생성되도록 하였으며 실현장을 모델로 하여 어떻게 경로가 생성되는지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id": "JAKO202113259287156",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156.pdf", "abstract_en": "Recently, the importance of competitive cities has emerged, and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are striving to gain competitiveness. Domestic cities are also enhancing their competitiveness by taking advantage of the city's uniqueness and locality with strategies differentiated from other cities, and interest in city brands is increasing. This study seeks to enhance the city brand by improving the landscape elements of the airport, a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entrance. Through Instagram's hashtag function, it aims to derive elements of landscape preferred by airport users and to find ways to enhance Busan's city brand based on them.", "abstract": "최근 경쟁력 있는 도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전 세계 많은 도시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의 도시들도 타 도시들과 차별화된 전략으로 도시의 고유성 및 지역성을 살려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으며, 이에 도시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제관문인 공항의 경관요소 개선을 통해 도시브랜드를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기능을 통해 공항 이용객들이 선호하는 경관의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산의 도시브랜드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id": "JAKO20211123674478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781.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Information for the case of seawater flooding and observation data over a period of 10 years (2009~2018) was collected.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seawater flooding and observations by type were classified. Information for the case of seawater flooding was collected from the reports of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and the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cs Corporation. Observation data for ocean and meteorological were collected from the KHOA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gency (KMA). The classification of seawater flooding incidence types is largely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nd into 5 development types through combination of 4 types. These types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types of seawater flooding according to the marine weather environmen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groups: tidal movement, low pressure system, strong wind, and typhoon. Besides,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ocean, the thresholds of ocean factors for seawater flooding by region and type were derived.", "abstract": "최근 10년(2009년~2018년)간의 해수범람 기록정보와 해양 및 해양기상 관측정보를 수집하고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3종을 종합·활용해 해수범람 유형과 유형별 관측정보의 특징을 분류하였다. 해수범람의 기록정보는 국립해양조사원의 침수조사 보고서와 국토정보공사의 침수흔적도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해양 및 해양기상관측 정보는 국립해양조사원과 기상청의 부이, 관측소 정보를 수집하였다. 해수범람 발생 유형 분류는 크게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며 4개의 유형의 조합을 통해 5개의 발생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유형은 해양기상 환경에 따라 해수범람의 발생 유형을 구분할 수 있었다. 유형별 주요 특징은 대조기, 저기압, 강풍, 태풍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지리적인 해양특성을 고려하여 지역 및 유형별 해수범람 발생 판단을 위한 해양요소 임계치를 도출하였다."} {"id": "JAKO20211123674479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792.pdf", "abstract_en": "A new high speed rotation type-passive sampling device (HSR-PSD), which can rotate seawater at high speed and absorb easily and quickly the freely dissolved hydrophobic organic contaminants from seawater, was developed and then appli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eely dissolved concentrations (Cfree)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were determined using the HSR-PSD with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sheets as a passive sampler. Furthermore, dissolved concentrations (Cdissolved) of PAHs in seawater were also obtained from high volume water sampling as a conventional method to account for actual bioavailability. When the LDPE sheets were rotated in the HSR-PSD at 900 rpm, PAHs with log KOW 3.4 ~ 5.2 were equilibrated between the LDPE and water in 5 hours. Although the high molecular weight PAHs with log KOW 5.6 ~ 6.8 was expected to be 2 to 30 days to reach the equilibrium, the Cfree of the PAHs at equilibrium could be corrected using performance reference compounds in 5 hours. Meanwhile, the total Cfree of PAHs were from 0.32 to 1.2 ng/L, which were higher than reported values in other oceans, but lower than in coastal water such as estuary, harbor, or shore. A bioavailability from the detected PAHs was highest at the sampling line near the dumping site of the Yellow Sea. Predicted residual concentrations in biota were relatively higher in offshore including the dumping site than in coastal region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해수 중 생물에게 실질적으로 이용되어질 수 있는 자유용존상 농도(freely dissolved concentration)를 보다 쉽고 빠르게 검출하고자 해수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수동형 채집 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고속회전식 수동형 채집 장치(high speed rotation-type passive sampling device)를 한반도 주변해역에 적용하여 해수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자유용존상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대용량 해수 채취법(high volume water sampling)으로부터 구한 PAHs의 용존상 농도(dissolved concentration)와 고속회전식 수동형 채집 장치로부터의 자유용존상 농도를 비교하여 생물에게 직접적으로 이용 될 수 있는 비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속회전식수동형 채집 장치 모터의 회전속도를 900 rpm으로 가동하였을 때, 소수성이 낮은 저분자 PAHs 화합물(log KOW 3.4 ~ 5.2)은 5시간 만에 평형에 도달하였다. 반면 소수성이 비교적 높은 고분자 화합물(log KOW 5.6 ~ 6.8)의 경우, 평형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최소 2일에서 한 달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실행보정물질(performance reference compounds)를 이용할 경우, 5시간 가동만으로도 평형상태에서의 고분자 화합물의 농도 예측이 가능하였다. 수동형 채집 장치를 적용하여 측정된 조사해역에서의 PAHs의 자유용존상 농도는 0.32 ~ 1.2 ng/L으로 다른 대양에서의 농도보다는 높았지만, 항구나 해안과 같은 연안보다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용존상 및 자유용존상이 모두 검출된 PAHs를 대상으로 생물에게 이용 될 수 있는 비율은 서해병 폐기물 배출해역 위치와 인접한 조사구간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생물 체내 잔류농도를 예측하였을 때, 폐기물 배출해역이 포함된 외해가 연안보다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123674479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744796.pdf", "abstract_en": "The repeated shipboard measurements that have been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for more than a half century, provide the valuable long-term hydrographic data with high spatial-temporal resolution. However, this unprecedent dataset has been rarely used for oceanic climate sciences because of its reliability issue. In this study, temporal variability of salinity error in the NIFS data was quantified by means of extremely small variability of salinity in the deep layer of the south-western East Sea, in order to contribute to studies on long-term variability of the East Sea. The NIFS salinity errors estimated on the isothermal surfaces of 1℃ have a remarkable temporal variation, such as ~0.160 g/kg in the year of 1961~1980, ~0.060 g/kg in 1981~1994,~0.020 g/kg in 1995~2002, and ~0.010 g/kg in 2003~2014 on average, which basically represent bias error. In the recent years, even though the quality of salinity has been improved, there still remain relatively large bias errors in salinity data presumably due to failure of salinity sensor managements, especially in 2011, 2013, and 2014. On the contrary, the salinity in the year of 2012 was very accurate and stable, whose error was estimated as about 0.001 g/kg comparable to the salinity sensor accuracy. Thus, as long as developing proper data quality control procedures and sensor management systems, I expect that the NIFS shipboard hydrographic data could have good enough quality to support various studies on ocean response to climate variabilities. Additionally, a few points to improve the current NIFS shipboard measurements were sugges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abstract": "국립수산과학원(NIFS)의 정선 관측은 높은 시공간 해상도를 가지며 장기간 동안 같은 정점에서 관측을 수행해오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귀중한 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나, 자료의 신뢰성 문제로 해양 기후 변화 연구에 실제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 심층 물성이 갖는 작은 자연적 변동성의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반세기 이상 축적된 정선 관측 자료에서 나타나는 오차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해양의 장기 변동성 연구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등수온면에서 산출한 NIFS 염분 표준 오차는 평균적으로 1961~1980년 자료의 경우 약 0.160 g/kg, 1981년~1994년은 약 0.060 g/kg, 1995~2002년에는 약 0.020 g/kg, 2003년~2014년이 약 0.010 g/kg으로 시기에 따라 크게 달라져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011년~2014년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오차가 증가된 해가 있었으며, 이것은 센서 관리의 미흡으로 염분 편향이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2012년도에는 안정적인 관측이 수행되어 거의 0.001 g/kg 의 오차를 갖는 매우 정확한 염분 자료가 얻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품질 관리 과정의 체계화와 센서 관리 전문화 시스템을 확충한다면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관측이 기후 변화로 인한 해양 변동성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고품질의 자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현 정선 관측의 개선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첨부하였다."} {"id": "JAKO202116954762844",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62844.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ingness to leisure activity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to suggest the ne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the will to leisure activity.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was 3.84 points, and the willingness to leisure activity was analyzed to prioritize exchange with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leisure activity, all three items show a strong correlation. If job satisfaction is high, then the willingness to leisure activity is high and the intention to turn over is low, and if the will to leisure activity is high, then job satisfaction is high and turnover intention is low.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o establish measur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β=-0.551), leisure use (β=0.368), health status (β=0.139), current working years at work (β=0.069),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during the day (β=-0.056) were analyzed in order of effect.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plan to provide an optimal working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tention to turnover, leisure activity, health status, working years at work, and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during the day.", "abstract":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여가활용 의지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여가활용 의지에 대한 기회의 확대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직무만족 정도는 3.84점이며 여가활용의 의지는 공동체와 교류를 우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여가활용 의지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세 항목 모두 강력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직무만족이 높으면 여가활용 의지가 높고 이직의도가 낮으며 여가활용 의지가 높으면 직무만족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수립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직의도(β=-0.551), 여가활용(β=0.368), 건강상태(β=0.139), 현재 직장에서의 근무년수(β=0.069), 하루 동안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수(β=-0.056)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이직의도를 낮추고 여가활용 기회의 확대 및 개인의 건강상태와 현재 근무하는 직장의 근무년수를 고려하고 하루 동안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수를 고려하여 치과위생사가 처리하는 건수를 적절히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최적의 근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6954723828",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23828.pdf", "abstract_en": "This stud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e individual studies in which exercise program on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The electronic database for literature search used the Korean educational Academic Information (RISS), Korean Academic Information (KISS) and Nuri Media (DBPIA). We investigated a prior study of exercise program applied to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from 2015 to February 2021. For meta-analysis, effect size of each individual study was extracted using R project for Statistical computing version 4.0.3. Rob 2.0 tool, developed by the Cochrane group,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each individual study. The overall effect size exercise program with pain and balance was 0.99 (95% CI=0.53-1.44),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large effect size (p<0.05). The sub-group for pain was analyzed, for effect size of 0.62 and the effect size of balance scale(timed up and go test) was 1.00.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exercise program is an effective exercise for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s.", "abstract": "본 연구는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시행된 운동 프로그램이 통증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확인하고, 추후 이에 관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총 3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을 검색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연구 10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를 확인한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0.87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또한 통증에 관한 효과크기는 0.62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균형에 관한 효과크기는 1.00으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이처럼 각각의 운동 프로그램이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균형 능력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id": "JAKO202116954694816",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694816.pdf", "abstract_en": "Sparse ratings data hinder reliable similarity computation between users, which degrades the performance of memory-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s for recommender systems. Many works in the literature have been developed for solving this data sparsity problem, where the most simple and representative ones are the methods of utilizing Jaccard index. This index reflects the number of commonly rated items between two users and is mostly integrated into traditional similarity measures to compute similarity more accurately between the users. However, such integration is very straightforward with no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data sparsity. This study suggests a novel idea of applying different similarity measures depending on the numeric value of Jaccard index between two users. Performance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obtain optimal values of the parameters used by the proposed method and evaluate it in comparison with other relevant methods. As a result, the proposed demonstrates the best and comparable performance in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accuracies.", "abstract": "희소한 평가 데이터는 사용자들 간의 신뢰할만한 유사도 산출을 저해하기 때문에 추천 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기반의 협력 필터링 기법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기존 연구의 많은 결과물은 이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가장 단순하고 대표적인 업적은 자카드 계수를 활용하는 방법들이다. 이 계수는 두 사용자의 공통 평가 항목수를 반영하며, 그들 간의 유사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전통적인 유사도 척도와 통합된다. 그러나, 그러한 통합은 데이터 희소성의 정도를 고려하지 않은 매우 단순한 방법이다. 본 연구는 두 사용자의 자카드 계수값에 의거하여 다른 유사도 척도를 적용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제안 방법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의 최적값을 구하기 위하여 성능 실험을 진행하였고, 다른 관련된 방법들과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로서, 제안 방법은 예측 정확도와 추천 정확도에 있어서 가장 우수하거나 대등한 성능을 보였다."} {"id": "JAKO202116954729831",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29831.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xtended reality-based simultaneous multi presence system in a process of remote cooperative work. The proposed system generates a ring-shaped invisible screen which surrounds a user, and it provides position and manipulation of remote workspace and personal workspace. With the proposed system, the user easily navigates the several workspace for the remote collaboration or he/she selects a specific space for immersion. The proposed system also provides manipulation of personal workspace for the user during the remote cooperative work. We conducted a user study to prov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oposed system increased understanding spatial information and usage of time during the remote cooperative work.",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확장현실 환경에서 공동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여러 공간들을 빠르게 탐색하면서 동시에 여러 공간의 존재감을 제공해주는 동시적 공간 멀티 프레젠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사용자를 둘러싸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환형 스크린을 생성하여 원격 및 개인 공간들을 배치 및 조작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환형 스크린에 원격 사용자들 및 자신의 개인 작업 공간들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에는 환형 스크린에 배치되어 있는 다양한 공간들을 동시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공간들에 대한 존재감을 동시에 느끼면서 공동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특정 공간에 완전히 몰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작업하는 개인공간역시 환형 스크린을 통해서 배치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원격 공동 작업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동시에 여러 사용자들의 공간을 볼 수 있으면서 동시적 존재감을 느낄 수 있어서 공간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멀티 프레젠스를 사용한 상호작용의 시간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id": "JAKO202116954736834",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36834.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present how to improve the current seismic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by utilizing Shake, which can express the effects of earthquakes in the form of isolines. Using ShakeMap software provided by the U.S. Geological Survey, an automated rapid ShakeMap generation system was implemented, and based on this, an earthquak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improvement model was presented to identify earthquake risk in the form of intensity or peak ground acceleration. In order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improved model, the seismic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app. was developed and operated on a trial basis in Pohang, Gyeongsangbuk-do.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it was found that more detailed seismic risk information could be provided by providing information using rapid ShakeMap to induce users' safety behavior more effectively.", "abstract": "본 연구는 지진의 영향을 등치선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Shake을 활용하여 현행 지진재난 정보제공 서비스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지질조사국이 제공하고 있는 ShakeMap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동화된 신속 ShakeMap 생성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진발생 후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진의 위험도를 진도나 지반최대가속도의 형태로 파악할 수 있는 지진재난 정보서비스 개선모델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모델의 구현 가능성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북 포항지역을 대상으로 지진재난 정보서비스앱을 개발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한 결과 신속 ShakeMap을 활용한 정보제공을 통해 보다 상세한 지진위험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6954751840",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51840.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building exploration drone that can be used for a digital twin-based building control system. The existing building control system using a fixed position sensor box has a problem that a management blind spot occurs. And because people patrol themselves, it takes a lot of human resources. In this paper, a drone equipped with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a gas leak detection sensor is used to search the internal path of the building centering on the control blind spot. It also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building control system by transmitt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long with the video. In addition, it has a stable hovering function using an optical floor sensor and can be applied to an existing digital twin-based building control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ieved to be of great help in improving the quality of digital twin control systems using drone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건물 관제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건물탐사 드론을 제안한다. 기존 건물 관제 시스템은 고정된 센서 박스를 통해 관제 정보를 관리하므로 관리 체계의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문제점과 순찰을 통한 인위적인 방법은 자원적 한계성을 가진다. 본 논문은 온습도 센서와 가스 누출 탐지 센서를 내장한 드론을 통하여 관제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건물의 내부 경로를 탐색하고 영상과 더불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관제 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옵티컬 플로어 센서를 이용한 안정적인 호버링 기능을 가지며 기존 디지털 트윈 기반의 건물 관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드론 활용을 통하여 향후 디지털 트윈 관제 시스템의 질적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6954679810",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679810.pdf", "abstract_en":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posed guidelines for creating an age-friendly city in 2007, Efforts have been underway to create an age-friendly city to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around the world. At this point in time, This study shows the local governments that are currently certified as an age-friendly city and the local governments that prepare for certification, improving the welfare level of single-person households for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elderly-friendly citi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reflecting the eight major areas of the development of an aged-friendly city residential, economic, health, leisur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for senior citizens in a single household presented policy reflections on four level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Un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Single Househol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survey.", "abstract": "세계보건기구가 2007년도에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이후에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 각 도시마다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현재 고령친화도시로 인증 받은 자치단체와 인증을 준비하는 자치단체에 대해서 노인 1인 가구의 복지수준의 증진방안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제시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고령친화도시와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은 고령친화도시 조성의 8대 영역을 반영하는 1인 가구 노인의 주거사항, 경제사항, 건강사항, 여가 및 사회참여 사항, 등 네 가지 차원에서 정책적 반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1인 가구 노인들의 미실태조사에 대한 한계점과 설문조사를 통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id": "JAKO202116954746838",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46838.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4 weeks visual biofeedback training on the knee joint angle and muscle activities of lower extrem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 volunteers with hyperextended knee. To improve the hyperextended knee, visual biofeedback training was used during 4 weeks. The training is an exercise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 anterior weight bearing and posterior weight bearing of the plantar foot. The knee joint angl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muscle activity of tibialis anterio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visual biofeedback training. It was confirmed that visual biofeedback training of correcting hyperextended knee through the information on the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has a therapeutic effec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4주 동안의 시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무릎관절 각도와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15명의 과도한 무릎 젖힘을 가진 자원자가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과도한 무릎 젖힘을 향상시키기 위해 4주 동안의 시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사용하였다. 이 훈련은 발바닥의 앞 체중부하와 뒤 체중부하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운동이다. 시각 바이오피드백 훈련 후, 무릎 관절 각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앞정강근의 근전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바닥 압력 분산의 정보를 이용한 시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은 과도한 무릎 젖힘에 대하여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695468681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686813.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trend of press articles and research trends in journal papers in the last 10 years, which dealt with the subject of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with a big data analysis method.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applied the BigKinds analysis system a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ress articles related to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showed a keyword trend that rapidly increased in December 2014 and the second half of 2020. Related keywords were curriculum, specialization, project group, Ministry of Education, ACE, and competitiveness. Second, the semantic network value between keywords of related research papers showed 554 degree, 18,467 avg. degree, and 0.637 density. The degree of centrality of connection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university(1606), competency(1481), core(1349), and core competency(1301). Betweenness centrality was analyzed as core competencies(13.101), university students(13.101), university(13.101), and competencies(13.101).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give implications to future research and policy-making, educational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etc. to member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xperts in education policy, and educational scholar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핵심역량'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 최근 10년간(2011~2020년) 언론사 보도기사의 추이와 학술지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빅데이터 분석방법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론은 빅카인즈 분석 시스템과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 핵심역량 관련 언론사 기사수는 2014년 12월, 2020년 후반기에 급증하는 키워드 트렌드를 보였다. 관련 연관어는 교육과정, 특성화, 사업단, 교육부, ACE, 경쟁력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 연구논문 키워드 간의 언어네트워크 값은 연결정도 554개, 평균연결 18,467개, 밀도 0.637을 보였다. 연결정도 중심성은 대학(1606), 역량(1481), 핵심(1349), 핵심역량(1301)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매개 중심성 높은 키워드는 핵심역량(13.101), 대학생(13.101), 대학(13.101), 역량(13.101)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고등교육기관 구성원, 교육정책 관련 전문가, 교육학자 등에게 향후 연구 및 정책 입안,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등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695470982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09823.pdf", "abstract_en": "While there have been a lots of researches focusing on the commitment to shopping site in online commerce area, few studies suggested the resul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rs' characteristics including demographic and shopping characteristics and commitment to mobile shopping sit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level of mobile shopping site commitment will vary by users'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shopping time, and shopping scale. This study suggests, from the statistical analyses on 230 questionnair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level of shopping site commitment among the respondents grouped by age, shopping time, and shopping scale except for gender. The study proposes variou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shopping site commitment in mobile Internet environment.", "abstract": "최근까지 온라인 상거래 영역에서 쇼핑사이트 몰입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이들 대부분의 연구들은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쇼핑사이트 몰입과 유관 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쇼핑몰 이용자의 특성(인구통계적 특성, 쇼핑 특성)과 쇼핑사이트 몰입간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 쇼핑몰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의뢰한 설문지를 분석함으로써, 모바일 쇼핑사이트 이용자들의 다양한 특성(인구통계적 특성, 쇼핑 특성)에 따라 쇼핑사이트 몰입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쇼핑사이트 이용자들의 특성 중에서 성별을 제외한 연령대, 쇼핑시간, 쇼핑규모에 따라 쇼핑사이트 몰입도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분석결과는 국내외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고객들의 쇼핑사이트 몰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는 다수의 기업 및 관리자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6954742836",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42836.pdf", "abstract_e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as affected the world seriously. Every person is required for wearing a mask properly in a public area to prevent spreading the virus. However, many people are not wearing a mask properl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ask detection system. In our proposed system, we first detect the faces of input images using YOLOv5 and classify them as the one of three scene complexity classes (Simple, Moderate, and Complex) based on the number of detected faces. After that, the image is fed into the Faster-RCNN with the one of three ResNet (ResNet-18, 50, and 101) as backbone network depending on the scene complexity for detecting the face area and identifying whether the person is wearing the mask properly or not. We evaluated our proposed system using public mask detection datasets. The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ystem outperforms other models.", "abstract":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의 대유행에 따라 전 세계 수많은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민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몇몇 사람들은 마스크를 쓰지 않거나 제대로 착용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이미지에서의 효율적인 마스크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우선 입력 이미지의 모든 얼굴의 영역을 YOLOv5를 사용하여 감지하고 감지된 얼굴의 수에 따라 3가지의 장면 복잡도(Simple, Moderate, Complex) 중 하나로 분류한다. 그 후 장면 복잡도에 따라 3가지 ResNet(ResNet-18, 50, 101) 중 하나를 기반으로 한 Faster-RCNN을 사용하여 얼굴 부위를 감지하고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였는지 식별한다. 공개 마스크 감지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한 장면 복잡도 기반 적응적인 모델이 다른 모델에 비해 가장 성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6954715825",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1582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raction of virtual reality consumption pattern under the background of virtual reality, and the influence of such interactio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this paper, we selected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content interaction, function interaction and service interaction) and two mediating variables (including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valu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used SPSS24.0 and AMOS24.0, made the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nstruc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ested the hypotheses. The findings show that: fourteen hypotheses are all true, and the perceived value of virtual real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perceived valu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is stud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VR 기술을 토대로 하는 가상현실 소비 패턴의 상호작용 및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본 연구의 3개 독립변수는 콘텐츠 상호 작용, 기능적 상호 작용, 서비스 상호 작용이고 2개의 매개 변수는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이며 이들과 소비자의 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에서는 SPSS24.0 및 AMOS24.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그리고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가설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14개의 가설이 모두 성립되며 VR 기술의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분석을 통해 지각된 가치가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id": "JAKO20211695471182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11823.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hange of the total fertility rate(TFR) in regional level and analysing what different effects the local labor market and housing market have on the change of TFR.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the job and housing issues of the youth are structural factors on the decline of TFR. However, considering that youth problem is variant in local level, the relationship of job and housing issues with TFR could be different in local level. This study analyses what effects the situation of local labor market and housing market have on the TFR from 2012 to 2018 in regional level. The result is that the employment and housing factors have different effects on capital areas and non-capital areas. While the high cost of housing has negative effects on TFR in capital areas, it has rather positive effects in non-capital areas. However, labor market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ffects on TFR.", "abstract": "이 연구는 패널자료를 이용해 지역별 출산율 변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지역노동시장과 지역부동산시장 요인이 지역별로 출산율 변동에 어떻게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들은 청년층의 고용과 주거 문제가 출산율 하락의 구조적 요인임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청년문제는 지역별로 상이하며, 이런 점에서 고용과 주거 문제가 출산 행위에 미치는 영향도 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글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시군구 단위의 패널자료를 구축해서 지역노동시장과 지역부동산시장 상황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효과모형과 동적패널 모형을 이용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동시장 변수와 부동산 시장 변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에서 상이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는 높은 집값이 출산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높은 집값이 오히려 출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의 비용효과가 우세하고, 비수도권 지역은 자산효과가 우세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동시장 변수가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id": "JAKO202116954757842",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57842.pdf", "abstract_e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Data 3 method, the scope of the use of pseudonym information has expanded. In the case of pseudonym information, a specific individual can be identified by linking and combining with various 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may be leaked due to incorrect use of the pseudonym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cope of use of data is subdivided and a differentiated pseudony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scope. For the study, the formula was modified by using zero-knowledge proof among the pseudony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when the proposed formula was appl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improved by an average of 10% in terms of verification time compared to the case of applying the formula of the existing zero-knowledge proof.", "abstract": "데이터3법의 적용과 더불어 가명정보 활용의 범위가 넓어졌다. 가명정보의 경우 다양한 데이터와의 연계 및 결합에 의하여 특정개인을 식별할 수 있으며 가명정보의 잘못된 활용으로 인하여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사용범위를 세분화하고 해당범위에 따른 차별화된 가명정보 처리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가명정보 처리방법 중 영지식증명의 수식을 활용하여 해당 수식을 수정하였으며 제안한 수식을 적용한 경우 기존 영지식증명의 수식을 적용한 경우보다 Verification time 측면에서 평균 10%정도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3261965192",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61965192.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spray patterns and coverage generated by three types of commercial nozzles for spraying pesticide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sing a multi-copter. Flufenoxuron+metaflumizone SC and bifenthrin EC were sprayed. The falling particles of the spraying agent were measured using WSP (Water and oil Sensitive Paper) and the coverage was deter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iformity of falling particl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wind strength, and there was no difference for different formulations. The injection amount for each nozzle was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offici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control of UAVs and pesticide registration testing.",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멀티콥터를 이용한 무인항공용 방제약제 살포시 사용하는 상용 노즐에 3가지 타입에 따른 살포양상과 피복도를 조사하였다. 처리구에 플루페녹수론·메타플루미존(flufenoxuron+metaflumizone) 액상수화제와 비펜트린(bifenthrin) 유제를 살포하고난 뒤, 살포 약제의 낙하입자를 감수지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감수지의 피복도를 조사하였다. 낙하입자 분석결과 풍속의 차이에 따라 노즐별 낙하입자 균일도에 차이를 보였으며 제형별 차이는 없었다. 노즐별 분사량은 공식 제공정보와 실제 분사량에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들은 무인항공기 이용 농업현장방제 및 약제등록시험 가이드라인 설정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23261970193",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61970193.pdf", "abstract_en": "We confirmed the convenient bioassay method for th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in semi-field conditions. And we surveyed the susceptibility to commercial pesticides of A. ipsilon, which feeds Chinese cabbage through this bioassay process. As a result of the test, six soil mixing insecticides and eight soil drenching insecticides showed more than 90% insecticidal activity.", "abstract": "검거세미밤나방(Agrotis ipsilon)은 세계적으로 중요한 나비목 해충으로 유충이 토양 속에 서식하며 다양한 작물을 가해하기 때문에 생물검정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검거세미밤나방에 대한 간이생물검정법을 이용해 배추를 가해하는 검거세미밤나방의 시판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하였다. 시험결과, 토양혼화처리제 6종, 토양관주처리제로 8종이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id": "JAKO20212106162947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1061629472.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ies and river health in the Sincheon stream of Imgin River between April and October 2019. The survey collected 3,677 objects in 30 species belonging to 12 families from 23 survey stations.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 (28.4%) and Oryzias sinensis (13.6%), respectively, followed by Z. koreanus (11.8%), Rhynchocypris oxycephalus (11.7%), Carassius auratus (9.6%), and Pseudorasbora parva (7.9%) in that order. Among the fish species collected, 10 (33.3%) were endemic species in Korea. The exotic species were 5 (16.7%), including M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Cyprinus carpio (Israeli type), Poecilia reticulata, and Xiphophorus maculatus. The land-locked species included Cottus koreanus and Rhinogobius brunneus, while C. koreanus was a climate change-sensitive species. The dominance of the fish community was low, and the diversity was high in the Sincheon mainstream, Sudongcheon and Cheongdamcheon, whereas Dongducheon and Sangpaecheon showed higher dominance and low diversity. The river health was very good and good in the uppermost and Sudongcheon areas, whereas the upper stream was normal, and the middle and lower streams were poor and very poor, respectively. The water quality was also mostly poor or very poor from the midstream to the downstream, and only Sudongcheon was very good. Therefore, the water quality had a great impact on fish habitat and eventually affected river health significantly. Although the water quality of Shincheon has improved each year, the introduction of several foreign species had a very negative effect. Improvement of river health in Shincheon requires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exotic fish species.", "abstract": "신천의 어류 군집 특성과 하천의 건강성을 밝히기 위해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3개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12과 30종 3,677개체였다. 우점종은 피라미(Zacco platypus, 28.4%), 아우점종은 대륙송사리(Oryzias sinensis, 13.6%), 그 다음으로 참갈겨니(Zacco koreanus, 11.8%),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11.7%), 붕어(Carassius auratus, 9.6%), 참붕어(Pseudorasbora parva, 7.9%)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 종 중 한국고유종은 10종(33.3%)이었고, 외래종은 이스라엘잉어(Cyprinus carpio (Islaeli type), 떡붕어(Carassius cuvieri), 배스(Micropterus salmoides), 구피(Poecilia reticulata), 플래티(Xiphophorus maculatus) 5종(16.7%)이었으며, 육봉형 어류는 둑중개(Cottus koreanus)와 밀어(Rhinogobius brunneus) 2종(6.7%), 기후 변화 민감종은 둑중개 1종(3.3%)이 출현하였다. 어류 군집분석 결과, 신천본류와 수동천, 청담천은 우점도는 낮고 다양도는 높았으며, 동두천과 상패천은 우점도는 높고 다양도는 낮았다. 하천건강성은 최상류와 지류인 수동천이 매우 좋음, 좋음이었으나 상류부는 보통, 중·하류부는 나쁨, 매우 나쁨으로 나타났다. 수질도 중류부터 하류까지 대부분 나쁨 또는 매우 나쁨이었고 지류 수동천만 매우 좋음이었다. 따라서 수질이 어류서식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결국 하천건강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도별 신천의 수질은 점점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외래종의 도입은 매우 부정적인 요인이었다. 신천의 하천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질개선과 더불어 외래어종의 관리가 요구된다."} {"id": "JAKO202117563204993",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0499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the effect on the lateral and torsional behavior of ballastless railway plate girder bridge by the installation of the lower horizontal bracing has been reviewed. First of all, the most efficient lower bracing arrangement has been reviewed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lateral displacement due to the train load, targeting analysis models with different arrangement types of lower bracing. Next, the research on torsional behavior of plate girder bridge with lower bracing has been conducted. In addition, the torsion constant from FEM analysis results has been compared with the torsion constant of a railroad plate girder bridge with a closed section by sub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racing with equivalent thickness. Based on this comparison, the impact on the bridge span length and the cross section area of the lower bracing has been examined. Through this study, the curve graph related to lateral buckling moment and torsional constant ratio is presented and the range of plate girder bridge requiring torsional reinforcement is propose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하부수평브레이싱 설치에 따른 무도상 철도판형교의 횡방향 및 비틀림거동에 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선 하부브레이싱의 부재 배치 형태가 다른 해석모델을 대상으로 하여 열차하중에 의한 횡방향변위를 비교 검토하여 가장 효율적인 하부 브레이싱의 배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다음으로는 하부브레이싱을 설치한 2주형 철도판형교의 비틀림거동에 대해 검토를 수행하였다. 또한, FEM 해석결과로부터 구한 비틀림상수와 상부와 하부수평브레이싱을 등가두께로 치환하여 폐합단면으로 하는 철도판형교의 비틀림상수를 비교하였고, 교량의 지간길이와 하부브레이싱의 단면적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와같은 해석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횡좌굴모멘트와 비틀림상수비와의 관계곡선을 제시하였고 비틀림보강이 필요한 철도판형교의 범위를 제안하였다."} {"id": "JAKO202103440878198",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198.pdf", "abstract_en":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 local adaptive water supply system for upper mountainous regions, which provide a margin of water supply.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process of securing a water source, planning for optimal use, and combining it with a water source that can be linked. In particular, in a mountainous region locat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watershed, an approach should be found to utilize the groundwater discharge supplied through valley water and lateral discharge. This study sought to improve the water supply system using sand dams in drought-prone areas in Chuncheon, in Gangwon Province. Our approach involved virtually installing a sand storage tank under the existing water source to perform modeling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water intake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taken from the sand dam. When the sand dam was applied at a size four times larger than the existing water source, it was found that the groundwater drainag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changes in water surface slope and hydraulic conductivity.", "abstract": "물공급 소외지역인 산간 최상류 지역을 위한 현지 적응형 물공급 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수원의 확보와 최적이용 방안 및 연계 가능한 수원과의 결합이 관건이다. 특히 유역 최상류에 위치한 산간지역에는 계곡수와 복류수를 통해 공급되는 지하수 유출량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의 가뭄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샌드댐을 활용한 물공급 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방법은 기존 수원 하부에 모래저류조를 가상으로 설치하여 현재 취수량을 고려한 모델링을 수행하고 추가로 샌드댐에서 취수가능한 양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샌드댐을 기존 수원의 4배 크기로 적용한 경우 수면경사와 수리전도도의 변화에 따라 배수량이 크게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8248932695", "publication_date": "2021.06.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248932695.pdf", "abstract_en": "Fat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 for a higher proportion than other industries, and in particular, the collapse accident of formwork is likely to lead to a serious accident like death. This study aim to derive the importance ranking of formwork collapse factors using AHP technique for preventing fatal accident. The AHP survey was conducted on field construction engineers,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safety managers, and formwork specialist foreman with 10 years on site experience. The results of AHP analysis is that the most importance factor of formwork collapse accident is 'non-compliance with the formwork shoring assembly drawing'. Next it is important in the order of 'poor installation of formwork shoring and accessories', 'formwork shoring is not installed vertically', 'non-compliance with the concrete curing period of the formwork shoring', 'safety supervisor not designated and negligent'. It is necessary to preferentially and intensively manage the high importance factors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or reducing formwork collapse accident.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reducing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if the factors of the formwork collapse accident suggested in this research are included in the formwork inspection check list and checked step by step in formwork construction.", "abstract": "건축공사 재해 중 거푸집공사 비중이 매우 크다. 거푸집 공사 재해 예방을 위해 관련 연구가 장기간 걸쳐 진행되고 있지만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해가 줄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거푸집 붕괴사고 요인별 중요도 분석을 하고 관리할 우선 요소를 정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시공요인, 관리요인, 설계요인 순으로 가중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공요인을 우선적으로 관리하면 거푸집 붕괴 재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8248933695", "publication_date": "2021.06.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248933695.pdf", "abstract_en": "Recently, the insulaton design standards for reducing the energy use of buildings have been strengthened. Althoug insulation work is the most cost-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the primary energy consumption per unit area of a building, there are no evaluation criteria for insulation performanc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completion insp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objective data by establishing a standard for an analysis method and a method for easily experimenting with the exterior wall thermal transmittanc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a thermal transmittance measuring device(TESTO 435). For the exterior wall of the test subject, the specific heat per unit area exceeded 20kJ/(m ·K), and the data at the end point suitable for ISO 9869-1 were analyzed by the average method. The measured values of the thermal transmittance for 3 consecutive days converged within +5% of the desing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thermal transmittance by day decreased in the order of 1-Day > 3-Day > 2-Day.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thermal transmittance by time period decreased in the order of 00:00~24:00 < 19:00~07:00 < 00:00~07:00. The measured value of the thermal transmittance for the time perion of 00:00 to 07:00 per day almost coincided with an error of -3% to + 2% compare to the desing value.", "abstract": "최근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 저감을 위한 단열 설계기준은 강화되고 있다. 단열공사는 건축물의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 소요량 저감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건축 시공 및 준공검사 과정에서 단열성능에 대한 평가(검사)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열관류율 측정장비(TESTO 435)를 활용하여 공동주택의 외벽 열관류율을 간편하게 실험 할 수 있는 방법과 분석기법에 대한 기준을 구축하여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 대상 외벽의 단위면적당 비열(열용량)이 20 kJ(m ·K)를 초과하여 ISO 9869-1에 적합한 종료 시점의 데이터를 평균법으로 분석했다. 3일 연속 열관류율 측정값은 설계값 대비 +5% 이내로 허용오차 범위 내로 수렴했고, 일자별 열관류율의 표준편차는 1-Day > 3-Day > 2-Day 순으로 작아졌고, 시간대별 열관류율 표준편차는 00:00~24:00 > 19:00~07:00 > 00:00~07:00 순으로 줄어 들었다. 특히, 측정일자별로 00:00~07:00 시간대의 열관류율 값은 설계값 대비 -3%~+2% 편차로 거의 일치하였다."} {"id": "JAKO202118248945698", "publication_date": "2021.06.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248945698.pdf", "abstract_en": "Concrete quality is mainly managed through the reliable prediction and control of compressive strength. Although related industries have established a relevant datasets based on the mixture proportions and compressive strength gain, whereas they have not been shared due to various reasons including technology leakage. Consequently, the costs and efforts for quality control have been wasted excessivel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web-based numerical model, which would present diverse optimal values including concrete strength prediction to the user, and to establish a sustainable database (DB) collection system by inducing the data entered by the user to be collected for the DB. The system handles the overall technology related to the concrete. Particularly, it predicts compressive strength at a mean accuracy of 89.2% by apply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modeled based on extensive DBs.", "abstract":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는 주로 압축강도의 예측과 제어를 뜻한다. 이를 위해 관련 업계에서는 콘크리트 배합설계 및 재령별 강도에 관한 상당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으나, 기술유출 등의 이유로 공유되지 못해 결과적으로 품질관리를 위한 비용과 노력은 과도하게 낭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전산모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콘크리트의 강도 예측 결과를 비롯한 다양한 최적 값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배합특성과 결과는 다시 DB로 수집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속가능한 DB 수집 시스템을 구축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콘크리트 관련 전반적 기술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압축강도의 예측은 다수의 DB를 기반으로 모델링된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평균 89.2% 수준의 정확도에서 예측 값을 제공한다."} {"id": "JAKO202118248973704", "publication_date": "2021.06.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248973704.pdf", "abstract_en": "Public rental apartment is increasing due to the needs and changes of the times, but there is a lack of advancement in terms of management. As asset management in domestic buildings still remains unchanged from the concept of repair after failure or breakdown, social cost reduction is need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asset man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anagement indicators for public rental housing asset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concepts of domestic public rental housing asset management and the existing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the management factors presented overseas and analyzed the repair cases and history of domestic public rental housing to present sustainable management indicators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s. Through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basic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of rental housing as a public good in the future.", "abstract": "시대적 요구 및 변화에 따라 공공임대주택이 증가하고 있으나 관리적 측면에서의 선진화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 건축물 자산관리는 여전히 고장 후 수리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공공재로서의 자산관리 개념의 도입을 통한 사회적 비용 절감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의 고찰을 통해 국내 공공임대주택 자산관리의 개념과 기존의 평가지표를 파악하여 공공임대주택 자산관리를 위한 관리 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해외에서 제시하고 있는 관리요인을 파악하고 국내 공공임대주택의 수선 사례 및 이력을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지속가능한 관리 지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향후 공공재로서의 임대주택 관리를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8248919692", "publication_date": "2021.06.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248919692.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various performance of dry cement mortar for Korean floor heating system depending on water-to-dry mortar ratios (W/DM) applied in project sit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conducted, the importance of mixing water for dry cement mortar was revealed by resultant performance or quality of the dry cement mortar for floor finishing by changing W/DM controlled in project site by workers. As the general trend, the flow was increased, and the unit volume weigh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W/DM. Additionally, compressiv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DM. Hence, it can be stated that the adding water for dry cement mortar should be managed precisely since excessively increased W/DM for workability improvement can cause performance degradation of floor mortar with the failures such as excessive bleeding, and severe segregation during the fresh state. As a summary of the study, to achieve a desirable performance of dry cement mortar, approximately 20 % of W/DM can be suggested to be managed in project site.", "abstract": "본 연구는 바닥 난방을 위한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현장 혼합수량비(W/DM) 변화에 따른 각종 품질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현장 시공은 현장에서 혼합하는 혼합수량의 증가에 따라 플로가 증가하고, 단위용적질량이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이며, 압축강도 및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은 혼합수량의 변동에 따라 바닥용 DM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정 W/DM의 관리가 바닥용 DM의 시공 품질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바닥용 DM의 현장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만을 고려한 과도한 현장 W/DM 증가는 과도한 블리딩 및 재료분리 등으로 인해 바닥용 DM의 경화 후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상으로, 본 연구 범위의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현장 시공 시 바닥용 DM의 품질확보를 위한 현장 품질관리 기준으로는 W/DM 약 20%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정 혼합수량이 관리될 수 있다면 바닥용 DM의 양호한 품질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8248956700", "publication_date": "2021.06.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248956700.pdf", "abstract_en": "LIBS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analytical method capable of real-time measurement without sample preparation. In this study, a Lab. scale LIBS device was fabricat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LIBS in the analysis of chloride contents in mortar. The existing analysis method and LIBS analysis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on the mortar test specimen with the chloride content adjusted. Compared to the chloride content condition of the mortar, the XRF and Potentiometric Titration results also showed a similar trend. As a result of LIBS analysis, chlorine ions were detected at a wavelength of 837.59 nm according to the chloride content con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ecision in various concentration ranges, the LIBS signal amplification of about 50 times through the electric field enhancement was implement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aqueous solution-based reproducibility,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LIBS signal strength and the Cl concentration was confirmed,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LIBS to the durability diagnosis of concrete damage by chloride was confirm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Lab. 스케일 LIBS 장치를 제작하여 모르타르 내 염화물 분석에서의 LIBS 적용성과 재현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염화물 함량을 조절한 모르타르를 대상으로 기존의 분석방법(XRF, 전위차 적정법)과 LIBS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LIBS 분석 결과, 염소이온은 837.59nm 파장에서 검출되었고, 다양한 농도 구간에서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기장 강화를 통한 약 50배의 LIBS 신호증폭을 구현하였다. 수용액 기반의 재현성을 검증을 통하여 LIBS 신호 강도와 Cl농도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할수 있었으며, 콘크리트 염해 내구성 진단에 LIBS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7563154977",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54977.pdf", "abstract_en": "Numerical simulation with Hwang's scheme, which can analyze shallow-water flow over discontinuous topography, was compared with a laboratory experiment of flooding on a perpendicular floodplain with dam-break flows. The simulation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s measured in an experimental flume with a reservoir, channel, and floodplain. The wetting and drying process on a perpendicular floodplain with a dam-break flow was particularly well simulated. The difference in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type of flow resistance was in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ng inundation in urban rivers.", "abstract": "불연속 지형을 지나는 천수 흐름을 해석할 수 있는 Hwang의 기법이 채택된 수치 모의를 댐 붕괴 흐름에 의한 직립 홍수터의 범람 실험과 비교하였다. 모의 결과는 저수지, 저수로, 홍수터로 이루어진 실험 수로에서 측정한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특히, 댐 붕괴 흐름이 직립 홍수터로 차고 빠지는 과정이 잘 모의되었다. 흐름 저항의 종류에 따른 모의 결과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도심 하천의 범람 예측에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7563203992",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03992.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n evaluation index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derive indicators related to the environment for bicycle use and to evaluate the environment for bicycle use in the city of Suw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assessment factors was highest in bicycle safety an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assessment indicators was highest in terms of priority of items directly affecting bike riding, and items with indirect influence were low in importanc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valuation model to bike paths in Suw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can be described in a relatively realistic manner.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 directives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cycle paths.", "abstract": "본 연구는 자전거 이용에 필요한 이용환경과 관련된 지표를 도출하고, 자전거 이용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 및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평가요소 간 상대적 중요도는 자전거 안전성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자전거 주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항목의 우선순위가 높고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모형을 토지이용별로 자전거도로에 적용한 결과 비교적 현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향후 이를 활용하여 지자체의 자전거도로 이용환경 개선을 위한 개선방향 도출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3440878203",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20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an analytical model is proposed for assessing the natural frequency of barrettes subjected to vertical loading. The differential equation governing the free vibration of rectangular friction piles embedded in inhomogeneous soil is derived. The governing equation is numerically integrated by Runge-Kutta technique and the eigenvalue of natural frequency is computed by Regula-Falsi method. The numerical solutions for the natural frequency of barrettes compare well with those obtained from finite element analysis. Illustrated examples show that the natural frequencies increase with an increase of the cross-sectional aspect ratio, the friction resistance ratio and the soil stiffness ratio, and decrease with an increase of the friction aspect ratio, the slenderness ratio and the load factor, respectively.",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정적 수직하중을 받는 barrette 말뚝의 고유진동수를 산정할 수 있는 해석모델을 제안하였다. 비균질 지반에 설치된 직사각형 마찰말뚝의 자유진동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이 지배방정식을 Runge-Kutta 법을 이용하여 수치적분하였고, 미분방정식의 고유치인 고유진동수는 Regula-Falsi 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말뚝의 고유진동수는 유한요소해석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말뚝의 고유진동수를 증가시키는 말뚝변수는 단면형상비, 마찰저항비, 지반강성비이고, 감소시키는 말뚝변수는 마찰형상비, 세장비, 압축계수이다."} {"id": "JAKO202120461997911",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997911.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ownership structure of unlisted firms on KOSDAQ listing. There are few studie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isting success based on ownership structure. For startup executives, there is not enough data to refer to the ownership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listing.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ownership structure on IPO success through comparison between listed successful and failed companies among the companies in application for KOSDAQ listing eligibility review.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Venture capital investment and shareholding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 of KOSDAQ listing.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venture capital's investment alleviate the problem of information asymmetry, and it is a valid signal for market participants. The result means the role of venture capital seems to be important when companies are listed on the KOSDAQ. (2) The largest shareholder's stake has an inverted-U shape relationship with listing success. In other words, the ownership concentration mitigates moral hazard problem, which leads to listing success. However, if the ownership concentration exceeds a certain level, the chances of success in listing will decrease due to concerns over the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largest shareholder's stake reduce agency problem. This study academicall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e ownership structure affects IPOs, and explaining the results based on agent theory and signal theory. Our resul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preparing for an IPO on the KOSDAQ.",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비상장기업의 소유구조가 코스닥 상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소유구조를 중심으로 상장 성공의 특성을 분석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어 상장을 목표로 스타트업을 성장시키는 경영진들이 창업 초기부터 상장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소유구조를 갖추어 가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 예비 심사 청구 기업 중 상장(IPO) 성공기업과 실패기업 대상비교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던 기업의 소유구조가 상장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벤처캐피탈의 투자 및 지분율은 코스닥 상장 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벤처캐피탈의 투자가 정보 비대칭 문제를 완화하며, 벤처캐피탈의 투자는 시장참여자에게 유의한 신호가 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결과는 벤처캐피탈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려는 기업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2)최대주주 지분율과 기업의 상장 성공 간에는 약한 역U자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대주주 지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도덕적 해이가 완화되어 상장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최대주주지분율이 일정 수준보다 높아지면, 최대주주의 사익추구에 대한 우려로 상장 성공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러한 비선형 관계는 기존 실증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최대주주의 주식 소유가 대리인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신호이론과 대리인 이론을 활용하여 기업의 소유구조가 상장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학문적으로 기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업공개를 준비하는 기업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id": "JAKO20212046200891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2008914.pdf", "abstract_en": "This study analyzes the entrepreneurship policies of the previous Korean administr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cy Paradigm by Hall(1993). A total of 195 newspaper articles and 202 government documents were examined to identify policy paradigm shifts through an analysis of policy objectives, policy instruments, and changing quality of policy instruments by each administration. The first paradigm was built during the 5th and 6th Republic, where 'Suppor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Establishment Act' was enacted in 1986 to promote and support start-up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Next is the so-called 'people's government' period wher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Venture Businesses' was enacted to tackle the challenges posed dur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A new policy goal was set to promote and nurture venture companies seeking subsequent means to achieve it. The third paradigm shift took place during President Moon's administr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issues stemming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the overall revision of the 'Suppor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Establishment Act', the scope of startups were expanded, new industries and technology startups were supported and promoted, and venture investment-related laws were streamlined. In addition,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as promoted as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enabling them to take initiative in implementing startup policies.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low survival rate of startup companies and the revitalization of private investment as rising policy issues for recent startups, and suggests the improvement direction due to startup policy paradigm shift.", "abstract": "본 연구는 역대 정부 창업정책을 Hall(1993)의 정책 패러다임(Policy Paradigm)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총 195건의 신문기사와 202건의 정부 문서를 살펴보고, 각 정부 별 정책목표, 정책수단, 그리고 정책수단의 수준변화 분석을 통해 정책 패러다임 변동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 패러다임 구축 시기는 제5·6공화국으로 1986년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정과 함께 제조업 중심의 창업 촉진 및 성장·발전 지원이라는 목표 설정으로 창업정책 패러다임이 처음 구축된 시기이다. 다음은 국민의 정부시기로 IMF 외환위기 대응을 위한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제정으로 벤처기업 창업 촉진과 육성이라는 새로운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였다. 마지막 패러다임 변화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시기에 이루어졌다.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전부개정을 통해 창업 개념 확장, 신산업·기술창업 지원 및 집중 육성을 도모하였으며, 벤처투자관련 법을 일원화하고 정비하였다. 또한 중소기업청을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시켜, 창업정책을 주도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최근 창업정책 이슈인 창업기업의 낮은 생존율과 민간투자 활성화에 대하여 살펴보고, 새로운 창업정책 패러다임 변동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2046200691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200691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adventurous investments in corporate venture capital (CVC) firms' investment in the U.S. based corporate venture capital industry. Unlike existing studies focusing CVC firm's characteristics related to parent corporates and regarding CVC firm as a vehicle of corporate venturing, we identified CVC firm as an independent learning agent to adapt to dynamic environment and investigate their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investments based on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Specifically, we investigate the market-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VC's adventurous investment in different sector rather than previously done. First, we examined competition intensity in CVC industry might be related to CVC firm's explorative investments. Second, CVC firm's investment experiences might affect as an inertia to invest on unexperienced sector. Finally, we investigated risk preference effect on CVC firm's venturing investments. The empirical data analyzed in the study contained a total of 85 U.S. based CVC firms and their 2,306 investments from 1996 until 2017. After conducting a GEE regression analysis and a Logit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our independent and moderating variables strongly supported all of our four hypotheses in a highly robust manner.", "abstract": "본 연구는 기업벤처캐피탈의 모험적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탐색한다. 기존 연구들이 기업벤처캐피탈을 모기업 사업 다각화와 신규 사업 진출을 위한 기업벤처링의 수단, 사업전략을 위한 전략적 투자자, 소유 지배 구조를 확장하기 위한 부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로 바라보는 것에 반해, 본 연구는 독립된 재무적 투자자이자 학습 주체로서 기업벤처캐피탈의 정체성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대응하여 탐색을 시도하는 기업벤처캐피탈의 모험적 투자에 주목하여, 기업벤처캐피탈로 하여금 기존에 투자하던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모험적 투자를 하게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위해 산업 내 경쟁강도, 기업벤처캐피탈의 투자경험, 기업벤처캐피탈의 투자와 관련된 위험선호성향이 모험적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1996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 기업벤처캐피탈의 기업정보, 투자정보를 기반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산업 내 경쟁강도가 강할수록, 투자경험이 많을수록, 스타트업의 후반 라운드에 투자를 주로 하는 기업벤처캐피탈일수록 상대적으로 모험적인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라는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주로 모기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업벤처캐피탈의 투자에 대해 논의했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독립된 투자자이자 탐색과 활용의 주체로서의 기업벤처캐피탈 투자에 대해 주목했다는 점에서 기업벤처캐피탈 정체성과 투자전략에 대한 논의의 폭을 확장하고, 기업벤처캐피탈이 스타트업 생태계에서의 역할에 대해 제고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id": "JAKO20212046199891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998912.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 factors of startups by generation (young and middle-aged) in Seoul.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hat included factors of industry, population, and startup institutions by generation in 424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the Seoul Business Enterprise Survey(2018), which includes data on the age group of entrepreneurs. As an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frequenc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startups by generation and major variables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eoul, and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artups by generation were analyzed through global and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In particula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artups in Seoul was confirmed in-depth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startups by major industries. Afterwards, an appropriate spatial regression analysis model was selected through the Lagrange test, and based on this, the location factors affecting startups by generation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young and middle-aged startups. The young people started to startups in the belt-shaped area that connects Seocho·Gangnam-Yongsan-Mapo-Gangseo, while middle-aged people were relatively active in the southeastern region represented by Seocho, Gangnam, Songpa, and Gangdong. Second, startups by generation in Seoul showed various spatial distribu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In the knowledge high-tech industries(ICT, professional services) in common, Seocho, Gangnam, Mapo, Guro, and Geumcheon were the centers,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was focused on existing clust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ife service industry, young people were active in startups near universities and cultural centers, while middle-aged people were concentrated on new town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tartup location of each generation in Seoul. For young people, high-tech industries, universities, cultural capital, and densely populated areas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startup, and for middle-aged people, professional service areas, low average age, and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artup. Also, these location factors had different influences for each industry. The implications suggest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upport systematic startup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dustry, and generation in Seoul. 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rtup regions and industries by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 customized startup support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se regional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 follow-up study is needed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culture and finance at the large districts(Gu) level through data accumulation.", "abstract": "이 연구는 서울시 세대별(청년층, 중년층) 창업의 공간적 분포와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창업가의 연령대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서울시 사업체조사(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 424개 행정동의 세대별 창업 분포를 분석했으며, 산업, 인구구조 및 창업지원 기관 관련 변인이 포함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세대별 창업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서울시 행정동의 세대별 창업과 주요 변인들의 빈도, 평균 및 표준편차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활용했으며, 전역적, 국지적 공간자기상관 분석을 통해 세대별 창업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특히 세대별 전체 창업과 주요 산업별 창업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 창업의 공간 분포를 심층적으로 확인하였다. 이후 라그랑주 검정을 통해 공간회귀분석 모형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대별 창업에 미치는 지역적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과 중년층 창업의 공간적 분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청년층은 서초·강남-용산-마포-강서구로 이어지는 벨트 지역에서 창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중년층은 서초·강남·송파·강동으로 대표되는 동남권 지역의 창업이 활발한 편이었다. 둘째, 서울시 세대별 창업은 업종에 따라 다양한 공간적 분포를 보였다. 지식첨단산업(정보통신, 전문서비스)은 세대 공통적으로 서초, 강남, 마포, 구로, 금천구가 중심지역이었으며, 제조업은 기존 집적지를 중심으로 창업이 집중되어 있었다. 반면 생활서비스업의 경우 청년층은 용산, 마포, 관악 등 대학과 문화 중심지역에서 창업이 활발했으며, 중년층은 신시가지 중심으로 창업이 집중되었다. 셋째, 서울시의 세대별 창업 입지에 대한 영향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청년층은 첨단산업, 대학, 문화자본 및 인구 밀집이 창업에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중년층은 전문서비스 특화도, 낮은 평균연령, 창업지원 기관 밀집 수준이 창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러한 입지요인은 산업별로 차별적인 영향이 있었다. 연구를 통해 제시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지역, 산업 및 세대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창업지원이 필요하다. 세대별 창업 지역과 산업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만큼 지역 및 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창업지원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방법적 측면에서 데이터 축적을 통해 자치구 단위에서 문화, 재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id": "JAKO20212046200791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2007914.pdf", "abstract_en": "Business ecosystem is becoming more inclined towards platform ecosystem, which attracts multi-side participant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e burgeoning interest in digital ecosystem leads to the rapid rise of research. In this paper, we suggest a research agenda, focusing on the benefits of complementors in platform ecosystem. First, we outline the extant papers on benefits from platform to participants from economic perspective, strategic management perspective, technology management perspective, and economic sociological perspective to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platform ecosystem. Second, we suggest systemic framework to provide integrative insights on the the topic of benefit from platform to complementors- (1) open innovation view, (2) economic performance view, and (3) sociological view. Specifically, we focus on empirical studies that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efits from platform and spillover effects on complementors based on various dataset.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past empirical research, we suggest future research agenda and implications for policy in platform ecosystem.", "abstract": "최근 국내외에서 디지털 경제와 플랫폼 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을 다룬 연구들 중에서도 플랫폼 생태계에 공급자로 참여하는 보완자들이 얻는 효익과 관련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향후 이 분야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플랫폼이 참여자에게 어떠한 효익을 주는 지를 실증 데이터를 토대로 검증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체계적인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하여 먼저 기존 플랫폼 생태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산업조직론적 관점, 기술 경영학적 관점, 전략 경영학적 관점, 그리고 경제 사회학적 관점들로 나누어 이들 관점이 각각 어디에 주목하여 디지털 플랫폼 생태계를 이해하고 있는 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런 다음 디지털 플랫폼의 보완자들이 획득하는 효익을 다룬 실증 연구들을 첫째, 혁신적 관점, 둘째, 경제적 관점, 셋째, 사회적 관점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프레임을 기반으로 살펴봄으로써 플랫폼 생태계에 대하여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향후 플랫폼 생태계 분야의 연구 방향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id": "JAKO20212046200391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2003913.pdf", "abstract_en": "Research in which an individual's entrepreneurial spirit contributes to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revitalization of entrepreneurship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studies related to individual satisfaction or life satisfaction are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young adults' entrepreneurial spirit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at the same time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511 young people to reveal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in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trepreneurial spir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Second,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played a role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participation in start-up support projec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clue that life satisfaction can act as a major variable in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ship. It also implie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about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such as sales and employment effect, but also the qualitative performance such as personal life satisfaction.", "abstract": "개인의 기업가정신이 창업활성화를 통해 국가의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개인의 만족 또는 삶의 만족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년들의 기업가정신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밝히는 동시에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창업지원사업 참여경험의 효과성을 밝히고자 청년(만39세미만) 51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은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자기결정성과 자기효능감은 기업가정신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끝으로 창업지원사업 참여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삶의 만족도가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창업지원사업의 성과를 매출액 및 고용효과 등의 정량적 성과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만족도와 같은 정성적인 성과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id": "JAKO20212046200191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2001912.pdf", "abstract_e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dvanced models that predict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most accurately. For the first time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it presents a model that predicts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corresponding to data scientific approaches. It uses 22,099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GEM) data from 62 countries to build predictive models. Based on the data set consisting of 27 explanatory variables, it builds predictive models that are traditional statistical methods such 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models such as regression tree, random forest, XG boos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n, it compares the performance of each model. It uses indicators such as root mean square error (RMSE), mean analysis error (MAE) and correla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The analysis of result is that all five machine learning models perform better than traditional methods, while the best predictive performance model was XG boost. In predicting it through XG boost, the variables with high contribution are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and cross-term variables of market expansion, which indicates that the type of entrepreneur who wants to acquire opportunities in new markets exhibits high innovativenes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적 혁신성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고도화된 분석 모델을 탐색하는 것이다. 기업가정신 연구 분야에서는 최초로, 데이터 과학적 접근방식에 해당되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해 기업가적 혁신성(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예측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의 62개국 22,099건 데이터를 이용한다. 27개 설명변수로 이뤄진 데이터 셋을 토대로 전통적 통계방법인 다중회귀분석과, 회귀트리, 랜덤포레스트, XG부스트, 인공신경망 등 기계학습을 이용한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각 모델의 성능을 비교한다.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 RMSE(Root mean square error), MAE(Mean absolute error)와 상관관계(Correlation) 등 지표를 사용한다. 분석 결과 5가지 기계학습 기반 모델은 모두 전통적 방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예측 성능이 가장 좋은 모델은 XG부스트였다. XG부스트를 통한 기업가적 혁신성 예측에 있어서 기여도가 높은 변수는 창업가의 기회인지 및 시장 확장의 교차항 변수이며, 이는 신시장에서 기회를 획득하고자 하는 유형의 창업기업이 높은 혁신성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고도화된 분석방법인 기계학습을 이용해 새로운 예측모델을 제시, 기업가정신 연구의 시야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id": "JAKO202120461996911",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996911.pdf", "abstract_en":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and streaming technology, many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have appeared. In addition, social impact is becoming an era of non-face-to-face consumption due to the panthermic environment of COVID-19. Accordingly, in line with the non-face-to-face consumption trend, w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live commerce, which is emerging as a new distribution channel,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and show hosts have on purchase intention.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235 general adults of live commerce users. Interaction, economics, entertainment as the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and attractiveness, professionality, and awareness as the characteristics of show host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Purchase intention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ntent flow was set as the mediating vari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such as Interaction, economics, entertai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how hosts such as attractiveness, professionality, and awareness all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 impact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entertainment of live commerce, awareness, attractiveness, professionality of show hosts, economics, interaction of live commer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of content flow on purchase intention are as follows. Content flow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interaction, entertainment, attractiveness, professionality,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economics was analyze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panies and show hosts that sell products in live commerce should sell products that can inspire consumers rather than simply sell product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content that provides entertainment and attractions gives pleasure to consumers. If not only a well-recognized show host, but also people with high recogni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influencers and creators, become show hosts, consumers' content flow and purchase intentions will increase. And vendors must offer interesting content development and reasonable prices. Show hosts need to focus on 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abstract": "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스트리밍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소비 패턴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영향이 COVID-19의 팬터믹 환경으로 인하여 비대면 소비의 시대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비대면 소비 트렌드에 맞춰서 새로운 유통채널로 부각되고 있는 라이브 커머스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라이브 커머스 및 쇼 호스트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라이브 커머스로 구매한 구매자 성인 235명이었다, 독립변수로는 라이브 커머스 특성으로 상호작용성, 경제성, 오락성과 쇼 호스트 특성으로 매력성, 전문성, 인지도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로 구매의도를, 매개변수는 콘텐츠 몰입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라이브 커머스 특성인 상호작용성, 경제성, 오락성과 쇼 호스트 특성인 매력성, 전문성, 인지도는 모두 구매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크기는 라이브 커머스의 오락성, 쇼 호스트 인지도, 매력성, 전문성, 라이브 커머스의 경제성, 상호작용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콘텐츠 몰입의 매개효과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개 변수인 콘텐츠 몰입은 상호작용성, 오락성, 매력성, 전문성, 인지도와 구매의도 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제성은 매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라이브 커머스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과 쇼 호스트는 단순히 제품을 판매한다는 영업행위보다는 소비자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제품을 판매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놀 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 즐거움을 주며 쇼핑을 통하여 효익을 얻도록 하는 콘텐츠가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인지도가 있는 쇼 호스트뿐 아니라 인플루언서나 크리에이터 등 다양한 분야의 인지도가 높은 사람들이 쇼 호스트로 나설 경우 소비자의 콘텐츠 몰입과 구매의도가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판매 업체들은 흥미로운 콘텐츠 개발과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해야 하고, 쇼 호스트는 소비자와의 활발한 의사소통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id": "JAKO20212046200591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2005913.pdf", "abstract_en": "The government is trying to create jobs by providing 160 billion won in 2021 to revitalize youth start-ups, but the number of youth unemployment and potential unemployment is hitting a record high of 1.2 million due to the shock of employment due to COVID-19. Although start-ups are encouraged as an alternative to revitalizing jobs, the success rate of young start-ups is low due to lack of start-up funds and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eed to diversify start-u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by understanding start-up policies through one-time funding and short-term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were as follows, by sampling 344 student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344 young people in their 20s who are seeking jobs. First, among the entrepreneurship subvariables, innovation, autonomy of job value, and desire for economic achievement are significant, and the older the person surveyed,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the entrepreneur was. Second, as you get older, your will to start a business decreases, and your experience in successful start-up models and start-up education has an impact on your will to start a business. Third, perception of entrepreneurs is a partial medium effect, which indirectly influences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and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s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through the autonomy of job values, the desire to achieve economic and entrepreneurship.", "abstract": "정부는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2021년 1,600억 원의 창업자금을 지원하며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코로나 19로 인한 고용 충격으로 청년실업과 잠재실업자 수는 120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창업을 장려하고 있지만, 창업자금과 경험 부족을 이유로 청년창업의 성공률은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회성 자금지원과 단기교육을 통한 창업장려정책을 진로라는 큰 틀에서 창업을 이해함으로써 기업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창업교육과 진로교육 다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고민하고 기존연구에서 부족했던 청년구직자 특히 10대 청년의 기업가정신, 직업 가치관, 창업 배경이 사업가에 대한 인식과 창업 의지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취업을 준비 중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과 구직활동 중인 20대 청년 344명을 표본 추출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고 창업 의지에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하위 변수 중 혁신성과 직업 가치의 자율성, 경제적 성취 욕구는 유의미한 관계로 조사대상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사업가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나이가 많을수록 창업 의지가 감소하고 창업 성공모델, 창업교육 경험은 창업 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업가에 대한 인식은 창업의지에 부분 매개 효과가 있다. 직업 가치관의 자율성, 경제적 성취 욕구와 기업가정신의 혁신성은 사업가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창업 의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2046200291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2002912.pdf", "abstract_en": "Recently, interest in Korean Wave craze and K-beauty, led by K-pop,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popularity and influence of the domestic beauty service industry has increased, and the economic and cultural ripple effects have been continuously expanding. The need to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manpower due to the growing development of domestic beauty services is emphasized, and the number of trainees who are actual consumers of beauty academy is increa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quality factors of educational services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s in the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Beauty Academ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educational service performance. Furthermore, it is to draw the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support services,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educational service provision activities. However, the research for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beauty service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velopment speed of the beauty industry. Therefore, at the present time when beauty service education is emphasized, our study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educational service performance based on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by the students of domestic beauty academy. The measurement variables set for our study are program, instructor quality, tuition, external service, service fairness, relationship commitment, trust level, and educational service performance.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derived through the survey, and the following contents were derived from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beauty academy, such as program, external service, service fairness, relationship commitment and trust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commitment.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institute, such as the systematicity and diversity of educational programs, enabled students to have a uniform relationship commitmen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itself is to learn the expertise necessary for providing beauty service from the standpoint of the students and play an organic rol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institut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level between academies and students was significant in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nd the relationship commitment. This means that students will feel higher level of service quality through the practical trust relationship of the students about the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institu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our study are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and satisfaction represented by the results of educational services. This is because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institute called Beauty Academy will have a great impact on the career choice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consistency, convenience, and knowledge orientation of education itself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and a strong market positio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image formation through external service factors, which are external environments of academies.Furthermore, in terms of presenting differentiated strategies with competitors,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commitment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so the role of relationship marketing will be important for the psychological stability experienced by the students by grasping the demand accompanying the behavior of the students in advance.", "abstract": "최근 K팝을 필두로 한 한류열풍과 K뷰티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국내 뷰티 서비스 산업에 대한 인기와 영향력이 커지며 경제적, 문화적 파급효과가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해당 파급효과와 더불어 국내 뷰티 서비스 발전에 따른 인력 수요에 대응한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기도 하며 뷰티 아카데미의 실 수요자인 교육생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아카데미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에 있어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서비스 품질요인의 중요성과 관계몰입 간 영향 관계 및 교육서비스 성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나아가 교육서비스 제공 활동을 비롯하여 행정지원서비스, 교육프로그램 등의 중요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뷰티 서비스 제공에 따르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연구는 뷰티 산업의 발전속도에 비하여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뷰티 서비스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 프랜차이즈 뷰티 아카데미의 교육생들이 교육서비스 품질을 바탕으로 하는 관계몰입과 교육서비스 성과에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설정한 측정변수는 프로그램, 강사자질, 수강료, 외적 서비스, 서비스 공정성, 관계몰입, 신뢰수준, 교육서비스 성과이다. 해당 변수들은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를 분석하여 측정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 아래와 같은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째, 뷰티 아카데미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 품질인 프로그램, 외적 서비스, 서비스 공정성, 관계몰입 그리고 신뢰수준은 관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교육프로그램의 체계성과 다양성 등 학원 측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가 수강생에게 일률적인 관계몰입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서비스 품질 자체가 수강생 입장에서 뷰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학습 받고 학원과의 관계에 유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과 관계몰입에 있어 학원과 수강생 간 신뢰수준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원이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에 대하여 수강생들의 실질적인 신뢰 관계를 통해 더욱 높은 수준의 서비스품질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은 교육서비스 성과로 대표되는 수강생 실력과 만족도를 향상할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뷰티 아카데미라는 학원 입장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시설이나 수강생들의 진로 선택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 자체에 관한 일관성과 편의성, 지식 지향성 등의 특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학원의 외부환경인 외적 서비스 요인을 통한 이미지 형성으로 강력한 시장 입지를 구축해야 한다. 나아가 경쟁업체와의 차별화된 전략 제시 측면에서도 교육서비스품질요인은 수강생과의 관계몰입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 수 있기에 수강생의 행동에 수반되는 수요를 사전적으로 파악하여 수강생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안정감에도 관계 마케팅 역할이 중요할 것이다."} {"id": "JAKO20212046199991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999912.pdf", "abstract_en": "This exploratory study focuses on ascertaining the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Total 670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three culturally diverse environments wer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design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entrepreneurship orientation(IEO).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 version. ANOVA was used to test the established hypothe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of university students in IEO. China displayed the highest level of IEO followed by Korea and then Japan. Japan is less likely to be committed to entrepreneurial activity than Korea and China. The finding implies the sociocultural effect may come into play when young people forms positive attitude on entrepreneurship, that is identical to the arguments of prior studies. This study, however, has contributed to the literature by adding empirical evidence first time on different perceptions of IEO sub-scales b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have been presented, where the importance of nurturing pro-activeness was stressed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most of all.",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등 3개 국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문화적 차이에 의한 각국 대학생들의 개인 기업가 지향성의 차이를 탐색적 수준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업가정신 문헌에서 핵심 변수로 중요시 기업가 지향성의 세 가지 하위변수인 혁신성, 주도성, 그리고 위험 감수성에 대한 국가적 차이를 실증비교 분석하고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지향성과 관련된 이론 및 선행연구, 그리고 최신 자료들의 면밀한 검토와 확인을 통해 총 3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는 각 국가 별 세 개 대학교의 대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가설분석은 ANOVA검증을 통해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각국의 사회문화적 요인은 대학생들의 개인 기업가 지향성의 세 가지 변수인 혁신성, 주도성, 위험 감수성 등 세 가지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 가지 연구변수 모두 중국, 한국, 일본 순으로 인식수준의 현격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은 국가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입증했다는 점과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시도해 보지 않았던 동아시아 지역 국가인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초로 실시한 기업가정신 비교연구라는 점에서 기업가정신의 이론에 기여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한국 대학생의 경우 세 가지 변수 중 주도성의 개발 중요성을 실무적 관점에서 강조하였다."} {"id": "JAKO20212046200491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2004913.pdf", "abstract_en": "The innovation cluster is formed by cooperation and networking among a number of actors, including companie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government and other supporting organizations, but the main subject of innovation in the venture ecosyste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the innovation cluster, is the enterprise. Therefore, enterprises in innovation cluster can be seen as a major user of the innovation cluster policy. In order for the policy to be executed smoothly, policy acceptance is important. However, existing research on policy prioritization tends to be centered on policy providers, so it is necessary to check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users.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discussions from a two-way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correct policy direction through a balanced perspective between a policy provider-centered top-down perspective and a policy user's bottom-up perspective. First, the factors for activating the innovation cluster (three factors in the first level and 14 factors in the second level) we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After that,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for activating the innovation cluster was analyzed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he policy provider group and the user group in the Daedeok Innopolis, a representative case of innovation cluster polic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of the innovation cluster activation factors from the perspectives of policy providers and users, some similarities were also seen, but overall differences in mutual perception were found. It was found that the policy provider group focused on innovation creation factors, while the policy user group viewed innovation creation, clusters, and industrial location factors from a more balanced perspecti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s with both perspectives in a balanced way by expanding the targets from the existing policy provider-centered research to policy users. In addition, practical contributions exist in the aspect of providing basic data so that policies can be carried out based on corporate needs in fostering innovation clusters.", "abstract": "혁신클러스터는 기업, 대학, 연구기관, 정부 및 기타 지원기관 등 다수의 주체들 간 협력과 네트워킹에 의해 구성되지만, 혁신클러스터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벤처생태계에 있어 혁신의 주요 주체는 바로 기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혁신클러스터에 입주한 기업은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주요한 수요자로 볼 수 있다. 정책이 원활히 수행되기 위해서는 정책수요자의 정책 수용(acceptance)이 중요하다. 그러나 정책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정책공급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어, 정책수요자 관점에서의 점검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책공급자 중심의 하향식 관점(top down)과 정책수요자의 상향식 관점(bottom up) 간 균형적 시각을 통해 올바른 정책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양방향의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전문가 면담 등을 통해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1계층 3개 요인, 2계층 14개 요인)을 도출했다. 이후,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대표 사례인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정책공급자 그룹과 수요자 그룹을 대상으로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의 중요도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에 대해 정책공급자와 수요자 관점에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일부 유사점도 보이나, 전반적으로는 상호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공급자 그룹은 혁신창출 요인에 집중하는 반면, 정책수요자 그룹은 보다 균형적인 시각에서 혁신창출, 클러스터, 산업입지 요인을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책공급자 중심의 연구에서 정책수요자까지 대상을 확대하여 양 관점을 균형있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혁신클러스터 육성에 있어 기업 니즈 중심으로 정책이 수행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인 기여도 존재한다."} {"id": "JAKO202109135473043",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43.pdf", "abstract_en":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 amount of industrial waste is increasing every year. In particular, in a thermal power plant using finely divided coal, a large amount of coal ash is generated after combustion of the coal. Among them, fly ash is recycled as a raw material for cement production and concrete admixture, but about 20% is not utilized and is landfilled. Due to the continuous reclamation of such a large amount of coal ash, it is required to find a correct treatment and recycling plan for the coal ash due to problems of saturation of the landfill site and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soil and water pollution. In recent years, the use of a fluid embankment material that can exhibit an appropriate strength without requiring a compaction operation is increasing. The fluid embankment material is a stable treated soil formed by mixing solidifying materials such as water and cement with soil, which is the main material, and has high fluidity before hardening, so compaction work is not required. In addition, after hardening, it is used for backfilling or filling in places where compaction is difficult because higher strength and earth pressure reduction effect can be obtained compared to general soil.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se of fluidized soil using high water content cohesive soil and coal ash is considered. And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flow characteristics, strength, and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ucing the earth pressure when applied to an underground burial.", "abstract": "인구증가와 산업발달로 산업폐기물의 발생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미분된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에서는 석탄의 연소 후에 많은 양의 석탄회가 발생된다. 이 중 비산재(fly ash)는 시멘트 제조 원료 및 콘크리트 혼화재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나, 약 20%는 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양의 석탄회가 지속적으로 매립됨으로 인해 매립지의 포화문제와 토양 및 수질오염 등의 환경오염 문제로 석탄회의 올바른 처리와 재활용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최근 지하구조물 공사와 고성토부의 교대 뒷채움 공사 등 장소가 협소하여 다짐작업이 어려운 공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복토 및 뒤채움 작업은 굴착과정 중 자연지반의 교란을 수반하기 때문에 복토에 따른 철저한 다짐관리가 구조물과 지반의 안정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배후지반이 협소하거나 적절한 다짐장비의 부족, 과다짐으로 인한 구조물의 손상 등의 문제로 인하여 다짐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짐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적정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유동성 성토재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유동성 성토재료는 주재료인 토사에 물과 시멘트 등의 고화재를 혼합하여 조성된 안정처리토로서 경화되기 전에는 높은 유동성을 지니고 있어 다짐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경화 후에는 일반 토사에 비해 높은 강도와 지중매설물에 작용하는 토압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짐이 곤란한 장소에서의 되메우기나 충전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함수비의 점성토와 산업폐기물인 석탄회를 활용한 유동화 처리토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재료의 유동 특성, 강도, 지지력 특성을 분석하고 지중매설물에 적용 시 토압감소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id": "JAKO202109135473056",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56.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soil carbon due to changes in land cover. Among the various soil carbon models, the InVEST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module was used. LULC is one of the leading factors affecting soil carb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total amount of soil carbon due to changes in LULC in 2000 and 2010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and calculated the changes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city). Changes in LULC in Korea were mainly due to the increase in developed and dry areas and the decrease in grassland, indicating changes in soil carbon. The total amount of soil carbon changes in South Korea has been reduced by 11.48 (millions) in 10 years. The amount of soil carbon by administrative region decreased in most cities and provinces, but Jeju Island, in exception, showed an increase in soil carbon. Among the cities and provinces except Jeju Island, Seoul showed the smallest decrease, with a decrease of 0.033 (million t). On the contrary, the largest number of attempts to decrease was to Gyeongsangbuk-do, which saw a total decrease of 2.893 (million t). Jeju Island is the only soil carbon-increasing area with an increase of 0.547 (millions) and the agricultural area has increased 2.1 times in 10 years. In the case of soil carbon, the construction of ground observation data at the national unit is insufficient, and verification will need to be carried out through linked analysis using multiple models in the future.", "abstract": "본 연구는 토지피복의 변화에 따른 토양 탄소의 변화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토양탄소 모형가운데 InVEST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모듈을 사용하였다. 토지피복은 토양 탄소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전역을 대상으로 2000년과 2010년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토양 탄소의 총량을 비교하였으며, 각 행정구역별(시도)의 변화량을 산정하였다. 대한민국의 토지피복 변화는 주로 시가 및 건조지역의 증가와 초지의 감소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토양 탄소의 변화를 나타냈다. 대한민국의 총 토양 탄소 변화량은 10년 사이 11.48(million t)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구역별 토양탄소량은 대부분의 시도에서 감소를 나타냈으나, 예외적으로 제주도는 토양탄소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를 제외한 시도 중 감소량이 제일 적은 시도는 서울로 나타났으며, 감소량은 0.033(million t)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가장 많은 감소량을 보인 시도는 경북으로 총 2.893(million t)이 감소하였다. 제주도는 유일한 총 토양 탄소 증가 지역으로 0.547(million t)이 증가하였으며, 10년 사이 농업지역이 2.1배 증가함을 보였다. 토양탄소의 경우 전국단위의 실측 자료 구축이 부족함을 보이며, 추후 다중 모형을 이용하여 연계분석을 통해 검증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id": "JAKO202109135473047",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4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cosystem model that can predict ecosystem fluctuations in the Nakdong estuary, and use this model to calculate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respiration. AQUATOX model was used as the ecosystem model, and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the measured data. For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chlorophyll-a data measured at the Nakdong estuary were used, and the model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DO, TN, and TP data. In general,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respiration volume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season, but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respiration in the Nakdong estuary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Nakdong estuary bank. When the amount of effluent increased, photosynthesis could not be performed due to the loss of phytoplankton living in the lower area, and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amounted to zero, whereas the respiration increased sharply due to the inflow of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ffluent. The increase in the inflow water means the inflow of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flow water, and the organic substances are decomposed by oxidation, reducing dissolved oxyg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estuaries, the Nakdong estuary shows the lowest total primary production and because the respiration is larger than the total primary production, the dissolved oxygen is depleted by the oxidation of organic matter.", "abstract":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에 대한 생태계 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 생태계 모델을 구축하고 이 모델을 이용하여 총일차생산량과 호흡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생태계 모델을 AQUATOX 모델을 사용하여 구축하였고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의 검량과 검증을 하였다. 모델의 검량은 낙동강 하구역에서 측정된 클로로필-a 자료를 사용하였고, DO, TN, TP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 검증을 수행하였다. 총일차생산량과 호흡량은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낙동강 하구역의 총일차생산량과 호흡량은 하굿둑 방류수의 양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방류수의 양이 증가할 때는 하구역에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유실로 인해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총일차생산량은 0에 수렴하였고, 반면 방류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호흡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입수량의 증가는 유입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의 유입을 의미하며, 이 유기물질은 산화작용에 의해 분해되면서 용존산소를 감소시켰다. 다른 나라의 하구역과 비교 시 낙동강 하구역은 총일차생산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호흡량이 총일차생산량보다 크기 때문에 유기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용존산소를 고갈시키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id": "JAKO202109135473060",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60.pdf", "abstract_en":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compaction of the embankment area, which accounts for most of highway earthworks, is generally performed by a flat plate loading test. The plate loading test is a traditional test method and has high reliability in the field. However, as reaction force equipment must be carried out and it takes about 40 minutes per site during the test, there may be limitations in managing the entire expanse of earthworks. Meanwhile,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roposed a simple method of evaluating the level of compactness in the provisional guidelines for compaction management of the packaging infrastructure in 2010. However, it has not been utilized at the highway construction site until now, 10 years later.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utility of the compaction evaluation method using LFWD (Light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of the impact loading method among the test methods suggested in the provisional guideline. To this end, the correlation was derived by conducting a plate loading test and an LFWD test for each site property and compaction degree. As a result of the test, there was no consistency of test data in the ground with a relative compaction of 80% or les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has a tendency to increase beyond that. If the test method or test equipment is improved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the test values of the impact loading method in the future, it will play a big role in solving the blind spot for compaction management in the earthworks.", "abstract": "고속도로 토공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토부의 다짐도 평가는 일반적으로 평판재하시험에 의해 이루어진다. 평판재하시험은 전통적인 시험법으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지만, 반력장비를 공수해야 하고, 시험 시 개소당 약 40분의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광활한 토공부 전체를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국토해양부에서는 이를 극복하고자 2010년에 '포장 하부구조 다짐관리 잠정지침'에서 간편한 다짐도 평가방법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고속도로공사 현장에서는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잠정지침에서 제시한 시험법 중 충격재하 방식의 LFWD(Light Falling Weight Deflectometer)를 활용한 다짐도 평가방법에 대한 활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 토질 성상 및 다짐도별로 평판재하시험 및 LFWD시험을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시험결과, 80% 이하의 상대 다짐도를 가진 지반에서는 시험데이타의 일관성이 없었으나, 그 이상에서 상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충격재하 방식의 시험값의 일관성 확보를 위하여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시험방법 또는 시험장비를 개선한다면 토공부 다짐도 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d": "JAKO202109135473052",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52.pdf", "abstract_en": "The expansion joints installed on the bridge for the accommodation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upper structure are essential members of the bridge. However, the expansion joints are deteriorated over time and the waterproof function weakens, causing rainwater to penetrate and deteriorate the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frequent replacement of the old expansion joints along with the deterioration of the structure, a post-integrated abutment bridge in which the existing expansion joints are removed and replaced with reinforced concrete link connection has been applied to highway bridges since 2016. After the post-integrated abutment method was applied, it was partially applied to bridges in which the superstructure and abutment were jammed. In this study, the causes of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post-integrated abutment method is applied to the jammed bridge were analyzed numerically. It was analyzed that damage occurred in the link connection p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pplication condition for the post-integrated abutment method is reinforced as it is not possible to apply the post-integrated abutment method to bridges are already jammed.", "abstract": "교량 상부구조의 원활한 신축거동을 위하여 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필수부재인데, 신축이음장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되고 방수기능이 약화되어 우수가 침투하여 구조물의 열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구조물의 열화 문제와 함께 노후된 신축이음장치의 잦은 교체로 인한 교통정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신축이음장치를 제거하고 철근콘크리트 연결부로 대체하는 무조인트화 공법이 2016년 이후부터 고속도로 교량에 적용되고 있다. 무조인트 공법이 적용된 이후에 상부구조와 교대가 협착된 교량에도 일부 적용되었는데 협착 교량의 무조인트화 연결부에 파손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협착 교량에 무조인트화 공법을 적용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원인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협착으로 인하여 무조인트화 연결부에 설계 시 적용한 하중 보다 큰 하중이 발생하여 연결부에 파손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협착이 발생한 교량에서는 무조인트화 공법을 적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무조인트화 공법에 대한 적용조건을 강화하였다."} {"id": "JAKO20212255815071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558150710.pdf", "abstract": "경혈과 경락학설은 침의 치료 효과를 설명하고 최선의 침 치료 전략을 세우기 위해 이용되어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에서 요통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경혈의 빈도를 알아보았다. PUMBED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manual acupuncture나 electro-acupuncture를 사용한 논문을 분석했다. 총 664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62편의 논문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수, 위중, 대장수, 곤륜, 환도, 아시혈, 관원수, 양릉천, 기해수, 요양관이었으며, 태계혈이 함께 조합되어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요통에 대한 침 치료효과를 밝히기 위한 이전의 연구들에서 족태양방광경의 경혈들이 주로 사용된 것, 그리고 근위와 원위의 경혈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경혈과 치료 효과 간의 상관 관계를 밝히고 경혈을 선정하고 조합하는 원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치료 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방법과 이용한 경혈에 대한 자세한 보고가 필수적이다."} {"id": "JAKO20211205477154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548.pdf", "abstract_en": "We monitored the occurrence of fungal species on bed-logs inoculated with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cultivation houses during monsoon. Six fungal species, viz., Cladosporium sp., C. cladosporioides, C. anthropophilum, Pleosporales sp., Trichoderma harzianum, and Acremonium sp., wereidentified from the cultivation houses located in Jangheung, Jeonnam province. This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by performing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28S rDNA regions. Our study presents significant findings that can help in preventing fungal damage induced by in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abstract": "표고 재배사내 진균류의 발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골목에서 발생한 진균류를 분리·동정하고 재배사내 온·습도 환경을 분석하였다.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진균을 분석한 결과 Cladosporium sp., C. cladosporioides, C. anthropophilum, Pleosporales sp., Trichoderma harzianum, Acremonium sp. 6종으로 확인되었다. 재배사내 환경을 조사한 결과는 5월 1일부터 10월 12일 사이에 재배사내 최고·저 온도가 14.0~30.1℃, 평균습도는 82.8%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 재배과정 중 진균류의 발생이 활발한 초여름부터 가을철 사이에 철저한 재배관리가 중요하며, 한번 발병한 진균류는 연중 재배사내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전에 유해 진균류 발생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예방해야 한다."} {"id": "JAKO20211205477153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530.pdf", "abstract_en": "The genome sequence of various Flammulina species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ereby revealing a diverse genetic repertoi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laccase genes and analyze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Flammulina elastica (F. elastica) genome. Through genome analysis and bioinformatics approaches, three laccase genes (Fe-lac1, -lac2, and -lac3) were identified, ranging from 1,548 to 1,602 bp in length. These genes contained a copper ion-binding region with ten histidine residues and one cysteine residue and a disulfide bond-forming region with four cysteine residues. Full-length cDNA sequencing analysis revealed that laccase genes contain 12 to 16 introns and signal peptides between 17 and 22 bp in the N-terminus.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laccase genes identified in this study should help in better understanding the biomass decomposition of F. elastica.", "abstract": "최근 Flammulina 종들에 대한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결과가 보고되었고, 그로 인해 다양한 유전자 정보가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ammulina elastica 전체 유전체 서열의 laccase 유전자를 동정하고 구조적 특징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유전체 분석 및 생물정보분석을 통하여 F. elastica 유전체 내 3개의 laccase 유전자(Fe-lac1, Fe-lac2, Fe-lac3)를 확인하였고, 이들 유전자 내에는 10개의 히스티딘 잔기와 1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가지는 구리 이온 결합 영역과 4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가지는 이황화결합 형성 부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548~1,602 bp의 laccase 유전자에 대한 전장 c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12~16개의 인트론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되었으며, N-말단으로부터 17~22 bp의 사이에 신호펩타이드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F. elastica의 laccase 유전자를 최초로 동정하여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F. elastica의 바이오매스 분해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2054771534",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534.pdf", "abstract_e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obtain the extracts of various native wild mushrooms and select the useful resources though biological activity evaluation. The anti-oxidant potential,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glucan content of wild mushrooms collected from Eumseong and Bonghwa in Korea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anoderma lingzhi (OK1362)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3.2%),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0.134), reducing power (0.155), nitrite scavenging activity (53.6%), total polyphenol content (28.9 mg GAE/g), flavonoid content (10.0 mg QE/g), and -glucan content (25.2%) when compared to other wild mushrooms sampl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erenniporia fraxinea (OK1360), Amanita sp. (OK1398), and Russula sp. (OK1406) had relatively high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potentials. In conclusion, our results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xtracting beneficial compounds from wild mushrooms.", "abstract":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지에서 수집된 야생버섯 70%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컬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철 환원 항산화능, 환원력의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야생버섯의 건조시료를 이용하여 베타글루칸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10종의 야생버섯류 중에서 영지(OK1362) 에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73.2%), 총 폴리페놀 함량(28.9 mg GAE/g)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10.0 mg QE/g)철 환원 항산화능(0.134), 환원력(0.155), 아질산염 소거능(56.3%)이 다른 버섯류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그 이외에도 아까시흰구멍버섯(OK1360), 광대버섯속의 A. lanigera (OK1398), 졸각무당버섯(OK1406)이 높은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타글루칸 함량은 영지(OK1362)가 25.2%를 나타내며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구름버섯속의 T. lactinea (OK1457)가 24.5%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류 중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한다."} {"id": "JAKO20211205477155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558.pdf", "abstract_en": "To develop a method for the differentiation of Pleurotus ostratus cultivars, the multiplex-simple sequence repeat (SSR) primer set based on the SSRs obtained from whole genomic DNA sequence analysis was designed with two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imer sets. These SSR primer sets were employed to distinguish 10 cultivars and strains. Twenty polymorphic mark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genotyping results. PCR with each primer produced 1-4 distinct bands ranging in size from 150 to 350 bp, which was within the expected range. However, since a sole SSR marker was unable to detect polymorphisms in every cultivar, multiplex PCRs with composite PCR primer sets were employed. The multiplex primer, \"166+115,\" completely discriminated 12 cultivars and strains with 40 loci, which were 12 more than the simple arithmetic addition of each locus of the primers 115 and 166. These results might be useful to provide an efficient method for the differentiation of P. ostreatus cultivars with separate PCRs for the quality control of spawn and protection of breeders' rights.", "abstract": "느타리 품종구분을 위한 마커의 개발을 위하여 곤지7호의 어버이 일핵 균사중의 하나인 MT07156-97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제작한 251개의 SSR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우선적으로 수한1호, 곤지7호, 흑타리 품종에 다형성 여부를 관찰하여 20개의 SSR을 선발하고, 이를 10개 품종에 적용하였다. 단일의 프라이머로는 일부 품종이 구분되지 않았으므로, 선발된 프라이머 간의 다양한 조합(multiplex 방식)을 적용한 결과 모든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 다형성을 보인 프라이머 \"166+115\" 조합을 선발하였다. 별도로 프라이머 115와 166가 만들어 낸 산술적인 유전자좌(loci) 31개보다 12개 많은 40개의 유전자좌가 증폭되어 다양한 품종에 특이적인 분자마커를 제공할 수 있었다. 개발된 분자마커는 종균의 품질관리, 품종의 판별, 신품종 보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2076339420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763394206.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GBFS) and expansive additive(EA) on early strength mortar we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carbon and improving cement performance. As a result, ealry strength Portland cement(EPC) tended to decrease in flow compared to ordinary Portland cement(OPC), but binder with EPC and GGBFS was possible to obtain higher liquidity than OPC. EPC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and shrinkage than OPC.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 with EPC and GGBFS was reduced proportionally to the replacement ratio of GGBFS. The replacement ratio of GGBFS above the compressive strength equivalent to OPC was higher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use of GGBFS resulted in high shrinkage compared to OPC, and this characteristic was even greater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shrinkage of specimen with EA was decreased in early ages, but was higher than the OPC in long-term ag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 및 시멘트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조강형 모르타르에 대하여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미분말(GGBFS) 및 팽창재(EA)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에 비해 조강형시멘트(EPC)는 플로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EPC와 GGBFS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OPC보다 높은 유동성의 확보가 가능하였다. 또한 EPC는 OPC 대비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으나, 수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EPC에 GGBFS를 사용하는 경우, 그 혼입률에 따라 비례적으로 압축강도는 감소하고, 수축량은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축은 저온조건에서 더욱 증가하였다. EPC 및 GGBFS로 구성된 결합재 조건에서, EA는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초기재령의 수축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id": "JAKO20212076338420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763384200.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on leaching test(KSLT) of the aggregate for the product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taminants and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arising from the aggregate. On the basis pH, conductivity, turbidity, TN, TP, COD and heavy metal contents in the aggregate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of the aggregate was smaller. The pH appeared to be 9.9~11.4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soil, however, heavy metal has investigated within the 1 region's standard value of soil pollution standards. From the leaching test, there is strong indication that the risk of pollution due to elution of pollutants gets higher with the smaller grain size. Especially conductivity and turbidity are the potential water pollution source and recycled aggregates of 10mm or less could be a potential pollution source since it could elute soluble matters and suspended solid, but there is no proper management standard for them. As a result of evaluating water pollution possibility of the aggregate, the pH displayed in items with a very high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TN and TP did in item with a low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heavy metals did in item with a very low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순환골재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특성과 오염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산제품 순환골재의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순환골재에 포함된 pH, 전기전도도, 탁도, TN, TP, COD 그리고 중금속 농도는 입경이 작을수록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pH 농도는 9.9~11.4 범위로 토양보다는 높았으나 중금속 농도는 토양오염우려기준의 1지역 기준치 이내로 조사되었다. 용출시험 결과, 오염가능성은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기전도도와 탁도는 잠재적인 수질오염원이며, 10mm 이하의 순환골재는 용존성과 입자성 오염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인 오염원으로 평가되었지만, 현재 적절한 관리기준은 없다. 순환골재로 부터 수질오염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오염가능성이 가장 높은 항목으로는 pH, 오염가능성이 낮은 항목으로는 TN, TP, 오염가능성이 가장 낮은 항목으로는 중금속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2216206566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65662.pdf", "abstract_en": "The controller of the gas turbine engine is a component that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gas turbine engin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get the technology transferred from the engine manufacturer due to the import and export regulation. As a part of the engine control logic research,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conducted a failure diagnostic research using a small gas turbine engine. Before simulating the engine fault, the ground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normal behavior and performance of engine. Afterwards, the control logic analysis test equipment was established to simulate various engine fault. It is intended to provide background knowledge to engine control logic research for various engine failure conditions.", "abstract": "가스터빈엔진의 제어기는 수출입 규제로 인하여 엔진 제작사로부터 기술이전이 불가능하여 가스터빈엔진의 독자개발을 위하여 자체 개발이 필요한 분야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엔진제어로직연구의 일환으로 소형 가스터빈엔진을 활용하여 고장탐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엔진의 지상 시험설비를 활용하여 정상상태에서의 엔진의 거동 및 성능을 분석한 후, 제어로직 분석시험 환경을 구축하여 엔진의 각종 고장을 모사한 후,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엔진이 정상상태와 어떻게 다르게 거동하는지 파악하고 이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엔진 제어기 관련 연구에서 엔진의 각종 이상 상태 발생 시의 제어로직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배경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id": "JAKO20212216208166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81666.pdf", "abstract_en": "In a liquid rocket engine system, the flow of oxidize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is controlled by the main oxidizer shut-off valve. When the valve is closed, the oxidizer flows via the recirculation line, not into the combustion chamber. In this situation, the measured pressure could be much higher than a design value because of the water hammer phenomenon. In this paper, the experiments on the water hammer in the recirculation line with different initial conditions were conducted in order to study the pressure wave produced in each cas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 wave in the recirculation line depend on the initial condition. To be specific, the pressure surge is maximized in case that the shock is condensation-oriented in the end of the recirculation line.", "abstract": "액체로켓엔진의 구성품인 연소기 산화제 개폐밸브는 연소기에 공급되는 산화제를 제어한다. 밸브가 닫힐 때 산화제는 연소기 대신 재순환 유로로 공급되며, 이때 발생한 수격현상에 의해 설계 기준보다 큰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액체질소를 운용 유체로 사용하여 재순환 유로의 초기 조건에 따른 수격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발생하는 압력파를 분석하였다. 초기 조건에 따라 재순환유로 내부 압력파의 경향이 달랐으며, 특히 재순환 유로 끝단에서는 응축에 의한 수격이 발생할 때 압력이 최대로 커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216207866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78665.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to predict/analyze the performance of a dual thrust rocket motor that has 2 kinds propellant charged in axial direction. When transitioning from the booster to the suspender stage, a transient phenomenon related to performance occurred at the interface.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ent phenomenon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results of the combustion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transient phenomenon is sensitively generated not only by the shape design between the propellants with different properties of the propellant, but also by errors in manufacturing due to the propellant curing shrinkage.", "abstract": "본 연구에서 축 방향으로 충전 된 이종 추진제를 적용 이중 추력 추진기관의 성능 예측/해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부스터로부터 서스테이너 단계로 천이될 때 계면에서 성능에 관한 과도현상이 발생하였는데, 그 과도현상의 원인과 특성을 연소시험 결과와 함께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성능과도 현상은 추진제 물성이 서로 다른 추진제 사이 형상설계뿐만 아니라, 추진제 경화 수축에 따른 제작상 오차에 의해 민감하게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id": "JAKO20212216206066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60661.pdf", "abstract_en": "Fundamental parameters describing overall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ctive cooling systems of a hypersonic flight vehicle are mainly classified into endothermic hydrocarbon fuels, regenerative cooling channels, and materials and system structures. Of primary importance is the improvement of endothermic performance of hydrocarbon aviation fuels in a series of studies developing efficient regenerative cooling systems. In a previous study, therefore, an extensive techn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on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liquid hydrocarbon fuels. As a subsequent study, catalytic cracking and steam reforming technologies have been reviewed to find a way for the improvement of endothermic reaction performance of hydrocarbon aviation fuels.", "abstract": "극초음속 비행체용 능동냉각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용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크게 탄화수소흡열연료, 재생냉각 채널, 시스템 소재 및 구조로 구분되며, 그 중에서도 효율적인 재생냉각시스템 개발을 위한 일련의 연구는 탄화수소 항공유의 흡열반응 성능 향상으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이전 연구에서는 탄화수소 항공유 자체의 흡열분해 특성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 동향을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후속 연구로서 효과적인 흡열분해 특성 개선 및 성능 향상 방안으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촉매 분해와 수증기 개질 연구들에 대한 세부기술 분석을 수행하였다."} {"id": "JAKO20212216204765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47659.pdf", "abstract_en": "The cavity inside the combustor increases the mixing efficiency of fuel and air by inducing a oscillation of the flow and the recirculation area with a low speed, and enables continuous combustion by maintaining the flam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flow by change in the shape parameters of the cavity were analyzed through experiments and two-dimensional computational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flow in the supersonic combustor was greatly influenced by various shape parameters of cavity besides L/D. Even with the same L/D,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w type varies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cavity, either open or closed type, and the aft ramp angle of the cavity and the height of the combustor also affect the flow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change in the shape parameters of the cavit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otal pressure loss.", "abstract": "연소기 내부의 공동은 낮은 속도의 재순환영역과 유동의 진동을 일으켜 연료와 공기의 혼합 효율을 증대시키고, 화염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연소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의 형상 인자에 따른 내부 유동의 특성을 실험과 2차원 전산해석을 통해 관찰하였다. 초음속 연소기 내 유동은 단순히 L/D 이외에도 다양한 공동 형상인자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이 관찰되었다. 동일 L/D에서도 공동의 깊이에 따라 open과 closed 형태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공동의 후방 경사각, 연소기 높이도 유동 특성이 달라지며, 이는 전압력 손실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216210367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103670.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design criteria is presented for Finocyl grain, which is easy to generate neutral thrust when designing solid rocket motors. For this purpose, an automated program using drafting method was developed for burn-back analysis and its accuracy was validated. Using this developed program, burn-back analysis was performed with various configuration parameters of Finocyl grain, and the tendency and sensitivity analysis on burning characteristics were perform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design criteria were presented to generate the neutral burning surface area trace for a Finocyl grain.", "abstract": "고체 로켓 모터 설계 시 중립형 추력선도 발생이 용이한 Finocyl 그레인에 대한 형상 설계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Burn-back 해석을 위한 제도 기법을 이용한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nocyl 형상의 다양한 형상 변수에 따른 Burn-back 해석을 수행하고 연소 특성의 경향성과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Finocyl 그레인을 이용한 중립형 연소면적선도를 나타내는 설계기준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2216208066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80665.pdf", "abstract_en": "Numerical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combustion instability in the partially premixed combustor. The simulations are performed according to fuel conditions, and Large Eddy Simulation(LES) model and PaSR combustion model are implemented in the solver.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 is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simulation,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greement is confirmed. The flame characteristics in the combustor are subsequently investigated,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occurrence of combustion instability is clarifi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flame length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fuel conditions. When the flame length becomes sufficiently long, flame-vortex interactions occurred around the wall sections, which works as the main cause of combustion instability.", "abstract": "부분예혼합 연소기 내 연소불안정 분석을 위한 수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해석은 연료 조건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대와류모사(Large eddy simulation, LES) 기법 및 PaSR 연소 모델이 솔버 내에 도입되었다. 수치해석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과의 비교 검증이 완료되었으며 정량적, 정성적인 일치도가 확인되었다. 연료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연소기 내 화염 특성이 이어서 조사되었으며 연소불안정 발생과의 연관성이 조사되었다. 해석 결과에 따르면 연료 조건에 따라 화염 길이가 크게 변화하였다. 그리고 화염 길이가 충분히 길어질 경우 화염-와류 상호작용이 벽면 주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는 연소불안정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었음이 확인되었다."} {"id": "JAKO20212216205166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51660.pdf", "abstract_en": "A commercial HVOF torch (originally designed for coating applications) has been modified as a high temperature flow source for material testing. In this study, a water cooled commercial Gardon gauge was used to measure heat fluxes at four locations away from the nozzle exit.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data were used to calculate calorimetric heat fluxes at the same locations. The heat fluxes from both methods were compared and the calorimetric heat fluxes were found to be many times higher than the Gardon gauge heat fluxes. A hypothesis is applied to the calorimetric method to understand the discrepancy seen between the methods. The Gardon gauge heat fluxes are seen to be in the range of the hypothesized calorimetric calculations. This can be considered as a considerable validation for the hypothesis, but further refinement needed using appropriate numerical models.", "abstract": "상업용 HVOF 토치 (원래 코팅 용도로 설계됨)가 재료 테스트를 위한 고온 유동원으로 수정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수냉식 상용 Gardon 게이지를 사용하여 노즐 출구에서 떨어진 네 위치에서 열유속을 측정하였다. 냉각수 온도 데이터는 동일한 위치에서 열량 측정 열유속 (calorimetric heat flux)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다. 두 방법의 열유속을 비교 한 결과 열량 측정 열유속이 Gardon 게이지 열유속보다 몇 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방법 사이에 나타나는 불일치를 이해하기 위해 열량 측정방법에 대한 가설을 적용하였다. 이것은 가설에 대한 상당한 검증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적절한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 {"id": "JAKO20212216210767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107671.pdf", "abstract_en": "The Aft-deck is being applied to the latest unmanned aircraft for the purpose of shielding the gas turbine exhaust plume or spreading jets to increase the mixing rate with the ambient air,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of exhaust gase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find out how the performance of the nozzle is affected by the design variables of the Aft-deck. The design variables of aft-deck are selected as length, expansion angle and upper deck shape. The correlation between thrust and plume shielding rate with the length variable is presen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ust and the jet diffusion range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gle. In addition, the thrust increase effect is confirmed by the removal of the upper deck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verse velocity vector determined mixing performance with external flow.", "abstract": "Aft-deck은 가스터빈 배기 플룸을 차폐하거나, 제트를 확산하여 외부 공기와 혼합율을 증가시켜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감하기 위한 용도로 최신 무인항공기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ft-deck의 설계 변수에 따라 노즐의 성능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Aft-deck의 설계 변수로는 길이, 확산각, 상부 덱 형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길이 변수에 따른 추력과 차폐율 간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확산 각도의 범위에 따라 노즐 추력과 제트 확산에 대한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부 덱 제거를 통해 추력 향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횡 방향 속도 벡터의 특성이 외부 유동과의 혼합 성능을 결정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id": "JAKO20212216205966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59661.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ymmetry Breaking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equivalent ratio condition and the number of nozzles where combustion instability occurs in an annular combustor. Generally, due to the relatively short combustor length, a longitudinal instability was less likely to occur in the annular combustor, but the combustion instability sometimes happens when ducts such as transition piece in gas turbine power station are present. In this case, due to the duct, only the longitudinal instability mode is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Symmetry Breaking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ve lean nozzles and the equivalent ratio combination, and as the equivalent ratio decreased, the effect of Symmetry Breaking rapidly occurred, and the instability was dramatically disappeared and the amplitude was greatly reduc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number of lean nozzles increased, a phenomenon such as a reduction in the equivalent ratio appear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환형연소기에서 연소불안정성이 발생하는 당량비 조건과 노즐 개수에 따라서 대칭성파괴(Symmetry Breaking) 효과를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환형연소기에서는 연소실의 길이가 짧으므로 종-방향 연소불안정성이 잘 발생하지 않으나, 발전용 가스터빈시스템의 트랜지션피스(Transition piece) 같은 덕트가 존재하였을 때는 연소불안정성이 발생하였다. 이 경우 덕트로 인하여 종-방향의 불안정성 모드만 관찰되었다. 5개의 희박노즐 개수와 당량비 조건에 따라서 대칭성파괴 특성을 조사하였는데, 당량비가 감소할수록 대칭성파괴 효과가 빠르게 발생하여 불안정성이 극적으로 사라지면서 진폭이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희박노즐 개수가 증가할수록 당량비 감소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216211367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113672.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instability characteristics of low-swirl injector and high-swirl injector is compared by model gas turbine combustor. To compare of unstable behavior in high-swirl injector and low-swirl injector, we performed lots of measurement of combustion instability, with variable of equivalence ratio, combustor length and injector type. The results shown that longitudinal instability occur dominantly in model gas turbine combust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igh-swirl injector has more wide range of unstable regime than low-swirl injector. The blockage ratio what one of a parameter in low-swirl injector has not much effected in aspects of overall combustor behavior. Also, revealed that combustion instability occurred in the same combustor length has same properties, regardless of the injector type.",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모델 가스 터빈 연소기에서 발생하는 저선회 인젝터와 강선회 인젝터의 열-음향불안정성을 비교하고 있다. 인젝터 형태에 다른 불안정한 거동의 비교를 위하여, 다양한 당량비와 연소실 길이의 광범위한 범위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연소기에서 발생된 대부분의 불안정성은 종-방향 불안정성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강선회 인젝터가 저선회 인젝터에 비하여 더 넓은 연소실 길이 영역에서 강한 연소 불안정성이 발생됨이 발견되었다. 저선회 인젝터의 막힘률은 전체적인 거동 측면에서 큰 의미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인젝터의 형태에 무관하게 연소실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 연소 불안정성이 발생한 경우에는 불안정성의 특성이 유사함이 발견되었다."} {"id": "JAKO20212076339520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763395206.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rrosion and Half Cell Potential(HCP) measurement was analyzed considering the three levels of W/C ratio, cover depth, and chloride concentration. The HCP increased with enlarged cover depth,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ment of cover depth was effective for control of corrosion. Based on the criteria, the case of 60mm cover depth showed excellent corrosion control with under -200mV, indicating increase of cover depth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intrusion of external deterioration factors. When fresh water was injected to the upper part of specimens, very low level of HCP was monitored, but in the case that concentrations of chloride were 3.5% and 7.0%, HCP dropped under -200mV. In addition, the case with high volume of unit binder showed lower HCP measurement like increasing cover dep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rosive influence factors and HCP results, showing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97.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number of samples and measuring period. Through the additional corrosion monitoring and chloride content evaluation after dismantling the specimen, more reasonable prediction can be achieved for correlation analysis with relevant data.",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수준의 물-시멘트 비, 상부 주입 염수 농도, 피복두께를 고려하여 반전위값과 영향인자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피복두께가 증가할수록 반전위값이 증가(+ 방향 : 부식 억제)하여 부식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평가 기준에 따르면 피복두께 60mm를 갖는 시편의 경우 비교적 부식이 적게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피복두께가 외부 열화인자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기구로서 작용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상부 주입 염수 농도가 0%인 경우 모든 경우에서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염수 농도 3.5% 및 7.0%의 경우 부식이 진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적 높은 단위 결합재량이 확보된 배합에서 부식 저감에 유리한 모니터링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부식 영향인자와 반전위값 간의 상관성을 평가하고자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해당 예측식의 결정계수는 0.97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사용한 표본의 수가 제한적이고 특정 시점의 결과만이 이용된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추가적인 모니터링 수행 및 시편 해체 후 관련 데이터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더욱 합리적인 예측식의 도출이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20763389201",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763389201.pdf", "abstract_en":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cement-based materials for green soil which is a soil for promoting plant growth. The results show that the shear strength of the green soil mixed with gypsum cement (No.3) was low, but the hardness (23.6mm) and pH value (7.4) was most suitable for the veget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he initial vegetation germination of green soil, which improved performance by adding a moisturizer, was slower than that of general green soil, and the conductivity value tended to be slightly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slope adhesion of advanced green soil was high, and it was found that the plant growth rate and the regeneration capacity were superior after time passed.",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사면과의 부착력과 식물 생장력이 높은 식생기반재를 개발하고자, 시멘트 기반의 결합재와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한 녹생토의 기초물성과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석고계 시멘트를 혼합한 녹생토(No.3)의 전단강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식생 환경에 가장 적합한 경도 수준(23.6mm) 및 pH 값(7.4)을 나타냈다. 또한, 보습제를 첨가하여 성능을 개선한 녹생토의 초기 식생 발현은 일반 녹생토 비해 늦고 전도도값은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성능을 개선한 녹생토는 타설면과의 부착력이 높았으며,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식물 생장 속도 및 동절기와 환절기 재생능력이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2076339220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763392202.pdf", "abstract_en": "In this work, multi-turn wings and guide plates are installed on recycled aggregate crushing devices to improve existing low recycled aggregate quality. Simulation analysis to evaluate the crushing efficiency of the new device shows enhanced crushing efficiency since the installation of guide plates shreds most of the inputs inside the crushing drum, and the multi-turn wings and guide plates induce rebound and circulation of the aggregate. Through this, the new device was found to be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than the existing recycled aggregate crushing device. Also, the amount of cement paste and morta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ggregate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recycled aggregate, and it was found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elastic modulus deterioration were reduced. However, the carbonation resistance of concrete was not improved to the level of natural aggregates due to the remaining tiny cement paste and mortar on the surface of the new recycled aggregate.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further research and experiment such as device improvement or binder development to reduce durability degradation of concrete mixed with new recycled aggregat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낮은 순환골재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다중 회전 날개 및 가이드 판을 순환골재 파쇄장치에 설치하였다. 신기술의 파쇄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이드판을 설치함에 따라 파쇄 드럼 내부에서 대부분의 투입물이 파쇄되고, 다중 회전 날개 및 가이드판이 파쇄물의 상승 회류를 유도하기 때문에 파쇄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다중 회전 날개와 가이드 판을 적용한 파쇄장치는 기존 순환골재 파쇄장치보다 파쇄효율 및 경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신기술로 생산한 순환골재는 기존 순환골재에 비해 골재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양이 적었으며, 이를 혼입한 콘크리트에서 역학적 성능 및 탄성계수 저하 현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신기술로 생산한 순환골재는 표면에 남아있는 미세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로 인해 콘크리트의 탄산화 저항성이 천연골재 수준으로 개선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순환골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개선 또는 결합재 개발 등의 추가 연구 및 실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d": "JAKO202109950460620",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20.pdf", "abstract_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movable denture and depress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ach group by dividing them into a group that were using removable dentures and a group that needed removable dentures but were not using removable den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raw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By using variables related to the state of the prosthesis and the need for prosthesis among oral examination data, the oral examination data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group using removable denture and group in need of removable dentures. In addition, the variables of depression were classified into normal (0-4), mild depression (5-9), moderate depression (10-19), and severe depression (20-27) using the values of PHQ-9. For statistical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9.4. Results: In the group in need of removable dentures, the risk of severe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using removable dentures. Conclusion: In patient who have lost multiple teeth, rehabilitation of the missing area with removable dental prosthesis is expected to decrease the occurrence of severe depression.", "abstract":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가철성 의치 장착 여부와 우울증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가철성 의치를 장착한 군과 가철성 의치의 장착이 필요하나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과 우울증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제 7기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가철성 의치의 장착에 관한 자료로는 구강검진자료 중 보철물 상태, 보철물 필요 여부에 관한 변수를 이용하여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군, 가철성 의치가 필요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우울증에 관한 변수로는 PHQ-9의 값을 활용하여 정상(0-4), 경증 우울증(5-9), 중등도 우울증(10-19), 중증 우울증(20-27)로 구분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9.4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가철성 의치 장착 필요군에서, 가철성 의치를 장착하고 있는 군과 비교하여 중증 우울증의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가철성 의치를 이용한 치료는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환자에게 중증 우울증 발병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9950460662",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62.pdf", "abstract_en": "Implant treatment, which was first attempted in fully edentulous patients, is now widely used in partially edentulous, and a single tooth missing patients. Moreover, implant treatment has become an essential treatment modality in modern dentistry. The material of fabricating implant prostheses has also become more diverse than before, one of which is the use of high-performance polymers. The frequency of using high-performance polymer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medical field, is also increased in the dental field compared to the past. In the first case, a PEKK abutment and a PFG crown (cement-screw-retaining type) were fabricated in the lower left second premolar, and in the second case, a PEKK abutment and a monolithic zirconia crown (cement-screw-retaining type) were fabricated in the missing upper left first molar, and in the third case two PEKK abutments and a splinted PFM crowns (cement-screw-retaining type) were fabrica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first and second molar implants.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patients obtained 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satisfactory results after 4 years of follow-up.", "abstract": "완전무치악 환자한테 처음으로 시도되었던 임플란트 보철치료는 현재는 단일치아 상실된 경우까지 그 활용범위가 넓어졌으며, 임플란트 보철치료는 현대 치과에서는 거의 필수적인 치료방법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도 초기에 비해 다양해졌는데, 그 중 하나가 고기능성 폴리머의 적용이다. 예전부터 의과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던 고기능성 폴리머를 치과에서도 시도하는 빈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에 고기능성 폴리머를 구치부 임플란트 지대주로 사용한 3가지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첫번째 증례는 하악 좌측 제2소구치가 상실된 부위에 PEKK 지대주 및 PFG 크라운(시멘트-나사-유지형)을 제작, 장착하였으며, 두번째 증례는 상실된 상악 좌측 제1대구치 부위에 PEKK 지대주 및 monolithic zirconia 크라운(시멘트-나사-유지형)을 제작, 장착하였으며, 마지막 증례는 상악 우측 제1,2 대구치 상실부위에 PEKK 지대주 및 splinted PFM 크라운(시멘트-나사-유지형)을 제작하여 장착하였다. 4년의 추적 관찰 결과 상기 환자 모두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id": "JAKO202109950460682",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82.pdf", "abstract_en": "Excessive pathological attrition over the entire dentition can cause decreased masticatory function, and pathological problem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the muscular nervous system. In this case, 71 year-old male patient with severe attrition and fracture across the entire tooth was treated by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regaining space of restor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vertical dimension of the patient's occlusion, facial appearance, aesthetics, restoration space were evaluated, and provisional restoration of the raised vertical dimension was made. After 4 months of evaluation, the entire restoration of monolithic zirconia crown using CAD-CAM wa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satisfactory a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s were obtained.", "abstract": "전체 치열에 걸쳐 과도한 병적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 저작기능의 저하 및 악관절, 근신경계의 병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71세 남성 환자로 상악 좌측 제 1 대구치 부위 임플란트 수복 공간의 부족 및 전치부 절단교합 및 전방, 측방유도의 상실 및 전치아에 걸친 심화된 파절과 마모가 관찰된 환자에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구강회복술을 계획하였다. 환자의 적절한 수직고경을 결정하기 위하여 안모, 심미, 기능 및 보철 수복 공간을 평가하였으며, 거상된 수직고경의 임시수복물을 제작하였고 약 4개월 간의 관찰기간을 거친 후 임상증상 및 불편감 없음을 확인한 후 CAD-CAM을 이용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전장관전악수복을 완료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구강회복술을 시행하였으며, 만족스러운 심미 및 기능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id": "JAKO202109950460658",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58.pdf", "abstract_en": "Using computer-aided design and manufacturing technique improve quality of treatment in many aspect. This case reports the complete 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amelogenesis imperfecta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Clinical examination revealed loss of mastication due to insufficient occlusal stop, missing teeth, interdental spacing due to microdontia, insufficient overbite, and etc. Full veneer crowns for teeth were selected, followed by a fixed partial denture and implant placement was done using CAD-CAM guide template with bone graft for partially edentulous space. Definitive restorations were duplicated by double scanning provisional restorations and successfully delivered to the patient. These full mouth rehabilitation procedures resulted in satisfactory outcomes for the patient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abstract": "CAD-CAM 기술의 사용은 다양한 부분에서 치료의 결과를 향상시킨다. 본 증례는 법랑질형 성부전증 환자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치료한 전악구강회복 증례이다. 임상적 검사 결과 occlusal stop의 부재로 저작기능의 저하와 치아 상실, 왜소치로 인한 치간사이 공간, 불충분한 수직피개 등의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하악의 치아 상실 부위를 수복키 위해 CAD-CAM 수술 스텐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이 진행되었고 추가적으로 부족한 골량을 보강하기 위해 골유도재생술이 동반되었다. 상하악 자연치는 모두 전장관수복을 통해 새로운 교합평면 설정 및 안정적인 수직교합관계를 형성하였다. ARCUS digma 장비를 통한 잠정수복물 평가 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잠정수복물 상태의 수복물을 더블스캔을 통한 복제를 하여 최종수복물을 제작, 환자에게 수복하여 전악수복을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치료의 효율성과 예지성 있는 결과, 환자의 적응기간 감소와 기능적, 심미적으로 높은 만족도 등을 이루어냈다."} {"id": "JAKO202109950460697",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97.pdf", "abstract_en": "In the case of excessively worn dentition, there is often insufficient space for the prosthesis, and if physiologically acceptable, the prosthesis can be fabricated by increas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Various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to determine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Clinicians have to choose a method that can comfort the patient among several methods. A removable appliance can be used as a reversible method to ensure that the determin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does not cause physiological problems. When making impressions of many teeth, it is often difficult to make accurate impressions at once. In this case, after making an accurate impression of the individual teeth, a transfer coping was made and a pickup impression was taken in the oral cavity to create a master cast. In this case, a fixed partial denture was fabricated and full mouth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by increas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 a patient with excessively worn dentition and lack of space for restoration. As a result of follow-up of the patient for 7 years,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both 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abstract": "과도하게 마모된 치열의 경우 보철물이 들어갈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경우에는 교합을 거상해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결정된 교합고경이 생리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지 확인하는 가역적인 방법으로 가철성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여러 인접한 치아의 인상채득을 하는 경우에 한번에 정확한 인상채득을 만들어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개개 치아의 정확한 인상채득을 나눠서 시행한 후 하나의 작업모형을 만들기 위해 트랜스퍼 코핑을 제작하고 구강내에서 픽업인상을 채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과도하게 마모된 치열을 지녀 보철수복 공간이 부족하고 출혈경향이 심한 환자에서, 개별치아의 인상채득 후 트랜스퍼 코핑 픽업인상법을 이용하여 작업모형을 만든 후, 교합고경을 거상시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전악수복한 환자를 7년의 추적 관찰 결과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id": "JAKO202109950460653",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53.pdf", "abstract_en": "The mandible has a smaller support area than the maxilla, and in particular,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alveolar bone resorption, the stability of the denture and the masticatory efficiency are significantly low in the case of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due to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mandible. In these patients, implant overdenture is evaluated as a highly predictable treatment method with high retention and stability, and excellent pronunciation and masticatory force. In this clinical case, patient had an edentulous maxilla and generalized alveolar bone resorption in mandible. Therefore, complete denture was placed in the maxilla and implant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ttachment on 4 implants was placed in the mandible. During the 12-year follow-up period, changes in periodontal tissue and denture around the implants were periodically managed and observed.", "abstract": "하악은 상악보다 지지 면적이 적고, 특히 전반적인 치조골 흡수가 진행된 환자에서는 혀와 하악골의 움직임으로 인해 통상적인 총의치의 경우 의치의 안정성과 저작 효율이 현저히 낮다. 이러한 환자에 있어 소수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유지력과 안정성이 높고 발음이나 저작력 면에서도 우수한 예지성 있는 치료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의 무치악, 하악의 전반적인 치조골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 있어 상악에는 총의치, 하악에는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이후 12년 동안 임플란트 주변의 치주조직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관찰하였고, 변화 사항 및 보철물의 정기적인 관리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id": "JAKO202109950460677",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77.pdf", "abstract_en": "Dental implants should be placed at ideal sites for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For a patient with insufficient residual ridge, mouth preparation including surgical intervention can be indicated to establish a soft and hard tissue environment favorable for a definitive prosthesis. Prosthodontic design based on computer-guided surgery and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provides a visual blueprint allowing a clinician to assess the necessity of such a surgical intervention beforehand. In this case, a definitive restoration was planned and made via a CAD-CAM system according to the patient's oral status before treatment, simulated surgical interventions and serial provisional restorations. Based on the planning, a guided template was made and the implants were installed with bone augmentation using the template. Customized abutments, the first and the second provisional restorations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by CAD-CAM. The definitive restorations were digitally made following the shape of the second provisional prostheses, which were confirmed in the patient's mouth.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masticatory, phonetic and aesthetic functions of these definitive prostheses.", "abstract": "임플란트를 사용한 수복치료에서는 보철물을 위한 이상적인 위치에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한다. 치조골이 부족한 환자의 경우에는 최종 보철물을 위한 적절한 연조직 및 경조직 지지를 얻기 위해서 수술적인 처치를 포함한 구강내 처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CAD-CAM 기술을 활용한 보철물 설계는 위와 같은 수술적 처치의 필요성에 대해 임상가가 사전적으로 평가해볼 수 있는 청사진을 제시해준다. 본 증례에서는 CAD-CAM system을 통해 환자의 치료 전 구내상황, 수술적 처치에 대한 예상, 일련의 임시 보철물을 반영하여 최종 보철물을 계획하고 제작하였다. 최종 보철물을 반영하여 제작한 수술용 가이드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함과 동시에 치조골 증대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CAD-CAM을 활용하여, 맞춤형 지대주와 1차 및 2차 잠정 수복물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으며, 환자의 구내에서 평가를 거친 2차 잠정 보철물과 동일한 형태의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저작, 발음, 심미 기능에 있어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d": "JAKO202109950460648",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48.pdf", "abstract_en": "Based on rapid improvement in digital fields, many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are utilized in prosthodontic treatment. Especially, intraoral scanners and 3D printing technology are commonly used, and facial scanning technology is recently being attempted to be part of these digital routines. This case report aims to introduce a digital procedure using the intraoral scanner, facial scanner, and 3D printing technology to create definitive restorations, which are esthetic and harmonious with patient's face. From thoroughly evaluated full-mouth provisional restoration which was manufactured and fitted conventionally, definitive prostheses were fabricated using various digital technique. Stable occlusion with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satisfying results were achieved.", "abstract": "디지털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보철 수복치료에 있어서도 많은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구강스캐너와 3D printing 기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더 나아가 안면스캔 기술 또한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37세 여성환자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되고 장착되어 충분히 평가된 전악 고정성 임시수복상태를 구강스캐너와 안면스캐너, 3D printing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모와 조화를 이루는 최종보철물로 이행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교합을 회복하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d": "JAKO202109950460672",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72.pdf", "abstract_en": "Fixed implant prostheses or removable partial dentures are common treatment for partially dentulous patients. Recently, an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 has been introduced and is widely used. In the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using implant attachment and surveyed fixed prostheses, the consideration about parallelism of insertion path between implants and surveyed fixed prostheses is an important factor for success of IARPDs. In this case, she complained of discomfort while using the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Thus, an IARPD using implant surveyed fixed prostheses was fabricated. Thereafter, more implants were placed by a digital guide surgery to have the same insertion path as the existing surveyed fixed prostheses. Locator attachments were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premolar implants, and the left molar was able to obtain support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healing abutment. The clin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on the aspect of aesthetic and masticatory function.", "abstract": "다수 치아가 상실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치료와 더불어 최근에는 임플란트를 보조적으로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또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중 부착 장치와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함께 이용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의 경우, 부착 장치와 국소의치가 동일한 삽입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국소의치를 사용하던 중,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플란트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활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이후 추가적인 임플란트 식립 시, 기존의 임플란트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의 삽입로와 동일한 식립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디지털 가이드 수술을 이용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후, 좌, 우측 소구치부에는 로케이터를 장착하고, 좌측 구치부에는 치유 지대주 상태로 국소의치의 지지를 부여하여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d": "JAKO20211325454017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173.pdf", "abstract_en": "In removable partial dentures, many types of retentive systems have been studied and applied in clinical treatment. One of those systems is the double crown denture system which is widely used 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Germany and Sweden.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s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convenience in maintaining oral hygiene, enabling to transfer occlusal force along the long axis of the abutment, and secondary splinting effect between the abutments which leads to higher clinical perform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removal partial dentures. In this clinical case, the patient was initially restored with a maxillary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 with friction pin using remaining natural teeth as abutments. After 7 years, due to lack of recall check-up and poor oral hygiene, the abutment teeth were affected by periodontitis and 4 out of 5 of the abutment teeth had to be extracted. 3 additional implants were placed and the original abutment tooth with the inner crown was maintained. The mandible had fixed prostheses including implants but nevertheless, with strategic implant placement, the patient adapted well and was satisfied with the new maxillary tooth-implant combined double crown denture.", "abstract":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 시 유지력을 얻는 방법에 따라 많은 연구와 임상적인 적용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중 한 종류인 이중관 의치는 독일과 스웨덴과 같은 유럽의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는 구강 위생관리의 편의성, 지대치로 교합력의 수직적인 전달, 그리고 지대치들 간의 2차적인 고정과 같은 장점들이 있어 클라스프 유지형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임상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 처음에 환자는 자연치를 이용하여 상악에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의치를 제작하였습니다. 7년 뒤 환자의 불량한 구강위생관리 습관과 정기검진의 부재로 지대치들에 치주염이 발생하였고 5개중 4개의 자연치 지대치를 발치하게 되었다. 남은 1개의 자연치 지대치의 내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3개의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대합치인 하악이 고정성 보철임에도 불구하고 전략적인 임플란트 식립으로 인해 환자는 새롭게 제작된 상악 치아-임플란트 연합 이중관 의치에 적응하였고 만족하였다."} {"id": "JAKO20211325454019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198.pdf", "abstract_en": "Congenital tooth agenesis is the most common developmental dental anomaly, of which oligodontia is defined as the absence of six or more permanent teeth, except the third molars. Tooth agenesis causes malocclusion, alveolar atrophy, aesthetic and psychosocial problems. This clinical report describes a multidisciplinary treatment for a patient diagnosed as oligodontia, who exhibited absence of 14 permanent teeth, atrophy of maxillary alveolar bone, and mandibular protrusion. Restoration space was secured and tooth axis was improved by the extraction of deciduous teeth and orthodontic treatment. However, edge-to-edge bite of posterior teeth and arch dimension discrepancy due to atrophic maxilla was remained. To restore the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implant retained prosthesis was planned. Considering minimal bone grafts, location and number of dental implants and prostheses design were determined. Through the gradual adjustment of provisional restoration, the appropriate centric and eccentric occlusion was reflected into a definitive prosthesis. Currently, stable functional results were attained, however, regular follow up and maintenance care over lifetimes should be performed.", "abstract": "선천성 치아결손은 가장 흔한 치아의 발육장애인데, 이 중 제3대구치를 제외한 6개 이상의 치아가 상실된 경우를 부분무치증(oligodontia)이라 한다. 이러한 치아결손은 부정교합, 치조제 위축, 심미적인 문제 및 사회심리적인 문제 등을 초래한다. 14개의 영구치 결손과 상악궁의 치조제 위축, 하악의 전돌 등이 관찰되는 부분무치증 환자에서 다학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만기잔존유치의 발거와 교정치료를 선행하여 보철수복공간을 확보하고 불량한 치축을 개선하였으나, 구치부 절단교합과 상악 치조제의 위축으로 인한 악궁 간 크기 차이가 잔존하였다. 치아결손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을 이용한 고정성 보철수복을 계획하여 심미성과 기능성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골이식을 최소화하도록 임플란트의 식립 부위와 개수를 결정하였고, 보철물의 형태를 고려하였으며, 임시수복물에서 심미성과 교합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점진적인 임시수복물 조정과정을 통해 적절한 중심교합과 측방운동 시 균형적인 교합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최종보철물을 제작하여 수복하였다. 현재 안정적으로 기능하고 있으나 전 생애에 걸친 유지관리 치료가 필요하다."} {"id": "JAKO20211325454019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191.pdf", "abstract_en": "Physiologic tooth attrition is accepted as a natural change. But when pathologic changes, such as loss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asticatory pain, loss of masticatory function, and loss of esthetics occur, restorative measures should be taken by dentist. A patient visited the clinic with the chief complaint of 'My lower teeth bite the palate and it hurts'. It was diagnosed as iatrogenic attrition of lower natural dentition caused by inappropriate upper restorations, resulting in traumatic overbite. Through model analysis and diagnostic wax up, increase in vertical dimension was decided. Upper and lower dentitions were restored with new prostheses. After restoration, satisfactory outcomes were achieved both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abstract": "일생에 걸친 치아의 생리적 마모는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치아 마모가 교합 수직고경의 감소, 저작 시 통증 및 저작 기능 상실, 심미성 소실 등의 병적 변화를 일으킨다고 판단되는 경우 치과의사가 이를 회복시켜주어야 한다. 본 증례 환자는 '아래 앞니가 입천장에 닿아서 아프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상악의 부적절한 보철물에 의한 하악 치열의 의원성 마모와 그에 따른 외상성 교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하였다. 진단모형 분석 및 납형조각을 통해 수직고경 거상을 결정하였으며 상악 및 하악을 적절한 고정성 보철물로 재수복하여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id": "JAKO20211325454018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185.pdf", "abstract_en": "A patient failed to use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due to severe mandibular bone resorption and soft tissue hyperplasia on lips, tongue and oral vestibule from vascular malformation. The treatment of choice would be an implant-retained overdenture, however, he refused owing to high cost. The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using BPS principle, CR record registration with gothic arch tracing and monoplane occlusion using non-anatomic teeth were used to fabricate complete dentures for this patient. Patient satisfaction, the retention and the stability of complete dentures were highly improved as a result.", "abstract": "본 환자는 혈관기형으로 인한 구순과 혀, 전정 등 연조직의 비대와 팽윤감, 심한 하악골 흡수로 인해 일반적인 총의치를 사용할 수 없었다. 최선의 치료 방법은 임플란트 피개의치이나 경제적 제약 때문에 선택할 수 없었다. 하악 총의치로 수복을 하기 어려운 증례에서 음압을 형성하는 BPS 흡착식 원리를 응용한 폐구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중심위 악간관계기록 및 비해부학적치아를 이용한 단일평면교합법으로 총의치를 제작하여 그 결과가 양호하였다. 치료 전 환자와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 요구사항을 확인함으로써 환자가 원하는 심미성을 보유하면서 기능적으로 양호한 총의치 제작이 가능하였다."} {"id": "JAKO20211325454018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180.pdf", "abstract_en": "Excessive teeth wear can lead to reduced chewing efficiency, occlusal plane collapse, and facial changes.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 change in vertical dimension may cause pain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asticatory muscle and teeth, so a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is required. In this case, a 69-year-old man had excessive teeth wear with a loss of posterior support. We evaluated the degree of adaptation to the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with the removable occlusal splint and provisional restoration. We report this case because the treatment result has been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satisfactory by providing stable anterior guidance, proper posterior teeth disclusion, and even contact of all teeth in centric occlusion.", "abstract": "치아의 과도한 마모는 저작 효율 감소, 교합평면 붕괴 및 안모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수직고경 변화를 동반한 전악 수복의 경우 측두하악관절, 저작근 및 치아의 동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진단과 치료 계획이 요구된다. 본 증례는 69세 남성으로 구치부 지지가 상실된 상태로 과도한 치아 마모 증상을 보이는 상태였다. 가철성 교합안정장치 및 임시보철물로 증가된 수직고경의 적응 정도를 평가하였고, 임플란트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최종 보철 수복을 진행하였다. 안정적인 전방유도 설정, 적절한 구치부의 이개, 중심위에서 균등한 치아 접촉을 부여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id": "JAKO20211325454020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203.pdf", "abstract_en": "Cobalt-chromium alloys are used to fabricate various dental prostheses, and have advantages of low cost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other alloys. Recently, selective laser melting, which is an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has been u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fabrication method. A local rapid heating and cooling process of selective laser melting induces fine microstructures, grain refinement, and reduction of porosities of the alloys. Therefore, it can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e alloys fabricat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On the other hand, layering process and rapid heating and cooling cause accumulation of a large amount of residual stresses that can adversely affect the mechanical properties. A heat treatment for removing residual stresses through recovery and recrystallization process caused complicated changes in mechanical properties induced by phase transformation, precipitate and homogenization of the micro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compare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Co-Cr alloys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Cr alloys fabricated by selective laser melting.", "abstract": "코발트-크롬 합금은 다양한 치과보철물 제작에 이용되고 있고, 다른 합금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장점이다. 최근, 기존 제작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적층제조 방식인 선택적 레이저 용융 방법이 보철물 제작에 이용되고 있다. 선택적 레이저 용융 방법의 공정 중 급속 가열과 냉각 과정은 제작된 합금의 미세구조와 결정립을 미세화하고, 기포를 감소시켜 기존 제작 방식에 의한 합금에 비해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반면, 적층과 급속 가열 및 냉각은 다량의 잔류응력 축적을 초래하는데, 추후 기계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주로 열처리를 시행하고, 회복과 재결정화에 의한 잔류응력의 감소뿐만 아니라 상변태, 석출물 및 미세구조의 균질화가 동반되어 기계적 특성의 복잡한 변화가 나타난다. 본 문헌고찰에서 코발트-크롬 합금의 제작 방식 비교 및 선택적 레이저 용융 방법으로 제작된 합금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id": "JAKO20211325454016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168.pdf", "abstract_en":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iaxial flexural strength and hardness of colored monolithic zirconia after dipping in different time intervals of coloring solution. Materials and Methods. Disk shaped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monolithic zirconia (Eclipse V2.0, AMS, Gimpo, Korea). Four experimental groups were categorized (n = 12) due to coloring time (PU (0s); ST (8s); OV (1 min); PS (preshade)), to evaluate biaxial flexural strength and Vickers hardness. After fracture, X-ray diffrac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actured specimens. Results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tes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biaxial flexural strength test. However, in the Vickers hardness test, the group with standard dipping time (S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e group without dipping in coloring liquid (PU)(P=.038).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t of the groups (P>.05). As a result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specific peaks of tetragonal phase were shown and the volume of monoclinic phase fraction was lower than 25%. Conclusion. Although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coloring liquid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iaxial flexural strength. Vickers hard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to which the coloring liquid was applied and the group to which the coloring solution was not appli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groups. Also, the flexural strength of monolithic zirconia corresponds to Class 5 of the minimal flexural strength standard according to the use of dental ceramics.",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색의 단일구조 지르코니아의 이축 굴곡 강도와 경도를 평가하고, 착색 용액의 적용에 따른 지르코니아의 강도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시편(Eclipse V2.0, AMS, Korea)을 동일 크기의 디스크 형태로 밀링하고, 지르코니아 착색 용액의 적용 시간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류(n = 12)하였다(PU, ST, OV, PS). 각 시편의 이축 굴곡 강도를 측정하고, Vickers 경도를 측정했다. 파절 시험 이후, 파절된 시편을 이용하여, X-선 회절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분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결과: 2축 굴곡 강도 실험에서는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Vickers 경도 실험에서 제조사 지시대로 착색용액을 적용한 그룹이 착색 용액을 적용하지 않은 그룹보다 유의하게 값이 높았다 (P = .038). 나머지 그룹 간 Vickers 경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5). X-ray 회절 분석 결과 모든 군의 X-ray 회절 분석 상에는 정방정상의 특이적 피크를 보여주었고, 모든 단사정상 분율은 25%미만이었다. 결론: 지르코니아 착색용액의 적용 여부 및 적용 시간은 이축 굴곡 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Vickers 경도는 제조사 지시대로 착색 용액을 적용한 그룹과 착색 용액을 적용하지 않은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에 사용한 지르코니아 시편의 이축 굴곡 강도 결과는 치과용 세라믹 용도에 따른 최소 굴곡 강도 기준의 Class 5에 해당하였다."} {"id": "JAKO202109950460692",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92.pdf", "abstract_en": "Axial displacement of an implant-supported prosthesis is frequently reported in clinical and laboratory studies. However,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he behavior of the axial displacement of implant-supported prostheses functioning in intraoral situations. The present case report evaluated the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of posterior single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 2 different patients. Internal connection type implants were placed, and screw and cement-retained prosthesis (SCRP) type prosthesis were delivered after an appropriate healing period. Intraoral digital scans were performed using an intraoral scanner (Cerec Omnicam, Dentsply Sirona, USA) on the day of crown delivery and one week, one month, and one year after delivery. The amount of 3-dimensional displacement of the prosthesis was evaluated by using a digital inspection software (Geomagic Control X, 3D systems, USA). The axial displacement of implant-supported prosthesis occurred in both patients. Furthermore, the amount of displacement increased over time.", "abstract": "여러 연구에서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수직 침하에 대해 보고되고 있지만, 구강내 임플란트 지지보철물의 기능 시 수직침하 양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증례에서는 2명의 환자에서 구치부 단일 치아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3차원적인 변화를 평가하였다. 내부연결형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SCRP) 형태의 보철물을 제작해 장착하였다. 구강스캐너(Cerec Omnicam, Dentsply Sirona, USA)를 이용해 보철물 장착 시, 장착 1주, 1개월, 1년 후 구강 스캔을 시행하였으며 디지털 분석 프로그램(Geomagic Control X, 3D systems, USA)을 이용해 기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3차원적으로 평가하였다. 인접 치아를 기준으로 보철물 장착 후 임상적인 위치 변화가 나타났으며 변화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id": "JAKO202109950460626",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26.pdf", "abstract_en":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rendering screen difference affect to measuring distance in a CAD program according to three types of CAD programs. Materials and methods: The model presented in ISO 12836 for dental scanner evaluation was reduced by 70%. This model was repeatedly scanned 15 times using Trios II (3Shape, Denmark). Using the output STL file, 3Shape CAD, inLab 15, and ExoCAD programs were used to measure the horizontal distance (H) and vertical distance (V) between adjacent point angle, and for each experiment, three groups were set according to the CAD program typ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One-way ANOVA test and post hoc was performed using Dunnett T3 test. Result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 measure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the measured values between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AD program (P>.05). Conclusion: There were no effect of the difference in the rendering scree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 distance measurements of the inlay model on the dental CAD program.",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3가지 종류의 CAD 프로그램들에 따라 렌더링 화면 차이가 CAD 프로그램 상의 거리 측정에서의 차이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재료 및 방법: 치과용 스캐너 평가를 위해 제시된 ISO 12836 규격 인레이 모형을 70% 축소한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 모델을 Trios II (3Shape, Denmark)를 사용하여 총 15회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스캔을 시행하였다. 출력된 STL 파일을 이용하여 3Shape CAD, inLab 15, ExoCAD 프로그램을 통해 인접한 점각 간 수평 거리(H)와 수직 거리(V)를 각각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고, 각 실험마다 CAD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3개의 군으로 설정하였다. One-way ANOVA test를 통해 통계 분석하였고, Dunnett T3법으로 사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평거리와 수직거리 측정에서 모두 CAD 프로그램에 따른 세 군 간의 측정값 평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5). 결론: 치과용 CAD 프로그램상에서 인레이 모형의 수평, 수직 직선거리를 측정할 때, 프로그램 간의 렌더링 화면 차이에 따른 영향은 없다."} {"id": "JAKO202109950460688",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88.pdf", "abstract_en": "A three-dimensional (3D) intraoral scanner, which is one of the major developments in digital dentistry, is widely used in fixed prosthodontics. The application of intraoral scanner is now increasing in removable prosthodontics. Sclerotic change induced by scleroderma causes the limitation of mouth opening and multiple loss of the teeth. Conventional prosthodontic procedures are challenging for patients with this disease. This study showed a case of digital approach to the removable pros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 who had the scleroderma and the consequent microstomia. At the provisional stage, the optical impression of patient's oral structures was digitally obtained. Using a 3D printer, the provisional dentures were fabricated. After extraction of hopeless tooth, the definitive digital impression was taken and the metal frameworks were fabricated, based on the data acquired from the impression. The definitive removable partial dentures were completed and delivered to the patient, who was satisfied with the prostheses.", "abstract": "디지털 치의학에서의 주요한 발전 중 하나인 3차원 구강스캐너는 최근 고정성 보철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가철성 보철물에서도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전신성 피부경화증에 의한 안면부 연조직의 경화는 개구량 제한을 일으켜 치아상실을 야기하며 기존의 통상적인 보철 치료를 어렵게 한다. 본 증례에서는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을 통한 3차원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개구량 제한과 그에 따른 소구증을 가진 전신성 피부경화증 환자에서 3차원 구강구조를 광학인상 채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3D 프린터를 이용한 임시의치 제작을 통해 3차원 구강스캐너를 통한 가철성 보철물 제작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최종 지대치 정리 후 최종 광학인상 채득하여 국소의치 금속구조물을 제작하였다. 금속구조물의 적합도는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웠으며 이후 최종 국소의치 제작, 장착하여 상실부위에 대한 수복을 진행,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d": "JAKO20212046186988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869884.pdf", "abstract_en":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nonword intervention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a Rapid syllable transition treatment (ReST) and to determine its effect by applying it to children with CAS.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nonword interventions are effective for nonword production ability and generalization of real words. Single-subject research using the ABA design was performed for a child aged five years and six months with diagnostic features of CAS. The nonwords used in the interventions were made suitable for the individual child.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in one-hour sessions, twice a week for six weeks. In all cases, performance of the treated three-syllable nonwords improved, and untreated three-syllable words, four-syllable words, and nonwords showed a generalization effect. However, the generalization of treatment effects to words was smaller than for nonwords. The nonword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ubject's speech motor programming skills. As a result, transition errors due to impaired speech motor programming were greatly reduced, and the ability to produce untreated nonwords was greatly increased.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the full improvement of strongly habitable word errors, which would be expected if a more intensive and repetitive intervention schedule was provided.", "abstract": "본 연구는 국외에서 개발된 비단어 중재접근법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어 비단어 중재접근법을 확립하고, 아동기 말실행증 아동에게 직접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궁극적인 목적은 비단어를 이용한 중재가 아동기 말실행증의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개선시켜 비단어 산출 및 단어로의 일반화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중재는 아동기 말실행증의 진단 특성을 보이는 5세 6개월의 남아를 대상으로, ABA설계를 사용한 단일대상연구를 실시하였다. 중재에 사용된 비단어는 아동 맞춤형으로 제작하였으며, 한 회기당 60분씩 주 2회로,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재한 3음절 비단어의 모든 지표가 향상되었으며, 중재하지 않은 3음절, 4음절 비단어 및 단어로의 일반화를 확인하였다. 단, 단어로의 일반화 효과는 비단어로의 일반화 효과에 비해 미비하였다. 비단어 중재는 대상 아동의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 결과 운동프로그래밍 손상에 기인한 전환 오류가 크게 감소하였고, 중재하지 않은 비단어의 산출 능력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강력하게 습관화된 단어 오류를 완전히 개선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는 보다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중재 일정을 제공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결과일 것이다."} {"id": "JAKO20212046187588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875885.pdf", "abstract_en": "It has been widely recognized that there are two varieties of lateral liquid /l/, which are light /l/ (a non-velarized allophone) and dark /l/ (a velarized allophone). However, this categorical view has been challenged in recent studies, both on articulatory and acoustic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o consider /l/ velarization as a continuum in American English and provide supporting data. A spontaneous American English speech database called the Buckeye Speech Corpus was used for the material. The formant frequencies of /l/ in each syllable position were measur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formant frequencies of /l/ in each syllable position, especially F2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other significantly different varieties of /l/ in American English, which support the continuum view on /l/ velarization. Regarding the effect of the adjacent vowel, the backness of the adjacent vowels was shown to affect the degree of /l/ velarization, regardless of the syllable position of the lateral liquid. This result will help provide a solid ground for the continuum view.", "abstract": "설측음의 변이음에는 어두운 [l]과 밝은 [l]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 설측음의 변이음의 종류가 언어마다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설측음 /l/이 음절 내 출현 위치에 따라 연구개음화의 실현 정도가 유의미하게 다른 변이음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연발화 음성 데이터베이스인 벅아이 코퍼스를 이용하였다. 먼저, 설측음의 음절 내 출현 위치에 따라 측정한 포만트 주파수를 비교한 결과 음절 내 모든 위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F2 주파수를 근거로 연구개음화 정도가 유의미하게 다른 변이음이 어두운 [l]과 밝은 [l] 이외에도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인접 모음의 후설성이 설측음의 연구개음화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표준적인 어두운 [l]과 표준적인 밝은 [l] 이외의 변이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포만트 주파수를 측정하고 이에 대해 분산분석을 한 결과 음절 말 위치에서 연구개음화될 때에도 인접 모음이 후설모음인 경우 인접 모음이 전설모음인 경우와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차이나는 F2 주파수를 보여 연구개음화되는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음절 초 위치에서 설측음이 실현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인접 모음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든 설측음이 음절 초 위치에서는 표준적인 밝은 [l]로 발음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실제 F2 주파수는 음절 말 위치에서 선행모음이 전설모음일 경우의 설측음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음절 내의 위치뿐만 아니라 인접 모음의 후설성이 설측음의 연구개음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논문의 결과는 설측음의 변이음의 종류가 언어마다 다르고 미국 영어의 경우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주장에 대한 하나의 음성학적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2046186888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868884.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the wh-island constraint in Seoul Korean. The syntactic movement of a wh-phrase out of an embedded sentence so as to have wide scope at LF is known to be invalid as it violates the wh-island constraint, but there have been studies in which such a movement was possible when the sentence is read with a wh-intonation. We conducted perceptual tests in which subjects were asked to select an answer after listening to each of the four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Three of them were with 'Nugu-leul', which is an accusative form of the wh-phrase 'who' as well as an indefinite form. The fourth sentence contained the name of a person. 'Nugu-leul' and the noun were positioned in the same embedded sentence to see whether the subjects accepted a matrix scope interpretation of the wh-phrases. Response time was transformed to normalized log response time and checked to find any differences in the time taken to select the answers depending on different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The results showed the subjects had a definite preference for the matrix scope interpretation for the sentences with a wh-intonation. The response time required to select the matrix scope interpretation was longer than for any other type of interrogative sentence. We concluded that the wh-island constraint in Seoul Korean is weak.", "abstract": "wh-섬 구조는 내포문에 있는 의문사 구가 모문의 작용역을 갖을 수 없도록 하는 제약이다. 서울말에서 내포문 의문사 구가 모문의 작용역으로 해석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의문사 억양으로 발화될 경우 모문 작용역 해석도 가능하다고 보고되었다. 청취 실험을 통하여 서울말에서 의문사 구의 모문 작용역 해석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내포문에 '누구를'을 넣어 만든 세 종류의 의문문, 즉 부정 대명사와 내포문 작용역을 갖는 판정 의문문과 의문사 억양으로 발화된 모문 작용역 해석이 가능한 설명 의문문을 자극으로 준비하고 비교를 위해 일반 명사를 사용한 판정 의문문 문장도 함께 실험하였다. 피험자는 자극 문장을 듣고 '네/아니오'를 선택하거나 아니면 설명 의문문을 선택하도록 지시하였다. 피험자의 대답과 함께 선택에 소요된 반응 시간을 함께 기록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83.7%의 피험자가 모문 작용역 해석을 받아들이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반응 시간에서 모문 작용역 문장에 대한 선택이 정답과 오답을 포함하여 가장 긴 소요 시간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서울말은 약한 wh-섬 제약이라고 할 수 있다."} {"id": "JAKO20212046187488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874885.pdf", "abstract_en": "Nanta means \"tapping\" using percussion instruments such as drums, which is the rhythm of Samulnori, a tradtional Korean music. Nanta speech rhythm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for the children with limited speech sound production and investigated its effect. Nanta program provided audible stimulation, various sound loudness and beats, and rhythms. Nanta program consists of three stages : Respiration, phonation and articulation with the rhythm. Six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were encouraged to explore sounds and beats and freely express sounds and beats. Along with the rhythm, children also were encouraged to produce speech sounds by increasing the length of syllables in mimetic and imitating words. A total of 15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40 minutes per session. For exploring the effectiveness, raw scores from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scales (PRES) and 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were obtain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rap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ignificantly improved receptive (p=.027) and expressive language scores (p=.024) in PRES and receptive (p=.028) and expressive (p=.028) vocabulary scores following intervention using Wilcoxon signed-rank test.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anta rhythm program can be useful for improving language development and vocabulary in children with limited speech sound production.", "abstract": "난타는 북과 같은 타악기를 이용한 \"두드리기\"라는 뜻으로 한국 전통 음악인 사물놀이의 리듬이다. 말소리 산출이 제한된 아이들을 위해 난타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언어 리듬을 이용한 난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난타 음성 리듬 중재 프로그램은 말리듬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난타 프로그램은 청각 자극, 다양한 소리와 박자, 리듬을 제공했으며, 리듬과 함께 호흡, 발성, 조음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말소리 목록이 제한된 6명의 아이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아동들에게 소리와 박자를 탐색하고 소리와 박자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리듬과 함께 단어를 모방하고 모방하는 단어에서 음절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다양한 말소리를 산출하도록 격려하였다. 매 회당 40분 동안 주 2회씩 총 15회의 세션이 실시되었다. 중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치료 전후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점수를 비교하였다. Wilcoxon rank test 결과, 중재 후 PRES에서 수용언어 점수(p=.027)와 표현언어 점수(p=.024) 및 수용어휘력(p=.028)과 표현어휘력 (p=.028)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난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은 수용적이고 표현적인 어휘와 언어 발달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발견들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이 제한된 음성 소리 생성을 가진 어린이들의 언어 발달과 어휘 향상에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id": "JAKO20212046187788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877885.pdf", "abstract_en": "Speech is a spatiotemporally coordinated structure of constriction actions at discrete articulators such as lips, tongue tip, tongue body, velum, and glottis. Like other human movements (e.g., reaching), each action as a linguistic task is completed by a synergy of involved basic elements (e.g., bone, muscle, neural system). This paper discusses how speech tasks are dynamically related to joints as one of the basic elements in terms of robotics of speech production. Further this introduction of robotics to speech sciences will hopefully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ow speech is produced and provide a solid foundation to developing a physical talking machine.", "abstract": "음성은 개별 조음 기관(입술, 혓끝, 혓몸, 연구개, 성문)에서 일어나는 협착 운동들의 시공간적 협응 구조라 할 수 있다. 다른 인간의 운동(예: 잡기)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협착 운동은 언어학적으로 의미 있는 task이며, 각 task는 그것과 관계된 기본 요소들의 시너지에 의해 수행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음성 task가 어떻게 기본 요소들인 joint와 동역학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지를 로보틱스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나아가 로보틱스의 기본 원리를 음성과학 분야에 소개함으로써 운동으로서의 음성이 어떻게 발화되는지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가능케 하고, 실제 인간의 조음을 모방한 말하는 기계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id": "JAKO202112054771843",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843.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in lip movement during speech according to aging. For the study, 15 elderly women with an average of 69 years and 15 young women with an average of 22 year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movement of the lips, the ratio between the minimum point and the maximum point of movement when pronouncing a double vowel was analyzed in pixel units using image analysis software. For clinical utility, the software was produced by applying an automated algorithm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handwork. This study found that the range of the width and length of lips in double vowel tasks was smaller for the elderly than that of the young.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nual and automated methods, indicating that both methods are useful for extracting lip contou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ange of the lips decreased when ignited as aging progressed. Therefore, monitoring the condition of lip performance by simply measuring the movement of lips before aging progresses, and performing exercises to maintain lip range, will prevent pronunciation problems caused by aging.",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노화에 따른 발화 시 입술 움직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평균 69세의 노인 여성 15명과 평균 22세의 젊은 여성 15명을 선정하였다. 입술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 이중모음 발화시 입술 움직임을 녹화하여 스틸 이미지로 저장한 다음 입술의 움직임이 최소인 부분과 최대한 길이를 영상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pixel 단위로 수작업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임상적 활용성을 위해 자동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제작했으며 수작업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노년층의 경우 청년층에 비해 이중모음 과제에서 입술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 범위가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작업과 자동화 방법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두 방법 모두 입술 윤곽 추출 시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화 시 입술의 범위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화가 진행되기 전 간단하게 입술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본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입술 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 운동을 실시한다면 노화로 인한 발음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205477184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840.pdf", "abstract_e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diphthongs produced by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To confirm this, two groups of 10 children each,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were asked to imitate the meaningless two-syllable 'diphthongs + da'. The slope of F1 and F2, amount of change of formant, and duration of glide were analyzed by Praat (version 6.1.16).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the slope of F1 of /ju/.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had smaller changes in formants and shorter duration time value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amount of change in formant in the glide was found in F1 of /ju, jɛ/, F2 of /jɑ, jɛ/,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glide in /ju, jɛ/.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ange of articulation of diphthongs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thus the time it takes to articulate was reduc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ange of articulation and acoustic analysi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fo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regarding diphthong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소리장애 아동이 산출하는 이중모음의 특성을 파악하여 평가 및 중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말소리장애 아동의 이중모음 산출 특성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에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간 이중모음 산출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10명의 만 4-5세 말소리장애와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무의미 2음절 '이중모음+다'를 모방하도록 하였다. 산출된 이중모음의 활음 구간 내 제1, 2 포먼트 기울기, 포먼트 변화량, 활음 지속시간을 Praat(version 6.1.16)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 /유/의 F1 기울기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작은 포먼트 변화량과 더 짧은 활음 지속시간을 보였다. 유의한 포먼트 변화량의 집단 간 차이는 /유, 예/의 F1과 /야, 예/의 F2에서 나타났으며, 유의한 활음 지속시간의 차이는 /유, 예/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말소리장애 아동이 이중모음을 조음하는 범위가 일반 아동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그만큼 조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은 말소리장애 아동의 이중모음에 관한 평가와 중재를 할 때 말소리장애 아동의 조음 범위를 고려해야 하며, 이에 음향학적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id": "JAKO20211205477183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836.pdf", "abstract_en": "According to Demand and Capacity Model (DCM),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s influence the disfluency of children who stutter (CW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ultaneous changes in motoric and linguistic demands on CWS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Participants were 4-6 years old CWS and CWNS. A sentence imitation task with changes in speech rate, utterance length, and sentence complexity was used to examine their effects on children's disfluency. When the utterance length changed, CWS showed more disfluency regardless of utterance length and as the speech rate changed, CWS showed more disfluency at fast speech rate than CWNS. When the utterance length and speech rate changed, at fast speech rate, CWS showed more disfluency in both utterances than CWNS. When sentence complexity changed, CWS showed more disfluency than CWNS in complex sentences. Changes in linguistic elements such as speech rate, utterance length, and sentence complexity affect disfluency in CWS, especially when they were exposed to faster, longer, and more complex sentences. This indicates that CWS are vulnerable to fast and complex speech motor control and language processing ability than CWN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and therapists consider both the speech rate and the utterance length when talking with CWS.", "abstract": "요구용량 모델에 의하면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은 외적, 내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 환경 중 언어적인 환경(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의 변화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유창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대상은 4-6세 말더듬 아동 9명, 일반아동 9명이었다. 연구 과제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비유창성 빈도를 구하였다. 두 그룹의 비유창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때 평균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 아동보다 비유창성이 더 많이 나타났다. 말속도를 조절 때 말더듬 아동은 빠른 말속도에서 일반아동보다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그리고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시 빠른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아동보다 높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통사적 복잡성을 조절했을 때는 복문에서 말더듬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더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말더듬 아동은 말속도, 발화길이 그리고 통사적 복잡성에 따라 비유창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말더듬 아동은 말운동 조절 그리고 언어처리 능력이 일반아동보다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임상에서 말더듬 아동 치료 시 치료사와 부모가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아동의 수준에 맞춰 진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id": "JAKO20211205477181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817.pdf", "abstract_e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ntal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an ambiguous word in the bimodal processing system by manipulating the lexical ambiguity of a visually or auditorily presented word. Homonyms (e.g., '물었다') with more than two meanings and control words (e.g., '고통을') with a single meaning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The lemma frequency of words was manipulated while the relative frequency of multiple meanings of each homonym was balanced. In both experiments using the lexical decision task, a robust frequency effect and a critical interaction of word type by frequency were found. In Experiment 1, spoken homonyms yielded faster latencies relative to control words (i.e., ambiguity advantage) in the low frequency condition, while ambiguity disadvantage was found in the high frequency condition. A similar interactive pattern was found in visually presented homonyms in the subsequent Experiment 2. Taken together, the first key finding is that interdependent lexico-semantic processing can be found both in the visual and auditory processing system, which in turn suggests that semantic processing is not modality dependent, but rather takes place on the basis of general lexical knowledge. The second is that multiple semantic candidates provide facilitative feedback only when the lemma frequency of the word is relatively low.", "abstract": "본 연구는 중의성을 가진 어휘가 심성 어휘집에 표상된 방식과 감각 양상에 따른 처리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어 동음동철이의 어절의 시·청각 재인 과정을 조사하였다. 청각 어절 판단 과제(실험 1)와 시각 어절 판단 과제(실험 2)를 이용한 두 실험에서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진 동음동철이의 어절(예: '물었다')과 단일한 의미만을 가진 통제 어절(예: '고통을')이 사용되었다. 어절 자극들의 누적 빈도는 조작하는 한편, 각 동음동철이의 어절의 다양한 의미가 가지는 상대적 빈도는 통제하였다. 어절 판단 과제를 사용한 두 실험 모두에서 유의한 빈도의 주효과와 함께 의미 수에 따른 어절 유형과 빈도 간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실험 1에서 청각적으로 제시된 동음동철이의 어절은 저빈도 조건에서 단의 어절에 비해 반응시간이 빠른 중의성 이득 효과가 나타난 반면, 고빈도 조건에서는 이와 반대로 비이득 효과가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시각적으로 제시된 실험 2의 자극에서도 유사한 상호작용 패턴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시각 및 청각 양상 모두에서 어휘-의미 처리가 상호의존적으로 이루어짐을 보여주며, 이는 의미 처리가 감각 의존적 단계보다는 일반적 어휘 지식 처리 단계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의미 선택 과정에서 동음동철이의 어절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의 후보군은 어절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때에만 촉진적 피드백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id": "JAKO20211875294875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752948756.pdf", "abstract_en": "Owing to the lack of consistent research on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there are insufficient data to preservespecies and expand habitats. This study analyzed the preferred habitat and threats to the survival of Aconitum austrokoreense, found on Baekwun Mountain in Gurye-gun, Gwangyang-si, Jeollanam-do Province, and classified as a level two endangered wild plan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y investigating majo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limate, location, soil, and stand structure. By examining five selected sites inhabited by Aconitum austrokoreense on BaekwunMountain, this study found that the habitat had an altitude of 420 to 675 m above sea level and showed a northeast tendency, spreading over a range of inclination angles between 15° and 37°. The average number of plants across the five sites was 156. Site 4 (550 m) had the highest density of 372 plants, with an average height of 0.6 m. The average soil moisture and relative light intensity were 20.48% and 7.34%, respectively. Layer soil was presumed to be sandy loam, characterized by high sand content and good drainage. The habitat had average soil pH of 5.2, average organic matter of 16.46%, average nitrogen of 0.86%, average available phosphate of 11.86 mg/kg, average electrical conductivity of 0.44 dS/m, and average cation exchange capacity of 37.04 cmolc/kg. The total carbon in soil averaged 10.68%. From the analysi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of sites inhabited by Aconitum austrokoreense, the dominant populations were Pinus koraiensis and Lindera erythrocarpa in Site 1, Magnolia obovata and Carpinus laxiflora in Site 2, Zelkova serrate and Quercus variabilis in Site 3, Staphylea bumalda and Lindera erythrocarpa in Site 4, and Morus bombycis,Styrax japonicus, and Carpinus laxiflora in Site 5. With most habitats located near trails and sap collection sites of Acer pictum, the species were exposed to artificial damage and interference threats.", "abstract": "국내의 멸종위기생물(식물)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종의 보존이나 서식지 확대를 위한 기본적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광양시·구례군 백운산 내 서식하는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식물) 2급인 세뿔투구꽃의 주요 서식지를 대상으로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환경 인자인 기상, 입지, 토양, 임분구조를 조사하여 세뿔투구꽃이 선호하는 서식지와 위협 요인을 분석하였다. 백운산 내 5개 조사지를 선정해 입지환경을 조사한 결과 세뿔투구꽃 자생지의 해발고도는 420~675 m 구간, 방위는 북동쪽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경사는 15~37°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평균 개체 수는 156개체였고, 조사지 4(550 m)에서 372개체로 가장 많이 분포했고, 높이는 평균 0.6 m이었다. 토양수분은 평균 20.48%, 상대광도는 평균 7.34%였다. A층 토양은 모래 함량이 많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Sandy loam)를 선호한다고 판단된다. 서식지의 토양 pH는 평균 5.2이었고, 유기물은 평균 16.46%, 질소는 평균 0.86%, 유효인산은 평균 11.86 mg/kg, 전기전도도는 평균 0.44 dS/m, 양이온치환용량은 평균 37.04 cmolc/kg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내 총탄소량의 평균은 10.68%로 나타났다. 세뿔투구꽃 서식지의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조사지 1은 잣나무-비목나무, 조사지 2는 일본목련-서어나무, 조사지 3은 느티나무-굴참나무, 조사지 4는 고추나무-비목나무, 조사지 5는 산뽕나무-때죽나무-서어나무 우점군집으로 해석되었다. 대부분의 서식지가 등산로 및 고로쇠나무 수액채취 지역과 인접해 있어서 인위적 훼손과 교란의 잠재 위험 요소에 노출되어있는 상황이었다."} {"id": "JAKO20211875296276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752962765.pdf", "abstract_en": "Understanding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pine wilt disease (PWD) is essential for determining a suitable strategy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PWD. Thus,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meteorological factors, geographical factors, and artificial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of PWD. The occurrence data of PWD from May 2016 to April 2018 and spatial data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natural and anthropogenic factors, were collected. We evaluate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number of dead pine trees by PWD. In this study, among the 17 natural and anthropogenic factors,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dead trees by PWD were ver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altitude and temperature from May to August, among natural factors, and distance to building and forest road among anthropogenic factor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occurrence of PWD.", "abstract": "소나무재선충병의 발생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 및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제전략 수립을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 요인, 지리적 요인, 그리고 인위적 요인과 같은 환경 조건과 소나무재선충병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16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자료와 자연적, 인위적 요인들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 조건의 공간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소나무재선충병에 의한 고사목 발생 본 수에 대한 환경 변수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총 17개의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 중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한 결과 자연적 요인은 고도와 5~8월 기온이, 인위적 요인은 도로와 건물과의 거리가 소나무재선충병 감염고사목 발생본수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875297076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752970768.pdf", "abstract_en": "This study applied the e-PBL (e-Project-based learning) method for \"Urban Forest Management\"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at S University to progress in university forest education. e-PBL effectively motivates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ers' responsibility by enabling them to choose, design, and perform their projec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learners were encouraged to use online media to carry out projects and submit presentations for the campus forest. Learners' educational effects were subsequently investigated through a five-point Likert scale. This study discovere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motivation and interest (4.17) through e-PBL. Learners responded that e-PBL also helped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the subject (4.17).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the e-PBL method was helpful in problem-solving (4.25), communication (4.33), and decision-making skills (4.21). According to learners' responses, there are positive indications that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e-PBL. Learners responded that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with team members coul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Hence, there is scope for improving an efficient and successful e-PBL model suitable for university forest education by providing more efficient instructional time management, e-PBL method guidelines, and institutional support.",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산림교육 발전을 목적으로 S 대학교 산림과학과 4학년 \"도시림관리학 및 실습\" 전공과목에 e-PBL (e-Project-based learning) 학습법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학사 운영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온라인 매체를 주로 활용하여 학교숲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결과물을 발표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e-PBL 학습법은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주제를 직접 선정하고 수행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책임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학습자들의 e-PBL 학습성과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학습자들은 e-PBL 학습법을 통해 동기부여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4.17점),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4.17점). 또한, 학습자들은 의사소통능력(4.33점), 문제해결능력(4.25점), 의사결정능력(4.21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응답하는 등 전반적으로 e-PBL 학습법에 대해 만족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은 팀원들과 밀접한 의사소통과 상호협력이 문제 및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산림교육에 적합한 e-PBL 학습모델을 개발이 필요하며, 효율적 수업시간의 운영과 e-PBL 학습법 지침 및 제도적 지원이 마련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산림교육의 발전을 기대한다."} {"id": "JAKO20212046187188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871884.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ffricates produced by dysarthric speakers with cerebral palsy.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are the consonants that are prone to errors in dysarthric speech, bu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fricatives. For this study, three affricates /tɕ, tɕ , ͈tɕ/ appearing at word initial and intervocalic positions produced by six mild-moderate male speakers of spastic dysarthria are selected from a QOLT database constructed in 2014. The parameters represent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ffricates were extracted by using Praat: frication duration, closure duration, center of gravity, variance, skewness, kurtosis, and central mo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rication duration of the intervocalic affricates produced by dysarthric speaker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he non-disordered speakers; 2) the closure duration of dysarthric speakers was significantly longer; 3) in the case of the center of gra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4) the skewness of the dysarthric speakers was significantly larger; and 5) the central moment of dysarthric speakers was significantly larg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ricates produced by dysarthric speakers and differences with non-disordered speakers.", "abstract": "본 연구는 경직형 경도-중등도 뇌성마비 마비말장애 성인이 산출한 한국어 파찰음의 음향학적인 특징을 분석한다. 한국어의 마찰음과 파찰음은 조음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자음인데, 기존 연구들은 마찰음에만 집중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비말장애 화자가 산출한 파찰음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QoLT_SPEECH_2014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파찰음 /tɕ, tɕ , ͈tɕ/이 어두 초성 및 어중 초성에 위치하는 단어를 선정하여 경도-중등도 경직형 장애 남성 화자 6명과 비장애 남성 화자 5명의 발화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한국어의 파찰음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찰음의 음향학적 특징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찰구간의 길이, 묵음 구간의 길이,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 중심적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중 초성 파찰음에서 마비말장애인이 유의하게 긴 마찰구간의 길이를 보였다, 2) 마비말장애인이 유의하게 긴 묵음 구간의 길이를 보였다, 3) 무게중심의 경우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4) 마비말장애인이 유의하게 큰 왜도 값을 보였다, 5) 마비말장애인이 유의하게 큰 중심적률 값을 보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인이 산출한 파찰음의 특성을 분석하고, 비장애인이 산출한 파찰음과의 차이를 밝혔다."} {"id": "JAKO20212046187388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461873885.pdf", "abstract_en":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automatic severity classification of dysarthric speakers based on speech intelligibility. Speech intelligibility is a complex measure that is affected by the features of multiple speech dimensions.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are restricted to using features from a single speech dimension. To effectively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disorder, we extracted features of multiple speech dimensions: voice quality, prosody, and pronunciation. Voice quality consists of jitter, shimmer, Harmonic to Noise Ratio (HNR), number of voice breaks, and degree of voice breaks. Prosody includes speech rate (total duration, speech duration, speaking rate, articulation rate), pitch (F0 mean/std/min/max/med/25quartile/75 quartile), and rhythm (%V, deltas, Varcos, rPVIs, nPVIs). Pronunciation contains Percentage of Correct Phonemes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Vowels/Total phonemes) and degree of vowel distortion (Vowel Space Area, Formant Centralized Ratio, Vowel Articulatory Index, F2-Ratio).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various feature combina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using features from all three speech dimensions gives the best result, with a 80.15 F1-score, compared to using features from just one or two speech dimensions. The result implies voice quality, prosody, and pronunciation features should all be considered in automatic severity classification of dysarthria.", "abstract": "본 논문은 말 명료도 기준의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 문제에 초점을 둔다. 말 명료도는 호흡, 발성, 공명, 조음, 운율 등 다양한 말 기능 특징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한 개의 말 기능 특징만을 중증도 자동분류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장애 특성을 효과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에서 음질, 운율, 발음의 다양한 말 기능 특징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음질은 jitter, shimmer, HNR, voice breaks 개수, voice breaks 정도로 구성된다. 운율은 발화 속도(전체 길이, 말 길이, 말 속도, 조음 속도), 음높이(F0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중간값, 25 사분위값, 75 사분위값), 그리고 리듬(% V, deltas, Varcos, rPVIs, nPVIs)을 포함한다. 발음에는 음소 정확도(자음 정확도, 모음 정확도, 전체 음소 정확도)와 모음 왜곡도[VSA(vowel space area), FCR (formant centralized ratio), VAI(vowel articulatory index), F2 비율]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특징 조합을 사용하여 중증도 자동 분류를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음질, 운율, 발음 특징 세 가지 말 기능 특징 모두를 분류에 사용했을 때 F1-score 80.15%로 가장 높은 성능이 나타났다. 이는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에는 음질, 운율, 발음 특징이 모두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id": "JAKO20212226082908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260829088.pdf", "abstract_en":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water supply plan using sustainable groundwater to resolve water shortage problem caused by drought due to climate change and artificial aquifer recharge has recently emerged as an alternative. This study deals with recharge potential assessment for artificial recharge system and quantitative assessment for securing stable water and efficient agricultural water supply adapt to drought finding optimal operating condition by numerical modeling to reflect recharge scenarios considering climate condition, target water intake, injection rate, and injection duration. In order to assess recharge potential of injection well,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to predict groundwater level changes in injection and observation well respect to injection scenarios (Case 1~4) for a given total injection rate (10,000 m ). The results indicate that groundwater levels for each case are maintained for 25~42 days and optimal injection rate is 50 m /day for Case 3 resulted in groundwater level rise less than 1 m below surfa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fluential area of groundwater level rise due to injection was estimated at 113.5 m and groundwater storage and elapsed time were respectively increased by 6 times and 4 times after installation of low permeable barrier. The proposed assessment method can be contributed to sustainable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stable water security for drought adaptation.", "abstract":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발생으로 국지적인 물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안정적인 지하수를 활용한 물공급 방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 및 목표취수량, 함양정의 주입량, 주입기간 등을 고려한 함양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수치모델링을 통해 인공함양-취수 시스템의 함양능력 평가와 최적 운영조건을 도출하여 가뭄발생에 대비한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공급과 안정적인 용수확보를 위한 정량적인 평가기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함양정의 함양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물수지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목표취수량을 고려한 총 주입량 10,000 ton의 조건하에서 주입 시나리오별(Case 1~4)로 주입정 및 관측정별 지하수위 변화를 모사한 결과 주입 후 유역 내 지하수위는 약 25~42일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Case 3의 경우 지표하 1 m 미만으로 지하수위가 상승하여 적정 주입량은 50 m /day가 적절한 것으로 모사되었으며 함양수 주입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영향범위는 113.5 m로 예측되었다. 또한 함양 시나리오에 따른 하류부 저투수성 벽체(LPB) 설치 전후의 유역내 함양능력 변화는 설치 전 대비 지하수 저류량은 약 6배가량 증가하였고 지하수 체류시간은 약 4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모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가뭄대응을 위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및 지속적인 수자원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22260834089",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260834089.pdf", "abstract_en": "In the era of the global coronal 19 pandemic, there is a risk of cross-infection in hospitals at the stage where treatments and vaccine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marketed, so individuals should enhance their acquired immunity and generalize their living systems by the performance of copper ions in the social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n, the need for anti-bacterial film and its efficacy were analyzed through anti-viral performance tests based on research and development cases of worldwide and immemorial time. he Korea Construction Research Institute (KCL) has received anti-bacterial performance certification and anti-viral test scores from the \"National Approval Performance Certification Agency.\" At the time, NCCP 43326 Human Corona virus (BetaCoV/Korea/KCDC03/2020), which was approved by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as introduced to ensure that the activity rate of infected cells was satisfied in the anti-viral performance test. Anti-proliferation measures for the Corona 19 virus require a quality clinical trial study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 within the glass space where the antiviral copper film is constructed with the comparator of the same condition without copper film.", "abstract": "세계적인 코로나19 대유행의 시대에, 현재 치료제·백신이 개발, 시판 중인 단계에서 병원내 교차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상황이므로, 개인적으로는 후천적인 면역력을 제고하고 사회환경적으로 구리이온의 성능에 의한 생활방역체제를 일반화해야 한다. 감염확산방지를 위해 동서고금의 연구개발사례를 근거로 항균동 필름의 필요성 및 항바이러스 성능실험을 통해 효능성을 분석했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서 항균성능인증 및 \"국가승인 성능인증기관\"에서 항바이러스 시험성적 인증을 받게 되었다. 당시 질병관리본부의 허가를 받은 실험재료인 NCCP 43326 Human corona virus(BetaCoV/Korea/KCDC03/2020)을 분양받아 생물안전기준에 맞게 생체외 실험실에서 In Vitro시험 결과, 항바이러스 성능시험에서 감염된 세포의 활성제거율이 만족할만한 결과를 도출하고 성능을 인증받게 되었다. 항후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방지대책으로 항바이러스 동필름이 시공된 유리창 공간내에서의 실험군과 항균동필름이 없는 동일조건의 대조군을 비교하는 질(質)적인 임상실험연구가 추가 필요하다."} {"id": "JAKO20212226082408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260824087.pdf", "abstract_en": "Recently,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power generation facility using renewable energy has newly appeared. Hydropower plant is a very important source of electricity generation and supply which is very important to secure safety because it is commonly connected with multi facility and operated on a large scale. In this study, a scenario-based analysis method was suggested to assess vulnerability of a penstock system caused by water hammer commonly occurred in the operation of hydropower plants. A hypothetical hydropower plant was used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a transient analysis model.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model, the prediction of pressure behavior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mmercial model (SIMSEN) and measured data, then a real hydroelectric power plant was applied to develop all potential water hammer scenarios during the actual operation. The scenario-based simulation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water hammer in the penstock system were perform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load conditions.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vulnerability of a penstock system was varied with the operating conditions of hydropower facilities and significantly affected by load combination consisting of different load scenarios. The proposed numerical method could be an useful tool for the vulnerabilityty assessment of the hydropower plants due to water hammer.", "abstract": "최근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발전시설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수력발전소는 매우 중요한 전력생산 및 공급원이다. 수력발전소는 일반적으로 대규모로 운용되고 다중 시설이 연계되어 있어 안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력플랜트 설비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나리오 기반의 수충격에 따른 수압관로의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자체 개발한 수충격 해석모델(TRANSHAM)과 기존 상용모델(SIMSEN)의 모의결과 및 모니터링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해석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실제 운영중인 수력플랜트에 적용하여 발전설비 운영 중에 발생 가능한 수충격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나리오 기반의 수압관로의 수충격 해석 및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내·외부 로딩조건을 고려한 시나리오별 모의 결과, 발전설비 운영에 따라 수압관로의 취약성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내·외부 로딩조건의 조합에 따라 수압관로의 취약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나리오 기반의 해석기법은 향후 수충격에 따른 발전설비의 취약성을 평가하는데 정량적인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2226082708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260827087.pdf", "abstract_en": "A corrugated pipe is widely used in firefighting equipment and sprinkler pipes because of its elasticity, which is less damaged by deformation and convenient facilities. However, the corrugated shape of the wall results in complex internal turbulent flow,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pressure drop, which is an important design factor for pipe flow. The pressure drop in the corrugated tube is a function of the shape factors of the pipe wall, such as groove height, length, and pitch. Existing studies have only shown a study of pressure drop due to length changes in the case of D-shaped tubes with less than 5 pitch (P) and height (K) of the rectangular grooves in the tube. In this work, we conduct a numerical study of pressure drop for P/Ks with length and height changes of 2.8, 3.5 and 4.67 with Re Numbers of 55,000, 70,000 and 85,000. The pressure drop in the corrugated tube was interpreted to decrease with smaller P/K. We show that the pressure drop is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groove aspect ratio, and the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groove increases the recirculation area, and the larger the Reynolds number, the greater the pressure drop.", "abstract": "주름관은 자체의 신축성으로 변형에 의한 파손에 대응하고 설비의 편리성으로 인해 소방장비, 스프링클러 배관 등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벽의 주름진 형상으로 인해 복잡한 내부 난류유동이 발생하게 되며, 파이프 유동에 중요한 설계인자인 압력강하의 예측이 어렵다. 주름관 내의 압력강하에는 그루브 높이, 길이, 피치 등 파이프 벽의 형상 인자가 영향을 준다. 기존의 연구에는 관 내의 사각형 그루브의 피치(P)와 높이(K)의 비가 5 보다 작은 D형관의 경우에 대하여 길이 변화에 따른 압력 강하에 관하여 연구한 사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길이와 높이 변화를 고려한 P/K가 2.8, 3.5, 4.67의 경우 유동의 Re 수가 55,000, 70,000, 85,000인 경우에 대해 압력강하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고, 주름관 내의 압력강하는 P/K 가 작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압력 강하가 그루브 가로 세로 비율의 변화에 영향을 받고, 그루브 높이가 증가하면 재순환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레이놀즈 수가 클수록 압력 강하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id": "JAKO202118350371370", "publication_date": "2021.06.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350371370.pdf", "abstract_en": "During titration, several chemical reactions result in changes not only in the potential of chemicals, but also in the colors of the indicator. In a potentiometric titration, a titration curve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abrupt change in the potential at the endpoint. Generally, acid-base titration is performed by observing the color change caused by an indicator to determine the endpoint.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endpoint by measuring the potential difference has been well established and commercialized; however, the devices that can obtain the endpoint by observing the color change are limited. Consequently, in this study, a simple and precise spectral endpoint detector was manufactured using a drop-counter comprising an infrared emitter and a phototransistor, a white light LED as the light source and photodetecto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rduino). Spectrator, a new named, showed excellent results in terms of the reproducibility of acid-base titration using thymol blue as an indicator. Herein, we present the results of the Spectrator-manufacturing process as well as the experimental results.", "abstract": "적정 화학반응에는 화학종의 전위차 변화뿐만 아니라 지시약의 색깔 변화도 포함된다. 전위차 적정에서는 종말점에서 전위의 급격한 변화를 측정하여 적정 곡선을 얻는다. 산-염기 적정은 일반적으로 지시약의 색 변화를 관찰하여 종말점을 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전위차를 측정하여 종말점을 결정하는 방법은 잘 확립 되어 상용화되어 있지만 색의 변화를 관찰하여 종말점을 얻는 장치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적외선 광원과 감지기로 적정액 방울을 계수하고, 백색광원과 광 검출기로 종말점의 변색을 감지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인 아두이노 (Arduino)가 적용된 간단하고 정밀한 스펙트럼 종말점 검출 기구를 제작하였다. Spectrator는 지시약으로 티몰 블루를 사용한 산-염기 적정에서 재현성 측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Spectrator 제작 과정과 이를 사용한 실험결과를 공유한다."} {"id": "JAKO202118350355365", "publication_date": "2021.06.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350355365.pdf", "abstract_en": "A mixture of polyvinylpyrrolidone and 1,2-indanedione (PVP-IND) is known to be the best reagent for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a thermal paper. However, no study has evaluated whether PVP-IND could enhance fingerprints in blood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rmal pape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bility of PVP-IND to enhance the fingerprints in blood was investigated. Furthermore, aqueous amido black solution, which is known to be the best reagent for enhancing fingerprints in blood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rmal paper, was used for comparison with PVP-IND. Therefore, while enhancing the fingerprints in diluted blood, PVP-IND enhanced the quality of fingerprints compared to aqueous amido black solution. The ridge diffused when the undiluted fingerprints in blood were enhanced with PVP-IND because PVP reacted with amino acids in blood; however, amido black solution yielded better results. When treated with PVP-IND, it is presumed that the ridge diffused due to the reaction of PVP and amino acids contained in the blood.", "abstract":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PVP-IND)은 감열지에 부착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데 가장 좋은 시약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P-IND가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PVP-IND의 혈흔지문 증강 능력을 연구하였다. 비교 대상으로는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amido black 수용액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물에 희석된 혈액이 묻은 손가락으로 만든 혈흔지문을 증강할 경우에는 PVP-IND가 amido black 수용액보다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반면 희석되지 않은 혈흔지문을 PVP-IND로 처리하면 융선이 번져 나타나서 amido black 수용액의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PVP-IND로 처리했을 때 융선이 번져서 나타나는 것은 PVP와 혈액에 포함된 amino acid가 반응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id": "JAKO202117457520187",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20187.pdf", "abstract_en":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s represented via various forms of outcomes, such as written response and verbal expression, and teachers could infer and respond to their mathematical thinking by using them. This study analyzed 39 elementary teachers' competency to notice students' problem-solving strategies containing mathematical errors in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uncommon denominators problems. Participants were provided three types of students' problem-solving strategies with regard to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s and asked to identify and interpret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errors represented in their artifacts. Moreov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ign additional questions and problems to correct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teachers' noticing competency was the highest on identifying, followed by interpreting and responding. Second, responding c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eachers' intentions and the types of problem, and it tended to focus on certain types of responding. For example, in giving questions responding type, checking the hypothesized error took the largest proportion, followed by checking the student's prior knowledge. Moreover, in posing problems responding type, posing problems related to student's prior knowledge with simple computation took the largest propor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noticing research on students' artifacts.", "abstract": "학생의 수학적 사고는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로 나타나며, 교사는 이를 통해 학생의 수학적 사고를 추론하고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중심으로 오류가 포함된 문제해결전략에 대한 39명의 현직 초등교사의 노티싱 역량을 분석하였다. 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의 노티싱 역량은 식별하기, 해석하기, 반응하기 순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반응하기는 교사의 의도와 문제 유형에 따라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 노티싱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id": "JAKO202117457537194",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37194.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ed the Item Feature Analysis (IFA) frameworks for curriculum-based assessments, focusing on Math competency and representation in secondary schools and implemented the IFA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conduct the study,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nd feasibility studies were conducted twic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structured the IFA framework based o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developed a metho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 items. The results of structuring the framework for math included two categories: math competency in the content aspects, and representation type in the formal aspects. Specifically, 12 features of math competency and 8 features of representation type were identified, and an item feature analysis framework composed of these features was developed. The math competency was developed based on the subject competency of 2015 national curriculum. Math assessments in high schools, which have been changed to the competency-based assessments, had more frequency of the feature of math competency compared to middle schools. In this study, implemented the IFA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explored the way of ensuring the validity. These have been proved as critical applications for ensuring the validity of curriculum-based student assessment as well as building a tool for assessmen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을 출제할 때 핵심적으로 고려되는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을 규명하고, 수학과 평가 문항에서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이 나타나는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선행 연구 분석 및 2차에 걸친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의 특성으로 수학 역량 범주는 12가지, 표현 형식 범주는 8가지를 추출하고, 이 특성들로 구성된 문항 특성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또한 문항 특성 분석틀을 활용하여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분석한 결과, 중 고등학교의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에 대한 출제 경향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id": "JAKO202117457528191",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28191.pdf", "abstract_en": "Recently,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Korea, and this trend creates a need to understand how successfull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hieve their mathematics learning.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 changes in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of these students over time, we conducted in this study a latent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majority (92%)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a decrease i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 over time as their grade level goes up. It was found, in particular, that female students are likely to have lower initial achievements and rapid decline over time more than male students and that the decline over time was more severe for female student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vey several implications on the how to support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different from the outcomes of previous studies that presented the income of the household and the education level of the students' parents as major factors that determin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urthermore, the study indicates the need for more research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the mathematical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need to use these research findings to develop public support plans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학생들의 수학학업성취도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성장혼합모형의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수의 다문화 학생들이 학년이 높아갈수록 성취도가 하향하고 있음과 성취도의 변화가 부모의 소득수준이나 교육수준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초기 성취도가 낮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교육적 차원에서의 다문화 학생지원을 강화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id": "JAKO202117457516186",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16186.pdf", "abstract_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an imperative mean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the key idea that meets the needs of both present and succeeding generations by reconciling environmental protection, so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question. First, what i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ESD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s? Second, How are the sub-contents of ESD distributed in the textbooks? Lastly, How are the ESD contents connected to mathematics in the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in the elemt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1 to 6 grades were analyzed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results,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dimensions were presented from the first grade. The contents were involved the mathematics content domains of Numbers and Operations, Data and Possibilities, and Patterns. However, the contents were presented intensively in middle and high grades, and environmental topics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Among the activities related to ESD, many were focused on solving problems mathematically while some were presented to solve problems as well as to consider sustainability through th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abstract": "지속가능발전 교육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한 발달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의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용을 혼합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내용의 관련 차원 및 수학 내용 영역, 수학과의 연결성 등을 양적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관련된 하위 내용 및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시되는지를 질적 연구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는 지속가능발전의 세 가지 큰 축인 환경, 사회, 경제 차원에 관한 내용이 여러 학년에 걸쳐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환경 차원과 관련하여 자연 자원, 에너지, 기후 변화 등의 하위 내용이, 사회 차원과 관련하여 평화와 안전, 문화 다양성, 건강 관리 및 증진의 하위 내용이, 경제 차원과 관련하여 지속가능한 생산, 빈부 격차 완화의 하위 내용에 관한 활동이 제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활동에서 지속가능발전은 문제 해결의 맥락으로 대부분 제시되고 있으며 일부 활동에서는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을 고려해보게 하는 하위 활동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d": "JAKO20211724233191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242331913.pdf", "abstract_en": "End-member (EM) analysis of grain-size distribution data for detrital fractions of IODP Site U1430 core sediments from the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identified 4 EMs grain-size populations (EM) which represent either Asian dusts (Hwangsa) or volcanic ashes. The two EMs representing volcanic ashes consist of fine and coarse glass shards with various morphologies and constitute 0-82% of the total grain-size distributions. The 33% mixing percentage of volcanic ash EMs seems appropriate for a cut-off value for discrimination of grain-size data influenced by volcanic ash input from those dominated by Hwangsa.", "abstract": "동해 남한국대지 IODP Site U1430 시추 퇴적물 쇄설성 성분의 입도 자료에 대한 구성 성분 분해 결과 황사 입자와 화산재 입자를 대표하는 4개 구성 입도 집단이 구별되었다. 이 중 화산재 입자를 대표하는 2개 구성 입도 집단은 다양한 형태의 세립 및 조립 유리질 샤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입도 분포에서 0-82% 범위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분석된 입도 자료 중 화산재 유입 영향을 받은 자료를 제거하고 황사 입경 변화의 경향을 추출하기 위한 기준으로 화산재 구성 입도 집단 비율 33%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7242325909",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242325909.pdf", "abstract_en": "Since terrestrial input plays a major role in coastal primary production, an understanding of land-ocean coupling (LOC) is key to understand coastal ecological changes. In this study, the LOC has been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i.e., the baseflow, plume event and residual flow). In order to characterize its pattern in Nakdong River estuary, multi-platform data were obtained from remote sensing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 (GOCI)), in-situ measurement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MEIS)), on-site measurement (discharge data and meteorological data). The MEIS data were grouped into three stages of LOC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the LOC (2013 ~ 2018) was examined at each stage using multi-platform dat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maximum value of chlorophyll-a (chl-a) was unexpectedly appeared during the plume event. It is assu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urbidity, expected during the typical plume event, together with the weak flushing effect, caused the enhanced phytoplankton growth. Compared with other estuaries, LOC is common in estuaries affected by freshwater inflow, but LOC has different patter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lume. While estuaries that form small plumes of about 10 km (low freshwater discharge and weak flushing effect) observed high chl-a in the plume event because the phytoplankton can response to the increased nutrient more rapidly. estuaries that form large plumes of more than 100 km est (high freshwater discharge and strong flushing effect) follow the typical LOC pattern conceptualized in this study (high chl-a in the residual flow).", "abstract": "담수를 통해 유입되는 육상 기원 물질은 연안 일차 생산을 제어하는 주요 요소이므로 육상-해양 coupling을 파악하는 것은 연안 생태 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육상-해양 coupling 양상을 시간에 따라 세 단계(Base flow, Plume event, Residual flow)로 구분하여 개념화하였고, 낙동강 하구에서 각 양상의 출현을 확인하기위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측정된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원격 탐사 측정 자료(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 GOCI), 현장 실측 자료(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MEIS), 연속 측정 자료(유량 자료, 기상 자료)로 구분될 수 있다. 주성분분석을 통해 MEIS 자료를 육상-해양 coupling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고, 이 구분을 2013-2018년 동안의 여타 자료에 적용하여 단기간 육상-해양 coupling 양상을 살펴보았다. 낙동강 하구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Plume event때 Chlorophyll-a (Chl-a) 최대값이 나타났다. 이는 담수 증가에도 탁도 증가는 크지 않았고, 플러싱 효과도 약해 식물플랑크톤이 증가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육상-해양 coupling을 기반으로 여러 하구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육상-해양 coupling은 담수 유입에 영향을 받는 하구에서 흔한 현상이나 하구에서 형성되는 플룸 크기에 따라 육상-해양 coupling이 다르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처럼 작은 플룸(~10 km 규모) 이 형성되는 하구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인해 Plume event 단계에 Chl-a 최댓값이 나타나는 반면, ~100 km 이상의 큰 플룸이 형성되는 하구(담수 배출이 크고, 플러싱이 강한 곳)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념화한 육상-해양 coupling 양상(Residual flow 때 Chl-a 최대)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7242343920",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242343920.pdf", "abstract_en": "For several decades, sediment traps have served as one of the key tools for constraining the biological carbon pump (BCP), a process that vertically exports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nd associated biogenic materials from marine primary production in surface waters to the deep ocean interior. In this paper, I introduced the general methods, the current status of global sediment trap studies, and importance of it to understand the deep ocean carbon cycling. Recent studies suggest that sinking POC in the deep ocean are more complex and spatio-temporally heterogeneous than we considered. Especially researches those studied resuspended and laterally transported particles are presented. Researches that used organic (radiocarbon; C) and inorganic (Al) tracers to understand the oceanic POC cycling and the significance of resuspended particles are reviewed, and the importance of radiocarbon study by using MICADAS (Mini radioCarbon Dating Systems) is emphasized.", "abstract": "지난 수십년 간 퇴적물 트랩은 해양 유기물과 관련된 생물학적 입자들의 수직적 이동인 생물학적 탄소 펌프(BCP: Biological Carbon Pump)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도구들 중 하나로 사용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퇴적물 트랩을 이용한 해양 심층의 탄소 순환 연구 방법과 여러 해역에서의 연구 현황, 그리고 그 중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편 최근의 연구 중 몇몇은 심층으로 이동된 침강 입자유기탄소(POC: Particulate Organic Carbon)가 이전에 알려졌던 것 보다 더 복잡한 형태이고,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기원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침강 입자 중 재부유 퇴적물에 관해 연구한 최신 논문들을 정리하였다. 유기 추적자로 사용한 방사성탄소동위원소( C)와 무기적 추적자(Al)를 해양 입자유기탄소 순환을 이해하고 재부유 퇴적물의 중요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기술하였으며, 특히MICADAS (Mini radioCarbon Dating Systems)를 이용한 방사성탄소동위원소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id": "JAKO202117242322908",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242322908.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ide-induced flow patterns near the ocean outfall of the Jeju and Bomok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TP) in Jeju Island by using measurements of Acoustic Doppler Current Meter (ADCP) and a numerical experiment with inserting passive tracer into a regional ocean model. In late spring of 2018, the ADCP measurements showed that tidal currents dominate the flow patterns as compared to the non-tidal components in the outfall regions. According to harmonic analysis, the dominant type of tides is mixed of diurnal and semi-diurnal but predominantly semidiurnal, showing stronger oscillations in the Jeju WTP than those in the Bomok WTP. The tidal currents oscillate parallel to the isobath in both regions, but the rotating direction is different each other: an anti-clockwise direction in the Jeju WTP and a clockwise in the Bomok WTP. Of particular interest is the finding that the residual current mainly flows toward the coastline across the isobath, especially at the outfall of the Bomok WTP. Our model successfully captures the features of tidal currents observed near the outfall in both regions and indicates possibly high persistent pollutant accumulation along the coasts of Bomok.",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2018년 늦은 봄철을 대상으로, 제주도내 위치한 제주와 보목 하수처리장의 해양방류구 주변 해역의 하수처리 방류수의 이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층 유향·유속계 (Acoustic Doppler Current Meter; ADCP)와 지역규모 해양 수치모델의 가상 추적자 실험을 활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ADCP관측 결과에 의하면 두 하수처리장 모두 방류구 인근 해역의 해수 유동은 비조석 성분 보다 조석 성분이 컸고, 조류는 등수심선과 평행한 방향의 왕복성 운동이 지배적이었다. 조화 분석결과는 제주와 보목 하수처리장 해역 모두 반일주기 유속 성분이 우세한 혼합형 조석특성이 지배적이지만, 보목 하수처리장 주변의 유속 세기가 제주 하수처리장 유속의 50% 정도로 느리고, 조류의 회전성이 제주는 시계 방향, 보목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보목 하수처리장 방류구 주변해역은 상대적으로 느린 유속과 더불어 잔차류가 등수심선을 가로질러 연안으로 향하기 때문에 해안을 따라 오염물질이 집적되는데 유리한 환경이다. 고해상도 수치실험은 유속·유향 현장 관측 결과와 유사한 해수 유동 특성을 잘 모의하였으며, 오염물질의 이동확산을 파악하기 위한 추적자 실험을 통하여 잔차성분이 연안을 향하는 보목 하수처리장 연안에서 오염물질 잔류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늦은 봄철에 보목 하수처리장 인근 해역이 상대적으로 약한 조류와 연안을 향하는 잔차성분의 영향으로 하수처리 방류수에 의한 연안 오염 가능성이 높은 환경임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퇴적유기물 조사에서도 보목하수처리장 인근 연안은 중간오염 단계를 보임으로써 조석 잔자류에 의한 연안 오염물질 축적과 그에 따른 연안환경오염의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id": "JAKO202123261941186",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61941186.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knowledge base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he design of a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 knowledge service for a real-time sensor information fusion detection system and symptoms of contact with chemical substances in industrial sites. The information on 499 chemical substances contact symptoms from the Wireless Information System for Emergency Responders(WISER) program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 in the United States was used as a reference. AllegroGraph 7.0.1 was used, input triples are Cas No., Synonyms, Symptom, SMILES, InChl, and Formula. As a result of establishing the knowledge base, it was confirmed that 39 symptoms based on ammonia (CAS No: 7664-41-7)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WISER program. Through this, a method of establishing was proposed knowledge base for the symptom extraction process of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ystem.",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산업현장 화학물질 인체 접촉 증상 기반 지식베이스 구축 및 화학물질 추정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이다. 미국NIH에서 제공하는 WISER 프로그램의 499개의 화학물질 접촉 증상 정보로 활용하였다. 지식베이스 구축을 위해 AllegroGraph 7.0.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입력된 Chemical structure로 Triple 값인 Cas No., Synonyms, Symptom, SMILES, InChl, Formula를 사용 하였다. 또한 작업자의 증상을 안내하는 방법은 AI 스피커를 활용한 방식이 가능하며 지식베이스 구축 결과 암모니아(CAS No: 7664-41-7)를 기준으로 39개의 증상이 WISER 프로그램과 동일함을 확인 하였다. 이를 통해 화학물질 추정 시스템의 증상 추출 과정에 지식베이스 구축이 가능하였다."} {"id": "JAKO20211765144198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651441982.pdf", "abstract_en": "Hydrangea petiolaris, belonging to the family Hydrangeaceae, is a vine plant distributed in Ulleung, Jeju, and other southern islands of Korea. In October 2017, a rust fungus was discovered on H. petiolaris in Jeju Island, Korea. To identify the rust fungus, we performed a morphological examination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28S large subunit rDNA sequences. As a result,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Pucciniastrum hydrangeae-petiolaris, consistent with previous reports from Japan and Russia, but showed a significant phylogenetic distance from Pucciniastrum hydrangeae reported on Hydrangeae spp. in North America.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hydrangeae-petiolaris on H. petiolaris in Korea.", "abstract": "등수국은 수국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우리나라의 울릉도, 제주도, 남해안 섬에 분포한다. 2017년 10월 제주도에서 등수국에 발생하는 녹병균을 국내 최초로 발견하였다. 등수국 녹병균을 동정하기 위해,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28S large subunit (LSU) rDNA의 염기서열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등수국 녹병균은 일본과 러시아에서 보고된 Pucciniastrum hydrangeae-petiolaris의 형태적 및 분자계통학적 특징과 일치하였으며, 북미에서 보고된 P. hydrangeae와는 상당히 먼 계통학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등수국에서 녹병균 P. hydrangeae-petiolaris의 첫 보고이다."} {"id": "JAKO20211605706710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57067100.pdf", "abstract_e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IT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the usage of internet increased rapidly and various smart devices are appearing. As such, modern people use smartphone to acquire informations they wish and also on daily life including leisure activity free of place. This study has designed and implemented schedule managing application that can help effective managing of our daily life, such as taking note of schedule and sharing appointments. The schedule managing application in this study offers diary taking, sharing the registrated schedule with other users on kakaotalk, saving the deleted schedule or diary to certain folder when users delete file, continuous alarm of daily schedule function together with schedule registration function. The application which is differentiated to other applications and raised usage is expected to effectively manage the busy everyday life.", "abstract": "IT기술과 정보처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 사용량이 급증하고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출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정보 획득, 여가활동과 같은 일상생활에 스마트 폰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정을 기록하고 약속을 공유하는 등 일상생활의 효과적 관리에 도움이 되는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일정등록과 함께 일기작성 기능, 등록한 일정을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기능, 삭제 시 특정 폴더로 삭제한 일정이나 일기를 저장하는 기능, 하루 일정에 대한 연속적인 알림 기능 등을 제공한다. 다른 일정관리 앱들과 차별점을 가지며 사용성을 높인 본 논문의 어플리케이션은 바쁜 일상생활의 효율적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id": "JAKO20211605694002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56940023.pdf", "abstract_en": "Three degrees of freedom plus(3DoF+) and six degrees of freedom(6DoF) system, which supports a user's movements in graphical and natural scene-based virtual reality, requires multiple high-quality and high-resolution videos to provide immersive media. Previous video quality assessment methods are not appropriate for the 3DoF+ and 6DoF system assessment because different types of artifacts occur in these systems which are not shown in the traditional video compression. This paper provides the performance assessments of several quality assessment methods in 3DoF+ system. Furthermore, this paper presents a super metric, which combines multiple quality assessment methods, thereby it showed a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ubjective quality assessment than the previous methods. Experimental results on 3DoF+ immersive video showed 0.4513 gain on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ubjective quality assessment compared to that of peak signal-to-noise ratio(PSNR).", "abstract": "가상 현실 공간에서 실사 영상 및 그래픽 환경에 대해 사용자 움직임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three degrees of freedom plus(3DoF+) 및 six degrees of freedom(6DoF) 시스템은 실감형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동시에 취득된 다수의 초고화질 및 고해상도의 영상 집합 전송을 요구한다. 다수의 영상들을 사용해 사용자 시점 영상을 생성할 때, 기존의 영상 압축 코덱에서 발생했던 것과는 다른 형태의 품질 저하가 발생하여 기존의 영상 품질 평가 기법들은 3DoF+ 및 6DoF 시스템 평가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은 3DoF+ 환경에서 합성된 사용자 시점 영상에 대한 다양한 객관적 영상 품질 평가 기법에 대한 성능 평가를 소개한다. 또한, 기존의 객관적 영상 품질 평가 기법을 조합하여 주관적인 평가와 상관관계를 더욱 높인 평가 기법인 슈퍼 메트릭(super metric)을 제시한다. 3DoF+ 몰입형 비디오 평가 시 제안한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 주관적 평가 점수와의 상관관계에서 peak signal-to-noise ratio(PSNR) 대비 0.4513의 상승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605701506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57015068.pdf", "abstract_en": "Software-defined networking provides a programmable and flexible way to manage the network by separating the control plane from data plane. However, the limited switch memory restricts the number of flow entries in the flow table used to forward packets. This leads to flow table overflow and flow entry reinstallation, which severely degrade the network performanc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comprehensive policy for timely eviction of inactive flow entries to optimally maintain flow tables usage. In particular, statistics of user datagram protocol flow entries are periodically sampled to enable the inactive entries to be evicted early. Through traffic-based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proposed system reduces the number of overflow occurrences and flow entries reinstallation compared to the random and FIFO policies.", "abstract":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은 스위치의 데이터 플레인에서 컨트롤 기능을 분리해 프로그램 가능한 네트워크 관리법을 제시하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이다. 하지만 SDN 스위치는 패킷 포워딩에 쓰이는 플로우 테이블의 부족한 용량으로 인해, 플로우 엔트리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플로우 테이블의 오버플로우 등을 야기해 네트워크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본 논문은 비활성화된 플로우를 적시에 방출해 플로우 테이블 사용량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한다. 특히,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플로우 엔트리들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샘플링하여 비활성화된 엔트리들이 조기에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트래픽에 기반한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본 정책이 Random, FIFO 정책과 비교해 오버플로우 및 플로우 재설치 발생 횟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7563221998", "publication_date": "2021.05.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21998.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ic therapists' awareness of the music therapy national certification (MTNC).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usic therapis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and 143 completed survey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7 questions (background information,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MTNC, expected effects of national certification,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music therapists reported that they we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for MTNC.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excessive issueing of private licenses might deteriorate the quality of music therapy services and job opportunities. As alternatives to address private license-related issues,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Given that participants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of MTNC and the MTNC may have both pros and cons, the results should be generalized with caution. Still,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rther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MTNC.",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국가자격증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전국의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143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배경정보 10문항, 음악치료사 국가자격증 필요성 인식 11문항, 기대효과 8문항, 자격관리 7문항, 기타 의견 서술 1문항,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음악치료사 국가자격증에 대해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특히 채용기관 관계자들의 음악치료 인식도가 낮다고 느낄 때 국가자격증의 필요성을 절감한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들은 민간자격증의 남발이 음악치료 전문성 및 서비스의 질을 낮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직업 환경이나 처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국가자격증을 사회적 인식 제고 및 음악치료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본 연구의 참여자가 국가자격증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점과 단일화된 국가자격증으로의 전환이 야기할 수 있는 제한점 등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신중하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국가자격증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id": "JAKO202117563220997", "publication_date": "2021.05.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20997.pdf", "abstract_en": "Given that music is not part of the national/regular curriculum and how music therapy is a new endeavor in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s of the music therapy given to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UA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3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living in Sharjah, UAE. The survey consisted of 43 question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erapy sessions that the participants' children received and the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s music therapy.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report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music therapy provided to their children. In terms of their participation in music therapy sessions, 33.3% of parents co-participated in music therapy sessions with their children, and 45.5% of parents observed their children's sessions. Parents who had direct participation in music therapy session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their children's music therapy (p < .05) and perceived greater positive changes in their children as a result of the therapy (p < .05). Parents perceived their children as being able to positively respond to music, leading to positive changes in behavior. Despite these benefits,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e need for formal opportunities for family members to learn about the applications and outcomes of music therap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s the implementation of music therapy throughout the UAE and point to the need for future studies as music therapy expands across the countr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부모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아랍에미레이트 샤르자에서 음악치료 경험이 있는 장애아를 둔 부모이다. 참여자 모집은 장애아동치료기관의 동의를 획득한 후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시행하여 장애아동 음악치료의 현황, 프로그램 실태, 부모의 참여 경험, 만족도와 기대하는 바에 대한 내용을 수집하였다. 회수된 최종 33개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부모 만족도는 음악치료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부모의 장애아동 음악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자녀의 음악치료 세션에 직접 참여해본 경험이나 관찰 경험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세션 경험이나 관찰 경험이 있는 보호자들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p < .05). 음악치료에 기대하는 것에 대해 부모 대상 음악치료 경험 44.4%에 기대하는 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음악치료 기본지식 36% 등 음악치료에 대한 지식면에서도 학부모들이 도움을 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아동 음악치료에서의 만족도와 기대하는 바를 파악함으로써 수혜아동 부모의 의견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d": "JAKO20212016415148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164151480.pdf", "abstract_en": "As part of effort to develop the strategies of internationalization of social science academic journals in South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journal selection criteria across the group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ers and social science researchers. The authors collected 146 survey responses from researchers who have published at least one paper in SSCI/Scopus-indexed social science journals between 2014 and 2016.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nfigural and partial metric invariance of the journal selection criteria held across the two groups, implying that the model of journal selection criteria is appropriate to use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s well a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dditionall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journal selection criteria indicators in the two groups, and it was shown that researchers in both groups considered peer review and indexing in major databases import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publishers or academic societies to develop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ir journals.",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의 국제화 전략 개발의 일환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학술지 선정요인 모형이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학술지 선정요인에 대한 측정 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사회과학 분야 SSCI 및 Scopus 등재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한 연구자 146명으로부터 설문 응답을 수집하였다. 문헌정보학과 사회과학 연구자 집단 간의 측정 동일성을 분석한 결과, 형태 동일성과 부분 측정단위 동일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집단에 걸쳐 학술지 선정 요인구조가 동일하고, 유사한 요인부하량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부차적으로 집단별로 학술지 선정요인 지표변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동료평가와 주요 색인 데이터베이스 등재 여부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출판사나 학회가 양질의 논문을 투고 받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학술지 품질을 개선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2016415648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164156482.pdf", "abstract_en": "A status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librarians, school librarians and experts were conducted to find a new direction for revitalization of 19 public libraries affiliated to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advent of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research method, the knowledge experience edu library through the library community school was set as the vision of a public library belonging to the Chungnam Office of Education. The direc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 as an edu-library was divided into specialization as an educational library, life cycle customized service, knowledge experience-oriented service,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service. Based on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the library, the space that the future public library should have was presented as an experiential learning space. In this study, a specialized direction for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libraries belonging to the Chungnam Office of Education was presented, which will contribute to finding ways to cooperate with schools and school libraries, and will provide a basis for preparing directions for libraries belonging to other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abstract": "4차산업혁명에 따라 새로운 교육 환경이 도래하는 상황 속에서 충청남도 교육청 소속 19개 공공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현황분석과 사서, 사서교사, 전문가 대상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통해 충청남도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비전으로 도서관 커뮤니티 스쿨을 통한 지식체험 에듀라이브러리를 설정하였다. 에듀라이브러리로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방향을 교육기능 특화 서비스, 생애주기 맞춤 서비스, 지식체험중심서비스, 4차산업혁명 지능정보사회 서비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도서관의 전통적 기능을 바탕으로 미래 공공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공간을 체험학습 공간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충남교육청 소속 도서관의 교육기능을 강화한 특화된 방향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학교 및 학교도서관과 협력 방안 모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타 지역 교육청 소속 도서관의 방향성 마련에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2016415848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0164158483.pdf", "abstract_en": "Public library usage is closely related to the accessibility to library facilities. Therefore, public library planning and development authorities should consider the policies for improving the library accessibility of community, for releasing disparities of the spatial accessibility and for increasing location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strive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and to derive the regions that lack public libraries by identifying main characteristic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identify the blind spot for public library service, analyze the hot and cold spot for the supply of libraries, and identify the vulnerable areas of library based on population density.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and to prioritize sites where public library should be constr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public library services.", "abstract":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 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도서관 건립 시 지역 주민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과 지역 간 격차 완화,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GIS 분석을 통해 부산 지역 내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공급 불균형 지역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산 지역 내 공공도서관 서비스 사각지역을 파악하고, 도서관 공급 양호 및 부족 지역 분석, 인구밀도에 근거한 공공도서관 공급 불균형 지역을 확인하여 도서관 건립을 위한 최우선 고려 지역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 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분포를 이해하고, 향후 공공도서관의 신규 입지 결정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375990969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695.pdf", "abstract_en": "Location-based services (LBSs) are expected to process a large number of spatial queries, such as shortest path and k-nearest neighbor queries that arrive simultaneously at peak periods. Deploying more LBS servers to process these simultaneous spatial queries is a potential solution. However, this significantly increases service operating costs. Recently, batch processing solutions have been proposed to process a set of queries using shareable comput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roblem of batch processing moving k-nearest neighbor (MkNN) queries in dynamic spatial networks, where the travel time of each road segment changes frequently based on the traffic conditions. LBS servers based on one-query-at-a-time processing often fail to process simultaneous MkNN queries because of the significant number of redundant computations. We aim to improve the efficiency algorithmically by processing MkNN queries in batches and reusing sharable computations. Extensive evaluation using real-world roadmaps shows the superiority of our solution compared with state-of-the-art methods.", "abstract": "위치 기반 서비스(LBS)는 가장 바쁜 시간에 동시에 도착하는 최단 경로 및 k-최근접 이웃 질의를 포함한 다양한 공간 질의를 효과적으로 처리한다. 동시에 도착하는 공간 질의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간단한 해결 방법은 LBS 서버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서비스 운영 비용을 많이 증가시킨다. 최근에는 공유 가능한 계산을 사용하여 일련의 질의를 한꺼번에 모아서 처리하는 일괄 처리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 상황에 따라 각 도로 구간의 이동 시간이 빈번하게 변하는 동적 공간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k-최근접 이웃 질의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순차적 질의 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LBS 서버는 중복 계산으로 인해 한꺼번에 요청이 들어오는 움직이는 k-최근접 이웃 질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움직이는 k-최근접 이웃 질의를 한꺼번에 처리하고 공유 가능한 계산을 재사용하여 알고리즘을 효율성을 개선한다. 실제 지도 데이터를 사용한 실험 평가는 최신 방법보다 제안된 방법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id": "JAKO20211375990967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679.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retinal vessel segmentation model for handling multi-scale information of fundus images. we integrate the selective kernel convolution into U-Net-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odel extracts and segment features information with various shapes and sizes of retinal blood vessels, which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diagnosing eye-related diseases from fundus images.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standard convolutions and selective kernel convolutions. While the standard convolutional layer extracts information through the same size kernel size, The selective kernel convolution extracts information from branches with various kernel sizes and combines them by adaptively adjusting them through split-atten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e used the DRIVE and CHASE DB1 datasets and the proposed model showed F1 score of 82.91% and 81.71% on both datasets respectively, confirming that the proposed model is effective in segmenting retinal blood vessel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안저영상의 다중 스케일 정보를 다루기 위한 딥러닝 기반의 망막 혈관 분할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이미지 분할 딥러닝 모델인 U-Net과 선택적 커널 합성곱을 통합한 합성곱 신경망으로 안저영상에서 눈과 관련된 질병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되는 망막 혈관의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분할한다. 제안 모델은 일반적인 합성곱과 선택적 커널 합성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합성곱 층은 같은 크기 커널 크기를 통해 정보를 추출하는 반면, 선택적 커널 합성곱은 다양한 커널 크기를 갖는 브랜치들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할 주의집중을 통해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결합한다. 제안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 안저영상 데이터인 DRIVE와 CHASE DB1 데이터셋을 사용하였으며 제안 모델은 두 데이터셋에 대하여 F1 점수 기준 82.91%, 81.71%의 성능을 보여 망막 혈관 분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75990976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68.pdf", "abstract_en": "Over a decade ago, Krasnova et al. identifi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Facebook users' self-disclosure. These factors include perceived risks, relationship building, relationship maintenance, self-presentation, and enjoyment. Meanwhile, during the past 10 year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erms of function, media, and competition. SNSs have been functionally enhanced, used in mobile environment, and had many competitors. Based on these facts, it is believed that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n self-disclosure is different from those of Krasnova et 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rough a replication study whether the factors adopted in the study of Krasnova et al. are still important in explaining self-exposure. The study empirically find the resul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Krasnova et al.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bstract": "10여년전 Krasnova et al.는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식별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에는 인지된 위험, 관계구축, 관계유지, 자기표현, 즐거움이 포함된다. 한편, 지난 10년여 동안, SNS와 관련된 기능, 매체, 경쟁 측면에서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SNS는 기능적으로 강화되었고,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경쟁자들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변화된 사실들에 비추어 볼 때, 자기노출에 대한 그러한 요인들의 영향은 Krasnova et al.의 연구에서 발견된 영향과 상당히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반복연구를 통해서 Krasnova et al.의 연구에서 채택된 요인들이 자기노출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여전히 중요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데이터 분석결과, 본 연구는 Krasnova et al.의 연구 결과와 상당히 다른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를 위한 의미있는 시사점들을 논의한다."} {"id": "JAKO20211375990974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48.pdf", "abstract_en": "The point of this research is verif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youth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verify predictive variabl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al data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hildren and Youth Policy, 1,972 data from the 3rd, 5th, and 6th data of the first-year middle school panal were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latent growth model, an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and the extent of the increase was large at the point of transition from the 3rd year(3rd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5th year. Second, predicting the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initial values of peer communic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in the rate of change, life-satisfaction, peer communic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This study proposed some plans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in adolescence basing on these results.",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다문화수용성의 예측변인들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자료 가운데 중학교 1학년 패널의 3차, 5차, 6차 1,97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증가의 폭은 3차년(중학교 3학년)에서 5차년으로 넘어가는 시점의 변화의 폭이 컸다. 둘째, 다문화수용성 예측 변인으로 초기치에서는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변화율에서는 삶의 만족도,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375990972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2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st suitable exercise for the elderly women by comparing th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unction fitness after modern dance, aquarobic and combined exercise programs for the elderly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 elderly women in J-do, chosen as MDG(n=13), AEG(n=11), CEG(n=11) and CG(n=12) for participated for 60 minutes/day and three times/wk for 12 weeks. The results of grip strength, chair stand, arm curl, 2 minute step, 244cm up and go was significantly than in the control group. Back scratch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only in the modern dance group and combined exercise group but there was no change in chair sit and reach.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exercises were fou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maintaining and improving fitness for the elderly women. In addition, additional exercise programs are needed to improve flexibility and mobility of joints for the elderly. It is thought that it is important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a movement that suits your interests to make it sustainabl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모던댄스, 아쿠아로빅,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신체조성과 신체기능체력에 대한 변화 비교하여 여성노인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J도에 거주하는 노인여성 47명을 대상으로 MDG(n=13) AEG(n=11), CEG(n=11), CG(n=12)을 무작위로 집단을 모집하여 12주간 주3회 1시간씩 운동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통제그룹에 비해 grip strength, chair stand, arm curl, 2 minute step, 244cm up and go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Back scratch는 MDG와 CEG에서만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Chair sit and reach에서는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운동그룹 중 모던댄스(MDG)가 운동 후 가장 많은 신체기능체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들에게 유연성과 관절의 가동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운동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자신의 흥미에 맞는 운동을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지속성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1375990974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40.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lf-regulation which explain how individual diabetic patients determine their behavior in terms of diabete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diabetic patients. A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a Q method study was used. There were 38 subjects who were treated with oral drugs or insulin injections, but not currently hospitalized. And 40 statements in Q samples were classified in the form of a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point scale. Research results regarding self-regulation in diabetic patients, type 1 is evidence-based compliance, type 2 is crisis responding denial reaction, type 3 is information-based orientation to relationship, type 4 is independent practice, and type 5 is willingness deficit impulse reaction. Therefore, for effective management of diabetic pati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elf-regulation and develop a program that reflects motivation for diabetes management, improvement of confidence, and countermeasures for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diseas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병 문제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개인이 어떻게 행동과정에 대해 결정을 내리는지를 설명하는 자기조절의 인식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고, 이를 근거로 당뇨병 환자의 관리방법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총 40개의 Q-표본과 38명의 P-표본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응답자의 반응은 Q방법론에 기초한 요인분석을 통해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의 특성은 근거기반 순응형(evidence-based compliance), 위기대응 거부반응(crisis responding denial reaction), 정보기반 관계지향형(information-based orientation to relationship), 독립적 실천형(independent practice), 의지결핍 충동반응형(willingness deficit impulse reaction)으로 명명되었다. 5개 유형으로 분류된 응답자의 특성을 자기조절 속성에 따라 포지셔닝 시킴으로써 당뇨병 관리의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id": "JAKO20211375990973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36.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it is a system that informs people who take medication periodically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t is a system that measures the full weight of pills that need to be taken for a week using a weight sensor, and the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ills are taken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reduced pills again when the user takes th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unable to move, it includes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transporting medicine to the user-set location at the time of use using a line tracer based autonomous vehicle. It is also configured to inform users who have not taken the pill through an alarm that includes visual and auditory functions at a specific time to inform them of this. This work attempts to help users take their medication without forgetting by segmenting the task performance process of such a system through simulations.", "abstract": "본 논문은 노약자와 장애인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약을 복용하는 사람들에게 약 먹는 시간을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무게 센서를 사용하여 일주일간 복용해야 하는 알약들의 전체 무게를 측정한 후, 사용자가 알약을 복용하면 줄어든 알약의 무게를 다시 측정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하여 라인트레이서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을 사용하여 복용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에도 약을 운반해주는 기능을 포함하였다. 또한, 알약을 복용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해 설정된 특정 시간에 시각적, 청각적인 기능을 포함하여 약 먹는 시간을 알려주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와 같은 시스템의 작업 수행 과정을 세분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들이 잊지 않고 약을 복용하는 것을 도와주고자 한다."} {"id": "JAKO20211375990967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675.pdf", "abstract_en": "This study proposes a deep learning-based flat foot classification methodology using transfer learning. We used a transfer learning with VGG16 pre-trained model and a data augmentation technique to generate a model with high predictive accuracy from a total of 176 image data consisting of 88 flat feet and 88 normal fee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e performed an experiment comparing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basic CNN-based model and the prediction model derived through the proposed methodology. In the case of the basic CNN model, the training accuracy was 77.27%, the validation accuracy was 61.36%, and the test accuracy was 59.09%. Meanwhile, in the case of our proposed model, the training accuracy was 94.32%, the validation accuracy was 86.36%, and the test accuracy was 84.09%, indicating that the accuracy of our mod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basic CNN model.",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 편평발 측정을 위해 사용되던 다양한 방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 방법으로 전이학습을 적용한 딥러닝 기반 편평발 분류 방법론을 제안한다. 편평발 88장, 정상발 88장으로 이루어진 총 176장의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적은 데이터로도 우수한 예측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 증폭 기술과 사전학습 모델인 VGG16 구조를 활용하는 전이학습 기술을 적용하여 제안 모델의 학습을 진행하였다. 제안 모델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 CNN 기반 모델과 제안 방법론의 예측 정확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CNN 모델의 경우 훈련 정확도는 77.27%, 검증 정확도는 61.36%, 그리고 시험 정확도는 59.09%로 나타났으며, 제안 모델의 경우 훈련 정확도는 94.32%, 검증 정확도는 86.36%, 그리고 시험 정확도는 84.09%로 나타나 기본 CNN 모델에 비해 제안 모델의 정확도가 큰 폭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75990972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20.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I compared the pattern design method of classic shirts focused on the men's clothing consturction textbook. It was intended to select a shirt pattern drawing method suitable for men in their 20s by conducing a appearance evaluation with a 3D simulation program. Pattern drawing method, sizes, appearance evaluation, garment pressure. were evaluated, and SPSS 26.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Pattern drawing method, there were differences in application sizes, and there were many parts where designated sizes were applied. The shirt pattern is mostly the same for the front chest and back chest, front waist and back waist. However, if there is a front and back difference of the chest and the waist circumference, the fit was considered better. B pattern was evaluated as the best in appearance evaluation, color distribution, and mesh condition through 3D simulation, and B pattern was analyzed as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men in their 20s. Since this study applied the average sizes of the 7th Korean Human Body Dimension Survey report in 20s, it is thought that caution should be paid to apply them to all 20s. In the future, it is also thought that research on the actual fit and patterns of various body types and materials in their 20s should be carried ou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남성복 의복구성 교재를 중심으로 클래식 셔츠의 패턴 설계 방법을 비교하였다. 3D 가상착의 평가를 실시하여 20대 남성에게 적합한 셔츠 패턴제도법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패턴제도법에 따라 적용치수에 차이가 있으며, 지정된 치수를 적용하는 부위도 많았다. 셔츠 패턴의 앞뒤가슴둘레, 앞뒤허리둘레는 대부분 같게 설정되었으나 가슴둘레와 허리둘레에 앞뒤 차가 있는 경우에 맞음새가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가상착의를 통한 외관평가, 색분포도 및 mesh 상태를 통한 의복압 등의 항목에서 B패턴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B패턴이 20대 남성에게 가장 적합한 제도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제7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 보고서의 20대 평균 치수를 적용한 것이므로 이를 20대 전체에 적용하는 데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실제 착용감 연구와 다양한 20대의 체형과 소재에 따른 패턴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1375990970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04.pdf", "abstract_en": "Some sections of the highway are closed due to disasters and accidents. In this situation, it analyzes what kind of situation occurs due to functional failure in the highway network. The domestic highway network can be expressed as a graph. Blocking some sections of the highway can turn into a national disaster.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obustness of the domestic highway network. The robustness of expressways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traffic conditions of the domestic expressway network deteriorate due to the blockage of some sections. The greater the robustness, the smaller the effect of some blocking appears. This study is used to evaluate the congestion level of one section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and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ection traffic volume (V) by the section traffic volume (C) is used. This study analyzes the robustness of highways by using the actual traffic volume data of the departure and arrival points of domestic highways, and analyzes the changes in traffic volume due to partial blockage through experimental calculations. Although this analysis cannot reflect the exact reality of domestic highways, it is judged to be sufficient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basic robustness of the overall network.", "abstract": "재난과 사고로 인해 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폐쇄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서 고속도로 망에 기능적으로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분석한다. 국내의 고속도로 망은 하나의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의 차단은 국가적인 재앙으로 번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고속도로 망의 강건성을 분석한다. 고속도로의 강건성은 일부 구간의 차단에 따라 국내 고속도로 망의 교통 통행 상황이 어느 정도 나빠지는지를 말한다. 강건성이 클수록 일부 차단의 효과가 작게 나타난다. 교통망의 하나의 구간의 혼잡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간교통량(V)을 구간의 교통용량(C)으로 나누는 값을 사용한다. 본 연구는 국내 고속도로의 출발지점, 도착지점의 실제 교통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속도로의 강건성을 분석하고, 일부 차단에 따른 교통량의 변화를 실험계산을 통해 분석한다. 본 분석이 실제 국내 고속도로의 정확한 실상을 반영할 수는 없지만, 전체적인 망의 기초적인 강건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375990968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687.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quadtree-based optimization technique that enables fast Super-resolution(SR) computation by efficiently classifying and dividing physics-based simulation data required to calculate SR.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time required for quadtree computation by downscaling the smoke simulation data used as input data. By binarizing the density of the smoke in this process, a quadtree is constructed while mitigating the problem of numerical loss of density in the downscaling process. The data used for training is the COCO 2017 Dataset,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uses a VGG19-based network. In order to prevent data loss when passing through the convolutional layer, similar to the residual method, the output value of the previous layer is added and learned. In the case of smoke, the proposed method achieved a speed improvement of about 15 to 18 times compared to the previous approach.",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초해상도(Super-Resolution, SR)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분할하여 빠르게 SR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쿼드트리 기반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는 연기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쿼드트리 연산 소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킨다. 이 과정에서 연기의 밀도를 이진화함으로써, 다운스케일링 과정에서 밀도가 수치 손실되는 문제를 완화하며 쿼드트리를 구축한다.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는 COCO 2017 데이터 셋이며, 인공신경망은 VGG19 기반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컨볼루션 계층을 거칠 때 데이터의 손실을 막기 위해 잔차(Residual) 보완 방식과 유사하게 이전 계층의 출력 값을 더해주며 학습을 진행한다. 실험결과가 연기의 경우 제안된 방법은 이전 접근법에 비해 약 15~18배 정도의 속도향상을 얻었다."} {"id": "JAKO20211375990976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60.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Deep Neural Network Model System for predicting results of the match of 'League of Legends (LOL).' The model utilized approximately 26,000 matches of the LOL game and Keras of Tensorflow. It performed an accuracy of 93.75% without overfitting disadvantage in predicting the '2020 League of Legends Worlds Championship' utilizing the real data in the middle of the game. It employed functions of Sigmoid, Relu and Logcosh, for better performance. The experiments found that the four variables largely affected the accuracy of predicting the match --- 'Dragon Gap', 'Level Gap', 'Blue Rift Heralds', and 'Tower Kills Gap,' and ordinary users can also use the model to help develop game strategies by focusing on four elements. Furthermore, the model can be applied to predicting the match of E-sports professional leagues around the world and to the useful training indicators for professional teams, contributing to vitalization of E-sports.", "abstract": "이 논문은 League of Legends (LOL) 게임의 승패를 예측하기 위하여 Deep Neural Network Model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LOL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TensorFlow 의 Keras에 의하여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한국 서버의 챌린저 리그에서 행해진 약 26000 경기 데이터 셋을 분석하여, 경기 도중 데이터를 수집하여 그 중에서 드래곤 처치 수, 챔피언 레벨, 정령, 타워 처치 수가 게임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모델은 Sigmoid, ReLu 와 Logcosh 함수를 사용했을 때 더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실제 LOL의 프로 게임 16경기를 예측한 결과 93.75%의 정확도를 도출했다. 게임 평균시간이 34분인 것을 고려하였을 때, 게임 중반 15분 정도에 게임의 승패를 예측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이 프로그램은 전 세계 E-sports 프로리그의 활성화, 승패예측과 프로팀의 유용한 훈련지표로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id": "JAKO20211375990973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32.pdf", "abstract_en": "This study wanted to analyze the types of recognition of messages expressed in clothing for women in their 20s who wear a lot of clothing and fashion products with text.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typography clothing and fashion products by consider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how women in their 20s type the characters expressed in fash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Q method, and the QUANL pc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Type I thought that letters were a design element and fashion, and the characters expressed in clothes were recognized as images. Type 2 thought it was important that the characters expressed in the clothing were recognized as messages, and that the characters had social messages and period reflections. Type 3 preferred that letters be combined with casual clothes and valued the formability of the characters. Type 4 preferred characters to represent brands and liked to be placed in large position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additional research by various age groups and genders and detail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font, color, and sentence length.",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문자가 적용된 의복 및 패션제품을 많이 착용하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의복에 표현된 메시지에 대한 인식유형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20대 여성이 패션에 표현된 문자를 어떻게 유형화하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유형별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Q 방법론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에는 QUANL pc program을 활용하였다. 제1유형은 문자는 하나의 디자인 요소이고 패션이라고 생각하고 의복에 표현된 문자가 이미지로 인식되었다. 제2유형은 의복에 표현된 문자가 메시지로 인식되며, 문자가 사회적 메시지와 시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제3유형은 문자가 캐주얼 의상에 접목되는 것을 선호하고 문자의 조형성을 중요시하였다. 제4유형은 문자가 브랜드를 나타내 주는 것을 선호하고 보이는 위치에 크게 배치되는 것을 좋아하였다. 향후 다양한 연령층과 성별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와 글자체, 컬러, 문장의 길이 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1375990967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671.pdf", "abstract_en": "An abnormal object refers to a person, an object, or a mechanical device that performs abnormal and unusual behavior and needs observation or supervision. In order to detect thi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without continuous human intervention, a method of observing the specificity of temporal features using optical flow technique is widely used. In this study, an abnormal situation is identified by learning an algorithm that translates an input image frame to an optical flow image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In particular, we propose a technique that improves the pre-processing process to exclude unnecessary outliers and the post-processing proces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in the test dataset after learn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abnormal behavior identification. UCSD Pedestrian and UMN Unusual Crowd Activity were used as training datasets to detect abnormal behavior. For the proposed method, the frame-level AUC 0.9450 and EER 0.1317 were shown in the UCSD Ped2 dataset, which shows performance improvement compared to the models in the previous studies.", "abstract": "이상 객체란 일반적이고 평범한 행동을 취하는 객체가 아닌 비정상적이고 흔하지 않은 행동을 하여 관찰이나 감시·감독을 필요로 하는 사람, 물체, 기계 장치 등을 뜻한다. 이를 사람의 지속적인 개입 없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탐지하기 위해서 광학 흐름 기법을 활용한 시간적 특징의 특이도를 관찰하는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 기법은 정해진 표현 범위가 없는 수많은 이상 행동을 식별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으로 입력 영상 프레임을 광학 흐름 영상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학습시켜 비정상적인 상황을 식별한다. 특히 생성적 적대 신경망 모델이 입력 영상에 대한 중요한 특징 정보를 학습하고, 그 외 불필요한 이상치를 제외시키기 위한 전처리 과정과 학습 후 테스트 데이터셋에서 식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후처리 과정을 고도화하여 전체적인 모델의 이상 행동 식별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상 행동을 탐지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셋으로 UCSD Pedestrian, UMN Unusual Crowd Activity를 활용하였으며, UCSD Ped2 데이터셋에서 프레임 레벨 AUC 0.9450, EER 0.1317의 수치를 보이며 이전 연구에서 도출된 성능 지표 대비 성능 향상이 확인되었다."} {"id": "JAKO20211375990971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17.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which improves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 The key idea of this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is to minimize execution time of each job and to maximize the system throughput by effectively using system resource such as CPU, memory. Also, this strategy dynamically allocates job by considering demanded memory size of executing job and workload status of each node. If an overload node occurs due to allocated job, the proposed scheme migrates job, executing in overload nodes, to another free nodes and reduces the waiting time and execution time of job by balancing workload of each node. Through simul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based on CPU, memor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 compared to previous strategies.", "abstract": "본 논문은 케미컬 탱커시장의 운임예측에 관하여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였으며 전통적인 시계열 모델인 ARIMA모형과 비교하였다. 케미컬 시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규모이나 범용성이 높은 선박을 이용한 시장으로 수급모델을 활용하여 운임시장을 분석하기 어려우며, 운임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선형모형을 활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케미컬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선형 모델인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ARIMA와 비교한 결과 RMSE와 Correlation 측면에서 예측성능이 우수함을 보였으며, 케미컬 탱커의 운임예측에 더 적합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운임거래에 있어 과학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의사결정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 소외되어온 케미컬 시장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75990969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699.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introduce InfoDID, a robust us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based on DID that manages user information reliably. Since blockchain technology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data can be handled transparently on a decentralized basis, various services using blockchain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s the importance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has recently emerged, the DID technology is receiving attention. The technology allows a user to control his or her information through decentralized identifiers, and various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s are being tried based on the technology. Using blockchain-based DID technology, InfoDID reliably controls personal information requested frequently, helping users to provide their information to other services more conveniently. In addition, to support service continuity, InfoDID uses BR2K technique that provides robust execution of blockchain application services, so that even partial service failures can be systematically recovered. To facilitate this operation, we present a replication status monitoring tool that can continuously check the replication states of blockchain application services running in association with the BR2K technique such as InfoDI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DID 기반의 견고한 사용자 정보 관리 서비스인 InfoDID를 소개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탈중앙화 기반으로 데이터를 투명하게 다룰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현재 블록체인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통제할 수 있는 분산 식별자를 지원하는 DID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들이 시도되고 있다. InfoDID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 기술을 활용하여 빈번히 요청되는 개인 정보를 신뢰성 있게 제어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다른 서비스들에게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InfoDID는 블록체인 응용서비스의 견고한 실행을 제공하는 BR2K 기법을 채택하여 부분적인 서비스 실패의 경우에도 체계적으로 복구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InfoDID와 같이 BR2K 기법을 적용한 블록체인 응용서비스의 복제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결함 복구를 지원하는 복제 상태 모니터링 도구가 제시된다."} {"id": "JAKO20211375990968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684.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the motion recognition method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in mixed reality. In industrial sites, movements (grasping, lifting, and carrying) are required throughout the upper full-body, from trunk movements to arm movements. In this paper, we use a method composed of sensors and wearable devices that are not vision-based such as Kinect without using heavy motion capture equipment. We used two IMU sensors for the trunk and shoulder movement, and used Myo arm band for the arm movements. Real-time data coming from a total of 4 are fused to enable motion recognition for the entire upper body area. As an experimental method, a sensor was attached to the actual clothes, and objects were manipulated through synchronization. As a result, the method using the synchronization method has no errors in large and small operations. Finally,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 average result was 50 frames for single-handed operation on the HoloLens and 60 frames for both-handed operatio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혼합현실에서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동작 인식 방법에 대한 방법을 제안한다. 산업 현장에서는 몸통 움직임부터 팔 동작에 이르기까지 상체 전역의 동작(잡고, 들어올리고, 나르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거운 모션 캡처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키넥트와 같은 비전 기반이 아닌 센서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성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몸통 동작과 어깨 동작은 2개의 IMU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팔 동작은 마이오 암 밴드를 사용하였다. 총 4개로부터 들어오는 실시간 데이터를 퓨전하여 상체 전 영역에 대한 모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험 방법으로서는 실제 옷에 센서를 부착하였고 동기화 작업을 통해 물체 조작을 하였다. 그 결과 동기화 방법을 사용한 방식은 큰 동작과 작은 동작에 있어서 오류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성능 평가를 통해 홀로렌즈 상에서 한손 조작일 경우 평균적으로 50 프레임, 양 손 조작일 경우 60 프레임을 보이는 결과를 나타 내였다."} {"id": "JAKO20211375990977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72.pdf", "abstract_en":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rona19, the availability of digital devices such as kiosks is a matter directly related to survival for older adults with digital divide.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existing information service education for older adults and proposes an IT education strategy tailored to aging and life cycle of older adults. The proposed in this study is an educational application-based IT training method that supports repetitive learning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developing kiosk function as a functional game-type educational application and experimenting with post-training effectiveness. The research method proposed UI usability evaluation frame for older adults, and developed educational applications based on proposed evaluation frame, and conducted kiosk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mission success rate after using the IT application was 80.6%, which is a 55.1%P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use(25.5%).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oposed education for older adults is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IT educ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abstract":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키오스크와 같은 디지털기기 사용가능 여부는 디지털 격차를 가진 노인에게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고령자 대상 기존 정보화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고령자의 신체·인지 노화와 라이프 사이클에 맞춤화된 정보화교육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고령자 맞춤형 정보화교육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반복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기반 IT교육 방법으로서, 키오스크 기능을 기능성게임 형식의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하고 교육 후의 효과성을 실험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분석과 FGI를 통하여 고령자 맞춤형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UI 사용성 평가 프레임을 제안하고, 둘째 제안한 평가 프레임에 의거한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셋째 키오스크 교육에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교육 효과성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사용한 후의 미션 성공률은 80.6%로 사용 전(25.5%)과 비교하여 55.1%P의 향상과 함께 미션성공 소요시간도 단축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상황에서 제안한 정보화교육이 기존 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75990975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56.pdf", "abstract_en": "With the advent of the age of\"untact\" modern people are pursuing a healthy body and mind. In order to achieve well-being, LOHAS and Wellness,people prefer to use natural affinity alternative therapies, Aromatherapy. This study focuses on women in their 20s~50s in Zhejiang Province,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ir knowledge and use of essential oils.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four parts: 3 questions for general question, 11 questions for knowledge, 13 questions for use and 9 questions fo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WeChat and the Wenjuanxing Program from July 5 to August 30, 2019. Finally, a total of 61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SPSS WIN 21.0 program i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The level of knowledge and satisfaction is verified by Cronbach's α. An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χ2), one-way ANOVA on the understanding level and usege of essential oils according to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the 20s, university students, essential oil recognition was high in having experience.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knowledge or satisfaction depending on age. knowledge and satisfaction was moderate. The results of experience in the use of essential oils were higher among all age groups, those who in their 30s did not think that the use of essential oils would be effective. However, people in their 20s and 40s and older have unclear answers, indicating that results showed a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usag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iod of use, place of purchase, method of purchase, purpose of use, place of use, number of use, frequency of use, body parts of use. According to the study, awareness and knowledge of essential oils vary according to age, and those in their 20s use essential oils for facial skin, and those in their 30s and older use essential oils for stress relief and body management.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marketing related to diversified essential oil products according to age.", "abstract": "언텍트 시대가 돌입되면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현대인들은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추구하면서 웰빙(well-being), 로하스(LOHAS), 웰니스(Wellness)를 위해 자연 친화적인 대체요법으로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 접근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절강성 지역 20대에서 50대 여성들을 중심으로 에센셜오일에 대한 지식정도와 사용실태를 알아보고자 일반적 특성 3문항, 지식정도 11문항, 사용실태 13문항, 만족도 9문항을 2019년 7월 5일에서 8월 30일까지 위쳇(WeChat), 왠쥬엔씽 프로그램(wenjuanxing program)을 이용하여 총 617부를 조사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하였고, 지식정도, 만족도는 신뢰도 검증 Cronbach's α을 실시하였고, 연령에 따른 지식정도와 사용실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카이스케어 검정(χ2), 일원변량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특성에서 연령은 20대, 학력은 대학교 졸업, 에센셜오일을 들어본 경험 있음에서 각각 가장 높았다. 연령에 따른 에센셜오일 지식정도와 만족도는 모두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사용경험은 모든 연령층에서 높게 조사되었고, 그 외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30대는 효과가 없을 것 같아서가 높았으나, 20대와 40대 이상은 모두 잘 몰라서 응답이 가장 높은 것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용실태는 사용기간, 구입장소, 구매방식, 사용목적, 사용장소, 사용횟수, 사용용도, 사용부위에서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의 결과 연령에 따른 에센셜오일의 인지도, 지식정도의 차이가 있고, 사용실태는 20대는 얼굴 피부, 30대 이상은 스트레스해소와 바디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연령대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령에 따른 아로마 관련 제품 다양성과 마케팅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한다."} {"id": "JAKO20211375990975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52.pdf", "abstract_e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 family relationship of adolescents has an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and to verify of direct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in according to self-efficac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adolescents who wer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318 subjects in G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amily relationship and selfe-efficacy revealed direct influence on smartphone addiction. Moreover, the self-efficacy check the moderating effect of do family relationship on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demonstrated the influence of family relationship and self-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and imply that self-efficacy can decrease or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from family relationship problem.",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가족관계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 중학교 3학년 재학생 318명이다. 본 연구결과는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가족관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가족관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id": "JAKO20211375990972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28.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pplication of a Thorax belt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spine in subjects with a wide infra-sternal angle. A total of 15 subject with wide infra-sternal angl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ctive Double leg lowering and active one-leg raising were performed with or without a thorax belt. Two spinal stability tests (active double lowering and active one-leg raising) performed with or without thorax belt appl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con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e application of a thorax belt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therapeutic tool that can stabilize the spine to subjects with abnormally increased chest cage and spinal or trunk instabilit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범위보다 큰 명치각을 가진 대상자들에게 가슴벨트 적용이 척추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 범위보다 큰 명치각을 가진 총 15 명의 대상자가 본 연구에 참여했으며 가슴벨트 적용 유-무의 조건에서 능동적 두 다리 내리기와 능동적 한 다리 올리기가 수행되었다. 가슴 벨트 적용 여부에 따라 수행 된 두 가지 척추 안정성 테스트 (능동적 두 다리 내리기와 능동적 한 다리 올리기)는 각 조건 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가슴벨트 적용은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명치각으로 인해 척추 또는 몸통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에게 척추를 안정화 시켜줄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적 방법으로 여겨진다."} {"id": "JAKO20211606247707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62477070.pdf", "abstract_en": "Sesquiterpene lactones (STLs) are terpenoids found mostly in the Asteraceae family and are known for their strong cytotoxic properties, among other notable bioactivities. Some STLs, such as artemisinin and mipsagargin, are already commercially available and are used to fight malaria and tumor growth, respectively. Although the interest in STLs was low for a time after their discovery due to their toxic nature, past decades have witnessed a soar in STL-based studies focused on developing novel pharmaceuticals via chemical diversification. These studies have reported several promising physiological effects for STLs, including lower toxicity and diverse modes of action, and have demonstrated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hepatoprotective, antiviral, antiprotozoal, phytotoxic, antitumor, and antiaging properties of STLs. STLs are mainly considered as valuable natural molecules for the fight against cancer since most STLs induce death of different types of cancer cells, as shown by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Some STLs can also enhance the effects of drugs that are already in clinical use. Medicinal chemists use various STLs as starting molecules for the synthesis of new STLs or different bioactive compounds. All these developments warrant future research to provide more information on STLs, their bioactivities, and their mode of action. In this context, this review has summarized the bioactivities of some of the widely studied STLs, namely artemisinin, costunolide, thapsigargin, arglabin, parthenolide, alantolactone, cynaropicrin, helenalin, and santonin.", "abstract": "세스퀴테르펜 락톤(Sesquiterpene lactones; STL) 화합물은 테르페노이드의 일종으로 주로 국화과에서 발견이 되고 강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생리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세스퀴테르펜 락톤은 강한 세포 독성으로 인해 연구가 미미하였으나, 최근 화학적 변형을 통해 독성이 적은 형태로 합성하여 새로운 의약품 개발로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세스퀴테르펜 락톤 화합물인 artemisinin 및 mipsagargin 화합물은 현재 말라리아 및 종양성장에 대한 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항산화, 간보호, 항바이러스, 항균, 항종양 및 항노화 등의 생리활성 효능이 보고되어 있으며, 종양세포에서 자멸사를 유도하여 항암제로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스퀴테르펜 락톤 화합물인 artemisinin, costunolide, thapsigargin, arglabin, parthenolide, alantolactone, cynaropicrin, helenalin, 및 santonin의 생리활성 효능에 대한 연구 동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id": "JAKO20212294986898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68988.pdf", "abstract_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nalysis method to select priorities for areas where the traffic safety system is applied to reduce pedestrian accidents. Method: Using Kernel density analysis us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ccident point, we performed density analysis of elderly walking accidents and elderly jaywalking accidents, and analysis of the weight of two types of walking accidents. Result: As a result of density analysis of the weight considering elderly jaywalking accidents, it was analyzed that the density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for th elderly was higher in Gunsan-si, Jeongeup-si, and Gimje -si compared to Jeonju-si, where the number of elderly pedestrian accidents were high. Conclus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judged to be possible to use objective indicators for the selection of target site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raffic safety system.",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행사고 감소를 위해 도입되고 있는 교통안전시스템의 적용 지역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사고지점의 좌표 정보를 이용한 Kernel density Analysis를 통해 노인보행사고 및 노인무단횡단추정사고에 대한 밀도 분석과 두 가지 보행사고 형태에 대한 가중치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무단횡단추정사고를 고려한 가중치 밀도 분석 결과, 노인보행사고 발생건수가 많은 전주시에 비해 군산시, 정읍시, 김제시에서 노인 보행 교통사고 밀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교통안전시스템 도입을 위한 대상지 선정시 지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315064281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50642816.pdf", "abstract_en": "A well-designed mathematics lesson is the foundation for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Given this significance, this paper focused on analyzing what would be important elements for in-service teachers in planning a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7 in-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write down whatever they would consider important in designing a mathematics lesson. A mathematics lesson plan prepared by a pre-service teacher was provided for the in-service teachers. They were then asked to analyze the strengths of the lesson plan and to provide detailed feedback on how to improve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service teachers tended to analyze the given mathematics lesson plan in terms of what they considered important regarding lesson design. Such elements were specified when the in-service teachers described the strengths and feedback for improvement of the lesson plan. In particular, the asp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aterials were explained in detai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oke discussions on lesson design of in-service teachers and subsequent research.", "abstract": "수학 수업을 잘 설계하는 능력은 좋은 수학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토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사들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설계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자유기술식으로 응답하게 했고, 현직교사들에게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제공한 후 그 수업지도안의 장점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게 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들은 자신이 평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수업지도안의 장점을 분석하거나 개선사항에 대한 피드백 의견을 제안할 때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들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수업 전략 및 자료의 측면을 자세하게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직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에 대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d": "JAKO20211315064283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50642831.pdf", "abstract_e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at affect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affecting mathematics achievement, longitudinal studies that can predict and analyze growth are needed. This study used data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3(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2017(second year of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bal Study(SELS). By classify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nto similar subgroups, the direct influence of teachers' characteristics(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cademic feedback) perceived by students on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teachers(professional performance, expectation, and academic feedback) in group 1(343 students), which included the top 14.5% of students, did not directly affect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in the middle 2nd group(745, 32.2%) had academic feedback from the mathematics teacher, and the 2nd group(1225 students) in the lower 53%, which included most of the students, showed that the expectations of the mathematics teacher were the longitudinal mathematics achievement. The change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effect. This suggests that support for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also reflect this, as the direct influenc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nd academic feedback on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ispositions of students.", "abstract":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특성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성장을 예측·분석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중학교 1학년(2013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2017년)까지의 중·고등학교 학생자료를 사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양상이 유사한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여 학생들이 인식한 교사의 특성(전문성, 기대감, 학업적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수학 학업성취도가 상위인 1그룹(343명, 14.5%) 수학교사의 특성(전문성과, 기대감, 학업적 피드백)은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중위의 3그룹(745명, 32.2%)은 수학교사의 학업적 피드백, 하위 53%의 2그룹(1225명)은 수학교사의 기대감이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들의 특성과 성향에 따라서도 교사의 전문성과, 기대감, 학업적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다르므로 교수·학습의 지원도 이러한 점을 반영해야함을 시사해준다."} {"id": "JAKO20211315064281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50642811.pdf", "abstract_en": "Mathematics anxiety is a term for emotional and physical resistance to mathematics. Understanding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is important not only in terms of improving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in nurturing mathematics manpower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In particular, mathematics anxiety is most likely to occur in elementary school, and it has a negative effect on subsequent learn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I presented the patterns of changes in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over time and statistically verified them. As a result of a follow-up survey of 249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for 3 years from 4th to 6th grade, it was found that, rather than having a special pattern related to the formation of math anxiety, it may increase and decrease and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confirmed. Later, in this study, five patterns of Mathematics anxiety patterns were identif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I confirm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about teachers' mathematics lessons was consistently influencing the change in mathematics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of mathematics anxiety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mathematics anxiety in the future and subsequent research.", "abstract": "수학불안은 수학에 대한 정서적·신체적 거부감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학생들의 수학불안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수학학업 성취도 향상 뿐 아니라 미래 사회에 필요한 수학 인력 양성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특히 수학불안은 대부분 초등학교시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후속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수학불안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학생들의 수학불안 변화 패턴을 제시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249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불안을 4학년에서 6학년까지 3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수학불안 양상의 다섯 가지 패턴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학불안 변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흥미도이며, 부모의 관심은 수학불안을 경감시키고, 사교육에 대한 부담감은 수학불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15064282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50642826.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drive the implications for the structure of mathematics curriculum documents in Korea, exploring the coherence in the documental structure of the IB DP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is gaining international attention. The documents of the IB DP mathematics curriculum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herence of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s. First, the curriculum was consistently described by subject and topic, presenting the table of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documents in the same format. Second, the descriptions of the curriculum between subjects and within the subjects were consistent through the sam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assessment methods, the presentation of big ideas, and 'Guidance, clarification and syllabus links'. Third, in 'Connections', the curriculum documents were described with coherence through linking with other subjects by describing the connection plan with the real-world contexts, other subjects, and the 'Theory of Knowledge' in the IB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the concreteness and consistency of the components in mathematics curriculum documents, we propose the coherence between the presentation of subject areas and assessment methods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coherence in documental structure through links with other subjects.",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차기 수학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재의 일관성 구현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IB 교육과정 내의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재의 일관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IB DP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서의 외·내적 체재의 일관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IB DP 수학과 교육과정은 문서의 목차와 형식을 동일하게 제시하여, 과목별·주제별로 교육과정 문서는 일관된 서술을 보였다. 다음으로, 동일한 과목 주제 구성 및 평가방법의 구성, 빅 아이디어 제시, '안내, 명료화, 교수요목 연계'와 같은 장치 마련을 통해 일관성 있는 과목 간, 과목 내의 교육과정 문서의 서술을 이루었다. 마지막으로, '연결'에서 실세계 맥락, 다른 과목, IB 교육과정 '지식론'과의 연계 방안을 서술함으로써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교육과정 문서의 일관된 서술을 이루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항목의 구체적이고 일관적인 제시, 개정 교육과정의 과목별 영역과 평가 방법의 일관적인 제시,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문서 구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d": "JAKO202122949877990",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77990.pdf", "abstract_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 carcasses treatment and quarantin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of livestock, and to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quarantine and follow-up management of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Method: Actually, a livestock epidemic occurred and the burial site and burial management facility that treated livestock carcasses were visited on-site to analyze the management status and problems. Result: The burial method of livestock outbreaks of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and the long-term follow-up management accordingly requires a large amount of manpower and budget to be spent. For example, it can be seen that it is an inefficient quarantine system.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livestock infectious animal carcasses treatment facilities at the level of metropolitan cities, districts, and municipalities with the government, where there is no fear of secondary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and no follow-up management is required.",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축전염병 가축사체처리 및 방역관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가축전염병 방역과 사후 관리의 실효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실제로 가축전염병이 발생하여 가축 사체를 처리한 매몰지 및 매몰 관리시설을 현장 방문하여 관리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축전염병 발생 가축의 매몰방식과 그에 따른 장기적인 후속 관리는 많은 인력과 예산을 투입하게 만들어 비효율적인 방역시스템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2차적인 감염병 전파우려가 없고 후속 관리가 필요 없는 정부와 광역 시도 및 시군구 차원의 통합 가축전염병동물 사체처리 시설 설립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id": "JAKO20212294989299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92993.pdf", "abstract_en": "Purpose: By categorizing opinions by subject in the safety certification ecosystem, we want to identify weaknesses in system oper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so that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can have quick resilience against future variability. Metho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data analysis, similar domestic and foreign safety certifications and related case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national standards, etc. were confirmed, and a fact-finding survey was conducted for each stakeholder in the safety certification ecosystem, and problem type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established. Result: We conduct a fact-finding survey of the overall system, such as quality satisfaction with safety certification target products, obstacles in the development, manufacturing and use process, and safety certification-related improvements, targeting workplaces that manufacture, import or use safety certification target machines By discovering and categorizing problems and weaknesses in system operation, detailed implementation tasks were derived to establish improvement directions and improve operability. Conclusion: For the advancement and internationalization of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detailed promotion tasks derived from this study.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to the variability of the safety certification ecosystem, the operating system of a virtuous cycle structure by improv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ject construction is considered important.", "abstract": "연구목적: 안전인증 생태계 주체별 의견 유형화를 통하여 제도 운영상의 취약점을 확인하고 미래 변동성에 대하여 안전인증제도가 빠른 회복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 및 자료 분석을 통해 국내·외 유사 안전인증 및 관련 사례와 국제 기준 및 국가 표준 현황 등을 확인하였으며, 안전인증 생태계의 이해관계자별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문제점 유형화 및 개선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결과: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을 제조 또는 수입하거나 사용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안전인증 대상품에 대한 품질 만족도, 개발제조 및 사용과정에서의 장애요인, 안전인증 관련 개선사항 등 제도전반에 걸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취약점을 발굴 및 범주화하여 개선방향 수립 및 작동성 향상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결론: 안전인증제도의 선진화·국제화를 위해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세부 추진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이며, 더불어 안전인증 생태계의 변동성에 대한 회복력 강화를 위해서는 주체별 상호 관계 개선을 통하여 선순환 구조의 운영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id": "JAKO20212294984198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41982.pdf", "abstract_en": "Purpose: This study develops a risk prediction model that predicts the risk of a fire site by using initial information such as building information and reporter acquisition information, and supports effective mobilization of fire fighting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damage minimization strategies for appropriate responses in the early stages of a disaster.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fire damage scale on the fire statistics data,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was performed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examine predictability, and a learning data set was constructed through preprocessing such as data standardization and discretization. Using this, we tested a pluralit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hich are evaluated as having high prediction accuracy, and developed a risk prediction model applying the algorithm with the highest accuracy. Result: As a result of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performance test, the accuracy of the random forest algorithm was the high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intermediate value was relatively high for the risk class. Conclusion: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was limited due to the bias of the damage scale data in the fire statistics, and data refinement by matching data and supplementing the missing values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predictive model performance.",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발생 건축물 정보, 신고자 취득 정보 등 초기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현장의 위험도를 예측하여, 재난 발생 초기에 효과적인 소방자원 동원 및 적절한 대응을 위한 피해최소화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 통계 데이터 상에서 화재의 피해규모와 관련된 변수 규명을 위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수간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고, 데이터 표준화 및 이산화 등의 전처리를 통해 학습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예측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테스트하여 가장 정확도가 높은 알고리즘을 적용한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머신러닝 알고리즘 성능 테스트 결과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의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위험도 등급에 대해서는 중간치에 대한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화재 통계 상 피해규모 데이터의 편향성에 의해 예측모델 정확도가 제한적으로 나타났으며, 예측 모델 성능 개선을 위해 데이터 정합성 및 결손치 보완 등을 통한 데이터 정제가 필요하다."} {"id": "JAKO202122949865987",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65987.pdf", "abstract_en": "The dispatch law has a negative impact on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as the command and command relationship to safety assistants of the original contractor are applied to the dispatch law. Purpose: The purpose is to study the importance and impact of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ispatch law, and to propose a direction for safety management so that safety assistants can actively and proactively prevent accidents. In this study, we used AHP analysis techniques for experts to achieve the final goal and verified the suitability through logistic regression. Method: AHP analysis technique is used for experts and worker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Result: The result of analyzing scenario data where the dispatch method can be applied showed the importance in the order of education (SkillUp education), management (work-time management) and direct instructions (feedback instruction).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eedback is the factor that affects direct instruction, and in education management, the ratio of education management is 3.42 times low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hen only the team leader of the company gives work instructions. Conclusion: The management of feedback and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dispatch method is not applied, and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s judged to avoid the violation of dispatch method because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 19 recently has brought more various target for safety education.", "abstract": "원청의 안전보조원에 대한 지휘·명령관계라면 파견법이 적용됨에 따라 건설현장 안전관리에 있어서는 파견법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구목적: 파견법에 따른 안전관리의 중요도 및 영향을 연구하여 안전보조원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재해예방을 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방향을 제안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문가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AHP분석기법 활용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파견법이 적용될 수 있는 통합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교육(SkillUp교육), 관리(근태관리), 직접지시(피드백 지시) 순으로 중요도가 확인되었다.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직접지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피드백이며 교육 관리에서는 소속회사 팀장만 업무 지시가 있을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하여 교육관리 비율이 3.42배 낮아졌다. 결론: 파견법 위반을 적용받지 않는 범위 안에서 피드백, 교육에 대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최근 코로나(Covid-19) 영향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안전교육대상자도 다양해지고 있어 안전보조원에 대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 확대가 파견법 위반을 피해갈 수 있다고 판단된다."} {"id": "JAKO202122949837982",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37982.pdf", "abstract_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oT multi-fire detectors combined smoke/carbon monoxide/heat and wireless IoT communication and to confirm the detect performance by smoke generator fire test and cotton wicks fire test. Method: The IoT multi-fire detector combined smoke and CO and combined smoke and heat were experimented the detect performance by smoke generator test and fire test of cotton wicks. And the case of fire alarm was checked. Result: The IoT multi-fire detector combined smoke and CO rung the alarm at the fire test of cotton wicks, did not ring the alarm at the smoke generator test. In comparison, the IoT multi-fire detector combined smoke and heat did not ring the alarm both at the smoke generator test and the fire test of cotton wicks. Conclusion: The IoT multi-fire detector combined smoke and CO detected the only smoke including the carbon monoxide and the IoT multi-fire detector combined smoke and heat did not ring the alarm for lack of heat. As a result, when the developed IoT multi-fire detector was detected the signal more than the set point, the fire alarm was sounded through cotton wicks fire test and smoke generator.", "abstract": "연구목적: 연기/CO/열 복합형 화재감지기와 무선 IoT통신을 결합한 IoT 멀티화재감지기를 개발하고 화재감지 실험을 통하여 연기/CO/열 복합형 IoT 멀티화재감지기의 화재감지성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기/CO 복합형 과 연기/열 복합형의 IoT 멀티화재감지기를 연기발생기와 면 심지 연소를 통하여 화재감지성능을 실험하였으며, 화제 신호를 발하는 기준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기/CO 복합형 IoT 멀티 화재감지기는 면심지 연소 실험에서 화재를 감지하였으나 연기발생기 실험에서는 화재를 감지하지 않았다. 반면 연기/열 복합형 IoT 멀티 화재감지기는 두 실험 모두 화재를 감지하지 않았다. 결론: 연기/CO 복합형 IoT 멀티화재감지기는 CO가 포함된 연기만을 감지하였으며, 연기/열 복합형 IoT 멀티 화재감지기는 열의 부족에 의해 화재를 잠지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개발된 IoT 멀티 화재감지기는 면심지 연소 실험과 연기발생기 실험을 통해 2가지 센서의 기준값 이상 신호를 검출하여야 화재 신호를 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125301749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53017499.pdf", "abstract_e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are participating in efforts to preserve biodiversity. Concerning species, in particular, studies that aim to find potential habitats and establish conservation plans by conducting habitat suitability analysis for specific species are actively ongoing. However, few studies on mid- to long-term changes in suitable habitat areas are based on accumulated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ime-series changes in the habitat suitable area and examine the otters' changing pattern (Lutra lutra) designated as Level 1 endangered wildlife in Gangwon-do. The time-series change analysis used the data on otter species' presence points from the 2nd, 3rd, and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s conducted for about 20 years. Moreover, it utilized the land cover map consistent with the survey period to create environmental variables to reflect each survey period's habitat environment. The suitable habitat area analysis used the MaxEnt model that can run based only on the species presence information, and it has been proven to be reliable by previous studies. The study derived the habitat suitability map for otters in each survey period, and it showed a tendency that habitats were distributed around rivers. Comparing the response curves of the environmental variables derived from the modeling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favored by otters. The examination of habitats' change by survey period showed that the habitats based on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had the widest distribution. The habitats of the 3rd and 4th surveys showed a tendency of decrease in area. Moreover, the study aggregat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hree survey periods and analyzed and categorized the habitat's changing pattern. The type of change proposed different conservation plans, such as field surveys, monitoring, protected area establishment, and restoration pla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duced a comprehensive analysis map that showed the time-series changes of the location and area of the otter habitat and proposed a conservation plan that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type of habitat change by region. We believe that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and its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establishing a habita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in the future.", "abstract": "전 세계 다양한 국가들을 비롯하여 우리나라도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특히 생물종과 관련해서는 특정 생물종을 대상으로 서식적합분석을 실시하여 잠재적인 서식 적지를 찾고 보전방안을 수립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서식적합지역의 중장기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된 수달을 대상으로 서식적합지역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고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계열 변화 분석을 위해서 약 20년간 수행된 2차, 3차,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수달 종 출현지점 조사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각 조사시기 별 서식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조사시기와 일치하는 토지피복도를 환경변수 제작에 활용하였다. 서식적합지역 분석을 위해서는 종의 출현 정보만을 바탕으로 모델 구동이 가능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신뢰도가 높다고 입증된 MaxEnt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각 조사시기 별 수달의 서식적합지역 지도가 도출되었으며, 하천을 중심으로 서식지가 분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모델링 결과 도출된 환경변수의 반응곡선을 비교하여 수달이 선호하는 서식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시기 별 서식 적지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기반으로 한 서식 적지가 가장 넓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3, 4차 조사의 서식 적지는 면적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3개 조사시기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서식 적지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였다. 변화 유형에 따라서 현장조사, 모니터링, 보호지역 설정, 복원계획과 같이 서로 다른 보전계획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달 서식 적지의 위치와 면적의 시계열 변화를 볼 수 있는 종합분석 지도를 제작하고, 지역별 서식 적지 변화 유형에 따라 필요한 보전계획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과 결과는 향후 서식지 보전 및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6062452055",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62452055.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the habitat distribution status and the habitat distribution prediction of Sophora koreensis, which is the Korean Endemic Plant included in the EN (Endangered) class of the IUCN Red List. The habit distribution survey of Sophora koreensis confirmed 19 habitats in Gangwon Province, including 13 habitats in Yanggu-gun, 3 habitats in Inje-gun, 2 habitats in Chuncheon-si, and 1 habitat in Hongcheon-gun. The northernmost habitat of Sophora koreensis in Korea was in Imdang-ri, Yanggu-gun; the easternmost habitat in Hangye-ri, Inje-gun; the westernmost habitat in Jinae-ri, Chuncheon-si; and the southernmost habitat in Sungdong-ri, Hongcheon-gun. The altitude of the Sophora koreensis habitats ranged from 169 to 711 m, with an average altitude of 375m. The area of the habitats was 8,000-734,000 m , with an average area of 202,789 m . Most habitats were the managed forests, such as thinning and pruning forests. The MaxEnt program analysis for the potential habitat of Sophora koreensis showed the AUC value of 0.9762. The predictive habitat distribution was Yanggu-gun, Inje-gun, Hwacheon-gun, and Chuncheon-si in Gangwon Province.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rediction of the habitat distribution were the annual precipitation, soil carbon content, and maximum monthly temperature. This study confirmed that habitats of Sophora koreensis were mostly found in the ridge area with rich light intensity.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of Sophora koreensis habitat.",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이고, IUCN Red List의 EN(위기종) 등급에 속하는 개느삼을 대상으로 자생지 분포, 자생지 분포 예측을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느삼의 자생지 분포 조사 결과,강원도 양구군 13곳, 인제군 3곳, 춘천시 2곳, 홍천군 1곳 총 19곳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북쪽 자생지는 양구군 임당리, 동쪽 인제군 한계리, 서쪽 춘천시 지내리, 남쪽 홍천군 성동리로 각각 확인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해발고도는 169-711m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 해발고도는 375m로 조사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면적은 8,000-734,000m 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평균 202,789m 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개느삼 자생지는 간벌, 가지치기 등과 같은 숲가꾸기가 이루어진 곳으로 조사되었다. 개느삼 잠재 분포지 분석을 Max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한 결과, AUC값은 0.9762로 분석되었다. 분포예측 자생지는 강원도 양구군, 인제군, 춘천시, 화천군 지역에 집중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생지 분포예측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수는 연간강수량, 토양탄소함유량, 최한월 기온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느삼은 광량이 풍부하고 능선부에 주로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본 연구결과의 자생지 정보를 토대로 개느삼 자생지를 보전하기 위한 보호지역 지정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6062397020",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62397020.pdf", "abstract_en": "Plants Social Network(PSN) analysis combines the plant sociological method an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plant society focusing on environmental-to-plant and plant-to-plant relationships. PSN is at an early stage of research and require comparing plant society analyse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existing interspecies binding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vegetation structural analysi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and compared the existing interspecies connection analysis with the PSN. A total of 60 plots were established for a survey on the Old Trail. The TWINSPAN and DCA analysis showed that the 60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the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 and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ommunity II) based on an altitude of 800 meters. We performed the interspecies correlation with more than 30% emergence frequency and the DCA analysi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a focus on the major species in each colony. The results showed that Quercus serrata had a correlation of -0.450 and -0.375 with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respectively. The DCA analysis also confirmed that Quercus serrata was located close to Pinus densiflora and far from Quercus mongolica along one axis. For the PSN analysis of PSN, 40 survey plots were added to investigate the species appearing in a total of 100 survey plots. The network structural analysis showed 378 links and a species having an average of 6 interspecies bindings. The density was 0.097, the diameter was 7, and the average path distance was 2.788, similar to the PSN analysis results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plant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existing interspecies combination analysis, enabling analyzing more data than the existing methods and observing the structure of plant society.", "abstract": "환경과 식물, 식물과 식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식물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결합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이 연구되고 있다. 식물사회네트워크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식물사회 분석과 기존의 종간결합분석 방법과 비교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식생구조분석을 실시하고 기존의 종간결합분석과 식물사회네트워크를 비교 하였다. 식생조사를 위해 옛길 2구간을 대상으로 60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분석결과 60개 조사구는 해발고 800m를 기준으로 졸참나무-소나무군락(군락 I), 신갈나무군락(군락 II)으로 나누어졌다. 출현빈도 30%이상인 수종 간 상관관계분석과 DCA분석을 실시한 후 각 군락별 주요수종을 중심으로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졸참나무와 소나무, 신갈나무는 각각 -0.450 , -0.375 로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DCA에서도 1축을 따라 졸참나무와 소나무는 가까이, 신갈나무와는 멀리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사회네트워크분석을 위해 40개 조사구를 추가하여 100개 조사구에 출현수종을 조사하였다. 네트워크 구조 분석결과, 378개의 연결선이 나타났고, 한 수종 당 평균 6종과 결합을 가졌다. 밀도는 0.097, 지름은 7, 평균 경로거리는 2.788로 나타났다.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은 기존 종간결합분석과 비교하였을 때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기존의 분석법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고 식물사회 구조 관찰에 용이했다."} {"id": "JAKO20211375990981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18.pdf", "abstract_en": "Graphene flakes are generally mass-produced by converting graphene oxide into reduced graphene oxide using chemical or thermal reduction. These graphene flakes can be stacked to form a free-standing graphene paper,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a graphene paper lacks stretchability, which hinders its application in stretchable devices. In this work, we introduced wrinkles in a graphene paper to make it stretchable. A graphene paper fabricated by vacuum-filtering a graphene dispersion was placed on a pre-stretched adhesive film. When the pre-stretched adhesive film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the graphene paper was wrinkled. The effect of the pre-stretching and wet condition of the graphene papers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addition, we observed the change of the period of the wrinkles in the graphene paper depending on the pre-stretching.", "abstract": "일반적으로 그래핀 플레이크는 산화그래핀을 화학적 또는 열적 환원 공정을 통해 환원그래핀으로 변환하여 대량 생산하고 있다. 그래핀 플레이크는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는데, 그 중 진공여과를 이용한 적층 공정을 통해 종이형 필름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래핀 종이는 신축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어 신축성 소자 응용에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축성이 있는 그래핀 종이를 제작하기 위하여, 그래핀 종이에 주름을 만들었다. 신축성이 뛰어난 접착 필름을 미리 늘린 후, 그 위에 그래핀 종이를 붙이고, 접착 필름을 원래 상태로 놓아 주어 그래핀 종이에 주름을 만들었다. 이 때, 접착 필름에 가하는 당김 정도 및 젖은 상태에 따라 주름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관찰하였다. 특히, 그래핀 종이와 접착 필름의 전단 탄성 계수 차에 의하여 주름의 주기가 바뀌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id": "JAKO20211375990982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27.pdf", "abstract_en": "This paper dealt with multi-scale natural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wavy CNT (carbon nanotube) reinforced composites by applying the Mori-Tanaka method, rule of mixture, and Halpin-Tsai equation. By compelling benefit of an ad-hoc Eshelby tensor, the load-transfer characteristics of CNT with a waviness implanted in the polymer matrix was determined. The numerical results obtained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reported by other investigators. Furthermore, the new results reported in this paper show the interactions between CNT weight, waviness ratios and layup sequences of laminated composites. Key observation points are discussed and significant considerations are given in practical designing of CNT reinforced composites.", "abstract": "본 논문은 Mori-Tanaka법, 혼합법칙 및 Halpin-Tsai 이론식을 적용하여 굴곡진 탄소나노튜브(CNT)로 보강된 복합재의 멀티스케일 고유진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Eshelby 텐서를 이용하여 곡률을 갖는 CNT가 함유된 폴리머의 하중 전달 특성값이론을 유도하였다. 도출된 수치해석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결과는 적층 복합재의 CNT 함유량, 굴곡성 및 적층배열의 상호작용 특성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CNT 보강 복합재의 실용적 설계를 위한 중요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375990981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14.pdf", "abstract_en": "Composite structures have components and joints. Theses connections or joints can be potentially weak points in the structure. The failure mode of the composite bolted joint is designed as a bearing failure mode for structural safety.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 exhibits bearing failure mode shows a nonlinear behavior after the initial failure and progressive failure behavior. In order to accurately predict the failure behavior of composite bolted joints, this study modified the shear damage variable calculation process in the existing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model. The results of the bearing stress-bearing strain of the composite bolted joint were predicted using the modified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model, and the modified model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progressive analysis model.", "abstract": "복합재료를 활용하여 설계되는 구조물은 각 부품들의 조립, 체결부를 갖게 된다. 이러한 연결 또는 조인트는 구조에서 잠재적으로 취약 부분이 될 수 있다. 복합재료 볼트 조인트의 파손모드는 구조 안전성을 위해 베어링 파손모드로 설계된다. 베어링 파손모드로 파괴되는 복합재료 볼트 조인트의 하중-변위 관계는 초기 파손 발생 후 비선형 거동을 보이며, 점진적인 파손을 보인다. 이러한 비선형적이고 점진적인 복합재료 볼트 조인트의 파손거동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파손해석 모델에서 전단 손상변수 계산 과정에 수정을 수행하였다. 수정된 파손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재료 볼트 조인트의 베어링 응력-베어링 변형률 결과를 예측하였으며, 기존 수정되지 않은 해석모델과 비교를 통해 수정된 모델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id": "JAKO20211375990982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23.pdf", "abstract_en": "SMC(Sheet molding compound) composite is mainly used for forming of vehicle's body. Considering the car accident, it is essential to research the impact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m because the impact process is completed in a short time. Therefore, the impact damage analysis using FE(finite element) model is required for the impact behavior. The impact damage analysis requires the parameters for the damage model of SMC composite. In this paper,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is applied to obtain the parameters for the damage model of SMC composite. The surrogate model by ANN was constructed with the result in LS-DYNA. By comparing the absorption energy in drop weight test with the result of ANN model, the optimized parameters were obtained. The acquired parameters were valid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FE model and the ANN model.", "abstract": "복합재료 중에서 SMC(sheet molding compound) 복합재료는 자동차의 차체 성형에 주로 쓰이고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차량 사고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재료의 충돌 거동 및 특성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충돌은 짧은 시간에 일어나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다. 따라서 충돌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한 충돌 손상 해석이 필요하다. 충돌 손상 해석을 위해서는 SMC 복합재료의 손상 모델에 대한 파라메터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SMC 복합재료의 손상 모델에 대한 파라메터를 획득하기 위해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였다. LS-DYNA에서 파라메터에 따른 결과를 이용하여 대체 모델을 구성하였다. 자유 낙하 충돌 실험에서 얻은 흡수 에너지와 인공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흡수 에너지를 비교하여 최적화된 파라메터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파라메터를 유한요소 모델에 적용해 결과를 비교하여 파라메터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1375990983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36.pdf", "abstract_en": "3D printing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easy to make various shapes of products without a mold. However, it has a problem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vary greatly depending o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Thus, the need for research of 3D printing technology on ways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physical properties is increasing. In this study, a 3D printing thermoplastic structure was fabricated using short fiber carbon fiber reinforced nylon filaments. And a method of 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was proposed by reinforcing the outer surface using pultruded continuous fiber-type carbon fiber or glass fiber-reinforced thermosetting composite material. It was confirmed that the bending properties were improved according to the reinforcing position of the stiffener and the type of fiber in the stiffener.", "abstract": "3D 프린팅 기술은 금형이 없이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만들기 쉬운 장점이 있지만, 기존 보편화된 성형법에 비해 기계적 물성이 낮고, 소재 및 제작 조건 등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크게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높은 물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섬유 탄소섬유 보강 나일론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3D 프린팅 열가소성 구조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인발 성형된 연속섬유 형태의 탄소섬유 혹은 유리섬유 강화 열경화성 복합재를 이용해 외측면을 보강하여 기계적 물성 향상 방법을 제시하였다. 보강재의 보강 위치와 섬유의 종류에 따른 굽힘물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75990980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05.pdf", "abstract_en": "VARTM (Vacuum-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process is a low-cost process technology and affiliated with OoA (Out of Autoclave). Besides, it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However, because of its lower quality than the autoclave process, it isn't easy to apply the VARTM process to the aerospace industry, which requires high reliability. The main problem of the VARTM process is the loss of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the low fiber volume fraction and high void content in comparison to the autoclave.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o reduce void and increase fiber volume frac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method of controlling atmospheric pressure could increase the fiber volume fraction and reduce void during the resin impregnation process. Reliability evaluation was confirmed by compressive strength test, fiber volume fraction analysis, and optical microscop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step by step in the VARTM process of impregnating the preform with resin effectively increases the fiber volume fraction and reduces void.", "abstract": "VARTM(Vacuum-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공정은 OoA(Out of Autoclave)에 속하는 저가형 공정기술로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오토클레이브 공정보다 품질이 낮아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항공산업에는 적용하기 어려웠다. VARTM 공정의 주요 문제는 오토클레이브 대비 낮은 섬유부피분율과 높은 Void 함량에 의한 기계적 물성의 손실이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Void를 줄이고 섬유부피분율을 높일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지 주입 과정 중 대기압을 제어하는 방법이 섬유부피분율을 높이고 Void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신뢰성 평가는 Void와 연관성이 있는 압축강도시험, 섬유부피분율 분석, 광학현미경 촬영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VARTM 공정에서 수지 주입과정 중 대기압을 단계별로 높이는 방법이 섬유부피분율 증가와 Void 감소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75990983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32.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fiber volume fraction non-uniformity in thickness direction on the buckling load of cylindrical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we modified the equation of buckling load of the cylindrical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proposed by Vasiliev. The thickness of each layer of the rib was varied by fiber volume fraction, and material properties were applied differently by using the rule of mixture. Also, we performed linear buckling analysis by varying the structure size, thickness, and average value of the fiber volume fraction of finite element model. Finally, by comparing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buckling load of the equivalent model using the modified buckling load eq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e found that the fiber volume fraction non-uniformity in thickness direction can reduce the buckling load of the cylindrical composite lattice structur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에서 발생하는 두께 방향 섬유체적비 불균일이 원통형 복합재 격자 구조의 좌굴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Vasiliev가 제안한 원통형 복합재 격자 구조 좌굴하중 이론식을 변형하여 섬유체적비에 따른 좌굴하중 저하를 확인하였다. 섬유체적비에 따라 격자 구조 리브의 각 층의 두께를 달리하였으며, 혼합법칙을 사용하여 각 층별로 물성치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구조물 크기, 두께, 섬유체적비 평균값을 달리한 유한요소모델에 대한 선형좌굴해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론식을 사용한 등가모델의 좌굴 하중 계산 결과와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두께 방향 섬유체적비 불균일이 원통형 복합재 격자 구조의 좌굴하중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325831940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19404.pdf", "abstract_en": "Short root anomaly (SRA) is a rare dental condition with abnormally short and blunt root morphology. It mostly affects maxillary central incisors symmetrically and only has been observed in permanent teeth. A 9-year-old girl was referred from a local dental clinic for short root development in mixed dentition with no symptoms. Radiographic and intraoral examinations revealed SRA on upper and lower incisors and mandibular first molars along with other dental anomalies such as enamel hypoplasia and dens invaginatus. During long - term follow - up for 5 years, her mixed dentition has changed to permanent dentition and generalized SRA was observed in all permanent teeth. Cephalometric radiograph also revealed the calcification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clinoid processes described as a sella turcica bridge which was reported associating with dental anomalies. Early diagnosis of SRA is emphasized for successful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root resorption and tooth loss. This report aimed to present a rare case of generalized SRA along with other dental anomalies and sella turcica bridging in a female patient through long - term follow - up.", "abstract": "Short root anomaly는 비정상적으로 짧고 뭉툭한 치근 형태를 가진 드문 질환이다. 대부분 상악 중절치에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영구치에서만 관찰되어 왔다. 이 증례는 9세 여환으로 혼합치열기에 짧은 치근 발달을 주소로 개인병원에서 의뢰되었다. 방사선 사진 및 구강 내 검사에서 법랑질 저형성증과 치내치와 같은 다른 치아이상과 함께 상악 및 하악 전치부와 하악 제 1대구치에서 SRA가 관찰되었다. 5년동안의 장기추적 관찰을 통해 환아의 모든 치아들은 혼합치열기에서 영구치열기로 변화하였고 모든 영구치에서 전반적인 SRA가 관찰되었다. 교정적 진단을 위해 촬영된 측면 두부 방사선 사진에서 치아 이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전방과 후방 상돌기 사이의 석회화인 sella turcica bridge 또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여러 요소들을 통하여 치근 흡수나 치아 상실의 예방과 성공적인 관리 위해 SRA를 조기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증례 보고에서는 다른 치아이상과 sella turcica bridge와 함께 전악에 걸쳐 나타난 전반적인 SRA를 보이는 환아를 장기적으로 관찰하고 의미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id": "JAKO20212325832140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140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loc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dibular lingula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ndibular CBCT images of children aged 6 - 16 years were collected. A total of 180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6 - 7, 10 - 11 and 15 - 16 years, with 30 male and female patients per group. Either side of the ramus was analyzed. The shortest distances from the anterior, posterior, superior and inferior border of the ramus to the mandibular lingula were measure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was also measured.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occlusal plane was measured. The shapes of the mandibular lingula was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distances of the mandibular lingula from th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reference points of the ramus increased in all directions with age. The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also increased with age.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in relation to the occlusal plane moved upwards with age. The most common shape of the mandibular lingula was triangular, followed by nodular, truncated and assimilat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hape according to age. It is recommended that the horizontal insertion point of the anesthesia from the anterior border of the ramus increased to 17 mm, 18 mm, and 19 mm according to the age group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vertical insertion point increased by 2 - 3 mm, 5 - 6 mm and 9 - 10 mm above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the age group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CBCT를 이용해 소아에서 연령에 따른 하악공과 하악소설의 위치 및 하악소설의 형태를 평가하고,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고려할 수 있는 자입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잉치 발거 또는 매복치 평가를 위해 CBCT를 촬영한 만 6 - 16세의 영상을 수집하였다. 연령에 따라 만 6 - 7세, 10 - 11세, 15 - 16세의 3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군당 남녀 각 30명씩을 포함하여 총 180명의 하악지 좌우가 분석되었다. 좌우 측의 하악소설로부터 하악지의 전연, 후연, 상연, 하연까지의 최단거리를 계측하고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최단거리,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수직거리를 각각 측정하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를 기준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하악지의 전후방 및 수직적 기준점으로부터 하악소설의 위치는 연령에 따라 모든 방향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거리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 및 하악공의 거리는 연령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는 삼각형 형태가 가장 많았고 결절형, 절두형, 동화형 순이었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수평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하악지의 전연으로부터 연령에 따라 각각 17 mm, 18 mm, 19 mm로 증가된 지점이 권장되며, 수직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연령에 따라 교합평면 상방 2 - 3 mm, 5 - 6 mm, 9 - 10 mm로 자입점을 높이는 것이 권장된다."} {"id": "JAKO202112354513790",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54513790.pdf", "abstract_en": "The transition is the zone where support stiffness suddenly increases in the railway industry. If the support stiffness increases, differential settlement will occur at the transition due to difference of stiffness, and the differential settlement causes problems for the train running safety and the roadbed that supports the track. In particular, a study on differential settlement at bridge-earthwork transition was only conducted to considering railway load in most cases. However, these studies have not taken account of earthquake despite earthquake has been occurred frequently in the recent,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arthquake. Therefore,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y changing the inclination of approach block, which determines the shape of the transition, and earthwork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hape of the transition on the dynamic behavior at the bridge-earthwork transi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dynamic behavior at the bridge-earthwork transition was affected by the shape of transition.", "abstract": "철도 분야에서 구조물 접속부는 지지강성이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구간으로 갑작스럽게 지지강성이 변화하면 강성차로 인해 구조물 접속부에는 부등침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등침하는 열차의 주행안전성과 궤도를 지지하는 노반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구조물 접속부 중 교량-토공 접속부에서 부등침하에 관하 연구는 대부분 열차하중을 고려하였을 뿐 지진을 고려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 접속부의 형상이 지진 시 교량-토공 접속부의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물 접속부의 형상을 결정하는 어프로치블록의 기울기와 토공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교량-토공 접속부에서의 동적 거동은 구조물 접속부의 형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2354513795",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54513795.pdf", "abstract_en": "Various micropil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research related to micropile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with the increased use of micropiles. Among the micropile construction methods being developed, the triaxial micropile (tmp), which is recently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seismic resistance), is representative. The three-axis micropile has the advantage of a method that can resist horizontal load more effectively because three micropiles installed inclined on each axis resist horizontal loa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effectively using this pile method due to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support characteristics of the triaxial group micropile.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triaxial group micropile (tmp), it is required to evaluat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the pile. Therefore, in this study, field horizontal loading Tests were performed for each load direction, field loading Tests were verified through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riaxial micropiles were evaluated, and appropriat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was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horizontal load directions.", "abstract": "마이크로파일의 활용증가로 수행되었던 마이크로파일의 관련연구를 통해 다양한 마이크로파일이 개발되어왔다. 개발되고 있는 마이크로파일 공법들 중 최근 수평지지력(내진저항력)의 증가를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삼축 마이크로파일(Triaxial micropile, TMP)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삼축 마이크로파일은 각축에 경사지게 설치된 3개의 마이크로파일이 수평하중에 저항하므로 좀 더 효과적으로 수평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공법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삼축 마이크로파일에 대한 지지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 파일공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즉, 삼축 마이크로파일(TMP)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파일의 수평지 지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지지력 평가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중 방향별 현장수평재하시험을 수행하고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현장 재하시험을 검증하고 거동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수평하중의 방향을 고려한 적정한 수평지지력을 분석하였다."} {"id": "JAKO202111735182513",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13.pdf", "abstract_en": "The implementation of the sunset provision of unexecuted urban parks in Seoul has been postponed; however, the mentioned parks still remain vulnerable since they can be subject to development under certain circumstances. Local governments may purchase the parks to prevent their loss but are constrained due to limited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ioritize the purchase of unexecuted urban parks in Seoul based on landscape connectivity, which represents the important role of allowing the movement of wildlife and providing biodiversity in urban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used four potential scenarios (PB100, PB1, PA100, PA1), which reflects the degree of land cover change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sunset provision, and the role of Han River as a conduit or barrier for wildlife movement. Landscape connectivity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current flow betweenness centrality (CFBC). This was used to rank the importance of the unexecuted urban parks in Seoul.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sunset provision will greatly decrease the connectivity of all parks in Seoul and particularly more so for park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city.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low connectivity of Han river will diminish the connectivity around Bukhansan Mountain in the northern part of Seoul. Our study can be used for the prioritization of purchase, since it has the ability to evaluate the anticipated vulnerability of each park's connectivity after the sunset provision.", "abstract": "2020년 7월 공원일몰제 시행을 앞두고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과 관련 법률 개정을 통해 서울시 미집행 도시공원의 실효 시점이 연장되었다. 그러나 미집행 도시공원의 개발이 여전히 가능한 상황에서 공원녹지의 추가적인 토지개발이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미집행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향후 공원 내 사유지의 토지전용이 일어날 상황을 가정하고 예상되는 경관 연결성 변화에 따른 우선매입 대상지를 선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원일몰제 시행 전과 후의 토지피복 변화와 생물의 이동능력을 반영한 4가지 경관투과성 시나리오(PB100, PB1, PA100, PA1)를 작성하였다. 이들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Connectivity Analysis Toolkit의 전류흐름 매개중심성(current flow betweenness centrality) 방식으로 경관 연결성을 계산하고 미집행공원별 전류흐름 매개중심성 순위 변화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공원일몰제 시행 이후 상황을 반영한 PA1과 PA100 시나리오에서 서울시 남부에 위치한 미집행 도시공원의 전류흐름 매개중심성 순위가 크게 감소하였고, 한강을 통한 이동이 어려운 PA1 시나리오는 북한산 인근 공원에서 전류흐름 매개중심성 순위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미집행 도시공원의 환경적·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매입방안 모색에 있어 본 연구결과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173518254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40.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the forest therapy process, in which forest activities using forest therapy factors lead to immunity promotion and health promotion, was analyzed theoretically and qualitatively to refine and systemize the forest therapy concept. Research and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s of institutions related to forest therapy; 33 theses and 33 original research articles from 2000 to March 2020 were searched for forest therapy key words, as well as the prize winning work of the 2016 forest therapy experience essay. A word cloud was generated by frequency of nouns and adjectives and from the key words in the web pages, theses, articles, and the forest therapy experience essay. Through interpretation of word frequency, the systemic flow of forest therapy was defin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ource of forest therapy's power was a positive experience of the forest and an improved attitude toward nature as well as forest therapeutic factors. The therapeutic effect is maximized through the forest healing program, leading to physical and mental resilience and resistance; consequently, health and immunity are promoted. From this study, forest therapy is proposed as \"a health promotion activity for the psychological, physical, and spiritual resilience of the subjects through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forest, positive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 the forest.\"", "abstract": "본 연구는 산림치유인자를 활용한 숲 활동이 면역력증진과 건강증진으로 이어지는 산림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이론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산림치유 개념을 정밀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분석자료는 산림치유 관련 기관 웹사이트와 2000년에서 2020년 3월까지 산림치유로 검색되는 33편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33편의 전문학술지 논문의 주요어, 2016년 산림치유 체험수기 공모전 입상작에 나타난 명사와 형용사 빈도수에 근거하여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단어 빈도수를 근거로 한 해석으로 산림치유 요인을 도출하고 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추론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산림 치유력의 원천은 산림치유인자와 함께 숲에 대한 긍정적 경험과 자연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효과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을 통해 극대화되고, 신체적 정신적 회복력과 저항력으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건강증진, 면역력 증진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란 \"대상자들의 숲에 대한 긍정경험 및 태도와 산림의 환경요소를 매개로 대상자들의 심리적, 신체적, 영적 회복력을 위한 건강증진 활동\"이라 제안한다."} {"id": "JAKO20211173518250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08.pdf", "abstract_en": "In this research, monoterpene emissions were investigated from pine trees(Pinus densiflora) and in the forest air in Simwon village at the Jiri Mountain. Air samples from an enclosed chamber and pine forest air were collected using a Tenax TA Tube five times a day(at 09:00, 11:00, 13:00, 15:00, and 17:00) on 1 day per month from March to November 2014. Selected needles and branches from individual pine trees were enclo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ir monoterpene emissions. The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emitted monoterpenes were analyzed in a time series. The major components of monoterpenes emitted from pine trees were α-pinene, β-myrcene, β-phellandrene, and β-pinene. Seasonal data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monoterpenes emitted from pine trees began increasing in June and reached its peak in August, decreasing thereafter. In addition, seasonal emissions of monoterpenes were dependent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The major species of monoterpenes in forest air were α-pinene, β-pinene, and camphene. The concentration of monoterpenes in forest air began rising from March to April and reached its peak in May; multiple peaks subsequently formed in July and November. Diurnal variation in monoterpenes decreased from 09:00-10:00, reaching a low and high at 13:00-14:00 and 17:00-18:00, respectivel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4년 3월부터 11월까지 지리산 심원마을에서 enclosure chamber를 이용하여 소나무 잎과 가지에서 방산되는 monoterpene과 숲 공기 중의 monoterpene의 농도 변화와 물질에 대해서 시계열 분석을 하였다. 소나무 잎과 가지에서 방산되는 주요 monoterpene 물질은 α-pinene, β-myrcene, β-phellandrene, β-pinene으로 나타났다. monoterpene 방산량은 6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간별 monoterpene 방산량은 13:00~14:00, 15:00~16:00, 09:00~10:00 순서로 높게 나타냈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monoterpene의 농도는 증가하였고 특히 20℃ 이상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숲 공기 중에 존재하는 monoterpene의 농도는 3월, 4월 증가해서 5월 최고점을 나타냈고 7월과 11월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숲 공기 중 monoterpene의 주요 물질은 α-pinene, β-pinene, camphene으로 잎과 가지에서 방산되는 monoterpene 물질과 차이가 있었다. 소나무 잎과 가지에서 방산되는 monoterpene 농도는 13:00~14:00, 15:00~16:00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숲 공기 중에서는 09:00~10:00에 높았던 농도가 감소하면서 13:00~14:00 시간에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17:00~18:00이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id": "JAKO202111735182553",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5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insect pest communities and major insect pest specie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mong 30 cultivars of Hibiscus syriacus. Insects on H. syriacus wer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over 3 years (from 2018 to 2020) in Busan and Suwon. Except for Aphis gossypii (79,059 and 23,654 individuals in Busan and Suwon, respectively), 20 species (1,147 individuals) and 31 species (2,240 individuals) were found in Busan and Suwon, respectively. The number of insect pest species and individuals did not differ among H. syriacus cultivars, bu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study locations. The dominant insect pest species were A. gossypii, Rehimena surusalis, Rusicada privata, Halyomorpha halys, Haritalodes derogata, Dolycoris baccarum, and Plautia stali;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dominant species differed according to study location and year but not among H. syriacus cultivars. In summary, insect pest communities did not differ among 30 H. syriacus cultivars, but the matrix of surrounding environments where H. syriacus are planted may be more important.", "abstract": "본 연구는 나라꽃인 무궁화의 주요 품종별 해충상을 조사하고, 무궁화 30품종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밀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수원과 부산에서 육안조사법으로 해충상을 조사한 결과, 개체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목화진딧물을 제외하고 부산에서는 20종 1,147개체의 해충이 채집되었고, 수원에서는 31종 2,240개체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품종에 따른 종수와 개체수 차이는 없었으나, 지역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 우점종은 목화진딧물, 점노랑들명나방, 왕붉은잎큰나방, 목화명나방, 썩덩나무노린재의 순이었다. 우점종의 발생 역시 품종 보다는 조사 지역과 연도에 따른 차이만 있었다. 결론적으로 무궁화의 품종 차이가 해충상 및 주요 해충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무궁화가 식재된 주변 환경의 차이가 해충상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173518253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36.pdf", "abstract_en": "We developed smartphone application and web application server to acquire and effectively manage tree measurement information. Smartphone applications can measure tree height,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zimuth, altitude, slope, and positional coordinates using augmented reality (Google AR core) and motion sensors. The web application server effectively manages and stores measurement information. To evaluat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cquired using a smartphone, 90 Korean pine trees (Pinus koraiensi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natural mixed forest, with a total of 90 representative trees randomly collected from a natural mixed forest. Then, height and DBH were measured using a Haglof Vertex Laser Hypsometer and caliper. Comparisons of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results at the 95% level and a very high average correlation of 0.972 for both tree height and DBH. In terms of DBH, the average errors were 0.6745 cm and 1.0139 cm for artificial coniferous and natural mixed forests, respectively.",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임목 정보를 측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를 개발하였다. 수고, 방위, 고도, 경사, 위치 좌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동작센서를 통해 취득된 각도를 삼각법에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흉고직경 및 거리는 Google AR Core에서 제공하는 AR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응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스마트폰이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조회, 출력하고 수목의 위치를 카카오 맵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 침엽수림에서 잣나무 90본, 천연 혼효림에서 무작위로 90본을 선정하여 버텍스 및 윤척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흉고직경과 수고 모두 95%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흉고직경의 경우 인공 침엽수림이 평균 0.6745 cm, 천연 혼효림에서는 평균 1.0139 cm의 오차를 보였다. 수고는 인공 침엽수림이 평균 0.6714 cm, 천연 혼효림은 평균 1.3297 m의 오차를 보였다."} {"id": "JAKO202111735182503",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0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Seondalsan, Bongwha-gun, was analyzed.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in 137 quadrat plots using the Z-M phytosociological method from June to October 2018.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vegetation classification, importance value,and species diversity. Consequently, vegetation was classified as 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that was divided into four communities: Cornus controversa, Phlomis umbrosa, Pinus densiflora, and Q. mongolica communities. The C. controvers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Magnolia sieboldii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groups; the P. densiflora community was divided into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Quercus variabilis, and P. densiflora groups. In the C. controversa community, the M. sieboldii group was divided into the Acer mandshuricum and M. sieboldii subgroups, whereas the P. tricuspidata group was divided into the Larix kaempferi, Pinus koraiensis, and P. tricuspidata subgroups. In the P. densiflora community, the V. hirtum var. koreanum group was divided into the Rhododendron micranthum and V. hirtum var. koreanum subgroups. According to importance value analysis, C. controversa, L. kaempferi, P. koraiensis, Q. mongolica, Acer pictum subsp. mono,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were mainly indicated to have high value in the tree layer. The species diversity of Mt. Seondalsan was 1.969, which was greater than that of another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abstract": "본 연구는 봉화 선달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산림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2018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137개의 조사구에서 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각 식생단위별 중요치와 종다양도를 산출하였다. 군락군 수준에서 산림 식생유형은 신갈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수준에서는 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속단군락, 소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수준에서는 층층나무군락의 하위단위로 함박꽃나무군과 담쟁이덩굴군, 소나무군락의 하위단위로 산앵도나무군, 굴참나무군, 소나무전형군으로 구분되었다. 소군수준에서 함박꽃나무군은 구성종의 차이에 의해 복장나무소군과 함박꽃나무전형소군으로, 담쟁이덩굴군이 일본잎갈나무소군, 잣나무소군, 담쟁이덩굴전형소군으로, 산앵도나무군이 꼬리진달래소군과 산앵도나무전형소군으로 다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 층층나무,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소나무, 굴참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선달산 유전자원보호구역의 종다양도는 1.969으로 다른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비해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id": "JAKO20212325832640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6407.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ong-term outcomes of teeth treated with reattachment techniqu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wenty seven permanent anterior teeth from 21 patients treated with fragment reattachment were evaluated. Clinical photos and medical records were used to assess treatment outcomes. Effect of pulp treatment and the ratio of fragment on success rat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Detachment of fragment was observed in 17 teeth, and their duration of retention was 21.41 ± 23.39 months. Repeated trauma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causes of failure. Pulp treatment before reattachment did not affect the success rate (p > 0.05). The mean ratio of fragment was 0.482 ± 0.147, and the success rate was affected by the ratio of fragment (p = 0.018). The median retention time of the teeth was 72 months if the ratio was under 0.5, and 8 months for that of the other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ratio of fragment and retention time (p = 0.003). Reattachment can be a predictable treatment option for crown fracture in anterior tee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en a fracture involves less than 50% of the clinical crow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및 청소년의 영구치 치관 파절시 파절편 재부착술의 추적 관찰 결과를 평가하고자 함에 있다. 21명의 27개의 영구치 파절편 재부착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사진, 방사선 사진 및 의무기록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파절편 탈락은 총 17개 치아에서 관찰되었으며 반복적인 외상이 가장 빈번한 실패 원인이었다. 파절편 재부착술과 치수치료 시행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 > 0.05). 평균 파절편 비율은 0.482 ± 0.147이며 성공률은 파절편 비율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18). 평균 파절편 유지 기간은 72개월이며 파절편 유지 기간과 파절편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03). 소아 및 청소년의 영구치 치관 파절시 파절편 비율이 50% 미만인 환자에서 파절편 재부착술은 예측 가능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id": "JAKO20212325833541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35411.pdf", "abstract_en": "Dilacerations generally involve central incisors; most often maxillary incisors rather than their mandibular counterparts. The clinical features of dilaceration include non-eruption of the responsible tooth or prolonged retention of the deciduous predecessor tooth. In Case 1, the tooth showed a dilacera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rown and the root, more laterally rather than labiolingually. In Case 2, the dilacerated tooth showed a crown dilaceration with a relatively normal orientation of the dental root. In both cases, no significant space losses for eruption were observed. Moreover, it seems that unlike the maxilla with the palate,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are limited to show severe displacement. From these cases, it is suggested that if a mandibular permanent incisor shows a crown dilaceration or lateral dilacera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rown and the root, there is a relatively high probability of spontaneous eruption of the dilacerated tooth.", "abstract": "치아 만곡은 치아의 치관부 혹은 치근부에서 발생한 장축의 갑작스러운 굽힘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선행 유치에 대한 기계적 외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만곡된 치아는 종종 맹출 장애를 동반한다. 치아 만곡은 하악에서 드물게 발생하지만, 함입과 같은 심한 외상성 손상 이후에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두 명의 환아에서 확인된 선행 유치의 함입성 외상 이후 발생한 하악 영구 중절치에서의 만곡에 대한 증례를 보고하고 있으며, 두 증례 모두에서 만곡 치아의 자발적 맹출이 관찰되었다. 첫 번째 증례는 치관과 치근의 경계부 주위에서 측방치근만곡을 보였으며, 두 번째 증례는 치관만곡을 보였다. 본 증례를 통해서 유치의 외상 이후 하악 영구 중절치에서 치관부 만곡 혹은 치관과 치근 경계부에서의 측방만곡이 관찰된다면, 만곡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해 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2325832940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9408.pdf", "abstract_en":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and skeletal maturation in growing children aged 7 - 15 years and predict the maturational stages of the midpalatal suture corresponding to skeletal maturity assessed by the skeletal maturation indicators (SMI) and middle phalanx of the third finger (MP3) stages. The group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sisted of randomly selected 132 male and 135 female in age from 7 - 15 years. The maturation of the midpalatal suture was evaluated by using images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while the skeletal age was assessed by hand-wrist radiography. CBCT images and hand-wrist radiographs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all subjects for orthodontic diagnosis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The maturational stages of the midpalatal suture showed strong correlations with both SMI and MP3 stag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and SMI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ϒ = 0.905, p < 0.05) was slightly greater than that of MP3 stages (ϒ = 0.830, p < 0.05). There was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and chronological age (ϒ = 0.868,p < 0.05). CBCT for evaluation of the midpalatal suture maturational stages may be unnecessary in every pediatric patients because SMI and MP3 stages were both replaceable useful methods for assessing maturation of the midpalatal suture before orthopedic treatment.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diagnostic reliability of the SMI method for estimating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showed better reliability than the MP3 method.",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7세부터 15세 사이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와 SMI 및 MP3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수완부 골 성숙도와 중지의 중절골 성숙도가 정중구개봉합 성숙 단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번 연구 대상은 무작위로 선택된 7세부터 15세 사이 남자 132명과 여자 135명으로 교정 치료 전 교정 진단을 위해 촬영 되었던 CBCT 수평면 영상 이용하여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를 5단계로 평가하였고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 성숙도를 평가하였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SMI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는0.905, MP3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는 0.830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연령의 상관관계는 0.868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번 후향적 연구를 통해 골 성숙도 평가를 위한 SMI와 MP3 방법은 정중구개봉합 성숙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증명 되었으며 SMI 방법이 MP3 방법보다 더 나은 신뢰성을 보였다. 따라서 정중구개봉합 성숙도 평가가 필요한 모든 소아환자들을 대상으로 CBCT촬영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으며 CBCT와 대체 가능한 SMI 와 MP3 방법은 최소의 방사선 피폭으로 간단하게 성장기 아동의 악정형 장치의 최적의 치료 시기 결정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2325833140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31409.pdf", "abstract_en": "Microcephalic osteodysplastic primordial dwarfism type II (MOPD II) is an autosomal recessive inherited disorder form of primordial dwarfism, caused by mutations in the pericentrin gen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of the tooth affected with MOPD II. The mandibular 2nd molar was collected from the MOPD II patient. Micro-computerized tomograph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spectrometry and Vickers microhardness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MOPD II and the normal control. The morphology of the MOPD II tooth appeared to have malformed pulp and root and showed a small size. Th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showed that the MOPD II tooth had similar scores in the enamel, but lower scores in the root 1/2 and apical denti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The microhardness values were smaller in the cusp enamel, root 1/2 dentin and apical dentin of the MOPD II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In this study, the d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tooth affected with MOPD II were analyz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oral manifestations of the disease and to assist in proper dental treatment by identifying precautions.", "abstract": "소두증 골형성이상 원발성 왜소증 제 II 형(MOPD II)은 원발성 왜소증의 일종으로 pericentrin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이번 연구는 MOPD II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소견과 더불어 치아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미세구조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MOPD II 환자의 발치된 하악 제2대구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미세 전산화 단층 촬영, 주사형 전자 현미경과 에너지 분산형 분광분석법 및 비커스 미세경도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OPD II 치아는 정상 치아와 비교 시 치근 및 치수의 이형성을 보였으며 크기가 작았다. 치아의 무기질 밀도는 법랑질에서는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상아질에서는 치근 1/2 및 치근단 부위에서 MOPD II 치아가 정상 치아보다 작게 나타났다. 미세경도의 비교 시 교두 법랑질과 치근 1/2 및 치근단 부위의 상아질에서 MOPD II 치아의 미세경도가 정상 치아보다 작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MOPD II의 치과적인 특징 및 치아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질환의 구강 내 소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치과 치료 시 주의점을 확인하여 적절한 치료를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id": "JAKO20212325832540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5406.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by comparing Class II restoration using flowable resin composite with stainless steel crown in primary molars.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1,504 primary molars with proximal caries of 590 patients from June 2015 to August 2019 were analyzed. With the collected data,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The 1-year survival rate of flowable resin composite in the primary molar was 98.5%, 3-year survival rate was 87.7%, and mean survival time was 39 month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lowable resin composite and stainless steel crown (p = 0.896).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Class II restoration using flowable resin composite can be considered a promising option for the treatment of proximal caries in primary molar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환자의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치료에 유동성 복합레진을 이용한 II급 와동 수복물의 생존율을 기성금속관과 비교하여 후향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2015년 6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인접면 우식증으로 진단되어 유동성 복합레진과 기성금속관 수복 치료를 시행한 590명의 1,504개의 유구치에 대한 전자의무기록과 방사선사진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해 생존 분석을 하였다. 유동성 복합레진 수복된 치아의 1년 생존율은 98.5%, 3년 생존율은 87.7%, 평균 생존기간은 39개월이었으며, 기성금속관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896). 현 연구의 한계 내에서 유동성 복합레진을 이용한 II급 수복은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치료의 예지력 있는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id": "JAKO20212325832240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240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upper airway dimensions in skeletal Class II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otal, 67 patients were selected. Airway volume and minimal cross-sectional area were three-dimensionally assessed. Craniofacial morphology and skeletal maturity were assessed on generated two-dimensional cephalograms. The measurements were analyzed using Mann-Whitney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pper airway dimensions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pre-peak stage group,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age. Anterior facial height and age were the most relevant factors for airway volume. Mandibular width and age were the most relevant factors for minimal cross-sectional area. Upper airway dimension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skeletal maturity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all three plane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골격성 2급 부정교합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공간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총 67명의 골격성 2급 소아·청소년의 CBCT영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기도 부피와 최소 단면적은 3차원 CBCT 영상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악안면 형태와 골 성숙도는 2차원 두부방사선사진을 통해 평가하였다. 상기도 부피 및 최소 단면적과 다양한 변수들간의 연관성이 분석되었다. 상기도 공간은 최대 성장기 이전의 환자에서 가장 작았으며, 연령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기도 부피는 전안면 고경 및 연령과, 최소 단면적은 하악 폭경 및 연령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골격성 2급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공간은 연령, 골 성숙도, 세 평면에서의 악안면 형태와 유의한 연관성을 가졌다."} {"id": "JAKO20212325832340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3406.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distraction on pain and anxiety in children during local anesthesia. Local anesthesia was administered to 3 groups: a control group without distraction, a group watching TV, and a group using a virtual reality device. The pulse rate and oxygen saturation rate were measured before and at the time of local anesthesia to assess the patients' pain and anxiety, and the Wong-Baker Faces Pain Rating Scale was completed after local anesthesia. The group using the virtual reality device had a significantly lower heart rate change and lower Wong-Baker Faces Pain Rating Scale sc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watching TV (p < 0.05). The greatest difference in heart rate change and Wong-Baker Faces Pain Rating Scale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virtual reality distraction groups, was seen in 5 - 7-year-olds and a Frankl's behavior rating scale grade of 3. The virtual reality device alleviated pain and reduced anxiety in children during local anesthesia.", "abstract": "이번 연구의 목표는 virtual reality 주의분산이 국소마취 시 소아의 통증과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주의분산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천장 모니터를 이용해 TV를 시청한 군, virtual reality 기기를 이용한 군으로 나누어 국소마취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통증과 두려움을 평가하기 위해 국소마취 전과 국소마취 시점에 심박수와 산소포화도가 각각 측정되었으며 국소마취 후에 Wong-Baker Faces Pain Rating Scale이 기록되었다. 대조군과 TV를 시청한 군에 비해 virtual reality를 이용한 군은 심박수 변화량과 Wong-Bakers Faces Pain Rating Scale이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연령군별 비교에서는 5 - 7세 어린이에서, Frankl 행동평가척도별 비교에서는 3등급의 어린이에서 virtual reality를 사용한 군과 대조군 사이에 가장 큰 심박수 변화량과 Wong-Bakers Faces Pain Rating Scale의 차이를 나타냈다. 소아 환자의 국소마취 시 virtual reality 장치가 통증과 두려움의 완화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효과적인 주의분산 매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673943524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35245.pdf", "abstract_en": "With the recent growing interest in eco-friendly cars, as interest in eco-friendly cars increases, interest and purchase of hydrogen fuel cell vehicles that do not emit pollutants are increasing. Recently,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the expansion of hydrogen charging station and localization of core parts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hydrogen energy dissemination policy.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hydrogen flow control valve were investigated. As the differential pressure increases, the mass flow rate and flow coefficient tend to be different from the volume flow rate.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affects the hydrogen temperature due to the nozzle effect in the bottleneck section, and the change in density affects the mass flow rate.", "abstract": "최근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수소연료전지 차량에 대한 관심과 구매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수소에너지 보급정책에 따라 수소충전소의 확충과 핵심부품의 국산화를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중에서도 수소 유량제어 밸브의 차압에 따른 유동특성을 연구하였다. 차압이 높아 짐에 따라 질량유량과 유량계수는 체적유량과 다른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병목 구간에서의 노즐효과로 인해 수소온도에 영향을 주게되고, 밀도의 변화를 일으켜 질량유량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id": "CFKO202121751644354",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44354.pdf", "abstract": "산업 패러다임과 트랜드의 변화 속에서도 저성장, 고령화는 뉴 노말 시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자도생이 필요하며, 결국 창업이 대세인 시대가 되었다.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많은 준비와 실패 노하우의 축적이 필요하나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우리 사회분위기상 이는 쉽지 않다. 조사에 따르면 창업 장애요인으로 '창업실패 및 재기에 대한 두려움', '창업 준비부터 성공까지의 생계유지'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을 줄이는 방법으로 Hybrid창업을 제시할 수 있으나 국내 많은 기업이 직장인의 겸직을 제한하는 탓에 Hybrid창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고 관련 연구도 거의 없는 수준이다. 그러나 52시간 근무제로 직장인이 투잡(two-job)을 통한 수익창출 기회는 증가하였고, 고용불안과 은퇴이후를 고민하는 직장인들이 우회 창업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Hybrid창업 현상은 조기은퇴, 고령화의 영향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연구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Hybrid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창업가 특성, 창업역량, 경력지향성과 Hybrid창업의도간의 관계와, 직장인의 조직불안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id": "CFKO202121751614347",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14347.pdf", "abstract": "세계적으로 창업 생태계가 구축되면서 기술창업 분야가 두각을 보이고 있다. 기술창업은 기술력을 통한 지속력뿐 아니라 혁신적으로 변화를 진행시키므로 기술에 대한 투자 동향을 날이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함께 주목되고 있는 분야가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소셜벤처이다. 특히 UN에서 발표한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의 경우 필수적으로 사업 비즈니스 모델적으로 채택된 분야를 갖고 있어야하며 비재무적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인 ESG 또한 필수적인 사회적 가치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술 역량을 내세웠을 때와 사회적 가치를 내세웠을 때 투자자들은 어떤 역량과 특성을 더 선호하며 투자 유무가 결정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결국 기술 역량 또는 사회적 가치 둘중 하나를 내세운다는 것은 기업의 이미지를 나타내는것과 같은 의미이다. 이에 기술역량과 사회적 가치가 기업이미지를 유능 또는 따뜻함 중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투자 유무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창업 기업 기술 범위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바이오(Bio)로 총 4개로 분류하였다. 기술 창업의 기술범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기술창업에서 기술역량 또는 사회적 특성을 내세웠을 때 기업이미지가 유능하게 보여지는지 따뜻하게 보여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업이미지가 유능함 또는 따뜻함으로 비춰졌을 때 벤처투자에서 투자 유무가 결정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검증 방법에서는 벤처투자자가 아닌 창업교육을 이수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의투자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id": "CFKO202121751623349",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23349.pdf", "abstract": "'양손잡이 조직(Organizational Ambidexterity)'은 새로운 기회를 찾고 위험을 감수하며, 신제품이나 신사업을 개발해 가는 탐색(Exploration) 역량과, 최소한의 리스크와 보유한 자원을 토대로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를 중심으로 효율성을 높이는 활용(Exploitation)적 혁신을 동시에 추구하는 조직의 능력으로 경영자들이 비즈니스 환경의 난기류와 다차원성에 대처하도록 권고하는 개념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의 양손잡이 역량 균형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양손잡이 역량이 실제 스타트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는데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탐색(Exploration)과 활용(Exploitation)의 적절한 균형(Balance)을 중심으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환경적 동태성(Environmental Dynamics)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실제로 선행 연구를 통해 탐색(Exploration)과 활용(Exploitation)에 모두 관여하는 양손잡이 기업들이 하나에 집중하는 기업보다 우수한 성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색(Exploration)과 활용(Exploitation)의 적절한 균형(Balance)을 유지하는 것이 생존과 번영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원이 부족한 스타트업의 경우 부족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양방향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은 경영 능력과 역량에 달려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생존을 위해 탐색과 활용의 균형을 맞추고 효과적인 조직을 구축해 양손잡이 조직으로 거듭나야만 한다. 양손잡이 조직에 대한 연구 이론은 보통 여유 자원이 높은 대기업을 기준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여유 자원의 수준이 낮은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을 위한 양손잡이 조직의 의미와 이러한 기업들이 추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실행방안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을 위한 전략적 방향 설정을 제시할 수 있으며,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스타트업의 양손잡이 역량과 기업성과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학술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d": "CFKO202121751617348",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17348.pdf",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자립과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 정책과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정부는 현재 생활밀착형 북한이탈주민 정책 추진 기조하에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방향으로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창업지원 프로그램은 여전히 소규모로서 지원 분야를 다양화하고 예산을 증액 하는 한편, 지원 체계도 중앙-지방-민간 간 유기적으로 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창업의지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목적으로 하며,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잔존하는 사회주의 가치체계와 이들의 사회적응성 요인을 기존 연구에서 확인되었던 개인의 성격적 특성, 경제적 지지, 자아성취욕구 요인들과 함께 분석모형에 포함하여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원에서 교육 중인 18세 이상 북한이탈주민 22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선형회귀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모형분석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2개의 분석 모형에서 일관된 결과가 도출됨에 따라 분석결과의 강건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주의 가치체계가 약할수록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id": "CFKO202121751606346",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06346.pdf", "abstract": "생명보험산업 중 MDRT이라는 조직은 보험설계사 중에서 뛰어난 실적을 올린 사람 중 클레임이나 사회적으로 문제점이 없는 사람들이 가입하는 모임으로 보험업계에 설계사들은 MDRT 조직의 회원을 목표로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목표는 인간 행동원인을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동기변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취와 직접적 관련이 있다. 목표에 대한 성취는 개인적 목표와 일치할 때만 행동을 활성화 시킨다. 관련 연구들은 목표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정도를 점검을 통해서 미래목표가 현재와 미래 간의 관계를 설정하도록 도와준다고 하였다(Miller & Brickman, 2004). 이는 보험업계에서 MDRT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험산업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과정에서 보험설계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제한적일 수 있으며, 조직의 지원이 실질적인 성과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보헙업에서 개인역량과 조직의 지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며, 더불어 목표지향성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CFKO202121751612347",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12347.pdf", "abstract": "기술을 기반으로 스타트업을 시작한 창업자들은 벤처캐피탈(VC) 등 기술기반 벤처기업에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오로지 기술만을 평가하여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고 오해하기 쉽다. 그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기술 벤처기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투자자에게 투자를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기술 벤처기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어떤 관점에서 투자를 진행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봄으로써 기술 기반으로 스타트업을 시작한 창업자가 투자유치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 지에 대한 지침을 주고자 한다."} {"id": "CFKO202121751607346",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07346.pdf", "abstract": "2020년 8월 중소벤처기업부는 '20년 상반기 벤처기업 및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일자리 동향, 벤처투자 및 펀드결성 동향 등을 분석한 결과 '20년 상반기 혁신 벤처·스타트업의 투자는 줄었지만, 일자리는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전년 동월대비 1.3%(35.2만명)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경제성장률 감소폭이 적었던 것은 창업기업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중소벤처깅업부, 2020). 예비 창업기업 및 초기 창업기업을 위한 전문보육 및 투자를 맞춤형 패키지로 지원하는 엑셀러레이터의 역할은 대중화된 창업생태계 속에서 기대효과가 크다(김선우, 2015). 2020년 8월에 개정된 벤처투자총진법 시행은 액셀러레이터의 제도가 구체화 되고 초기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가 보다 활발해져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해 질 것을 기대된다. 이러한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관심은 선행연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국내의 엑셀러레이터는 빠른 확산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며, 엑셀러레이터의 지원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가 요구되고 있다(김용재, 2014). 액셀러레이터 지원 및 역량과 초기창업기업 성과 간의 연관성을 연구할 필요한 연관성이 있다고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이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로부터 보육 및 투자지원을 받은 초기창업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초기 창업기업 성과와 액셀러레이터 지원간에 관계에서 액셀러레이터 역량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자 한다."} {"id": "CFKO202121751641353",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41353.pdf", "abstract":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변화와 식량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농업화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농촌에서의 노령화에 따른 노동력부족은 스마트팜을 비롯한 디지털농업화를 더욱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고 농업이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많은 변화와 정책적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진털농업화에 따른 농업경영체의 기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를 정부지원정책 프로그램 활용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경영체의 디지털기술혁신지향성, 운용혁신지향성, 생태계건강지향성, 기업가정신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불확실한 환경 하에서 정부의 프로그램 중에서 재정적지원과 기술개발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기업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id": "CFKO202121751642354",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42354.pdf", "abstract": "최근의 코로나19 사태로 관광·항공업계가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항공업계의 대안 중 하나는 화물운송이다. 항공사들은 여객수요 급감으로 인한 매출감소 폭을 줄이기 위하여 화물운송 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항공화물운송은 타 운송과 구분되는 제반 특성으로 인하여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항공화물운송 대리점(forwarder)은 수출과 수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중요한 비즈니스 파트너인 항공사와 수출입자와 우호적인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계속 유지해야 한다. 사회적 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은 이러한 관계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거래당사자 간의 거래규모나 거래기간, 거래빈도 등의 유형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신뢰와 몰입, 애착 등의 무형적인 측면의 교환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류서비스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규명하고 운송기업 및 화주기업과의 사회적 교환행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한다. 둘째, 이러한 사회적 교환행동이 물류서비스기업의 다양한 경영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각 구성원 간의 관계기간에 따라서 이러한 영향력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많은 기존연구에서 구분되었던 신뢰(trust)와 몰입(commitment) 개념을 통합함으로써 연구모형의 간결성(parsimony)과 실용가능성(practicality)을 제고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운송기업 및 화주기업에 대한 물류서비스기업의 사회적 행동이 신뢰에 기반한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지, 경영성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관계기간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창업 물류서비스기업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id": "CFKO202121751636352",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36352.pdf",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에 벤처 창업 자금이 많이 제공되나 실제로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기투자의 딜레마 문제를 연구하였다. 기술기반 스타트업은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규 시장을 형성하면서 일자리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국민경제에서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해 국내에서는 초기 스타트업이 기술이전 후 창업으로 연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국내 벤처창업 생태계에 정부 자금의 공급이 넘쳐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단계 기업들은 자금 투자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다수가 자기자본으로 시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창업벤처 및 육성 지원책을 고찰하고, 국내 벤처캐피털 투자현황을 분석하여, 초기 단계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위해 투자 방식의 개선, 투자 주체의 확대, 그리고 투자 유형의 다변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벤처생태계의 초기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필요한 조사와 방안을 제시하였다."} {"id": "CFKO202121751624350",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24350.pdf", "abstract": "반려인 1,000만명 시대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26.4%가 반려동물 양육가구이고 매년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 산업규모는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2027년에는 6조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그 중 반려동물병원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산업의 규모는 41.8%로 추정된다. 반려동물 산업의 성장으로 반려동물병원도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병원은 점점 다양화, 전문화, 대형화되어 가고 있으며, 병원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구는 점점 다양화, 세분화, 고도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 반려동물병원들은 고객만족 중심의 서비스와 경영 환경 개선에 관심을 갖고, 고객의 충성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렇듯 급변하고 경쟁적인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지만, 관련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병원의 선택속성과 이용만족에 관한 연구를 동물병원의 선택속성을 측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반려동물병원의 경영 실무자들에게 고객의 이용만족을 높이기 위해 어떠한 요인에 더욱 집중하고, 관리해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반려동물 산업의 관계자들이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보호자에 대해 이해를 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id": "CFKO202121751611347",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11347.pdf", "abstract": "최근 4차산업혁명으로 산업계에 전반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과 코로나19로 인한 장기적인 경기 불황의 여파로 대응 역량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경영혁신과 함께 조직구성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성장과 조직구성원의 역량 향상은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와 동기부여를 통해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조직성과를 창출하려는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중소기업의 조직문화와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잡 크래프팅의 매개 역할 여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중소기업의 잡 크래프팅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잡 크래프팅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불확실한 경영환경 아래서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새로운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잡 크래프팅을 매개변수로, 그리고 조직구성원의 핵심 역량으로 요구되고 있는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id": "CFKO202121751610346",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10346.pdf", "abstract": "전자상거래는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기술적 발달과 함께 COVID-19로 촉발된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다시 한번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상공인들을 비롯한 판매자들은 전자상거래에 참여하여 판매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상거래와는 달리, 온라인에서의 판매는 디지털 데이터를 비롯하여 정보통신(IT)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용이한 특징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판매자를 돕기 위해 개발된 판매 보조 도구가 실제로 온라인에서 판매자들의 실적을 돕는지 알아보고, 이에 따라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사는 판매자의 판매를 어떤 방식으로 도와 성공적으로 플랫폼을 운영할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적인 경제 효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에서 판매자에게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도구들이 제공되어 이를 사용할 경우에 판매액(매출)를 비롯한 다양한 성과 측정 척도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이루어지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엄밀한 분석을 위해 성향점수매칭법과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판매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 전자상거래 판매자에게도 유효한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고, 나아가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사에게도 경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id": "CFKO202121751643354",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43354.pdf", "abstract": "현대인들은 학업, 취업, 업무, 장수 스트레스 등 연령대별로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최근 코로나19와 관련한 걱정과 두려움, 불안, 우울을 느끼는 국민이 늘어나면서 자살시도도 증가세에 있다. 치유농업은 이러한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농촌자원들을 활용하여 사람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고 기획된 프로그램을 통해 치유할 수 있어 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치유농업은 2020년 3월 치유농업 관련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인 활성화가 예상되고 있으나 치유농업에 대한 다양한 학술적인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유농업 체험자를 대상으로 치유농업프로그램의 유형이 체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기능적이미지와 감정적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에 치유농업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유형인 원예치유, 동물매개치유, 음식치유, 숲치유 4가지를 선정하였고 종속변수에 체험만족도를 선정하여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기능적이미지와 감정적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id": "CFKO202121751609346",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09346.pdf", "abstract":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가 대 격변기에 있다. 경기 위축과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어 많은 기업과 가게 등 경제 주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업을 계획한다면 실패에 대한 많은 심리적 부담을 갖게 될 것이기에 더욱더 위험을 감수하고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려는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기업가의 태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가의 심리적 특성 변수라 할 수 있는 기업가정신과, 창업할 때 기업가가 갖고 있는 창업실패두려움 그리고,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을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세 가지 하위변수로 구분하였으며, 창업실패두려움도 재무적손실 두려움, 심리적손실 두려움, 경력손실 두려움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하위변수들이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창업 상황에서 일종의 자신감이라 할 수 있는 창업자기효능감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관계에서, 창업실패두려움과 창업의도관계에서 어떠한 매개적 역할을 하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창업 분야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실패두려움, 창업자기 효능감의 역할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id": "JAKO20210913547310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101.pdf", "abstract_en": "In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as a technology for reducing the weight of parts to reduce energy and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of ships is required, a method of applying fibers-reinforced composites which is high-strength lightweight materials, as part materials can b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ibers-reinforced composites to the pipe support clamps was evaluated to reduce the weight of LNGC. The fibers-reinforced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using carbon fibers and glass fibers as reinforcing fibers.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program, the properties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and the matrix materials of the composites were inversely calculated, and the performance predic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roperties of each fiber lamination pattern. In additi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clamp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s was perform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ttention is needed in selecting the thickness when applying the fibers-reinforced composites of the clamp for weight reduc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easy to change the shape of the structure and change the structure for weight reduction in future supplementary design.", "abstract": "조선해양 산업에서 선박의 에너지 절감과 운항효율 향상을 위한 부품의 경량화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서, 고강도의 경량소재인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부품소재로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NGC 경량화를 위해 파이프 지지용 클램프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를 강화섬유로 하여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제조하였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복합소재의 강화재료와 기지재료의 물성을 역계산하여 섬유 적층 패턴별 물성 변화에 따른 성능 예측을 수행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를 통해 복합소재 두께에 따른 클램프의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경량화를 위해 클램프의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적용시 두께 선정에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보완 설계 시 구조물의 형상변경 및 경량화를 위한 구조변경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913547311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119.pdf", "abstract_en": "This paper aims to reduce weight by replacing the reinforcements of the B-pillar used in vehicles with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and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from the existing steel material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secure structural stability that can replace the existing B-pillar while reducing the weight. Existing B-pillar are composed of steel reinforcements of various shapes, including a steel outer. Among these steel reinforcements, two steel reinforcements are to be replaced with composite materials. Each steel reinforcement i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bonded to the B-pillar outer by welding. However, the composite reinforcement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manufactured at once through compression and injection processes using patch-type CFRP and rib-structured GFRP. CFRP is attached to the high-strength part of the B-pillar to resist side loads, and the GFRP ribs are designed to resist torsion and side loads through a topology optimization technique. Through structural analysis, the designed composite B-pillar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B-pillar, and the weight reduction ratio was calculated.", "abstract": "본 논문은 차량에 사용되는 B필러의 강화재를 기존의 스틸 소재에서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와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대체하여 경량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서는 무게는 감소시키면서 기존 B필러를 대체할 수 있는 구조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기존 B필러는 스틸 아우터(outer)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의 스틸 강화재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스틸 강화재 중 2가지의 스틸 강화재를 복합재로 대체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스틸 강화재는 강화재 각각을 따로 제작하여 용접을 통해 결합되지만, 복합재 강화재는 패치(patch) 형태의 CFRP와 리브(rib) 구조의 GFRP를 활용하여 압축과 사출 공정을 통해 한번에 제작된다. CFRP는 B필러의 고강도부에 부착되어 측면 하중에 저항하도록 하였으며, GFRP 리브는 위상 최적화(Topology optimization) 기법을 통해 비틀림과 측면 하중을 저항하도록 설계하였다. 구조해석을 통해 기존 스틸 강화재와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고, 경량화율을 산출하였다."} {"id": "JAKO20210913547309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96.pdf", "abstract_en":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are applied to transport industries to lightweight of body, and applications will be expanded gradually. In this study, the impregn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tinuous glass fiber (GF) reinforced polycarbonate (PC) composites were evaluated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f PC. The continuous GF reinforced PC composite were prepared by using GF fabric and PC film via continuous compression molding method. The melting flow index and tensile strength of PC matrix were evaluated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Mechanical properties (tensile, flexural, and compressive) and pore rate of GF/PC composite were evaluated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f PC. The fracture behavior was analyzed to fracture surface of GF/PC composite using FE-SEM images. As these results, it was condition of representing the best mechanical property that the GF/PC composite was prepared by using PC of 20,000 g/mol as matrix.", "abstract": "열가소성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수송용 기기의 경량화 소재로써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량이 다른 폴리카보네이트(PC)를 이용하여 연속섬유 강화 유리섬유(GF)/폴리카보네이트(PC) 복합소재의 함침성 및 기계적 물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GF 직물과 PC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연속가압성형법으로 연속섬유 강화 GF/PC 복합재 평판을 제조하였다. PC 분자량에 따른 용융지수를 측정 및 평가하였고, GF 제직물 강화 GF/PC 복합재료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압축강도 및 기공체적률을 평가하였다.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인장파괴된 GF/PC 복합재료의 형태를 분석하여 파괴거동을 확인하였다. 분자량이 20,000일 때 최적의 기계적 특성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913547314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140.pdf", "abstract_en":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lgorithm to reconstruct meso-scale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s (RVE), referring to experimentally observed features of Sheet Molding Compound (SMC) composites. Predicting anisotropic mechanical properties of SMC composites is challenging in the multiscale virtual test using finite element (FE) models. To this end, an SMC RVE modeler consisting of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he novel reconstruction algorithm, and a FE mesh generator for the SMC composites are developed. First, micro-CT image processing is conducted to estimate probabilistic distributions of two critical features, such as fiber chip orientation and distribution that are highly related to mechanical performance. Second, a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3D fiber chip packing i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overlapping effect between fiber chips. Third, the macro-scale behavior of the SMC is predicted by the multiscale analysis.", "abstract": "본 논문은 단섬유 칩으로 구성된 Sheet Molding Compound(SMC) 복합재료를 실험적으로 관찰된 특징들을 바탕으로 메소스케일(meso-scale) 대표체적요소(RVE: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를 재구성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전산해석을 이용하여 SMC 복합재료의 비등방성 거동의 정확한 예측은 어려운 문제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SMC 복합재료를 위한 일련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과 재구성 알고리즘 및 유한요소(FE: Finite Element) 생성기로 구성된 SMC RVE 모델을 개발하였다. 첫째, micro-CT 이미지 프로세싱은 SMC 물성에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섬유칩의 배향 및 분산의 확률적 분포를 평가한다. 둘째, 해당 통계적 분포를 바탕으로 섬유칩 간의 겹침효과를 고려한 섬유칩 팩킹 재구성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SMC 복합재료 멀티스케일 해석을 이용하여 매크로스케일(macro-scale)에서의 거동을 파악하고 실험데이터를 통해 검증을 수행한다."} {"id": "JAKO20210913547313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132.pdf", "abstract_en": "As interest in the eco-friendly ships and lightweight equipment is increasing in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composite materials are applied to equipment such as pipes. In this study, a basalt fiber reinforced furan composite (BFC), an eco-friendly material, was manufactured to apply the pipe insulation cover that requires environment-friendly and heat/flame retardant performance. An optimization study of post-curing conditions of BFC was conducted, and experiments and analysis were performed on mechanical strength, heat/flame retardant properties, and affinity properties. Finally, as a result of the study BFC material is proved to be a good candidate to apply pipe insulation cover.", "abstract": "조선해양산업에서 친환경 선박 및 경량화 기자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파이프 등의 기자재에 복합재료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및 내열/난연 성능을 요구하는 파이프 단열재 커버에 적용하기 위해 친환경 소재인 바잘트 섬유강화 퓨란복합재료(BFC, basalt fiber reinforced furan composite)를 제조하였다. BFC 소재의 낮은 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후경화 조건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고, BFC 소재의 기계적강도, 내열/난연 특성 강화, 친화경 특성에 대한 실험과 평가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 조선해양기자재인 파이프 단열재 커버에 BFC 소재의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913547313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135.pdf", "abstract_en": "In order to develop an integrated heat dissipating material and gas barrier film for electronics, new polymer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for preparing composites containing hexagonal boron nitride (hBN) filler. Depending on the size and content of the hBN filler, both thermal conductivity and oxygen transmission rate can be adjusted. The composite achieved a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28.0 W·m-1·K-1 at most and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was decreased by 62% compared to that of the filler free matrix. Effective filler aspect ratios could be estimated by comparing thermal conductivity and oxygen transmission rate with values predicted by theoretical models. Discrepancy on the aspect ratios extracted from thermal conductivity and oxygen transmission rate comparisons was also discussed.", "abstract": "일체형 방열 및 기체 차단 재료 개발을 위하여 신규 고분자를 합성하고 판상형 육방정 질화 붕소(hBN) 필러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복합소재는 필러의 크기 및 함량에 따라 열전도도 및 산소투과도 조절이 가능하였다. 복합소재는 최대 28.0 W·m-1·K-1의 높은 열전도도를 지녔으며 필러 미포함 샘플 대비 산소투과도는 62% 감소하였다. 열전도도 및 기체투과도 실험 측정값과 모델 예측값 비교를 통해 복합소재 내 필러의 종횡비를 계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높은 열전도도 및 낮은 기체투과도는 필러 간 효과적인 네트워크 형성 때문이며 이는 복합소재 제조 시 전단 응력 극대화가 가능한 신규 수지의 특성으로부터 유래된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전도도로부터 계산된 필러 종횡비와 산소 투과도로부터 계산된 필러 종횡비 값이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고 이에 관련하여 복합소재에서 열 전달 및 기체 투과 메커니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높은 열전도도 및 낮은 산소투과도를 갖는 고분자 복합소재는 전자 제품의 일체형 방열 및 산화 방지 재료로 사용 될 수 있다."} {"id": "JAKO20210913547312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127.pdf", "abstract_en": "This paper studied th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bulk graphite using coal tar, a precursor of coal tar pitch, as a binder and impregnant. Carbonization was conducted after mixing and molding with natural graphite as a filler and coal tar as a binder. Impregnation-recarbonization was performed five times after carbonization. Coal tar used as impregnant. Measuring density, porosity, compressive strength, and anisotropy ratio was conducted. The maximum density of bulk graphite specimen was 1.76 g/㎤ and the minimum porosity was 15.6% which could be controlled by process control.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was 20.3 MPa. Then the maximum anisotropic ratio of bulk was shown 0.34 through XRD analysi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artificial graphite in a bulk form by using coal tar as a binder and an impregnant.", "abstract": "석탄 핏치의 전구체인 콜타르를 바인더 및 함침재로 이용하여 벌크흑연을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충전재로 천연흑연을 이용하였으며, 천연흑연과 콜타르를 혼합 및 성형한 후 탄화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탄화 열처리 후 함침-재탄화를 5회 실시하여 밀도, 기공율, 압축강도, 그리고 이방성비를 측정하였다. 탄화체의 최고 밀도는 1.76 g/㎤였고, 기공율은 최소 15.6%로써 공정 제어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였다. 압축강도는 최고 20.3 MPa이 얻어졌다. 탄화체의 이방비는 최대 0.34로써 강한 이방성 탄화체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콜타르를 바인더 및 함침재로 이용하여 벌크 형태의 인조흑연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화체의 이방성을 조절하여 전기적, 기계적 방향 특성을 조절한다면 적절한 재료 설계를 통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id": "JAKO20210913547310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106.pdf", "abstract_en": "Polyurethane foam (PUF) can be manufactured in soft, semi-rigid, and hard forms, so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industrially. Among them, rigid PUF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is used as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for buildings and as a cold insulation material in the natural gas transportation field. In this field, there is a steady demand on higher mechanical strength and lower thermal conductivity. In this study, a rigid PUF was manufactured, and the micro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studied according to the impeller type (propeller, dispersed turbine) of the agitator. Through FE-SEM and Micro-CT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foam manufactured with the dispersed turbine was 21.5% smaller than that of the pore made by the propeller.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mproved by 15.4%,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decreased by 3.1% in the foam with small pores. This result can be utilized for fabricating PUF composites.", "abstract": "폴리우레탄폼(PUF)은 연질, 반경질, 경질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산업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경질 폴리우레탄폼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고 있어, 건축물의 단열재와 천연가스 운수송 분야에서 보냉재로 사용되고 있다. 해당 분야에서는 기계적 강도는 높이고 열전도도는 낮추고자 하는 기술적 수요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질 폴리우레탄폼을 제작하고, 교반기의 임펠러 형태(Propeller, Dispersed turbine)에 따른 폼의 미세구조와 물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FE-SEM 이미지 및 Micro-CT 분석을 통해 Dispersed turbine으로 제조한 폼의 평균 기공 크기가 Propeller로 제조한 기공보다 21.5%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압축 강도는 작은 기공을 가진 폼에서 15.4% 향상되었고, 열전도도는 3.1%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UF 복합재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id": "CFKO202121751601345",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01345.pdf", "abstract": "최근의 사회 경제적 현상에 비추어 우리나라 젊은이들은 취업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으며 이의 극복을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규모가 세계 10위권대 임에도 불구하고 취업시장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어서 돌파구가 있어야 하는 상황이다. 지금의 세계경제는 4차 산업시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은 세계적 대기업이 아닌 IT기반의 플랫폼 사업의 개인 창업가들이며, 이 개인 창업가들이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여 지금의 글로벌기업을 이끌고 있다. 최근 창업에 관한 인식변화와 함께 관심을 갖고 실제로 창업에 도전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의 성공여부가 본인은 물론 우리나라의 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생애전반에 걸쳐 교육과 취업이나 창업의 많은 사회적 경험활동이 사업가적 도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경험자들이 창업에 도전성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경험활동이 기업가적 도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연구로 개인적 특성, 사회적 경험, 창업실패에 대한 인식이 사업가적 도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사회적 지지가 사업가적 도전성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창업이 국가의 경제성장이나 개인의 취업 및 경제활동 욕구를 충족시키는 요소라면 사업가적 도전성을 개개인의 사회적 경험에 앞서 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체득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서 창업에 도전성이 더욱 더 성장될 수 있도록 성장과정에서 교육적 사회적 책무를 가지고 환경조성을 한다면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id": "CFKO202121751627350",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27350.pdf", "abstract": "해외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와 저성장, 저고용이 일어나고 있으며, 고용구조의 변화, 여성 운동, 도시 인구 이동, 환경오염, 장애인 일자리, 저출산 고령화시대, 청소년 문제, 평화문제 등 많은 사회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들 국가는 이러한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해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s), 사회적기업가 등을 육성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며, 국내에 '사회적기업육성법'이 도입된 지 11년이 지났다. 그러나 2018년 10월을 기준으로 사회적기업은 2,030개에 불과한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적기업을 창업하고 성공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창업 결정과 성공요인을 연구하는 것은 향후 사회적기업을 육성하는데 있어 큰 의미가 있다. 사회적기업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학문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선행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성과분석과 육성방향, 사회적기업가 정신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사회적기업 창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이며, 특히 사회적기업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의 공백을 채우고자 사회적기업 창업과 사회적기업에 관한 기존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경상남도 대학생의 사회적기업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경상남도 사회적기업 창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대학의 전략적 역할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id": "CFKO202121751630351",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30351.pdf", "abstract": "2020년 2월 중순 이루 코로나 바이러스 2019(Covid-19)로 인하여 정부의 기술창업기업 지원 방식도 전반적으로 기존의 대면 방식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하여 현재까지 대부분 진행되어 오고 있다. 창업기업에 대한 멘토링은 특히 멘티인 창업자와 멘토가 기존에 알고 있는 관계가 아닌 대부분 처음 만나는 관계의 확률이 높음에 따라 사전에 상호간에 라포(Rapport)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멘토링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Rapport가 형성이 안된 상태에서는 서로 호감을 느끼거나, 나아가 공감대 형성, 그리고 터놓고 이야기 하여, 서로 간의 대화가 충분히 감정적으로나 이성적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충분한 멘토링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 멘토링의 특수성을 감안해 볼 때 정부 기술창업지원 방식 중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멘토링 과정에서 대면 또는 비대면 방식의 방법 차이가 멘토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창업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중소벤처기업부의 도약패키지 사업 중 2019년과 2020년의 제품 아카데미 사업에 참여한 283명을 대면 방식이었던 2019년 211명과 비대면 방식이었던 2020년 72명의 창업 기업 멘티들의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운 내용을 실천하고자 하는 학습 전이 효과 경로에 차이가 발생하는 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자기 기입 설문 방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를 해결하고자 구조화된 설문지 구성할 때부터 응답자의 일관성 동기를 줄이려고 하였고, 통계분석 단계에서도 다수이 방법으로 측정하는 일반 CFA 모형을 활용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비대면 방식의 창업 멘토링 방식을 학습 전이 효과 경로 결과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유의한 통계적 결과고 확인하고, 사후 검증을 통해 볼 때 등분산 가정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차이가 있음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id": "CFKO202121751602345",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02345.pdf", "abstract": "최근 대학을 둘러싼 외부 환경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 입학자원 감소,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청년 일자리 감소 등의 급진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 역량 강화 및 고도화, 대외 경쟁력 강화 및 사회적 역할 변화 등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학령인구 감소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대다수의 대학 특히 지방 대학의 경우 학령 인구 감소로 인해 나타날 다양한 변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는 있다. 지방대학의 위상 약화로 지방대 졸업생의 취업의 질이 낮아지고, 우수 학생의 지방대학 기피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 대학의 위기는 특정한 지역의 일부 대학만의 문제가 아닌 현재 우리 사회 전체가 직면하고 있는 구조적이고 복합적 원인에 기인하여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혁신을 위한 대학 역할 및 활성화 방안 도출 및 지역 혁신에 기여하는 대학의 국내외 우수사례 분석 지역을 중심으로 한 창업 생태계 현황 및 구성 체계, 창업선도대학, 캠퍼스 타운사업 등 대학을 중심으로 한 지역기반 창업 생태계 선도 모델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대학 중심 지역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창업기반 지역 혁신형 대학 모델 발굴 및 제언하고자 한다."} {"id": "CFKO202121751645354",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45354.pdf", "abstract": "아동은 자아성장의 결정적인 시기로 기초적인 인지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을 함께 습득하게 된다. 아동은 전반적인 삶의 과정에서 공동체의 규칙과 가치를 내면화 시키고 사회적 관계의 일원으로서 기초적 토대를 만들어 가는 시기이다. 저소득 취약계층인 지역아동센터 아동은 균형 있게 성장발달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과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가족의 해체 또는 기능 상실로 도움이 필요한 아동 및 저소득가정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적 행복과 안전에 대해 취약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대인관계와 사회성 발달과업이 중요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에게 다양한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회성집단프로그램이 사회성, 정서적안녕감,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경기도 00시 소재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초등학교 3,4,5 학년을 선정 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하고 참가신청서를 받아서 실시하였다. 연구표본 집단구성은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으로 집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자유로움과 안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활동을 적극적으로 격려하며 주2회, 6주간, 12회기, 회기당 60분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id": "JAKO202122162077665",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77665.pdf", "abstract_en": "SpaceX shows various strategies such as constructing various payload portfolio through the reuse of Falcon 9 and Falcon Heavy, constructing the launch vehicles using one type of engine, the transition from kerosene engine to methane engine, and the use of 3D printing. In this study, launch vehicle proposals that can cover a variety of payloads and trajectories from KOMPSAT to GEO-KOMPSAT were constructed, and ten launch vehicles using kerosene gas generator cycle engine, kerosene staged-combustion cycle engine, and methane staged-combustion cycle engine were reviewed. Of the ten launch vehicles, the reusable launch vehicle using a 35-ton methane engine was rated as the best in terms of development potential.", "abstract": "SpaceX는 Falcon 9과 Falcon Heavy의 재사용을 통해 다양한 탑재중량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한 종류의 엔진을 사용하여 발사체를 구성하며, 케로신 엔진에서 메탄 엔진으로의 전환, 3D 프린팅 사용 등 다양한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리랑 위성에서 천리안 위성까지 다양한 탑재중량 및 궤도를 감당할 수 있는 발사체 안을 구성하였으며, 케로신 가스발생기 사이클 엔진, 케로신다단연소 사이클 엔진, 메탄 다단연소 사이클 엔진을 사용한 10가지 발사체 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10가지 안 중 35톤급 메탄 엔진을 사용한 재사용 발사체가 개발 가능성 측면에서 좋은 안으로 평가되었다."} {"id": "JAKO20212216209166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91668.pdf", "abstract_en":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struction of a combustion test facility and preliminary tests for hot-firing tests of a methane engine. First, the combustion test facility for a 1 kN-class thrust chamber using liquid oxygen/gas methane as propellants was designed and built. Before hot-firing tests, the cold-flow tests of each propellant line and the ignition tests of torch igniter/afterburner were performed to verify propellant supply stability of the combustion test facility, operation of the control and measurement system, and successful ignition. Finally, a preliminary hot-firing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combustion efficiency, heat flux, and combustion stability of a thrust chamber prototype. The constructed combustion test facility will be helpfully used for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ethane engine thrust chamber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메탄엔진 연소시험을 위한 연소시험설비 구축과 예비 시험들을 다루었다. 먼저 액체산소/기체메탄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1 kN급 연소기 연소시험설비를 설계 및 구축하였다. 연소시험 전 각 추진제 라인의 수류시험 및 토치 점화기/애프터버너의 점화시험을 통해 연소시험설비의 추진제 공급 안정성, 제어 및 계측시스템 작동, 성공적인 점화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연소시험을 수행하여 연소기 시제품의 연소 효율, 열유속, 연소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구축된 연소시험설비는 메탄엔진 연소기 기초연구 및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id": "JAKO202122162072664",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72664.pdf", "abstract_en":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the pintle injector by opening distance. The discharge coefficient of the pintle injector was investigated and the spray angle was measured by taking the spray image by test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discharge coeffici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the discharge coefficient of the outer injector was not significant ov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but the change in the discharge coefficient of the inner injector was decreased as the flow rate increased. Measurement of the spray angle showed that the change in the spray angle was not significant in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spray was fully developed, but the spray was not fully developed at low flow rates. Thi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rust control using the pintle injector.", "abstract": "개도에 따른 핀틀 분사기의 분무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사조건에 따른 핀틀 분사기의 유량계수를 확인하였으며, 분무 이미지 촬영을 통해 분무각을 측정하였다. 유량계수 측정 결과 바깥쪽 분사기는 실험조건에 걸쳐 유량계수 변화가 크지 않았지만 안쪽 분사기는 유량에 따른 유량계수 변화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분무각 측정결과 분무가 완전 발달되는 조건에서는 분무각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낮은 유량에서 분무가 완전 발달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통해 핀틀 분사기의 추력조절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2162088667",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88667.pdf", "abstract_en": "Titanium hydride potassium perchlorate (THPP)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initiators of the propulsion system. However, the 'aging' may cause performance degradation and even give rise to a failure in the total system. In this study, various hygrothermal aging conditions were considered and the aging effects on thermodynamic and ignition characteristics of THPP are provided via thermal analysis and ignition measurements. Also, physical-chemical changes were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alysis. In conclusion, thermal aging led to E decrease-high reactivity due to oxidizer decomposition whereas hygrothermal aging gave rise to an opposite tendency by fuel oxidation.", "abstract": "Titanium hydride potassium perchlorate (THPP)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착화제로 추진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지만, '노화'라는 현상으로 인하여 THPP의 요구 성능 변화, 심지어는 system failure가 초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대습도 조건에서 노화된 THPP의 열역학적 특성 및 성능, 점화 특성 변화를 상세한 열분석과 점화 실험을 통해 밝혔다. 그리고 형태학적 분석과 조성 변화를 통해 노화에 따른 THPP의 물리·화학적인 변화 또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열노화는 산화제 분해로 인하여 활성화 에너지 감소/반응성 증가로 이어지고 수분노화는 연료 산화로 인하여 활성화 에너지 증가/반응성 감소와 같은 경로를 따름을 최종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었다."} {"id": "JAKO202122162116673",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116673.pdf", "abstract_en": "The launch complex(LC) is composed of various facilities. The launch control system that operates remotely those of LC spends much time and labor for developing and verifying its control algorithms. The verification of algorithms is performed by the software developer entering simulated state values based on the test procedure and checking the output result according to the algorithm flow. These verification processes should be performed repeatedly, thus the human errors are easily occurred. In this paper, an efficient automated verification method with a script test procedure is proposed to minimize human errors and shorten the verification duration. We also present the results of the algorithm verification tests for the cases of the compressed gases supply system and the electro pneumatic panel system of LC.", "abstract": "발사대시스템은 다양한 설비로 구성된다. 이들 설비를 원격 운용하는 발사관제시스템은 제어 알고리즘 개발과 검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알고리즘 검증은 소프트웨어 제작자가 시험절차서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상태 값을 입력하고, 알고리즘 흐름에 따라 출력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증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되므로 작업 오류를 쉽게 유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 오류의 최소화와 검증 기간 단축이 가능한 스크립트 시험절차서 기반의 효율적인 자동화 검증 방법을 제안하며, 발사대의 고압가스 공급설비와 전자식 유공압패널설비 제어 알고리즘 검증시험에 적용한 결과를 제시한다."} {"id": "JAKO202122162096669",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96669.pdf", "abstract_en": "Effects of the nozzle wall angles on the supersonic flow field in a thrust optimized nozzle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combustor and operating condition of 30-tonf rocket engine was selected to study the optimum nozzle shape. The nozzle flow of combustion products was realized by the shifting equilibrium calculation for the propellant of kerosene-LOx. The change of nozzle wall angles induced different developing patterns of the internal and secondary shock wave. The optimum nozzle was obtained when the internal shock was in a specific position at the nozzle outlet. The nozzle wall angles of the optimum nozzle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optimum nozzle which does not consider the shock wave.", "abstract": "추력이 최적화된 노즐의 초음속 유동장에 대한 노즐벽면각도의 영향이 수치해석적으로 조사되었다. 30톤급 로켓엔진의 연소기와 작동조건이 최적노즐형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선택되었다. 연소생성물의 노즐유동은 케로신-액체산소의 이동평형계산에 의해서 구현되었다. 노즐벽면 각도의 변화는 내부충격파 및 2차 충격파의 발달형태를 다르게 유도하였다. 내부충격파가 노즐출구에서 특정위치에 있을 때 최적노즐이 얻어졌다. 최적노즐에 대한 노즐벽면 각도들은 충격파를 고려하지 않고 얻어진 최적노즐 형상과 매우 유사하게 얻어졌다."} {"id": "JAKO202122162094668", "publication_date": "2021.06.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94668.pdf", "abstract_en": "In order to develop active cooling systems for a hypersonic cruise vehicle, a series of studies need to be preceded on regenerative cooling technologies by using endothermic reaction of liquid hydrocarbon aviation fuels. Among them, it is essential to scrutinize fluid flow/heat transfer/endothermic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supercritical hydrocarbons in a micro-channel, as well as to acquire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hydrocarbon fuels in a wide rang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This study, therefore, reviewed those technologies and analyzed major findings in related research area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worldwide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operational regenerative cooling systems of a hypersonic flight vehicle.", "abstract": "극초음속 순항 비행체에 탑재되어 운용 가능한 능동냉각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탄화수소 액체연료의 흡열반응을 이용한 재생냉각 기술에 대한 일련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도 광범위한 온도/압력 조건에서의 탄화수소 항공유에 대한 열물리적 물성치 획득과 함께 재생냉각시스템용 미세채널 내에서의 초임계 탄화수소의 유동/열전달/흡열분해 특성 등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효율적인 극초음속 비행체용 재생냉각시스템 개발을 위한 초임계 탄화수소 항공유의 냉각채널 내에서의 물성치/유동/열전달/흡열분해 특성에 관한 다양한 기술 및 그와 관련된 주요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id": "CFKO202121751589342", "publication_date": "2021.01.2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589342.pdf", "abstract": "최근에 들어서 VR, AR 등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장르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ARG 장르가 존재하는데,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에서 가상의 이야기들을 마치 실존하는 것처럼 꾸며 놓고 관객 혹은 플레이어들이 스스로 단서를 찾아 스토리의 끝을 매듭짓는 것이 목표인 장르이다. ARG 장르는 그 자체가 게임이 될 수 있고, 메인 게임 장르의 세부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매력적인 장르이다. 본 논문에서는 ARG 게임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과 인식 조사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장르를 보편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id": "JAKO20212325831740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17403.pdf", "abstract_en": "The noise is defined as unwanted sound that causes discomfort and physical chang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intensity of noise in the pediatric dental clinic and to investigate noise environment of a pediatric dentist. Human ear shaped microphone and mobile noise level meter were used for recording noise and calculating intensity of noise. By recording according to the method specifi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of Korea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or 16 experimental days, 8 hour time weighted average (8hr-TWA) was 49.33 dBA (A-weighted deci-Bell) on daily average with maximum 58.54 dBA and minimum 33.97 dBA. And Dose was 0.49% on daily average with maximum 1.28%, minimum 0.04%. These values are less than criteria of KOSHA standard (85 dBA, 100%). Comparing the highest noise level for each patient, pulp therapy group and Frankel grade I group were the highest. The intensity of dental noise of pediatric dental clinic didn't meet standard of KOSHA.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noise environment by establishing new standards considering environment of pediatric dental clinic.", "abstract": "소음은 불쾌감과 신체적 변화를 일으키는 원치 않는 소리로 정의된다. 이 연구는 진료실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강도를 평가하고 소아치과의사의 소음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사람의 양측 귀 형태를 재현한 마이크와 휴대용 소음계를 활용하여 소음을 녹음하고 소음의 강도를 계산하였다. 한국 고용노동부 산하 안전보건공단의 소음 측정 규정에 따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6일 간 시행한 결과 8시간-가중평균소음수준은 최고 58.54 dBA, 최저 33.97 dBA, 평균 49.33 dBA로 측정되었으며 누적소음노출량은 최고 1.28%, 최저 0.04%, 평균 0.49%로 측정되었다. 이는 한국 안전보건공단의 기준치인 85 dBA에 미치지 못하는 값이다. 협조도와 술식에 따른 환자별 최고 소음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치수치료 군과 Frankel grade 1등급 군이 가장 높았다. 소아치과의사의 소음환경은 한국 안전보건공단이 제시한 근로자의 작업환경 기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소아치과 진료실의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여 소음 환경을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id": "JAKO202123258318404",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18404.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who received sealant after health insurance coverage based 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insurance type, care institution and region. Patient Sample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re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8,454,636 patients' data were obtained from 2010 to 2017. Of these, 114,680 patients got sealant treatment. Female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sealant treatment than males. 5 - 9 year age group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patients and proportion of treatment. Patients with health insurance were more likely to receive pit and fissure sealant treatment compared to patients with medical aid program. The number of sealant patients and the proportion of sealant treatment were the highest in dental clinics, followed by dental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The number of sealant patients were the highest in Gyeonggi and proportion of sealant patients were the highest in Jeonbuk.",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치면열구전색의 급여화 이후 치면열구전색 처치를 받은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성별, 나이, 보험종류, 지역, 의료기관 등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총 8,454,636명의 환자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이중 치면열구전색 처치가 포함된 환자는 114,680명이었다. 여자에서 남자보다 치면열구전색 처치를 받은 비율이 더 높았고, 5 - 9세 집단이 다른 연령에 비하여 가장 많은 치면열구전색 환자 및 진료 비율을 보였다. 보험의 경우 건강보험을 가진 경우가 의료급여에 해당하는 환자에 비해 치면열구전색 진료를 받은 비율이 높았고 진료기관은 치과의원, 치과병원, 보건소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비교에서는 경기도가 가장 많은 치면열구전색 환자를 보였으나, 환자 비율의 경우 전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id": "JAKO202123258333410",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33410.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ediatric dentists and general dentist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a total of 109 dentists who have been working for the last year. Forty - three pediatric dentists and 66 general dentists were surveyed through online survey tool. Both pediatric dentists and general dentists mainly complained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 neck, shoulders, wrists, and back. Most pediatric dentists usually suffered from back pain due to their unbalanced posture while giving dental treatments. Pediatric dentists in sedative treatment felt more pain in particular part of their body, such as neck and shoulder. Regular exercise and stretching for the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 have been shown to mainly relieve pain in the back but no other parts in their body.", "abstract": "이 연구는 소아 진료 치과의사와 성인 진료 치과의사의 근골격계질환 발생관 관련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1년 동안 근무를 하는 치과의사 중 온라인을 통해 설문 조사에 참여한 43명의 소아 진료 치과의사와 66명의 성인 진료 치과의사, 총 109명의 설문 조사지를 분석 평가하였다. 소아 진료 치과의사 및 성인 진료 치과의사 모두 목, 어깨, 손목, 허리에서 주로 근골격계 통증 및 불편을 호소하였다. 소아 진료 치과의사는 치료 시 주로 허리에서 불편한 자세로 통증을 느끼며 진료하였다. 소아 진료 치과의사의 약물진정치료시에는 목과 어깨에서 통증을 더 많이 느꼈다. 근골격계 통증의 예방을 위한 규칙적인 운동 및 스트레칭은 허리에서만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23258332409",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32409.pdf", "abstract_en": "This study compared the microleakages and compressive strengths of various base materials. To evaluate microleakages, 50 extracted permanent premolars were prepared. The teeth divided into 5 groups of 10 each according to the base materials. Cavities with a 5.0 mm width, 3.0 mm length, and 3.0 mm depth were formed on the buccal surfaces of the teeth. After filling the cavities with different base materials, a composite resin was used for final restoration. Each specimen was immersed in 2% methylene blue solution and then observed under a stereoscopic microscope (× 30). To evaluate the compressive strength, 5 cylindrical specimens were prepared for each base material.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measure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microleakage was highest in the Riva light cure group and lowest in the Biodentine and Well-Root PT groups. For the compressive strengths, in all groups, acceptable strength values for base materials were found.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was observed in the Fuji II LC group and the lowest strength in the Well-Root PT group.", "abstract": "이 연구는 깊은 와동에서 기저재로 사용되는 5개의 기저재용 재료를 대상으로 미세누출 및 압축강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발거된 영구 소구치 50개를 준비하여 베이스 재료에 따라 10개씩 군을 나누었다. 치아의 순면에 가로 5.0 mm, 세로 3.0 mm, 높이 3.0 mm 크기의 와동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와동에 1.0 mm 두께로 각 베이스 재료를 충전하였다. 이후 와동의 상방부를 composite resin으로 최종수복 시행하였으며, 시편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침적시킨 후 치아를 절삭하였고 실체현미경(× 30)을 이용해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였다. 압축강도 평가를 위해 각 재료 별로 5개씩의 원통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만능시험기를 이용해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 평가에서 Riva light cure 가 가장 큰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Well-Root PT와 Biodentine이 가장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압축강도는 모든 군이 베이스 재료로서 받아들일 만한 강도를 보였다. Fuji II LC가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Well-Root PT가 가장 낮은 강도를 보였다."} {"id": "JAKO202123258337411",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37411.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pre-eruptive intracoronal radiolucencies (PEIR) from panoramic radiograph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examined panoramic radiographs of 3,000 patients aged between 5 and 14 years old who visited ten dental hospitals in Korea. The age and gender of the patients, the tooth type, the number of intracoronal radiolucent lesions, and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lesions were recorded. The overall prevalence of patients with PEIR was 2.5%. The difference in the presence of PEIR between both genders was not significant. Within each tooth type, the mandibular first molar showed highest prevalence of PEIR (29.6%). The central part of the crown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location of PEIR (56.8%). The size of the PEIR lesions was mostly limited to less than one-third of the thickness of coronal denti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소아 청소년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맹출 전 치관 내 방사선 투과상(pre-eruptive intracoronal radiolucencies; PEIR)의 유병률과 병소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전국 10개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한 만 5세에서 14세 환자 3,000명의 파노라마가 사용되었다. 환자의 나이와 성별, PEIR이 발견된 치아의 종류 및 치아 개수, 병소의 치관 내 위치 및 크기를 조사하였다. PEIR의 환자당 유병률은 2.5%였으며 성별에 따른 PEIR의 유병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EIR이 가장 많이 발견된 치아는 하악 제1대구치로 전체의 29.6%를 차지하였다. 병소의 56.8%가 치관의 중간 1/3에서 나타났으며, 87.5%가 치관부 상아질 두께의 1/3이하의 크기를 보였다."} {"id": "JAKO202123258314402",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14402.pdf", "abstract_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 of easily accessible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to identify mesiodens, and to compare the ability to identify mesiodens between trained model and human. A total of 1604 panoramic images (805 images with mesiodens, 799 images without mesiodens) of patients aged 5 - 7 yea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model used for machine learning was Google's teachable machine. Data set 1 was used to train model and to verify the model. Data set 2 was used to compare the ability between the learning model and human group. As a result of data set 1, the average accuracy of the model was 0.82. After testing data set 2, the accuracy of the model was 0.78. From the resident group and the student group, the accuracy was 0.82, 0.69.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for identifying mesiodens using panoramic radiographs of children in primary and early mixed dentitio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model was lower than that of the resident group. However, the classification accuracy (0.78) was higher than that of dental students (0.69), so it could be used to assist the diagnosis of mesiodens for non-expert students or general dentists.", "abstract": "이번 연구는 손쉽게 접근 가능한 웹사이트 기반 기계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에서 과잉치 식별 모델을 학습시키고, 학습된 모델의 과잉치를 식별하는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인간 집단과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604장의 5 - 7세 환자의 파노라마 이미지가 이번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모델은 Google에서 개발한 기계학습 모델인 Teachable Machine을 사용하였다. 과잉치 식별 모델을 훈련시키고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data set 1을 설정하였다. Data set 2는 학습모델과 인간 집단 간의 정확도 비교를 위해 설정하였다. 학습모델 및 인간 집단의 과잉치 식별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정확도(accuracy), 민감도(sensitivity), 특이도(specificity) 값을 사용하였다. Data set 1의 검증 결과, 평균 0.82의 분류 정확도를 얻었다. Data set 2의 테스트 결과, 모델의 정확도는 0.78이었다. 전공의군과 학생군의 평균 정확도는 각각 0.82, 0.69였다. 이번 연구는 유치열기 및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과 웹 기반 기계 학습 어플리케이션 이용하여 과잉치 식별 모델을 개발하였고 학습된 모델과 인간 의사 집단(전공의 및 학생) 간의 과잉치 식별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훈련모델의 분류 정확도는 전공의군과 비교 시 낮았지만 훈련받지 않은 치과 대학 학생군보다 분류 정확도가 높아 비전문가 학생 또는 일반의사에게 과잉치 진단 정확도를 높이는 데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3258334410",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34410.pdf", "abstract_en": "Dentinogenesis imperfecta (DI) is a hereditary disorder of dentinal defect. It is generally inherited as a single autosomal dominant trait. DI usually affects both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 Affected teeth have various types of discolorations, rapid destruction of the dentin, and severe attrition. In radiologic view, the affected teeth have bulbous crowns, short roots and narrow or closed pulp chambers. The treatment objective is to prevent additional attrition and recover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The aim of this report was to present the long-term prognosis in 15 years in a pair of siblings. Both the patients had DI with tooth attrition and discoloration. Different treatment procedures were used,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timing of intervention. The first patient saved most of his teeth. The second patient had all of her teeth extracted. This report could be helpful for early diagnosis and overall treatment of DI.", "abstract": "상아질형성부전증은 상아질 형성 이상이 초래되는 유전성 질환으로 상염색체 우성 형질을 따른다. 상아질형성부전증은 유치와 영구치 모두 이환되며, 다양한 치아 변색, 상아질 및 법랑질 파괴, 심한 치아마모 등의 임상소견을 보인다. 방사선학적으로 치아는 가느다란 치근과 둥그런 치과의 형태를 보이고 치수강은 적거나 폐쇄되었다. 상아질형성부전증의 치료는 추가적인 마모를 방지하고 수직고경 회복을 목표로 한다. 본 증례는 치아의 마모와 변색을 주소로 내원한 상아질형성부전증을 지닌 남매의 상이한 15년간의 장기 예후를 보고하고자 한다. 두 환자에서 치료개입 시기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치료과정을 볼 수 있다. 첫 번째 환아는 대부분의 본인 치아를 살렸으나, 두 번째 환아는 모든 치아를 발치하였다. 이는 상아질형성부전증의 조기 진단 및 치료방법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id": "JAKO20210716320884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208847.pdf", "abstract_en": "Muscle atrophy refers to a decrease in muscle cells due to damage to muscle fibers. It is reported that muscle atrophy is caused by heart disease, diabetes, and other chronic diseases related to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hibitory effects of seaweed extracts, which are widely consumed in Korea, and alginic acid on muscle cell damage in muscle atrophy and regeneration models. We found that seaweed extracts (U) and alginic acid (A) attenuated TNF-α-induced muscle atrophy in differentiated C2C12 myoblast cells and inhibited muscle atrophy markers such as MuRF1 and MAFbx. In addition, U and A also regulated ubiquitination marker FoxO1 protein. To confirm the muscle regeneration effect in animal tissue, cardiotoxin (CTX) was used for the regeneration model. Six hours after CTX injection, gastrocnemius muscle volume was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Otherwise, the muscle volume of the U and A treatment groups was not changed. U and A also upregulated regeneration markers MyHC and PGC-1α in a CTX mouse mod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aweed extracts and alginic acid, a seaweed component, are applicable to senile sarcopenia by inhibiting muscle loss and promoting muscle regeneration.", "abstract": "근육 위축증은 근섬유의 손상으로 인한 근육세포의 감소에 의해 일어나며 심장질환, 당뇨, 각종 노인성 만성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역 추출물 및 이의 성분인 알긴산의 근육세포보호, 근육감소억제 및 근육재생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을 분화된 C2C12 myoblast 세포에 처리한 결과 TNF-α에 의한 근육섬유의 감소가 억제하였고murf1과 MaFbx의 발현량도 감소하였다. 또한, 마우스에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을 10주간 급여한 결과 cardiotoxin에 의한 다리부종이 감소하였으며 근육단백질인 MyHC와 PGC-1α의 발현량이 증가 하였다. 따라서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은 근감소 억제 및 근육재생 효과를 나타내어 기능성소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325831640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16403.pdf", "abstract_en": "A total of 580 patients, who visited and received an orthodontic diagnosi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17 to 2019,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keletal patterns of pediatric orthodontic patients determined with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keletal pattern and probable associated clinical features. Also, the modality of orthodontic treatment for each skeletal classification was investigated to aid in therapeutic decisions. Patients aged 7 year accounted for the largest age group; 54.2% of patients showed a skeletal class I pattern, 22.2% showed a skeletal class II pattern, and 23.6% showed a skeletal class III pattern. Bi-maxillary retrusion for skeletal class I, retruded mandible with normal positioning of the maxilla for skeletal class II, and retrusion of the maxilla with protrusion of the mandible for skeletal class III were the largest subgroups by skeletal pattern. Brachyfacial type accounted for 55.0% of patients, followed by 31.9% of mesofacial type and 13.1% of dolichofacial type. The prevalence of anterior crossbite in the study was 43.3%, higher than that in previous studies.", "abstract": "이번 연구는 2017 - 2019년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 진단을 받은 5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골격 형태를 측모두부방사선 분석으로 파악하고 골격 형태와 관련된 임상적 특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골격 형태에 따라 행해진 치료방법에 대해 조사하여 임상의가 교정치료 계획 수립시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연령분포는 7세 연령군이 교정진단을 받은 환자 중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골격분포는 골격성 1급 부정교합이 54.2%로 가장 많았고 2급은 22.2%, 3급은 23.6%를 차지하였다. 골격성 1급의 경우 상하악 모두 후퇴인 환자가 34.4%, 골격성 2급의 경우 상악은 정상범주이나 하악이 후퇴인 경우가 39.5%, 골격성 3급의 경우 상악 후퇴 및 하악 전돌이 3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수직적 골격형태는 brachyfacial type이 55%으로 가장 많았고 mesofacial type은 31.9%, dolichofacial type은 13.1%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 중 43.3%가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였다."} {"id": "JAKO202123258328408",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8408.pdf", "abstract_en": "Eruption disturbance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s can cause multiple problems in occlusal development although they are extremely rar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very important to prevent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eruption disturbances. The present case report describes the treatment of two cases of eruption disturbances of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A fixed appliance composed of a cantilever spring with mandibular second deciduous molar as an anchor tooth was used to tract the impacted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The success of both cases shows that this novel traction appliance can be used to induce the eruption of an impacted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within a short time in patients with intact mandibular second deciduous molar as an anchor tooth.", "abstract":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교합 발육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두 증례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악 제2유구치를 고정원으로 하는 cantilever-type의 spring을 추가한 견인 장치를 적용하여 매복된 제1대구치 견인을 시행했다. 따라서, 건전한 제2유구치가 존재하는 환자에서 이 장치가 짧은 시간 안에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d": "JAKO20212325831540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15403.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eoperative factors of immature first molars treated with vital pulp therapy and to find out their correlation in pediatric patients. From May 2014 to January 2020, 523 patients and 1,242 immature first molars were investigated. Factors including age, sex, tooth location, Molar-incisor hypomineralization (MIH), caries cavity location, and history of previous restoration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ital pulp therapy group had 5.56 times more MIH, 3.39 times more mesial cavities, and 8.73 times more distal cavities. In order to avoid vital pulp therapy in immature first molar, early diagnosis and active management of MIH and preventive treatment of mesial and distal caries are necessary after its immediate eruption.", "abstract": "이 연구는 소아 환자에서 생활치수치료를 시행한 미성숙 제1대구치의 술전 요인들을 분석하고 생활치수치료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4년 5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치료가 시행된 523명, 1,242개의 미성숙 제1대구치에 대해 조사하였다. 생활치수치료 후 수복치료를 받은 미성숙 제1대구치를 실험군으로, 생활치수치료 없이 수복치료만 받은 미성숙 제1대구치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연령, 성별, 치아의 위치, Molar-incisor hypomineralization (MIH), 우식 와동 위치 및 과거 수복치료 병력에 대해 조사하였다. 생활치수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MIH가 5.56배, 근심 와동이 3.39배, 원심 와동이 8.73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숙 영구치의 생활치수치료를 예방하기 위해 제1대구치가 맹출된 후 MIH의 조기 진단 및 적극적인 관리와 근, 원심면 우식에 대한 예방적 처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23258327407",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7407.pdf", "abstract_en": "Since January 2019, insurance coverage for caries treatment of permanent teeth using composite resin in children aged 12 and under has started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attern of permanent mola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ged 12 and under before and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from January 2009 to March 2020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t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t Gangdong. Since the insurance coverage was started in 2019, the frequency of permanent mola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ged 12 and under has increased more than twice.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frequency of resin restoration by shape of cavit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by patient age, gender and position of tooth. As accessibility to the permanent tooth composite resin restoration is increased by the insurance coverage, which shows a fair survival rate, it is expected that it could be able to secure oral health in the early permanent dentition aged 12 and under.", "abstract": "대한민국에서 2019년 1월부터 만 12세 이하 어린이에 대한 우식 영구치 복합 레진 수복 치료가 급여화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급여화 적용 전후의 강동 경희 치과대학병원에서의 만 12세 이하 영구치 복합 레진 치료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급여화가 시작된 2019년에 만 12세 이하 어린이 대구치 복합 레진 수복량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급여화 전후 치료 나이, 성별, 치아의 위치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와동의 형태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수용할 만한 생존율을 보이는 영구치 복합 레진 수복에 대한 접근성이 급여화로 증가함에 따라, 만 12세 이하 어린이의 초기 영구치열에서의 구강 건강이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id": "CFKO202121751578340", "publication_date": "2021.01.2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578340.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 사태에 대비하여 실시간으로 마스크를 제대로 쓴 사람과 제대로 쓰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모델 학습 시에 합성곱 신경망(CNN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를 사용한다. 학습된 모델을 토대로 영상에 적용 시 하르 특징 분류기(Haar Cascade Classifier)로 얼굴을 탐지하여 마스크 여부를 판단한다."} {"id": "CFKO202121751553324", "publication_date": "2021.01.2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553324.pdf", "abstract": "서버 가상화 기술은 초기 하이퍼바이저 방식에서 비즈니스 민첩성을 높일 수 있는 컨테이너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컨테이너 기술은 운영체제를 공유하고 잦은 빌드와 배포로 보안과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서버 가상화 기술인 하이퍼바이저와 컨테이너 기술을 비교분석하고 애플리케이션 특성을 분석한다. 하이퍼바이저 기술은 하드웨어 가상화를 통해 안정성이 높은 반면 복잡하고 무거우며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컨테이너 기술은 하이퍼바이저에 비해 가볍고 성능이 향상되는 반면 보안 및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통해 미션 크리티컬 워크로드를 가진 애플리케이션은 안정성이 우수한 하이퍼바이저 기술이 적합하고, 자원 사용이 가변적인 애플리케이션은 서버 확장이 유연하고 성능이 우수한 컨테이너 기술이 적합하다고 제안한다."} {"id": "CFKO202121751552324", "publication_date": "2021.01.2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552324.pdf", "abstract": "우리나라 경찰은 광복 이후 경찰제도가 국가경찰제도로 자리 잡아 오랜 기간 동안 중앙집권적 경찰제도로 운영되어 왔으며, 1991년 「경찰법」의 제정으로 경찰위원회가 설립되었다. 경찰위원회는 경찰행정과 관련된 주요 정책 등을 심의·의결하는 기능을 가진 합의제 행정기관이지만 본래의 경찰위원회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단순 자문기관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2020년 12월 「경찰법」 전부개정안이 통과되어 법이 개정됨에도 불구하고 국가경찰위원회의 운영과 구성에 있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경찰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id": "CFKO202121751592343", "publication_date": "2021.01.2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592343.pdf", "abstract": "사람들이 체중을 조절하고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루 영양소 섭취량을 조절이 있다. 현대 사회에선 가공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스레 가공식품들의 영양소를 파악하고 기록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가공 식품의 포장지에 인쇄되어있는 영양성분 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OCR을 FOTS 기반으로 구현 및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제로 시중에서 파는 영양성분 표는 한글과 영어가 섞여 있기 때문에 한글을 인식하는 모델과 영어와 숫자를 인식하는 모델을 따로 학습한 뒤 생성하여 각 언어에 대한 인식률을 향상시켰다."} {"id": "CFKO202121751646354",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46354.pdf", "abstract": "코로나19 팬데믹은 삶의 많은 부분을 변화시켰다. 국가 간 통제 및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직접적인 만남이 제한되고, 우리 생활의 많은 영역이 비대면으로 전환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의사소통 및 사회적, 경제적 교류를 위한 대안으로 레거시 미디어콘텐츠의 퇴조와 함께 소셜미디어 등의 뉴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경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디어콘텐츠를 기반한 경제 생태계는 복잡해지고 있으며, 플랫폼 간 경쟁 또한 매우 치열해지는 상황이다. 급속하게 변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의 사회 구조는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경제활동을 지속하려는 개인과 정책지원을 하는 국가에도 중요한 현안이 되어 있다. 고령화 사회로의 빠른 진입으로 인적 자본의 활용 문제가 대두되고, 코로나19로 인한 경제불황이 대면 경제활동을 크게 위축시키면서 고용 감소와 불안정성이 대두되었다. 그에 따라 비대면 산업이 활성화되고, 플랫폼 산업 등 미디어콘텐츠 기반의 새로운 경제활동이 주목받고 일상화되었다. 또한 미디어콘텐츠 기반 비즈니스에 실효성 있는 인적 자본 활용이 국가의 주요 정책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디어콘텐츠 활용과 신 정보화 도구를 활용한 디지털 역량이 경제활동 지속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검증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d": "CFKO202121751608346",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08346.pdf", "abstract": "정부가 고령화, 인구감소, 경기침체의 대안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관심을 집중한지 이미 오래다. 오랜 취업난과 수명 증가로 인해 창업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정책적으로 직업으로서 창업가가 대우받는 시대가 된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국민 의식 저변에는 창업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이 깔려있다. 이러한 인식 제고를 위해 다양한 교육과 정책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창업에 대해서는 망설이게 되는 부분이 크다. 이러한 창업에 대한 두려움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경험해 보는 것인데, 직접 경험하는 것 외에도 문화적으로 다양한 창업경험을 접할 수 있다면 막연한 창업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지 않을까? 문화계발효과이론을 응용하여 드라마를 중심으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드라마 선호도가 사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그 동안 많이 연구되어 온 기업가정신과, 사업동기, 경험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과 사업동기가 사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재확인하면서, 창업에 대한 직·간접 경험이 실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거기에 더해 매스미디어의 하나인 드라마 선호도가 기업가정신과 사업동기, 경험에 조절효가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홍수처럼 쏟아지는 지금도 개인의 창업과 폐업은 꾸준히 수치를 늘려가고 있다. 과연 기존 정부의 창업지원정책만으로 계속 현 상황을 이어가야 할지, 아니면 창업지원과 더불어 사회 전반에 걸친 문화적 지원도 뒷받침된다면 실제 창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업의지를 보다 더 확실하게 키울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id": "CFKO202121751603345",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03345.pdf",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업가지수를 활용하여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이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검증해 보는 데 있다.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의 3개 영역(인지, 사회, 정의), 9개 하위요소(혁신성, 적극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리더십, 공감,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기효능감, 모호함에 대한 인내)를 교육 사전-사후로 나누어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고등학생의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사전-사후 대응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구성하는 인지, 사회, 정의영역 중인지영역과 정의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마지막으로 9개 하위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 및 위험감수성 요소를 제외하고 7개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CFKO202121751633352",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33352.pdf", "abstract": "최근 산업계 전반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빠른 속도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 되고 있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의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가능성은 기업의 성과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산업생태계 자체가 디지털 기술로 인해 재구성되는 디지털 변혁 시대 스타트업의 하이퍼스케일업(Hyper-Scaleup)이 중요해지고 있다. 코로나 대유행시기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해 스타트업은 많은 손실을 경험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비즈니스 피벗이 필요하며 비즈니스 전환은 필수이다. 물리적 제한이 없는 디지털 세계에서 변화하는 고객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하고 이러한 변화 대응력을 높여야 하는 벤처 생태계를 중심으로 피벗이 중요한 비즈니스 전략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스타트업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창업아이템, 하이퍼스케일업, 비즈니스 피벗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둘째, 창업생태계의 디지털 전환 시점에서 창업아이템과 하이퍼스케일업이 창업성과와의 실증 분석을 통해 유의한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셋째, 창업아이템과 하이퍼스케일업이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비즈니스 피벗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 관점에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바르게 이해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d": "CFKO202121751605345",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05345.pdf", "abstract":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COVID-19)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그로 인해 학교 개학 연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 제한에도 식료품은 여전히 인간의 기본 필수품이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식료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은 온라인 소매상에서 큰 폭의 증가를 보이며 온라인 쇼핑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판매 품목 중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농식품은 다른 제품보다 더딘 온라인 쇼핑의 성장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시장 상황을 보아 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농식품의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타 제품군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해 농식품 쇼핑몰의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농산물 쇼핑몰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한 농식품 쇼핑몰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에서 거래 위험에 대한 저항을 낮추어 구매의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id": "CFKO202121751635352", "publication_date": "2021.04.1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21751635352.pdf", "abstract": "수많은 예술 관련 분야 대학 졸업생들과 예술가들은 많은 시간과 열정을 투자하여 예술 공부와 창작활동을 하지만 창작물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예술 플랫폼 창업 기업들이 생기고 있으며 이 기업들은 수익 창출이 어려운 많은 예술가들에게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예술가들의 창작물인 그림, 글, 음악, 패션 등을 사업화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예술 플랫폼 창업 기업은 그림 대여 및 판매 플랫폼, 예술가 창작물 상품화 플랫폼, 예술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공연 전시 플랫폼 이렇게 4가지 분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또한, 국내 창업 생태계의 발전과 함께 예술 플랫폼 창업 기업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지만 예술 플랫폼 형태 분석 및 사례 적용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 플랫폼 창업 기업 형태를 분야별로 분석하여 예술 플랫폼 창업을 준비 중인 예비 창업자들에게 향후 예술 창업 전략 수립에 있어 시사점을 제고시하고자 한다."} {"id": "JAKO20212325832440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4406.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mesioden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omplications and anesthetic methods of extraction. This study evaluated 602 mesiodens of 452 patients who underwent extraction of mesiodens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2017 and 2019. The ratio of mesiodens patients over total patient per year was gradually in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Mesiodens with labio-palatally horizontal direction while root directing labial were the most common among the mesiodens with horizontal direction. Mesiodens were the most common at the cervical side of the adjacent teeth(37.0%) and mesiodens located in the near-palatal side were observed about 3.83 times higher than the far-palatal side. Most of the mesiodens(82.1%) were in contact with adjacent permanent teeth on all three sides of the CBCT and 46.2% of mesiodens had curved roots. The patient's age, vertical position, presence of complications, and proxim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general anesthesia among anesthetic methods. The direction and vertical position of mesiode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plications. These result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mesiodens for establishing a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Cone-beam형 전산화 단층촬영술 영상을 이용하여 정중과잉치의 3차원적인 특성들에 대해 조사하고 이 특성들과 발거 시 마취 방법 및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서 과잉치를 발거한 환자 452명의 총 602개의 정중과잉치를 평가하였다. 지난 20년간 연도별 전체 환자 중 정중과잉치 환자수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중과잉치 방향 중 순-구개 방향의 수평위가 근원심 방향의 수평위보다 약 3.2배 많이 관찰되었으며 순-구개 방향의 수평위 중 치근이 순측을 향하는 경우가 전체 수평위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중과잉치의 시상면에의 상하 위치는 대부분이 인접 영구치의 치경부 측(37.0%)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순-구개측의 매복 정도를 관찰한 결과 근-구개측이 원-구개측의 약 3.83배 정도 더 높게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정중과잉치(98.5%)가 CBCT상에서 인접 영구치와 접촉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중과잉치 중 46.2%에서 만곡된 치근이 관찰되었고, 치근이 만곡된 정중과잉치 중 치근의 치근단측 에서의 만곡이 치근의 치경부측에 비해 약 1.83배 높게 나타났다. 소아환자의 정중과잉치 발거 시 사용한 마취 방법 중에서는 전신마취(72.6%)를 시행하여 정중과잉치를 발거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환아의 연령, 시상면에서의 상하 위치, 부작용 유무가 전신마취 시행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정중과잉치의 방향 및 시상면에서의 상하 위치가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정중과잉치에 대한 이해를 도와 정확한 진단 및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2325832040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2040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indocyanine green (ICG) and near-infrared diode lasers on multispecies biofilms. Multispecies biofilms of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and Candida albican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irradiation time using photosensitizer ICG and 808 nm near-infrared diode laser. Colony forming unit (CFU) was measured,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biofilm was performed with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Temperature measure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photothermal effect. In the groups using ICG and diode laser, reduction in CFU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in antibacterial effect on L. casei and C. albicans with irradiation time was not significant, and similar results were confirmed with CLSM. Groups with ICG and diode laser showed higher temperature elevation than groups without ICG, and results of measured temperature were similar to the range of hyperthermia. In conclusion, ICG and near-infrared diode laser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on multispecies biofilms, but studies on protocol are necessary for clinical applicatio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indocyanine green (ICG)과 근적외선 diode 레이저의 사용이 다종 우식원성 바이오필름에 미치는 항균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Candida albicans를 포함하는 다종 바이오필름이 ICG와 808 nm 근적외선 diode 레이저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조사 시간에 따라 처리되었다. Colony-forming unit (CFU)을 측정하였고, 바이오필름의 정성적 평가를 위해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관찰을 시행하였다. 또한 광열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온도 측정이 시행되었다. ICG와 근적외선 diode 레이저를 사용한 군에서 CFU의 감소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L. casei와 C. albicans에서는 시간에 따른 항균 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CLSM 관찰에서도 유사한 세균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ICG와 근적외선 diode 레이저를 사용한 군은 ICG 없이 광조사를 시행한 군보다 더 높은 온도 상승을 보였으며, 측정된 온도는 열 치료의 온도 범위와 유사하였다. 결론적으로, ICG와 근적외선 diode 레이저는 다종 우식원성 바이오필름에 항균 효과를 보였다. 우식 예방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가지나, 임상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적용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id": "JAKO20212325833641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258336411.pdf", "abstract_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uttons according to light tip distance and optic fiber diameter when an extended optic fiber was applied to the tip of a curing light unit. In this study, 315 extracted premolar teeth were divided into 3 groups. Orthodontic buttons were attached using no optic fibers (Group I), 3.0 mm diameter optic fibers (Group II), or 5.0 mm diameter optic fibers (Group III). Each group was divided into subgroups A - C (5.0, 10.0, and 15.0 mm light tip distance), respectively. Shear bond strength was then measured while varying the light tip distance. In group I, shear bond strength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light tip distance increased. When the shear bond strength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optic fiber diamet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group of 5.0 mm light tip distance. Compared with group IB, group IIIB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shear bond strength. Compared with group IC, all groups using 3.0 or 5.0 mm diameter optic fiber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shear bond strength. Therefore, when a curing light unit has poor accessibility, optic fibers with a large diameter should be considered.",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기의 조사단에 광섬유를 적용하였을 때, 조사단과 교정용 버튼의 베이스 사이의 거리와 광섬유 직경에 따른 교정용 버튼의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발치된 소구치 315개를 I, II, III군으로 나누어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거나 3.0, 5.0 mm 직경의 광섬유를 사용하였고 각 군을 A, B, C의 하위군으로 분리하여 5.0, 10.0, 15.0 mm 깊이로 조사단과의 거리를 설정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거리 증가에 따라 I군의 전단결합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광섬유 직경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했을 때 거리가 5.0 mm인 경우 군 간에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10.0 mm인 경우 IB군에 비해 IIIB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고 15.0 mm인 경우 IC군에 비해 IIC, IIIC군 모두 유의하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고로 광중합기의 접근성이 떨어질 때, 광섬유 사용이 추천되며 직경이 큰 광섬유가 성공적인 버튼 부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1735182549",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49.pdf", "abstract_e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producing areas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We analyzed the spatial aggregations of the main producing area and their changes using the Moran's I index. We found that 45%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were significanty spatially clustered. Additionally, in five major products, we observed that the main producing area has expanded and the degree of aggregation has also strengthened over the last ten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forest policies, such as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distribution centers of specific forest products.", "abstract": "본 연구는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공간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마련되었다. 산림청의 임산물생산조사 결과 중 시군구의 품목별 생산량을 기준으로 Moran's I 방법을 활용하여 주산지의 공간적 집적도와 그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소득 임산물의 45%의 주산지가 공간적으로 유의미하게 군집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5대 주요 단기소득 임산물의 경우, 지난 10년간 주산지가 확대되었으며, 군집화 정도도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 위치와 규모 확정 등 임산물 지원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173518253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32.pdf", "abstract_en": "Recently, climate change has gradually accelerated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Among the various effects caused by landslides,debris flow is recognized as particularly threatening because of its high speed and propagating distance. In this study, the impacts of various factors were analyzed using quantification theory(I) for the prediction of debris flow hazard soil volume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According to the range using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order of impact factors was as follows: vertical slope (0.9676), cross slope (0.6876), altitude (0.2356), slope gradient (0.1590), and aspect (0.1364). The extent of the normalized score using the five-factor categories was 0 to 2.1864, with the median score being 1.0932. The prediction criteria for debris flow occurrence based on the normalized score were divided into four grades: class I, >1.6399; class II, 1.0932-1.6398; class III, 0.5466-1.0931; and class IV, <0.5465. Predictions of debris flow occurrence appeared to be relatively accurate (86.3%) for classes I and II. Therefore, the prediction criteria for debris flow will be useful for judging the dangerousness of slopes.", "abstract": "최근의 기후변화는 산지토사재해의 발생을 가속시키고 있다. 산지토사재해 중 토석류는 전파길이가 길고 매우 빠른 거동 특성을 갖기 때문에 매우 위협적으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설악산 국립공원내 토석류 발생지 263개소를 대상으로 발생 길이(m)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구명하고, 수량화이론(I)을 사용하여 발생 길이에 대한 각 산림환경 인자의 기여도 분석을 하여 예방적인 측면에서 국립공원내 토석류 발생 가능성지역에 대한 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각 산림환경 인자의 Range를 추정한 결과, 종단사면(0.9676)이 가장 높게 나타나 설악산 국립공원의 토석류 발생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다음으로는 횡단사면(0.6876), 고도(0.2356), 사면경사(0.1590), 방위(0.1364) 순으로 나타났다. 설악산 국립공원 산악지 토석류 발생 발생가능성 판정표를 기준으로 5개의 산림환경 인자의 category별 점수를 계산한 추정치 범위는 0점에서 2.1864점 사이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앙값은 1.0932점으로 토석류 발생가능성을 예측을 작성한 결과 I등급은 1.6399 이상, II등급 1.0932~1.6398, III등급 0.5466~1.0931, IV등급 0.5465 이하로 나타나 1등급, 2등급에서 토석류 발생 비율이 86.3%로서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id": "JAKO20211606251509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62515093.pdf", "abstract_en": "We hav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early growth response protein 1 (EGR1) in INS-1 pancreatic β-cells treated with Allomyrina dichotoma hemolymph. The Korean rhinoceros beetle, A. dichotoma (Coleoptera: Scarabaeidae), is important in the insect industry for medical applications. We have already established a method for purification of A. dichotoma hemolymph that can be used in many experiments. EGR1 is reported as a multifunctional transcription factor that is implicated in virus infections. EGR1 has therefore been revealed as a major mediator and regulator in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of several cell and tissue types. New findings in this study are that A. dichotoma hemolymph, which promotes a dose- and time-dependent upregulation of EGR1 gene expression, shows an enhancement of this gene expression when combined with hypothermia or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ichotoma hemolymph may provide clues to EGR1-associated disease therapies involving gene regulation of EGR1.", "abstract": "INS-1 췌장 β 세포에서 Allomyrina dichotoma 혈림프 처리에 의한 early growth response protein 1 (EGR1) 유전자 발현을 조사되었다. 이 연구에서 새로운 발견은 EGR1 유전자 발현을 A. dichotoma 혈림프의 용량 및 시간 의존적으로 상향 조절하는것과 혈림프와 병행한 저체온효과 또는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유전자 발현이 상승하였다. A. dichotoma 혈림프가 EGR1의 유전자발현을 상승 조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EGR1 관련 질병 치료 및 예방의 실마리를 제공 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id": "JAKO20211375990970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08.pdf", "abstract_en": "Despite the efforts of financial authorities in conducting the direct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collection agents and bond-collecting guideline, the illegal and unfair collection of debts still exist. To effectively prevent such illegal and unfair debt collection activities, we need a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monitoring of illegal collection activities even with little manpower using technologies such as unstructured data machine learning. In this study, we propose a classification model for illegal debt collection that combine machine learning such as Support Vector Machine (SVM) with a rule-based technique that obtains the collection transcript of loan companies and converts them into text data to identify illegal activities. Moreover, the study also compares how accurate identification wa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The study shows that a case of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rule-based illegal rules and machine learning for classification has higher accuracy than the classification model of the previous study that applied only machine learning.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classify illegalities by combining rule-based illegal detection rules with machine learning. If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improve the model's completeness, it will greatly contribute in preventing consumer damage from illegal debt collection activities.", "abstract": "금융당국의 채권추심 가이드라인, 추심업자에 대한 직접적인 관리 감독 수행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채무자에 대한 불법, 부당한 채권 추심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불법, 부당한 채권추심행위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정형데이터 기계학습 등 기술을 활용하여 적은 인력으로도 불법 추심행위에 대한 점검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업체의 추심 녹취 파일을 입수하여 이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위법, 위규 행위를 판별하는 규칙기반 검출과 SVM(Support Vector Machine) 등 기계학습을 결합한 불법채권추심 분류 모델을 제안하고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얼마나 정확한 식별을 하였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는 규칙기반 불법 검출과 기계학습을 결합하여 분류에 활용할 경우 기존에 연구된 기계학습만을 적용한 분류모델 보다 정확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규칙기반 불법검출과 기계학습을 결합하여 불법여부를 분류한 최초의 시도이며 후행연구를 진행하여 모델의 완성도를 높인다면 불법채권 추심행위에 대한 소비자 피해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375990969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691.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human-content interface that allows users to quickly and efficiently search data through friction-based scrolling with ROI(Regions of interests). Our approach, conceived from the behavior of finding information or content of interest to users, efficiently calculates ROI for a given content. Based on the kernel developed by conceiving from GMM(Gaussian mixture model), information is searched by moving the screen smoothly and quickly to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of interest to the user. In this paper, linear interpolation is applied to make one softer inertia, and this is applied to scrolls. As a result, unlike the existing approach in which information is search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ur method can more easily and intuitively find information or content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through friction-based scrolling. For this reason, the user can save search tim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s, ROI)을 마찰력 기반의 스크롤을 통해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인간-콘텐츠 사이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정보나 콘텐츠를 찾는 행동에서 착안한 우리의 접근 방식은 주어진 콘텐츠에서 ROI를 효율적으로 계산하고, GMM(Gaussian mixture model, 가우시안 혼합 모델)에서 착안해 개발한 커널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정보의 위치로 부드럽고 빠르게 화면을 이동시켜 정보를 탐색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 보간법(Linear interpolation)을 적용하여 한층 부드러운 하나의 관성을 만들고, 이것을 스크롤에 적용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정보가 검색되는 기존의 접근법과는 달리, ROI와 DOI(Degree of interests, 중요도)를 기반으로 마찰력을 제어한다. 제어된 마찰력 기반 스크롤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정보나 콘텐츠를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찾아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탐색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id": "JAKO20211375990976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64.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debt ratio in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impact of inefficient management as internal factors on debt ratio. In this paper, inefficient management included total costs, payment, and employee benef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total costs and debt ratio.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otal costs, the higher debt ratio. Second, we find that there is not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payment and debt ratio. And we also find that there is not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 and debt ratio. These results are empirical results that can be answers about some concerns that inefficient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worsen debt ratio.",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부채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내부적 요인으로써 비효율적 경영이 부채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비효율적 경영을 대리하는 변수로는 총원가, 급여 규모, 복리후생비 규모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원가 변수는 공공기관의 부채비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총원가가 큰 기업일수록 부채 규모가 증대됨을 의미한다. 둘째, 급여 규모와 복리후생비 규모는 공공기관의 부채비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결과는 공공기관의 방만한 경영과 비효율적 운영이 부채 규모를 증대시킨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답변을 대신할 수 있는 실증적 결과라 하겠다."} {"id": "JAKO20211375990974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44.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through longitudinal panel data.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1st through 7th wave data in the 4th grade panel of elementary school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had a positive auto-regressive effect. Seco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auto-regressive effect. Third,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was a causal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but not vice versa. Finally, implications in terms of enhancing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were also discusse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패널자료의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생활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 및 생활만족도의 제고와 관련된 함의를 얻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2016) 초4패널의 제1차 내지 제7차 자료를 사용하여 학교생활적응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학교생활적응은 이후 시점의 학교생활적응을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생활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생활만족도를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학교생활적응은 이후 시점의 생활만족도를 안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그 반대 방향의 인과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id": "JAKO20211375990966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666.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ining algorithm of support vector machine (SVM) with a sensitive variable. Although machine learning models enable automatic decision making in the real world applications, regulations prohibit sensitive information from being used to protect privacy. In particular, the privacy protection of the legally protected attributes such as race, gender, and disability is compulsory. We present an efficient least square SVM (LSSVM) training algorithm using a fully homomorphic encryption (FHE) to protect a partial sensitive attribute. Our framework posits that data owner has both non-sensitive attributes and a sensitive attribute while machine learning service provider (MLSP) can get non-sensitive attributes and an encrypted sensitive attribute. As a result, data owner can obtain the encrypted model parameters without exposing their sensitive information to MLSP. In the inference phase, both non-sensitive attributes and a sensitive attribute are encrypted, and all computations should be conducted on encrypted domain. Through the experiments on real data, we identify that our proposed method enables to implement privacy-preserving sensitive LSSVM with FHE that has comparable performance with the original LSSVM algorithm. In addition, we demonstrate that the efficient sensitive LSSVM with FHE significantly improves the computational cost with a small degradation of performanc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민감 정보가 포함된 경우의 서포트 벡터 머신 (SVM)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계 학습 모형들이 실세계의 자동화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였지만 규제들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서 민감 정보들의 활용을 제한하고 있다. 특히 인종, 성별, 장애 여부와 같은 법적으로 보호되는 정보들의 프라이버시 보호는 필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 동형암호를 활용하여 부분적인 민감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최소 제곱 SVM (LSSVM) 모형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프레임워크에서는 데이터 소유주가 민감하지 않은 정보와 민감한 정보 모두를 가지고 있고, 이를 기계학습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때에 민감 정보만 암호화해서 제공하는 것을 가정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소유자는 민감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암호화된 상태로 모형의 학습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모형을 실제 활용할 경우에는 모든 정보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예측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데이터에 대한 실험을 통해 본 알고리즘이 동형암호로 구현될 경우에 원래의 LSSVM 모형과 비슷한 성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개선된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은 적은 성능 저하로 큰 연산 효율성을 달성할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id": "JAKO20211375990971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712.pdf", "abstract_en": "In the era of big data, interest in data is exploding.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has led to the creation of new data, enabling the realization of the era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pening a new chapter in convergence technology. Also, in the past, there are many demands for analysis of data that could not be handled by programs. In this paper, an analysis model was designed and verified for classification of unstructured data, which is often required in the era of big data. Data crawled DBPia's thesis summary, main words, and sub-keyword, and created a database using KoNLP's data dictionary, and tokenized words through morpheme analysis. In addition, nouns were extracted using KAIST's 9 part-of-speech classification system, TF-IDF values were generated, and an analysis dataset was created by combining training data and Y values. Finally, The adequacy of classification was measured by applying three analysis algorithms(random forest, SVM, decision tree) to the generated analysis dataset. The classification model technique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useful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ivil complaint classification analysis and text-related analysis in addition to thesis classification.", "abstract": "빅데이터 시대에 접어들며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및 소셜미디어의 발전은 새로운 데이터들의 생성으로 연결되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대의 실현과 융합 기술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게 되었으며, 과거에는 프로그램으로 다루지 못하던 데이터에 대한 분석 요구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시대에서 많이 요구되는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분류를 위하여 분석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데이터는 디비피아의 논문 요약과 주제어, 그리고 부주제 어를 크롤링하였으며, 코엔엘피의 데이터 사전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형태소 분석을 통하여 단어의 토큰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카이스트의 9 품사 분류 체계를 이용해 명사를 추출하고, TF-IDF 값을 생성하였으며, 학습 데이터와 Y 값을 결합하여 분석 데이터 셋을 생성하였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분석 데이터 셋에 랜덤 포레스트와 서포트 벡터 머신 그리고 의사결정트리, 이렇게 세 가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류의 적정성을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분류 모델 기법은 논문 분류 외에도 민원 분류 분석 및 텍스트 관련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d": "JAKO202117457577210",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77210.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al manipulative and exploratory geometry software on the spatial sense for 5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earning nets. For this purpose, ton experimental group used Geofix, an operational learning to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used Cabri 3D, an exploratory geometry software to learn the nets of solids. The comparison group was learned by worksheet only without any manipulative or software. Spatial sense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o determine the level, and eye tracking were used to analyze the strategies of students in solving nets problem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using Geofix group was the most effective for the spatial sense, and Cabri 3D could also be a good tool for learning the nets of solids. In addition, after learning the nets of solids, the analytical strategy,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students' solving strategie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solving spatial tasks such as the spatial sense tasks, eye tracking technology become a very useful tool for exploring students' strategies, so it is expected that objective and useful data will be collected through more active use in the futur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작 교구와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전개도 학습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공간 감각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실험집단은 조작 교구인 지오픽스를 한 실험집단은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인 Cabri 3D를 활용하여 전개도를 학습하였다. 비교 집단은 교구나 소프트웨어의 사용 없이 학습지만으로 학습을 진행하였다. 사전과 사후에 공간 감각 검사를 실시하여 그 수준을 파악하였고, 시선 추적 검사를 실시하여 전개도 과제를 해결하는 학생들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작 교구인 지오픽스를 활용한 전개도 학습이 공간 감각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Cabri 3D 또한 전개도를 학습하기 위한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개도 학습 이후 학생들의 해결 전략은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었던 분석적 전략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시선 추적은 학생들의 전략을 탐색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됨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2226083008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260830088.pdf", "abstract_en": "In Korea, where 64% of the soil is mountainous, typhoons and local rains concentrated in the summer season are frequent in mountainous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debris flow. The area of study was the area where the damage to the debris flow was caused by typhoon Mitag in October 2019, and all the houses located in the downstream area were damaged.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on the area where the damage of earth and stone flow occurred using Hyper KANAKO model that can consider erosion and sedimenta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actual damage area a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damage area of the debris flow in the target area was 53,875 m , the maximum flow depth was 2.4 m, and the average flow depth was 1.7 m.", "abstract": "국토의 64%가 산지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는 하절기에 집중되어 있는 태풍과 국지성 호우로 산사태와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해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연구대상 지역은 2019년 10월 태풍 미탁에 의해 토석류 피해가 발생했던 지역으로 하류부에 위치한 주택이 전파되는 등 시설물에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는 침식과 퇴적 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Hyper KANAKO 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 수치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피해 면적과 모형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대상 지역의 토석류 피해 면적은 53,875 m 로 나타났으며, 최대 유동심은 2.4 m, 평균 유동심은 1.7 m로 분석되었다."} {"id": "JAKO20212226082608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260826087.pdf", "abstract_en": "As a method of predicting the displacement of river levee in advance, Differential Interferometry (D-InSAR) kind of InSAR techniques was used to identify weak points in the area of the levee collapes near Gumgok Bridge (Somjin River) in Namwon City, which occurred in the summer of 202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placement using five images each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20, the Variation Index (V) of area where the collapse occurred was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areas, so the prognostic sysmptoms was detected. If the levee monitoring system is realiz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with displacement results and hydrometeorological factors, it will overcome the existing limitations of system and advance ultra-precise, automated river levee maintenance technology and improv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bstract": "하천 제방 변위를 사전에 예측하는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InSAR 기법 중 Differential Interferometry(D-InSAR) 기법을 이용하여 2020년 여름 발생한 남원시 금곡교(섬진강) 인근의 제방 붕괴 지역에서 취약지점을 확인하였다. 2020년 봄과 여름 각각 5장의 sentinel-1 영상과 위성 영상 전처리 도구인 SNAP을 사용하여 2020년 8월 8일 제방 붕괴 전까지의 발생한 변위를 분석한 결과, 붕괴 발생 지역의 변위 변동성지수(Variation Index), V 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였으며 이를 통해 붕괴 전조증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 산출한 변위를 분석한 결과와 유역의 지하수위, 기온, 수위, 토양도 및 토양 수분도와 같은 수문기상학적 요인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하천 제방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면 기존의 하천 제방 유지·보수 점검 시스템의 많은 한계점을 극복하고 초정밀, 자동화된 하천 제방 유지관리 기술 고도화와 국가 재난관리의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id": "JAKO202109950460702",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702.pdf", "abstract_en": "Accurate transfer of the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 to an articulator (i.e., mounting) is critical in prosthetic treatment procedures. In the current study, a PubMed search was performed to review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s accuracy. The search included digital mounting as well as conventional gypsum cast mounting. The results showed that a greater amount of displacement was introduced during position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odels to interocclusal records rather than the dimensional change of registration material. Most intraoral scanners resulted in an accurate reproduction of the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 for posterior quadrant scanning; however, the accuracy was declined as the scan area increased to a complete arch scan. The digital mounting accuracy was also influenced by the image processing algorithms and software versions, especially for complete arch scans.", "abstract": "정확한 보철물의 제작을 위해서는 악간 관계의 정확한 인기가 중요하다. 전통적 석고 모형을 이용한 교합기에의 모형 부착 뿐 아니라 최근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으로 디지털 모형 부착방법의 정확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ubmed 검색을 이용하여 전통적 방법과 디지털을 이용한 모형 부착의 정확도에 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통적 교합인기재의 경우 폴리이써와 폴리비닐실록산 등의 탄성인기재가 변위량이 적었으며, 인기 기법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모형 부착 과정에서 수직적 변위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인기재 자체의 변화보다 모형을 교합기 상에 부착하는 과정 자체에서의 오차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으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상 모형 부착의 경우 좁은 범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가상 인상 채득의 범위가 커질수록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광범위한 수복에서는 이를 인지하고 임상에 적용해야 한다. 각 제조사별 스캐너의 종류와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또한 가상 모형 부착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앞으로 충분히 발전 가능성을 보인다."} {"id": "JAKO202109950460643",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643.pdf", "abstract_en": "Even though implant overdentures are preferentially recommended to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s, many patients may select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due to cost and general condition. Proper retention and stability of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in patients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is difficult to achie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mandibular suction dentures with the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have been used. However, the previous technique requires the Frame cut back tray, the Centric tray, and the Gnathometer M. This article introduces a technique for fabricating a mandibular suction denture with common dental materials.", "abstract": "하악 무치악 환자에게 치과용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우선적으로 추천된다. 그러나 많은 환자들은 경제적, 건강상태를 이유로 전통적인 총의치를 선택하기도 한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총의치는 치조골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간혹 유지 및 안정에 한계를 보인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흡착의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Frame cut back tray, Centric tray, Gnathometer M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진료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치과재료를 이용한 하악 흡착의치 제작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id": "JAKO202103440878222",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222.pdf", "abstract_en": "Over-urbanization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raffic problems. This makes the need for effective road planning and design more important than ever. I have been able to learn how to build a new road, and how to use it. However,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good road planning, there are no systematic standards or methods for calculating traffic volume on railroad routes. Therefore, in this stud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s, the concept of line capacity is introduced to railroads, and a clear standard and method for calculating railroad line capacity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the line capacity of main railway lines for domestic railways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line capacity presented in this study, the capacity of existing railway lines and newly expanded routes can be calculated. It is expected that our findings will be able to provide systematic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to yield a more effective investment and design planning stage; the findings will also help improve the efficiency of railroad operation.", "abstract": "지나친 도시화로 인한 차량증가로 도시교통 문제가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이로 인해 효과적인 도로계획과 설계는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도로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도로를 건설할 때 도로의 교통량 산정에 필요한 기준과 방법을 도로용량편람으로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철도 노선에는 이러한 중요성에 불구하고 체계적인 교통량 산정기준이나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철도에도 노선용량이란 개념을 도입하여 명확한 철도 노선용량의 산정기준과 방법을 제시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철도의 주요 선구별 노선용량을 산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노선용량 산정방법을 적용하면, 기존의 철도 노선 및 새롭게 확대되는 신규 노선의 용량에 대한 적정한 투자와 설계가 계획단계에서부터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철도 운행효율성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d": "JAKO202103440878189",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189.pdf", "abstract_en": "Recently, various piloti structures have been constructed in Korea to secure residential and parking spaces. However, these piloti structures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form of protruding columns without walls to secure parking spaces on the first floor. In this form,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column is relatively easily damaged compared to general structures, and such damage can lead to the collapse of the stru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a study on securing the safety of the piloti structure using the MPS (Multi Performance System) seismic isolation device was conducted. Nonlinear dynamic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MPS seismic isolation device was performed on the existing piloti structure, and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nally, each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the superiority of the MPS seismic isolation device was verified.", "abstract": "최근 우리나라는 주거 및 주차 공간의 확보를 위해 다양한 필로티 구조물이 건설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필로티 구조물은 1층에 주차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벽체가 없는 돌출된 기둥의 형태로 건설되어 왔다. 이러한 형태는 지진 발생 시 일반적인 구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둥의 파손이 쉽게 발생하며, 이러한 파손은 구조물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PS (Multi Performance System) 면진받침을 활용한 필로티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에 건설되어 있는 필로티 구조물에 대해 MPS 면진받침 설치 유무에 따른 비선형 동적 해석을 수행하고 해석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내진성능 평가를 수행하고 MPS 면진받침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17563211995",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211995.pdf", "abstract_e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implementing G-SEED, a certification system that evaluates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environmental burdens such as energy and resource consumption and pollutant emissions. Also, creating a pleasant environment in general is one more purpose of G-SEED certification system. However, G-SEED certification in practice is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certification acquisition process coupled with little economic consideration for the materials of each certification it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esent a model for the optimal selection of materials and economic assessment using a genetic algorithm.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involves building a material database based on life-cycle costing (LCC) targeted at \"Application of Indoor Air Pollutant Low Emission Material\" from G-SEED. Next, the model was validated using a real non-residential building case study. The result shows an average cost reduction rate of 74.5 % compared with the existing cost.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conomically efficient tool in G-SEED.", "abstract": "국내 건설산업은 에너지와 자원의 사용 및 오염물질 배출과 같은 환경 부담을 줄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물의 환경성을 평가하는 녹색건축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인증획득 절차의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과정이 복잡하며 인증 항목별로 자재의 경제성을 고려할 수 없는 점으로 인해 실무에서는 인증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색건축인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녹색건축 인증제도 인증 항목 중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방출 제품의 적용을 그 대상으로 하고 생애주기비용 개념을 고려하여 자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경제성 평가의 최적화 기법으로는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최적의 자재를 선정할 수 있는 경제성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실제 비주거용 건축물 사례에 적용하여 기존 비용과 비교한 결과 평균 74.5 %의 비용 절감률을 나타내어 본 모델을 녹색건축인증에서 경제적 효율성이 있는 도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7563146974",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46974.pdf", "abstract_en": "Though the stability review of buoyancy is generally done, the stability review of buoyancy moment, which is generated from the eccentricity between the center of fixed load and that of buoyancy, is not done in the water treatment concrete structure and the architectual structure. In this review, as the buoyancy force become larger, the action point of the fixed load (ΣW) and buoyancy (B), and the reaction distribution were considered to confirm the formation of the buoyancy moment rotational point and obtained the rotational uplift stability review formula for buoyancy moment in the water treatment concrete structure and the architechual structure, and put forward the stability review method for buoyancy moment.", "abstract": "수처리 콘크리트 구조물과 건축 구조물 설계시 일반적으로 부력의 안정성 검토는 행해지고 있으나, 고정하중의 중심과 부력의 중심 사이의 편심으로 인한 부력모멘트에 대한 안정성 검토는 행해지지 않고 있다. 본 검토에서는 부력이 커짐에 따라 고정하중(W)과 부력(B)의 합력의 작용점과 반력분포를 고찰하여 부력모멘트 회전지점의 형성을 규명함으로써 수처리콘크리트구조물과 건축 구조물의 부력모멘트에 의한 회전부상 안전율식을 도출하여 부력모멘트에 대한 안정성 검토방법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7563194989",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94989.pdf", "abstract_en": "Th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domestic public facilities is shifting from the concept of diagnosis and repair for maintaining safety of facilities to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hat improves and maintains the performance of facilities. However, in Korea,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the maintenance of facilities has not been established, so the performance evaluation has not been properly performed.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sset management model that introduces the concept of performance evaluation to complement the simple maintenance strategy focused on safety management of current facilities. This model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model by proposing a method for using WBS as a method for collecting facility maintenance information. This model proposed the most important level of service evaluation method and performance measure factor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facilities,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is model.", "abstract": "국내 공공시설물의 유지관리체계는 시설물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진단 및 보수 개념에서 시설물의 성능을 평가하여 유지관리하는 성능평가 방법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성능평가 방법이 정립되지 않아 성능평가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설물의 안전관리 위주로 한 단순 유지관리전략을 보완하기 위해 성능평가 개념을 도입한 자산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본 모델은 시설물의 유지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WBS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기존 모델과의 차별화를 이루었다. 또한, 본 모델에는 시설물의 성능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서비스 수준 평가방법과 성능척도 요소를 제안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하여 본 모델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id": "JAKO202117563157978",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57978.pdf", "abstract_en": "With climate change, debris flow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collapse and erosion of shallow slopes caused by extreme rainfall. It is preferred to an economical and eco-friendly method rather than reinforcement of soil slopes with the earth anchor or nailing method. In this study, a soil improvement agent was developed by utilizing insitu soil, leaf mold, and used harbal medicine to help sufficient vegetation. In addition, to prevent surface erosion, shear strength of the soil was increased by using micro cement and hemihydrate gypsum as additives. The optimum mix ratio of the mixture is determined by increasing the shear strength by checking the erosion progress of the ground surface layer due to rainfall through an laboratory test. The safety factor of soil slope has been improved on the slope surface reinforced by the improvement agent, and the strength of erosion has been increased, making it efficient to cope with heavy rain during wet season.", "abstract": "기후변화로 극한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얕은 비탈면 붕괴와 침식으로 토석류 유발이 잦아지고 있다. 앵커나 네일링 공법으로 보강하기 보다는 원지반을 이용하여 식생이 되는 비탈면 보강이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분한 식생이 가능하도록 부엽토와 한약재 찌꺼기를 활용하여 토양개량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표면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제로 마이크로 시멘트와 반수석고 등을 사용하여 전단강도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주재료와 첨가제 결정은 실내시험을 통하여 강우로 인한 지반 표층의 침식 진행을 확인하여 전단강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원지반을 활용하는 토양개량제의 보강은 식생이 가능하고 침식에 대해 저항력이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보강은 사면 불안정성의 주요 원인인 인장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침식에 의한 토석류 유발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공법들보다 장마철 폭우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id": "JAKO202116954673808",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673808.pdf", "abstract_en": "AI is deeply applied to various algorithms that assists us, not only daily technologies like translator and Face ID, but also contributing to innumerable fields in industry, due to its dominance. In this research, we provide convenience through AI categorization, extracting the only data that users need, with objective classification, rather than verifying all data to find from the internet, where exists an immense number of content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model using LSTM(Long-Short Term Memory Network), which stands out from text classification, and compare its performance with models of RNN(Recurrent Neural Network) and BiLSTM(Bidirectional LSTM), which is suitable structure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he performance of the three models is compared using measurements of accuracy, precision, and recall. As a result, the LSTM model appears to have the best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research, text classification using LSTM is recommended.", "abstract": "인공지능은 현재 인공지능 번역기, 페이스 아이디와 같이 우리의 삶 다양한 곳에 적용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장점으로 많은 산업분야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매년 방대한 양의 콘텐츠들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을 적용한 카테고리 분류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분류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LSTM(Long-Short Term Memory network)을 사용한 모델을 제안하며 자연어 처리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 RNN(Recurrent Neural Network)과 BiLSTM(Bidirectional LSTM)을 사용한 모델과의 성능을 비교한다. 세 가지 모델의 성능비교는 뉴스 텍스트 데이터에 적용해 accuracy, precision, recall의 측정값을 사용해 비교하였고 그 결과 LSTM모델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STM을 사용한 텍스트 분류를 권장한다."} {"id": "JAKO202116954750839",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50839.pdf", "abstract_e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how cultural capital at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at the national level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is study method, a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analysis was performed on 3,297 elderly people aged 65 and older and 9 OECD countrie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in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life of the elderly,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that can narrow the gap between social classes should be prepared. Second, the old-age pension and survivor's pens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social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income inequality, the more positive the life satisfaction was. In conclusion, this implies that both individuals and countries should make efforts to variously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 수준의 문화적 자본과 국가 수준의 사회 복지 지출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설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65세 이상의 노인 3,297명의 대상과 OECD국가 중 총9개 국가를 대상으로 HLM(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활만족도와 사회계급은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사회계층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개입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노령연금과 유족연금은 생활 만족도에 큰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상호작용 결과, 사회계급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소득불평등도가 낮을수록 생활만족도에 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개인과 국가 모두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각적인 관점으로 노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id": "JAKO202116954695817",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695817.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evance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nd to May 17th, 2020, and were conducted for 159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and clinics.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0.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fter correct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ubjects,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ccounted for 35.4% of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am that helps to reduce job stress that affects job turnover intention.", "abstract":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커뮤니케이션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5월 2일부터 5월 17일까지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1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IBM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를,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 및 조직커뮤니케이션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보정한 후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이직의도를 35.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수들 중에서 이직의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이 요구된다."} {"id": "JAKO20211604717502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75029.pdf", "abstract_en":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nd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potential in the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ly, this research confirmed the significant influence between the awareness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and the attitude toward entrepreneurial, which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entrepreneurial potential of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start-up education and the role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reativity, leadership, and individual contro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search. Insight and achievement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search. Second, creativity, leadership, and insigh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ormation combination,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individual control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formation combination statistically. Third, creativity, leadership, and individual contro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pportunity capture. Insight and achievement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pportunity capture. Fourth, information seeking and opportunity captur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ntrepreneurship prospects, and information combin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statistically recognized entrepreneurship prospects.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role model of university students, which are the subj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ctivities supported by universities and governments, and suggested implications related to the entrepreneurial potential of university students who did not entrepreneurship immediately because the perceived desire for and the perceived feasibility of entrepreneurship are formed.",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업에 있어 기업가적 태도가 창업기회 인식과 대학생의 창업잠재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생의 창업잠재성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적 태도 및 창업기회 인식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창업교육과 역할모델에 따른 변수 간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창의성, 리더십, 개인통제는 정보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찰력과 성취감은 통계적으로 정보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 리더십, 통찰력이 정보결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감과 개인통제는 통계적으로 정보결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성, 리더십, 개인통제는 기회포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찰력과 성취감은 기회포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탐색, 기회포착은 인지된 창업가망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결합은 통계적으로 인지된 창업가망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탐색, 기회포착은 인지된 창업타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결합은 통계적으로 인지된 창업타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적 태도와 창업기회 인식 간의 관계에서 창업교육프로그램은 유의미한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기회 인식과 창업잠재성 간의 관계에서 역할 모델은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및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는 창업교육 활동의 대상인 대학생의 창업교육과 역할모델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창업에 대한 지각된 열망과 지각된 실행가능성이 형성되어야만 창업의도로 이어지기 때문에 바로 창업을 하지 않은 대학생의 창업잠재성관련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id": "JAKO20211046336990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08.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variables were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o examine the effects of overseas direct purchase quality factors(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overseas direct purchase users, and 17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5.0 and AMOS 2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factors of overseas direct purchas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factors of overseas direct purchas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factors of overseas direct purchase,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해외직구의 품질 요인(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서비스 품질)과 지각된 가치, 구매 의도와의 영향 및 가격 민감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변수를 구성하였다. 해외직구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178개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과 AMOS 21.0에 의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직구의 품질 요인은 지각된 가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해외직구의 품질 요인은 구매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외직구 품질 요인과 지각된 가치, 구매 의도와의 관계에서 가격 민감도의 조절 효과를 검정한 결과, 그룹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046336986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61.pdf", "abstract_en": "Limitation of the TCP/IP network technology included in the vehicle communication is due to the frequent mobility of the vehicle, the increase in intermittent connection requirements, and the constant presence of the possibility of vehicle hacking. VNDN technology enables the transfer of the name you are looking for using textual in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vehicle identifiers like IP/ID. In addition, intermittent connectivity communication is possible rather than end-to-end connection communication. The data itself is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based on name-based forwarding using two types of packets: Interest packet and Data packet. One of the issues to be solved for the realization of infotainment services under the VNDN environment is the traffic explosion caused by data broadcasting. In this paper, we analyze and compare the existing technologies to reduce the data broadcast storm. Through this, we derive and analyze the requirements for presenting the best data mitigation technique for solving the data explosion phenomenon in the VNDN environment. We expect this paper can be utilized as prior knowledge in researching improved forwarding techniques to resolve the data broadcast explosion in connected vehicles over NDN.", "abstract": "차량 통신 코어 네트워크 기술로 TCP/IP의 한계는 차량의 잦은 이동성, 간헐적 통신 연결 요구의 증가, 차량 해킹 가능성의 상시적 존재에 기인한다. VNDN 기술은 IP/ID와 같은 차량 식별자 없이도 컨텐트 이름 정보를 이용해 찾고자 하는 컨텐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단대단 연결 통신이 아닌 간헐적 연결 기반 통신이 가능하며 Interest 패킷과 Data 패킷 두 종류의 패킷을 이용해 컨텐트 이름 기반의 포워딩에 기반하여 데이터 자체가 통신의 주체가 되어 네트워킹의 실현이 가능하다. VNDN 환경하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실현을 위해 해결해야 할 이슈 중 하나는 데이터 브로드캐스트에 기인한 데이터 트래픽 폭증 현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브로드캐스트 폭증 현상을 경감시켜 주기 위한 기존 포워딩 기법들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이를 통해 VNDN 환경하에서 데이터 폭증 현상 해결을 위한 최선의 데이터 경감 기법 제시를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컨넥티드 차량을 위한 VNDN 에서 데이터 브로드캐스트 폭증을 해결하기 위한 보다 향상된 포워딩 기법 연구를 위한 사전 지식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id": "JAKO20211046336984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42.pdf", "abstract_en":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T technology is creating new services that have not existed by converging with various existing industries and fields.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and the latest technologies have developed dramatically with the development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various business processes are processed through chatbots. This study is a study on a system that provides a close answer to the question the user wants to find by creating a structural form for legal inquiries through Slot Filling-based chatbot technology, and inputting a predetermined type of question. Using the proposal system, it is possible to construct question-and-answer data in a more structured form of legal information, which is unstructured data in text form. In addition, by managing the accumulated Q&A data through a big data storage system such as Apache Hive and recycling the data for learning, the reliability of the response can be expected to continuously improve.",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IT기술은 기존의 다양한 산업과 분야에 융합되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서비스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분야의 챗봇과 최신 기술은 자연어처리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업무처리를 챗봇을 통해 처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슬롯필링(Slot Filling) 기반의 챗봇 기술을 통해서 법률 질의에 대한 구조적인 폼(Structual Form)을 만들고 정해진 형태의 질문을 입력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질문에 근접한 답변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이다. 제안 시스템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인 법률 정보를 보다 구조화된 형태로 질의응답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또 축적된 질의응답 데이터를 하이브(Apache Hive)와 같은 빅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여 학습에 데이터를 재활용하는 것으로 응답의 신뢰성을 지속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id": "JAKO20211046336986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865.pdf", "abstract_en": "The development history of China's big data is relatively short, and it has only been ten years so far. Although the application level of big data in real life is not high, some achievements have been made in the supply chain. Various kinds of data will be generated in the actual operation of the supply chain. If these data can be effectively classified and used, the \"bullwhip effect\" of the operation of the supply chain can be also effectively improved. Thus this paper proposes the development of a supply chain collaborative inventory management model and application framework using big dat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pply chain of beer industry, which is the most prominent consumption industry with \"bullwhip effect\", and further established a big data collaborative inventory management model for the supply chain of beer industry based on system dynamics. We used the Vensim software for simulation and sensitivity test and after appling our model, we found that the inventory fluctuations of the participants in the beer industry supply chain became significantly smaller, which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Our study can be also applied to the possible problems of the large data supply chain collaborative inventory management model, and gives certain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abstract": "중국에서의 빅데이터의 발전 과정은 비교적 짧아 10년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제 생활에서의 구체적인 활용도는 높지 않으나, 공급망분야에서는 일부 성과를 보이고 있다. 공급망이 실제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류·활용할 수 있다면, 공급망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채찍효과' 또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급망 협업 재고 관리 모델과 응용 프레임워크의 개발이다. 본 연구에서는 \"채찍효과\"가 가장 뚜렷한 소비 업종인 중국의 맥주 업계 공급 체인을 분석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및 민감도분석을 위해 Vensi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델을 적용한 결과 맥주 업계 공급 체인의 각 참여 주체의 재고변화가 적어지는 의미 있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가 더 큰 데이터를 갖는 공급망 협업 재고관리모델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사하고, 공급망 협업 재고관리모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09135473026",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26.pdf", "abstract_en": "Photogrammetry using drone can produce high-resolution ortho image and acquire high-accuracy 3D information, which is useful.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drone-photogrammetry in park construction by producing a topographic map using drone-photogrammetry and analyzing the problems and accuracy generated during production. For this purpose, we created ortho image and DSM (digital surface model) using drone images and created topographic status map by vectorizing them. Accuracy was compared based on topographic status map by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TS (total station). The resulting of analyzing mean of the residuals at check points showed that 0.044 m in plane and 0.066 m in elevation, satisfying the tolerance range of 1/1,000 numerical maps, and result of compared lake size showed a difference of about 4.4%.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height values for terrain in which existed vegetation when producing the topographic map, and in the case of underground buried objects,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it in the image, so direct spatial information acquisition was necessary.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topographic status map using drone photogrammetry can be efficiently constructed if direct spatial data acquisition is achieved for some terrain.", "abstract": "드론을 이용한 사진측량은 고해상도의 정사영상을 제작할 수 있고 높은 정확도의 3차원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토목·건설 분야에서의 활용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사진측량을 이용하여 지형 현황도를 제작하고 제작 시 발생되는 문제점과 정확도를 분석하여 공원 조성에 드론사진측량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드론 영상으로 정사영상과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을 제작하고 벡터화하여 지형 현황도를 작성하였다. 정확도 분석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TS(Total Station)으로 제작한 지형 현황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검사점을 이용한 정확도 분석 결과 잔차의 평균이 평면에서 0.044m, 표고에서 0.066m로 나타나 1/1,000 수치지도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였으며 연구 대상지 내 호수의 면적을 비교한 결과 약 4.4%의 면적의 차이를 보여 지형현황도 작성 가능이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지형 현황도 제작 시 식생이 존재하는 지형의 경우 높이 값을 정확하게 취득하기 어려웠으며 지하 구조물 같은 경우 영상에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직접적인 공간정보 취득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드론사진측량을 이용한 지형 현황도 작성은 일부 지형에 대하여 직접적인 공간정보 취득이 같이 이루어지면 효율적으로 제작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9135473013",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1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s the production of high-strength steel pipes due to the development of steel materials, the st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soil nailing method using high-strength steel pipes were evaluated. Rebars used as reinforcement in the soil nailing method are the same in order to determin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inforcement when replacing it with a high-strength steel pipe of a diameter, a field test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stability. As a result of the tensile test, the measured strain is smaller than the strain in the theoretical equation, so it can be seen that the behavior is similar to that of the soil nailing method using rebars. As a result of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the displacement of the high-strength steel pipe is larger than that of the rebars is considered to be the effect of the internal grouting effect of the steel pipe and the de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case of using high-strength steel pipes for the soil nailing method, it is judged that the field applicability is good by improving stability and workability through member performance and weight reduct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강소재의 발전에 의해 고강도 강관의 제작이 실용화됨에 따라 고강도 강관 쏘일네일링 공법의 안정성 및 적용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쏘일네일링 공법에서 보강재로 사용되고 있는 이형철근을 동일직경의 고강도 강관으로 대체할 때의 보강재의 거동특성과 보강력 증대효과를 규명하고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인장시험결과 측정변형률 값이 이론식에서 산정된 변형률보다 작은 값을 보이므로 이형철근을 사용한 쏘일네일링 공법과 유사한 거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변위측정 결과, 고강도 강관의 변위가 이형철근 보다 큰 값을 보이는 것은 강관 내부그라우팅 영향과 단면적 감소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쏘일네일링 공법에 고강도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부재성능 및 경량화를 통하여 안정성 및 시공성 향상에 따른 현장적용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9135473021",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21.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nd to analyze the reduction effect of debris flow damage by installing a berm. Flum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hannel slope and volumetric sediment concontr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reduction effect of debris flow damage by installing a berm, the cases of not installing a berm and the cases of installing a berm were compared. In this study, the runout distance, total travel distance, and mobility ratio were analyzed among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First,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hannel slope were analyzed, and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due to the change of volumetric sediment concentra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hange rate of debris flow deposition characteristics when a berm was installe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case when a berm was not install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nel slope and volumetric sediment concent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In addition, when a berm is installed on the slope, the runout distance and mobility ratio of debris flow are greatly decreased, and the total travel distance is increased. This means that installing a berm delays the movement of debris flow and reduces the potential mobility of debris f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help in the design of a berm.", "abstract": "본 연구는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파악하고 소단을 설치함에 따른 토석류 피해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양한 수로경사 및 토사체적농도를 고려하여 수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소단 설치에 따른 토석류 피해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소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소단을 설치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의 퇴적 특성 중 도달거리, 총 이동거리 및 이동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수로경사 변화에 따른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토사체적농도 변화에 따른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기준으로 소단을 설치한 경우의 퇴적 특성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수로경사와 토사체적농도가 토석류의 퇴적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면에 소단을 설치할 경우 토석류의 도달거리와 이동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총 이동거리가 증가하였다. 이는 소단을 설치하는 것이 토석류의 이동을 지연시키고, 토석류의 잠재적인 이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소단의 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9135473017",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35473017.pdf", "abstract_en": "A method of improving the post-management end system of a landfill that reflected total pollutant load was applied to the SUDOKWON 1st Landfill Site.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remaining methane, when compared to the total maximum potential of 2,521 × 106 Nm3, was estimated to be 8.8% in 2020, 7.0% in 2030, and 6.5% in 2040. If the average oxidation rate of 89.1% in 2005-2019 was applied, the ratio decreased by 1.01% in 2020, 0.76% in 2030, and 0.70% in 2040. This suggests that if the amount of methane generated is all e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landfill after 2025, the real amount emitted to the atmosphere is less than that in 2019; therefore, the post-management end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of the quality of leachate water, effluent criteria for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an be satisfied in 2024, while those for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Total Nitrogen (T-N) can be satisfied in 2047 and 2117, respectively. If the post-management end system changed based on total pollutant load, the post-management can be terminated BOD today and COD within a few years; however, the fact that T-N could be terminated only after 2041 shows the need to fundamentally change management methods.", "abstract": "오염총량 개념을 반영한 매립장 사후관리종료제도 개선방안을 수도권매립지 제1매립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매립가스 모델을 통해 분석한 메탄 잔여비율은 총 발생 가능량인 2,521×106 Nm3에 대하여 2020년 8.8%, 2030년 7.0%, 2040년 6.5%이었다. 2020년 이후의 표면발산 메탄량에 2005~2019년의 평균 산화율 89.1%를 적용할 경우, 실제 배출기준 메탄 잔여율은 2020년 1.01%, 2030년 0.76%, 2040년 0.70%로서 2025년 이후 메탄이 전량 표면 발산되어도 2019년 기준 표면 발산량보다 적어 사후관리 종료가 가능하였다. 침출수 수질에 대한 추이분석 결과, BOD는 2024년, COD 2047년, T-N은 2117년경에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사후관리종료를 배출부하량을 기준으로 변경할 경우 BOD는 현 시점에서 그리고 COD도 수년 내 사후관리종료가 가능하나, T-N의 경우 2041년 이후에나 가능하여 근본적인 관리방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d": "JAKO20212294983998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39982.pdf", "abstract_en": "Purpose: Recently, due to increasing usage of high-tech equipment for facility inspection, the need of verifying high-tech equipment is being emphasiz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of tunnel scanners that inspect tunnel facilities. Method: This paper describes literature reviews regard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of high-tech based equipment for facility inspection.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and expert advisory meetings, this paper suggests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of tunnel scanner. Result: First evaluation indicator states minimum performance standards of tunnel scanners. Second evaluation indicator is related to tunnel scanner quality. Conclusi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can provide reliable equipment performance catalogues, helping users to make a proper selection of equipment. Also, developers of equipment can get authorized verification of performances, preventing poor maintenance of facilities.", "abstract": "연구목적: 최근 시설물 점검 및 진단에 있어 활용되는 첨단장비들이 증가하여 첨단장비의 검·인증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설물 점검 및 진단에 활용되는 터널스캐너의 성능검증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시설물 점검 및 진단에 활용되는 첨단장비의 성능검증 사례를 조사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터널스캐너 성능검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터널스캐너 성능검증 방법론은 1차 평가와 2차 평가로 구성된다. 1차 평가지표는 최소요구성능을 기준으로 구성되고, 2차 평가지표는 터널스캐너의 품질에 관여된 지표들로 구성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터널스캐너의 성능검증 방법론은 장비 사용자에게 공인된 성능 카탈로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비 개발자는 장비의 공인된 검증을 받을 수 있어 부실한 유지관리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2294987999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79990.pdf", "abstract_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ata from the Ministry of Health, Safety and Health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total number of deaths (disease + accidents) reached 2,020 in 2019 and the estimated economic loss was 27.6 trillion won. This is believed to be the time to present improvements to ensure that economic loss estimates are steadily increasing as in Table 1, and that government-level losses can be drastically reduced. Method: In this study,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reliabil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term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Jamovi program for the analysis of results. Result: Multiple s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theory indicated in this study,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mechanical and management factors did not affect the fall death accident of the opening, and human factors, mater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d a static effect. In addition, mechanical and administrative factors do not affect the fall of the outer wall, and human and mater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static effect.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450 falling deaths over the past 13 years among the data posted to the Korea Health and Safety Corporation, the most common causes of falling deaths were the openings and outer walls.",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보건공단과 고용노동부의 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2019년 산업재해로 인하여 전체 사망자(질병+사고) 수도 2,020명에 달하며 경제적 손실추정액은 27.6조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Table 1에서와같이 경제적 손실추정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의 손실액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해야 할 때라고 판단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요인을 선정하였으며, 서울, 경기지역을 우선으로 지방에 산재되어 있는 현장 관리 감독 업무를 담당하는 기술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분석을 위해 Jamovi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기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지시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기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개구부에 대한 떨어짐 사망사고 방지를 위하여 기계적 요인과 관리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 요인과 물질·환경적 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벽의 떨어짐 사망사고 방지를 위하여 마찬가지로 기계적 요인과 관리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인적 요인과 물질·환경적 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안전보건공단에 게시된 자료 중 최근 13년간 450건의 떨어짐 사망사고를 분석한 결과 떨어짐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개구부와 외벽부에 대하여 떨어짐 사망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id": "JAKO20212294988899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88992.pdf", "abstract_en": "Purpos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infrastructures diagnosis equipment will be needed as infrastructures management is strengthened to implement the Framework Act on Sustainable Infrastructure Management. It is necessary for a certification system to supply certified products of a reasonable level in accordance with market requirements for various convergence equip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of inspection and diagnosis equipment for infrastructure using advanced technologies. Method: The basic elements, systems and procedures of certification system were reviewed through analyzing and comparing the existing similar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a catalog method and the minimum performance criterion (sampling survey and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o equipment developers (manufacturers), clients and equipment users. Result: This survey showed that clients preferred complete enumeration method on the basis of minimum performance, and equipment users also preferred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sample survey, for minimum performance, at a similar rate. On the other hand, equipment developers preferred the catalog method. Conclusion: Clients and users who are the users of the diagnostic equipment preferred the minimum performance criterion because their trust in quality i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developers(manufacturers) preferred the catalog method which adopts self certification because it is regulated in developing various products. There is no specific plan for the minimum performance standards require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ethod which users demand, at present. In addition, it is not desirable to force to introduce a certification system because it requires a considerable period of study to prepare the specific standard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operate the syste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entering around the catalog method for the stable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infrastructure diagnosis and test equipment market in Korea. Also, it is effective to expand and develop the certification system to the extent that it minimizes the impact on the market when specific plans for the standards are prepared in the future.", "abstract": "연구목적: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 시행으로 시설물관리가 강화되면서 다양한 시설물 진단장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양한 융합장비에 대한 시장요구에 맞춰 합리적인 수준의 인증제품 공급하기 위한 인증제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진단장비에 대한 인증체계 도입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기존 국내 유사인증제도에 대한 상세분석 및 비교를 통하여 인증제도의 기본적인 요소와 체계 및 절차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카탈로그방식, 최소성능기준(표본조사, 전수조사)에 대하여 진단장비 개발자(제조자), 발주자, 장비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결과 발주자는 최소성능기준 전수조사 방식을 선호하였으며, 장비사용자 역시 최소성능 전수조사 방식과 표본조사를 거의 비슷한 비율로 선호하였다. 반면, 장비개발자는 카탈로그방식을 선호하였다. 결론: 진단장비의 사용자 입장인 발주자와 사용자는 품질에 대한 신뢰가 중요하므로 최소성능기준제시를 선호하였다. 반면, 개발자(제조자)는 다양한 제품의 개발에 규제가 되므로 자기인증방식인 카탈로그방식을 선호하였다. 현재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소성능기준 방식의 도입에 필요한 최소성능기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구체적인 최소성능기준 마련에도 상당한 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므로 무리하게 인증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국내 시설물진단 및 검정장비 시장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카탈로그 방식을 중심으로 일정기간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향후 필요에 따라서 최소성능기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면 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는 범위에서 인증 제도를 확대 및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id": "JAKO202123861720315",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861720315.pdf", "abstract_en": "In order to develop a safe seeding technology for low-density transplantation, we analyzed the changes in seeding growth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rates and seeding days. We detected changes in leaf number and shoot diameter on the 10th seeding day, and in plant height on the 20th seeding day according to seeding rate. The increase in shoot and leaf number, and shoot diameter per seeding day decreased with anincrease in seeding rate. On seeding day 20, the reductions in shoot and root dry weights according to seeding rate was lower compared with those recorded at seeding day 10. Shoot dry weigh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oot dry weight, plant height, and shoot diameter. With an increase in seeding rate, seeding health decreased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rate of seeding health per seeding day decreased. For low-density transplantation, the optimal number of seeds required for transplanting 3-5 plants per hill is 11,000, which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80-300 g of seeds for 22 g brown rice. Furthermore, the appropriate number of seeding days is estimated to be 13 to 16 days, which corresponds to a small reduction in seeding health.", "abstract": "최근 벼 이앙 시 필요한 육묘상자 개수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생력재배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드문모심기의 안전 육묘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육묘상자당 파종량 및 육묘일수에 등 육묘환경에 따른 모소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묘일수 10일 시 파종량에 따라 엽수, 줄기두께가 변하였으며, 육묘일수 20일에는 초장, 엽수, 줄기두께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상자 당 파종량 증가에 따라 육묘일수에 따른 초장신장, 엽령증가정도 및 줄기두께 증가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상자 당 파종량 증가에 따라 줄기 건물중 및 뿌리 건물증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폭은 육묘일수 10일에 비해 20일에 크게 증가하였다. 4. 어린모의 줄기 건물중은 뿌리건물중, 초장 및 줄기두께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자 당 파종량 증가 시 모충실도는 낮아지며 육묘일수당 모충실도 감소량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드문모심기 시 육묘상자 절감의 효율증대를 위해 최소 묘취량을 설정하여 이앙 시 주당 3~5본을 이앙하기 위한 적정 파종개수는 11,000로 현미천리중이 22 g인 종자의 경우 약 280~300 g으로 판단되며 이 때 적정 육묘일수는 모충실도감소가 적은 13~16일로 판단된다."} {"id": "JAKO20212294988999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89992.pdf", "abstract_en": "Purpose: Traditional markets often have irregular space utilization patterns because the spaces are created and divided as time passed. Internally, there is high risk of fire due to problems such as aging facilities and high-density of stores and externally, there is high risk of fire spread since it is often adjacent to deteriorated resident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Method: In this paper, on-site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check fire risk factors and fire spread risk, and fire occurrence and expansion risk factors were investigated for traditional markets in Hwanghak-dong and Dong-daemun by using large-scale fire data from existing traditional markets.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likely to be various problems such as high fire load and lack of safety awareness due to aging facilities and high-density of stor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because deteriorated residential facilities with narrow alleys around traditional markets have high fire spread. It is situation that while traditional markets mainly are managing for fire and disaster centering on the merchant association, the surrounding residential areas are not properly managed.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deteriorated residential facilities with traditional markets, also to be linked early warning system and information to evacuate rapidly in case of fire there.", "abstract": "연구목적: 전통시장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필요에 의하여 공간이 생성 및 구획되어 불규칙적인 공간 활용 패턴을 갖는 경우가 많다. 그 영향으로 내적으로는 시설노후화, 점포의 과밀화 등과 같은 문제로 화재발생 위험성이 높고, 외적으로는 노후 주거 및 상업 시설과 인접한 경우가 많아 화재확산의 위험성이 높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전통시장 대형화재 자료를 활용하여 황학동과 동대문 일대의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화재 위험요인 및 화재 확산 위험성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화재 발생과 확대 위험요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노후화시설과 점포과밀화로 인한 높은 화재하중 및 안전의식 부재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전통시장주변의 좁은 골목과 함께 발달한 노후주거시설은 화재확산 위험성이 매우커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전통시장은 상인회를 중심으로 화재 및 재난관리를 하는 반면 주변 주거지역은 제대로 관리되고 있지 못하였다. 결론: 전통시장과 함께 주변의 노후주거시설을 함께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전통시장과 노후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하여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조기경보체계와 정보연계가 필요하다."} {"id": "JAKO20211175254971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52549711.pdf", "abstract_en": "The change of the vorticity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heat exchanger tube bank were analyzed for the flows with the constant inlet velocity and the sinusoidal inlet velocity. The flow frequency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analyzing power spectral density of lift and drag at a typical circular tube in the tube bank. Karman vortex street could be seen at the upstream region of tube bank for the case of constant inlet velocity. It could be seen that the Karman vortex street was affected by the change of inlet velocity near the circular tubes for the case with the sinusoidal inlet velocity. It was observed that the unsteady temperature distributions for both inlet velocity conditions had almost the same motion as the flow vorticity behavior. The flow frequency for the case with the constant inlet velocity is 37.25Hz, and that with the sinusoidal inlet velocity, the flow frequency is 18.63Hz, which is equal to the sinusoidal inlet velocity. The mean surface Nusselt number(Nu) for overall heat exchanger tube bank was 1051 for the case with the constant inlet velocity and 1117 for the case with the sinusoidal inlet velocity. From the result of heat transfer analysis, it could be seen that Nu with the sinusoidal inlet velocity showed 6.3% increase than that with the constant inlet velocity.", "abstract": "열교환기 관군에서 덕트 입구의 속도가 일정한 경우와 정현파로 변하는 경우에 대하여 시간에 따라 배관 주위에서 유동 특성과 열전달 특성 규명을 위해 와류 분포와 온도 분포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입구 속도가 정현파 변동이 있는 경우에 열교환기 관군에서 대표적인 원관에서 양력과 항력의 power spectral density를 도출하여 유동 변화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살펴보았다. 입구 유속이 일정한 경우는 열교환기 관군의 입구쪽 관군 부근에서 원관 주위 유동에서 관찰 할 수 있는 칼만 와류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정현파 입구 속도 변동의 경우에서도 입구쪽 관군에서 칼만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정현파 입구 속도 변동에 따른 유동 와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온도 분포 변화는 일정한 입구 속도 변화의 경우와 정현파 입구 속도변화의 경우 모두 유동 와류 분포에서 관찰한 것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동 주파수는 일정한 입구 속도의 경우는 37.25 Hz이며 정현파 입구 속도의 경우는 정현파 주파수와 동일하게 18.63 Hz으로 나타났다. 열교환기 배관 전체의 평균 Nu수는 일정한 입구 속도의 경우에는 1051이며 정현파 입구 속도 변동의 경우는 1117로 나타나서 정현파로 입구 속도가 변하는 경우의 열전달이 6.3%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09835991058",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1058.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atching rate of Pochazia shantungensi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ethod of machine oil and the effect on apple quality by spawning. In the effect of machine oil treatment, when 20 times of the machine oil was spread by brush, the average hatching rate was 0.57%, and the sprayed branches showed an average hatching rate of 1%. When the machine oil agent was applied 50 times, the hatching rate was about 35% to spread by brush, whereas the spray treatment showed about 77%, so there were no difference from the non-treatment considering the devi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fruit even when apple fruits were fruited in the following year in the results of spawning and non-spawning of P. shantungensis in Hongro and Fuji varieties.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branch breakage and growth caused by spawning of P. shantungensis.", "abstract": "본 연구는 갈색날개매미충의 기계유유제 처리 방법별 부화율과 산란에 의한 사과 열매의 품질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기계유유제 처리 효과를 보면 기계유유제 20배를 도포한 것이 평균 0.57%로 가장 적은 부화율을 보였고, 분무한 가지에서는 평균 1%의 부화율을 보였다. 기계유유제를 50배 도포 처리시 부화율이 약 35%를 보인반면 분무처리는 약 77%를 보여 편차를 고려하면 무처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홍로와 후지 품종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이 산란한 결과지와 산란되지 않은 결과지에 이듬해 사과 열매가 결실되어도 과실의 품질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에 의한 가지의 부러짐도 없었고, 결과지 생육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id": "JAKO202109835991076",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1076.pdf", "abstract_en": "Aerospace and geospatial technologies have become more accessible by researchers and agricultural practitioners, and these technologies can play a pivotal role in transforming current pest management practice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During the past 20 years, technologies including satellites, manned and unmanned aircraft, spectral sensors, information systems, and autonomous field equipment, have been used to detect pests and apply control measures site-specifically. Despite the availability of aerospace and geospatial technologies, along with big-data-drive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of such technologies to apple IPM have not been realized yet. Using a case study conducted at the Korea Apple Research Institute, this article discusses the advances and limitations of current aerospace and geospatial technologies that can be used for improving apple IPM.", "abstract": "항공 및 지리 공간 기술은 연구자 및 농업관련 실무자들이 더욱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은 농업과 임업에 있어 현재 병해충 관리의 변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지난 20년 동안 위성, 유무인항공기, 스펙트럼 센서들, 정보 시스템 및 자동화 현장 장비들의 기술들은 병해충을 감지하고, 특정 지점에 대한 병해충을 방제하는데 사용되어져 왔다. 빅 데이터 기반한 인공 지능과 함께 항공 및 지리 정보 기술의 가용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을 사과 IPM에 적용하는 것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사과연구소에서 수행한 사례 연구를 통해 사과 IPM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항공 및 지리 정보기술의 발전과 한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id": "JAKO20211315064397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50643972.pdf", "abstract_en": "Hydraulic-mechanical (H-M) coupled numerical modeling was used to evaluate the evolution of hydrogeological properties in response to the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a borehole. A domain with a discrete fracture network was adopted for discontinuum modeling to simulate changes in fracture apertures. Comparison with real hydraulic test data shows that the effects of principal stress direction and expansion of borehole diameter were reasonably simulated by H-M coupled numerical modeling. The modeling confirmed that aperture changes depended on the principal stress direction, with an increase in aperture size due to vertical displacement being the dominant effect. A concentration of shear dilation around the borehole had an additional, subsidiary, effect on the hydrogeological evolu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meability of fractured rock can be increased by changing the hydraulic properties of a fracture through stress redistribution caused by the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a borehol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 천연방벽의 수리 특성 진화와 관련하여, 시추공 설치 및 확공이 결정질 암반 내 단열 및 수리 특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리-역학 연동 수치해석을 수행했다. 시추공 부근에서의 간극 열림과 투수성 변화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단열망을 기반으로 한 불연속체 해석 도메인을 이용했다. 단열암반에서의 현장수리시험 모사를 통해 주응력방향과 시추공 직경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 단열의 간극변화가 주응력방향에 의존함을 확인했다. 그리고 수직변위에 의한 간극크기 증가가 지배적이었다. 시추공 부근에 전단팽창이 집중되는 것도 단열의 수리지질학적 진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치해석 결과는 시추공 설치 및 확공에 따른 응력교란에 의해 단열 특성이 변화하여 단열 암반의 투수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추후 본 연구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크기의 처분공 주변에서의 정확한 수리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3차원 해석모델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d": "JAKO20211205477281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2818.pdf", "abstract_en": "We extend and modify the canonical epidemiology model of Eichenbaum, Rebelo and Trabandt (2020) to investigate the general equilibrium effects of COVID-19 spread in the Korean economy when vaccine, treatment and social distancing are available. Particularly, we develop a SIR-macro model which considers possibility of moral inattention of the overconfident agents through which people is more likely to be infected. Our model implies that people's decision to cut back on consumption and work reduces the severity of the epidemic and thus exacerbate the size of the economic recession caused by the epidemic. Another finding is that the average 13 weeks to develop the vaccine and treatment will lead to 2% drop of consumption.",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한 최적 방역정책이 국내 거시경제에 미치는 동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백신, 치료제, 사회적 거리두기의 다양한 조치가 취해지는 상황에서 감염병 예방노력의 도덕적 부주의를 결합한 거시-역학 모형을 제시하였다. Eichenbaum, Rebelo and Trabandt(2020)의 거시-역학 모형에 도덕적 부주의 상황을 추가하였으며, 확산모형을 이용하여 국내의 코로나19 감염율을 추정하였다. 사회적 후생을 극대화하는 램지 문제의 동태적 분석결과는 사람들의 일상 중 생활속 거리두기 준수가 정부의 방역정책과 치료제, 백신 도입이 효과를 발휘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도덕적 부주의가 있는 경우의 최적 방역정책은 2배 더 강화되어야 하며, 총소비는 7% 하락하고, 회복하는 데 저점부터 12주가 소요된다.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성공하는 데 평균 13주 소요되는 경우에 총소비는 2% 하락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id": "JAKO20211205477283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2830.pdf", "abstract_en": "It has been recognized that implementing the marginal price mechanism to CBP is not acceptable due to the lack of revenue of the marginal generators.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ot the problem of marginal price mechanism but the structural problems originated by the suspension of restructuring, the technical limits of RSC program and inaccuracy of the generation cost estimation method. This study explains the method to calculate the cost function in operating modes of the CC generators and proposes the modeling for the CC generators in RSC program. To implementing the cost function in operating modes could giv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rice setting mechanism from average to marginal cost. The price setting mechanism based on the marginal cost will be one of the main points to provide the right price signals and to introduce a real-time and A/S markets to prepare the energy transition era.", "abstract": "우리나라 전력시장에서 한계비용 기반의 가격결정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질 때 마다 한계발전기의 수익 감소는 가장 큰 장애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수익감소는 한계비용 기반의 가격결정메커니즘의 한계점이 아니라 시장개설 초기 CBP체제의 단기 운영 계획, 발전계획프로그램의 기능 부재, 성능시험의 구조적 결함이 결합된 문제이다. 다조합 복합발전기에 운전조합별 비용함수를 적용할 경우 고출력구간에서 한계비용이 평균비용을 초과할 수 있으며, 이것은 비용함수를 산정하는 방식에 따라 가격결정메커니즘 제도개선을 가로막았던 구조적인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시장, 계통운영보조서비스 시장 등 재생에너지 확대를 수용하기 위한 전력시장 개선 및 DR, ESS 등 새로운 자원들의 시장참여 확대 등 향후 전력시장의 복잡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력시장이 복잡해질수록 합리적인 가격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전력시장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며 한계비용 기반의 가격결정메커니즘이 바로 전력시장 선진화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id": "JAKO202113855736052", "publication_date": "2021.04.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052.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a LiDAR sensor to forest resources inventories by comparing data on a tree's position, height, and DBH obtained by the sensor with those by existing forest inventory methods, for the tree species of Criptomeria japonica in Jeolmul forest in Jeju, South Korea. To this end, a backpack personal LiDAR (Greenvalley International, Model D50) was employed.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the data collection, patterns of collecting the data by the sensor were divided into seven ones, considering the density of sample plots and the work efficiency. Then,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variables of each tree was assessed. The amount of time spent on acquiring and processing the data by each method was compar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ate of detecting standing trees by the LiDAR was 100%. Also, the high statistical accuracy was observed in both Pattern 5 (DBH: RMSE 1.07 cm, Bias -0.79 cm, Height: RMSE 0.95 m, Bias -3.2 m), and Pattern 7 (DBH: RMSE 1.18 cm, Bias -0.82 cm, Height: RMSE 1.13 m, Bias -2.62 m), compared to the results drawn in the typical inventory manner. Concerning the time issue, 115 to 135 minutes per 1ha were taken to process the data by utilizing the LiDAR, while 375 to 1,115 spent in the existing way, proving the higher efficiency of the device. It can thus be concluded that using a backpack personal LiDAR helps increase efficiency in conducting a forest resources inventory in an planted coniferous forest with understory vegetation, implying a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a variety of forests.", "abstract": "본 연구는 LiDAR 센서의 산림자원조사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제주 절물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삼나무의 개체목 탐지, 흉고직경과 수고를 측정하여 전통적인 산림자원조사와 정확성과 효율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백팩형 지상라이다(Backpack Personal Laser Scanning; BPLS)는 Greenvalley International 사(社)의 Model D50을 사용하였다. 최적의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표준지의 밀도와 작업 효율성을 고려한 LiDAR스캔의 표본추출방법을 7가지로 구분하였다. 분석은 개체목 변수 측정의 정확성을 파악하고 요소작업별 시간과 전체 분석시간을 조사하여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백팩형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입목 탐지율은 모든 패턴이 100%로 나타났다. 정확성은 패턴5(흉고직경: RMSE: 1.07 cm, Bias: -0.79 cm, 수고: RMSE: 0.95 m, Bias: -3.2 m)와 패턴7(흉고직경: RMSE: 1.18 cm, Bias: -0.82 cm, 수고: RMSE 1.13 m, Bias: -2.62 m)이 현장조사 방법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 정확성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BPLS와 현장조사를 이용하여 1 ha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걸린 시간을 환산한 결과 BPLS는 약 115분~135분이 소요되며, 현장조사방법은 375분~1,115분으로 BPLS를 이용한 방법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층식생이 적고 비교적 관리가 잘 된 인공 침엽수림에서는 BPLS 장비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산림자원조사가 가능하며, 앞으로 다양한 임분 조건에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id": "JAKO202113855736091", "publication_date": "2021.04.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091.pdf", "abstract_en": "GEO-KOMPSAT-2A (GK2A) AMI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Best Detector Select (BDS) map is pre-determined and uploaded before the satellite launch. After the launch, there is some possibility of a detector performance change driven by an abrupt temperature variation and thus the status of BDS map needs to be evaluated and updated if necessary. To investigate performance of entire elements of the detectors, AMI BDS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a technical note provided from the AMI vendor (L3HARRIS). The concept of the BDS analysis i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signals from detectors while they are staring at targets (deep space and internal calibration target). For this purpose, Long Time Series (LTS) and Output Voltage vs. Bias Voltage (V-V) methods are used. The LTS for 30 secs and the V-V for two secs are spanned respectively for looking at the targets to compute noise components of detectors. To get the necessary data sets, these activities were conducted during the In-Orbit Test (IOT) period since a normal operation of AMI is stopped and special mission plans are commanded. With collected data sets during the GK2A IOT, AMI BDS map was intensively examined. It was found that about 1% of entire detector elements, which were evaluated at the ground test, showed characteristic changes and those degraded elements are replaced by alternative best ones. The stripping effects on AMI raw images due to the BDS problem were clearly removed when the new BDS map was applied.", "abstract": "천리안위성2A호 기상탑재체 AMI(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센서 검출기의 최상의 요소들로 구성된 Best Detector Select (BDS) 맵은 발사 전 확정되어 AMI에 업로드 되어 있다. 위성 발사 이후 급격한 온도 변화 환경에 노출되면 검출기의 성능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발사 및 탑재체 아웃개싱 이후에 BDS맵의 성능을 다시 분석하고 필요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검출기 요소 전체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 작업이 탑재체 개발업체(미 L3HARRIS사)가 제공한 BDS맵 분석 기술 문서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BDS맵 분석이란 탑재체 검출기가 기준 목표물(심우주와 탑재체 내부 보정 타겟)을 응시하는 동안 얼마나 안정적인 신호를 보이는 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LTS(Long Time Series) 및 V-V(Output Voltage vs. Bias Voltage)라 부르는 검증법이 이용된다. LTS는 30초 동안, V-V는 2초 동안 목표물을 응시하고 이 때의 검출기 노이즈 성분을 계산한다. 자료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탑재체의 운영을 멈추고 특별 관측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상 운영 전인 궤도상 시험기간 중에 해당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천리안위성2A호 기상탑재체 궤도상 시험 기간 동안 획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BDS맵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발사 전 지상 시험에서 평가된 BDS맵의 전체 성분들 중에 약 1%에 해당하는 요소들이 성능 변화를 보였으며, 이를 다른 요소들 중 최상의 성능을 보이는 성분으로 교체하였다. 새로운 BDS맵을 적용한 결과 BDS문제로 인해 야기된 기상탑재체 원시영상에 나타나는 노이즈 성분(줄무늬)이 완전하게 제거되었다."} {"id": "JAKO202113855736066", "publication_date": "2021.04.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066.pdf", "abstract_en": "Updating a forest type map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forest resource management and monitoring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efficient and wide-area forestry remote sensing, CAS500-4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4;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satellite) project has been confirmed and scheduled for launch in 2023. Before launching and utilizing CAS500-4, this study aimed to pre-evaluation the possibility of satellite-based tree species classification using RapidEye, which has similar specifications to the CAS500-4. In this study, the study area was the Chuncheon forest management complex, Gangwon-do. The spectral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the growing season image. And the GLCM texture information was derived from the growing and non-growing seasons NIR bands. Both information were used to classification with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method. In this study, tree species were classified into nine classes to the coniferous tree (Korean red pine, Korean pine, Japanese larch), broad-leaved trees (Mongolian oak, Oriental cork oak, East Asian white birch, Korean Castanea, and other broad-leaved trees), and mixed forest. Finall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orest type map and classification results. As a result, the accuracy was 39.41% when only spectral information was used and 69.29% when both spectral information and texture information was used. For future study, the applicability of the CAS500-4 will be improved by substituting additional variables that more effectively reflect vegetation's ecological characteristics.", "abstract": "기후변화나 여러 환경문제들로부터 지속 가능한 산림자원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해 임상도의 지속적인 갱신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광역적인 산림 원격탐사의 필요성에 따라 차세대 중형위성 4호의 사업이 확정되어 2023년 발사 예정에 있다. 농림위성(차세대 중형위성 4호)는 5 m급 공간해상도와 Blue, Green, Red, Red Edge, Near Infra Red 총 5개 밴드를 가진다. 본 연구는 농림위성의 발사 및 활용에 앞서 농림위성과 유사한 사양을 가지는 RapidEye를 이용하여 위성 기반 수종분류의 가능성을 모의 평가하기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춘천 선도산림경영단지를 연구 대상지로 하였으며, RapidEye 위성 영상기반 모의 수종분류는 생육기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분광정보와 생육기와 비생육기의 NIR 밴드로부터 추출한 GLCM 질감특성 정보가 활용되었고, 이를 입력데이터로 하여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침엽수종 3종(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활엽수종 5종(신갈나무, 굴참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기타활엽수), 침활혼효림 총 9종으로 임상을 분류하였다. 분류 정확도는 임상도와 분류 결과를 대조하여 산출하였으며, 분류 정확도는 분광정보만 사용한 경우 39.41%, 분광정보과 질감정보를 모두 사용한 경우 69.29%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다중시기 분광정보 및 질감정보의 활용을 통해 5 m 해상도의 위성영상으로부터 수종분류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영한 추가 변수를 대입하여 농림위성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id": "JAKO202113855736042", "publication_date": "2021.04.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042.pdf", "abstract_en": "This study analyzed co-registr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geometric processing level of reference image, which are Level 1R and Level 1G provided from KOMPSAT-3 and KOMPSAT-3A images. We performed co-registration using each Level 1R and Level 1G image as a reference image, and Level 1R image as a sensed image. For constructing the experimental dataset, seven Level 1R and 1G images of KOMPSAT-3 and KOMPSAT-3A acquired from Daejeon, South Korea, were used. To coarsely align the geometric position of the two images, SURF (Speeded-Up Robust Feature) and PC (Phase Correlation) methods were combined and then repeatedly applied to the overlapping region of the images. Then, we extracted tie-points using the SURF method from coarsely aligned images and performed fine co-registration through affine transformation and piecewise Linear transformation, respectively, constructed with the tie-poin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hen Level 1G image was used as a reference imag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ie-points were extracted than Level 1R image. Also, in the case where the reference image is Level 1G image, the root mean square error of co-registration was 5 pixels less than the case of Level 1R image on average. We have show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co-registration performance can be affected by the geometric processing level related to the initial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mages. Moreover, we confirmed that the better geometric quality of the reference image achieved the more stable co-registration performance.", "abstract": "본 연구는 KOMPSAT-3 및 KOMPSAT-3A호에서 전처리 단계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하는 Level 1R 영상과 Level 1G 영상을 이용하여 기준영상의 기하품질에 따른 상호좌표등록 결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준영상으로 Level 1R 영상 및 1G 영상 각각을 사용하고 대상영상은 Level 1R 영상을 사용하여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대전지역에서 촬영된 KOMPSAT-3 및 3A호의 Level 1R, 1G 영상 총 7장을 이용하였다.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특징기반 정합기법인 SURF (Speeded-Up Robust Feature) 기법과 영역기반 정합기법인 위상상관 (Phase Correlation) 기법을 함께 이용한 반복적 정합기법을 통해 두 영상의 기하학적 위치를 개략적으로 일치시켜 주었다. 개략적으로 일치된 영상에서 SURF 기법을 이용하여 정합쌍을 추출하고 Affine 변환모델과 Piecewise Linear 변환모델을 각각 구성하여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기하오차가 보정된 Level 1G 영상을 기준영상으로 선정하였을 경우, Level 1R 영상을 이용하였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정합쌍을 추출하였다. 또한, 기준영상이 Level 1G 영상일 때의 상호좌표등록 RMSE (Root Mean Square Error) 값이 평균 5화소 미만으로 Level 1R 영상을 이용하였을 때보다 더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호좌표등록 수행 시 두 위성영상 간의 초기위치관계가 상호좌표등록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기준영상의 기하품질이 우수할수록 안정적인 상호좌표등록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0463369946",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46.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finding missing persons based on face-recognition technology and deep learning. In this paper, a real-time face-recognition technology was developed, which performs face verification and improves the accuracy of face identification through data fortification for face recognition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based image learning after the pre-processing of images transmitted from a mobile device. In identifying a missing person's image using the system implemented in this paper, the model that learned both original and blur-processed data performed the best. Further, a model using the pre-learned Noisy Student outperformed the one not using the same, but it has had a limitation of producing high levels of deflection and dispersio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비전 기술과 딥러닝 기반의 얼굴인식을 통해 실종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원본 이미지에 대해 얼굴인식에 적합하도록 이미지를 전처리한 후, 얼굴인식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증식과 CNN 기반 얼굴학습 및 검증을 통해 실종자를 인식하였다. 본 논문의 구현 결과를 이용하여 가상의 실종자 이미지를 식별한 결과, 원본 데이터와 블러 처리한 데이터를 함께 학습한 모델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게 나왔다. 또한 사전학습된 가중치를 사용한 학습 모델은 사용하지 않은 모델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지만, 편향과 분산이 높게 나오는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0463369985",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85.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working environment of nurses by identifying the key keywords associated with the unfair working conditions of Korean nurses reported in various media outlets in the media. \"Nurse NOT (nurse) or nurse\" was searched on BIG KINDS, selected articles related to the unfair treatment of nurses, extracted the final 309 cases, and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of hospital-level, regional, keyword, and integrated keywords in the article using Excel2007. Of the 309 articles, 79 (22.56 percent) were published from November 2015 to October 31, 2016, 92 (29.77 percent) from third medical institutions, and 121 (39.1 percent) from across the country. The integrated keywords were summarized into a total of 14, followed by sexual assault/sexual harassment (14.88%), shortage of nurses (11.65%), burning nurses (11.0%), unfair dismissal (10.67%) and physical assault (10.35%). The finding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ositive working environment for nurses and improving positive image awareness of nursing professional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의 언론매체에 보도된 한국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연관 주요 키워드를 확인함으로써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파악하고 문제점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간호 NOT(간호사) or 간호사'를 BIG KINDS에서 검색하여 간호사의 부당한 처우와 관련된 기사를 선별, 최종 309건을 추출한 후 내용 분석을 통하여 기사가 보도된 시기, 기사에 나타난 병원급, 지역, 키워드, 통합키워드의 6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관련 기사가 가장 많이 발표된 시기, 기관, 지역은 각각 2015년 11월~2016년 10월 31일 79건(22.56%), 3차 의료기관 92건(29.77%), 전국 121건(39.1%)으로 나타났다. 통합 키워드는 총 14개로 정리되었으며, 성폭행/성희롱(14.88%), 간호사 인력부족(11.65%), 간호사 태움(11.0%), 부당해고(10.67%), 신체적 폭행(10.35%) 등의 순이었다. 연구결과는 간호사의 긍정적인 근무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0463370027",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27.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logistics companies will have different business models when using blockchain technology. In addition, it intend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absorptive capacity and performance of logistics companie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logistics companie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business model, and ANOVA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cluster analysis. The difference in absorptive capacity and performanc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business model identified through cluster analysis. In addition, PLS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absorption capacity and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logistics companies have different types of business models in adopting blockchain technology. Logistics companies groups with high degree of development of business models showed high results in terms of absorption capacity and performance level.", "abstract": "본 연구는 물류기업이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하는 경우에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질 것이라고 보고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하는 물류기업들의 흡수역량과 성과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물류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비즈니스 모델을 파악하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군집분석의 유의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파악된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흡수역량과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흡수역량과 성과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PLS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물류기업들은 블록체인기술을 채택함에 있어 다른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즈니스 모델의 발전정도가 높은 기업군들이 흡수역량과 성과 수준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id": "JAKO202110463370000",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00.pdf", "abstract_en": "Article 117,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states that \"Local governments may enact provisions relating to local autonomy, within the limit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It restricts the enactment of effective self-government laws. The fundamental problem-solving is securing the right to self-governing legislation through constitutional amendment. Therefore, it must be revised to \"Local governments can make regulations on self-government to the extent that they handle resident welfare affairs in accordance with the subsidiarity and do not violate the law.\" In the long-term perspective, the current education council problem, which is contrary to the constitution, has to be revived as a constitutional independent education committee system, and the voting agency and the executive agency must go together and education councilors must have about 10 years of experience in education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The current superintendent's election system is of great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democratic legitimacy by ensuring residents' right to vote and securing a superintendent's representation of residents. It hasn't been long since the system was implemented, but there are some side effects and it is argued that the election system should be replaced by the appointment by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the running mate system or the joint registration system. However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and supplement the side effects rather than fixing the system as it violates the Constitution of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 "abstract": "「헌법」제117조 제1항에서 \"지방자치단체는 법령의 범위 안에서 자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는 문제로 실효성 있는 자치법규를 제정하는 데 한계가 있어,.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헌법 개정을 통한 자치입법권을 확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는 보충성의 원칙에 따라 주민 복리에 관한 사무 등을 처리하며 법률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자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로 개정을 해야 하는 것이다. 헌법에 위배되는 현행의 교육의원 문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합헌인 독립적인 교육위원회 제도로 부활하여 의결기관과 집행기관이 짝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자격요건은 10년의 교육행정 경력이 있어야 한다. 현행 교육감직선제는 민주적 정당성 확립의 의미가 있지만, 제도 시행이 짧은 상황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 커서 교육감직선제에 대한 폐지 주장에서 나오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임명제, 러닝메이트제, 공동등록제 등은 헌법에 위배되어 또 다시 제도개선을 하기 보다는 부작용을 보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d": "JAKO202110463369958",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58.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generating theme, background amd signal music usage monitoring information based on a blockchain, in which the music usage informations are recorded by the monitoring tool using feature-based filtering of monitoring organizations. Theme, background and signal music are music inserted into the broadcasting contents of broadcaster. Since they are recognized as created contents just like normal music, there are lyricists and composers who have the right for those music and all copyright holders of them have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copyright fees, once the music was used in the broadcast. However, there are problems with inaccurate monitoring results for music usage, due to the omission of usage details and non-transparent settlement metho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f the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accurate music usage history can be created, the details are stored in the blockchain without changes or omissions, and transparent settlement and distribution are possible by smart contract, avoiding the current non-transparent settlement metho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모니터링 단체의 특징기반 필터링 기반의 음원 이용 모니터링 도구에서 음원 이용 내역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주배시 음원 이용 모니터링 정보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주배시 음원이란 방송사의 방송콘텐츠에 삽입된 음원으로서 통상 음원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창작물로서 인정되며 음원의 권리를 가지고 있는 작사, 작곡가 등이 존재하며 방송에서 음원이 이용된 만큼 모든 권리자가 이에 따른 저작권료를 분배받는다. 하지만 주배시 음원 이용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모니터링 결과와 이에 따른 이용 내역에 대한 누락 및 투명하지 않는 정산 방식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제안한 정보생성 방식을 이용하면 정확한 음원 이용 내역이 생성 가능하고 블록에 저장된 내역이 변경이나 누락 없이 저장되고 투명하지 않는 정산방식을 스마트 계약에 의해 처리하여 투명한 정산 및 분배가 가능하다."} {"id": "JAKO202110463369937",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37.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extend a generic library framework based on the state monad to exploit deterministic parallelism in a purely functional language Haskell and provide benchmarks for the extended features on a multicore machine. Although purely functional programs are known to be well-suited to exploit parallelism, unintended squential data dependencies could prohibit effective parallelism. Symbolic execution programs usually implement fresh name generation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between variables in different scope with the same name. Such implementations are often based on squential state management, working against parallelism. We provide reusable primitives to help developing parallel symbolic execution programs with unbound-genercis, a generic name-binding library for Haskell, avoiding sequential dependencies in fresh name generation. Our parallel extension does not modify the internal implementation of the unbound-generics library, having zero possibility of degrading existing serial implementations of symbolic execution based on unbound-genecrics. Therefore, our extension can be applied only to the parts of source code that need parallel speedup.", "abstract": "본문에서는 순수 함수형 언어인 하스켈로 작성된 심볼릭 실행의 병렬화를 위한 상태 모나드 기반의 라이브러리에 결정적 병렬화를 적용하기 편리한 API를 설계/구현하고 멀티코어 컴퓨터에서 벤치마크를 통해 실제 성능을 향상을 확인해 본다. 일반적으로 순수 함수형 프로그램은 병렬화가 쉽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구현에서 핵심 알고리듬 외적인 부분에서 의도치 않은 순차적 데이터 의존성의 발생으로 병렬화가 어려워질 수 있다. 심볼릭 실행 구현에서는 지금껏 사용했던 변수와 겹치지 않는 새 이름을 생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범위의 이름이 같은 변수끼리 혼동하는 착오를 피하는 방식을 종종 활용한다. 그런데 이를 순차적 상태 관리로 구현한 경우가 많아 병렬화에 걸림돌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하스켈의 범용적 이름 관리 라이브러리인 unbound-generics의 새 이름 생성 기능에 순차적 의존성을 회피할 수 있는 확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병렬적 심볼릭 실행 구현을 간소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우리가 구현한 병렬화 확장의 특징은 기존 unbound-generics 라이브러리의 내부 구현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의 확장이라는 점으로, 기존에 unbound-generics로 작성된 순차적 심볼릭 실행기의 성능 저하 우려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병렬화가 필요한 부분에만 확장 기능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id": "JAKO202110463370020",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20.pdf", "abstract_en": "This study examined physiological activity of aronia chung with or without aspartame. High sugar content of food is recognized to induce chronic disease including diabetes and obesity. Sugar was replaced with aspartame to develop low-sugar aronia chung containing 0%, 25%, 50% and 75% aspartame based on sugar content of control in the study. Sweetness was the similar in the chungs with 0%, 25% and 50% aspartame but it was lower in the chung with 75% aspartame. pH was the highest in aronia chung with 75% aspartame as 2.95. Total phenolic content was the highest in aronia chung with 50% aspartame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75% one. Flavonoid content increased with addition of aspartame and it was the highest in the chung with 75% aspartame as 206.60 ㎍ QEAC/mL. Reducing power also showed the same aspect with flavonoid content. Howeve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the highest in aronia chung without aspartame and lowest in the chung with 75% aspartam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addition of aspartame could sustain the sweetness and improv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food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re is some limitation.", "abstract": "설탕은 비만, 당뇨병 등의 원인이 되므로 저당화 식품섭취가 필요하며, 저당화 식품에 올리고당, 대체 감미료와 같은 저열량 감미소재를 이용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항산화작용이 높은 베리류가 각광 받기 시작하면서 아로니아의 국내 재배면적 및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떫은맛을 지닌 아로니아는 주로 생과나 동결건조시킨 가루로 이용되며, 천연색소나 주스, 잼, 와인 등과 같은 가공제품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아로니아의 단점을 개선한 다양한 가공 상품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로니아의 선명한 색은 살리면서 떫은맛을 완화시킨 저당 아로니아청으로 아로니아시럽을 제조하였다. 설탕 첨가량을 줄이고 단맛을 대체할 감미료로서 아스파탐을 첨가한 아로니아청을 제조하고, 여기에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개발한 아로니아시럽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능을 연구하였다. 아로니아시럽은 음료 등 다양한 음식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며, 생리활성기능을 가진 아로니아로 인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0463369977",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77.pdf", "abstract_en": "Blockchain is designed to collect and store the data recorded on the network in one block unit, and is connected and stored back and forth, and its form is similar to how the blocks are connected, so it is called a blockchain. Many companies are trying to popularize blockchain-based services at home and abroad, and blockchain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es. This study introduce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blockchain and deals with application services utilizing the blockchain. Introducing 5 types of blockchain architecture and core technologies and introducing blockchain application services that are used in payment services, blockchain service networks, blockchain real estate platforms, identity verification, cryptocurrency, diamond distribution path tracking, and blog information recording. do.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blockchain and provide usefulness in future blockchain research and service development.", "abstract":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상에서 기록된 데이터들이 하나의 블록 단위로 수집되어 저장되며 앞뒤로 연결되어 저장되도록 고안되었고, 그 형태가 블록들이 연결되어있는 모습과 비슷하므로 블록체인이라 불리게 되었다. 많은 기업이 국내외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징을 소개하고 블록체인을 활용한 응용 서비스들을 다룬다. 블록체인의 아키텍처와 핵심기술 5가지를 소개하고 결제서비스와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 블록체인 부동산 플랫폼, 신원확인, 암호화폐, 다이아몬드 유통경로 추적, 블로그 정보 기록에서 활용되고 있는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블록체인의 이해를 높이고 향후 블록체인 연구 및 서비스 개발에 유용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0463369997",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9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and determine if major satisfaction had any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research was conducted in 154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in B Region. Such instruments as the major selection motive inventory, the major satisfaction inventory,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ventory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and Sobel 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mong the major selection motives, the personal motiv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Second, the personal motives and major satisfaction affecte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Third, major satisfaction exerted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sonal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Major satisfaction partially affec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ocial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bstract": "본 연구는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지역의 전문대학에 다니고 있는 헤어전공 학생 15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전공선택동기척도, 전공 만족도 척도와 취업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중 개인적 동기는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헤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개인적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한편 전공만족도는 사회적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접효과만 있었다."} {"id": "JAKO202110463370038",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38.pdf", "abstract_en": "Blockchain, recognized a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Internet-based distributed data management system which does not require centralized control. Blockchain is characterized by the integrity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blockchains can be used where such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Typical applications of blockchain include finance, transaction, and evaluation managem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 blockchain-based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users to freely create and manage evaluation instances. Evaluation managers can create an evaluation instance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allocate evaluation items and evaluators. When the evaluators finish evaluating the evaluation items, the evaluation manager can aggregate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instance. Someone, who want to perform evaluation for various purposes but do not have an evaluation system, can implement the evaluation system relatively simply by using this system.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blockchain, evaluators cannot modify the evaluation scores they have already recorded, and neither the system administrator nor the evaluation administrator can modify the evaluation scores. For this reason,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creases.", "abstract": "제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블록체인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중앙집중적인 제어가 없이도 작동되는 자율적인 분산 정보관리시스템이다. 블록체인은 정보의 무결성, 신뢰성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특징을 필요로 하는 곳에는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응용으로는 금융, 거래, 평가관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평가개체(instance)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평가관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평가관리자는 자신의 목적에 맞게 평가개체를 하나 생성하고, 평가항목과 평가자들을 배정할 수 있다. 평가자들이 평가항목에 대해서 평가를 마치면 평가관리자는 해당 평가개체에 대해서 평가 결과를 집계를 할 수 있다. 여러 용도로 평가를 시행하고 싶지만 평가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경우에 본 시스템을 이용하면 이를 비교적 간단히 평가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의 특성으로 인하여 평가자들은 자신이 이미 기록한 평가 값을 수정하지 못하며, 시스템 관리자 또는 평가 관리자 역시 평가 값을 수정하지 못한다. 이런 이유로 평가의 신뢰성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id": "JAKO202110463369973",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7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API Gateway technique for the expans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module, one of the ERP functions. The institution has introduced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based on its efforts to transform all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into business competitiveness and its response to the digital knowledge informatization environment, and listed it as multiple success factors.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one of the factors that have been dealt with. However, ERP's Human Resources Management Module remains in the role of functional personnel management. How to utilize human resources begins with navigating and recognizing human resources. The proposed API Gateway technique leverages blockchain networks to design and implement APIs for human resource sharing and navigation,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ERP's human resource management module. Secondly, it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a smart contract that behaves like an API for preventing information forgery. The proposed method will not only be used as a tool that can actively utilize human resources, but will also be a complete resource for utilizing big data technology.", "abstract": "기관은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비즈니스 경쟁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노력과 디지털 지식정보화 환경의 대응에 따라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을 도입 하였고 여러 성공 요인으로 열거된 요인 중에는 인적자원관리가 존재 한다. 하지만 ERP의 인적자원관리 모듈은 기능적 인사관리 역할에 머물러 있다. 인적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는 인재를 탐색하고 인식하는 것으로 출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제안한 API Gateway 기법은 ERP의 인적자원관리 모듈의 확장의 가능성을 시작으로 첫 번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해 인적자원의 공유와 탐색을 위한 API의 설계와 구현을 하였고 두 번째로 정보의 위변조 방지를 위해 API와 같이 동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함께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인적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빅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완벽한 자원이 될 것이다."} {"id": "JAKO202110463369993",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9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in mixed reality and a method for working with wearable IoT devices. Mixed reality is a mixed form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We can view objects in the real and virtual world at the same time. And unlike VR, MR HMD does not occur the motion sickness. It is using a wireless and attracting attention as a technology to be applied in industrial fields. Myo wearable device is a device that enables arm rotation tracking and hand gesture recognition by using a triaxial sensor, an EMG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lthough various studies related to MR are being progressed, discussions on developing an environment in which multiple people can participate in mixed reality and manipulating virtual objects with their own hands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nvironment where collaboration is possible and an interaction method for smooth interaction in order to apply mixed reality in real industrial fields. As a result, two people could participate in the mixed reality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o share a unified object for the object, and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each person could interact with the Myo wearable interface equipment.", "abstract": "본 논문에서 혼합현실에서 공동 작업을 위한 환경 구축에 대한 연구와 웨어러블 IOT 디바이스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혼합현실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혼합되어진 형태로서 실세계와 가상세계의 물체가 동시에 보이고, 가상현실과 달리 멀미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무선 방식이라 산업현장에서 적용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마이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삼축 센서, 근전도 센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팔의 회전 트래킹과 손 제스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이다. 혼합현실 관련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러 사람이 함께 혼합 현실 참여할 수 있는 환경 구축, 가상 객체를 직접 손으로 조작하는 것에 대한 논의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 혼합 현실을 적용하기 위해 공동 작업이 가능한 환경 구축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고,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인터랙션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2인이 동시에 혼합현실 환경에 참여하여 객체에 대한 일원화된 객체를 공유할 수 있었고, 마이오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비를 가지고 각자 인터랙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id": "JAKO202110463369950",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50.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utomatic detection system of underground pipe which automatically detects underground pipe to help experts. Actual location of underground pipe does not match with blueprint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ground changes over time, construction discrepancies, etc. So, various accidents occur during excavation or just by ageing. Locating underground utilities is done through GPR exploration to prevent these accidents but there are shortage of experts, because GPR data is enormous and takes long time to analyze. In this paper, To analyze 3D GPR data automatically, we use 3D image segmentation, one of deep learning technique, and propose proper data generation algorithm. We also propose data augmentation technique and pre-processing module that are adequate to GPR data. In experiment results, we found the possibility for pipe analysis using image segmentation through our system recorded the performance of F1 score 40.4%.",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관로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지하 관로 자동 탐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간에 따른 지반변화, 관로 시공 불일치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실제 관로의 위치가 지하 관로 도면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굴착공사나 관로 노후화에 의한 여러 사고가 발생한다.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GPR(지표 투과 레이더, 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를 통해 지하시설물을 찾아내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분석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가의 수가 부족하다. GPR 데이터는 매우 방대하며 분석과정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3D GPR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기 위해 딥 러닝 기술인 3D 이미지 분할을 사용하고, 이에 적합한 데이터 생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GPR 데이터 특성에 맞는 데이터 증강 기법, 데이터 전처리 모듈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은 F1 Score 40.4%의 성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이미지 분할을 이용한 관로 분석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0463370035",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35.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trie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diffusion of online events through SNS by analyzing the online footprint of consumers. To this end, log data of online events conducted by \"C\" beer bran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unit of log data was set for each one hour, and the analyzing method used descriptive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influencing the diffusion of the view of SNS-based online events were like, friend used coupon, and friend size. In particular, the size of friend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diffusion, which again suggests the importance of social hubs in online events. Second, factors influencing the diffusion of the number of inflows were also like, friend used coupon, and size of friend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ply did not affect the diffusion of views and inflow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an alternative plan to increase the effect of online events by using real data.",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SNS를 통한 온라인 이벤트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소비자들의 발자취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중 'C' 맥주 브랜드가 시행한 온라인 이벤트의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로그 데이터의 분석단위는 시간대별로 설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 분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기반 온라인 이벤트의 뷰(view)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아요, 친구 사용 쿠폰, 친구 규모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구 규모가 확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온라인 이벤트에서 소셜 허브의 중요성을 다시금 시사하고 있다. 둘째, 유입자 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좋아요, 친구 사용 쿠폰, 친구 규모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댓글은 참여 빈도가 적어 뷰와 유입자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온라인 소비자들의 행동을 탐색하고 나아가 기업의 온라인 이벤트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d": "JAKO202110463369989",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8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ntibacteri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UV irradiation. In the experiment, we measured the effective irradiation angle of UVC using S.aureus, a Gram-positive bacterium, and the variation of the antibacterial reg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ultraviolet irradiation. Also, as a method to increase the antibacterial efficiency during horizontal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we tested reflecting leaking UVC. As a result, the angle of ultraviolet irradiation was measured smaller than the product description, and in the case of the antibacterial area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ultraviolet irradiation, the distance from the sample was increased during vertical irradiation, and the antibacterial area was in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sample was closer during horizontal irradi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ntibacteri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reflecting leaking UVC during horizontal irradiation of UVC.",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조사 방향에 따른 화장품 살균 효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에는 그람양성균인 S.aureus에 대하여 자외선 살균의 실효 조사 각을 측정하였고 자외선 조사 방향에 따른 거리별 살균 영역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자외선 수평 조사 시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누출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방법을 제시해보았다. 그 결과 자외선 조사 각은 제품 설명에 비해 더 작게 측정되었고 자외선 조사 방향에 따른 살균 영역의 경우 수직 조사 시 시료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평 조사 시 시료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살균 영역이 증가하였다. 또한 자외선 수평 조사 시 누출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것으로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id": "JAKO202103440878989",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89.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the author proposes a method for detecting modification of transmitted messages in C/C++ based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DEVS) simulation. When a message generated by a model instance is delivered to other model instances, it may be modified by some of the recipients. Such modifications may corrupt simulation results, which may lead to wrong decision making. In the proposed method, every model instance stores a copy of every transmitted message. Before the deletion of the transmitted message, the instance compares them. Once a modification has been detected, the method interrupt the current simulation run. The procedure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a simulator instance. Thus, the method does not require programmers to follow secure coding or to add specific codes in their models.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is compared with a DEVS simulato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C/C++ 기반 이산 사건 시스템 명세(DEVS) 시뮬레이션에서 전송 메시지 변경을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모델 인스턴스가 생성한 메시지가 다른 모델 인스턴스로 전달될 때, 메시지가 수신자 중 일부가 이를 수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경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오염된 시뮬레이션 결과는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안 기법에서는 모든 모델 인스턴스가 전송 메시지의 사본을 저장한다. 전송 메시지가 삭제되기 전, 인스턴스는 저장된 메시지와 전송 메시지를 비교한다. 변경이 탐지되면 현재 시뮬레이션 실행을 중단시킨다. 모든 절차는 시뮬레이터 인스턴스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제안 기법은 개발자에게 시큐어 코딩을 준수하거나 특정 코드를 추가하도록 강요하지 않는다. 제안 기법의 성능을 기존 DEVS 시뮬레이터와 비교한다."} {"id": "JAKO202103440878940",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40.pdf", "abstract_en": "Recentlly neural network approach for solving a singular perturbed integro-differential boundary value problem have been researched. Especially the model of the feed-forward neural network to be trained by the back propagation algorithm with various learning algorithms were theoretically substantiated, and neural network models such as deep learning, transfer learning, federated learning are very rapidly evolv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pproaching method for developing a neural network model with high accuracy and speed for solving singular perturbed problem along with asymptotic metho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the simulati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result value of singular perturbed problem and unperturbed problem by using neural network approach equation. Also, we showed the efficiency of the neural network approach. As a result,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ossibility of simple neural network approach for singular perturbed problem solution efficiently.", "abstract": "최근 특이성 교란 미적분 경계값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경회로망 접근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학습 알고리즘을 가진 백프로파게이션 알고리즘에 의해 훈련하는 피드-포워드 신경회로망의 이론적 모델이 제시되고 있으며, 딥러닝, 전이학습, 연합학습 등의 신경회로망 모델이 매우 빠르게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특이성 교란 문제를 점근법적 방법과 함께 해결하기 위해 고도의 정확성과 속도를 가진 신경회로망 접근법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특이성 교란문제의 결과치와 교란되지 않은 문제의 결과치의 차이에 대해 신경회로망 접근 식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고 신경회로망 접근식의 효율성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특이성 교란 문제를 수식이 아닌 단순한 신경회로망 접근으로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 본 논문의 주요 기여사항이다."} {"id": "JAKO202103440878923",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2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tacking ensemble framework for deep learning models which reflects the distribution of label embeddings. Our ensemble framework consists of two phases: training the baseline deep learning classifier, and training the sub-classifiers based on the clustering results of label embeddings. Our framework aims to divide a multi-class classification problem into small sub-problems based on the clustering results. The clustering is conducted on the label embeddings obtained from the weight of the last layer of the baseline classifier. After clustering, sub-classifiers are constructed to classify the sub-classes in each cluste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found that the label embeddings well reflect the relationships between classification labels, and our ensemble framework can improv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n a CIFAR 100 datase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레이블 임베딩의 분포를 반영하는 딥러닝 모형을 위한 새로운 스태킹 앙상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앙상블 방법론은 기본 딥러닝 분류기를 학습하는 과정과 학습된 모형으로 부터 얻어진 레이블 임베딩을 이용한 군집화 결과로부터 소분류기들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방법론은 주어진 다중 분류 문제를 군집화 결과를 활용하여 소 문제들로 나누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군집화에 사용되는 레이블 임베딩은 처음 학습한 기본 딥러닝 분류기의 마지막 층의 가중치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군집화 결과를 기반으로 군집화 내의 클래스들을 분류하는 소분류기들을 군집의 수만큼 구축하여 학습한다. 실험 결과 기본 분류기로부터의 레이블 임베딩이 클래스 간의 관계를 잘 반영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앙상블 방법론이 CIFAR 100 데이터에 대해서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03440879017",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17.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of analysis for daily food delivery & consumption trends through big data of the post-Covid-19 era. Through analysis of big data and the database system, four analyzed factors, excluding weather,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livery sales for 'Baedarui Minjok' of a catering delivery application. The research found that KBS, MBC and SBS Media showed remarkable results in food delivery & consumption sales soaring up to about 60 percent increase on the day after the Covid-19 related new article was issued. In addition, it proved that mobile media and web surfing were the main factors in increasing sales of food delivery & consumption applications, suggesting that viral marketing and emotional analysis by crawling data from SNS used by Millennials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in sales growth. It can contribute the companies in the economic recession era to survive by providing the method for analyzing the big data and increasing their sales.", "abstract": "이 논문은 Covid-19 이후 기간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상에서 주문하는 음식 배달과 소비의 경향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날씨를 제외한 네 개의 요소들이 배달의민족 매출과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KBS, MBC와 SBS 언론매체의 빅데이터 분석에서 Covid-19 관련 기사 다음 날에 음식 배달과 소비 증가가 거의 60%에 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Naver 검색결과에서도 Covid-19 관련 기사 다음 날에 심각하게 의미있는 음식 배달과 소비 증가를 발견하였다. 그 이외에, 소비의 흐름에 있어서 모바일을 통한 배달이 주류가 될 것이며 밀레니얼 세대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방대하고 구체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똑같은 방법으로 경기 침체기에 다른 산업 분야에 대하여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기업의 입장에서 발빠른 대응으로 경기 침체 속의 호황을 맞이할 수 있는 분석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id": "JAKO202103440878957",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57.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compare two access control mechanisms for D2D(Device-to-Device) systems in 5G wireless networks and propose an effective access control for 5G D2D networks. Currently, there is no specified access control for 5G D2D networks but there can be two access control approaches for 5G D2D networks. One is the UE-to-Network Relay based access control and the other is the Remote UE(User Equipment) based access control. The former is a UE-to-Network Relay carries out the access control check for 5G D2D networks but the latter is a Remote UE performs the access control check for 5G D2D networks. Through simulation and evaluation, we finally propose the Remote UE based access control for D2D systems in 5G wireless networks. The proposed approach minimizes signalling overhead between the UE-to-Network Relay and the Remote UE and more efficiently performs the access control check, when the access control functionalities are different from the UE-to-Network Relay in 5G D2D network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5G 무선 네트워크 D2D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는 두 가지 액세스 제어 메커니즘들을 비교해 보고 효과적인 액세스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현재 5G D2D 시스템에서는 액세스 제어 기법이 표준 규격에 제정 되어 있지 않고 있으나, 두 가지 액세스 제어 기법들이 가능하다. 하나의 방식으로는 UE-to-Network Relay 기반의 액세스 제어 기법이고,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는 Remote UE 기반의 액세스 제어 기법이다. 전자의 경우는 UE-to-Network Relay가 액세스 제어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며, 후자의 경우는 Remote UE가 액세스 제어 검사를 직접 수행하는 방식이다. 실험 평가 결과, 본 논문에서는 5G 무선 네트워크 D2D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 방안으로써 Remote UE 기반의 액세스 제어 기법을 최종 제안한다. Remote UE 기반의 액세스 제어 기법은 UE-to-Network Relay 기반의 액세스 제어 기법이 비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고, 서로 액세스 제어 기능들이 다른 경우 보다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id": "JAKO202103440879041",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41.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underachievers. The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underachieving students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suffering from underachievement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software education,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a plan to improve the learning gap in distance learning. Learners can acquire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kills by solving structured tasks in the form of courseware, intelligent tutoring, debugg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s in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effects of software education, such as enhancing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program provides opportunities to solve fusion tasks to underachievers.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academic work.",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분수 관련 내용을 학습 주제로 하여 재구성한 학습 부진 개선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학습 부진 개선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은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의 성격과 학습 부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구조를 설계하였고, 학습내용을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배치하였으며, 반복적으로 경험하여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매 차시 구축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학업 성취도, 메타인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향상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 부진 개선이라는 측면과, 소프트웨어 교육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바탕으로 학습 부진 학생이 프로그램에 재구성된 과목의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id": "JAKO202103440879001",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01.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relevant basis upon which prediction of dyslipidemia should be made based on body information.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big data (3,312,971 peopl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body information and lipid-profile. Body information included age,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while the lipid-profile include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HD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As a result, when the waist circumference and the weight are large, triglycerides increase and HDL cholesterol level decreases. In terms of age,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DL cholesterol, the canonical variates (the degree of influ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In particular, the canonical variate was dramatically changed around the forties and fifties in women in terms of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DL cholesterol. The canonical correlation results of the health care big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construct a predictive model that can evaluate an individual's health status based on body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measured in a non-invasive mann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9-2016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체 정보와 혈액 내 지질 농도의 연관성을 다변량 분석하여 주요 요소들 사이의 영향력 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인의 이상지질혈증 예측모델 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3,312,971 명의 건강검진정보 자료를 통해서 신체 정보(나이, 신장, 체중, 허리둘레) 항목과 혈액검사(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항목 간의 다차원적 선형상관관계를 도출하고, 항목 간의 영향력을 정준변량(canonical variate)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허리둘레가 크고 체중이 많이 나가면 중성지방이 높아지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지는 다차원적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나이, 체중, 허리둘레, HDL 콜레스테롤 항목은 그 영향력 정도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나이에 따른 영향력의 정도는 체중, 허리둘레, HDL 콜레스테롤 항목이 40-50 전후 여성에게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정준상관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다차원적 상관관계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간편하게 측정 가능한 신체정보를 바탕으로 건강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03440878985",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85.pdf", "abstract_en": "As a big data is being used in various industries, big data market is expanding from hardware to infrastructure software to service software. Especially it is expanding into a huge platform market that provides applications for holistic and intuitive visualizations such as big data meaning interpretation understandability, and analysis results. Demand for big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using social media such as SNS is very active not only for companies but also for individuals. However despite such high demand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social media data for user trend analysis and marketing,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o address the difficulty of dynamic interlocking and the complexity of building and operating software platforms due to the heterogeneity of various social media service interfa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veloping a framework to operate the process from collection to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of social media data. The proposed framework solves the problem of heterogeneous social media data collection channels through adapter patterns, and improves the accuracy of social topic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through semantic association-based extraction techniques and topic association-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s.", "abstract": "빅데이터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접목됨에 따라 빅데이터 시장이 하드웨어로부터 시작해서 서비스 소프트웨어 부문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의미 파악 및 이해 능력, 분석 결과 등 총체적이고 직관적인 시각화를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거대 플랫폼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빅데이터 추출 및 분석에 대한 수요가 기업 뿐만 아니라 개인에 이르기까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사용자 트렌드 분석과 마케팅을 위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에 대한 많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이질성으로 인한 동적 연동의 어려움과 소프트웨어 플랫폼 구축 및 운영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수집에서 추출 및 분류에 이르는 과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제시된 프레임워크는 이질적인 소셜 미디어 데이터 수집 채널의 문제를 어댑터 패턴을 통해 해결하고, 의미 연관성 기반 추출 기법과 주제 연관성 기반 분류 기법을 통해 소셜 토픽 추출과 분류의 정확성을 높였다."} {"id": "JAKO202103440879013",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13.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impacts of disability occurrence on economic, social cultural exclusion and testing empirically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environment in their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112 disabled persons were sampled and surveyed on economic, social cultural exclusion by disability. Analytical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new disability caused economic exclusion. Second, it also caused social, cultural exclusion. Third, social support has a strong moderation effects between disability and economic, social cultural exclusion. Social support played the important role for reducing the negative impacts of disability occurrence on social exclusion. This study provided some policy implications about raising social support for the disabled basing on this analytical results. First, programs for improving cognition for the disabled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rom the early childhood. Second, social campaign for the disabled are promoted positively by non-governmental sector. Third, public policy for the disabled should be strengthened from material support to even emotional support.",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 발생이 경제·사회·문화적 배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환경이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경험적으로 검증해 봄으로써 신규 장애인을 위한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을 표본추출하여 신규 장애인의 경제·사회·문화적 배제와 사회환경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장애자의 장애 발생은 경제적 영역에서 배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문화적 영역에서도 배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 발생에 따른 경제·사회문화적 배제효과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는 장애 발생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제고시켜주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어린 시기부터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민간부문을 통한 사회적 캠페인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인들을 위한 공공정책이 물질적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으로까지 더욱 확대·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id": "JAKO202103440878953",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5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a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scheme is proposed that uses the spatial attention areas to detect accurately the license plates in various real-road situations. First, the previous WPOD-NET was analyzed, and its detection accuracy is evaluated as lower due to the unnecessary noises in the wide detection candidate areas. To resolve this problem, a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model is proposed that uses the candidate area of the license plate as a spatial attention areas. And we compared its performance to that of the WPOD-NET, together with the case of using the optimal spatial attention areas using the ground truth data.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has about 20% higher detection accuracy than the original WPOD-NET since the proposed scheme uses tight detection candidate area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실제 도로의 다양한 상황에서도 차량 번호판을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해 차량 번호판의 후보 지역을 공간 집중 영역으로 사용하는 차량 번호판 탐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먼저, 기존의 WPOD-NET이 전처리 과정에서 검출된 차량 영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넓은 탐지 후보 영역으로 인해 불필요한 노이즈가 포함되어 탐지 정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차량 번호판의 후보 지역을 공간 집중 영역으로 사용하는 차량 번호판 탐지 모델을 제안하였고, 제안한 방법이 기존 WPOD-NET보다 탐지 정확도를 어느 정도 개선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GT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공간 집중 영역을 설정한 경우와 함께 탐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에 따르면 제안된 모델이 기존 WPOD-NET에 비해 타이트한 탐지 후보 영역을 갖기 때문에 약 20% 더 높은 탐지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3440878936",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36.pdf", "abstract_en": "Recently, multi-modal deep learning techniques that combine heterogeneous data for deep learning analysis have been utilized a lot. In particular, studies on the synthesis of Text to Image that automatically generate images from text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Deep learning for image synthesis requires a vast amount of data consisting of pairs of images and text describing the image. Therefore, various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have been devised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data from small data. A number of text augmentation techniques based on synonym replacement have been proposed so far. However, these techniques have a common limitation in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generating a incorrect text from the content of an image when replacing the synonym for a noun word. In this study, we propose a text augmentation method to replace words using word hierarchy information for noun words. Additionally, we performed experiments using MSCOCO data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ology.", "abstract": "최근 딥 러닝(Deep Learning) 분석에 이질적인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딥러닝 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텍스트로부터 자동으로 이미지를 생성해내는 Text to Image 합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미지 합성을 위한 딥러닝 학습은 방대한 양의 이미지와 이미지를 설명하는 텍스트의 쌍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필요로 하므로, 소량의 데이터로부터 다량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증강 기법이 고안되어 왔다. 텍스트 데이터 증강의 경우 유의어 대체에 기반을 둔 기법들이 다수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기법은 명사 단어의 유의어 대체 시 이미지의 내용과 상이한 텍스트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어가 갖는 품사별 특징을 활용하는 텍스트 데이터 증강 방안, 즉 일부 품사에 대해 단어 계층 정보를 활용하여 단어를 대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안 방법론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MSCOCO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id": "JAKO202103440878920",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20.pdf", "abstract_en": "Cultural assets excavated in historical area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it can be seen that their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change little by little according to the history and the flow of the spreading area. Cultural properties excavated in some areas represent the culture of the time and some maintain their intact appearance, but most of them are damaged/lost or divided into parts, and many experts are mobilized to research the composition and repair the damaged par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ear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s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s for such restoration research, and to restore the lost parts of the excavated cultural assets based o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1]. The research is a process in which the rest of the damaged/lost parts are restored based on some of the cultural assets excavated based on the GAN. To recover some parts of dammed of cultural asset, through training with the 2D image of a complete cultural asset. This research is focused on how much recovered not only damaged parts but also reproduce colors and materials. Finally, through adopted this trained neural network to real damaged cultural, confirmed area of recovered area and limitation.", "abstract": "역사적 지역에서 발굴되는 문화재는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역사와 전파 지역의 흐름에 따라 그 문양과 특징이 조금씩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떤 지역에서 발굴된 문화재는 그 당시의 문화를 대표하며 온전한 모습을 유지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이 파손/손실되거나 일부분으로 나누어져 그 구성을 연구하고 파손된 부분을 복구하기 위해 많은 전문가가 동원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복원연구에 인공지능 신경망을 통해 과거의 문양과 패턴들을 학습시키고, 출토된 문화재에서 손실된 부분을 복원시키는 데 있으며, 문화재를 복원하기 위해 기본적인 생성적 적대 신경망인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1]을 사용한다. 연구에서는 GAN을 기반으로 출토된 문화재 일부를 기반으로 하여 손상/손실된 나머지 부분을 복구한 연구 과정으로, 학습에 기반이 되는 온전한 문화재의 이미지로 훈련을 하고, 일부를 마음대로 손상해 복구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는 문화재 복구에 있어, 시대적 특징을 어느 정도 복구하는지, 색상과 재질을 복구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실제 출토된 비슷한 문화재를 기반으로 훈련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문양을 복구함으로써 인공신경망의 적용 범위를 연구한다."} {"id": "JAKO202103440878977",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77.pdf", "abstract_en": "Naval Combat Management System(a.k.a. CMS) is the core combat power of ROK Navy. CMS which has been localized since 1993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categories. However, in the characteristic of defense industry, CMS software has been rarely developed technically and structurally while the environment of comput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dramatically. A need for a new paradigm of CMS software development was raised. This paper suggests Naval Shield Component Platform(NSCP) as a standard interface architecture of CMS based on SOLID of OOP which is an advanced programming paradigm and introduce its functionality and feature. We expect NSCP's higher reusability, concurrency and maintainability in CMS software development. As a future work, we are going to apply NSCP to the next CMS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and evaluate quantitative, qualitative method.", "abstract": "해군 전투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함정전투체계(통칭 CMS)는 1993년 국산화에 성공한 이후 다방면에서 꾸준한 발전을 이루어왔다. 반면 CMS 소프트웨어는 컴퓨팅 시스템 환경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방위산업의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기술 및 구조적 발전이 미비했다. 따라서 CMS 소프트웨어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진보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그 설계 원칙인 SOLID를 준수하는 함정전투체계 표준 연동 아키텍처로서 Naval Shield Component Platform(NSCP)를 제시하고 각 컴포넌트들의 구조와 기능 및 특징을 소개한다. 더 나아가 이를 통해 CMS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높은 재사용성, 동시성 그리고 유지보수성을 기대한다. 향후연구로 NSCP를 차기 CMS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시범 적용하고 정량적, 정성적 평가를 통해 NSCP의 효용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id": "JAKO202103440879033",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3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Doc2vec using search keywords and product details. Until now, a lot of prior studies on recommender systems have proposed collaborative filtering (CF) as the main algorithm for recommendation, which uses only structured input data such as customers' purchase history or ratings. However, the use of unstructured data like online customer review in CF may lead to better recommendation. Under this background, we propose to use search keyword data and product detail information, which are seldom used in previous studies, for product recommendation. The proposed model makes recommendation by using CF which simultaneously considers ratings, search keywords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roducts purchased by customers. To extract quantitative patterns from these unstructured data, Doc2vec is appli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roposed model was found to outperform the conventional recommendation mode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earch keywords and product detai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commendation.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tries to apply the customers' online behavior information to the recommendation system and that it mitigates the cold start problem, which is one of the critical limitations of C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검색 키워드와 상품 상세정보를 활용한 Doc2vec 기반의 새로운 추천 모형을 제안한다. 지금까지 추천 시스템에 관한 많은 기존 연구에서는 고객의 구매 이력이나 평점 같은 정형 데이터만을 사용하는 협업 필터링(CF) 알고리즘에 기반한 추천 모델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CF에서 온라인 고객 리뷰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사용하면, 보다 나은 추천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활용되지 않았던 검색 키워드 정보와 상품 상세정보를 제품 추천에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제안 모형은 고객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평점, 검색어, 상품 상세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CF 알고리즘을 이용해 추천결과를 생성한다. 이 때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정량적인 패턴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Doc2vec이 적용된다. 실험 결과 제안 모형이 기존 추천 모형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검색어 및 상품 상세정보가 추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객의 온라인 행동 정보를 추천시스템에 적용하였다는 점과 전통적인 CF의 한계 중 하나인 콜드 스타트 문제를 완화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id": "JAKO202103440878912",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12.pdf", "abstract_en": "OpenGL compute shader is a shader stage that operate differently from other shader stage and it can be used for the calculating purpose of any data in parallel. This paper proposes a GPU-based parallel algorithm for computing sparse linear systems through conjugate gradient using an iterative method, which perform calculation on OpenGL compute shader. Basically, this sparse linear solver is used to solve large linear systems such as symmetric positive definite matrix. Four well-known matrix formats (Dense, COO, ELL and CSR) have been used for matrix storage. The performance comparison from our experimental tests using eight sparse matrices shows that GPU-based linear solving system much faster than CPU-based linear solving system with the best average computing time 0.64ms in GPU-based and 15.37ms in CPU-based.", "abstract": "OpenGL compute shader는 다른 shader 단계와 다르게 동작하며, 병렬로 모든 데이터를 계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OpenGL compute shader에서 반복 켤레 기울기 방법을 통해 희소선형 시스템을 계산하기 위한 GPU 기반의 병렬 알고리즘 제안하였다. 제안된 희소 선형 해결 방법은 대칭인 양의 정부호 행렬과 같은 대형 선형 시스템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논문은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매트릭스 형식이 다른 8가지 예제들에 대해서 CPU와 GPU를 기반으로한 성능 비교 결과를 제공한다. 본 논문은 4가지 잘 알려져 있는 매트릭스 형식(Dense, COO, ELL and CSR)을 매트릭스 저장소를 사용하였다. 8개의 희소 매트릭스를 사용한 성능 비교 실험에서 GPU 기반 선형 해결 시스템이 CPU 기반 선형 해결 시스템보다 훨씬 빠르며, GPU 기반에서 0.64ms, CPU 기반에서 15.37ms의 평균 컴퓨팅 시간을 제공한다."} {"id": "JAKO202103440879037",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3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what factors affect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s when purcha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tworks. The research pointed out that in the real shopping model, customer perceived value includes three dimensions: product perceived value, service perceived value and social perceived value. On this bas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work purchase decision-making influence model was constructed, and an online survey was attempted to collect data. Through analysis of the reliability, effectiveness and structural equations of SPSS24.0 and AMOS24.0, and scientific verification and analysis, we found that product cognitive value and service cognitive value have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but social cognition Value has no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예술작품 구매할 때 소비자들이 어떤 감지가 있는지, 그리고 구매의 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고객감지가치가 제품감지가치, 서비스감지가치 그리고 사회감지가치 총 3가지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감지가치와 구매의향 간의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를 위해 데이터 수집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24.0와 AMOS24.0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의 신뢰성, 타당성 및 구조 방정식 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하였다. 검정결과를 보면 제품인지가치와 서비스인지가치는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사회인지가치가 소비자의 구매의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다."} {"id": "JAKO202110463370004",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04.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factors of local children's center life workers and turnover intentions, and propose a rational role in the work of life workers to suggest an intervention plan that can lower turnover intention. For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and 221 cases were analyzed using dmfh google docs for life-service workers working at local children's cente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role factors, role conflict was found to in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of life workers, and second, role overload increased the turnover intention of life work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들의 역할요인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여 생활복지사의 합리적인 업무상 역할을 제안하여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생활복지사를 대상으로 구글 독스(google docs)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221케이스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요인의 하위 변인 중에서 역할갈등이 생활복지사의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역할과중이 생활복지사의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id": "JAKO202110463369942",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42.pdf", "abstract_en": "The flash translation layer(FTL) of SSD maps the logical page number requested from the host to the actual recorded flash memory page number.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amount of RAM used to manage the mapping information. In the existing demand-based FTLs, two-level method is applied in which mapping information is also recorded in flash memory pages and only their addresses are managed as a table in RAM. As the capacities of SSDs are growing to tens of terabytes, the amount of RAM for mapping table becomes too large. In this paper, ML-FTL was proposed as a method of managing mapping information in three levels to reduce the amount of RAM required drastically. From an evaluation, the increase in overhead was minima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wo-level method by properly utilizing cache.", "abstract": "SSD의 FTL에서는 호스트로부터 요청된 논리적 페이지 번호를 실제 기록된 플래시 메모리 페이지 번호로 매핑하는 작업을 한다. 매핑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RAM의 용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요구기반 FTL에서는 매핑 정보도 플래시 메모리 페이지에 기록하고 그들의 주소만 RAM에 테이블로 관리하는 2단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SSD의 용량이 수십 테라바이트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으므로 이 방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소요되는 RAM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서 매핑 정보를 3단계로 관리하는 방법인 ML-FTL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캐시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2단계 방법에 비해서 오버헤드가 늘어나는 정도가 미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0463370016",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16.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and structuring educational content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in supplementary education for childcare workers.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select educational content, a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25 applicants for education.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e educational content was structu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the person in charge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stitution and those who have completed education participated.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rough e-mail, etc. were conducted, and the final contents were selected after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rived opinions by two educational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of the search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added to the contents of practical work in each stage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practice such as document writing.",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종사자 보수교육에서 개인정보보호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구조화하기 위한 내용탐색의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교육신청자 125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심층집단 요구분석(FGI)을 통해 교육내용을 구조화 하였다. 심층집단 요구분석에는 기관의 개인정보책임자 및 교육 수료자 등이 참여하였다. 집단면담과 이메일 등을 통한 개별면담 등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의견에 대하여 2인의 교육전문가에게 적절성을 검토 받아 최종 내용을 선정하였다. 개인정보보호 교육내용 탐색의 방향은 정보관리 단계별 실무에 대한 내용과, 문서작성 등의 실습이 추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0463370008",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08.pdf", "abstract_en": "This research strives to find the effective Local Currency Model that considere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city. Currently, the issuance of the domestic local currency has been increased due to COVID-19 Pandemic, yet most regions operate it in the same way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for each region, which leads to a lack of motivation for local communities to continue to participat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cities were analyzed in order of policy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cities, population growth issues, settlement and consumption environment. The new local currency model was proposed for innovation cities based on a private blockchain system with the participation of public institutions to solve and supplement regional issues.", "abstract": "본 연구는 혁신도시의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역화폐 모델에 관한 연구이다. 국내 지역화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발행 규모가 증가하였지만, 지역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로 운영되고 있어 공동체가 지속해서 참여할 동기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지역 현안을 해결하고 공동체가 지속해서 참여할 수 있는 지역화폐 모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혁신도시의 정책적 특성, 인구성장문제, 정주 및 소비환경을 분석하여 혁신도시의 지역 현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해결 및 보완할 수 있도록 이전 공공기관과 지역 공동체가 함께 참여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시스템 기반 혁신도시형 지역화폐 모델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10463369961",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61.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aimed to identify the insulation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of Epoxy composites, which are widely used as insulation material for electrical & electronic components and electric appliance. To this end, it was necessary to predict variations of electric field due to the distribution of fillers that must be added by economic and mechanical factors. So, we verified the result using an electric field analysis Simulator. Furthermore, under the condtion of DC voltage application, an dielectirc breakdown test was performed according to ambient temperature changes and the distribution of fillers, and the changes were observed. Three types of specimens were manufactured by adding 0, 50 and 100[phr] filling to Epoxy resin. In all specimens, as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strength of the dielectric strength was decreased. When 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with the actual dielectric breakdown test results, we was able to confirm the technical applicability required for Insulation design of electric applianc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전기 전자부품 및 기구의 절연재료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에폭시 복합재료의 절연 특성 및 신뢰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제적, 기계적 요인에 의해 필수적으로 첨가되어야 하는 충진재의 분포에 따른 전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전계해석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직류 전압 인가 조건하에서 주변 온도 변화 및 충진재 분포에 따른 절연파괴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편은 에폭시 수지에 충진재를 0, 50, 100[phr] 첨가하여 3종류가 제작되었으며 모든 시편의 경우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절연파괴강도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및 실제 절연강도시험 결과를 비교 고찰하여 전기 기구의 절연설계에 필요한 기술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0463370023",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23.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teaching method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rough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subjects for reinforcing SWP, and to seek ways to strengthen field practic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method of applying learner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discussions by inviting practitioners in the field, and to watch the progress of projects by type of social welfare site. Second, as a way to participate in learne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excellent proposals, participate in events held at welfare sites, present various dilemma cases in the field, and try to overcome ethical dilemmas by sharing cases overcoming dilemma, and to make efforts to list practical skills requir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Third, it is necessary to apply such methods as phone calls, e-campus, Kakao Talk, Zoom, and counseling techniques that are conducted in the case management process as a way to apply interaction, and discuss issues that are important in the welfare fiel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SWP강화를 위한 교과목 개선 및 적용을 통해 학습자 특성에 맞는 수업방법을 적용하고 현장실무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동기유발 적용 방안으로 현장의 실무자 초청 토론 진행, 사회복지현장의 유형별 사업 진행 모습 시청 등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 참여 방안으로 우수 프로포절 분석, 복지현장에서 진행하는 행사 참여, 현장의 다양한 딜레마 사례들을 제시, 딜레마 극복 사례 공유를 통해 윤리적 딜레마 극복 노력, 사회복지 현장실습에서 요구되는 실천기술 목록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상호작용 적용 방안으로 전화, e-campus, 카카오톡, 줌(Zoom), 사례관리 과정에서 진행되는 상담기법들을 적용, 복지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슈에 대한 토론 등 적용 방안이 필요하다."} {"id": "JAKO202110463369954",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54.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disease diagnosis system that can diagnose the health status of household pets for the people who lack veterinary knowledge. The proposed diagnosis system holds 50 different kinds of diseases with the symptoms for each of them as a database to provide results from symptom input. Each disease database has its own symptom codes for a disease, and by using the disease database, FCM clustering technique is applied to disease which outputs membership degree to determine diseases close to the input symptom as a pet diagnosis result. The implement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pet diagnosis system were obtained by the number of selected symptoms and the possibility values of the diseases that have the selected symptoms being sorted in descending order to derive top 3 diseases closest to the pet's symptom.",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가정에서 많이 기르는 반려견을 바탕으로 반려견 질병에 대한 전문적인 수의학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반련견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진단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진단 시스템은 50가지 질병과 각 질병의 증상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여 입력된 증상을 통해서 반려견의 질병을 도출한다. 각 질병 데이터베이스에는 질병에 해당하는 증상 코드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질병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군집화 기법인 FCM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질병을 클러스터링하고 그 결과 값인 소속도를 바탕으로 입력된 증상과 가까운 질병들을 도출하여 반려견의 진단 결과를 제공한다. 제안된 반려견 진단의 구현 결과에서는 선택한 증상들의 개수와 선택된 증상들이 포함된 질병들의 가능성 값을 구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반려견의 증상과 가장 가까운 질병 상위 3가지를 도출하였다."} {"id": "JAKO202103440879029",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29.pdf", "abstract_en": "SNS has recently reached the level of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to customers through a mobile payment system that goes beyond the existing payment system using Fintech, which is a fusion of financial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se mobile payment systems are increasing in scale as time goes by, and their functions are reaching the same level as general financial services.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o examine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nternet banking by targeting users who use WeChat Pay among Chinese Internet bank users with the highest Fintech Adoption rate. SNS has recently reached the level of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to customers through a mobile payment system that goes beyond the existing payment system using Fintech, which is a fusion of financial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ults, 2 factors positive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se mobile payment systems are increasing in scale as time goes by, and their functions are reaching the same level as general financial services.", "abstract": "SNS는 최근 금융산업과 정보기술이 융합한 핀테크를 이용하여 기존의 결제시스템을 넘어선 모바일 결제시스템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결제시스템은 시간이 갈수록 그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기능 또한 일반 시중의 금융서비스와 같은 수준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핀테크 도입률이 가장 높은 중국의 인터넷 뱅크 이용자들 중 위쳇페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자들이 인터넷 뱅킹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본 실증연구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형성, 편리성, 정확성, 공감성, 신뢰성이 인터넷 뱅킹의 수용의도와 고객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시한 2개의 요인이 수용의도와 고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 중국에서는 핀테크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뱅킹이 사회전반에 고루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 뱅킹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대부분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id": "JAKO202103440878948",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48.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ultural heritage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that allows visitors to experience artifacts by augmenting prototypes, audio, video, and text information of 3D graphic artifacts of museum cultural assets. By apply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a cultural product, products can be recognized on mobile phones and various historical information can be received through interaction of digital artifacts, and information can be easily and quickly checked through augmented reality mobile digital content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rough this study, w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via mobile augmented reality and the expans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cultural heritage for use, such as education, industry, and tourism promotio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 문화상품을 활용하여 모바일기반 증강현실 기술로 실제와 같은 디지털 3D 그래픽 유물 원형과 음성정보 이미지 Text 정보 등을 증강 시켜 박물관과 같은 유물 체험을 할 수 있는 문화유산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증강현실 기술을 문화상품 적용하여 모바일 폰으로 상품 인식하여 디지털 유물의 인터랙션을 통해 유물에 대한 특징과 다양한 역사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와 상관없이 증강현실 모바일 디지털 콘텐츠로 쉽고 빠르게 유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디지털 콘텐츠가 문화유산 유형에 맞게 연구되어 교육용·산업용·관광 홍보용 등 사용 목적에 맞게 개발되어 증강현실 콘텐츠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id": "JAKO202103440878932",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32.pdf", "abstract_en": "This paper has proposed an algorithm that detecting for dense small vehicle in large image efficiently. It is consisted of two Ensemble Deep-Learning Network algorithms based on Coarse to Fine method. The system can detect vehicle exactly on selected sub image. In the Coarse step, it can make Voting Space using the result of various Deep-Learning Network individually. To select sub-region, it makes Voting Map by to combine each Voting Space. In the Fine step, the sub-region selected in the Coarse step is transferred to final Deep-Learning Network. The sub-region can be defined by using dynamic windows. In this paper, pre-defined mapping table has used to define dynamic windows for perspective road image. Identity judgment of vehicle moving on each sub-region is determined by closest center point of bottom of the detected vehicle's box information. And it is tracked by vehicle's box information on the continuous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has evaluated for performance of detection and cost in real time using day and night images captured by CCTV on the road.", "abstract": "본 논문은 고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에서 겹쳐져있는 소형 물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Coarse to Fine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두 개의 Deep-Learning Network을 앙상블 형태로 구성하여 차량이 존재할 위치를 미리 판단하고 서브영역으로 선택한 이미지로부터 차량을 정확하게 검출한다. Coarse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다수의 Deep-Learning Network 에 대한 각각의 결과로 Voting Space를 생성한다. 각 Voting Space 의 조합을 통해 Voting Map을 만들고 차량이 존재할 위치를 선택한다. Fine 단계에서는 Coarse 단계에서 선택된 영역을 기준으로 서브영역을 추출하고 해당 영역을 최종 Deep-Learning Network 에 입력한다. 서브 영역은 Voting Map을 이용하여 영상에서의 높이에 적합한 크기의 동적 윈도우를 생성함으로써 정의되며, 본 논문에서는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접근하는 도로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미리 계산된 매핑테이블을 적용하였다. 각 서브 영역 간 이동하는 차량의 동일성 판단은 검출된 영역의 하단 중심점에 대한 근접성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의 정보를 트래킹 하였다. 실제 주야간 도로 CCTV를 통해 획득한 실시간 영상에서 처리 속도 및 검출 성능을 비교 실험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을 평가하였다."} {"id": "JAKO202103440878973",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73.pdf", "abstract_en": "VMP(Variable Message Protocol) is bit-based variable message processing protocol that enables the sharing situ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s a tactical datalink protocol for Korean Army. System A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nd will be operated as an army system when its development is completed. In system A, the VMP processing terminal is mounted and the VMP is utilized for exchanging tactical information. System A can acquire situation information from mounted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share situation information with other system A by the VMP.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sharing situation information with system A and speed improvement methods of sharing situation information using VMP. As speed improvement methods of sharing situation information, this paper studied 'Removing Process of Sending VMP Observation Report', 'Adopting One-time Situation Information Send Button When Sharing A System Situation Information By VMP', 'Combination of Many VMP Messages Using Repeat Function Of Application Header'. And we conducted the experiment, the result was that the transmission speed of equipment to which th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was improved by 76.8% compared to the existing equipment.", "abstract": "VMP(Variable Message Protocol) 는 비트 단위의 가변형 메시지 처리 프로토콜로서 근실시간 상황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육군 전술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다. A 시스템은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이며 개발이 완료되면 육군의 시스템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A 시스템에는 VMP 처리 단말기가 탑재되고 VMP를 활용하여 A 시스템간 전술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A 시스템은 장착된 상황 정보획득 장치를 통해서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VMP를 활용하면 상황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타 A 시스템과 공유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 시스템에 장착된 상황 정보 획득장치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VMP 단말기를 탑재한 A 시스템 간에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방안과 공유 속도의 최적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최적화 방안으로 일괄 전송 방식 적용, 첩보 보고과정의 생략, 여러 개의 상황 정보를 하나의 패킷으로 묶음 전송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하여 연구 방안이 적용된 VMP 단말기의 상황 정보 공유 시간이 기존 VMP 단말기에 비해 76.8%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3440879025",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25.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explored consumers' the privacy attitudes and Internet activities on the expect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urthermore,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et activities between the privacy attitudes and the expect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data are 2018 Korea media panel survey provided by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As a result, concerns about privacy were negative on the expect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s interne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ct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cerns about privac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expect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active internet activities have mitigated it or turned it into a positive. This study will contribute as basic data for more active responses in the economic structure fac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보호태도와 인터넷 활동성이 4차 산업혁명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개인정보보호태도와 4차 산업혁명 전망의 관계에서 인터넷 활동성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데이터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8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려는 4차 산업혁명 전망에 부정적이었으며, 높은 인터넷 활동성은 4차 산업혁명 전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려가 4차 산업혁명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활발한 인터넷 활동성은 이를 완화시키거나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당면한 경제구조 속에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할 것이다."} {"id": "JAKO202103440879008",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08.pdf", "abstract_en": "Recently, trust in online transactions and corporate trust are most important at the corporate level as social overhead capital in commercial transactions using digital devices such as online, mobile, and SNS platforms. Therefor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Consumer Agency's consumer policy indicators to identify the impact of digital consumption trust and corporate responsibility trust on the satisfa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roducts and servi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rust in digital consumption conditions and responsibility of compan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satisfa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rust in corporate responsibility has a greater impact on satisfa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satisfa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s than trust in digital consumption conditio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abstract": "최근 온라인, 모바일, SNS플랫폼 등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상거래에 있어 사회간접자본으로서 온라인 거래의 신뢰와 기업 차원에서 기업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 정책지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와 기업의 책임 신뢰가 정보통신 제품과 서비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와 기업의 책임 신뢰가 정보통신기기 만족도와 정보통신 서비스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보다 기업의 책임 신뢰가 정보통신기기 만족도와 정보통신 서비스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03440878993",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93.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e status, wearing status, purchase satisfaction, selection criteria, and improvement marin leports wear for subjects who enjoy marine leisure sport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Jeollanam-do, and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body typ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SPSS Ver. 26.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the selection criteria, when participating to increase physical strength, it was selected based on the fit. When participating for leisure or hobbies, they were selected based on design and col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ion criteria and purchase satisfaction was not satisfied in terms of price when they were selected based on activity or utilization of other uses. As for the selec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body type, clothing was selected based on price and fashion for large triangles and squares, and elasticity for inverted triangles. As for the preferred color by age, only those in their 40s preferred blue and other age groups preferred achromatic color. In future studies, it is thought that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each marine leisure sports item should be conduct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남 서남 지역에서 해양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양 레저스포츠 의류의 구매실태, 착용실태, 구매 만족도, 선택기준,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여 연령, 체형 등과의 상관관계와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해양 레저스포츠 참여동기와 선택기준 간의 상관관계에서 체력증진을 위해 참여하는 경우 착용감을 기준으로, 여가나 취미생활로 참여할 경우 디자인, 색상을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선택기준과 구매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활동성, 다른 용도 활용성을 기준으로 선택하면 가격면에서 만족하지 못하였다. 체형에 따른 선택기준은 큰 삼각형과 사각체형은 가격, 유행을 기준으로, 역삼각형은 신축성을 기준으로 의류를 선택하였다. 연령별 선호색상은 40대는 파랑계열을, 다른 연령대는 무채색을 선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해양 레저스포츠 종목별 선호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03440878944",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44.pdf", "abstract_en": "Today, the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s done by applying the latest IT technology from relying on existing data and experts.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new data are released and the original restoration is incorrect. Also, sometimes it takes too long to restor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sults will be different than expected. Therefore, we aim to quickly restore cultural properties using DeepLearning. Recently, so the algorithm DcGAN made in GANs algorithm, and image creation, restoring sectors are constantly evolving. We try to find the optimal GAN algorithm for the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mong various GAN algorithms. Because the GAN algorithm is used in various fields. In the field of restoring cultural properties, it will show that it can be applied in practice by obtaining meaningful results.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with the DCGAN and Style GAN algorithms among the GAN algorithms, it was confirmed that the DCGAN algorithm generates a top image with a low resolution.", "abstract": "오늘날 문화재 복원은, 기존 자료와 전문가에 의존하는 것과 더불어 최신 IT 기술을 적용하여 복원하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자료가 나와서 기존 복원이 틀리게 되는 경우, 복원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릴 때도 있다. 그리고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이에 우리는 중요 문화재의 복원을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빠르게 복원을 해 보고자 한다. 최근에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GANs) 알고리즘에서 DcGAN[2] 알고리즘이 나오면서 이미지 생성, 복원 분야가 지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GAN 알고리즘을 문화재 복원에 GAN 알고리즘을 적용해 보았다. DcGAN과 StyleGAN을 적용하였으며,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GAN 알고리즘 중 DCGAN과 Style GAN 알고리즘을 실험한 결과 DCGAN 알고리즘은 학습이 진행되었으며, 낮은 해상도로 탑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Style GAN 알고리즘에서도 역시 학습이 진행 되었으며, 탑 이미지가 생성되었다. 결론적으로 GA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높은 해상도의 탑 이미지를 구할 수 있게 되었다."} {"id": "JAKO202103440878928",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28.pdf", "abstract_en": "This study is to design and to develop the educational contents to enhanc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First, we design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s and constructed education programs. The contents are composed of a total of 15 lectures in 8 AI domains. The contents contain the elements of knowledge-skill-attitude, and 5 learning steps. The developed contents were organized in the form of online materials and included simulations and worksheets to directly manipulate and explore the concepts and algorithms of AI. In addition, we provided evaluation questions for each content.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content, we conducted a validity test for experts. As a result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the overall average was .71 or higher, and the CVI value of the class suitability was .82, indicating a high validity. We are expected to use the contents developed in this study a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AI literacy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소양을 신장하기 위한 교육 콘텐츠의 설계와 개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를 설계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콘텐츠는 8개의 인공지능 영역에서 총 15차시로 구성되었다. 콘텐츠는 지식-기능-태도의 내용을 함께 담고 있으며 학습단계는 5단계로 구성하였다. 콘텐츠의 개발은 온라인 자료의 형태로 구성하고 시뮬레이션과 워크시트를 포함하였다. 또한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하고 각 콘텐츠별로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콘텐츠의 적합성을 살펴보기 위해 전문가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계 내용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사 결과 전체 평균은 .71이상을 나타냈고, 개발된 콘텐츠의 수업 적합도의 CVI값은 .82로 타당성이 높게 나왔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콘텐츠들이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공지능 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34870438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348704387.pdf", "abstract_en": "Orientation corrections for the total of 268 accelerograph station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were estimated using ambient noise cross-correlation. As this method uses ambient noise data instead of teleseismic waveforms from earthquakes under certain conditions, reliable orientation corrections can be obtained using only two-month long continuous seismic data from dense seismic networks in the Korean peninsula.Three-component continuous data recorded at the 268 accelerograph stations from January to February 2020 were used to estimate orientation corrections. The results are comparable to the previous results obtained from teleseismic waveforms; the overall standard deviations of the orientation corrections are less than 5°. Therefore, orientation corrections for the accelerograph station network can be tracked periodically by the ambient-noise method and the result can be used in various studies using the horizontal-component of acceleration data.", "abstract": "기상청에서 운용하는 268개의 가속도 관측망에 대한 방위각 보정값을 측정하기 위해 배경잡음 교차상관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배경잡음 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원거리 지진자료를 사용하는 방법과 달리 특정 조건에 맞는 지진을 선정할 필요가 없고, 한반도와 같은 조밀한 관측망에 적용하여 단기간의 연속 파형 자료만을 사용해 신뢰할 수 있는 방위각 보정값을 측정할 수 있다. 계산에는 2020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총 268개의 기상청 가속도 관측망에 기록된 3성분 연속 파형 자료를 사용했다. 계산된 결과를 보면 기존에 원거리 지진자료를 사용한 결과와 매우 유사하며, 기존 결과에서 누락된 가속도 관측소들을 포함한 대부분 관측소의 방위각 보정 계산 결과가 표준편차 5° 이하로 안정적으로 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에서 사용한 방법을 활용해 기상청 가속도 관측소에 대한 방위각 보정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측정된 결과를 활용하면, 가속도 자료의 수평 성분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들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334870438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348704383.pdf", "abstract_en": "A lava dome and sheet lava flow can be observed at the seashore of Aewol, Jeju island. The cylindrical lobes are characterized by a concentric structure consisting of a massive core and radial joints. Columnar joints with different thicknes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developed in the sheet lava flow around the rock salt field in Goeomri. The upper part of the columnar joints is uneven in shape, and has a diameter of 120-150 cm. The lower part of the columnar joints is hexagonal and pentagonal in shape, and has a diameter of about 60 cm. The cylindrical lob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size and shape. One is a megalobe, with a semicircular outline and a maximum diameter of 30 m. The other is a circular lobe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10 m. The columns in the radial joints have hexagonal and pentagonal cross sections and gradually increasing diameter, outward from the core, to a size of 80-120 cm at the rim. The concentric structure observed in the cylindrical lavas is attributable to a combination of four factors. The first is a circular crack caused by the decrease of the temperature and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ylindrical lava flow. The second is a concentric chisel mark of the radial joints, which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radial joints. The third is a flow band, which is a trace left in a round passage when lava flows through. The fourth is a vesicular band formed in a cave by gas bubbles escaping from the lava flow.", "abstract": "제주도 북서부인 애월 해안에는 평탄하게 흐른(판상) 용암류와 둥근 모양(원통)의 용암류가 관찰된다. 원통형 용암류의 치밀한 내부에는 동심원 구조와 방사상 절리가 발달한다. 구엄리 돌염전 주변의 판상 용암류 내부에는 상하부의 굵기가 다른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주상절리 상부는 다각형의 형태가 고르지 않으며 직경은 120-150 cm이다. 주상절리 하부는 육각형과 오각형으로 형태가 일정하고, 크기도 60 cm 내외이다. 원통형 로브는 크기와 형태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메가로브인데, 최대 직경이 30 m인 반원형이다. 또 하나는 원형의 로브로 직경이 10 m 이하이다. 원통형 용암류의 방사상 절리의 기둥 단면은 육각형과 오각형이며, 기둥의 직경은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증가하는데 바깥쪽 경계부에서는 80-120 cm 정도이다. 원통형 용암에서 관찰되는 동심원 구조는 4가지 요인이 복합된 것이다. 첫째는 원형의 균열로, 원통형 용암류 내에서 안쪽과 바깥쪽 사이의 온도차와 밀도차로 발생한 수축으로 생긴 틈새이다. 둘째는 방사상 절리의 마디층이 동심원을 이룬 것으로, 이 마디층은 방사상 절리와 동시에 만들어진 것이다. 셋째는 유동띠로서, 용암이 흐를 때 둥근 통로에 남긴 흔적이다. 네 번째는 용암에서 빠져나온 가스가 동굴에 형성된 기공 띠이다."} {"id": "JAKO20211334870437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348704376.pdf", "abstract_en": "The study examines the shearing and crushing characteristics of land-derived subaqueous granular materials in a gravel-bed river. A series of large-sized ring shear test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hear time and shear velocity on the shear stress characteristics of aquarium gravels with a 6-mm mean grain size. Three different shear velocities (i.e., 0.01, 0.1, and 1 mm/sec) were applied to measure the shear stress under the drained (long-term shearing) and undrained (short-term shearing) conditions. Different initial shear velocities, i.e., 0.01→0.1→1 mm/sec and 0.1→0.01→1 mm/sec,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grain crushing effect is significant regardless of drainage conditions. The shear stress of coarse-grained materials is influenced by initial shear velocities, regardless of the drainage conditions. In particular, particle breakage increases as grain size increases. The shearing time and initial shear velocity are the primary influencing factors determining the shear stress of gravels. The granular materials may be broken easily into particles through frictional resistance, such as abrasion, interlocking and fracture due to the particle-particle interaction, resulting in the high mobility of granular materials in a subaqueous environment.", "abstract": "본 연구는 육상 기원 조립질 하상 퇴적물의 높은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단과 파쇄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링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균 입경 6 mm 자갈에 대하여 링전단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전단시간(shear time)과 전단속도(shear velocity)에 따른 전단-변형률 역학특성과 입자파쇄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배수(장시간 전단)와 비배수(단시간 전단)조건을 고려하기 위하여 초기 전단속도(0.01→0.1→1 mm/sec와 0.1→0.01→1 mm/sec)에 따른 링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i) 배수와 비배수조건 모두에서 입자파쇄 특성이 확인되었지만, 비배수조건에서 상대적으로 큰 전단저항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ii) 배수조건에 관계없이 수중 자갈의 초기 전단속도는 전단응력-전단변형률 관계곡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iii) 입자파쇄는 평균 입경에 영향을 받으며 사용된 수중 자갈은 상대적으로 큰 입자파쇄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iv) 전단응력 결정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는 전단시간과 초기 전단속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모래와 자갈을 다량 함유한 조립질 하상 퇴적물은 입자-입자 간 상호접촉, 마모, 맞물림, 마찰 등의 물리적 이동과정을 통해 입자파쇄와 세립토 함량이 증가되고 이러한 현상은 하상 퇴적물의 고유동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334870436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34870436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rban heat island (UHI) intensity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 temperature forecast obtained using the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gainst the AWS observation. The observed UHI intensity in Seoul increases during spring and winter, while it decreases during summer. It is found that the diurnal variability of the UHI intensity peaks at dawn but reaches a minimum in the afternoon. The LDAPS overestimates the UHI intensity in summer but underestimates it in winter. In particular, the model tends to overestimate the UHI intensity during the daytime in summer but underestimate it during the nighttime in winter. Moreover, surface temperature errors decrease in summer but increase in winter. The underestimation of the winter UHI intensity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weak forecasting of urban temperature in winter. However, the overestimated summer UHI intensity results from the underestimation of the suburban temperature forecast in summer.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ability of the UHI intensity, an urban canopy model (MORUSES) that considers urban effects was combined with LDAPS and used for simulation for the summer of 2017. The surface temperature forecast for the c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by adopting MORUSES, and there were remarkable improvements in urban surface temperature morning forecasts. The urban canopy model produced an improvement effect that weakened the intensity of the UHI, which showed an overestimation during summer.", "abstract": "본 연구는 기상청 현업모델(LDAPS)로부터 예측된 서울의 도시열섬 강도와 지상 기온을 AWS 관측과 비교 평가하였다. 관측된 서울의 열섬 강도는 봄과 겨울동안 증가하며 여름동안 감소한다. 열섬 강도의 시간적 변동 경향은 새벽 시간 최대, 오후에 최소를 보인다. 기상청 국지기상예측시스템(LDAPS)으로부터 예측된 열섬 강도는 여름철 과대모의, 겨울철 과소모의 특징을 보인다. 특히 여름철은 주간에 과대 모의 경향이 증가하며, 겨울은 새벽 시간 과소 모의 오차가 크게 나타난다. LDAPS에서 예측된 지면 기온의 오차는 여름철 감소하며 겨울철 증가한다. 겨울철 열섬 강도의 과소 모의는 도시 기온의 과소 모의와 관련되었으며, 여름철 열섬 강도의 과대 모의는 교외 지역 기온의 과소 모의로부터 기인하는것으로 판단된다. 도시 열섬강도 예측성 개선을 위하여 도시효과를 고려하는 도시캐노피모델을 LDAPS와 결합하여 2017년 여름 기간동안 모의하였다. 도시캐노피모델 적용 후 도시의 지면 기온의 오차는 개선되었다. 특히 오전시간 과소모의되는 기온의 오차 개선 효과가 뚜렷하였다. 도시캐노피모델은 여름동안 과대 모의하는 도시열섬강도를 약화시키는 개선 효과를 보였다."} {"id": "JAKO20211756070552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0705527.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isual modeling proces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the reflection of light.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from three aspects; coherence, correspondence, and commensurability of the modeling thinking proposed by Halloun (2004). 2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paired to observe the reflection of light. They were asked to construct the visual model individually at first and then collaboratively. Comparing personal and cooperative models, the level of correspondence and commensurability in some groups has increased, despite the lack of special educational treatment. In addition, three main features were found in their reasoning process. First, the level of commensurability to apply the law of reflection continued to change fluidl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often the verbal and visual explanations did not match. Second, in the process of visual modeling, correspondence was often given priority over commensurability and coherence. Third, in a situation where correspondence and commensurability are at odds with each other, participants resolved this conflict and developed reasoning through review and revision of the auxiliary hypothesis. Several implications have been discussed for effectively guiding visual modeling activiti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빛의 반사 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시각적 모델링 과정을 Halloun (2004)이 제안한 모델링 사고의 세 측면, 정합성(coherence), 대응성(correspondence), 통약성(commensurability)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0명이 참여하였으며 무작위로 2명씩 짝을 이루어 빛의 반사 현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시각적 모델을 처음에는 개인적으로 그리고 이후에는 협동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개인적 모델과 협동적 모델을 비교한 결과 특별한 교육적 처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모둠에서 대응성과 통약성 수준이 다소 높아졌다. 또한, 이들의 추론 과정에서 세 가지의 주요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반사의 법칙을 적용하는 통약성 수준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계속 변했고 구두 설명과 그림 설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시각적 모델링 과정에서 통약성, 정합성보다 대응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대응성과 통약성이 서로 갈등하는 상황에서 참여자들은 보조 가설에 대한 검토 및 수정을 통해 이 갈등을 해결하고 추론을 발전시켜 나갔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모델링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주는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d": "JAKO202113254540664", "publication_date": "2021.04.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664.pdf", "abstract_en":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whether aggressive order intake affect occurrence of defects of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age of construction costs due to aggressive low-cost orders of contractors, self-response measures such as design changes are followed, and construction defects may be induced in this process. It aims to verify relevance between aggressive order intake and defect in construction empirically using financial accounting dat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n abnormal increase in order volume and a deterioration in profitability such as operating margin due to aggressive order taking behavior leads to a decrease in construction quality and occurrence of defects.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low construction ability and intentional changes in construction design or contract conditions after construction commences were a direct causes of de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prevent defects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cts in construction and deterioration of profitability due to aggressive low-cost order takings.", "abstract": "본 연구는 도급공사의 공격적인 저가 수주로 인한 공사비 부족을 만회하기 위해 설계변경 등 자구책이 뒤따르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시공상의 하자가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 재무적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공격적인 수주행위로 인한 수주량의 비상적인 증가와 영업이익률 등 수익성 악화는 공사 품질의 저하와 하자 발생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공눙력이 낮거나 공사 착공 후 설계나 계약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 하자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공격적인 저가 수주와 하자 발생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하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id": "JAKO202113254540638", "publication_date": "2021.04.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638.pdf", "abstract_en": "While the scale of the domestic market for demolition work is steadily increasing, research on cost prediction for demolition work is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proposes a cost prediction model for demolition work that reflects various attributes influecing the fluctuation of demolition cost. 13 influencing factors and historical cost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advice, and two prediction models were construc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rediction accuracy was evaluated. As a result, it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about 6 to 12%, and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e as a reliable predic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imating appropriate construction cost and improving related standards for domestic demolition works in the future.", "abstract": "국내 해체시장 규모는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반면, 해체공사비 예측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체공사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속성을 반영한 공사비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문헌고찰과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13개의 영향요인과 실적공사비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2개의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예측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 6~12%의 평균 오차율을 보였으며, 예측 모델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해체공사의 적정 공사비산정 및 관련 기준 정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3254540633", "publication_date": "2021.04.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633.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develop non-sintered cement that can replace the Portland cement by utilizing industrial by-products. As a sugges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non-sintered cement mortar depending on the curing method were investigated with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class C fly ash, and class F fly ash.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 performance and absorption rate were improved through the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steam curing. It was confirmed through crystal phase analysis that the hydration was accelerated after heat treatment, and the bonding material formed a dense internal structur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을 전량 활용하여 포틀랜드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비소성 시멘트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F급 플라이애시, C급 플라이애시를 사용하여 양생방법에 따른 비소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증기양생 후 열처리 과정을 통해 강도성능과 흡수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상 분석을 통해 열처리 후 수화물의 촉진을 확인하였으며, 결합재는 치밀한 내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id": "JAKO202113254540659", "publication_date": "2021.04.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65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ment mortar replaced with fly ash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enerated during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method and pulverized coal combus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mixed with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or fly ash and pulverized coal combustion fly ash, it is advantageous not only in terms of strength development but also in terms of durability. The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or fly ash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initial reactivity, and the pulverized coal combustion fly ash is involved in long-term strength development through pozzolanic reac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mixed use of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or fly ash and pulverized coal combustion fly ash acts as a complementary factor for cement mortar substituted with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 중 순환유동층 연소방식과 미분탄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치환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순환유동층 플라이애시 및 미분탄 플라이애시 혼합 사용 시 강도발현 뿐만 아니라 내구성 측면에서도 유리하게 나타난다. 순환유동층 플라이애시는 초기 반응성 향상에 기여하며, 미분탄 플라이애시는 포졸란 반응으로 장기 강도 발현에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순환유동층 플라이애시와 미분탄 플라이애시의 혼합사용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치환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상호 보완적인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id": "JAKO202113254540653", "publication_date": "2021.04.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4540653.pdf", "abstract_en": "Recent rise in the supply rate of new public apartment houses leads to an increasement in disputes regarding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apartments between the residents and the construction companies. According to the dispute cases filed for claiming the collective defect repair fees, inter-layer concrete joints turned out to be the most frequently disputed item.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lects the inter-layer concrete joints to further analyze the primary causes and details of each dispute cas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ee primary causes of the disputes are found, which are 1) the absence of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after construction; 2) the absence of established standards for repair when construction defects are found; and 3) the fact that the court grants generous compensation for disputes concerning the apartment houses. In order to prevent construction defects in inter-layer concrete joints, this study provides three suggestions including 1) the current standard specifications for inter-layer concrete joints should be further specifi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 a construction defect should be judged according to the compliance to the standard specifications; and 3) a clear and institutional protocol needs to be established for defect repair in cases that new public apartment houses have been judged to have defects.", "abstract": "신축 공동주택 보급률이 상승하면서 입주민 개인별 자산의 관리적 측면과 함께 품질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공동주택 품질과 관련된 분쟁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쟁을 저감할 목적으로 관리주체가 제소하는 집단하자보수비 청구 소송을 확인하여 가장 빈번하게 분쟁이 발생된 콘크리트의 층간이음부와 관련하여 각 사건별로 층간이음부가 차지하는 비중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쟁 발생의 원인에는 첫째, 표준시방서가 부재한 점, 둘째, 보수공법에 대한 표준이 없는 점, 셋째, 공동주택의 공통적인 사항이나 법원에서는 이를 관대한 개념에서 배상 범위를 인정하고 있는 점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하자예방을 위해서는 첫째, 층간이음부 시공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표준시방서가 개정되어야하고, 둘째, 표준시방서 이행 여부에 따라 하자판정이 진행되어야 하며, 셋째, 하자로 판정 시 명확한 하자보수공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제도개선이 필요한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5463127788",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27788.pdf", "abstract_en": "Micropile refers to a small-diameter cast-in-place pile of less than 300 mm. In general, even though it is a small-diameter pile, it is known that the resistance of the pile to the vertical force is large, while the resistance to the lateral load is insufficient. Among several micropile methods, a triaxial micropile (TMP) was recently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seismic resistance). A triaxial micropil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resist lateral loads because three micropiles installed inclined on each axis resist lateral loa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short pile (L/d < 60),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ile length ratio, but in the long pile (L/d ≥ 60), the increase in the bearing capacity was insignificant.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increased as the triaxial micropile installation angle (θ) increased, but the increase in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was clearly decreased when it exceeded 35°. The increase in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was greater with the increase of the micropile installation angle (θ) in the long pile than the short pile.", "abstract": "마이크로파일은 300mm 이하인 소구경 현장타설말뚝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소구경 파일임에도 연직력에 대한 파일의 저항력이 큰 반면,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성은 미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마이크로파일 공법들 중 최근 수평지지력(내진저항력)의 증가를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삼축 마이크로파일(Triaxial micropile, TMP)이 개발되었다. 삼축 마이크로파일은 각축에 경사지게 설치된 3개의 마이크로파일이 수평하중에 저항하므로 좀 더 효과적으로 수평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일길이 및 설치각도를 달리 설치했을 경우 삼축 마이크로파일에 대한 수평지지력을 평가하고자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짧은 파일(L/d < 60)에서 파일길이비 증가에 따른 수평지지력 증가가 발생하였으나, 긴 파일(L/d ≥ 60)에서는 지지력 증가가 미미했다. 마이크로파일 설치각(θ)이 증가함에 따라 수평지지력이 증가하였으나 35° 초과 시 지지력 증가가 급격히 저하되었고, 짧은 파일보다 긴 파일에서 마이크로파일 설치각(θ)의 증가에 따른 수평지지력 상승이 컸다."} {"id": "JAKO202109950460309",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09.pdf", "abstract_en": "The PEM(Proton Exchange Membrane)water electrolysis uses the same PEM electrolyte membrane as the PEM fuel cell and proceeds by the same reaction but the opposite direction. The PEM fuel cell has many methods of degradation analysis sinc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degradation and durability of the membrane and catalyst. We examined whether PEM fuel cell durability evalu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PEM electrolytic durability evaluation. During the PEM electrolytic degradation process, LSV(Linear sweep voltammetry), CV(Cyclic voltammetry), Impedance,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were analyzed and com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PEM fuel cell. As the PEM fuel cell, hydrogen passing through the membrane was oxidized at the Pt/C electrode, and the hydrogen permeation current density was measured to analyze the degree of degradation of the PEM membrane. Electrode degradation could be analyzed by measuring the electrode active area (ECSA) by CV under hydrogen/nitrogen flowing conditions. While supplying hydrogen and air to the Pt/C electrode and the IrO2 electrode, the impedance of each electrode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de and membrane.", "abstract": "PEM(Proton Exchange Membrane) 수전해는 PEM 연료전지와 동일한 PEM 전해질 막을 사용하며, 동일한 반응이지만 방향이 반대인 반응에 의해 진행된다. PEM 연료전지는 전해질 막과 촉매의 열화와 내구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개발된 열화분석 방법이 많다. 본 연구에서 PEM 수전해 내구성 평가에 PEM 연료전지 내구성 평가 방법 적용이 가능한지 검토하였다. PEM 수전해 열화과정에서 PEM 연료전지와 동일한 조건으로 LSV(Linear sweep voltammetry), CV(Cyclic voltammetry), Impedance,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등을 분석해 비교하였다. PEM 연료전지처럼 막을 통과한 수소가 Pt/C 전극에서 산화되어 수소투과전류밀도를 측정함으로써 PEM 수전해 고분자 막의 열화정도를 분석할 수 있었다. 수소/질소 유입 조건에서 CV에 의한 전극활성면적(ECSA)을 측정해 전극열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 수소와 공기를 Pt/C 전극과 IrO2 전극에 공급하면서 각 전극의 임피던스를 측정해 전극과 고분자 막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id": "JAKO202109950460354",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54.pdf", "abstract_en": "This study presented techno-economic analysis of a 500 MWe oxy-coal power plant with CO2 capture. The power plant included a circulating fluidized-bed (CFB), ultra-supercritical steam turbine, flue gas conditioning (FGC), air separation unit (ASU), and CO2 processing unit (CPU). The dry flue gas recirculation (FGR) was used to control the combustion temperature of CFB. One FGR heat exchanger, one heat exchanger for N2 stream exiting ASU, and a heat recovery from CPU compressor were considered to enhance heat efficiency. The decrease 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 of the FGR heat exchanger that means the increase in heat recovery from flue gas enhanced the electricity and exergy efficiencies. The annual cost including the FGR heat exchanger and FGC cooling water was minimized at ΔT = 10 ℃, where the electricity efficiency, total capital cost, total production cost, and return on investment were 39%, 1371 M$, 90 M$, and 7%/y, respectivel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CO2 포집을 포함하는 500 MWe 급 전기를 생산하는 순산소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공정흐름도를 제시하였고, 기술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석탄화력발전소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CFB), 초초 임계 증기 사이클 증기 터빈,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내 수분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제 장치(FGC), 산소 분리 초저온 공정(ASU),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극저온 공정(CPU)을 포함한다. 건식 배기가스 재순환(FGR)은 CFB연소기내 온도 제어와 고농도 CO2 배출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 순산소 석탄화력발전소의 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FGR 흐름에 대한 열교환, ASU에서 배출되는 질소 흐름에 대한 열교환, 그리고 CPU 내 기체 압축기의 열 회수를 고려하였다. FGR열교환기의 온도차(ΔT)의 감소는 배기가스의 더 많은 폐열 회수를 의미하며, 전기 및 엑서지 효율을 증가시켰다. FGR열교환기의 ΔT가 10 ℃ 에서 FGR과 FGC 주변의 연간 비용이 최소가 되었다. 이때, 전기 효율은 39%, 총투자비는 1371 M$, 총생산비용은 90 M$, 그리고 투자수익률은 7%/y, 그리고 투자회수기간은 12년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순산소 석탄화력발전소의 열효율 향상을 위한 열교환망이 제시되었고, FGR 열교환기의 최적 운전 조건이 도출되었다."} {"id": "JAKO202109950460364",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64.pdf", "abstract_en": "To control hot spot in a plug flow reactor (PFR) is important for the yield and purity of products and safety. In this paper, coolant temperature is set as a state variable, and radial distributions of heat and mass are considered to model the PFR more realistic than without considering radial distributions. The model consists of three state variables, reactant concentration, reactant temperature, and the coolant temperature. The flow rate of the isothermal coolant is a manipulated variable. This paper shows that the controller considering the radial distributions of heat and mass i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ler without them. Assuming that u3,0 is 0.7, the suggested control equation was robust when St is bigger than 1.3, and Ac/A is smaller than 2.0. Under this condition, the hot spot temperature changed within the relative error of one percent when the temperature of input altered within the range of five percent.", "abstract": "Plug flow reactor (PFR) 내의 과열점(hot spot) 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생성물의 수득률 및 순도, 안전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더 현실에 가깝게 모델링 하기 위하여 PFR 내부의 냉각액 온도를 상태변수로 설정하고 방사 방향의 열 및 물질전달을 고려하였다. 모델은 반응물의 농도 및 온도와 냉각액의 온도 총 3개의 상태변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온 냉각액의 유량을 조작변수로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 방향의 열 및 물질전달을 고려한 제어식이 그렇지 않은 제어식보다 과열점의 온도를 set point 부근으로 더 효과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제어식은 냉각액의 온도가 반응물 온도의 약 0.7배 부근일 때 St가 1.3 이상이고 Ac/A가 2.0 이하인 조건에서 강건성을 유지하였다. 이 조건에서 반응기로 유입되는 반응물의 온도가 5% 범위에서 바뀔 때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제안식을 이용하면 과열점의 온도를 set point의 1% 이내로 유지할 수 있다."} {"id": "JAKO202109950460324",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24.pdf", "abstract_en": "Since the durability evaluation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PEMFC polymer membranes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PEMFC,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polymer membrane durability evaluation protocol (AST) continues. Recently, DOE's polymer membrane chemical/mechanical durability evaluation AST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Nafion XL for review. In order to shorten the evaluation time, oxygen was used as a cathode gas instead of air, and it was finished in 144 hours. Since DOE AST has a large number of voltage changes with 45 seconds of humidification and 30 seconds of drying, the degradation of the electrode has more influence on the MEA durability. Therefore, one cycle time was lengthened with 60sec of wet/300sec of dry, and the drying time was made longer than the humidification time to further deteriorate the polymer membrane, and it was finished in 240 hours. It was confirmed that the DOE AST for evalu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polymer membrane was accompanied by electrode degradation.", "abstract": "PEMFC 고분자막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내구성 평가는 PEMFC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므로 고분자막 내구성 평가 프로토콜(AST) 연구개발이 계속 되고 있다. 최근에 DOE의 고분자막 화학적/기계적 내구성 평가 AST가 개발되어 Nafion XL에 적용해 검토하였다. 평가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공기대신 산소를 Cathode 가스로 사용해 144시간만에 종료하였다. DOE AST가 가습 45초/건조 30초로 전압변화 횟수가 많아서 전극의 열화가 MEA 내구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가습 60초/건조 300초로 1사이클 시간을 길게하고 가습시간 대비 건조시간도 길게 하여 고분자막을 더 열화시키게 하였고, 240시간에 종료하였다. 고분자막 내구성 평가를 위한 DOE AST가 전극 열화도 동반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9950460389",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8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n ultrasound-assisted micellar extraction process was developed to efficiently purify the anticancer substance paclitaxel from the plant cell Taxus chinensis. The problem of many extraction steps and long phase separation time in the traditional micellar process could be dramatically improved. The highest paclitaxel yield (~96%, extracted twice) was obtained at 180 W of ultrasonic power and 1.5 h of ultrasonic irradiation time, which was 24.7%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method. In addition, the partition coefficient (K) showed a maximum value (24.0) at 180 W of ultrasonic power and 1.5 h of irradiation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rity of paclitaxel, and the purity of initial paclitaxel (6.81%) increased to 22.0% after purification.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 the phase separation time of the back extraction decreased by 40.7-56.2% (ultrasonic power 80 W), 46.3-67.6% (ultrasonic power 180 W), and 51.9-67.6% (ultrasonic power 250 W), respectively. The phase separation time decreased as the ultrasonic power (80-250 W) and irradiation time (0.5-2.5 h) increas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식물세포 Taxus chinensis로부터 항암물질 파클리탁셀을 효율적으로 정제하기 위하여, 초음파 기반 마이셀 추출 공정을 개발하였다. 전통적 마이셀 공정(대조군)에서의 많은 추출 단계 및 긴 상 분리 시간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초음파 파워 180 W, 초음파 조사 1.5 시간에서 가장 높은 파클리탁셀 수율(~96%, 2회 추출)을 얻었으며, 이는 대조군의 수율에 비해 24.7% 증가하였다. 또한 분배 계수(K)는 초음파 파워 180 W, 초음파 조사 1.5 시간에서 최대치(24.0)를 보였다. 파클리탁셀 순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초기 파클리탁셀의 순도(6.81%)가 정제 후 22%까지 증가하였다. 역 추출(back extraction)의 상 분리 시간은 대조군 대비 각각 40.7-56.2%(초음파 파워 80 W), 46.3-67.6%( 초음파 파워 180 W), 51.9-67.6%(초음파 파워 250 W) 감소하였다. 초음파 파워(80-250 W)와 초음파 조사 시간(0.5-2.5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 분리 시간이 감소하였다."} {"id": "JAKO202109950460334",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34.pdf", "abstract_en": "Silicon is a promising next-generation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y, and it has been studied for commercialization due to the high theoretical capacity. However, it has problems of the volume change during charge-discharge and the poor electrical conductivity. To solve these problems, formation of SiO2 and carbon coating on the surface of silicon crystal were performed to protect the side reaction and enhanc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silicon. CNT and CNF were also added to mitigate the volume change and increase the conductivity. Physical properties of asprepared samples were analyzed by XRD, SEM, and EDS.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EIS, CV and cycle performance test. (Si/SiO2/C)+CNT&CNF showe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low charge-transfer resistance, and the capacity was 1528 mAh/g at 1st cycle and 1055 mAh/g at 50th cycle with 83% capacity retention.", "abstract":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는 실리콘은 높은 이론용량을 가지고 있어 상용화를 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실리콘은 충방전시 부피팽창이 심하고, 전기전도도가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리콘 표면에 SiO2를 형성시키고, 탄소를 코팅함으로써 실리콘의 부반응을 억제시키고 전기전도도를 향상시켰다. 추가적으로 CNF와 CNT를 복합적으로 첨가하여 부피팽창에 대한 완충효과를 부여하고 전기전도도를 향상시켰다. 제조된 샘플은 XRD, SEM, EDS로 물리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기화학적 특성은 전기전도도, EIS, CV 그리고 사이클 테스트를 통해 분석하였다. (Si/SiO2/C)+CNT&CNF 복합체의 경우 다른 샘플들에 비하여 높은 전기전도도 및 낮은 전하전달저항을 보여주었으며, 사이클테스트 결과 첫 번째 사이클에서 1528 mAh/g 그리고 50번째 사이클에서 1055 mAh/g의 용량을 가졌으며 83%의 용량 유지율을 보여주었다."} {"id": "JAKO202109950460379",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79.pdf", "abstract_en": "It was found that mixing patterns suddenly changed at an impeller rotation speed in a dished bottom vessel with dual Rushton turbines. Two isolated mixing regions like doughnuts rings generated at a low rotational speed and three isolated mixing regions generated at a higher speed. This phenomenon was observed at the mixing condition in transition area, where the power number with baffle was the same as that without baffle. We found a phenomenon in which the flow state in a dish-bottom agitation tank equipped with a two-stage Rushton turbine blade changes at a certain rotational speed. In the laminar flow region, the isolated stable donut rings were formed even when the rotational speed was changed, and no specific variation in the mixing pattern was observed. In the transition region, the two isolated thick unmixed donut rings do not change even if the rotation speed is changed in the flat bottom vessel, whereas in the dished bottom vessel, when the rotation speed is 450 rpm, the two isolated thick unmixed donut rings are changed to three isolated thin donut rings and then improved mixing. In the dished bottom vessel, in the range of Re=138~178, the isolated ring-shaped unmixed region appeared in three places and the size was also large. But in the flat bottom vessel, the isolated thick ring-shaped unmixed region appeared in two places in Re=116~176 and the size was also small. It appeared in two places, and the size was also small. The condition in which this phenomenon is observed is a transition region, and it was found that when the baffle plate is attached, the power number starts to increase compared to when the baffle plate is not present. In addition, when the mixing Reynolds number exceeded 300 and a slight turbulence was mixed in the flow state, the disconnection of these flow pattern was resolved and the mixture was completely mixed.", "abstract": "2단 Rushton turbine 날개를 장착한 접시바닥형 교반조 내의 유동 상태가 어떤 회전수에서 변화하는 현상을 찾아냈다. 층류 영역에서는 회전수를 변화시켜도 안정적인 도넛 링이 형성되어 혼합 패턴에 특이한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전이영역에서의 평바닥형 교반조에서는 회전수에 변화를 주어도 두꺼운 2개의 미혼합 도넛 링에 변화가 없는 반면, 접시바닥형 교반조에서는 회전수가 450 rpm이 되면 두꺼운 2개의 미혼합 도넛 링이 아주 얇은 3개의 도넛 링으로 바뀌어 혼합이 개선되었다. 접시바닷형 교반조에서는 Re=138~178의 영역에서 링 모양의 미혼합 영역이 3곳에서 나타났고 그 크기도 컸지만, 평바닥형 교반조에서는 Re=116~176에서 링모양의 미혼합 영역은 2곳에서 나타났으며 그 크기도 작았다.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는 조건은 전이영역으로, 방해판을 부착하였을 때가 방해판이 없을 때와 비교하여 동력수가 커지기 시작하는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반 레이놀즈수가 300을 넘어 유동 상태에 약간의 난류가 섞이게 되면, 이 같은 흐름 양상의 단절이 해소되어 완전히 혼합되었다."} {"id": "JAKO202109950460319",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1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method of accelerated degradation of the electrode by simply using a electronic loader without using a potentiostat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de catalyst. To this end,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de was evaluated by repeating the stepwise voltage change using the self-generated voltage by introducing oxygen without introducing nitrogen into the cathode. For accurate electrode durability evaluation, that is, in order not to deteriorate the polymer membrane, the high voltage was lowered to 0.9 V in stepwise voltage change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100% to suppress degradation of the polymer membrane due to radicals. After 30,000 cycles (50 hours) of voltage change, the electrode active area decreased by 41.4%.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ctrode was deteriorated, but the polymer membrane was not deteriorated, that there was no increase in hydrogen permeability, no decrease in membrane thickness, and no increase in HFR(High Frequency Resistanc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극촉매 내구성 평가를 potentiostat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로더(Electronic loader)를 사용해 전극을 가속 열화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athode에 질소를 유입하지 않고 산소를 유입해 자체 발생 전압을 활용해서 계단식 전압변화를 반복해 전극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정확한 전극 내구평가를 위해 즉 고분자 막이 열화되지 않게 하기 위해 계단식 전압변화에서 고전압은 0.9 V로 낮게하고, 상대습도를 100%하여 라디칼에 의한 고분자 막 열화를 억제하고자 하였다. 전압변화 30,000 cycle (50시간) 만에 전극활성면적이 41.4% 감소했다. 전극은 열화되지만 고분자 막이 열화되지 않음을 수소투과도 증가가 없고 막 두께감소 없으면서 HFR (High Frequency Resistance) 증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id": "JAKO202109950460398",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98.pdf", "abstract_en": "The experiments to produce the vaterite type calcium carbonate were conducted for using the waste oyster shell as the recycling resources. Firstly, the oyster shell were calcinated at 800 ℃ for 24 h. Calcinated oyster shell were reacted with the nitric acid solution, and were diluted to 0.1 M Ca(NO3)2 solution. This solution was mixed with 0.1 M Na2CO3 contained 0.1 mol lysine/1 mol CaO at 20 ℃ and 600 rpm mixing condition for 1 h. The reaction products were identified to vaterite type calcium carbonate (84.5% vaterite, 15.5% calcite) by XRD and SEM analysis. Mean particle diameter was 6.87 ㎛, and the lysine content in calcium carbonate was analyzed to 0.1%.", "abstract": "폐기물로 대량 발생되는 굴껍질을 활용한 vaterite 형 탄산칼슘 제조 실험을 하였다. 굴껍질을 800 ℃의 온도에서 항량이 되도록 가열하여 산화칼슘이 주성분인 소성 굴껍질을 제조하였다. 이 굴껍질을 질산 용액에 녹여 0.1 M 질산칼슘 수용액을 만들고, 0.1 몰 라이신/1 몰 생석회가 첨가된 0.1 M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20 ℃, 600 rpm 교반 조건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켜 탄산칼슘을 제조하였다. XRD, SEM, Size 분석을 하고 vaterite 84.5%, calcite 15.5% 함유한 구형 탄산칼슘을 확인하였다. 평균 입경 범위는 6.87 ㎛ 이었고, 아미노산 분석에서 탄산칼슘 내의 라이신 함유량은 0.1%이었다."} {"id": "JAKO202109950460394",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94.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 method of self-assembly of peptides based on irreversible covalent bonds was studied by mimicking a biological covalent bond, dityrosine bond. A tyrosine-rich short peptide monomer having the sequence of Tyr-Tyr-Leu-Tyr-Tyr (YYLYY) was selected to achieve a high-density of dityrosine bond. The peptide nanoparticles covalently self-assembled with dityrosine bonds were synthesized by one-step photo-crosslinking of a peptide using a ruthenium catalyst under visible light.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for the size of the peptide nanoparticle was studied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UV-Vis spect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s a result, the synthesis conditions for size of the peptide nanoparticles ranging from 130 nm to 350 nm were optimiz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공유결합인 다이타이로신 결합을 모방하여 비가역적 공유결합을 기반으로 한 펩타이드의 자기조립 방법을 연구하였다. 고밀도의 다이타이로신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Tyr-Tyr-Leu-Tyr-Tyr (YYLYY) 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단량체를 선택하였다. 다이타이로신 결합으로 자기조립 된 펩타이드 나노입자는 가시광선 하에서 Ru(BPY)3Cl2 촉매를 사용하여 단일공정 광가교를 통해 합성되었다. 펩타이드 나노 입자의 크기에 대한 각 성분의 농도 효과는 동적 광산란, UV-Vis 분광법 및 투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130 nm~350 nm범위의 펩타이드 나노입자의 크기별 최적의 합성 조건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09950460384",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84.pdf", "abstract_en": "This paper proposes the polydimethylsiloxane (PDMS) blade coating method for fabrication of paper-based analytical device (PAD) that is able to monitor the disease diagnosis and progress without special analytical equipment. The mold that has PAD design is easily modified by using laser cutting technique. And the fabricated mold is used for hydrophobic barrier formation by blade coating. We have optimized the stable formation of PDMS hydrophobic barrier as blade coating condition, which is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PDMS hydrophobic barrier and change of hydrophilic channel size as thickness of the ink and contact time with the chromatography paper. Based on optimal condition, we demonstrate that PAD as biosensor can apply to detect protein, glucose, and metal ion without special analysis equipment.", "abstract": "본 연구는 적은 비용으로 분석 장치 없이 질병 진단 및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종이-기반 분석 장치(paper-based analytical device, PAD)를 제작하기 위해 polydimethylsiloxane (PDMS) 블레이드 코팅 방법을 제안하였다. PAD 디자인은 레이저 커팅 기술로 쉽게 몰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제작된 몰드로 블레이드 코팅을 수행하여 완전한 소수성 장벽 형성에 필요한 조건을 확립하였다. 코팅 조건인 잉크의 두께와 종이와의 접촉시간에 따라 PDMS 소수성 장벽의 구조와 친수성 채널의 크기 변화를 분석하여 안정적으로 소수성 장벽을 형성할 수 있는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최적화된 방법을 바탕으로 PAD를 제작하여 특별한 분석기기 없이 단백질, 당, 메탈이온을 검출하여 바이오센서에 응용가능함을 증명하였다."} {"id": "JAKO202109950460349",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49.pdf", "abstract_en": "The pretreatment of cellulosic biomass is essentially needed because it has more lignin compared with a starch biomass. Ethanol as an organosolv for pretreatment can easily separate some components which can inhibit enzymatic hydrolysis and be re-usuable by distillation. The flow-through process have some strength, separating components continuously, development for scale up. In this research, two-kinds (wheat straw, miscanthus) of biomass was pretreated for development of enzymatic hydrolysis by adoption of pretreatment process of corn stover.", "abstract":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는 전분질계 바이오매스에 비해 리그닌이 많아 전처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를 전처리하기 위한 용매인 에탄올은 효소당화(enzymatic hydrolysis)에 저해가 되는 물질을 분별하기 쉬우며, 증류를 과정을 통해 쉽게 재사용이 가능하다. 침출식 전처리 공정은 반응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성분을 분별하여 고-액 분리가 용이하며 향후 스케일업에서도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점들을 활용하여 대표 섬유소계 바이오매스인 옥수수대(corn stover)로 전처리를 진행하였으며 해당 공정을 밀대(wheat straw)와 거대억새(miscanthus)에 적용하여 추가적인 바이오매스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9950460359",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59.pdf", "abstract_en": "As hazardous chemicals are releasing in process industries such as chemical & petro-chemical plants, the importance of initial responses has been always emphasized. However, little atten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nsequence by different initial responses during releasing of the chemicals has been done. The main objective of current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itial responses for the release accidents of hydrofluoric acid. For this, a simplified equation that can easily calculate the effect distance by varying concentrations of hydrofluoric acid was firstly deduced. In addition, a causal loops for the initial response steps using the system dynamics technique was constructed during release of 50% hydrofluoric acid. The effect distances according to different scenarios of the initial actions were also quantitatively analyzed by applying the simplified equation to the causal map. As a result, the highest reduction rate on the maximum effect distance was obtained with 'start time of action after leak detection' being about 87% while the lowest was 'arrival time of professional response team' being about 50%, as expec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gained from the current study can be helpful as of basics of the initial response to the workplace, dealing with the hydrofluoric acid.", "abstract": "화학 및 석유화학 공장과 같은 공정산업에서 위험물질이 누출할 때 초기대응의 중요성은 항상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물질의 누출동안 단계별 초기대응에 따른 피해예측에 대한 정량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산 누출사고 동안에 초기대응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불산농도 범위에 따른 피해예측 영향거리를 산정할 수 있는 간이식을 우선 도출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초기 대응 단계의 인과지도를 작성하였고, 인과지도에 도출한 간이식을 적용하여 다양한 초기대응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예측 영향거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대피해영향거리와 비교할 때'누출발견 후 초기조치 시작시간'인 경우 최대 약 87%, '누출부위 차단조치'는 약 59%, '전문진압팀 도착시간'이후 조치는 약 50% 감소율을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불산 취급 사업장에서의 초기대응 지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7242351925",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242351925.pdf", "abstract_en": "Ground investigation and result analysis generally used to examine all sorts of structures' subsidence or stability can be classified into sandy soil and cohesive soil, and analysis on the liquid limit of soil is utilized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ground and types or technical behavior of soil. The most widely used method to analyze liquid limit is Casagrande with which liquid limit can be calculated relatively easily; however, it is fairly difficult to apply it to soil equipped with intermediate properties. Therefore, concerning the properties of soil having the intermediate properties of sedimentary ground, this researcher mixed the clay from Yangsan, Gwangyang, and Busan with sandy soil to make intermediate soil and then carried out the test of consistency limit and also evaluated applicability by using the suggested formula of consistency revision. The sample of intermediate soil was the mixture of clay and sandy soil, and to produce intermediate soil, the content (F ) of fine soil was applied as 50%, 75%, or 100%. Regar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ntermediate soil, to maintain the properties of clay in the natural state, bentonite was added at a fixed rate for controlling the properties of clay, and then, consistency was analyzed. By adopting the formula of consistency revision suggested in advanced research, this author analyzed consistency based on the experiment and consistency based on the suggested formula of revision. Also, about intermediate soil collected at the site, consistency based on the experiment and consistency based on the suggested formula of revision were analyzed comparatively, and about intermediate soil collected, this researcher analyzed particle size and calculated the content (F ) of fine soil to analyze intermediate soil in diverse conditions. Moreover, about intermediate soil collected at the site, the suggested formula of consistency revision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compression index, and the compression index based on the experiment and the compression index based on the suggested formula were analyzed comparativel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formula.", "abstract": "일반적으로 각종 구조물 등의 침하 또는 안정성 검토 등에 사용하는 지반조사 및 결과분석은 사질토와 점성토에 따라 다르며, 세립토의 경우 주로 흙의 컨시스턴시를 이용하여 지반의 물리적 특성과 흙 분류, 공학적 거동을 평가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액성한계를 분석하는 방법은 Casagrande로 비교적 간단하게 액성한계를 구할 수 있으나 사질토를 함유한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 흙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의 액·소성한계를 가지고 압축지수를 추정할 때 세립분 함유율에 따라 액성한계치를 수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질토를 함유한 중간토의 특성을 고려하여 양산, 광양, 부산지역의 점토와 사질토를 혼합한 중간토를 제작하여 컨시스턴시 한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컨시스턴시 보정 제안식을 활용하여 적용성 평가를 하였다. 중간토는 점토와 사질토의 혼합시료로써 중간토 제작을 위해 세립토 함유율(F )을 50%, 75%, 100%를 적용하였다. 중간토는 자연 상태의 점토 특성을 재현하기 위해 벤토나이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시료를 성형 한 다음 물리적 특성 시험 및 컨시스턴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컨시스턴시 보정식과 실험에 의한 컨시스턴시 결과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의 컨시스턴시와 보정 제안식에 의해 수정된 컨시스턴시를 비교·분석하고, 보정된 컨시스턴시 값을 적용하여 사질토가 함유된 중간토의 압축지수 등 공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제안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id": "JAKO202117242350924",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242350924.pdf", "abstract_en": "One of the construction methods applied as a pier foundation type is a single type cast-in-place pile. In applying a pile bent system as a foundation type, the main concern in designing can be said to secure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of pile structure in system. In addition,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ile structure, a method of increasing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by reinforcing the pile structure with a casing has been used. However, although the reinforcing effect and appropriate reinforcing length of cas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soil conditions, there is insufficient studies on this, and for this reason, the entire pile structure in a pile bent system is reinforced with a casing, in the field. In addition, if the length of the entire pile is reinforced with a casing, it may lead to delays in construction and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That i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reinforce the pile structure with a casing,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ateral b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reinforced pile structure in system. And it should be determined the appropriate reinforcing length of the casing from the evaluated bearing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ateral bearing characteristics of piles applied with the reinforcing length of casing for each condition were evaluated through a numerical analysis.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appropriate reinforcing length of casing wa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increase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of pile structure, the reinforcing length of casing should be applied twice the influence range of the bending behavior of the pile, 1/β.", "abstract": "교각기초 형식으로 적용되는 기초공법 중 하나는 단일형 현장타설말뚝이다. 이 말뚝에 대한 설계 시 주된 관심사항은 말뚝체에 작용하는 수평지지력 확보 여부이다. 현재 말뚝체의 강성증가를 위해 외부강관으로 말뚝체를 보강하여 말뚝의 수평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반조건에 따라 외부강관의 보강효과와 적정 강관보강 길이가 달라질 수 있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현장에서는 대부분 말뚝체 전체를 외부강관으로 보강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 내의 전체 말뚝길이를 외부강관으로 보강할 경우 공사 지연과 공사비의 증가로도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효과적으로 외부강관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강관으로 보강된 말뚝체를 대상으로 말뚝의 수평지지특성을 평가하여 강관의 적정한 보강길이를 결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방법을 통해 각 조건별 외부강관의 보강길이를 적용한 단일형 현장타설말뚝의 말뚝체에 대한 지지특성을 평가하고, 이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외부강관의 적정 보강길이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 단일형 현장타설말뚝의 말뚝체에 대한 수평지지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강관의 보강길이가 말뚝의 휨거동 영향범위인 1/β의 2배를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3759911230",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230.pdf", "abstract_en": "As the attachable-type wearable devices have received considerable interest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electrode materials of fabric or textiles type is emerging.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electrochemical property of CNT fibers electrode as a flexible electrode material and its non-enzymatic glucose sensing performance. Surface morphology of CNT fibers was observed by SEM. And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cyclic voltammetr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chronoamperometry. The CNT fibers based sensor exhibited improved sensing performances such as high sensitivity, a wide linear range, and low detection limit due to improv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such as low capacitive current, good electrochemical activity by efficient direct electron transfer between the redox species and the electrode interfac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flexible electrode materials based on CNT fibers.", "abstract": "부착형(attachable)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을 위한 패브릭(fabric)이나 텍스처(textiles) 타입의 고성능 전극 소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연 전극 소재로 탄소나노튜브 섬유(CNT fibers)를 응용하고자, CNT fibers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이를 적용한 비효소적 글루코스 센싱 성능을 확인하였다. CNT fibers의 표면 구조는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전기화학적 특성 및 센싱 성능 분석은 시간대전류법와 순환전압 전류법,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CNT fibers 전극은 낮은 capacitive current와 산화-환원 화학종과 전극 계면 간의 효율적인 direct electron transfer에 의한 우수한 electrochemical activity 등 향상된 전기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높은 감도와 넓은 선형 농도 범위, 그리고 낮은 검출 한계 등 우수한 센싱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CNT fibers 기반의 고성능 유연 전극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759911246",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246.pdf", "abstract_en": "The toxics regulatory body provides a benefit/cost ratio as a justification criterion while implementing regulations that induce the industry to reduce emissions voluntarily. Furthermore, since, the body wants to reflect not only the efficiency standard but also the policy standard in the evaluation of feasibility, it calculates the ratio by adjusting the importance weights. The problem is that respondents answer ambiguously. It should be removed for the reasonable evaluation. This study introduced a fuzzy-AHP methodology for this, and applied it to the voluntary emission reduction plan program in Korea.", "abstract": "규제당국은 유해 물질 배출을 저감 하는 규제를 시행하면서, 규제 이행에 따른 다양한 활동의 편익/비용 비율로 그 타당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비율 산정과정에서 규제 관련 속성의 중요도 가중치를 반영한다. 그런데, 전문가들은 가중치 설문 응답에서 애매함을 보이고 있으며, 정확한 의사 결정을 위해서는 이를 제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퍼지-계층화 방법론을 이용하여 타당성여부를 적용하고, 이를 2019년 11월 시행된 우리나라의 '배출 저감 계획'규제 타당성 평가에 적용하였다."} {"id": "JAKO202113759911304",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304.pdf", "abstract_en": "The oxygen transfer rate at the liquid surface of the reciprocally shaking vessel was studied. The required power of the reciprocally shaking vessel was not proportional to the shaking frequency, unlike the rotational shaking vessel, and the liquid level suddenly fluctuated greatly at a certain frequency as the flow pattern in the vessel was a left and right wave flow different from that of the rotational shaking that has a rotational flow. The effect of the shaking frequency on the required power in the reciprocally shaking vessel was very complex, such as less power required than the rotational shaking vessel when the shaking frequency is more than 3 s-1, but the required power for the range of the generated rotational flow in the reciprocally shaking vessel could be correlated with the equation that was reported for the rotational shaking vessel. The kLa (mass transfer capacity coefficient) in the reciprocally shaking vessel also increased in a complex pattern because the required power for shaking was not consumed in a simple pattern, unlike kLa in the rotational shaking vessel, which increases linearly with increasing frequency. The kLa of the reciprocally shaking vessel was larger than the kLa of the rotational shaking vessel, and as the kLa value increa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creased sharply. As a result, the oxygen transfer rate in the reciprocal mo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rotational motion, and could be correlated with the required power per unit volume.", "abstract": "왕복 요동 교반조의 액체 표면에서의 산소 전달 속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왕복 요동 교반조의 소요 동력은 선회요동 교반조와는 달리 요동 주파수에 비례하지 않았으며, 교반조 내의 유동양상이 선회요동의 선회류와는 다른 좌우 물결류인 관계로 어떤 진동수에서 갑자기 액면이 크게 흔들리며 움직이는 양상을 보이며. 3 s-1 이상의 요동 주파수부터는 소요 동력이 선회요동 교반조보다 적어지는 등 요동 주파수가 소요 동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복잡하였지만, 생성되는 회전류의 범위에서의 왕복 요동 교반조 소요 동력은 회전 요동 교반조에 대해 보고된 식으로 상관시킬 수 있었다. 왕복요동 교반조에서의 kLa (물질이동 용량계수) 역시 교반 소요 동력이 단순한 형태로 소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파수의 증가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는 선회요동 교반조의 kLa와는 달리 복잡한 형태로 증가하였다. 왕복요동 교반의 kLa가 선회요동 교반의 kLa 보다 컸으며, kLa 값이 커질수록 그 차이도 급격히 커졌다. 결과적으로 왕복 요동에서의 산소 전달 속도는 회전 요동보다 컸으며, 단위 부피당 소요 동력과 상관시킬 수 있었다."} {"id": "JAKO202113759911242",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242.pdf", "abstract_en":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he US-Korea missile guidelines, restrictions on the use of solid propellants for space launch vehicles have been completely lifted. The solid propellant can be used as a solid propellant rocket like the KSR-1 (Korea Sounding Rocket-1), and can also be used as a thrust augmentation booster for liquid fuel launch vehicles. It is known that solid propellants have a lower risk of explosion than liquid propellants. but if an accident such as an explosion at the Alcantara Launch Center in Brazil occurs, it can lead to a large-scale personal accident. In order to prevent such large-scale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reflect the minimum safety distance during use, storage and combustion test of solid propellants from the planning phase of the project. In this paper, the minimum safety distance for safe use of the solid propellant i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storage facilities and combustion tests.", "abstract":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으로 우주발사체에 대한 고체추진제 사용 제한이 완전히 해제 됐다. 고체추진제는 1단형 과학로켓 KSR-1과 같이 고체추진제 로켓으로 활용 가능하고, 액체연료 발사체의 추력증강 부스터로도 활용 가능하다. 고체추진제는 액체추진제에 비하여 폭발 위험성이 낮은 장점이 있지만 브라질 알칸타라 발사장 폭발사고와 같이 사고가 일어나면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인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체추진제의 저장 및 시험 시 최소한의 안전거리에 대한 검토가 사업의 기획단계 부터 검토되고 반영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발사체 고체추진제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거리를 저장시설과 시험 시로 구분하여 산정 기준 및 사례를 제시하였다."} {"id": "JAKO202113759911258",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258.pdf", "abstract_en": "First principle-based modeling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ORV and optimize operation, but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ORV is an irregular system according to time and location, and it undergoes a complex modeling process. In this study, FNN, LSTM, and AutoML-based modeling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data-based modeling for complex systems. The prediction accuracy indicated high performance in the order of LSTM > AutoML > FNN in MSE. The performance of AutoML, an automatic design method for machine learning models, was superior to developed FNN, and the total time required for model development was 1/15 compared to LSTM, showing the possibility of using AutoML. The prediction of NG and seawater discharged temperatures using LSTM and AutoML showed an error of less than 0.5K. Using the predictive model, real-time optimization of the amount of LNG vaporized that can be processed using ORV in winter is performed, confirming that up to 23.5% of LNG can be additionally processed, and an ORV optimal operation guideline based on the developed dynamic prediction model was presented.", "abstract": "ORV의 열교환 효율 향상 및 운전 최적화를 위한, first principle 기반 모델링 연구들이 수행되어왔지만, ORV의 열 전달 계수는 시간, 위치에 따라 불규칙한 시스템으로, 복잡한 모델링 과정을 거친다. 본 연구는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기반 모델링의 실효성을 확인하고자, LNG 재기화 공정의 실제 운전데이터를 이용해, ORV의 해수 유량, 해수온도, LNG 유량 변화에 따른 토출 NG 온도 및 토출 해수 온도의 동적 변화 예측이 가능한, FNN, LSTM 및 AutoML 기반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예측 정확도는 MSE 기준 LSTM > AutoML > FNN 순으로 좋은 성능을 보였다. 기계학습 모델의 자동설계 방법인 AutoML의 성능은 개발된 FNN보다 뛰어났으며, 모델 개발 전체소요시간은 복잡한 모델인 LSTM 대비 1/15로 크게 차이를 보여 AutoML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LSTM과 AutoML을 이용한 토출 NG 및 토출 해수 온도의 예측은 0.5 K 미만의 오차를 보였다. 예측모델을 활용해, 겨울철 ORV를 이용해 처리 가능한 LNG 기화량의 실시간 최적화를 수행하여, 기존 대비 최대 23.5%의 LNG를 추가 처리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개발된 동적 예측모델 기반의 ORV 최적 운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3759911300",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300.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ordered mesoporous silica-supported Ni catalysts were prepared for catalytic partial oxidation of methane (CPOM) by using electroless nickel plating method. Unlike conventionally impregnated catalysts, the electrolessly-plated nickel catalyst showed that nickel was highly dispersed and formed stably on silica-supported surface. It was verified by TEM-EDS analysis. During the activity tests, the electrolessly-plated nickel was barely sintered and the amount of carbon deposition was very small. Consequently, the catalyst was far less deactivated, while the sintering was significantly observed in the cases of the catalysts prepared by the conventional impregnation method. Regarding the palladium-promoted catalysts, the reducibility of nickel was increased, and the reaction performances were enhanced in terms of CH4 conversion and H2/CO ratio of produced syngas.", "abstract": "메탄의 부분 산화반응을 위해 규칙적인 메조기공을 갖는 실리카를 지지체로 한 니켈 촉매를 제조하였다. 니켈 플레이팅(Nickel plating) 방법을 이용하여 촉매 제조 시 기존 함침 촉매 제조법과 달리 니켈이 실리카 표면에 도포된다. 이때 니켈이 고분산 되어 안정적인 니켈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니켈 플레이팅 촉매의 경우, TEM-EDS 분석에서 니켈이 매우 고분산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고분산된 촉매로 메탄 부분산화 반응 시 기존 함침촉매와는 달리 니켈의 소결과 탄소침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촉매의 비활성화가 매우 낮았다. 팔라듐은 환원 조촉매로서의 역할을 하여, 메탄 전환율과 생성된 합성가스의 H2/CO 비 관점에서 우수한 반응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3759911254",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254.pdf", "abstract_en": "Compare to the gaseous hydrogen, liquid hydrogen has various advantages: easy to transport, high energy density, and low risk of explosion. However, the hydrogen liquefaction process is highly energy intensive because it requires lots of energy for refrig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ld energy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is wasted during the regasification. It means there ar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hydrogen liquefaction process by recovering wasted LNG cold energy. In addition, hydrogen production by natural gas reforming is one of the most economical ways, thus LNG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hydrogen production. In this study, a novel hydrogen production and liquefaction process is proposed by using LNG as a raw material as well as a cold source. To develop this process, the hydrogen liquefaction process using hydrocarbon mixed refrigerant and the helium-neon refrigerant is selected as a base case design. The proposed design is developed by applying LNG as a cold source for the hydrogen precool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rocess is analyzed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and exergy efficiency, and it is compared with the base case design. As the result, the proposed design shows 17.9% of energy reduction and 11.2% of exergy efficiency improvement compare to the base case design.", "abstract": "액체 상태의 수소는 기체 상태의 수소에 비해 수송이 용이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폭발 위험성이 낮다. 하지만 수소 액화 공정은 냉각 사이클에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반면에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는 재기화 과정에서 다량의 냉열이 버려진다. 따라서 LNG 냉열을 회수하여 수소 냉각에 활용한다면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천연가스 개질을 통한 수소 생산은 가장 경제성 있는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LNG를 수소 생산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NG를 원료 및 냉열원으로 사용하여 수소를 생산 및 액화시키는 공정을 개발하고 열역학적 관점에서 공정을 평가하였다. 공정 개발을 위해 기존의 탄화 수소 혼합 냉매와 헬륨-네온 냉매를 이용한 수소 액화 공정을 비교 공정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LNG를 원료 및 수소 예냉의 냉열원으로 사용하는 새로운 공정을 설계하여 에너지 소모량 및 엑서지 효율 측면에서 기존 공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된 공정은 기존 공정 대비 약 17.9%의 에너지 절감 및 11.2%의 엑서지 효율이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id": "JAKO202113759911234",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234.pdf", "abstract_en": "Anti-glare (AG) coating films are applied to various display field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ED lighting, and touch panels. In this study, micrometer-sized silica particles were added as fillers in the UV-curable coating solutions to provide anti-glare effect. During this process, the effects of the particle size, content, stirring time, and mixing ratio of silica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were investigated on the haze values and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the coating films. As a result, as th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increased and the content of the silica particles increased, the haze values increased, but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stirring tim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aze value and transmittance of coating films. In addition, as the mixing ratio of large-sized silica particles increased, the haze value increased, but on the contrary,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decreased.", "abstract": "눈부심 방지(Anti-glare, AG) 코팅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LED 조명, 터치 패널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V 경화형 코팅 용액 내에 충전제로써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첨가하여 눈부심 방지 효과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 중 실리카 입자의 크기, 함유량, 교반 시간, 다른 크기의 실리카 입자의 혼합 비율이 코팅 도막의 haze 값과 가시광선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리카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또한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haze 값은 증가하나, 가시광선 투과도는 감소하였다. 반면 교반 시간은 haze 값과 투과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큰 크기의 실리카의 혼합 비율이 증가할수록 haze 값은 증가하나, 이와 반대로 가시광선 투과도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3759911266",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266.pdf", "abstract_en": "Sesame seed oil cakes are classified as the animal or plant origin among the flammable liquids, and the fire occurs due to the spontaneous igni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heat during the storage of residues after the extraction of sesame oil. In order to elucidate the cause of the spontaneous ignition of sesame seed oil cakes, the thickness (3 cm, 5 cm, 7 cm and 14 cm) of the sample container was varied, and the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was measured depending on the storage volume. Thus, the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was measured to be 180 ℃ at the thickness of 3 cm, 160 ℃ at 5 cm, 145 ℃ at 7 cm and 130 ℃ at 14 cm. As the thickness of the sample container increased, the critical ignition temperature decreased, and the induction time to spontaneous ignition and the time to reach the maximum temperature became longer. Furthermore,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by the critical ignition temperature, which is the average temperature of ignition and non-ignition, was 97.10 [kJ/mol]. With these data, ignition characteristics of sesame seed oil cakes were determined.", "abstract": "참깻묵은 4류 위험물 중 동식물류로서 기름을 추출하고 생성된 찌꺼기를 보관하는 중에 열이 축적되어 자연발화의 원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고 있다. 참깻묵의 자연발화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료용기의 두께(3 cm, 5 cm, 7 cm 및 14 cm)를 변화시켜 저장량에 따른 자연발화온도를 구한 결과 3 cm의 경우 180 ℃, 5 cm의 경우160 ℃, 7 cm의 경우 145 ℃, 14 cm의 경우 130 ℃를 구하였다. 시료용기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발화한계온도는 낮아졌으며, 발화지연시간 및 최고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졌다. 또한 발화와 비발화의 평균온도인 발화한계온도에 의한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는 97.10 [kJ/mol]로서 참깻묵의 발화특성을 파악하였다."} {"id": "JAKO202113759911250",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250.pdf", "abstract_en": "A distillation column, which is a main facility of the chemical process, separates the desired product from a mixture by using the difference of boiling points. The distillation process requires the optimization and the prediction of operation because it consumes much energy. The target process of this study is difficult to operate efficiently because the composition of feed flow is not steady according to the supplier. To deal with this problem, we could develop a data-driven model to predict operating conditions. However, data preprocessing is essential to improve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model because the raw data contains outlier and noise. In this study, after optimizing the predictive model based long-short term memory (LSTM) and Random forest (RF), we used a low-pass filter and one-class support vector machine for data preprocessing and compared predictiv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range of the preprocessing.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ve model and the effect of the preprocessing is compared by using R2 and RMSE. In the case of LSTM, R2 increased from 0.791 to 0.977 by 23.5%, and RMSE decreased from 0.132 to 0.029 by 78.0%. In the case of RF, R2 increased from 0.767 to 0.938 by 22.3%, and RMSE decreased from 0.140 to 0.050 by 64.3%.", "abstract": "화학 공정의 주요 설비 중 하나인 증류탑은 물질들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혼합물에서 원하는 생산물을 분리하는 설비이며 증류 공정은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기 때문에 최적화 및 운전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 공정은 공급처에 따라 원료의 조성이 일정하지 않아 정상 상태로 운전이 어려워 효율적인 운전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운전 조건을 예측 할 수 있다. 하지만 미가공 공정 데이터에는 이상치 및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어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 전처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 신경망 모델인 Long short-term memory (LSTM)과 Random forest (RF)를 사용하여 모델을 최적화한 후, 데이터 전처리 방법으로 Low-pass filter와 One-class 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처리 방법 및 범위에 따른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각 모델의 예측 성능과 데이터 전처리의 영향은 R2과 RMSE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처리를 통해 LSTM의 경우 R2은 0.791에서 0.977으로 RMSE는 0.132에서 0.029로 각각 23.5%, 78.0% 향상되었고, RF의 경우 R2은 0.767에서 0.938으로 RMSE는 0.140에서 0.050으로 각각 22.3%, 64.3% 향상되었다."} {"id": "JAKO202112461862692",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692.pdf", "abstract_en": "Powder type sericite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in the area of chemistry and mineralogy in terms of waste recycling. It is a material that can be obtained relatively inexpensively with a low thermal conductivity like general mica, so in order to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ortar, powder type sericite was used in this work. Compressive strengths of mortar before and after high temperature exposure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o determine the fire resistance of mortar with powder type sericit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when powder type sericite was replaced with cement, but the de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powder type sericite was insignificant. When powder type sericite was incorporated, the thermal conductivity decreased, and the residual strengths of the mortar specimens which were heat treated at 600℃, 900℃, and 1,200℃ were higher than that of plain mortar. From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owder type sericite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refractory material for cement composites.", "abstract": "분말형 견운모는 폐기물 재활용 차원에서 화학, 광물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비교적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이며, 일반 운모와 마찬가지로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말형 견운모를 활용하여 모르타르의 열전도율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시멘트 복합체용 내화재료로서와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작하고, 이의 열전도율 및 고온 노출 전후의 압축강도를 비교 평가하여 내화성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하는 경우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입량 증가에 따른 압축강도의 감소는 미미하였다.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하면, 열전도율이 감소하며, 600℃, 900℃, 1,200℃에 소성된 모르타르 시험체의 잔존강도가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볼 때, 분말형 견운모는 시멘트 복합체용 내화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존재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id": "JAKO202112461862688",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688.pdf", "abstract_en": "The cement clinker, the main raw material of cement, is manufactured using limestone as the main material. Depending on the quality of limestone, the use of subsidiary materials changes,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roduction of cement clinker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aO content of limestone, a cement clinker material, on Raw Mill grinding and sintering of cement clinker was investigated. The grinding time of the union materials changed in the content of limestone CaO was measured to identify the grinding properties. The raw material combination was cleaned within a range of 1,350-1,500℃. The sintering performance of cement clinker by Burnability index calculation was identified. The lower the grade of limestone, the lower the grinding quality of the raw material combination. The lower the CaO content of limestone, the greater the variation in F-CaO for sintering temperature. The lower the class of limestone, the higher B. I. value was calculated, indicating the lower cement clinker sintering. In addition, the mineral analysis results of cement clinker showed that if the F-CaO value was low due to the increase in sintering temperature, the Belite content decreased and the Alite content increased. In the case of Alite, the ratio of R-type decreased and that of M-type increased as the content of limestone CaO increased.", "abstract": "시멘트의 주 원료인 시멘트 클링커는 주원료로서 석회석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석회석의 품위에 따라 부원료의 사용이 변화되고, 시멘트 클링커의 생산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클링커 원료인 석회석의 CaO 함량의 변화가 Raw Mill 분쇄성과 시멘트 클링커의 소성성에 미치는 영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석회석 CaO 함량을 변화시킨 조합원료의 분쇄시간 측정으로 분쇄성을 비교 검토하였고, 분쇄된 조합원료를 1350~1500℃의 범위에서 소성하여 소성성 지수 계산에 의한 시멘트 클링커의 소성성을 파악하였다. 석회석의 품위가 낮을수록 조합원료의 분쇄성은 저하하였고, 석회석의 CaO 함량이 낮을수록 소성온도에 따른 F-CaO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그에 따라 높은 B.I. 값이 계산되어, 낮은 시멘트 클링커 소성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시멘트 클링커의 광물분석 결과에서는 소성온도의 증가로 F-CaO 값이 저하하는 경우, Belite 함량의 감소와 그에 따른 Alite 함량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Alite의 경우 석회석 CaO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R형의 비율은 감소하고 M형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id": "JAKO202112461862684",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684.pdf", "abstract_en": "In modern society, indoor activities time is increasing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Interest in indoor air quality is increasing as indoor activity time increases. The main causes of indoor air pollution are formaldehyde which a chemical cause, and fungi which a biological cause. Phytoncide effectively reduces Formaldehyde and Fungi. Charcoal which possess porous-structure has a good absorbance of pollutants. In this study, the authors manufactured functional cement matrix using by phytoncide and charcoal to remove formaldehyde and fungi. In this study, Functional cement matrix reduced formaldehyde and Fungi and effectively improve indoor air quality.", "abstract": "현대인들은 지속적인 산업 발전으로 인해 실내 활동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실내 활동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또한 높아지고 있지만 현대 건축물들은 기능성을 위해 폐쇄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은 화학적 원인인 포름알데히드와 생물학적 원인인 곰팡이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연물질을 통한 실내 공기질 개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천연물질인 피톤치드는 포름알데히드와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숯은 오염물질에 대한 높은 흡수율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기질 오염의 주된 원인인 포름알데히드와 곰팡이를 제거하기 위해 피톤치드와 숯을 혼입하여 기능성 시멘트 경화체를 제작하고 이를 통한 실내 공기질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피톤치드와 숯을 혼입한 기능성 시멘트 경화체는 포름알데히드와 곰팡이를 저감시키고 실내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12461862679",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679.pdf", "abstract_en":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modified-stoichiometric model for describing hydration of sodium silicate-based alkaliactivated slag(AAS), and compares the results with the thermodynamic modelling-based calculations.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Chen and Brouwers(2007a) model with updated database as reported in recent studies. In addition, the calculated results for AAS are compared to those for hydrated portland cement. The maximum difference between the proposed model and the thermodynamic calculation for AAS was at most 20%, and the effects of water-to-binder ratio and activator dosages were identically described by both approaches. In particular, the amount of non-evaporable water was within 10% difference, and was in excellent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Nevertheless, notable deviation was observed for the chemical shrinkage, which is largely dependent on the volume of hydrates and por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AAM 중 하나인 규산나트륨 적용 AAS의 수화물 구성에 대한 화학양론 모델을 개발하고, 이 결과를 열역학적 모델 결과와 비교하였다. 기본적으로 Chen and Brouwers(2007a)의 모델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일부 수화물에 대한 최신의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해 일부 개선하였다. 계산된 AAS에 대한 결과는 또한 OPC의 그것과도 비교되었다. AAS의 화학양론 모델 기반 수화물의 부피 구성비는 열역학적 모델 결과에 비해 약 최대 20% 이내에서의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w/b 및 활성화제량에 의한 변화량의 추이 역시 열역학적 모델의 결과의 그것과 거의 동일하였다. 특히 고정수량과 공극비는 두 가지 모델에 의한 계산 결과가 약 10% 이내의 차이로 근접하였다. 특히 고정수량의 결과는 실험값과도 거의 동일하였다. 그러나 수화물 및 기타 공극 등 각 상들의 부피에 의해 민감하게 결정되는 값인 화학수축의 경우 열역학적 모델에 비해 화학양론적 모델의 계산결과는 실험결과와 차이가 컸다."} {"id": "JAKO202112461862731",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731.pdf", "abstract_en": "In order to replace mineral aggregate used as road pavement materials with steel slag aggregate, this present study evaluated mechanical properties of SMA Concrete mixtures using steel slag aggregate as oxidized slag from electric furnace in iron works. The variables of this experiment are the aggregate type of mineral and steel slag and the sieve sized of 10mm and 13mm. The physical properties inclu ding the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rate etc. of the slag aggregate mixtu res satisfied the KS standard as asphalt mixtu re. As a resu lt of evalu 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sphalt mixtures, the optimum asphalt content of the slag aggregate mixture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mineral aggregate mixtures, but other quality standards were all satisfied. In the deformation strength evaluation, the slag aggregate mixtures were measu re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mineral aggregate mixtu res, and the dynamic stability test satisfied the 2,000pass/mm standard value in all specimens. And, the moduli of resilient of the slag aggregate mixtures showed an improved value compared with the mineral aggregate mixtures. Therefore, as the resilient rate of the slag aggregate mixtures improved, it is speculated that there will be an effect of improving publ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peated traffic load of the vehicl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제철소에서 발생되는 전기로 산화슬래그로써 제철 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SMA 혼합물에 대한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변수는 일반골재와 제철 슬래그 골재 10mm 및 13mm이다. 슬래그 골재의 기본 물성과 품질(비중, 흡수율등)은 KS기준을 만족하였다.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물의 역학적 실험을 수행한 결과, 슬래그 골재 혼합물은 최적아스팔트 함량이 일반 골재 혼합물 대비 낮게 도출되었으나 다른 품질 기준은 모두 만족하였다. 제철 슬래그 골재 혼합물이 일반 골재 혼합물 대비 다소 높은 값으로 측정되었고, 모든 시편에서 동적안정도 시험은 2,000pass/mm 기준을 만족하였다. 또한, 제철 슬래그 골재 혼합물의 회복탄성계수는 일반 골재를 사용한 혼합물에 비해 개선된 값을 나타내었다. 이에, 하중 재하 이후 회복하는 속도가 향상되어 차량의 반복적 통행하중에 따른 공용성능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2461862727",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72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iability index of a design by applying the reduction factor of the recently developed fiber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design guideline(draft). By collecting material and member test data perform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guideline(draft),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 strength and member strength analysis equations are obtained. A simul ation that appl ies the material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ember anal ysis equation of the design guidel ine(draft) is performed, and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 strength are calculated by combin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equation.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load combination of the domestic highway bridge design code and concrete structural cod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 that applies the reduction factor for materials and members suggested in the design guideline(draft) satisfies the target reliability index.",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섬유보강 고강도 콘크리트 설계지침(안)의 저감계수를 적용하여 확보하는 설계의 신뢰도지수를 분석하는 것이다. 설계지침(안) 개발을 위하여 수행된 재료실험 및 부재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료강도 통계특성 및 부재강도 해석식에 대한 통계특성을 구한다. 재료통계특성과 설계지침(안)의 부재 해석식을 적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해석식의 통계특성과 종합하여 단면강도에 대한 통계특성을 산출한다. 국내 도로교설계기준과 콘크리트구조기준의 하중조합을 적용한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설계지침(안)에서 제시한 재료 및 부재에 대한 저감계수를 적용한 설계는 목표신뢰도 지수를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2461862723",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723.pdf", "abstract_en": "CaO-based by-products composed of CaO, SO3, Al2O3, etc. are generally used as raw materials for CaO compounds. When applied to the recovered water of ready-mixed concrete, the hydration reaction of the powder material is accelerated and concret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n this study, activated sludge was prepared to apply to the recovered water of ready-mixed concrete by mixing CaO-based hot-rolled slag(C12A7) in the recycling water of ready-m ixed concrete. Cem ent paste setting time and mortar compressive strength performance tests confirmed the effect on the hydration reaction.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oncrete application using activated sludge was confirmed.", "abstract": "CaO 화합물의 원료로는 일반적으로 CaO, SO3, Al2O3 등으로 구성된 CaO 기반인 산업부산물이 있다. 이러한 CaO 계 산업부산물을 레미콘의 회수수에 적용할 경우 시멘트, 플라이애시, 슬래그미분말 등의 콘크리트 분말 원료의 수화 반응이 가속화되어 콘크리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의 회수수에 C12A7을 함유한 열연 슬래그를 혼입하여 레미콘의 회수수에 적용할 수 있는 활성슬러지를 제조하였으며, 시멘트 페이스트 응결시간 및 모르타르 압축강도 성능 테스트를 통해 수화반응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id": "JAKO202112461862720",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720.pdf", "abstract_en": "Aggregate waste separator with rotating separating net was designed for applying classification process of construction waste.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ggregate waste separator, according to the type of waste, standardized waste samples are prepared using acrylic. The appropriate operating point was evaluated by the classification efficiency and misclassification rate of recycled aggregate according to the control frequency of the blower operating and inlet position of the separating net. The classification efficiency at the operating point of the aggregate waste separator was evaluated through flow analysis assuming recycled aggregate and waste sample as particles.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tes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yor belt and the inlet was 0.2m, the classification efficiency was 95%, but the misclassification rate of recycled aggregate was 2% or more, which satisfies the classification efficiency and the misclassification rate of less than 2%. The operating point was shown at a control frequency of 58Hz at a suction distance of 0.254m. As a resu lt of flow analysis, there was no misclassification of recycled aggregate. In order to redu ce constru ction waste in the existing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adsorption system using a rotating separating net that can be operated as an installation type was built.", "abstract": "건설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순환골재의 분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순환골재 출하 전에 회수하기 위하여 회전분리망 흡착 선별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선별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순환골재에서 자체적으로 회수한 이물질 종류에 따라, 아크릴을 사용하여 규격화된 이물질 샘플을 제작하고, 선별기에서 작동하는 흡입팬의 제어주파수 및 분리망의 흡입구 위치에 따른 선별효율과 순환골재의 오분류율을 평가하여 적절한 운전점을 평가하였다. 순환골재 및 이물질을 입자로 가정한 유동해석을 통해 예측된 선별기의 운전점에서의 분류효율을 평가하였다. 성능 시험 결과 컨베이어 밸트와 흡입구의 거리가 0.2m일 때 95%의 선별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순환골재의 오분류율이 2% 이상으로 선별효율과 2% 이하의 오분류율을 만족하는 운전점은 흡입구 거리 0.254m에서 제어주파수 58Hz으로 나타났다. 유동해석 결과 이물질 선별기에서 순환골재의 오분류는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 순환골재 생산공정에서 이물질 저감을 위해 설치식으로 운용이 가능한 회전분리망을 이용한 풍력 선별시스템을 구축하였다."} {"id": "JAKO202112461862715",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715.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cement quality(chemical composition, mineral composition, and compressive strength) and amount of waste alternative fuels used in the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and was investigated. Cement manufacturing facility using coal, soft plastics(plastics that are easily scattered by wind power, such as vinyls), hard plastics(plastics that do not contain foreign substances, waste rubber, PP, etc.) and reclaimed oil was analised. Data was collected for 3 years from 2017 to 2019 and let the amount of fuel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ement quality data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depending on the type and quality of the alternative fuel has no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emical composition(Cl and LSF) and mineral composition(f-CaO, C3S contents). Contrary to the concern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would decreas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mount of alternative fuel used and cement compressive strength.",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연료로 사용된 가연성 산업부산물 및 생활폐기물 대체연료 사용량과 시멘트 품질 중에서도 화학성분, 광물조성, 압축강도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천연연료로서 유연탄, 대체연료로서 연질 플라스틱류(비닐류 등 풍력에 의해 비산되기 쉬운 성질의 플라스틱류), 경질 플라스틱류(이물질이 혼입되거나, 폐고무, PP 등 풍력에 비산되지 않는 성질의 플라스틱류), 재생유를 사용하는 국내 A시멘트 제조사 소성설비의 2017~2019년 3년간의 연료투입량을 독립변수로 하고, 시멘트 품질 데이터를 종속변수로 하여 요인 회귀분석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체연료의 종류 및 품질에 따라서는 화학성분(염소 및 LSF) 및 광물조성(f-CaO, C3S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시멘트 압축강도를 저하할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대체연료 사용량과 시멘트 압축강도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d": "JAKO202106960485561", "publication_date": "2021.01.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561.pdf", "abstract_en": "Despite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re has been lack of studies analyzing textbooks in which such competencies are intended in detail through various tasks. Given this background, this paper analyzed how mathematical competencies and their sub-elements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mmunication' was the most prevalent mathematical competence, followed by 'reasoning', 'creativity and integ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ttitude and practice', and 'problem solving' in order.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in the textbooks by analyzing which sub-elements per competence were popular. With illustrative examples,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for textbook developers with implications on how to represent mathematical competencies throughout the textbooks.", "abstract":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그 하위 요소까지 명시되었지만,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교과서에서 정작 교과 역량을 얼마나 어느 정도로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별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과 추론 능력이 전체의 절반 정도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창의·융합,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 문제 해결 능력 순서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각 교과 역량의 하위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그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수학 교과 역량별로 하위 요소까지 분석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의 특성을 파악하고 더불어 역량 기반의 교과서 개발과 관련하여 논의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786126370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703.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depending on the job satisfaction of youth entrepreneurs in South Korea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12th year of the Youth Panel Study.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five latent profiles based on job satisfaction among young entrepreneurs: lowest job satisfaction, mid-low job satisfaction, middle job satisfaction, mid-high job satisfaction, and highest job satisfaction. By applying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e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latent profiles have been derived. Gender,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elf-esteem, entrepreneurial motivation, difficulty in start-up, person-job fit, intrinsic or extrinsic job values, business scale, income, work hour, education or training, and labor insura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youth entrepreneur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article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entrepreneur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조사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5개로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낮은 일자리만족 집단', '중하위 일자리만족 집단', '중간 일자리만족 집단', '중상위 일자리만족 집단', '높은 일자리만족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각각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대해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배우자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창업동기, 창업시 어려움, 업무적합도, 내적 직업가치, 외적 직업가치, 사업체 규모, 현직장 임금, 주당 평균근로시간, 창업교육훈련 이수여부, 고용보험 가입여부가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요인이며 집단에 따라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의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이에 대한 여러 독립변수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청년창업가의 일자리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id": "JAKO20210786126369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699.pdf", "abstract_en":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start-up founder's social competence on the start-up's access to funding sources and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the type of social network.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wo types of social networks empirically (i.e., personal networks and business networks) as social capital i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founder's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capital on the method of accessing funding sourc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52 South Korean start-up founders whose businesses are based in South Korea. Path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STATA 16.1. This study examine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the founder's social competence on his/her personal and business networks, respectively, and how the effect leads to different methods to approach funding sources. This is the first study in South Korea to analyze empirically how social competence has contrasting effects on personal and business networks as well as how each type of network varies in its influence on the method founders use to attract investment.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 new methodology by utilizing the position generator as the measure of personal and business networks to analyze social networks in detail. The analyses of 252 survey data collected over a period of six months will be a valuable resource that may provide researchers, founders, investors, and other stakeholders in the start-up ecosystem with meaningful implications.",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론을 중심으로,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이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을 매개로 투자유치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공식적, 비공식적 투자유치 접근방식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을 개인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투자유치 시도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국내 창업기업의 창업자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역량이 창업자의 개인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각각 완전 매개하여 각기 다른 투자유치 시도방식을 선택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 수준이 높으면 창업자 본인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비공식적인 투자유치 기회를 추구하며 이들은 상대적으로 공개 투자유치 시도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반대로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 수준이 낮으면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식적인 투자유치 기회를 추구하며, 상대적으로 이들은 지인 또는 지인소개를 통한 투자유치 시도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투자유치 맥락에서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이 개인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네트워크에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한 국내 첫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지위 생성기(Position generator)기법으로 네트워크의 크기, 위세, 이질성을 종합한 변수를 구성하여 보다 정밀하게 네트워크 특성을 측정하였다는 방법론적인 기여가 있다."} {"id": "JAKO20210786126371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718.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level of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ies,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ies by grade, gender, and attitude. To this end, 208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online questionnaire surveyed their experience, attitudes, perceptions, entrepreneurship attempts, and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y levels.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had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and direct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as high. The average of the value-creation competency group consisting of innovation,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change agility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challenge, group creativity, and self-directed competency group. The difference of the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y level between the grades was not significant, and female students' competency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average of the four core competencies of entrepreneurship in the group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as essential competencies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enhancing entrepreneurship competency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ere presente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대학 재학생인 초등 예비교사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및 태도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의 수준을 살펴보고, 학년과 성별, 그리고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태도에 따른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초등 예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태도, 인식, 창업 시도 및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해 이해 수준과 직접 참여 경험은 낮았으나 초등학생과 초등교사 대상의 창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과 창업가정신 교육 및 창업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편이었다. 창업가정신 핵심역량군별로 나눠서 볼 때 초등 예비교사의 도전, 집단창의, 자기주도 역량군에 비해 혁신성, 사회적 가치지향, 변화민첩성으로 구성된 가치창출 역량군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의 역량 수준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초등교사가 갖추어야 할 필수역량으로서의 창업가정신 중요성을 인식하는 집단의 창업가정신 4대 핵심역량군의 평균이 상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았고, 대학에서의 창업 관련 교육 참여를 희망하는 집단과 창업 시도 의향이 있는 집단의 가치창출과 도전 역량이 상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창업가정신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0786126371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715.pdf", "abstract_en": "It is not easy to go on business. Many businesses are fails for many reas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ongoing business intention of entrepreneurs that were related to the business burdens such as economic loss, psychological stress, bankruptcy and other failure stresses. To study this search, wide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entrepreneurs of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About 300 research papers were distributed and 260 papers were collected and 247 questionar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SPSS 24.0 program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bt burdens. If the burdens of debt were high, ongoing entrepreneur intention went down. Second, the recognition of bankruptcy systems gave positive impacts for the entrepreneurs of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Third, among the psychological costs, the intention of business stop gave negative impacts to ongoing business intention. There are many obstacles and difficulties in real business world. Especially in Korea failure costs are considered to individual costs and responsibilities. However, countries such as U.S., E.U. and Israel, the costs of failures considered to social costs. According to this study, burdens related to business failure were closely related to entrepreneur intentions.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verse solutions to easy business burdens are necessary.", "abstract": "창업과 폐업을 주도하는 기업 활동의 주요 주체(player)인 기업가 연구는 기업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 회사가 경영이 악화되면 경영의 지속, 자산매각과 같은 자율적인 구조조정, 워크아웃, 도산신청 등 다양한 대안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기업이 실패하는 경우 기업가들이 부담하는 실패비용을 제대로 파악하여야 사업가들의 사업의욕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가가 인식하는 사업종결 시 발생하는 재무적 비용, 사업종결시스템, 심리적 비용이 사업의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기업인들을 설문대상으로 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중 최종 247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업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는 차입금, 파산제도, 사업중단 의욕으로 나타났다. 현재 기업이 폐업하는 경우 기업가들이 감당하는 비용이 지나치게 높으며, 기업가들의 사업의욕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업실패 시에 부담해야 하는 재무적 비용과 심리적 비용을 완화시켜야 한다."} {"id": "JAKO20210786126372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726.pdf", "abstract_e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ch of the three sub-dimensional strategic orientations of technology orienta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on performance, targeting IT startups based on technology. and to analyze moderating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hich is more important to modern society. For the analysis, , The IT startups completed empirical research through path analysis afte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measurement models and structural models using PLS-SEM for 94 companies less than 7 years that have moved in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hree sub-dimensions of strategic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all had a positive (+) effect on startups' performance. and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rientation was verified as moderating the startup's strategic orientation and startups'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import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rientation in the strategy setting of start-up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strategy-setting for technology-based startups for competitive advantage and long-term survival.",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국내 IT스타트업에서 전략적 지향성의 세 가지 하위차원인 기술 지향성, 고객 지향성, 경쟁자 지향성 각 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최근 현대 사회에서 기업에게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스타트업 지원기관 등에 입주하고 있는 7년 미만의 94개 IT스타트업을 대상으로 PLS-SEM을 사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한 후 경로분석으로 실증연구를 완료하였다. 연구결과, 전략적 지향성의 세 가지 하위 차원인 기술 지향성, 고객 지향성, 경쟁자 지향성 모두 스타트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향성은 스타트업의 전략적 지향성과 성과 사이의 관계를 모두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IT스타트업의 경쟁우위와 장기존속을 위한 전략 설정 방향과 더불어 스타트업의 전략설정에 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향성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id": "JAKO20210786126372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722.pdf", "abstract_en": "After the Corona 19 pandemic in the first half of 2020, the business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in a very different way. The convergence in digital device would be the keyword of the future business. Due to the Corona 19 incident, the ability to utilize digital media device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as people are focusing on online. The Corona incident has reminded us of how important digitalization is at all points of cont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device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reflecting the mediating effect of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For this study, a survey of 250 ordinary people was conducted and finally 212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tatistical techniques were analyzed using Amos23.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howed that digital media device utiliz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entrepreneurship intentions, but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risk-taking would have an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start-up programs based on entrepreneurship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in a smart society center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 expand job creation for the digital generation.", "abstract":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비즈니스의 세계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향후 비즈니스의 키워드는 디지털로 수렴하는 비대면(Untact)이라 할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쏠리면서 디지털 미디어 기기 활용역량이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코로나 사태가 모든 접점에서 디지털화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준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미디어 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창업에 있어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디지털 미디어 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위험감수성과 진취성이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일반인 2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12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통계기법은 Amos2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디지털 미디어 기기 활용역량과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은 직접적으로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을 추구할 때 창업의도를 갖게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 중심의 스마트 사회에서는 기업가정신 및 디지털 미디어 활용역량에 기초한 창업 프로그램 개발을 정책적으로 강화해야 디지털 미디어 기기 활용과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월등한 디지털 세대의 일자리 창출이 확대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d": "JAKO20210786126373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734.pdf", "abstract_en": "After the 2020 Corona 19 pandemic, consumers' online consumption is increasing rapidly, and non-store online retail channels are showing high growth. In particular, social media is gaining its status as a social media market where direct transactions take place in the means of promoting companies' brands and products. In this study,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after the Corona 19 pandemic are different in choosing online shopping media such as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s and SNS market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open social media and closed social media when purchasing agri-food online. We tried to find out what type of product is preferred in the selection of agri-food products. For this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perceived risk of consumers, and dietary lifestyl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online shopping media type and product selection. The summary of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When consumers purchase agri-food onlin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umer perception risks, and detailed factors of dietary lifestyle in selecting shopping channels such as online shopping malls, open social media, and closed social media. Appeared to be. The consumers who choose the open SNS market ar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with lower household income, and higher in consumers seeking health and taste. Consumers who choose the closed SNS market were analyzed as consumers who live in rural areas and have a high degree of risk perception for delivery. Consumers who choose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s have high educational background, high personal income, and high consumers seeking taste and economy.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by providing a basis for judgment to farmers who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an online shopping medium suitable for their product characteristics. As a shopping channel for agri-food, social media is not a simple promotional channel, but a direct transaction.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is approached as a market that arises.", "abstract":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현상 이후에 소비자들의 온라인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무점포 온라인 소매판매채널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가 기업의 브랜드와 제품을 알리는 홍보수단에서 직접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SNS마켓으로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현상 이후 달라진 소비자들의 행동변화가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경우 기존 인터넷 쇼핑몰과 개방형 SNS마켓과 폐쇄형 SNS마켓 등의 온라인 쇼핑매체를 선택하는데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농식품 제품 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유형의 제품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독립변수로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 지각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로 설정하여 온라인 구매채널 유형과 농식품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경우 인터넷 쇼핑몰과 개방형 SNS마켓, 폐쇄형 SNS마켓 등의 쇼핑채널을 선택하는데 있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소비자지각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세부요인에서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SNS마켓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고, 가구소득이 낮으며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높게 나타났다. 폐쇄형 SNS마켓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지방에 거주하며 배송에 대한 위험인지도가 높은 소비자들로 분석되었다. 기존 인터넷 쇼핑몰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학력이 높고 개인소득이 높으며 맛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제품특성에 적합한 온라인쇼핑매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농업인들에게 판단의 단초를 제공하여 실무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농식품 쇼핑채널로서 소셜미디어를 단순 홍보채널이 아닌 직접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마켓으로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 할 수 있다."} {"id": "JAKO20210786126373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730.pdf", "abstract_en": "This study studied the network between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ntention of start-up, and start-up behavior for learners who are willing to start a business. The research targets were intended to study the impact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argeting nail art certification learners who are willing to start their own businesses. For this study,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ntention of start-up, and start-up behavior were set,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connection-centeredness and eigenvector after data collec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m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of start-up showed optimism, resilience and hope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Second,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ehavior of start-ups, which, unlike the preceding study, appeared to be almost outside the network structure, showing that the behavior of start-up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other variables. Third, it is important to increase self-efficacy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der to increase the behavior of start-ups. Fourth, the analysis of the eigenvactor among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ntention of start-up, and start-up behavior showed optimism as some of the most central variables. In other words, prospective start-ups were found to be aware of the hardships and expected positive results in the futu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are important factors in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be enhanced by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n start-up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s and what should be taught.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network by approach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grams for start-ups by 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or universities in the future.", "abstract": "본 연구는 창업의지가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창업의도, 창업행동 간의 연결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창업의지가 있는 네일아트 자격증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변수 간의 연결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긍정심리자본, 창업의도, 창업행동의 측정변수를 설정하고, 자료수집 후, 수집된 자료를 연결중심성, 고유벡터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의도에 영향을 주는 일부 변수로는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성, 복원력, 희망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의도는 창업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달리 창업행동은 연결망 구조에서 거의 외곽으로 나타나 다른 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에서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긍정심리자본, 창업의도, 창업행동 간의 고유벡터 분석 결과, 가장 중심성이 높은 변수로 낙관성으로 나타났다. 즉, 예비창업자는 창업 시 고생을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그런데도 향후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의도, 창업행동,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성을 연결망 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행동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에 관해 무엇이 중요하고, 어떻게 교육을 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정부와 공공기관 또는 대학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비창업자의 창업행동을 높이는 관점에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id": "JAKO20210786126369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696.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investment success rate for startups in the water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of the Korean water industry. In this research, we identified investment determinants through prior research and stratified them, and then surveyed the investor group at the beginning of the start-up using the FGI method, and determined the order of the investment determinants of investors. At the same time, we classified 41 start-ups related to the water industry into two groups: the group that received investment and the group that did not in the early stages of the start-up. Then we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stor's investment determinants, ranked them, and compared them by using the AHP technique. Through this, this research proposes five implications. First, it is important for start-ups in the early stages to receive seed investment to revitalize investment for startups in the water industry. For this, startups need to understand investors and prepare to attract investment with the perspective of angel investors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VC investors. Second, Start-ups in the water sector should conside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are important in order to receive seed investment, and also need to define their business at the industry and market level, and provide relevant rationale to meet the expectations of investors who value industry expertise and experience, an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eed investment, which is important in the early stages of a startup. Third, institutions, such as K-water(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that support water industry startups need to conduct open innovation business opportunities discovery programs linked to startups so that startups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startup support program could have business opportunities from the business infrastructure of platform-forming companies in the water industry. In particular, such institutions should help founders develop their industrial expertise and careers by supporting this type of start-up preparation proces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in-house venture founders. Fourth, when K-water uses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fund to discover and foster founders, it should increase initial contact with seed investors, conduct more thorough verification of business plans, and develop programs that use government start-up support funds to prepare a business suitable for seed angel investors. Fifth, K-water should support seed by connecting funds for initial investment among funds operated by itself.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links the company receiving the seed investment with VC investment, not angel investment in cooperation with the VC fund operation entity participating as an LP so that companies that have attracted seed investment could attract follow-up VC investment.", "abstract":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4차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글로벌 물시장에서 국내 물산업은 공공성과 안정성에 대한 강조로 기술 발전 및 혁신적 성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한계 극복을 위해서 최근 한국수자원공사는 오픈이노베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국내 물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면서 동시에 물산업 혁신을 위해 물산업 창업기업을 발굴, 육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물산업 창업기업이 국내 물시장을 혁신시키고 글로벌 물시장을 선도하는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벤처투자 유치의 성공률 제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참고 후 초기 투자자 대상 FGI기법을 통해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주요요인 5개 항목과 세부요인 17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투자결정요인을 토대로 41명의 창업기업 대표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응답자 그룹은 투자유치 경험이 있는 창업기업과 투자유치 경험이 없는 창업기업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고 분석방법은 AHP 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투자유치경험이 있는 기업과 초기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의 우선순위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투자유치경험이 없는 그룹은 투자를 자금 조달의 방법으로만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물산업 창업기업을 발굴, 육성하고 있는 기관에게 육성중인 창업기업의 투자유치율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0786126371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861263711.pdf", "abstract_en": "Representative domestic start-up support organizations include the Business Incubator(BI),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KISED), Techno Park(TP), and Center of Creative Economy Innovation(CCEI), and there are about 260 Business incubator nationwide. The Business incubator is operated by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private foundations or associations. The organization consists of the center director and the incubating professio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ager\"), etc., and performs tasks such as center operation management and incubation support services for tenant companies. Until now,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Business Incubator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tenant companies. Studies on whether the manager's competency characteristic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tenant companies through psychological mediators such a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very sca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by the competenc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incubator managers, and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ose factor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was investigated by a manager's survey that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at the Business incubator. Through this, we inten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managers in the operation of Business incubator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survey of about 600 managers working at Business incubator nationwide, of which 116 respons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for hypothesis te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incubator manager, communication, and situational response a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r's self-efficacy,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had a greater effect on the self-efficacy. It was also found that the manager's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In particular, a manager's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This result showed that the manager's competency characteristics increase the manager's self-efficacy as a mediating factor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This study explains that the manager's competency characteristics are transferr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reflect the job standard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basic vocational competency to the job competency of managers, and it also provides a guideline for the effective business incubator operation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reflect the vocational basic skills of the Business Incubator manager's job competency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section, and suggest direc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 Business Incubator and the manager's education and training.", "abstract": "국내 대표적인 창업지원 기관으로 창업보육센터, 창업진흥원, 테크노파크,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이 있으며, 전국에 창업보육센터는 260여개가 있다. 창업보육센터는 운영 주체로 대학, 연구소, 재단·협회 등이 운영하고 있고, 센터는 센터장과 창업보육전문매니저(이하 '매니저') 등으로 구성되어 센터 운영관리 및 입주기업 창업보육지원서비스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동안 창업보육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는 주로 입주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지,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역량 특성과 조직몰입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각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창업보육센터 운영에서 매니저의 역할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써 연구대상은 전국 창업보육센터에 근무하는 약 600명의 매니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유효한 116개의 응답 자료를 근거로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등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인지적 특성인 기술, 행동적 특성인 의사소통과 상황대처가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적 특성이 인지적 특성보다 자기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니저의 인지적 특성과 행동적 특성,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결과는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이 행동적 특성과 업무성과 간의 인과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므로 창업보육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업무환경을 조성하고 매니저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이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창업보육센터 매니저의 직무 능력에 자기효능감을 직업기초능력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id": "JAKO20211103733307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37333074.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a comprehensive and general conclusion about the effects of mathematics classes using peer tutoring on the cognitiv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1 individual studies were meta-analyzed in this study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classes using peer tutoring and either the cognitive or affective domai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athematics classes using peer tutoring generally have a medium effect size i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Also, it was found that level of school, type of student, learning location, class time, tutor education or prior training a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impact of mathematics classes using peer tutoring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ese results suggest specific ideas on how to design and operate peer tutoring in school mathematics classes on the basis of different variable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는 데 있다. 이에 총 61편의 개별연구 결과를 메타분석하여, 또래교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의 인지적·정의적 교육효과가 전반적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 학교 급, 학생 유형, 학습 장소, 수업 시간, 또래교수자 훈련 또는 사전교육 실시 유·무를 중요한 변수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수학 수업에서 또래교수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을 바탕으로 구체적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id": "JAKO20211103733307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37333070.pdf", "abstract_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duce implications of the growth of mathematics teachers' specialty for effective instruction about the formulae of exponentiation with rational exponents by analyz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rational expon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 this study ascertained the nature of the definition of rational exponent through examining previous literature and established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nature of the defini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s and was taken to 50 in-service high school teachers. By analysing the data from the written responses by the teachers, this study delineated four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with regard to the definition of rational exponent. Firstly, the teachers did not explicitly use the condition of the bases with rational exponents while proving f'(x)=rxr-1. Secondly, few teachers explained the reason why the bases with rational exponents must be positive. Thirdly, there were some teachers who misunderstood the formulae of exponentiation with rational exponents. Lastly, the majority of teachers thought that equals to -2. Additionally, several issues were discussed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for enhancing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definition, features of effective instruction on the formulae of exponentiation and improvement points to explanation methods about the definition and formulae on the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abstract": "본 연구는 유리수 지수 정의에 대한 교사의 이해 특징을 분석하여 교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구체화하고, 지수의 확장을 지도하는 수업에서 정의의 본질 및 그 이면의 사고를 다루기 위해 고려할 필요가 있는 교수학적 쟁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필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현직 고등학교 교사 50명의 답변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리수 지수 정의에 대한 교사의 이해 특징이 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교수학적 쟁점을 기술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사점 및 교수학적 쟁점을 국내 교과서 전개 방식에 비추어 해석하여 수업을 통해 지수의 확장과 관련된 정의의 본질을 의미있게 다루기 위해 교사 및 교과서가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는 측면을 제언하였다."} {"id": "JAKO20211103733307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37333079.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s and difficulties which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shows during the task modif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demand and to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modification of the mathematical tasks.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tasks were selected from perpendicular bisector units and 24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modify the tasks to higher and lower level tasks. After the modification activities,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and modification were provided. The findings from analysis are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had a difficulty to distinguish between PNC tasks and PWC tasks. Also, We identified the interference phenomena that pre-service teachers depended on the apparent elements of the task.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tendency to overlook the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hierarchy during the task modification, and to focus on some types of task modification. However,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have meaningful learning opportunities and extend the category of tools to technology including Geogebra through self-reflection and correction activities on task modification. The above results were summed up and we presented the implications to the task modification program in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수학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수학 과제 변형과 관련한 수학 예비교사 교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4명의 수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직이등분선의 성질에 대한 추론 과제를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으로 변형하는 활동과 이에 대한 반성 및 수정 기회를 제공하였다. 변형 과제를 중심으로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과제 수준의 판단 관점에서 PNC와 PWC 과제의 구분에 제한된 이해를 보였으며, 과제의 외형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간섭 현상을 확인하였다. 과제 수준의 변형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은 과제의 목표와 수직적 위계를 간과하거나 변형 유형의 편향성을 보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은 반성 및 수정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변형 과제의 오류를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었으며, 도구의 범주를 Geogebra를 포함한 공학적 도구로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id": "JAKO20211103733306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37333065.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s students' conceptions of fractions from a measurement approach while providing a technological environment designed to support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quantities and adjustable units. 13 third-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involved in a series of measurement tasks through task-based interviews. The tasks were devi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ts and quantity through manipulations. Screencasting videos were collected including verbal explanations and manipulations. Drawing upon the theory of semiotic mediation, students' constructed concepts during interviews were coded as mathematical words and visual mediators to identify conceptual profiles using a fine-grained analysis. Two students changed their strategies to solve the tasks were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case of the two profiles: from guessing to recursive partitioning; from using random units to making a relation to the given unit. Dragging mathematical objects plays a critical role to mediate and formulate fraction understandings such as unitizing and partitioning. In addition, static and dynamic representations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unit concepts in measurement situations.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field's understanding of how students com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fraction as measure and the role of technology, which result in a theory-driven, empirically-tested set of tasks that can be used to introduce fractions as an alternative way.",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공학도구를 활용하여 측정으로서의 분수의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해결전략의 변화 과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초등학생 13명을 대상으로 과제 중심의 임상면담을 실시하였고, 특히 분수를 처음 학습한 3학년 학생들의 측정 문제 해결 전략을 심층분석하였다. 그 결과, 추측하기에서 반복적인 분할하기, 임의의 단위 사용에서 주어진 단위 사용과 같은 두 가지 프로파일이 발견되었다. 각 프로파일의 대표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공학도구의 활용이 역동적인 단위 개념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또한 분수와 관련된 의미형성과정에 드래깅과 같은 수학적 조작 활동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분수의 다양한 의미를 탐구하고 학습하는 후속 연구를 위한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id": "JAKO20211103733308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37333088.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 and intend to use textbooks for their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set of survey items in order to unpack what the teachers understand the mathematical tasks suggested in the textbooks in terms of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and how they intended to use the tasks in the textbooks for their teaching. Twenty-fiv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e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suggested as follows: a) the teachers seemed to closely follow textbooks without attempting to modify the tasks, even when the teachers consider it is necessary to modify textbook tasks to high-level tasks, b) the teachers seemed to be unstable in regards that they admitted themselves very competent for modifying tasks for developing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uncomfortable with transforming tasks into cognitively demanding tasks that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c) the teachers appeared to consider textbooks as significant criteria in conducting tests including midterm and final exam. In conclusion, the teachers seemed to intend to follow closely the contents and sequence of mathematics textbooks in their mathematics classrooms.", "abstract": "이 연구는 수학 교사들이 교과서 등으로 구현되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하여 활용하고자 의도하는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들이 교과서 내용을 수업에 적용하는 의도와 목적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검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25명의 교사들이 검사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로, 첫째, 연구 참여 교사들은 대체로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수업에 활용하려는 경향을 드러낸다. 둘째, 교과서의 문제를 수정하거나 보완을 시도하는 경우에 그 결과물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능력을 촉진하는 과제의 특성을 포함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대체로 교사들은 학생의 수학적 역량을 개발을 목적으로 두기보다는 평가 준거로서 교과서를 활용하고자 의도하였다. 수학 교사들은 수업 실행에 있어서 교과서의 내용을 해석하여 능동적으로 수업에 활용하기 보다는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여 충실히 따르고자 의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605705209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57052091.pdf", "abstract_en":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is a major risk factor of mortality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Streptococcus pneumoniae (colloquially known as pneumococcus) is one of important pathogens of CAP in patients with COPD.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pneumonia include pneumococcal and influenza vaccinations. A prospective, cohor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pneumococcal and influenza vaccinations on the severity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requring hospital admission in patients with COPD. Seven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in Korea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 online registration system for the multi-institutional researchers that facilitates efficient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COPD patient data. This study has presented three basic strategies-accurate data input, convenient data completion, and real-time data management-to supplement the demerits of existing offline clinical study. The proposed online registration system has already been applied to a multi-institutional clinical study and was acknowledged for its high performance.", "abstract": "지역사회획득폐렴은 만성폐쇄성페질환 환자 사망의 중요 원인 질환이며 폐렴구균은 폐렴의 중요 원인균이다.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을 예방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폐렴구균백신과 독감백신의 접종을 들 수 있다. 국내 주요 7개 대학병원에서는 전향적, 다기관, 코호트 연구를 통하여 폐렴으로 입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폐렴구균예방접종과 독감예방접종여부에 따라 폐렴의 중증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기관 연구자들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도록 도움을 주는 온라인 등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임상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과 편리한 데이터 완성, 그리고 실시간 데이터 관리 등의 세 가지 기본 전략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온라인 등록 시스템은 다기관 임상 연구에 활용되어 그 성능을 평가받았다."} {"id": "JAKO20211605694802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56948027.pdf", "abstract_en": "Recently network based attack technologies are rapidly advanced and intellig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ignature-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re becoming clear. The reason is that signature-based detection methods lack generalization capabilities for new attacks such as APT attacks. To solve these problems, research on machine learning-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in the actual network environment, attack samples are collected very little compared to normal samples, resulting in class imbalance problems. When a supervised learning-based anomaly detection model is trained with such data, the result is biased to the normal sample. In this paper, we propose to overcome this imbalance problem through One-Class Anomaly Detection using an auto encod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 the NSL-KDD data set and compares the performance with the supervised learning model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posed method.", "abstract": "최근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공격이 급속도로 고도화 및 지능화 되고 있기에, 기존의 시그니처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은 한계점이 명확해지고 있다. 지능형 지속 위협(Adavanced Persistent Threat; APT)과 같은 새로운 공격에 대해서 시그니처 패턴은 일반화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공격 샘플은 정상 샘플에 비해서 매우 적게 수집되어 클래스 불균형(Class Imbalance) 문제를 겪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로 지도 학습 기반의 이상 탐지 모델을 학습시킬 경우 정상 샘플에 편향된 결과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토 인코더(Auto Encoder; AE)를 활용해 One-Class Anomaly Detection 을 수행하여 이를 극복한다. 실험은 NSL-KDD 데이터 셋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제안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지도 학습된 모델들과 성능을 비교한다."} {"id": "JAKO20211605706409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57064098.pdf", "abstract_en": "As drone industry increase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yet ensured the safety of a drone crashing and incurring accidents which may result in significant damage to human life and assets. Thus, the authentication of drone safety is very urgent. For this reason, many countries are in need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e aspect of authentication/legal systems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afety for drone. In this study, the regulations, research, and standards concerning drone safety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regulations of drone safety and standardization. The study can be contributed to invigorate drone industry by ensuring drone safety.", "abstract": "최근 드론 산업의 발달로 드론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4차 산업의 핵심분야로 떠오르고 있지만, 드론의 특성상 추락 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드론 안전성에 대한 인증이나 규제 등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관련 국내외 법제도 현황, 연구 동향, 표준화 현황 등을 비교 분석하여 이와 관련된 법적, 제도적, 기술적 이슈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드론 안전성에 대한 법, 제도, 표준화의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드론의 안전성을 제도적으로 보완하고 드론 산업 활성화 및 품질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id": "JAKO20211605701907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57019071.pdf", "abstract_en": "COVID-19 has recently impacted the world with the large numbers of infected and death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VID-19 vaccine has not been successful. Hence, people have a high concern on the infection of this disease. The 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governmantal public organizations are mainly based on simple summary statistics. Consequently, it is hard to assess the infection risks of individual person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rs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machine learning-based software system that analyzes COVID-19 infection risks and guidelines for safe activities.This paper proposes a suite of risk factors regarding COVID-19 infection and deaths and methods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individual and group risks using the proposed metrics. The proposed system utilizes a clustering algorithms and various software approaches that reflect the information and features of inviduals and their geograpical locations.", "abstract": "최근 COVID-19으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감염자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아직까지도 효과적인 COVID-19에 대한 백신의 개발은 성공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사람들은이 질병의 감염에 크게 우려하고 있다. 그간 정부 공공기관이 제공한 감염 정보는 거의 단순한 합산 및 통계 숫자에 불과하다. 따라서, 개인이나 개인이 있는 장소의 구체적인 위험도는 판단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 COVID-19의 위험도 분석과 안전 활동에 대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은COVID-19 감염 및 사망 위험도와 관련된 포괄적인 메트릭 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개인 및 그룹에 대한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제공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개인 및 지역 정보와 특성을 반영한 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등 효과적인 SW 기법들을 활용한다."} {"id": "JAKO202113259287089",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08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activities using Wax-paper, a hands-on material (manipulatives), and GeoGebra, a technological tool, in teaching quadratic curves. Twenty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 of a local university participated in a survey on their perception of the use of hands-on materials and technological tools in teaching quadratic curv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generally preferred the use of technological tools for learning and teaching quadratic curves. Additionally, mathematics teachers thought that the tool helped students develop intuitive thinking through visualizing quadratic curves, enabling the exploration of various mathematical properties, assisting the comprehension of various concepts, and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levels. However,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immature use of technological tools by students or teachers, and recognized tha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 hands-on material and technological tools were complementary.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hands-on material and technological tools should be used complementally in mathematics classes, an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lass materials that are not affected by students' or teachers' ability to use technological tools is importan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차곡선 지도 방안으로써 수작업 교구인 Wax-paper를 이용한 활동과 공학도구인 GeoGebra를 이용한 활동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도권 소재의 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부생 20명을 대상으로 이차곡선에 대한 교구와 공학도구 활용 수업을 진행한 후, 두 가지 수업 방법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 수학교사들은 이차곡선 학습 및 지도에서 전반적으로 공학도구의 활용을 선호했으며, 공학도구의 활용이 시각화를 통해 직관적 사고에 도움이 되며, 다양한 수학적 성질 탐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념 이해와 흥미 유발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학생 또는 교사의 미숙한 공학도구 사용에 대한 우려를 지속적으로 나타냈으며, 예비 수학교사들이 인식한 교구와 공학도구 활용의 장단점은 상호보완적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학수업에서 각 교구와 공학도구가 가진 특성에 맞게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길 제안하며, 학생 또는 교사의 공학도구 사용 능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수업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id": "JAKO202113259287081",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081.pdf", "abstract_en": "Lexicon is closely related to human thinking. In particular, a classroom lexicon results from objectifying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in classrooms, allowing humans to recognize and explore the activities and phenomena in classrooms explicitly. Therefore, using the lexicon and clarifying what the words mean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eaching activities. The International Classroom Lexicon Project investigates and identifies each country's mathematics classroom lexicon, where ten countries participated. The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 Korean classroom lexicon previously investigated as a part of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roject. By comparing the responses of 147 teachers and 127 pre-service teachers, the degree of familiarity with pedagogical terms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r usage in classroo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terms. Finally, we also discuss reflections on Korea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in Korea.",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미 조사된 한국의 교수학적 어휘를 바탕으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어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는 호주를 중심으로 독일, 미국, 일본, 중국, 체코, 칠레, 프랑스, 핀란드, 한국의 총 10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이다. 각 국가에서는 자국의 수학교실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용어를 확인하고 정리하며 이를 기반으로 수학 교실 수업과 관련한 연구를 확장하거나 10개국 내에서의 국제 비교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교수학적 용어로 정리된 103개의 용어에 대하여 현직교사 136명의 응답과 예비교사 127명의 응답을 비교하여 해당 용어에 대한 친숙도와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 현직교사들과 예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 범주에 있는 용어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현직교사의 응답과 비교하였을 때, 국가 주도로 제안된 용어의 친숙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 분석 결과,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교수학적 노력이 학습자의 관점에서는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어휘와 그에 대한 차이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교실 관행에 대해 성찰하고 그와 관련하여 논의 및 제언하였다."} {"id": "JAKO202113259287063",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063.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when evaluating peer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tasks. To this end, 46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create real-world problems related to permutation and combination and randomly assigned to evaluate peers' problems. 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most likely to notice the difficulty of their peers' mathematics problems. In particular, the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notice particular condi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difficulty of a problem.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noticed the clarity of a question and its solution, novelty of the problem, the natural connection between real-world contexts and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 convergence between mathematical concepts.", "abstract": "본 연구는 순열과 조합 영역에 관한 동료의 문제 만들기 과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주목하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등 예비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순열과 조합에 관한 실생활 문제 만들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고, 동료의 수학 과제를 임의로 배정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동료가 만든 수학 문제의 난도에 가장 주목하는 모습이 확인되었고, 특히 난도를 높이기 위해 조건 사용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은 질문과 풀이의 명확성, 문제의 독창성, 맥락의 수학 개념 간의 자연스러운 연결, 수학 개념 간의 융합에 주목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id": "JAKO20212255884026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558840268.pdf", "abstract_en":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biological control of two-spotted spider mites (TSSM), Tetranychus urticae, in exported strawberry greenhouses, the TSSM density reduction efficiency of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measures was compared in commercial, exported strawberry greenhouses. In the biological control greenhouse, only Phytoseiulus persimilis, a natural enemy of TSSM, was released, and the chemical control greenhouse was only sprayed with commercial chemical pesticides. The density of each developmental stage of TSSM was higher in the chemical control greenhouse than in the biological control greenhouse. The management costs were lower for the biological control greenhouse than the chemical control greenhou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SSM using P. pesrsimilis in exported strawberry greenhouses.", "abstract": "환경친화적 생물적방제를 위해 수출딸기온실에서 해충인 점박이응애 밀도 감소 효율을 화학적방제와 생물적방제로 나누어 동일한 크기의 동일한 온실에서 각각 비교하였다. 생물적방제 온실은 점박이응애의 천적인 칠레이리응애만을 이용하였고, 화학적방제 온실은 일반 화학합성 농약을 이용하여 점박이응애의 밀도를 조절하였다. 화학적방제 온실에 비해 생물적방제 온실에서 점박이응애 모든 태의 밀도가 낮게 관찰되었으며, 생물적방제를 위한 비용이 화학적방제에 비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출딸기의 주요해충인 점박이응애의 방제에 칠레이리응애를 이용한 생물적방제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id": "JAKO20210965111906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19064.pdf", "abstract_en": "Tephrochronology is the study of tephra layers to correlate and date geologic events. As tephra layers can be used as time-markers, they are essential for the dating of Quaternary deposits. In this study, two types of tephra layers were foun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marine terrace deposits distributed in the Sanha-dong and Jeongja-dong, Ulsan areas. Based on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glass shards, refractive indices, major element compositions, and similarity coefficients, the upper and lower tephras were identified as AT (ca. 25 ka) and Ata (ca. 105-110 ka) tephra, respectivel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official report of Ata tephra on terrestrial deposits in Korea.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aidin the research of the Quaternary paleoclimate, paleoenvironment, and active fault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abstract": "화산재연대학은 화산재층을 지질학적 사건과 대비하거나 연대를 측정하는 연구이다. 화산재층은 건층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4기 퇴적층의 연대측정에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의 산하동과 정자동 지역에 분포하는 해안단구 퇴적층의 상하부에서 두 종류의 화산재가 발견되었다. 화산유리의 형태학적 특징과 굴절률, 주원소조성과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상부와 하부의 화산재는 각각 약 25 ka 전에 분출한 AT 화산재와 약 105-110 ka 전에 분출한 Ata 화산재로 밝혀졌다. Ata 화산재는 한국의 육상퇴적층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의 제4기 고기후와 고환경 및 한국 동남부의 활성단층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965111908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19083.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vidence-based reasoning practiced by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task in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in gifted education institutes of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 performed inquiry about the shape of a planet's orbit. The students were given data of Mercury's greatest elongations and asked to draw the planet's orbit with the data. Each of the students was also asked to provide his or her hypothesis of Mercury's orbit before the drawing and to reason about the orbit again using his or her own drawing as evidence. The content analysis of the students' reports revealed 5 different types of judgement about the shape of Mercury's orbit, 4 types of reasoning about the hypothesis and evid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vidence-based reasoning within the judgement types. Based up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ortance of proper interpretations of evidence in evidence-based reasoning, the core role of the theory-evidence coordination, and the usefulness of working with multiple hypotheses were discussed.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earth science education were suggeste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영재 학생들이 수행한 증거 기반 추론의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수도권에 위치한 한 대학교의 영재 교육원에서 중학교 영재 학생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한 탐구 과제를 통해 수집되었다. 학생들에게 수성의 최대 이각을 관측한 자료를 제공하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수성의 공전 궤도를 작도하게 하였다. 또, 작도 전에 수성의 궤도에 대한 자신의 가설을 진술하게 하였으며 작도 결과를 증거로 삼아 수성 궤도의 모양을 추론하게 하였다. 학생들이 제출한 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수성의 공전 궤도 모양에 관한 판단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하고 가설 및 증거에 관한 추론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한 후, 판단 유형에 따른 증거 기반 추론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증거 기반 추론에서는 증거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중요하고, 이론과 증거의 조화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복수의 가설을 상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고, 지구과학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0965111908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19080.pdf", "abstract_en":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polar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polar research institut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aims to provide directions for improving domestic polar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database provided by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KOPRI), 120 programs from 16 research institutes in 9nine countries were selected. Each program was analyzed based on educational level, instructor, education period, learning place,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metho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mestic and foreign programs in terms of instructors, operational methods, educational places, and learning methods were found.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direction for improving domestic polar education by expanding the base of polar education, diversifying the learning methods, and systematizing polar education using examples of actual programs. Based on the scientific,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values and importance of the polar region, this study presents specific directions to further spread and sustain polar education and culture in Korea.",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극지 관련 연구소 및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극지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 학습 특징을 분석하여 국내 극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극지연구소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33개국 45곳의 극지 관련 연구소 및 기관 중 최종적으로 9개국 16곳의 연구소 및 기관에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120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했다. 교육 대상, 교수자, 교육 기간, 교육 장소, 운영 방식, 교수 학습 내용, 교수 학습 방법을 분석 기준으로 하여 프로그램들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교수자, 운영 방식, 교육 장소, 교수 학습 방법에서 국내외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 토대로 실제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극지 교육의 저변 확대, 극지 교육 프로그램 교육 방법의 다양화, 극지 교육의 체계화 측면에서 국내 극지 교육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본 연구는 극지에 대한 과학, 사회·경제·문화적 가치와 중요성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극지 교육과 문화를 더욱 확산, 지속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id": "JAKO20210965111906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19060.pdf", "abstract_en": "Damyang Wetland, a riverine wetland, has been designated as the first wetland protection area in South Korea and is a candidate area for the Mudeungsan Area UNESCO Global Geopark. The Damyang Wetland area is the upstream part of the Yeongsan River and is now a relatively wide plain. To reconstruct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round the Damyang Wetland, core samples were obtained, and sedimentary facies analysis, AMS and OSL age dataings, grain size, and geochem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addition, comprehensive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s were reconstructed using previous core data obtained from this wetland area. In the Yeongsan River upstream area, where the Damyang Wetland is located, fluvial terrace deposits formed during the late Pleistocene are distributed in an area relatively far from the river. As a gravel layer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lains, Holocene sediments were likely deposited in a braided river environment when the sea level stabilized after the middle Holocene. Then, as the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d from a braided river to a meandering river, the influx of sand-dominated sediments increased, and a floodplain environment was formed around the river. In addition, based on the pollen data, it is inferred that the climate was warm and humid around 6,000 years ago, with wetland deposits forming afterward. The the trench survey results of the river area around the Damyang Wetland show that a well-rounded gravel layer occurs in the lower part, covered by the sand layer. The Damyang Wetland was likely formed after the construction of Damyang Lake in the 1970s, as muddy sediments were deposited on the sand layer.", "abstract": "담양습지는 하도 내에 발달하는 하천습지로, 국내 처음으로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 후보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담양습지 인근은 영산강 상류지역으로 현재는 비교적 넓은 평야지대가 분포한다. 담양습지 주변의 퇴적환경을 해석하고자 시추코어를 획득하였고, 퇴적상, 연대측정(AMS, OSL), 입도분석, 지화학 분석 등을 수행했다. 또한 습지 주변의 기존 시추 코어 자료를 사용하여 종합적인 퇴적환경 변화를 해석했다. 담양습지가 분포하는 영산강 상류 일대의 평야 지역은 후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형성된 하안단구 퇴적층이 비교적 하도와 먼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홀로세 퇴적층은 자갈층이 평야 일대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어 홀로세 중기 이후 해수면이 안정화 된 다음에 망상하천의 형태로 퇴적된 것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현재와 같은 사행하천으로 전이되면서 주로 모래가 우세한 퇴적물이 유입되었으며, 하도 주변으로는 범람원 환경이 조성되었다. 또한 화분분석 결과를 근거로 약 6천년 전후에는 온난 습윤한 환경이었으며 이후 습지 퇴적층이 발달한 것으로 추정했다. 담양습지가 분포하는 하도 일대의 트렌치 조사 결과 하부에는 원마도가 좋은 자갈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자갈층 상부를 모래층이 덮고 있다. 담양습지는 1970년대 담양호가 건설된 이후 모래층 상부에 머드층이 퇴적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id": "JAKO20210965111906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19068.pdf", "abstract_en": "Over the past decade, the number of national geoparks has rapidly increased, and 13 areas are currently designated as geoparks. After Jeju Island (2010), Cheongsong (2017), Mudeungsan (2018), and Hantangang River (2020) National Geoparks were listed as UNESCO Global Geoparks. Despite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national geoparks and UNESCO global geoparks, the public interest in geoparks and the effect of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by geoparks are not yet very significant. Some geopark management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geopark characters to appeal to the public through intimacy and friendliness, utilizing parks for education and tourism. However, the characters are not being utilized properly due to a lack of plannings, expertise, storytelling, and management. For geopark characters, which have been neglected since development, to perform their original roles, content production based on appropriate budget compilation and analysis of consumption trends in the character market is necessary. Instead of merely using geopark characters, geopark characters should be loved by the public, as well as local residents.", "abstract": "최근 10년 사이 우리나라의 국가지질공원은 급속히 증가하여 현재 13곳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 제주도에 이어 2017년 청송, 2018년 무등산권, 2020년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하지만 국가지질공원 및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속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아직 지질공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나 지질공원을 통한 지역 경제발전에 대한 기여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질공원에서는 지질공원을 교육 및 관광 사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대중의 친밀도와 우호성을 높이고자 지질공원 캐릭터를 개발하였지만, 다른 공공 캐릭터에서 나타나는 캐릭터 기획과 전문성 부족, 이미지 형성 이후의 스토리텔링 부족, 캐릭터 관리 부족 등의 이유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개발 이후 방치되고 있는 지질공원 캐릭터가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 캐릭터 관리를 위한 예산 편성과 2) 캐릭터 시장의 소비 경향 분석에 근거한 콘텐츠 제작이 필요하다. 단순히 소비되기 위한 이미지로서 캐릭터 대신,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대중에게 사랑받는 지질공원 캐릭터가 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id": "JAKO202110348498356", "publication_date": "2021.02.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348498356.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grasp the specific correlation between the raw material and the occurrence of leakag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kage by adjusting the type and content of the raw material constituting the asphalt mastic coating waterproofing material. To this end, two raw materials, CA (calcium carbonate) and ASE (anti-sedimentation), which are organic and mineral extender for asphalt mastic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were selected. viscosity and oil leakage stability (20 ℃, 40 ℃)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oil leakage stability and viscosity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A average particle size, and it was quantitatively proven that a correlation in proportion to the ASE content was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core data for basic mixing design in the future mixing studies to improve leakage of asphalt mastic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를 구성하는 원료의 종류 및 함량을 조정하여 누유발생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원료와 누유발생 간 특정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의 유·무기계 체질안료인 CA(탄산칼슘)와 ASE(침강방지제) 두 개 원료를 선정하였으며, 입도 및 함량을 변수로 설정하여 배합을 통해 샘플시료를 조성하고 샘플시료별 점도 및 누유안정성(20℃, 40℃)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결과, 누유안정성 및 점도는 CA 평균입도에 반비례하며, ASE 함량에 비례하는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 방수재의 누유 개선을 위한 배합 연구 시 기초 배합설계의 핵심적인 근거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0348498349", "publication_date": "2021.02.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348498349.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to solve the lift problem of the existing unit curtain wall type by using the vertical material mullion as a rail in curtain wall, which is recently used as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for high-rise buildings. It has been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curtain wall mullion's rail can be quantified even at 20m/sec wind speed through the Mock-Up test. Based on the sites selected for comparison of construction methods, it was analyzed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could be shortened by 48 days, or about 20 percent.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construction workers could be reduced by about 33 percent from the previous nine to six. Based on these results, assuming the installation of curtain wall units of 10,000㎡, it is judged that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by 80% or more.",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고층 건축물의 외장 마감으로 사용되는 커튼월 중, 유니트 커튼월 방식의 양중 문제 해결을 위하여 커튼월의 수직부재인 멀리온을 레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커튼월 멀리온의 레일 적용에 따른 양중 가능 여부는 Mock-Up Test의 진행을 통해 20m/sec의 풍속에도 양중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를 위해 선정된 현장 기준으로 공사 기간은 약 20% 단축이 가능하며 투입 인원은 약 33%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0,000㎡의 설치를 가정하면 80% 이상의 시공비용 절감이 가능한 공법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716314792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20.pdf", "abstract_en": "In order to acquire an image in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t is necessary to draw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cintillation pixels of the detector module measured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in a detector module using a plurality of scintillation pixels and a small number of photosensors, it is necessary to obtain a flood image and divide a region of each scintillation pixel to obtain a position of a scintillation pixel interacting with a gamma ray. Alternatively, when the number of scintillation pixels and the number of photosensors to be used are the same, the position coordinates for the position of the scintillation pixels can be directly acquired as digital signal coordinates.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scintillation pixels and a small number of photosensors requires a process of obtaining digital signal coordinates requires a plurality of photosensors and a signal processing system. This complicates the signal processing process and raises the cost.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of obtaining digital signal coordinates without perform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lanar image and region using a plurality of flash pixels and a small number of optical sensors. This is a method of obtaining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s of the flash pixels interacting with the gamma ray as a digital signal through a look-up table created through the signals acquired from each flash pixel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function.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DETECT2000, and verification was performed on the proposed method. As a result, accurate digital signal coordinates could be obtained from all the flash pixels, and if this is applied to the existing system, it is considered that faster image acquisition is possible by simplifying the signal processing process.", "abstract":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기에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동시 측정된 검출기 모듈의 섬광 픽셀의 위치 좌표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수의 섬광 픽셀과 소수의 광센서를 사용하는 검출기 모듈에서는 평면 영상을 획득하여 각 섬광 픽셀의 영역을 나누어 감마선과 상호작용한 섬광 픽셀의 위치를 획득해야 한다. 또는 사용하는 섬광 픽셀의 수와 광센서의 수를 동일하게 구성할 경우는 섬광 픽셀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를 직접 디지털 신호 좌표로 획득할 수 있다. 다수의 섬광 픽셀과 소수의 광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은 평면 영상 획득과 영역을 나누는 과정이 필요하며, 디지털 신호 좌표를 직접 획득하는 방법은 다수의 광센서와 신호처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는 신호처리 과정이 복잡해지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섬광 픽셀과 소수의 광센서를 사용하여 평면 영상 및 영역의 분리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좌표를 획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최대우도함수를 사용하여 각 섬광 픽셀에서 획득한 신호를 통해 작성된 순람표를 통해 감마선과 상호작용한 섬광 픽셀의 위치 좌표값을 디지털 신호로 획득하는 방법이다. DETECT2000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제시한 방법에 대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섬광 픽셀에서 정확한 디지털 신호 좌표를 획득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존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신호처리 과정의 단순화로 보다 빠른 영상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313809122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29.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reference value of the intracranial translucency(IT) of the fetus using the mid sagittal plane of the post brain in the early pregnancy ultrasound screening test and to find the clinical significance. From August 2018 to February 2020, the IT of 1529 singleton fetus whose crown lump length were 40.6 mm to 78.3 mm in length among the mothers undergoing regular checkups at Hospital I were measur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As the crown lump length increased, the IT showed a 54.3% explanatory power and tended to increase(p<0.001). In addition,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standard value for the percentile of the IT by gestational weeks was calculat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standard value for Koreans with an IT, and it will be usefully applied as an auxiliary screening test for spina bifida in the evaluation of fetal post brain in early pregnancy.", "abstract": "본 연구는 임신초기 초음파 선별검사에서 태아의 후뇌 정중면을 이용하여 태아의 두개내투명대 기준 값을 제시하고 임상적인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2018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I 병원 정기검진을 받는 산모들 중 머리엉덩길이 40.6 mm에서 78.3 mm에 해당되는 단태아 1529명의 두개내투명대를 측정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에서 머리엉덩길이가 증가할수록 두개내투명대는 54.3%의 설명력을 보이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또한 빈도분석을 통해 임신주수별 두개내투명대의 백분위수 기준치를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태아 두개내투명대의 한국인 기준치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임신초기 태아 후뇌의 평가에 있어서 척추이분증의 보조적 선별검사로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id": "JAKO20211313809126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65.pdf", "abstract_en": "This study is a prior research to manufacture a thermoplastic mask, which is a fixture used in radiation therapy, by 3D printing. It proceeded to analyze the filament material that can replace the thermoplastic. Among the commercially available filament materials, a material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at of a thermoplastic mask was selected and the radiation dos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experiment used Monte Carlo simulation. The shape in which the mask fixed the head was simulated for the ICRU sphere. The photon fluence was calculated at the skin Hp (0.07), the lens Hp (3), and the whole body Hp (10) by applying a thermoplastic plastic material and a filament material. As a result, when looking at the relative dose based on the thermoplastic plastic material, the difference was approximated within 4%. The material showing the most similar dose was PA-nylon. In selecting an appropriate filament material, it should be select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various conditions such as economical efficiency and radiation effects.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abstract": "본 연구는 방사선치료 시 사용하는 고정용구 인 열가소성 플라스틱 마스크를 3D 프린트로 제작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써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필라멘트 재질을 분석하고자 진행하였다. 시중에 상용화되어 있는 필라멘트 재질 중 열가소성 플라스틱 마스크와 특성이 유사한 재질을 선택하여 방사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은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였으며, 마스크가 두부를 고정한 형태를 ICRU구를 대상으로 모사하고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질과 필라멘트 재질을 적용하여 피부 Hp(0.07), 수정체 Hp(3), 전신 Hp(10) 지점에서 광자 플루언스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질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선량을 보면 차이가 4% 이내로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유사한 선량을 보인 재질은 PA-nylon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필라멘트 재질 선택에 있어서 경제성, 방사선 영향 등 다양한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이며, 본 연구 결과를 기초적인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1313809126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60.pdf", "abstract_en": "Scattered x-ray generated by digital radiography systems also have the advantage of increasing signals, but ultimately detectability is reduced by decreasing resolution and increasing noise of x-ray images transmitted objects. An indirect method of measuring scattered x-ray in a modulation-transfer function (MTF) for evaluating resolution in a spatial-frequency domain can be considered as a drop in the MTF value corresponding to zero-frequency. In this study,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was used as a patient tissue equivalent, and MTFs were obtained for various thicknesses to quantify the effect of scattered x-ray on resolution. X-ray image signals were observed to decrease by 35 ~ 83% with PMMA thickness increasing, which is determined by the absorption or scattering of x-rays in PMMA, resulting in reduced MTF and increased scatter fraction. The method to compensate for MTF degradation by PMMA resulted in the MTF infl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optical spreading generated by the indirect-conversion type detector. Data fitting or zero-padding are needed to compensate for MTF more reasonably on edge-spread function or line-spread function.", "abstract": "디지털 래디오그라피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산란선은 신호의 증가를 가져오는 장점도 있지만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선 영상의 해상도 저하, 노이즈 증가로 궁극적인 검출능이 감소된다. 공간주파수 도메인에서 해상도를 평가하기 위한 변조전달함수(modulation-transfer function, MTF)에서 간접적으로 산란선을 측정하는 방법은 제로-주파수에 해당하는 변조전달함수 값이 강하되는 정도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자 조직 등가물질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를 사용하였으며 다양한 두께에 대한 변조전달함수를 획득하여 산란선이 해상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다. PMMA 두께 증가에 따라 엑스선 영상 신호는 35 ~ 83%까지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는 PMMA에 엑스선이 흡수 혹은 산란되는 양상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변조전달함수를 저하시키는 것과 동시에 산란선 비율을 증가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PMMA에 의한 변조전달함수 저하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은 간접변환방식 검출기에서 발생되는 빛 퍼짐 경향까지 절단하여 변조전달함수 값의 상승을 가져왔다. 보다 합리적인 방법으로 경계확산함수(edge-spread function, ESF) 혹은 선확산함수(line-spread function, LSF)에서의 피팅, 제로 값으로 채우는 처리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313809122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23.pdf", "abstract_en": "In the AAPM CT performance phantom, there is little data on the CT number of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physical density corresponding to each peg and water of the CT number calibration insert. Therefore, the necessity of documentation was raised.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effective atomic number for each peg and water of the CT number calibration insert in the AAPM CT performance phantom, and to measure the CT number for the calculated effective atomic number and physical density for comparative analysis.In order to obtain CT number data on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physical density of each peg and water from the CT number calibration insert of the AAPM CT performance phantom, the effective atomic number for each peg and water was first calculated. Then, CT slices were obtained by scanning the CT number calibration with a CT scanner. CT numbers were measured for each peg and water in the central CT slice. As a result, the CT numbers for the effective atomic number showed a nonlinear pattern of repeat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as the effective atomic number increased. In addition, the CT numbers for physical density showed a nonlinear pattern of repeat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as the physical density increased.", "abstract": "AAPM CT 성능 팬텀에서 CT수 교정 삽입부의 각 핀과 물에 대응하는 유효원자번호 및 물리적 밀도에 대한 CT수에 관한 자료가 거의 없다. 따라서 자료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AAPM CT 성능 팬텀에서 CT수 교정 삽입부의 각 핀 및 물에 대하여 유효원자번호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효원자번호 및 물리적 밀도에 대한 CT수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AAPM CT 성능 팬텀의 CT수 교정 삽입부에서 각 핀과 물의 유효원자번호 및 물리적 밀도에 관한 CT수의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먼저 각 핀과 물에 대한 유효원자번호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CT스캐너로 CT수 교정 삽입부를 스캔하여 CT슬라이스들을 획득하였다. 중심 CT슬라이스에서 각 핀과 물에 대하여 CT수들을 측정하였다. 결과로서, 유효원자번호에 대한 CT수들은 유효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비선형적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물리적 밀도에 대한 CT수들도 물리적 밀도가 증가할수록 비선형적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id": "JAKO20211313809125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50.pdf", "abstract_en": "The examination using diagnostic x-ray equipment is one of the most useful diagnostic equipment for identifying information in the human body in diagnostic radiology.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examinations has recently increased a lot. Increasing the number of examinations will accelerate the aging of the device. In addition, this makes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for the diagnostic x-ray device. Particularly, in a diagnostic x-ray device, quality control refers to an act of always maintaining a certain level of image quality by identifying and correcting all problems that may lead to reduction of the diagnosis area in advance.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s and reports general information about quality control in examinations using diagnostic x-ray equipment.", "abstract":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한 검사는 영상의학과에서 인체 내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진단장비 중 하나로 신뢰도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영상의학과 영역의 진단 검사 장비를 이용한 검사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검사 건수 증가는 장치의 빠른 노화를 불러일으키고 이로 인해 장치에 대한 정도관리(quality control, QC)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정도관리란 검사시작부터 검사가 끝날 때 까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사전에 알아내고 대처하여 신뢰가 확보된 영상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과정에 있는 일련의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정도관리에 대해보고 한다."} {"id": "JAKO20211313809131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318.pdf", "abstract_en": "The pattern of the tree's internal swelling depends on many causes. Sinc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se various causes of swelling with a general method, if the state of swelling for a long time cannot be confirmed, serious damage to the trees may occur due to enlargement of the swelling area. In the method of acquiring a tree tomography image, an impulse passing through the tree is generated by tapping the sensor with a rubber mallet, and the moving speed is recorded. In this paper, to measure cracks, cavities, and swelling due to physical damage, we developed a 3D viewer that can know the internal state of a tree using a tree cross-section image acquired from Arbotom to determine the degree of swelling inside the tree. Based on this, we tried to present data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surgical operation of trees is required. In order to acquire a tomographic image of a tree, 6 sensors were attached to the three Yangpala and Maple trees, and a 1 m-long tree was measured using the Arbotom program, and a 3D image was implemented through the 3D Viewer created using MATLAB. In addition to simply acquiring images, the cross-sectional length and volume of the tree were measured. In the actually produced 3D Viewer, the length of the part where the swelling of the maple tree occurred was 33.12 cm, and the swelling of the yangpala tree was measured as 21.41 cm. The volume of the maple tree was measured to be 78.832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ross-sectional image of the Arbotom and the 3D image, the same result as the real aspect of the tree was obtained, so it can be judg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manufactured software is also secured, and data to be applied to the surgical tree operation through the created Viewer is provided. It is believed that the damage will be minimized.", "abstract": "수목의 내부 부후의 양상은 많은 원인에 의존한다. 이런 다양한 부후의 원인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탐지가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 부후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면 부후 부위의 확대로 인해 수목의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수목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은 센서를 고무망치로 두드려 수목을 통과하는 임펄스가 생성되어 이동하는 속도를 기록한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손상에 의한 균열, 공동, 부후를 측정할 수 있도록 Arbotom에서 획득한 수목 단면 영상을 이용하여 수목의 내부 상태를 알 수 있는 3D 뷰어를 개발하여 수목 내부의 부후가 진행된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목의 외과적 수술이 필요한 경우 참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목의 단층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세 그루의 양버즘 나무와 단풍 나무에 6개의 센서를 부착하여 1m 길이의 나무를 Arboto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MATLAB을 이용하여 제작한 3D Viewer를 통하여 3D 영상을 구현하였다. 단순히 영상의 획득 뿐만 아니라 수목의 단면 길이와 부피를 측정하였으며 실제로 제작한 3D Viewer에서 단풍 나무의 부후가 발생된 부분 길이는 33.12 cm, 양버즘 나무의 부후는 21.41 cm로 측정되었으며 단풍 나무의 부후의 부피는 78.832 ㎤로 측정되었다. Arbotom의 단면 영상과 3D 영상을 비교한 결과 수목의 실제 양상과 같은 결과를 획득하였기 때문에 제작된 소프트웨어 신뢰성 또한 확보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작된 Viewer를 통하여 외과적 수목 수술에 적용할 데이터를 제공해 수목의 피해를 최소화 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313809124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45.pdf", "abstract_en": "X-ray image analysis is a very important field to improve the early diagnosis rate and prediction accuracy of periodontal diseas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lgorithms to improve the quality of such dental X-ray images is being widely conducted worldwide.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super-resolution algorithm for predicting periodontal disease and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in dental X-ray images. The super-resolution algorith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nvolution layer and ReLU, and an image obtained by up-sampling a low-resolution image by 2 times was used as an input data. Also, 1,500 dental X-ray data used for deep learning training were used.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s used root mean square error and structural similarity, which are factors that can measure similarity through comparison of two images. In addition, the recently developed no-reference based natural image quality evaluator and blind/referenceless image spatial quality evaluator were addition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average similarity and no-reference-based evaluation values were improved by 1.86 and 2.14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existing bicubic-based upsampling method when the proposed method was used. In conclusion, the super-resolution algorithm for predicting periodontal disease proved useful in dental X-ray images, and it is expected to be highly applicable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abstract": "치주질환의 조기 진단률 및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X-선 영상 분석은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이러한 치과 X-선 영상의 화질 개선을 위한 인공 지능 기반의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수행 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치주질환 예측을 위한 치과 X-선 영상에서의 초해상화 알고리즘의 모델링 및 적용 가능성에 관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초해상화 알고리즘은 convolution layer와 ReLU를 기반으로 구성하였고, 저해상도 영상을 2배로 업샘플링 한 영상을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딥러닝 훈련을 위해 사용한 치과 X-선 데이터는 1,500장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평가는 2가지 영상의 비교를 통해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인자인 root mean square error와 structural similarity를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 개발된 no-reference 기반으로 사용되는 natural image quality evaluator 와 blind/referenceless image spatial quality evaluator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에 사용되던 bicubic 기반의 업샘플링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에 비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치과 X-선 영상에서 평균적으로 유사도와 no-reference 기반의 평가 인자가 각각 1.86 그리고 2.14배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치주질환의 예측을 위한 초해상화 알고리즘의 치과 X-선 영상에서의 유용성을 증명하였고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13809121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18.pdf", "abstract_en":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basis for a dose reduction strategy by confirming correlations with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radiation dose based on the dose records in low-dose chest CT and abdominal non-contrast CT. In order to find out the causes of unnecessary exposure, the correlation between seven factors (age, gender, height, weight, BMI, patient status [inpatient and outpatient], and use of dose modulation) and CT dose were identified.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correlation verification. In the low dose chest CT, as the higher values of height and BMI and dose modulation off were associated with lowering the risk exceeding Diagnostic Reference Levels(DRL) (odds ration<1, p<0.05). However, as woman compared to man and the higher values of weight were associated with highering the risk exceeding DRL (odds ration>1, p<0.05). In the abdomen CT, as dose modulation off were associated with lowering the risk exceeding DRL (odds ration<1, p<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ffecting radiation exposure and patient radiation dose for reducing the dos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흉부 저선량 CT와 복부 비조영 CT에서 선량기록을 바탕으로 환자선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과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실질적인 선량 감소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흉부 저선량 CT와 복부 비조영 CT 검사 시 불필요하게 피폭이 발생하는 원인을 찾기 위해 7가지 요인(나이, 성별, 키, 몸무게, BMI, 환자 상태 (입원, 외래), dose modulation 활성화 유무)과 CT 선량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사용된 통계기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흉부 저선량 CT 검사에서는 키가 클수록, BMI 가 높을수록, dose modulation을 비활성화한 경우에 진단참고수준 (diagnostic reference levels, DRL) 기준치의 초과 위험률이 낮아졌다 (odds ration<1; p<0.05). 또한 여성의 경우와 몸무게가 클수록 DRL 기준치의 초과 위험률이 높아졌다 (odds ration>1; p<0.05). 복부 비조영 CT 검사에서는 몸무게가 클수록, dose modulation을 비활성화한 경우에 DRL 기준치의 초과 위험률이 낮아졌다 (odds ration<1; p<0.05). 이처럼 방사선 피폭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환자 선량과의 연관성을 찾고 이에 따른 선량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0716314794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47.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written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 in non-destructive fields based on Mixed Reality. Currently, in the field of radiation, there is almost no content for educational Mixed Reality-based educational content. And in the field of non-destructive inspection, the working environment is poor, the number of employees is often 10 or less for each manufacturer, and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is not built. There is no practical training, only practical training and safety education to convey information. To solve this, it was decided to develop non-destructive worker education content based on Mixed Reality. This content was developed based on Microsoft's HoloLens 2 HMD device. It is manufactured based on the resolution of 1280 ⁎ 720, and the resolution is different for each device, and the Side is created by aligning the Left, Right, Bottom, and TOP positions of Anchor, and the large image affects the size of Atlas. The large volume like the wallpaper and the upper part was made by replacing it with UITexture. For UI Widget Wizard, I made Label, Buttom, ScrollView, and Sprite.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provide workers with realistic educational content, enable self-directed education, and educate with 3D stereoscopic images based on reality to provide interesting and immersive education. Through the images provided in Mixed Reality, the learner can directly operate thing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Reality, and the learner's lear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mixed reality education can play a major role in non-face-to-face learning content in the corona era, where time and place are not disturbed.", "abstract": "본 연구는 혼합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비파괴 분야의 교육용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시행되었다. 현재 방사선 분야에는 교육용 혼합현실 기반 교육용 콘텐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비파괴검사분야는 작업 환경이 열악하고, 종사자 수도 한 업체당 직원 수가 10인 이하인 곳이 많고, 교육적 인프라도 잘 구축되어 있지 않다. 강의식으로 전달만 하는 실습교육과 안전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혼합현실을 기반으로 한 비파괴 종사자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 콘텐츠는 Microsoft사의 HoloLens 2 HMD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1280⁎720의 해상도를 기준으로 제작되었고, 디바이스마다 해상도가 달라 Anchor의 Left, Right, Bottom, TOP위치를 맞추어 Side를 제작하였고, 이미지가 큰 것은 Atlas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경화면이나 상단 바와 같이 부피가 큰 것은 UITexture로 대체하여 제작되었다. UI Widget Wizard에서는 Label, Buttom, ScrollView, Sprite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종사자에게 현장감 있는 교육내용을 제공하고, 자기 주도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고, 현실을 바탕으로 한 3D 입체영상으로 교육할 수 있어 흥미와 몰입도 있는 교육을 시행할 수 있다. 혼합현실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통해 현실세계와 가상현실 간에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가 직접 사물을 조작할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혼합현실 교육을 시행하면 시간과 장소에 구해를 받지 않아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 학습 콘텐츠로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0716314794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41.pdf", "abstract_en": "Republic of Korea has many nuclear facilities in the country, and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North Korea) locates in the surrounding coun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target facility's nuclear forensic data in a preemptive response to the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suggests \"signature\" materials used to understand the origins and sources of nuclear and other radioactive materials, taking into account domestic nuclear facilities and the nuclear fuel cycle. In domestic, pressurized light water reactors and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s are in operation, and enriched and natural uranium are used as fuels. In the front-end fuel cycle, the signature materials can be nature uranium and UF6 in the uranium enrichment process. The domestic back-end fuel cycle adopts a non-circulating cycle excluding the reprocessing process, and the primary signature material is spent nuclear fuel. According to IAEA recommendation, the importance of these materials as the signature and characteristic content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o prove the integrity of nuclear material and build a national nuclear forensics librar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signature material and acquire the characteristic data considering the domestic nuclear facilities and the nuclear fuel cycle.", "abstract": "국내에는 다수의 원자력시설이 존재하며, 지리적으로 비핵화 대상국인 북한을 주변국으로 두고 있다. 변화하는 국제 정세에 따른 선제적 대응으로 대상시설에 대한 핵감식 데이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원자력시설 및 핵연료 주기를 고려하여 핵물질 및 기타 방사성물질의 기원 또는 출처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표지물질을 제시하였다. 국내에서는 경수로 및 중수로를 운용하고 있으며 각각 핵연료로 농축 우라늄과 천연우라늄을 사용한다. 국내 선행핵연료주기에서 표지물질은 중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연료인 천연우라늄과 우라늄 농축과정의 UF6으로 생각할 수 있다. 국내 후행핵연료주기는 재처리 과정을 제외된 비순환 주기를 채택하고 있어 주요 표지물질은 사용후핵연료가 된다. 해당 물질들에 대해 IAEA 문헌에서 권고하는 표지물질의 시그니처 중요도를 판단하고 조사 항목을 제시하였다. 향후 핵감식에서 핵물질 관리에 대한 무결성 입증과 국가 핵감식 역량을 높이기 위한 핵감식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해 국내 원자력시설과 핵연료주기를 고려한 표지물질을 파악하고 해당물질 별 시그니처 데이터를 확보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0716314793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3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image quality before and after reducing the amount of contrast medium in cerebral hemorrhagic patients who periodically follow up CT, and after reducing the amount of contrast medium, the image before and after reduction was examined, and the image quality was assessed by setting ROI at each vessel location using MMWP program. First Rt. CCA, Lt.CCA. Rt.MCA, Lt.MCA and Basilar Artery each got an ROI. Seco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for the ROI were obtained. Third, SNR and CNR were obtained through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obtained. T-test statistics show that the SNR and CNR values obtained show that the result values for SNR are Rt.CCA 0.765, Ltd.CCA 0.871, Rt.MCA 0.343 LT.MCA 0.235, Basilar alternative 0.916, result value for CNR Rt.CCA 0.088, Ltd.CCA 0.069, Rt.MCA 0.818, Let's...MCA 0.579 and Basilar Artery 0.878.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obtained SNR and CNR values showed no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the images before and after reducing contrast medium. Theref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n indicator that reduces the burden on contrast agents on patients who do CT examinations periodicall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주기적으로 follow up CT를 촬영하는 뇌출혈 환자에게 조영제의 양을 줄임으로써 줄이기 전과 후의 영상의 화질의 차이가 있는지에 관하여 조사하는 것이었고, 줄이기 전과 후의 영상을 검사한 후 MMW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혈관 위치에 ROI를 설정하여 화질을 평가하였다. 먼저 Rt. CCA, Lt.CCA. Rt.MCA, Lt.MCA, Basilar artery에 각각 ROI를 잡았다. 둘째, 잡은 ROI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값을 구하였다. 셋째, 구해진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통하여 SNR과 CNR을 구하였다. 구하여진 SNR값과 CNR값을 T-test 통계를 구한 결과 SNR에 대한 결과 값은 Rt.CCA 0.765, Lt.CCA 0.871, Rt.MCA 0.343, Lt.MCA 0.235, Basilar artery 0.916이며, CNR에 대한 결과 값은 Rt.CCA 0.088, Lt.CCA 0.069, Rt.MCA 0.818, Lt.. MCA 0.579, Basilar artery 0.878로 나타났다. 구해진 SNR값과 CNR값을 통하여 통계를 구한 결과값이 조영제를 줄이기 전과 후의 영상의 화질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주기적으로 CT검사를 하는 환자들에게 조영제에 대한 부담이 덜어질 수 있는 지표가 되기를 바랍니다."} {"id": "JAKO20210716314796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6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quation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ose rate for each component calculated at the measurement point outside the maze door when designing the maze door of 6 MV X-ray beam. Based on the component-specific dose rate calculation formula for the measurement point outside the maze door described in NCRP Report 151 and IAEA Safety Report Series 47, the dose rat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component when applying the values of the drawing-based parameters and the dose rat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component when applying the values of conservative parameters are derived. From the two dose rate calculation formulas for each component, the dose rate verification formula for each component at the measurement point outside the maze door was derived. The resulting dose rate verification formula for each component at the measurement point outside the maze door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whether the dose rate for each component at the measurement point outside the maze door calculated by the designer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dose rate obtained from the derived dose rate verification formula for each component. This verification formula is considered to be practically useful in verifying the accuracy of the dose rate for each component calculated by the designe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6 MV X선 빔의 미로 도어 설계 시 미로 도어 바깥 측정지점에서 계산되는 성분별 선량률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식을 유도하는데 있다. NCRP 보고서 151과 IAEA 안전 보고서 시리즈 47에 기술된 미로 도어 바깥 측정지점에 대한 성분별 선량률 계산식 기반으로, 도면 기반 파라미터들의 값 적용시 성분별 선량률 계산식 및 보수적 파라미터들의 값 적용 시 성분별 선량률 계산식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성분에 대한 두 개의 선량률 계산식들로부터, 미로 도어 바깥 측정지점에서 성분별 선량률 검증식은 유도되었다. 결과로서 얻어진 미로 도어 바깥 측정지점에서 성분별 선량률 검증식은 설계자가 계산한 미로 도어 바깥 측정지점에서 성분별 선량률이 유도된 성분별 선량률 검증식에서 얻어진 선량률 범위 안에 포함되는지 비교분석할 수 있다. 이 검증식은 설계자가 계산한 성분별 선량률의 정확성을 검증하는데 실무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0716314793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33.pdf", "abstract_en": "Computed tomography (CT) has the problem of having more radiation exposure compared to other radiographic apparatus. There is a low-dose imaging technique for reducing exposure, but it has a disadvantage of increasing noise in the image. To compensate for this,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that improve image quality while reducing the exposure dose of patients, of which the median modified Wiener filter (MMWF) algorithm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T devices with excellent time resolution has been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timize the mask size of MMWF algorithm and to see the excellence of noise reduction of MMWF algorithm for existing algorithms. After applying the MMWF algorithm with each mask sizes set from the MASH phantom abdominal images acquired using the MATLAB program, which includes Gaussian noise added, and compared the values of root mean square error (RMSE),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coefficient correlation (CC), and universal image quality index (UQI). The results showed that RMSE value was the lowest and PSNR, CC and UQI values were the highest in the 5 x 5 mask size. In addition, comparing Gaussian filter, median filter, Wiener filter, and MMWF with RMSE, PSNR, CC, and UQI by applying the optimized mask size. As a result, the most improved RMSE, PSNR, CC, and UQI values were showed in MMWF algorithms.", "abstract": "전산화단층촬영장치 (computed tomography, CT)는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와 비교하면 피폭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피폭을 감소하기 위하여 저선량 촬영을 하게 되면 영상에 잡음이 증가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환자의 피폭선량은 감소시키면서 영상의 화질을 향상하는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으며, 그 중 우수한 시간 분해능을 가진 CT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median modified Wiener filter (MMWF) 알고리즘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MMWF 알고리즘의 마스크 크기를 최적화하고, 기존의 알고리즘들에 대한 MMWF 알고리즘의 잡음 제거의 우수성을 보는 것이다.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획득한 Gaussian 잡음이 부가된 MASH 팬텀 복부 영상들로부터 각각의 마스크 크기가 설정된 MMWF 알고리즘을 적용한 후 root mean square error (RMSE),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coefficient correlation (CC) 그리고 universal image quality index (UQI) 값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5 × 5 마스크 크기에서 RMSE 값이 가장 낮고, PSNR, CC, UQI 값이 가장 높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적화된 마스크 크기로 Gaussian 필터, median 필터, Wiener 필터에 대한 MMWF의 RMSE, PSNR, CC, UQI 값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MMWF 알고리즘에서 가장 개선된 RMSE, PSNR, CC, UQI 값을 얻을 수 있었다."} {"id": "JAKO20210716314796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63.pdf", "abstract_en": "In radiation therapy, electron beam is often used in the treatment of superficial lesion. Accurate measurements are required because electron beam interacts with them in the beam path and affects dose measurement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electron beam quality assurance. in this study, PbO-based dosimeter was fabricated as a basic study for electron beam quality assurance. Thus, the reproducibility and linearity of the energy of 6, 9, and 12 MeV were analyzed to evaluate measurement accuracy and precision. Reproducibility measurements show RSD value of 1.024%, 1.019% and 0.890%, respectively, at 6, 9, and 12 MeV. linearity measurements show 0.9999 R2 at 6, 9, and 12 MeV altogether. Both evaluations show that the PbO dosimeter has very good measurement accuracy and precision with excellent results.", "abstract": "방사선 치료 영역에서 전자선은 표재성 병변 치료에 자주 쓰인다. 전자선은 빔 경로에 것들과 상호 작용하여 선량측정에 영향을 끼치기에 정확한 측정이 요구된다. 하지만 전자선 정도관리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선 정도관리를 위한 기초연구로 PbO 기반의 선량계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6, 9, 12 MeV 에너지에 따른 재현성, 선형성을 분석하여 계측정확성과 정밀성을 평가하였다. 재현성 측정결과 6, 9, 12 MeV에서 각각 1.024%, 1.019%, 0.890%의 RSD 값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형선 측정결과에서는 6, 9, 12 MeV에서 모두 0.9999 R2로 나타났다. 두 평가 모두 우수한 결과로 PbO 선량계의 계측정확성과 정밀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313809131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312.pdf", "abstract_en": "This study derives the relative cross-section for the natW(p,xn)176Re nuclear reaction by measuring the gamma rays generated from the nuclear reaction with natural tungsten using a 100 MeV linear accelerator of the Korea Multi-purpose Accelerator Complex in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In general, research on isotopes with a short half-life always shows a tendency that the intensity of radioactivity decreases rapid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making it very difficult to measure itself. In particular, 176Re is one of the relatively short radionuclides with a half-life of 5.3 minutes. In this study, 109.08 keV gamma rays generated from the 176Re isotope having such a short half-life were measured using a high-purity Ge detector(HPGe detector). The obtained relative measurements were the results in the 8 to 14 MeV proton energy domain published by Richard G. in 1967, and the TENDL-2019 value, which was the result of A. J. Koning in 2019, which evaluated the nuclear reaction cross-section by calculation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ly applied to the design of nuclear fusion reactor which is known as future energy sources, elements ratio for the nuclear synthesis of astrophysics.",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100 MeV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여 천연텅스텐과의 핵반응으로 부터 발생시켜 발생되는 감마선을 측정하여 natW(p,xn)176Re 핵반응에 대한 상대핵반응단면적을 도출하였다. 일반적으로 반감기가 짧은 동위원소에 대한 연구는 항상 짧은 시간 내에 방사능의 강도가 급격하게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측정자체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특히 176Re의 경우는 반감기가 5.3 분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방사성핵종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짧은 반감기를 가지는 176Re 동위원소로부터 발생되는 109.08 keV 감마선을 고순도 Ge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얻어진 상대 측정값들은 1967년에 Richard G.에 의해 발표된 8 ~ 14 MeV 양성자에너지 영역에서의 결과와 이를 기반으로 계산에 의한 핵반응단면적에 대한 평가한 2019년 A. J. Koning의 결과인 TENDL-2019값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알려져 있는 핵융합로의 설계, 천체 물리학, 핵의학 및 양성자치료 분야에 요긴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1313809123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39.pdf", "abstract_en":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ests at three general hospitals in Busan that perform mammography using digital mammography devices. There were 5,320 people in the study, and the results of their breast cancer screening were analyzed to verify the efficacy of breast cancer screening for digital mammography.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ho performed breast cancer screening was 57.7 years (range 30 to 87 years), and the cancer detection rate was 26, with 4.6 cases per 1,000 people. According to the cancer detection rate by risk factor in patients who conducted breast cancer screening, breast cancer was found in patients without underlying diseases more than in patients with underlying diseases. Additional ultrasound examinations show that the gastronomic rate identified is 3.6%, which is relatively very low compared to that of the Film-Screen system.",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선별적 유방촬영술 방법의 하나인 디지털 유방촬영술을 시행한 5320명의 유방암검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디지털 유방촬영술을 통한 유방암검진의 효용성을 살펴보았다. 유방암 검진을 시행한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7.7세(범위 30~87세)이며 암 발견율은 26건으로 1000명당 4.6건에서 유방암이 발견 되었다. 유방암 검진을 실시한 환자들의 위험인자별 암 발견율을 살펴보면 대부분 아무런 기저질환이나 기왕력이 없는 환자에서 유방암이 발견되는 비율이 높았다. 추가적인 초음파 검사등을 통해 확인된 위음성율은 3.6 %로 Film-Screen system의 위음성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d": "JAKO20211313809120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07.pdf", "abstract_en": "The CT can accurately present the anatomical structure of an organ in the human body, and the resolution of the image is excellent. On Brain CT examination, the radiation sensitivity of the orbit is high and it is subject to many exposure effects. To reduce exposure dose of lens, this study compares change of exposure dose and shielding rate about non-shielding and shielding in a way of using two shielding materials, bismuth and tungsten. In this study, we used bismuth and tungsten filament as shielding materials made by 3D printing to measure the exposure dose according to the materials thickness and each of slices. To compare each shielding rate, 1 mm to 5 mm of two materials was measured with the head phantom fixed and the Magicmax universal dosimeter placed on the eye when the shielding material is not placed, and the shielding material is placed on it. In the 1 mm thick filament, the bismuth filament showed 26.8% and the tungsten filament showed 43.1% shielding rate. Therefore, tungsten presents much greater shielding effect than bismuth.", "abstract": "CT는 인체 내 장기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영상의 분해능이 우수하다. Brain CT 검사 시 수정체의 방사선 감수성이 높아서 피폭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본 연구는 수정체에 피폭선량을 감소하기 위해 비스무스와 텅스텐 필라멘트 차폐물질을 사용하여 Non-shield와 Shield에 대한 피폭선량의 변화와 차폐율을 비교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3D printing으로 제작한 비스무스, 텅스텐 필라멘트 차폐물질을 사용하여, 차폐물질 두께와 slice에 따라 피폭되는 선량을 측정하였다. 헤드팬텀을 고정시켜 안구에 Magicmax universal 선량계를 위치시켜 차폐 물질을 놓지 않았을 경우와 그 위에 차폐 물질을 놓았을 때 차폐율을 각각 비교하기 위해 두 물질을 1mm ~ 5mm 두께로 각각 측정하였다. 1 mm 두께의 필라멘트에서 비스무스 필라멘트는 26.8 %, 텅스텐 필라멘트는 43.1 % 차폐율이 나타났다. 따라서 비스무스 필라멘트보다 텅스텐 필라멘트에서 더 큰 차폐효과가 나타났다. 차폐체의 종류, 두께, 슬라이스 간격에 따라 선량을 측정한 결과, 비스무스 필라멘트 보다 텅스텐 필라멘트가 더 큰 차폐효과가 나타났다."} {"id": "JAKO20211313809130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306.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adiation protection effect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extracts known as antioxidant food. In this study 90 female rats were clssified in to 5 groups: NC Group, PBE Group, IR Group, PBE+IR Group and IR+PBE Group. In IR Group, 7 Gy of Co-60 gamma ray was irradiated to SD rat and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extracts were administered orally at 200 mg/kg once a day for 14 days. And then on the 1 day, 7 days, 21 days later after irradiation, changes in blood cell component,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y, spleen index,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of the ovary and uterus were observed. As a result, the PBE+IR Group (p<0.01, p<0.05) and IR+PBE Group (p<0.01, p<0.01) showed a significantly radiation protection than the IR Group in lymphocyte and red blood cell on the 21 days. It was also confirmed that SOD activity of PBE+IR Group (p<0.01) and IR+PBE Group (p<0.0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IR Group. In spleen index, PBE+IR Group (p<0.05) and IR+PBE Group (p<0.01) showed a significantly recovery than the IR Group. In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PBE+IR Group in the ovary and PBE+IR, IR+PBE Group in the uterus showed less inflammatory reactions of cystoplasm than the IR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judged that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Extracts have radiation protection effect against blood and reproductive. I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research of radiation protection agen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항산화 식품으로 알려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방사선 방호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90 마리의 암컷 Sprague-Dawley Rat을 일반군(NC Group),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추출물투여군 (PBE Group), 방사선조사군 (IR Group),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투여후 방사선조사군 (PBE+IR Group), 방사선조사 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투여군 (IR+PBE Group)의 5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방사선은 7 Gy의 Co-60 감마선을 전신조사 하였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14일 동안 1 일 1 회 200 mg/kg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1 일, 7 일, 21 일 후의 혈구 성분변화, 항산화 (SOD) 활성변화, 비장 지수 변화, 자궁과 난소의 조직병리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혈구 성분은 21일차에 림프구, 적혈구에서 IR Group보다 PBE+IR (p<0.01, p<0.05)와 IR+PBE Group (p<0.01, p<0.01)에서 유의한 방사선 방호가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도에서는 IR Group 보다 PBE+IR (p<0.01)와 IR+PBE Group (p<0.01)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활성이 나타났다. 비장 지수는 IR Group 보다 PBE+IR Group (p<0.05)과 IR+PBE Group (p<0.01)에서 유의한 방사선 회복이 나타났다. 조직병리학적인 변화에서는 IR Group과 비교하여 난소에서는 PBE+IR Group에서, 자궁에서는 PBE+IR Group과 IR+PBE Group에서 세포질의 팽창과 핵의 응축 및 세포 고사가 다소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방사선 조사에 따른 혈구 및 생식기에 대한 방사선 방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방사선 방호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13809127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77.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onducted not only to find out the effect of straight body exercise on neck pain, necks disability and neck length change of turtle neck syndrome patients but also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is field in the future. Number of 60 persons were selected by pre-test and divided to 21 persons in straight body exercise group, 19 persons in exercise group and 20 persons in control group(non-exercise group). 5 kinds of straight body exercise were applied in straight body exercise group, 8 kinds of strengthening cervical vertebral exercise were applied in exercise group and no exercise was applied in control group. Neck pain, necks disability index and neck lengt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and 10 weeks later as wel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v18.0). In straight body exercise group and exercise group, neck length, neck pain and necks disability inde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ight weeks of exercis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group. Neck length which was checked every week in straight body exercise group and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3 weeks.. After 2 weeks of 8 weeks exercise, neck length, neck pain and necks disability were checked again in post test and those results were maintained just like 8 weeks exercise status. As above results, it was more efficient in the straight body exercise group than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to decrease neck pain, necks disability and neck length of turtle neck syndrome patients. Furthermore, after 2 weeks of 8 weeks exercise, the results were maintained just like 8 weeks exercise status. Therefore, the author consider that straight body exercise will be effective exercise for turtle neck syndrome patients, and this study woul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is field in the future.", "abstract": "본 연구는 정체 운동이 거북목 증후군의 경부통증과 경추 기능장애지수의 감소 효과와 목 길이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거북목 증후군의 중재방안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사전 검사를 통해 선별된 총 60명 중 정체 운동군 21명, 운동군 19명, 대조군 20명 이었으며, 정체 운동군은 5가지 정체 운동요법을 적용하였고, 운동군은 8가지 경추 강화 운동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아무런 운동을 시행하지 않았다. 운동 전.후 및 10주 후에 경부통증, 경추 기능장애지수 및 목 길이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체 운동이 거북목 증후군의 경부통증과 경추 기능장애지수의 감소 효과와 목 길이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 정체 운동군과 운동군은 실험 전. 후 목 길이, 경부통증, 경추 기능장애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체 운동군이 운동군, 대조군에 비해 거북목 증후군의 경부통증 완화와 경추 기능장애지수 및 목 길이 감소에 보다 효과적이었고, 또한 8주 운동 후 실험을 종료하고 2주 뒤 사후검사 결과에서 8주 상태를 유지되었다."} {"id": "JAKO20211313809123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34.pdf", "abstract_en":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ange of tube voltage for Chest X-ray in DR system by comparing with dose area product (DAP) and effective dose in efficient detector exposure index (DEI) range. GE definium 8000 was used to for the phantom study. The range of tube voltage is 60~130 kVp and of mAs is 2.5~40 mAs. The acquired images were classified into efficient DEI groups, then calculated effective dose with DAP by using a PC-Based Monte Carlo Program 2.0. The signal to noise ratio (SNR) was measured at 4 regions, including the thoracic spine, the lung area with the ribs, the lung area without the ribs, and the liver by using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The significance of the group for each tube voltage was verified by performing the kruskal-wallis test and the mann-whitney test as a post-test. When set to 4 groups dependned on the tube voltage, DA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60 kVp and 80 kVp, and 60 kVp and 90 kVp (p= 0.034, 0.021). Effective dose exhibi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all of the group (p>0.05). SNR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all of the group in the liver except compared to 80 kVp and 90 kVp (p<0.05). Therefore, high tube voltages of 100 kVp or more need to be reconsidered in terms of patient dose and imaging in order to represent an appropriate chest X-ray image in a digital system.", "abstract": "본 연구는 흉부 X-ray 검사 시 디지털 영상의 적절한 유효 Detector exposure index (DEI) 범위 내의 영상의 Dose area product (DAP)값과 유효선량을 비교함으로써 적절한 관전압의 범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GE Definium 8000을 사용하여 흉부팬텀을 이용한 Chest PA 검사를 재현하였다. kVp range는 60~130 kVp, mAs range는 2.5 ~ 40 mAs로 설정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유효한 DEI 범위의 영상으로 분류하고 측정한 DAP을 이용하여 PC-Based Monte Carlo Program을 통해 유효선량을 계산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평가를 하기 위해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하여 흉추, 갈비뼈가 포함된 폐야부위, 갈비뼈가 포함되지 않은 폐야부위, 간 등 총 네 부분의 Signal to noise ratio (SNR)를 측정하였다. 관전압 별 그룹의 유의성은 Kruskal-wallis test와 사후검정으로 Mann-whitney test를 시행하여 검증하였으며 검증에 사용된 신뢰구간은 95%이다. 총 13개의 관전압 중 적정한 유효 DEI 범위안에 포함된 네개의 관전압 (60~90 kVp)을 각각 비교하였을 때, DAP는 60 kVp를 기준으로 80 kVp, 90 kVp를 비교한 결과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0.034, 0.021). 유효선량은 모든 관전압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SNR은 간 부위에서 80 kVp와 90 kVp를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그러므로 디지털 환경에서 적정한 흉부 X-ray 영상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해 100 kVp 이상의 고관전압은 환자 선량 및 영상 측면에서 재고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id": "JAKO20211313809130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300.pdf", "abstract_en": "Portal Dosimetry was verified using EPID to secure the clinical application and reliability of the existing research dose evaluation. The dose distribution of Geant4 was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 by 360° rotational irradiation with a 2.5 cm cone for stereotactic brain surgery. To confirm the dose distribution of patients with brain metastasis, the dose distribution investigated by inserting a Gafchromic EBT film into the parietal phantom and the dose distribution obtained from the parietal phantom using VMAT are compared and applied to actual pati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beam center and the center of the couch coincide accurately with an error within 1mm as a result of QA through a pin bal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BT3 film has excellent linearity in the range of 0 to 10 Gy according to various dose irradiation. In the same setting as the two cervical phantoms, we confirm that the implementation and simulation results calculations of dose calculations based on Geant4 using photon beams match the experimental data within the treatment planning volume (PTV). Therefore, volume modulated arc treatment (VMAT) 360° rotational irradi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 of iso-dose distribution analysis by rotational irradiation confirmed that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a virtual tumor.", "abstract": "기존 연구인 선량평가의 임상 적용 및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EPID를 이용하여 Portal Dosimetry를 검증하였다. 뇌정위방사선수술 2.5 cm cone을 장착하여 360° 회전조사에 의한 측정치와 Geant4의 선량분포를 비교하였다. 뇌전이 환자의 선량분포를 확인하기위해 두부인체 팬톰에 Gafchromic EBT필름을 삽입하여 조사한 선량분포와 VMAT을 이용한 두부인체 팬톰에서 얻은 선량분포를 비교하여 실제 환자에 적용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beam center와 couch의 center가 정확하게 일치하는가를 pin ball을 통해 QA한 결과 1 mm 이내의 오차로 정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EBT3 Film에 다양한 선량조사에 따라 0 ~ 10 Gy영역까지 우수한 선형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경부 팬텀과 같은 설정에서 광자 빔을 사용한 Geant4에 기반한 선량 계산 도구의 구현과 시뮬레이션 결과 계산치는 치료계획용적(PTV)내에서 실험 데이터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체적변조 아크치료(VMAT) 360° 회전 조사를 실시하여 회전조사에 의한 등선량분포 분석결과 가상 종양을 포함하기에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216210167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101670.pdf", "abstract_en": "As a measure of susceptibility on the combustion instability, thermo-acoustic instabilities in rocket combustion system was considered for the estimation of the operational stability margin. Growth rate, which governs the asymptotic stability behavior of the system, was determined from the dynamic data measured during combustion tes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mbustor system. Frequency transform technique was first applied to determine the system parameters such as growth rate and/or damping coefficient for an interested mode from the time series pressure data, and the PDFs of pressure amplitude were extracted from the amplitude envelope of pressure oscillation for the stochastic analysis.", "abstract": "얼마나 쉽게 연소불안정 해지는지에 대한 척도로서, 작동 안정성 여유를 예측하기 위해 로켓연소기시스템의 열음향 불안정을 검토하였다. 연소기 시스템의 동적거동 특성파악을 위해 연소성능시험 중 측정한 연소기의 동압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스템이 안정해지는지를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성장속도 계수를 구하였다. 파라미터 추출은 시계열 압력데이터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전환하여 관심모드의 성장속도나 감쇠계수를 도출하는 방법을 우선 검토하였으며, 스토캐스틱 해석의 경우에는 압력진동의 진폭 엔벨롭으로 부터 압력진폭 PDF를 추출했다."} {"id": "JAKO20212216206766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67663.pdf", "abstract_en":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for the dual thrust rocket motor with two types of propellants with different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 developed the composition of two kinds of propellant to be applied to a rocket motor, and improved a propellant charging process in a free grain type to improve the adhesion method and the problems of adhesion between different propellants. In addition, to meet the ignition phenomenon as a small rocket motor, the ignition delay was improved by applying a nozzle plug developed in a high density foam. The propulsion rocket motor reflecting this design and the improved manufacturing process was evaluated through a ground performance test.",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연소특성이 다른 이종추진제를 갖는 이중추력 추진기관 개발을 기술하였다. 적용된 이종추진제의 조성 개발과 이종추진제간 접착방법과 접착력 개선을 위해 free-grain형식으로 추진제 충전 제작 공정을 개발하였다. 추가해서, 소형 추진기관으로 점화 현상을 충족시키기 위해 고밀도 foam으로 개발한 노즐 마개를 적용함으로써 점화지연을 개선시켰다. 이런 설계와 개선된 제작공정을 반영하여 개발된 추진기관은 지상성능시험으로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id": "JAKO20212216209966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99669.pdf", "abstract_en": "Engine cool down process is necessary for the liquid rocket engines using cryogenic propellants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 of engine inlet temperature. This paper evaluates the cool down characteristics of oxidizer supply pipeline and engine in prechill process prior to the engine firing tests, and calculate the quantity of liquid oxygen consumption.", "abstract": "한국형발사체에 사용되는 액체로켓엔진과 같이 극저온 추진제를 사용하는 엔진은 시험 전 시험설비 배관 및 엔진 냉각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 엔진 입구 온도를 만족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발사체 7톤급 액체로켓엔진의 시험 전 냉각 단계에서 소모되는 액체산소의 양을 확인하였고, 시험설비 배관 및 엔진 냉각특성을 평가하였다."} {"id": "JAKO20212216207366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73664.pdf", "abstract_en": "The PID controller with fin angle and thrust as control input was designed based on the aerodynamic data of scramjet system. Flight simulation following a given trajectory which strike the target point after climb and cruise with constant dynamic pressure was conducted. After that, the required thrust for the climb and cruise was calculated and the required fuel flow rate for the hydrogen fuel dual mode scramjet combustor was analyzed. The combustor analysis of this study which conducted on integrated model of independently developed inlet, combustor, nozzles and external aerodynamic model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integrated design of the air breathing hypersonic system.", "abstract": "공기 흡입식 극초음속 비행체인 스크램제트의 공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꼬리날개 각도와 발생추력을 제어 입력으로 가지는 PID 기반 제어기를 설계했다. 일정한 비행 동압을 가지는 상승궤적과 순항 이후 목표지점을 타격하는 궤적을 기준으로 입력하여 해당 궤적을 추종하는 비행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서 초기 상승궤적과 순항 궤적에 대해 비행체 모델에 요구되는 추력을 계산하여 수소 연료 이중 모드 스크램제트 연소기에 요구되는 연료 유량 분석을 위한 연소해석을 진행했다. 본 연구의 연소해석은 독립적으로 개발된 흡입구, 연소기, 노즐, 외부 공력 모델을 통합한 모델에 대해 진행되어 공기 흡입식 극초음속 비행체 통합 설계에 대한 기반을 마련했다."} {"id": "JAKO20212216204565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4565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modeling of MT30 gas turbine engine is performed. The design point is determined, and the component performance maps to which the scaling technique is applied are generated using standard maps provided by the commercial program. Off-design point performance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e generated performance model, and this is compared with the performance deck data of the engine. It is confirmed that the data of the performance maps generated by the one-point scaling method had some errors from the performance deck data, and it is determined that correction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erformance model. Therefore, the off-design point analysis is performed by creating the correction performance model in a manner that obtains the scaling factors for each operating point(off-design point) according to the high pressure spool spe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MT30 가스터빈 엔진의 성능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설계점을 결정하고, 상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스탠다드 맵을 이용한 스케일링 기법으로 구성품 성능 맵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성능 모델로 탈-설계점 성능 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엔진 성능 덱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한 점 스케일링 기법으로 생성된 성능 모델이 성능 덱 데이터와 다소 오차가 있음을 확인하고, 성능 모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고압 스풀 회전수에 따른 작동점(탈-설계점) 별 스케일링 계수를 구하는 방식으로 보정 성능 모델을 생성하여 탈-설계점 해석을 수행하였다."} {"id": "JAKO20212216204365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43658.pdf", "abstract_en": "In the current study, the numerical method was establish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a solid rocket motor with two kinds of propellants. On the basis of a numerical study, an internal ballistics analysis code was developed. To verify the internal ballistics analysis code two solid rocket motors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The accuracy and applicability of the internal ballistics code for dual-propellant solid rocket motor were verified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numerical calculat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종추진제가 적용된 고체추진기관의 추력성능을 예측하기 위한 수치적인 방법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탄도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종추진제가 적용된 시험용 고체추진기관을 제작하여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체추진기관의 시험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개발된 내탄도 해석 프로그램의 정확성 및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2216206166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061662.pdf", "abstract_en": "In rotating detonation engine(RDE), only the detonation wave is moving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combustor. Neither a mechanical part nor flow is rotating in RDE. Thus, the RDE cross section is not necessary to be circular, but arbitrary closed section is possible. A RDE of tri-arc cross section is designed and As an example of an arbitrary cross sectioned RDE, a RDE of tri-arc cross section is designed in this study, and operational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experimentally. The rotation of the detonation wave is confirmed by dynamic pressure sensor and high-speed camera,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onation wave were investigated at the concave and convex surfaces. In the present study, the thrust level of 17.0 N to 96.0 N was obtained depending on the mass flow rate.", "abstract": "회전 데토네이션 엔진(Rotating Detonation Engine, RDE)은 기계 장치나 유동이 아닌 데토네이션 파만이 연소실 벽을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RDE 단면이 원형이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임의 단면의 닫힌 형상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단면을 가지는 RDE의 한 가지 예로써 tri-arc 단면 형상의 RDE를 설계하였으며, 실험적으로 작동 및 성능 특성을 살펴보았다. 동압 센서와 고속카메라를 통하여 데토네이션 파의 회전을 확인하였으며, 오목 면과 볼록 면에서 질량 유량에 따른 데토네이션파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량 조건에 따라 17.0 N에서 96.0 N의 추력 수준을 얻을 수 있었다."} {"id": "JAKO202117563187987",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87987.pdf", "abstract_en": "This paper deals with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stress resultants at the mid-arc for free vibration analyses of the arch. The considered arch is a horseshoe symmetric elliptic arch. The work dealing with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deflection at both ends of the arch has already been reported in the open literature. This revisited paper aims to study the suitability of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stress resultants at the mid-arc to be replaced by the boundary condition at both ends. In this study,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stress resultants at the mid-arc are newly derived based on the theory of the previous work, and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are obtained using the new boundary conditions of the stress resultants. The numerical results of this paper confirm that the new boundary conditions have been validate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nd results of finite element ADINA.", "abstract": "이 논문은 아치의 자유진동 해석에서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 이용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 아치는 마제형 타원 대칭 아치이다. 마제형 타원 아치의 자유진동을 다룬 연구는 이미 문헌에 발표된 바 있다. 이 재고 논문은 기존 문헌에서 사용한 아치 양단의 경계조건을 대신할 수 있는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의 적용성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문헌의 이론을 이용하여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치의 고유진동수와 진동형을 산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 문헌 및 유한요소해 ADINA의 결과와 잘 일치하여,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을 아치의 자유진동 해석에 적용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17563177984",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77984.pdf", "abstract_e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element to industry foundation classes (IFC) entity mappings need to be checked to ensure the semantic integrity of BIM models. Existing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rained on geometric features are able to classify BIM elements, thereby enabling the checking of these mappings. However, reliance on geometry is limited, especially for elements with similar geometric featur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ployment of relational data between elements, with the assumption that such additions provide higher classification performance. Neural structured learning, a novel approach for combining structured graph data as features to machine learning input, was used to realize the experim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attained when trained and tested on eight BIM element types with their relational semantics explicitly represented.", "abstract": "IFC 정보의 시멘틱 무결성 확보를 위해 BIM 부재와 IFC 엔티티 간 매핑 검증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기하정보 기반으로 학습시킨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BIM 부재 인식 및 분류를 통해 매핑 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유사한 기하특성을 가진 부재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BIM 모델의 주요 부재를 인공신경망 기반으로 자동 분류하되, 부재 간 관계정보를 삽입하여 분류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특성 외에 구조화된 신호를 함께 학습하는 NSL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8개의 BIM 부재를 분류하는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 기하정보 기반 인공신경망 모델과 대비하여 부재 간 관계정보를 삽입한 NSL 모델의 분류정확도가 현저히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7242355927",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242355927.pdf", "abstract_en": "Stainless steel, which includes Ni and Cr with Fe balance, is most often applied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structure and equipment material. It is not only suitable for use in these applications due to its good corrosion resistance, but also can be applied to catalyst, supporting material, and current collector due to intrinsic properties of Ni and Fe contained in stainless steel. Therefore, in recent years, a lots of surface treatment methods have been studied to activate stainless steel, developing application of water splitting system. In this review paper, the research on the surface treatment technology of stainless steel for water splitting is summarized.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propose the diverse surface treatment approaches of stainless steel for application to low-cost and highly efficient water splitting electrode.", "abstract": "스테인레스 강은 지구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철의 합금으로 니켈과 크롬을 포함하여 높은 내부식성을 가지고 있어 구조용 강재로 사용하기 매우 적합하다. 또한, 최근에는 스테인레스 강에 포함된 철과 니켈의 고유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고기능성 촉매나 지지체, 또는 전극의 집전체 등으로의 응용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높은 촉매 특성으로 인해 수전해 전극으로의 응용을 위한 스테인레스 강의 표면에서의 활성화 표면 처리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총설은 수전해 전극 응용을 위한 스테인레스 강의 수전해 전극 응용 표면처리 기술 자료를 정리 및 요약하였으며, 스테인레스 강의 표면처리 방법에 대한 특징 및 이를 통해 스테인레스 강이 저비용 고효율의 수전해 전극 활용을 위한 촉매 물질로써 응용될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7242376940",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242376940.pdf", "abstract_en":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in all 13 locations of Masan Bay from February to November in 2015. The COD and TOC contents were high during the June-August period when the pollution load increased.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s of COD and TOC were about twice as high in the surface water as in the bottom water. In spatial distribution, the COD and TOC concentrations at the inner bay were about twice as high as those of the outer bay in Masan Bay.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oxidation efficiency of COD from the surface layer of Masan Bay in 2015 based on the theoretical oxygen demand (TOD), it was at the level of about 23%. Due to the low oxidation efficiency of COD, there is a risk that the organic matter in Masan Bay will be somewhat underestimated. Therefor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organic matter, COD and TOC analyses need to be combined.", "abstract": "마산만에서 유기물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5년 월별로 총 13개 정점에서 화학적산소요구량(COD)과 총유기탄소(TOC) 농도를 조사하였다. COD와 TOC 농도는 오염부하량이 증가하는 6~8월에 상대적으로 높았고, 저층보다 표층에서 약 2배 높았다. COD와 TOC 농도는 마산만의 내측 정점에서 다른 정점들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았다. 2015년 마산만 표층에서 이론적산소 요구량(TOD)을 기준으로 COD의 산화 효율성을 추정한 결과, COD의 산화 효율은 약 23%로 낮은 수준이었다. 마산만에서 COD 측정시 낮은 산화 효율은 만 내에 분포하는 유기물 양이 과소평가 될 가능성이 있어, 유기물의 정확한 정량분석을 위해서는 COD와 TOC 분석의 병행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765144098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651440982.pdf", "abstract_en": "Six strains among the shiitake varietie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were used to select suitable varieties for sawdust block cultivation method. After 100 days cultivation (60 days in dark and 40 days in light), the weight loss rate of the sawdust block media was 14.4% (12.8% to 15.7%) in average. After 5 to 7 days of fruiting process, 2~36 primordia per medium were formed. The number of primordium formation was in the following order: Manchuhyang> Sansanhyang> Sanbaekhyang> Bambithyang> Sangjanghyang> Taehyanggo. The stipe length was 41~59 mm as followed by Taehyanggo (59 mm), Sanbackhyang (56 mm), Bambithyang (54 mm), Manchuhyang (53 mm), Sanjanghyang (45 mm) and Sansanhyang (41 mm). Among the strains, Sansanhyang had short and thick stipe. The average weight of fruiting bodies was 33~77 g as following order of Taehyanggo (77 g), Bambithyang (51 g), Sansanhyang (50 g), Manchuhyang (41 g), Sanjanghyang (34 g) and Sanbackhyang (33 g). Mushroom production per 2 kg medium was the highest in Sanbackhyang (473 g) followed by Bambithyang (287 g), Manchuhyang (175 g), Sansanhyang (109 g), Sanjanghyang (78 g) and Taehyanggo (60 g). The hardness of the cap was 1,218 to 1,839 g/10 mm. Taehyanggo was the hardest (1,839 g/10 mm) and Bambithyang was the softest (1,218 g/10 mm). In conclusion, in the cultivation condition of sawdust block medium, mushroom production was good in Sanbackhyang and Bambithyang. Sansanhyang showed good in terms of fruiting body shape.", "abstract": "국립산림과학원이 개발한 표고 품종 6개를 대상으로 사각블럭배지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100일째 중량감소율은 평균 14.4% (12.8%~15.7%) 였다. 발생작업 후 5~7일에 발이조사 결과 배지당 2~36개였고, 만추향>산산향>산백향>밤빛향>산장향>태향고 순이었다. 대길이는 41~59 mm였고 태향고>산백향>밤빛향>만추향>산장향>산산향 순으로 길었다. 대길이가 짧고 대두께가 굵은 품종은 산산향이 우수하였다. 개체당 중량은 33~77 g였고 태향고>밤빛향>산산향>만추향>산장향>산백향 순이었다. 2 kg 배지의 생산량은 산백향이 가장 많은 582 g이었고 밤빛향>만추향>태향고>산산향>산장향 순이었다. 버섯 갓의 경도는 1,218~1,839 g/10 mm였고 태향고가 1,839 g/10 mm로 가장 단단하였고 밤빛향이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사각블럭배지 재배조건에서 버섯 생산량은 산백향과 밤빛향이 좋았고, 버섯 형태면에서 산산향이 우수하였다."} {"id": "JAKO202117651407974",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651407974.pdf", "abstract_en": "Artomyces microspora is a genus of coral fungi from the family Auriscalpiaceae that have sporophores which are clavarioid, profusely and pyxidately branched, and devoid of a conspicuous stipe. These fungi can be found in summer and fall. This study aimed to decipher fundamental information regarding optimal growth conditions of Artomyces microsporus mycelia, including pH, temperature, carbon sources, and nitrogen sources. Based on the assessment of colony diameter and mycelial density, the optimal culture medium, temperature, and pH for mycelial growth were found to be PDA, 25 ℃, and pH 5.0,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optimal carbon and nitrogen sources for mycelial growth were 1% soluble starch and 2% malt extract, respectively. The other suitable inorganic nitrogen sources were deemed to be 0.1% NH H PO and 0.1% aspartic aci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A. microsporus의 최적 배양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A. microsporus 균사체의 효율적 배양을 위한 조건은 최적 배양 온도 25℃, pH 5.0, 탄소원 soluble starch 1%, 유기질소원 malt extract 1%, 무기질소원 NH H PO 0.1%, 아미노산 asparatic acid 0.1% 조건으로 선발되었고 유기산, 무기염류 첨가 시 균사생육이 저조해지는 영향을 주어 선발되지 않았다. 새로이 SMNA로 명명한 A. microsporus의 최적 배지는 기존의 PDA 배지 상에서 배양한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균사의 생육이 균일하고 안정적이며 배양 기간을 15.1% 정도 단축하는 효과가 있었다. SMNA 배지는 추후 A. microsporus의 균사체 배양 방법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7560747544", "publication_date": "2021.05.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0747544.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ungi that degrade product value during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confectionery products, and to investigate the antifungal effect of organic acid and UV-C treatments on high carbohydrate products. Fungi isolated from spoiled high carbohydrate confectionery were identified as Wallemia sp., Aspergillus sp-1 and Aspergillus sp-2 depending on homologies with ITS1 and ITS4 sequences. The isolated fungi were assayed for antifungal activity by treatment with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or maleic aci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wth of Wallemia sp. and Aspergillus sp-2 was suppressed by treatment with 0.2 M and 0.35 M acetic acid, respectively.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fungal effect according to the UV-C irradiation time,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Wallemia sp. and Aspergillus sp-2 were shown in irradiation for 30 min and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Aspergillus sp-1 was shown in irradiation for 40 min.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untreated and 0.35 M acetic acid-treated high carbohydrate confectionery, there were not significant changes in taste, color, abnormal taste, hardness and textur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ur taste and smell.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the effect of inhibiting fungi growth on the product by treatment with organic acid and UV-C irradiation was confirmed,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confectionery that were concerned about the occurrence of fungi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bstract": "본 연구는 고당류 제과의 저장 및 유통 과정에서 상품 가치를 저하시키는 진균을 확인하고, 고당류 제과에 대한 유기산 및 UV-C 처리에 대한 항진균 효과를 조사하였다. 부패된 고당류 과자로부터 3종의 진균을 분리하였고, ITS 염기서열분석 결과 Wallemia sp.와 Aspergillus sp.로 동정되었다. 3종의 진균에 대한 유기산의 농도를 확인한 결과, 0.2 M, 0.35 M 초산이 Wallemia sp., Aspergillus sp-1 및 Aspergillus sp-2 균주의 생육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UV-C 조사 시간에 따른 항진균 효과를 확인한 결과, 조사 30분 후, Wallemia sp.와 Aspergillus sp-2 균주의 생육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Aspergillus sp-1은 조사 40분 후,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처리 및 0.35 M 초산처리 고당류 과자의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맛, 색, 이미, 경도 및 질감은 유의적인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약간의 신맛과 향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품에 유기산 처리 및 UV-C 조사에 의한 진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유통 과정 중에 진균의 발생이 우려되었던 과자류에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id": "JAKO202118350376371", "publication_date": "2021.06.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350376371.pdf", "abstract_en": "Ethyl glucuronide (EtG) and ethyl sulfate (EtS), which are ethanol metabolites, are direct indicators of ethanol intake; they have been studied in a variety of biological samples in forensic scie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ethanol metabolites to determine whether the ethanol detected in autopsy cases was due to alcohol consumption before death or due to the ethanol produced from post-mortem decay. In general, EtG and EtS are detected in the blood together with ethanol; however,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blood depending on the extent of decay. Therefore, the aforementioned method should be replaced by detecting the ethanol metabolites using tissue biological sample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optimal experimental conditions for detecting EtG and EtS from spleen sampl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Herein, the test method was validated, and an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he actual autopsy cases.", "abstract": "에탄올 대사체인 에틸글루쿠로나이드(ethyl glucuronide, EtG)와 에틸설페이트(ethyl sulfate, EtS)는 에탄올 섭취의 직접적인 지표물질로서 여러 생체 시료에서 법과학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부검 변사자에게서 검출된 에탄올이 사망 전 음주에 의한 것인지 사후 부패에 의해 생성된 에탄올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에탄올 대사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혈액에서 에탄올과 함께 EtG, EtS를 검출하고 있지만 부패 상황에 따라 혈액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조직 생체시료를 이용해 에탄올 대사체를 검출함으로써 이를 대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중에서 비장을 선택하여 LC-MS/MS를 이용해 EtG, EtS를 검출하였으며 시험법이 적합한 방법인지를 증명하기 위해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여 법과학적 감정에 사용할 수 있는 분석법을 완성하고 실제 부검 사례에 적용하였다."} {"id": "JAKO202118248979709", "publication_date": "2021.06.2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248979709.pdf", "abstract_en": "Entering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CCTV, home network systems and equipment are being u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particular, in order to increase the autonom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apartments,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an administrative revi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related laws, and companies are focusing on developing technologies such as smart home services. In addition, most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ork were mainly conducted on technology and manage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hysical defects affecting the quality of ICT.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the defect data registered in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of three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partment House Management Ac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defects work type, 88.10% of defects occurred in home network equipment work. In addition, analysis of defects type in the four detailed work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operation error. The cause was analyzed and prevention measures and countermeasures were presented in parts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mprove the quality of apartment housing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practical defect minimization and prevention measures.",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들면서 건설산업에서 CCTV,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장비와 같은 정보통신기술(ICT)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공동주택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의 자율성을 증대하기 위해 정부는 정보통신 관련법의 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기업은 스마트 홈서비스와 같은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공사 분야의 국내·외 연구는 대부분 정보통신기술(ICT)과 공사 관리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보통신공사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하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3개의 국내 건설사 프로젝트관리시스템에 등록된 하자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공종별 하자 빈도를 분석했을 때 홈네워크기기공사에서 하자가 88.10%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4개 공종의 하자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작동불량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에 원인을 분석하고 설계·시공·유지관리 단계로 나누어 예방방안 및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동주택의 품질을 높이고, 추후 실질적인 하자 저감 대책 및 예방방안에 관련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695473583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73583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dge computing-based exercise data collection device that can be provided for exercise rehabilitation services. In the existing cloud computing method, when the number of users increases, the throughput of the data center increases, causing a lot of delay.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device that measures and estimates the position of keypoints of body joints for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a 3D camera from the user's side using edge computing and transmits them to the server. This can build a seamless information collection environment without load on the cloud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a personalized rehabilitation exercise coaching system through IoT and edge computing technologies for various users who want exercise rehabilitatio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운동 재활 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는 엣지 컴퓨팅 기반의 운동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기존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급증하는 경우 데이터 센터의 처리량이 증가하여 많은 지연 현상을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엣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사용자측에서 3차원 카메라를 통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포즈 에스티메이션을 적용한 신체 관절의 키포인트 위치를 측정하고 추정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디바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 부하없이 원활한 정보 수집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운동 재활을 원하는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IoT 및 엣지 컴퓨팅 기술을 통한 개인 맞춤형 재활운동 코칭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673946526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65260.pdf", "abstract_en": "In order to cope with the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natural gas used in Korea becomes low in calories, the problems that may have to the domestic industrial gas equipment must be identified in advance, and based on this, countermeasures for efficient use of energy must be preceded.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engine output performance and efficiency due to the introduction of low calorific gas when using a lean-burning natural gas engine that complies with the EURO-6 regulation, specific control plans and results based on the experiment are intended to be presente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rovement effect by the control variable represented by the ignition timing under the full load condition at the engine speed of 1,400 rpm and 550 Nm, 2,100 rpm, which is the engine speed at the rated operation condition, the thermal efficiency and exhaust gas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optimized by changing the ignition timing for each gas fuel. In the case of pure methane, which shows the lowest value based on the torque under the full load condition, if the ignition timing is advanced by about 2 CAD from the reference ignition timing, the torque can be compensated without a large increase in NOx emission.", "abstract": "국내에서 사용되는 천연가스가 저열량화 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 산업용 가스기기에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대응방안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EURO-6 규제를 대응하는 희박연소방식의 천연가스 엔진을 이용할 경우, 저열량 가스의 도입으로 인한 엔진 출력성능과 효율의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을 토대로 한 구체적인 제어방안과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부하 운전조건인 1,400 rpm의 엔진 회전수에서 스로틀이 전부 개방된 전부하 조건과 정격운전조건의 엔진회전수인 2,100 rpm, 450 Nm의 토크 조건에서 점화시기로 대표되는 제어변수에 의한 개선효과 확인을 위해, 각 가스연료에 대해서 점화시기를 변경하여 열효율 및 배출가스특성을 파악하고 최적화하였다. 전부하조건에서 토크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이는 순수메탄의 경우 기준 조건에서 약 2 CAD 정도 점화시기를 진각하면 NOx 배출의 큰 증가 없이 토크를 보상할 수 있다."} {"id": "JAKO20213425595666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34255956665.pdf", "abstract_en": "This study uses the life course perspective to analyze the health effects of care transition types on elderly persons who care for their spouses. To this end, the care transition types were divided into ① non-care→non-care, ② non-care→care, ③ care→care, and ④ care→non-care, and health was defined as physical health and the absence of depression. The study used the second through sixth datasets(2008-2016)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This resulted in 10,199 observations from 3,987 persons, which were analyzed as a panel analysis model using the STATA16.0 program. The analysis found that physical health was lower in the non-care→care and care→non-care transition types than in the non-care→non-care type. Depression increased in the non-care→care and care→care typ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al and social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physical health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ho are providing care for their spouse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코스 관점을 적용하여 배우자를 돌보는 노인의 돌봄전이유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돌봄전이유형은 ①비돌봄→비돌봄, ②비돌봄→돌봄, ③돌봄→돌봄, ④돌봄→비돌봄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은 신체적 건강과 우울로 살펴보았다.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KLoSA) 2-6차 자료(2008-2016년)를 재구성한 후 총 3,987명으로부터 10,199건의 관찰값을 도출하였다. STATA 16.0프로그램을 활용해 패널분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체적으로는 '비돌봄→비돌봄'일 때 보다 '비돌봄→돌봄'과 '돌봄→비돌봄'에서 건강이 낮아졌다. 정신적으로는 '비돌봄→돌봄'과 '돌봄→돌봄'에서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배우자돌봄제공자가 신체적 건강과 우울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id": "JAKO20213425592565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34255925659.pdf", "abstract_en": "Despite the diverse system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itiatives that have been created to improve the environments of child birth and nurturing, the birth rate in Korean society remains low. Some minor teenage single parents give birth and raise children. Teenage single parents are supported by the Single-Parent Family Support Act, but some of their needs are still not being addressed. As each single parent has different backgrounds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support in which they will be considered both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unique problems encountered by teenage parents, focuses on single mothers giving birth, and explores measures that teenage parents can use to be independent members of civil society. Three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the period from pregnancy and childbearing to parenting. First, there should be an education support plan that will enable them to finish tertiary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Second, measures should be created to initiate a change in direction in indifferent biological(real) fathers: these should enlighten and help them participate in rearing their children. Third, in addition to improvements of the current systems only targeting single parent-family support, which will help differentiate teenage parent support from adolescent single parent-family support, assistance should be given for teenage single parents to grow as a Subject of Rights through tailored independent support programs.", "abstract": "지금까지의 한부모가족에 대한 연구들의 대다수는 미혼 한부모가족의 형성사유를 구분하지 않아, 청소년한부모를 특정하여 직접 자료조사를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부모의 임신, 출산, 양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청소년부모의 양육과 관련한 실태조사를 통해 얻고자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부모를 대상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동일한 문제를 내포한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이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임신에서 양육 초기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자녀 양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자립의 가능성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부모의 지원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임신에서 출산, 양육초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직접 조사를 통해 탐색한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고 있으며, 비양육자인 자녀의 생부의 역동을 함께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저출산의 극복이라는 중차대한 국가의 과업에서 청소년 산모의 건강권을 바탕으로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함께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일은 개인, 사회가 함께 고민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아이 생부에 관한 사회의 무관심을 환기시키고 아이 생부를 양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부모와 미혼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들을 다양한 가족의 하나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청소년복지지원법과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에서 청소년부모에 대한 지원의 근거가 명시되어야 하며, 10대의 청소년으로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부모, 한부모들에 대해서는 가정의 형태에 관계없이 이용가능한 시스템의 도입과 10대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자녀양육과 관련한 정보 및 양육프로그램이 전문가에 의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포괄하는 가족정책의 수립과 가족자원과 지역자원을 적용할 수 있는 더욱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34255927659",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34255927659.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actual state of family care on the basis of the exact amount of time, and to verify its influencing factors and results. To this end, family caregiving was analyzed using the 2019 Korean Time Use Survey.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time spent on adult family care was 115 minutes per day, a large proportion of family caregivers were women, the average age was relatively high, there were many unemployed, and household income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revealed that those who were women, older, married, and of a low household income had a considerable likelihood of becoming a family caregiver and had a longer caring time. Thir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are and other activities showed that the family caregiving time was in a substitute relationship with paid work or leisure time, but it was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housework time, which was more evident in the case of high-intensity family caregiving.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regular family care surveys, expansion of family care support policies, and modification of support for caring time according to the nature, goals, and attributes of caregiver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확한 시간량에 기초하여 가족돌봄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의 영향요인 및 결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도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하여 장기돌봄을 필요로 하는 성인돌봄을 중심으로 가족돌봄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가족 돌봄에 투입하는 평균시간은 하루에 115분으로 나타났고, 가족돌봄자는 여성의 비중이 높고 평균연령이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비취업자가 많고, 가구소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영향요인 분석결과, 여성이면서 고연령인 경우, 기혼상태이면서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가족돌봄자가 될 가능성뿐만 아니라 돌봄시간도 증가하였다. 셋째, 가족돌봄과 다른활동시간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돌봄 시간은 유급노동이나 여가시간과 대체관계에 있는 반면, 가사노동시간과는 보완관계에 있었는데 이것은 고강도 가족돌봄일 때 더욱 명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기적인 가족돌봄실태조사의 실시, 가족돌봄지원정책의 확대, 그리고 돌봄대상과 속성뿐만 아니라 돌봄자의 속성에 따른 돌봄시간의 차등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34255943662",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34255943662.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married female managers' desire for an additional chil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The analysis included 480 married female managers from the 7th survey of the 2018 Korean Women Manager Panel. Family-friendly policies were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desire for an additional child via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ot only implementing family-friendly policies, but also creating a culture that supports them. Based on the results, approaches to interventions in the workplace to reverse the current trend of low fertility are discussed.", "abstract":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데이터의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명 이상의 자녀를 두고 있는 여성 관리자 480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은 후속출산계획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이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는 것에 더해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출산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3425595966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34255959666.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in household labor among middle-aged generations who are facing dynamic changes in the middle of their life cycle.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ture study that examines and analyzes related data. Specifically, it aims to analyz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generations and trends in household labor, which are revealed through Time Use Survey, market trend reports, newspaper articles, and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housework is an unpaid activity performed by and for family members, and is an activity that can be replaced by purchasing goods or services from the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the rapid growth of the home appliance market that replaces housework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fter industrialization, and how the change of technology affected the efficiency of housework. In additio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generations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family structure, form, and family value.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housework and changing trends of middle-aged generation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previous generations,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edict future market trend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ies that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generation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주기 한 가운데에서 역동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트렌드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고 적응해나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목한 중년세대는 코호트별로 베이비붐세대나 X세대를 포함하고, 연령별로는 40-50대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기본적으로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통해 가사노동시간의 추이를 분석하고, 각종 시장조사자료, 연구보고서, 신문기사 검색을 통해 가사노동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가사노동이란 가족원에 의해 가족원을 위해 수행되는 무보수의 활동으로 시장에서 재화나 용역을 구입함으로써 대체될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는 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따라 급속하게 성장한 가전시장과 가사대체 상품 및 서비스가 가사노동 효율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세대와 다른 특징을 가진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트렌드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시장동향을 예측하고 중년세대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가족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d": "JAKO20213425594166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34255941662.pdf", "abstract_e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ity between elderly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or 6,288 people over 65 years old, plus their spouses and children, taken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he study found, first, that the more positive the age norms to which the older person subscribes, the more their social activities increase. Second, as these social activities increas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lso increases. Third, the more positive the age norms to which the older person subscribes, the mor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creases. Fourth,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norms of the older person and life satisfaction. Fifth,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at specifically impacts the age norm-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plans to improve elderly people's life satisfaction are recommended.",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연령규범과 사회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노인의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노인 6,28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연령규범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의 사회활동이 유의하게 상승한다. 둘째, 노인의 사회활동이 늘어나면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상승한다. 셋째, 노인의 연령규범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상승한다. 넷째, 노인의 연령규범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의 유의한 정(+)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노인의 연령규범, 사회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서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령규범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죽음준비를 하지 않는 노인이 죽음준비를 한 노인에 비해 그 영향력이 유의한 차이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id": "JAKO202106960485596", "publication_date": "2021.01.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596.pdf", "abstract_en": "Hydrogen in hydrogen-electric vehicles has a wide range of combustion and explosion ranges, and is a combustible gas with a very fast flame propagation speed, so it has the risk of leakage, diffusion, ignition, and explosion. The fuel tank has a Thermally active Pressure Relief Device (TPRD) to reduce the risk of explosion and other explosions, an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hydrogen inside the tank is released outside before an explosion or fire occurs. However, if an accident occurs in a semi-closed space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e flow of air flow is smaller than the open space, which can cause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gas emitted from the TPRD to accumulate above the explosion limi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eakage rate and concentration of hydrogen over tim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nozzle of the TPRD. The diameter of the nozzle was considered to be 1 mm, 2.5 mm and 5 mm, and 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nozzle,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ncreases in a faster time with the diameter of the nozzle, and the maximum value is also analyzed to be larger with the diameter of the nozzle. In underground parking lots where air currents are stagnant, hydrogen concentrations above LFL (Lowe Flammability Limit) were analyzed to be distributed around the nozzl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y did not exceed UFL (Upper Flammability Limit).", "abstract":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제한을 두고, 친환경자동차 보급 확대 정책을 내놓고 있다. 수소 전기자동차의 수소는 가연 범위 및 폭발 범위가 넓고, 폭발화염 전파속도가 매우 빠른 가연성 가스이기 때문에, 제조, 수송, 저장 시 누출, 확산, 점화 및 폭발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수소전기자동차의 연료탱크에는 폭발 등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온도감응식 압력방출장치(Thermally activate Pressure Relief Device, TPRD)가 있어,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폭발, 화재 등이 발생하기 전에 탱크 내부의 수소를 밖으로 방출한다. 그러나 지하주차장이나 터널과 같은 반밀폐공간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공간 내 기류의 유동이 개방된 공간보다 미미하기 때문에 TPRD로부터 방출된 수소가스의 농도가 폭발하한계 이상으로 누적될 수 있는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PRD의 노즐의 직경에 따라 시간에 따른 수소의 누출 유량을 분석하고, 반밀폐공간에서 수소가 누출될 경우 수소 농도변화를 수치해석으로 검토하였다. 노즐의 직경은 1 mm, 2.5 mm, 5 mm로 검토를 하였으며, 노즐 직경에 따라 지하주차장 내의 수소농도는 노즐의 직경이 클수록 빠른 시간에 농도가 높아지며, 최대값 또한 노즐 직경이 클수록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류가 정체된 지하주차장에서는 노즐 주변에서 폭발하한계 이상의 수소 농도가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폭발상한계를 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d": "JAKO20211515322540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225404.pdf", "abstract_en": "The most commonly adopted method to investigate the sediment transport trend is STA (sediment trend analysis) technique which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distribution on the bed. Typically, results from STA analysis represent qualitative features of sediment transport rather than quantitative aspects. This restricts from understanding the further details of actual sediment transport entirely. In this study, the erosion/deposition of seabed was analyzed around the coast of Hwasun Port in southwestern Jeju for the study of sand transport trend. As a means to complement the existing STA method,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such as sand component analysis, particle size analysis, diving sand survey and gravity probing were conducted. The spatial grain size distribution of sand was analyzed through STA as well as the estimation of the origin (land, ocean) u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bottom sediment which can be achieved using collected sand samples. Analysis by each of these methods produced similarities in results for sand movement. Therefore, it can be deduced that comprehensive research adopting such various methods of investigation can be a great alternate method for the analysis of sand transport trend for areas without available numerical models or bathymetry data.", "abstract": "해저표층 모래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주로 해저질의 입경분포 특성을 이용한 STA(sediment trend analysis) 기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STA 분석결과는 정량적인 표사이동량이 아닌 정성적인 특징을 표현하므로 실제 모래이동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STA 방법을 보완한 종합적인 모래이동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채집모래의 성분분석과 입도분석 및 수중잠수조사 등을 병행하여, 제주 남서부에 위치한 화순항 주변해안을 대상으로 침식퇴적 현상을 분석하였다. 채집한 모래시료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해저퇴적물의 공간적인 입경분포 등을 이용한 기존 STA 분석과 모래의 성분분석을 이용한 기원지(육지, 해양) 추정을 통해 모래의 공간적 이동경향을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수중잠수조사를 통해 모래량에 대한 탐침깊이측정과 사진촬영분석 등으로 모래의 공간적인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들 각각 방법들에 의한 분석결과에서 모래이동에 대한 유사경향성을 서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해저표층 모래이동에 대한 이 같은 다양한 조사방법들을 이용한 종합적인 연구결과는 수치모형 및 수심측량자료 등이 부재한 해안역에서 공간적인 모래이동의 경향을 판단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515322140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221402.pdf", "abstract_en": "This paper is about to review the propriety of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non-working days based on the wave appearance rate propos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n 2020, and to propose an improved method for the Ulsan New Port on the East Sea which is greatly affected by waves during port construction. To this end, the construction daily reports of Ulsan New Port southern breakwater section 2-1 have been analysed and the high-precision wave hindcasting data for 10 years from 2010 to 2019 using the JMA-MSM wind field ar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accuracy of the wave hindcasting data using the quality-controlled Ulsan buoy and Ulsan New Port wave observation data provided by WINK,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 ) is as high as 0.96 and 0.95.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daily reports for the deep cement mixing method (DCM), a major process performed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5, the number of non-working days due to wave is 43 days. When the daily work limiting wave condi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applied, it is calculated as 48 days, resulting in a difference of 5 days from the construction daily reports. However, in the case of the 5 days when the difference occurred, 2 days was little worked for the escape and 2 days was not worked for the waiting. It is inferred that the accuracy of the method to which this daily work limiting wave condi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applied is very high. Finally, the number of non-working days calculated as the daily work limiting wave condition is calculated as 39 days, using the wave hindcasting data for 10 years from 2010 to 2019. This is 11 days more than the 28 days calculated by the wave appearance rate method.", "abstract": "본 연구는 항만건설 시 파랑의 영향을 많이 받는 동해안의 울산신항을 대상으로 2020년 해양수산부에서 제시한 파랑출현율에 의한 비작업일수 산정방법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개선방법을 제안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울산신항 남방파제 2-1공구 축조공사 시의 공사일지를 수집하였으며, JMA-MSM 바람장을 이용하여 2010년에서 2019년까지 10년간의 고정밀 후측파랑 추산자료를 생성하였다. 파랑 추산자료는 WINK에서 제공하는 품질관리된 울산부이와 울산신항 파랑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결정계수(R )가 0.96과 0.95로 정도 높게 산정되었다. 201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행한 주요공정인 지반개량공(DCM)을 대상으로 공사일지를 분석한 결과 파랑에 의한 비작업일수는 43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일별 작업한계 파랑조건을 적용한 경우 48일로 산정되어 공사일지 대비 5일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차이가 발생한 5일의 경우 2일은 피항, 2일은 작업 대기 등으로 작업을 거의 못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일별 작업제한 파랑조건을 적용한 방법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종적으로 2010년에서 2019년까지 10년간의 후측파랑 추산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작업제안 파랑조건으로 산정한 비작업일수는 39일로 계산되었다. 이는 기존의 파랑출현율에 의한 방법으로 산정된 28일에 비해서 11일 많게 산정된 것이다."} {"id": "JAKO20211515322440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224403.pdf", "abstract_en": "Normality test (hereafter NT) is a highly recommended test for statistical estimation because the normality assumption on the data is the basic and essential. NT was carried using the KOEM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in harbor which are composed of total 3,000 data sets (50 stations, 30 water quality parameters including surface and bottom layers, and two seasons, such as summer and winte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ormality are carried out using total 18 methods supported by the R program packages. In addition, the Shapiro-Wilk test method is selected as the references method in this study for the analysis on the data transformation and outliers's effects in detail. The numbers of normality assumption rejection (NAR) are estimated and compared to these case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s of the Box-Cox transformation and Rosner's outlier test. The NAR numbers are reduced from 24-28 to 3-4 in the \"before and after\" BC transformation cases with the no outlier-exclusion condition. On the contrary, the NAR numbers are rapidly diminished from 6-9 to below one in the same case with the outlier exclusion condition. Thus, the Box-Cox transformation based on the outlier test of the coastal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that are not comes form the normal distribution, is highly recommended for the suitable statistical estimation and inferences.", "abstract": "환경자료를 이용한 다양한 통계적인 추정에서 요구되는 정규분포 가정 만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KOEM(해양환경공단,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항만환경 모니터링 자료 3,000세트(관측 정점 50, 표층-저층 구분 수질항목 30, 동계-하계 2)를 대상으로 18가지의 방법으로 정규분포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고, 각각의 검정방법에 대한 비교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자료변환 및 이상자료 영향 평가를 위하여 Shapiro-Wilk 방법을 기준 검정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선정된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정규분포 변환 방법인 Box-Cox 변환 전·후의 정규분포 적합 기각 정도와 Rosner 이상자료 진단방법을 이용한 정규분포 적합 기각 정도를 추정 및 분석하였다. Box-Cox 변환 전·후 정규분포 기각비율은 하나의 수질항목을 기준으로 24-28개 정점에서 3-4개 정도의 정점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상자료로 진단된 자료를 제외한 경우에는 Box-Cox 변환 전·후의 기각개수는 6-9개 정도에서 1개 정도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연안 환경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인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상자료 검정 방법과 Box-Cox 변환을 모두 적용할 필요가 있다."} {"id": "JAKO20211515309533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095334.pdf", "abstract_en": "A method that can take into account the transmitted wave heights and the allowable overtopping discharges together has been presen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rest freeboards of breakwaters. Thus, the relationships of the incident waves, mean overtopping discharges and the transmitted wave heights have been quantitatively analyzed by various empirical equations which have separately been used according to the types of breakwaters up to recently. The present results have been satisfactorily calibrat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results of EurOtop (2018) for the same condition. The relationships of dimensionless mean overtopping discharges and wave transmission coefficients for any incident waves have also been presented and compared them with the types of breakwaters. In addition, the allowable overtopping discharges can be evaluated from the combinations of the transmitted wave heights and the mean overtopping discharges with respect to the various periods and heights of incident waves. Finally,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crest freeboards of breakwaters with the allowable overtopping discharges has been applied to both the rubble-mound breakwaters and the composite breakwaters.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lative crest freeboards of breakwaters tend to be decreased sharply as the allowable overtopping discharge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relative crest freeboards of composite breakwaters should be larger than those of the rubble-mound breakwaters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overtopping discharges in the small ranges, whereas the opposite trends can be shown for the allowable overtopping discharges in the large range over some amounts of level. This may be due to the effects of that the relatively larger transmitted wave heights can be induced by the direct impacts of the overtopping discharges to the harbors inside the composite breakwaters, while, in the rubble-mound breakwaters, the overtopping discharges are mildly transferred along the inside slopes of breakwaters. However, these effects seem to be neglected when the overtopping discharges become very large, the penetration effects may even be considered in the rubble-mound breakwaters instead.", "abstract": "전달파고와 허용 월파량을 함께 고려하여 방파제의 마루높이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방파제를 형식별로 구분하여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험식들을 활용하여 입사파고와 평균 월파량 그리고 전달파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해석하였다.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만족스럽게 검증되었으며, 임의의 입사파랑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는 무차원 평균 월파량과 전달계수의 관계도 방파제 형식별로 제시, 비교하였다. 또한 주기 및 파고 변화에 따른 평균 월파량과 전달파고의 관계를 수립하여 허용 월파량을 산정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허용 월파량에 따른 상대 마루높이 결정방법을 경사제와 무공 케이슨식 혼성제에 적용하였다. 경사제와 혼성제 모두에서 허용 월파량이 커지면 상대 마루높이는 급격하게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에서는 허용 월파량이 동일해도 혼성제의 마루높이가 경사제의 마루높이보다 커야 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큰 허용 월파량에 대해서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혼성제의 경우는 월파량이 작아도 항내로 직접 낙하하여 상대적으로 큰 항내 전달파고를 유발하지만, 월파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방파제의 형식에 따른 영향이 작아지면서 제체를 통한 투과파의 영향이 경사제에 고려되기 때문이다."} {"id": "JAKO202111735182590",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90.pdf", "abstract_en": "For successful operations of an airborne Active Electronically-Scanned Array (AESA) radar, which has various advantages over traditional radar systems, accurate and robust navigation is critical. This paper discusses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n integrated navigation based on the Embedded GPS/INS (EGI) system for an aircraft equipped with an AESA radar. The models for generating the inputs for the GPS/IMU are developed. A navigation filter for a loosely-coupled GPS/IMU system is constructed. Overall navigation performance assessment procedure using a six degree of freedom aircraft simulator - along with the GPS/IMU models and the navigation filter - is introduced. The steps of the performance analysis procedure are explained using a comprehensive case study.", "abstract": "기존 레이다 시스템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는 능동 위상 배열 (AESA) 레이다의 성공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강건한 항법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AESA 레이다를 탑재한 항공기의 EGI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통합 항법의 성능 분석에 대한 연구를 소개한다. GPS 및 IMU 입력을 생성하는 모델이 개발되었고, GPS/IMU 약결합 항법 필터가 구성되었다. GPS/IMU 모델 및 항법 필터와 함께 6자유도 항공기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항법 성능을 평가하는 절차가 소개되었다. 성능 분석 절차의 단계는 사례 연구와 함께 설명되었다."} {"id": "JAKO202111735182614",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614.pdf", "abstract_en": "Korean Air has set the goal of the first stage of the development of unmanned helicopters to perform in hovering flight by remote control. In order to achieve the development goal, Korean Air carried out system integration, ground test, and safety wire test in sequence after carrying out programmed depot maintenance and aircraft modification of manned aircraft, and verified the controllability and flight safety of the unmanned helicopter system step by step.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wire test technique used in the final stage of verification was an effective method to verify flight safety and controllability for a fully unmanned helicopter system.", "abstract": "대한항공은 유인 헬리콥터를 무인화 후 원격 조종으로 제자리 비행을 수행하는 것을 무인 헬리콥터 개발의 1단계 목표로 수립하였다.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대한항공은 유인기의 창급정비와 기체 개조 수행 후 체계통합, 지상시험, 안전줄 시험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며 단계별로 무인 헬리콥터 체계의 조종성과 비행안전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검증의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한 안전줄시험 기법은 완전무인화된 무인 헬리콥터 체계에 대해 비행안전성과 조종성을 검증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1735182618",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618.pdf", "abstract_en": "By using HLS when developing a communication system FPGA, HDL code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a little modified C/C++ source code used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development period. In this paper, a method of designing a telemetry standard 106-17 LDPC decoder in C language is proposed using Xilinx's Vivado HLS, and by synthesizing Spartan-7 and Kintex-7 as target devices, throughput and FPGA utilization rate was compared.", "abstract": "통신 시스템 FPGA 개발 시 HLS를 이용하면 성능 검증용 C/C++ 소스 코드를 일부 수정하여 자동으로 HDL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텔레메트리 표준 106-17 LDPC 복호기를 Xilinx사의 Vivado HLS를 이용하여 C언어로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Spartan-7와 Kintex-7 디바이스를 타겟으로 합성하여 throughput과 FPGA 이용률을 비교하였다."} {"id": "JAKO202111735182598",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98.pdf", "abstract_en": "This paper presents the control logic for the momentum wheel and gimbals in the CMG system. First, the design of the control logic for the momentum wheel is described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and stability. Second, the design of the control logic for the gimbals considering the resonance of the vibration absorber and stability is explained. Third, the measurement configuration for the force and torque generated by the CMG is described. Fourth,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d time response test of the momentum wheel and gimbals are shown. Last, the measurements of the force and the torque generated through the CMG are explaine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제어모멘트자이로 내 짐벌과 모멘텀 휠의 제어로직에 대해 기술하였다. 우선 소모전력과 안정도(이득여유, 위상여유)를 고려하여 모멘텀 휠의 제어로직을 설계하였다. 두 번째로는 진동흡수장치의 공진과 안정도를 고려하여 짐벌의 제어로직을 설계하였다. 세 번째로는 제어 모멘트자이로에서 발생하는 힘과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구성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네 번째로는 모멘텀 휠과 짐벌의 주파수응답 및 시간응답 시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어 모멘트자이로를 통해 발생한 힘과 토크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id": "JAKO202111735182622",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622.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the policy instruments used by the public sector to ensure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in the delivery of space policy. Despite the importance of public and private partnership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categorized 16 policy instruments into 4 types: purchase contracts, capital subsidies, research and development support and input subsidies. In addition, 5 cases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 in the United State, Europe and Japan were studied to explore policy implications to strength industrial competition.", "abstract": "공공민간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s)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적 관계를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운영방식이다. 최근 우주분야에서 공공민간협력이 중요해짐에도 불구하고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간 협력적 네트워크를 활성화 시키는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 연구는 선진국에서 사용 중인 16가지 정책수단을 4가지(구매계약, 재정지원, 연구개발지원, 자원지원)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미국, 유럽, 일본 등 5가지 공공민간협력 운영사례 연구를 통해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발굴하였다."} {"id": "JAKO202111735182580",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80.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erodynamic coefficients obtained from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using wind tunnel test-like method is compared with coefficients obtained by actual wind tunnel test. Unsteady analysis has performed with using harmonic equation for motion of the external store. Aerodynamic database is generated based on CFD results to simulate 6 degree-of-freedom store separation analysis. Trajectory is obtained from simulation using both CFD-based and test-based database, and results are compared with trajectory from flight test result. It is concluded that generation of database based on CFD with wind tunnel test technique is valid from good agreement of the trajectory.", "abstract": "본 논문은 외장 분리 풍동시험 기법을 적용한 전산유체해석을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와 풍동시험을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비교 연구한 것이다. 전산유체해석은 하모닉 방정식을 적용한 비정상해석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비정상 해석으로부터 외장의 공력계수들과 6 자유도 외장 분리 시뮬레이션을 위한 공력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였다. 해당 데이터베이스와 풍동시험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외장의 분리 궤적 시뮬레이션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행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의 적절성을 확인하였으며, 외장 분리 풍동시험 기법을 전산유체해석에 적용하여 획득한 외장 분리 공력 데이터베이스는 외장분리 궤적 시뮬레이션 적용에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1735182602",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602.pdf", "abstract_en": "Pulse count method is the classical reaction wheel speed detection method. In this study, we represent the pulse count method as mathematical equations. Instead of rotation speed, we model the reaction wheel rotation through rotation angle during sampling periods. W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by comparing the pulse counts variation and averaging method effects from the model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n, we add tacho pulse non-uniformity to this verified model, and examine the errors of pulse count method. We express the measurement error increasement due to non-uniformity as mathematical equations, and also shows the requirement of moving average numbers to offset the measurement errors.", "abstract": "펄스개수측정방법은 반작용휠의 속도를 측정하는 고전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펄스개수측정방법을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반작용휠의 회전을 속도가 아니라 샘플링 시간 동안의 회전각도로 모델링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유효성은 모델에서 얻어진 펄스개수 변화와 이동평균의 효과가 기존 연구결과와 동일함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이렇게 검증된 모델에 타코펄스 불균일성을 추가하고 펄스개수측정방법의 오차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불균일성으로 인해서 증가하는 측정오차의 크기를 수식으로 표현하였으며, 측정오차를 상쇄하기 위해서 취해야 하는 이동평균의 개수 조건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1735182605",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605.pdf", "abstract_en": "A study is performed for the real time fault diagnosis during operation and health estimation relating to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a turbojet engine used for an unmanned air vehicle. For this study the real time dynamic model is derived from the transient thermodynamic gas path analysis. For real fault conditions which are manipulated for the simulation, the detection techniques are applied such as Kalman filter and probabilistic decision-making approach based on statistical hypothesis test. Thereby the effectiveness is verified by showing good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 performances. For the health estimation with measurement parameters, it shows using an assumed performance degradation that the method by adaptive Kalman filter is feasible in practice for a condition based diagnosis and maintenance.", "abstract": "무인기용 터보제트엔진의 운전 중 발생하는 고장을 실시간으로 진단하기 위한 방안 및 성능 열화와 관련된 건정성 추정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동적 열역학 가스경로해석을 통한 비선형 동특성 방정식으로부터 실시간 선형모델을 도출하였고, 연출된 운전상황과 고장 발생을 실시간으로 진단하기 위해 칼만필터와 가설 검증에 기초한 확률적 판단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결과, 분명한 고장 검출과 분리 성능을 보임으로써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측정변수를 통한 건전성 추정과 관련하여, 실제 엔진 구성품의 성능 열화 추이를 모사하였고, 적응형 칼만필터를 적용하여 추정 기법의 타당성을 입증함으로써, 상태 기반 고장 진단 및 정비 기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id": "JAKO202111735182584",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584.pdf", "abstract_en": "Winglets are specialized wingtip devices to reduce induced drag, and they have been installed on Boeing-made aircraft since the 1980s, Airbus has also developed a winglet named 'Sharklet' since 2009 and has started providing them as an option to the A320 Family. The wingle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ake-off performance, reducing fuel consumption, increasing payload, and increasing flight distance by reducing the induced drag generated at the tip of the 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flight data of the sharklet-installed and non-sharklet-installed models of the A321 aircraft to verify the fuel efficiency improvement due to the winglet installation, and to analyze the economic analysis accordingly. Through this, i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winglet installation when introducing an aircraft or to make a decision for upgrading the existing aircraft. To this end, a case study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winglet installation was conducted, and the economic analysis was verified.", "abstract": "윙렛은 유도항력을 줄이기 위한 장비로, 1980년대부터 보잉사에서 제작한 항공기에 장착되기 시작했고, 에어버스에서는 2009년부터 'Sharklet'이라는 이름의 윙렛을 개발하여 A320 Family에 장착 옵션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윙렛은 날개 끝단에서 발생하는 유도항력을 감소시켜 이륙성능 향상, 연료소모량 감소, 유상탑재량 증대 및 운항거리 증가의 효과를 내고 있다. 본 연구는 Sharklet이 장착된 A321 항공기와 미장착된 A321 항공기의 실제 운항 데이터를 분석하여 윙렛 장착에 따른 연료 효율성 향상을 검증하고 이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항공기 도입 시 윙렛 장착 사양 결정 혹은 기존 항공기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윙렛 장착에 따른 공력 특성 연구 사례조사와 효과 확인 연구를 수행하고 경제성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11735182610", "publication_date": "2021.04.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35182610.pdf", "abstract_en": "This paper derives numerically new buckling Knockdown factors for the lightweight design of the composite propellant tanks for space launch vehicles. A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code, ABAQUS, is used for the present postbuckling analysis of composite cylinders under compressive loads. Various thickness ratios (R/t) and slenderness ratios (L/R) are considered and Single Perturbation Load Approach is applied to represent the geometric initial imperfection of the composite cylinder. For the composite cylinder with thickness ratio of 500 and slenderness ratio of 2.04, the buckling Knockdown factor derived in this work is higher by 84.38% than NASA's previous buckling design criteria. Therefore, it is investigated that a lightweight design is possible when the present Knockdown factors are used for the design of composite propellant tank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global buckling loads and buckling Knockdown factors decrease as the thickness ratio or slenderness ratio of composite cylinders increas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주 발사체의 복합재 추진제 탱크 구조의 경량 설계를 위하여 좌굴 Knockdown factor를 ABAQUS를 이용한 수치해석 기반으로 새롭게 도출하였다. 복합재 원통 구조의 다양한 두께비(R/t)와 세장비(L/R)를 적절히 고려하였으며, 기하학적 초기 결함을 Single Perturbation Load Approach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두께비 = 500 및 세장비 = 2.04를 갖는 복합재 원통 구조의 모델의 경우, NASA의 기존 좌굴 설계 기준보다 약 84.38%만큼 좌굴 Knockdown factor가 높게 도출되어 본 연구의 좌굴 설계 기준을 이용할 경우 복합재 추진제 탱크의 경량 구조 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복합재 원통 구조의 두께비와 세장비가 각각 증가함에 따라 전역 좌굴 하중과 좌굴 Knockdown factor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1604713701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37011.pdf", "abstract_en": "In the city of high population density crowded with buildings, Urban Heat Island (UHI) is intensified, and the city is vulnerable to thermal comfort. The maintenance of vacant land in downtown is treated as a factor that undermine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poils the urban landscape, and decreases the economic vitality of the whole reg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n microclimate in the surrounding area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cenarios targeting the vacant land in Songhyeon-dong, Jongno-gu, Seoul. The status quo, green oriented, building oriented and green-building mediation scenarios were established and ENVI-met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f changes in wind speed, air temperature and mean radiant temperature (MRT) within 1 km of the target and the target site. The result of inside and 1 km radius the targeted area showed that the seasonal average temperature decreased and the wind speed increased when the green oriented scenario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e one. It was expected that the temperature lowered to -0.73 ℃ or increased to 1.5 ℃ in summer, and the wind speed was affected up to 210 meters depending on the scenario. And it was revealed that green area inside the site generally affects inside area, but the layout and size of the buildings affect either internal and external a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as a decision-making support tool for developing Songhyeon-dong area and to be used to reflect the part related to microclimate on the future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system.", "abstract": "건물이 밀집되고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는 열섬현상이 가중되고 열쾌적성에 취약하다. 도심에서 방치되고 있는 공지는 주거환경과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지역 전체의 경제적 활력이 낮아지며 도시를 쇠퇴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다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종로구 송현동의 공지를 대상으로 개발 시나리오에 따라 주변 미기후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현 상태 유지, 녹지 중심, 건물 중심, 녹지-건물 절충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ENVI-met을 사용하여 개별 시나리오별로 대상지와 대상지 주변 1 km 내 변화되는 풍속, 기온, 평균복사온도를 개발 시나리오별 내·외부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지 내·외부는 녹지 중심의 시나리오가 현 상태 유지 시나리오와 비교했을 때 계절별 평균 기온은 낮아졌고, 풍속이 빨라진 것으로 도출되었다. 여름철 최대 -0.73 ℃가 낮아지거나 1.5 ℃까지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풍속은 시나리오에 따라 최대 210 m 범위까지 영향이 있었다. 또한, 녹지는 내·외부, 건물 배치 및 크기는 녹지보다 효과는 적으나 인접한 외부 공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송현동 개발 방향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로써 도움을 줄 수 있고, 향후 환경영향평가 제도에 미기후에 대한 부분을 반영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d": "JAKO20211604713801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38011.pdf", "abstract_en": "Urban development is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to stabilize housing supply. The importance of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s considering the various urban spatial structures is emerging as land use change in the wake of urban development has impact on the provision of ecosystem services. However, few studies are available as to the effects of land use transition in agricultural land due to urban development on ecosystem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decision-making in the urban planning process by analyzing the impact of land use change on ecosystem services due to urban development. Therefore, the scenario was set on before and after the city development, targeting Namyangju Wangsuk Zone 1 and InVEST model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value of ecosystem services. Analysis results of ecosystem services before the urban development, it turned out that habitat quality and water yield increased overtime but carbon storage and crop production decreased. Analysis results of ecosystem services after the urban development indicated that all items in ecosystem services by scenario decreased more than in 2018. Among the scenarios of urban development, compact city had the lowest value of water resource supply but had the highest value in terms of habitat quality, carbon storage amount, and crop production.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ompact city has positive effects on ecosystem service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supporting policy decision-making in the establishment of futur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s.", "abstract": "현재 도시개발은 택지공급의 안정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시개발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는 생태계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도시 공간구조를 고려한 생태계서비스 평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개발에 의한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를 고찰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개발에 따른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도시계획 단계의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양주 왕숙1지구를 대상으로 도시개발 전과 개발 후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으며, InVEST 모델을 활용하여 생태계서비스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도시개발 이전의 생태계서비스 분석결과, 서식처 질과 수자원공급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난 반면, 탄소고정량과 작물생산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개발 이후의 생태계서비스 분석결과, 시나리오별 생태계서비스는 모든 항목이 2018년 대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시개발 시나리오 가운데 압축도시는 수자원공급량의 가치가 가장 낮게 도출된 반면, 서식처 질, 탄소고정량, 작물생산량의 가치는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압축도시는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긍정적인 도시개발 시나리오로 판단되며, 향후 도시개발 및 관리계획 수립단계에서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604719604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196040.pdf", "abstract_en": "Laboratory-scal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oxidative decomposi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field soil using peroxy-acid. The study soil texture is sandy soil containing 19.2 % of organic matter at pH 6.8. Among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the study soil, the concentration of benzo(a)pyrene is 2.23 mg/kg which is three times higherthan the Korea standard level. Therefore benzo(a)pyrene was selected as the target study PAH for the treatment by peroxy-acid oxidation using peroxy-acid coupled with hydrogen peroxide, and the efficiency of the oxidative decomposition of benzo(a)pyrene was assessed for the different organic acids and dosages of an organ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Propionic acid among the tested organic acids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of benzo(a)pyrene reduction in the peroxyacid oxidation treatment and finally satisfied the Korea standard level.", "abstract": "과산소산(peroxy-acid)을 산화제로 사용하여 현장 오염토양내 존재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산화분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토양의 토성은 19.2 %의 토양 유기물을 포함한 pH 6.8의 사양토(sandy loam)로 확인되었으며 토양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중 벤조(a)피렌(benzo(a)pyrene)의 농도가 평균 2.23 mg/kg으로 국내 토양환경보전법의 1 지역 우려 기준치의 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벤조(a)피렌 오염 토양에 대하여 유기산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과산소산 산화(peroxy-acid oxidation)처리에 의한 토양내 벤조(a)피렌의 농도 저감효과를 유기산의 종류와 유기산 및 과산화수소의 농도조건별로 평가하였다. 선정된 유기산 중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의 산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토양 중 벤조(a)피렌의 농도를 최종적으로 1 지역 우려 기준치 이하로 저감하였다."} {"id": "JAKO20211604720404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047204044.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used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indices to evaluate impacts of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on the marine environment. TheWaterQuality Index (WQI) was applied in the field of marine water quality and the Cleanup Index of Harmful Chemicals (CIHC), the Cleanup Index of Eutrophication (CIET), the Enrichment Factor(EF) were used in the field of marine sediment. In the field of marine benthic organisms, the Benthic Health Index (BHI) and the Benthic Pollution Index (BPI) were utilized. Each assessment index was calculated using the data observed in the development projec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usefulness were evaluated. The assessment method and criteria were clearly defined for WQI, CIHC, and BHI. Furthermore, through these indices, an integrated environment impact analysis was possible. Apart from the indices presented in this study, there are various indices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ng the marin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tilize appropriate ind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해양에서 진행되는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지수들을 비교·검토하였다. 해양수질 분야에는 수질평가지수(WQI), 해양저질 분야에는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CIHC), 부영양화 정화지수(CIET), 농축계수(EF), 해양저서생물 분야에는 저서건강도지수(BHI), 저서오염지수(BPI)를 선정하였다. 개발사업에서 관측된 자료를 각각의 평가지수에 적용하여 평가지수의 특성 및 효용성을 파악하였다. 수질평가지수,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 저서건강도지수가 평가방법 및 평가기준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으며, 통합적인 환경영향 분석이 가능하였다. 동 연구에서 제시된 지수이외에도 해양환경을 평가하는 다양한 지수가 있으며, 사업별 특성에 따라 적합한 지수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id": "JAKO20211515322340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223403.pdf", "abstract_en": "This study conducted to obtain the lateral resistance of a block-type breakwater reinforced with piles through an model test. In particular, the changes in the lateral resistance and bending moment of the pile were analyzed by varying the depth of the pile. As a result, the lateral resistance at 1H, 2H, 3H, and 4H compared to 0H increased by 1.83, 2.05, 2.47, and 2.94 times, respectively. The lateral resistance when the pile was penetrated to the riprap layer (H) was 1.83 times greater than when the pile was penetrated only in the block. In the case of the bending moment of the piles, the piles arranged in the rear row appeared to be larger than the front row, which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sliding as well as the overturning of the block subjected to the lateral load.", "abstract": "본 연구는 말뚝으로 보강된 블록식 방파제의 수평저항력을 실내모형시험을 통해 구하였다. 특히 말뚝의 근입깊이를 달리하여 말뚝의 수평저항력 및 휨모멘트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0H 대비 1H, 2H, 3H, 4H에서의 수평저항력은 각각 1.83, 2.05, 2.47, 2.94배 커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사석층(H)까지 말뚝이 관입되었을 때의 수평저항력이 블록내에만 관입되어 있을 때 보다 1.83배 커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말뚝의 휨모멘트의 경우 후열에 배치된 말뚝이 전열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수평하중을 받는 블록이 활동뿐만 아니라 전도가 동시에 발생함에 따라 나타난 결과라 볼 수 있다."} {"id": "JAKO202118742148015", "publication_date": "2021.06.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742148015.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lustered groundwater usage facilities and the proper amount of groundwater usage in the Daejeong-Hangyeong watershed of Jeju island were evaluated based on the data-driven analysis methods. As the applied data, groundwater level data; the corresponding precipitation data; the groundwater usage amount data (Jeoji, Geumak, Seogwang, and English-education city facilities) we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Geumak usage facility has a large influence centering on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e Seogwang usage facility affects on the downstream area; the English-education usage facility has a great impact around the upstream of the location; the Jeoji usage facility shows an influence around the up- and down-streams of the location. Overall, the influence of operating the clustered groundwater usage facilities in the watershed is prolonged to approximately 5km. Additionally, the appropriate groundwater usage amount to maintain the groundwater base-level was analyzed corresponding to the precipitation. Considering the recent precipitation pattern, there is a need to limit the current amount of groundwater usage to 80%. With increasing the precipitation by 100mm, additional groundwater development of approximately 1,500m -1,900m would be reasonable. All the results of the developed data-driven estimation model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sustainable groundwater development in the Daejeong-Hangyeong watershed of Jeju islan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자료기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제주 대정-한경 유역의 군집형 지하수 이용 관정의 영향력을 평가하고 지하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정-한경 유역 내 총 19개 지하수위 관측공의 지하수위 자료, 총 3개 기상 관측소로부터 측정된 강수량 자료, 및 총 4개의 군집형 지하수 이용 관정(저지, 금악, 서광, 및 영어교육도시)으로부터 획득한 이용량 자료가 이용되었다. 먼저, 각 지하수위 관측공에 대하여 강수량 및 이용량 자료를 입력변수로 하는 자료 기반 지하수위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때, 과거의 장기적 변동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에 이용하기 위하여 누적 장단기 메모리 모델을 이용하였다. 모든 관측 공에 대하여 지하수위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이용량 입력변수에 대한 섭동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각 군집형 관정의 공간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금악 수원은 해당 수원 중심으로 영향이 크고, 서광 수원은 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교육도시는 수원의 상류 지역 중심, 저지 수원은 수원 상류 및 하류 중심으로 영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유역 내 군집형 수원의 영향력은 대략 5km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학습된 예측모델을 기반으로 군집형 이용 관정의 영향 범위에 포함되는 지하수위 관측공에 대해 강수량 대비 배경 지하수위 회복을 위한 적정 지하수 이용량을 산정하였다. 최근의 강수 패턴을 적용하였을 때, 현재 지하수 이용량을 기존의 80%로 제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수량이 100mm 증가하였을 때, 대략 1,500 m 에서 1,900 m 의 추가적인 취수가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대정-한경 유역 지하수 거동특성 평가 결과와 자료기반 분석 도구들은 대정-한경 유역의 지속 가능한 지하수 개발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8742197028", "publication_date": "2021.06.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742197028.pdf", "abstract_en": "The Sinseongri site contains at least eleven theropod trackways, three sauropod trackways, and one or more ornithopod walkways of dinosaur footprints. The host rock at the site is primarily siltstone and mudstone, but thermal alterations have metamorphosed it into hornfels. Except for micro cracks and exfoliations, joint systems in various directions appeared on the surface of the fossils site and showed a low share of all damage factors. The host rocks in the fossils site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physical properties as a result of ultrasonic velocity and were classified as stable. More than half of the fossils required reinforcement to control the progression of cracks if the type of conservation treatment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damage type of dinosaur footprint fossils. The white paint used to visualize the footprints seems to deteriorate, allowing rock debris to spill out and causing damage to the fossil site, and alternative visualization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abstract":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지에는 최소한 수각류 보행렬 11개, 용각류 보행렬 3개 및 조각류 보행렬 1개 이상 존재하여, 국내 다른 공룡발자국 화석지에 비해 수각류 보행렬의 밀집도가 높다. 공룡발자국의 모암은 미사암과 이암의 암상을 보이나 전체적으로 열변질을 받아 혼펠스화되어 있다. 이 화석지의 표면에는 다양한 방향의 절리가 나타나며 미세균열과 박락을 제외하면 모든 손상요인에서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화석지의 암석은 비교적 건전한 물성을 보여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공룡발자국 화석의 손상형태에 따라 보존처리 유형을 세분하면, 균열의 진전을 제어할 수 있는 강화처리가 필요한 발자국화석이 절반 이상의 비율을 보였다. 또한 발자국의 가시화를 위해 도포한 흰색 페인트가 열화되면서 암편 탈락을 유발하여 오히려 화석의 손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대체할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id": "JAKO202118742211032", "publication_date": "2021.06.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742211032.pdf", "abstract_en": "Moryang Fault is geomorphologically observed as a linear fault valley from Angang through Moryang, Duckhyun and Wondong to Gimhae, and contacts with Yangsan Fault, being obliquely away to the east, at Angang disrict. The fault valley appears a V-shape feature with a width from 100 to 300 m, and has fragmental zones of the fault along the valley on a small scale. Nine fault-outcrop localities were found along the nine-kilometers valley between Daehyun-ri, Gyeongju, and Baenaemi-gogae, Yangdong-ri, Ulsan. The fault strikes the North-North-East to the Northeast and dips to the Northwest with high angles, and reveals it had been undergone predominantly sinistral reverse fault movement sense, left-lateral and right-lateral strike-slip sense in bedrocks. However, after unconsolidated sediments, there was the top-up-to-the-east dextral reverse fault movement.", "abstract": "모량단층은 안강-모량-덕현-원동-김해를 잇는 선상의 단층곡으로부터 인지되며, 동측에 발달하는 양산단층과 안강 인근에서 만난다. 단층곡은 100-300 m 폭의 V자 형태를 보이며, 단층곡을 따라 수 m 내외의 폭을 가지는 소규모 단층파쇄대가 발달한다. 약 9 km에 달하는 경주시 대현리-울산 양동리 배내미고개 구간에서 9개 지점의 단층노두들이 확인되었으며, 단층은 주로 북북동 내지 북동 주향과 고각의 북서 경사를 가진다. 기반암내에서 단층은 좌향 이동성분을 갖는 역단층운동, 좌수향과 우수향주향이동단층운동이 관찰되었으며, 미고결퇴적층이 형성된 이후에는 단층의 서측이 동쪽으로 상승하는 우향이동성분의 역단층 운동을 하였다."} {"id": "JAKO20210895620505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956205053.pdf", "abstract_en": "High-resolution satellites such as Kompsat-3 and CAS-500 include optical cameras of MS (Multispectral) and PAN (Panchromatic) CCD (Charge Coupled Device) sensors installed with certain offsets. The offsets between the CCD sensors produce geometric discrepancy between MS and PAN images because a ground target is imaged at slightly different times for MS and PAN sensors. For precise pan-sharpening process, we propose a co-registration process consisting the physical sensor modeling and image matching. The physical sensor model enables the initial co-registration and the image matching is carried out for further refinement. An experiment with Kompsat-3 images produced RMSE (Root Mean Square Error) 0.2pixels level of geometric discrepancy between MS and PAN images.", "abstract": "아리랑3호, 국토위성 등 고해상도 국토관측 위성은 일반적으로 가시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MS (Multispectral) CCD (Charge Coupled Device) 센서와 MS보다 4배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고해상도 PAN (Panchromatic)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CCD 센서의 조합으로 된 카메라를 탑재한다. 카메라 내에서 PAN과 MS CCD라인이 일정한 간격을 갖게 설치되기 때문에 위성이 궤도를 지나가며 대상물을 약간의 시간차를 갖고 촬영하게 되며 따라서 영상 내의 대상물 위치도 달라진다. PAN과 MS 영상융합을 위해서는 PAN과 MS영상간의 정밀한 상호좌표등록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센서모델링을 통한 기법과 영상 매칭의 융합을 통한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였다. PAN과 MS 상호 센서모델링을 통해 초기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고, 영상 매칭을 통해 그 정밀도를 향상시켜 약 RMSE (Root Mean Square Error) 0.2 화소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id": "JAKO20210895620505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956205056.pdf", "abstract_en": "Data analysis research using deep learning has recently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 In this paper, we conduct a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based meteorological study applying deep learning by estimating the ZWD (Zenith tropospheric Wet Delay) through MLP (Multi-Layer Perceptron) and LSTM (Long Short-Term Memory) models. Deep learning models were trained with meteorological data and ZWD which is estimated using zenith tropospheric total delay and dry delay. We apply meteorological data not used for learning to the learned model to estimate ZWD with centimeter-level RMSE (Root Mean Square Error) in both model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GNSS data from coastal areas together and increase time resolution in order to estimate ZWD in various situations.", "abstract": "최근 딥러닝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인 MLP (Multi-Layer Perceptron)와 LSTM (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통해 ZWD (Zenith tropospheric Wet Delay)을 추정함으로써 딥러닝을 활용한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기반 기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딥러닝 모델은 기상 데이터와 천정방향 대류권 총 지연, 건조지연을 통해 추정한 ZWD로 학습되었고,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기상 데이터를 학습된 모델에 적용하여 두 모델에서 센티미터 수준의 RMSE (Root Mean Square Error)로 ZWD 결과를 산출하였다. 추후 해안지역의 GNSS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고 시간 해상도를 높여 다양한 상황에서도 ZWD가 추정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id": "JAKO20210895620504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956205049.pdf", "abstract_en": "This paper presents a procedure to extract lane line models using a set of proposed methods. Firstly, an image warping method based on homography is proposed to transform a target image into an image which is efficient to find lane pixels within a certain region in the image. Secondly, a method to use the combination of the results of edge detection and HSL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transform is proposed to detect lane candidate pixels with reliability. Thirdly, erroneous candidate lane pixels are eliminated using a selection area method. Fourthly, a method to fit lane pixels to quadratic polynomials is proposed. In order to tes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procedure, a set of black-box images captured under varying illumination and noise conditions were us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cedure c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color-only and edge-only based methods and extract lane pixels and model the lane line geometry effectively within less than 0.6 seconds per frame under a low-cost computing environment.", "abstract": "본 연구는 일련의 방법을 조합하여 차선의 라인모델을 추출하는 과정을 제안한다. 첫째로, 호모그래피(homography)에 기반한 영상와핑(warping)을 통하여 영상내에서 차선영역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을 검출하기 용이하도록 변환하는 것을 제안한다. 두 번째로, 에지검출과 HSL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변환을 이용하여 차선후보픽셀들을 안정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세 번째로, 선택영역을 활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차선후보픽셀들 중에서 오류픽셀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네 번째로, 차선픽셀들을 이차다항식 함수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명조건과 노이즈 하에서 취득한 차량용 블랙박스영상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방법은 색상이나 에지만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들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비교적 저가의 컴퓨팅 환경하에서 다양한 조건의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당 약 0.6초 이내에 차선픽셀들을 추출하고 차선라인모델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d": "JAKO20210895620506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956205060.pdf", "abstract_en": "Risk factors that threaten public safety such as crime, fire, and traffic accidents have spatial characteristics. Since each region has different dangerous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 of risk factors for each sector such as traffic accident, fire, crime, and living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local safety level index, which act as an index that rates the safety level of each sector (traffic accident, fire, crime, living safety, suicide, and infectious disease) for basic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nation. The following analysis tools were used to analyze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local safety level index : Global Moran's I, Local Moran's I, and Getis-Ord's G⁎i.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safety level on traffic accidents, fire, and suicide tends to be more clustered spatially compared to the safety level on crime, living safety, and infectious disease. As a result of analyzing significant spatial correlations between different regions, it was found that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are relatively safe compared to other cities based on the integrated index of local safety. In addition, hot spot analysis using statistical values from Getis-Ord's G⁎i derived three hot spots(Samchuck, Cheongsong-gun, and Gimje) in which safety-vulnerable areas are clustered and 15 cold spots which are clusters of areas with high safety levels. Thes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the government is making policies to improve the safety level by identify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spatial pattern in areas with vulnerable safety levels.", "abstract": "범죄, 화재, 교통사고 등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인자들은 지역적 맥락과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역마다 서로 다른 위험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분야별로 위험요소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분야(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별 안전등급을 측정한 지표인 지역안전지수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지역안전지수의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을 위해 전역적 공간자기상관분석(Global Moran's I)과 Local Moran's I를 활용한 LISA(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분석, Getis-Ord's G⁎i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사고, 화재, 자살의 안전지수 분포는 범죄, 생활안전, 감염병의 안전지수보다 공간적으로 집중(clustered) 경향을 보였다. 지역간 유의미한 공간적 연관성을 분석한 LISA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이 다른 도시에 비하여 지역안전통합지수를 기준으로 비교적 안전한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etis-Ord's G⁎i 통계값을 활용한 핫스팟분석 결과 안전 취약지역의 군집인 3개의 핫스팟(강원도 삼척시, 경상북도 청송군, 전라북도 김제시)과 전반적인 안전 수준이 높은 군집인 15개의 콜드스팟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안전 수준 취약지역의 공간적 분포와 패턴을 파악하여 안전 지수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d": "JAKO20210895620506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956205064.pdf", "abstract_en": "As data acquisi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is widely used, as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hotogrammetry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a method of inputting both vertical and oblique images in bundle adjustment of aerial triangulation has been propo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a suitable method for increasing the accuracy of photogrammetry, the accuracy of the case of adjusting the oblique images taken at different shooting angles and the case of adjusting the oblique images with different shooting angles at the same time with the vertical image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rror of the checkpoint decreases as the angle of the input oblique images increases. In particular, when the vertical images and oblique images are used together, the height error decreases significantly as the angle of the oblique images increases. The current 『Aerial Photogrammetry Work Regulation』 requires RMSE (Root Mean Square Error), which is the same as GSD (Ground Spatial Distance) of a vertical image. When using an oblique images with a shooting angle of 50°, a result close to this standard is obtained. If the vertical images and the 50° oblique images were adjusted at the same time, the work regulations could be satisfied.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photogrammetry using low-cost cameras mounted on unmanned aerial vehicles will become more active.", "abstract":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데이터 취득이 널리 활용되면서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사진측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항공삼각측량의 번들 조정에 연직사진과 경사사진을 같이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측량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적합한 방법을 찾기 위해 촬영 각도를 달리하여 촬영한 경사사진을 조정하는 경우와 촬영 각도가 다른 경사사진을 연직사진과 동시에 조정하는 경우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입력되는 경사사진의 경사가 커질수록 검사점의 오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연직사진과 경사사진을 같이 사용할 때, 경사사진의 경사가 클수록 높이 오차가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에서는 연직사진의 GSD (Ground Spatial Distance)와 동일한 RMSE (Root Mean Square Error)를 요구하고 있다. 촬영각도 50°의 경사사진을 이용할 때 이 기준에 거의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연직사진과 50°의 경사사진을 동시에 조정한 경우 작업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저가의 사진기를 이용하는 사진측량이 더욱 활발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895620506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956205067.pdf", "abstract_en": "Calculation of quantity at construction sites is a factor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construction costs, and it is important to calculate accurate values. In this study, topographic model was created by using drone photogrammetry and drone LiDAR to estimate earthwork volume. ortho image and DSM (Digital Surface Model) were constructed for the study area by drone photogrammetry, and DEM (Digital Elevation Model) of the target area was established using drone LiDAR. And through accuracy evaluation, accuracy of each method are 0.034m, 0.35m in horizontal direction, 0.054m, 0.25m in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research, the usability of drone photogrammetry and drone LiDAR for constructing geospatial information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volume of the study site, the UAV photogrammetry showed a difference of 1528.1㎥ from the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urvey performance, and the 3D Laser Scanner showed difference of 160.28㎥. The difference in the volume of earthwork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topographic model, and the efficiency of volume calculation by drone LiDAR could be suggested. In the future, if additional research is conducted using GNSS surveying and drone LiDAR to establish topographic model in the forest area and evaluate its usability, the efficiency of terrain model construction using drone LiDAR can be suggested.", "abstract": "건설현장에서 토공물량 산정은 설계에서 시공에 이르기까지 공사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 정확한 값을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물량 산정을 위해 드론 사진측량과 드론 LiDAR를 이용한 방법으로 지형모델을 생성하였다. 드론 사진측량 방법으로 연구대상지의 DSM (Digital Surface Model) 및 정사영상을 구축하였으며, 드론 LiDAR를 이용해 연구대상지의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구축하였다. 각각의 방법으로 생성된 지형모델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여 각각의 방법이 수평방향 0.034m, 0.035m, 수직방향 0.054m, 0.025m의 차이를 나타내어 지형모델 구축을 위한 드론 사진측량과 드론 LiDAR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의 토공물량 산정 결과, 드론 사진측량은 GNSS 측량 성과와 1528.1㎥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드론 LiDAR는 160.28㎥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토공물량의 차이는 식생 및 가건물로 인한 지형모델의 차이로 판단되며, 연구를 통해 드론 LiDAR에 의한 물량산정의 효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량과 드론 LiDAR를 활용한 방법으로 산림지역에서의 지형모델 구축 및 활용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면 드론 LiDAR를 이용한 지형모델 구축의 활용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0895620507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956205071.pdf", "abstract_en": "The roughness of the road is an important factor directly connected to the ride comfort, and is an evaluation item for functional evaluation and pavement quality management of the road. In this study, data on the road surface were acquired using the latest 3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echnology of ground LiDAR, drone photogrammetry, and drone LiDAR, and the accuracy and roughness of each method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ccuracy evaluation, the average accuracy of terrestrial LiDAR were 0.039m, 0.042m, 0.039m RMSE in X, Y, Z direction, and drone photogrammetry and drone LiDAR represent 0.072~0.076m, 0.060~0.068m RMSE, respectively. In addition, for the roughness analysis,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slopes of the target section were extracted from the 3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ed by each method, and the design value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roughness analysis, the ground LiDAR showed the same slope as the design value, and the drone photogrammetry and drone LiDAR showed a slight difference from the design valu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drone photogrammetry and drone LiDAR in measurement fields such as road roughness analysis. If the usability through improved accuracy can be presented in the future, the time required for acquisition can be greatly reduced by utilizing drone photogrammetry and drone LiDAR, so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related work efficiency.", "abstract": "도로의 평탄성은 승차감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며, 도로의 기능평가 및 포장품질 관리를 위한 평가항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 LiDAR, 드론 사진측량 및 드론 LiDAR의 최신 3차원 공간정보 구축 기술을 활용하여 도로 노면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각각의 방법에 대한 정확도 및 평탄성을 분석하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지상 LiDAR는 X, Y, Z 방향으로 각각 0.039m, 0.042m, 0.039m의 RMSE를 나타내었으며 드론 사진측량과 드론 LiDAR는 각각 0.072~0.076m, 0.060~0.068m의 RMSE를 나타내어 측량 및 지도제작 분야에 각각의 방법이 충분히 활용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편평도 분석을 위해 각각의 방법으로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에서 대상 구간에 대한 종방향 경사와 횡방향 경사를 추출하고, 설계값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평탄성 분석 결과 지상 LiDAR는 설계값과 동일한 경사를 나타내었으며, 드론 사진측량 및 드론 LiDAR의 경우 설계값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도로의 평탄성 분석과 같은 계측 분야에 드론 사진측량 및 드론 LiDAR를 활용하기 위한 정확도를 향상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정확도 향상을 통한 활용성을 제시할 수 있다면 드론 사진측량 및 드론 LiDAR를 활용하여 취득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관련 업무 효율성 향상이 가능할 것이다."} {"id": "JAKO202117560669511",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0669511.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at orientations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related to their science classes, what realities they encounter in real classes, how they overcome their frustrations and failures they experience. We employ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of two early 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iss Park and Mr. Choi). Miss Park wanted to conduct students-driven inquiry classes, in which students become active investigators, but in reality, she faced herself who conducted teacher-driven classes. Mr. Choi wanted to conduct science classes based on constructivism, but in reality, he encountered himself as a knowledge giver rather than scaffolder. However, rather than giving up their orientations, the two teachers tried to keep them in their own way. It was expected that by understanding what strategies beginner teachers take when their theoretical orientation and ideals are not well implemented in actual educational reality, we could find a clue that will lead to a more successful transition from pre-service teacher to teach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과학 수업과 관련하여 어떠한 지향을 추구하는지, 실제로 마주한 현실은 무엇이며, 그 속에서 어떻게 좌절과 실패를 극복해 나가는지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두 초임교사인 박 교사와 최 교사의 과학 수업 실천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박교사는 학습자 중심의 탐구 수업을 실천하길 원했지만, 현실에서는 교사 주도로 수업을 하게 되는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였다. 최 교사는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과학 수업을 실천하길 원했지만, 현실에서는 스캐폴더가 아닌 지식 전달자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과학 수업에 대한 자신의 지향을 포기하거나 좌절에 머물기보다는 각자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지향에 다가가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자신의 과학 수업 지향이 잘 구현되지 않을 때 초임교사가 어떠한 전략을 만들어 가는지 이해함으로써 예비교사에서 교사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이끌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184118595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841185951.pdf", "abstract_en": "As fine dust negatively affects disease, industry and economy, the people are sensitive to fine dust. Therefore, if the occurrence of fine dust can be predicted, countermeasures can be prepared in advance, which can be helpful for life and economy. Fine dust is affected by the weather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fine dust emission sources. The industrial sector has the largest amount of fine dust emissions, and in industrial complexes, factories emit a lot of fine dust as fine dust emission sources. This study targets regions with old industrial complexes in local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ause fine dust and develop a predictive model that can predict the occurrence of fine dust. weather data and fine dust data were used, and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generation of fine dust were extra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model with high predictive power was extracted by learning with a machine learning regression learner model.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confirmed using test data. As a result, the models with high predictive power were linear regression model, Gaussian process regression model, and support vector machine. The proportion of training data and predictive power were not proportional. In addi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was not large, but when the measured value was high, the predictive power was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eveloped as a more systematic and precise fine dust prediction service by combining meteorological data and urban big data through local government data hubs. Lastly,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mart industrial complexes.", "abstract": "미세먼지는 질병, 산업·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국민들은 미세먼지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면, 미리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어 생활과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미세먼지의 발생은 기상과 미세먼지 배출원의 밀집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산업부문은 미세먼지 배출량이 가장 많으며, 그 중에 산단은 공장들이 미세먼지 배출원이 되어 더 많은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지방도시에서 노후산업단지가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미세먼지를 일으키는 요인을 탐색하고, 미세먼지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상 데이터와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미세먼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머신러닝 회귀학습기 모형으로 학습하여 예측력이 높은 모형을 추출하였고, 검증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 모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예측력이 높은 모형은 선형회귀모형, 가우스 과정 회귀모형, 서포트 벡터 머신으로 나타났으며, 훈련용 데이터의 비율과 예측력은 비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측치와 실측치 차이의 평균치는 크지 않지만, 미세먼지 실측치가 높을 때, 예측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자체 데이터 허브를 통해 기상데이터와 관련 도시 빅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정밀한 미세먼지 예측 서비스로 개발이 가능할 것이며, 스마트산단의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id": "JAKO20211184118592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841185925.pdf", "abstract_en": "Detection of surface water features including river, wetland, reservoir from the satellite imagery can be utilized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survey of water resources. This research compared the water indices derived from the multispectral bands and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for detecting the surface water features from he Landsat-8 satellite image acquired in Daegu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NDWI(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image and the MNDWI(Modified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image were separately generated using the multispectral bands of the given Landsat-8 satellite image, and the two binary images were generated from these NDWI and MNDWI images, respectively. Then SVM(Support Vector Machine), the widely use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re employed to generate the land cover image and the binary image was also generated from the generated land cover image. Finally the error matrices were used for measuring the accuracy of the three binary images for detecting the surface water features.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binary image generated from the MNDWI image(84%) had the relatively low accuracy than the binary image generated from the NDWI image(94%) and generated by SVM(96%). And some misclassification errors occurred in all three binary images where the land features were misclassified as the surface water features because of the shadow effects.", "abstract": "위성영상을 활용한 하천, 습지, 호수 등 지표수 객체의 탐지는 해당 지역의 수자원 관리 및 조사 업무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분야에서 물을 탐지하기 위해 제공하는 수분지수(Water Index)와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데 폭넓게 활용되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을 대구광역시를 촬영한 Landsat-8 위성영상에 개별적으로 적용하여 하천, 호수 등 다양한 지표수 객체를 탐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우선 Landsat-8 위성영상의 다중분광 밴드로부터 NDWI(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MNDWI(Modified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영상을 생성하였고, 임계치를 적용하여 개별 영상으로부터 물과 그 외 지역을 구분할 수 있는 이진 영상(Binary image)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기계학습 기법인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동일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토지 피복 영상을 제작하고 이로부터 이진 영상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 100개의 검사점(Checkpoints)을 사용하여 세 이진 영상으로부터 지표수 탐지를 위한 정확도를 오차 행렬을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MNDWI 영상으로부터 제작된 이진 영상의 정확도(84%)가 NDWI 영상으로부터 제작된 이진 영상의 정확도(94%)와 SVM에 의해 제작된 이진 영상의 정확도(96%)에 비해 낮았으며, 모든 이진 영상에서 그림자 등의 원인으로 인해 일부 육지 분류 결과가 지표수 객체로 오분류되었다."} {"id": "JAKO20211184118603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841186032.pdf", "abstract_en": "Recently, the number of damages on social infrastructure has increased due to natural disasters and the frequency of earthquake events that are higher than magnitude 3 has increased in South Korea. Liquefaction was found near the epicenter of a 5.4 magnitude earthquake that occurred in Pohang, South Korea, in 2017. To explore increases in soil moisture index due to soil liquefaction, changes in the remote exploration index by the land cover before and post-earthquake occurrence were analyzed using liquefaction feasibility index and multi-cyclical Landsat-8 satellite images. We found that the soil moisture index(SMI) in the liquefaction region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event increased significantly using the Normal Vegetation Index(NDVI) and Surface Temperature(LST).", "abstract": "최근 자연재해로 인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지진 발생 추이를 보면 규모 3이상의 강도 높은 지진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2017년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 지진에서는 이례적으로 진앙지 인근에서 액상화 현상이 발견되었다. 토양 액상화에 따른 토양 수분지수의 증가를 간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액상화가능성지수 자료와 다중시기 Landsat-8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지진 전후의 토지피복별 원격탐사지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해당 기간의 위성영상을 취득해 정규식생지수(NDVI)와 지표면온도(LST)를 계산하고 액상화 가능 지역에 대해 토양수분지수(SMI)를 산출하여 각 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픽셀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지진 직후 토양 액상화 현상에 따른 토양 수분지수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184118594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841185941.pdf", "abstract_en": "At present, CPTED projects are showing an effect such as reducing the anxiety of residents from crimes and improving the criminal environment about crimes through crime prevention. However, most of the CPTED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mainly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without verifying systematically and empirical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ram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and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s etc.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a plan to apply CPTED to urban regeneration for improvement in the safety and life quality of residents using AHP and Visualizing The Mental Map. For this, We selected four case areas in Busan and then analyzed the dead zones of CPTED programs by visualizing the mental maps and heat maps of residents for case district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riority of CPTED program, installation of CCTVs and streetlights for prevention of crime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Result of analyzing mental map, the existing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nd CPTED programs were found to have resolved most of physical disorder. However, it showed that, for psychological factors which the residents feel such as social disorder, a number of dead zones exist.", "abstract": "현재 셉테드(CPTED) 사업은 지역의 범죄예방을 통해 주민들의 범죄로부터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환경개선 등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셉테드(CPTED) 사업이 주민의 삶의 질, 주민 만족도 제고 등과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검증 없이 물리적 환경개선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AHP 분석과 멘탈맵(mental map) 시각화를 활용 하여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사업에 셉테드(CPTED)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4곳의 사례지역을 선정하고, 주민을 대상으로 한 AHP분석을 통해 셉테드(CPTED)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사회적 무질서에 대한 주민의 멘탈 맵(mental map)을 시각화하여 셉테드(CPTED) 프로그램의 사각지대를 분석하였다. 셉테드(CPTED) 프로그램 우선순위 분석결과 CCTV 및 가로등 설치가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의 멘탈 맵(mental map) 분석 결과 기존의 방범시설과 셉테드(CPTED) 프로그램이 물리적인 무질서에 대하여 대부분 해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무질서에 대해 주민이 느끼는 심리적인 요소는 여러 곳의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184118602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841186028.pdf", "abstract_en": "Marine spatial planning(MSP) designates the marine as nine kinds of use zones for the systematic and rational management of marine spaces. One of them is the fishery protection zone, which is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fishery products, including the protection and fosterage of fishing activities. This study intends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 fishing activity space, one of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designation of fisheries protection zones, by mapping of fishery activities using V-Pass data and deriving the fishery activity concentrated zone. To this end, pre-processing of V-Pass data was performed, such as constructing a dataset that combines static and dynamic information, calculating the speed of fishing vessels, extracting fishing activity points, and removing data in non-fishing activity zone. Finally, using the selected V-Pass point data, a fishery activity map was made by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the concentrated space of fishery activity was analyz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ish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fishing vessel and the season. The pre-processing technique of large volume V-Pass data and the mapping method of fishing activities perform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spati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fishing activities in the future.", "abstract": "해양공간계획은 해양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9가지 용도구역으로 지정한다. 그 중 하나가 어업활동의 보호와 육성을 비롯한 수산물의 지속 가능한 생산을 위해 필요한 어업활동 보호구역이다. 본 연구는 V-Pass 자료를 활용하여 어업활동 지도를 제작하고 어업활동 밀집 공간을 도출함으로써 어업활동보호구역 지정에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 어업활동 공간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V-Pass 자료를 정적 정보와 동적 정보가 결합된 데이터셋 구축, 어선 속도 계산, 어업활동 지점 추출, 비어업활동 공간 내의 자료 제거와 같은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V-Pass 점 자료를 이용하여 커널밀도추정으로 어업활동 지도를 제작하고 어업활동이 밀집된 공간을 분석하였다. 또한 어선의 업종과 계절에 따라 어업활동의 공간분포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행한 대용량 V-Pass 자료의 전처리 기법과 어업활동의 공간밀도 분석 방법은 향후 어업활동에 대한 공간특성평가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2362357874",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62357874.pdf", "abstract_en": "A surface image velocimeter (SIV) measures the velocity of a particle group by calculat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particle group in two consecutive images of the water surface using a cross-correlation method. Therefor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flow velocity calculated by a SIV,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calculate the displacement of the particle group in the images. In other words, the change in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particle group in the two images to be analyzed must be accurately calculated. In the image of an actual river taken using a camera, camera lens distortion inevitably occurs, which affects the displacement calculation in the imag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camera lens distortion on the displacement calculation using a dense and uniformly spaced grid boa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mera lens distortion gradually increas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The displacement calculation error reached 8.10% at the outer edge of the image and was within 5% at the center of the image. In the future, camera lens distortion correction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river surface flow rate measurements.", "abstract": "표면영상유속측정법은 일반적으로 상호상관법을 이용하여 수표면을 촬영한 연속된 두 영상에서 입자군의 명암값 분포를 계산하여 입자군의 변위를 계산하고 이를 두 영상 사이의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입자군의 이동 속도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표면영상유속측정법으로 산정한 유속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상 내 두 입자군의 변위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분석하고자 하는 영상에서 입자군이 이동한 물리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하천을 촬영한 영상은 카메라 렌즈에 의한 왜곡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는 영상 내의 변위 산정 시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격이 일정한 격자보드를 이용해, 카메라 렌즈 왜곡이 변위 산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카메라 렌즈 왜곡은 영상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점점 크게 나타났으며 변위 산정 오차는 영상 외곽에서 최대 8.10%, 영상 중심 부근에서 5% 이내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면영상유속측정법을 이용하여 하천의 유속 측정 시 카메라 렌즈 왜곡 보정을 실시하여 표면유속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면 하천의 표면유속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236235767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62357675.pdf", "abstract_en": "The number of a industrial plant that must be demolished due to functional and structural deterioration has been increased. There is an increasing application of explosive demolition or explosive demolition combined with mechanical demolition to minimize temporal and spatial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created during the process of demolition. In this case study, to demolish the industrial plant foundation, which is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explosive demolition technique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explosive demolition, the overall crushing of plant foundation structure was satisfactory, and the explosive demolition was completed without causing any damage to surrounding facilities.", "abstract": "산업용 플랜트의 기능적·노후화에 따른 해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시간적·공간적 환경위해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파해체공법 또는 기계식 해체공법 및 발파해체공법을 혼용한 해체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시공사례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방식으로 건설된 플랜트 기초를 해체하기 위해 발파해체공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로서 플랜트 기초의 적정한 목표 파쇄가 이루어졌으며, 주변 시설물에 대한 피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236235767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62357671.pdf", "abstract_en": "Brittle materials such as rocks and concretes exhibit large strain-rate dependency under dynamic loading conditions. This means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uch materials can significantly be varied according to load velocity. Thus, the strain-rate dependency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in solving problems of blast engineering or rock dynamics. Unfortunately, however, studies for characterizing the dynamic properties of domestic rocks and other brittle materials are still insufficient in the country. In this study, dynamic tensile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Hopkinson pressure bar apparatus to characterize the dynamic properties of Geochang granite and high-strength concrete specimens. The dynamic Brazilian disc test, which is suggested by ISRM, and the spalling method were applied. In general, the latter is believed to have some advantages in experiments under high-strain rate deformation. It was found from the test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ynamic tensile strengths obtained from the two different test methods for the two materials given. However, this was not the expected result before the tests. Actually, authors expected that there b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Hence, it is thought tha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clarify this results.", "abstract": "암석이나 콘크리트와 같은 취성재료는 재료에 동하중이 가해질 때에는 큰 변형률속도 의존성을 보인다. 이는 취성재료의 역학적 성질이 하중속도에 따라 크게 변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성질 때문에 취성재료의 변형률속도 의존성은 발파공학이나 암석동역학 문제를 풀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국내의 경우, 암석이나 여타의 취성재료들의 동적물성을 특성화하는 연구들은 아직 미진한 상태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창 화강암과 고강도 콘크리트 시편의 동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홉킨슨 압력봉을 이용하여 동적 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ISRM이 제안한 동적 압열시험과 박리시험을 채택하였다. 일반적으로, 고변형률속도 하에서는 후자의 방법이 더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두 종류의 시험을 실시한 결과, 시편들의 동적 인장강도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저자들은 애초에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강도가 상이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방법을 적용했음에도 측정 강도가 비슷하게 나타난 것은 오히려 시험과정에서 어떤 오류가 개입된 것으로도 볼 수 있으므로 후속연구를 통해 이 부분에 대해 상세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id": "JAKO20211236235766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62357667.pdf", "abstract_en": "As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the rapid increase in industrial structures are aging, the demand for removing steel structures is increasing, and research on improving the penetration performance of the linear shape charge explosives. In the study,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effect of the type of explosive used in the self-made shape charging container and the initiation method on the cutting performance of the steel plate and the effect on the shaped explosive installed close to it. ANSYS LS-DYNA, which can analyze the large deformation problem of materials due to explosion, was used, and an ALE(Arbitrary-Lagrange-Eulerian) model was applied that enables interlocking analysis of gases, liquids, and solid.", "abstract": "경제성장과 함께 급증한 산업구조물이 노후화됨에 따라 철 구조물 해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선형 성형폭약의 관통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제작한 성형폭약 장약 용기 내 사용하는 폭약의 종류와 기폭방식이 강재 절단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근접한 성형폭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에는 폭발에 의한 재료의 대변형 해석이 가능한 ANSYS사 LS-DYNA를 사용하였으며 기체, 액체, 고체의 유동해석에 특화된 ALE(Arbitrary-Lagrange-Eulerian) 모델이 적용된다."} {"id": "JAKO20211106591004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65910045.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Random Walker analysis to predict the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a simulation analysis with a radius of 7.5 km set as the final range centered on the Ansim-wetland in Daegu City, and a field survey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The number of virtual otters was set to 1,000, the number of moving steps was set to 1,000 steps per grid, and simulation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841 gri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 average of 147.6 objects arrived at the boundary point under the condition of an interval of 50 m.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verification, 8 points (13.1%) were found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was very high, and 9 points (14.8%) were found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was high. On the other hand, in areas with low movement paths probabilities, there were 8 points (13.1%) in low areas and 4 points (6.6%) in very low areas. Simulation verification results In areas with high otter values, the actual otter format probability was particularly high.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with the otter appearance point according to the unit area of the evaluation star of the movement probability, it seems that 6.8 traces were found per unit area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probability is the highest. In areas where the probability of movement is low, analysis was performed at 0.1 points. On the side where otters use the major movement paths of the river area, the normal level was exceeded, and as a result, in the area, 23 (63.9%), many form traces were found, along the major movement paths of the simulation. It turned out that the actual otter inhabits. The EN-Simulator analysis can predict how spatial properties affect the likelihood of major movement paths selection, and the analytical values are used to utilize additional habitats within the major movement path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such as to grasp the danger area of road kill in advance and prevent it.", "abstract": "본 연구는 수달의 주요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Simulato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대구시 안심습지를 중심으로 반경 7.5 km를 최종 범위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 검증을 위해 현지조사를 활용하였다. 가상의 수달 개체수는 1,000마리, 이동 스텝 수는 격자 당 1,000 스텝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841개 격자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147.6±112.1 개체가 간격 50m 조건에서 분석범위 경계 지점에 도착하였다. 시뮬레이션 검증결과, 수달의 주요 이동 확률이 높은 지역 가운데 시뮬레이션의 '매우 높음 지역'에서 8개 수달흔적 지점(13.1%), '높음 지역'에서 9개 지점(14.8%)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동확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낮음 지역' 8개 지점(13.1%)과 '매우 낮음 지역' 4개 지점(6.6%)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의 검증결과 높음 결과값을 가지는 지역에서 특히 실제 수달의 서식 흔적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이동확률의 등급 별 단위 면적(1×1㎢ 당)에 따른 수달 출현지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높은 확률로 이동하는 지역에서 단위 면적당 6.8개 흔적이 발견된 반면, 이동 확률이 낮은 지역은 0.1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수달이 하천 지역의 주요경로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보통 수준 이상 결과 지역에서는 23개(63.9%)로 많은 서식흔적이 발견되어 시뮬레이션의 주요 이동경로가 실제 수달 개체의 이동로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Simulator 분석은 수달의 이동경로 선택에 있어서 공간특성이 이동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 가능하고 분석값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내 추가 서식지 조성 및 로드킬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236235789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62357898.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river-crossing structures on the habitat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the Geum-gang River, South Korea. A total of three study reaches were select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echeong Dam: the Buyong-ri reach, which is a control that is not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weir of the Four Rivers Project and Sejong-bo Weir reach and Gongju-bo Weir reach of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of each weir that are affected by the weir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e habitat type was classified, and the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were analyzed using aerial photographs take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echeong Dam,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eir, and before and after the weir gate opera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Daecheong Dam in Geum River, the area of the bare land greatly decreased, and the area of grassland and woodland increas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In addition, the patch number in the river landscape increased, the patch size decreased,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and the habitat diversity increased. Therefor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m, the bare land habitat was changed to a vegetated habitat, and the habitat was fragmented and diversifi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eirs, the area of open water increased by 18% in the Sejong-bo reach and by 90% in the Gongju-bo reach,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of the open water decreased by 32% in the Sejong-bo reach and by 35% in the Gongju-bo reach, and the habitat diversity index decreased to 25% in the Sejong-bo reach and to 24% in the Gongju-bo reach. Therefore, the open water habitat was expanded, the shape of the habitat was simplified, and the habitat diversity decreas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weirs. After water-gate opening of the weir, the bare land that disappear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eir reappeared,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and habitat diversity index increased in both terrestrial and open water habita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habitats were restored to the pre-construction of the weir by the operation of the weir gate. The effect of weir gate opening was delayed in the downstream than in the upstream of the weir.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structure in the river habitat chan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river-crossing structures, it is thought that proper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ecological operation of the structures is necessary as the habitat environments can be restored by the operation of these structur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금강에서 횡단구조물의 건설과 운영이 하천 서식처의 경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청댐 하류에서 보 건설과 운영의 영향을 받지 않는 대조구간인 부용리 구간과 세종보, 공주보의 상하류 구간의 총 3개 하천구간을 선정하여 대청댐 건설 전후, 보 건설 전후, 보 개방 전후로 시기를 구분하여 항공사진을 이용해 서식처를 분류하고 경관의 공간 유형을 분석하였다. 금강에서 대청댐 건설 후 나지의 면적은 크게 감소하고 초지와 임지의 면적은 증가하였다. 또한 하천 경관에서 조각의 수는 증가하고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경관형태지수와 서식처 다양성지수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댐 건설이후에 하류에서 나지 서식처가 식생 서식처로 변하였고 서식처가 파편화되고 다양화되었다. 4대강사업에 따른 보 축조의 영향으로 세종보와 공주보 구간에서 개방 수면이 각각 18%, 90%가 증가하였고, 개방수역의 경관형태지수가 각각 32%, 35%가 감소하였으며 서식처 다양도지수가 25%, 24%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보 건설에 따라서 개방수면이 확대되며, 서식처의 형태가 단순화되고 다양성이 감소하였다. 보 개방 후에는 보 건설 후 사라졌던 나지가 다시 나타나고, 육역 서식처와 개방 수면의 경관형태지수와 서식처 다양도지수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보 개방에 의하여 서식처의 경관 특성이 보 건설 이전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 개방의 효과가 보 하류에서는 보 상류보다 지연되었다. 하천에서 횡단구조물의 건설에 의하여 하천 서식처에서 경관 구조의 특성이 변화하였으나, 이들 구조물의 운영에 의하여 서식처 환경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생태적 운영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d": "JAKO202109960884212", "publication_date": "2021.01.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60884212.pdf", "abstract_en": "A capacitive water sensor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capacitance over a wide part of a substrate using an insulated electrode plate (30 cm × 10 cm) with copper and Teflon attached on either side of the substrate. This study aimed to convert the capacitance output obtained from the condenser-type capacitance sensor into the substrate water content. The quantification experiment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changes in substrate water weight and capacitance while providing a nutrient solution and by subsequently comparing these values. The substrate water weight and capacitance were measured every 20 to 30 seconds using the sensor and load cell with a software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Using a curve-fitting program, the substrate water content was estimated from the output of the capacitance using the water weight and capacitance of the substrate as variables. Whe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was increased, the capacitance tended to increas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in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water weight in substrate was greater with the 1.0 kg of water weight, compared with other weights. Thus, the fitting was performed with higher than 1.0 kg, from 1.7 to 6.0 kg of water weigh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apacitance and water weight in substrate was 0.9696. The calibration equation estimated water content from the capacitance,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substrate water weight measured by the load cell.", "abstract": "정전용량 수분측정 센서는 수경용 배지 양쪽에 구리 및 테플론으로 절연된 전극판(30cm×10cm)을 부착하여 배지의 넓은 부분에 걸쳐 측정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콘덴서형 정전용량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용량 값을 배지 함수량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정량화 실험은 양액을 공급하면서 배지 물무게와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고 그 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배지 함수량과 정전용량은 본 연구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소프트웨어와 함께 센서와 로드셀을 사용하여 20~30초마다 측정되었다. 상용 curve-fittin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지 함수량과 정전용량을 변수로 정전용량 값으로 배지 함수량을 추정하였다. 공급하는 물의 양이 증가하면 정전용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지 내 물무게에 따른 정전용량에 대한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배지 내 물무게가 1.0kg 수준에서 다른 무게에 비해 높아 함수량 보정은 물무게를 1.7~6.0kg 수준에서 수행하였다. 정전용량과 물무게 사이의 상관 계수는 0.996이었고 보정식에 의해 정전용량으로 추정된 함수량은 로드셀로 측정한 배지 함수량과 비교하였다."} {"id": "JAKO202109960884203", "publication_date": "2021.01.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60884203.pdf", "abstract_en": "Acclimatization after grafting and graft-take that in order to produce plug seedlings of high-quality are important plug seedling stage which not reduce the plug seedlings quality before shipment. Appropriate acclimatization environment can not only increase seedling quality before secondary growth period, but also effective in promoting the growth of plug seedling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the shading period and shading level for acclimatization of tomato and pepper grafted plug seedlings after graft-take. The tomato and pepper seedling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nd after graft-take, a tunnel was installed on a bed in glasshouse of venlo type to started shading treatment. The shading levels were 35, 55, 75 and 95%, and the shading periods were 1 and 2 weeks, and non-treatment was set as the control. In the case of tomato grafted plug seedling, plant height, stem diameter, dry weight of root, leaf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hading period of 1 week and the shading level was 55%. In the case of pepper grafted plug seedling,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leaf area were the highest in the shading period of 2 weeks and the shading level was 35%. However, dry weight of root, compactness, and T/R ratio, which seedling quality indicators, were lower than in the shading period of 1 week and the shading level 55%. Therefore, considering the quality of seedlings, it is suggested that shading period of 1 week with shading level of 55% treatment can be suitable to produce high quality grafted plug seedlings of tomato and pepper.", "abstract": "고품질의 공정묘를 생산하기 위해 접목 및 활착 이후 순화는 출하 전의 묘소질을 감소시키지 않는 중요한 육묘단계이다. 적절한 순화 조건은 2차 육묘시기 전 묘소질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묘의 생육촉진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정묘의 순화시 적절한 차광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작물은 토마토와 고추를 이용하였으며, 두 작물 모두 활착이 끝난 뒤 벤로형 유리온실에 있는 베드에 터널을 설치하여 차광 처리를 하였다. 차광률은 35%, 55%, 75% 그리고 95%로 진행했고, 차광기간을 1주와 2주로 진행하였으며, 무처리를 대조구로 하였다. 토마토 접목묘의 경우 차광기간 1주, 차광률 55%에서 초장, 경경, 지하부의 건물중, 엽면적이 유의성 있게 우수하였다. 고추 접목묘는 초장, 경경, 엽면적은 차광기간 2주, 차광률 35%에서 가장 높았으나 묘소질을 판단하는 지표인 지하부의 건물중, 충실도, T/R율은 차광기간 1주, 차광률 55%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묘소질을 고려하였을 때, 토마토와 고추 접목묘의 순화시 차광기간 1주, 차광률 55% 처리를 하는 것이 묘소질이 우수한 묘를 생산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5463163808", "publication_date": "2021.04.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63808.pdf", "abstract_en": "Tinea faciei is a rare dermatophyte infection of the face that most often appears as a facial rash, followed by patches of small and raised bumps. Since it is uncommon in children and has similar rash patterns with various skin diseases, it is likely to be misdiagnosed as herpes simplex infection, contact dermatitis, disc-shaped lupus erythematosus, acne, and atopic dermatitis. In this case, siblings aged 3 and 4 were hospitalized due to skin rashes that occurred after traveling to Vietnam, and were administered antiviral drugs and systemic steroids under suspicion of herpes simplex infection with atopic dermatitis. Despite administration of these drugs, skin lesions did not show improvement. Serum beta-D-glucan assays were elevated in both patients, and after approximately 2 weeks, Trichophyton interdigitale was cultured in the older sister's skin fungal culture test. Both patients recovered after local and systemic antifungal therapy, without relapse or side effects. Skin lesions on the face, which do not respond to the existing treatment in children, should be checked for the possibility of tinea faciei through repeated fungal tests, and the beta-D-glucan assay can be a useful tool in diagnosing tinea faciei.", "abstract": "얼굴 백선은 얼굴에 발생하는 드문 피부 사상균 감염으로, 붉은 발진과 함께 작은 융기가 있는 피부 병변이 특징적이다. 소아에서 얼굴 백선은 흔하지 않으며 다양한 피부질환과 발진 양상이 유사하여, 단순포진감염, 접촉 피부염, 원판형 홍반성 루푸스,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등으로 오진 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4살, 3살의 자매가 베트남 여행을 다녀온 후 발생한 피부염으로 본원에 내원하였고, 아토피 피부염에 합병된 단순포진감염을 의심하여 항바이러스제제 및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를 투약하였으나, 경과는 호전되지 않았다. 혈액 검사상 혈청 beta-D-glucan 수치가 두 환자 모두에서 상승되어 있었고, 약 2주 후 언니의 피부 진균 배양 검사에서 T. interdigitale이 동정 되었다. 두 환자 모두 국소 및 전신 항진균 요법 후 재발이나 부작용 없이 회복되었다. 소아에서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얼굴의 피부 병변은 반드시 진균 검사를 통해서 얼굴 백선의 가능성을 확인해야 하며, beta-D-glucan 검사는 보조적 수단으로서 얼굴 백선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d": "JAKO202115463146798", "publication_date": "2021.04.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46798.pdf", "abstract_en": "Invasive fungal infection (IFI) is a serious threat to pediatric patients with cancer given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We present an 18-year-old male with precursor T-cell lymphoblastic leukemia who developed Pancoast syndrome, presented with paresthesia and numbness in the right shoulder and arm during a neutropenic fever period. He was diagnosed with pneumonia in the right upper lung field. He was later found to have an invasive pulmonary fungal infection caused by multiple fungi species, including Rhizomucor, confirmed by histology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ven infection), Penicillium decumbens diagnosed by PCR, and Aspergillus suspected from galactomannan assay (probable infection). Unfortunately, the patient's condition further worsened owing to the aggravation of leukemia, chemotherapy-induced neutropenia, and bacterial coinfection, leading to multiorgan failure and death. Here, we report a case of IFI caused by multiple fungal species that presented as Pancoast syndrome.", "abstract": "소아암 환자에서 발생하는 침습성 진균 감염은 사망과 후유증에 이르는 중대한 감염이다. 18세 남자 환자가 호중구감소 기간 동안 입원하여 치료받던 중 우측 견관절과 우측 팔에 감각이상과 신경쇠약을 호소하였고, 우측폐상엽의 폐렴이 진단되었다. 기관지의 조직학적 소견과 폐 수술검체에서 시행한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로 털곰팡이증을 확진하였으며, 흉수액의 PCR로 페니실리움 디쿰벤스 감염, 갈락토마난 항원법으로 아스페르길루스증을 추정하였다. 환자는 백혈병이 치료되지 못하고 Staphylococcus epidermidis 패혈증이 합병되어 사망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판코스트 증후군의 증상을 보인 환자에서 진단된 다발성 폐진균증을 보고 하는 바이다."} {"id": "JAKO202113259286679",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679.pdf", "abstract_en": "This review investigated the types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solated and extracted from Pinus densiflora and koraiensis native to Republic of Ko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ir effectiveness and industrial use. They contain various bioactive substances including essential oils, polyphenols, resins, and stilbene derivatives. In recent,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cataract prevention, and neuroprotection from extracts of Pinus densiflora and koraiensis have been identified by domestic researchers. The extracts have been used in different industrial fields like food, health functional foods, cosmetics, and household goods, but the high proportion of them is industrially made from exotic species. Therefore, various studies on industrial applicability are needed due to the lack of cases in which the activity is applied to actual products, with respect to the effects that have been scientifically recognized.", "abstract": "본 리뷰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와 잣나무들로부터 분리·추출되는 생리활성 물질의 종류, 그리고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 현황 및 산업적 활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소나무와 잣나무에는 정유, 폴리페놀, 레진, 스틸벤 유도체를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 최근 국내 연구진들은 소나무와 잣나무의 추출물들로부터 항산화, 항염증, 항균, 백내장 예방, 신경보호 등의 생리활성을 규명하였다. 그 추출물들은 식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산업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외래종을 원료로 한 것이다. 그러므로 과학적으로 규명되고 있는 효과에 비해 생리활성을 실제 제품에 응용한 사례들이 부족하여 산업적 활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id": "JAKO202113259286697",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697.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3D printing filaments using recycled polypropylene (rPP) were produced by a single screw extruder. Graphene composite filament was also prepared using electrochemically exfoliated graphene (EEG) as a composite filler by adding 10, and 20 wt% of EEG to rPP. The graphene and rPP were successfully dispersed with great homogeneity, so that 3D filaments were uniformly produced, and their thermal properties increased as the graphene content increased. The mechanical property was also improved when EEG was 10 wt% but decreased when EEG was 20 wt% compared to that of rPP. 3D structures were successfully manufactured using prepared 3D filaments by a conventional 3D printer, and great advantages can be expected in terms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perspective by adopting plastic wast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축 extruder를 원사 압출 장비로 사용하여 재활용 폴리프로필렌(rPP)으로 3D 프린터용 원사를 제조하였고, 전기화학적 박리 그래핀을 rPP 대비 10, 20 wt%로 첨가하여 그래핀 복합체 원사를 제조하였다. 전기화학적 박리그래핀은 그 분산도가 우수하여 균일한 rPP/그래핀 복합체 원사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래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분해 속도 등 열적 성능이 향상되었다. 기계적 물성 또한 rPP 대비 그래핀 함량이 10 wt%일 때 증가하였는데, 20 wt%에서는 오히려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제조한 원사들을 사용하여 상용 3D 프린터를 통해 3D 성형체를 성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으며,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제조하였기 때문에 환경적, 경제적으로 이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259286674",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674.pdf", "abstract_en": "Semiconductor-based photocatalysts can only be activated with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due to their intrinsic bandgap, and they cannot use the energy in the near-infrared region, which accounts for about 50% of solar energ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emiconductor photocatalyst, it is necessary to utilize more solar energy in a broad band ranging from ultraviolet to near-infrared. Combining upconversion nanoparticles with semiconductor photocatalysts for near-infrared absorption have thus been reported. Upconversion nanoparticles can sequentially absorb multiple near-infrared photons and convert them into ultraviolet or visible to activate photocatalysts. In addition, by coupling the semiconductor photocatalyst and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with the plasmonic metal nanoparticles, the photocatalytic a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This review summarizes the recent studies on improving the photocatalytic performance with near-infrared absorption by using upconversion nanoparticles.", "abstract": "일반적인 반도체 기반의 광촉매는 물질 고유의 밴드갭 때문에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의해서만 활성화될 수 있고, 태양광 에너지의 약 50%를 차지하는 근적외선 영역의 에너지는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반도체 광촉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외선에서 근적외선에 이르는 넓은 영역에서 더 많은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태양광의 근적외선 영역을 활용하기 위해 기존 반도체 광촉매를 업컨버전 나노입자와 결합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업컨버전 나노입자는 근적외선 광자를 여러 개 흡수하여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광촉매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광촉매와 업컨버전 나노입자에 플라즈모닉 금속 나노입자를 함께 결합시키면 태양광에 의한 광촉매 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총설은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근적외선 영역의 태양광 에너지가 광촉매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최근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술하였다."} {"id": "JAKO202113259286722",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722.pdf", "abstract_en": "N-Heteroaryl carbazoles were synthesized with thermal heating in the presence of Cu(I) catalyst and used as main ligands for the preparation of heteroleptic Ir(III) complexes. In these Ir(III) complexes, 6-membered ring structures of Ir-ligand chelation were found by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The blue shift of photoluminescence for Ir(III) complexe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the strong bond formation between Ir and ancillary ligands. It also has been clearly shown that the higher electron density of heteroaryl aromatic ring influenced shorter maximum photoluminescence wavelength (λmax) of Ir(III) complexes. Since the new Ir(III) complexes showed good phosphorescent emission, they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OLED materials in the emission Layer.", "abstract": "Cu(I) 촉매를 사용하여 열반응을 이용한 N-heteroaryl carbazole을 합성하였고 이를 새로운 heteroleptic Ir(III) 착물 합성을 위한 주리간드로 사용하였다. 새로운 Ir(III) 착물은 일반적인 Ir(III) 착물이 가지는 5각 고리가 아닌 6각 고리를 주리간드와 Ir 금속 결합 사이에서 형성하는 것으로 X-ray 단결정구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한 Ir(III) 착물들은 좋은 인광 특성을 나타내므로 OLED 발광층 재료물질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주리간드와 보조리간드 변화에 따른 분광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는데 PL 최대 발광 파장(λmax) 변화는 보조리간드가 Ir 금속과 더 강한 결합을 만들수록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주리간드에 대해서는 Ir-N 결합을 만드는 헤테로아릴 그룹의 아로마틱고리 전자밀도가 커질수록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13259286717",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717.pdf", "abstract_en": "The coal tar pitch and phenol resins are used as binders in artificial graphite manufactur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itial carbon comp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rmal decomposition behavior, microstructure, and crystallinity change. These properties of the coal tar pitch and phenol resin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As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coal tar pitch and phenol resin increases, crystallinity tends to increase. The coal tar pitch went through the carbonization process through the liqui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rystallinity changed rapidly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00 and 600 ℃, where the microstructure changed quickly. These results confirmed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microstructure and crystallinity.", "abstract": "인조흑연 제조용 바인더로 주로 이용되는 콜타르 핏치와 페놀 레진은 soft carbon 및 hard carbon의 초기 탄소화합물 구조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탄화 온도에 따른 열분해 거동, 미세조직, 결정성의 변화 과정도 다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타르 핏치 및 페놀 레진의 열분해 거동, 미세조직, 결정성 변화에 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콜타르 핏치는 액상을 경유한 탄화 과정을 거치며, 탄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세조직이 점차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탄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타르 핏치 및 페놀 레진 모두 결정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콜타르 핏치는 미세조직이 급변하는 500 및 600 ℃ 구간에서 결정성도 급격히 변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세조직과 결정성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id": "JAKO202113259286693",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693.pdf", "abstract_en": "A kraft recovery boiler produces steam for power generation by the combustion of black liquor from the kraft pulping process. Since saturated steam became superheated in a superheater above the furnac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for the superheated steam production and power generation. A nose arch at the bottom of the superheater is important for blocking radiation from the furnace which causes corrosion of the superheater. But the nose arch is the main reason for creating a recirculation region and then decreas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holding cold flue gas after the heat transfer to saturated steam. In this study, the size of recirculation region and the temperature of flue gas at the outlet were analyzed by the nose arch structure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s a result, when the nose arch angle changed from 106.5° (case 1) to 150° (case4), the recirculation region of flue gas decreased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flue gas and the steam increased by 10.3%.", "abstract": "크래프트 회수보일러(kraft recovery boiler)는 펄프 공정에서 생성된 흑액을 연소하여 발전용 스팀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특히 연소로 상단부에 존재하는 과열기(superheater)는 포화 증기가 연소가스와 열교환을 통해 과열 증기로 전환되는 구간으로, 연소가스와 포화 증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 향상은 발전용 과열 증기 생산량 증가 및 발전 효율이 증가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과열기 하단부에 위치한 노즈 아치는 과열기의 부식의 원인이 되는 연소로에서 발생한 복사열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연소가스 유동을 방해하여 포화증기와 열교환이 끝난 저온의 연소가스가 과열기를 나가지 못하고 재순환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FD를 활용하여 노즈아치 구조에 따른 재순환 영역의 크기와 연소가스 출구 온도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노즈 아치 하단부 각도를 106.5°에서 150°로 변경할 경우 연소가스의 재순환 영역이 감소하여 연소가스와 과열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10.3%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259286688",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688.pdf", "abstract_en": "A thermally conductive 200 ㎛ thick polyimide-based film was made from a polyamic acid (PAA) precursor containing graphene prepared from graphite rod us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expand the applicability of polyimide (PI) film. Properties of graphene produced by electrostatic discharge were measured by Raman spect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s a result of Raman spectrum and XPS analyses of as-prepared graphene, the ID/IG ratio was 0.138 and C/O value was 24.91 which are excellent structural and surface chemical properties. Moreover, thermal conductivities of polyimide films increased exponentially according to graphene contents but when the graphene content exceeded 40%, the polyimide film could not maintain its shap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carbonized PI film made from PAA containing 40 wt% of graphene was 51 W/mK which is greatly enhanced from the pristine carbonized PI film (1.9 W/mK). This result could be originated from superior properties of graphene prepared from the electrostatic discharge metho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막(film)의 열전도도를 향상시켜 그 응용성을 확대하고자, 정전기 방전법을 이용하여 흑연봉으로부터 그래핀을 제조하고 제조된 그래핀을 첨가하여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PAA) 전구체로부터 200 ㎛두께의 폴리이미드 기반 열전도 막을 제조하였다. 정전기 방전 기법으로 생산된 그래핀은 라만, XPS, TEM 등을 이용하여 물성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그래핀은 라만 스펙트럼 분석 결과 ID/IG 값이 0.138이며, XPS 분석 결과 C/O 비율이 24.91로 구조적, 표면화학적으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흑연 박리 그래핀의 첨가량에 따라 폴리이미드 막의 열전도도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래핀 함량을 40% 초과 시에는 폴리이미드 막을 제조할 수 없었다. 그래핀을 폴리아믹산 중량 대비40 wt%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 막의 열원반(hot disk) 열전도도는 51 W/mK를 나타내었으며, 순수한 폴리이미드 막의 열전도도(1.9 W/mK)보다 크게 향상되었다. 이 결과는 정전기 방전기법으로 제조된 박리 그래핀의 우수한 물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3259286683",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683.pdf", "abstract_en": "Coal-fired power plants use coal as the main raw material, and when a coal is moved, a dust generation and spontaneous ignition of coal occur. To prevent this, water is sprayed. As a result, wastewater called \"coal-dust water\" flows out of coal dust and water mixed together,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developed a natural flocculant that can purify water by aggregating fine dust using chitosan and tried to prove its applic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flocculation concentration was 4 ppm by add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flocculant to the coal-dust wat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material had very good coal-dust flocculation capacity through permeability and coal-dust removal efficiency. In addition, the cytotoxicity of the flocculant was evaluated through the MTT assa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toxicity at all. We believe that the flocculan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effectively adsorb coal-dust without affecting human and natural ecosystems.", "abstract": "석탄 화력발전소는 석탄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석탄 이동 시에 석탄의 분진 및 자연 발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석탄의 분진과 물이 함께 섞여 흘러나오는 일명 '탄진수(coal-dust water)'라고 불리는 폐수가 흘러나와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세한 분진까지 응집하여 물을 정화할 수 있는 키토산 기반의 천연 응집제를 개발하고, 그 응용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탄진수에 다양한 농도의 응집제를 투여하여 최적의 흡착농도가 4 ppm임을 규명하였고, 투과도 및 탄진 제거효율을 통해 개발된 물질의 탄진 응집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MTT assay를 통해 응집제의 세포독성을 평가하여 독성이 전혀 없음을 입증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응집제가 인간 및 자연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고 효과적으로 탄진을 응집할 수 있는 물질임을 규명하였다."} {"id": "JAKO202113259286706",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706.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measured total flavonoids after extracting the total flavonoids from lemongrass which is known to have a high content of antioxidant ingredients when using microwave energy. Also,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active ingredients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CD-RSM) were presented. Both ultrapure water and alcohol were used as extraction solvents and the volume ratio of ethanol/ultrapure water, microwave irradiation time, and microwave irradiation power were set as independence variables. And the extraction yield and total flavonoids were measured.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using CCD-RSM were the volume ratio of ethanol/ultrapure water = 56.3 vol.%, the microwave irradiation time = 6.1 min, and the microwave irradiation power = 574.6 W. We could also obtain expected results of yield = 17.2 wt.% and total flavonoids = 44.7 ㎍ QE/mL dw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The comprehensive satisfaction degree of this formula was 0.8562. The P-value was calculated for the yield of 0.037 and the total flavonoids content of 0.002. The average error from actual experiments established for the verification of conclusions was lower than 2.5%. Therefore, a high favorable level could be obtained when the CCD-RSM was applied to the 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하여 항산화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레몬그라스로부터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추출하였다. 또한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추출공정의 독립변수로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세기를 설정하였고, 반응치는 추출수율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다. CCD-RSM 분석 결과 최적조건인 주정/초순수 부피비(56.3 vol.%),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6.1 min),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세기(574.6 W)에서 추출수율(17.2%)와 플라보노이드 함량(44.7 ㎍ QE/mL dw)의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종합만족도는 D = 0.8562이고, P-value는 추출수율(0.037)과 플라보노이드 함량(0.002)으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실험 결과 오차율은 5.0% 이하로 나타나 높은 유의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d": "JAKO202113259286727",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727.pdf", "abstract_en": "Desulfurization reaction in a bubble type reactor was carried out by adding three organic acids such as acetic acid, lactic acid, and antic acid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the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low-grade limestone. Desulfurization of limestone slurry without organic acids initiated to degrade at pH 5.2 or less, whereas organic acid-added limestone slurry exhibited a stable efficiency in the initial desulfurization with slurry pH ranging 4.2~4.5. At slurry pH below 4, the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limestone slurry with addition of organic acids may be related to the amount of anions produced by dissociation of the organic acids. When limestone slurry had a large amount of anions, a rapid decrease in buffer capacity of slurry pH did not occur. These results were due to the acidity and dissociation of organic acids. The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low-grade limestone slurry increased in the order of acetic acid (2.6%) < lactic acid (6.4%) < formic acid (16.7%).", "abstract": "저품질 석회석의 탈황 성능 개선을 알아보기 위해 초산, 젖산, 개미산 등 3종의 유기산 첨가제를 사용하여 기포형 반응기에서 탈황 반응을 수행하였다. 유기산이 첨가되지 않은 석회석 슬러리는 pH 5.2 이하에서 초기 탈황 효율의 저하가 일어났다. 반면, 유기산이 첨가된 석회석 슬러리는 pH 4.2~4.5에서 안정된 초기 탈황 효율을 나타내었다. 슬러리 pH 4 이하에서 유기산이 첨가된 석회석 슬러리의 탈황 성능은 유기산의 해리에 의해 생성된 음이온의 양과 연관될 수 있다. 슬러리 중 유기산의 음이온 양이 많으면 슬러리 pH의 완충 기능 저하가 급격히 일어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유기산의 산성도 및 해리도에 기인하였다. 3종의 유기산 첨가에 따른 저품질 석회석 슬러리의 탈황 성능 증가율은 초산(2.6%) < 젖산 (6.4%) < 개미산 (16.7%) 순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3259286731",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731.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moke risk assessment of woods and plastics for construction materials, focusing on the smoke performance index-V (SPI-V), smoke growth index-V (SGI-V), and smoke risk index-VI (SRI-VI) according to a newly designed methodology. Spruce, Lauan,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polycarbonate (PC) were used for test pieces. Smok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were measured using a cone calorimeter (ISO 5660-1) equipment. The smoke performance index-V calculated after the combustion reaction was found to be 1.0 to 3.4 based on PMMA. Smoke risk by smoke performance index-V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PC, Spruce, Lauan and PMMA. Lauan and PMMA showed similar values. The smoke growth index-V was found to be 1.0 to 9.2 based on PMMA. Smoke risk by smoke growth index-V increased in the order of PMMA, PC, Spruce, and Lauan. COpeak production rates of all specimens were measured between 0.0021 to 0.0067 g/s. In conclusion, materials with a low smoke performance index-V and a high smoke growth index-V cause a high smoke risk from fire.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smoke risk from fire is high. It is collectively summarized by the smoke risk index-VI.", "abstract": "본 연구는 건축용 자재인 목재 및 플라스틱의 연기 위험성 평가에 대하여 새로 고안된 연기성능지수-V (smoke performance index-V, SPI-V), 연기성장지수-V (smoke growth index-V, SGI-V), 연기위험성지수-VI (smoke risk index-VI, SRI-VI)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편은 가문비나무, 나왕,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carbonate (PC)를 사용하였다. 연기 특성은 콘칼로리미터(ISO 5660-1) 장비를 사용하여 시험편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연기성능지수-V는 PMMA를 기준으로 1.0~3.4로 나타났다. 연기성능지수-V에 의한 연기위험성은 PC, 가문비나무, 나왕과 PMMA 순서로 증가하였다. 나왕과 PMMA는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연기성장지수-V는 PMMA를 기준으로 1.0~9.2로 나타났다. 연기성장지수-V에 의한 연기위험성은 PMMA, PC, 가문비나무, 나왕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모든 시편의 CO 피크 발생속도는 0.0021~0.0067 g/s로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연소가 용이한 물질은 연기성능지수-V가 낮고, 연기성장지수-V가 높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연기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총괄적으로 연기위험성지수-VI로 정리된다."} {"id": "JAKO20211385573704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49.pdf", "abstract_en": "Spent photovoltaic module is one of the important resource of silver, while related research concerning silver recovery remains limited. In our previous research, HNO3 was utilized to dissolve Ag(I) and Al(III) from the spent silicon solar cells. In order to recover Ag(I) from the leachate of a silicon solar cell, the present study made use of a nitrate solution containing Ag(I) and Al(III), which was subjected to a solvent extraction process with 5,8-diethyl-7-hydroxydodecan-6-oxime (LIX63). Ag(I) was selectively extracted with LIX63 over Al(III) from the nitrate leach solution. Subsequently, quantitative stripping of Ag(I) from the loaded LIX63 was performed by using 20% ammonia water. The McCabe-Thiele plots for the extraction and stripping isotherms of Ag(I) were also constructed. Extraction and stripping simulation tests confirmed an Ag(I) extraction and stripping efficiency of >99.99% and 98.9%, respectively with high purity Ag (99.998%) and Al (99.99%) solution. A process flow sheet for Ag(I) recovery from the nitrate leach solution was proposed.", "abstract": "폐 태양광전지 처리과정에서 은은 실리콘 및 알루미늄을 회수 위해 제거 하거나 처리하지않고 버리고있는 현실이다. 경제적 및 환경 보호 측면에 폐 태양광전지부터 은의 회수 중요하다고 판단함. 선행연구에서 1 mol/L 질산, 반응온도 70도, 반응시간 2h로 폐 태양광전지부터 Ag, Al을 침출 하었다. 이 침출액으로부터 은을 회수하기 위해 추출제 LIX63 및 탈거제 암모니아수 이용하였다. 추출 및 탈거 효율에 영향 미치는 조건: 침출액 pH, 금속이온 농도, 추출제의 농도, A/O ratio(수상 및 유기상 부피비율), 탈거제 농도 및 탁거과정에서 A/O ratio등을 변화시켜 조차하였다. McCabe-Thiele plots로부터 Ag(I)의 추출 및 탈거에 대한 이론 단수를 구하였으며, 향류 다단 모의 추출 시험을 통해 Ag(I)의 추출과 탈거에 대한 효율이 각각 >99.99%, 98.9% 이었다. Ag(I)와 Al(III)의 순도는 각각 99.998% 와 99.99%이었으며, 질산 침출액으로부터 Ag(I)및 Al(III)을 회수하기 위한 공정도를 제안하였다."} {"id": "JAKO20211385573704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45.pdf", "abstract_en": "To investigate the separation of La(III) from sulfuric acid solutions containing Fe(III), rare earth double salt precipit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adding sodium sulfate. In this work, the effect of sodium sulfate, Fe(III), and La(III) concentrations;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was investigated. The extent of precipitation of La(III)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s of Na+ and SO42- in the solution. As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d to 100 ℃, the extent of precipitation of La(III) increased. The extent of precipitation of Fe(III) de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ime. The concentration ratio of Fe(III) to La(III)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cipitation of La(III). Our results indicate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La(III) from a ferric sulfate solution through selective precipitation by adding sodium sulfate.", "abstract": "철(III)과 란타넘(III)이 혼합된 황산용액에서 황산나트륨에 의한 란타넘 복염의 침전 및 분리를 조사했다. 복염 침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 중 황산나트륨 및 란타넘(III)의 농도, 반응온도 및 시간, 그리고 철(III) 농도에 대해 조사했다. 용액 중 Na+, SO42- 이온 및 란타넘(III) 농도가 높을수록 희토류 복염의 침전률이 증가했고, 반응온도가 100℃까지 증가함에 따라 란타넘 황산염 이온의 형성을 촉진해 희토류 복염의 침전률이 증가했다. 또한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철(III)의 침전률이 감소해 3시간 이후에는 거의 침전되지 않았고, 철(III) 농도는 복염 침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황산용액에 황산나트륨을 첨가하면 란타넘(III)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철(III)과 분리할 수 있다."} {"id": "JAKO20211385573704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41.pdf", "abstract_en": "Dismantling tests were performed to separate components from waste printed circuit boards (PCBs) using HCl solution with Sn4+. Then, the effects of agitation speed, reaction temperature, initial Sn4+ concentration, and HCl concentration on the dismantling of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ismantling speed was observed upon changing the agitation speed from 100 to 300 rpm. However, the dismantling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emperature, Sn4+ concentration, and HCl concentration. In the all-component dismantling tests, when the dismantling ratio increased to 100%, no solder was observed on the boards, and the Sn4+ concentration was ~1,500 mg/L. The dismantling ratio of the components from the PCB increased to 100% within 2 h when 1 mol/L HCl solution with 10,000 mg/L Sn4+ was used at an agitation speed and temperature of 200 rpm and 90 ℃, respectively.", "abstract":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부품을 분리하기 위하여 4가 주석이온 (Sn4+)을 포함한 염산용액을 이용하여 탈착실험을 진행하고, 부품탈착에 대한 교반속도, 반응온도, 4가 주석이온농도, 염산용액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 rpm~300 rpm의 교반속도에서 PCB로부터 부품의 탈착속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반응온도, 4가 주석이온농도, 그리고 염산용액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탈착속도도 증가하였다. 모든 부품 탈착실험에서 탈착율이 100%에 도달하였을 때 기판에서 솔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주석농도는 약 1,500 mg/L였다. 10,000 mg/L의 4가 주석이온을 포함한 1 mol/L의 염산용액에 폐하드디스크 PCB 1개를 투입하고, 교반속도와 반응온도를 각각 200 rpm과 90 ℃로 조정한 탈착실험에서 PCB로부터 부품의 탈착은 2시간만에 100% 완료되었다."} {"id": "JAKO20211385573707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74.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formaldehyde (HCHO) removal by preparing porous supports using domestic low-grade silica coated with Co-ZSM5 and Cu-ZSM5 as the catalysts. First, the sample of the raw material for the support contained 90% silica with quartz crystal phase, which was confirmed as low-grade silica. According to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alyses, the catalysts, Co-ZSM5 and Cu-ZSM5, were successfully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ilica supports. During the removal test of HCHO using the prepared Co-ZSM5 and Cu-ZSM5 coated beads, depending on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Co-ZSM5 coated beads exhibited higher removal efficiencies (>97%) than the Cu-ZSM5 beads at 200 ℃. The higher efficiency of the Co-ZSM5 coating may be attributed to its superior surface activity properties (BET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that lead to the favorable HCHO decomposition. Therefore, Co-ZSM5 was determined to be the suitable catalyst for removing HCHO as a coating on a porous support fabricated using domestic low-grade silica.",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촉매 Co-ZSM5 및 Cu-ZSM5 코팅이 적용된 저품위 실리카를 사용하여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여 포름 알데히드(HCHO) 제거를 수행하였다. 먼저, 지지체 원료는 실리카가 90 % 함유되어 있어 저급 실리카로 확인되었다. EDS 및 FT-IR 분석에 따르면 Co-ZSM5 및 Cu-ZSM5 촉매는 다공성 실리카 지지체의 표면에 성공적으로 코팅되었다. 제조 된 Co-ZSM5 및 Cu-ZSM5 코팅 된 비드를 사용하여 HCHO의 제거 테스트 결과, 반응 온도에 따라 Co-ZSM5 코팅 된 비드는 Cu-ZSM5 비드보다 높은 제거 효율 (> 97 %)을 나타났다. 200 ℃. 전자의 더 높은 효율은 우수한 표면 활성 특성 (BET 표면적 및 기공 부피)에서 기인 할 수 있으며, 아마도 유리한 HCHO 분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Co-ZSM5 비드는 국산 저급 실리카를 사용하여 제작 된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HCHO 제거 용 촉매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9149380577", "publication_date": "2021.02.27",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49380577.pdf", "abstract_en": "The Annals of Joseon Dynasity record a significant damage of tsunami in the east coast of Gangwon Province on August 29, 1741. The tsunami occurred near Oshima-Oshima island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Hokkaido, Japan, and this study conducted simulations of a ray-tracing model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tsunami o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Model results were calculated using four different depth dataset (ETOPO2m, ETOPO1m, SKKU1m, and GEBCO15c), and results using the highest resolution GEBCO15c showed the best description of the damage record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such, the travel time and paths of the tsunami that reached the main regions of Gangwon Province are presented in detail.", "abstract": "조선왕조실록에는 1741년 8월 29일 강원도 동해안에 쓰나미 피해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이 쓰나미는 일본 홋카이도 남서해역의 오시마섬 인근에서 발생한 것으로 당시 한반도 동해안에 대한 쓰나미 영향 분석을 위해 파향선추적모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네 가지의 수치격자형 수심자료(ETOPO2m, ETOPO1m, SKKU1m, GEBCO15c)를 이용하여 모형 결과를 산정하였으며, 그 중 해상도가 제일 높은 GEBCO15c 수심을 이용한 결과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피해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당시 강원도 동해안의 주요 지역에 쓰나미가 도달한 시간과 이동 경로를 추정하는 등 세부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86",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86.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effects of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low temperature heated carbon on electrochemical behavior as a secondary battery anode material were investigated. A heat treatment at 600 ℃ was performed for coking of petroleum based pitch, and the manufactured coke was heat treated with different heat temperatures at 700~1,500 ℃ to prepare low temperature heated anode materials.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arbon anode materials were studied through nitrogen adsorption and desorption, X-ray diffraction (XRD), Raman spectroscopy, elemental analysis. Also the anode properties of low temperature heated carbon were considered through electrochemical properties such as capacity, initial Coulomb efficiency (ICE), rate capability, and cycle performance. The crystal structure of low temperature (≤ 1500 ℃) heated carbon was improved by increasing the crystal size and true density, while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anode material were changed with respect to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low temperature heated carbon. The capacity and cycle performance were most affected by H/C atomic ratio. Also, the ICE was influenced by the specific surface area, whereas the rate performance was most affected by true densit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저온 열처리 탄소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이차전지 음극재로서의 전기화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석유계 핏치의 코크스화를 위하여 600 ℃ 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제조된 코크스는 700~1500 ℃로 탄화 온도를 달리하여 저온 열처리 탄소 음극재로 제조되었다. 탄소 음극재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N2 흡·탈착 등온선, X-ray diffraction (XRD), 라만 분광(Raman spectroscopy), 원소 분석 등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저온 열처리 탄소의 음극 특성은 반쪽 전지를 통한 용량, 초기 쿨롱 효율(ICE, initial Coulomb efficiency), 율속, 수명 등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저온 열처리 탄소의 결정 구조는 1500 ℃ 이하에서 결정자의 크기와 진밀도가 증가하였으며 비표면적은 감소하였다. 저온 열처리 탄소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에 따라 음극재의 전기화학 특성이 변화하였는데 수명 특성은 H/C 원소 비, 초기 쿨롱 효율은 비표면적, 율속 특성은 진밀도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d": "JAKO202106960485462",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62.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 sensor for detection of nitric oxide (NO) gas was developed using petroleum pitch-based activated carbon which was synthesized from pyrolysis fuel oil (PFO).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as added to increase molecular weight by stimulating a polymerization of components in PFO during the pitch synthesis process. The increase in the molecular weight of pitch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extural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such as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It also enhanced the sensitivity of NO gas sensor based on the activated carbon. In addition, the effect of PET addition during the pitch synthesis on the surface oxygen content and conductivity of activated carbon was investigated. Finally, the correlation of the sensitivity with physical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was analyz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 연료유를 이용하여 석유계 피치 기반 활성탄을 제조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일산화질소 가스 검출 센서를 개발하였다. 피치의 분자량 증가를 위해 피치 합성 시 중합 반응을 촉진시키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첨가하였다. 피치의 분자량 증가는 피치 기반 활성탄의 비표면적 및 미세기공 부피 증가에 기여하였고, 이는 활성탄 기반 센서의 일산화질소 가스 검출 특성 향상시켰다. 또한 테레프탈레이트 첨가 피치를 사용할 때 활성탄의 표면 산소 관능기 및 전도성 변화를 확인하고 테레프탈레이트 첨가가 활성탄의 물성 및 일산화질소 가스 검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77",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77.pdf", "abstract_en": "Gas diffusion layer (GDL) compression is important parameter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performance to have an effect on contact resistance, reactants transfer to electrode, water content in 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y (MEA). In this study, the effect of GDL compression on fuel cell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for commercial products, JNT20-A3. Polarization curve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was performed at different relative humidity and compression ratio using electrode area of 25 ㎠ unit cell. The contact resistance was reduced to 8, 30 mΩ·㎠ and membrane hydration was increased as GDL compression increase from 18.6% to 38.1% at relative humidity of 100 and 25%, respectively. It was identified through ohmic resistance change at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that as GDL compression increased, water back-diffusion from cathode and electrolyte membrane hydration was increased because GDL porosity was decreased.", "abstract":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성능에서 기체확산층 압축률은 계면 접촉 저항과 전극으로의 반응물 전달 및 전극 내 수분 포화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용 제품인 JNT20-A3를 이용하여 기체확산층 압축률에 대한 연료전지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극면적 25 ㎠ 단위 전지를 이용하여 상대습도 조건과 압축률에 대한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과 분극 곡선을 측정하였다. 기체확산층을 18.6%에서 38.1%으로 압축시켰을 때 상대습도 100, 25% 조건에서 ohmic 저항이 각각 8, 30 mΩ·㎠이 감소하여 기체확산층 압축률이 증가할수록 접촉 저항이 감소하는 것과 동시에 막의 수화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대습도 조건에 대한 ohmic 저항의 변화 경향을 통하여, 압축률을 증가시켰을 때 기체확산층의 기공이 감소하여 공기극에서의 물 역확산과 전해질 막의 수화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65",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65.pdf", "abstract_en": "Plasma-polymerized methyl methacrylate (MMA) thin films were synthesized by remote plasma, and effects of plasma power, reaction pressure and direct-indirect plasma on the growth rate and chemical bonding were investigated with alpha-step, FT-IR, XPS and Langmüir probe method. As the plasma power and pressure increased, the tendency of growth rate showed maximum value at a certain range. FT-IR and XPS analyses revealed that composition ratio of C/O and hydrocarbon (C-C) % in the deposited films increased with plasma power, but ester (COO) C % decreased with it. Direct plasma method was effective for fast growth rate, but indirect plasma method was favorable for maintaining the chemical structure of MMA.", "abstract":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분자를 전구체로 사용하여 원격 플라즈마 방식으로 중합체를 합성하는 반응에서 플라즈마 출력, 반응 압력 및 직접-간접 플라즈마 방식이 필름의 성장속도 및 화학결합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FT-IR, XPS 등 분광학적 분석과 Langmvir 탐침을 사용한 플라즈마 특성 진단 결과와 함께 고찰하였다. 플라즈마 출력과 반응 압력이 증가하면 성장속도가 증가하지만 특정 영역을 넘어서면 식각 효과와 잦은 충돌로 인해 활성화 효율이 낮아져 다시 감소하였다. 중합 필름의 FT-IR과 XPS 분석 결과, 필름 내 탄소/산소 조성비는 플라즈마 출력이 커질수록 증가하였으며, 탄화수소성 C-C 탄소 조성비는 증가하는 반면 에스터성 COO 탄소 조성비는 감소하였다. 직접 플라즈마법이 간접 플라즈마법에 비해 필름의 성장속도는 2~5배 빠르지만, 전구체의 분자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간접 플라즈마법이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6960485507",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507.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composite was prepared by mixing SiOx, soft carbon, and carbon black an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thium ion battery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SiOx added to improve the capacity of the soft carbon anode material was varied to 0, 6, 8, 10, 20 wt%, and carbon black was added as a structural stabilizer for reducing the volume expansion of SiOx. The physical properties of prepared CB/SiOx/C composite were investigated through XRD, SEM, EDS and powder resistance analysis. In additi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repared composite were observed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apacity, rate and impedance analysis of the lithium ion battery. The prepared CB/SiOx/C composite had an inner cavity capable of mitigating the volume expansion of SiOx by adding carbon black. The formed internal cavity showed a low initial efficiency when the SiOx content was less than 8 wt%, and low cycle stability when the content of SiOx was less than 20 wt%. The CB/SiOx/C composite containing 10 wt% of SiOx showed an initial discharge capacity of 537 mAh/g, a capacity retention rate of 88%, and a rate of 79 at 2C/0.1C. SiOx was added to improve the capacity of the soft carbon anode material, and carbon black was added as a structural stabilizer to buffer the volume change of SiOx. In order to use the CB/SiOx/C composite as a high-efficiency anode material, the mechanism of the optimal SiOx and the use of carbon black as a structural stabilizer was discuss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산화물, 소프트 카본, 카본 블랙을 혼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이차전지의 음극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때, 소프트 카본 음극재의 용량 향상을 위하여 첨가된 실리콘 산화물 함량을 0, 6, 8, 10, 20 wt%로 달리하였으며, 카본 블랙은 실리콘 산화물의 부피 팽창 완화를 위한 구조 안정제로 첨가되었다. 제조된 CB/SiOx/C 복합체의 물리적 특성은 XRD, SEM, EDS 및 분체 저항 분석을 통하여 조사되었다. 또한 제조된 복합체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율속 및 임피던스 분석을 통하여 관찰되었다. CB/SiOx/C 복합체는 카본 블랙 첨가에 의하여 실리콘 산화물의 부피 팽창을 완화시킬 수 있는 내부 공동이 형성되었으며, 카본 블랙과 실리콘 산화물 입자가 고르게 분포되었다 형성된 내부 공동은 실리콘 산화물 함량이 8 wt% 미만에서는 낮은 초기 효율 보이며, 20 wt% 이상에서는 낮은 사이클 안정성을 보였다. 실리콘 산화물이 10 wt% 첨가된 CB/SiOx/C 복합체는 537 mAh/g 초기 방전 용량, 88 %의 용량 유지율과 2C/0.1C에서 79 율속 특성을 보였다. 이는 소프트 카본 음극재의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 산화물을 첨가하였고, 실리콘 산화물의 부피 변화를 완충하기 위해 구조 안정제로 카본 블랙을 첨가하였다. CB/SiOx/C 복합체를 고효율의 음극재로 사용하기 위해 최적의 실리콘 산화물 함량 및 구조 안정제로서의 카본 블랙의 메커니즘을 논의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44",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44.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studied a facile method for the synthesis of stable and nearly spherical gold nanoparticles using a tyrosine-rich peptide, Tyr-Tyr-Gly-Tyr-Tyr (YYGYY), as both the reducing and capping agent. The peptide coated spherical and polycrystalline gold nanoparticles with diameters from 3 to 15 nm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eptide and metal precursor under UV irradiation. The nanoparticles were then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UV-Vis spectroscopy,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TEM-EDS),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X-ray diffraction (XRD). Furthermore, the catalytic activity of gold nanoparticles was confirmed by the reduction of 4-nitrophenol to 4-aminophenol, in which the catalytic reaction rate constant was 7.3 × 10-3 s-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타이로신이 풍부한 펩타이드, Tyr-Tyr-Gly-Tyr-Tyr (YYGYY)를 환원제 및 안정화제로 사용하여 구형의 금 나노 입자의 간단한 합성 방법을 연구하였다. 펩타이드로 둘러싸인 구형의 다결정 금 나노 입자는 UV 조사 하에서 펩타이드 및 금속 전구체의 농도를 조절하여 3~15 nm 크기로 합성되었다. 합성된 금 나노 입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투과 전자 현미경(TEM),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spectroscopy), 주사 투과 전자 현미경 및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STEM-EDS),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X선 회절 분석법(XR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4-니트로페놀의 환원 반응을 통해 7.3 × 10-3 s-1의 반응속도 상수를 갖는 촉매 활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73",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7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adsorption decolorization process of sea buckthorn oil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the sea buckthorn oil as a natural UV absorber. The optimiz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CD-RSM). The response values of CCD-RSM were selected as the decolorization effect through the process, acid value after decolorization, and UV absorbance of the decolored oil at 290nm. The amount of adsorbent, temperature and time were selected as the process variables for the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CD-RSM, the results of optimization were all consistent. The optimal conditions, which satisfy CCD-RSM statically and mathematically, were 4.32 wt.%, 134.90 ℃, and 19.8 min for the amount of adsorbent, temperature and time, respectively. The estimated response values expected under these optimal conditions values were 94.78%, 2.08 mg/g KOH, and 2.91 for the decolorization effect, acid value and UV absorbance at 290 nm, respectively. Also the average error from actual experiment for verifying the conclusions was smaller than 2%.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CCD-RSM to the adsorption decolorization process of sea buckthorn oil showed a very high level of acceptable results and that the sea buckthorn oil has high possibility to be used as a natural UV absorb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천연 오일인 시벅턴 오일의 천연 자외선 흡수제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벅턴 원유에 대한 흡착 탈색공정을 수행하고, 이를 CCD-RSM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CCD-RSM의 반응치로는 탈색과정의 탈색효과, 탈색 후 정제유의 산가 및 290 nm에서의 자외선흡광도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탈색제의 첨가량, 탈색온도, 탈색시간으로 설정하였다. CCD-RSM에 의한 통계학적 최적화 결과와 수학적 최적화 결과를 비교한 결과 3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조건으로 탈색제의 첨가량(4.32 wt.%), 탈색온도(134.9 ℃) 및 탈색시간(19.8 min)으로 나타났다. 이 최적 조건하에서 예측된 반응치 중 탈색과정의 탈색효과는 94.78%, 탈색 후 정제유의 산가는 2.08 mg/g KOH, 그리고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는 2.91로 나타났으며, 오차율은 2%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CCD-RSM을 시벅턴 원유의 흡착 탈색공정에 적용할 경우 매우 높은 수준의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천연 식물성 오일인 시벅턴 오일을 천연 자외선 흡수제로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40",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40.pdf", "abstract_en": "mCherry is one of the well-understood red fluorescent proteins which has a similar tertiary structure as GFPs, but pH resistant due to the lack of hydrogen bond network. Whereas mCherry-I202T showed far-red fluorescence and also pH sensitive property because of the additional hydrogen bond formed by substituting Ile of 202 amino acid sequence on mCherry with Thr. In order to verify the pH sensitive characteristic of mCherry-I202T owing to the extension of hydrogen bond, UV-vis spectrum was measured over the range of acidic to basic pH. We also demonstrate further possibilities of applying mCherry-I202T as a pH sensor.", "abstract": "DsRed에서 유래한 적색 형광 단백질들 중 하나인 mCherry는 GFP와 유사한 3차 구조를 가진 잘 알려진 적색 형광 단백질 중 하나이며, 수소결합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지 않아서 pH 변화에 민감하지 않다. 반면 mCherry의 발색단 근처에서 돌연변이를 야기 시켜 만든 mCherry-I202T는 mCherry 단백질의 202번째 아미노산인 이소루신(Ile)을 트레오닌(Thr)으로 치환함으로써 모체와는 다르게 추가적인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주위 pH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뿐 아니라 적색 편이된 형광을 보였다. 수소결합이 확장된 I202T의 pH 민감성을 검증하기 위해 산성과 염기성 pH 범위에서 I202T의 UV-vis 흡광 스펙트럼 변화와 가역성을 확인하고, 그를 pH sensor에 적용 가능한지 그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81",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81.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ire risk assessment of woods and plastics for construction materials, focusing on the fire performance index-III (FPI-III), fire growth index-III (FGI-III), and fire risk index-IV (FRI-IV) by a newly designed method. Japanese cedar, red pin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polyvinyl chloride (PVC) were used as test pieces. Fir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using a cone calorimeter (ISO 5660-1) equipment. The fire performance index-III measured after the combustion reaction was found to be 1.0 to 15.0 with respect to PMMA. Fire risk by fire performance index-III increased in the order of PVC, red pine, Japanese cedar, and PMMA. The fire growth index-III was found to be 0.5 to 3.3 based on PMMA. Fire risk by fire growth index-III increased in the order of PVC, PMMA, red pine, and Japanese cedar. COpeak concentrations of all specimens were measured between 106 and 570 ppm. In conclusion, it is understood that Japanese cedar with a low bulk density and PMMA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substances have a low fire performance index-III and high fire growth index-III, and thus have high fire risk due to fire.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fire risk index-IV.", "abstract": "본 연구는 건자재용 목재 및 플라스틱의 화재위험성 평가에 대하여 새로 고안된 화재성능지수-III (FPI-III), 화재성장지수-III (FGI-III), 화재위험성지수-IV (FRI-IV)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편은 삼나무, 적송, PMMA, PVC를 사용하였다. 화재 특성은 시험편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화재성능지수-III는 PMMA를 기준으로 1.0~15.0으로 나타났다. 화재성능지수-I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PVC, 적송, 삼나무, PMMA 순서로 증가하였다. 화재성장지수-III는 PMMA를 기준으로 0.5~3.3으로 나타났다. 화재성장지수-I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PVC, PMMA, 적송, 삼나무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모든 시편의 CO 피크농도는 106~570 ppm으로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체적밀도가 낮은 삼나무와 PMMA와 같이 휘발성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 재료는 화재성능지수-III가 낮고, 화재성장지수-III가 높으므로 화재로 인한 화재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화재위험성지수-IV와 일치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36",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36.pdf", "abstract_en": "Alzheimer's disease (AD), an irreversible degenerative disorder, is associated with accumulation and aggregation of amyloid-β peptides, hyperphosphorylated tau proteins, and high level of metal ions in the brain. Up to date, there is no effective therapeutic agent to stop the progress of the disease and thus early and accurate diagnosis of AD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Among several diagnostic methods, an optical imaging using fluorescent probes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tools to visualize AD biomarkers. In this review, we will introduce fluorescent probes that can be applied to in vivo brain imaging of AD models and also their structure.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review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many scientists in the related research fields.", "abstract": "알츠하이머병은 신경퇴행질환으로 뇌조직에서 발생하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 Aβ) 펩타이드의 축적과 응집, 타우 단백질의 초인산화, 고농도의 특정 금속이온 축적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알츠하이머병을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을 위해 개발된 다양한 기법 중 형광 프로브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의 바이오마커 영상화는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최근 개발된 알츠하이머병 진단용 형광 프로브의 구조와, 체내 뇌 영상화에의 적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향후 새로운 프로브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6960485469",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69.pdf", "abstract_en": "Fluorination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pitch-based activated carbon fibers (ACFs) onto acetic acid. Both plasma and direct gas fluorination were used for fluorination, and the acetic acid gas adsorption performance of fluorinated ACFs was investigat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ACFs, and the por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77 K nitrogen adsorption. An adsorp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through gas chromatograph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breakthrough time of plasma fluorinated sample was 790 min and that the breakthrough time was delayed compared to that of using untreated one of 650 min. However, the breakthrough time of direct gas fluorinated sample was 390 min, indicating that the adsorption performance was inhibited. The plasma fluorinated ACFs showed an increase in the adsorption performance due to an electrostatic attraction between the acetic acid gas (CH3COOH) with the fluorine group introduced to the surface without changing its specific surface area. 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direct gas fluorinated ACFs decreased significantly up to 55%, and the physical adsorption effect on the acetic acid gas also reduced.", "abstract": "실내 환경 오염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인 초산에 대한 핏치계 활성탄소섬유의 흡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소화를 진행하였다. 불소화에는 플라즈마 불소화와 직접 기상 불소화법을 사용하였으며, 두 가지 방식으로 불소화한 활성탄소섬유의 초산가스 흡착 성능을 고찰하였다. 불소가 도입된 활성탄소섬유의 표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분석하였고 그 기공특성은 77K 질소 흡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초산가스의 흡착 성능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플라즈마 불소화 된 활성탄소섬유의 파과시간이 790 min으로 650 min인 미처리 활성탄소섬유에 비해 파과시간이 지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직접 기상 불소화 표면처리한 활성탄소섬유의 파과시간은 390 min으로 오히려 흡착성능이 저해되었다. 이는 플라즈마 불소화 된 활성탄소섬유는 그 비표면적의 변화 없이, 표면에 도입된 불소 관능기가 초산가스(CH3COOH)와 정전기적 인력으로 흡착성능이 증가하였다. 반면, 직접 기상 불소화 된 활성탄소섬유는 그 비표면적이 55%까지 크게 감소하여 초산가스에 대한 물리적 흡착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90",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90.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n adsorption tower filled with potassium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for high hydrogen sulfide capture capacity. Heat treatment modified the surface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and ultimately determined its adsorption capacity. The activated carbon doped with potassium showed 57 times more adsorption at room temperature than that of using the raw adsorbent. It is believed that uniform pore formation and strong bonding of the potassium on the surface of carbon contributed to the chemical and physical absorption of hydrogen sulfide. The SEM analysis on the surface structure of various commercial carbons showed that the modification of surface properties through the heat treatment generated the destruction of pore structures resulted in the decrease of the absorption performance. The pressure drop across the activated carbon bed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grain size and shape. The optimum size of irregularly shaped activated carbon granules was 2~4 mesh indicating economical feasibilit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 공정에서 사용되는 황화수소 제거용 흡착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동 분석 및 흡착성능 향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다양한 활성탄에 칼륨(potassium, K)을 담지하여 개질 활성탄을 제조하였다. 또한 열처리 여부에 따라 흡착 성능과 열처리 과정에서 변화된 표면 특성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함침법을 통해 K로 코팅된 활성탄은 57배 이상의 흡착 성능을 확인하였다. 이는 균일한 기공 형성과 탄소 표면의 K의 강한 결합은 황화수소의 화학적 및 물리적 흡수에 기여한다고 판단하였다. 다양한 상용 활성탄의 표면 구조에 대한 SEM 분석은 열처리를 통한 표면 특성의 변형으로 인해 기공 구조가 파괴되어 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각 활성탄의 압력 손실 특성은 입자 크기와 모양에서 가장 낮은 압력 손실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2~4 mesh 크기의 탄소입자 범위와 불규칙한 모양이 흡착탑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경제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id": "JAKO202106960485449",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49.pdf", "abstract_en": "Effects of the etching treatment of SAPO-34 catalyst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catalytic lifetime in DTO reaction. The aqueous NH3 solution was a more appropriate treatment agent which could control the degree of etching progress, compared to that of using a strong acid (HCl) or alkali (NaOH) solution. Therefore, the effect on characteristics and lifetime of SAPO-34 catalyst was observed using the treatment concentration and time of aqueous NH3 solution as variables. As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r time of aqueous NH3 solution increased, the growth of erosion was proceeded from the center of SAPO-34 crystal plane, and the acid site concentration and strength gradually decreased. Meanwhile, it was found that external surface area and mesopore volume of SAPO-34 catalyst increased at appropriate treatment conditions. When the treatment concentration and time were 0.05 M and 3 h, respectively, the lifetime of the treated SAPO-34 catalyst was the longest, and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ca. 36% (based on DME conversion of > 90%) compared to that of using the untreated catalyst. The model for the etching progress of SAPO-34 catalyst in a mild treatment process using aqueous NH3 solution was also proposed.", "abstract": "DTO (dimethyl ether to olefins) 반응에서 촉매의 수명 향상을 목적으로 SAPO-34 촉매의 식각 처리 효과를 연구했다. NH3 수용액은 HCl과 같은 강산 또는 NaOH와 같은 강알칼리 수용액과 비교하여 식각의 진행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적절한 처리제였다. 따라서 NH3 수용액의 처리 농도와 시간을 변수로 하여 SAPO-34 촉매의 특성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NH3 수용액의 처리 농도 또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SAPO-34 촉매 결정 면의 중심에서부터 침식이 진행되었으며, 점차적으로 산 점 농도와 산 세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적절한 처리 조건에서 SAPO-34 촉매의 외부 표면적과 메조 세공 부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 농도와 시간이 각각 0.05 M와 3 h일 때, 처리된 SAPO-34 촉매의 수명이 가장 우수했으며 처리 전 촉매와 비교하여 약 36% (DME 전환율 > 90% 기준)까지 크게 향상되었다. NH3 수용액을 이용한 온화한 처리과정에서 SAPO-34 촉매의 식각 진행에 대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1375991158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585.pdf", "abstract_en": "The optimal recipe for manufacturing composite honey-based herbal pills mainly comprising Rubus coreanus powder (RCP), black mulberry powder (BMP), and vitamin C was investigated. Honey-based herbal pills were prepared by mixing these powders, binding them with honey, and then forming a round shap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ased on the D-optimal mixture design, which included 12 experimental points with one replicate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s follows: RCP (10~35%), BMP (10~35%), and vitamin C (5~10%). In addition, the dependent variable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measured and used to optimize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amounts of RCP were correlated with high total flavonoid content, whereas the addition of high amounts of vitamin C resulted in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conclusion, an optimized formulation for the honey-based herbal pill was found to contain 35% RCP, 10% BMP, and 10% vitamin C.",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산 복분자와 오디의 활용도를 높이고 고품질의 환을 개발하기 위해 복분자 가루, 오디 가루, 비타민 C 세 가지 재료가 복분자-오디 환의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혼합물 설계법 중 D-optimal mixture design을 이용하였다. 독립변수인 복분자 가루, 오디 가루 및 비타민 C 함량에 따라 복분자-오디 환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FRAP이 linear 모델,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quadratic 모델로 결정되었으며 회귀식은 p-value의 값이 각각 0.0481, <0.0001, <0.0001 및 0.0387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비타민 C 첨가량에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복분자 가루 및 오디 가루 첨가량이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복분자 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비타민 C 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복분자 가루의 첨가량이 너무 낮아지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AP 활성은 비타민 C와 오디가루 첨가량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와 desirability를 바탕으로 두 개의 복분자-오디 환 배합비가 가능할 것으로 도출되었지만 이 둘 중에서 Formulation 1 (복분자 가루 35%, 오디가루 10%, 비타민 C 10%)이 desirability가 0.8 이상으로 제품 품질이 적합하고 우수하여 최적 배합 비율로 설정하였다."} {"id": "JAKO20211375991160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601.pdf", "abstract_en": "Resazurin, an oxidized blue dye, is reduced to resorufin, showing a peak absorbance change and emitting fluorescence due to the metabolic activity of living cells. In this study, the growth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and the redox potential of living probiotic bacteria were evaluated based on changes in the absorbance or fluorescence of resazurin. Fluorescence analysis is a more accurate and sensitive method for quantifying viable LGG than the colorimetric absorbance measurement of resazurin change. Fluorescence measurement could detect LGG of 6.5-9.5 log CFU/mL within 30 min with R2=0.99. No significant effect of further reduction of resorufin to dihydroresorufin by LGG was observed. Various probiotics showed different resazurin-reducing activities, and L. kimchicus had the highest reducing activity among the six probiotics tested.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fluorescence measurement in a resazurin-based assay is useful for analyzing bacterial growth and the redox potential of living probiotic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에 의한 레자주린의 흡광 및 형광특성의 변화와 레소루핀과의 반응성을 분석하고, 균주별 레자주린에 대한 환원능을 비교하였다. LGG에 의해 레자주린은 흡광과 형광의 변화를 수반하며 레소루핀으로 환원되고 반응시간과 생균수의 증가에 따라 환원정도가 증가하였으며, 형광의 변화에서 더 정확하고 민감한 반응성을 보였다. 한편 LGG에 의한 레소루핀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레소루핀으로의 환원반응은 거의 유발되지 않았다. 프로바이오틱스 6개 균주 중 L. kimchicus의 생균에 의한 레자주린 환원력이 월등하게 높은 반면, 균체 파쇄 후의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른 양상을 보이며 L. plantarum과 L. casei가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생균의 MTT 환원능은 L. kimchicus가 LGG에 비해 현저히 높아 레자주린 환원능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레자주린이 단일 균주 프로바이오틱스의 생균수 측정에 유용하며, 프로바이오틱스의 선별 및 환원활성 측정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d": "JAKO20211375991155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550.pdf", "abstract_en": "Scutellaria baicalensis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diarrhea, dysentery, hypertension, hemorrhaging, insomnia, inflammation, and respiratory infec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water extract (SWE)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WE, RAW 264.7 macrophages were stimulated with LPS to induce the production of inflammation-related factors, which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In RAW 264.7 cells, SWE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without causing cell toxicity. SWE also reduc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protein,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α). The phosphorylation levels of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family members, such as JNK and p38, were also reduced by SWE. Thus, SWE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agent.", "abstract": "Scutellaria baicalensis water extract (SWE)는 지질 다당류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NO 및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생성을 세포 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SWE는 iNOS 및 COX-2의 단백질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ERK, JNK, p38과 같은 MAPKs 계열의 인산화 발현 수준을 조사한 결과 JNK와 p38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켰다. 이는 SWE가 p38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iNOS, COX, 그리고 TNF-α와 같은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결론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시킨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항염증 효능 검증뿐 아니라 염증대사기전의 주요인자를 탐색함으로써 황금의 기능성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id": "JAKO20211375991158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581.pdf", "abstract_en": "One of the major sources of air pollution is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which causes lung diseases involving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cancer. Codonopsis lanceolata (CL) has been used in East Asia a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al ingredient for lung diseases (e.g., asthma and bronchitis).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pact of CL and UPM in the lungs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CL (ECL)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disruption of tight cell junctions in human pulmonary epithelial cells after exposure to UPM. As the lung cells were pre-treated with ECL, the UPM-induced increase in 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suppressed tight junction proteins (e.g., N-cadherin, fibronectin, occludin, zonula occludens-1, and claudin-4).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L prevents the possible effects of UPM toxicity on the lung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UPM에 의해 유발되는 NCI-H441 세포 내 ROS 생성과 그에 따른 tight junction 단백질(N-cadherin, fibronectin, occluding, ZO-1, 및 claudin-4 등)의 발현 억제를 확인하였고 ECL의 전처리로 인하여 해당 ROS 생성 및 tight junction 단백질 발현 억제 현상이 완화되는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폐 세포에서 UPM에 의해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 및 tight junction 단백질의 발현 감소가 ECL을 선 처리함으로써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산화 스트레스와 같은 미세먼지에 의한 폐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를 나타내고 tight junction 수준의 유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CL 추출물은 폐와 기관지의 보호효과를 나타내며 폐 관련 질병의 예방효과가 있는 기능성 천연 물질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75991154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546.pdf", "abstract_en": "Phytochemicals in fruits, vegetables, cereals, and nuts, advertised as \"antioxidants\", combat undesirable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These undesirable effects include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lthough ROS were initially considered to be primarily damaging agents, ROS have been discovered to play a role in signaling immune and other physiological responses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ROS act as essential signaling molecules to promote metabolic health. Therefore, the overall advantage of the interference of ROS signals by antioxidants could be questionable.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application of phytochemicals in functional foods and supplements for health benefits on ROS levels in the body. This study describes the new roles of ROS and hormesis of various phytochemicals to provide a possible research guideline to food and nutrition scientists.", "abstract": "과일, 채소, 곡물, 견과류 등에 함유된 파이토케미컬은 심혈관질환, 암, 퇴행성신경질환 등을 유발하는 활성산소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방지하는 산화방지제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유해물질로 간주되었던 활성산소는 최근에 면역 및 다른 생리적 반응 신호에서 인체에 유익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활성산소는 신진대사 건강을 증진시키는 필수 신호 전달 물질로 작용한다. 따라서, 산화방지제가 활성산소의 신호 전달에 간섭하는 것은 전반적인 이점에 의문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건강상의 이익을 위해 파이토케미컬을 기능성 식품과 보충제에 적용할 때 활성산소가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활성산소에 관한 연구를 계획하는 식품학자 및 영양학자들에게 가능한 연구 방향을 제공하고자 활성산소의 새로운 역할과 다양한 파이토케미컬의 호메시스를 간략하게 다루고 있다."} {"id": "JAKO20211375991161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614.pdf", "abstract_en":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Codium fragile on fine dust (PM2.5)-induced cytotoxicity, we investigated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 protective effect on PM2.5-exposed cells. The 40% ethanolic extract of C. fragile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whereas the water extract of C. fragile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saccharide content.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extracts on PM2.5-induced oxidative damage in nasal cavity (RPMI2650), lung (A549), brain (MC-IXC), hippocampus (HT-22), and microglia (BV-2) cell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ntent and cell vi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40% ethanolic extract more efficiently inhibited ROS production than the water extract. In contrast, PM2.5-exposed cells treated with the water extract showed higher viability than those treated with the 40% ethanolic extrac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로 유도될 수 있는 질환에 대한 예방 소재로써 청각(C. fragile)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각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지방질과산화 억제 효과는 4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고, 총 polysaccharide 함량에서는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미세먼지 유도성 산화적 손상에 대한 비강(RPMI2650), 폐(A549), 뇌신경(MC-IXC), 해마(HT-22), 미세아교(BV-2)세포에서의 세포보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세포 내 ROS 형성 억제 효과와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내 ROS 형성 억제효과 실험 결과에서 40% 에탄올 추출물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포사멸 억제 효과 실험 결과에서는 물 추출물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고, 40% 에탄올 추출물은 뇌신경세포(MC-IXC)을 제외한 세포에서 사멸 억제 효과가 미비하거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세포독성을 일부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청각 추출물은 비강, 폐, 뇌(신경, 해마, 미세아교) 세포에서 미세먼지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서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id": "JAKO202117563195989",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95989.pdf", "abstract_en": "Photothermal therapy is a treatment that necrotizes selectively the abnormal cells, in particular cancer cells, which are more vulnerable to heat than normal cells, using the heat generated when irradiating light.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reduced graphene oxide with carboxyl groups (CRGO)-gold nanorod (AuNR) nanocomposite for photothermal treatment. Graphene oxide (GO) was selectively reduced and exfoliated at high temperature to synthesize CRGO, and the length of AuNR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gNO , to synthesize AuNR with a strong absorption peak at 880 nm, as an ideal photothermal agent. It was determined through FT-IR, thermogravimetric and fluorescence analyses that more carboxyl groups were conjugated with CRGO over RGO. In addition, CRGO exhibited excellent stability in aqueous solutions compared to RGO due to the presence of carboxylic acid. The CRGO-AuNR nanocomposites fabricated by electrostatic interaction have an average size of ~317 nm with a narrow size distribution. It was confirmed that under radiation with a near-infrared 880 nm laser which has an excellent tissue transmittance, the photothermal effect of CRGO-AuNR nanocomposites was greater than that of AuNR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two photothermal agents, CRGO and AuNR. Furthermore, the results of cancer cell toxicity by photothermal effect revealed that CRGO-AuNR nanocomposites showed superb cytotoxic properties. Therefore, the CRGO-AuNR nanocomposites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field of anticancer photothermal therapy based on their stable dispersibility and improved photothermal effect.", "abstract": "광열 치료(photothermal therapy)란 빛을 조사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정상세포보다 열에 약한 비정상 세포, 특히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괴사시키는 치료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열 치료를 위한 카르복실화된 환원 그래핀옥사이드(reduced graphene oxide with carboxyl groups, CRGO)-골드나노막대(gold nanorod, AuNR) 나노복합체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를 고온에서 선택적으로 환원, 박리하여 CRGO를 합성하였고, AgNO 의 양에 따라 AuNR의 길이를 조절하여 880 nm에서 강한 흡광 특성을 나타내는 AuNR를 합성하여 광열 인자로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환원된 RGO에 비해 CRGO에 상대적으로 많은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있음을 FT-IR, 열 중량 분석 및 형광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RGO에 비해 많은 carboxyl group이 결합된 CRGO는 수용액상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합성된 CRGO-AuNR 나노복합체는 약 317 nm의 균일한 크기와 좁은 크기 분포를 보였다. CRGO-AuNR 나노복합체는 두 가지 광열 인자인 CRGO와 AuNR의 synergistic effect로 인하여 조직 투과도가 우수한 근적외선 880 nm 레이저의 조사에 의한 광열 효과가 AuNR보다 2배 이상 향상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열 효과에 의한 암세포 독성 분석 결과, CRGO-AuNR 나노복합체가 가장 우수한 세포 독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CRGO-AuNR 나노복합체는 안정된 분산성과 향상된 광열 효과를 기반으로 항암 광열 요법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7563156977",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56977.pdf", "abstract_en": "Simultaneous removal technologies of multi-pollutants such as particulate matters (PMs), NOx, SOx, VOCs and ammonia have received consistent attention due to the enhancement of pollutant abatement efficiency in addition to the stringent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emission standard. Pretreatment of insoluble NO by an ozone oxid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route for saving space occupation as well as operation cost in comparison with that of traditional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process. Moreover the primary advantage of ozone oxidation process is that the simultaneous removal with acidic gas including SOx is also available. Herein, we highlight recent studies of multi-pollutant abatement via ozone oxidation process and the promising research topics for better application in industrial sectors.", "abstract": "미세먼지와 함께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암모니아 비롯한 유발물질에 대한 동시 저감기술은 엄격해지는 환경규제와 실질적인 저감효과 제고를 위해 꾸준히 주목받아 왔다. 오존산화에 의한 비수용성 질소산화물 고속산화 공정은 전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선택적 촉매환원 공정에 비해 공간절약형 시스템 적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운영비용 절감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황산화물을 비롯한 산성가스와 동시 저감이 가능한 공정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까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존 고속산화 공정에 대한 기술 이슈 및 개발 동향을 소개하며 향후 산업적 이용 확대를 위한 개발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id": "JAKO202117563185986",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85986.pdf", "abstract_en": "A purification process was performed for the application of natural graphite as an anode material. The influence of the structural change and impurity content of graphite according to the process on the anod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Natural graphite was chemically/physically purified by acid-treatment which used different amounts of solution of ammonium fluoride/sulfuric acid in the same ratio and thermal treatment used different temperatures (800~2500 ℃). Acid-treatment had limitation to remove impurities, and identified that all impurity contents was removed except some traces of atom such as Si by after progressed thermal-treatment until 2500 ℃. The anode materials characteristic of graphite treated by purification process was improved, and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impurity contents affected dominantly the capacity, rate property and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Consequently, the complex purification process improved the graphite structure and also the performance of lithium ion battery by controlling the excessive formation of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and expanding Li insertion space originated from the effective removal of impurities.", "abstract": "천연 흑연의 음극재 적용을 위하여 정제 공정을 실시하였으며, 공정에 따른 흑연의 구조적 변화와 불순물 함량이 음극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천연 흑연은 불화암모늄과 황산을 동일 비로 하여 사용량을 달리한 산처리 및 온도(800~2500 ℃)를 달리한 열처리를 통하여 화학적/물리적으로 정제되었다. 산을 이용한 불순물 제거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후 진행된 2500 ℃까지의 열처리를 통해 Si과 같은 일부 원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불순물이 전량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 정제 공정에 따라 제조된 흑연 음극재의 특성이 향상되었으며, 구조와 불순물 함량 변화는 각각 용량 및 속도 특성과 초기 쿨롱 효율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다. 복합 정제 공정은 흑연 구조를 향상시켰으며,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SEI층 형성 억제 및 Li 삽입 공간 확대를 통해 리튬 이온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id": "JAKO202117563160979",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60979.pdf", "abstract_en": "Recently, due to concerns about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the importance of hydrogen energy technology, which is a clean energy source that does not emit greenhouse gases, is being emphasized. Water electrolysis technology is a green hydrogen technology that obtains hydrogen by electrolyzing water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ultimate clean future energy resources. In this study,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porous transport layer (PTL), one of the cell components of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PEMWE), were controlled using a sandpaper to reduce overvoltage and increase performance and stability. The surfaces of PTL were sanded using sandpapers of 400, 180, and 100 grit, and then all samples were finally treated with the sandpaper of 1000 grit. The prepared PTL was analyzed for the degree of hydrophilicity by measuring the water contact angle, and the surface shape was observed through SEM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I-V performance curves and impedanc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abstract": "최근 화석 연료 고갈과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하는 온실 가스 배출에 대한 우려로 온실 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인 수소 에너지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 중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얻는 수전해 기술은 그린 수소 기술로 궁극적인 청정 미래 에너지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이온 교환막 수전해(prot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PEMWE)의 셀 구성요소 중 하나인 확산층(porous transport layer, PTL)을 sandpaper를 이용한 표면 처리를 통하여 표면 특성을 제어하였으며, 이러한 표면 특성 개선을 통하여 과전압을 줄이고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Sandpaper 400, 180, 100방을 준비하여 PTL 표면을 sanding하여 처리하였으며, 처리 후 1000방의 고른 sandpaper로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였다. 준비된 확산층은 물접촉각을 측정하여 친수성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SEM 분석을 통하여 표면 형태를 관찰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I-V 성능곡선, 임피던스 측정을 진행하여 성능 개선 여부를 확인하였다."} {"id": "JAKO202117563162979",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62979.pdf", "abstract_e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arbol fuchsin (CF) dye by coal-based activated carbon (CAC) were investigated using pH, initial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contact time as adsorption variables. CF dissociates in water to have a cation, NH , which is bonded to the negatively charged surface of the activated carbon in the basic region by electrostatic attraction. Under the optimum condition of pH 11, 96.6%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adsorbed. Isothermal adsorption behavior was analyzed using Langmuir, Freundlich, Temkin and Dubinin-Radushkevich models. Langmuir's equation was the best fit for the experimental results. Therefore, the adsorption mechanism was expected to be adsorbed as a monolayer on the surface of activated carbon with a uniform energy distribution. From the evaluated Langmuir's dimensionless separation coefficients (R = 0.503~0.672), it was found that CF can be effectively treated by activated carbon. The adsorption energies determined by Temkin and Dubinin-Radushkevich models were E = 15.31~7.12 J/mol and B = 0.223~0.365 kJ/mol, respectively. Therefore, the adsorption process was physical (E < 20 J/mol, B < 8 kJ/mol). The experimental result of adsorption kinetics fit better the pseudo second order model. In the adsorption reaction of CF dye to CAC, the negative free energy chang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spontaneity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positive enthalpy change (40.09 kJ/mol) indicated an endothermic reaction.", "abstract": "석탄계 활성탄(CAC)에 의한 carbol fuchsin (CF) 염료의 흡착 특성을 pH, 초기농도, 온도 및 접촉시간을 흡착변수로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CF는 수중에서 해리하여 양이온인 NH 를 가지게 되는데, 염기성 영역에서 음전하를 가진 활성탄의 표면과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하였으며 최적조건인 pH 11에서 96.6%를 흡착하였다. 등온흡착은 Langmuir, Freundlich, Temkin 및 Dubinin-Radushkevich 모델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실험결과는 Langmuir 식이 더 잘 맞았다. 따라서 흡착 메카니즘은 균일한 에너지 분포를 가진 활성탄 표면에서 단분자층으로 흡착된다고 예상되었다. 평가된 Langmuir의 무차원 분리계수 값들(R = 0.503~0.672)로부터 활성탄에 의해 CF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Temkin 식과 Dubinin-Radushkevich 식에 의해 구한 흡착에너지는 각각 B = 4.397~6.281 kJ/mol과 E = 1.456~2.319 J/mol이었다. 따라서 흡착공정은 물리흡착(B < 20 J/mol, E < 8 kJ/mol)으로 나타났다. 흡착속도실험결과는 유사 2차 속도식에 더 잘 맞았다. CAC에 대한 CF 염료의 흡착반응은 온도가 올라갈수록 자유에너지 변화의 음수값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온도 증가와 함께 자발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수 값의 엔탈피 변화(12.747 kJ/mol)는 흡열반응임을 알려주었다."} {"id": "JAKO202117563184986",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84986.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n optim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water emulsion was designed by adding an extract of wheat sprout, which is known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antioxidants.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of reaction surface analysis method (CCD-RSM) was used for the optimization process. The amount of emulsifier, emulsification time, and added amount of wheat sprout extract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our preliminary experiments. The mean droplet size (MDS), viscosity, and emulsion stability index (ESI) were set as the response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emulsion.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the P-value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ere evalu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s. From the result of CCD-RSM, optimum conditions for the emulsification were determined as 23.6 min, 7.7 wt.%, and 3.9 wt.% for the emulsification time, amount of emulsifier, and amount of sprout, respectively. From the optimized condition obtained, MDS, viscosity, and ESI after 7 days from reaction were estimated as 252.3 nm, 616.7 cP, and 88.7%, respectively.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0.9137, which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experiments, and the error rate was measured at 0.5% or less by advancing the experiments. Therefore, an optimized process for producing an emulsion by adding the malt extract was designed by the CCD-RSM.",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밀배아유에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있는 밀싹 추출물을 첨가한 후 O/W 유화액을 제조하는 최적화 공정을 설계하였다. 최적화 공정 설계는 반응표면분석법의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사용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하여 유화제 첨가량, 유화시간, 밀싹 추출물의 첨가량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반응치는 평균입자크기, 점도, 유화안정도지수를 설정하여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각 독립변수에 대해 최적화하여 P-value와 결정계수를 평가하여 실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모든 독립변수를 만족하는 최적화 조건은 유화제 첨가량 = 7.7 wt.%, 유화시간 = 23.6 min, 밀싹 추출물의 첨가량 = 3.9 wt.%에서 평균입자크기 = 252.3 nm, 유화액의 점도 = 616.7 cP, ESI = 88.7%로 나타났다. 종합만족도가 0.9137으로 실험의 타당성을 뒷받침하였고, 실제실험을 진행하여 오차율이 0.5 %이하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중심합성계획모델을 통해 밀싹 추출물을 첨가하여 유화액을 제조하는 최적화 과정을 설계하였다."} {"id": "JAKO202117563189987",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89987.pdf", "abstract_en": "With increasingly strict requirements for advanced energy storage devices in electric vehicles (EVs) and stationary energy storage systems (EES), the development of lithium-ion batteries (LIBs) with high power density and safety has become an urgent task. Because the performance of LIBs is determined primarily b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ts electrode material, TiO , owing to its excellent stability, high safety level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perties,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as an alternative material for the replacement of commercial carbon-based anode materials. In particular, self-organized TiO micro and nanostructures prepared by anodization have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as promising anode materials. In this review, the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anodic TiO nanotubes and microcones and the parameters that influence their morphology are described. Furthermore, recent developments in anodic TiO -based composites as anode electrodes for LIB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ow conductivity and specific capacity are summarized.", "abstract": "전기자동차(EV) 및 중대형 에너지 저장 장치(ESS)의 활용을 위한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출력 및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갖는 리튬 이온 전지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성능은 주로 전극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데, TiO 는 우수한 안정성 및 높은 안정성, 친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현재 상용화된 탄소계 음극재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양극산화를 통해 제조된 자기 정렬된 TiO 마이크로 및 나노 구조는 차세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유망한 음극 소재 물질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총설 논문에서는 양극산화를 통한 TiO 나노 튜브 및 마이크로콘 구조 메커니즘 및 구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설명을 다루었다. 또한, TiO 의 낮은 전기전도도 및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TiO 기반 복합체를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음극재로 활용한 연구를 소개하였다."} {"id": "JAKO202117563188987",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88987.pdf", "abstract_en":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paration of acetaminophen (AP) imprinted functional biomaterials for a transdermal drug delivery using mung bean starch (MBS), polyvinyl alcohol (PVA), sodium benzoate (S) as a crosslinking agent, glycerol (GL) as a plasticizer, and melanin (MEL) as a photothermal agent. The prepared AP imprinted biomaterials were characterized using FE-SEM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photothermal effect and AP release property for functional biomaterials were examined with the irradiation of near infrared (NIR) laser (1.5 W/cm ). When the NIR laser was irradiated on functional biomaterials with/without the addition of MEL, the temperature of MEL added biomaterial increased from 25 ℃ to 41 ℃, whereas the biomaterial without MEL increased from 25 ℃ to 28 ℃.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the photothermal effect of prepared biomaterial with the addition of MEL. Based on the results, AP release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standard buffer solutions and artificial skin. It was found that AP release rates of MEL added AP loaded biomaterials were 1.2 times faster than those of MEL non-added AP loaded biomaterials when irradiating with NIR laser. We envision that the developed functional biomaterials can be utilized for an acute pain-killing treatmen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mung bean starch (MBS), polyvinyl alcohol (PVA), sodium benzoate (S), glycerol (GL), melanin (MEL)을 이용하여 광열 효과가 있는 기능성 acetaminophen (AP) 각인 MBS 기반 바이오 소재를 제조하고 약물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AP 각인 바이오 소재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FE-SEM과 FT-IR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NIR (near infrared) laser (1.5 W/cm ) 조사에 따른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광열 효과 및 AP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바이오 소재에 NIR laser를 조사하였을 때, MEL이 첨가 바이오 소재는 첨가하지 않은 바이오 소재보다 2배 이상 높은 온도상승을 보였다. 표준 버퍼 용액과 인공 피부를 사용하여 기능성 AP 각인 바이오 소재의 AP 방출 특성 조사결과, NIR laser를 조사하였을 때, MEL 첨가 바이오 소재는 첨가하지 않은 바이오 소재보다 AP 방출율이 1.2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기능성 바이오 소재는 급성 진통 치료를 위한 바이오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655353990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553539905.pdf", "abstract_en": "To prepare acrylic resin coatings containing 70% of solids, we used n-butyl methacrylate(BMA), methyl methacrylate(MMA), 2-hydroxyethyl methacrylate(2-HEMA), and acetoacetoxyethyl acrylate(AAEA), caprolactone acrylate(CLA) as raw material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 ) of acrylic copolymer was adjusted around 50 ℃. The viscosity and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H values. Di-tert-amyl peroxide was found to be the suitable initiator to get high-solids acrylic resins.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found in the study are 5 wt% of initiator, 4 wt% of chain transfer agent, 4 hrs of dropping time, and 140 ℃ of reaction temperature. The structure of the synthesized resins were characterized by FT-IR and H-NMR spectroscopy.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900~2600 and molecular wight distribution of 1.4~2.1 wer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urethane clear coatings were obtained by curing reaction between the synthesized acrylic resins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r(Desmodur N-3300), the equivalent ratio of NCO/OH was 1.2/1.0. The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following studies were carried out: viscosity(Zahn cup #2), adhesion, drying time, pot-life, pensil hardness, and 60° specular gloss. Various properties of the acrylic urethane clear coatings were also evaluated on the coating specimens. Adhesion property to a substrate, drying time, pot-life, pencil hardness, and 60° specular gloss of prepared paint showed quite good properties. Futhermore, prepared paint containing 10% of CLA showed quite good properties for adhesion, low viscosity and high hardness.", "abstract": "고형분 70% 아크릴수지를 합성하기 위해 n-butyl methacrylate(BMA), methyl methacrylate(MMA), 2-hydroxyethyl methacrylate(2-HEMA) 및 acetoacetoxyethyl acrylate(AAEA)와 caprolactone acrylate(CLA)를 사용하여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 )를 50 ℃로 조정하여 합성하였으며, 합성한 아크릴수지의 점도와 분자량은 수산기가(OH values)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다. 높은 고형분의 아크릴수지 합성에 적합한 반응개시제는 di-tert-amyl peroxide 이었으며, 최적의 합성조건은 반응 개시제 5 wt%, 연쇄이동제 4 wt%, 반응온도 140 ℃에서 적하시간은 4시간이었다. 합성수지의 구조는 FT-IR과 H-NMR spectroscopy로 확인하였고, 수평균 분자량은 1900~2600, 분자량 분포도 1.4~2.1을 얻었다. 합성한 아크릴수지와 무황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r(Desmodur N-3300)의 NCO/OH 당량비를 1.2/1.0으로 조절하여 아크릴-우레탄 투명도료를 제조하였다. 도료의 물리적 특성으로 점도, 부착성, 건조시간, 가사시간, 연필경도 및 광택을 비교 검토한 결과 부착성, 건조시간, 가사시간, 연필경도 및 광택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CLA를 10 % 도입한 도료는 부착성이 우수하고 낮은 점도와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id": "JAKO20211655361594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55361594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ositively analyze the self-efficacy and the impact of self-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o help improve self-efficacy and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self-management of beauty professionals. The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elf-management, self-regulation, and challen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customer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customer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Was found to appear. Therefore, I hop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contribute to self-efficac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qualitative improvement in self-managemen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전문가의 자기관리가 자기효능감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관계를 살펴보고, 향후 뷰티 전문가들의 자기 관리를 통한 자기 효능감과 경영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위함이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하였고, 그 결과 자기관리와 자기조절감, 도전감 간 상호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기관리가 경영성과, 환경성과, 고객성과, 시장성과에 통계적 유의하게 정(+)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 환경성과, 고객성과, 시장성과에 통계적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기관리에 대한 질적 향상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경영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id": "JAKO20210676300200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2002.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design folk song metadata based on the OAIS reference model for the folk songs' preservation and permanent use. Thus, the folk song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researching literature and related technical standards. The type of records, the methods and standards for long-term storage of records, OAIS reference models, and each package's metadata elements were identified through opinions from the popular songs' creators and researchers. The results awere that first, folk songs were created for social transformation, serving as a cultural heritage different from popular songs given their noncommercial quality. Second, the types of folk song records were identified, and the long-term preserv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types of records was based on the OAIS reference model. Third, the metadata were edited, and the OIS reference model was applied such that respect was given to the folk songs' characteristics, context, and original order. Fourth and last, information package metadata elements matching the folk songs' records were derived and applied to the representative Korean folk song, \"The March for Being.\"", "abstract": "이 연구는 민중가요가 장기·영구적으로 보존되고 이용될 수 있도록 OAIS 참조모형에 기반한 민중가요 메타데이터 설계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과 관련 기술표준 등을 조사하여 민중가요의 일반적 성격을 파악하고 민중가요 창작자와 연구자의 의견을 받아 기록물의 유형, 기록물의 장기보존 방법 및 표준, OAIS 참조모형과 각 패키지에 구성되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1) 민중가요는 사회적 변혁을 위한 목적으로 창작되었고 비상업적 특성으로 상업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중가요와의 차이점을 지니는 문화유산이다. 2) 민중가요 기록물의 유형을 확인하고 그 기록물의 유형에 부합하는 장기보 존체계는 OAIS 참조모형을 토대로 하였다. 3) 민중가요 기록물의 특성과 맥락성, 원질서를 존중하는 방안으로 메타데이터를 편집하여 OAIS 참조모형을 적용하였다. 4) 민중가요 기록물에 부합하는 정보패키지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고, 이 요소들을 한국의 대표적인 민중가요인 '임을 위한 행진곡'에 적용하였다."} {"id": "JAKO20210676300197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1970.pdf", "abstract_en": "This study seek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and suggest improvements on records disclosure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7 record managers and 40 office staff in local governments. Existing records disclosures were also used as references for the discussion. With this, self-reliance efforts within local governments and active roles in centr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were propose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물 공개관리의 개념과 세부업무에 대해 이해하고, 관련 업무가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업무 담당자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기록물 공개관리와 관련한 시야를 넓히고 효율적으로 공개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설문조사, 심층면담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부산 지방자치단체 중 7개 기관의 기록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기록관의 기록물 공개관리 현황에 대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그 중 4개 기관의 처리과 업무담당자 총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처리과의 기록물 공개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처리과와 기록관에서 수행 중인 일련의 공개관리 업무의 현황과 그 속에서의 문제점을 밝혀내고, 지방자치단체 내에서의 자구적인 노력과 더불어 국가기록원의 실질적인 업무지원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0676300198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1987.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implementation plan for ensuring the digital continuity of university information resources that require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temporary and permanent records in digital transformation environments. Thus, the cases of The National Archives (TNA; United Kingdom)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NAA)'s digital continuity polici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drawing implications for ensuring universities' digital continuity. The process for ensuring digital continuity proposed by TNA was then applied to a university case for the proposal of an implementation plan applicable to university information resources.", "abstract": "이 연구는 기록관리 환경이 디지털 기반으로 변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대학 정보자원의 디지털 연속성 보장을 위한 실행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외 영국 TNA와 호주 NAA의 디지털 연속성 정책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대학의 디지털 연속성 보장을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대학은 디지털 연속성 보장을 위해 디지털 자원의 '자산(asset)'적 가치를 파악하고 이용가능성 보장을 위한 선행 분석과 대응(위험관리 등) 체계를 갖추며, 대학 전 영역에 걸친 협업 체계를 조성해야 한다. 또한 대학의 정보자원에 적용가능한 실행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영국 TNA에서 제시한 디지털 연속성 보장 프로세스 4단계를 대학 사례에 적용해보았다."} {"id": "JAKO20210676300197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1978.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vel of members'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Army within the institutional context extensively. According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stitutional systems that restricted the members' record management activitie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members were confused by the inconsistency among the systems that defined the work procedures, and that the value of responsibility and efficiency in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does not match the organization's goals. Therefore, the legal justification of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harmony with the responsibilities and efficiency and to match them with the organization's objectives. Moreover, the improved system should be internalized by the members through instructions that are relevant to the content of the system. This study intends to increase awareness in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improve the system as well.", "abstract": "군 기록관리는 꾸준한 양적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조직문화로 정착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는 조직에 기록관리제도 정착의 주요 한계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규율을 중시하는 조직 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구성원의 기록관리 인식의 원인을 제도적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구성원의 기록관리 행위를 제약하고 있는 관련 제도를 비교·분석한 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과 해석현상학적 분석기법(IPA)을 적용하여 제도의 내용, 권력관계, 조직특성, 구성원 인식을 주요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육군 구성원들은 업무수행절차를 규정하는 여러 제도 간의 비일관성으로 혼선을 느끼고 있으며 제도 및 조직에서 추구하는 책임성과 효율성의 가치가 조직목표와 제대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도의 법적 정당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의 필요가 있으며, 책임성과 효율성을 조직목표와 올바르게 연계하여 교육을 통해 구성원에게 내재화해야 함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록관리 인식개선 및 제도정착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0676300201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2012.pdf", "abstract_en":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s archives offer its collection of records about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through \"Open-Archives,\" allowing users to read and use them conveniently. One particular article aimed to promote an overall understanding of its photo database to offer more promising services through the \"Open-Archives.\" Similarly, many different archives hold photographic records, but they have difficulty releasing them to the public.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the case of Korea Democracy Foundation's project of building a photo database for Tony Chung in 2019-2020 to improve its establishment process, significance, and future tasks.", "abstract":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은 민주화운동 기록을 오픈아카이브를 통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열람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이 글은 오픈아카이브에 더욱 풍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사료관에서 진행한 사진DB구축사업의 사례를 설명하였다. 국내 다양한 아카이브가 사진 기록을 소장하고 있지만, 공개적으로 서비스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2019~2020년에 진행한 정태원 사진 DB구축사업의 과정과 의의, 앞으로의 과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id": "JAKO20210676300200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2007.pdf", "abstract_en": "In the era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today's record management environment is rapidly evolv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continuing education that allows archivists to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in the dynamic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nalyzed an archivist's work characteristics and proved the necessity of continuing education in a changing record management environment. Furthermore, the United States' continuing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United Kingdom's Archives and Records Association (ARA) we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s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iculum of continuing education locally and abroad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continuing education suitable for local records professionals.", "abstract": "오늘날의 기록관리 환경은 전자기록관리 시대를 맞이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기록전문직은 끊임없이 변화·발전하는 기록관리 환경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야 한다. 이에 따른 계속교육은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기록전문직의 전문성을 제고시킴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기록전문직이 계속교육을 통하여 습득한 최신지식과 경험은 또 다른 기록관리 이론과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 냄으로써 기록관리 문화에 선순환적 구조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변화하는 기록관리 환경에 따른 계속교육의 필요성을 정리하고, 기록전문직 계속교육 프로그램 및 개선방안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이후 사례분석을 통하여 미국과 영국의 기록 보존소 및 기록관리 협회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국내 기록전문직 계속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id": "JAKO20210983599087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875.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1700 V EPDT (Extended P+ shielding floating gate Double Trench) MOSFET structure, which has a smaller switching time and loss than CDT (Conventional Double Trench) MOSFET, is proposed. The proposed EPDT MOSFET structure extended the P+ shielding area of the source trench in the CDT MOSFET structure and divided the gate into N+ and floating P- polysilicon gate. By comparing the two structures through Sentaurus TCAD simulation, the on-resistance was almost unchanged, but Crss (Gate-Drain Capacitance) decreased by 32.54 % and 65.5 %, when 0 V and 7 V was applied to the gate respectively. Therefore, the switching time and loss were reduced by 45 %, 32.6 % respectively, which shows that switching performance was greatly improve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CDT(Conventional Double Trench) MOSFET보다 스위칭 시간과 손실이 적은 1700 V EPDT(Extended P+ shielding floating gate Double Trench) MOSFET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EPDT MOSFET 구조는 CDT MOSFET에서 소스 Trench의 P+ shielding 영역을 늘리고 게이트를 N+와 플로팅 P- 폴리실리콘 게이트로 나누었다. Sentaurus TCAD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 구조를 비교한 결과 온 저항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Crss(게이트-드레인 간 커패시턴스)는 게이트에 0 V 인가 시에는 CDT MOSFET 대비 32.54 % 줄었고 7 V 인가 시에는 65.5 %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스위칭 시간 및 손실은 각각 45 %, 32.6 % 줄어 스위칭 특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id": "JAKO202109835990969",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69.pdf", "abstract_en": "An Edwards curve cryptography (EdCC) core supporting point scalar multiplication (PSM) on Edwards curves of Edwards25519 and Edwards448 was designed. For area-efficient implementation, finite field multiplier based on word-based Montgomery multiplication algorithm was designed, and the extended twisted Edwards coordinates system was adopted to implement point operations without division operation.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EdCC core with 100 MHz clock, it was implemented with 24,073 equivalent gates and 11 kbits RAM, and the maximum operating frequency was estimated to be 285 MHz.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EdCC core can compute 299 and 66 PSMs per second on Edwards25519 and Edwards448 curv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ECC core with similar structure, the number of clock cycles required for 256-bit PSM was reduced by about 60%, resulting in 7.3 times improvement in computational performance.", "abstract": "에드워즈 곡선 Edwards25519와 Edwards448 상의 점 스칼라 곱셈(point scalar multiplication; PSM)을 지원하는 EdCC (Edwards curve cryptography) 코어를 설계하였다. 저면적 구현을 위해 워드 기반 몽고메리 곱셈 알고리듬을 기반으로 유한체 곱셈기를 설계하였으며, 나눗셈 연산 없이 점 연산을 구현하기 위해 확장 트위스티드 에드워즈 좌표계를 적용하였다. EdCC 코어를 100 MHz의 클록으로 합성한 결과, 24,073 등가 게이트와 11 kbit의 RAM으로 구현되었으며, 최대 동작 주파수는 285 MHz로 추정되었다. Edwards25519와 Edwards448 곡선 상의 PSM을 각각 초당 299회, 66회 연산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유사한 구조의 타원곡선 암호 코어에 비해 256 비트 PSM 연산에 소요되는 클록 사이클 수가 약 60 % 감소하여 연산 성능이 약 7.3 배 향상되었다."} {"id": "JAKO20210983599087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871.pdf", "abstract_en": "This paper presents a hardware that improves the complexity of the CIE1931 color coordinate algorithm operation. The conventional algorithm has disadvantage of growing hardware due to 4-Split Multiply operations used to calculate large bits in the computation process. But the proposed algorithm pre-calculates the defined R2X, X2R Matrix operations of the conventional algorithm and makes them a matrix. By applying the matrix to the images and improving the col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mputation and hardware size. By comparing the results of Xilinx synthesis of hardware designed with Verilog, we can check the performance for real-time processing in 4K environments with reduced hardware resources. Furthermore, this paper validates the hardware mount behavior by presenting the execution results of the FPGA boar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기존 CIE1931 색 좌표계를 이용한 색상 보정 연산의 복잡성을 개선한 하드웨어를 제안한다. 기존 알고리즘은 연산 과정에서 큰 비트 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4-Split Multiply 연산으로 인해 하드웨어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의 정의된 R2X, X2R 연산을 미리 계산하여 하나의 행렬로 만들어 영상에 적용함으로써 연산량 감소와 하드웨어 크기 감소가 가능하다. Verilog로 설계된 하드웨어의 Xilinx 합성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하드웨어 자원 감소와 4K 환경 실시간 처리를 위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FPGA 보드에서의 실행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하드웨어 탑재 동작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0676300196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1965.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urt ruling on \"Inter-Korean Summit Meeting Minutes Deletion,\" identify how the established requirements, concept, and scope for the records prescribed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re applied in actual cases, and summarize the future tasks. It analyzes the \"approval theory\" as the point of establishment for records by the ruling means and how the meaning of approval is determined, and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jiwon System and the On-Nara System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ruling clearly. Moreover, it analyzes how the \"Invalidity of Public Documents Crime\" in Article 141 in the Criminal Act influences record management. Based on such comprehensive case analyses, the study proposes what tasks the administrative agencies such a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should perform.", "abstract": "본 연구는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삭제' 사건에 대한 법원의 판결문을 분석하여, 기록의 성립요건, 개념, 범위 등이 재판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판결에서 기록의 성립 시점으로 밝히고 있는 '결재설'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결재의 의미를 어떻게 판단했는지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기록의 성립 시점이 공공기록 관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판결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e지원시스템과 온나라 시스템을 차이점도 분석하였다. 또 형법 제141조 '공용전자기록등 손상죄'가 기록관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러한 종합적인 판례 분석을 토대로 국가기록원, 행정안전부 등 행정기관이 어떤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지 제안한다. 먼저 기록의 성립과 관련해 기록의 개념을 분화해서 명확히 사용해야 함을 주장한다. 판례로 형성된 기록의 생산시점인 '결재'에 대해서도 행정협업 및 효율에 관한 규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명확히 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또한 행정정보데이터세트 등 새로운 유형의 기록에 대한 성립요건 등을 결정하는 일도 시급하다고 보았다."} {"id": "JAKO20210676300196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1960.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explore alternative strategies for the archival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in response to changing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s. It found implications in the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 for overseas archival professional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Korean archival professional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archival graduate schools' general status and the instructors' research performance, the study confirmed that many instructors have low academic interest in archival studies and the gap between schools was significant. Based on this, interviews with professors and experts were conducted to gather opinions on improving the archival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In conclusion, the study presents prerequisite tasks of organizing an archival community governance system and securing self-regulatory power. Moreover, it proposes innovative measures for the archival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with three major tasks: creating graduate education guidelines, establishing a continuing and deepening education system, and transform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bstract": "본 연구는 변화하는 기록관리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제도 혁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해외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자격제도를 통해 시사점을 찾고, 우리나라 기록관리 전문직 자격제도와 비교 분석했다. 또한, 국내 기록관리학 대학원의 일반 현황과 교원의 연구실적을 분석하여, 상당수 교원들이 기록관리학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낮으며 학교별 격차가 상당한 점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연구자와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결론에 갈음하며, 본 연구는 기록공동체 거버넌스 체계 구성과 자율규제력 확보라는 선행과제를 제시하고, 대학원 교육 가이드라인 제정, 계속-심화교육체계 수립, 교육원의 발전적 전환을 3대 과제로 하는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제도 혁신방안을 제안한다."} {"id": "JAKO20210983599092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25.pdf", "abstract_en": "If we know the location of the hull block and the welding feeder in the shipyard, we can easily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That data is very useful for implementing a workplace safety monitoring syst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a fixed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workplace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hull structure and welding process. In this study, inductive power line communication, which can replace dedicated communication line, was reviewed. A ferrite core was used as an inductive coupler to be installed on the power cable of the welding machine, and a nano-crystalline core was applied as a coupler to be fastened to the support rod of the metal block. In order to visualize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oposed couplers, 3D modeling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COMSOL AC/DC module. In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test using an aluminum profile,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was formed by the contact of the welding electrode, the bandwidth was kept above 6 Mbps.", "abstract": "조선소에서 선체 블록과 용접 피더의 위치를 알면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작업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선체 구조와 용접 공정의 특수성 때문에 작업장에 고정 통신망을 적용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전용 통신선을 대신할 수 있는 유도 전력선 통신을 선체블록과 같은 금속매체에 적용하는 기술을 검토하였다. 용접기의 전원 케이블에 설치할 유도 결합기로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였고, 금속 블록의 지지대에 체결할 결합기로 나노 결정질 코어를 적용하였다. 제안된 커플러는 COMSOL AC/DC 모듈로 3차원 모델링 하였고 동작 원리를 시각화하기 위하여 유한 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사용한 금속블록 통신 성능 테스트에서 용접 전극의 블록 접촉으로 통신 채널이 형성되었을 때 대역폭은 6 Mbps 이상 유지되었다."} {"id": "JAKO202109835990929",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29.pdf", "abstract_en": "This paper proposes a parallel control method of a modular DC/DC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EV) chargers. The EV chargers have been increasing the power capacity using modular converters. There are output current imbalances between the modules, which ar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he impedance, delay of the gate driver, and error of the sensors. The conventional strategies for the equal distribution of the output current cause the voltage drop or the high volume and cost of the converters. Therefore, the proposed parallel control strategy effectively balances the output current of modules using a current compensation method. The proposed strategy is verified by simulations. Additional experimental results will be added under various condition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전기차 충전기용 모듈형 DC/DC 컨버터의 병렬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모듈형 컨버터를 적용하여 출력 전력 용량이 증가되고 있지만, 모듈간 구성 요소의 차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지연, 센싱 오차 등에 의해 출력 전류 불균형이 발생하며, 이는 전체 시스템의 효율 및 신뢰성 저하를 야기한다. 출력 전류 균등 분배를 위한 기존의 기법들은 전압 강하 또는 시스템 부피 및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전류 보상 성분을 고려한 병렬 제어 기법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하드웨어 변동없이 출력 전류 균등 분배를 달성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병렬 제어 기법의 성능 및 타당성을 검증한다."} {"id": "JAKO20210983599092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20.pdf", "abstract_en": "Public-key cryptographic algorithms such as RSA and ECC, which are currently in use, have used mathematical problems that would take a long time to calculate with current computers for encryption. But those algorithms can be easily broken by the Shor algorithm using the quantum computer. Lattice-based cryptography is proposed as new public-key encryption for the post-quantum era. This cryptographic algorithm is performed in the Polynomial Ring, and polynomial multiplication requires the most processing time. Therefore, a hardware model module is needed to calculate polynomial multiplication faster. Number Theoretic Transform, which called NTT, is the FFT performed in the finite field. The logic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HDL, and the proposed design at the transistor level using Hspice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see how much improvement in delay time and power consumption was achieved. In the proposed design, the average delay was improved by 30% and the power consumption was reduced by more than 8%.", "abstract": "현재 사용되고 있는 RSA, ECC와 같은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소인수분해와 같은 현재의 컴퓨터로 계산이 오래 걸리는 수학적 문제를 암호화에 사용했다. 그러나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된다면 Shor Algorithm에 의해 기존의 암호화 시스템은 쉽게 깨질 수 있다. 그로 인해 Quantum-resistant 한 암호화 알고리즘의 도입이 필요해졌고, 그중 하나로 Lattice-based Cryptography가 제안되고 있다. 이 암호화 알고리즘은 Polynomial Ring에서 연산이 행해지고, 그중 Polynomial Multiplication이 가장 큰 연산 시간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다항식 곱셈 계산을 빠르게 하는 하드웨어 모듈이 필요하고, 그중 Finite Field에서 연산 되는 FFT인 Number Theoretic Transform을 이용해서 다항식 곱셈을 계산하는 8-point NTT-based Polynomial Multiplier 모듈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했다. HDL을 사용하여 로직검증을 수행하였고, Hspice를 사용하여 트랜지스터 수준에서 제안된 설계가 지연시간과 전력소모에서 얼마나 개선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된 설계에서 평균 지연속도 30%의 개선과 8% 이상의 전력소모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id": "JAKO202109835990904",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04.pdf", "abstract_en": "We demonstrate an effect of annealing temperature on imprinting process of BiLaO thin film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BiLaO prepared sol-gel process was deposited by spin coating on a glass substrate, and then transferred to a pre-fabricated aligned pattern which is fabricated on a silicon wafer by laser interference lithography. Thin film was annealed at different temperature of 100, 150, 200, and 250 ℃. From the polarized optical microscopy analysis, the liquid crystal orientation was not uniform at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200 ℃ or lower and the uniform liquid crystal alignment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at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250 ℃. From atomic force microscopy, the pattern was not transferred at a temperature of 200 ℃ or lower. In contrast, the pattern was transferred at 250 ℃. Anisotropy of the thin film was obtained by the alignment pattern transferred at a temperature of 250 ℃, and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could be evenly oriented on the thin film.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process by the imprinting process of the BiLaO oxide film was affected by the annealing temperature.", "abstract": "정렬 패턴을 전사공정을 이용하여 BiLaO 박막 위에 패터닝하고 소성온도에 따른 액정 배향 특성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졸겔 공정을 제작한 BiLaO 은 유리 기판 위에 스핀코팅으로 증착한 후 미리 제작된 정렬패턴을 전사하여 100, 150, 200, 250 ℃ 의 온도에서 소성하였다. POM분석으로부터 200℃ 이하의 소성온도에서 액정배향은 균일하지 않았고, 250 ℃의 소성온도에서 균일한 액정 배향 특성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결정 회절 법 분석으로 부터도 확인 가능하였다. 전사 공정 시 250 ℃의 온도에서 패턴이 전사되었음을 Atomic force microscopy 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250 ℃의 온도에서 전사된 정렬 패턴에 의하여 박막의 이방성을 획득 하였고 이방성 박막 위에서 액정 분자들이 고르게 배향 될 수 있었다. 따라서 BiLaO 산화막의 전사에 의한 액정 배향 공정은 소성온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d": "JAKO20210983599090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08.pdf", "abstract_en": "In this work, we consider the fabrication method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which use titanium (Ti) metal thin films to replace expensive fluorine tin oxide (FTO) electrodes. The thickness of the Ti thin film was changed by adjusting the deposition time of the Ti, and the surface resistance decreased as the thickness of the Ti thin film became thicker. The thickness of the Ti thin film was shown to be similar to 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FTO thin film at approximately 190nm and the DSSC with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250nm showed the highest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4.24%.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was confirmed by fabricating and evaluating the DSSC modul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티타늄(Ti) 금속 박막을 사용해서 값비싼 산화주석(FTO) 전극을 대체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의 제작 방법과 전기적 특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Ti 박막의 증착 시간을 조절하여 박막의 두께를 변화시켰으며, Ti 박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표면저항은 감소하였다. 대략 190nm 두께에서 FTO 박막의 표면저항과 비슷해짐을 알 수 있었으며, 250nm 두께에서 DSSC의 에너지 변환효율 4.24%로 가장 높았다. 더 나아가 DSSC 모듈을 제작해 평가함으로써 상용화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983599091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16.pdf", "abstract_en": "In harsh environments such as fog or fine dust, the cameras' detection ability for object recognition may significantly decrease. In order to accurately obtain important information even in bad weather, fog removal algorithms are necessarily requir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such as computer vision/data-based fog removal technology. In those techniques, estimating the amount of fog through the input image's depth information is an important procedure. In this paper, a linear model is presen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mage dark channel dictionary, saturation ∗ value, and sharpness characteristics are linearly related to depth in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of haze removal through a linear model shows the superiority of algorithm performance in quantitative numerical evaluation.", "abstract": "자율주행 및 인공지능 CCTV는 안개와 같은 악조건 상황에서 주변의 사물과 사람인식에 대한 카메라의 가시성 및 검출 능력이 저하된다. 이러한 악조건 상황에서도 중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얻기 위해서 안개 제거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안개 제거 기술은 컴퓨터 비전/ 데이터 기반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안개 제거 기술 중에서 입력영상에 대한 깊이 정보를 통한 안개 전달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특징 DCP, saturation∗value, sharpness가 깊이정보와 선형관계에 있다는 가정을 통해 선형모델을 제시한다. 제안한 선형모델을 통한 안개제거방법은 기존의 방법들과 정량적 수치평가에서 평균적으로 10%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며 알고리즘의 성능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id": "JAKO20210983599093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37.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simultaneous control which improve in transient state performance of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through simultaneous control of PLC and inverter. In conventional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it is controlled only by PLC, and it is more likely to generate over-currents in induction motors, and the ride comfort is reduced due to wear and damage caused by friction on the brake pads, and the life is shortened. To improve this problems the application of control techniques through simultaneous control of PLC and inverter prevents over-currents in induction motors, protects brake pads, improves ride comfort, increases control and ensures safety. We verify its validity by applying the proposed control method via simultaneous control of PLC and inverter to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과도 상태 성능 향상이 있는 PLC와 인버터의 동시 제어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기계식 주차설비에서는 PLC만을 활용한 제어 방식이어서 유도전동기에 과전류를 발생시킬 확률이 높고, 브레이크 패드에 마찰로 인한 마모와 손상으로 승차감이 낮아지고, 수명이 단축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PLC와 인버터의 동시 제어를 통한 제어 기법을 적용한 경우 유도전동기에 과전류를 방지하며 브레이크 패드를 보호하고, 승차감 향상, 제어성 상승과 안전성을 확보한다. 제안한 PLC와 인버터의 동시 제어를 통한 제어 방식을 기계식 주차설비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한다."} {"id": "JAKO202109835990933",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3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the fine dust detecting terminal which can transmit data in real time was developed. The terminal used a wide spreading LTE network and was powered by solarcell and battery for easy installation and independent operation, because it did not need the wired power grid or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data showed the possibility of forecasting fine dust changes by analyzing with the data from public meteorologic data. The developed terminal will be helpful for predicting and analyse fine dust's more precise flow and effect on environment with an easy installation on any place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환경문제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측정 단말기를 개발하였다. 단말기는 설치가 쉽도록 외부와의 데이터 연결은 전국에 퍼져 있는 LTE 망을 사용하도록 하였고 전원은 태양전지와 충전지를 사용하여 유선 전력망에 연결될 필요없이 지속 가능한 독립적인 형태로 개발하였다.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공공 기관에서 제공하는 기상 데이터와 조합하여 미세먼지의 추세를 예측을 할 수 있음을 보였다. 개발된 단말기는 임의의 지역에서 간단한 설치 작업만으로 미세 먼지 측정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향후 미세먼지의 보다 정확한 흐름과 영향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id": "JAKO20211235451431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54514317.pdf", "abstract_en":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zirconia on osseointegration and Surface appearance by surface treatments using various acid solu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pared zirconia disks were treated with hydrofluoric acid solution and photo-assisted etching under various condition. The surface was analyzed by SEM and the surface roughness was analyzed by using surface profiler. The osteogenic effect of MC3T3-E1 cells was assessed via fluorescent staining observation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Various roughness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surface treatment method.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hydrofluoric acid solution, but that had week network structure. In the method using photo-assisted etching,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d in micro units. Cell reaction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photo-assisted etching group than in the hydrofluoric acid-treated group (P < 0.05). And it showed even osteoblastic cell distribution in photo-assisted etching group. Conclusion: As a result, the photo-assisted etch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simple acid solution treatment for zirconia treatment for osseointegration.", "abstract": "목적: 본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산용액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의 표면을 처리하여 표면의 양상과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준비된 지르코니아 디스크에 다양한 산용액 및 광촉매 산부식을 이용하여 표면을 처리하였다. 각 시편을 SEM으로 관찰하고, 골유착을 관찰하기 위해 MC3T3E-1 세포를 이용하여 형광염색과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처리한 방법에 따라 다양한 거칠기를 보였다. 불산처리군은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하였으나 약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골유착능에서는 광촉매 산부식을 시행한 군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P < 0.05). 결론: 지르코니아를 광촉매 산부식방법으로 처리할 경우 다른 산처리방법에 비해 골유착능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235451431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54514312.pdf", "abstract_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rface polishing and fabrication method on the flexural strength of temporary restorative resin. Materials and Methods: Each of four fabrication methods was used to make 30 temporary restorative resin specimens and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polished by mechanical polishing. Specimens were stored in 37℃ thermostat for 24 hours. Flexural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with Two-way ANOVA, Tukey's HSD 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CAD/CAM milling group showed the highest flexural strength regardless of surface polishing. In decreasing order,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other fabrication method group was as follows SLA 3D printing, DLP 3D printing, and Conventional method group. Conclusion: Surface polishing did not affect flexural strength of the temporary restorative resin (P > 0.05).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exural strength depending on fabrication method (P < 0.05).", "abstract": "목적: 표면연마와 제작방법이 임시 수복용 레진의 굽힘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가지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30개의 임시 수복용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기계적 연마로 표면연마를 시행한 그룹과 연마를 시행하지 않은 2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시편은 37℃ 항온기에 24시간 보관 후 만능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3점 굽힘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Two-way ANOVA와 Tukey's HSD 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표면연마 여부와 관계없이 CAD/CAM milling으로 제작한 시편이 가장 높은 굽힘강도를 나타냈고, SLA 3D printing, DLP 3D printing, Conventional method 순으로 높은 굽힘강도를 나타냈다. 결론: 표면연마는 임시 수복용 레진의 굽힘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못했지만(P > 0.05), 제작방법에 의해서는 굽힘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05)."} {"id": "JAKO20211235451433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54514332.pdf", "abstract_en": "Patients who have extruded anterior teeth and deep bite with pathologic tooth migration, it is necessary not only periodontal treatment for reduce inflammation, but also orthodontic treatment for intrusion of anterior teeth. However, it is difficult to place the orthodontic brackets due to the deep bi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rusion of the posterior teeth occurs more easily than the intrusion of the anterior teeth biomechanically. In particular, in patients with long face, relative intrusion of the anterior teeth by extrusion of the posterior teeth causes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le and makes the facial profile worse. Therefore the biomechanical consideration and appliance design that can block these problems are required from the treatment plan. This is a patient who had a deep overbite with extruded anterior teeth, treated by periodontal treatment and intrusion of mandibular anterior teeth using cute brackes and miniscrews, and resulted in favorable maintenance during 8-year retention.", "abstract": "치아의 병적 이동으로 전치가 정출되고 수직 피개가 깊은 치주염 환자에서는 치주 염증 치료와 더불어 정출된 전치의 위치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깊은 수직 피개로 교정 장치 부착이 어렵고, 역학적으로 전치 압하보다 구치 정출이 더욱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골격적 장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구치 정출을 통한 상대적 전치 압하는 안모의 악화를 야기하므로, 치료 계획에서부터 이를 차단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가 정출되어 과개 교합을 보이는 치주염 환자에서, 철저한 치주 치료와 하악 전치에 부착한 cute bracket과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고정원 보강으로 하악 전치의 양호한 압하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8년간 경과 관찰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id": "JAKO20211235451432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54514326.pdf", "abstract_en":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if metal framework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fabricated by selective laser melting, various laboratory works are omitted, saving time and simplifying the process. In addition, metal framework with homogeneous density can be obtained, expect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especially resistance to fatigue fracture. In these cases, impression were taken using conventional methods in partial edentulous patients, master casts were fabricated and scanned to obtain digital data. After designing the metal frameworks on the scanned data, removable partial dentures were fabricated using selective laser melting methods. Through these procedure, satisfactory outcomes were achieved both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abstract": "의치의 금속구조물을 selective laser melting을 통하여 제작하는 경우 기존의 제작 방식에 비해 여러 기공 과정이 생략되어 시간이 절약되고 간편해진다. 또한 균질한 밀도의 금속구조물을 얻을 수 있어 우수한 기계적 성질, 특히 피로 파절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기존의 방식으로 최종인상을 채득하여 주모형을 제작하였고 이를 스캔하여 데이터화 하였다. 스캔 데이터 상에서 금속구조물을 디자인한 뒤 selective laser melting 방식으로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으며 기능적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id": "JAKO20211235451430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54514307.pdf", "abstract_en": "Additive manufacturing (AM) for dental materials can produce more complex forms than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s. Compared to milling processing, AM consumes less equipment and materials, making sustainability an advantage. AM can be categorized into 7 types. Polymers made by vat polymerization are the most suitable material for AM due to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and internal fit compared to conventional self-polymerizing methods. However, polymers are mainly used as provisional restoration due to their relatively low mechanical strength. Metal AM uses powder bed fusion methods and has higher fracture toughness and density than castings, but has higher residual stress, which requires research on post-processing methods to remove them. AM for ceramic use vat polymerization of materials mixed with ceramic powder and resin polymer. The ceramic materials for AM needs complex post-processing such as debinding of polymer and sintering. The low mechanical strength and volumetric accuracy of the products made by AM must be improved to be commercialized. AM requires more research to find the most suitable fabrication process conditions, as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urface of any material will vary depending on the processing condition.", "abstract": "치과용 재료의 적층가공제작은 기존 제작방식에 비해 복잡한 형태까지 제작할 수 있으며 절삭가공에 비해서도 기구나 재료의 소모가 적어 지속가능성이 장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적층가공 제작은 7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폴리머는 적층가공에 가장 적합한 재료로 용기중합방식으로 제작하며 기존 자가중합방식에 비해 높은 물성과 적합도를 가져 상용화에 더 적합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로 인해 임시수복물로 주로 이용된다. 금속은 PBF (powder bed fusion) 방식을 주로 이용하며 주조방식에 비해 파괴인성과 밀도가 높지만 잔류응력이 높아 이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세라믹은 분말과 레진폴리머를 혼합한 재료를 용기중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제작 후 폴리머제거나 소결과 같은 후처리 과정이 복잡하다. 상용화되려면 세라믹 적층가공에 의한 결과물의 낮은 강도와 체적정확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적층가공은 어떤 재료이건 공정조건에 따라 물성과 표면환경이 달라지므로 가장 적합한 공정조건을 찾기 위한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d": "JAKO20211235451432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54514321.pdf", "abstract_e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heme on periodontopathogens.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7 types of anaerobic bacteria present in the periodontal pocket. The bacteria were cultured using suitable medium in an anaerobic condition with or without hemin, and the growth of the bacteria was measured every 6 hours by a spectrophotometer. Results: the growth of Porphyromonas gingivalis was different only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hemin. The growth of other periodontopathogens except Treponema denticola was different in a hem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growth of T. denticola was interfered by hemin. Conclusion: Heme may be a factor that leads dysbiosis in the microbial ecosystem of the subgingival plaque and thereby promote a periodontitis-causing environment.", "abstract":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치주병원균에 대한 헴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치주낭에 존재하는 7종의 혐기성세균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균을 혐기환경에서 배지를 이용하여 hemin의 있고 없음으로 하여 배양을 하였다. 세균의 성장은 매 6시간마다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헤민의 존재여부에 따른 성장의 차이는 Porphyromonas gingivalis에서만 관찰되었다. Treponema denticola를 제외한 치주병원균의 성장은 헤민의 농도에 의존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T. denticola의 성장은 헤민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 결론: 헴은 치은연하 치태의 미생물 생태계에서 미생물분포의 불균형을 유도하여 치주염을 유발하는 환경을 조장할 것이다."} {"id": "JAKO20210983599096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65.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tructure of ESD protection device that achieves improv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rough structural change of LVTSCR, which is a general ESD protection device. In addition, it applies N-Stack technology for optimized design in the ESD Design Window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application. The N-Well area additionally inserted in the existing LVTSCR structure provides an additional ESD discharge path by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anode, which improves on-resistance and temperatur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hort trigger path has a lower trigger voltage than the existing LVTSCR, so it has excellent snapback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ynopsys' T-CAD Simulator was used to verify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ESD protection devic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ESD 보호소자인 LVTSCR의 구조적 변경을 통해 향상된 전기적 특성을 달성한 새로운 구조의 ESD 보호소자를 제안한다. 또한 요구되는 전압 Application에 따른 ESD Design Window에 최적화된 설계를 위하여 N-Stack 기술을 적용한다. 기존의 LVTSCR 구조에 추가로 삽입된 N-Well 영역은 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추가적인 ESD 방전경로를 제공하고 이는 온-저항 및 온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짧은 Trigger 경로는 기존의 LVTSCR보다 더 낮은 Trigger Voltage 가지므로 우수한 Snapback 특성을 지닌다. 그리고 제안된 ESD 보호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Synopsys 사의 T-CAD Simulator을 이용하였다."} {"id": "JAKO20210983599096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60.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gital transceiver unit design for in-building of 5G optical repeaters that extends the coverage of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and connects to a stable wireless network in a building. The digital transceiver unit for driving the proposed 5G optical repeater is composed of 4 blocks: a signal processing unit, an RF transceiver unit, an optical input/output unit, and a clock generation unit. The signal processing unit plays an important role, such as a combination of a basic operation of the CPRI interface, a 4-channel antenna signal, and response to external control commands. It also transmits and receives high-quality IQ data through the JESD204B interface. CFR and DPD blocks operate to protect the power amplifier. The RF transmitter/receiver converts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to AD,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through the JESD204B interface, and DA converts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to the JESD204B interface and transmits the RF signal to the antenna. The optical input/output unit converts an electric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it, and converts the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and receives it. The clock generator suppresses jitter of the synchronous clock supplied from the CPRI interface of the optical input/output unit, and supplies a stable synchronous clock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RF transceiver. Before CPRI connection, a local clock is supplied to operate in a CPRI connection ready state. XCZU9CG-2FFVC900I of Xilinx's MPSoC series was us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digital transceiver unit for driving the 5G optical repeater proposed in this paper, and Vivado 2018.3 was used as the design tool. The 5G optical repeater digital transceiver unit proposed in this paper converts the 5G RF signal input to the ADC into digital and transmits it to the JIG through CPRI and outputs the downlink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JIG through the CPRI to the DAC.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flatness, Return Loss, Channel Power, ACLR, EVM, Frequency Error, etc. exceeded the target set valu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빌딩내에서의 안정적인 무선 네트워크 연결해 주는 5G 광중계기의 인빌딩용 디지털 송수신 유닛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5G 광중계기 구동을 위한 디지털 송수신 유닛은 신호처리부, RF 송수신부, 광입출력부, 클록발생부 등의 4개 블록으로 구성된다. 신호처리부는 CPRI 인터페이스의 기본 동작과 4채널 안테나 신호의 조합 및 외부에서의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 JESD204B 인터페이스로 고품질의 IQ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파워 앰프를 보호하기 위해 CFR, DPD 블록이 동작한다. RF 송수신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AD 변환하여 JESD204B 인터페이스로 신호처리부에 전달되고, 신호처리부에서 JESD204B 인터페이스로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DA 변환하여 안테나로 RF 신호를 송신한다. 광입출력부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수신한다. 클록발생부는 광입출력부의 CPRI 인터페이스에서 공급되는 동기 클록의 지터(Jitter)를 억제하고, 신호처리부와 RF 송수신부에 안정적인 동기 클록을 공급한다. CPRI 연결전에는 로컬 클록을 공급하여 CPRI 연결 준비 상태로 동작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5G 광중계기 구동을 위한 디지털 송수신 유닛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Xilinx 사의 MPSoC 계열의 XCZU9CG-2FFVC900I를 사용하였고 설계 툴은 Vivado 2018.3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5G 광중계기 디지털 송수신 유닛이 ADC로 입력되는 5G RF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CPRI를 통해 JIG로 전달하는 Uplink 동작과 JIG로부터 CPRI를 통해 전달받은 Downlink 데이터 신호를 DAC로 출력하는 기능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평탄도, Return Loss, Channel Power, ACLR, EVM, Frequency Error 등이 목표로 한 설정 값 이상의 성능이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d": "JAKO20210983599095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56.pdf", "abstract_en": "As robot technology advances, research on the driving system of mobile robots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he driving system of a mobile robot configured based on two-wheels and four-wheels has an advantage in unidirectional driving such as a straight line, but has disadvantages in turning direction and rotating in place. A ball robot using a ball as a wheel has an advantage in omnidirectional movement, but due to its structurally unstable characteristics, balancing control to maintain attitude and driving control for movement are required. By estimating the position from an encoder attached to the motor, conventional ball robots have a limitation, which causes the accumulation of errors during driving control. In this study, a driving control system was proposed that estimat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a ball robot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uses it for driving control. A driv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ball robot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hrough the driving control experiment applying the driving control system of the ball robo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ll robot was controlled within the error range of ±50.3mm in the x-axis direction and ±53.9mm in the y-axis direction without accumulating errors.", "abstract": "로봇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 로봇의 주행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륜 및 4륜의 휠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로봇의 주행 시스템은 직선과 같은 단반향 주행에 장점이 있으나 방향 전환 및 제자리 회전에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볼을 휠로 사용하는 볼 로봇은 전방향 이동에 장점이 있으나, 구조적인 불안정한 특성에 의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자세 제어 및 이동을 위한 주행 제어가 요구된다. 기존의 볼 로봇은 모터에 부착된 엔코더를 이용하여 주행제어를 위한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오차가 누적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처리를 통해 볼 로봇의 위치 좌표를 추정하고, 이를 주행 제어에 사용하는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볼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영상처리부, 통신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볼 로봇의 주행 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고,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볼 로봇의 주행 실험을 통해 x축 방향 ±50.3mm 및 y축 방향 ±53.9mm의 오차범위 이내에서 오차의 누적 없이 제어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983599095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51.pdf", "abstract_en": "This paper introduces an image decomposition-based deep learning method and loss function to improve low-light images. In order to remove color distortion and halo artifact, illuminance channel of an input image is decomposed into reflectance and luminance channels, and a decomposition-based multiple structural deep learning process is applied to each channel. In addition, a mixed norm-based loss function is described to increase the stability and remove blurring in reconstructed imag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improve various low-light image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저조도 영상을 개선하기 위한 영상 분해 기반 심층 학습 방법 및 분해 채널 특성에 따른 손실함수를 제안한다. 기존 기법들의 문제점인 색신호 왜곡 및 할로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입력 영상의 휘도 채널을 반사 성분과 조도 성분으로 분해하고, 반사 성분, 조도 성분 및 색차 신호를 신호 특성에 적합한 심층학습 과정을 적용하는 분해 기반 다중 구조 심층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더불어, 분해 채널들의 특성에 따른 혼합 놈 기반의 손실함수를 정의하여 복원 영상의 안정성을 증대하고 열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방법이 다양한 저조도 영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09835990999",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99.pdf", "abstract_en": "NPU in an embedded environment performs deep learning algorithms with few hardware resources. By using a technique that reuses data, deep learning algorithms can be efficiently computed with fewer resources. In previous studies, data is reused using a shifter in ScratchPad for data reuse. However, as the ScratchPad's bandwidth increases, the shifter also consumes a lot of resources. Therefore, we present a data reuse technique using the Buffer Round Robin method. By using the Buffer Round Robin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the chip area could be reduced by about 4.7%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abstract": "임베디드 환경에서의 NPU는 적은 하드웨어 자원으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데이터를 재사용하는 기법을 활용하면 적은 자원으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효율적으로 연산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데이터 재사용을 위해 ScratchPad에서 shifter를 사용해 데이터를 재사용한다. 하지만 ScratchPad의 Bandwidth가 커짐에 따라 shifter 역시 많은 자원을 소모한다. 따라서 Buffer Round Robin방식을 사용한 데이터 재사용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Buffer Round Robin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약 4.7%의 Chip Area를 줄일 수 있었다."} {"id": "JAKO20210983599099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95.pdf", "abstract_en": "This paper presents the high-efficiency DC-DC converter using the multi-resonant-circuit. The proposed converter has the power topology of half-bridge and utilizes the multi-resonant-circuit that is composed of 2 inductors (LL) and 1 capacitor (C) to achieve high-efficiency. The multi-resonant-circuit forms each resonant circuit of series circuit type with each resona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s. This paper first describes the operation pirinciples of proposed converter by the operation modes and steady-state fundamental approximation modelling. Then it shows a design example of the proposed converter based on the principles. And it is validated that the proposed converter has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high-efficiency DC-DC power conversion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prototype converter implemented by the designed circuit parameter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다중공진회로를 이용한 고효율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컨버터는 하프브리지 전력구조이며 컨버터의 고효율화를 위해 2개의 인덕터(LL)와 1개의 커패시터(C)로 구성된 다중공진회로를 이용한다. 이 다중공진회로는 동작모드에 따라, 각각의 공진주파수를 가진 직렬회로 형태의 공진회로를 각각 형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동작모드와 정상상태 기본파 근사 모델링에 의해 제안한 컨버터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그다음 이에 근거하여 제안한 컨버터의 설계예시를 보인다. 그리고 설계된 회로 파라미터에 의해 제작된 프로토타입 컨버터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컨버터의 고효율 DC-DC 전력변환 동작특성을 입증한다."} {"id": "JAKO20210983599094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46.pdf", "abstract_en": "We propose a Ku-band three-stack CMOS power amplifier to enhance the output power and efficiency. To minimize the dc power consumption, the driver stage is designed using common-source structure. To obtain high output power and utilize a voltage combining method, the power stage is designed using stack structure. To verify the proposed power amplifier structure, we design a Ku-band power amplifier using 65-nm RFCMOS process which provide nine metal layers. The P1dB, power-added efficiency, and gain are higher than 20 dBm, 23 dB, and 25%, respectively, while the operating frequency is 14 GHz-16 GHz.",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높은 출력 전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력 증폭기 구조를 제안하였다.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동 증폭단은 공통-소스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높은 출력 전력 확보를 위하여 전력 증폭단은 스택 구조를 적용하였다. 제안하는 구조의 검증을 위하여 아홉 개의 금속층을 제공하는 65-nm RFCMOS 공정을 이용하여 Ku 대역 전력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동작 주파수 14 GHz에서 16 GHz 일 때, P1dB, power-added efficiency 및 전력 이득은 각각 20 dBm 이상, 23 dB 이상 및 25% 이상으로 확인 되었다."} {"id": "JAKO20210983599094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42.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the surface of electrodes used in solar cells was roughened using wet etching method among surface texturing method, and after surface treatment, dye sensitive solar cell using TiO2 oxide semiconductor was produced. The surface spectroscopic properties of surface treated electrod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tching time, and by evaluating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iO2 dye-sensitized solar cells produced according to etching time, the study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olar cells according to surface treatment was conducted. As a result, solar cells that etched the electrode surface for 10 minutes could see an improvement of about 27.46[%] over their existing efficiency.",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표면 Texturing 방법 중 습식 에칭법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였고, 표면 처리 후 TiO2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염료 감응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표면 처리된 전극을 에칭 시간에 따른 분광특성을 측정 분석하였으며, 에칭 시간에 따라 제작한 TiO2 염료 감응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표면 처리에 따른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전극 표면을 10분간 에칭 처리한 태양전지의 경우 기존 효율과 비교하였을 때, 약 27.46[%]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0983599098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87.pdf", "abstract_en": "This paper proposes a Self-Reset Zero-Current Switching (ZCS) Circuit for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The Self-Reset ZCS circuit minimizes the operating current consumed by the voltage comparator, thereby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nergy harvesting circuit and improves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by adding the self-reset function to the comparator. The Self-Reset ZCS circuit shows 3.4% of improvement in energy efficiency compared to the energy harvesting system with the conventional analog comparator ZCS for the output/input voltage ratio of 5.5 as a result of circuit simulation. The proposed circuit is useful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wearable and bio-health-related harvesting circuits, where low-power and energy-efficient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is neede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열전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자가 리셋(self-reset) 기능을 갖는 영점 전류 스위칭(Zero-Current Switching) 회로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영점 전류 스위칭 회로는 전압비교기 회로에 자가 리셋 기능을 추가하여 전압비교기의 동작전류를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하베스팅 회로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회로 시뮬레이션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영전 전류 스위칭 회로의 동작을 검증하고 성능을 평가한 결과, 열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의 출력전압-입력전압 비가 5.5 일 때, 기존의 영점 전류 스위칭 회로를 이용한 하베스팅 회로와의 비교를 통해서 본 논문의 하베스팅 회로의 전력효율이 3.4% 개선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영점 전류 스위칭 회로는 열전에너지 하베스팅의 응용 중에서 특히 저전력과 고에너지 효율 특성이 중요한 웨어러블, 바이오 헬스 관련된 하베스팅 회로의 성능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0983599090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00.pdf", "abstract_en": "As the types of radio equipment becomes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in various fields, radio interference occurs frequently. In the domestic situation where the territory is narrow, many systems are deployed in a specific highland with a good radio wave environment. Radar systems that transmit high power signals of the same band are sometimes deployed and operating at close distance. In this paper, the type of interference was classified for the actual radio wave interference phenomenon and appropriate signal interference parameters were derived. The power density of the interference signal was predicted using the analysis method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measurement. And, we propose a method to minimize interference by analyzing operating scenarios of interferer radar and victim radar.", "abstract": "여러 분야에서 전파 장비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국내의 상황은 협소한 영토에서 전파환경이 우수한 특정 고지대에 다수의 시스템이 밀집해 있으며, 동일 대역의 고출력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 시스템이 근거리에 배치되어 운용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전파간섭 현상에 대하여 간섭의 형태를 구분하고 적절한 신호간섭 파라미터를 도출하였다. 이것을 간섭기법에 반영하여 간섭신호의 전력밀도를 예측하고 실 측정을 통하여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섭시스템과 피해시스템의 운용시나리오를 분석하여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id": "JAKO20210983599089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896.pdf", "abstract_en": "The ~185 nm thick ITO films deposited by high 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 were annealed at 100% humidity. Annealing was performed at 200℃, 250℃, 300℃, 350℃, 400℃ and 450℃ for 4 hours, respectively. Variations in resistivity, electron concentration, and mobility by high-humidity annealing were investigated. The stress change was estimated from the XRD results, and the surface morphology of films was observed through the FESEM micrographs. After measuring the light transmittance, the energy-band-gap was obtained and analyzed with the Burnstein-Moss effect.", "abstract": "고주파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증착된 ~185 nm 두께의 ITO막을 습도 100%에서 열처리하였다. 온도 200 ℃, 250 ℃, 300 ℃, 350 ℃, 400 ℃ 및 450 ℃에서 각각 4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고습 열처리에 따른 저항률, 전자농도 및 이동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XRD결과로 스트레스 변화를 계산하였으며, FESEM 사진을 통해 ITO막의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 광투과율을 측정한 후 에너지 밴드 갭을 구하였으며, Burnstein-Moss 효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id": "JAKO20210983599098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82.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present Low Drop-Out (LDO) regulator that improved load transient characteristics due to the push-pull detection structure.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voltage delta value is improved due to the proposed push-pull sensing circuit structure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LDO regulator pass transisto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ternal error amplifier. Voltage value has improved load transient characteristics than conventional LDO regulato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DO regulator, it has an improved response speed of approximately 244 ns at rising time and approximately 90 ns at falling time. The proposed circuit was simulated by the samsung 0.13um process using Cadence's Specter and Virtuoso simulato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push-pull 감지 회로 구조로 인해 load transient 특성을 개선시킨 LDO를 제안하였다. LDO 레귤레이터 패스 트랜지스터의 입력단과 내부 오차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제안된 push-pull 감지 회로 구조로 인한 전압 델타 값의 응답 특성을 개선시켜 종래의 LDO 레귤레이터보다 load transient 특성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기존의 LDO 레귤레이터보다 rising time에서는 약 244 ns, falling time에서는 약 90 ns 만큼의 향상된 응답속도를 가진다. 제안된 회로는 Cadence사의 Spectre, Virtuoso 시뮬레이션 tool을 사용하여 samsung 0.13um 공정으로 특성 및 결과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id": "JAKO20210983599088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888.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a low-profile and broadband bowtie antenna using multi-layer substrate for UWB sensor application is presented. A compact bowtie antenna is designed and implemented on two multi-layered substrate with total thickness of 4.5 mm. The antenna consists of bowtie radiator and planar-type balun. The designed radiator and balu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The implemented antenna provides 3 to 6 dBi of gain for whole frequency range from 6.8 to 10 GHz.",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UWB 센서에 응용 가능한 다층기판을 이용한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보우타이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소형 보우타이 안테나는 2층의 기판으로 설계 및 제작되었으며 전체 안테나의 두께는 4.5mm이다. 제안된 안테나는 보우타이 모양의 방사체와 평면형 발룬으로 구성된다. 설계된 방사체와 발룬의 간단한 연결로 안테나가 설계되도록 하여 다양한 구조로 쉽게 구현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작된 안테나는 6.8~10 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3~6dBi의 이득을 가졌다."} {"id": "JAKO20210983599089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892.pdf", "abstract_en": "A novel key exchange cryptographic method utilizing biometric finger print as a user's private key is proposed. Each unknown users' finger print is encrypted by optical phase-shifting interferometry principle and is changed into two ciphers, which are exchanged with the other party over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for secret key sharing. The transmitted ciphers generate a complex hologram, which is used to calculate a shared secret key for each user.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high security when applied to a secret key sharing encryption system.", "abstract": "본 논문은 사용자의 개인키로써 생체 지문을 사용하는 새로운 개인키 교환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각각의 사용자의 지문은 광학적 위상천이 간섭 원리에 의해 암호화되어 두 개의 암호문으로 변환되고, 이것은 비밀키 공유를 위해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 사용자와 교환된다. 전송된 암호문은 복소 홀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공유비밀키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제안한 방법은 비밀키 공유 암호화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때 매우 높은 보안을 제공할 것이다."} {"id": "JAKO202106763002435", "publication_date": "2021.01.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2435.pdf", "abstract_en": "Image outpainting is a very interesting problem in that it can continuously fill the outside of a given image by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image. There are two main challenges in this work. The first is to maintain the spatial consistency of the content of the generated area and the original input. The second is to generate high quality large image with a small amount of adjacent information. Existing image outpainting methods have difficulties such as generating inconsistent, blurry, and repetitive pixels. However, thanks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technology, deep learning-based algorithms that show high performance compared to existing traditional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Deep learning-based image outpainting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with various networks proposed until now.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introduce the latest technology and trends in the field of outpainting. This study compared recent techniques by analyzing representative networks among deep learning-based outpainting algorithms and showed experimental results through various data sets and comparison methods.", "abstract": "이미지 아웃페인팅은 이미지의 맥락을 고려하여 주어진 이미지의 외부를 지속적으로 채울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문제이다. 이 작업에는 두 가지 주요 과제가 있다. 첫 번째는 생성된 영역의 내용과 원래 입력의 공간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적은 양의 인접 정보로 고품질의 큰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기존의 이미지 아웃페인팅 방법은 일관되지 않고 흐릿하며 반복되는 픽셀을 생성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기존의 전통적인 기법들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는 알고리즘들이 소개되었다. 딥러닝 기반 아웃 페인팅은 현재까지도 다양한 네트워크가 제안되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웃 페인팅 분야의 최신 기술 현황 및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딥러닝 기반의 아웃페인팅 알고리즘 중 대표적인 네트워크들을 분석하고 다양한 데이터 셋과 비교 방법을 통한 실험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최근 기법들을 비교하고자 한다."} {"id": "JAKO202106763002447", "publication_date": "2021.01.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2447.pdf", "abstract_en": "Recently, the crime prevention and culprit identification even in a low illuminated environment by CCTV is becoming ever more important. In a low lighting situation, CCTV applications capture images under infrared lighting since it is unobtrusive to human eye. Although the infrared lighting leads to advantage of capturing an image with abundant fine texture information, it is hard to capture the color information which is very essential in identifying certain objects or persons in CCTV i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acquire color information through DCGAN from an image captured by CCTV in a low lighting environment with infrared lighting and a method to remove color noise in the acquired color image.", "abstract": "CCTV를 사용하여 저조도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범죄 예방 및 특정 대상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최근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저조도 환경하의 CCTV 응용에서는 눈에 거슬리지 않는 근적외선 조명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데, 이 경우, 비록 사람 눈에는 어두운 저조도 환경이지만 근적외선 조명을 사용하기 때문에 영상의 상세 텍스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CCTV 영상내의 물체 판별이나 인물 확인을 위하여 매우 요긴한 정보인 색상 정보는 얻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조도 환경에서 근적외선 조명을 사용하여 얻은 CCTV 영상으로부터 DCGAN을 사용하여 색상정보를 획득하는 방법과 이때 재구성된 색상 영상에 생기는 색상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id": "JAKO202106763002443", "publication_date": "2021.01.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244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analysis the semi-supervised learning (SSL), which is adopted in order to train a deep learning-based classification model using the small number of labeled data. The conventional SSL techniques can be categorized into consistency regularization, entropy-based, and pseudo labeling. First, we describe the algorithm of each SSL technique. I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evaluat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each SSL technique varying the number of labeled data. Finally,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describe the limitations of SSL technique, and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SSL.",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소량의 레이블 데이터로 딥러닝 기반 분류 모델을 훈련할 때 적용되는 준 지도 학습 기법 (semi-supervised learning: SSL)에 대해서 분석한다. 기존의 준 지도 학습 기법은 크게 일관성 정규화 (consistency regularization), 엔트로피 기반 (entropybased), 의사 레이블링 (pseudo label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각 준 지도 학습 기법의 알고리즘에 대해서 서술한다. 실험에서는 준 지도학습 기법을 레이블 데이터의 수를 변화시키면서 훈련 후 분류 정확도를 평가한다. 최종적으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준 지도 학습 기법의 한계에 대해서 서술하고, 분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id": "JAKO202106763002430", "publication_date": "2021.01.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2430.pdf", "abstract_en": "In the field of deep learning, there are many algorithms mainly after GAN in research related to generation, but in terms of generation,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art. If the generation in the engineering aspect is mainly to jud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quantitative indicator or the correct answer and the incorrect answer, the creation in the artistic aspect creates a creation that interprets the world and human life by cross-validating and doubting the correct answer and incorrect answer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this paper, the video generation ability of deep learning wa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llage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made by the artist. The characteristic of the experiment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much GAN reproduces the result of the creator made with the collage techniq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reative part, and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 by making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for the reproducibility of GAN. In order to experiment on how much the creator's statement and purpose of expression were reproduced, a deep learning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statement keyword was found and its similarity was compar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GAN did not meet much expectations to express the collage technique. Nevertheless, the image association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human ability, which is a positive discovery that GAN can show comparable ability to humans in terms of abstract creation.", "abstract": "딥러닝 분야 중 생성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GAN 이후에 많은 알고리즘이 있는데 생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미술과는 다른 점이 있다. 공학적 측면에서의 생성이 주로 정량적 지표나 정답과 오답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라면 미술적 측면에서의 생성이란 다양한 관점에서 정답과 오답을 교차검증하고 의심하여 세상과 인간의 삶을 해석하는 생성을 만들어낸다. 본 논문은 딥러닝의 비디오 생성능력을 콜라주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미술작가가 만든 결과물과 비교하였다. 실험의 특징은 콜라주 기법으로 만든 창작자의 결과물을 GAN이 얼마만큼 재현하는지와 창작적인 부분과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는 것이고, GAN의 재현력에 대한 성능 평가항목을 만들어 그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창작자의 스테이트먼트와 표현목적을 얼마나 재현했는지에 관한 실험을 위해서는 스테이트먼트 키워드에 해당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찾아 그 유사성을 비교하였으며, 실험결과 GAN은 콜라주 기법을 표현하기에는 기대에 많이 못 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지 연상에서는 인간의 능력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는데 이것은 GAN의 추상화 생성 측면에서 인간과 비견할만한 능력을 보일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발견이라고 하겠다."} {"id": "JAKO202106763002418", "publication_date": "2021.01.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2418.pdf", "abstract_en": "We propose a moire artifacts removal algorithm for screen-shot images using multiple domain learning. First, we estimate clean preliminary images by exploiting complementary information of the moire artifacts in pixel value and frequency domains. Next, we estimate a clean edge map of the input moire image by developing a clean edge predictor. Then, we refine the pixel and frequency domain outputs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ults using the estimated edge map as the guide information. Finally, the proposed algorithm obtains the final result by merging the two refined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on a public dataset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conventional algorithm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arison.", "abstract": "본 논문은 다중 도메인 학습을 이용하여 화면 촬영 영상 내 모아레 무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먼저 화소값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입력 영상의 모아레 무늬를 각각 제거한다. 다음으로 모아레 영상에서 clean edge map을 추정하고, 추정된 clean edge map을 가이드 정보로 사용하여 화소값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얻은 결과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독립적으로 향상된 두 결과 영상을 적응적으로 결합하며 모아레 무늬가 제거된 최종 결과 영상을 생성한다. 컴퓨터 모의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모아레 무늬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id": "JAKO20210965116267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71.pdf", "abstract_en": "This is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algorithms to detect smoke before the smoke detector operates in the event of a ship fire, analyze and utilize the detected data, and support fire suppression and evacuation activities by predicting the spread of smoke before it spreads to remote areas. Proposed algorithms were review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As a first step, smoke images obtained through fire simulation were applied to the YOLO (You Only Look Once) model, which is a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algorithm. The mean average precision (mAP) of the trained YOLO model was measured to be 98.71%, and smoke was detected at a processing speed of 9 frames per second (FPS). The second step was to estimate the spread of smoke using the coordinates of the boundary box, from which was utilized to extract the smoke geometry from YOLO. This smoke geometry was then applied to the time series prediction algorithm, long short-term memory (LSTM). As a result, smoke spread data obtained from the coordinates of the boundary box between the estimated fire occurrence and 30 s were entered into the LSTM learning model to predict smoke spread data from 31 s to 90 s in the smoke image of a fast fire obtained from fire simulation. The average square root error between the estimated spread of smoke and its predicted value was 2.74.", "abstract": "본 연구는 화재진압 및 피난활동을 지원하는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로 선박 화재 시 연기감지기가 작동하기 전에 검출된 연기 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하여 원격지까지 연기가 확산 되기 전에 연기 확산거리를 예측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제안 알고리즘을 검토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딥러닝 기반 객체 검출 알고리즘인 YOLO(You Only Look Once)모델에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얻은 연기 영상을 적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습된 YOLO모델의 mAP(mean Average Precision)은 98.71%로 측정되었으며, 9 FPS(Frames Per Second)의 처리 속도로 연기를 검출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YOLO로부터 연기 형상이 추출된 경계 상자의 좌표값을 통해 연기 확산거리를 추정하였으며 이를 시계열 예측 알고리즘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에 적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화재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은 Fast 화재의 연기영상에서 경계 상자의 좌표값으로부터 추정한 화재발생~30초까지의 연기 확산거리 데이터를 LSTM 학습모델에 입력하여 31초~90초까지의 연기 확산거리 데이터를 예측하였다. 그리고 추정한 연기 확산거리와 예측한 연기 확산거리의 평균제곱근 오차는 2.74로 나타났다."} {"id": "JAKO20210965116270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01.pdf", "abstract_en": "Many merchant ships sail in the waters surrounding Jeju Island and many fishing vessels catch fish using gill nets, trolling lines, and so on. Meanwhile, marine waste ha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collection of marine waste in coastal waters. In this study, marine waste deposited in Jeju Island's northwest sea was collected using Jeju National University's training ship, and related vessels were analyzed for each gear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coastal waters had abandoned fishing grounds, which were from fishing vessels, and a large proportion of them was gill net and trap fishing gear. To analyze how much marine waste is accumulating in a certain area and ship's stay time, we us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data to extract the time spent in the target sea, and the amount of marine waste per hour was analyzed in a unit distance of 1 ㎢. The average amount of marine waste generated per hour in the unit area was found to be 0.94 kg for gillnet fishing gear, 3.49 kg for trap fishing gear, 0.10 kg for trawl fishing gear, 0.11 kg for longline fishing gear, and 0.02 kg for other fishing gear.", "abstract": "제주해역은 많은 상선 및 어선들이 항해를 하고, 자망, 트롤 등 다양한 어구를 활용하여 어로활동을 하고 있다. 그 동안 해양폐기물 수집은 주로 제주도 해안 및 연안해역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연근해 해역에서 발생되는 해양폐기물 발생에 대한 수집 및 연구가 미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대학교 실습선을 이용하여 제주도 북서해역에 침전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고 각 폐기물별로 관련 선박의 항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일정 구역 및 선박 체류시간별로 얼마나 많은 해양폐기물을 투기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선박자동식별장치 항적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상해역에 선박이 체류한 시간을 추출하여, 어선업종별로 1 ㎢ 단위구역에서 시간당 해양폐기물 발생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근해 해역은 어선기인 폐어구가 대다수였으며, 그중 자망 및 통발 어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단위구역에서 시간당 해양폐기물 발생량은 자망어업이 평균 0.94 kg, 통발어업이 3.49 kg, 저인망어업이 0.10 kg, 연승어업이 0.11 kg, 기타어업이 0.02 kg으로 산출되었다. 이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연근해 수중환경 정화시 해양폐기물 발생이 높은 해역위주로 해양폐기물 수거가 가능할 것이다."} {"id": "JAKO20210965116274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47.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Inconel 625 was used as a thermal spray material to prevent dew point corrosion damage to the economizer tube, and sealing treatment was performed after applying the arc thermal spray coating technology. Various electrochem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0.5 wt% sulfuric acid solution to analyz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thermal spray coating (TSC) layer. After the anodic polarization experiment, the degree of corrosion damage was determined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EDS component analysis. When measuring the open circuit potential, the effect of the sealing treatment was confirmed through stable potential formation of the TSC+sealing treatment (TSC+Sealing). As a result of the anodic polarization experiment, the passivation region was confirmed in TSC and TSC+Sealing, and corrosion resistance was improved as no corrosion damage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SC+Sealing was the best when analyzing the corrosion potential and corrosion current density calculated by Tafel analysis.", "abstract": "본 연구는 절탄기 튜브의 저온부식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Inconel 625 용사재료를 활용하여 아크 열용사 코팅기술 적용 후 실링처리를 실시하였다. 용사코팅(TSC) 층의 내식성 분석을 위해 0.5 wt% 황산 수용액에서 다양한 전기화학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양극분극 실험 후에는 주사전자현미경과 EDS 성분분석을 통해 부식 손상 정도를 파악하였다. 자연전위 계측 시 TSC+실링처리(TSC+Sealing)의 안정적인 전위 형성을 통해 실링처리 효과를 확인하였다. 양극분극 실험 결과 TSC와 TSC+Sealing에서 부동태 영역이 확인되었으며, 부식 손상 역시 관찰되지 않아 내식성이 개선되었다. 더불어 타펠분석에 의해 산출된 부식전위와 부식전류밀도 분석 결과 TSC+Sealing의 내식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id": "JAKO20210965116268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86.pdf", "abstract_en": "The marine transport industry generally applies new technologies later than other transport industries, such as airways and railways. Vessels require efficient operation, and their performance and lifespan depend on the level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corrective maintenance (CM) and time-based maintenance (TBM) have restrictions with respect to enabling efficient maintenance of workload and cost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Predictive maintenance (PdM) is an advanced technology that allows monitoring the condition and performance of a target machine to predict its time of failure and helps maintain the key machinery in optimal working conditions at all times.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marine predictive maintenance (MPdM; maritime predictive maintenance) method based on applying PdM to the marine environment. The MPdM scheme i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special environment of the marine transport industry and the extreme marine conditions. Further, results of the study elaborates upon the concept of MPdM and its necessity to advancing marine transportation in the future.", "abstract": "해양 운송 산업은 특성상 항공 및 철도 등의 다른 운송 산업보다 비교적 늦게 신기술이 적용되는 산업이다. 현재 대부분의 선박은 기계장치 및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운용 시간 기반으로 정비를 하는 사후 정비(Corrective Maintenance, CM)와 예방 정비(Preventive Maintenance, PM)에 속하는 시간 기반 정비(TBM, Time Based Maintenance)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유지보수 비용이 요구되고, 육상의 즉각적인 지원이 어려우며, 선박이 멈추면 즉시 위험에 노출되는 해양 환경에서 운영되는 선박에서 과도한 단순 정비로 인한 인력과 비용 낭비, 예측되지 못한 고장 및 결함으로 유발되는 사고 등으로 인해 운용 효율화 측면에서 기존 정비법에 대한 한계점이 문제시 되고 있다. 예지 정비(Predictive Maintenance, PdM)는 진보된 기술로 기계의 상태 및 성능을 모니터링하여 고장시기를 예측하여 정비하는 방법으로 핵심 기계장치가 항상 최상의 작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해양 환경에서 PdM의 적용성에 중점을 둔 해양 예지 정비(MPdM, Maritime Predictive Maintenance)에 대해 고안하였으며, 제시된 MPdM은 지리적 고립과 극한 해양 상황 등 해양 운송 산업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본 논문은 선진 미래 해양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MPdM이라는 개념과 그 필요성을 제안한다."} {"id": "JAKO20210965116266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67.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hip valuation model by utilizing the neural network model. The target of the valuation was secondhand VLCC. The variables were set as major factors inducing changes in the value of ship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 corresponding data were collected on a monthly basis from January 2000 to August 2020.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subsequent variables, a multi-collinearity test was carried out and finally the research structure was designed by selecting six independent variables and one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is structure, a total of nine simulation models were designed using linear regression, neural network regression, and random forest algorithm. In addition, the accuracy of the evaluation results are improved through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each model.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most accurate when the neural network regression model, which consist of a hidden layer composed of two layers, was simulated through comparison with actual VLCC values. The possibl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creative research in terms of applying neural network model to ship valuation; this deviates from the existing formalized evaluation techniques. Second, the objectivity of research results was enhanced from a dynamic perspective by analyzing and predicting the factors of changes in the shipping. marke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Neural Network Regression 모델을 활용하여 선박의 가치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가치평가의 대상은 중고 VLCC선이며, 선행연구를 통해 선박의 가치 변화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들을 선별하여 변수를 설정하고, 2000년 1월부터 2020년 8월까지의 해당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변수의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다중 공선성 검사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6개의 독립변수와 1개의 종속변수를 선정하고 연구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Linear Regression, Neural Network Regression, Random Forest Algorithm을 활용하여 총 9개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각 모델간의 비교검증을 통해 평가결과의 정확성을 제고시켰다. 평가 결과, VLCC실제값과의 비교를 통해 2층으로 구성된 Hidden Layer의 Neural Network Regression 모델이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기존 정형화된 평가기법에서 벗어나 기계학습기반 모델을 선박가치평가에 적용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해운시장 변화요인을 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예측함으로써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제고시켰다고 할 수 있다."} {"id": "JAKO20210965116269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97.pdf", "abstract_en": "When a berth is built close to a fairway, a moored vessel will be affected by the ship waves generated by navigating vessels. In this study, a portable measur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roll motion of an actual vesse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simulation resul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roll motion satisfies the loading safety criteria. However, the actual results of the vessel, did not satisfy the criteria in some cases. In this study, 18 cases that did not satisfy the loading safety criteria were analyzed. Among these cases, three cases were affected by a different time zone of the remaining 15 cases, 11 cases (73.3%) were observed to be consistent with arrival times of passenger ships of more than 10,000GT sailing between in Mokpo and Jeju.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reflect marine traffic characteristics in the assessment of loading safety, which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results of the loading safety assessment of ships.", "abstract": "부두가 항로와 인접한 위치에 건설되었을 경우 계류선박은 항행 선박에 의해 발생되는 항주파의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Portable 계측시스템을 제작하여 실제 선박의 Roll 동요량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Roll 동요량은 하역안전성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실제 선박의 계측 결과에서는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시간대가 분석되었다. 하역안전성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Roll 동요량은 총 18회 분석되었으며, 이 중 다른 시간대의 영향을 받은 3회를 제외한 15회의 상황 중 11회(73.3%)의 상황이 목포-제주간을 운항하는 총톤수 10,000톤 이상의 여객선이 입항하는 시간대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하역안전성 평가 시 해상교통특성 반영을 제안하는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선박의 하역안전성 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965116274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4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ot generated from marine engine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crankcase soot by classifying it as exhaust soot and crankcase soot. The annealing procedure was performed in an argon gas atmosphere at 2,000℃ and 2,700℃, and Raman spectroscopy and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HRTEM)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samples. Furthermore,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were utiliz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acquired HRTEM images. The Raman analysis demonstrated a relatively high G/D ratio in the exhaust soot and annealing conditions at 2,700℃. In the HRTEM images, both soot were able to identify similar forms of graphite nanostructures,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that they could not quantitatively deriv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graphite depending on the type of soot and annealing temperature. Thus, digital image processing quantitatively analyzed the length and tortuosity of the fringe of the HRTEM imag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aman analysis. This meant that the exhaust soot had a more graphite structure than the crankcase soot, and that annealing at a higher temperature improved the graphite structure. This study confirmed that both the crankcase soot and exhaust soot can be recycled as a graphite material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선박용 디젤 엔진에서 발생되는 크랭크케이스 수트(soot)의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트를 배기관에서 발생하는 수트와 크랭크케이스에서 발생한 수트로 분류하고, 열처리에 따른 수트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열처리는 아르곤 가스 분위기에서 2,000℃와 2,700℃로 열처리를 수행하였고, 샘플의 구조적 특성 분석을 위해 라만분광법(Raman spectroscopy)과 고분해능 전자현미경(HRTEM)을 활용하였다. 또한, 취득한 HRTEM 이미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 처리(Digital Image Processing) 기법을 활용하였다. 라만 분석 결과, 배기 수트와 2,700℃로 열처리한 수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G/D ratio가 나타났다. HRTEM 이미지에서는 두 수트 모두 유사한 형태의 흑연화된 나노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수트의 종류와 열처리 온도차에 따른 흑연화 정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도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Digital Image Processing을 통해 HRTEM 이미지의 fringe의 길이와 곡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라만 분석과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배기 수트가 크랭크케이스 수트에 비해 더 흑연화 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더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 할 경우 흑연의 구조로 더 잘 발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크랭크케이스 수트 역시 배기 수트와 마찬가지로 흑연계 재료로 재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965116272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2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hydrogen production using boil-of gas (BOG) generated from an LNG-fueled ship and the application of hydrogen fuel cell systems as auxiliary engines. In this study, the BOG steam reformer process was designed using the UniSim R410 program, and the reformer outlet temperature, pressure, and the fraction and consumption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steam/carbon ratio (SCR)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tudy, the conversion rate of methane was 100 %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ormer was 890 ℃, and maximum hydrogen production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lower the pressure, the higher is the reaction activity. However, higher temperatures have led to a decrease in hydrogen production owing to the preponderance of adverse reactions and increased amounts of water and carbon dioxide. As SCR increased, hydrogen production increased, but the required energy consumption also increased proportionally. Although the hydrogen fraction was the highest when the SCR was 1.8,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al operation range was for SCR to operate at 3 to prevent cocking. In addition, the lower the pressure, the higher i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Furthermore, 42.5 % of the LNG cold energy based on carbon dioxide generation was required for cooling and liquefactio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LNG 추진선박에서 발생하는 BOG(boil-off gas)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을 보조엔진으로 적용한 개질공정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를 위해 BOG 수증기 개질공정을 UniSim R410 프로그램을 이용해 공정설계하고, 개질기의 출구온도와 압력, SCR(steam carbon ratio)에 따른 생성물의 분율과 반응물의 소모량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개질온도가 890℃일때 메탄의 반응률이 100 %였으며, 최대 수소 생산량을 보였다. 또한 개질압력이 낮을수록 반응 활성도가 높았다. 하지만 그 이상의 온도가 되면 역반응의 우세로 인해 수소의 생산량은 감소하게 되고, 물과 이산화탄소의 양은 증가했다. 또한 SCR이 증가할수록 수소 생산량도 증가했으나 요구되는 에너지 소비량도 비례하여 증가했다. SCR이 1.8일 때 수소분율이 가장 높았으나 코킹방지를 위해 SCR이 3에서 운전하는 것이 최적 운전범위임을 확인했다. 그리고 개질압력이 낮을수록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증가했으며, 냉각 및 액화를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기준으로 42.5 %의 LNG 냉열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0965116268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82.pdf", "abstract_en": "Recently, the share of wind power in energy markets has sharply increas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internationally. In particular, large-scale wind farms are being developed far from the coast to make use of abundant wind resources and to reduce noise pollution. In addition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caused by offshore wind farms to coastal or air surveillance radar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MI on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communications between ship and coastal st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transmitted field of MF/HF band from a ship would be subject to interference or attenuation below the threshold at a coastal receiver. Firs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igital maps and 3D CAD models of wind turbines, the area of interest is electromagnetically modeled with patch models. Although high frequency analysis methods like Physical Optics are appropriate to analyze wide areas compared to its wavelength, the high frequency analysis method is first verified with an accurate low frequency analysis method by simplifying the surrounding area and turbines. As a result, the received wave power is almost the same regardless of whether the wind farms are located between ships and coastal stations. From this result, although wind turbines are large structures, the size is only a few wavelengths, so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electric field of MF/HF distress communications.", "abstract": "최근 국제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개발이 활발함에 따라 풍력발전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고품질의 풍력자원을 이용하고 소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해역에 대규모 풍력단지가 조성되는 추세이다. 해상에 풍력단지가 건설됨에 따라 영해나 영공 감시를 위한 레이더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 이외에도 해상에서 육상으로 송신하는 조난통신을 간섭하는 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에서 MF 또는 HF 대역의 전자파를 송신할 경우, 선박과 육상 기지국 사이에 위치한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송신된 전자파에 대한 간섭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역을 수치지형도와 풍력발전기 CAD모델을 활용하여 주변 환경 및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전자기학적으로 모델링하였다. 파장에 비해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전파 분석이므로 고주파 분석기법이 타당하나, 적용할 고주파 분석기법을 주변해역과 지형을 간략화하여 저주파 분석기법으로 먼저 검증하였다. 해상풍력 발전단지 부근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해 육상기지국에서 수신한 전력을 분석한 결과, 발전단지가 설치되더라도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었다. 이는 풍력발전기가 대형 구조물이기는 하나 타워의 직경은 수 미터에 불과하므로 지향성이 없고 파장이 긴 MF 및 HF 대역에 대해서는 큰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965116266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63.pdf", "abstract_en":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is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e-Navigation that prevents maritime accidents by fusion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with ship operation technology. In Korea, Korean e-Navigation is also being developed for fishing vessels and small vessels sailing offshore, which are vulnerable to maritime accidents. However,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Korean e-Navig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dicator that can evaluate the development performance so that the development performance that has been progressed so far can be evaluate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can be re-establish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tailored to the development goal of e-Navigation service centering on the collision accident, which is a major maritime accident. In this study, a collision accident evaluation index for e-Navigation service was developed by deriving and quantifying the root cause of maritime collision accidents using Root cause analysis(RCA) and fault tree analysis (FTA) techniques. This indicator i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reducing maritime accidents as it is used as a development indicator for e-Navigation and an indicator for maritime collision accident analysis.", "abstract": "IMO에서는 선박운항기술에 ICT기술을 융합하여 해양사고를 예방하는 e-Navigation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해양사고의 취약계층인 어선 및 연안을 항해하는 소형선박을 대상으로 한국형 e-Navigation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형 e-Navigation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현재까지 진행된 개발성과를 평가하고 개발 방향성을 재정립할 수 있도록 개발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한 해양사고인 충돌사고를 중심으로 e-Navigation 서비스의 개발목표에 맞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CA기법과 FTA 기법을 활용해 해상 충돌사고 발생 근본원인을 도출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e-Navigation 서비스를 위한 충돌사고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해당지표는 e-Navigation의 개발지표 및 충돌사고 분석을 위한 지표로 활용되어 해양사고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0965116270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08.pdf", "abstract_en": "This study introduces lessons learned from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major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marine chemical incidents involving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during maritime transportation by chemical tankers carrying petrochemical products in bulk. The study then suggests plans to improve domestic marine HNS training curricula based on these lessons. Lessons learned from six incident case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1) incident-related information, 2) safety, 3) pollution, 4) response, 5) salvage and 6) others. Based on these six categories, it is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provided by the Marine Environment Research & Training Institute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s aboard noxious liquid substance carriers should be changed from the existing two-day training of eight subjects (16 h) to a three-day training of sixteen subjects (24 h). In addition, it is proposed that the marine chemical incident response course of the Korea Coast Guard Academy should be changed from the existing five-day training of fifteen subjects (35 h) to a six-day training of thirty-two subjects (48 h).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haring experiences and lessons learned about response to marine chemical incidents an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or response personnel in preparedness for marine HNS incident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제품 산적운송선(화학유조선)에 의한 해상운송 과정에서 발생한 위험·유해물질(HNS) 관련 해상화학사고에 대하여 국내 및 국외의 주요 사례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얻은 교훈을 소개하고,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국내 해상HNS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6건의 사고사례를 통하여 얻은 교훈을 1) 사고관련정보, 2) 안전, 3) 오염, 4) 대응, 5) 구난, 6) 기타와 같은 6개 분야로 분류하였다. 각 분야의 세부항목별로 요약된 교훈을 바탕으로 해양환경교육원(MERTI) 유해액체물질운반선 해양오염방지관리인 교육과정을 현행 8개 교과목(16시간)의 2일간 교육을 16개 교과목(24시간)의 3일간 교육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해양경찰교육원(KCGA) 전문교육 해양화학사고대응 과정을 현행 15개 교과목(35시간)의 5일간 교육을 32개 교과목(48시간)의 6일간 교육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상화학사고 대응에 관한 경험과 교훈을 서로 공유하는 데에 기여하고, 해상HNS사고에 대비한 대응 인력 교육·훈련과정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965116275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54.pdf", "abstract_en": "In order to evaluate the vibrational characteristics of huge finite element models such as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it is essential to perform eigenvalue analysis and frequency response analysis. However, these analyzes necessitate excessive equipment and computation time, which require the development of a high-performance analysis program. In particular, a considerable computational analysis time is required when calculating the inverse matrix in a linear system of equations and analyzing the eigenvalue analysis. Therefore, it can be improved by applying the latest high-performance library. In this paper, the vibration analysis program that enables fast and accurate analysis was developed by applying 'PARDISO', a parallel linear system of equation calculation library, and 'ARPACK', a high-performance eigenvalue analysis library. To verify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proposed method, we compare ABAQUS with proposed program using numerical examples of marine engineering.", "abstract": "선박 및 해양구조물과 같은 대형 유한요소모델의 진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유치 해석 및 가진 주파수에 따른 응답 계산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들은 과도한 전산 장비와 계산 시간이 요구되어 고성능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선형연립방정식에서 발생하는 역행렬 계산 및 고유치 해석 시에는 상당한 전산 해석 시간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신 고성능 라이브러리를 적용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렬식 선형연립방정식 계산 라이브러리인 PARDISO와 고성능 고유치 해석 라이브러리인 ARPACK을 적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해석이 가능한 진동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개발된 해석 프로그램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여러 선박해양공학 수치 예제를 사용하였고,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와의 결과 비교 검토를 통해 개발된 진동해석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검증, 제시하였다."} {"id": "JAKO20210965116267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78.pdf", "abstract_e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erest in autonomous ship technology is increasing as high-tech technologies are being increasingly utilized throughout the industry. Therefore, we conducted a basic study on autonomous ships. In particular, a passenger ship model was produced and an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was established by applying the ardupilot used for drones. The possibility of automatic control of the autonomous ship operations was confirmed by executing various voyage plans using the built model ship. In the performance test for maintaining the course the model ship could not follow the designated course straight and sailed up to 5.4 m away from the course while navigating in a zigzag (S-shape); however, after the parameters were modified, the deviation distance was reduced to a maximum of 1.8 m. In the turning performance test, the maximum diameter of the turning sphere was found to be approximately 9.3 m, but no significant change could be confirmed even after the parameters were modified. However, the results of our tests on slowing down the ship before arriving at the WP confirmed that the diameter of the turning sphere was reduced to a maximum of approximately 3.2 m. In order to evaluate the stopping performance, the last scheduled stopping position of all experiments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stopping position of the model shi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ship stopped at a point at least 0.4 m and a maximum of 6.2 m away from the stopping position. In the future, improvement of course stability, turning performance, and stopping performance is required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various parameters. Moreover, a study on automatic berthing of the model ship through automatic control is planned.",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첨단기술이 산업 전반에 사용됨에 따라 자율운항선박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모형 선박을 제작하고 드론에 사용되는 아두파일럿(Ardupilot)을 적용시켜 자율운항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선을 활용하여 다양한 항해계획을 실행함으로써 자율운항 선박의 운항 자동제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침로안정성 실험에서는 모형선이 정해진 침로를 똑바로 따라가지 못하고 지그재그(S자 형태)로 항행하면서 침로에서 최대 5.4 m(4.5 L) 이탈하였으며, 매개변수를 수정하여 이탈거리를 최대 1.8 m(1.5 L)까지 감소시켰다. 선회성능 실험에서는 선회권의 직경이 최대 약 9.3 m(7.8 L)로 나타났는데 매개변수를 수정하여도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WP 도착 전 감속하도록 실험한 결과 선회권의 직경이 최대 약 3.2 m(2.7 L)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모든 실험의 마지막 정지 예정 위치와 실제 모형선이 정지한 위치를 상호 비교하였으며, 정지 예정 위치로부터 최소 0.4 m(0.3 L), 최대 6.2 m(5.2 L) 떨어진 지점에서 모형선이 정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다양한 매개변수의 수정·보완을 통한 성능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자동제어를 통한 자율운항선박의 자동접안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id": "JAKO20210965116273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39.pdf", "abstract_en": "In the ship repair market, interest in maintenance and repair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the reinforcement of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ships and the reinforcement of safety standards for ship structures. By reflecting this effect, the number of requests for repairs by foreign shipping companies increases to repair shipbuilders in the Southwest Sea. However, because most of the repair shipbuilders in the southwestern area ar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t is difficult to lead to the integrated synergy effect of the repair shipbuilding companies. Moreover, the infrastructure is not integrated; hence, using the infrastructure jointly is a challenge, which acts as an obstacle to the activation of the repair shipbuilding industry. Floating docks are indispensable to operating the repair shipbuilding business; in addition, most of them are operated through renovation/repair after importing aging caisson docks from overseas. However, their service life is more than 30 years; additionally, there is no structure inspection standard. Therefore, it is vulnerable to the safety field. In this stud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of ANSYS was used to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modified caisson dock and obtain additional structural reinforcement schemes to solve the derived problems. For the floating docks, there are classification regulations; however, concerning structural strength, the regulations are insufficient, and the applicability is inferior. These insufficient evaluation areas were supplemented through a detailed structural FE-analysis. The reinforcement plan was decided by reinforcing the pontoon deck and reinforcement of the side tan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air shipyard condition. The final plan was selected to reinforce the side wing tank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decision; in addition, the actual structure was fabricated to reflect the reinforcement plan. Our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improv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similar facilities; we believe that the optimal solution can be found quickly if this method is used during renovation/repair.", "abstract": "선박 수리시장은 선박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 강화, 선박구조에 대한 안전기준 강화 등의 영향으로 유지 및 보수에 관한 관심이 꾸준히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을 반영하여 서남해에 있는 수리 조선사들에 외국 선사들의 수리 요청 접수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서남해권 수리 조선사들은 영세한 중소업체가 대부분이라서 수리조선 업체의 통합적 시너지 효과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고, 집적화가 되어있지 않아서 인프라 공동활용이 어려워서 수리조선업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수리조선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플로팅 도크가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며, 대부분 노후화된 케이슨 도크를 해외로부터 수입한 후, 개/보수를 통하여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 수명이 30년 이상이고, 구조물 검사 기준이 없어서 안전분야에 취약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조된 케이슨 도크의 구조 안전성을 평가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조 보강안을 찾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활용하였다. 플로팅 도크의 경우, 선급 규정이 있지만 구조강도 관련해서는 규정이 미흡하여 적용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부족한 평가 영역에 대해서는 상세 구조해석을 통하여 보완하였다. 보강안은 수리조선소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폰툰 갑판 상부 보강과 선측 탱크 보강으로 결정하였다. 결정안에 대한 구조해석을 통하여 선측 보강안을 최종안을 선정하였고, 실제 구조물을 제작하여 보강안을 반영하였다. 도출된 주요 결과들은 유사 설비의 구조 강도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개/보수 시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면 빨리 최적 해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965116271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1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n anomaly detection (AD) algorithm was implemented to detect the failure of a marine air compressor. A lab-scale experiment was designed to produce fault datasets (time-series electric current measurements) for 10 failure modes of the air compresso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emporal pattern of the datasets showed periodicity with a different period, depending on the failure mode. An AD model with a convolutional autoencoder was developed and trained based on a normal operation dataset. The reconstruction error was used as the threshold for AD. The reconstruction error was noted to be dependent on the AD model and hyperparameter tuning. The AD model was applied to the synthetic dataset, which comprised both normal and abnormal conditions of the air compressor for validation. The AD model exhibited good detection performance on anomalies showing periodicity but poor performance on anomalies resulting from subtle load changes in the motor.", "abstract": "본 연구는 선박용 공기압축기의 상태기반보전 시스템에 필요한 이상치 탐지 알고리즘 적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서 고장모사 실험을 통해 시계열 전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탐지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고장 유형 10개에 대해 실험실 규모의 고장 모사 실험을 수행하여 정상 운전데이터와 고장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구축된 이상탐지 모델은 시계열 데이터의 주기에 변화를 유발하는 이상은 잘 탐지하는 반면 미세한 부하 변동에 대한 탐지 성능은 떨어졌다. 또한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시계열 이상탐지 모델은 입력 시퀀스의 길이와 초모수 조정에 따라 이상 탐지 성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5850395171",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850395171.pdf", "abstract_en": "Interest in the \"Corona White Paper\" is increasing, as it has been prolonged to more than a year since the first confirmed COVID-19 case.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began collecting records for the production of government-level white papers, and some local governments and institutions are preparing to establish their corona white papers. However, the existing disaster white paper simply presents a summary of the situation and does not include the analysis or evaluation of the disaster response results, making the established measures unsuitable for similar disasters. In particular, most of the data are collected and analyzed manually by some experts, which is costly and time-consuming. This study presents a plan to build a white paper that can reflect a mutual understanding with the citizens by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analyzing online records, namely, records from institutional websites, online news platforms, and social media record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hite papers and online media were analyzed; guidelines that match the four attributes of the white paper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white paper on infectious diseases were presented; and their effectiveness through actual construction examples were verified. Moreover,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effective preemptive countermeasures in the event of a novel disaster and maximize the record and promotion of corrective activities by collecting and recording reactions from citizens. Furthermore, the study helps eliminate unilaterally drafted top-down white papers.", "abstract": "작년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이래 1년이 넘은 현재까지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코로나 백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부응해 국가기록원은 정부 차원의 백서 제작을 위한 기록물 수집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기관에서도 독자적인 코로나 백서의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재난백서는 단순한 상황에 대한 정리일 뿐 대응 결과에 대한 분석이나 평가가 포함되지 않아 이후 유사 재난이 발생 시 참고하여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특히 자료 대부분을 일부 전문가들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백서 구축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기록물 즉, 기관의 웹 문서, 인터넷 뉴스, SNS 기록물 등을 자동으로 수집·분석함으로써 시민들과의 상호이해가 반영될 수 있는 백서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백서와 온라인 미디어의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감염병 관련 백서를 참고하여 백서의 4대 속성에 부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후 실제 구축예시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일부 공무원이나 전문가들이 일방적으로 작성한 하향식의 백서가 아닌 시민의 반응을 수렴하고 기록화함으로써 미래의 새로운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선제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시정 활동 기록 및 홍보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d": "JAKO20211745751018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10183.pdf", "abstract_en": "With advancements in software technology, more scientists and engineers are employing computer software and programming tools for research. However, several issues can arise in software-based research: environment setting, reproducibility, and loss of source cod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Linux containers and version control systems to prevent these problems. Managing research projects using a cloud source-code repository and building a research environment in a Linux container can preven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ake research collaboration easier. For researchers with no experience with Linux containers, a repository of project template containing shell scripts for building and running containers has been released.", "abstract": "소프트웨어 기술 발달에 따라 점점 더 많은 과학자와 공학자들이 연구를 위해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프로그래밍 도구들을 사용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환경 설정, 재현성 및 소스 코드 손실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해설에서는 리눅스 컨테이너와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프로젝트 단위로 클라우드 저장소를 통해 코드를 관리하고 리눅스 컨테이너에 연구 환경을 구축하면 위의 문제들을 방지하고 협동 연구를 더 쉽게 만들 수 있다. 리눅스 컨테이너 사용 경험이 없는 연구자들을 위해 컨테이너 생성과 실행에 필요한 스크립트를 포함한 연구 프로젝트 템플릿 저장소를 공개하였다."} {"id": "JAKO202117457565205",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65205.pdf", "abstract_en": "As the execution speed of Python is slower than those of other programming languages (e.g., C, C++, and FORTRAN), Python is not considered to be efficient for writing numerical geodynamic code that requires numerous iterations. Recently, many computational techniques, such as the Just-In-Time (JIT) compiler, have been developed to enhance the calculation speed of Python. Here, we developed two-dimensional (2D) numerical geodynamic code that was optimized for the JIT compiler, based on Python. Our code simulates mantle convection by combining the Particle-In-Cell (PIC) scheme and the finite element method (FEM), which are both commonly used in geodynamic modeling. We benchmarked well-known mantle convection problem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our code, which confirmed that the root mean square velocity and Nusselt number obtained from our numerical modeling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mantle convection problems. The matrix assembly and PIC processes in our code, when run with the JIT compiler, successfully achieved a speed-up 30× and 258× faster than without the JIT compiler, respectively. Our Python-based FEM-PIC code shows the high potential of Python for geodynamic modeling cases that require complex computations.", "abstract": "파이썬은 다른 정적 언어(예, C, C++, FORTRAN 등)에 비해 실행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대규모 반복이 필요한 지구동역학 코드를 작성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파이썬의 계산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Just-In-Time (JIT) 컴파일 등과 같은 많은 고속화 수단이 개발되었다. 우리는 파이썬을 기반으로 JIT 컴파일러에 최적화된 맨틀 유동 지구동역학 코드를 개발했다. 코드는 지구동역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PIC (Particle-In-Cell) 방법과 유한요소법을 결합하여 맨틀 대류를 수치 모사하며, 코드의 신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잘 알려진 2차원 맨틀 대류 문제를 벤치마킹했다. 수치 모사 결과, 제곱근 평균 제곱 속도와 넛셀 수가 이전 연구와 거의 일치함을 확인했다. JIT 컴파일러를 적용한 코드는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와 대비해 계산 속도가 PIC 방법에서 최대 258배, 전체 행렬 조립 과정에서 최대 30배 향상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파이썬의 계산 성능이 JIT 등의 가속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향상되며, 많은 지구 동역학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7457597217",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97217.pdf", "abstract_en": "Velocity model building is an essential procedure in seismic data processing. 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traveltime tomography or velocity analysis take longer computational time to predict a single velocity model and the quality of the inversion results is highly dependent on human expertise. Full-waveform inversions also depend on an accurate initial model. Recently, deep neural network techniques are gaining widespread acceptance due to an increase in their integration to solving complex and nonlinear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seismic velocity model building using deep neural network techniques by classifying items according to the neural networks used in each study. We also included cases of generating training synthetic velocity models. Deep neural networks automatically optimize model parameters by training neural networks from large amounts of data. Thus, less human interaction is involved in the quality of the inversion results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techniques and the computational cost of predicting a single velocity model after training is negligible. Additionally, unlike full-waveform inversions, the initial velocity model is not required.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deep neural network techniques achieve outstanding performance not only in computational cost but also in inversion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analyzed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deep neural network techniques for building velocity models.", "abstract": "속도 모델 구축은 탄성파 탐사 자료처리에서 필수적인 절차이다. 주시 토모그래피나 속도 분석과 같은 기존 기법들은 하나의 속도 모델을 예측하는 데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역산 결과의 품질이 전문가의 판단에 크게 의존한다. 전파형 역산 또한 초기 속도 모델에 크게 의존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심층 신경망 기법이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문제를 푸는데 적용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심층 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탄성파 속도 모델 구축 사례들을 각 연구에 사용한 신경망에 따라 분류하며 조사하였다. 또한 훈련용 인공 속도 모델 생성 사례도 포함하였다. 심층 신경망은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신경망을 훈련함으로써 모델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최적화한다. 따라서 기존 기법들에 비해 역산 결과에 사람의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적으며 훈련을 마친 후 하나의 속도 모델을 예측하는 비용은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심층 신경망은 전파형 역산과 달리 초기 속도 모델이 필요하지 않다. 여러 연구에서 계산 비용뿐만 아니라 역산 결과에서도 심층 신경망 기법이 뛰어난 성과를 달성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속도 모델 구축에 사용된 심층 신경망 기법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id": "JAKO20210965116269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93.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safe area for a passing vessel between anchored vessels by developing a model to predict the collision risk, frequent collisions occur between the anchored vessel and the passing vessel through the anchorage.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the southern anchorage of Busan port, which is the largest harbor in Korea, as the target area and extracted and analyzed VTS (Vessel Traffic Service) data during the period in which anchored vessels were the most waited. The ratio of D/L for each bearing was obtained to determine the safe distance (D) passes based on the length (L) of the passing vessel between anchored vessels. Based on the average domain of the D/L ratio distribution, the percentage of anchored vesse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tudied ship's domain was analyzed to obtain a domain reflecting the degree of risk of VTSOs. Further research will evaluate and analyze the collision risk of a passing vessel using Domain-watch, the minimum safe distance between anchored vessels, and the safe domain of a passing vessel through anchorage, to develop a model for VTS to manage anchorages more efficiently and safely.", "abstract": "본 연구는 충돌 사고 중에서 정박지에서 대기하고 있는 선박과 이 정박지를 통항하는 선박 간 충돌사고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 정박선 사이를 통항하는 선박의 충돌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통항 선박의 안전 영역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최대 항만인 부산항 남외항 정박지를 대상 해역으로 선정하고 정박선이 가장 많이 대기한 기간 VTS(Vessel Traffic Service) 항적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정박선 사이를 통항하는 선박의 길이(L)를 기준으로 정박선과 어느 정도의 안전한 거리(D)를 두고 통과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통항 선박의 방위별 D/L 비를 구하였다. D/L 비 분포의 평균 domain을 기준으로 기존 선박 domain 범위 안으로 정박선이 존재할 비율을 분석하여 VTS 관제사의 위험 정도를 반영한 domain을 도출하였다. 추후 연구로는 정박선 사이의 최소 안전거리인 Domain-watch와 정박지 통항 선박의 안전 domain을 활용한 정박지 통항 선박의 충돌위험도 평가 및 분석을 하고, 이를 통해 VTS가 정박지를 좀 더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id": "JAKO20210965116273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35.pdf", "abstract_en":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a comparative study on minimum weight design and sensitivity evaluation using different experimental design methods for the structural design of an active-type deck support frame (DSF) developed for the float-over installation of an of shore plant topside. The thickness sizing variables of the structural members of a passive-type DSF were considered the design factors, and the output responses were defined using the weight and strength performances. The design of the experimental methods applied i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inimum weight design and the sensitivity evaluation were the orthogonal array design, Box- Behnken design, and Latin hypercube design. A response surface method was generated for each design of the experiment to evaluate the approximation performance of the design space explora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and the accuracy characteristics of the approximation were reviewed. Regarding the minimum weight design, the design results, such as numerical costs and weight minimization, of the experimental design for the best design case, were evaluated. The Box- Behnken design method showed the optimum design results for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passive-type DSF.",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00 톤급 해양플랜트 상부구조물(Topside)의 플로트오버 설치작업을 위해 개발된 수동형 갑판 지지 프레임(Deck support frame)의 구조설계에 대해 다양한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최소중량설계와 민감도 평가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동형 갑판 지지 프레임의 주요 구조부재의 두께 치수 변수는 설계인자로 고려하였고, 응답치는 중량과 강도성능으로 선정하였다. 최소중량설계와 민감도 평가의 비교연구에 사용한 실험계획법은 직교배열설계법, Box-Behnken 설계법, 그리고 Latin hypercube 설계법이다. 실험계획법의 설계공간 탐색의 근사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표면법을 각 실험계획법 별로 생성하여 근사화 정확도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최소중량설계를 위해 최상 설계안의 결과로 부터 실험계획법의 특성에 따른 수치계산 비용, 중량감소 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수동형 갑판 지지 프레임의 구조설계에 대해 Box-Behnken 설계법이 가장 적합한 설계 결과를 나타내었다."} {"id": "JAKO20210965116271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16.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variability in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PSP) by the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catenella (Group I) was analyzed under a variety of water temperatures and salinities. This dinoflagellate experienced optimum growth at temperatures and salinities of 20~30℃ and 20~30 psu, resp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catenella is an eurythermal and euryhaline organism. High toxin contents and toxicities were observed at low temperatures (10 and 15℃), where they were associated with low growth rates; salinity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oxicity parameters. Therefore, it is likely that A. catenaella contributes to the rapid intoxication of commercial bivalve when temperatures are ≤15℃. To better estimate PSP caused by A. catenalla, we suggest that the influence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controlling PSP should persist with other A. catenella stains and commercial bivalv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 다양한 수온과 염분 조건에서 유독와편모조류 Alexandrium catenella(Group I)의 생장과 함께 마비성패독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A. catenella의 수온과 염분 최적생장은 각각 20~30℃과 20~30 psu였으며, 광온성과 광염성종으로 나타났다. A. catenella는 낮은 수온 구간(10℃와 15℃)에서 독함량과 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염분에 따라서는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15℃이하의 수온에서 본 종주와 같은 생리적인 특성을 가진 유독와편모조류가 우점한다면, 이매패류는 빠르게 독화될 가능성이 있다. 향후 A. catenella의 출현에 따른 마비성패독 예찰·예보를 위해 다양한 환경변화에 따른 A. catenella의 다른 종주와 상업적인 이매패류 독화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965116267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75.pdf", "abstract_en": "In the event of a marine pollution accident, Korea, which is bordered by the sea on three sides, would suffer tremendous damag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marine pollution accidents in Korea, most pollutants were small fishing boats and tugboats. In particular, urgent safety measures are required due to the high incidence of marine pollution accidents caused by stranded tugboats. This study aims to decrease secondary marine pollution accidents by preparing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by stranded tugboats,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accidents. To this e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mark 63 locations where stranded accidents have occurred on the GPS plotters of 61 tugboats operating in Boryeong sea area. Its effectiveness was then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tranded accident by the subject ship during the 20-month experiment period. As a result of survey of the captains, 36 out of 40 respondents (90%) stated that the experiment was significantly helpful in ensuring safe navigation, thus confirming its effectiveness. Various measures were proposed to prevent stranded accidents, including providing information to manufacturers and users by marking the location of grounded accidents on GPS plotters and po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unknown reefs on the official website of institution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abstract":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하면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국내 해양오염사고를 분석한 결과 오염원 대부분이 소형어선과 예인선이었으며 특히, 예인선의 좌초에 의한 해양오염사고 발생률이 높아 시급한 안전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오염사고의 주요 오염원인 예인선에 의한 좌초사고 예방방안을 마련함으로써 2차적으로 발생 가능한 해양오염사고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보령해역을 운항하는 예인선 61척의 GPS 플로터에 과거 좌초사고 발생위치 63개소를 표시하고 선장들에게 표시된 좌초위치를 주의하여 확인하면서 운항하도록 하는 실험을 하고 효과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20개월의 실험기간 동안 피험선박에 의한 좌초사고 발생이 한 건도 없었고 선장대상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40명 중 36명(90%)이 안전항해에 상당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실험 효과가 검증되었다. 실험결과를 적용하여 GPS 플로터에 좌초사고 위치표시 및 알려지지 않은 암초 위치정보를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사 및 사용자에게 정보제공 방안 제안 등 다양한 좌초사고 예방에 관한 정책제언을 하였다."} {"id": "JAKO20210965116270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05.pdf", "abstract_en": "When oil tankers, large passenger ships and cargo ships sink under the sea owing to various maritime accidents, the residual cargo oil or fuel oil in the such vessels could pose direct risk to factor for the marine environment and it require safe and rapid removal. Although domestic and foreign salvage companies are adopting various recovery methods and technologies with customizations according to each site during recovery operations studies on reasonable assessment modules for the operation process are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data from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s performed at different site condi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designed an operation assessment module, define the operational process steps in terms of preparation, implementation and completion, and derive key factors for each detailed process. Subsequently, the module was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construct performance indicators to assess these key factors. In order to exclude subjective opinions from the assessment as much as possible, the assessment each item was constructed with indicators based on data that could be evaluated quantitatively and its usefulness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module to the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 cases. We expect this the method and the technology assessment module for the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 on sunken vessels will help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trapped-oil recovery such operation before or after.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assessment data and feedback from past or future operation cases will contribute toward enhancing the overall safety, efficiency and field applicability of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 "abstract": "각종 해양사고로 인해 유조선, 대형 여객선 및 화물선 등이 해저에 침몰하는 경우 선적된 화물유 또는 연료유는 해양환경에 대한 직접적 위험요소로서 안전하고 신속한 제거가 요구된다. 침몰선 잔존유 회수작업에서는 국내외 구난업체가 현장여건을 반영하여 다양한 방법 및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나 작업과정 전반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모듈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비교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잔존유 회수작업 평가모듈 설계를 목적으로 상이한 작업환경에서 수행된 작업사례들의 자료를 조사하여 작업과정 단계를 사전준비, 작업실행, 작업완료 단계로 구분한 후 세부공정별 핵심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이 핵심요인들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들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평가모듈을 설계하였다. 평가에서 특정인의 주관적 의견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최대한 계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 지표들로 평가항목을 구성하였으며, 잔존유 회수작업 사례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일부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침몰선 잔존유 회수작업 방법 및 기술 평가모듈을 각 회수작업의 사전 또는 사후 적정성을 검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과거 또는 미래의 여러 작업사례 평가데이터 축척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잔존유 회수작업 전반에 대한 안전성, 효율성, 현장적용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id": "JAKO20210965116275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51.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n analysis technique using static condensation is proposed for an efficient local nonlinear static analysis. The static condensation method is a model reduction method based on the degrees of freedom, and the analysis model is divided into a target part and a condensed part to be omitted. In this study, the nonlinear and linear parts were designated to the target and the omitted parts, respectively, and both the stiffness matrix and load vector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art were condensed into the nonlinear part. After model condensation, the reduced model comprising the stiffness matrix and the load vector for the nonlinear part is constructed, and only this reduced model was updated through the Newton-Raphson iteration for an efficient nonlinear analysis. Finally,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proposed analysis technique were presented by applying it to various numerical exampl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부 비선형 정적 해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강성응축(Static condensation)을 활용한 해석기법을 제시하였다. 강성응축기법은 자유도 기반의 유한요소 모델 축소기법이며, 해석 모델을 관심 대상(Target) 부분과 응축되어 생략될(Omitted) 부분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심 대상 부분에는 비선형 영역, 생략될 부분에는 선형 영역으로 지정하였고, 선형 영역에 대응되는 강성 행렬 및 하중 벡터를 비선형 영역, 즉 관심 대상 부분으로 모두 응축하였다. 모델 응축 후에는 비선형 영역에 대한 강성 행렬 및 하중 벡터만으로 이루어진 축소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이 축소 모델만을 뉴턴-랩슨 반복(Newton-Raphson iteration)을 통해 갱신하여 효율적으로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끝으로, 제안된 기법을 다양한 수치 예제에 적용하여 해석기법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246186356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3560.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relevance of Oriental Storks and school wetland biotope, and to explore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s using them.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the history encompassing the extinction and restoration of resident Oriental Storks and the utilization of school wetland biotope, were considered, and the meaning and conn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derived. Based on this, planned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7 steps reflecting the core elem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pecific learning material of an Oriental Stork and the specific place of a wetland biotope as a school facility were linked to provide experience and practice. In conclusio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oexistence with nature can be promoted, and the specificity and systematicity of contents can be secured.",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황새와 학교 습지 비오톱이 갖는 관련성을 탐구하고, 이를 활용하여 환경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텃새 황새 멸종과 복원에 이르는 역사 및 학교 습지 비오톱의 활용성을 고찰하고 환경교육에서 갖는 의미와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전체학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방안을 강구하였다. 프로그램은 환경교육 핵심요소를 반영하여 총 17차시로 구성되었으며, 황새라는 구체적인 학습소재와 학교시설로서 습지 비오톱이라는 구체적인 장소를 연계하여 체험과 실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과의 공존을 추구하는 환경교육을 도모하고, 내용의 구체성과 체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5850392169",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850392169.pdf", "abstract_en": "With the Korean University Resource United System (KORUS) opening in 2017, the national university's record management system has been turning into a unit task-oriented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Based on the administration system operated in a standardized manner, national universities can produce and manage university records based on business transaction cards. In the process, the standard business transactions for universities' common tasks were developed and operated for collabor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national university classification system's current operating status and problems, focusing on common unit tasks.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record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university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operating status were analyzed.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is suitable for use as a record management too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on the national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which can function as a record classification and appraisal tool.", "abstract": "2017년 국립대학자원관리시스템(KORUS)이 개통되면서 국립대학의 기록관리체계도 단위과제 중심의 기록관리기준표 분류체계로의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국립대학은 표준화된 방식으로 운영되는 행정시스템을 기반으로 업무처리 과정을 단위과제카드를 중심으로 기록물을 생산·관리하게 되었다. 특히, 협업과 정보공유를 위해 대학의 공통 업무에 일관된 관리기준을 부여하는 공통 단위과제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국립대학에서 사용하는 기록물 분류체계의 운영현황과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공통 단위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국립대학 기록물의 특성과 분류체계 개발 경과,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기록관리기준표가 기록관리 도구로의 역할을 이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기록분류 도구이자 평가와 검색도구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15850391169",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850391169.pdf", "abstract_en": "Beyond being mere administrative products for their functional running, records produced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and arranged voluntarily by citizens are memories of civil society. Online information services are expanding in the archives sector, but it is not easy to provide services with a limited budget from activist NGOs. Besides, there has never been a case study of information services for NGOs, resulting in a lack of basic data. Therefore, this study surveyed the status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of 5,725 NGOs that have a UN Economic and Social Council (ECOSOC) consultative status. Furthermore, it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10 selected NGOs to contribute to preserving civil society activities and promoting the use of their rec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75 out of 5,725 NGOs had physical and digital archives. Second, domestic NGOs must supplement their policy of accessing and using physical records and operate 1:1 inquiries and Q&A services to provide active record information services. Overseas NGOs must consider expanding online full-text and outreach services using records. Third and last, NGOs that have difficulty providing records information services should consider the services from an integrated standpoint according to the field of activities and transfer.", "abstract": "시민의 자발적 동기로 조직된 NGO가 생산하는 기록은 시민 사회의 기억이며, 단순한 행정의 산물을 넘어 조직의 존립을 위한 증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NGO의 체계적 기록관리를 위한 토대가 되고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참고자료로 기능하여 시민 사회 활동을 보존하고 기록 이용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UN 경제사회이사회의 협의적 지위를 부여받은 국내외 5,725개의 NGO를 대상으로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이 중 10개의 NGO를 선정하여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심층 분석하였다. 조사의 결과 실물 및 디지털 아카이브를 제공하는 NGO는 모두 75개로 NGO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는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 분석 결과 국내 NGO는 실물 기록의 접근, 기록물 이용 지침을 보완하고 1:1 문의, Q&A, 연구 및 교육 지원 등의 서비스를 운영하여 적극적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 NGO는 온라인 전문 열람 서비스를 확대하고 기록물을 활용한 확장 서비스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체 기록정보서비스가 어려운 NGO는 기록의 이관 및 활동 분야별 통합 기록정보서비스 운영의 고려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5850387167",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850387167.pdf", "abstract_en":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Korea build and service archive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ase of an archivist who has performed the archive construction work of the Seoul Museum of Korean Folk Music from 2020, focusing on relic organization (listing, metadata definition, digitization, application of preservation products, etc.). The article shares an account of the promotion process and can serve as a guide for those conducting archive work in other organizations.", "abstract": "국내 많은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기관에서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이글은 기록관리 전문가로서 2020년부터 서울우리소리박물관의 아카이브 구축업무를 수행한 사례를 유물 정리(목록 작성, 메타데이터 정의, 디지털화 및 보존용품 적용 등)에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추진과정에서 느꼈던 점을 공유함으로써 다른 기관에서 아카이브 업무를 수행해 나가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 위해 작성하였다."} {"id": "JAKO202115850390168",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850390168.pdf", "abstract_e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oral historical records are for creating and utilizing knowledge of national heritage and promoting the value of local culture. Furthermore, one of the missions of the pubic libraries is to realize the general utilization of records by reexamining people's lives and employing oral historical records to preserve their rights and benefit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through literature review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ublic library staff to gather detailed opinions on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discussions concluded in this study, establishing policies and manuals for oral records management, sufficient professional workforce,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staff development in collecting, preserving, recording and managing oral historical records, public relations strategies, and preparation of a long-term preservation environment for thorough digitalization we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llection, utiliza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abstract": "구술기록의 보존과 관리는 국가 유산의 지식 창출과 활용이면서 지역 문화의 가치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 공공도서관은 구술사를 통해 국민의 삶을 재조명하고 그들의 기록을 수집, 활용, 보존해야 하는 사명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관리에 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문헌연구와 현재 구술기록을 수집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담당자의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술기록물 관리를 위한 정책과 매뉴얼 수립, 공공도서관 업무 담당자들의 구술기록물 수집·활용·보존·관리에 대한 전문 능력을 고양시키는 개별 교육프로그램 마련, 지역의 구술사를 활용한 홍보 전략의 개발, 구술기록물 보존을 위한 장기적 환경 마련 및 활용 다각화, 구술기록물의 수집·활용·보존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전문인력 배치를 제안하였다."} {"id": "JAKO20212386177332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861773326.pdf", "abstract_en": "Objective : This study is to know how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affect the relational aggression's perception. Methods : I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s perception through a survey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For data collection, 148 of 165 questionnaires, excluding 17 questionnaires with missing questionnaire and middle-level abandonment,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negative and bullying behaviors, and controlled variables were general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depending on the length of a care faci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the period of admission, the presence of spouses, and the level of econom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relational aggression perceptions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Fourth,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ffected the recogni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percep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facilitie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ffected the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perception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abstract": "목적 : 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내·외 통제성이 시설의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 시설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내·외 통제성과 관계적 공격성 인식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 165부를 배부하여 결측지와 중도포기 17부를 제외한 총 148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독립변인은 내·외 통제성의 내적 통제성과 외적 통제성, 종속변인은 부정적 행동과 괴롭힘 행동의 관계적 공격성, 통제변수는 노인의 일반사회학적 특성으로 구성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시설 거주기간에 따라 내·외 통제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수준과 입소기간, 배우자의 유무, 경제수준에 따라 관계적 공격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내·외 통제성에 따른 관계적 공격성 인식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내·외 통제성은 관계적 공격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시설거주 노인의 내·외 통제성과 관계적 공격성 인식은 차이가 있고 내·외 통제성에 따라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인식도 차이가 있으며 내·외 통제성은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인식수준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2386177432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861774326.pdf", "abstract_e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caused by COVID-19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Methods : From May 27 to June 26, 20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35 universities among 62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nationwide. General characteristics, COVID-19 related characteristics, OBQ and WHOQOL-BREF were used to evaluate and analyze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The SPSS/PC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system(years), class, life pattern, quality of life, personal and public schedule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interested in occupational bal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balance(OBQ) and quality of life(WHOQOL-BREF), 'Hobby', 'new hobbies after COVID-19', 'life patterns',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maintenance of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people who have changed their lives due to COVID-19 are interested in work balance, and the better they maintain their work balance and emotional well-being, the higher the work balance and quality of life,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 balance and quality of life was confirmed. This will be the basis for studies related to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an improve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in a time when social isolation is easy due to the COVID-19 epidemic.",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예비 작업치료사인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작업균형과 삶의 질 변화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20년 5월 27일부터 6월 26일까지 전국 62개의 작업치료(학)과 중 총 35개의 대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COVID-19 관련 특성, OBQ, WHOQOL-BREF를 사용하여 작업균형과 삶의 질을 평가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PC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 독립-t검정 및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작업균형 관심 유무에 따라 학제, 수업, 생활패턴, 삶의 질, 개인일정 및 공적 일정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id": "JAKO20212386177532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861775327.pdf", "abstract_e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al operation platform by collecting expert opinions so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can use continuing education well as a means to become professional occupational therapists in a particular field. Methods :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with 23 experts on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in common areas, elderly or dementia, community-based, physical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in 2019 and 2020. The first Delphi investigated the suitability of the course as a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 level of education. In the second Delphi, we derived the final platform by verifying its suitability with verification of its content validity. Results : As a result, 87 items were derived for common areas, 53 items for elderly or dementia, 66 items for community-based, 66 item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85 item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ain contents included the expertise need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the role in various fields, the solution of difficulties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topic of preparing for the future. Conclusion :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presenting an educational operation platform for training professional occupational therapists as a basic study. It is hoped that the optimal education operation platform will be developed to strengthen professional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fficiently through future research.", "abstrac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가 전문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수교육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체계적인 교육운영 플랫폼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2019년과 2020년에 시행한 공통영역, 노인치매, 지역사회, 신체재활, 발달장애 영역의 보수교육 강좌에 대하여 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1차 델파이에서는 해당 강좌의 전문 보수교육으로서의 적합성 여부와 적절한 교육 수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차 델파이에서는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최종 플랫폼을 도출하였다. 결과 : 최종적으로 공통영역은 87항목, 노인치매는 53항목, 지역사회는 66항목, 신체재활은 66항목, 발달장애는 85항목을 도출하였다. 주요 내용은 작업치료사들에게 필요한 전문지식, 다양한 분야에서의 역할과 임상에서 많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해결, 미래를 준비하는 주제 등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기초연구로서 전문적 작업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운영 플랫폼을 제시한데 의미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료사들이 전문역량을 효율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최적의 교육운영 플랫폼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id": "JAKO20211515321039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210396.pdf", "abstract_en": "The educational field is also changing according to the change to the fourth industry. This is a new teaching method, and as performance evaluation is widely used, interest in the fairness of evaluation is also increasing. Students are interested in whether they are being evaluated fairly and examine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evaluation, which affects their confidence in evalua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fairness of K University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distribution fairness, procedural fairness, and interaction fairness, and examined through interviews. From the results, measures such as factors that hinder the fairness of evaluation and efforts to improve were derived.", "abstract": "교육현장에 불고 있는 4차 산업 시대로의 전환은 인재상과 더불어 교육의 내용과 형식에서 전방위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교수방법으로서 수행평가 등이 활용되면서 그에 따른 평가 공정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는 평가는 평가를 받는 주체인 학습자와 평가를 수행하는 교수자의 상호적 관계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평가를 받는 학습자의 평가에 대한 인식과 반응으로, 자신이 평가받는 방법과 기준 등이 얼마나 공정한가 관심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평가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교육현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에 재학생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법(FGI)를 통해 대학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평가 공정성과 평가 공정성을 저해하는 요소,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평가 공정성의 분배, 절차,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가 공정성의 분배 공정성의 주요 내용으로 문항의 타당도, 교과별 족보, 무임승차의 발생, 팀 구성의 측면, 절차 공정성의 주요 내용으로 평가방법의 안내, 객관적 평가기준 개발, 평가기준의 제시가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공정성의 주요 내용은 과정평가에서의 피드백, 결과 평가의 피드백이 나타났다. 이들 평가 공정성의 유형(분배, 절차, 상호작용)에서 공정성을 저해하는 요인과 개선하기 위한 노력 및 방안을 도출하고, 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515317537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75377.pdf", "abstract_en": "Although some of universities currently try to reform the NCS-based curriculum, the performance of using NCS is not satisfactory, and therefore, it is not easily connected with the field. This paper verifie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curriculum of health promotion and health policy to reflect the current NCS, by exploring whether NCS ability units can be applied to it in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uture demand of health and medical industry and develop additional curriculum for non-standard jobs in the NCS-curriculum.", "abstract": "현재 4년제 대학의 경우 NCS 기반 교과과정을 개편하려는 시도가 일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NCS 활용 성과가 미진하여 현장 연계가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4년제 대학 보건학 전공 교육과정에 NCS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 현재 건강증진, 보건정책 등의 전공에 NCS 능력단위를 매핑하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보건의료산업 수요를 파악하고 NCS 기반 교육과정에 표준화되지 않은 직무에 대하여 추가적인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id": "JAKO20211515320239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202391.pdf", "abstract_en": "Recently,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education and meetings are changing to keep social distance due to Corona 19. However, due to sudden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method, security problems such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the platform that is lacking in safety, leakage of meetings and training materials, and obstruction of classes and meetings through abnormal connections is occurring. In this paper, we focus on network packets using Wireshark to security in the ZOOM, Teams, and Google Meet environments used by most online education platforms.", "abstract":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로 교육, 회의 등의 의사소통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소통 방식의 변화로 인해 안전성 부분에서 부족한 플랫폼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회의 및 교육자료 유출, 비정상적인 접속을 통한 수업 및 회의 방해 등의 보안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중 대다수가 사용하는 ZOOM, Teams, Google Meet 환경에서 와이어샤크를 이용한 네트워크 패킷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각 플랫폼의 보안성 문제를 확인하였다."} {"id": "JAKO20211515315436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54365.pdf", "abstract_en":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imate the latent classes of non-face-to-face lectures satisfa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on these latent profiles. In order to do this, data from the data 658(406 male students and 252female students) of K-University was used.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distinct latent classes of student's non-face-to-face lectures satisfaction were found. These classes were named 'high-level satisfaction group', 'intermediate-level satisfaction group', 'low-level satisfaction group' and 'mixed-level satisfaction group'. Second, chi-square analysis indicated that gender, school life satisfaction, grade and evaluation method were significant factors. In other word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most frequently distributed in the 'low-level satisfaction group', and the second grade was the most common in the 'intermediate-level satisfaction group' and the other grades were the most in the 'low-level satisfaction group'. In addition, the most suitable evaluation method for online lectures was 'face-to-face evaluation'. Recommendations focus-group interview and longitudinal study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bstract": "본 연구는 K대학교 학생들의 비 대면 강의만족도에서 이질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각 잠재계층별 특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대학교 학생 658명(남학생 406명(61.7%), 여학생 252명(38.3%))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 대면 강의만족도에서의 잠재계층을 확인한 결과 4개('고만족집단', '중만족집단', '저만족집단', '혼합만족집단')의 이질적인 계층으로 구분되었으며, 4개의 잠재계층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성별, 학년 그리고 온라인수업에서의 평가방법에서 계층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즉, 남녀 학생 모두 '저만족집단'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2학년은 '중만족집단'에 그 외 학년은 '저만족집단'에 가장 많았다. 또한, 온라인 강의에 적합한 평가방법으로는 '대면평가'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계층에 따른 특성을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표적집단인터뷰나 종단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515313735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37356.pdf", "abstract_en":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students on course with IT practice based on expectancy-value theory, and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course with IT practice for non-IT major students.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via online from 102 students who took course with IT practice, and response data was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4 main categories (perceived difficulty, expectation, value, cost) and 8 subcategories (unfamiliar terms, unfamiliar software, difficulty in mathematical concepts and thinking, low efficacy, intrinsic value, attainment value, utility value, long time required for learning) were revealed, and we provided educational suggestions that help to enhance IT practice learning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students (non-IT major students).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students based on expectancy value theory from the learner perspective, and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 via suggesting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substantive educational field based on the revealed students' perceptions.", "abstract": "본 연구는 IT 비전공자인 경영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IT 실습 교과목에 대한 인식을 기대 가치 이론에 기반하여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IT 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10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질적 내용 분석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인식을 선행연구와 연결하여 밝혔다. 분석 결과, 총 4개의 상위범주 (난이도 인식, 기대, 가치, 비용) 에 8개의 하위범주(생소한 용어, 생소한 소프트웨어, 수학적 개념과 사고의 어려움, 낮은 효능감, 내재적 가치, 성취 가치, 활용 가치, 많은 시간 소요)의 인식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경영학 전공 대학생들의 IT 실습 교과목 학습을 도울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습자 관점에서 비전공자의 IT 실습 교과목에 대한 인식들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도출한 인식들을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질적 시사점이 있다."} {"id": "JAKO20211515316837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68373.pdf", "abstract_en":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university extra-curricular activities, identifying the needs of actual users, the students, are essential. This research implemented the revised IPA based on Kano's Three-Factor Theory to explore efficient operation plan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is purpose, universities actively opera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chos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operated by school\"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lead by student\" were categorized. The importance and resul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participated in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revealed the language extra-curricular activities operated by school were considered fundamental, essential, and necessary. Art, physical education, and volunteer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lead by the students found out to be unexpectedly attractive and heartwarming.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determine the policy direction of university extra-curricular activities by defining the needs of students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looking into what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find attractive.", "abstract":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이 원하는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Kano의 3요인 이론에 기반한 수정된 IPA를 적용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탐색하였다. 이에 비교과가 활성화된 대학을 선정하여 \"대학이 운영하는 비교과 프로그램\"과 \"학생이 주도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속성별로 구분하고, 학생들이 참여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도와 성과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이 운영하는 외국어 비교과 프로그램은 기본적이고 당연히 갖추어야 하는 꼭 필요한 속성이고, 학생이 주도하는 예체능, 봉사 비교과 프로그램은 기대하지 않았지만 충족 시 감동을 유발하는 매력적인 속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학생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살펴 대학 비교과의 정책적 방향 결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d": "JAKO20211515312535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25350.pdf", "abstract_en": "This paper proposes the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of flipped-learning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The flipped learning is a framework for learner centered education, and by designing the effective learning procedure, it is possible to get the various effects of flipped learning, such as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ultivation of competencies necessary for future society. We suggest several consider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specified to online based flipped learning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As a method, we proposed a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design and application plan of K university,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through actual class applic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applying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classes were presented.", "abstract": "플립러닝은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프레임으로서 적절한 교수설계 및 수업 적용을 통해 학업성취도 향상 및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 함양에 효과적임이 검증되어 왔다. 그러나 2020년, COVID-19로 인한 갑작스런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자 중심 수업이 증가하게 되면서 비대면 상황에서의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 수업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대면 수업상황에서의 플립러닝 설계 및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플립러닝을 신교수법 교육모델로 적용하고 있는 K대학교의 비대면 플립러닝 설계 및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고, 실제 수업 적용을 통한 효과성 및 제한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 적용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515311734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17346.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domestic mid-sized companies and to use it as an objective basis for digital transformation promotion plans. A questionnaire was formed and distributed to 200 domestic mid-sized companies and received responses from 150 companies. Looking at the main results, 79 companies (52.6)% of the 150 companies responding to the survey are pursu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areas for digital transformation are business process and facility automation, expansion of existing facilities, etc. (53.2%), manufacturing process big data/ AI-based smartization (43.0%) appeared in the order. The area of support required to promote digital transformation of domestic mid-sized companies was the highest in the expansion of financial support tailored to mid-sized companies (56.0%). 46.7%) was the highes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celerat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strengthening global market competitiveness by presenting policy suggestions for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of domestic mid-sized compan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중견기업의 디지털전환 현황을 살펴보고 디지털전환 촉진 방안의 객관적인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국내 중견기업 200개 기업에 설문지를 구성, 배포하여 150개 기업에서 응답을 받았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설문 응답 기업 150개 기업 중에서 79개 기업(52.6)%이 디지털전환을 추진하고 있고 디지털전환 추진분야는 업무프로세스 및 설비 자동화, 기존 설비 확장 등(53.2%), 제조공정 빅데이터/AI 기반 스마트화(43.0%)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중견기업의 디지털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분야는 중견기업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56.0%)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구성원들의 디지털전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필요한 조직 차원의 지원분야는 기술개발 역량교육(46.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설문결과를 토대로 국내 중견기업의 디지털전환 촉진 방안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국내 중견기업이 디지털전환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시장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515320339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203392.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mpetencies that peer tutors should possess in activities that promot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mprovement for their tutees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m at the K-university. To do so, we first conducted extant literature review and obtained expert consultation to identify relevant competencies of peer tutors. Second, the needs analysis using t-test, Borich needs,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implemented to prioritize educational needs for peer tutor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동료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학업향상을 촉진하는 활동을 수행하는 또래교수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교육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교수의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 등을 실시하였다. 둘째, 또래교수의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산출하기 위해 t-검증, Borich 요구도, The Locusfor Focus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515315336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53365.pdf", "abstract_en": "The app service provides a travel destination recommendation system with a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system and a route-based travel recommendation service. It describes how to implement app service, especially, how to interlock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system with JWT and Rest API. A user can be offered the other user who has the most similar destination list and the destinations which is selected by the other user(similar) and isn't selected by the user. App service provides the most efficient route to tour the user's determined wish list and recommended destinations. Various services are provided for efficient information gathering of users planning train trips.", "abstract": "협업 필터링 추천 시스템을 적용한 여행지 추천 시스템과 사용자가 선택한 경유지 기반 여행 경로 추천 서비스를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으로 제공한다. JWT와 Rest API를 사용하여 앱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며, 특히, 협업 필터링 추천 시스템과 서비스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사용자가 본인의 희망 여행지를 결정하면 선택한 희망 여행지 목록을 비교하여 가장 비슷한 유저를 찾아낸다. 사용자는 본인과 가장 비슷한 희망 여행지 목록을 가진 유저의 또 다른 여행지를 추천받는다. 본 앱 서비스는 사용자의 희망 여행지 목록과 추천 여행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순회할 수 있는 여행 경로를 자동 생성하여 제공한다. 기차 여행을 계획하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id": "JAKO202113759910007",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0007.pdf", "abstract_en": "The Hyeongjeseom (Islet) is an erosional remnant of volcano which is located about 2 km northeast of sea shore of the Songaksan tuff ring, and is composed of volcaniclastic deposit, agglomerate and scoria deposit, ponded lava, aa lava flows, reworked deposit and beach deposit in ascending order from the base. The volcano is formed by volcaniclastic deposits and lava flows that recorded a transition from initial phreatomagmatic to magmatic explosions followed by lava effusion. It is interpreted that the outcropped volcaniclastic deposit may be a remaining portion of outer ring of a tuff cone. A bomb and a ponded lava yield geochemically basaltic trachyandesite compositions (SiO2 51.3 wt%, Na2O+K2O 6.0 wt%) and belong to olivine basalt with scarce (<5 %) phenocrysts of olivine, petrographically. By incremental heating Ar-Ar dating method, the plateau age of lava flow in the Heongjesom is 9.2±3.6(2σ) ka, implying that the volcanism of Heongjeseom may have occurred earlier than the Songaksan tuff ring which erupted ca. 3.7 ka. It still remains a task to find a volcano which matches with a historical record of volcanic activity that occurred a thousand years ago.", "abstract": "형제섬은 송악산에서 북동쪽으로 약 2 km 떨어진 해상에 위치한 침식 잔존 화산체로서, 하부로부터 화산쇄설층, 집괴암 및 분석층, 분화구 용암, 아아 용암류와 이를 피복하는 재동퇴적층과 해빈퇴적층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형제섬 화산체는 초기 증기 마그마성에서 후기 마그마성 분출과 용암분류로 변화한 화산분화를 기록하고 있는 분출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두로 남아있는 화산쇄설층은 응회구의 외륜 일부로 해석된다. 화산탄과 분화구 용암류는 현무암질 조면안산암의 조성(SiO2 51.3 wt%, Na2O+K2O 6.0 wt%)이며 감람석 현무암류에 해당한다. 단계별 가열에 따른 Ar-Ar 연대측정법에 의한 형제섬 용암류의 플래토 연대는 9.2±3.6 ka로서, 약 3천 7백 년 전의 분화 기록을 가지고 있는 인접한 송악산 화산체보다 앞서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여전히, 약 천 년 전 화산분화의 역사 기록에 부합되는 화산체를 찾는 숙제가 남는다."} {"id": "JAKO202113759909997",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997.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one of th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s, VELAS, was used to analyze the variation of hydrologic elements based on water balance analysis to evaluate the groundwater recharge in more detail than the annual time scale for the past and future.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Yanggok-ri, Seobu-myeon, Hongseong-gun, Chungnam-do, which is very vulnerable to drought. To implement the VELAS model, spatial characteristic data such as digital elevation model (DEM), vegetation, and slope were established, and GIS data were constructed through spatial interpolation on the daily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average wind speed, and relative humidity of the Korea Meteorological St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nnual precipitation was 799.1-1750.8 mm, average 1210.7 mm, groundwater recharge of 28.8-492.9 mm, and average 196.9 mm over the past 18 years from 2001 to 2018 in the study area. Annual groundwater recharge rate compared to annual precipitation was from 3.6 to 28.2% with a very large variation and average 14.9%. By the climate change RCP 8.5 scenario, the annual precipitation from 2019 to 2100 was 572.8-1996.5 mm (average 1078.4 mm) and groundwater recharge of 26.7-432.5 mm (average precipitation 16.2%). The annual groundwater recharge rates in the future were projected from 2.8% to 45.1%, 18.2% on average.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water balance were well correlated with precipitation, especially in the annual data rather than the daily data. However,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seems to be more affected by other climatic factors such as temperature. Groundwater recharge in more detailed time scale rather than annual scale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groundwat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if precipitation are severely varied by time, such as droughts or floods.", "abstract": "본 연구는 과거와 미래의 연 단위보다 상세한 일단위 지하수 함양량을 평가하기 위해, 분포형 수문모형중의 하나인 VELAS를 이용하여 물수지에 근거한 수문요소별 변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뭄에 매우 취약한 충남 홍성군 서부면 양곡리 일대 소유역을 대상으로, VELAS의 입력자료인 수치표고모델, 식생도, 경사도 등의 공간특성자료를 구축하였고, 기후자료는 기상청의 일별 대기온도, 강수, 평균풍속, 상대습도 등의 자료를 공간적으로 보간하였다. 연구지역의 과거 2001년부터 2018년까지 18년 동안 일단위 물수지 분석결과, 연간 강수량은 799.1~1750.8 mm로 평균 1210.7 mm이고, 지하수 함양량은 28.8~492.9 mm로 평균 196.9 mm로 분석되었다. 연 강수량 대비 지하수 함양률은 최소 3.6%에서 최대 28.2%로 변동폭이 매우 크고, 평균 함양률은 14.9%였다. 미래 기후변화 RCP 8.5시나리오에 의한 2019년부터 2100년까지의 일단위 물수지 분석결과, 연간 강수량은 572.8~1996.5 mm(평균 1078.4 mm)이고, 지하수함양량은 26.7~432.5 mm, 평균 174.6 mm(평균 강수량의 16.2%)로서 과거보다 다소 증가하였다. 미래 연간 지하수 함양률은 최소 2.8%, 최대 45.1%, 평균 18.2%로 분석되었다. 물수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강수량과의 상관성이 잘 나타나며, 일단위보다는 연단위로 갈수록 그러한 상관성이 뚜렷했다. 다만, 증발산량은 강수량보다는 기온 등 다른 기후요소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산정된 연단위 보다 상세 시간 단위에서의 지하수함양량은 가뭄 또는 홍수 등 시기별로 강수량 변동이 심한 경우 지하수개발과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759910036",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0036.pdf", "abstract_en": "The Imjingang Belt in the middle-western Korean Peninsula has tectonically been correlated with the Permo-Triassic Qinling-Dabie-Sulu collisional bel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cratons in terms of collisional tectonics. Within the belt, crustal-scale extensional ductile shear zones that were interpreted to be formed during collapsing stage with thrusts and folds were reported as evidence of collisional events by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eformation along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belt in the Munsan area based on the interpretations of recently conducted structural analyses. To figure out the realistic geometry of the study area, the down-plunge projec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geometric 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al elements from the detailed field investigation. We also conducted kinematic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observed shear sense indicators from the outcrops and the oriented thin-sections made from the mylonite samples. The prominent structures of the Munsan area are the regional-scale ENE-WSW striking thrust and the N-S trending map-scale folds, both in its hanging wall and footwall areas. Shear sense indicators suggest both eastward and westward vergence, showing opposite directions on each limb of the map-scale folds in the Munsan area. In addition, observed deformed microstructures from the biotite gneiss and the metasyenite of the Munsan area suggest that their deformation conditions are corresponding to the typical mid-crustal plastic deformation of the quartzofeldspathic metamorphic rocks. These microstructural results combined with the macro-scale structural interpretations suggest that the shear zones preserved in the Munsan area is mos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S trending map-scale folds that might be formed by flexural folding rather than the previously reported E-W trending crustal-scale extensional ductile shear zone by Permo-Triassic collision. These detailed examinations of the structures preserved in the Imjingang Belt can further contribute to solving the tectonic enigma of the Korean collisional orogen.", "abstract":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한 임진강대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에 북중국판과 남중국판이 충돌하여 형성된 친링-다비-술루 대륙충돌대와 지구조적으로 대비되고 있는 지역으로, 지각규모의 전단대, 트러스트 및 습곡 등의 충돌조산운동 관련 지질구조들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경기육괴와 접하는 임진강대의 남쪽 경계지역인 문산지역에서 수행한 구조지질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이 지역에서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대륙충돌로 형성된 조산대 후기 붕괴 단계에 형성된 것으로 제안되었던 지각규모 신장성 경기전단대의 존재와 변형 특성에 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야외조사를 통해 획득한 지질요소 자료를 바탕으로 문산지역의 구조기하학적 형태를 해석하였고, 노두 및 박편 상에서 확인한 전단감각 지시자로부터 암석 이동과 관련된 키네마틱스를 해석하였다. 이 지역의 가장 주된 지질구조는 동북동-서남서 주향의 광역규모 임진강단층의 상반 및 하반에 발달한 대략 남-북 주향의 힌지를 가지는 지질도규모의 습곡이다. 이 습곡에 대한 키네마틱스 해석 결과는 전단감각들이 습곡의 힌지를 중심으로 양쪽 익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대략 동쪽 내지 서쪽을 향함을 지시한다. 또한 문산지역 흑운모편마암과 변성섬장암의 광물 미세변형구조 관찰 결과로부터 유추한 암석의 변형조건은 전형적인 석영-장석질 암석들의 중부지각 소성변형조건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획득한 문산지역의 구조기하, 키네마틱스 및 미세구조 분석결과는 이 지역에 발달한 전단대가 기존 연구들에서 제안된 대륙충돌 후기에 형성된 지각규모의 신장성 경기전단대보다는, 요굴습곡작용에 의한 지질도규모 습곡의 발달과 관련된 전단운동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제안한다. 이와 같은 임진강대 내 대륙충돌의 증거들에 대한 상세한 구조지질학적 검증은 향후 한반도 충돌조산운동에 있어 임진강대의 지구조적 역할에 대한 난제들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759910012",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0012.pdf", "abstract_en": "The Sebyeonggwan Hall (National Treasure No. 305) is located on the Naval Headquarter of Three Provinces in Tongyeong, and it has partly undergone with several rebuilding, remodeling, repairing and restorations since it's the first establishment in Joseon Dynasty (AD 1605) of ancient Korea. This study focuses on 50 foundation stones that comprise the Sebyeonggwan. These stones are made of six rock types and currently have various shapes of the surface damages. As the foundation stones, the dominant rock type was dacitic lapilli tuffs, and provenance-based interpretation was performed to supply alternative stones for conservation. Most of the provenance rocks for foundation stones showed highly homogeneity with their corresponding stones of petrography, mineralogy and magnetic susceptibility. According to surface deterioration assessments, the most serious damages of the stones were blistering and scaling. The deterioration mechanism wa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inorganic contaminants, and the primary reason is considered salt weathering caused by sea breeze and other combined circumstances. Based on the mechanical durability of the stones, there was no foundation stone that required the replacement of its members attributed to the degradation of the rock properties, but conservation treatmen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lay superficial damage. The foundation stones are characterized by a combined outcome of multiple petrological factors that caused physical damage to surfaces and internal defects. Therefore, it's required to diagnosis and monitoring the Sebyeonggwan regularly for long-term preservation.", "abstract": "세병관(국보 제305호)은 통영 삼도수군통제영에 위치하며, 1605년에 창건한 이래 최근까지 수차례의 중건, 중수, 보수 및 복원을 거쳤다. 연구대상인 세병관 초석은 모두 50개로 다양한 표면손상이 나타난다. 이 초석은 총 6개의 암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석영안산암질 래피리 응회암이다. 보수용 대체석 수급을 위한 산지해석 결과, 대부분의 암석은 초석과 산출상태, 기재적, 광물학적 및 전암대자율 등 암석학적으로 높은 동질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석의 손상유형 중에는 표면의 박리와 박락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오염물 분석을 통한 손상메커니즘으로 볼 때 해풍 및 복합적인 환경에 의한 염풍화가 주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초석의 기계적 내구성으로 보아 현재 물성 저하로 부재의 교체가 필요한 것은 없으나 표면적인 손상을 늦추기 위한 보존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초석은 표면에 발생한 물리적 손상과 내부 결함을 유발하는 암석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세병관의 장기적 보존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상태 진단과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id": "JAKO202113759910040",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0040.pdf", "abstract_en": "Globally, nuclear-decommissioning facilities have been increased in number, and thereby hundreds of thousands of wastes, such as concrete, soil, and metal, have been generated.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numerous efforts and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volume reduction and recycling of solid radioactive wastes, and this study reviewed and examined thoroughly such previous studies. The waste concrete powder is rehydrated by other processes such as grinding and sintering, and the processes rendered aluminate (C3A), C4AF, C3S, and -C2S, which are the significant compounds controlling the hydration reaction of concrete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olidified matrix. Th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at waste concretes could be used as recycling cement, but there remain problems with the decreasing strength of solidified matrix due to mingling with aggregates. There have been further effort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cycling concrete via mixing with reactive agents using industrial by-products, such as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As a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olidified matrix was proved to be enhanced. On the contrary, there have been few kinds of researches on manufacturing recycled concretes using soil wastes. Illite and zeolite in soil waste show the high adsorption capacity on radioactive nuclides, and they can be recycled as solidification agents. If the soil wastes are recycled as much as possible, the volume of wastes generated from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NPPs) is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d, but collateral benefits also are received because radioactive wastes are safely disposed of by solidification agents made from such soil wastes. Thus, it is required to study the production of non-sintered cement using clay minerals in soil wastes. This paper reviewed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to consider the sustainable recycling of concrete waste from NPPs as recycling cement and utilizing clay minerals in soil waste to produce unsintered cement.", "abstract": "전세계적으로 해체 대상 원자력 시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원자력 시설을 해체하게 되면 수십만 톤의 콘크리트, 토양, 금속 등의 폐기물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상 방사성 폐기물 감용 및 재활용 기술에 대한 기존 연구를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폐콘크리트 미분말은 소성 및 분쇄와 같은 추가적인 공정을 통하여 재수화 반응이 일어나며, 시멘트 수화 반응 및 고화체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화합물인 aluminate (C3A), C4AF, C3S, -C2S가 생성된다. 기존 연구를 통하여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재생 시멘트로 재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골재의 혼입으로 인한 고화체의 강도 저하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은 현재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비산회를 성분 조정재로 혼합하여 재생 시멘트의 성능을 증진시키는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고화체의 압축강도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폐토양을 재활용한 비소성 시멘트의 제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폐토양 내 함유된 일라이트와 제올라이트는 방사성 핵종에 대한 흡착능이 우수하며, 이를 고화재로 재활용하면 원전 해체 폐기물의 부피를 저감함과 동시에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담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폐토양 내 점토 광물을 이용한 비소성 시멘트의 제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행된 국내외 연구를 통하여 원전 해체 폐기물인 콘크리트의 재생 시멘트로서 재활용 가능성 및 개선 방안과 더불어 폐토양 내 점토 광물을 이용한 비소성 시멘트 제조에 대한 연구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id": "JAKO202113759910045",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0045.pdf", "abstract_en": "Fe(II) released from mining activities is precipitated as various Fe(III)-oxyhydroxides when exposed to an oxidizing environment including mine drainage. Ferrihydrite, one of the representative precipitated Fe(III) minerals, is easy to adsorb heavy metals and other pollutants due to the large specific surface area caused by very low crystallinity. Ferrihydrite is transformed to thermodynamically more stable goethite in the natural environment. Hence, information on the transformation of ferrihydrite to goethite and the related mobility of heavy metals in the acid mine drainage is important to predict the behaviors of those elements during ferrihydrite to goethite transition. The behaviors of heavy metals during the transformation of ferrihydrite to goethite were investigated for core samples collected from an AMD treatment system in the Heungjin-Taemaek coal mine by using X-ray diffraction (XRD), chemical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XRD results showed that ferrihydrite gradually transformed to goethit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ore samples.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ve concentration of A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core samples compared with that in the drainage, indicating that As was likely to be adsorbed strongly on or coprecipitated with iron oxyhydroxide. Correlation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As can be easily removed from mine drainage during iron mineral precipitation due to its high affinity to Fe. The concentration ratio of As, Cd, Co, Ni, and Zn to Fe generally decreased with depth in the core samples, suggesting that mineral transformation can increase those concentrations in the drainage. In contrast, the concentration ratio of Cr to Fe increased with depth,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chemical bond of iron oxide and chromate, and surface charge of ferrihydrite and goethite.", "abstract": "광산 활동에서 비롯된 Fe(II)은 광산 배수를 따라 지표의 산화 환경에 노출되어 다양한 Fe(III)-산화수산화물로 침전된다. 대표적인 Fe(III) 침전 광물 중 하나인 페리하이드라이트는 결정도가 매우 낮아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중금속 및 다른 오염물질을 흡착하기에 용이하다. 페리하이드라이트는 자연 환경에서 열역학적으로 좀더 안정적인 침철석으로 전이된다. 페리하이드라이트에서 침철석으로 전이되는 동안 일어나는 중금속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서 산성광산배수에서 일어나는 페리하이드라이트에서 침철석으로의 전이와 이와 연관된 중금속의 유동성에 대한 정보는 중요하다. 광물 전이와 중금속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흥진태맥 석탄광의 산성광산배수 정화 시설의 코어 시료에 대하여 X-선 회절 분석(XRD), 화학 분석, 통계 분석이 시행되었다. XRD 결과는 페리하이드라이트가 코어 시료 상단에서 하단으로 점차 침철석으로 전이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화학 분석 결과 코어시료에서 As의 상대적 농도는 배수에 비하여 매우 높아 As가 철옥시수산화물에 강하게 흡착 되었거나 공침되었을 가능성이 큼을 지시한다. 상관 분석 결과 또한 As와 Fe의 높은 친화도를 보여주어, 철광물이 침전하는 동안 As가 광산 배수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코어 시료에서 깊이가 깊어질수록 Fe에 대한 As, Cd, Co, Ni, Zn의 농도비는 대체로 감소하여, 광물 전이 시 배수 내 이들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와 반대로 Fe에 대한 Cr의 농도는 깊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는데 이 것은 chromate과 철광물과의 화학결합과 페리하이드라이트와 침철석의 표면 전하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13759910001",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0001.pdf", "abstract_en": "For disaster management and mitigation of earthquakes in Korea Peninsula, active fault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for the past 5 years. In particular, investigation of sediment-covered active faults integrates geomorphological analysis on airborne LiDAR data, surface geological survey, and geophysical exploration, and unearths subsurface active faults by trench survey. However, the fault traces revealed by trench surveys are only available for investigation during a limited time and restored to the previous condition. Thus, the geological data describing the fault trench sites remain as the qualitative data in terms of research articles and reports. To extend the limitations due to temporal nature of geological studies, we utilized a terrestrial LiDAR to produce 3D point clouds for the fault trench sites and restored them in a digital space. The terrestrial LiDAR scanning was conducted at two trench sites located near the Yangsan Fault and acquired amplitude and reflectance from the surveyed area as well as color information by combining photogrammetry with the LiDAR system. The scanned data were merged to form the 3D point clouds having the average geometric error of 0.003 m, which exhibited the sufficient accuracy to restore the details of the surveyed trench sites. However, we found more post-processing on the scanned data would be necessary because the amplitudes and reflectances of the point clouds varied depending on the scan positions and the colors of the trench surfaces were capt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ight exposures available at the time. Such point clouds are pretty large in size and visualized through a limited set of softwares, which limits data sharing among researchers. As an alternative, we suggested Potree, an open-source web-based platform, to visualize the point clouds of the trench sites. In this study, as a result, we identified that terrestrial LiDAR data can be practical to increase reproducibility of geological field studies and easily accessible by researchers and students in Earth Sciences.", "abstract": "한반도 지진 재해 대비를 위해 지난 5년간 활성 단층 조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피복 활성단층 조사는 항공 LiDAR 기반 지형 분석, 지표 지질 조사, 지구 물리 탐사 결과를 종합하여 피복된 단층면에 대한 트렌치 조사를 수반한다. 하지만 이러한 트렌치 조사에 의해 발견된 단층면은 한시적으로 연구된 후 복구되기 때문에 트렌치 단층면 현장에 대한 정보는 논문 및 보고서 등과 같은 정성 자료로 남게 된다. 이와 같은 한시적 지질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지상 LiDAR를 활용하여 트렌치 단층면에 대한 3차원 점군 자료를 생성하고 디지털 공간상에서 트렌치 현장을 복원하였다. 지상 LiDAR 탐사는 양산 단층 지역에서 수행된 두 곳의 트렌치 조사 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LiDAR 점군의 기본 속성값인 진폭과 반사도 이외에도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하여 트렌치 단층면의 색상 정보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평균 0.003 m의 정합 오차를 가지는 3차원 점군 자료로 변환되어 트렌치 형상을 정교하게 복원하였다. 하지만 LiDAR 스캔 위치에 따라 점군의 진폭과 반사도 값이 변화되었으며, 햇빛 노출 정도에 따라서 트렌치 단면의 색상 정보가 다르게 형상화 되어 후처리 과정의 고도화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점군 자료는 대용량 파일로 존재하고 점군 자료 가시화 방법 또한 제한적이기 때문에 3차원 점군 자료에 대한 연구자 간 공유가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오픈소스 플랫폼인 Potree를 활용하여 트렌치 점군 자료를 웹 상에서 가시화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는 시간적 그리고 공간적 제약 조건이 따르는 지질 현장 조사에서 지상 LiDAR 자료가 주요 지질 대상에 대한 재현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연구자 및 미래 후속 세대에 의해 손쉽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id": "JAKO20211515320139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201391.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ject based learning on learner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roject based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By learners' major,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 of learners in majors improved significantly, and it was found that the cause analysis factor of problem solving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regardless of maj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여부에 따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전공 학생들의 창의성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하였고, 전공 여부에 상관없이 문제해결능력 역량 중 원인분석 요인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515314636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46361.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lement the meta-analysis for figuring out effects of elementary education programs adopting Arduino. The researcher carefully chose and analyzed 12 primary studies including these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elementary education programs adopting Arduino was 0.519. Second, the effect sizes by the grade levels were 5 grade 0.737, integration of 5 and 6 grade 0.533, and 6 grade 0.472 in order. Third, for status of students, the effect sizes were gifted and talented 0.607 and normal 0.522 in order. Fourth, for subject areas, the effect sizes were environment 0.708, software 0.572, practical arts 0.526, science 0.523, integrated 0.402, and fine arts 0.18 in order. Fifth, for types of programming, the effect sizes were graphic based programming 0.555, text and graphic based programming 0.47, and text based programming 0.464 in order. Sixth, for curriculum types, the effect sizes were extra curriculum 0.636 and regular curriculum 0.51 in order.", "abstract": "이 연구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초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선행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12편이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두이노 활용 초등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519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효과크기는 5학년 0.737, 5학년과 6학년 통합 0.533, 6학년 0.472의 순이었다. 셋째, 학생 수준에 따른 효과크기는 영재학생 0.607, 일반학생 0.522의 순이었다. 넷째, 교과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환경 0.708, 소프트웨어 0.572, 실과 0.526, 과학 0.523, 융합 0.402, 미술 0.18의 순이었다. 다섯째, 프로그래밍 유형에서는 그래픽 기반 프로그래밍 0.555, 텍스트 기반 및 그래픽 기반 프로그래밍 0.47,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0.464의 순이었다. 여섯째, 교육과정 유형에 따라 비정규 교육과정 0.636, 정규 교육과정 0.51의 순이었다."} {"id": "JAKO20211515311334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13343.pdf", "abstract_en": "As a government's pilot project of the work and study in parallel, highly skilled meister workplace trainers are being produced through the Highly Skilled Meister Training Degree Course (HSMTDC). However,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highly-skilled meister workplace trainer' and their roles and required competencies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a highly skilled meister workplace trainer was defined as a workplace teacher with a master's degree, with not only work and study in parallel_L6 qualification but also technical assessor qualification. And, it was additionally required for the high-skilled meister workplace trainer that the role of a solution provider, and for this, the competency to establish and operate a learning system, the competency to develop NCS standards, and the competency to reflux of work and study in the parallel policy.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roles and competencies defined in preliminary studies also presented through revised.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foundation for a virtuous cycle learning system of apprenticeship system called the work and study in parallel, the fostering and vitalizing for highly skilled meister workplace trainer and adjusting policy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social recognition system.", "abstract": "일학습병행 사업의 일환으로 정부가 추진중인 학위연계형 고숙련마이스터 과정 시범사업을 통하여 고숙련마이스터 기업현장교사가 양성되고 있다. 그러나 '고숙련마이스터 기업현장교사'에 대한 개념 정의와 이들의 역할이나 필요 역량은 현재 논의가 진행중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고숙련마이스터 기업현장교사의 개념을 석사학위를 보유한 일학습병행_L6자격, 기술평가사 자격을 보유한 기업현장교사로 정의하였다. 또한 고숙련마이스터 기업현장교사에게는 솔루션제공자라는 역할과 이를 위해 학습체계 수립 운영 역량, NCS 기준 개발 역량, 일학습병행 정책 환류 역량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며, 선행 연구에서 정의된 역할과 역량의 정의도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학습병행 도제 제도의 선순환적 학습 체계 기반 조성에 기여할 것이며, 고숙련마이스터 기업현장교사 양성과 활성화, 사회적 인정체계 수립을 위한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id": "JAKO20211515319138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19138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of liberal arts courses for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basic ability, focusing on the case of KOPO(Korea Polytechnics). As Korea's representativ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 KOPO is leading vocational education, but as improvement in liberal arts education is required, the standardized course design suitable for the goal and direc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imes to meet the various educational conditions of campuses nationwide. It is a situation tha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courses that can be flexibly applied. Therefore,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was designed to be customized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e vocational basic ability suggest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based on the needs of the industry and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talent cultivation. So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by presenting concrete example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consisting of 23 lectures and student activitie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폴리텍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교양교과목 설계 제안을 하는데 있다. 한국폴리텍대학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직업교육훈련기관으로 직업교육을 선도하고 있지만 교양교육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교양교육의 목표와 방향에 적합한 표준화된 교과목 설계를 통해 전국 캠퍼스의 다양한 교육여건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양교과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직업교육훈련기관의 교양교육은 산업체의 요구와 국가의 인재 양성 방향을 토대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직업기초능력 기반 하에 맞춤형 인성교육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 총 23강좌로 구성된 교양교육의 교육과정과 학생활동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양교육의 체계화 및 표준화 교과목 운영에 기여하고자 한다."} {"id": "JAKO202113759910032", "publication_date": "2021.04.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0032.pdf", "abstract_en": "The effect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such as soil pH,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on single extraction of Cd, Cr, Cu, Ni, Pb, and Zn using CaCl2, HOAc, HNO3, and DTPA were statistically investigated for 69 agricultural soils in Kore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for soil samples which were grouped on the basis of average value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Diluted HNO3 extracted higher concentrations of Cr, Cu, Ni, and Pb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extractants, however, similar amounts of Cd and Zn were extracted by HOAc with HNO3.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DTPA extract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other single and pseudo-total extraction method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fluenced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leached by the single extraction methods. In the case of Zn, high correlations between pseudo-total and the studied single extraction methods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could explain up to 74% of variances of the single extraction resul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can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extracted by the single extraction methods.", "abstract": "국내 69개 농경지 토양 내 Cd, Cr, Cu, Ni, Pb, Zn을 대상으로 하여 토양 pH, 양이온교환능력, 유기물 함량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CaCl2, HOAc, HNO3, DTPA 등을 이용한 중금속의 단일용출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학적으로 조사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높고 낮은 두 표본으로 구분한 후 이에 대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Cr, Cu, Ni, Pb의 경우 HNO3를 적용하였을 때 다른 추출제에 비하여 높은 함량이 추출되었으나, Cd, Zn의 경우 HOAc를 이용한 추출에서도 유사한 함량이 추출되었다. 상관관계 조사 결과, DTPA 추출이 다른 단일용출 및 전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단일용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Zn의 경우, 전함량과 모든 단일용출법들에 의한 추출 함량이 상호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최대 74%에 이르는 단일용출 결과의 분산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단일용출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 {"id": "JAKO202113759909872",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72.pdf", "abstract_en": "This paper details the result of flight experiment that examines performance of roll angle estimation algorithm of slowly rolling munition taking time delay of measurement into account when measurement comes in delayed fashion. As the measurement is passed through low pass filter for numerical stabilization and de-noising purpose which induces time delay, we design augmented state Kalman filter that incorporates distribution models of stochastic delay over time. Fligh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lgorithm at around 250m high AGL(Above Ground Level) conveying velocity of 28m/s from fixed-wing mother plane to the munition. Munition was made spun with respect to its roll axis using internal reaction wheel afterward. Numerical comparison of proposing method's roll estimation performance with that of commercial aerospace graded GPS/INS shows that proposed filter design can effectively compensate time delay of measurement.",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저속 롤링하는 유도형 탄약 모사체가 시간 지연된 측정치를 획득하였을 때 시간지연을 고려하여 탄약의 롤각을 추정하는 방법을 다루며 비행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한 결과를 소개한다. 수치적 안정화 및 잡음 제거를 위해 저역 통과 필터와 같은 후처리를 거친 측정치의 시간지연 정도를 사전에 파악하여 시간 지연의 분포를 모델링하며 이 분포를 활용한 증강 상태 칼만필터를 설계한다. 비행 실험에서는 대형 고정익 항공기를 이용해 표고 약 250m의 고도에서 수평방향으로 28m/s의 속력으로 탄약을 투하하였으며 탄약 내부의 반동차를 이용해 탄체를 롤축 회전시켰다. 상용 GPS/INS의 롤값과 제안한 방법으로 추정한 롤값의 비교를 통해 측정치 시간 지연보상을 반영한 필터 설계가 유효함을 보인다."} {"id": "JAKO202113759909889",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89.pdf", "abstract_en": "The performance of satellite parts must be verified under the space orbit environment before the launch. This paper develops a model formula considering the thermal environment such as conduction, radiation, heat loss and internal heating between satellite parts and a small thermal vacuum chamber for thermal vacuum tests. System identification is carried out using test data from 20 recent thermal vacuum tests conducted by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It is verified that the model formula and the identification results are valid, except when the heating of the functional test of the test specimen is not constant.", "abstract": "인공위성의 부품은 발사 전 지상에서의 우주 궤도환경 하에서의 성능검증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열진공시험을 위한 위성 부품 및 소형 열진공챔버 간의 전도, 복사, 열손실 및 내부 발열의 열환경을 고려한 모델식을 설계하였다. 최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수행된 열진공시험 20건의 시험데이터를 이용한 시스템 식별을 수행하였다. 시험품 기능시험의 발열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시스템 식별의 정확성을 확인함으로써 개발된 모델식이 유효함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13759909866",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66.pdf", "abstract_en": "This paper deals with an optimal Weapon-Target Assignment (WTA) algorithm for Closed-In Weapon Systems (CIWS), considering variable burst time. In this study, the WTA problem for CIWS is formulated based on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MILP). Unlike the previous study assuming that the burst time is fixed regardless of the engagement range,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the variable burst time based on the kill probability according to the engagement range. Thus, the proposed method can reflect a more realistic engagement situation and reduce the reaction time of CIWS against targets,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In this paper, we first reformulate the existing MILP-based WTA problem to accommodate the variable burst Time. The proposed method is then valida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with the help of a commercial optimization tool.",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가변 연속사격 시간을 고려한 근접 방어 시스템(Closed-In Weapon System, CIWS)의 최적 무장 할당 알고리듬에 대해 다룬다. 본 연구에서 근접 방어 시스템의 무장 할당 문제는 혼합정수계획법(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MILP)을 기반으로 정식화된다. 제안한 방법은 연속사격 시간을 교전 사거리와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가정한 기존 연구와 달리 사거리에 따른 요격확률을 바탕으로 가변 연속사격 시간을 고려한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대비 보다 현실적인 교전상황을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적 대응시간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연속사격 시간이 반영되도록 기존의 혼합정수계획법 기반 무장 할당 문제를 변형시켰으며, 상용최적화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13759909881",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81.pdf", "abstract_en": "The control characteristics after the failure of the control moment gyros, the actuators for satellite attitude control, were analyzed. In particular, the situation where one out of four failed was considered. For the most commonly used pyramids and box-90 structures, the singularities and singular surfaces after failure were analyzed and compared. Dynamic equations for the process of reducing the wheel speed after the failure were derived. The process of stabilizing the angular velocity of a satellite while absorbing the momentum of the faulty module by the three normal modules was analyzed. For singular shapes, the remaining CMGs may be locked or excessively shake. The authors proposed that it can be prevented by rearranging the gimbal angles.", "abstract": "인공위성의 자세제어 구동기인 제어모멘트자이로의 고장에 따른 제어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4개 중에 한 개가 고장난 상황을 고려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피라미드와 box-90 구조를 고려하였으며, 고장 발생 이후의 특이점 및 특이면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모듈이 고장나고 휠 속도를 줄이는 과정에 대한 동역학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정상인 세 모듈이 고장난 모듈의 모멘텀을 흡수하면서 위성의 각속도를 안정화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는데, 특이형상에서 나머지 CMG가 교착되거나 과도하게 요동할 수 있는데, 짐벌각 재조정을 통하여 방지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id": "JAKO20210695758356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57583564.pdf", "abstract_en": "Efforts to establish a joint preservation facility for library collection are being discussed by some of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recently. In order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public library materials and to secure the space necessary for applying new services, there is a high demand for a cooperative shared storage for public libraries.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shared storage for public libraries is to minimize the cost of expanding the preservation space for each public library and to provide a pleasant service environment by separating the low-use materials stored in the library. Accordingly, discussions on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shared storage for public libraries are being initiated by some representative libraries. This study, in this regard, tried to propose a plan to build a cooperative shared storage for public libraries by a Seoul Metropolitan Library. To this end, it surveyed the estimate size of the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based on this, proposed the size and strategies for the facility.", "abstract": "공공도서관 소장자료의 효율적 관리와 새로운 서비스 공간 확보를 위하여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공동보존서고는 단위 공공도서관의 보존공간 확충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 도서관들이 오랜 기간 소장해온 저이용 자료 등을 이관함으로써 공간의 효율과 서비스의 집중도를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결과적으로 도서관들은 보존 프로그램을 통합 운영하고 도서관별 필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시설, 정보자원, 인력의 공동 활용 및 효율성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의 대표도서관들을 중심으로 자료수장공간의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 일환으로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지역대표도서관이 주도하는 공동보존서고 건립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공도서관 소장장서의 향후 규모를 예측하고, 이를 근거로 적절한 공동보존서고의 규모와 시설안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0695758352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5758352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fake news focusing on misinformation/false information and i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our society can respond to the distortion of social reality and damage to democracy caused by information distortion such as fake news. To do this, the concept of fake news was examined based on the level of facticity and intention to device, and our social environment in which fake news was created and spread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datafication. In this environment, the library community,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human access to and use of information, argued that it should strive to establish and provide universal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the UN 2030 agenda. The core of universal literacy education is to understand the societ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data communication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tafication and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society. For this reason, it was concluded that universal literacy should be implemented flexib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tafiation and users of each societ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짜뉴스의 개념과 정의를 오정보/허위정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현대사회가 가짜뉴스와 같은 정보왜곡으로 인한 사회 현실 왜곡, 민주주의 훼손에 대해 대응할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짜뉴스의 개념을 사실성과 속이고자 하는 의도성에 바탕해 살펴보고, 가짜뉴스의 생성과 파급이 이루어지는 우리의 사회 환경을 데이터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인류의 정보접근과 활용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도서관계는 UN 2030 의제인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의 실현을 위해 보편적 리터러시 교육의 구축과 제공을 위해 힘써야 할 것이라 주장하였다. 데이터화 정도와 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조사 분석하여 해당 사회를 이해하는 것이 보편적 리터러시 교육항목 구성에 핵심이며 이런 이유로 보편적 리터러시는 각각의 사회가 가지는 데이터화 정도와 이용자에 따라 유연성있게 구현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id": "JAKO20210695758361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57583613.pdf", "abstract_en": "This research categorizes the factors of digital capital accumulated both in personal and social level into digital access and digital competence, and empirically analyzes how the use of public libraries effects on the formation of digital capita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public library programs, the use of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 collections had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digital capital at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 In contrast, it was analyzed that the use of digital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reation of digital contents or reciprocal collaboration based on online networks. Therefore, in order for public libraries to fully support the formation of digital capital, they should not only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is a traditional role of public libraries, but also play a role as a digital-based cooperative system.", "abstract": "본 연구는 개인적, 사회적으로 축적되는 디지털 자본의 형성 요인을 디지털 접근과 디지털 역량으로 구분하고, 디지털 자본의 형성에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참여와 정보서비스의 이용, 디지털 장서의 이용은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디지털 자본 형성과 축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장서 이용은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이나 온라인 네트워크 기반의 협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디지털 자본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지식정보의 제공 역할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반 협력체계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해야 한다."} {"id": "JAKO20211546302373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023730.pdf", "abstract_en": "In accordi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ositive List System (PLS), the proper usage of pesticides is being emphasized. It is expected that unregistered pesticides are used for agroforest products, because limited numbers of pesticide were registered for these items. In this study, the pesticide residues and heavy metals (Pd, Cd) were investigated in 10 kinds of forest products to comprehend the usage status of pesticides on agroforest products. The detection rate of pesticides (%) detected in Korean angelica-tree, Chinese cedar, tree aralia, Eucommia bark, Siberian ginseng, Japanese pepper and mastic-leaf prickly ash were 6.7, 13.3, 11.8, 13.3, 10.0, 46.7 and 73.3%, respectively, while those in varnish tree, ginkgo, and acorn were zero. None of the detected pesticide residues have been registered in connection with these agroforest products. Heavy metals were not detected at all. The pesticide usage and registration data on agroforestry products obtained in the study will be useful for ensuring the safety of these items for Korean consumers.", "abstract":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의 시행에 따라, 농약의 안전사용이 더욱 중시되었다. 산림식용자원(임산물)은 소규모 재배 등의 이유로 등록된 농약의 수가 적어, 등록되지 않은 농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임산물에 대한 농약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산림식용자원 10종에 대한 잔류농약 및 중금속 잔류 실태 조사를 하였다. 엽경채류인 두릅, 참죽나무, 음나무, 옻나무의 새순, 한약재인 두충, 가시오갈피의 수피, 열매류인 초피나무, 산초나무, 은행나무의 열매와 도토리를 대상으로 잔류농약과 중금속 잔류를 분석하였다. 검출 빈도는 두릅, 참죽나무, 음나무, 두충, 가시오갈피, 초피, 산초에서 각각 6.7, 13.3, 11.8, 13.3, 10.0, 46.768 및 73.3%였으며, 옻나무, 은행, 도토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잔류농약은 모두 미등록 농약 이였다. 중금속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임산물별 사용농약에 대한 정보는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사용현황을 확인하여, 추후 농약등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국내 임산물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546304974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049745.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water-soluble vitamins (B , B , B , and B ) found in meat, cereal and noodle products consumed in Korea. In case of meat products, the contents of B ranged from 0.039 to 0.295 mg/100 g, while that of B ranged from 0.029 to 0.327 mg/100 g. In addition, B ranged from 0.158 to 3.183 mg/100 g and B ranged from 0.812 to 2.588 ㎍/100 g. In case of cereal products, the contents of B ranged from 0.069 to 0.097 mg/100 g, and B ranged from 0.008 to 0.100 mg/100 g. Also in cereals, B ranged from 0.092 to 0.709 mg/100 g and B ranged from 0.814 to 8.918 ㎍/100 g. In case of noodle products, the contents of B ranged from 0.057 to 0.128 mg/100 g and B ranged from 0.008 to 0.048 mg/100 g. B ranged from 0.022 to 6.537 mg/100 g, and B ranged from 0.474 to 3.067 ㎍/100 g. The data from this study on soluble vitamins found in meat, grain, and noodle products can be used as a basic nutritional database.",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식생활의 기본적인 구성식단 중 하나인 고기류, 곡류, 그리고 면류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비타민 B군(B , B , B , B )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고기류의 B 은 0.039-0.295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 는 0.029-0.327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B 는 0.158-3.183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 은 0.812-2.588 ㎍/100 g 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곡류의 경우 B 은 0.069-0.097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 는 0.008-0.100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B 는 0.092-0.709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 은 0.814-8.918 ㎍/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면류의 경우 B 은 0.057-0.128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 는 0.008-0.048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B 는 0.022-6.537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B 은 0.474-3.067 ㎍/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고기류, 곡류, 그리고 면류에 수용성 비타민 함량은 영양성분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로써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id": "JAKO20211546316180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61806.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ncentrations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in the Gangseo area of Seoul from 2018 to 2020.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introducing the positive list system (PLS) to monitor pesticide residues exceeding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PLS (positive list system). The total number of samples was 8,081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se were analyzed by multi-residue methods for 340 pesticides using GC-MS/MS, GC-MSD and HPLC-MS/MS. The violation rates of the samples over the MRLs of pesticide residue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the surveys from 2018, 2019 and 2020 were 2.5%, 1.9% and 1.4%, respectively. Chi-square test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duction of the PLS and the status of violation by year. The analysis result was 𝝌 =8.383, P=0.015. As the P level of P<0.05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violation rates decreased with the introduction of PLS.", "abstract": "본 연구는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도입이 농산물 중 잔류농약 부적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 강서지역에서 유통되는 농산물을 대상으로 잔류농약을 검사하였다. 농산물 8,081건을 대상으로 340종의 동시분석 농약에 대해 GC-MS/MS, GC-MSD, HP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부적합 농산물은 2018년 67건(2.5%), 2019년 49건(1.9%), 2020년 39건(1.4%)으로 나타났다. PLS제도 도입 전과 도입 후의 잔류농약 부적합 증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통한 교차분석 결과에서 𝝌 =8.383, P=0.015(95% 신뢰수준)를 나타내어 PLS 제도 도입 후에 부적합률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1546305274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052746.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occurrence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E. coli) associated with high rate of food poisoning in beef samples collected from markets in Gwangju, and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isolated strains. Pathogenic E. coli was detected in 82 (24.4%) of 335 beef samples, and 102 strains were isolated. Of 102 strains, 66 were identified as enterohemorrhagic E. coli (EHEC) and 11 strains harbored both pathogenic genes of EHEC and EPEC. I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30 strains were resistant to more than 1 antimicrobial. The most frequent antimicrobial resistance observed in the isolated E. coli was to tetracycline, followed by ampicill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chloramphenicol. Serotyping of isolated E. coli identified serogroups as O26, O91, O103, O104, O111, O113, O121, O128 and O145. Therefore, we suggest that hygienic management of cooking utensils and sufficient cooking are needed so as not to cause cross-contamination when cooking beef.",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유통·판매되고 있는 소고기를 대상으로 식중독 발생 비율이 높은 병원성대장균의 검출 여부와 분리된 균주의 항생제 내성 및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체 335건의 소고기 중 82건에서 병원성대장균이 검출(24.4%)되었고 102개의 다양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병원성 유전자를 토대로 분류한 결과, EHEC가 66균주로 가장 많았고 EHEC와 EPEC 등 2가지 유전자가 동시에 검출된 균주도 11균주가 있었다. 분리된 균주의 항생제 내성 시험결과, 30균주는 1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그 중 tetracycline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가 27균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ampicill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hloramphenicol 등의 순으로 많았다. 분리된 균주의 혈청형 검사 결과, 혈청형은 O26, O91, O103, O104, O111, O113, O121, O128 및 O145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고기의 조리 가공 시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리기구 등에 대한 위생적 관리와 충분한 조리 등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1125301741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53017418.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athon service quality on service value and participant satisfaction. For data analysis,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articipants in the marathon, and a total of 329 (94%) data were used as valid samples, excluding 21 unscrupulous response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PASW 21.0. This resulted 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arathon service quality has an effect on service value. Second, marathon service quality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service value influenced participant satisfaction.", "abstract": "이 연구는 마라톤대회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 및 참여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마라톤대회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21부를 제외한 총 329(94%)의 자료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PASW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마라톤 서비스품질은 서비스가치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마라톤 서비스품질은 참여자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서비스가치는 참여자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id": "JAKO20211125301739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5301739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occupational therapists's vocational core competency. Study subjects were 138 occupational therapists and 95 students majored occupational therapy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bout the vocational core ability to confirm the factors about the vocational core ability. As the results of these, both occupational therapists and university students majored occupational therapy felt the need for vocational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found to be important, and that they also possessed them. However, only in the group of students majored occupational therapy showed that technical skills were important, but they did not possess the mos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curriculum that can coll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various skills necessary for actual vocational performance as the occupational therapis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를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사 138명과 작업치료과 재학생 95명이다. 대상자들에게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작업기초능력에 대한 요소들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작업치료사와 재학생 두 집단 모두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다고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을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자신 또한 소유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작업치료과 재학생 집단에서 기술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나타났지만 가장 소유하고 있지 않다고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작업치료사로써 실제 직무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id": "JAKO20211125301738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53017384.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polyvinyl alcohol (PVA) and polypropylene glycol (PPG)-based polyurethane dispersion resin for wound coating was synthesiz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wer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sample and the leather (Full-Grain) to study the physical properties change. In the case of tensile strength, PUD-PA1, which reacted with the least amount of PVA,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at 2.00 kgf/㎟. Likewise, the rate of elongation was measured as high as 554% for PUD-PA1, which reacted with the least amount of PVA. The abrasion resistance measurement result showed that as the PVA response increased, the strength of the surface decreased to 36.77 mg.los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폴리비닐알콜(PVA)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기반의 창상피복용 수분산 폴리우레탄수지를 합성하였으며, 시료의 물리적 특성을 필름 시료와 피혁(Full-Grain) 표면에 코팅을 하여 물리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인장강도의 경우 PVA가장 적게 반응된 PUD-PA1 2.00 kgf/㎟ 으로 가장 높은 저항성을 보였으며. 마찬가지로 연실율은 PVA가장 적게 반응된 PUD-PA1가 554%로 높게 측정되었다. 내마모성 측정 결과 PVA 반응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의 강도나 낮게 36.77 mg.loss로 감소됨을 알수 있었다."} {"id": "JAKO20211673939922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399224.pdf", "abstract_en": "The A60 class deck penetration piece is a fire-resistant system installed on a horizontal compartment to prevent flame spreading and protect lives in fire accidents in ships and offshore plants. This study deals with approximate optimization using discrete variables for the fire resistance design of an A60 class deck penetration piece using different surrogate models and a genetic algorithm. Transient heat transfer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ire resistance design of the A60 class deck penetration piece. For the approximate optimization of the piece, the length, diameter, material type, and insulation density were applied to discrete design variables, and temperature, productivity, and cost constraints were considered. The approximate optimum design problem based on the surrogate models was formulated such that the discrete design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minimizing the weight of the piece subjected to the constraints. The surrogate models used in the approximate optimization were the response surface model, Kriging model, and radial basis function-based neural network. The approximate optimiz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analysis results in terms of approximate accuracy. The radial basis function-based neural network showed the most accurate optimum design results for the fire resistance design of the A60 class deck penetration piece.", "abstract": "A60 급 갑판 관통 관은 선박과 해양플랜트에서 화재사고가 발생할 경우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고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수평구조에 설치되는 방화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리모델과 다중 섬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A60 급 갑판 관통 관의 방화설계에 대한 이산변수 근사최적화를 수행하였다. A60 급 갑판 관통 관의 방화설계는 과도 열전달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근사최적화에서 관통관의 길이, 지름, 재질, 그리고 단열재의 밀도는 이산설계변수로 적용하였고, 제한조건은 온도, 생산성 및 가격을 고려하였다. 대리모델 기반의 근사최적설계 문제는 제한조건을 만족하면서 A60 급 갑판 관통 관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산설계변수를 결정하도록 정식화하였다. 반응표면모델, 크리깅, 그리고 방사기저함수 신경망과 같은 다양한 대리모델이 근사최적화에 사용되었다. 근사최적화의 정확도를 검토하기 위해 최적해의 결과는 실제 계산 결과와 비교하였다. 근사최적화에 사용된 대리모델 중 방사기저함수 신경망 모델이 A60 급 갑판 관통 관의 방화설계에 대해 가장 정확한 최적설계 결과를 나타내었다."} {"id": "JAKO20211673945925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59257.pdf", "abstract_en":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been seeking measures to prevent climate change caused by shipping and actively discussing the initial strategy of reducing ship greenhouse gas emissions adopted in 2018. Member states are proposing various reduction measures in the IMO's 5th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the Reduction of Greenhouse-gas emissions. However, each member country's method of measuring impact assessment differs, making it impossible to objectively compare impact assessment by country. As such, various measures have been proposed by each countr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a standard impact assessment measurement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ll countries before 2023, when IMO's greenhouse gas reduction strategy is implemented.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develop detailed guidelines for impact assessment to objectively compare the impact assessment results of ships' greenhouse gas reduction measures. Drawing detailed guidelines that can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each country's reduction strategies will enable the IMO leading marine environment GHG reduction.", "abstract": "국제해사기구는 해운에 의한 기후변화 방지 대책을 강구하여 왔으며, 특히 2018년 채택 선박 온실가스 배출 감축 초기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한편 이를 배경으로 회원국들은 IMO 제5차 온실가스 회기간 작업반 회의(ISWG-GHG: Intersessional Working Group on the Reduction of GHG Emissions)에 다양한 감축 조치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각 회원국들의 영향평가 측정방법은 평가 시 고려하는 항목이 상이하며, 이로 인해 국가별 영향평가의 객관적인 비교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실제로 회원국들이 IMO에 제출한 영향평가 측정방법의 분석 시 회원국마다 영향평가 절차나 영향평가 시에 고려하는 항목이 서로 상이하였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각국의 다양한 조치들이 제안되고 있는바 IMO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2023년 이전에 영향평가 측정 시의 평가항목 등을 표준화하는 등 모든 국가가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 영향평가 측정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박 온실가스 감축조치의 영향평가 결과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영향평가 세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각국 감축 전략의 실효성을 비교할 수 있는 세부 가이드라인을 도출 시 이를 통해 GHG 감축을 주도하는 해사환경 선도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673945525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55255.pdf", "abstract_en": "GNSS-Reflectometry (GNSS-R) is a technique for measuring and analyzing signals transmitted from satellites, reflecting on the surface of land or sea. GNSS-R is mainly used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variation, typhoon and meteorological anomaly, soil moisture, and snow depth.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 and measurement principle of GNSS-R technology, especially focusing on the field of marine utilization and its feasibility. In particular, it presents the applications of this technique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marine environment as well as the marine vessel and their utilization areas based on currently available infrastructure on the ground and maritime reference stations, such as the existing differential GNSS reference stations and integrity monitors (DGNSS RSIM), and GNSS reference station infrastructure, using the ground-based and the satellite-based GNSS-R approaches.", "abstract": "위성신호 반사계측(GNSS-Reflectometry) 기술은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지표면 혹은 해수면에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기법으로서, 해수면 높이측정, 태풍 및 기상이변, 그리고 토양의 수분 및 적설량 측정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NSS-R 기술의 해양 활용확대와 그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성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하는 GNSS-R 기술의 개념과 측정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국제적인 활용 사례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GNSS-R 기술을 기존 DGNSS 기준국 및 상시관측소 인프라를 이용하여 해양안전 및 환경 모니터링에 활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상 및 해양기준국, 위성기반, 해상선박 탑재 측면에서의 해양 응용 가능분야를 조사하여 제안하였다."} {"id": "JAKO20211673948026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80269.pdf", "abstract_en":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has developed the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an index related to carbon dioxide emissions, to enforce regulations on newly built ships. In this study, a new type of energy-saving device called the ring stator was used for 158k crude oil carriers, whose hull form was developed as a very thin after-body hull to reduce the resistance by delaying separation. The Energy-Saving Device (ESD) particularly involving the duct, is not adapted to the thin-after body hull form-like container ship. This new ring stator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A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alysis using the Star-CCM+ program, and approximately 3.4 % improvement in propulsion efficiency was achieved. Further optimization investigations and experiment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문제로 국제해사기구인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관련된 지수인 EEDI(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를 만들어 새로 건조되는 선박들에 대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58k 원유운반선의 선형과 프로펠러 후류를 분석하여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저감 장치인 ring stator를 제안하였다. 최근의 선박들은 반류가 적은 즉 선미부 유속이 빠른 경향으로 발전되고 있어 덕트가 포함된 ESD(Energy Saving Device)는 저속비대선이라도 컨테이너선처럼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ring stator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새로이 개발된 장치로써 자항 성능 향상 뿐 아니라 저항 성능의 최소화를 목표로 설계를 진행하였다. Star-CCM+의 상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CFD 해석을 통해 설계한 ring stator의 성능을 확인하였고 최종 제시한 설계안에 대해 약 3.4 %의 추진 효율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계된 ring stator에 대한 실험과의 비교 등을 통해 성능 검증 및 보다 정도 높은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추후 수행할 계획이다."} {"id": "JAKO20211673941823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18235.pdf", "abstract_en": "Collision of small vessels such as fishing boats cause great personal injury. Prior to this study, the collision prevent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assess the collision risk and make the collision alarm. However, a service provided for safety, such as a collision warning, not only prevents risks, but also requires a certain degree of user satisfaction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is study, the collision prevention algorithm for small vessels was improved to be more practical, and the effects of the improvement were confirmed by applying the algorithm. A survey conducted on the users of the collision warning service confirmed the user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collision warning system and reducing the volume and number of alarms. Accordingly, the algorithm was improved for user satisfaction, and the actual vessel experiment was performed applying the improved algorithm in an actual maritime environment.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alarm occurrence decreased compared to former algorithm, but the alarm was relatively steadily generated in dangerous situations. It was analyzed that the accuracy and practicality of the collision alarm were improved. If the practicality and reliability of the improved algorithm are verified in the further study, it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collisions of small vessels.", "abstract": "어선과 같은 소형선박의 충돌사고는 큰 인명피해를 초래한다. 본 연구 이전에 선행된 연구에서는 충돌위험을 판단하고 경보를 발생시키는 소형선박 충돌예방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충돌경보와 같이 안전을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위험을 예방할 뿐 아니라 이용자의 만족도 또한 어느 정도 수반되어야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선박 충돌예방 알고리즘의 실용성 향상을 위해 알고리즘을 개선하고, 알고리즘을 실제로 적용하여 개선결과 및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충돌경보 서비스를 사용한 소형선박 운항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충돌경보의 정확도 향상과 경보 횟수 및 음량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 알고리즘을 개선하였으며 실제 해상환경에서 개선된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선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개선 전보다 경보 발생 빈도가 감소하였지만, 위험한 상황에서는 경보가 비교적 꾸준히 발생하였으며, 충돌경보의 정확성과 실용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후에는 개선된 알고리즘의 적정성에 대한 근거자료를 마련하여 알고리즘의 실용성과 신뢰성을 확보한다면 소형선박 충돌사고 예방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1268730632",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68730632.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machine learning targeting titles in the classification of books in public librari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ython's scikit-learn library through the Jupiter notebook of the Anaconda platform. KoNLPy analyzer and Okt class were used for Hangul morpheme analysis. The units of analysis were 2,000 title fields and KDC classification class numbers (300 and 600) extracted from the KORMARC records of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using six machine learning models, it showed a possibility of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book classification. Among the models used, the neural network model has the highest accuracy of title classification.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itle classification, the need for research on book titles, tokenization of titles, and stop word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의 도서 분류를 위해 표제를 대상으로 머신러닝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데이터 분석은 아나콘다 플랫폼의 쥬피터 노트북을 통하여 파이썬의 싸이킷런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한글 형태소 분석을 위해 KoNLPy 분석기와 Okt 클래스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공공도서관의 KORMARC 레코드에서 추출된 2,000건의 표제 필드와 KDC 분류기호(300대와 600대)이었다. 6가지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도서 분류에 머신러닝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사용된 모델 중 표제 분류의 정확도는 신경망 모델이 가장 높았다. 표제 분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도서 표제에 대한 조사와 표제의 토큰화 및 불용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11268730670",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68730670.pdf", "abstract_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olve development strategies used as primary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plan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in Yongsan-gu. To reach the aim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status of domestic libraries 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 This research derived integral factors such as regional characteristics, library facilities, human resources, collections, and budges to be considered for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s. By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librarians and professionals, the operational and development plans of public libraries in Yongsan-gu were explored. The findings presented in this study suggested development strategies such as an expansion of library infrastructure and reading culture and development of regional specialization programs and redesign the management system.", "abstract": "본 연구는 용산구 공공도서관의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용산구 도서관의 운영 효율화를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현황 분석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지역 특성, 도서관 시설, 인력, 장서 및 예산, 프로그램 등의 기본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기반으로 용산구 지역 여건 및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사서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용산구 도서관의 문제점 및 운영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표도서관 건립 및 도서관 수 확충, 독서문화확산 및 지역특화프로그램 개발, 인력 및 장서 확충, 지역사회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673951528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515288.pdf", "abstract_en": "In those day, the Busan local government had instituted a rule to support and enhance competition as well as improve respect for the ship management industry. This study aims to extract the cause factors to enhance such competition using intuitionistic decision making trial and evaluation laboratory (DEMATEL) and interpretive structural modeling (ISM) methods. First, eight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specifications in the Ship Management Industry Development Act. Second, the intuitionistic fuzzy number was converted to a crisp number using the standard fuzzy number. Thir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DEMATEL, and the priority ranks for the factors are determined using ISM. From the results of the impact relationship analysis, the three main cause factors were determined as improvement of technical ship management capability, improvement of expertise of manpower for onshor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Korean seafarer. The priorities under the ISM method, in descending order, were as follows: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Korean seafarers,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mong the manpower for shore management, improvement of technical ship management capability, improvement of commercial ship management capability,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ment environment for seafarers, financial support such as overseas orders, and strengthening the availability of foreign seafar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policy promotion based on these factors, especially the top three, as these have the highest impact.", "abstract": "최근 부산시는 선박관리산업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경쟁력을 강화 및 지원하기 위한 조례를 제정하였다. 본 연구는 직관적퍼지 DEMATEL&ISM법을 이용하여 선박관리산업 경쟁력 강화의 원인요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박관리산업발전법에 명시된 내용을 기반으로 8개의 요인을 추출한다. 두번째는 직관적 퍼지수를 표준퍼지수를 이용하여 크리습 수로 변환한다. 세번째는 DEMATEL법을 이용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ISM법을 이용하여 요인에 대해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영향관계 분석결과 원인요인은 기술적 선박관리 역량 제고, 육상관리인력 전문성 제고, 한국선원인력 자질향상으로 나타났다. ISM법에 의한 우선순위는 한국선원 자질향상, 육상관리인력 전문성 제고, 기술적 선박관리 역량제고, 상업적 선박관리 역량 제고, 종합정보시스템구축 = 선원 근로조건 및 고용환경 개선 = 금융 등 지원 = 외국인 선원 공급 강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 영역에서 원인요인이며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3개의 요인에 대해 우선적인 정책추진이 필요하다."} {"id": "JAKO20211673947426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74265.pdf", "abstract_en": "COVID-19 is threatening the safety of ships and seafarers by delaying seafarer rotation. Shipping companies and governments have a blindspot in case of the onboard environment of seafarers. An effective, alternative plan should be devised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human accidents in an emergency that threatens the safety of seafarers. According to the survey of former and current seafar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oarding life was safety, and the most necessary thing during emergencies was to secure smooth seafarer rotation rather than improve wages and welfare. By analyzing the major routes of national shipping companies by continent, ports with a large number of calls and a high Air Connectivity Index were selected as the base port. In addition, the route was designed for effective, domestic seafarer rotation during international shipping. Other countries must be consulted to establish a travel route linking ships, ports, and airports for the safe return of sailors to their home countries during an emergenc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work together for the seafarers who are in trouble of seafarer rota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Starting with this, the government should have a monitoring system for the return and non-return routes as well as the number of seafarers on board. If such a system is established, it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 response direction of our country's policy in case of an emergency. Along with the shipping company's ef orts to improve the treatment of seafarers, national and social attention will be needed to review domestic laws and improve awareness about seafarers.", "abstract": "코로나19는 선원교대를 지연시키면서 선박과 선원의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선원의 승선환경에 있어 해운기업과 정부가 놓치고 있는 사각지대는 존재하고 있다. 선원의 안전을 위협하는 비상체제 상황에서 인적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효과적인 교대방안을 구상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직 및 현직 선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승선생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안전이었으며 비상체제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임금 및 복지의 향상보다 선원의 원활한 교대방안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국적해운기업의 대륙별 주요 항로를 분석하여 기항 횟수가 많고 항공연계성지수가 높은 항만을 거점항만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국제해운에 승선하는 국내 선원의 효과적인 교대를 위한 이동경로를 구상하였다. 그를 위해 비상 시 선원의 안전한 본국 귀환 및 이송을 위하여 선박과 항만, 항공을 연계한 이동경로 구축은 다른 나라와의 협의가 필수적이다. 또한, 국제해사기구의 협력을 통해 선원교대의 어려움에 처해있는 선원들을 위해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시작으로 국적 선원이 승선하는 정기선과 부정기선의 귀항로 및 불귀항로 정보와 선원 수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어 상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체계가 갖추어진다면 비상체제 발생 시 우리나라의 정책 대응방향을 보다 빠르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선원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해운기업의 노력과 더불어 개정이 필요한 국내법을 검토하고 선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국민적·사회적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id": "JAKO20211673945725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57256.pdf", "abstract_en": "The construction of new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s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In particular, the offshore wind farm market, which has abundant development scalability and a high production coefficient, is growing rapidly. The southwest sea has the highest possible offshore wind power potential, and related projects are to be promoted. This study presents a basic design procedure by the EUROCODE and considers structural safety in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of shore wind foundation in the clay layer. In a previous study, the wind power generator of 5MW class was the main target, but the 8MW of wind turbine generator, which meets the technical trend of the wind turbine market in the Southwest sea, was selected as the standard model. Furthermore, a foundation that fulfills the geological conditions of the Southwest sea was developed. The structural safety of this foundation was verifi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Moreover, structural safety was secured by proper reinforcement from the initial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uctural safety check for various types of foundations is possible in the future. Additionally, specialized structural design and evaluation guidance were also established.", "abstract": "신재생에너지 신규설비 보급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개발 확장성이 풍부하고 생산유발계수가 큰 해상풍력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서남해 권역은 최고 수준의 해상풍력 잠재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련 프로젝트들이 추진 중이다. 본 연구는 점토층 지반에 효과적인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의 개발에 있어 EUROCODE에 의한 구조물의 설계 절차를 제시하고 구조 안전성을 고찰하여 관련 기술 분야에 이바지함을 목표로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풍력발전기 용량이 5MW급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으나, 서남해 해상풍력발전기 시장의 기술 추세에 부합하는 발전 용량 8MW급을 연구 모델로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남해 지질 조건에 부합하는 하부구조물을 개발하고, 구조 안전성을 유한요소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초기 설계안에서 일부 구간을 보강하여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다양한 형태의 하부구조물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가 가능하며, 전문화된 구조 설계 및 평가 기준을 확립하였다."} {"id": "JAKO20211673939021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390219.pdf", "abstract_en": "Ship engine rooms have improved automation systems owing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However, there are many variables at sea, such as wind, waves, vibration, and equipment aging, which cause loosening, cutting, and leakage, which are not measured by automated systems. There are cases in which only one engineer is available for patrolling. This entails many risk factors in the engine room, where rotating equipment i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hen the engineer patrols, he uses his five senses, with particular high dependence on vision. We hereby present a preliminary study to implement an engine-room patrol robot that detects and informs the machine room while a robot patrols the engine room. Images of ship engine-room equipment were classified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fter constructing the image dataset of the ship engine room, the network was trained with a pre-trained CNN model.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trained model showed high reproducibility. Images were visualized with a class activation map. Although it cannot be generalized because the amount of data was limited, it is thought that if the data of each ship were learned through transfer learning, a mode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hip could be constructed with little time and cost expenditure.", "abstract": "선박 기관실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자동화 시스템이 향상되었지만, 해상에서는 바람, 파도, 진동, 기기 노후화 등의 다양한 변수가 많아 자동화 시스템에서 계측되지 않는 풀림, 절단, 누유, 누수 등이 발생하므로 기관사는 주기적으로 순찰을 한다. 순찰 시에는 1명의 기관사만 순찰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고온고압 및 회전기기가 운전 중인 기관실에서 많은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기관사가 순찰 시에는 오감을 활용하며, 특히 시각에 의존한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이 기관실을 순찰하며 기기의 특이사항을 검출하고 알려주는 기관실 순찰 로봇을 구현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선박 기관실 기기의 이미지를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선박 기관실의 이미지 데이터 셋을 구성한 후 사전 훈련된 합성곱 신경망 모델로 학습하였다. 학습한 모델의 분류 성능은 높은 재현율을 보였으며, 클래스 활성화 맵으로 이미지를 시각화 하였다. 데이터의 양이 제한적이어서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각 선박의 데이터를 전이학습으로 학습시키면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각 선박의 특성에 맞는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673948126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81269.pdf", "abstract_en": "Ship officers are subject to excessive job stress, which has negati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impacts and may adversely affect the smooth supply and demand of human resources. In this study, a mobile web application was developed as a tool for systematic job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officers and verified through quality evaluation. Requirement analysis was performed by ship officers and staff in charge of human resources of shipping companies, and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configuration step. The application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waterfall model, which is a traditional software development method, and functions were implemented using JSP and Spring Framework.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user interface, confirmed that proper input and output results were implemented, and the respondent results and the database were configured in the administrator interface. The results of evaluation questionnaires for quality evaluation of the interface based on ISO/IEC 9126-2 metric were significant 4.60 for the user interface and 4.65 for the administrator interface in a 5-point scal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ata analysis system through utilization of the collected big-data sets.", "abstract": "해기사의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이직은 원활한 해기인력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기사의 체계적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를 위한 도구로써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품질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인 Waterfall 모델에 따라 수행되었다.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현직 해기사 및 해상직원 인사담당자 각 5명을 대상으로 Brain Storming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요구사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JSP와 Spring Framework를 활용하여 기능을 구현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Test를 수행한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입력한 직무스트레스, 정신건강, 진로적응성 등 입력 데이터에 따른 정상적인 출력 결과가 도시되었으며, 관리자 인터페이스에도 응답자의 입력 결과가 정상적으로 도시되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요구사항 분석 참여 집단을 대상으로 ISO/IEC 9126-2 메트릭 기반의 5점 척도 품질평가를 시행한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4.70점, 관리자 인터페이스 4.72점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지속적인 개정 및 보완이 필요하며, 향후 수집된 Data의 분석 및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id": "JAKO202108839125897",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839125897.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general tail controlled missile were predicted and corrected the result using semi-empirical analysis tool. The cause of the error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prediction result of the semi-empirical analysis tool with the wind tunnel test result, and the main error factor of the semi-empirical analysis tool was the interference component between the main wing and the tail wing. The semi-empirical analysis results were corrected using the wind tunnel test results and the computational analysis resul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cted data agrees well with the wind tunnel test result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wing-tail interference component correction is needed when predicting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general tail controlled missile using a semi-empirical analysis tool.",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반경험적 해석도구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형상의 꼬리날개 조종 유도무기의 공력 특성을 예측하고 그 결과를 보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경험적 해석도구의 공력 특성 예측 결과를 풍동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오차 원인을 확인하였으며, 반경험적 해석도구의 주요 오차 요인은 주날개-꼬리날개 간 간섭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반경험적 해석 결과를 풍동시험 결과와 전산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보정하였으며, 보정된 데이터가 풍동시험 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꼬리날개 조종 유도무기의 공력 특성을 반경험적 해석도구를 이용하여 예측할 때 날개 간 간섭 성분 보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8839125916",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839125916.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th generation and tracking algorithm of an unmanned air vehicle in a two-dimensional plane given the initial and final points. The path generation algorithm using the Dubins curve proposed in this work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in real time to an unmanned air vehicle. The path tracking algorithm is an algorithm similar to the line-of-sight induction algorithm.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the direction angle, a gain related to the look ahead distance concept is introduced. Most of UAVs have the limited maximum curvature due to the structural constraints. A numerical simulation is conducted to follow the path generated by the sliding mode controller considering the angular velocity limit. The path generation and tracking performance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suggested controller with conventional control technique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초기지점과 최종지점이 주어졌을 때 2차원 평면에서 무인기의 경로 생성 및 추적 문제에 대해 제안한다. Dubins 곡선을 이용한 경로 생성 알고리즘은 계산 속도가 빨라 무인기에 실시간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경로 추적 알고리즘은 가시거리 유도 알고리즘과 유사한 알고리즘으로 효율적으로 방향각을 제어하기 위해 전방주시거리 개념과 관련된 이득 값을 추가하였다. 무인기의 경우 최대 곡률이 제한된다. 정밀한 제어를 위해 쿼드로터 모델을 사용하였다. 각속도 제한을 고려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통해 최대 곡률을 벗어나지 않고 경로를 추종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제약조건이 없는 제어기와 제약조건이 있는 제어기를 비교하여 경로 생성 및 추적 성능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08839125920", "publication_date": "2021.02.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839125920.pdf", "abstract_en": "Due to the active progress in space programs for various types of ground and space missions, the high agile spacecraft maneuverability is also required. To meet the requirement of the given space missions, the Control Moment Gyros (CMG) for the alternatives of the classical reaction wheels can release the attitude maneuverability restrictions. In addition, the angular rates of the spacecraft is constrained due to the limited actuator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a sliding mode control technique for the attitude control of the spacecraft equipped with the pyramid type of CSCMG(Constant Speed CMG) is designed, and the stability of the control system is guaranteed by using the Lyapunov stability theory. Finally, the control law proposed is analyized by numertical simulations.", "abstract": "최근 다양한 지상 및 우주 임무 수행을 위한 위성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 따라 위성의 고정밀·고기동성을 고려한 위성 자세제어 또한 요구되는 추세이다. 임무 수행 최적화를 위하여 고기동성의 제어 모멘트 자이로(Control Moment Gyros, CMG)를 위성에 장착하여 반작용 휠(Reaction Wheel, RW)과 같은 기존의 구동기에서 비롯되는 기동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기 자체의 제약 특성으로 인하여 위성의 각속도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고려한 CSCMG(Constant Speed CMG)장착 위성의 자세제어를 위하여 슬라이딩 모드 기반 제어기를 설계하였고, 리아푸노프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어기 성능 분석을 진행하였다."} {"id": "JAKO20212226075307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260753072.pdf", "abstract_en": "Angelica is a widely used medicinal and perennial plant. Information on the genetic diversity of Angelica populations is essential for their conservation and germ plasmic utilization. Although Angelica is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species registered in South Korea, no molecular markers are currently availabl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similar species from different countries. This develop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derived from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genomic sequences to identify distinct Korean-specific Angelica species via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 (ARMS)-PCR curve analyses. We performed molecular authentication of different kinds of Korean-specific Angelica species such as A. gigas Nakai and A. gigas Jiri using DNA sequences in the ITS intergenic region. The SNP marker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useful for rapidly identifying specific Angelica species from different countr.", "abstract": "당귀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다년생의 약용식물이다. 최근 국제적 추세에 따라 자국의 유전자원의 발굴, 보존 등이 강화됨에 따라 인접국가와 국내 자생 당귀 계통을 판별할 수 있는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분자생물학적 판별 기술의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종 당귀인 참당귀와 세발당귀, 그리고 해외 유래 당귀 종의 기원을 판별하기 위해 핵의 리보솜에 존재하는 ITS 유전자단편에서 SNP를 이용한 판별 프라이머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보완하여 보다 신속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ARMS-PCR 기술을 이용한 판별 마커와 그 조건을 확립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SNP 마커는 다양한 지역 또는 국가에서 서식하는 당귀 종들의 신속한 확인을 위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2226076407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260764075.pdf", "abstract_en": "We analyzed the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sprouts grown under artificial light sources consisting of a fluorescent lamp or light-emitting diode (LED) in an aquaculture system (grown with water only, without nutrients). At the end of the observation period, the shoots grown under the fluorescent lamp treatment were the longest, followed by the LED treatment and natural light-treatment. It was also observed that growth was faster for sprouts subjected to a non-sterilizing treatment than those subjected to a 70% ethanol treatment. As the seed sowing rate for planting trays increased, the yield of harvested barley sprouts increased; among light treatments, the natural light treatment resulted in the lowest yield, while the fluorescent light treatment resulted in the highest. The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extracts of the barley sprouts were highest for the natural light treatment, but TEAC and FRAP were both highest for the fluorescent lamp treatment.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ranged from 41.64 to 45.93 mg/g and was relatively higher for the natural light treatment than the other two treatments, while the content of non-essential amino acids was highest for the LED treatment.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st for the LED treatment at 97.47 ± 6.30 mg/g, for which the content of non-essential amino acids (53.17%) was higher than that of essential amino acids (46.83%).", "abstract": "본 연구는 물만을 공급하는 수경방식에서 인공광원에 따른 새싹보리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육기간이 지나면서 초장이 길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지상부의 경우 형광등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LED 처리구, 자연광 처리구 순이었다. 또 에탄올 소독 처리구보다 무소독 처리구의 생장이 더 빠른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종자 파종량이 많을수록 수확된 새싹보리의 수확량은 증가하였는데, 자연광 처리구가 가장 적었으며 형광등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새싹보리 추출물의 총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자연광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TEAC와 FRAP은 모두 형광등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41.64 ~ 45.93 mg/g의 범위로 자연광 처리구가 다른 두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45.51 ~ 53.69 mg/g의 범위로 LED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LED 처리구에서 97.47 ± 6.30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필수아미노산(46.83%)보다 비필수아미노산(53.17%)이 더 많이 분포하였다."} {"id": "JAKO20211175255073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52550731.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enzymes were screened for hydrolysis of defatted perilla seed residue (DPSR) and optimal conditions for enzymatic treatment were determined to produce the hydrolysate of DPSR. Also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utilization as a culture medium were examined. The combined treatment of Alcalase and Ceremix is most effective for solubilization of protein and carbohydrate in DPSR. The optimal dosage, pH, and reaction time for enzymatic treatment were found to be 2.0% (w/w), 7.0, and 2 h, respectively. Treatment with optimal conditions of enzymes dramatically increased reducing sugar, soluble protein, and total phenolic content. The hydrolysate of DPSR possessed better scavenging activity against cation and free radicals than enzyme-untreated extract. When Leuconostoc mesenteroides 310-12 was cultured in the hydrolysate of DPSR, cell population rapidly increased compared to enzyme-untreated extract, and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bacterial growth.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hydrolysate of DPSR could be utilized as a bacteria culture medium as well as a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 with antioxidant activit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들깨(Perilla frutescens)박으로부터 효소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효소를 선별하여 최적의 반응조건을 확립하였다. Alcalase와 Ceremix의 동시 처리가 들깨박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가용화에 효과적이었으며, 효소 사용량은 들깨박 중량의 2% (w/w), pH는 7.0, 반응 시간은 2시간이 적당하였다. 최적의 반응조건에서 들깨박을 Alcalase와 Ceremix로 처리한 결과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 라디칼과 양이온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으로 확인한 결과 들깨박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하였다. 또한 젖산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310-12 균주를 들깨박 효소분해물에서 배양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생육과 산의 생성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들깨박 효소분해물은 항산화 생리활성 소재로서뿐만 아니라 유산균 배양 배지로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175255072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52550727.pdf", "abstract_e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ulerpa okamurae ethanol extract (COE) on glucose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as one of the drug targets for treatment of type2 diabetes. COE significantly inhibite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1B) and dipeptidyl peptidase-IV (DPP-IV) enzyme activities in vitro assay. Also, COE significantly enhanced the glucose uptake and the expression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1 (IRS-1) and glucose transporter4 (GLUT4) proteins in 3T3-L1 adipocytes or zebrafish larvae compared with control. In dexamethasone-induced resistance model of L6 myotubes, the protein expression of insulin signaling and glucose uptake was effective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COE. In contrast, the elevated phosphorylation of IRS-1 Ser307 was normally suppressed by treatment of COE. However, COE had no effect on insulin secretion in pancreatic beta cells.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COE improves the glucose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through the regulation of insulin signaling and GLUT4 protein in insulin's target cells and zebrafish larvae.",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Caulerpa okamurae 에탄올 추출물(COE)이 제2형 당뇨병 치료의 약물 표적 중 하나인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COE는 in vitro 실험에서 단백질 티로신 포스타제 1B (PTP1B)와 디펩티딜 펩티데이즈-IV (DPP-IV) 효소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또한, COE는 3T3-L1 지방세포와 제브라피쉬에서 당 흡수, 인슐린 수용체 기질(IRS-1) 및 당 수송체(GLUT4) 단백의 발현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L6 근육세포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으로 유도된 인슐린 저항성 모델에서도 COE는 인슐린 신호전달 및 당 흡수 단백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켰다. 더불어 인슐린 저항성 지표로 알려진 IRS-1 Ser307의 인산화 활성도 COE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그러나 COE는 췌장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COE는 인슐린 표적세포와 제브라피쉬에서 인슐린 신호전달과 당 수송체 GLUT4 단백 발현의 조절을 통해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id": "JAKO202122949754964", "publication_date": "2021.06.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54964.pdf", "abstract_en": "This study uses traditional lacquer techniques to coat the metal surface and evaluates its physical properties to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 lacquer coating. For this purpose, a total of six specimens were produced by setting the variation conditions for the number of times (1, 2, 3) and the heating temperature (120℃, 150℃) using SS275 metal(60*60 mm) and 'Wonju lacquer'. For analysis, chromaticity measurements, contact angle/surface energy measurements, Chemical Resistance, and cross-cut tests were us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rrosivity was improved and the adhesion of lacquer to the metal surface was excellen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ontact angle/surface energy.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or.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lacquer on metal surfaces improves waterproofing and has a anticorrosion effect. We could also check the proper number of lacquer and heating temperature. Additional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ardness and wear rate should be studie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how lacquer can be painted with a certain thickness.", "abstract": "본 연구는 전통 옻칠 기법을 이용하여 금속표면을 코팅하고, 물성을 평가하여 옻칠의 금속코팅 적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SS275 금속 시편(60*60 mm)과 원주 생칠을 이용하였다. 또한 칠 횟수(1, 2, 3)와 가열온도(120℃, 150℃)를 변이조건으로 설정하여 총 6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분석은 색도측정, 접촉각 및 표면에너지 측정, 내약품성 시험, Cross-cut 시험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부식성이 개선되고 금속표면에 대한 옻칠의 밀착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접촉각 및 표면에너지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색도 역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금속 표면에 옻칠이 진행되면 방수성 및 방식성이 좋아짐을 확인하였으며, 적정한 옻칠 횟수와 가열온도를 확인하였다. 차후 경도와 마모율과 같은 물리적인 특성 연구와 일정한 두께로 옻을 칠하는 방안을 연구하여 금속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id": "JAKO202122949744962", "publication_date": "2021.06.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44962.pdf", "abstract_en": "The use of digital copies of film-based analog images and the introduction of digital radiographic imaging systems using image plates gradually replace the non-destructive radiationirradiation method of Cultural Heritage. The quality of images obtained from this technique is affected by conditions such as tube voltage, tube current, and exposure time, type of image acquisition medium, distance of the artifacts from the image acquisition medium, and thickness of artifac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grayscale image obtained using GE's Computed Radiograhpy (CR) imaging system,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X-ray source for each tree type (pine, chestnut, sawtooth oak, ginkgo) used in wooden Cultural Heritage, and the signal-to-noise ratio (SNR) and contrast. The GE's CR imaging were analyzed using the Duplex wire image quality indicator, line-pair gauges.", "abstract": "문화재 방사선 비파괴 투과 조사 방식은 이미지플레이트(Image Plate, IP)를 사용하는 디지털 방사선영상시스템(Computed Radiography, CR)이 도입되면서 필름방식의 아날로그 이미지에서 점차 디지털 이미지로 교체되고 있다. 방사선 비파괴 투과 조사의 이미지 품질은 촬영 조건(관전압, 관전류, 노출시간), 영상 획득 매체, 촬영 거리, 유물의 두께 등이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는 목재 문화재에 주로 사용되는 수종(소나무, 밤나무, 은행나무, 상수리나무)에 X선 선원의 투과 특성을 GE사(社)의 CR 영상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의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분석한 후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및 대조도를 평가하고, 이중-선 상질계(Duplex-wire image quality indicator), 구형파 차트(line-pair gauges), 선형 식별계(Image Quality Indicator)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id": "JAKO202122949757965", "publication_date": "2021.06.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57965.pdf", "abstract_en": "This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woodcraft bio-adhesives using peach gum, which is the resin produced by peach trees. The synthesis conditions of these adhesives were optimized by performing 144 experiments. The application potential of peach gum adhesives was explored by comparing their properties with those of three natural adhesives and four synthetic adhesives. The best adhesive strength was obtained by dissolving the resin in 80 mL of distilled water containing 1.5 g NaOH, 1.65 g H O ( pH 8.0-9.0), 0.5 g NaClO, and 0.5 g H BO . The adhesive strength, which showed minimal changes and excellent reversibility, was 125.39 kgf/cm . Ultraviolet radiation-mediated deterioration in strength in the absence of total aerobic bacteria was negligible (△E ab = 2.75). These data confirm the potential value of peach gum-based bio-adhesives for woodcraft as well as their utility as alternatives for natural and synthetic adhesives used for the manufacture and restoration of handicrafts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abstract": "복숭아나무 진액인 도교를 기반으로 한 목공예용 바이오 접착제 개발의 기초 연구로 144 가지 합성 조건 중 가장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조성을 선택하여 천연 접착제 3 종, 합성 접착제 4 종과 비교 물성 평가를 진행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최적의 합성 조건은 탈이온수 80 mL, NaOH 1.5 g, H O 1.65 g, pH 8.0 ~ 9.0, NaClO 0.5 g, H BO 0.5 g을 혼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성 평가 결과, 도교 접착제가 125.39 kgf/cm 의 접착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자외선에 의한 열화에서 △E ab 2.75로 가장 낮은 변화와 우수한 가역성, 유해성 및 총호기성생균 시험 결과 불검출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도교 기반의 목공예용 바이오 접착제의 적용과 공예품 제작, 복원, 문화재 보존 시 사용되고 있는 천연 및 합성 접착제의 대체 재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22949745962", "publication_date": "2021.06.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45962.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wind environment in an urban area near Sungneymun gate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in the cases of inflow directions. The wind fields for the target area were simulat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Results, including vector fields, three-dimensional wind velocity components, and wind speeds, were analyzed to examine flow characteristics. Wind direction variability affected by buildings was shown in the target area. The complex flows around Sungneymun did not depend on the inflow direction as a boundary condition. The wind speed around Sungneymun was generally 3 times stronger at 14 m above ground level (AGL) compared to the surface wind at 2 m AGL and relatively high in the case of easterly inflow. The effect of wind was also analyzed to be relatively significant at the southeast side of Sungneymun. Thus, it was suggested that the assessment of wind environment affected by high-rise and high-density buildings should be necessary for the architectural heritage in urban area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에 위치한 숭례문을 중심으로 유입류 풍향 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풍환경을 수치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리정보시스템 자료와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대상영역의 상세 바람장을 수치모의하였으며, 벡터장, 3차원 바람속도성분, 풍속장 등에 대한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영역에서는 건물협곡을 따라 흐르는 바람길의 형성과 건물에 의한 바람의 회전 및 와류 등 급격한 풍향의 변화가 모의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숭례문 주변에서는 유입류의 풍향에 의존하지 않는 복잡한 흐름의 양상이 나타났다. 숭례문 지점에서의 풍속은 지표풍(지상 2 m)과 비교하여 상층마루 높이(지상 14 m)에서 평균 3배 이상 강하게 형성되었고, 유입류가 동풍인 경우에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숭례문의 남동 측면이 상대적으로 바람에 의한 영향이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층건물 및 고밀도 건물군 등 인공구 조물에 의한 바람길 및 빌딩풍 등의 형성이 도심지에 위치한 건축문화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상세 풍환경 평가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id": "JAKO202122949740961", "publication_date": "2021.06.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40961.pdf", "abstract_en": "The Yongjam of Oejae, Yi Dan-ha's wife, is an ornamental hairpin with a dragon-shaped engraving; designated as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 4. It is also a component of the ceremonial costume, and an artifact of great value as it clearly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wearer and the period of this artifact. The Yongjam has been well preserved in general; however, various pollutants and corrosive products have affected the engraved patterns, requiring conservation treatment. Furthermore, a non-destruc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used in the ornament. The Yongjam is hollow inside to reduce its weight when placed in the hair and has a color contrast of gold, red, and black. The decorative part and the body were made separately. That is, the body was made from an alloy of copper, silver, and zinc, and its joint was elaborately connected without any overlaps. In the decorative part, different alloy ratios were identified in the dragon's face, beard, horn, body, and fin. Further, for the dragon's face with its delicate patterns, an alloy of silver and copper was used, likely to make the face appear as realistic as possible.", "abstract": "국가민속문화재 제4호로 지정된 외재 이단하 정경부인의 용잠은 대례복 일습을 구성하는 머리 장신구로, 착용자의 신분과 유물의 시기가 명확하다는 점에서 유물로서 가치가 높다. 용잠은 대체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지만 문양부분에 다양한 이물질 및 부식물이 고착되어 있어 보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비파괴 분석을 실시하여 용잠의 제작기법과 소재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잠은 머리에 꽂았을 때 무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으며, 금색과 적색, 흑색의 색상이 대비되도록 만들어졌다. 용잠은 머리 부분과 비녀의 몸체를 따로 제작하였으며, 몸체는 구리, 은, 아연의 합금으로 접합부분은 겹쳐지는 부분이 없이 정교하게 연결하였다. 머리 부분은 용의 얼굴이나 수염, 뿔, 몸, 갈퀴에서 합금 비율에 차이가 있으며, 섬세한 문양이 표현된 용의 얼굴 부분은 은과 구리의 합금으로 용의 얼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id": "JAKO202122949758965", "publication_date": "2021.06.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58965.pdf", "abstract_en": "When investigating old, printed documents, determining whether a work is printed on a woodblock or using a movable metal type is crucial. It is because the history of printing in Korea and across the world relies on determining the relevant printing invention used and the time of use of the movable metal type. Deciphering details from woodblock and metal prints requir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imprint and the work's printing background, such as information on the characters in the printed document, the outline of the pages, the type of ink used,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ink, and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Korean paper. Analyzing such information can generally reveal the production period and the methods used on the old document. However, as such information is not documented systematically, relying on the researcher's judgment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 becomes inevitable.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f woodblock prints using a replicated woodblock of the Wanpanbon edition of the Shimcheongjeon. Subsequently, the various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appearing on the woodblock prints were documented for future reference to determine the printing method of old documents. Finally, woodblock novels without an imprint may be used as a reference to estimate the printing dates by determining the degree of wear on the woodblock.", "abstract": "고문헌 조사에서 목판 인쇄된 것인지 금속활자로 인쇄된 것인지를 판별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 금속활자의 발명과 활용시기가 어떻게 판정되느냐에 따라 인쇄의 역사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목판본과 금속활자본의 판정에는 다양한 정보가 활용되고 있으나 간기(刊記)를 비롯한 인쇄 배경에 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인쇄된 문서의 글자, 광곽, 먹의 종류, 먹의 제작시대, 한지의 제작시기 정보를 분석하여 고문서의 제작시기와 인출(印出)방법에 관한 판정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자료화되어 있지 않아 연구자의 경험과 감각에 의한 판단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판본(完板本) 심청전 복각 목판을 이용하여 목판본의 인출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목판본 인출 시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과 특징을 자료화하여 고문헌의 인출방법을 판정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간기가 없는 목판 고소설의 경우 목판의 마모정도에 따라서 인출시기의 전후관계 추정에도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22949730959", "publication_date": "2021.06.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30959.pdf", "abstract_en": "A vast amount of materials-such as prints, woodblock prints, manuscripts, old novels, and letters-written in old Korean and using old grammar and/or obsolete characters, are collected in many institutions, including the Jangseogak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Digitization of these texts has required a prolonged manual inputting process. Individual researchers, who majored in old Korean, have read and typed the characters into electronic documents, which depends upon individual skill, effort, and approach, and is particularly limiting because none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To date, only a small proportion of the old Korean document collections, currently kept in storage, have been digitized and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Even the electronic formats of the texts prove difficult to displaying correctly, due to the incompatibility between the old Korean characters and the character set on today's electronic devices. To improve the techniques and efficiency of digitizing old Korean tex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which will analyze images of old Korean documents, as well as input, display, and storage methods.", "abstract": "옛한글로 저술된 자료는 활자 인쇄본, 목판 인쇄본, 필사본, 고소설, 서간 등 방대한 자료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을 비롯하여 많은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옛한글을 전산정보화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에 의한 '입력'과정이 필요하다. 옛한글 문서의 전자문서화 작업이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으나 옛한글을 전공한 연구자 개인의 노력으로 옛한글을 읽고 입력하여 전자자료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자의 숙련도가 개인적인 작업능력의 향상에 머무르고 기술의 축적으로 이어지지 못한다. 현재까지 극히 일부분의 옛한글 문서만이 소개되고 대부분의 자료는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이다. 어렵게 전자문서화된 옛한글 고문서도 전자기기 간의 호환성 문제로 정보 공유 및 표시에도 어려움이 있다. 옛한글 문서의 전자문서화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전자문서화 기술의 축적을 위해서는 옛한글의 입력, 표시, 저장 방법의 개선을 비롯하여 옛한글 문서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광학적 문자인식(OCR)의 개발이 필요하다."} {"id": "JAKO202111752550684",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52550684.pdf", "abstract_en":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EtOH extract of the dried fruits of Amomum tsao-ko led to isolation of three compounds (1-3).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methods (MS, 1D and 2D-NMR) and comparison with literature values, as naringenin-5-O-methyl ether (1), helichrysetin (2), and cardamomin (3). Compound 2 was obtained from the genus Amomum for the first time. Among them, compounds 2 and 3 inhibited on the release of β-hexosaminidase from RBL-2H3 cells, with 99.1 and 21.3% at the concentration of 50 μM, respectively.", "abstract": "전통생약으로서 다양한 효능과 향신료, 조미료로서 사용되어온 초과(草果)의 항알레르기 성분연구를 위해 80% 에탄올 추출물 중 CH2Cl2, 분획으로부터 3 종의 flavonoid를 단리하였으며, 이들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분광분석 데이터로부터 구조를 확인한 결과 naringenin-5-O-methyl ether (1), helichrysetin (2) 및 cardamomin (3)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 중 화합물 2는 Amomum 속으로부터 처음 규명되었고, 화합물 3은 이 식물에서 처음 보고되는 화합물이다. 또한 화합물 2와 3은 RBL-2H3 세포로부터 β-hexosaminidase assay를 수행한 결과 탈과립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초과의 chalcone 성분은 탈과립 억제효능을 통하여 알러지 질환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175255072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52550722.pdf", "abstract_en": "Antimicrobial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was investigated against skin flora such a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Cutibacterium acnes, and Malassezia furfur. The yield and polyphenol content of the aqueous extract were 14.01±0.81% and 487.5±19.69 ㎍/mg-extract, respectivel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extract against E. coli, S. aureus, C. acnes, and M. furfur was 0.875, 1.750, 1.750, and 1.750 mg/mL, respectively. In disc diffusion test, the aqueous extract of C. sappan L. increased the clear zon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aqueous extract inhibited the microbial grow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bstract": "소목(Caesalpinia sappan L.) 열수추출물의 피부상재균(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Cutibacterium acnes,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소목 열수추출물의 수율과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4.01±0.81%과 487.5±19.69 ㎍/mg-추출물로 나타났다. 소목 열수추출물의 E. coli, S. aureus, C. acnes 및 M. furfur의 증식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0.875, 1.750, 1.750 및 1.750 mg/mL이었다. 디스크 확산법에서 소목 열수추출물의 처리량에 비례하여 생육저해환이 증가하였다. 소목 열수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피부상재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id": "JAKO20210925209157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252091571.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gulations and operational problems of on-board training,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consignment on-board training among students who completed their training at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In terms of satisfaction differences by gender, female students generally had a higher relative satisfaction level than male students. The different types of satisfaction in the navigation and engineering categories, the overall practical effect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training records shows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rainee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trainee, so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hipping companies need to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is part.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comprehensive company evaluation completed by trainees asked whether they thought the training was equivalent in labor to the employees. Results suggest shipping companies must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employees and trainees, while establishing relevant internal procedures so that the on-board train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on-board training consignment.", "abstract": "본 연구는 위탁승선실습과 관련된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해양대학교에서 위탁승선실습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탁승선실습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위탁승선실습 만족도 분석을 통해 만족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른 만족도 차이에서는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상대적 만족도가 높았으며, 계열별 만족도 차이에서는 전반적인 실습효과, 훈련기록부 실습 이행여부에 대해 실습기관사의 만족도가 실습항해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관련 교육기관 및 해운선사에서는 이 부분의 개선을 위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습생들이 해운회사를 종합적으로 평가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단계별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사적인 일과 업무적 요구\"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에 따라 해운회사에서는 직원과 실습생의 명확한 구분을 짓는 동시에 관련 내부절차를 수립하여 위탁승선실습의 취지 및 목적에 맞는 승선실습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많은 시간과 투자가 있어야 할 것이다."} {"id": "JAKO20210925209158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252091583.pdf", "abstract_en": "In ocean field, the sprea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quires high precision and stable PNT&D (Position, Navigation, Timing and Data). As the 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and IALA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on and Lighthouse Authorities) are requiring backup systems due to mitigate vulnerabilities and the increase of dependency on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Korea is conducting a research & development of R-Mode. An DGPS (Differentiate Global Positioning System) reference station that uses MF, an existing maritime infrastructure, and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base stations that use 34 integrity station and VHF will be utilized in this study to avoid redundant investment. Because there are radio shadow areas that display low signal levels in the west sea, the establishment of new R-Mode reference and integrity station will be intended to resolve problems regrading the radio shadow area. Because the frequency has a characteristic in that radio wave transmits well along the ground (water surface) in low frequency band, simulation and measurement were conducted therefore this paper to propose candidate sites for R-Mode reference and integrity station resulted through p wave's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Using this paper, R-Mode reference and integrity station can be established at appropriate locations to resolve radio shadow areas in other regions.", "abstract": "해양에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4차 산업혁명 확산은 고정밀 및 안정적인 위치·항법·시각·정보(PNT&D)를 요구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와 국제항로표지협회(IALA)에서는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취약성 경감을 위해 백업시스템을 요구하고 있어 우리나라는 R-Mode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시설의 중복투자를 막기 위해 기존 해상 인프라인 중파를 이용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보정국과 감시국 34개소 및 초단파를 이용하는 선박자동식별장치(AIS) 기지국을 활용하고자 하며, 일부 서해 지역에서 수신신호의 세기가 미약한 전파 음영지역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R-Mode 보정국과 감시국 신설을 통하여 전파 음영지역을 해소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가 낮은 대역에서(단파대 이하) 전파가 지표면(수면)을 따라 잘 전송되는 특징이 있어 시뮬레이션과 전파측정을 하였으며, 전파전파 특성 분석을 통하여 R-Mode 보정국과 감시국 신설 후보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활용하여 다른 지역의 전파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R-Mode 보정국과 감시국 후보지를 선정할 수 있다."} {"id": "JAKO20210925209157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252091579.pdf", "abstract_en": "Hydrodynamic coefficients should be accurately estimated to predict the maneuverability of underwater vehicles. Various captive model tests have been performed as part of estimation methods for these coefficients. Estimating hydrodynamic coefficients related to roll motion is important because underwater vehicles are sensitive to changes of roll moment. In this research, a pure roll motion equipment was newly designed to simply estimate hydrodynamic coefficients with respect to roll motion. Roll motion was implemented through a brief mechanical mechanism. The principle of operation, application process, and system identification of the equipment are described. An analysis method of the pure roll test is also suggested. Repeated tests of the newly equipment were carried out to check its reproducibility.", "abstract": "동유체력 미계수는 수중운동체의 조종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정확히 추정되어져야 하며 추정 방법의 일환으로 다양한 모형시험이 수행되어오고 있다. 수중운동체는 횡동요 모멘트 변화에 민감하므로 관련 동유체력 미계수를 추정하는 작업은 정확히 수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횡동요 운동과 관련한 동유체력 미계수를 간단하게 추정할 수 있는 순수 횡동요 장비를 새롭게 설계하였다. 횡동요 운동은 간단한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하여 구현하였으며, 메커니즘의 원리와 적용과정 그리고 설계한 장비의 system identification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순수 횡동요 시험의 해석방법을 제시하고 설계한 장비에 대해 반복시험을 거쳐 결과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925209157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252091576.pdf", "abstract_en": "According to IMO, MASS is defined as a vessel operated at various levels independent of human interference. The safety navigation support service for MASS is designed to improv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MASS by developing public services on shore for ship arrivals/departures and for cargo handling. The safety navigation support service consists of a total of six types of services: autonomous operation, berthing/unberthing/mooring, cargo handling and ship arrival/departure service, PSC inspection, condition monitoring, and accident response support services. In order to support accident response servic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bridge navigational equipment was assessed by stratifying the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safe and efficient support services by objective judgment through specific and quantitative methods using AHP, one of decision-making methods used by an expert group. The surve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bridge navigational equipment into depth, location, and speed informa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AHP method, the importance of depth, location, and speed information was assess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equipmen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was also assessed in order of Radar, DGPS, ECDIS, Gyro compass, Autopilot, and AIS. This was similar to survey results on the utilization of each operator's preference and its impact on marine accidents.", "abstract": "IMO는 자율운항선박을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독립하여 다양한 수준으로 운용되는 선박으로 정의하였다. 자율운항선박 안전운항지원서비스는 항계 및 협수로 내에서 안전하게 항만에 접이안하여 화물을 신속하게 적양하 할 수 있도록 육상에서 지원하는 공공 서비스 개발을 통해 자율운항선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안전운항지원서비스에는 자율운항지원, 접이안 및 계류지원, 화물 적양하 및 선박입출항 지원, PSC 점검 지원, 상태모니터링 지원, 사고대응지원의 6종 서비스 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 사고대응지원 서비스를 위해 선교항해장비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전문가 집단의 의사결정방법 중 하나인 AHP 방법을 사용하여 구체적이며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객관적인 판단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안전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선교항해장비를 계층화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자율운항선박 안전운항지원서비스 중 사고대응지원서비스를 위한 선교항해장비를 수심정보, 위치정보, 속력정보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HP 적용결과, 수심정보, 위치정보, 속력정보의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으며, 위치정보제공을 위한 장비별 상대적 중요도는 레이더, DGPS, ECDIS, 자이로 컴파스, 자동조타장치, AIS 순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항해사 장비별 활용도와 해양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id": "JAKO202116739538301",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538301.pdf", "abstract_en": "To analyze the buffet phenomenon that causes serious vibration loads on a satellite launch vehicle, the pressure fluctuations on a hammerhead launch vehicle at transonic speeds are predicted by coupling CFD analysis and semi-empirical methods. From the RANS simulation, shock oscillation region, separation region, and separation reattachment region are identified, and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the displacement thickness, and flow properties at boundary layer edge are calculated. The pressure fluctuations and power spectra on the hammerhead fairing are predicted by coupling RANS results and semi-empirical methods considering spatial distribution,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abstract": "위성발사체에 심각한 진동하중을 발생시키는 버펫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CFD 해석과 반경험식을 결합하여 천음속 영역 해머헤드 발사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압력섭동을 예측하였다. RANS 해석을 수행하여 충격파 진동 영역, 박리영역, 박리 재부착 지점 등을 확인하였으며, 경계층 두께, 배제 두께, 경계층 끝단에서의 유동 정보를 계산하였다. RANS 결과와 공간 분포를 고려한 반경험식을 결합하여 해머헤드 페어링 주위의 압력 섭동과 파워스펙트럼을 예측하였고 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id": "JAKO202116739593331",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593331.pdf", "abstract_en": "This paper presents improvement of the reception noise suppression method during formation flights of aircraft. Since aircraft communication equipment is very important for flight mission and safety to perform the functions of internal/external communications, it is required to implement noise-free, clean communication quality, and transmitting/receiving functions. Therefore, the FTA (Fault Tree Analysis) analysis and failure search were performed on the reception noise, and the internal noise of the intercom that affected the reception noise and the none-transmition phenomenon was identified. We changed the multiple grounds of the intercom to a single ground and applied an improved method of filtering the DC Offset voltage. As a result, the voic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aircraft was improved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reception noise during formation flights, and it was verified by ground and flight test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가 편대 비행 중에 발생되는 수신잡음에 대한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항공기의 통신 장비는 내/외부통신의 기능을 담당하기에 비행 임무 수행과 안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잡음이 없고 깨끗한 통신 품질과 송/수신 기능이 구현이 요구된다. 따라서 수신잡음 현상에 대해서 FTA 분석 및 고장탐구를 수행하였고, 수신잡음에 영향을 주는 인터컴의 내부 잡음 및 송신 끊김 현상이 식별되었다. 인터컴의 다중 접지를 단일 접지로 변경하고 DC Offset 전압을 필터링하는 개선된 방안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편대 비행 시 수신잡음 저감을 통하여 항공기 통신 시스템의 품질을 향상시켰으며, 지상 및 비행 시험의 결과로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546316480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64808.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ectrum conversion film on seedling quality and photosynthetic traits of leaf and fruit vegetables. Lettuce, Chinese cabbage, and cucumber seeds were sown in 50-cell plug trays filled with commercial seedling media and grown under a spectrum conversion film (SCF) and a poly-ethylene film as a control. The SCF decreased blue-green light and increased red light, and thereby increased the R/FR ratio and R/B ratio of solar spectrum, which was sufficient to affect the photosynthesis, growth, and morphogenesis of the seedlings. The photosynthetic rates of Chinese cabbage and cucumb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the SCF, and their maximum photosynthetic rates were 23% and 19%, respectively. However, the growth of lettuce was decreased under the SCF, and the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became long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seedling quality. Although the morphology of Chinese cabbage grown under the SCF was not changed compared to the control, the leaf dry weight increased and its dwarf rate was 10%. The growth of cucumber under the SCF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but the plant height and petiole were significantly reduced, resulting in a high dwarf rate of 24%. It was concluded that the solar spectrum modified by the SCF increased 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improved the seedling quality of Chinese cabbage and cucumber.", "abstract": "본 연구는 광전환필름에 의해 변형된 태양광 하에서 채소류의 묘소질과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상추와 배추, 오이 종자를 원예용 상토로 충진된 50구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고, 광전환 필름(SCF)과 상업용 폴리에틸렌 필름(대조군) 하에서 재배하였다. 대조군 대비 SCF에 투과된 태양광 스펙트럼은 청-녹색광은 감소하고, 적색광은 증가했으며 R/FR 비와 R/B 비가 증가하여 묘의 광합성과 생육, 형태형성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다. 광합성속도는 SCF 하에서 자란 배추와 오이 묘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며, 최대 광합성속도는 각각 23%, 19% 높게 나타났다. 상추의 경우, SCF 처리구에서 생육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도장하였다. SCF 필름 하에서 자란 배추의 경우, 형태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잎의 건물중이 증가하여 묘의 충실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했고 왜화율은 10%로 나타났다. SCF 처리구의 오이 묘는 생육에 차이는 없었으나 엽병 및 초장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왜화율이 24%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SCF에 의해 변형된 태양광 스펙트럼은 배추와 오이 묘의 광합성 효율을 증가시키고 묘소질을 향상시켰다고 판단되었다."} {"id": "JAKO20211546302773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027732.pdf", "abstract_en": "A simple soil moisture measurement method based on the weight of soil cone was developed. Soil cone is a conical porous ceramic cup filled with soil. In the three soil samples (fine sandy soil, silt loam, and sandy loam), the soil moisture content by core method and FD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method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0.92 - 0.98 and 0.97 - 0.99, respectively. The volumetric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inside the soil cone to the soil cone water weight and the FDR sensor value showed a relationship with regression coefficient of 0.96 and 0.97,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cone weight and the FDR sensor value (r = 0.99, p < 0.001) was highly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measure soil moisture content by weighing of soil cone.", "abstract": "토양 콘의 무게를 기반으로 한 간단한 토양 수분 측정 방법이 개발되었다. 토양 콘은 토양으로 채워진 원추형 다공성 세라믹 컵이다. 세 가지 토양 샘플에서 코어 방법과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방법에 의한 토양 수분 함량은 직선 회귀식의 결정계수가 각각 0.92-0.98 및 0.97-0.99였으며, 선형 관계였다. 토양 세라믹 콘 내부 토양의 체적 수분 함량과 콘 내부 토양 수분 중량 및 FDR의 센서 값의 회귀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96 및 0.97였다. 토양 콘 중량과 FDR 센서 값(r = 0.99, p < 0.001) 사이는 높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토양 콘의 무게를 측정하여 토양 수분 함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id": "JAKO202123162056715",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62056715.pdf", "abstract_en":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male germ cells and sperm morphology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ere described in ultrastructure.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sperm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spermatogonium, spermatocyte, spermatid and sperm.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from spermatogonium to spermatocyte did not show significant morphological changes. However, during the spermiogenesis there were distinct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chromatin condensation,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nucleus, and formation of acrosome, midpiece and flagellum. The sperm of the abalone consisted of head, midpiece and tail. The head of approximately 5.3 ㎛ in length was composed of a nucleus of high electron dense and bullet-shaped acrosome. The midpiece was composed of the basal body and mitochondria, and five mitochondria were arranged in single layer around the basal body. The cross section of the tail showed a \"9+2\" axonemal structure. These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features are the result of showing that the sperm of H. discus hannai is a primitive type.", "abstract":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웅성생식세포의 분화과정과 정자의 형태를 미세구조적으로 기재하였다. 정자의 분화과정은 정원세포기, 정모세포기, 정세포기 및 정자기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정원세포기에서 정모세포기로의 분화과정은 형태학적 변화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정자변태과정 동안 염색질 응축, 핵의 형태 변화, 첨체와 중편 및 편모 형성 등의 급격한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냈다. 북방전복의 정자는 두부, 중편 및 미부로 구성되며, 두부의 길이는 약 5.3 ㎛로 전자밀도가 높은 핵과 총알형의 첨체로 이루어져 있었다. 중편은 기저체와 미토콘드리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기저체를 중심으로 5개의 미토콘드리아가 한 층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미부의 횡단면은 \"9+2\"의 미세소관 구조를 보였다. 이러한 형태 및 구조적 특징은 북방전복의 정자는 원시형(primitive type) 정자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id": "JAKO202116954534732",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534732.pdf", "abstract_e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roup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in commun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pplying effec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Methods :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9, articles on group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were searched for in the NDSL, DBPia, Riss, and PubMed database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 total 16 out of the 147 identified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is review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contents of the group program, session and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outcome measures, and effect of the group program. Results : Single group pre-post test studies with evidence level III were most common (8, 50.0%), and five (31.3%)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cross all the 16 studies, there were 10 types of group program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was an exercise group program (25.0%).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group program period, sessions and time, the intervention period was most commonly 12 weeks (37.5%), with 8 sessions or 12 sessions (25.0%). The intervention time in the group program was most commonly 60 minutes (43.8%). Conclusion :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group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patients with dementia in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services.",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대상의 그룹 프로그램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9년부터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NDSL, DBPia, Riss,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노인 대상의 그룹 프로그램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147편의 논문 중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16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연구 대상자 특성, 그룹 프로그램의 세부내용, 중재기간 및 회기, 결과 측정방법, 그룹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6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III에 해당하는 단일 그룹 사전-사후 연구가 8편(50.0%)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사회 거주 일반 노인 대상의 연구가 5편(25.0%)이었다. 총 16편의 연구에서 적용한 그룹 프로그램의 유형은 10개로 구분되었고, 운동 그룹 프로그램이 4편(25.0%)이었다. 그룹 프로그램 중재 기간은 12주 동안의 중재 기간이 6편(37.5%)이었고, 회기는 8회기와 12회기가 4편(25.0%)이었으며, 그룹 프로그램의 적용 시간은 60분이 7편(43.8%)이었다. 결론 : 본 고찰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인지수준의 노인을 위한 작업치료 그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d": "JAKO202116954536734",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536734.pdf", "abstract_e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sleep problems in children with ASD.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102 mothers of infants with ASD aged 1-5 years. The Social Maturity Scales (SMS)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were used as the measuring tools. Results : The level of sleep problems in infants with ASD was 56.58T on the sleep problems scale.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ased on scores on the sleep problems scale: those with scores <65 (good sleepers) or scores ≥65 (poor sleepers). Sleep problem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the scales on the CBCL. However,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sleep problems and social quotients. Poor sleepers achiev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social quotient scale of the SMS than good sleepers. Poor sleeper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DSM-oriented scales on the CBCL compared to those in the good sleepers. Conclusion :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verified the severity of sleep problems in infants with ASD and has examined the differences i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al problems between poor sleepers and good sleepers.", "abstrac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과 정상 수준 간 사회성숙도와 문제행동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서울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의 소아정신과, 발달장애 클리닉, 재활의학센터 등에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ASD로 진단된 만 1-5세 영유아와 영유아 어머니 102명을 대상으로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유아행동평가척도(CBCL 1.5-5)와 사회성숙도 검사(SMS)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ASD 영유아의 수면문제 수준은 T점수에서 56.58로 나타났다. 수면문제는 CBCL 1.5-5의 하위척도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과 정상 수준의 2개 집단으로 나누었다. 집단 간 사회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이 정상 수준 집단보다 SMS의 사회지수가 낮았다. 또한, 정서적 반응성, 불안/우울, 신체증상, 위축 등 내재화 문제와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등 외현화 문제가 심각했다. 이외 DSM 전반적 발달문제, DSM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DSM 반항행동문제 등 외현화 DSM 장애 증상이 유의하게 심각했다. 결론 :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은 정상 수준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사회성숙도와 심각한 문제행동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695453573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535733.pdf", "abstract_e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on-invasive treatments and drooling assessment method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drool. Methods : This study searched two hundred papers published in 2005-2019. Forty-four pap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bstract and title, and ten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following a secondary search. Results : The PEDro Scale of the selected papers was high with an average of seven poi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tren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rimarily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and recently,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of oral sensory exercise was more actively studied than behavioral modification. Studies of behavioral modification and oral sensory exercise intervention methods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in participant age and, cognitive level, number of participants, research design, treatment time, and duration. Studies to confirming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the drooling measurement method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 Conclusion : This study analyzed typical behavioral modification and oral sensory exercise interventions as examples of non-invas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vided information to help select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s when planning non-invasive therapy using behavioral modification and oral sensory exercise therapy.",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주로 침흘림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비침습적인 치료적 중재와 침흘림 측정방법의 경향 분석 등에 대한 국외 문헌들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최근 15년 간(2005-2019) 국외 논문을 검색하여 총 265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1차 제목 및 초록을 중심으로 44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2차 원문 검색을 통해 10편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 선정된 논문의 PEDro Scale은 평균 6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는 뇌성마비가 주를 이루었고, 행동수정에 비해 구강감각운동의 치료적 중재가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었다.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 중재방법은 대상자의 나이, 인지수준, 대상자 수, 연구설계, 치료시간과 기간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침흘림 측정방법은 빈도와 심각성을 동시에 확인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침흘림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실시한 비침습적인 중재 중 대표적인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 중재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통해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치료를 통한 침흘림 프로그램 계획 시 적절한 치료적 중재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제공 및 근거를 마련하였다."} {"id": "JAKO202117651599609", "publication_date": "2021.05.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651599609.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a new noise filling method is propos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3D audio codec. In the new method, the core band is limited up to MAX_SFB, not up to the IGF start frequency. And the noise filling is applied to all frequency range of the IGF source patches. We conduct the MUSHRA test and find that the proposed noise filling method demonstrat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3D 오디오 부호기의 성능 향상을 위해 새로운 잡음 채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잡음 채움 기법에서는 핵심 대역을 IGF 시작 주파수까지가 아니라 MAX_SFB로 설정되는 영역까지로 제한한다. 그리고, IGF 입력 패치의 모든 주파수 영역에 잡음 채움이 수행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수정된 잡음 채움 기법의 성능은 MUSHRA 테스트를 통해 평가되었고, 그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입증한다."} {"id": "JAKO202112054771624",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054771624.pdf", "abstract": "내용타당도는 측정도구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얼마나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그 과정은 예비측정 도구 개발 단계와 개발된 것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잘 반영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에 대한 개념화와 예비질문지 개발이 이루어진다. 그 후, 전문가와 측정도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예비문항의 관련성, 포괄성, 및 이해성을 판단하게 된다."} {"id": "JAKO20210715977603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32.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rder of priority for the use of amendments, matching the optimal amendment to the specific site in Korea. This decision-making process must prioritize the stabilization and economic efficiency of amendment for heavy metals and metalloid based on domestic site contamination scenarios. For this study, total 5 domestic heavy metal contaminated sites were selected based on different pollution scenarios and 13 amendments, which were previously studied as the soil stabilizer. Batch extrac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quantify the stabilization efficiency for 8 heavy metals (including As and Hg) for 5 soil samples, representing 5 different pollution scenarios. For each amendment, the analyses using XRD and XRF to identify their properties, the toxicity characteristics leaching procedure (TCLP) test, and the synthetic precipitation leaching procedure (SPLP) test were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leaching safety in applied site. From results of batch experiments, the amendments showing > 20% extraction lowering efficiency for each heavy metal (metalloid) was selected and the top 5 ranked amendments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amount of amendment and on different extraction time conditions. For each amendment, the total number of times ranked in the top 5 was counted, prioritizing the feasible amendment for specific domestic contaminated sites in Korea. Mine drainage treatment sludge, iron oxide, calcium oxide, calcium hydroxide, calcite, iron sulfide, biochar showed high extraction decreasing efficiency for heavy metals in descending order. When the economic efficiency for these amendments was analyzed, mine drainage treatment sludge, limestone, steel making slag, calcium oxide, calcium hydroxide were determined as the priority amendment for the Korean field application in descending order.", "abstract": "국내 오염시나리오별 안정화 효율과 경제성이 뛰어난 안정화제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에서 연구된 대표적인 안정화제를 대상으로 국내 중금속 오염 현장 부지 특성별 중금속 안정화 효율이 높은 안정화제 순위를 결정하였다. 총 5종류의 오염시나리오를 가정하여 각각 해당되는 국내 오염부지 토양을 확보하였다. 국내외 활용도와 안정화 효율 연구 결과, 오염특성별 부지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기존에 연구되었던 안정화제 13가지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오염 토양과 안정화제의 오염 가능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XRD/XRF 분석, 독성용출시험과 인공강우용출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부지 오염시나리오를 대표하는 5종류 오염 토양에 대하여 선정된 13종의 안정화제에 의한 비소, 수은, 납, 6가 크롬, 아연, 니켈, 구리 등 총 8종의 중금속(반금속인 비소 포함) 용출 저감 효과를 규명하는 용출 배치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5개 오염 토양에 대하여 13개 안정화제 주입 비율 3%, 5%, 7% 적용 시, 각 중금속(비소 포함)에 대한 중금속 용출 저감 효율이 안정화제를 주입하지 않은 토양 대비 20% 이상을 나타내는 안정화제 중에서 저감 효율이 높은 순위부터 5개 안정화제(Top 5)를 선택하였다. 각 안정화제에 대하여 안정화제 주입비율, 중금속 종류, 부지별 조건에 따라 수행된 배치실험 결과에 대하여 Top 5에 해당하는 총 횟수를 합산하여, 다양한 국내 부지 오염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정화제의 순위를 결정하였다. 5개 오염 토양에 대하여 8개 중금속 항목별 용출 저감 효율이 20% 이상인 경우, 가장 안정화 효율이 높은 순위는 광산배수처리 슬러지(mine drainage treatment sludge), 산화철, 생석회, 소석회-석회석, 황화철, 바이오차 순으로 나타났다. 위 안정화제들에 대하여 안정화제의 효율대비 단가를 산정한 결과, 광산배수처리 슬러지, 석회석, 제강슬래그(비소의 경우), 생석회, 소석회 순으로 경제성이 높게 나타나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id": "JAKO20210715977605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51.pdf", "abstract_en":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ineralogical properties of caprock samples from drilling cores of the Pohang basin, which is the research area for the demonstration-scale CO2 storage project in Korea. The interaction of water-rock-gas that can occur due to CO2 injection was identified using geochemical modeling. Results of mineralogical studies, together with petrographic data of caprock and data on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pore water were used for geochemical modeling. Modell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The Geochemist's Workbench 14.0.1 geochemical simulator. Two steps of modeling enabled prediction of immediate changes in the caprocks impacted by the first stage of CO2 injection and the assessment of long-term effects of sequestration. Results of minerla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caprock samples are mainly composed of quartz, K-feldspar, plagioclase and a small amount of pyrite, calcite, kaolinite and montmollonite. After the injection of carbon dioxide, the porosity of the caprock increased due to the dissolution of calcite, and dawsonite and chalcedony were precipitated as a result of the dissolution of albite and k-feldspar. In the second step after the injection was completed, the precipitation of dawsonite and chalcedony occurred as a result of dissolution of calcite and albite, and the pH was increased due to this reaction.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iciency of mineral trapping capture in long-term storage of carbon dioxide.",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포항분지 영일층군 덮개암 시료의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산화탄소 주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물-암석-가스의 상호작용을 지화학 모델링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XRD, MICP, BET 분석을 실시하여 덮개암의 광물암석학적 및 공극 특성을 파악하였고, 광물학적 연구 결과와 공극수의 물리화학적 변수 자료들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주입 후 단기간 변화와 장기간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두 단계의 지화학 모델링(The Geochemist's Workbench 14.0.1)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포항분지 영일층군의 덮개암은 석영, 알바이트, K-장석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소량의 백운모, 황철석, 방해석, 카올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지화학 모델링 결과, 이산화탄소의 주입 후 덮개암은 방해석의 용해로 인해 공극률이 증가하고 알바이트와 K-장석의 용해 결과 도소나이트와 은미정질 실리카(칼세도니)가 침전되었다. 주입이 완료된 두 번째 단계에서는 방해석과 알바이트의 용해 결과 도소나이트와 은미정질 실리카(칼세도니)의 침전이 일어나며, 이 반응으로 인해 pH는 증가하였다. 또한 덮개암에서 이산화탄소를 포획할 수 있는 광물은 도소나이트 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기간의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에 있어 광물 포획의 효율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715977605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56.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 method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ydraulic property estimation model developed by Jeong et al. (2020). In their study, low-dimensional features of the annual groundwater level (GWL) fluctuation patterns extracted based on a Denoising autoencoder (DAE) was used to develop a regression model for predicting hydraulic properties of an aquifer. However, low-dimensional features of the DAE are highly dependent on the precipitation pattern even if the GWL is monitored at the same location, causing uncertainty in hydraulic property estimation of the regression model.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process for generating the GWL fluctuation pattern for conditioning the precipitation is proposed based on a conditional variational autoencoder (CVAE). The CVAE trains a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GWL fluctuation and precipitation pattern. The actual GWL and precipitation data monitored on a total of 71 monitoring stations over 10 years in South Korea was applied to validate the effect of using CVAE. As a result, the trained CVAE model reasonably generated GWL fluctuation pattern with the conditioning of various precipitation patterns for all the monitoring locations. Based on the trained CVAE model, the low-dimensional features of the GWL fluctuation pattern without interference of different precipitation patterns were extracted for all monitoring stations, and they were compared to the features extracted based on the DAE. Consequent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atistical consistency of the features extracted using CVAE is improved compared to DAE. Thus, we conclude that the proposed method may be useful in extracting a more accurate feature of GWL fluctuation pattern affected solely by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aquifer, which would be followed by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previously developed regression model.",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Jeong et al. (2020)의 연구에서 수행된 지하수위 변동 패턴의 저차원 특징추출 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제안된다. 해당 연구에서는 Denoising autoencoder (DAE)를 이용해 전국의 연 단위 지하수위 변동 자료로부터 저차원 특징이 추출되며, 추출된 자료를 이용해 대수층의 수리 특성값을 예측하는 회귀 모델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특정 지역의 연도별 강수 패턴이 달라질 경우, 지하수위 변동 패턴 및 저차원 특징 또한 달라지며, 이에 따라 동일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저차원 특징으로부터 추정되는 수리 특성값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건부 생성 모델인 Conditional variational autoencoder (CVAE)를 이용하였으며, 전국 71개 지역에서 10년 동안 획득된 지하수위 자료와 강수 자료 간 상관관계가 학습되었다. 학습된 모델을 통해 모든 지역에 대해 동일 강수 조건이 적용될 때의 지하수위 자료가 생성되었으며, 생성된 지하수위 자료로부터 저차원 특징이 추출되었다. CVAE를 이용해 동일 강수 조건으로 생성된 지하수위 자료의 저차원 특징과 기존 DAE를 통해 추출된 저차원 특징이 비교되었으며, 그 결과 CVAE를 이용해 추출된 저차원 특징 간 거리가 저차원 공간상에서 보다 가깝게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할 경우 대수층 특성에만 영향을 받는 지역별 지하수위 자료 및 저차원 특징이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개발된 회귀 모델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715977602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27.pdf", "abstract_en": "This study reports the Ar-Ar dating results for the volcanic rocks from small volcanoes(oreum) of the Hallasan Nature Reserve. According to the age of 40Ar/39Ar, the volcanic activity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was started from about 192 ka ago. The basaltic trachyandesite and trachyte located in the Y valley near the Eorimok in the western part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represent an age of about 191~192 ka, showing the oldest record of volcanic activity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the small volcanoes older than 100 ka are Y Valley in Eorimok area (192±5 and 191±5 ka), Dongsu-Ak (184±19 ka), Mansedongsan (153±5 ka), Janggumok-Orum (135±6 ka), Eoseungsaengak (123±9 ka), Samgagbong (105±2 ka). And the small volcanoes younger than 100 ka are Witbangae-Oreum, Seongneol-Oreum, Muljangol, Yeongsil, Bori-Ak, Witsenueun-Oreum, Witsejokeun-Oreum, Heugbuleun-Oreum, Bangae-Oreum, Albangae-Oreum, Witsebuleun-Oreum, Baengnokdam, Nongo-Ak. According to the eruption of trachytes,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bout 8 volcanic activities. Among them, 4 volcanic activities are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trachyte dome, such as Wanggwanneung, Samgakbong, Yeongsil, and Baengnokdam, and 4 volcanic activities are related with flow or dyke of trachyte. The volcanic activity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was started from northwest area, to in the southern area, and in the eastern area, and finally volcanic activit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Baengnokdam.", "abstract": "이번 연구에서는 제주도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 소화산들에 대한 40Ar-39Ar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내 어리목 상수원 부근에 위치하는 현무암질조면안산암 및 조면암이 192 ka 내외로 가장 오래된 연대를 보였으며, 동수악의 알칼리현무암 184 ka 내외, 만세동산의 조면현무암 153 ka 내외, 장구목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35 ka 내외, 어승생악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23 ka 내외, 삼각봉의 조면암 106 ka 내외 등으로 10만년 이상의 연대를 보인다. 10만년 전 이후의 화산활동으로는 윗방애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94 ka, 성널오름의 알칼리현무암 92 ka, 물장올의 전이질현무암 81 ka, 영실조면암 71 ka, 보리악의 조면안산암 73 ka, 윗세누운오름과 윗세족은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에서 각각 76 ka, 93 ka, 흙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60 ka, 방애오름과 알방애오름의 전이질현무암은 각각 59 ka, 83 ka, 백록담의 조면암 47 ka, 한라산 북벽의 조면암 35 ka, 윗세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41 ka, 성널오름을 관입한 조면암 32~43 ka, 동수악 부근 조면암 39 ka, 서중천 지류하천의 조면암 37 ka 내외의 연대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대측정 결과로 추정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화산활동은 약 192 ka에서 홀로세 직전의 17 ka까지 지속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조면암의 분출시기에 의하면 한라산천연보호 구역은 최소 약 8회의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중 왕관릉, 삼각봉, 영실, 백록담 등과 같이 조면암 돔이 형성된 4회의 화산활동과 용암류의 흐름 또는 암맥상의 조면암이 산출된 4회의 화산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형성은 지표상에 노출된 용암으로 볼 때 가장 먼저 보호구역 북서부에서 시작되어 남부지역, 동부지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백록담 형성과 관계된 화산활동 등의 순서로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id": "JAKO20210715977608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83.pdf", "abstract_en": "2:1 clay minerals such as smectite incorporating ammonium were extracted to investigate the ammonium behavior and nitrogen isotope characteristics for two different sediment cores which were collected from shimmering sites on seafloor of the Wakamiko crater, southwestern Japan. Inorganic nitrogen contents in clay fraction were estimated by calibration curve based on consistently decreasing carbon and nitrogen ratio during the treatment to decompose organic materials, after removing inorganic carb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s of inorganic nitrogen for total nitrogen in clay fraction of SWS site(Core#1094MR: av. 18.2%) are higher than those in SES site(Core#1093MG: av. 11.5%). Relatively good crystallinity of the former suggests that exchangeable ammonium was transformed to non-exchangeable ammonium during more evolving diagenetic process. Nitrogen isotope variance of clay fraction(SES site: Core#1093MG: -4.4 ~ +0.2 ‰, av. -2.4 ‰; SWS site: Core#1094MR: -0.7 ~ +3.0 ‰, av. +1.5 ‰) during sequential decomposition of exchangeable ammonium suggests that heat flow derived from deep magma led to nitrogen isotope fractionation between dissolved ammonium and ammonia in the fluid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2:1 clay mineral incorporating ammonium with local temperature variation.", "abstract": "함암모늄 2:1 점토광물 내 암모늄 거동과 질소동위원소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일본 남서부 해저 와카미코 화구(Wakamiko crater) 내 열수가 분출하는 두 지점에서 퇴적물 코어를 채취하여 스멕타이트로 대표되는 점토입자를 추출하였다. 점토입자 내 무기탄소 제거 후 순차적인 유기물 분해과정에서 감소하는 탄소-질소 비에 근거하여 무기질소 함량을 추정한 결과, 전질소에 대한 무기질소 비율은 SES 지점(Core#1093MG: av. 11.5%)에 비해 SWS 지점 (Core#1094MR: av. 18.2%)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후자에서 높은 광물 결정도를 보인 점은 상대적으로 진전된 광물화와 함께 교환성 암모늄이 비교환성 암모늄으로 전환된 결과로 해석된다. 단계적인 점토입자 내 교환성 암모늄의 제거과정에서 나타난 질소동위원소 조성 변화(SES 지점: Core#1093MG: -4.4 ~ +0.2 ‰, av. -2.4 ‰; SWS 지점: Core#1094MR: -0.7 ~ +3.0 ‰, av. +1.5 ‰)로부터 심부 마그마에서 비롯된 열류 및 열수에 의한 국부적인 온도변화는 함암모늄 2:1 점토광물의 형성에 관여한 유체 내 용존 암모늄과 암모니아 사이에서 질소동위원소 분별을 야기했을 것이다."} {"id": "JAKO20210715977604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46.pdf", "abstract_en": "Isotopic compositions of snow or ice have been used to reconstruct paleoclimate and to calculate contribution to streamwater using isotopic hydrograph separation as an end member. During freezing and melting of snow or ice, isotopic fractionation occurs between snow or ice and liquid water. Isotopic evolution during melting process has been studied by field, melting experiments and modeling works, but that during freezing has not been well studied. In this review, isotopic fractionation during equilibrium freezing is discussed using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wo stable water isotopes (oxygen and hydrogen) and the Rayleigh fractionation. Snow, evaporated from nearby ocean and condensated, follows the Global Meteoric Water Line (slope of 8), but the melting and freezing of snow affect the linear relationship (slope of 19.5/3.1~6.3). The isotopic evolution of liquid water by freezing observed in the open system during Rayleigh fractionation is also seen in the closed system. The isotopic evolution of snow or ice in the open system where the snow or ice is continuously removed becomes more enriched than the residual liquid water by the fractionation factor. The isotopic evolution of snow or ice in the closed system eventually equals the original isotopic compositions of liquid water. It is expected the understanding of isotopic evolution of snow or ice by freezing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aleoclimate studies and hydrograph separation.", "abstract": "고체상의 눈 또는 얼음의 안정동위원소 값은 과거의 기후를 복원하고 동위원소 수문분리의 단성분으로 기여율을 계산하는 데에 사용되어 왔다. 융해와 냉동이 일어나면서 눈 또는 얼음과 액체상의 물 사이의 동위원소 분별작용이 일어나는데, 융해는 상대적으로 현장, 실험 및 모델연구를 통해 연구결과가 제시되어 있지만, 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많지 않다. 본 논평에서는 평형 냉동이 발생할 때 물의 두 안정동위원소인 산소, 수소의 선형관계 및 레일리분별과정을 통해 냉동에 의한 동위원소 분별과정을 고찰하였다. 해양에서 증발한 수증기에 의해 응축된 눈은 기울기 8을 가지는 지구천수선을 따라 움직이지만, 냉동 및 융해가 발생하게 되면 기울기 19.5/3.1~6.3을 가지는 선형관계를 나타내게 된다. 평형냉동 동안 레일리분별과정에 의해 액체상인 물은 열린 계와 닫힌계에서 같은 동위원소변동을 보여 주었다. 눈 또는 얼음이 제거되는 열린 계에서는 남아있는 물의 안정동위원소와 분별계수만큼의 차이를 가지면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닫힌 계에서는 초기 액체상의 물의 동위원소 값으로 눈 또는 얼음은 수렴하였다. 냉동에 의한 눈 또는 얼음의 동위원소변동과정은 고기후 연구 및 수문분리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715977607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79.pdf", "abstract_en": "The rock-carved standing Buddha triad in Seoak-dong is a large stone Buddha statue of the Unified Silla era (AD 676 to 935) in ancient Korea, built near the top of the southeastern side of mountain Seondosan in Gyeongju, is characterized by its locational importance, the powerful Amitabha and the gentle sculptural technique of the Bodhisattva. In particular, Amitabha Buddha in andesite rock slope with biotite granite pedestal and two Bodhisattva parallel made by alkali granites seems to express the dignity through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stones. In the Amitabha Buddha,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are accelerating due to the combination of various joint systems, instability of the slopes and relaxation by the root pressure of plants occurring at the top. In addition, physical properties have deteriorated owing to the increase of discontinuous surfaces as joints, cracks and scalings, and the coverage of algae and lichen is also high. Therefore, deterioration degree in Buddha triad is accelerated due to the physical weathering characteristics from natural rock mass and various biological invasion.", "abstract":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은 경주 선도산 정상부의 동남향에 조성된 통일신라시대의 거석불로 입지적 중요성과 함께 힘찬 아미타불상과 부드러운 협시보살의 조각수법이 매우 특징적이다. 특히 안산암질 암반에 불신을 새기고 흑운모화강암을 대좌로 장식한 아미타불상과 좌우 병렬식으로 배치된 알칼리 화강암으로 조성된 협시불은 석재의 색상 및 질감을 통해 석불의 위엄을 잘 표현하였다. 아미타불상은 암반에 형성된 절리로 인한 불연속면의 발달과 사면의 불안정성, 최상부에서 발생하는 식물의 근압에 의한 암반의 이완현상이 결부되어 손상이 가속되고 있다. 또한 절리와 균열 및 박리 등 불연속면의 증가로 인해 물성이 크게 저하되었으며 조류 및 지의류의 피복도가 높은 상태이다. 따라서 마애여래삼존입상에 발생한 손상정도는 아미타불상이 마애불로 조성되면서 나타난 물리적 풍화특성과 다양한 생물침해에 의해 손상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0884892003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848920034.pdf", "abstract_en": "As the era of Industry 4.0 arrives, the research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rock engineering as well have increas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and availability of AI, this paper analyzed the types of algorithms and how to apply them to the research papers where AI is applied amo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tunnels, blasting and mines that are major objects in which rock engineering techniques are appli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ain specific fields in which AI is applied are rock mass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of TBM advance rate as well as geological condition ahead of TBM in a tunnel field, prediction of fragmentation and flyrock in a blasting field, and the evaluation of subsidence risk in abandoned mines. Of various AI algorithm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overwhelmingly applied among investigated fields. To enhance the credibility and accuracy of a study result, an accurate and thorough understanding on AI algorithms that a researcher wants to use is essential, and it is expected that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rock engineering fields which have difficulty in approaching or analyzing at present, research ideas using not only machine learning but also deep learning such as CNN or RNN will increase.",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암반공학분야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그 활용도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암반공학기술의 주된 적용대상인 터널, 발파, 광산과 관련된 최근의 국내외 연구 중 인공지능이 활용된 논문들에서 그 알고리즘의 종류와 적용방법을 분석하였다. 터널에서는 암반분류, TBM굴진율 및 막장전방 지질 예측, 발파에서는 암반의 파쇄도 및 비산거리, 광산에서는 폐광의 침하가능성 예측을 위해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계학습의 다양한 알고리즘 중 인공신경망이 압도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정확도와 신뢰성 제고를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현재는 접근이나 분석이 난해한 암반공학 분야의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해 기계학습뿐 아니라 CNN 또는 RNN과 같은 딥러닝을 활용한 연구 아이디어들이 점차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884892002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848920026.pdf", "abstract_en": "Recently,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has been accelerated with rapid urbanization, and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for safe construction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geological conditions of the section when excavating rocks. In this paper, a boring alignment tracking and geological exploration system have been developed to identify the geological conditions beyond the excavation face by utilizing a MSP method that bores a large empty hole to reduce blast-induced vibration. The major advantage of the proposed exploration system is that we can obtain the ground condition of 50 m ahead of the excavation face through exploration along blast cut-holes drilled for the NATM tunnel construction. In addition, we introduce several case histories regarding the assessment of the geological conditions beyond the tunnel face by monitoring the inside of large empty holes using the proposed hole exploration system.", "abstract": "최근 도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지하공간 개발을 위한 굴착공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암반 굴착 시 해당 구간의 지질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안전한 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터널 발파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대구경 무장약공을 천공하는 MSP 공법을 활용하여 굴착면 전방의 지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천공경로 및 지반탐사 복합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탐사 시스템은 NATM 터널 공사를 위해 천공된 대구경 심발공을 활용해 굴착면 전방 50 m 구간의 지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제안된 탐사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고 대구경 무장약공 내부를 모니터링하여 터널 굴착면 전방의 지질 상태를 평가한 사례를 소개한다."} {"id": "JAKO20210715977607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74.pdf", "abstract_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China's earthquake governance and role-sharing, and to strategically use it for research cooperation in related fields with China.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national earthquake governance and role-sharing are detailed in this study. First, unlike Korea, China's geoscience and earthquake research fields are separate, and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y hold a higher status compared to other fields in China. Second, China's provincial earthquake agencies simultaneously carry out related tasks under the dual supervisory management system of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Third, the China Earthquake Administration (CEA) has the authority to do research and development, manpower training, and degree conferment, which are centered on directly affiliated institutions. Fourth, China carries out similar functions in directly affiliated institutions of the CEA and the China Geological Survey (CGS), and affiliated institutions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AS), respectively. Fifth, the CEA is continuously expanding the seismic observation network that connects the vast land of the country. Sixth, China is considered to have detailed structures of earthquak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Given China's earthquake governance and role-sharing, it i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success in research cooperation is high if Korea first determines whether it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CGS, CEA, and CAS, depending on the specific field.",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의 지진 거버넌스와 역할분담을 이해하여, 중국과의 관련분야 연구협력에 전략적으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중국의 국가 지진 거버넌스와 역할분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와 달리, 중국은 지질자원분야와 지진분야가 각각 별개의 독립된 분야이며, 여타 과학기술분야과도 명확히 구분되어 있다. 특히 지진분야는 중국내에서의 타분야와 비교하여 위상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사료된다. 둘째, 성급 지진국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이중 지도관리체제로서 관련 업무를 동시에 수행한다. 셋째, 중국지진국의 직속단위 전문기관은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과 학위수여 권한을 가지고 있다. 넷째, 중국은 지질 과학 분야를 중국지진국 직속단위, 중국지질조사국 직속단위, 중국과학원 산하기관에서도 각각 수행하고 있다. 다섯째, 중국지진국은 광활한 국토를 연결하는 지진관측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여섯째, 중국은 지진관련 법령 체계를 구체적으로 잘 갖추고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중국의 지진 거버넌스와 역할분담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가 중국과의 관련분야 국제협력을 추진하려면, 세부분야에 따라, 중국지질조사국 또는 중국지진국, 중국과학원 소관인지를 먼저 파악하여야 성공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진다."} {"id": "JAKO20211103733285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37332850.pdf", "abstract_en": "Prior studies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 grapes have focused only on the fruit, pericarp, and branches, as well as the pulp and seed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changes in quercetin-3-O-glucuronide (Q3OG) and flavonol glycoside content using grape leaves from Vitis labruscana B. and V. coignetiae at different growth stage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quality control.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both varieties differed in Q3OG and flavonol glycoside content by growth stage, and the components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fruit, maturation, and coloration. Also, Vitis labruscana B. has a better vascular relaxation effect than Vitis coigneti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use of grape leaves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Q3OG and flavonol glycosides can be used as indicator components. In addition, if raw materials for each growth stage are mixed in a particular ratio, it will be a way to manage the specific efficacy and content of indicator component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켐벨얼리 품종과 머루 품종의 포도 잎을 생육단계별로 채취하여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quercetin, kaempferol, isorhamnetin)의 함량 변화와 혈관 이완 효과를 평가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품질관리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포도의 생육단계는 전엽기, 개화기,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로 구분되는데, 산업적으로 포도 잎 원료 확보가 쉬운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 포도 잎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시험 결과 두 품종 모두 생육단계별로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 함량의 차이가 있었고, 결실기>성숙기>착색기 순으로 성분들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단계별 혈관 이완 효과는 두 품종 모두 혈관 이완 효과를 보였으며 켐벨얼리 포도 잎이 머루 포도 잎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포도잎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물론, 안타깝게도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 성분이 혈관 이완 효과를 대표하는 효능성분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지만, 착색기 포도 잎에 비하여 결실기와 성숙기에 함량이 높은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가 지표성분으로 써의 가치는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포도 잎을 기능성 원료로 활용 시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를 지표성분으로 활용하고, 각 생육단계별 포도 잎 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일정한 효능과 지표성분 함량을 관리하는 방법이 되리라 생각한다."} {"id": "JAKO20211103733283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37332834.pdf", "abstract_en": "Vitamin E and K are essential micronutrients required by our body in small amounts for proper metabolic functions; however, the content of vitamin E and K commonly consumed in foods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define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vitamins E and K in sea algae and vegetables were analyzed and the analytical methods were validated. The α-tocopherol equivalent (α-TE) and vitamin K1 content in sea algae ranged from 0.15 to 1.14 mg/100 g and from 11.91 to 1,629.5 ㎍/100 g, respectively. In addition, α-TE and vitamin K1 of vegetables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0.02-2.48 mg/100 g and 16.15-979.60 ㎍/100 g, respectively. In particular, β- and γ-tocopherol and α- and β-tocotrienol were detected in several vegetables. The analytical methods were accurate and reproducible. These results provide reliable data on the vitamin E and K contents of foods consumed in Korea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Databas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해조류와 채소류의 비타민 E와 K 함량을 분석하고, 사용된 분석법의 유효성과 분석품질관리를 통해 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해조류의 비타민 E는 α-tocopherol만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활성은 0.15-1.14 mg α-TE/100 g으로 해조류의 종류와 조리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해조류에서 비타민 E는 건조된 매생이(dried)가 1.14 mg α-TE/100 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K는 건조 미역이 1,629.50 ㎍/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채소류의 경우, 비타민 E 활성은 0.01-2.48 mg α-TE/100 g으로 나타났으며, 가열처리 방법에 따라 비타민 E 함량이 변화하였다. 채소류의 비타민 K1 함량은 16.15-979.60 ㎍/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K1 은 초록 잎을 가진 시료에서 주로 검출되었으며, 뿌리 채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비타민 E와 K의 분석법에 대한 검증은 정확성, 정밀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를 평가하였으며, 분석품질관리를 통하여 분석 기간 동안 모든 시료에 대한 분석이 신뢰성 있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된 해조류와 채소류의 비타민 E와 K 데이터는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103733287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37332875.pdf", "abstract_en": "As a calorie supplement for the elderly, functional beverages based on black sesame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roasting times (0, 10, 15, and 20 min for R-0, R-10, R-15, and R-20, respectively), and their properties were compared. The total calorie content of the beverage was adjusted to match that of half a meal to meet the nutritional requirements of the elderly. The suspension stability of all samples was maintained for 5 day by the addition of xanthan gum. Regarding the color of the beverage, L* and a* values decreased, whereas b*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black sesame roasting time. Among the samples, the total lignan content did not change, except for R-20, which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value than the others. Total polyphenol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roasting time, reaching the maximum value in R-15 and R-20; however,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decreased for R-2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R-15 was the most acceptable for customized beverages.", "abstract": "한 끼에 필요 열량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고령자들의 영양보충을 위해 로스팅 시간을 0, 10, 15, 20분으로 달리하여 준비한 흑임자를 포함하여 한 끼 권장 영양의 1/2에 해당하도록 영양균형을 맞춘 음료를 개발하고 흑임자의 볶은 정도가 음료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비교하였다. 흑임자의 로스팅 시간이 길어질수록 개발한 음료의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흑임자의 항산화성분인 리그난의 함량은 로스팅하지 않은 대조군부터 15분 로스팅한 시료까지 변화가 없었으나 20분 로스팅한 시료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로스팅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유리라디칼 소거능은 20분 로스팅한 시료에서 감소함을 보여 흑임자의 항산화특성은 리그난 함량에 우선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관능 특성은 로스팅한 시료첨가군이 대조군이나 로스팅하지 않은 흑임자 첨가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10분과 15분 로스팅한 시료를 첨가한 음료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15분간 로스팅한 흑임자를 첨가하여 개발한 음료의 경우 리그난과 총 폴리페놀함량, 유리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높아 항산화기능을 부여하면서 관능 특성도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령자용 영양보충 음료로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id": "JAKO20211103733287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37332870.pdf", "abstract_en": "Silkworms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to produce silk and textiles. However, steamed and freeze-dried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 (SMSP) contain large amounts of amino acids, vitamins, and essential minera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SMSP as a hangover-relieving agent. Thirty individual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subsequently underwent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ross-design human application test. Importantly, the test product containing SMSP (CKDHC) was proven to alleviate hangovers through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acetaldehyde in the context of an alcohol-induced hangover model. In particular, from 0.5 h after SMSP intake, the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mg/L), area under the time curve (AUC; indicating the degree of bioabsorption of blood acetaldehyde), and the highest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Cmax) were reduced. Al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st product (CKDHC) exhibits an accelerated hangover-relieving effect.", "abstract": "숙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숙취를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조절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숙잠을 함유하는 복합물인 시험식품(CKDHC)의 섭취로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대조식품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숙취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특히, 30분부터 각 시간별(mg/L),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 최고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Cmax)의 감소를 통해 30분부터 빠른 숙취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원료로 사용된 숙잠은 Ji 등(2016a)에 따르면 18종의 아미노산 및 무기질을 모두 함유하며, 고단백 식용곤충으로 간에 좋은 주요 아미노산인 Alanine, Arginine 등을 많이 함유하여 간의 효소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수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숙잠을 함유하는 시험식품이 숙취해소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음주 전 섭취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빠르게 분해하여 30분부터 숙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id": "JAKO20211106591063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65910639.pdf", "abstract_en": "trans-Cinnamaldehyde (TCA), as one of the active ingredients in cinnamon,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viral,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as well as anti-cancer effects in several cancer cell lines. However, reports of TCA in gastric cancer are rare, and its mechanism is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CA and its mechanism in gastric cancer AGS cells. TCA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cell viability of AGS cell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CA induces apoptosis through changes in cell morphology. To elucidate its mechanism,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level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TCA induced the expression of p53 and Bax proteins, and then increased the cleaved caspase 9 and cleaved PAR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CA triggers apoptosis via p53 pathway in AGS cell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CA might be a new anticancer drug candidate for gastric cancer.", "abstract":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TCA)는 계피의 활성성분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항바이러스, 항균, 항진균 뿐 아니라 일부 암세포주에서 항암 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위암세포주에서의 보고는 미비하며 그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AGS 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작용 및 그 기전을 살펴보았다. TCA는 농도의존적으로 AGS 세포의 생존율을 억제하였다. AGS 세포 형태로 보아 TCA에 의한 세포사멸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양을 조사한 결과, TCA는 p53과 Bax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분절된 caspase 9 및 PARP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부터 TCA가 AGS 세포주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TCA가 위암에 대한 항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항암제 후보물질로 기대된다."} {"id": "JAKO20211106591058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65910589.pdf", "abstract_en": "The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dried chili peppers and chili powders, which are circulated in Seoul from 2018 to 2019, was conducted for safety eval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for 71 kinds of pesticide residues in 101 cases of samples, pesticides were detected in 87 samples; however, no samples exceeded the MRLs (Maximum Residue Limits). Detection rates of pesticides in dried chili peppers and chili powders were 73.3% and 91.5%, respectively. The detection rate of residual pesticides in chili powders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in dried chili peppers. Twelve types of pesticides were detected, however, those pesticides were acceptable to use on peppers, according to the Crop Protection Guideline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pesticide was pyraclostrobin followed by flubendiamide, azoxystrobin, and chlorantraniliprole. The risk for detected pesticides was estimated as the ratio of ADI (Acceptable Daily Intake) to food intake rate. The ADI value resulting by intake of dried chili peppers and chili powders was in the range of 5.66E-05 to 3.34E-02, which was within a safe level.", "abstract": "2018년과 2019년에 서울에서 유통 중인 건고추 및 고춧가루에 대해 잔류 농약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101건의 시료에 대해 71종 농약을 모니터링한 결과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없었으나 잔류농약이 검출된 시료는 87건으로 86.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건고추와 고춧가루 검출률은 각각 73.3%, 91.5% 이었다. 고춧가루의 잔류농약 검출률이 건고추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검출된 농약은 12종이었으며 모두 작물보호제 지침서에 따른 고추에 사용가능한 살균제 및 살충제이었다. 가장 다빈도로 검출된 농약은 pyraclostrobin이었으며 다음으로 flubendiamide, azoxystrobin, chlorantraniliprole 순이었다. 검출된 농약에 대한 위해성을 ADI(Acceptable daily intake)대비 식이섭취율로 산출하여 평가한 결과, %ADI는 모두 5.66E-05 - 3.34E-02%로 나타나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106591061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65910612.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lution rates of 11 metals from 82 metallic kitchen utensils purchased in the market. The elution frequency of the 11 types of metals was iron > aluminum > chromium, nickel > zinc > copper > lead > arsenic > antimony > stannum > cadmium. For metallic kitchen utensils, the elution rate of heavy metals was 7.3-93.9%, and the average elution concentration was 0.001-13.473 mg/L. The average elution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was ranged between none-detected (N. D.) to 30.473 mg/L for non-coated kitchen utensils and 0.000-10.005 mg/L for coated kitchen utensils. The average elution concentration of metals from domestic kitchen utensils ranged from 0.001-25.145 mg/L, and from 0.000-33.518 mg/L for imported kitchen utensils. In particular, aluminum was found to be high in domestic kitchen utensils while iron was high in imported kitchen utensils. The average elution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was N.D.-2.670 mg/L for stainless steel, N.D.- 31.575 mg/L for aluminum, and N.D.-307.737 mg/L for iron. The amount of transition to food after cooking was investigated.", "abstract": "본 연구는 2019년 경기도내 대형매장과 중소형매장 및 재리시장에서 유통 중인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철 등 금속제 주방기구 82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등 11종(납, 카드뮴, 비소 등)의 오염도를 조사하여 금속제 주방기구의 위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금속제 주방기구의 용출시험결과, 금속의 용출빈도는 철>알루미늄>크롬, 니켈>아연>구리>납>비소>안티몬>주석>카드뮴의 순으로 이었고 용출률은 7.3-93.9%이었다. 조사 대상 82건 중 알루미늄 주방기구 1건에서 니켈이 기준을 초과(결과 1.4 mg/L, 기준 0.1 mg/L 이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밖에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철에 코팅한 주방기구에서 니켈이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 금속제 기준을 5배-193배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기준규격의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코팅하지 않은 금속제와 내부를 코팅한 주방기구 평균 용출량을 비교해보면, 알루미늄과 철은 코팅한 주방기구에서 낮게 나타났고 나머지 대부분의 중금속은 코팅한 주방기구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산과 수입산으로 나누어 평균 용출량을 비교한 결과, 알루미늄과 철은 국산 및 수입산 모두 다른 중금속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알루미늄은 국산주방기구에서, 철은 수입산 주방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주방기구의 코팅재질별로 평균 용출량을 비교한 결과, 불소수지 코팅에서는 알루미늄, 세라믹 코팅에서는 알루미늄, 철, 법랑코팅에서는 니켈, 알루미늄, 철, 구리, 기타(실리콘과 티타늄)코팅에서는 철의 용출량이 높게 나타났다."} {"id": "JAKO20211745753519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35193.pdf", "abstract_en":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cases of management focusing on a reading club using the blended learning at school library and the relevant program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refore, the study has designed a research model for the blended-based management of school libraries, and cases of activities of reading clubs at school libraries for participants in programs linked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have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confidence level was satisfied in all areas of stability, consistency, predictability and verification on confidence level for related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Second, a meaningful relation has been verifie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blended activities and activities of the career search and the career design. Third, as a meaningful static effect has been shown in the contact-free activities in the areas of activities of the blended learning and activities of the career search and the career design, it was verified that programs linked with reading club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have higher positive effects in the contact-free activities. Last but not least, program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to support reading clubs at school libraries have been presented, and management of the blended learning at school libraries has been suggested.",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독서동아리와 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기반의 학교도서관 운영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자유학기제 연계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독서동아리 활동에 대해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모형의 관련변인에 대한 안정성, 일관성 및 예측가능성 신뢰도 검증의 모든 영역에서 신뢰수준을 만족하였다. 둘째, 블렌디드 활동과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 활동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유의한 관계가 검증되었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의 활동과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 활동 영역에서 비대면 활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 자유학기제 독서동아리 연계 프로그램은 비대면 활동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도서관 독서동아리 지원의 지자체 연계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학교도서관의 블렌디드 러닝에 관한 운영을 제안하였다."} {"id": "JAKO202118248874683",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248874683.pdf", "abstract_en": "Religious language learning is crucial for children's spiritual development and how each child is encouraged to speak about the Sacred will drive the capacities for healthily connecting with one another, God, and the nonhuman world. Religious educators have an ethical imperative to teach religion with a commitment to celebrating lived experiences, while resisting dogmatic instruction that stunts linguistic, cognitive, and spiritual development. Cultural influences must encourage approaches that nurture children's wonder and inquiry, by teaching religious language as a tool for meaning-making and expression.", "abstract": "종교적 언어의 학습은 아동의 영적 성숙을 위해서 중요하다. 아동이 거룩함을 말하는 것이 격려되는 상황 속에서는 아동의 동료 관계, 하나님과 자연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는 역량이 강화된다. 종교교육가의 윤리적 당위성은 종교를 가르치며 삶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갱신하는 과정 속에서 확보된다. 특히, 종교교사는 언어적, 인지적, 그리고 영적 발달을 저해하는 교리적 훈육에 저항해야 하는 책무에 능동적으로 반응할 필요가 있다. 문화적 영향은 아동의 신비와 탐구, 자아발견의 계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문화적 접근을 통해서 종교교사는 아동에게 종교적 언어를 가르치고 의미-형성과 표현을 위한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id": "JAKO20212294973996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39961.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materials and color formation techniques were assessed for black potteries excavated from the Janghyeon-dong, Jungsan-dong and Gyodong-ri site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Ulsan, Korea. Although the black potteries were black superficially, the inner cores were either black or reddish yellow. Microscopy analysis identified that body clay was used for reddish iron oxide rich soils with quartz, alkali feldspar and mica, along with grains of myrmechite texture. Additionally, as marginal differences exist in the contents of SiO , Fe O and CaO, the composition of the host rock and clay distributed around the sites was affected. Thus, we can deduce that pottery was made by soiling at a short distance. Raman spectroscopy results revealed that the black layer of the black pottery was used as amorphous combustion carbon. In addition, as a transparent layer of brown lacquer was observed on the substrate that wa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layer, the black layer of the pottery induced black color development by a combination of combustion carbon and lacquer. Based on the mineral composition and microtexture of the body clay, the firing temperature of the potteries seemed to range from 750 to 850℃, whereas the lacquer layer was pyrolyzed at 468℃ by thermal analysis. Therefore, a combined layer of combustion carbon and lacquer, which formed the black color, was painted after the body clay was fired.",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울산의 원삼국시대 장현동과 중산동 및 교동리 유적에서 출토된 흑색토기에 대하여 태토의 재료학적 특성과 제작기술을 검토하였다. 흑색토기의 표면은 흑색이지만 속심은 흑색 또는 적황색을 보인다. 현미경 관찰 결과, 태토는 붉은색 철산화물이 풍부한 토양을 사용하였으며 주로 석영과 알칼리 장석 및 운모류가 동정되었고, 부분적으로 미르메카이트 조직의 입자가 관찰된다. 또한 SiO 와 Fe O 및 CaO 함량에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각 유적지 주변에 분포하는 모암과 태토의 조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근거리에서 채토하여 토기를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라만분광분석 결과, 이 토기의 흑색층에는 비정질 탄소인 연매가 사용되었다. 표면층과 접하는 기질에서는 투명한 갈색의 칠이 관찰되었고 탄소가 농집된 것으로 보아, 흑색층은 연매와 옻을 칠하여 흑색발색을 유도한 것으로 해석된다. 태토의 광물조성과 미세조직으로 볼 때 이 토기의 소성온도는 750~850℃의 범위로 추정되며, 칠은 468℃에서 열분해되었다. 따라서 흑색을 이루는 연매와 칠의 혼합층은 소지의 소성 이후에 칠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2294974396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43962.pdf", "abstract_en": "Conservation treatment that involved filling the lifting parts of wooden cultural heritage is carried out by obtaining wood or wood powder of the same species and mixing it with synthetic resin or natural glue to charge the blank area. Various concentrations and mixing ratios of adhesives and additives are used, depending on the type and condition of the target.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onditions of the filler suitable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en sculptures with lifted or separated bark i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optimal filler conditions for each adhesive were selected based on drying speed, shrinkage and expansion rates, and physical deformation degree. Then, to verify their actual applicability, these fillers were applied to wood and exposed to high-humidity environment and their cross-sections were observed. The fillers showed stable application in the following order: animal glue, PVAc adhesive, acrylic adhesive. In conclusion, a 1:2 mixture of animal glue and wood powder is a suitable filler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en sculpture with lifted bar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ppropriate ways to stabilize the bark that was lifted or separated from a wooden sculpture, thus enabling the futur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artworks under similar conditions.", "abstract": "목재 문화재의 결손부 보존처리는 동일 수종의 목분, 목재를 성형 후, 천연 접착제 또는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결실 부위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접착한다. 그러나 대상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접착제 및 첨가제의 농도, 혼합비율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피가 들뜨고 분리된 상태의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을 대상으로 보존처리에 적합한 충전제 조건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건조속도, 수축·팽창률, 물리적 변형 정도를 기준으로 접착제별 최적 충전 조건을 선정하고, 실제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충전제들을 목재에 적용한 후 고습 환경에 노출하여 단면을 관찰하였다. 충전제는 아교, PVAc 접착제, Acryl 접착제 순으로 안정적인 적용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수피가 들뜬 목제 조각품을 보존처리 시, 적합한 충전제는 아교와 목분 1 : 2 비율의 혼합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하여 목제 조각품의 들뜨고 분리된 수피를 안정화하는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고, 향후 유사한 상태의 수피부 보존처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d": "JAKO20212294975296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52964.pdf", "abstract_en": "A Woolen carpet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was unearthed in the process of repairing Seongjeonggak in Changdeokgung. Since relics are rarer than documentary records, the woolen carpet is highly valued as a relics. It is presumed to have been woven in the late 19th or early 20th century because there is a record of repairing Seongjeonggak in 1907. In the carpet, a pattern is made by inserting colored yarn dyed yellow and red onto a reddish-purple ground weave. The selvage of the woolen carpet used cotton thread, and jute is used for the warp and weft of the ground weave. The colored patterns is made of wool in the form of loop pile. Cut piles may appear occasionally when the colored yarn changes, but are almost invisible from the surface because they are pressed tightly with a shuttered weft. Making carpets with jute and wool is thought to be influenced by the Brussels carpets of the mid-18th century. Furthermore, the woolen carpet is torn and the pattern is completely unclear; however,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pattern is partially repeated. Microscopic and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meter(FT-IR) analyses were performed for the above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dyes used in relics, we compared them with natural dyed fabric samples based on chromaticity measurements and Ultraviolet/Visible spectrophotometer(UV-Vis) analysis.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the woolen carpet's dyed green yarn did not use indigo, and reddish-purple ground weave is estimated to have used Caesalpinia sappan.", "abstract": "조선 말기 방한용 깔개인 모담(毛毯)이 창덕궁 성정각의 해체 공사 중 발견되었다. 문헌기록에 비해 현전하는 조선시대 모직물 유물이 많지 않아 유물로서 가치가 높다. 특히 1907년 창덕궁 성정각을 수리한 기록이 있어, 모담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출토 모담은 자적색 계열의 바탕 직물로 위에 황색, 홍색 등으로 선염한 색사를 표면에만 삽입하여 문양을 시문하였다. 모담의 식서부분은 S연의 면사가 확인되었으며, 지경사는 Z연의 황마사, 지위사는 S연의 황마사, 문경사는 S연의 모사를 사용했다. 특히 무늬는 루프파일의 색사로, 색사의 경계면에서 일부 컷 파일이 확인되나 지위사로 고정되어 표면에 거의 드러나지 않는 다. 황마사와 모사를 사용한 것은 18세기 중엽 유럽의 브뤼셀 카펫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모담의 문양을 밝히는 데 한계가 있으며 다만 문양이 부분적으로 반복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과 회화자료 외에 현미경 분석,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물에 사용된 염료를 밝히기 위해 색도측정을 토대로 자외-가시광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천연 염색한 직물 샘플에 대한 교차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모담의 녹색 모사는 쪽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자적색의 바탕조직은 소목으로 염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id": "JAKO202108839125794",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839125794.pdf", "abstract_en": "If a failure or an abnormal maneuver occurs during the flight test of a missile, the missile is deliberately self-destructed so as not to continue the flight. At this time, debris are produced and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impact area in real-time whether it is out of the safety area.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stimate the debris dispersion area and falling time in real-time using a Fully-Connected Neural Network (FCNN). We applied the Unscented Transform (UT)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training data. UT parameters were selected by comparing with Monte-Carlo (MC) simulation to secure reliability. Also, w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by comparing the estimation result of MC.", "abstract": "유도탄의 비행 시험 중 고장 또는 비정상적인 기동이 발생하는 경우 비행을 계속하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자폭한다. 이때 파편이 발생하며 안전 지역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Fully-Connected Neural Network(FCNN)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파편의 예상 낙하 영역 및 낙하 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많은 양의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해 Unscented Transform(UT)를 적용하였으며 신뢰도 확보를 위해 Monte-Carlo(MC) 시뮬레이션과 비교하여 파라미터를 선정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의 추정 결과를 MC와 비교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id": "JAKO202108839125785",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839125785.pdf", "abstract_en": "This paper studies measurement of sonic boom created by supersonic flight and its arrival angle estimation techniques. Since sonic boom propagates as an impulsive noise and includes infrasound frequency, we propose measurement instrumentation acquiring sonic boom signature without distortion. And we suggest the methodology for an arrival angle estimation with its performanc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sensor array configurations. The performance of our estimator is verified by comparing theoretical performance bound with statistics of its Monte-Carlo simulation results. Furthermore, we presents the analysis of the sonic boom measurement from real flight tests. This work provides an intuitive concept for sensor array configurations and measurement instrumentation.", "abstract": "초음속 비행체에서 발생하는 소닉붐은 일반적인 환경소음과 달리 초저주파 영역을 포함한 충격음으로 전파된다. 본 논문에서는 배열 음향센서를 이용하여 소닉붐의 특징을 왜곡 없이 측정하기 위한 계측방법과 소닉붐의 전파방향을 추정하기 위한 도래각 추정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음향센서의 배치에 따른 도래각 추정성능을 이론적인 방법으로 제시하였고 모의실험에서 얻은 통계값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도래각 추정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초음속 비행체에서 발생한 소닉붐을 제안한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로 소닉붐 측정을 위한 시스템 구성, 도래각 추정 방법과 그 성능에 대한 직관적인 개념을 제공하였다."} {"id": "JAKO202108839125780",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839125780.pdf", "abstract_e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was performed under low-speed wind tunnel test conditions using a 29.7% scale model of the NASA common research model. A wind tunnel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aerodynamic coefficient of the CRM with Belly sting model support configuration at a low Reynolds number of 0.3×106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aerodynamic coefficient of CFD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analysis, a computational analysis under the conditions of the advance research was performed and compared. The interference effect of the Belly sting model support affected not only the fuselage but also the main and tail wings.", "abstract": "NASA Common Research Model의 29.7% 축소 모형에 대하여 저속 풍동시험 조건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낮은 레이놀즈수 영역인 0.3×106에서 Belly sting 모형 지지부를 장착한 CRM의 공력계수를 측정하는 시험이 수행되었으며,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 조건으로 전산해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Belly sting 모형 지지부 유무에 대한 해석 결과 지지부에 의한 간섭 효과로 동체뿐만 아니라 주날개, 꼬리날개까지 공력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1236685635",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685635.pdf", "abstract_en": "For the bonding of smaller PCB solder bumps of less than 100 microns,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make up a tin plating solution and find plating conditions in order to produce a bump pattern through tin electroplating, replacing the previous PCB solder bumps process by microballs. After SR patterning, a Cu seed layer was formed, and then, through DFR patterning, a pattern in which Sn can be selectively plated only within the SR pattern was formed on the PCB substrate. The tin plating solution was made based on methanesulfonic acid, and hydroquinone was used as an antioxidant to prevent oxidation of divalent tin ions. Triton X-100 was used as a surfactant, and gelatin was used as a grain refiner. By measuring the electrochemical polarization curve,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additives in Triton X-100 and gelatin were compa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ddition of Triton X-100 suppressed hydrogen generation up to -1 V vs. NHE, whereas gelatin inhibited hydrogen generation up to -0.7 V vs. NHE. As the current density increased, there was a general tendency that the grain size became finer, and it was observed that it became finer when gelatin was added.", "abstract": "미세화 되고 있는 PCB 솔더 범프 접합을 위해 종래 마이크로 볼에 의한 PCB 솔더 범프의 제조를 대신하여 주석 전기도금을 통한 패턴을 제작하기 위한 도금액을 제작하고 도금공정 조건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SR 패터닝 후에 Cu 씨드층을 형성하고, 다시 DFR 패터닝을 통해 PCB 기판상에 선택성장이 가능한 패턴을 제작하였다. 도금액은 메탄술폰산을 기본액으로 하는 주석도금액을 사용하였으며, 2가의 주석이온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hydroquinone을 첨가하였다. 표면활성제로는 Triton X-100를 사용하고, 결정립 미세화를 위해 gelatin을 첨가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전기화학적 분극곡선을 측정함으로써, Triton X-100 및 gelatin 첨가제의 작용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gelatin이 -0.7 V vs. NHE까지 수소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비해 Triton X-100을 첨가하게 되면 -1 V vs. NHE까지 수소발생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정립의 크기는 전류밀도가 증가하면서 미세화되는 일반적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gelatin을 첨가하는 경우에 보다 더 미세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id": "JAKO202111236685617",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685617.pdf", "abstract_en": "GaN has shown good potential owing to its better chemical stability than other materials and tunable bandgap with materials such as InN and AlN. Tunable bandgap allows GaN to make the maximum utilization of the solar spectrum, thus improves the solar-to-hydrogen (STH) efficiency. In addition, GaN band gap contains the oxidation and reduction level of water, so it can split water without external voltage. However, STH efficiency using GaN itself is low and has been actively studied recently to improve it. In this thesis, we have summarized the studies related to the use of GaN as a photoelectrode for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abstract": "GaN은 III-V족 화합물 반도체로 밴드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다른 물질에 비해 산성, 염기성 용액에서 부식이 적다. 또한 GaN의 밴드갭이 물의 산화·환원 준위를 포함하고 있어 외부전압 없이 물 분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GaN 자체만으로는 태양광-수소 변환 효율(solar-to-hydrogen conversion efficiency, STH)이 낮아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GaN을 PEC 물분해의 광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과 연구에 대해 정리하였다."} {"id": "JAKO202111236685613",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685613.pdf", "abstract_en": "Here, we introduce a laser-induced graphene synthesis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for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Recently, the micro/nanopatterning technique of graphene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for the utilization of these new graphene structures, which shows progress developments at present with a variety of uses in electronic devices. Some examples of practical applications suggested a great potential for the tunable graphene synthetic manners through the control of the laser set-up, such as a selection of the wavelength, power adjustment, and optical techniques. This emerging technology has expandability to electric/electronic devices combined together with existed micro-packaging technology and can be integrated with the new processing steps to be applied for the operation in the fields of biosensors, supercapacitors, electrochemical sensors, etc. We believe that the laser-induced graphene technology introduced in this paper can be easily applied to portable small electronic devices and wearable electronics in the near futur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 유도에 의한 그래핀 합성 기술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전자 소자 제조 기술과 다양한 소자 제조 기술을 검토하였다. 최근까지 개발되고 있는 3차원 그래핀 구조 활용으로 설계된 마이크로/나노 패턴화는 효율적인 제조공정으로 인하여 많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차세대 기판 소재로의 응용까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산업에서 요구하는 실제적인 적용 연구의 예들은, 레이저의 파장대역 선택, 출력 조정 및 광 간섭 기술 응용 등의 점진적인 해결방안 논의를 통해 큰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그래핀의 전기/전자 소자 장치로의 응용 확장성은 이미 검증된 바 있으며, 새로운 합성 방식 및 기판 적용 기술은 마이크로 패키징 기술과의 통합 운용으로, 바이오센서, 슈퍼커패시터, 다공성 전기화학 센서 등 응용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레이저 기반 그래핀 가공 기술은 가까운 미래에 휴대형 소형 전자기기 및 전자 소자에 쉽게 적용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id": "JAKO202111236685649",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68564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graphene layer was grown on metal microwire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difference of carbon solubility between copper and nickel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mono-layer and multi-layer graphene were formed on the surfaces of copper and nickel microwires, respectively. During the growth of graphene at high temperature, copper and nickel were recrytallized and the grain size increased. The ampacity of graphene/copper microwire was improved by approximately 27%, 1.91×105 A/㎠, compared to pristine copper microwire. Similar to this behavior, the ampacity of multilayer graphene/nickel microwire was 4.41×104 A/㎠ which is about about 36% improved compared to the pure nickel microwire. The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of graphene/metal composites are beneficial for supplying the electrical energy to the high-power electronic devices and equipmen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금속 와이어를 촉매로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그래핀을 합성하고 구조 및 전기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리와 니켈의 탄소에 대한 용해도 차이로 인해 구리와이어에서는 단층 그래핀이 성장하였고, 니켈와이어의 표면에는 다층 그래핀이 성장되었다. 또한. 고온의 그래핀 성장 조건에서 구리와 니켈의 재결정화를 통해 결정립의 크기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에 그래핀이 합성된 구리와이어의 경우, 최대전류허용치는 1.91×105 A/㎠으로 합성 전 구리와이어에 비해 약 27% 향상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다층 그래핀이 합성된 니켈와이어의 경우에도 최대전류 허용치는 순수한 니켈와이어 대비 약 36% 향상된 4.41×104 A/㎠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그래핀/금속 복합소재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은 고전류를 요구하는 소자 및 부품에서 안정적인 전기적 흐름을 공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1236685644",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685644.pdf", "abstract_en": "SnO2 has the wide bandgap which allows it to be used as the photocatalyst. There are many studies to enhance the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SnO2. In this study, 3-dimensional SnO2 aerogel was synthesized using epoxide-initiated sol-gel method for the optimal specific surface area. Also, graphene oxide (GO) was added before the gelation process of the aerogel to maximize the specific surface area. Addition of 0.5 wt% of GO would possibly enhance the specific surface area by 1.7 times compared with the bare tin oxide aerogel. Furthermore, enhanced specific surface area could degrade 67.3% of initial Rhodamine B in 120 minutes. To compare with the bare SnO2 aerogel, 0.5 wt% GO addition to SnO2 could double the reaction rate of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abstract": "SnO2는 3.6 eV를 갖는 반도체 물질로 광촉매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물질이다. 광촉매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3차원 에어로겔 화를 통하여 높은 비표면적을 확보하고자 epoxide-initiated sol-gel method를 기반으로 하여 주석 산화물 에어로겔을 합성하였다. 좀더 향상된 비표면적을 구현하고자 합성공정 중 겔화전에 graphene oxide (GO) flake의 첨가를 통해 정렬된 기공구조와 결과적으로 높은 비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었다. 0.5 wt%의 GO flake의 첨가로 에어로겔 복합체의 비표면적을 약 1.7배 향상시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향상된 비표면적을 기반으로 Rhodamine B 염료의 분해효과를 흡수광 intensity 변화를 관찰하여 정성적으로 광촉매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장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0.5 wt%의 복합체는 120분에 67.3%의 분해 효율을 확보하였다. 또한, GO를 첨가하지 않은 SnO2 에어로겔 보다 약 2배 향상된 reaction rate를 보유하였다."} {"id": "JAKO20211385573697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973.pdf", "abstract_en": "As a demand of high-end steel raises, the importance of secondary refinement process also increases. However,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n molten steel, slag and inclusions change with the time, meaning the secondary refinement process is not an equilibrium state. Furthermore, many reactions occur between molten steel, slag, inclusion, refractory and alloying element during secondary refinement process. In order to consider the above complex reactions with non-equilibrium state, a few researchers developed kinetic models in secondary refinement process based on the experimental numerical equations. It is important to analyze and review to the previously reported models to develop a precise model. Therefore, in present study, the complex reaction models based on kinetic in secondary refinement process were analyzed, reviewed, and introduced. Moreover, the single reaction models also introduced which would be applied to the complex reaction models.", "abstract": "고품질 철강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차 정련 공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공정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용강, 슬래그 및 비금속 개재물의 조성은 정련 공정이 평형 상태가 아님을 의미하며, 정련 공정에서는 용강, 슬래그, 비금속 개재물, 내화물 및 합금 원소 간의 동시 다발적 반응이 일어난다. 다양한 상들의 비평형 상태에서 복잡한 반응을 고려하기 위해, 이전 연구자들은 실험을 통해 도출된 반응 속도 수식들을 기반으로 kinetic 기반의 고급강 제조 정련 시뮬레이션 모델을 발표하였다. 정밀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을 위해 보고된 2차 정련 모델들의 분석 및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로 발표된 정련 공정 관련 종합 모델들 및 단일 반응 모델들에 대하여 검토하고 소개하였다."} {"id": "JAKO20211385573699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994.pdf", "abstract_en": "The recycling of titanium turning scraps requires the removal of cutting oil and other contaminants remaining on the surface.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which titanium scraps were cleaned by a combination of ultrasonic immersion-steam cleaning and subsequent drying at high temperature. To determine the removal mechanism of cutting oil, the contact angle between titanium surface and cutting oil was measured. The result confirmed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immersion solution of the titanium turning scraps. In the case of immersion cleaning of Na4P2O7 aqueous solution, the degree of carbon removed in the cutting oil was the highest at 50℃,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bon content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 of steam cleaning and ultrasonic immersion-steam cleaning was lower than that from steam cleaning after ultrasonic immersion. The oxidation and decomposition behaviors of cutting oil were investigated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the result was applied in the high temperature drying process. From the results of the high temperature drying tests, it was concluded that 200℃ is the optimal drying temperature.", "abstract": "타이타늄 터닝 스크랩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표면에 남아있는 절삭유나 기타 오염물을 제거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침지-스팀의 복합 세척 공정을 활용하여 타이타늄 스크랩을 세척하고, 건조 조건을 달리하여 절삭유를 제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절삭유 제거 메커니즘 확인을 위한 접촉각 측정을 통해 타이타늄 터닝 스크랩의 침지 용액 최적 농도를 확인하였다. 피로인산나트륨 용액에 침지 세척 시 50℃에서 절삭유 내 탄소 제거율이 가장 높았으며, 스팀 세척-초음파 침지-스팀 세척 순으로 진행하는 것이 초음파 침지 후 스팀 세척을 실시하는 것보다 탄소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했다. 타이타늄 스크랩의 TGA 분석을 통해 산화 및 절삭유의 분해 거동을 조사하고 고온 건조에 적용하였다. 건조 후 탄소와 산소 함량을 고려 시 200℃에서 2시간 건조를 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85573701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10.pdf", "abstract_en": "The status of waste generation and recycling in 32 countries in the European Union (EU),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as investigated and summarized to encourage overseas market expansion for domestic urban mining industries. Among the 32 EU countries, Germany has the highest amount of material consumption and generates the largest quantity of waste. Minerals such as mine and soil wastes constitute the largest type of waste in the EU. With respect to waste treatment techniques, landfill and recycling are applied to 39% and 38% of the waste, respectively, implying the necessity to promote recycling. Japan's total waste generation declined recently to less than 400 million tons. The largest amount of waste is generated by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proportion of total recycled waste is estimated to be slightly over 50%, but the proportions are greater than 90% for metal scrap and 60% for waste plastics. The amount of waste produced in the United States recently exceeded 265 million tons; 52.1% of the waste is landfilled, while only 25.1% is recycled. Therefore, the recycling industry has to be developed further.", "abstract": "국내 도시광산업체의 해외진출을 장려하기 위해 유럽 32개국과 일본, 미국의 폐기물 발생 및 재활용 현황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EU(European Union) 32개국 중 독일의 물질소비량과 폐기물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EU의 폐기물 조성 중 광산폐기물이나 흙 등 무기물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폐기물 처리방법으로서 매립과 재활용이 각각 39%와 38%으로 아직까지 재활용할 여지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본의 전체 폐기물 발생은 최근 4억톤 이하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였다. 폐기물 중 재활용되는 비율은 50%를 조금 넘는 수준이나, 금속스크랩의 경우 90%를 상회하고 있으며, 폐플라스틱의 경우 60%로 나타났다. 미국의 폐기물발생량은 최근 2억6천5백만톤을 상회하고 있으며, 폐기물 중 52.1%가 매립되고 있고 재활용은 25.1%정도에 불과하여 향후 재활용산업에 진출할 여지가 높다고 판단된다."} {"id": "JAKO20211385573696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969.pdf", "abstract_en": "In the secondary refin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grade steel, the proper composition is maintained by alloying elements, and non-metallic inclusions are controlled for high cleanliness. Complex reactions occur simultaneously between the molten steel, slag, inclusions, refractories, and alloying elements during the secondary refining process. Previous works have reported simulation models based on kinetics to predict the compositional changes in molten steel, slag, and inclusions in actual processes. Analytical reviews are required for the models to predict the process accurately. In this study, we reviewed and analyzed simulation models based on the coupled reaction model for the secondary refining process.", "abstract": "고급강은 소비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성을 갖추고 있고 비금속 개재물의 제어를 통해 높은 청정도를 지닌 강을 의미하며, 철강 제품의 품질은 2차 정련 공정에서 제어하는 것이 지배적이다. 2차 정련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용강, 슬래그, 비금속 개재물, 내화물 및 합금원소 간의 복잡한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공정에 대한 제어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전 연구자들은 2차 정련의 공정 예측을 위해 Kinetic 기반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발표하였고, 정밀한 공정 예측을 위해 현재까지 발표된 시뮬레이션 모델들의 검토 및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oupled Reaction 모델 기반의 2차 정련 모델들을 분석 및 검토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토하였다."} {"id": "JAKO20211385573700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06.pdf", "abstract_en": "Ladle furnace slag is a byproduct of the steel-making process, and it contains the mineral β-C2Sandtherapid-settingmineral (dependingonwhichreducingagenthasbeenused). Ladle furnace slag is often treated through slow cooling, which causes the slag to lose its reactivity.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air-quenched CAC and pulverized ladle furnace slag containing gypsum were evaluated, and the optimal mixing ratio was determined for broadening their usage. Consequently, the properties of CAC aredemonstrated by the dissolution of gypsum after a period of three hours and the content of gypsum after a period of one day. The optimal mixing ratio of anhydrate and hemihydrate gypsum is found to be within 30% and that of dihydrate gypsum is found to be higher than 35%.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of CAC with dihydrate gypsum, the applicability of the by-product dihydrate gypsum has been verified.", "abstract": "조강 생산 시 발생되는 슬래그는 대부분 서냉 방식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슬래그 중 일부는 속경성 광물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냉 방식에 의해 그 반응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강환원슬래그를 SAT공법에 의하여 공기 급냉하여 선별 및 분급 후 분쇄한 CAC의 활용성 확대를 목적으로 석고 종류 및 혼입율에 따른 CAC의 특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CAC는 3시간에서는 석고 용해도, 1일 이후에는 석고 함량비에 따라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수, 무수석고의 적정 혼입율은 30% 이내, 이수석고는 35%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수석고의 혼입율 및 특성 확인을 통하여 부산이수석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85573700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02.pdf", "abstract_en": "Reduction of CO2 emission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steel industry, and the research on carbon materials that can partially replace cokes is necessary to reduce CO2 emissions. Meanwhile, the biomass fuel contains some fixed carbon, and the carbon content in the biomass can be increased by torrefaction. As one of the biomass fuels, coffee grounds contains about 55 mass% of carbon, and its about 270,000 tons are landfilled and incinerated annually in Korea. In addition, research on the recycling process due to the increase in annual coffee consumption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oncentration of fixed carbon in coffee grounds was investigated during torrefaction. Moreover, the effects of mixing ratio of torrefied coffee grounds with cokes on the carbon concentration and dissolution efficiency in the metal sample were investigated.", "abstract": "철강 산업에 있어서 CO2 배출량 감소는 중요한 이슈이며, CO2 배출 감소를 위해 코크스를 일부 대체할 수 있는 탄재 연료의 연구는 필요하다. 한편, 바이오매스 연료는 고정 탄소를 일부 함유하고 있으며, 반탄화 공정을 통해 연료내 탄소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이오매스 연료 중 커피박은 약 55 mass%의 탄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연간 약 27만 ton이 매립 또는 소각되고 있다. 또한, 연간 커피 소비량의 증가로 인한 재활용 공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반탄화 공정을 통한 커피박 내 고정 탄소의 농도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반탄화 커피박의 용해 실험을 통해 금속 샘플 내 탄소 농도와 용해 효율에 대한 코크스와 혼합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id": "JAKO20211385573698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985.pdf", "abstract_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type of alkaline precipitant used on the synthesis of lithium hydroxide by examining the behavior of lithium hydroxide produced using lithium sulfate recovered from a waste lithium secondary battery as a raw material. The double-replacement reaction (DRR) process was used to remove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lithium salt precursor of lithium sulfat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nthesis of lithium hydroxid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control the molar ratio of the precursor ([Li]/[OH]),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composition of the alkaline precipitant (KOH, Ca(OH)2, Ba(OH)2) used for the production of highly-crystalline lithium hydroxide. A secondary solid-liquid separation was performed following the reaction to remove the impurities generated, and the purified aqueous solution of lithium hydroxide was evaporated to remove the moisture and obtain the product as a powder. The crystallinity and synthesis behavior of the product were examin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성 침전제 종류 따라 제조되는 수산화리튬 결정화 정도 확인을 위해 폐리튬이차전지로부터 회수된 황산리튬을 원료로 사용하여 수산화리튬 제조 거동을 확인하였다. 황산리튬의 리튬염 전구체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 제거 및 높은 수산화리튬 합성효율을 위해 2차 침전법인 Double replacement reaction(DRR) 공정을 사용하였으며, 결정성 높은 수산화리튬 제조를 위하여 알칼리성 침전제(KOH, Ca(OH)2, Ba(OH)2)를 포함하여 전구체 몰비 ([Li]/[OH]) 및 합성온도 조건을 변수로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반응 후 생성된 불순물 제거를 위해 2차 고/액 분리를 실시하였고 불순물이 제거된 수산화리튬 수용액은 증발을 통해 수분 제거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득한 분말의 결정성 평가 및 제조 거동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85573697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976.pdf", "abstract_en": "Titanium is the fourth most abundant structural metal, after aluminum, iron, and magnesium. However, it is classified as a 'rare metal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melt. In particular, the primary titanium production process is highly energy-intensive. Recycling titanium scraps to produce ingots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by approximately 95 %. However, the amount of metal recycled from scrap remains limited of the difficulty in removing impurities such as iron and oxygen from the scrap. Generally, high-grade titanium and its alloy scraps are recycled by dilution with a virgin titanium sponge during the remelting process. Low-grade titanium scrap is recycled to ferrotitanium (cascade recycling).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itanium production and recycling processes.", "abstract": "타이타늄은 구조용 금속 중 알루미늄, 철, 마그네슘에 이어서 네 번째로 풍부한 금속이지만, 금속으로의 제련이 어려워 희소금속으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타이타늄의 제련공정은 에너지 다소비형 공정이다. 타이타늄 스크랩으로 잉곳을 제조하면 에너지 소비량과 CO2 발생량을 약 95 %까지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랩 중의 철분과 산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어려워 리사이클링 되는 양은 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고품위 타이타늄 스크랩은 순타이타늄 스펀지의 재용해 공정에 투입하여 희석하고, 저품위 스크랩은 페로타이타늄 제조용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타이타늄의 리사이클링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타아타늄의 제련기술과 리사이클링 기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id": "JAKO20211515309933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099336.pdf", "abstract_en": "SKB, the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mpany, has a leading position in developing deep geological disposal technologies and it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three-dimensional site-descriptive modeling (SDM). SDM provides a holistic view and integrated model of investigated sites in site-selection stage. The model is based on the geoscientific disciplines including geology, rock mechanics and thermal properties, hydrogeology, hydrogeochemistry, bedrock transport properties, and surface ecology. The site-descriptive model is connected to the quality-assured databases containing site investigation data, uncertainties in parameters describing material properties, suggested methods, testing standards, etc. Therefore, it can provide data relevant to repository layout and assessment of long-term safety. In this case study, we summarized the SKB's history of site investigation and site-descriptive modeling, and described workflow and software tools for SDM. We have suggested some items, such as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pilot project, and digital twins, based on experts' reviews on the SKB's SDM-site Report or Safety Assessment Report.", "abstract": "심층처분 연구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는 스웨덴의 SKB는 후보부지 선정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수집되는 현지조사 자료와 모델링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처분장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고, 정보들을 통합하여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부지모사 모델링을 도입하였다. 부지모사 모델은 해당부지의 지질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3차원 모델로 가시화하고 수치해석 코드 등에서 재현할 수 있게 형상 정보를 제공한다. 부지모사 모델은 모델 제작에 필요한 지반조사 결과와 자료의 불확실성, 조사기준 및 방법 등 각종 데이터베이스와도 연계되어 있어 처분장의 안전성 평가나 시설물 설계 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사례연구에서는 SKB의 부지모사 모델 제작 이력, 모델링 기법의 특징 및 소프트웨어 등 일반사항을 요약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이 부지모사 모델에 대해 제시한 검토 의견을 분석하여 부지모사 모델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요건과 통합작업환경, 파일럿 프로젝트 운영, 디지털트윈으로의 확대 등 향후 기술 개발 과정에서 고려할 만한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id": "JAKO20211655356391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553563918.pdf", "abstract_en":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adiation mutant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complex extract(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complex extract) on the mediators related to degenerative arthritis in a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rat model of degenerative arthritis.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complex extract was administered orally at doses of 25, 50 or 100 mg/kg/day for 2 weeks before direct injection of monosodium iodoacetate (3 mg/50 µl of 0.9% saline) into the intra-articular space of the rats' right knees. The rats subsequently received the same doses of oral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complex extract for another 4 weeks. It was evaluated that the treatment effects based on serum bio-markers, and morph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the knee joints. Compared with those in negative control rats, the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complex extract treatments significantly reduced the serum levels of inflammation, bone metabolism markers (i.e., TNF-α, MMP-3, COX-2, PGE , COMP, and Aggrecan). Otherwise,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CTX-2 in cartilage absorption mediators. In addition, the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complex extract treatments effectively preserved the knee cartilage and synovial membrane. As a result, it indicates that the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complex extract improved degenerative arthritis symptoms. Thus, the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complex can be used in food material for the management of degenerative arthritis.", "abstract": "본 연구는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와 백출복합물(차조기 복합물)이 퇴행성관절염 관련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MIA(monosodium iodoacetate)로 퇴행성관절염을 유도한 랫드로 평가하였다. 차조기 복합추출물을 2주 동안 25, 50, 100 mg/kg/day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랫드의 우측관절 내 공간에 MIA를 주입한 후 동일 용량을 4주 동안 지속 투여하였다. 이후, 혈청 바이오마커와 무릎 관절 분석의 형태학 및 조직병리학적 분석에 기초한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군 랫드와 비교하였을 때 차조기 복합추출물은 혈청 내 염증 및 골 대사 마커(TNF-α, MMP-3, COX-2, PGE , COMP, Aggrecan)의 생성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와는 반대로 연골 흡수 매개체인 CTX-2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무릎 연골과 활막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다. 그 결과, 차조기 복합물은 퇴행성관절염 증상을 개선하였다. 따라서, 차조기 복합물은 퇴행성관절염 관리를 위한 식품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id": "JAKO202116553542907", "publication_date": "2021.05.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553542907.pdf", "abstract_en":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on prurigo nodularis. Methods : We treated a 37-year-old female prurigo nodularis patient who has failed to respond to conventional therapies such as steroids and anti-histamines for 8 years. The patient was admitted to Daejeon University korean medical hospital for 21 days to get korean medical treatments including acupuncture, herbal-medicine, vapor treatment, venesection, pharmacopuncture and herbal-med aerosol therapy.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rurigo nodularis was determined by the patient's subjective opinions on pruritus, febrile sensation, pain, and sleep disorder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patient showed distinct improvements on pruritus, febrile sensation, pain, and sleep disorders. Pruritus decreased from 10 to 1, febrile sensation from 10 to 0, pain from 10 to 2, and sleeping hours increased 2 hours to 8 hours according to the patient's subjective opinion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such korean medical treatments can improve prurigo nodularis.", "abstract": "본 연구는 장기간 스테로이드 주사 및 연고, 항히스타민제 복용 등에도 악화된 중증 각화성 결절 양진 환자 치험례이다. 환자에게 한약 투약, 침, 증기, 습부항, 약침, 한방 외용제 치료를 시행한 결과 결절 과각화 감소 및 소양감, 열감, 통증, 수면 장애 등 제반 증상에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673941623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16234.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policies formulated through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aster plan for Seafarer's policy.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Seafarer's policy, AHP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3 main policies and 15 auxiliary policies established by the master plan for Seafarer's policy.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we investigated the inconsistency ratio of 34 respondents retrieved. We found that 25 respondents validated the reliability of the finding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licy of establishing a stable supply and demand system w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main policies for seafarers, while the policy of fostering seafarers linked to jobs was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the auxiliary policies. By group, the government recognized establishing a stable supply and demand system as a priority of policy. Dif erences were found on the fact that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expanding welfare were important for seafarers.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 Seafarer's policy through AHP analysis,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 established guidelines to enhance efficiency, such as budget allocation by polic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in implementing Seafarer's policies. Furthermore, our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aster plan for Seafarer's policy by comparing differences in importance per group.", "abstract":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선원정책 기본계획을 통해 수립된 정책의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선원정책의 중요도를 확인하기 위해 선원정책 기본계획에 의해 수립된 3대 주 정책과 15개 보조정책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의 신뢰성을 조사하기 위해 회수된 응답지 34부를 대상으로 비일관성 비율을 조사한 결과 25부가 연구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주 정책 중에서는 안정적 선원 수급체계 구축정책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보조 정책 중에서는 일자리와 연계된 해기사 양성 정책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 정부에서는 안정적인 선원 수급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정책의 우선순위로 인식하는 반면, 선원의 경우 근로여건 개선 및 복지확대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HP분석을 통한 선원정책의 중요도를 분석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선원정책을 집행함에 있어 중요도를 구분하여 정책별 예산 배분 등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둘째, 그룹별 중요도의 차이를 활용하여 선원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id": "JAKO20211673947726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77267.pdf", "abstract_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in Jinhae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Phytoplankton pigm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December 2019 at seven stations.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DO) and inorganic nutrients (dissolved nitrogen, dissolved phosphorus, and orthosilicic acid)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Phytoplankton biomass (Chl-a) was the highest in July (mean 15.4±4.3 ㎍/L) and the lowest in December (mean 3.5±0.6 ㎍/L). Fucoxanthin was the most abundant carotenoid and showed a similar variation pattern to Chl-a, peridinin, and Chl-b.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diatoms were a predominant group with an average abundance of 70 % whereas chlorophytes, cryptophytes, and dinoflagellates often appeared with lower averages. Further, the dominance of diatoms was clos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and N:P ratio, which might be influenced by high temperatures in the summer and nutrient loading from the land. Additionally, freshwater and nutrient input by rainfall was estimated to be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Hence,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the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pigm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correlated with physicochemical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를 이용하여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에서 12월까지 총 5회에 걸쳐 7개 정점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분석과 수온, 염분, 용존산소(DO), 영양염(DIN, DIP, Si(OH) ) 등의 환경요인 분석을 행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Chl-a)은 7월(평균 15.4±4.3 ㎍/L)에 가장 높았고, 12월(평균 3.5±0.6 ㎍/L)에 가장 낮았다. 보조색소의 경우 fucoxanthin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로 peridinin, Chl-b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월 변동은 Chl-a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결과, 규조류가 평균 70 %로 가장 우점하였으나, 일부 녹조류, 은편모조류, 와편모조류가 출현하기도 하였다. 우점종인 규조류는 특히 수온 및 N:P ratio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여름철 고온환경 및 육상으로부터의 영양염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또한 식물플랑크톤 색소 및 종조성은 전반적으로 계절에 따른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변화 및 지형적 특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강우로 인한 담수 및 영양염 공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id": "JAKO20211673947026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70263.pdf", "abstract_en": "The Korean Peninsula is surrounded on three sides by the East Sea, West Sea and South Sea which are connected to many rivers and streams, thereby facilitating easy inflow of debris from land. Furthermore, excessive debris inflow to the sea because of active fishing and various recreational activities. Debris entering the sea are weighted over time and settle in the seabed, thus, making direct monitoring of debris impossible and its collection difficult. Uncollected submerged marine debris affects the seabed ecosystem and water quality and can cause ghost fishing and ship accidents, especially due to waste net ropes and waste fishing gear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debri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s necessary to assist quick collection of these debris (waste net ropes and waste fishing gears).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debris deposited in the seas of 39 ports. Furthermo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s of submerged marine debris were identified by a map prepared through GIS-based spatial analysis of the East Sea. Consequently, 58% of waste tires in the East Sea were concentrated in breakwaters and ship berthing facilities. Moreover, 26 % of waste plastics were distributed outside the port. Identifying the distinc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marine debris was difficult; however, compared with others, the distribution of waste plastics was possible outside the 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eline data to assist the collection of submerged marine debris us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bstract": "한반도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많은 강과 하천이 바다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육상에서의 쓰레기 유입이 되기 쉽다. 또한 해상에서는 활발한 수산업 활동과 다양한 레저 활동으로 인해 쓰레기 유입이 많다. 바다에 유입된 쓰레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게가 가해져 가라앉아 해저에 침적하게 되며, 해저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 확인이 불가능하고 수거에 어려움이 있다. 수거되지 못한 해양침적쓰레기는 해저 생태계 및 수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폐그물로프와 폐어구로 인한 유령어업과 선박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성상의 쓰레기들(폐그물로프와 폐어구)은 우선적으로 수거가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분포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39개 항을 대상으로 해양에 침적되어 있는 쓰레기 조사를 실시했다. 그 중 동해에 대해서 GIS 기반의 공간 분석을 통해 해양침적쓰레기 성상별 분포 지도를 작성하고,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동해에서 폐타이어가 58 %로 구성되었고, 방파제 및 선박 접안 시설에 분포가 밀집되었다. 그리고 폐합성수지가 26 %로 구성되어 항외에도 분포가 있었다. 각 성상별 뚜렷한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웠지만 폐합성수지가 다른 성상들과 비교해 항외에 분포되는 특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분포 특성을 통해서 해양침적쓰레기 수거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id": "JAKO20211673945125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51253.pdf", "abstract_en": "The Ulsan anchorage has not secured a sufficient area than the anchorage demand, and the criteria for objective evaluation are not clearly defined. In this study, a general formula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nchorage density and occupancy concept was derived, and new adequacy evaluation criteria were proposed. The proposed criteria were applied to the Ulsan E anchorage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anchorage. The anchorage density and occupancy of the E1 anchorage were 129 % and 122 %, respectively, showing that both evaluation techniques exceeded 100 %, requiring anchorage expans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A plan to expand the anchorage was reviewed considering the traffic pattern and the distance from the pilot boarding point. Therefore, a plan to open 35˚ on a sector at the end of the Ulsan No. 1 fairway was developed, and its suitability was verified. Base on the verification results, there was a part of the overlap between the extended area and the traffic track on the south of the E3 anchorage, but the possibility of affecting the marine traffic was minima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nchorage adequacy was achieved.", "abstract": "울산항 정박지는 정박지 수요 대비 충분한 넓이의 면적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나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정박지 밀집도와 가동률 개념의 문제점을 개선한 일반식과 정박지 적정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기준을 울산항 E 정박지에 적용하여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울산항 E1 정박지의 밀집도와 가동률은 각각 129 %, 122 %로 두 평가 기법 모두 100 %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 기준에 따라 정박지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울산항 입출항 선박의 통항 패턴과 도선지점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울산항 제1항로 끝단에서 부채꼴 모양으로 35도를 개방한 정박지 확장 방안을 제시하였고, 해상교통 항적도, 정박지 밀집도, 그리고 가동률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울산항 E3 정박지 남측의 확장 해역과 해상교통 항적이 일부 겹치는 부분은 존재하나 매우 미미하여 해상교통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박지 모두에서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6739377212",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377212.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av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in the area of Haeundae Beach,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wav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in beach area, and derived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hange in beach area. The change in beach area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derived formula to wave observ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period of approximately 10 months, and the formula was subsequently validated by comparing the obtained results with the observed area. It is found that the error associated with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hange in beach area ranges from 1.5 m to 2.7 m based on the average beach width,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observed area ranges from 0.91 to 0.94. Furthermore, it is observed that the change in beach area is af ected by the wave direction in the western zone, wave height in the central zone, and wave height and wave period in the eastern zone.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mpact of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on the beach area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Haeundae Beach and the ef ectiveness of such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By applying the aforementioned derived formula to highly accurate wave prediction data, the change in beach area can be calculated and incorporated for predicting significant long-term changes in beach areas. Furthermore, such a predic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basis for making decisions while establishing preemptive countermeasure policies to prevent coastal eros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해운대 해수욕장의 내습파랑특성과 해빈면적 변화와의 상관성을 파악하였으며, 파랑특성요소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해빈면적 일변화량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전체 및 세부구간(서측, 중앙, 동측)에 대한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에 약 10개월의 파랑관측자료를 대입하여 계산된 해빈면적과 실제 관측면적과의 비교를 통해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해빈면적 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의 정확도는 평균 해빈폭 기준 1.5 ~ 2.7 m의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실제 관측면적과의 상관계수는 0.91 ~ 0.94의 분포를 보이며 매우 유사한 해빈면적 변화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부구간별로 해빈면적 변화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파랑특성요소가 서측구간은 파향, 중앙구간은 파고, 동측구간은 파고와 주기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안정비사업이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빈면적 변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연안정비사업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은 정도 높은 파랑예측자료가 확보될 경우 유의미한 장기간 해빈면적 변화 예측이 가능하므로 연안침식에 대한 선제적 대응 대책 수립 시 의사결정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106591075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65910750.pdf", "abstract_en": "Subsurface rock produces heat from the decay of radioactive isotopes in constituent minerals and gamma-ray emissions, of which the magnitude is dominated by the contents of the major radioactive isotopes (e.g., U, Th, and K). The heat production is generally calculated from the rock density and contents of major isotopes, which can be determined by mass spectrometry of drilled core samples or rock fragments. However, such methods are not easily applicable to deep boreholes because core samples recovered from depths of several hundred meters to a few kilometers are rarely available. A geophysical logging technique for boreholes is available where the U, Th, and K contents are measured from the gamma-ray spectrum. However, this technique requires the density to be measured separately, and the measurement depth of the equipment is still limited. As an alternative method, a normal gamma-ray logging tool was adopted to estimate the heat production from the total gamma activity, which is relatively easy to measure. This technical report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the proposed method for evaluating the heat production of a granitic rock mass with domestic commercial borehole logging tools, as well as its application to a ~2 km deep borehole for verification.", "abstract": "암석의 열생산율은 구성 광물 내 방사성 동위원소의 방사성 붕괴와 감마선 방출에 의한 열에너지에 기인하며, 그 크기는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인 U, Th, K의 함량에 지배적이다. 그러므로 암반의 열생산율은 암석의 밀도와 주요 동위원소의 함량에 기반해 평가할 수 있다. 심부 암반의 열생산율 평가에 필요한 방사성 동위원소의 농도는 시추공에서 회수된 암추 또는 암편에 대한 질량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대심도 시추공의 경우 요구되는 분석량과 그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의 문제로 적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시추공을 대상으로 하는 물리검층 중 암반의 감마선 스펙트럼으로부터 U, Th, K의 함량을 유추할 수 있는 기술이 있지만, 열생산율 평가를 위해 별개의 밀도검층 자료를 필요로 하며, 상용화된 장비의 적용 심도 또한 아직은 제한적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시추공 암반이 방출하는 감마선의 강도를 측정하는 자연 감마선 검층 결과로부터 열생산율을 유추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국내외에서 비교적 쉽게 암반의 열생산율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기술보고에서는 국내 상용화된 대심도 시추공 물리검층 장비 및 기술을 활용해 감마선 검층 기반의 열생산율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국내 약 2 km 깊이의 대심도 시추공에 대한 적용 및 검증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id": "JAKO20211106591074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65910746.pdf", "abstract_en": "Subsurface physical properties can be obtained and imaged by seismic exploration, and various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In this regar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has been widely us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developed algorithms. Although RMSE has the advantage of being numerically simple, it has limitations in assessing structural similarity. To supplement this, full-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FR-IQA) techniques, which reflect the human visual system, are being investigated. Therefore, we selected six FR-IQA techniques that could evaluate the obtained physical properties. In this paper, we used the full-waveform inversion, because the algorithm can provide the physical properties. The inversion results were applied to the six selected FR-IQA techniques using three benchmark models. Using salt model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version results were not satisfactory in some aspects, but the value of RMS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some FR-IQA techniques could definitely improve the evaluation.", "abstract": "탄성파 탐사는 속도와 밀도 같은 지하 매질 물성 정보를 파악하고 지하 지층 구조를 영상화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을 위해 다양한 기준 모델이 사용되며, 정확도의 경우 참 물성 데이터와의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re Error, RMSE)를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RMSE는 수치적으로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조적인 품질과의 상관도가 높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인간지각시스템을 반영한 FR-IQA (Full 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기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지하 물성 정보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FR-IQA 기법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물성 정보 도출 알고리즘으로 완전 파형 역산을 선정하여 세 가지 기준 모델에서 수치예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선정 된 FR-IQA 기법들을 이용하여 물성 정보 도출 알고리즘 정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주요 구조 정확성 평가 시 암염모델 하부 구조의 경우 구조적으로 좋지 않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나 RMSE 값은 감소하며 결과의 부정확성을 표출하지 못하였다. 반면, 몇몇 FR-IQA의 경우 결과의 부정확성을 수치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106591074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65910741.pdf", "abstract_en": "The closed-form expressions of the vector gravity and gravity gradient tensor due to a circular disk are derived. The gravity potential due to a circular disk with a constant density is defined for a cylindrical system. Then, the vector gravity is derived by differentiating the gravity potential with respect to cylindrical coordinates. The radial component of the vector gravity in the cylindrical system is converted into horizontal gravity components in the Cartesian system. Finally, the gravity gradient tensor due to a circular disk is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vector gravity with respect to the Cartesian coordinates.",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축 방향 대칭성을 가지면서 두께를 무시할 수 있는 원판형 이상체 대한 벡터 중력과 중력 변화율 텐서 반응식을 유도하였다. 밀도가 일정한 원판형 이상체의 중력 포텐셜을 원통 좌표계를 이용하여 정의한 후, 미분을 통하여 벡터 중력의 r 성분과 z 성분을 유도하였다. 벡터 중력 r 성분을 직교 좌표계에서 2개의 수평 성분으로 분해하여 벡터 중력을 구한다. 원판형 이상체의 중력 변화율 텐서는 직교 좌표계로 표현된 벡터 중력을 각 성분 방향으로 미분하여 유도하였다."} {"id": "JAKO202117457604220",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604220.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national trends in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We examined major theoretical models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its measurement guidelines and tools in the literature. We also conducted case studies to investigate actual practices in major regional public library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In-depth interviews with library staff were conducted in three large U.S. public library systems along with analyses of both internal and public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form that the most noticeable trend of performance evaluation was to assess the impact of public library in the lives of citizens and the society. Guidelines and methods to measure intangible impact were developed in both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s. These efforts were also found at the local library levels. While the outcome and impact measures were found to be direct reflections of strategic goals of the library systems, actual impact measures have yet to be refined in actual library practices.",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공공도서관 성과평가의 국제적 동향과 해외 성과평가 실무 동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성과평가에서 현재 주류적으로 적용되는 이론모델로 논리모델을 검토하는 한편 해외 공공도서관 성과평가 실제를 미국 동부 세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직접 방문하여 심층면담을 수행함으로써 사례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 전후부터 국제 도서관계의 성과평가는 도서관이 지역주민의 삶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실제적 영향력을 측정하는 경향이 주류를 이루며 이를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온 것으로 파악된다. 측정방법에 대한 국제 가이드라인과 함께 국가 차원의 성과지표 개발 노력 역시 활발하다. 개별 공공도서관들도 그 지역의 발전계획에 따라 전략목표를 수립하고 도서관 성과도 그에 따라 측정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기존의 단순 산출지표를 넘어 장기적으로 지역주민 삶과 지역발전을 위해 어떤 변화를 만들었는지 그 영향력을 측정하는 성과지표가 강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성과평가 실무에서 활용되는 영향지표는 여전히 미흡하여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id": "JAKO202117563145974",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45974.pdf", "abstract_en": "A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ecome more common, interests in how to control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devices are increasing.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electromagnetic wave control materials is magnetic one, but due to the features that make the product heavy and thick when applied to the product, it is difficult to use them in curved electronic devices. Therefore, a polymer flexible meta electronic device has been presented to sort out the problem, which is thin and can have various curvatures. However, it requires an additional evaluation of curvature reliabilit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to predict electromagnetic wave contro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sistance/length of the conductive ink line patterns of polymer flexible meta electronic devices, whic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electromagnetic wave control characteristics. As the radius of curvature decreased, the resistance/length increased, and there was little variations with the duration times of curvature. We also found that both permanent and recoverable changes along with the removal of curvature were occurred when the curvature was applied, and that the cause of these changes was newly created vertical cracks in the conductive ink line pattern due to the tensile stress applied by applying curvature.", "abstract": "최근 무선통신 기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자기파 제어 물질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자성 물질이지만 제품에 적용 시 제품이 무겁고 두꺼워지는 특징 때문에 일반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볍고 두께가 얇은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가 제시되었다. 또한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는 단일 제품을 다양한 곡률에 적용할 수 있어 곡면 형상이 많은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를 곡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곡률변화에 따른 전자기파 제어 특성의 안정성 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선 면적이 일정할 때 도선 길이에 따른 저항 변화율이 전자기파 제어 특성과 역의 관계라는 점을 활용하여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통해 전자기파 제어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의 곡률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곡률 반경이 감소할수록 도선 길이에 따른 저항 변화율이 증가하였고, 곡률 유지 시간에 의한 변화는 없었다. 또한 곡면 적용 시 도선에 영구적인 변화와 곡면 제거 시 회복 가능한 변화가 복합적으로 발생하였고, 이러한 변화의 원인이 곡면 적용 시 가해진 인장응력에 의해 생성된 도선 내 수직방향 크랙이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id": "JAKO202116739564315",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564315.pdf", "abstract_en": "IEEE 1588 PTP is a precision time protocol in which two systems synchronize without the aid of GPS by exchanging packets including transmission/reception time information. In the time synchronization process, the propagation delay time can be calculat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ystems can be measured using thi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improve the distance measurement precision less than the modulation symbol period using the timing error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preamble of the received packet. Computer simulations show that the distance measurement precision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preamble PN sequence and the signal-to-noise ratio.", "abstract": "IEEE 1588 PTP는 두 시스템이 GPS의 도움 없이 송수신 시간 정보를 포함한 패킷을 주고받으면서 동기화하는 정밀 시각 프로토콜인데 시각 동기화 과정에서 전파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두 시스템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신 패킷의 프리앰블에서 추출한 타이밍 오류 정보를 이용하여 변조 심벌 주기 이하로 거리 측정 정밀도를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거리 측정 정밀도는 프리앰블 PN 시퀀스의 길이와 신호대잡음비에 비례하는 것을 보였다."} {"id": "JAKO202117560715532",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0715532.pdf", "abstract_en": "Alternative methods of rock cutting have been introduced to substitute and to improve the traditional mechanical rock excavation methods (e.g., TBM and roadheader). Undercutting methods have been recently studied in some countries. In undercutting, several additional cutting parameters are involved in its cutting proces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rock-cutting. As a fundamental study,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undercutting method with actuated disc, lab-scaled testing system, and testing procedures of undercutting by the system. Also, we present the calculation methods of cutter forces and specific energy, and discuss the results of undercutting tests compared to those of traditional rock-cutting methods.", "abstract": "TBM과 로드헤더로 대표되는 기존의 기계화 암반굴착방식을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암석절삭기법들이 연구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기법들 중 언더커팅 방식은 최근에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방식이다. 언더커팅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암석절삭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절삭변수들이 암석의 절삭메커니즘에 관여한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으며, 언더커팅이 적용된 구동형 디스크, 실험실 스케일의 절삭시험시스템, 시험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소개된 절삭시험시스템을 이용하여 구동형 언더커팅 디스크의 절삭력을 통해 비에너지를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그 결과를 전통적인 암석절삭방식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id": "JAKO202117563181985",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81985.pdf", "abstract_en": "Effects of chitosan as a mesopore directing agent of SAPO-34 catalysts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catalytic lifetime in DTO reaction. The synthesized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XRD, SEM, N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 and NH -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 (TPD). The modified SAPO-34 catalysts prepared by varying the added amount of chitosan showed the same cubic morphology and chabazit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SAPO-34 catalyst. As the added amount of chitosan increased to 3 wt%, the surface area, mesopore volume and concentration of weak acid sites of modified SAPO-34 catalysts increased. The modified SAPO-34 catalysts showed enhanced catalytic lifetime and high selectivity for light olefins in the DTO reaction. In particular, the SAPO-CHI 3 catalyst (3 wt%) exhibited the longest catalytic lifetim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APO-34.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hitosan was a suitable material as a mesopore directing agent to delay deactivation of the SAPO-34 catalyst.", "abstract": "DTO (dimethyl ether to olefins) 반응에서 촉매의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SAPO-34 촉매의 메조 세공 유도제로서 키토산의 효과를 연구했다. 합성된 촉매의 특성은 XRD, SEM, N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 및 NH -TPD로 분석하였다. 키토산 첨가량을 변수로 하여 개조된 SAPO-34 촉매는 기존의 SAPO-34 촉매와 동일한 입방체 형태와 카바자이트 구조를 나타내었다. 키토산의 첨가량을 3 wt%까지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촉매의 표면적 및 메조 세공 부피는 향상되었으며 약산 점의 농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조된 SAPO-34 촉매는 DTO 반응에서 향상된 촉매 수명과 높은 경질 올레핀 선택도를 나타냈다. 특히, SAPO-CHI 3 촉매(3 wt%)는 기존의 SAPO-34 촉매 수명(82 min)과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촉매 수명(140 min)을 나타냈다. 따라서 키토산이 SAPO-34 촉매의 비활성화를 억제하기 위한 메조 세공 유도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임을 확인했다."} {"id": "JAKO202117563173983",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7398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SLEC-3 was prepared from coconut oil and the structure was elucidated by using FT-IR, H-NMR and C-NMR analysis. Measurements of interfacial properties such as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static and dynamic surface tensions, emulsification index, and foam stability have shown that SLEC-3 is better in terms of interfacial activity and more effective in lowering interfacial free energy than those of SLES, which has been widely used as a conventional anionic surfactant in the detergent industry. Biodegradability, acute oral toxicity and dermal irritation tests also revealed that SLEC-3 surfactant possesses excellent mildness and low toxicity, indicating the potential applicability in detergents and cleaner products formulat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로부터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C-3을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FT-IR, H-NMR 및 C-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 SLEC-3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유화력, 거품 안정성 등의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기존 세제 제품에서 널리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S와 비교하여 계면 활성이 보다 우수하고 계면 에너지를 낮추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LCE-3에 대한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및 급성 피부자극 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자극 및 저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제 및 세정제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id": "JAKO202117563168981",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68981.pdf", "abstract_e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have been drawn attention due to their high specific surface area, porosity, and catalytic activities that allow to use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sensor, catalysis, energy storage, etc. To synthesize MOFs hydrothermal or solvothermal method were generally used. However, these methods require high-cost equipment and long time-spend for the synthesis with multi-step process. In contrast, electrochemical synthesis has been considered as a simple and easy process under the ambient conditions. In this review, we described the mechanism of electrochemical MOFs synthesis by the number of configured electrodes system, with the recent reports of various applications.", "abstract": "금속 유기 골격체는 최근 20년간 센서, 촉매, 에너지 저장과 같은 많은 응용분야에서 관심을 받아온 물질이다. 이 물질을 합성하기 위해 수열 합성, 유기용매열과 같은 합성법이 제시되어 왔으나, 그 공정이 복잡하면서 고비용·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기화학적 합성법이 새롭게 제시되었는데, 간단한 준비절차와 특정한 온도·압력 조건 없이 합성할 수 있어 기존 합성법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총설논문에서는 전기화학적으로 합성 가능한 금속 유기 골격체의 종류와 전기화학적 합성 메커니즘을 다루고 있다. 전기화학적 합성법을 통해 형성된 금속 유기 골격체를 적용한 응용분야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id": "JAKO202117560744543",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0744543.pdf", "abstract_en": "The EPB (Earth Pressure Balanced) shield TBM method restrains the ground deformation through continuous excavation and support. Still, the significant surface settlement occurs due to the ground conditions, tunnel dimensions, and construction condi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ettlement behavior with its influence factors and evaluate the possible settlement during construction. In this study, the analytical model of surface settlement based on the influence factors and their mechanisms were proposed. Then, the parametric study for controllable factors during excavation was conducted by numerical metho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the settl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nditions was quantitatively derived. Then, the qualitative trend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was visualized by coupling the numerical results with the analytical model of settl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rivation of the settlement prediction algorithm for EPB shield TBM excavation.", "abstract": "토압식 쉴드 TBM 공법은 커터헤드 후면 챔버에 버력을 채워 막장 안정성을 확보하는 공법으로, 연속적인 굴착 및 지보를 통해 지반 변형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전히 지반 조건, 터널 크기, 그리고 시공 조건에 의해 무시할 수 없는 지반 침하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반침하 영향인자에 의한 침하 거동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공 중 발생 가능한 지반침하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압식 쉴드 TBM 시공 시의 지반침하 주요 영향 인자들과 침하 발생 메커니즘이 반영된 해석 모델(analytical model)을 제시하였고, 시공 중 조절 가능한 인자들에 대한 매개변수 해석을 수치해석 기법을 통해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를 통해 시공 조건에 의한 침하 거동을 정량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침하 해석 모델과의 연계를 통해 지반 조건에 따른 정성적인 경향성을 도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토압식 쉴드 TBM 굴착에 의한 침하예측모델 도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7563179984", "publication_date": "2021.06.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3179984.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preparation conditions for a TiO -based vanadium-based catalyst for oxidizing hydrogen sulfide at room temperature were optimized. Four types of commercial TiO were used as a catalyst support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hydrogen sulfide oxidation at room temperature of V/TiO by varying vanadium contents prepared using the impregnation method was performed. Among the types of TiO tes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talyst with the vanadium content of 5% and based on TiO (A) has the best hydrogen sulfide conversion rate of 58%. By compar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atalyst,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upport and the species of dominant vanadium are the major factor in catalyst performance. In order to confirm the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atalyst with reduced activity,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400 ℃ for 2 h, and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 oxidation decreased by 10% due to the partial deposition of sulfur in the regenerated catalyst,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performance was simila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황화수소를 상온에서 산화시키기 위한 TiO 기반 바나듐계 촉매의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촉매의 지지체로써 4종의 상용 TiO 를 선정하였으며, 함침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양한 바나듐 함량별 V/TiO 의 황화수소 상온 산화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선정된 TiO 중 TiO (A)를 기반으로 하며 바나듐(V) 함량이 5%인 촉매의 황화수소 전환율이 58%로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지지체의 비표면적과 우점하는 바나듐의 종이 촉매 성능의 주요인자임을 도출하였다. 활성이 저하된 촉매의 재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400 ℃에서 2 h 동안 열처리하였으며, 재생된 촉매에 황이 일부 침적되어 황화수소 산화량이 10% 감소하였으나 초기 성능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8742184024", "publication_date": "2021.06.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8742184024.pdf", "abstract_en": "Pebble-bearing clastic carbonate rock which has been found in and around the Jeongseon and Okgye through the field survey was studied in petr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We define the clastic carbonate rocks as 'Dolomite-pebble bearing fine sand-sized dolostone, or grainstone',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existence of dolomite single grains and Mg-phengite, and by the subsequent formation of secondary calcite cements. These attributes correspond well with those of the typical Haengmae Formation from Haengmae-dong, Mitan-myeon, Jeongseon-gun, thus the carbonate rocks in the Jeongseon and Okgye areas must belong to the Haengmae Forma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Haengmae Formation is an independent unit among the Paleozoic lithostratigraphic units in Taebaek basin and lies in the upper part of Jeongseon and Sukbyungsan Formations under the Hongjeom Formation of Pyeongan Supergroup.", "abstract": "행매층은 정선석회암과 회동리층 사이에 위치하며 회동리층의 존재 및 지질시대를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층이다. 행매층의 분포조사를 통해 정선 및 옥계 일원에서 쇄설성 탄산염암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암석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쇄설성 탄산염암의 암상 특성은 함돌로마이트역-미사질 백운암, 혹은 입자암(Dolomite-pebble bearing fine sand-sized dolostone, or grainstone)으로 정의할 수 있다. 광물조성 및 미세구조적 특징으로는 단결정 돌로마이트와 Mg-펜자이트의 존재, 그리고 입자 사이를 충진하는 교질물질로 나타나는 방해석의 생성이다. 이 같은 특성은 정선군 미탄면 행매동 일원의 전형적인 행매층의 특성과 일치하고 있어, 정선과 옥계 일원의 쇄설성 탄산염암이 행매층임을 지시한다. 본 연구결과는 태백산분지내에서 행매층은 독립 암층서단위일 뿐만 아니라 평안누층군 홍점층 직하부의 조선누층군인 정선석회암과 석병산석회암 상부에 분포하고 있음을 제시해 준다."} {"id": "JAKO202117651617613", "publication_date": "2021.05.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651617613.pdf", "abstract_en": "Point cloud content is immersive content that represents real-world objects with three-dimensional (3D) point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point cloud data or encoding and decoding point cloud data, the resolution of point cloud content could be degra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progressively enhancing the resolution of sequential point cloud contents through inter-frame registration. To register a point cloud, the iterative closest point (ICP) algorithm is commonly used. Existing ICP algorithms can transform rigid bodies,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ransformation is not possible for non-rigid bodies having motion vectors in different directions locally, such as point cloud content. W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ICP-based method by registering regions with motion vectors in different directions locally between the point cloud content of the current frame and the previous frame. In this manner, the resolution of the point cloud content with geometric movement is enhanced through the process of registering points between frames. We provide four different point cloud content that has been enhanced with our method in the experiment.", "abstract":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는 3차원 포인트로 실제 객체를 나타내는 몰입형 콘텐츠이다.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의 해상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 간 정합을 통해 순차적으로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의 해상도를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정합하기 위해 ICP(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즘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기존 ICP 알고리즘은 강체를 변환할 수 있지만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와 같이 로컬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모션 벡터를 갖는 비 강체에 대해서는 변환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프레임의 포인트 클라우드와 이전 프레임 사이의 포인트를 쌍을 만들고 만들어진 쌍의 움직임양을 계산하여 보상해주는 방법으로 기존 ICP 정합에서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 사이에 포인트를 정합하는 과정을 통해 기하학적 움직임이 있는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의 해상도가 향상됨을 보였다."} {"id": "JAKO202111236685640",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236685640.pdf", "abstract_en": "In order to produce wearable displays with high adhesion while maintaining flexible characteristics, the adhesive method using electro plating method was carried out. Laser lift-off (LLO) transcription was also used to remove sapphire substrates from LEDs bonded to fibers. Afterwards, the SEM and EDS data of the sample, which conducted the adhesion method using electro plating, confirmed that copper actually grows through the lattice of the fiber fabric to secure the light source and fiber. The adhesion characteristics of copper were check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fter plating adhe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LO transcription process completed and the LED without the transcription process were compared using probe station. The electroluminescence (EL) according to the enhanced current was measured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source after the process. As the current increases,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bandgap decreases,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trum shifted.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according to the radius change is confirmed using probe station. The radius strain also had mechanical strength that copper could withstand bending stress, so the Vf variation was measured below 6%.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pplied to batteries, catalysts, and solar cells that require flexibility as well as wearable display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abstract": "유연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접착력을 가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하여 전해도금법을 이용한 접착법을 진행하였다. 또한 섬유에 접착된 LED의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하기 위하여 LLO 전사법을 이용하였다. 그 후 전해도금을 이용한 접착법을 진행한 샘플의 SEM, EDS 데이터를 통하여 실제로 구리가 섬유직물의 격자사이를 관통하여 성장하며 광원과 섬유를 고정시켜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리의 접착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금 접착 후 laser lift-off (LLO) 전사공정을 완료한 샘플과 전사공정을 진행하지 않은 LED의 특성을 probe station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공정 이후의 광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가 전류에 따른 electroluminescence (EL)을 측정하였다. 전류가 증가할수록 온도가 상승하여 Bandgap이 감소하기 때문에 spectrum이 천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adius 변화에 따른 샘플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probe station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Radius 변형에도 구리가 bending stress를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어 Vf 변화는 6% 이하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필요한 배터리, 촉매, 태양전지 등에 적용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d": "JAKO202108839125803", "publication_date": "2021.03.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8839125803.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an incremental twisting compensator is propos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helicopter control and tested on an in-house full-scale helicopter simulator. The proposed compensator has a merit in that an incremental control input (a second-order sliding mode control input or so-called twisting control input) is simply ad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elicopter control, while the original flight control structure remains untouched. The proposed control technique has been shown to improve the transient and steady-state response of the in-house helicopter simulator.", "abstract": "본 논문은 헬리콥터 제어 성능 향상을 위한 증분 트위스팅 보상기법을 제안하고 자체 개발한 헬리콥터 시뮬레이터를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한다. 본 보상기법은 헬리콥터의 기본 비행제어입력에 2차 슬라이딩 모드 보상입력(일명 트위스팅 보상입력)을 간단하게 추가하는 증분 방식으로, 기존 비행제어법칙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헬리콥터 제어 성능을 향상한다는 데 장점이 있다. 제안된 보상기법은 자체 개발한 헬리콥터 시뮬레이터를 통해 기존비행제어법칙 대비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응답 특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d": "JAKO20212294973896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38961.pdf", "abstract_en": "Korea's National Treasure No. 229, the Jagyeongnu (clepsydra) of Changgyeonggung Palace, is a scientific and cultural property representing the pinnac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Joseon Dynasty. Currently, only the large, mid-sie, and small Pasuhos (bronze jars) remain. During a nearly two-year conservation project by th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CHCSC) that began in 2018, conservators identified the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clock's components. It turned out that the contaminants had been caused by the exposure of squalane and silicone oil, used in an earlier preservation treatment, to the elements. The CHCSC conducted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remove the contaminants. First, the conservators tried using an organic solvent, a poultice, and the application of toluene and bentonite, which yielded excellent reactivity and significant color difference changes (𝚫E). However, the reactivity was insufficiently effective to warrant the health hazards to the conservators and the environment (toluene is toxic). Although organic solvents required considerably more effort, time, and human resources, the conservators confirmed that their use achieved a true color difference variation (𝚫E) that was within the same range as the toxic hydrocarbon. Thus, they confirmed that using an organic surfactant was the best method for removing the contaminants.", "abstract": "국보 제229호 창경궁 자격루 누기는 조선시대 과학기술의 정점을 보여주는 과학 문화재로서, 현재는 대·중·소 파수호(播水壺)와 수수호(受水壺)만 남아있다. 2018년부터 약 2년 여간 이루어진 자격루 누기의 전면적인 보존처리 과정에서, 표면에 발생한 오염물을 동정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면 오염물은 이전 보존처리와 조사 과정에서 사용된 스쿠알란(squalane)과 실리콘 오일(silicone oil)이 환경 요인에 노출되어 발생한 오염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을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우선 유기용제와 습포제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톨루엔과 벤토나이트를 적용했을 때 가장 큰 색차 변화폭(𝚫E)을 나타내는 등 뛰어난 반응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에 수반되는 유기용제의 유해성과 습포제로 인한 2차 오염 발생 가능성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보존처리자의 안전과 작업 환경 및 작업 용이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실험에서는 유기용제에 비해 반응성이 미비하고 비교적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었으나, 회차가 거듭될수록 색차 변화폭(𝚫E)의 정도가 유기용제 실험 결과와 동일한 범주 내까지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계면활성제를 활용한 방법이 오염물 제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id": "JAKO202111065910618",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065910618.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esticide residues on herbs and spices disrtibuted in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112 samples were purchased from off-line and on-line markets from January to October 2020.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ositive List System (PLS), the proper usage of pesticides is now being enforced. It is assumed that unregistered pesticides are being used on herbs and spices due to the low number of registered pesticides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Pesticide residue levels were not detected in 99 samples but 11 kinds of pesticides in 6 samples (13 times) exceeded the MRLs. The pesticides that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LS were Diazinon, Diethofencarb and Pyridalyl. However, unregistered pesticides were on the herbs and sp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producers of herbs and spices on the appropriate use of pesticide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MRLs on herbs and spic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 중인 향신식물 및 향신료가공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지역의 농산물 도매시장, 대형마트 및 온라인 마켓에서 수거한 향신식물 및 향신료가공품 112건을 대상으로 다종농약다성분분석법으로 검사 가능한 잔류농약 400종을 검사하였다. 품목별 수거현황은 허브류(생것) 57건, 허브류(건조) 32건, 향신열매 11건, 향신씨 6건, 기타향신식물 4건, 향신뿌리 2건이며, 허브류(생것)(50.9%) 및 허브류(건조)(28.6%)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잔류농약은 전체 112건 중 4건이 잔류허용기준 이내로 검출되어 3.6%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기준을 초과한 농산물은 13건(11.6%)이었다. 총 11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고 검출된 작물은 바질, 고수, 딜, 레몬밤, 레몬그라스, 민트, 타임, 로즈마리, 카디멈이었다. 향신식물의 잔류농약 검출 결과,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농약의 잔류량이 허용기준 이하인 것은 농약 안전사용기준인 농약의 살포량, 살포횟수, 살포시기를 기준에 맞게 사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지 않으면 부적합 처리될 가능성이 많아지게 되므로 재배농가들이 농약사용지침을 반드시 준수하도록 지도 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향신식물의 잔류농약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잔류허용기준(MRLs)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d": "JAKO202117457550199",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50199.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overlapping recommended books in different schools were positively analyzed and the extent to which the recommended books leading to actual loan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recommended books by analyzing the data and extracting the proofs. For the method of research, eighteen elementary schools' recommended book lists and thirteen elementary schools' loan data were collected and compared by schools, by grades in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recommended books similarity was low and recommended books affected the total volume of lend books. Loan frequency by grades showed the difference and in every school, lower grades had high loan frequ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applying recommended books in school libraries.", "abstract": "이 연구는 권장도서의 학교 간 중복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권장도서가 실제 대출로 이어지는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러한 분석 자료는 권장도서가 활용되고 있는 근거를 기반으로 권장도서가 갖는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 18개 초등학교의 권장도서 목록과 그중 13개 초등학교의 대출데이터를 수집하여 학교별 비교 분석을 통해 기초 통계자료를 도출해냈다. 분석 결과 권장도서 목록의 학교별 유사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권장도서는 전체 대출량에 영향을 주었다. 학년별 대출 빈도의 차이를 보였고 모든 학교에서 저학년의 대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도서관에서 권장도서 활용 정도의 기초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id": "JAKO202117457569206",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457569206.pdf", "abstract_en":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convert the modern literary data service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to linked data-based services. This is not to simply convert the modern literary data service into linked data, which is the current technological trend. This is to create high-quality source data capable of automated machine processing with continuous connection with various external data and information sources in the long term. To this end, in order to revitalize the service of modern literature and to solve the efficient data linkage with related institutions, various overseas library and bibliographic service cases that adopted linked data were first reviewed to draw implications. In addition, based on the reviewed implications, the plan to reorganize the modern literary service in terms of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and user service was described in detail.", "abstract":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근대문학자료 서비스를 중기 및 장기적으로 링크드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하여 서비스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근대문학자료 서비스를 단순히 현재의 기술적 트렌드인 링크드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외부의 다양한 데이터, 정보원과 지속적인 연결관계를 갖고 자동화된 기계처리가 가능한 고품질의 원천데이터를 만들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근대문학자료의 서비스 활성화와 유관기관과의 효율적인 데이터 연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링크드 데이터를 채택한 해외의 다양한 도서관 및 서지 서비스 사례들을 먼저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검토한 시사점을 기반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관리, 이용자서비스 관점에서 근대문학자료 서비스의 개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id": "JAKO202107159776066",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66.pdf", "abstract_en": "The geological CO2 sequestration in underground geological formation such as deep saline aquifers and depleted hydrocarbon reservoirs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options for reducing the atmospheric CO2 emissions. The process in geological CO2 sequestration involves injection of supercritical CO2 (scCO2) into porous media saturated with pore water and initiates CO2 flooding with immiscible displacement. The CO2 migration and distribution, and, consequently, the displacement efficiency is governed by the interaction of fluids. Especially, the viscous force and capillary force are controlled by geological formation conditions and injection conditions.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surfactant on interfacial tension between the immiscible fluids, scCO2 and porewater, under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by using a pair of proxy fluids under standard conditions through pendant drop method. It also aimed to observe migra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immiscible fluids and estimate the effects of surfactant concentrations on the displacement efficiency of scCO2. Micromod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applying n-hexane and deionized water as proxy fluids for scCO2 and porewater. In order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immiscible displacement phenomena by n-hexane injection in pore network, the images of migra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the two fluids are acquired through a imaging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he addition of surfactants sharply reduces the interfacial tension between hexane and deionized water at low concentrations and approaches a constant value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s. Also it was found that, by directly affecting the flow path of the flooding fluid at the pore scale in the porous medium, the surfactant showed the identical effect on the displacement efficiency of n-hexane at equilibrium state.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results could provide important fundamental information on immiscible displacement of fluids in porous media and suggest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displacement efficiency of scCO2 by using surfactants.", "abstract": "대규모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고갈된 석유·가스 저류층, 대염수층과 같은 심부 지질구조에 주입하는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은 대기중 CO2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가장 유망한 기술 중 하나로 연구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은 공극수로 포화된 다공성 지질 구조 내부로 초임계상 이산화탄소를 주입함으로써 그 흐름이 공극수와 비혼성 대체를 일으키며 진행된다. 따라서, 공극 구조 내에서 초임계상 이산화탄소와 공극수의 거동과 분포,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대체효율은 두 유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좌우되는데, 특히, 점성력과 모세관력은 지질 구조 내부의 환경 조건과 주입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온상압조건에서 대체유체를 수적법에 적용하여 고온고압조건에서 계면활성제가 초임계상 이산화탄소와 공극수 간 계면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산정하였다. 또한, 다공성 매체 내에서의 비혼성 유체의 거동과 분포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계면활성제 농도가 초임계상 이산화탄소의 대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임계상 이산화탄소와 공극수의 대체 유체로서 헥산과 탈이온수를 적용하는 마이크로모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공극 구조 내로의 헥산 주입에 의한 탈이온수의 대체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이미징 시스템을 통해 두 유체의 비혼성 대체 양상에 관한 이미지를 확득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계면활성제의 첨가는 낮은 농도에서도 헥산과 탈이온수 간 계면장력을 급격하게 감소시키며 이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값에 접근하는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다공성 매체 내부의 공극 규모에서 진입 유체의 흐름 경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평형 상태에서 헥산의 대체율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공성 매체 내에서 일어나는 비혼성 유체의 대체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계면활성제의 적용이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d": "JAKO20210715977603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37.pdf", "abstract_en": "The Gumi basin, situated in the mid-southeastern Yeongnam Massif, has the Cretaceous stratigraphy that is divided into Gumi Formation, andesitic rocks (Yeongamsan Tuff, Busangni Andesite), rhyolitic rocks (Obongni Tuff, Doseongul Rhyolite, Geumosan Tuff) and Intrusives (ring dikes, other dikes) in ascending order. The Geumosan Tuff is composed mostly of many ash-flow tuffs which are associated with Geumosan caldera along with the ring dikes. The caldera is outlined by ring faults and dikes and has about 3.5 × 5.6 km in diameters. The intracaldera volcanics show a downsag structure that is dipped inward in their flow and welding foliations. The caldera block represent an asymmetric subsidence, which drops 350 m in the northern margin and 600 m in the southern one. Based on these data, the Geumosan caldera is geometrically classified as an asymmetric piston subsidence caldera that suggests a single caldera cycle. The caldera reflects the piston subsidence of the caldera block bounded by the outward-dipping ring faults following a voluminous eruption of magma from the chamber. The downsag in the caldera block refers to the downsagging during the initial subsidence at the same time as the full development of the bound fault. In the ring fissures following the sagging, magma was injected due to the overpressure of magma chamber caused by subsidence.", "abstract": "구미분지는 영남육괴의 남동 중간부에 있으며 하부로부터 백악기의 구미층, 안산암질암류(영암산응회암, 부상리안산암), 유문암질암류(오봉리응회암, 도선굴유문암, 금오산응회암)와 관입암류(환상암맥, 기타 암맥)로 구성된다. 금오산응회암은 거의 대부분 회류응회암으로 구성되며 환상암맥과 함께 금오산 칼데라와 연관되어있다. 칼데라는 직경이 3.5 × 5.6 km이고 환상암맥과 단층으로 둘러싸인다. 칼데라 내부 화산암층은 유상 및 용결엽리가 대체로 칼데라 연변부에서 안쪽으로 경사되는 하향자루 구조를 나타낸다. 칼데라 블록은 북변부에서 350m, 남변부에서 600m 내려앉은 비대칭 침하를 나타낸다. 이 자료들에 의하면 금오산 칼데라는 하나의 칼데라윤회를 암시하는 기하학적으로 비대칭 피스톤 침하 칼데라로 분류된다. 이 칼데라는 챔버로부터 마그마의 대규모 분출에 뒤따라 외측경사 환상단층으로 경계되는 칼데라 블록의 피스톤 침하를 지시한다. 칼데라 블록에서 하향자루는 경계 단층의 완전한 발달과 동시에 초기 침하동안 하향자루운동을 의미한다. 이 운동에 의한 벌어진 환상열극에는 침하에 따른 마그마 과압으로 인해 마그마가 주입되어 환상암맥을 형성하였다."} {"id": "JAKO20210715977607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70.pdf", "abstract_en": "Satellite magnetic observations reflect the magnetic properties of deep crust about the depth of Curie isotherm that is a boundary where the magnetic nature of the rocks is disappeared, showing long wavelength anomalies that are not easily detected in near-surface data from airborne and shipborne surveys. For this reason, they are important not only in the analyses on such as plate reconstruction of tectonic boundaries and deep crustal structures, but in the studies of geothermal distribution in Antarctic and Greenland crust, related to global warming issue. It is a conventional method to compute the spherical harmonic coefficients from global coverage of satellite magnetic observation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inclusion of erroneous data from the equator and the poles where magnetic observations are highly disturbed might mislead the global model of the coefficients. Otherwise, the reduced anomaly model can be obtained with less corruption by choosing the area of interest with proper data processing to the area. In this study, I produced a satellite crustal magnetic anomaly map over East Asia (20° ~ 55°N, 108° ~ 150°E) centered on Korean Peninsula, from CHAMP satellite magnetic measurements about mean altitude of 280 km during the last year of the mission, and compared with the one from global crustal magnetic model (MF7). Also, a comparison was made with long wavelength anomalies from EMAG2 model compiled from all near-surface data over the globe.", "abstract": "위성고도에 획득한 지각 자기이상값들은 지상부근(near-surface)의 항공탐사나 해양탐사등에서 얻은 자기이상값들에서 얻기 어려운 장파장의 특징을 보이며 이들은 지각의 자기현상이 소멸되는 큐리 등온 깊이선(Curie isotherm)까지의 심부 지각물질의 자기특징 및 위성고도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강한 자기특징들을 반영한다. 따라서 심부 지하구조나 판구조론을 통한 과거 지구조의 재구성(reconstruction) 및 해석과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대륙빙하의 해빙과 연관되어 남극 및 그린랜드의 지열분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성 지각 자기이상값은 전지구를 경계조건으로 하는 구면조화함수의 계수모델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많은 계수 계산과 함께 안정적으로 외부자기장을 분리하기 어려운 극지역 및 적도지역의 자료들도 포함되어 이들 자료가 모델 전체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관심지역의 자료들만을 가지고 지역에 맞는 몇 단계 자료처리 과정을 거쳐 얻은 지각 자기이상값들은 이러한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지역(20° ~ 55°N, 108° ~ 150°E) 의 CHAMP 위성에서 최저고도였던 시기의 자료를 획득하여 평균 280 km 에서의 지각 자기이상 지도를 제작하고 CHAMP 자료로 만든 전지구 지각 자기이상 모델(MF7)과 비교하여 지각 자기이상 특징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전세계 지상부근 지각자기이상 자료를 종합하여 제작한 EMAG2에서 장파장 성분을 추출하여 함께 비교하기로 한다."} {"id": "JAKO202107159776061",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59776061.pdf", "abstract_en": "In order to estimat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tructural in the Yangsan fault core line (Naengsuri area, Pohang), we carried out gravity field measurements and interpretation procedures such as Euler deconvolution method and curvature analysis in addition to the forward modelling technique (i.e. IGMAS+). We found a prominent gravity difference of more than 1.5 mGal across the fault core. This indicates a distinct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western and eastern crustal area across the Yangsan fault line. Comparing this gravity field interpretation with other existent geologic and geophysical survey data (e.g. LiDAR, trenching, electric resistivity measurements), It is concluded that (1) the prominent gravity difference is caused by the density difference of about 0.1 g/㎤ between the Bulguksa Granite in the west and the Cretaceous Sandstone in the east side, (2) the fault core is elongated vertically into a depth of about 2,000 meters and extended horizontally 3,000 meters to the NNE direction from Naengsuri area. Our results present that the gravity field method is a very effective tool to estimate a three -dimensional image of the active fault core.", "abstract": "경상북도 포항시 냉수리 지역에 위치하는 양산단층의 수평 및 수직적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서 단층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측선을 따라 중력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단층 경계부에서 1.5 mGal의 뚜렷한 중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는 양산단층 서쪽과 동쪽의 지각 밀도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며, 기존의 지질 및 지구물리 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냉수리를 통과하는 양산단층은 서쪽의 불국사 화강암층과 동쪽의 경상계 퇴적암이 혼합된 파쇄대라는 것을 의미한다. 오일러 디콘볼루션(Euler deconvolution) 및 곡률 분석(Curvature analysis) 방식을 이용하여 파쇄대의 3차원적 규모를 확인한 결과, 깊이는 약 2,000 m이며, 남남서-북북동 방향으로 최소 약 3,000 m 정도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IGMAS+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지각구조 모델링 결과는 파쇄대 서쪽과 동쪽 지각의 밀도 차이가 약 0.1 g/㎤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력장 데이터의 해석과 모델링이 지표면에 나타난 활성단층의 규모를 심부까지 파악 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지금까지 지표면을 중심으로 2차원적으로 수행했던 활성단층 지도 제작 사업의 영역을 3차원으로 확대할 수 있는 이상적인 수단이 된다."} {"id": "JAKO202113259287344",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344.pdf", "abstract_en": "The emergency alert broadcast service based on cellular communications is defined as CBS. However, the CBS just supports a limited text message, which might be unavailable to foreigners, who are unfamiliar with local characters. The CBS protocol relies on a broadcast mechanism. Such a broadcast technology exhibits that the number of outage users significantly increases under poor channel condi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supplementary service technology for 5G CBS, which considerably enhances the accessibility of foreigners and illiterate persons, and the receiver performance. For the enhanced receiver performance, the proposed supplementary service approach effectively exploits the device-based geo-targeting capability that the 5G CBS can afford to offer.", "abstract": "이동통신 시스템 기반의 재난경보 방송으로 CBS가 정의되어 있다. 이 CBS는 제한된 텍스트 문자만을 전송한다. 따라서 외국인 등 국내 문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재난경보 기능을 충분히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을 보인다. 또한 CBS 프로토콜은 방송 기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송 기법은 채널 환경의 심각한 열화가 발생할 경우 재난경보 수신에 실패하는 사용자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 기반 재난경보 방송인 5G CBS의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 부가 서비스 기법을 제안한다. 그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해 제안된 방식은 5G CBS가 제공 가능한 수신기 기반 지역맞춤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id": "JAKO202123162055715",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3162055715.pdf", "abstract_en": "The blood clam, Tegillarca granosa, is economically important in marine bivalve and is used in fisheries industry among western Pacific Ocean Coasts especially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number of chromosomes in the blood clam is known as 2n=38, but the genome size and genetic information of the genome are not still clear. In order to predict the genomic size of the T. granosa, the in-silico analysis analysed the genomic size using short DNA sequence information obtained using the NGS Illumina HiSeq platform. As a result, the genomic size of T. granosa was estimated to be 770.61 Mb. Subsequently, a draft genome assembly was performed through the MaSuRCA assembler, and a simple sequence repeat (SSR) analysis was done by using the QDD pipeline. 43,944 SSRs were detected from the genome of T. granosa and 69.51% di-nucleotide, 16.68% trinucleotide, 12.96% tetra-nucleotide, 0.82% penta-nucleotide, and 0.03% hexa-nucleotide were consisted. 100 primer sets that could be used for genetic diversity studies were selected.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help identify the genetic diversity of T. granosa and population genetic studies, and further identify the classification of origin between homogenous groups.", "abstract": "꼬막 종류 중 하나인 Tegillarca granosa는 해양 이매패류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중요한 수산 자원 중 하나이다. 꼬막의 염색체 수는 2n=38로 알려져 있지만, 유전체의 크기와 유전 정보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꼬막의 유전체 크기 예측을 위하여 NGS Illumina HiSeq 플랫폼을 이용하여 얻은 짧은 DNA 서열 정보를 통하여 in silico 분석으로 유전체 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꼬막의 유전체 크기는 770.61 Mb로 예측되었다. 이후 MaSuRCA assembler를 통하여 드래프트 게놈 조립 작업을 수행하고, QDD pipeline을 이용하여 SSR (simple sequence repeats) 분석을 수행하였다. 꼬막의 유전체로부터 43,944개의 SSR을 발굴하였으며, 다이-뉴클레오타이드(di-nucleotide) 69.51%, 트라이-뉴클레오타이드(tri-nucleotide) 16.68%, 테트라-뉴클레오타이드(tetra-nucleotide) 12.96%, 펜타-뉴클레오타이드(penta-nucleotide) 0.82% 그리고 헥사-뉴클레오타이드(hexa-nucleotide) 0.03%로 구성되었다. 이후 꼬막의 유전적 다양성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100개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의 프라이머 세트를 선별하였다. 앞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서, 꼬막의 집단유전학적 연구와 유전적 다양성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나아가 동종들 간의 원산지 분류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id": "JAKO202116739544304", "publication_date": "2021.06.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544304.pdf", "abstract_en": "We propose an autonomous mission management software design and verification techniqu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to autonomously mitigate dynamic situation changes occurr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an aircraft in compliance with the mitigation priority order. The proposed autonomous mission management software is designed in a modular architecture that consists of concurrently executing multiple threads. To verify it, we suggest three verification steps: 1) software integration by checking the expected request/response messages between the threads for all possible dynamic situation changes; 2) integration test to verify the software functionality; 3) performance test to verify the quantitative software performance. Especially, the software integration test environment is built and utilized to carry out the integration and performance tests.",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비행 중 비행체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동적상황 변화에 대해 대응 우선순위에 따라 무인기가 자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무인기 자율 임무관리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무인기 자율 임무관리 소프트웨어는 다중 스레드 기반의 동시 수행 가능한 모듈화 구조로 하위 소프트웨어들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1) 모든 동적상황 변화에 대한 스레드들 간의 요청/응답 메시지를 확인하는 소프트웨어 통합 기법과 2) 소프트웨어 통합검증환경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의 기능 검증을 수행하는 통합시험 및 3) 정량적 성능 검증을 수행하는 성능시험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통합시험과 성능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통합검증환경을 제작하여 활용한다."} {"id": "JAKO20210925209158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252091587.pdf", "abstract_en": "In the last 5 years, a total of 567 accidents of operating vessels occurred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t sea, most of which occurred in fishing boats. Accidents caused by operating vessel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t sea are causing human and physical damages. There were 69 accidents caused by operating vessel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leading to five deaths and one missing. The social damage due to operating vessel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is also increasing. Under the current law, punishment is given lightly compared to the seriousness of viol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accidents caused by operating vessel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cases in Korea need to be analyzed. Regulations on the crackdown in foreign countries were compared to those in Korea and reviewed. In addition, risks of operating vessel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should be provided to ship workers while improving related laws and system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due to operating vessel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by strengthening crackdowns on ships at sea so that accidents caused by operating vessel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could be prevented in advance in the future.", "abstract": "최근 5년간 해상에서 음주운항으로 적발된 건수는 총 567건으로 대부분 어선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음주운항으로 인한 사고건수는 69건으로 5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되는 등 해상에서는 음주운항으로 인한 사고로 인적 물적 피해를 주고하고 있다. 그러나 음주운항으로 사회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행 법령상 처벌은 위반행위의 중대성에 비해 가볍게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음주운항으로 인한 사고의 재발방지를 위해 우리나라의 음주운항 사례를 분석하고, 외국의 음주운항 단속 규정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선박 종사자를 대상으로 음주운항의 위험성을 계도 홍보하는 한편, 관련 법률 및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그리고 해상에서 선박에 대한 해양경찰에서의 단속을 강화하여 음주운항 사고를 줄이기 위해 노력을 지속해야 하며, 향후 선박에서의 음주로 인한 안전사고가 사전에 예방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175255067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52550675.pdf", "abstract_en": "The phenolics of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leaves for functional resources were examined o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iological enzyme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were 11.60±0.18 and 12.43±0.07 mg/g by water and 50% ethanol extraction,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in extracts was higher than solids. The inhibition activiti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were 92.08 and 78.33% at 200 ㎍/mL phenolic concentration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100% at 200 ㎍/mL phenolic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ese result was higher than 70.37% of allopurinol as positive control at 200 ㎍/mL.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yaluronidase were each 25.35 and 43.38%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The water extract from S. sieboldiana var. pendula leav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Propione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eptococcus mutans in water extract and S. mutans in ethanol extract. This result suggests that phenolic from S. sieboldiana var. pendula leaves are suitable as functional foods with anti-hypertension, anti-gout, anti-inflammation and anti-microorganism activities.", "abstract":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은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에 함유되어있는 phenolic성분들에 의해 효과가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말오줌나무 잎으로부터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phenolic 화합물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각각 11.60±0.18과 12.39±0.07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말오줌나무 잎의 ACE 저해 활성은 50-200 ㎍/mL의 phenolic을 함유한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1.94-92.08와 48.42-78.33%의 저해 활성이 측정되었으며,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의 XOase에 대한 추출물의 저해 활성은 50-200 ㎍/mL의 phenolic을 함유한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42.11-100와 35.61-100%의 매우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에 대한 HAase 저해활성은 200 ㎍/mL의 phenolic을 함유한 농도에서 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25.35±0.41와 43.38±2.26%의 HA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충치균인 S. mutans와 식중독균인 S. aureus 및 여드름균인 P.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말오줌나무는 고혈압억제, 통풍억제 및 염증억제 작용 등의 생리활성 및 S. mutans와 S. aureus 및 P.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말오줌나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산업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id": "JAKO202122949735960", "publication_date": "2021.06.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735960.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organic materials in Dancheong specimens were analyzed to establish a Dancheong preparation method in Unhangak Hall of Hwaryeongjeon Shrine, Suwon. IR and pyrolysis/GC/MS were applied to a Zuhong specimen and a gilded one. The IR spectra showed absorption peaks corresponding to C-O, C=O, OH, although they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nimal glue, Asian lacquer, and drying oil. The Pyrolysis/GC/MS after the on-line methylation revealed Asian lacquer-derived components, such as methyl 7-(2,3-dimethoxyphenyl)heptanoate, and drying oil-derived components, such as nonanedioic acid, dimethyl ester. Based on these results, we estimated that Asian lacquer and drying oil were used in the Dancheong preparation. Small amounts of 3-methyl-1H-pyrrole were also detected, which could possibly originate from animal glue. The radiocarbon age of the specimens appeared to be between the late 17 to the early 20 century. This study potentially reports the first case of Asian lacquer detection in a Dancheong specimen in Korea.", "abstract": "수원 화령전 운한각의 단청기법 조사를 위해 단청시편의 유기물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운한각 내합 주변의 주홍과 금 단청시편이며, IR과 열분해/GC/MS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IR에서는 C-O, C=O, OH에 해당하는 흡수peak가 나타났으나, 아교, 옻, 건성유와는 다른 스펙트럼을 보였다. 온라인메틸화 후 열분해/GC/MS 분석에서 methyl 7-(2,3-dimethoxyphenyl)heptanoate 등 옻에서 기인하는 성분과 nonanedioic acid, dimethyl ester 등 건성유에서 기인하는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로부터 단청에 옻과 건성유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교 등 동물성 교착제에서 기인할 수 있는 1H-pyrrole, 3-methyl도 소량 검출되었다. 유기물의 탄소연대는 17세기 말~20세기 초로 나타났다. 단청에서 옻이 검출된 것은 처음으로 문헌상으로만 전해지는 옻칠 단청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7242362931",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242362931.pdf", "abstract_en": "Sebaceous carcinoma (SC) is a rare malignant tumor, with an estimated incidence of approximately 1 to 2 per 1,000,000 per year. Approximately 75% of SCs are reported to occur in eyelids. Most of these tumors are diagnosed at age 40 or over and exhibit a wide variety of patterns in addition to the general appearance previously reported. SC is difficult to diagnose clinically, but can be diagnosed by accompanying biopsy. In cases of SC, additional examinations, such as endoscopy and computed tomography, may be necessary because of its association with Muir-Torre Syndrome. We present the case of a 22-year-old Asian man who complained of a rapidly growing chin tumor. The tumor was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and adjuvant radiation therapy.", "abstract": "비안와주변부 피지샘암종은 매우 드문 암으로 초기에 추정진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진단은 조직검사로 이뤄지게 되며, 깊은 경계를 침범할 수 있으므로 절제생검을 통한 진단이 필요하며, 종양의 경계를 5mm기준으로 시행하는 광범위절제술 및 동결절편으로 절제 가능하다. 전이여부에 따라 경부림프절곽청술 및 보조방사선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뮤어-토레증후군의 감별을 위한 소화기 내시경 및 컴퓨터 단층 촬영이 필요할 것이다. 저자들은 본 증례를 통해 비호발 연령과 비호발 위치에 발생한 피지샘암종을 보고하고자 하였으며, 비안와주변부 피지샘암종에 대한 더 많은 증례 분석이 초기 진단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id": "JAKO20211673938321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383215.pdf", "abstract_en": "To facilitate low-pressure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L.P SCR), a high exhaust-gas temperature of a four-stroke diesel engine for a ship's generator is required. This study aimed at reducing the exhaust-gas temperature by adjusting the valve open-close timing and fuel injection timing to satisfy the operating conditions of L.P SCR and prevent accidents associated with the generator engine due to high temperature. To lower exhaust-gas temperature, the angle of the camshaft was adjusted and the shim of the fuel injection pump was added. As a result, the maximum explosion pressure increased and the average of the turbocharger outlet temperature dropped. Considering the heat loss from the turbocharger outlet to the SCR inlet, the operation condition for L.P SCR was satisfied with 290 ℃.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afe operation of a diesel generator can be achieved by lowering the exhaust-gas temperature.", "abstract": "L.P SCR의 촉매 반응을 위해 선박의 발전기용 4행정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온도를 높게 설계 할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밸브개폐시기와 연료분사시기를 조정을 통한 배기가스의 온도 감소가 L.P SCR의 운전조건을 만족시키고 고온으로 인한 발전기 엔진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었다. 배기가스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캠샤프트의 각도를 조정하고 연료분사펌프의 Shim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최대폭발압력은 12.8 bar 증가하였고 터보차저 출구온도 평균값은 13.3 ℃ 하강하였다. 터보차저 출구에서 SCR 입구까지의 열손실을 감안하더라도 L.P SCR 운전조건인 SCR 챔버 입구 온도인 290 ℃를 만족하였다. 배기가스 온도 하강을 통해 디젤발전기의 안전운전이 가능하게 한 연구였다."} {"id": "JAKO202116739456256",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56256.pdf", "abstract_en": "This paper addressed the problems of controlling the coupled pitch-roll motions in a marine vessel exposed to the regular wave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directions. Stabilization of the pitch and roll motions can be regarded as the essential task to ensure the safety of a ship's navigation.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in the pitch-roll motions is the resonance phenomena, which result in unexpected large responses in terms of pitch and roll modes in some specific conditions. Besides, owing to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oupled combination and nonlinearity of restoring terms, the vessel shows various dynamic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system parameters, especially in the pitch responses. Above all, it can be seen that suppression of pitch rate remains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 to overcome for ship maneuvering safety studies. To secure the stable upright condition, a quasi-sliding mode control scheme is employed to reduce the undesirable pitch and roll responses as well as chattering elimination. The Lyapunov theory is adopted to guarantee the closed stability of the pitch-roll system. Numerical simulation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ol scheme. Finally, the control goals of state convergences and chattering reduction are effectively realized through the proposed control synthesis.", "abstract": "본 연구는 종방향과 횡방향에서 규칙파가 외란으로 입사하는 선박의 종동요 및 횡동요를 억제하는 문제를 다룬다.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해서 파랑 중 선박의 종동요 및 횡동요를 안정화시키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로 여겨진다. 종동요 및 횡동요 거동에서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는 공진인데, 이 현상은 특정한 조건에서 예상치 못한 큰 응답을 초래한다. 종동요와 횡동요는 두 운동이 상호 결합되어 있고 복원항이 강한 비선형을 갖고 있음으로 계의 파라미터에 따라 다양한 동적 거동을 보이는 것이 중요한 특징인데, 특히 종동요에서 이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무엇보다, 선박의 조종성능 및 안전을 위해 선박의 종동요 가속도 응답을 완전히 억제하는 것은 상당히 도전적인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준 슬라이딩 모드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종동요와 횡동요를 줄임으로 파랑 중의 선박을 안정적인 직립 상태로 유지시키고, 아울러 채터링을 감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하였다. 리아프노프 이론으로 준 슬라이딩 모드 제어의 안정성을 판명하였고, 수치 시뮬레이션으로 제어 방식의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제시한 기법으로 종동요 및 횡동요 응답의 수렴 및 채터링 감소라는 두 가지 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되었다."} {"id": "JAKO20211673937521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375211.pdf", "abstract_en": "Ground, sea and air mobility, such as vehicles, ships, and airplanes, are generally operated by people. Based on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autonomous decision-making syste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llowing the recen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MASS) is been actively performed around the world. Before the realization of the commercialization of MASS in international maritime transport, it is urgen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hip and its international legal statu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cern of whether a ship without crew members will eventually be operated as a fully unmanned ship or can be recognized as a ship under international law as the number of crew members is gradually reduced ow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autonomous ships. Consequently, based o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and the regulations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it was found that MASS has the same international legal status as general ships.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the working principles of enacting and revising the IMO Conventions and international legal measures necessary for the safe operation of MASS.", "abstract": "선박을 포함한 지상, 해상, 공중의 이동체는 일반적으로 사람에 의해서 운용되고 있는데, 최근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자율의사결정시스템과 인공지능의 획기적 발전을 기반으로 자율 이동 개념의 무인이동체에 대한 연구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제해상운송에서 자율운항선박(MASS)의 상용화 실현을 앞두고 이 선박에 대한 성격 규정과 국제법적 지위에 대한 규명이 시급해졌다. 자율운항선박은 발전단계에 따라 승선원이 점차 감축되어 결국에는 완전히 무인화된 선박으로 운용될 것인데, 이 연구를 통하여 승선원이 없는 선박도 국제법상 선박으로써의 지위를 인정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쟁점 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엔해양법협약(UNCLOS) 및 국제해사기구(IMO)의 제반 법규를 중심으로 자율운항선박은 일반선박과 동일한 국제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음을 규명하고, 자율운항선박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제반 국제협약의 제·개정작업에 관한 제도개선 방향과 국제법적 조치사항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673945225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73945225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a method of increasing the fatigue life of the pipe connection structure commonly used in the topside structure of offshore platforms. MSC Patran/Nastran, a commercial analysis program, was used, and the critical structural model was selected from the global analysis. To realize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load, modeling using 8-node solid elements was implemented. The main loads were considered to be two lateral loads and a tensile load on a diagonal pipe. To check the hotspot stress at the main location, a 0.01 mm dummy shell element was applied. After calculating the main stress at the 0.5-t and 1.5-t locations, the stress generated in the weld was estimated through extrapolation. In some sections, this stress was observed to be below the fatigue life that should be satisfied, and reinforcement was required. For reinforcement, a bracket was added to reduce the stress concentration factor where the fatigue life was insufficient without changing the thickness or diameter of the previously designed pipe. Regarding the tensile load, the stress in the bracket toe increased by 23 %, whereas the stress inside and outside of the pipe, which was a problem, decreased by approximately 8 %. Regarding the flexural load, the stress at the bracket toe increased by 3 %, whereas the stress inside and outside of the pipe, which was also a problem, decreased by approximately 48 %. Owing to the new bracket reinforcement, the stress in the bracket toe increased, but the S-N curve itself was better than that of the pipe joint, so it was not a significant problem. The improvement method of fatigue life is expected to be useful; it can efficiently increase the fatigue life while minimizing changes to the initial desig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해양플랫폼의 탑사이드 구조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파이프 연결 구조의 피로 수명 증가를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상용해석프로그램인 MSC Patran/Nastran을 적용하였으며, 대표적인 중앙부 구조 형상을 해석모델로 선정하였다. 하중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8 절점 솔리드 요소를 이용한 모델링을 구현하였다. 주요하중은 횡방향 하중 2가지와 대각선 파이프에 인장 하중을 고려하였다. 주요 위치에서의 Hot spot 응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0.01 mm dummy 쉘 요소를 적용하였으며, 0.5 t와 1.5 t 위치에서의 주응력을 계산한 후 외삽법에 따라 용접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추정하였다. 일부 구간에서는 만족해야 하는 피로 수명 이하로 평가되어, 보강이 필요하였다. 보강은 기존 설계된 파이프의 두께나 지름을 변경하지 않고, 피로수명이 부족한 부위에 응력집중계수를 낮출 수 있도록 브래킷을 추가하였다. 인장 하중에 대해서는 bracket toe에서 응력은 23 % 증가하였고, 기존에 문제가 된 파이프의 내측, 외측에서의 응력은 약 8 % 감소하였다. 휨 하중에 대해서는 bracket toe에서 응력은 3 % 증가하였고, 기존에 문제가 된 파이프의 내측, 외측에서의 응력은 약 48 % 감소하였다. 신규 브래킷 보강으로 인하여, bracket toe의 응력증가가 발생하였지만, S-N 커브 자체가 파이프 조인트에 비해 좋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국부 보강을 통한 피로 수명 개선 방법은 기존 설계안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피로 수명 증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산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695758355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57583554.pdf", "abstract_en":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manuals for responding to disasters in public libraries has emerged after COVID-19 was confirmed in Korea in January 2020. The library is a social organization directed affected by COVID-19. Therefore, a reasonable and consistent disaster response manual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as a guideline for responding to disasters at the library sites.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library manuals fo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urthermore, the responses of overseas libraries experiencing major disasters were analyzed and issued to reflect the current domestic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library's role as a social organization for disaster response should be enhanced, and that disaster experience needs to be implemented, as guidelines, toolkits, and archive.", "abstract": "2020년 1월 국내에서 코로나 19가 확진된 이후 국내 공공도서관의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실제적인 매뉴얼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공공시설로서 도서관은 코로나 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사회적 기관이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재난 대응 매뉴얼을 개발하여 도서관 현장에서 재난 상황 대응에 대한 근거로 삼을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공공도서관 매뉴얼의 현황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요 재난을 경험한 해외 도서관의 대응 임무를 분석하여 현재 국내 상황에 반영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재난대응에 대한 사회적 기관으로서 도서관의 역할의 확장 가능성을 제고하여야 하며, 재난에 대한 지역사회 경험을 아카이브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는 점, 도서관의 언택트 시스템과 오픈형 스페이스를 강화하여야 점이 제언되었다."} {"id": "JAKO202113759909898", "publication_date": "2021.05.0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09898.pdf", "abstract_en":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regulatory trends of leading overseas aviation authorities to accelerate the effort to integrate emerging new air vehicle concepts such as UAS and eVTOL into the existing national airspace system. Whilst EASA seems to react swiftly in relation to regulatory framework by proposing new sets of customised special conditions to cope with a growing demand to introduce new aircraft concepts, understanding of such movement lags behind mainly due to the complexity of EASA's regulation structure, not to mention EU's legal system. Witnessing this situation, this paper reviewed the legal system of the EU which forms the basis of EASA's regulation system together with its own recently published UAS regulations so as to contribute towards the improvement of the aviation regulatory framework.", "abstract": "무인항공기를 비롯한 도심항공교통을 위한 수직이착륙 항공기와 같은 신기술 항공기를 기존의 국가공역 시스템에 통합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새로운 항공기의 안전한 정착을 위해서는 기술적인 개발뿐 아니라 관련 규제에 대한 마련 또한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해외 감항당국의 동향을 면밀히 살펴보고 연구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기술 항공기의 등장에 따른 관련 법규와 관련하여 최근 유럽의 EASA가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EU 법령체계 외에도 EASA 규정의 복잡성으로 인해서 이에 대한 이해 수준은 상대적으로 다소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감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EASA 규정의 기반이 되는 EU 법령체계에 대한 이해와 함께 EASA 무인항공기 관련 규정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무인항공기를 중심으로 국내 관련 항공법의 발전 방향에 기여하고자 한다."} {"id": "JAKO202115153214398",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214398.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of about 157 thousands of students and 510,000 enroll data of the STEP online service provided by the Onlin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uch as company adaptation, regular and cardinal, we analyzed the distributions of students' grades for each classifications. As the result of analyzation, it was shown that the distribution of grades is extreme skewed such that there are large numbers of less than 10 points or more than 90 points. In addition, K-means clustering was performed on the data of uncompleted studen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completion rate of students in 30 s and 40 s ages who took the course in the summer, was high. Furthermor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cision tree technique to the completion status information of all students, we found that the uncompleted rate of male and vocational college graduates taking a large number of courses was high. Consequently, we have to encourage learning to such STEP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letion rate.",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평생교육원에서 제공하는 STEP의 온라인 서비스 수강생 15.7만여 명 및 51만여 건의 수강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술 통계적 분석을 수행했다. STEP의 교육과정 유형인 기업맞춤, 상시제, 기수제에 따라서 각 유형별 수강생의 성적 분포를 분석하여, 그 성적의 분포가 10점 미만과 90점 이상이 다수인 극단적인 분포임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미수료 수강생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K-평균 군집화를 수행하여 미수료 수강생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30-40대, 여름에 수강한 수강생들의 미수료율이 높다고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수강생들의 수료 여부 정보에 대하여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수의 강좌를 수강하는 남성, 전문대졸 수강생들의 미수료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STEP 수강생들의 수료율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을 더 독려할 필요가 있다."} {"id": "JAKO202115153096335",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153096335.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learning mentor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who had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45) and a control group (40). To obtain the data, conducted pre-test and post -test. To analyze data, t-test, ANCOVA were execu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mentoring program affected significantly on improvement of experimental group's self-esteem. Second, learning mentoring program affected significantly on improvement of experimental group's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but emotional adaptation was no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bstract": "본 연구는 학사경고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자 45명을 실험집단으로, 참여하지 않은 학사경고자 4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효과성 검증을 위해 공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존중감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응과 사회적응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정서적응은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학습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2461863537",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3537.pdf", "abstract_e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ransform into school facilities that are central to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assessed the level of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in order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all user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access and use school facilities equally. For this aim,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on 243 elementary schools, and facilities with low application level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order to apply the principle of 'flexibility in use', the rotating handle on the side of the toilet, which is used by the wheelchair user in the way the toilet is accessed, must be installed in a top-to-bottom rotational manner. In order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low physical effort' principle, it is necessary to select land and apply the plan from the beginning of the design.",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물리적 환경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수준을 유니버설 디자인 7가지 원칙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공간 및 시설 측면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243개소를 대상으로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적용수준이 낮은 시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 및 '사용상의 융통성'과 관련한 환경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적은 신체적 노력' 원칙의 적용성 향상을 위해 대지선정과 설계 초기부터의 계획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5850388168",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850388168.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on the activities and operation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s (NAK) Nara Archives Netti supporters, whose ultimate objective is to promote NAK. Data were collected about supporters'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rough the NAK website and supporters' official Naver Cafe entries from 2016 to 2020. Furthermore, the cases of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s (NARA) Citizen Archivist Dashboard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s (NAA) Hive were also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on the necessary changes or additions to the online/off-line activities of operations by NAK were made as follows: 1) ensuring the differentiation of posts, 2) using appropriate tags and selecting various ones, 3) giving active feedback from managers and other supporters, 4) encouraging creative promotional materials, 5) operating educational programs, 6) giving incentives based on detailed and clear criteria, 7) promoting to raise awareness of supporters, and 8) promoting through the NAK website. By adopting the above suggestions made by this study, the promotional purpose of NAK's supporters will be achieved.",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 나라기록넷띠 서포터즈 활동 현황을 분석하여 서포터즈 활동을 통한 국가기록원 홍보라는 궁극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나라기록넷띠 운영 및 활동 전반에 대한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나라기록넷띠 네이버 공식 카페 등을 통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서포터즈 활동 및 운영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미국 NARA의 시민 아카비스트 대시보드와 호주 NAA의 하이브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나라기록넷띠의 온·오프라인 활동과 국가기록원의 서포터즈 운영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1) 서포터즈가 게시하는 글의 차별성을 담보할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2) 적절한 태그의 활용과 태그를 다양하게 지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관리자에 의한 그리고 서포터즈 상호간의 적극적 피드백이 필요하다. 4) 창의적인 홍보물 창작을 독려할 방안이 필요하다. 5) 오리엔테이션 등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6) 세분화되고 명확한 기준에 의한 평가를 통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 7) 서포터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8) 국가기록원 홈페이지를 통한 홍보가 필요하다."} {"id": "JAKO202115850386167",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850386167.pdf", "abstract_en": "Most overseas companies manage and protect their current records as information assets. However, Korean companies lack current records management except for some public companies. This study analyzes job descriptions from job search websites to determine the work scope that overseas companies require for records managers. In this study, 28 overseas companies that tried to hire records managers from job search sites were surveyed. Companies hiring records manag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KSIC) and then reclassified into five industrial groups. Afterward, job description content was analyzed through MAXQDA 2020. The work scope required by companies in five industry groups was divided into common and special work areas. Records management education and cooperation with employees were most often mentioned,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guidelines, and processes. Moreover, data management, systems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and responses to legal requests and compliance work were commonly required tasks. Thus, records professionals must develop these competencies.", "abstract": "많은 해외 기업들은 기업 현용 기록을 정보 자산으로 관리하고 보호한다. 그러나 한국기업은 일부 공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현재 대부분 현용기록 관리가 안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채용 사이트에서 해외기업의 레코드 매니저에 대한 채용 광고에 나타난 직무 내용을 분석하고, 그들에게 요구되는 업무 범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채용사이트에서 레코드 매니저를 고용하는 광고를 낸 28개 기업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해외 기업은 한국 표준 산업 분류 (KSIC)에 따라 분류한 후 관련 업종을 5개 업종으로 재분류하였다. MAXQDA 2020을 활용하여 직무에 대한 기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5개 분야에서 요구하는 직무 범위는 공통업무와 특별업무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직원에 대한 기록관리 교육과 직원들과의 협력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고, 정책, 지침, 프로세스의 수립, 데이터 관리와 시스템 구현 및 관리, 그리고 법적 요청 대응 및 컴플라이언스 업무 등이 공통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업무로 나타났다. 기록 전문가들은 이러한 역량을 키워야할 것이다."} {"id": "JAKO202115850393170",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850393170.pdf", "abstract_en": "Digital archives are electronic storages used to preserve and utilize digital resources sustainably. Theoretical research on digital archives is being conducted actively, and digital archives for recording various resources in heterogeneous domains are being built and serviced. However, although the original purpose of digitizing the resources of digital archives is achievable, the discovery and reuse are still limited. This study examines the Findable, Accessible, Interoperable, and Reusable (FAIR) data principles in detail and proposes a maturity assessment framework for digital archives. The FAIR Data Principles is a set of guidelines that enable machines to read and understand digital resources that are applied to any online resource. The evaluation model of the FAIR data principle defines the planning and application stages separately. However, criteria for evaluating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principles are still ambiguous, and discussions on evaluation criteria for the field of digital archiv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for applying the FAIR data principle to digital archives and discusses issues for future application.", "abstract": "디지털 아카이브는 디지털 자원을 보존하고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자화된 저장소이다.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도메인의 디지털 자원을 기록하기 위한 아카이브가 구축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아카이브의 자원은 디지털화라는 본래의 목적은 만족할 수 있지만, 자원의 검색과 재사용에 있어 여전히 제한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FAIR 데이터 원칙을 자세히 살펴보고, 디지털 아카이브에 적용하기 위한 성숙도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FAIR 데이터 원칙은 디지털 자원을 기계가 읽고 처리할 수 있게 만드는 일련의 지침으로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FAIR 데이터 원칙의 평가 모델은 계획 수립과 적용 단계를 구분해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 원칙의 적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모호하고, 디지털 아카이브 분야를 위한 평가 기준에 대한 논의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FAIR 데이터 원칙을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향후 적용을 위한 이슈를 논의한다."} {"id": "JAKO20210965116271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712.pdf", "abstract_en":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confirmed a global limit of 0.5 % for sulfur in fuel oil used on board ships with effect from January 1, 2020. Among various alternatives to respond to these regulations on sulfur content in fuel oil, such as LNG ships, SOx scrubbers, and very-low-sulfur fuel oil (VLSFO). VLSFO is preferred owing to its low investment costs. As more ships are expected to use VLSFO, VLSFO spill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particular, when the seawater temperature is below the pour point of VLSFO, VLSFO solidifies when it is spilled, which makes controlling spills difficult. In this study, six types of VLSFO produced in Korea and one type of high-sulfur fuel oil (MF380)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dispersibility of dispersants according to the seawater temperature condition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six type of VLSFO did not satisfy the domestic standards for dispersant rate (60 % or more for 0.5 min, 20 % or more for 10 min). Morever, the dispersant rate of the six types of VLSFO was low compared with that of the high-sulfur fuel oi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to set the direction of dispersant control in the case of VLSFO spills.", "abstract":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는 2020년 1월 1일부터 국제항해 선박에 사용되는 모든 연료의 황분을 0.5 %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연료유 황 함유량 규제 대응을 위해 LNG 선박, SOx scrubbers, 저유황유(Very Low-Sulfur Fuel Oil, VLSFO) 사용 등이 고려되고 있으며, 이 중 투자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저유황유가 선호되고 있다. 따라서 저유황유를 사용하는 선박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사고 위험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해수 온도가 저유황유의 유동점 이하로 유출될 경우 고형화됨에 따라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서 생산되는 저유황유 6종과 고유황유(MF380) 1종에 대해 해수 온도 조건에 따라 유처리제의 분산 능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저유황유는 국내 기준(0.5 min 정치 60 % 이상, 10 min 정치 20 % 이상)을 만족하지 못했으며, 고유황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유화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저유황유가 해상에 유출될 경우, 방제방향을 설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9651162690",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651162690.pdf", "abstract_en": "The importance of maintenance is leading the application of the maintenance strategy in various industries. The maritime industry is also a part of them, with changes in selecting and applying the maintenance strategy, but rather slowly, by retaining the old strategy. In particular, the ship is maintaining a previously used strategy. In the circumstance of the sea, ship requires a new suggestion for maintenance strategy. A ship predictive maintenance model predicts the breakdown or malfunction of machineries to secure maintenance time with preventive actions and treatments, thereby avoiding maintenance-related dangerous factors. This study focused on applying text analysis to an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dock indent document,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interpreted from the original document. The inter-relational patterns observed from the frequency of common maintenance combinations among different parts and equipment in ships will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ship predictive maintenance.", "abstract": "다양한 산업에서 강조되고 있는 정비의 중요성은 각 분야에 다양한 정비전략을 적용하도록 만들었다. 해양산업 역시 그에 따른 정비전략의 변화가 있었으나 타 산업 대비 그 속도가 느려 실제 적용이 되지 않은 채 과거 시행되고 있던 방식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선박은 기존에 행해왔던 방식의 정비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편이며 해상의 조건에서 선박은 새로운 정비전략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있다. 이에 선박예지정비모델은 기기의 정비가 필요한 시점을 예지하여 조치 할 수 있는 정비전략으로서 선박이 항해 중에 처할 수 있는 정비 관련 위험요소들을 줄여 주는 모델이다. 본 연구는 선박예지정비모델의 개발을 위한 연구 중의 하나로서, LNG선박 입거사양서의 텍스트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과를 원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해석해보았다. 공통된 정비항목 조합을 도출하여 선박 내 다른 기기들 사이에 작용하고 있는 상호연관성을 발견하고 이를 앞으로 개발될 선박예지정비모델에 적용하고자 한다."} {"id": "JAKO20210983599097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78.pdf", "abstract_en": "In order to prevent illegal fishing and reduce lost fishing ge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stant and continuous fishing gear monitoring system in the marin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sign a long-term operational, reliable system model with communication coverage of more than 25Km considering the reality of gradually expanding fishing activity due to the depletion of fishery resources and marine environments. The design results are implemented to verify the operability of the system by separating the communication success rate of SKT and private LoRa networks and verifying the control function of each control system through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abstract": "불법어업 방지와 유실어구 저감을 위해 해양환경에서 상시적이고 연속적인 어구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수산자원 고갈로 점차 어로활동 범위가 넓어지는 현실과 열악한 해상환경을 고려한 25Km 이상의 통신 커버리지를 갖는 장기적 운용 가능한 신뢰성 있는 시스템 모델을 설계하고, 설계결과를 구현하여 14Km 떨어진 해상환경에 부이와 무선노드를 각각 설치하여 상용망과 Private LoRa망을 통한 통신 성공률을 구분 확인하고 수집된 위치정보를 통한 각 관제시스템의 관제기능을 확인함으로써 시스템의 운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09835990879",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879.pdf", "abstract_en": "The conventional credit card number recognition system generally needs a card to be placed in a designated location before its processing, which is not an ideal user experience especially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lgorithm that can automatically detect the location of a credit card number based on the fact that a group of sixteen digits has a fixed aspect ratio. The proposed algorithm first performs morphological operations to obtain multiple candidates of the credit card number with >4:1 aspect ratio, then recognizes the card number by testing each candidate via OCR and BIN matching techniques. Implemented with OpenCV and Firebase ML,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77.75% accuracy in the credit card number recognition task.", "abstract": "일반적인 신용카드 번호 인식 시스템은 정해진 위치에 카드를 배치했을 때에만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논문은, 저시력 장애인을 포함한 시력 취약 계층에게 보다 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신용카드 내 16자리 숫자의 종횡비 특징을 이용한 자동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형태학 연산을 통해 종횡비가 4:1 이상인 이미지 후보군을 찾고, 각각의 후보에 OCR과 BIN 번호 매칭 기술을 적용하여 신용카드 번호를 획득한다. OpenCV 및 Firebase ML에 기반한 실험 결과, 카드를 정해진 위치에 두지 않아도 77.75% 정확도로 카드 번호를 인식하였다."} {"id": "JAKO202109835990973",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835990973.pdf", "abstract_en": "One widely used algorithm for image recognition and pattern detection is the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To efficiently handle convolution operation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computations in the CNN, we use hardware accelerator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NN applications. In using these hardware accelerators, the CNN fetches data from the off-chip DRAM, as the massive computational volume of data makes it difficult to derive performance improvements only from memory inside the hardware accelerator. In other words, data communication between off-chip DRAM and memory inside the accelerato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CNN applications. In this paper, a simulator for the CNN is developed to analyze the main memory or DRAM access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on-chip memory or global buffer inside the CNN accelerator. For AlexNet, one of the CNN architectures, when simulated with increasing the size of the global buffer, we found that the global buffer of size larger than 100kB has 0.8x as low a DRAM access count as the global buffer of size smaller than 100kB.", "abstract": "이미지 인식 및 패턴 감지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 하나는 convolution neural network(CNN)이다. CNN에서 대부분의 연산량을 차지하는 convolution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외부 하드웨어 가속기를 사용하여 CNN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가속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CNN은 막대한 연산량을 처리하기 위해 오프칩 DRAM에서 가속기 내부의 메모리로 데이터를 갖고 와야 한다. 즉 오프칩 DRAM과 가속기 내부의 온칩 메모리 혹은 글로벌 버퍼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CNN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에서는 CNN 가속기 내의 온칩 메모리 혹은 글로벌 버퍼의 크기에 따른 주메모리 혹은 DRAM으로의 접근 횟수를 추산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CNN 아키텍처 중 하나인 AlexNet에서, CNN 가속기 내부의 글로벌 버퍼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시뮬레이션 했을 때, 글로벌 버퍼 크기가 100kB 이상인 경우가 100kB 미만인 경우보다 가속기 내부와 오프칩 DRAM 간의 접근 횟수가 0.8배 낮은 것을 확인 했다."} {"id": "JAKO20210676300195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1954.pdf", "abstract_en": "Korea's public institutions produce mandatory production records under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submit statistics on production status to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every year.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status of compulsory records produce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status statistics submitted to the Archives. Based on this, an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after identifying problems with the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oduction obligation records. In particular, the scope of the production obligation records is ambiguous, and the person in charge lacks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scope. In addition, only certain work-oriented records are being produced. As such, the improvement plan shall clearly determine the target of the local government's production obligation record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affairs shall understand it and implement an ordinance o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the local government's production obligation records.", "abstract": "우리나라의 공공기관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생산의무기록물을 생산하고, 매년 국가기록원에 생산 현황 통계를 제출하고 있다. 그런데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제 생산하는 의무기록물 현황과 기록원에 제출한 현황 통계에 차이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생산의무기록물의 생산관리 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서 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문제점은 생산의무기록물에 해당되는 범위가 모호하며, 업무 담당자의 이해도 부족하다. 그리고 특정 업무 중심의 기록물만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개선안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생산의무기록물 대상을 분명히 정하며, 업무 담당자는 이에 대한 이해를 해야하고, 자치단체의 생산의무기록물의 생산과 관리에 대한 조례를 제정한다."} {"id": "JAKO202106763001997",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1997.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nd problems in records management by the person in charge of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and derive improvement measures to manage university processing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atically. The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ministrative problems with processing and service, and second, issues arising from records management procedures, such as the production and registration of processing departments, notification of production status, transfer, cleanup and physical storage, and assessment and disposal, as well as the lack of knowledge and records management. In response, it was suggested that training is needed to improve processing and records management manuals, secure physical storage, strengthen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division in charge, ensure the legitimate status of the person in charge of processing and records management in the division in charge, and enhance the recognition of records management by the person in charge and manag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처리과 기록물관리책임자와의 면담을 통해 처리과 기록물관리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처리과 기록물 관리가 체계적으로 관리되도록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크게 다음과 같다. 대학 처리과에서 겪는 어려움은 일반적으로 처리과 기록물관리책임자의 과다한 업무와 순환보직으로 인한 문제, 기록의 생산 및 등록, 생산현황통보, 이관, 정리 및 물리적 보관, 평가 및 폐기 등 기록관리 업무절차상에서 정보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문제, 그리고 기록물관리책임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과 서무의 기록물 관리 교육이수 과정상의 문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면담 참여자인 대학 기록물관리책임자인 서무들은 처리과에 적합한 처리과 기록물 관리 매뉴얼 제작, 물리적 공간 확보, 기록관의 처리과에 대한 행정적 지원, 처리과 내 기록물관리책임자의 적법한 지위에 대한 고려, 업무담당자와 서무의 기록물 관리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d": "JAKO202106763001974",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763001974.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creating plans to manage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of public records in closed universities. In particular, according to various reference materials and internal materials of the institution, we studied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 dataset and figured out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closed university's dataset. Therefore, as a measure for the data management of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ecording targets are selected, retention periods are determined,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management standards are prepared,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evaluation and deletion are implemented,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s of closed universities are established.", "abstract": "오늘날 대학의 신입생 충원율이 급감하면서 대학의 폐교가 새로운 문제로 등장함에 따라 폐교대학의 기록물 관리가 새로운 이슈로 다뤄지고 있다. 최근 사립학교법이 개정되면서 폐교 기록물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법적 토대가 마련되었지만, 전자기록 중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에 관한 사항은 반영되지 못한 상태이다. 또한 공공기록물법의 개정에 따라 폐교대학의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도 공공기록물로서 관리되어야 하나 현재 폐교대학의 기록물 관리는 비전자기록물의 이관이나 정리에 관한 이슈가 주를 이룬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지적하며 폐교대학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를 공공기록물로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기본적으로 각종 참고문헌 및 기관의 내부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세트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폐교대학 데이터세트 관리현황을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는 폐교대학 통합정보관리시스템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기록화 대상 선정, 보존기간 책정,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관리기준표 작성, 행정정보 데이터 세트 평가·삭제, 폐교대학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종합관리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375991159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593.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ed to optimize the preparation method of citron (Citrus junos Sieb.) beverages with hibiscu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establish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with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s follows: ratios of citron (40~60%), citric acid (0.34~0.94%), and hibiscus (0.3~0.7%). The results indicate that an increase in the citron ratio contributed to increased sweetness and as the concentration of citron and hibiscus increased, the brightness of the citron beverage decreased and the yellowness increased. The citron rati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mong the 15 experimental groups, 4 representative samples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selected, and sensory tests were performed, in comparison with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 four beverages prepared with the selected recipe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commercial beverages, and optimal recipe conditions were 40% citron, 0.34% citric acid, and 0.5% hibiscus.", "abstract": "히비스커스와 유자를 이용하여 생리활성과 소비자 선호도를 증대시키는 유자음료제조의 최적 배합비율을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유자 음료의 제조 조건으로는 유자농축액의 농도(40, 50, 60%), 구연산의 비율(0.34, 0.64, 0.94%), 히비스커스의 비율(0.3, 0.5, 0.7%)을 달리하여 품질 특성과 생리활성을 조사하고, 소비자기호도를 평가하여 최적 배합비율을 선정하였다. Box-Behnken design을 이용한 히비스커스 유자 음료의 이화학적 특성 결과는 당도와 색도의 변화는 유자농축액, 산도는 구연산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었다. 항산화 활성은 유자농축액과 히비스커스의 교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농축액은 항산화 활성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나 히비스커스는 유자농축액과 혼합하면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히비스커스의 첨가 양이 최소가 될 때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 유자농축액 40%, 구연산 0.34%, 히비스커스 0.5%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리활성과 소비자 기호도 평가결과를 종합해 볼 때 히비스커스 유자 음료의 최적 조건은 소비자 기호도 평가의 최적 조건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결과는 다양한 히비스커스와 유자를 이용한 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향후 제품개발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id": "JAKO20211375991157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759911573.pdf", "abstract_en": "Barringtonia augusta Kurz is a species of the genus Barringtonia.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analyzed the biological activity of B. racemosa Roxb and B. acutangula,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B. augusta extract (BKE) remain unclear.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BKE using lipopolysaccharide (LPS) and RAW 264.7. BKE suppressed LPS-induced nitric oxide (NO) and inducible NO synthase expression without affecting RAW 264.7 cell viability. Additionally, BKE showed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capacities and inhibited LPS-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BKE also suppressed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IκB kinase and nuclear factor kappa-B (NF-κB) and p65 translocation from the cytosol to the nucleus in RAW 264.7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KE is a possible novel material that exerts benefic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rough the inhibition of NF-κB signaling pathway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Barringtonia augusta Kurz 추출물의 항염증,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BKE는 LPS에 의한 NO와 ROS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고, iNOS 발현 또한 억제하였다. 특히 IKK 매개 NF-κB pathway에서, IKK의 인산화 억제를 통하여, IκBα의 감소와 NF-κB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NF-κB의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 논문은 BKE가 NO와 ROS의 생성과 iNOS의 발현을 IKK매개 NF-κB 인산화 억제를 통해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KE는 항염증, 항산화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품 소재로써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06960485494", "publication_date": "2021.02.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494.pdf", "abstract_en": "Adsorption properties of heavy metals and organics in the mixed packed column of scoria and activated carbon, as well a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 groups of scoria were investigated. As the mixing ratio of scoria increased, the average removal ratios of cadmium, nickel, chromium, and lead ions increased, but that of benzene and toluene decreased. The mixed packed column of scoria and activated carbon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the simultaneous removal of heavy metals and organics. Scoria has Si-H and Si-O functional groups, and it was confirmed that Si-O functional groups greatly contributed to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s.", "abstract": "스코리아와 활성탄의 혼합 충전탑에서 중금속과 유기물의 흡착 특성, 스코리아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기를 조사하였다. 스코리아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카드뮴, 니켈, 크롬, 납 이온의 평균제거율은 증가하였으나, 벤젠과 톨루엔의 평균 제거율은 감소하였다. 스코리아와 활성탄의 혼합 충전탑은 중금속과 유기물의 동시 제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스코리아는 Si-H와 Si-O 작용기를 갖고 있으며, 이중 Si-O 관능기가 중금속의 흡착에 크게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09149380568", "publication_date": "2021.02.27",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149380568.pdf", "abstract_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the seawater circulation in the semi-closed harbor, a 3-D hydrodynamic model was applied to the International Ferry Terminal (IFT). The model run is conducted for 45 days (from May 15 to June 30, 2020),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model for time-spatial variability of current velocity and salinity wa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model results and observation data. There are two sources of freshwater towards inside of the IFT: Han River and water reservoir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IFT. In residual current velocity results, the two-layer circulation (the seaward flow near surface and the landward flow near bottom)derived from the horizontal salinity gradient in only considering the discharge from a Han River is more developed than that considering both the Han River and water reservoir. This suggests that the impact of freshwater from the reservoir is greater in the IFT areas than that from a Han River. Additionally, the two-layer circulation is stronger in the IFT located in southern part than Incheon South Port located in northern part. This process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idal current propagating into the port and freshwater discharge from a water reservoir, and flow with a low salinity (near 0 psu) is delivered into the IFT. This low salinity distribution reinforces the horizontal stratification in front of the IFT, and maintains a two-layer circulation. Therefore, local sources of freshwater input are considered to estimate for mass transport process associated with the seawater circulation within the harbor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numerical model according to the real-time freshwater flow rate discharged.", "abstract": "담수 유입이 항만 내 해수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천 남항의 남측에 위치한 신국제 여객터미널 해역에 3차원 유동 수치 모델을 구축 및 적용하였다. 수치 모델의 모의 기간은 경기만 지역의 평수기인 5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약 45일이며, 모델 결과와 관측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유동과 염분 변화에 관한 모델의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신국제 여객터미널에 영향을 미치는 담수 공급원은 한강과 항만 동쪽에 위치한 용현 갯골 유수지가 있다. 유수지의 유무에 따른 잔차류 결과를 분석해 보면, 한강과 유수지가 모두 고려된 실험안이 한강만을 고려한 실험안보다 염분 경사에 의한 2층 흐름 구조(표층은 외해 방향, 저층은 항 내를 향한 흐름 구조)가 수평적으로 더 강하게 발달한다. 이는, 한강으로부터의 담수 영향보다 유수지로부터의 담수 영향이 신국제 여객터미널 해역에서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잔차류의 2층 흐름 구조는 북쪽에 위치한 인천 남항보다, 남쪽에 위치한 신국제 여객터미널에서 더 강한 2층 흐름 구조가 발생한다. 이 프로세스는 유수지로부터의 담수와 항 내로 전파된 조류가 만나 신국제 여객터미널 방향으로 회전되어 전파되면서, 남쪽에 위치한 신국제 여객터미널에 저염수가 전달됨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흐름은 신국제 여객터미널 전면부에서 수평적인 염분 경사에 의한 성층을 강화시키며, 강화된 성층은 2층 흐름 구조를 형성 및 유지시킨다. 따라서, 항만 내의 경압 작용에 의한 해수순환과 물질이동을 재현하고자 할 때, 유수지와 같은 국지적인 담수 유입원이라도, 항만 내의 해수순환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현장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유수지에서 방류되는 실시간 담수 유량에 따른 수치모델을 수행해야 한다."} {"id": "JAKO202113855737057",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57.pdf", "abstract_en": "Leaching experiments from single metal and metallic mixtures were conducted to develop a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balt, copper, and nickel in spent lithium ion batteries. Inorganic and organic acid solutions without oxidizing agents were employed. No copper was dissolved in the absence of an oxidizing agent in the leaching solutions. The leaching condition to completely dissolve single metal of cobalt and nickel was determined based on acid concentration,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and pulp density. The leaching condition to dissolve all of cobalt and nickel from the metallic mixtures was also obtained. Leaching of the metallic mixture with methanesulfonic acid led to selective dissolution of cobalt at low temperatures.", "abstract": "폐리튬이온배터리에 함유된 코발트, 니켈 및 구리를 회수하기 위한 공정 개발의 일환으로 단일금속과 금속혼합물의 침출을 조사했다. 이를 위해 산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무기산과 유기산을 침출제로 사용했다. 본 논문의 실험조건에서 산화제가 없는 무기산과 유기산에서 구리는 전혀 침출되지 않았다. 염산과 황산용액에서 산의 농도, 반응온도, 반응시간 및 광액농도를 변화시켜 단일 금속를 모두 용해시킬 수 있는 조건을 구했다. 또한 염산과 황산용액에서 금속혼합물로부터 니켈과 코발트를 99% 이상 침출시킬 수 있는 조건을 조사했다. 메탄술폰산으로 코발트와 니켈 금속혼합물을 침출시 낮은 반응온도에서 코발트가 선택적으로 침출됐다."} {"id": "JAKO20211385573703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33.pdf", "abstract_en": "Nickel is widely used due to its excellent toughness, malleability and enhanced corrosion resistance. Therefore, nickel is indispensable in our daily lives, and it is widely used in basic to advanced applications such as stainless steel, super alloys and electronic devices. Recently, nickel has been widely used as the major material in secondary batteries and capacitors. The use of nickel continues to rise and has increased from 800 thousand tonnes per year worldwide in the 1970s to about 2 million tonnes in the 2010s. However, nickel is a representative rare metal and ranks 23rd among the abundant elements in the earth's crust.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nickel smelting processes as well as the trend in production amount and use. Nickel is extracted by a wide variety of smelting methods depending on the type of ore. These smelting methods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recycling processes that can extract nickel from secondary nickel resources.", "abstract": "니켈은 우수한 인성, 전성과 함께 내식성 향상 효과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따라서 니켈은 우리 일상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금속으로, 스테인리스강, 고강도합금, 전자기기 등 기초부터 첨단 응용 분야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니켈은 2차 전지 및 커패시터의 주요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니켈의 사용량은 계속 증가하여 1970년대 전 세계적으로 연간 80만 톤에서 2010년대에는 약 200만 톤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니켈은 지각 중 원소 존재도에서 23번째로 대표적인 희소금속이다. 본 연구에서는 니켈 제련기술의 현황과 생산량 및 사용 동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니켈은 광석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제련법으로 추출된다. 이러한 다양한 니켈 제련기술은 니켈 2차 자원으로부터 니켈을 추출하는 새로운 재활용 프로세스의 개발에 필수적일 것이다."} {"id": "JAKO202113855737070",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7070.pdf", "abstract_en": "Scraps are a byproduct of the machining process used for transforming titanium ingots into useful mechanical parts. Scraps take two forms, namely, bulky scraps, which are produced by cutting, and chipped scraps, which are produced by milling. Bulky scraps are comparatively easier to recycle because of their small surface area and less oxygen content; as a result, they pose only a small risk of explosion. In contrast, chipped scraps pose a higher risk of explosion, because of which, their recycling is complicated, resulting in most such scraps being discarded. With the aim of avoiding this waste, we proposed a novel process for converting chipped scraps into stable carbide materials. Methods typically applied to reduce particle size and impair the formation of solid solution type phase in the carbide materials were use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ides prepared from chipped scraps. Our novel recycling process reduced carbide production costs and improved carbide quality.", "abstract": "밀링 및 터닝 가공 중 발생되는 칩 형태 타이타늄 스크랩을 세라믹스 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칩 형태 타이타늄 스크랩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절삭유와 철 성분 제거를 위해 유기세정 및 산 세정 과정을 거쳐 스크랩 표면 세척을 진행하였다. 아세톤과 질산을 사용한 세정 과정을 통해 스크랩 내 유기물과 철 함량은 5 wt.% 수준에서 0.07 wt.%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세정에 이어진 산화 과정을 통해 타이타늄 스크랩은 이산화타이타늄화 되었다. 타이타늄 스크랩의 이산화타이타늄화 과정은 800 ℃ 이상의 온도에서 이루어졌으며 이산화타이타늄은 고에너지 밀링 과정을 통해 나노 결정립으로 미세화되어 탄소에 의한 환원 및 탄화 반응은 기존 이산화타이타늄 탄화환원 온도인 1500 ℃보다 낮은 1200 ℃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이산화타이타늄 탄화환원을 통해 얻어지는 타이타늄 탄화물은 질소 및 타이타늄 이외 전이금속 원소의 첨가 및 고용을 통해 물성이 개선될 수 있었다. 타이타늄 탄화물 내 질소 첨가 및 고용상 형성 가능성은 열역학 계산을 통해 예측되었고 질소 첨가 및 전이금속 고용에 의해 타이타늄 탄화물의 특성 중 경도 및 파괴인성 제어가 가능하였다."} {"id": "JAKO202115463038738", "publication_date": "2021.04.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038738.pdf", "abstract_en":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on why the clinical course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pediatric patients is milder than in adults. There are distinctive points in the immune system between children and adults, as well as in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gene expres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iratory system, the effects of comorbidities and risk factors, and the effect of infection control. Even though children tend to have mild forms of COVID-19, this does not mean that we should not regard it as a matter of importance.", "abstract": "소아청소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들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성인에 비하여 낮지만, 임상적인 중증도가 낮은 이유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소아청소년 환자들이 비교적 가벼운 임상 경과를 보이는 이유에 관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들을 살펴보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임상 경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면역 체계의 특성과 면역 상호작용, 안지오텐신전환효소 2 수용체의 역할, 호흡기계의 특징, 동반 질환과 위험 요인 보유, 방역 조치의 영향 등에서 소아청소년은 성인과 구별되는 차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양호한 임상 경과를 보이는 소아청소년 환자들이라 하더라도 필요한 의료 자원이 적시에 제공되어야 한다."} {"id": "JAKO202115463066754", "publication_date": "2021.04.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066754.pdf", "abstract_en": "Purpose: Group B streptococcus (GBS) is a causative organism of invasive infections in neonates and pregnant women as well as in non-pregnant adults. Among 10 known serotypes of GBS, uncommon serotypes, such as IV and VI to IX, can cause invasive infection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However, opsonophagocytic antibodies against these serotypes in human sera and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have not yet been studied. IVIG therapy is used to treat or prevent invasive infections in patients with primary antibody deficiencies. Here, we analyzed the activity of opsonophagocytic antibodies against GBS in IVIG preparations. Methods: Opsonophagocytic antibody activity (opsonic index [OI]) against seven GBS serotypes (II and IV to IX) was evaluated in 16 commercially available IVIG preparations using the opsonophagocytic assay (OPA) in HL-60 cells and baby rabbit complement assay during 2015-2016 in South Korea (UAB GBS OPA, at http://www.vaccine.uab.edu). Results: The estimated serum trough levels of OIs against GBS exceeded the limit of detection (≥4) in all IVIG preparations. For serotype VII, the serum levels of OIs were 6-136, the lowest among all serotypes. An IVIG dose of 400 mg/kg was found to be appropriate for immunocompromised individuals to prevent invasive GBS infections. Conclusions: Most immunoglobulin products displayed high levels of opsonophagocytic activity against GBS, except for serotype VII. IVIG preparations could serve as a therapeutic or immunomodulatory agent for immunocompromised individuals.", "abstract": "목적: Streptococcus agalactiae (group B streptococcus [GBS])은 신생아, 임산부 및 성인에서 침습성 감염의 주요 원인균이다. 면역체계가 손상되거나 약화된 경우, 잘 알려진 10개의 GBS 혈청형 중 흔하지 않은 IV, VI-IX에 의해 침습적인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람의 혈청 및 정주용 면역글로불린(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제제 중 GBS의 흔하지 않은 혈청형에 대한 옵소닌 항체(opsonophagocytic antibody) 활동은 연구되지 않았다. 면역글로불린 치료 요법은 일차항체 결핍증(primary antibody deficiency, PAD) 환자의 침습적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면역글로불린에서 GBS에 대한 옵소닌 항체 활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2015-2016년 국내 두 회사에서 사용가능한 16개 면역글로불린에 대하여 7개 GBS 혈청형 (II 및 IV-IX)에 대한 옵소닌 항체 활성도(opsonic index [OI])를 HL-60 세포와 아기토끼 보체를 사용하여 옵소닌 분석법(opsonophagocytic assay)을 통해 분석하였다. (UAB GBS OPA, http://www.vaccine.uab.edu). 결과: 모든 면역글로불린 제제에서 GBS에 대한 OI의 검출 한계점(≥4)을 초과하였다. 혈청형 VII의 경우, OI 값은 6-136으로 모든 혈청형 중에서 가장 낮았다. IVIG의 최저 수준(trough level)을 추정해볼 때, 일반적인 면역글로불린 용량 (400 mg/kg)은 PAD 환자에게 침습성 GBS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적합한 용량으로 보인다. 결론: 국내에서 사용중인 면역글로불린 제품은 GBS에 대한 높은 수준의 옵소닌 항체 활성을 나타냈다. 면역글로불린은 PAD 환자에게 유용한 치료 또는 예방조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d": "JAKO202115463105776", "publication_date": "2021.04.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5463105776.pdf", "abstract_en": "As of March 2021, humanity has been suffering from the global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andemic that began late 2019. In 2020, new vaccine platforms-including mRNA vaccines and viral vector-based DNA vaccines-have been given emergency use authorization (EUA), leading to rolling out the vaccines for global mass vaccinat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urrently most widely used coronavirus disease 2019 vaccines: their action mechanisms and efficacy and safety data from clinical trials that have been published to date.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trial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was summarized, and further consideration for them was discussed.", "abstract": "2021년 3월 현재, 인류는 2019년 말부터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2020년에는 messenger RNA (mRNA) 백신,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 DNA 백신 등 새로운 플랫폼의 백신들이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고, 이후 대규모 접종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OVID-19 백신들에 대하여 그 기전을 살펴보고, 임상시험 내용을 분석하여 효능과 안전선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였고, 소아청소년에 대한 백신 임상시험 상황 및 소아에서 고려할 점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id": "JAKO202113259286702", "publication_date": "2021.04.1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6702.pdf", "abstract_en": "In the present work, we studied a method for the synthesis of uniform gold-peptide hierarchical superstructures using tyrosine rich peptide, Tyr-Tyr-Leu-Tyr-Tyr (YYLYY). Peptide nanoparticles self-assembled by dityrosine bonds were synthesized through the photo-crosslinking reaction of the peptide, and gold-peptide hybrid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using biomineralization properties of tyrosine in a green synthetic manner. The synthesized gold-peptide hybrid nanoparticles were then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dynamic light scattering, UV-vis spectroscopy,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ion. Furthermore, the catalytic activity of gold-peptide hybrid nanoparticles was confirmed by the reduction reaction of methylene blue where the catalytic reaction rate constant was 13.4 × 10-3 s-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타이로신이 풍부한 펩타이드, Tyr-Tyr-Leu-Tyr-Tyr (YYLYY)를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를 담지한 균일한 금-펩타이드 계층적 초분자 구조체의 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펩타이드의 광가교 반응을 통해 다이타이로신 결합으로 자기조립된 펩타이드 나노입자를 합성하였고, 타이로신의 생체 광물화 특성을 이용하여 금-펩타이드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친환경적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금-펩타이드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는 투과 전자 현미경(TEM), 주사투과 전자 현미경(SEM), 동적 광산란(DLS),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spectroscopy),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STEM-EDS), X선 회절 분석법(XRD)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합성된 금-펩타이드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는 메틸렌블루의 환원 반응에서 13.4 × 10-3 s-1의 반응속도 상수를 가지는 촉매 특성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236235788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62357882.pdf", "abstract_en": "Surface image velocimetry (SIV) is a noncontact velocimetry technique based on images. Recentl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urface velocity measurements using drones to measure a wide range of velocities and discharges. However, when measuring the surface velocity using a drone, reference points must be included in the image for image correction and the calculation of the ground sample distance, which limits the flight altitude and shooting area of the drone. A technique for calculating the surface velocity that does not require reference points must be developed to maximize spatial freedom, which is the advantage of velocity measurements using drone images. In this study, a technique for calculating the surface velocity that uses only the drone position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drone-mounted camera, without reference points, was developed. To verify the developed surface velocity calculation technique, surface velocities were calculated at the Andong River Experiment Center and then measured with a FlowTracker. The surface velocities measured by conventional SIV using reference points and those calculated by the developed SIV method without reference points were compared. The results confirmed an average difference of approximately 4.70% from the velocity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SIV and approximately 4.60% from the velocity measured by FlowTracker. The proposed technique can accurately measure the surface velocity using a drone regardless of the flight altitude, shooting area, and analysis area.", "abstract": "표면영상유속계는 영상을 이용한 비접촉식 유속계로 최근에는 넓은 범위의 유속 및 유량을 간편하게 측정하기 위해 드론을 이용한 표면유속 측정 연구 또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드론을 이용한 표면유속 측정 시 영상 변환 및 화소 당 물리거리 산정을 위해 참조점을 영상에 담아야 하기 때문에 드론의 비행 고도와 촬영 영역에 한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드론 영상을 이용한 하천 유속 측정의 강점인 공간적 자유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참조점이 필요 없는 표면유속 산정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드론의 위치 및 드론 장착 카메라의 제원만을 이용한 무참조점 표면유속 산정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표면유속 산정 기법의 검증을 위해 안동 하천실험센터에서 표면유속을 산정한 뒤 FlowTracker로 측정한 유속, 기존에 표면유속을 산정하는데 사용하던 참조점을 이용하는 표면유속 산정 기법으로 구한 표면유속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기존 표면유속 산정 기법으로 구한 유속과는 평균적으로 약 4.70%의 차이를 보였으며, FlowTracker로 측정한 유속과는 평균적으로 약 4.60%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을 이용하면 비행고도와 촬영 영역, 분석 영역에 구애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d": "JAKO202112362357894",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62357894.pdf", "abstract_e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caused by erosion control dams using data obtained from three erosion control dams in Wonju, Gangwon Province,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Surveys were conducted four times from March to September 2019, and survey points were continuously select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closed-type and open-type dams. A total of eight points from the upstream and downstream regions of each dam type were selected. The flow velocity of both the closed and open types increased, but the closed type exhibited a relatively higher flow velocity than the open type. Benthic macroinvertebrate species and individuals mostly decreased after the rainy season.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found upstream of the closed-type dam. An analysis of the ephemeroptera-plecoptera-trichoptera groups showed relatively reduced ephemeroptera in the closed-type dam and reduced trichoptera in the open-type dam.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could be divid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imilarity analysis. The open type showed relatively minimal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abstract":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3개의 사방댐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지역을 대상으로 장마 전·후의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사방댐에 의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9년 3월부터 9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은 불투과형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지역과 투과형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지역을 선정하였다. 불투과형, 투과형 사방댐 각각 상·하류로부터 총 8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유속은 장마 이후 불투과형, 투과형 모두 대부분의 지점에서 증가하였으나, 불투과형은 투과형보다 상대적으로 유속의 변화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는 장마 이후 대부분의 지점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투과형 상류지점이 상대적으로 종수 및 개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살이목-강도래목-날도래목 (EPT) 그룹 분석은 상대적으로 불투과형에서 하루살이목이 감소하였으며, 투과형에서 날도래목이 감소하였다. 유사도 분석 결과, 불투과형, 투과형 모두 장마 전·후가 구분되었으며, 투과형이 상대적으로 장마 전·후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id": "JAKO202112362357878",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62357878.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fish and flow surveys were conducted at 12 survey points to calculate the fish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Miho Stream in the Geum River Water System. The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our times from September 2019 to May 2020. The results show the presence of 8 families, 37 species, and 5,754 individuals. The number of water purification species that preferred waters with a low flow rate was the highest.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method based on the populations collected at various water depths and flow rate sections and the flow rate survey results. For the dominant species, Zacco platypus and swimming species, the results were compared by calculating at Gasan Bridge and Palgye Bridge at the upper stream. The single spec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at water depths of 0.1 - 0.5 m and flow rates of 0.2 - 0.5 m/s. The species swimming ability was similarly calculated at water depths of 0.2 - 0.5 m and flow rates of 0.2 - 0.5 m/s. The dominant species, Pyramid, had a wide range of physical habitats.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between the swimming species was similarly calculated. These results can be effectively used as basic data for calculating the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rate and establishing a river restoration plan of the Miho Stream.",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 미호천의 어류 서식지적합도지수 산정을 위해 12개 조사지점에서 어류 및 유량조사를 실시하였고, 미호천을 대표할 수 있는 2개 지점을 선정하여 어종별 수심 및 유속 등 물리적서식지 정보를 구축하여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하였다. 2019년 9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총 4회 실시한 현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총 8과 37종 5,754개체가 출현하였고, 어류군집의 유영특성은 정수성 어종이 22종, 중간종 7종, 유수성종 8종으로 유속이 느린 수역을 선호하는 정수성종의 출현 종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식지적합도지수는 수심과 유속 구간별 채집된 개체수와 유량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WDFW 방법에 따라 산정하였다. 우점종인 피라미와 유영성 어종을 대상으로 상류의 가산교 지점과 중류의 팔결교 지점에서 각각 산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단일종은 수심 0.1 - 0.5 m, 유속 0.2 - 0.5 m/s의 범위에서 상류와 하류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영성종의 경우 수심 0.2 - 0.5 m, 유속 0.2 - 0.5 m/s의 범위로 단일종과 유사하게 산정되었다. 우점종인 피라미의 물리적 서식범위가 광범위하였고, 유영성종 간의 서식지적합도지수는 유사하게 산정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호천의 환경생태유량 산정 및 하천복원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236235789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362357890.pdf", "abstract_en": "The flood prevention capacity of drainage facilities in urban areas has weakened because of the increase in impervious surface areas downtown owing to rapid urbanization as well as localized heavy rains caused by climate change. Detention can be installed in trunk sewers and linked to existing drainage facilities for the efficient drainage of runoff in various urban areas with increasing stormwater discharge and changing runoff pattern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detention in trunk sewers, which are storage facilities linked to existing sewer pipes, was applied. By selecting a virtual watershed with a different watershed shap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detention in the trunk sewer and the design parameters was analyzed. The effect of reducing stormwater runoff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capacity of the reservoir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 capacity of the detention trunk sewer in the Dowon district of the city of Yeosu, South Korea was verified. The effects of the existing water runoff reduction facility and the detention trunk sewer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reducing internal inundation, it was found that the inundation area decreased by approximately 66.5%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etention trunk sewer. The detention trunk sewer proposed in this paper could effectively reduce internal inundation in urban areas.", "abstract":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도심지의 불투수 면적의 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하여 기존 배수시설로 구성된 도시지역의 홍수 방어능력이 취약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도심지의 우수 유출량이 증대되고 유출 양상이 변화되고 있는 다양한 도시지역에서의 원활한 내수배제를 위해서는 우수관거의 용량 증대 및 단순 지하 저류조의 설치가 아닌 기존 배수시설과 연계가 가능하면서도 배수가 용이한 형태의 간선저류지의 설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우수관거를 연계한 저류시설인 간선저류지 개념을 적용하고 유역 형상이 변화된 가상유역을 선정하여 간선저류지의 특성인자들과 설계를 위한 매개변수들의 관계를 분석하고 저류지의 설치위치 및 용량에 따른 우수유출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여수 도원지구를 대상으로 간선저류지 설치위치 및 용량에 따른 관계를 검증하고 기존의 우수유출 저감시설과 간선저류지 설치에 따른 내수침수 저감효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간선저류지 적용에 따른 내수침수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간선저류지 설치에 따라서 침수면적이 약 66.5%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간선저류지는 도시지역의 내수침수를 저감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d": "JAKO202117560723535",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0723535.pdf", "abstract_en": "This study analyzed how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are implemented in the distributed process-focused assessment exampl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To this en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analysis perspectiv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were extracted into six categories.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it was described how process-focused assessment exampl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developed by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were often formally reflected in sample materials. For example, there was a lack of skills on how to effectively integrate instruction and evaluation in practical terms. In many cases, feedback simply induced a recall of a learned concept or simply guides a related scientific concept. In some cases,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did not appear prominently in the sample materials. Also the developed sample materials were divided into the same type as the existing science and performance assessment questionnaire, a narrative·essay type, and a type similar to experimental workbook.",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이 배포된 과학과 과정중심평가 예시 문항 자료들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리뷰를 통해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에 대한 분석 관점을 6가지로 추출하였다. 그 분석틀을 이용하여 시도 교육청 및 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과정중심평가 장학자료의 초등 과학과 평가문항이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을 어떤 방법으로 반영하고 있는지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과정중심 평가의 특징은 초등 과학과 평가 문항 예시 자료들에 형식적으로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과정중심 평가의 특징이 초등 과학과 평가 문항에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개발된 예시문항들은 기존 과학과 수행평가 문항의 형태와 동일한 유형, 서·논술형 유형, 실험관찰과 유사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id": "JAKO20211756066851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7560668511.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nquiry problems set by high school students who observed an 'unexpected phenomenon' and identified the effects of providing scientific information on setting inquiry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6 eleventh grade students in Seoul that were randomly assigned to group A (N=66) and group B (N=60). In the study, watching a video of about 45 seconds of the unexpected phenomenon repeatedly for 20 minutes, all the students freely wrote inquiry problems that they wanted to carry out in their handouts. 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that only the handout of group B additionally included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unexpected phenomenon.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regardless of group, set more 'curiosity-oriented inquiry problems (i.e., focusing on inquiries they want to do rather than revealing what might be the cause of the phenomenon)' rather than going into a 'cause-oriented inquiry problem solving (i.e., revealing the cause of the phenomenon).' Among the curiosity-oriented inquiry problems, most of them were 'new-result inquiry problems (i.e., investigating what new results will occur by simply manipulating experimental situa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who were provided with the scientific information tended to set significantly more inquiry problems using the provided information than those who were not (χ2(1)=8.996, p",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현상'을 관찰한 고등학생들이 설정하는 탐구문제 특징을 조사하고, 탐구문제 설정에 있어 과학적 정보 제공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26명으로, 이들은 A집단 (N=66)과 B집단(N=60)으로 무작위 구분되었다. 연구 과정에서 모든 학생들은 약 45초 분량의 예상하지 못한 현상 영상을 20분간 반복하여 시청하고 영상과 관련하여 자신이 수행하고 싶은 탐구주제를 활동지에 자유롭게 작성하였다. 이때 B집단 학생들에게 제공된 활동지에만 예상하지 못한 현상에 관한 과학적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던 것이 특징이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집단에 관계 없이 예상하지 못한 현상에 대하여 '원인 지향 탐구문제 (현상의 원인을 밝히고자 함)'보다는 '호기심 지향 탐구문제 (현상의 이유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탐구를 함)'를 더 많이 설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호기심 지향 탐구문제 중에서는 '새로운 결과 탐구문제 (실험상황 등을 단순 조작하여 어떤 새로운 결과가 나타나는지를 탐구)'가 대부분을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과학적 정보를 제공받은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제공된 정보를 유의미하게 더 많이 이용하여 탐구문제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지만 (χ (1)=8.996, p"} {"id": "JAKO202122162111672",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162111672.pdf", "abstract_en": "The series hybrid system targeted in this study uses a reciprocating engine, a generator, and a battery as a main power source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genera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reciprocating engine, an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reciprocating engine-generator set were confirmed through ground integration tests. In this study, based on the test results, a control logic is proposed an efficient use of the reciprocating engine-generator power and battery power. Also, the power variations of the reciprocating engine-generator and battery according to the logic were verified through simul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ngine-generator power supplied the power required for propulsion along with the battery power by the proposed control logic.", "abstract":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직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무인기용으로 왕복엔진, 발전기, 배터리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발전기는 왕복엔진의 구동축에 직결되며, 왕복엔진-발전기 세트의 운용 특성은 지상통합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왕복엔진-발전기 출력과 배터리 출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어로직을 제시하였고, 로직에 따른 왕복엔진-발전기와 배터리의 출력 변동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발전기 출력은 제시된 제어로직에 의해 배터리 출력과 함께 추진요구전력을 공급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3138091294",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94.pdf", "abstract_en": "The selective permeate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iodine ion at follicle cell membrane model in thyroid which irradiated by high energy x-ray(linac 6 MV) was investigated. The follicle cell membrane model used in this experiment was a polysulfonated copolymerized membrane of poly(4-vinylpyridine-co-acrylonitrile:VP-AN). The difference of membrane thickness [2 mole AN%(w/w)], fixed carrier concentration[VP-AN%(w/w)], OH- concentration were occurred at difference of I- concentration and quantity of thyroid hormone, respectively. The tensile strength in fixed carrier concentration[VP-AN% (w/w): 0-62 %] of irradiated membrane was found to be decreased about 1.2-1.8 times than non-irradiated membrane. The I- selective permeate initial flux with increase of membrane thickness [2mole AN%(w/w)], fixed carrier concentration[VP-AN%(w/ w)], OH- concentration in irradiated membrane were found to be decreased about 2.1-4.5 times, about 2.2-2.5 times, about 2.1-2.67 times than non-irradiated membrane,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quantity of thyroid hormone was decreased at irradiated membrane than non-irradiated membrane. The decrease of thyroid hormone was occurred at hypothyroidism and hyperthyroidism, thyroid cancer, and so on. As the thyroid hormone in cell membrane model were abnormal, cell damages were appeared at cell.",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고에너지 엑스선(6 MV X선)을 조사한 갑상선의 소포세포막 모델에서 막의 두께차이, 고정전달자[VP-AN% (w/ w)]의 농도차이, OH-이온의 농도차이가 세포내부와 세포외부사이로 갑상선호르몬의 구성성분인 요오드이온의 농도차이로 발생하고 갑상선호르몬의 생성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영향을 구명하기위해서 소포의 세포막을 통한 요오드의 선택적 투과전달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세포막 모델은 피리딘 양이온을 고정전달자로 한 poly(4-vinylpyridine- co-acrylonitrile :VP-AN)분말을 인장강도의 강화용인 polysulfone과 결합시킨 불균질의 복합막을 사용하였다. 고정전달자[VP-AN% (w/ w)]의 농도차이(0~62 %)에서 36.5 ℃로 방사선을 조사한 소포의 고분자 막(세포막모델)은 형태학적 변화인 인장강도가 비 조사된 세포막모델보다 약 1.2 ~ 1.8배 정도 감소되었다. 방사선을 조사한 갑상선의 소포세포막모델 [2mole AN%(w/w)]에서 막의 두께차이, 고정전달자[VP-AN% (w/ w)]의 농도차이, OH-이온의 농도 차이로 발생하는 요오드이온의 선택적 투과플럭스는 비 조사된 세포막모델보다 막의 두께가 변화 할 때 각각 약 2.1 ~ 4.5배, 약 2.2 ~ 2.5배, 약 2.1 ~ 2.67배 정도 감소되었다. 결국 방사선조사로 인해서 갑상선의 소포세포막에서 요오드이온의 선택적 투과 전달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되어 세포장해가 발생하고 갑상선호르몬의 생성량 감소도 동반하게 되었다고 사료됐다."} {"id": "JAKO202113138091289",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89.pdf", "abstract_en":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non-face-to-face online continuing educ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in a region, their satisfaction, and completion status, and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predicted after the post-coronavirus. It was implemented to do. From January 5, 2021 to January 31, 2021, 255 radiological technologist license holders who completed online continuing education in 2020 were targeted. Satisfaction with online continuing education was higher as the age, male radiological technologist, and job title increased after obtaining a license. As for the status of completion of continuing education,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regular members belonging to the branch, the more moderate the cost of continuing edu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was guaranteed, and the more the completio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license and the recognition of legal restri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comple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s according to age in preparation for the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a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provide members' needs.", "abstract": "본 연구는 일개지역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보수교육 실태 및 그에 따른 만족도, 이수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이후 예견되는 보수교육의 설계 및 운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021년 1월 5일부터 1월 31일까지 2020년 온라인으로 보수교육을 이수한 방사선사 면허 소지자 2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대면 보수교육 만족도는 면허를 취득한 후 연령이 높을수록, 남자 방사선사, 직급이 높을수록 높았다. 보수교육 이수현황은 연령이 높을수록 지회에 소속된 정회원의 경우, 의료기관의 보수교육비의 적절성이 보장될수록, 보수교육면허 이수 및 법적 제제를 인지한 경우에 이수율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수교육의 만족도와 이수를 높이기 위해 급변하는 의료 환경 변화를 대비하여 연령에 따른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회원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3138091283",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83.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vergence establishment of a coronavirus infec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occur during clinical trials by grasping the knowledge of corona, infection possibility, infection prevention possibility, and implementation level of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of radiologists working at K University Hospital. It is in providing data.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50 radiologists working at K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5 to June 30, 2020.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ir knowledge of the COVID-19,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prevention, and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infection prevention actions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5.0.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fection-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gression of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shown in this study were 1.7 points for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when corona knowledge increased by 1 point, and infection prevention activity increased by 11.3 points when the level of transmission pathway recognition rose 1 point. When the figure rose by 1 point, the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increased by 4.2 points. When looking at the standard regression coefficient, preventive behavior is performed. Among knowledge, transmission path perception, and anxiety,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was the perception of the transmission path of COVID-19. As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infection prevention actions, knowledge of COVID-19, awareness of transmission paths, and anxiety appear to be the potential of infection prevention, so in the event of a corona outbreak, information on infectious diseases and education on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prevention should be provided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actio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K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의 COVID-19 에 대한 일반적 특성, 감염 관련 특성, 지식 및 행위와 상관성이 있는 요인, 감염 예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 하는 데 있다. 기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20년 3월 25일부터 6월 30일까지 K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설문 조사로 일반적 및 감염 관련 특성은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Pearson's 상관계수 분석하였으며, 감염 예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통계 검정의 유의 수준은 0.05로 설정하여 P-값이 0.05 미만이면 유의하다고 해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COVID-19 감염 예방 행위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코로나 지식이 1점 오를 때 감염 예방 행위가 1.7점 올랐고, 전파경로 인식 수준이 1점 올랐을 때 감염 예방 행위가 11.3점 올랐으며, 불안정도 1점 올랐을 때 감염 예방 행위가 4.2 점 올랐다. 표준 회귀계수를 보면 예방하는데 지식, 전파경로 인식, 불안 중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코로나의 전파경로 인식이었다. 감염 예방 행위의 영향요인으로는 코로나 지식, 전파 경로 인식과 불안이 감염 예방 가능성으로 나타나 코로나 유행 시 이 정보를 잘 이용하기를 기대한다."} {"id": "JAKO202113138091271", "publication_date": "2021.04.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38091271.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adiation shielding effect of soft magnetic material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to the military facilities. The soft magnetic material is known to be effective in shielding EMP. If this material is also effective in radiation shielding, it is expected that it has a lot of applicability in military protection. In particular, this material contains boron, so it will be effective in shielding neutrons. In this resear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Cs-137 and Co-60 sources to check the gamma ray shielding effect. In addition, the Monte Carlo N-Particle(MCNP) modeling was applied to evaluate the gamma ray and neutron shielding effect of a military command tent. As a result, as the soft magnetic thickness increased, the shielding performance improved according the linear attenuation law of gamma ray and neutron. Therefore,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he application of soft magnetic material for military purposes in radiation shielding would be effectiv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경량 연자성 소재의 방사선 차폐 효과를 분석하여 군사시설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자성 물질은 EMP 차폐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물질이 방사선 차폐에도 효과적이라면 군 방호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차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s-137 및 Co-60 선원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중성자 차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onte Carlo N-Particle (MCNP)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연자성 소재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감마선과 중성자의 선형 감쇠 법칙에 의한 차폐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자성 소재를 군사용 구조물 등에 적용할 경우에 방사선 차폐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716314792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29.pdf", "abstract_en": "CT is important role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disease diagnosis, but the number of examination and CT images are increasing. Recently, deep learning has been actively used in the medical field, and it has been used to diagnose auxiliary disease through object detection during deep learning using medical images. The purpose of study to evaluate accuracy by detecting kidney and vertebrae during abdominal CT using object detection deep learning in YOLOv3. As a results of the study,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kidney and vertebrae was 83.00%, 82.45%,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bject detection of medical images using deep learning.", "abstract": "전산화단층촬영은 질병 진단 등 의료분야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검사 건수 및 검사 별 영상 증가가 지속되고 있다. 최근 의료분야에 딥러닝 이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료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중 객체 검출을 통해 보조적 질병 진단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객체 검출 딥러닝 중 YOLOv3 모델을 이용하여 복부 CT 중 콩팥과 척추를 검출하여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콩팥과 척추의 검출 정확도는 83.00%와 82.45% 였으며, 이를 통해 딥러닝을 이용한 의료영상 객체 검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id": "JAKO202107163147959",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59.pdf", "abstract_en": "When continuous X-ray are used when acquiring and X-ray image, even the same material may not be accurately represented in the image according to the thickness due to various X-ray energies. To solve this problem, the X-ray energy spectrum was changed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Using SPEKTR v3.0, an X-ray energy spectrum with an additional filter added and a general X-ray energy spectrum using only a unique filter were obtained.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obtained X-ray energy spectrum as a radiation source for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 (GATE). Using GATE data, an X-ray image with an additional filter and an image reconstructed from and X-ray image without an additional filt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 mono energy image of 74 keV. In the case of using the X-ray energy spectrum without using an additional filter, the amount of X-ray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ame material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that decrease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as the amount decreased with the material thickness. In other words, a similar result was obtained when the reduced dose was used with a mono energy. When an X-ray image is obtained by changing an X-ray energy spectrum using an additional filter, a more accurate result of transmission of X-rays may be obtained. In radiological exa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ropriate use of the additional filter has a great effect on improving the image quality.", "abstract":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에 연속 엑스선을 사용할 경우, 다양한 엑스선 에너지로 인해 같은 물질이라도 두께에 따라 영상에서 정확하게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엑스선 에너지스펙트럼을 변경하여 영상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SPEKTR v3.0을 사용하여 부가 필터를 추가한 엑스선 에너지스펙트럼과 고유 필터만을 사용한 일반 엑스선 에너지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엑스선 에너지스펙트럼을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GATE)의 방사선원으로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GATE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가 필터가 사용된 엑스선 영상과 부가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엑스선 영상을 재구성한 영상을 74 keV의 단일 에너지 영상을 통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부가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엑스선 에너지스펙트럼을 사용한 경우 같은 물질이라도 두께에 따라 투과한 엑스선의 양이 물질 두께에 따라 감소되는 양과는 상이한 양상을 보인 반면, 부가 필터를 사용한 경우 두께에 따라 투과된 엑스선의 양이 물질 두께에 따라 감소되는 양과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즉, 감소되는 선량이 단일 에너지를 사용했을 때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부가 필터를 사용하여 엑스선 에너지스펙트럼을 변경하여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경우 엑스선의 투과에 대한 보다 정확한 결과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의학검사에서 부가 필터의 적절한 사용이 영상의 질을 높이는데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716314792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25.pdf", "abstract_en": "Recentl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hich can acquire images with good contrast without exposure to radiation, has been widely used for diagnosis. However, noise that reduces the accuracy of diagnosis is essentially generated when acquiring the MR images, and by adjusting the parameters, the noise problem can be solved to obtain an image with excellent characteristics. Among the parameters, the number of excitation (NEX) can acquire images with excellent characteristics without additional degradation of image characteristics. In contrast, appropriate NEX setting is required since the scan time increases and motion artifacts may occur.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fixing all MRI parameters through the MRiLab simulation program, we tried to evaluate the tendency of im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anging NEX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of brain T2 weighted images acquired by adjusting only NEX. To evaluate the noise level and similarity of the acquired image, signal to noise ratio (SNR), contrast to noise ratio (CNR),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peak signal to noise ratio (PSNR) were calculated. As a result, both noise level and similarity evaluation factors showed improved values as NEX increased, while the increasing width gradually decreased.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an appropriate NEX setting is important because an excessively large NEX does not affect image characteristics improvement and cause motion artifacts due to a long scan.", "abstract": "방사선에 의한 피폭 없이 대조도가 우수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한 자기공명영상은 진단에 필수적이지만 영상에서의 노이즈 발생은 불가피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기공명영상장치의 변수들을 조절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중, 여기횟수 (NEX; number of excitation)는 추가적인 영상 특성의 저하 없이 우수한 특성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지만 scan time이 증가하여 motion artifact를 발생시킬 수 있고, scan time의 증가에 비례하여 영상의 특성이 향상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NEX의 설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RiLab simulation program을 통해 자기공명영상의 모든 변수들을 고정시킨 후, NEX만을 조절하여 획득한 뇌 T2 강조 영상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 NEX 변화에 따른 영상 특성의 경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노이즈 레벨 및 유사도 평가를 하기 위해 신호 대 잡음비 (SNR; signal to noise ratio), 대조도 대 잡음비 (CNR; contrast to noise ratio), 평균 제곱근 오차 (RMSE; root mean square error) 그리고 최대 신호 대 잡음비 (PSNR; peak signal to noise ratio)를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노이즈 레벨 및 유사도 평가 인자 모두 NEX가 증가함에 따라 개선된 값을 보였으나, 점차 증가폭이 감소함을 보였다. 따라서, 과도하게 큰 NEX는 장시간의 scan에 따른 motion artifact를 발생시켜 영상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NEX의 설정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7163147955",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7163147955.pdf", "abstract_en": "Radiographic contrast agents are used for diagnostic purposes and are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measured values in bone density tests. They are absorbed into tissues and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measured values of bone density, so they ar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before performing a bone density test. MRI contrast agents, which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and mechanisms of action than radiographic contrast agents, are based on gadolinium, a metal element. They have radiopacity characteristics, so MRI are generally performed prior to examination using rad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RI contrast agents on bone mineral density examination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n. Two types of gadolinium based MRI contrast agents were injected into an acrylic water tank for each volume, and the humanoid spine phantom was inserted and the BMD and T-score from (L1-L4) were analyzed by scanning a total of 30 times, 5 times for each injection type.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total (L1-L4) bone density for each of the two contrast agents was 0.952±0.052, 0.957±0.050, and 0.956±0.05g/㎠, respectively, for the Gadoterate Meglumine component 0mL, 7.5mL and 15mL, when the gadobutrol components were 0mL, 5mL, and 10m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sites at 0.953±0.001, 0.954±0.001, and 0.945±0.001g/㎠, respectively(p>0.05). The average value of total T-score was -0.46±0.05, -0.4±0, -0.42±0.04 when the Gadoterate Meglumine component was 0mL, 7.5mL and 15mL, respectively. When the Gadobutrol ingredients were 0mL, 5mL and 10m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with -0.46±0.05, -0.46±0.05, and 0.5±0.00, respectively. In this experiment, the MRI contrast agent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bone density tests, using the dual-energy X-ray absorption metho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physical conditions such as kidney and health conditions etc.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so further clinical research is expect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abstract": "골밀도검사에서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인 방사선 조영제는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어 조직 등에 흡수되어 골밀도 측정값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골밀도검사 시행 전에는 될 수 있으면 피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선 조영제와는 다른 물리적 특성과 작용기전을 갖는 MRI 조영제는 금속원소인 가돌리늄 기반으로 방사선 불투과성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 전에 MRI 검사를 선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RI 조영제가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을 이용한 골밀도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돌리늄 기반의 MRI 조영제 2종을 아크릴 수조에 용량별로 주입하여 인체모형 척추 팬텀을 넣고, 각 주입량 종류별로 5회씩 총 30회 scan 하여 L1-L4 번까지의 골밀도와 T-score를 분석하였다. 측정된 2종의 조영제별 Total(L1-L4) 골밀도의 평균값은 가도테레이트 메글루민성분 0mL, 7.5mL, 15mL일때, 각각 0.952±0.052, 0.957±0.050, 0.956±0.05 g/㎠로 나타났으며, 가도부트롤성분 0mL, 5mL, 10mL일 때, 각각 0.953±0.001, 0.954±0.001, 0.945±0.001g/㎠로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Total (L1-L4) T-score의 평균값은 가도테레이트 메글루민성분은 0mL, 7.5mL, 15mL일 때, 각각 -0.46±0.05, -0.4±0, -0.42±0.04로 나타났으며, 가도부트롤성분 0mL, 5mL, 10mL일 때, 각각 -0.46±0.05, -0.46±0.05, 0.5±0.00으로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본 실험에서는 MRI 조영제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을 이용한 골밀도검사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상 대상이 아닌 제한적 조건의 인체 모형 팬텀을 사용하여 조영제의 배출시간에 영향을 주는 신장 기능, 신체 상태 등이 고려되지 못한 제한점이 있어 추후 추가적인 임상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d": "JAKO202113259287059",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259287059.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and revise the scale for the us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299 elementary teachers. A Rasch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unidimensionality and appropriateness of category use and item difficulty levels. Moreover, person separation and reliability as well as item separation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using the revised scal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riginal personal teaching efficacy scale (13 items with five categories) had several problems in its psychometric properties. Thus, we revised the scale into eight items with four categories. The follow-up analysis results showed the revised scale provided sufficient psychometric properties for measuring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for teaching mathematic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BI)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탐색하고 한국 초등 교사들에게 사용할 수 있게 측정 도구를 수정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MTEBI 중 개인 효능감 요인만을 분석하였다. 299명의 초등 교사들의 설문자료를 Rasch 모형을 이용하여 일차원성 가정, 응답범주 적절성, 문항 난이도 적절성, 분리지수와 신뢰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점 범주로 된 13개 문항은 심리측정적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 분석에서 5점 범주 대신 4점 범주로 수정하였으며 5개의 문항을 삭제한 후 8문항을 사용해 심리측정적 특성을 재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정된 측정 도구는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수에 대한 개인효능감을 타당성 있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추가 논의하였다."} {"id": "JAKO202106960485557", "publication_date": "2021.01.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6960485557.pdf", "abstract_en": "Factors influencing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mathematics achievement, so longitudinal studies that can predict and analyze their growth are needed. This study uses longitudinal data on students from 2011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2015 (2nd grade of middle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divides them into groups with similar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learning attitudes and achievement goal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learning effort and learn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 1 group (2277 students, 67.7%), and learn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 3 groups (958 students, 28.5%). And it was found that learning effort h ad an indirect effe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oth learning attitudes, learning efforts, and achievement goals had no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in the second group (127 students, 3.8%).", "abstract":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 성장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1년도(초등학교 5학년)부터 2014년(중학교 2학년)까지 학생들에 대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이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 학습노력과 학습태도, 성취목표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그룹(2277명, 67.7%)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노력과 학습태도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그룹(958명, 28.5%)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태도가 직접적인 영향, 학습노력은 학습태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그룹(127명, 3.8%)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태도와 학습노력, 성취목표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2461862707",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707.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s a method to increase the recycling of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ash(CFBCA), CFBCA was utilized to produce autoclave aerated concrete product since CFBCA contains quicklime and calcium sulfate components that are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autoclave aerated concrete. Successful achievement of such objective will bring cost reduction with high value addition, saving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load. Various mixing designs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properties of autoclave aerated concrete made of CFBCA. Based on series of experimental program, prototypes mix design for factory manufacturing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gypsum can be replaced with CFBCA through the method of pre-treating the CFBCA as a slurry. It was possible to produce competitive autoclave aerated concrete products using CFBCA.",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순환유동층 보일러 애쉬의 재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제조시 생석회 및 황산칼슘 성분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생석회 및 석고의 대체재로 활용하여, 생산원가 절감, 자원재활용, 환경부하 저감 및 고부가가치화 등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배합설계를 도출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물성을 평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공장에서 시제품을 생산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제조에 순환유동층 보일러애쉬의 활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순환유동층 보일러애쉬를 슬러리로 선처리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석고를 CFBCA로 대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제품의 생산이 가능함을 보였다."} {"id": "JAKO202112461862703",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703.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the engineering charateristics of recycled cold asphalt mixtures using waste glass and red mud were examined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low carbon road pavement materials using large amounts of waste. It also examined the satisfaction of the performance criteria specified in the standar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RCA using waste glass were not met standard of GR since strain resistance reduced. Therefore, it has been shown that improvements in the composition of the mixture are needed. It has also been shown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ixture when adding red mu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standards for stability, flow value, indirect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ratio as specified by GR are satisfie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을 대량 활용한 저탄소 도로포장재 개발의 일환으로 폐유리 및 레드머드를 활용한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및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해당 표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능기준에 대한 충족여부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폐유리 혼입 시 혼합물의 변형저항성을 저하시켜 GR의 품질기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배합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레드머드 첨가로 폐유리 활용 혼합물의 성능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유리 혼입에 따른 변형저항성 저하를 개선시켜 현재 GR에서 규정하고 있는 안정도, 흐름값, 간접인장강도 및 인장강도비 등에 대한 품질기준치를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유리 및 레드머드의 순환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용 적용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JAKO202112461862700", "publication_date": "2021.03.30",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2461862700.pdf", "abstract_en": "3D printing techniques have been recently adopt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mainly utilizes additive manufacturing which is the fabrication process depositing successive layers of materials without any formworks. Conventional cementitious materials may not be directly applicable to 3D printing because 3D printable cementitious materials is required to satisfy such characteristics as pumpability, extrudability, and buildability in a fresh stat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heological properties and required performances of 3D printable cementitious materials, by reviewing existing studies. Test methods and equipments, evaluation results and characteristics of mixture additives were compared. Based on reviews of existing studie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viscosity is mainly relevant to the pumpability of 3D printable materials whereas the yield stress and thixotropy are important in securing buildability of the materials.", "abstract": "3D 프린팅 시공기술은 주로 거푸집 없이 시멘트계 재료를 적층하여 생산하는 방식을 활용한다. 3D 프린팅 시멘트계 재료는 굳지 않은 상태에서 이송성, 토출성, 적층성 관련 성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존 시공방식에서 사용되던 재료 물성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의 3D 프린팅 시멘트계 재료의 유변학적 특성에 대한 기존 연구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3D 프린팅 시멘트계 재료의 요구 성능과 유변학적 물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3D 프린팅 시멘트계 재료의 점성, 항복응력, 틱소트로피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던 이전 연구 사례들의 장비, 실험 및 평가 방식, 사용한 혼화제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재료의 요구 성능을 정성적으로 유변학적 물성과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점성은 주로 이송성과 관련이 있고 시간에 따른 항복응력의 변화, 틱소트로피는 3D 프린팅 시멘트계 재료의 적층 성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9950460345", "publication_date": "2021.01.25",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9950460345.pdf", "abstract_en": "The Fenton reaction is often used to evaluate the chemical durability of polymer membranes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PEMFC). However, due to the violent reaction between hydrogen peroxide and iron ions, it is difficult to compare experimental data because of low reproducibility.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reaction conditions to improve the reproducibility of the durability test of the membrane by the Fenton reaction. The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was fixed at 30%, the iron ion concentration, temperature, stirring speed, and sample size were varied, and the fluorine ion concentration of the Nafion polymer membrane deteriorated by radicals was measured. When the iron io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or the membrane sample size was increase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to 80 ℃, the experimental deviation increased, so an iron ion concentration of 10 ppm, a temperature of 70 ℃, and a sample size of 0.5 ㎠ were suitable.", "abstract": "고분자 연료전지(PEMFC) 고분자막의 화학적 내구성을 평가하는데 Fenton 반응이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과산화수소와 철 이온의 격렬한 반응 때문에 재현성이 낮아 실험 데이터를 비교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Fenton 반응에 의한 고분자막 내구성 실험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응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과산화수소 농도는 30%로 고정시키고 철이온 농도와 온도, 교반속도, 시료크기를 변화시키며 라디칼에 열화된 Nafion 고분자막의 불소이온 농도를 측정했다. 철이온 농도를 높게하거나 고분자막 시료 크기를 크게하고, Fenton 반응 온도를 80 ℃로 높게하면 실험편차가 커져서 철이온 농도 10 ppm, 온도 70 ℃와 시료크기 0.5 ㎠가 적합하였다."} {"id": "JAKO202103440878968",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68.pdf", "abstract_en": "In this study, an augmented reality-based make-up tool was built to analyze the user's face shape based on face-type reference model data and to provide virtual makeup by providing face-type makeup. To analyze the face shape, first recognize the face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hen extract the features of the face contour area and use them as analysis properties. Next, the feature points of the extracted face contour area are normalized to compare with the contour area characteristics of each face reference model data. Face shape is predicted and analyzed using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feature points of the normalized contour area and the feature points of the each face-type reference model data. In augmented reality-based virtual makeup, in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the face is recognized in real time to extract the features of each area of the face. Through the face-type analysis process, you can check the results of virtual makeup by providing makeup that matches the analyzed face shape. Through the proposed system, We expect cosmetics consumers to check the makeup design that suits them and have a convenient and impact on their decision to purchase cosmetics. It will also help you create an attractive self-image by applying facial makeup to your virtual self.",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얼굴형 기준 모델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형을 분석하고 얼굴 형 메이크업을 제공하여 가상 메이크업을 제공하기 위해 증강 현실 기반 메이크업 도구를 구축하였다. 얼굴형을 분석하려면 먼저 카메라로 촬영 한 이미지에서 얼굴을 인식 한 다음 얼굴 윤곽 영역의 특징을 추출하여 분석 속성으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각 얼굴형 기준 모델 데이터의 윤곽 영역 특징과 비교하기 위해 추출된 얼굴 윤곽 영역의 특징점을 정규화한다. 얼굴 모양은 정규화된 윤곽 영역의 특징점과 각 얼굴형 기준 모델 데이터의 특징점 사이의 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예측 분석한다. 증강형실기반 가상메이크업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영상 입력에서는 영상에서 얼굴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얼굴 부위별 영역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얼굴형 분석처리과정을 통해 분석된 얼굴형에 따라 어울리는 메이크업을 제공하여 가상의 메이크업의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우리는 제안된 시스템을 통해 화장품 소비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어울리는 메이크업 디자인을 확인하여 화장품 구매 결정에 대한 편의 및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가상의 자아에 얼굴 메이크업을 적용함으로써 매력적인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id": "JAKO202103440878960",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60.pdf", "abstract_en": "This paper proposes a novel method of caching contents that can be encoded into multiple quality levels in device-to-device (D2D)-assisted caching network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aching schemes, the author allows caching fractions of an individual file and considers the self cache hit event, which the user can find the desired content in its device. The author analyzes the tradeoff between the quality of cached contents and the cache hit rate, and proposes the device caching method maximizing the expected quality that the user can enjoy. Depending on the paramet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and the file size, the optimal caching method can be obtained by solving the convex optimization problem and the DC programming problem. If the file size increases faster than the quality, the cached fractions of the contents continuously increase as the popularity grows. Meanwhile, if the file size increases slower than the quality, some of the high-popularity files are entirely cached but others are not cached at all.",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디바이스 캐싱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퀄리티의 콘텐츠를 캐싱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하나의 파일을 온전히 캐싱하는 기존 기술들과 다르게, 저자는 콘텐츠의 일부 조각을 캐싱하는 것을 허용하였고, 사용자가 스스로 캐시 히트를 달성할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캐싱하는 콘텐츠의 퀄리티와 캐시 히트율 간의 트레이드오프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소비하는 콘텐츠의 기대 퀄리티를 최대화하는 디바이스 캐싱 기법을 제안한다. 퀄리티와 파일 크기의 관계 파라미터에 따라 볼록 최적화 문제와 DC programming 문제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서 캐싱 문제를 풀어냈다. 퀄리티 증가 폭에 비해 파일 크기가 더 빠르게 증가하면, 인기도에 따라 캐싱할 콘텐츠의 부분 조각이 점차 증가하는 반면, 파일 크기가 더 느리게 증가하면, 일부 인기도가 높은 콘텐츠는 전체를 캐싱하고 그렇지 않은 콘텐츠는 아예 캐싱하지 않는 결과를 낸다."} {"id": "JAKO202103440879005",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9005.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I developed a scenario-based admission management virtual reality (SAM VR) content for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The SAM VR contents used in the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using Gear VR and smartphone according to the standard practical procedure suggested by the Korea A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nd Evaluation. In the 30 experimental groups who received practical training using SAM VR contents, learning flow, learning 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practical training (p",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학생 실습교육을 위해 시나리오 기반 입원관리 가상현실(Scenario-based Admission Management Virtual Reality, 이하 SAM VR) 콘텐츠를 개발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SAM VR 콘텐츠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표준실무 절차에 따라 기어 VR과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10분 분량으로 개발되었다. SAM VR 콘텐츠 활용한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 30명은 실습교육 후에 학습몰입감, 학습자신감 및 학습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했다(p"} {"id": "JAKO202103440878964",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64.pdf", "abstract_en": "Companies' efforts to find ways to reduce logistics costs for products and raw materials currently being brought in to produce products in all manufacturing processes are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and the recent global recession has made logistics management even more important. This development technology limits the development of IN/OUT Bound truck logistics and dock management optimization system in the factory, especially by using UHF 900Mhz RFID radio frequency technology.", "abstract": "현재 모든 제조공정에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입고되는 제품 및 원자재의 물류비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는 기업들의 노력은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이며, 최근 직면한 세계적인 불황으로 인해 물류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개발 기술은 TDMS는 특히 UHF 900Mhz RF-ID 무선 주파수 기술을 이용 자재 입고부터 완제품 출하까지의 공장 내 IN/OUT Bound 트럭 물류 및 DOCK 관리 최적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id": "JAKO202103440878981",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81.pdf", "abstract_en": "Recently, researches for military purposes such as precision tracking and mission completion using UAV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if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leading UAV is estimated and the mission UAV uses this information to follow in stealth and complete its mission, the speed of the posture information estimation of the guide UAV must be processed in real time. Until 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ccurately estimate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leading UAV using image processing and Kalman filters, but there has been a problem in processing speed due to the sequential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proces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way to improve processing speed by applying methods that the image processing area is limited to the ROI area including the object, not the entire area, and the continuous processing is distributed to OpenMP-based multi-threads and processed in parallel with thread synchronization to estimate attitude informa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real-time processing is possible by improving the processing speed by more than 45% compared to the basic processing, and thus the possibility of completing the mission can be increased by improving the tracking and estimating speed of the mission UAV.", "abstract": "최근 UAV를 활용하는 정밀 추적이나 임무완수 등의 군사 목적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앞서가는 유도 UAV의 자세 정보를 추정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임무 UAV가 스텔스로 따라가서 자신의 임무를 완수하는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도 UAV의 자세 정보 추정 속도를 실시간으로 처리 해야만 한다. 최근까지 영상처리와 칼만 필터를 사용해서 앞서가는 유도 UAV의 자세정보를 정밀하게 추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처리과정의 순차처리로 인해 처리속도에 있어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 처리에 있어 처리영역을 전체영역이 아닌 물체를 포함하는 ROI 영역으로 한정하고 또한 연속적인 처리 과정을 OpenMP 기반의 멀티스레드로 분배하고 스레드동기를 맞추어서 병렬 형태로 처리함으로써 자세정보 추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현 결과를 통해서 기본의 처리에 비해 45%이상 처리 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실시간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임무 UAV의 추적 기능 향상을 통한 임무 완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03440878997",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97.pdf", "abstract_en":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market orientation, patient satisfaction, and hospital image, and especially focuses on the effect of CEO's role on internal marketing at a loca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technique and 222 questionnaires excluding unreliable repl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r the hypothesis testing. SPSS 21.0 was used for the basic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using AMOS 21.0. Path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CEO positively affects internal marketing. Second, internal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market orientation, and leadership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internal marketing. Third, market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atient satisfaction and hospital image, which are non-financial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internal marketing plays a major role in improving market orientation, patient satisfaction, and hospital image, and it is identified that the activation of internal marketing depends on the support of CEO in hospitals.", "abstract": "본 연구는 내부마케팅, 시장지향, 환자만족, 병원이미지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특히 지역 국립대학 병원의 내부 마케팅에 대한 CEO의 역할의 영향에 초점을 둔다.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22개의 설문지가 가설 검정을 위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데이터의 기본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O의 역할은 내부마케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내부마케팅은 시장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리더십은 내부 마케팅의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다. 셋째, 시장지향성은 비재무적 조직성과인 환자만족과 병원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내부마케팅은 시장지향성 및 환자만족과 병원이미지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하며, 내부마케팅 활성화는 병원 CEO의 지원에 달려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id": "JAKO202103440878916", "publication_date": "2021.01.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03440878916.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a performance boost by parallelizing a purely functional bisimulation algorithm on a multicore processor machine. The key idea of this parallelization is exploiting the referential transparency of purely functional programs to minimize refactoring of the original implementation without any parallel constructs. Both original and parallel implementations are written in Haskell, a purely functional programming language. The change from the original program to the parallel program is minuscule, maintaining almost original structure of the program. Through benchmark, we show that the proposed parallelization doubles the performance of the bisimulation test compared to the original non-parallel implementation. We also shaw that similar performance boost is also possible for a memoized version of the bisimulation implementatio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순수 함수형 언어로 작성된 쌍방시뮬레이션 알고리듬의 성능을 멀티코어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병렬화로 향상시키는 방법을 연구한다. 이 병렬화에 있어 핵심 아이디어는 순수 함수형 프로그램의 참조 투명성을 십분 활용하면 병렬화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작성된 초기 구현으로부터 최소한의 수정만으로 성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초기 구현과 병렬화 구현 둘 다 순수 함수형 언어인 하스켈로 작성되었다. 초기 구현을 병렬화할 때 변화는 아주 적어서 병렬화된 구현에서도 초기 구현의 프로그램 구조가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다. 벤치마크를 통해 제시된 간단한 병렬화만으로도 초기 구현과 비교해 두 배 이상의 성능 개선을 확인했다. 또한, 병렬화와는 별개의 최적화 기법인 메모이제이션이 적용된 버전의 쌍방시뮬레이션 구현에도 같은 방식의 병렬화를 적용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JAKO202110463369969",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69.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implementation plan of the human resource pool recruitment system using private (permitted) blockchain. The term Human Resource has become commonly used and has come to recognize human resources as resources. Despite these changes, the use of human resource pools has been sluggish. Once entered, information is often not updated on a regular basis and does not provide sharing, searching, carrier management and anti-counterfeiting.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provide a human resource pool recruitment system that utilizes private (permitted) blockchain, we first used the blockchain network to enable sharing and searching of human resource pools, and to use keywords. Used to get results that meet certain conditions. Second, we added an institutional verification process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input data and prepared preventive measures in the non-technical part by utiliz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lockchain to prevent counterfeiting and alteration. Third,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that includes a Web UI so that each of the three groups can control the blockchain and the predefined processes and business logic.", "abstract": "본 논문은 프라이빗(허가형) 블록체인을 이용한 인적자원 풀(Pool) 채용 시스템의 구현 방안에 대해서 다룬다. 인적자원(Human Resource)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인력을 자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인적자원 풀의 활용은 부진하다. 한번 입력된 정보는 주기적으로 갱신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공유, 검색, 경력관리 그리고 위변조 방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빗(허가형) 블록체인을 활용한 인적자원 풀 채용시스템의 제안을 위해 첫 번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적자원 풀(Pool)의 공유와 검색을 가능하게 하였고, 키워드를 사용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입력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관의 검증 프로세스 추가와 위·변조 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의 구조적 특성 활용하여 기술 외적인 부분으로 방지 대책을 마련하였다. 세 번째, 블록체인과 사전에 정의된 프로세스와 비즈니스 로직을 3개의 그룹이 각각 제어할 수 있게 Web UI를 포함하는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id": "JAKO202110463370031",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31.pdf", "abstract_en": "With the continuing development of the global economy, the scale of international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companies is expanding rapidly nowadays. As a result,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for multinational companies to establish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for products in order to successfully enter overseas markets. When consumers evaluate the quality of products from various countries, they depend heavily on the image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price of the product. Therefore, this study aim to find out how the price, country image, brand image and country of origin image affect on consumer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concep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helping local companies make more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price and image of a product to companies and knowing more accurate recognition in Korea and Korean-made products of Chines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used AMOS model showed that 1) The country image and country of origin image for a product had a positive effects on product quality, 2) The price and country image of a product had a positive effects on service quality, 3) And evaluation of product had a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made some proposals and present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ccording to the limitations.", "abstract": "글로벌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오늘날 기업의 생산과 경영의 글로벌화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해외진출을 하기 위하여 해외 시장에 제품을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소비자들이 다양한 국가로부터의 제품의 질을 평가할 경우 제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제품의 이미지에도 많이 의존하므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가격과 이미지, 구체적으로는 국가 이미지, 브랜드 이미지, 원산지 이미지가 소비자의 제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 기업들에게 제품의 가격 및 이미지의 중요성과 향후 중국의 소비자들에게 보다 정확한 한국과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현지진출기업의 마케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AMOS 통계분석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제품에 대한 국가 이미지 및 원산지 이미지는 제품품질에 정의 영향을, 제품의 가격과 국가 이미지는 서비스품질에 정의 영향을, 그리고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평가로 제품품질 및 서비스품질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0463370012",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70012.pdf", "abstract_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martphone overdependence serves 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anxiety and school life adjustment to prevent and reduce problems of anxiety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seek alternatives to improve school life adjustment.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resented as a partial medium, showing the direct effect of anxiety directly affecting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anxiety on school life adjustment by mean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i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put forward for further stud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이 유의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문제를 예방 및 감소하고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부분 매개로 나타남으로써 직접효과인 불안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간접효과인 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함께 보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언급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d": "JAKO202110463369966", "publication_date": "2021.02.26",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0463369966.pdf", "abstract_en": "Recently, various technologies that use machine learning to classify malicious code have been studied.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achine learning, it is most important to extract properties to identify malicious codes and normal binar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use in machine learning using recursive methods. The proposed method selects the final feature using recursive methods for individual feature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 In detail, we use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best performing features among individual feature at each stage, and then combining the extracted features. We extract features with the proposed method and apply them to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Decision Tree, SVM, Random Forest, and KNN, to validate that machine learning performance improves as the steps continue.", "abstract": "최근 악성코드와 정상 바이너리를 분류하기 위해 기계학습을 이용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효과적인 기계학습을 위해서는 악성코드와 정상 바이너리를 식별하기 위한 Feature를 잘 추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귀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기계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Feature 추출 방법인 RFA(Recursive Feature Addition)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계학습의 성능을 극대화 하기 위해 개별 Feature를 대상으로 재귀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Feature Set을 선정한다. 세부적으로는 매 단계마다 개별 Feature 중 최고성능을 내는 Feature를 추출하여, 추출한 Feature를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Decision tree, SVM, Random forest, KNN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적용한 결과 단계가 지속될수록 기계학습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id": "JAKO202113855736087", "publication_date": "2021.04.29",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855736087.pdf", "abstract_en": "Because the growth of paddy rice is affected by meteorological factors,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eteorological variables is essential to build a rice yield prediction model. This paper examines the suitability of multiple meteorological datasets for the rice yield modeling in South Korea, 1996-2019, and a hindcast experiment for rice yield using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considering the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meteorological variables and the rice yield. In addition to the ASOS in-situ observations, we used CRU-JRA ver. 2.1 and ERA5 reanalysis. From the multiple meteorological datasets, we extracted the four common variables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solar radiation, and precipitation)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ata and the associations with rice yields. CRU-JRA ver. 2.1 showed an overall agreement with the other datasets. While relative humidity had a rare relationship with rice yields, solar radiation showed a somewhat high correlation with rice yields. Using the air temperature, solar radiation, and precipitation of July, August, and September, we built a random forest model for the hindcast experiments of rice yields. The model with CRU-JRA ver. 2.1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772. The solar radiation in the prediction model had the most significant importance among the variables,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ic agricultural knowledge. This paper has an implication for selecting from multiple meteorological datasets for rice yield modeling.", "abstract": "노지에서 재배되는 벼는 필연적으로 기상요소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벼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의 기상자료 확보 및 변수 선정은 벼 수확량 예측 모델링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6-2019년의 7월, 8월, 9월에 대하여, 다종의 기상자료 비교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벼 수확량 모델링에 대한 적합성을 살펴보고, 기상요소와 벼 수확량 사이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수확량 하인드캐스트 실험을 수행하고자 한다. 다종의 기상자료로는, 기상청 ASOS 지상관측과 함께, CRU-JRA ver. 2.1, ERA5 재분석장을 사용하였다. 이들 기상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월 단위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강수량 변수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각 자료의 특성 및 벼 수확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CRU-JRA ver. 2.1 재분석장은 전반적으로 타 자료와 높은 일치성을 나타냈으며, 변수별 특징을 보았을 때, 상대습도는 벼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었으나, 일사량은 벼 수확량과의 상관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월, 8월, 9월의 기온, 일사량, 강수량을 랜덤 포리스트 모델에 투입하여 벼 수확량 하인드캐스트 실험을 수행한 결과, CRU-JRA ver. 2.1 재분석장은 세 종류 기상자료 중에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CC = 0.772). 또한 예측 모델에서 변수의 중요도는 일사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기존의 농학적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는 벼 수확량 예측을 위한 다종 기상자료의 선택에 있어 하나의 합리적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써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id": "JAKO202111752549703", "publication_date": "2021.02.28",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1752549703.pdf", "abstract_en": "Based on Korea's Hydrogen Economy Activation Roadmap, an annual supply of 5.26 million tonnes of hydrogen is required by 2040. But if the hydrogen production from byproduct, extraction, and electrolysis of water is not able to meet the target which is 50% of total produc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portion of imported hydroge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cure a variety of sources for overseas production. In this technical report, hydrogen production/transportation policies, current condi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anada, a major supply candidate, is examined and an example of blue hydrogen project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realistic hydrogen supply method is introduced.", "abstract": "한국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의하면 2040년 526만톤의 연간 수소공급이 필요하며 이 중 해외 생산부분이 50%를 담당해야 할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부생, 추출, 수전해 방식의 수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해외 생산 비중이 당초 계획보다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국외 생산분에 대해 다양한 공급원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본 기술보고에서는 주요 공급후보국인 캐나다의 수소생산/수송 정책, 현황,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 가장 현실적인 수소공급 방법으로 여겨지는 블루수소 프로젝트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id": "JAKO202122949886992",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86992.pdf", "abstract_en": "Purpose: Ten years after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implemented, no more maintenance education has been provided, and those who have completed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re exempt from new employee education. As soon as possible, we will seek strategic measures to prevent unstable behavior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by legislating conservative education and new recruitment education. Method: In this study,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hich is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and human error, which is unstable behavior of new employees, and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iolation behavior were conducted through survey. Result: The survey analyzed that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new recruitment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uman factors of the disaster, Human Error, and the reduction of violations, and confirmed that continuous safety education could increase safety awareness. Conclusion: The insolvency of safety education shall be prevented by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remuneration of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new employees.", "abstract": "연구목적: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이 실시된 지 10년이 지난 지금 더 이상의 보수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으며,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한 사람은 신규채용자교육도 면제되고 있어서 안전교육이 부실화되고 있다. 조속히 보수교육과 신규채용자교육의 법제화로 불안전한 행동의 유발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건설안전교육인 기초안전보건교육과 신규채용자교육이 불안전한 행동인 Human Error와 위반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를 설문을 통한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조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과 신규채용자 교육이 재해의 인적 요소인 Human Error와 위반 행동 감소에 많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속적인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기초안전보건교육의 보수교육과 신규채용자 교육의 법 개정으로 안전교육의 부실화를 방지하여야 한다."} {"id": "JAKO202122949876990",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22949876990.pdf", "abstract_en": "Purpose: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in supply chain management, factor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 of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factors of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CMS) on management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ystematic risk management plan by deriving the risk factors of BCMS and evaluating unpredictable risks,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ing to a company's competitive advantage without interruption of work. Metho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isk assessment, risk manage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BCMS was derived.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124 managers and managers in Korean companies.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 First, risk assess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risk management. Second, risk manage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Finally, risk assess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Conclusion: BCMS's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capabilities should be managed through financial performance, and risk management activities should be managed through non-financial performance.", "abstract": "연구목적: 공급체인관리에서 다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요인을 분석하여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시스템(BCMS)의 위험평가와 위험관리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BCMS의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예측 불가능한 위험을 평가함으로써 체계적인 위험관리 방안을 구축함과 동시에 기업이 업무중단 없이 경쟁우위를 선점하도록 기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BCMS의 위험평가, 위험관리, 경영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서 124명의 우리나라 기업에 종사하는 책임자, 관리자를 상대로 설문을 조사하였다.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신뢰성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위험평가는 위험관리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위험관리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위험평가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 기업의 경영성과는 BCMS의 위험평가와 위험관리 역량은 재무적 성과를 통해서 관리하고 위험관리 활동은 비재무적 성과를 통해서 관리해야할 것이다."} {"id": "JAKO202116954540736", "publication_date": "2021.05.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6954540736.pdf", "abstract_en":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prototypes of \"smart stacking cones\" by combining ICT to evaluate and trai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dual task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impairment, and to identify the complementary point to the completion of the device through a usability test. Methods : This prototype comprised of a hardware and software system that enabled the evaluation and training of patients and the management of data obtained from patients' performance. Specific measurement variables were established so that patient performance could be measured correctly. Based on the measurement variables, a the prototype included a 'single task evaluation modes', 'dual task evaluation mode', 'single task training mode', and 'dual task training modes'. Additionally, a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clinical applica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prototype. Results :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 were generally found to be appropriate. The 'content adequacy' in the usability test was the area with the highest level of adequacy and the lowest level of inadequacy. Additionally, overall 'satisfaction' in the usability test was the area with the highest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levels. Hence, the overall satisfaction results were unstable. Conclusion :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e device by applying an upgraded smart stacking cone to an actual patient group.",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상지기능과 이중과제 수행능력의 평가 및 훈련을 위해 개발 중인 스마트 스태킹 콘을 시제품 단계까지 개발하여, 사용성을 파악하고 수정 및 보완점을 점검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ICT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스태킹 콘'의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평가 및 훈련으로부터 생성되는 피험자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회로 및 소프트웨어 기능을 설계하였다. 또한, 피험자의 수행을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체화된 측정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일과제 평가모드', '이중과제 평가모드', '단일과제 훈련모드', '이중과제 훈련모드'로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제품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과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사용성 평가 결과 개발된 시제품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특히, '콘텐츠 적절성' 영역은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응답된 영역이자 부적절 수준이 가장 저조하게 나타난 영역으로 확인되었고, '전반적 만족도' 영역은 매우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임과 동시에 부적절 수준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으로, 기기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기를 수정하여 완성한 후 실제 환자군에게 적용해봄으로써, 기기의 임상적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d": "JAKO20211315064420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50644206.pdf", "abstract_en": "As the number of existing road tunnels increases every year, collapse and floor heaving accidents occur frequently during construction. The collapse among tunnel accidents dominates, so that studies related to the floor heaving are relatively insufficient. Accordingly, many studies to reinforce the lower part of the tunnel have been conducted, but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curvature of the tunnel floor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upper analysis area height and the coefficient of lateral earth pressure of the tunnel located on a tuff deterioration zone with a large rock cover, as well as the floor curvature, were examined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turned out that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tunnel increases as the floor curvature increases, the coefficient of lateral earth pressure decreases, and the upper analysis region increases.", "abstract": "매년 기존 도로 터널의 개소 및 연장이 증가하는 만큼 시공 중 붕락 및 융기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터널 사고 중 붕괴가 주를 이루어 상대적으로 융기와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터널 하부를 보강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터널 바닥부 곡률에 대한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닥부 곡률은 물론이고, 토피가 큰 응회암 변질대에 위치한 터널의 상부 해석영역 높이 및 측압계수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민감도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해석 결과 전반적으로 바닥부 곡률이 커질수록, 측압계수가 작을수록, 상부 해석영역이 높을수록 터널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d": "JAKO202113150644225",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50644225.pdf", "abstract_en": "In general,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pillar of very near parallel tunnel (VNPT), and the pillar has been reinforced by using steel-wires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tunnel. However, since the strength of the pillar decreases in the soil layer, the reinforcing pillar with the steel-wires is insufficient for tunnel stability.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tunnel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inforcement effect for a new method, of which the pillar of VNPT is strengthened by using steel-pipes. As a result, against overburden stress,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teel-pipe reinforcement was 22% greater than that of the steel-wire reinforcement. In using the Particle Image Velocimetry metho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teel-pipe reinforcement forms a more favorable condition of which uniformly the overburden load acts on the VNPT and the pillar than the steel-wire reinforce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steel-pipe reinforcement is expected to bring a more positive effect on tunnel stability than the steel-wire reinforcement.", "abstract": "초근접 병렬터널의 필라부에는 응력이 집중되고, 기존에는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연선을 이용하여 필라부를 보강한다. 하지만 토사 지반에서는 필라부의 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필라부를 강연선으로 보강하는 것으로는 터널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근접 병렬터널의 필라부를 강관으로 보강하는 새로운 공법의 보강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내터널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부응력에 대한 필라부의 지지능력은 강관 보강하는 경우가 강연선 보강하는 경우보다 22% 큰 것으로 나타났다. Particle Image Velocimetry 기법을 이용한 분석결과 필라부 강관 보강은 강연선 보강보다 병렬터널과 필라부에 상재하중이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는 더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였다. 실험결과에 기반하여 필라부 강관보강공법은 강연선 보강공법보다 터널 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id": "JAKO202113150644216",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50644216.pdf", "abstract_en": "In general, segment lining tunnel refers to a tunnel formed by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egments as a ring and connecting such rings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As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segment lining is highly dependent on the behavior of the segment joints, thus correct modelling of joint behavior is crucial to understand and design the segment tunnel lining. When the tunnel is subjected to ground loads, the segment joint behaves like a hinge that resists rotation, and when the induced moment exceeds a certain limit of the rotation then it may enter into non-linear field. In understanding the effect of the segment joint on the lining behavior, a moment-rotation relationship of the segment joint was explored based on the Japanese practice and Janssen's approach commonly used in the actual design. This study also presents a method to determine the rotational stiffness of joint refer to the bearing strength. The rotation of the segment joint was estimated in virtual design conditions based on the existing models and the proposed method. And the sectional force of the segment lining and joint were calculated along with the estimated rotation. As the rotation at the segment joint increases, the joint contact area decreases, so the designer have to verify the segment joint for bearing strength as well. This paper suggests a consistent method to determine the rotational stiffness and bearing strength of joints.", "abstract": "일반적으로 세그먼트 라이닝 터널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링을 구성하고 터널의 진행방향으로 링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한 터널을 말한다. 세그먼트 라이닝의 구조적 특성은 세그먼트 이음부의 거동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이음부를 적절하게 모델링해야 한다. 지반 하중을 받을 때 세그먼트 이음부는 회전에 저항하는 힌지로 작동하며, 모멘트-회전 관계는 비선형 거동을 보인다. 세그먼트 이음부가 라이닝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제 설계에 통용되는 일본 기준 및 Janssen 모델을 적용하여 세그먼트 이음부의 모멘트-회전 관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지압강도를 기초로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강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가상의 설계조건에서 기존 모델 및 제시된 방법을 적용해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을 추정하고 세그먼트 라이닝과 이음부에서 발생하는 단면력을 계산하였다.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이 증가할수록 이음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므로 세그먼트 이음부의 지압강도를 확인해야 한다. 이 논문은 세그먼트 이음부의 지압강도를 검토하기 위해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강성을 결정하고 지압강도를 계산하는 일관된 방법을 제시하였다."} {"id": "CFKO20213075975861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58612.pdf", "abstract":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진행되면서 가상 현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화의 핵심 기술로 Digital twin과 Metaverse 기술의 중요성이 제고되고 있다. 현재 Metaverse를 사용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면서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미래에 Metaverse는 가상공간의 주류가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의 실감형 콘텐츠로 접근하고 있는 가상현실을 Digital twin을 기반한 Metaverse platform으로서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안한다.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하고 자유로운 이동, 회전을 통해 현실에서의 경험을 가상공간에서 이어갈 수 있는 Platform을 개발하였다."} {"id": "CFKO20213075970960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9602.pdf", "abstract": "최근 많은 단일 영상 초해상도 네트워크에서 입력 저 화질 영상 자체의 내부 정보를 테스트 타임에 이용하여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통해 높은 성능 향상을 이루어냈다. 본 원고에서는, 해당 방법에서 더 나아가 동영상 초해상도네트워크의 파라미터를 테스트 타임의 저 화질 영상만을 가지고 업데이트 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첫째로, 동영상 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반복되는 패치의 특성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기존의 복원된 동영상을 관찰하여 자기 지도 적응의 가능성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폭넓은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을 검증한다."} {"id": "CFKO20213075970160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1601.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조건부 wavenet을 이용한 음성 신호의 잡음 제거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음성 신호 잡음 제거 기술은 스펙트로그램을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잡음으로 인해 변형된 원음의 위상 정보를 복원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 영역에서 전 과정을 실행하는 기계학습 모델인 wavenet을 사용하여 음성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잡음 종류를 조건으로 입력하여 성능 향상을 얻도록 한다. 성능 평가를 통하여 제안 방법이 시간 영역에서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69459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94599.pdf", "abstract": "본 논문은 wavenet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의 대역폭을 확장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대역폭 확장은 주로 주파수 영역에서 진행되며, 확장 대역의 주파수 크기는 높은 성능으로 복원하지만 위상 정보를 정확히 복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wavenet 모델을 기반으로 시간 영역에서 저대역과 고대역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고대역 성분을 생성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모든 동작을 시간 영역에서 수행하며, 제안 방법으로 생성한 고대역 성분이 원음의 고대역 성분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75661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56612.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3D(dimensional) 스켈레톤을 이용하여 멀티 뷰 RGB-D 카메라를 캘리브레이션 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멀티 뷰 카메라를 캘리브레이션 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특징점이 필요하다. 우리는 다시점 카메라를 캘리브레이션 하기 위한 특징점으로 사람의 스켈레톤을 사용한다. 사람의 스켈레톤은 최신의 자세 추정(pose estimation)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는 자세 추정 알고리즘을 통해서 획득된 3D 스켈레톤의 관절 좌표를 특징점으로 사용하는 RGB-D 기반의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74761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47610.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재귀 신경망을 통해 동적 비전 센서 (DVS: Dynamic Vision Sensor)의 출력에서 엣지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동적 비전 센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카메라들과 달리 급격한 움직임이나 밝기 변화에 강인하게 동작한다. 그러나 동적 비전 센서에서 획득한 출력은 각각이 독립적이기 때문에 화소들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사용함에 어려움이 따른다. 제안하는 방법은 센서에서 획득한 출력을 일정한 시간단위로 분할하고 2차원 평면에 투영함으로써 출력의 정보량 및 상관관계를 향상시키고, 이를 재귀 신경망에 통과시켜 엣지 정보를 추정한다. 이 방법은 센서의 출력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학습하여 엣지를 잘 추출하였으며, 기존의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의 적용 및 시각 관성 측위 등의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id": "CFKO20213075968459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84597.pdf", "abstract": "X-ray 영상 검사·검출 문제에 기존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려는 시도들이 존재해왔고, 합성곱 신경망의 강력한 표현력 덕분에 대체로 준수한 성능이 보장되었다. 그러나 문제의 특성에 따라 기대한 만큼의 분류 및 검출 성능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는 1) 검출 대상의 스케일이 다양하거나, 2) X-ray 영상은 흑백 영상으로 미세한 특징을 학습하기 어렵거나, 3) 지도학습을 하기에는 학습 데이터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이 주요 원인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스케일의 특징맵을 추출하여 종합적으로 학습하는 신경망을 통해, '생선살 X-ray 영상' 데이터셋에서 '생선 가시' 이물질 class가 모델 내에서 어떻게 학습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X-ray 영상의 경우, 이물질 class를 크기별로 새롭게 labeling하여 성능 개선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Multi-scale CAM을 통해 class에 따른 활성화 정도를 시각화하여 모델을 직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id": "CFKO20213075977461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74618.pdf", "abstract": "이미지 초해상도는 영상 취득 과정에서 센서와 렌즈의 물리적인 한계 등으로 인하여 의해 화질이 저하된 이미지를 더 높은 배율로 복원하는 문제이다. 이미지 초해상도는 딥러닝을 통해 놀라운 성능향상을 이루었지만, 카메라로 촬영된 실제 이미지에서는 좋은 성능을 내지 못하였다. 이는 딥러닝에서는 'bicubic' 커널로 down-sampling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였던 것과 달리 실제 이미지에서는 'bicubic' 커널을 통한 화질 저하와는 다른 화질 저하, 즉 다른 커널을 통한 화질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이미지에 대한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정확한 커널 예측이 필요하다. 최근 주목받기 시작한 이미지 초해상도를 위한 커널 예측은 초해상도를 잘 시켜주는 커널을 직접 찾는 방법[10, 13]과 이미지의 분포와 커널을 통해 다운샘플된 이미지에 대한 분포를 일치시켜주면서 커널을 예측하는 방법[14]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러나 두 방법 모두 ill-posed problem 인 커널 예측 문제를 한 장의 이미지만으로 해결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에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두 장의 이미지를 활용한 이미지 화질 저하 커널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두 장의 이미지가 같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었으며 이때 이미지 화질 저하는 카메라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즉, 두 장의 이미지는 같은 커널을 통해 저하된 이미지라는 가정을 한다. 제안된 방법은 [14]에서처럼 이미지 분포를 기반으로 한 커널 예측을 진행하며, 이미지 초해상도를 진행하고자 하는 이미지 외에 참고 이미지 또한 같은 커널에서 화질 저하를 시켰을 때 본래의 이미지와 같은 분포에 있도록 학습을 진행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두 장의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더욱 정확하게 커널을 찾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두 장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방식이 한 장의 이미지만을 활용하는 기존의 최고 수준의 방법에 비해 합성된 다양한 커널 데이터셋[14]에서 약 0.17dB 성능 향상이 있었다."} {"id": "CFKO202130759724605",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24605.pdf", "abstract": "본 논문은 물체 검출(Object Detection)과 물체영역분할(Object Segmentation)의 CNN 추론 결과를 MPEG-7 서술자 이진화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원본과의 용량을 비교한다. 영상의 사용 목적에 따라 CNN 추론 결과를 압축하여 활용할 시 원본 영상 대비 용량을 측정하여 그 효율성을 판단하는 것이 목표이다. 물체 검출과 물체영역분할에 대한 추론 결과를 MPEG-7 서술자를 이용해 압축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원본 영상, CNN 추론 결과 파일, MPEG-7 서술자, MPEG-7 서술자 이진화 파일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MPEG-7 서술자를 이진화를 통한 표현 방식이 원본 영상 및 추론 결과 파일에 비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id": "CFKO20213075970760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7602.pdf", "abstract": "국내 이동통신은 4 세대(4G)에서 5 세대(5G)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으며 행정안전부는 기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5G 망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재난문자 길이의 확장, 송출 지역 세분화, 외국어 문자 지원 등을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포함하기 위해 국내외 표준화와 검증 시스템 구축이 준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5G 망으로 고도화된 긴급재난문자를 서비스하기 위해 요구되는 검증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검증할 리빙랩이 구축될 예정이다."} {"id": "CFKO20213075970460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4601.pdf", "abstract": "360 도 영상은 기존 미디어와 다른 몰입감을 제공하지만 HMD 기반 시청은 멀미, 신체적 불편함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시청 디바이스 보급 문제, 네트워크 대역의 문제, 단일 소스 다중 이용의 수요 등으로 일반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 수요도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360 도 영상의 일반 디스플레이 서비스를 위한 뷰포트 추출에 필요한 영상 내 객체의 동적 속성을 활용한 시각적 관심 지도 증강 기법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구조를 제시한다."} {"id": "CFKO20213075968959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89598.pdf", "abstract": "최근 영상 혹은 비디오를 이용한 신경망 기반 기술들이 활발히 응용되고 있으며, 신경망이 처리하는 임무도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신경망 임무의 다양성과 복잡성은 더욱 많은 비디오 데이터를 요구하기 때문에 비디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국제 표준화 단체인 MPEG 에서는 신경망 기계 소비에 적합한 비디오 부호화 표준 개발을 위해서 Video Coding for Machines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의 특징 맵 부호화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특징 맵 채널 간의 유사도가 높도록 특징맵 채널을 재배열하여 압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으로 VCM 의 OpenImages 데이터셋의 5000 개 검증 영상 중 임의 선택된 360 개 영상에 대해 부호화 효율을 평가한 결과, 객체 검출 임무의 정확도가 유지되면서 모든 양자화 값에 대해 화소당 비트수가 감소했으며, BD-rate 측면에서 2.07%의 부호화 이득을 얻었다."} {"id": "CFKO20213075975561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55612.pdf", "abstract": "최근 코로나시대의 비대면적 사회환경에서 원격 회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비대면 환경에서의 회의나 강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회의 참가자의 참여도와 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VR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격 회의, 강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어플리케이션은 양방향통신방식으로 설계 및 구성되었으며, Unit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사용자는 Oculus2 기기를 통하여 VR 환경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 {"id": "CFKO20213075976961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69617.pdf", "abstract": "실감 미디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품질의 실감 미디어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실감미디어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법 중 하나인 Multi View Stereo 는 깊이 영상 추정 및 해당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3 차원에 point cloud 를 생성하는 fusion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시점 영상의 깊이 영상을 정합하는 fusion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깊이 영상,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시점의 depth map 을 이용한 fusion 과정을 거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한 결과가 기존보다 개선됨을 보인다."} {"id": "CFKO20213075975161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51611.pdf", "abstract": "본 연구는 사전에 VR(virtual reality) 콘텐츠 상황을 제어함으로써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상 객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VR 환경에서 사용자와 가상 객체 간에 집는 상호작용(interaction)의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VR 콘텐츠에서 가상 객체를 집는 행위는 필수적이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호작용이다. 이때 VR 환경에서 가상 객체가 서로 가까이 위치해있는 경우 집는 상호작용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가상 객체에 적용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콘텐츠를 진행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전에 제어한 상황에 사용되는 가상 객체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 만족도 실험을 통해 거리만을 고려하는 기존 방식 대비 36.31%가 증가하였으며 상호작용이 더 정교하게 수행됨을 입증하였다."} {"id": "CFKO20213075978962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9621.pdf", "abstract": "최근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응용한 콘텐츠 개발이 활발하다. 증강현실 기술은 가상현실 기술과 다르게 현실세계와 컴퓨터 그래픽과의 융합을 토대로 개발된다. 때문에 증강현실은 현실감, 몰입감을 극대화 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과 컴퓨터 그래픽은 서로 다른 차원에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커검출 기법과 오차를 미리 계산해 출력 전에 반영해주는 방식이 제시되었지만 이는 사용자의 자유도 향상과 공간적인 제약을 최소화하기에 부담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한 증강현실 구현결과로서 사용자의 관절 정보를 증강현실 내 캐릭터의 관절과 맵핑한다. 이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캐릭터와 동기화함으로써 증강현실의 자유도와 몰입도를 향상시켰다. 제안된 증강현실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고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였다."} {"id": "CFKO20213075973760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37608.pdf", "abstract": "최근 딥 러닝 기법의 하나인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은 영상 잡음(Noise) 제거 분야에서 전통적인 기법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내고 있지만 학습하는 과정에서 영상 내 디테일한 부분이 손실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을 기반으로 영상 내 디테일 정보도 같이 학습하여 영상 디테일을 향상하는 잡음 제거 합성곱 신경망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디테일 향상 서브 네트워크(Detail Enhancement Subnetwork)와 영상 잡음 추출 서브 네트워크(Noise Extraction Subnetwork)를 이용하게 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알고리듬보다 디테일 손실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고 객관적 품질 평가인 PSNR(Peak Signal-to-Noise Ratio)와 주관적 품질 비교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가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73860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38608.pdf", "abstract": "본 논문은 눈 랜드마크 위치 검출과 시선 방향 벡터 추정이 하나의 딥러닝 네트워크로 통합된 시선 추정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Stacked Hourglass Network[1]를 백본(Backbone) 구조로 이용하며, 크게 랜드마크 검출기, 특징 맵 추출기, 시선 방향 추정기라는 세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랜드마크 검출기에서는 눈 랜드마크 50개 포인트의 좌표를 추정하며, 특징 맵 추출기에서는 시선 방향 추정을 위한 눈 이미지의 특징 맵을 생성한다. 그리고 시선 방향 추정기에서는 각 출력 결과를 조합하고 이를 통해 최종 시선 방향 벡터를 추정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UnityEyes[2] 데이터셋을 통해 생성된 가상의 합성 눈 이미지와 랜드마크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하였으며, 성능 평가는 실제 사람의 눈 이미지로 구성된 MPIIGaze[3] 데이터 셋을 이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시선 추정 오차는 0.0396 MSE(Mean Square Error)의 성능을 보였으며, 네트워크의 추정 속도는 42 FPS(Frame Per Second)를 나타내었다."} {"id": "CFKO20213075975361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53611.pdf", "abstract": "프레임 단위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반의 포인트 클라우드는 프레임 간 상관 관계가 높기 때문에 프레임 사이의 예측 기법을 사용하여 더 높은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MPEG의 G-PCC는 Inter-EM (Inter-Exploratory Model)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Inter-EM은 LiDAR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의 이러한 특성을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전역 및 지역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압축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이 중 전역 움직임은 LiDAR 센서가 장착된 차량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므로, 포인트 클라우드 내 모든 물체들이 동일한 움직임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LiDAR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는 포인트 클라우드 내 점들의 특성에 따라서 전역 움직임이 나타나는 양상이 다르다. 본 논문은 이러한 LiDAR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의 특성을 설명하고, LiDAR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압축 시 전역 움직임 압축을 위한 포인트 클라우드 분할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분할 방안을 활용한 전역 움직임 압축 시 기존 Inter-EM 대비 더 효율적인 압축이 가능하다."} {"id": "CFKO20213075975261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52611.pdf", "abstract": "최근 3차원 영상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3차원 영상에 대한 압축과 전송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IEC 산하 Moving Picture Expert Group(MPEG)에서는 기존의 2차원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고밀도 포인트 클라우드 압축하는 방안인 V-PCC와 3DoF+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방안인 MPEG Immersive Video(MIV)를 표준화 중에 있다. V-PCC와 MIV는 압축 방법의 유사성으로 인해 동일한 Volumetric Visual Video-based Coding(V3C) 형식으로 저장된다. 압축된 V3C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ISO based Media File Format(ISOBMFF) 캡슐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MPEG의 Carriage of V3C data 표준에 따라 V3C 데이터를 ISOBMFF로 캡슐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생성된 ISOBMFF 데이터를 V3C 데이터로 복원한 뒤, 디코딩 하여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729606",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29606.pdf", "abstract":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을 중심으로 시작된 4차 산업혁명은 최근 메타버스(Metaverse)시대로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가고 있다. 메타버스 시대의 핵심 기술인 VR(Virtual Reality)/AR(Augmented Reality)/MR(Mixed Reality)과 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나 글래스(glass) 장치들은 사용자에게 고품질 영상뿐만 아니라 3차원 공간에 대한 6DoF(Degrees of Freedom)급의 자유도를 제공해야 한다. 이에 발맞춰 MPEG에서는 최근 실사 및 CG(Computer Graphics)로 제작된 다시점 텍스쳐 및 깊이 영상에 대한 효과적인 압축 방법을 찾기 위한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화를 진행중이다. 본 논문은 최신 2차원 압축 표준인 VVC(Verstitle Video Coding)를 기반으로 MPEG MIV 1.0 표준 프레임워크를 검증해본다. 특히 높은 압축율에 비해 복잡도가 높은 VVC 표준의 특성을 고려하여 HHI에서 개발한 최적화 코덱인 VVenC를 이용하여 압축 효율과 복잡도 관점에서 MIV 표준 활용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찾고자 한다."} {"id": "CFKO20213075969760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97600.pdf", "abstract": "최근 기계 임무수행에 사용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함에 따라 기계를 위한 효율적인 영상 압축방식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기존의 비디오 코덱은 HVS (Human Visual System) 특성을 고려한 기술이기 때문에 부호화 과정에서 기계 임무수행에 필요하지 않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반면 심층신경망 기반 압축네트워크의 경우, 원본 영상으로부터 기계 임무수행에 필수적인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부호화 하도록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압축 심층신경망과 기계 임무수행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VCM (Video Coding for Machine)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학습에 의한 압축효율 향상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압축 심층신경망을 객체탐지 임무수행 네트워크와 함께 학습시킨 결과, VVC (Versatile Video Coding) 대비 평균 61.16%의 BD-rate 감소가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된 압축 심층신경망은 객체분할 임무수행에서도 VVC 대비 평균 58.43%의 BD-rate 감소를 보여 다중 기계 임무의 효율적 수행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CFKO20213075969960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99600.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3D 데이터 시퀀스의 압축을 진행한다. 3D 데이터 시퀀스의 각 프레임에서 Pose Estimation을 통해 3D Skeleton을 추출한 뒤, 포인트 클라우드를 skeleton에 묶는 리깅 과정을 거치고, 다음 프레임과 같은 자세로 deformation을 진행한다. 다음 프레임과 같은 자세로 변형된 포인트 클라우드와 실제 다음 프레임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비교하여, 두 데이터에 모두 있는 점, 실제 다음 프레임에만 있는 점, deformation한 데이터에만 있는 점으로 분류한다. 두 데이터에 모두 있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두 분류의 점들을 저장함으로써 3D 시퀀스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id": "CFKO20213075973260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32607.pdf", "abstract": "최근 딥러닝 기술에 발전으로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자동차, 감시,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계를 위한 영상 압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열 적외선 영상에서 기계 소비를 위한 객체 기반 압축 기법을 제안한다. 신경망의 객체 탐지 결과와 객체 크기에 따라 이미지를 객체 부분과 배경 부분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압축률로 인/디코딩 한 후, 나눠진 이미지들 다시 하나의 이미지로 합치는 기법을 사용하여 압축하였으며, 이는 압축효율은 높이면서 객체 탐지 성능을 높게 유지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Pareto mAP에서 BD-rate가 -28.92%로 FLIR anchor 결과와 비교했을 때 압축효율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d": "CFKO20213075978762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7620.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VVC(Versatile Video Coding)의 색차 채널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모드 중 하나인 CCLM (Cross-Component Linear Model) 모드의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CCLM 모드는 예측과정에서 대응 휘도 영역의 화소로만 색차 블록의 예측자를 생성하기 때문에 현재 색차 블록과 그 주변의 참조 화소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참조 화소를 사용하는 예측 모드를 유도하여 예측자를 생성한 후 기존 CCLM 을 통해 생성된 예측자와 가중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문제점을 극복하고 부호화 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고자 한다.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은 기존 VVC 방법 대비 BDBR 측면에서 Y(0.10%), Cb(-0.22%), Cr(-0.22%)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d": "CFKO20213075968559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85598.pdf", "abstract": "Fisheye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일반 영상보다 넓은 시야각을 갖는 장점으로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fisheye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어안렌즈의 곡률로 인하여 영상의 중앙 부분은 팽창되고 외곽 부분은 축소되는 방사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영상을 활용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방사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기존 영상처리 분야에서는 렌즈의 곡률을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보정하기도 하지만 이는 각각의 렌즈마다 왜곡 파라미터를 추정해야 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GT (Ground Truth) 영상이 필요하다는 제한 사항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렌즈의 종류마다 GT 영상을 필요로 하는 기존 기술의 제한 사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fisheye 영상만을 입력으로 하여 왜곡계수를 계산하는 딥러닝 네트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단일 왜곡계수를 왜곡모델로 활용함으로써 layer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경량화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68259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82597.pdf", "abstract": "2019 발생한 COVID-19로 인하여 전 세계 사람들의 여가 활동이 제한되면서 건강관리를 위해 홈 트레이닝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컴퓨팅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의 행동을 눈으로 직접 판단했던 작업을 컴퓨터가 키포인트 탐지를 통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Azure Kinect를 이용하여 촬영한 RGB 이미지와 Depth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키포인트를 추정한다. RGB 이미지는 2D 키포인트 탐지기를 이용하여 2차원 공간에서의 좌표를 탐지한다. 앞서 탐지한 2D 좌표를 Depth 이미지에 투영하여 추출한 3D 키포인트의 깊이 값을 이용하여 3D 키포인트 탐지에 대한 연구 개발하였다."} {"id": "CFKO20213075968759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87598.pdf", "abstract": "딥러닝 기술과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신경망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비디오 코덱 부분에서도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는 부호화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 완료된 VVC 에 채택된 신경망 기반의 기술인 MIP(Matrix Weighted Intra Prediction)를 확장하여 보다 깊은 계층의 모델로 학습된 새로운 화면내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VVC 의 MIP 의 성능과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 MIP 모델과 제안하는 다중완전연결계층(Fully Connected Layer) 화면내 예측 모델을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제안기법은 VVC MIP 대비 0.08 BD-rate 성능 향상을 보였다."} {"id": "CFKO20213075978862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8621.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기존 AHDRNet에 channel attention 기법을 적용했을 때 성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기존 모델의 병합 망에 존재하는 DRDB(Dilated Residual Dense Block) 사이, 그리고 DRDB 내의 확장된 합성곱 레이어 (dilated convolutional layer) 뒤에 또다른 합성곱 레이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channel atten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데이터셋은 Kalantari의 데이터셋을 사용하였으며, PSNR(Peak Signal-to-Noise Ratio)로 비교해본 결과 기존의 AHDRNet의 PSNR은 42.1656이며, 제안된 모델의 PSNR은 42.8135로 더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78362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3620.pdf", "abstract":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에 접속하는 사용자 수와 그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렇게 늘어나는 많은 비디오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딥 러닝 기법을 많이 활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데이터에 딥 러닝 모델을 학습할 때 컴퓨터 자원의 한계로 인해 전체 비디오 프레임에서 균등한 간격 또는 무작위로 프레임을 선택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학습에 사용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항상 시간 축에 따라 같은 문맥을 담고 있는 Trimmed 비디오라고 가정할 수가 없다. 만약 같지 않은 문맥을 지닌 Untrimmed 비디오에서 균등한 간격 또는 무작위로 프레임을 선택해서 사용하게 된다면 비디오의 범주와 관련이 없는 프레임이 샘플링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모델의 학습 및 최적화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각 비디오 프레임에서 심층 특징을 추출하여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와 각 추출된 심층특징들과 코사인 유사도를 계산해서 얻은 유사도 점수를 바탕으로 Untrimmed 비디오에서 의미 있는 비디오 프레임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Untrimmed 비디오로 구성된 데이터셋으로 유명한 ActivityNet 데이터셋에 대해서 대표적인 2가지 프레임 샘플링 방식(균등한 간격, 무작위)과 비교하여 우리가 제안하는 기법이 Untrimmed 비디오에서 효과적으로 비디오의 범주에 해당하는 의미 있는 프레임 추출이 가능함을 보일 것이다. 우리가 실험에 사용한 코드는 https://github.com/titania7777/VideoFrameSampler에서 확인할 수 있다."} {"id": "CFKO20213075978662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6620.pdf", "abstract": "증강현실이나 자율 주행, 드론 등의 기술에서 현재 위치와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카메라 자세 추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장 일반적인 방식인 연속적인 단안 영상으로부터 카메라 자세를 추정하는 방식은 두 영상의 정적 객체 간에 견고한 특징점 매칭이 이루어져야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영상들은 다양한 이동 객체가 존재하는 동적 환경이므로 정적 객체만의 매칭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이 같은 동적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경망 기반의 객체 분할 기법으로 영상 속 객체를 추출하고, 객체별 특징점 매칭 및 자세 추정 결과로 정적 객체를 특정해 매칭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정적 객체 특정 방식에 적합한 신경망 기반 특징점 추출 방법을 사용하면 동적 환경에 보다 강인한 카메라 자세 추정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id": "CFKO202130759765616",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65616.pdf", "abstract": "현재 세계 모바일 App 시장에서는 메신저 서비스가 꾸준히 인기를 이어가고 있으며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 또한 월간이용자수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App들이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자체 채팅 서비스를 도입하거나 외부 메신저 App을 연동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 IT 기업의 경우 자체 개발 인력 및 인프라를 마련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외부 메신저 App 연동 시 이탈 역효과의 단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은 중·소 IT 기업에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STOMP 프로토콜 활용 자체 메신저 App 서비스를 개발하려 한다. 본 논문을 통해 App 자체에서 메신저 기능을 손쉽게 도입해 이용자 이탈율 최소화를 기대한다."} {"id": "CFKO20213075978462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4620.pdf", "abstract": "인물의 행동 및 이동을 인식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사람의 행동을 파악하여 니즈를 예상하고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행동을 예측하여 범죄나 폭력을 예방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이동과 현재 위치 정보만으로 인물의 행동을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사람의 이동과 행동을 인식하기 위해 Kinect v2가 제공하는 관절 정보와 YOLOv3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람의 행동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id": "CFKO202130759718604",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8604.pdf", "abstract":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에서는 딥러닝을 포함한 머신 비전과 관련하여 Video for machines 란 이름의 새로운 부호화 표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VCM 에서는 기존의 비디오 부호화와 달리 머신을 기준으로 한 비디오 부호화를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적대적 공격 모델을 이용하여 VCM 부호화에 대해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적대적 공격 모델 관점에서 비디오 부호화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고려한 부호화 개발 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id": "CFKO20213075975061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50611.pdf", "abstract": "영상에 새로운 광원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광원을 변경하여 영상 내 오브젝트들에 적용된 조명을 변경하는 것을 영상 기반 재조명이라 한다. 하지만, 영상에는 재조명을 위해 필요한 광원과 오브젝트들의 3차원 기하 정보가 부재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상으로부터 재조명에 필요한 요소들을 추정하는 접근법을 취한다. 오브젝트 표면의 노말과 알베도는 조명의 주 요소이지만 광원에는 독립적이므로 새로운 광원에 대한 재조명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상으로부터 노말맵과 알베도맵을 추정한 뒤, 이를 이용하여 영상 기반 렌더링하는 영상 재조명 방법을 제안한다. 조건부 적대적 생성망을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 렌더링된 3차원 오브젝트 영상들과 그에 대응하는 노말맵, 알베도맵을 이용해 학습함으로써, 임의의 영상에 대한 노말맵과 알베도맵 추정기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추정된 노말맵과 알베도맵은 3차원 공간상에서 새로운 광원에 대해 렌더링됨으로써 재조명 영상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영상 기반으로 재조명된 영상과 ground truth와의 비교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유효함을 확인한다."} {"id": "CFKO20213075978562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5620.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기술인 VVC (Versatile Video Coding)의 색차 성분 화면 내 예측 기술인 DM (Derived Mode) 가 분할 구조가 이중 트리일 때 색차 블록에 대응하는 휘도 블록을 선택하는 기존 방식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색차 블록에 대응하는 휘도 영역 내 휘도 블록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하나의 색차 블록에 대응하는 휘도 영역 내에 평균적으로 4.408 개의 휘도 블록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DM 을 통한 부호화 시 대응하는 휘도 영역 내 복수개의 휘도 블록을 고려하여, 유도되는 최적의 예측 모드를 잘 선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d": "CFKO20213075971060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0602.pdf", "abstract": "본 논문은 RGB 영상 데이터셋의 일부만을 지도학습하여(Sparsely-supervised learning) Annotation 되지 않은 영상에 대해 손-객체의 3D 포즈를 복원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손-객체의 포즈에 해당하는 6DoF 만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한다. 이와 달리, 본 논문에서는 정확도 향상을 위해 복원된 결과를 동일한 입력 영상 내에서 비교 가능하도록 3D 모델로 복원한 결과를 입력 영상의 마스크로 만들어 학습에 반영하였다. 구체적으로 추정된 포즈로 만들어낸 마스크를 입력 영상에 적용한 결과와 Ground-truth 포즈를 적용한 영상을 학습 시에 손실 함수에 반영하였다.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해당 방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보다 3D 매쉬 오차가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 "CFKO202130759768616",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68616.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시각-관성 측위시스템(Visual-Inertial Odometry, VIO)에서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활용해 문자의 영역을 찾아내고, 그 위치를 기억해 측위시스템에서 다시 인식되었을 때 비교하기 위해 위치와 특징점을 저장하고자 한다. 먼저,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카메라의 영상에서 문자를 찾아내고,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문자가 인식된 위치와 특징점을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저장된 문자가 다시 탐색되었을 때, 문자가 재인식되었는 지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인공적인 마커나 미리 학습된 객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황에 따른 문자를 사용하는 이 방법은 문자가 존재하는 범용적인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id": "CFKO20213075974661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46610.pdf", "abstract": "최근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등 산업계의 요구가 높아지고, 아울러 스마트홈,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와 같은 사물인터넷을 근간으로 하는 상용화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현실 세계의 센서와 구동기의 연결을 통해 사물들을 통한 현실세계 인식 및 제어에 초점을 맞추어 왔던 기존 사물인터넷 기술에서 이제는 사물 간 자율협업을 통한 문제 해결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미디어사물인터넷 국제표준인 MPEG-IoMT의 아키텍처 및 유스케이스를 통해 미디어사물의 자율협업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전달하려 한다."} {"id": "CFKO20213075977661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76618.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정보와 시공간 주의 정보를 심층신경망을 이용하여 함께 활용한 행동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RGB 영상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기존 방법과 달리 제안하는 방법은 움직임 정보를 입력으로 사용하여 시간적 특징 및 시공간 주의 정보를 추출하고, RGB 영상에서 추출한 공간적 특징에 시공간 주의 정보를 고려하게 하여 행동 인식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실험 결과를 통해 행동 분류 정확도 및 연산 효율성이 기존 신경망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id": "CFKO202130759763615",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63615.pdf", "abstract": "최근 지상파 UHD 방송에서는 자막을 비디오 패킷에 삽입하여 전달하는 기존 방식이 아닌 별도의 전송로로 전달하는 폐쇄형 자막(closed caption)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자막에는 문자 뿐만 아니라 이미지까지 포함하여 청각장애인의 프로그램 이해도를 높이는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 내용의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상파 UHD 방송에서 기존의 문자 자막과 움직이는 이미지 자막(=감정표현 자막)을 송출하여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송출시스템을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728606",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28606.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Wave-U-Net 기반의 오디오 부호화 성능 향상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인공지능 기반 오디오 부호화 기술은 오디오의 주파수 정보를 복원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완전한 복원을 위해서 주파수의 위상 정보를 별도로 부호화하여 전송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부호화의 성능 향상을 위해 음원의 주파수 분석을 필요로 하지 않은 end-to-end 모델인 Wave-U-Net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Wave-U-Net을 사용한 음원이 사용 전의 음원보다 객관적, 주관적 평가 지표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73160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31607.pdf", "abstract": "Versatile Video Coding(VVC)에서 동영상 압축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화면 간 예측(inter prediction) 기법 중에 적응적 움직임 벡터 해상도(Adaptive motion vector resolution, 이하 AMVR) 기술이 채택되었다. 다만 AMVR을 위해서는 다양한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테스트해야 하는 부호화 복잡도를 야기하였다. AMVR의 부호화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가벼운 신경망 모델 기반의 AMVR 조기 판별 기법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상황을 미리 조기에 인지하여 대응한다면 나머지 AMVR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에 부호화 복잡도의 향상을 볼 수 있다."} {"id": "CFKO202130759727606",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27606.pdf", "abstract": "물리 시뮬레이션 기반의 캐릭터 동작 제어 문제를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해결해 나가는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문제를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풀 때,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연구도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뤄지지 않았던 상태 표현 방식에 따른 강화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root attached frame, root aligned frame, projected aligned frame 3 가지 좌표계를 정의하였고, 이에 대해 표현된 상태를 이용하여 강화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로, 동역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캐릭터 관절의 위치, 각도에 따라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id": "CFKO20213075974060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40609.pdf", "abstract": "재난문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며 인터넷망을 통해 포털에서도 제공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경보 전달 채널들을 CAP 메시지를 기반으로 통합하여 운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대비하여 CAP 메시지와 인터넷 포털 경보 서비스 규격을 연동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메시지의 정보, 메시지 내용, 수신 지역 정보 등에 대한 CAP 메시지와 인터넷 포털 경보 서비스의 연동규격을 제시하였다."} {"id": "CFKO20213075973960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39608.pdf",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문자와 미국 WEA의 법령과 표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국내 재난문자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상위법으로 두는 법령이 있으나 기술적 내용은 대부분 민간 표준단체(TTA)의 표준으로만 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사는 의무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법적 근거가 없다. 한편, 미국은 WEA 연방 규칙에서 기술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사는 의무적으로 해당 내용을 준수해야 한다. 이에, 국내는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기종별로 재난문자 서비스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 {"id": "CFKO20213075973460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34607.pdf", "abstract": "영상 잡음 제거는 잡음으로 저하된 영상으로부터 잡음 없는 영상을 복원하는 기술이다. 최근 영상 처리에 딥러닝을 사용한 학습 기반 방법 중 저수준 컴퓨터 비전 분야에 고수준 영상 정보를 활용하는 접근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고수준 영상 정보인 영상 분할 지도를 활용하여 영상 속 가산 백색 잡음 제거 연구를 진행하였다. 잔차 연결을 활용한 구조의 인공신경망 모델에 잡음 영상, 잡음 수준 지도, 영상 분할 지도를 입력으로 넣어 고수준 영상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인공신경망을 Outdoor Scene Dataset과 CBSD68 Dataset에 대해 확인해본 결과, PSNR과 인지적인 측면에서 DnCNN과 FFDNet보다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77361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73617.pdf", "abstract": "얼굴 검증 기술은 출입통제 시스템이나 모바일 기기에서의 열람 또는 금융 서비스 등 보안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활용되고 있다. 최근 얼굴 검증 분야에서 높은 성능 향상을 보인 대부분의 검증 모델은 깊은 네트워크를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매우 큰 컴퓨팅 파워를 요구한다. 따라서 해당 모델들을 실환경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델 경량화 기술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얼굴 검증 연구에서 경량화 기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해당 연구는 이제까지 잘 다뤄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주요 얼굴 검증 모델에 대해서 지식 증류 기술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경량화 기술 적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id": "CFKO202130759716604",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6604.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수중에서 선박 하부에 붙은 오손생물(fouling organism)을 탐지하고 격자지도(grid map)로 나타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소나(sound navigation and ranging: SONAR) 센서와 오손생물사이의 시간 데이터를 수집한 후, 라즈베리 파이 4(raspberry pi 4)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해 격자지도에 맵핑(mapping)함으로써, 선저하부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지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박 하부에 붙은 오손생물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id": "CFKO20213075978261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2619.pdf", "abstract": "포인트 클라우드는 3 차원 물체를 표현하기 위한 점들의 집합으로, 동적인 3 차원 데이터를 정밀하게 획득할 수 있기에 이의 효율적인 압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 3D DCT(3D 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한 동적 객체의 포인트 클라우드 압축 방식은 Inter 프레임 압축을 고려하지 않아 압축시의 데이터 압축률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3D DCT 를 이용한 움직임 예측을 통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영상의 I 프레임 및 P 프레임을 압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73060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30607.pdf", "abstract":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는 실제 환경 및 물체를 3 차원 위치정보를 갖는 점들과 그에 대응하는 색상 등을 획득하여 기록한 실감 콘텐츠이다. 위치와 색상 정보로만 이뤄진 3 차원 점으로 이뤄진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는 확대하여 렌더링 할 경우 점과 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발생하는 구멍에 의해 콘텐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포인트 클라우드 확대 시 점들 간 간격이 벌어져 생기는 구멍에 대해 깊이정보를 활용한 역변환 기반 보간 방법을 통해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벌어진 간격들 사이에서 빈 공간을 찾을 때 그 사이로 뒷면의 점들이 그려지게 되어 보간 방법을 적용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멍이 발생하지 않은 시점에서 렌더링 된 영상을 사용하여 포인트 클라우드의 뒷면에 해당되는 점들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깊이 맵(depth map)을 추출한 후 추출된 깊이 값을 사용하여 뎁스 에지(depth edge)를 구하고 에지를 사용하여 깊이 불연속 부분에 대해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뎁스 값을 활용하여 이전에 찾은 구멍들의 역변환을 하여 원본의 데이터에서 픽셀을 추출한다. 제안하는 방법으로 콘텐츠를 렌더링 한 결과, 기존의 크기를 늘려 빈 영역을 채우는 방법에 비해 렌더링 품질이 평균 PSNR 측면에서 2.9 dB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id": "CFKO202130759721605",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21605.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과다 노출된 영상을 영상 간 변환(Image-to-Image Translation)을 위해 설계된 적대적 생성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을 활용하여 복원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과다 노출 복원을 위한 기존의 연구에서 과다 노출 영역 판별, 밝기 회복, 색상 보정 과정을 거치는데, 영상 내 과다 노출 영역을 판별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결정하는 파라미터에 의해 복원된 영상 결과가 달라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종단간(End-to-End) 신경망을 학습시켜 과다 노출 영역을 별도의 파라미터 선택과 분할된 과정 없이 한 번에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 간 변환 신경망 학습에 필요한 과다 노출 여부로 도메인이 분할된 데이터셋은 게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만들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망이 생성한 영상이 실제로 과다 노출 영역을 탐지하여 복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과다 노출 영역을 탐지하여 복원하는 과정을 학습 단계별로 확인함으로써 신경망이 실제로 과다 노출 복원 과정을 학습함을 보였다."} {"id": "CFKO202130759719604",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9604.pdf", "abstract": "본 논문은 Detectron2 [1]에서 지원하는 객체 검출 임무 수행 네트워크의 과정 중에서 추출한 피쳐 맵을 신경망 기반으로 압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신경 망 기반 영상 압축을 지원하는 공개 소프트웨어인 CompressAI [2] 모델 중 하나인 bmshj2018-hyperprior 의 압축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임무 수행 네트워크의 과정 중 스탬 레이어(stem layer)에서 추출된 피쳐 맵을 압축하도록 학습시켰다. 또한, 압축 네트워크의 입력 피쳐 맵의 너비와 높이 크기가 64 의 배수가 되도록 객체 검출 네트워크의 입력 영상 보간 값을 조정하는 방법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신경망 기반 피쳐 맵 압축 방법은 피쳐 맵을 최근 표준이 완료된 차세대 압축 표준 방법인 VVC(Versatile Video Coding, [3])로 압축한 결과에 비해 큰 성능 향상을 보이고, VCM 앵커와 유사한 성능을 보인다."} {"id": "CFKO202130759713603",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3603.pdf", "abstract": "지상파 방송에서 재난방송 기술이 진화되고 있다. 하지만 재난방송 정책은 진화된 기술을 제도화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이 재난방송 정책 변화를 줄 수 있는 다섯 가지 요소에서 정책과 기술이 어떤 간극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현재 '재난방송 및 민방위경보방송의 실시에 관한 기준'은 신규 기술에 대한 규정을 담기 부족하다. 따라서 재난경보 방송을 구체화하고 재난경보 메시지와 재난방송 수신환경과 수신기에 대한 기술적 규격을 제도화하기 위한 가칭 '재난방송 기술기준'을 시급히 마련하여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id": "CFKO20213075975461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54612.pdf", "abstract": "MPEG-IoMT 표준은 미디어 사물과 관련된 데이터 포맷 및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국제 표준 프로젝트로서 여러 플랫폼에서도 다양한 미디어 사물을 등록, 연결 및 통신을 할 수 있게 제공한다. 하지만 현재로서 다수의 미디어 사물 간 연결 수립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행해야 하며, 연결이 되었다 하더라도 미디어 사물 간 데이터 통신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단이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PEG-IoMT 표준 내 미디어 사물 관리자(Media Thing Manager)를 제안한다. 미디어 사물 관리자는 미디어 사물 간 자동 연결을 위해 미션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하며, API 를 통해 미디어 사물 간 통신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d": "CFKO20213075973660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36608.pdf", "abstract": "최근 언택트 시대에 프리랜서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재능거래 플랫폼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재능거래 플랫폼은 판매 금액의 일정 부분을 중개 수수료로 책정하여 수익을 올리는데, 서버-클라이언트 모델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서버 운영비용이 발생하여 수수료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분산저장파일시스템(IPFS)을 활용한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 분산앱(dApp)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거래 정보 같은 가벼운 데이터는 블록에 올리고 블록체인에 올릴 수 없는 대용량 데이터는 IPFS에 분산 저장 후 파일 주솟값인 CID 값을 블록체인에 올려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운영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722605",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22605.pdf", "abstract": "전세계적으로 우울증은 정신 건강 질환으로써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의 우울증 탐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AI 스피커를 사용한 어텐션 메커니즘(Attention Mechanism) 기반 멀티모달 우울증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AI 스피커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과 BiLSTM(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를 통해 각 데이터에서의 학습을 진행한다. 학습과정에서 Self-Attention 을 적용하여 특징 벡터에 추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는 어텐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최종적으로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에서 어텐션 가중치가 추가된 특징들을 합하여 SoftMax 를 통해 우울증 점수를 예측한다."} {"id": "CFKO202130759720604",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20604.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자막방송 제공을 위해 방송콘텐츠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잔차 합성곱 순환신경망 기반 음향 사건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잔차 합성곱 신경망과 순환 신경망을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신경망의 입력 특징으로는 멜-필터벵크 특징을 활용하고, 잔차 합성곱 신경망은 하나의 스템 블록과 5개의 잔차 합성곱 신경망으로 구성된다. 잔차 합성곱 신경망은 잔차 학습으로 구성된 합성곱 신경망과 기존의 합성곱 신경망 대비 특징맵의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해 합성곱 블록 주의 모듈로 구성한다. 추출된 특징맵은 순환 신경망에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음향 사건 종류와 시간정보를 추출하는 완전연결층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활용한다. 제안된 모델 훈련을 위해 라벨링되지 않는 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평균 교사 모델을 기반으로 훈련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평가를 위해 DCASE 2020 챌린지 Task 4 데이터 셋을 활용하였으며, 성능 평가 결과 46.8%의 이벤트 단위의 F1-score를 얻을 수 있었다."} {"id": "CFKO20213075969259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92599.pdf", "abstract": "MPEG 비디오 그룹은 제한된 3D 공간 내에서 움직임 시차(motion parallax)를 제공하면서 원하는 시점(view)을 렌더링(rendering)하기 위한 표준으로 TMIV(Test Model for Immersive Video)라는 테스트 모델과 함께 효율적인 몰입형 비디오의 부호화를 위한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몰입감 있는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시점 비디오가 필요하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비디오를 고효율로 압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TMIV 는 여러 개의 입력 시점 비디오를 소수의 아틀라스(atlas) 비디오로 변환하여 부호화되는 화소수를 줄이게 된다. 아틀라스는 선택된 소수의 기본 시점(basic view) 비디오와 기본 시점으로부터 합성할 수 없는 나머지 추가 시점(additional view) 비디오의 영역들을 패치(patch)로 만들어 패킹(packing)한 비디오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틀라스 비디오의 보다 효율적인 부호화를 위해서 패치 내에 생기는 작은 홀(hole)들을 채우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은 기존 TMIV8.0 에 비해 1.2%의 BD-rate 이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 {"id": "CFKO20213075970260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2601.pdf", "abstract": "기존 영상 콘텐츠에 새로운 물체를 삽입하는 등의 영상 재구성 기술은 새로운 게임, 가상현실,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데이터 증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기술은 컴퓨터 그래픽스, 사람에 의한 수동적인 영상 편집에 의존하고 있어 금전적/시간적 비용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신경망을 활용하여 낮은 비용으로 영상을 재구성하는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콘텐츠와 삽입하고자 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이 주어졌을 때, 객체 세그먼테이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입력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고, 스타일 변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입력 영상을 스타일 변환한 후, 사용자 입력과 두 네트워크의 결과를 활용하여 기존 콘텐츠에 새로운 객체를 삽입하는 것이다. 실험에서는 기존 콘텐츠는 온라인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삽입 객체를 포함한 영상은 ImageNet 영상 분류 데이터 세트를 활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면 기존 콘텐츠와 잘 어우러지게끔 객체를 삽입할 수 있음을 보인다."} {"id": "CFKO20213075969059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90598.pdf", "abstract": "미디어 기술은 사용자가 더욱 몰입감을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기존의 2D 이미지에 비해 깊이감을 느낄 수 있는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등 3D 공간 데이터를 활용하는 미디어가 주목을 받고 있다. 포인트 클라우드는 수많은 3차원 좌표를 가진 여러 개의 점들로 구성된 데이터 형식이므로 각각의 점들에 대한 좌표 및 색상 정보를 사용하여 3D 미디어를 표현한다. 고정된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2D 이미지와 다르게 포인트 클라우드는 포인트의 개수에 따라 용량이 유동적이며, 이를 기존의 비디오 코덱을 사용하여 압축하기 위해 국제 표준기구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는 Video-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V-PCC)을 제정하였다. V-PCC는 3D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직교 평면 벡터를 이용하여 2D 패치로 분해하고 이러한 패치를 2D 이미지에 배치한 다음 기존의 2D 비디오 코덱을 사용하여 압축한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설명한 2D 패치 이미지에 super resolution network를 적용함으로써 3D 포인트 클라우드의 성능 향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79262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92621.pdf", "abstract":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은 대표적인 몰입형 미디어 기술로써, 컴퓨터 등을 통해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한 특정 환경,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VR 기술은 비교적 간단한 장비를 착용한 것만으로 가상 세계에 구현된 모든 공간을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체적 불편하더라도 손쉽게 유명 관광 명소를 여행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작전지역을 가상 세계에 반영함으로써, 가상 세계에서 안전한 군사 훈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활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상 세계의 배경 정보가 실제 세계의 모습과 흡사한 실사 그래픽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사 그래픽을 제작하는 것은 제작 난이도가 높고 제작비용이 비싸다는 제한 사항으로 인하여 실사 그래픽을 바탕으로 한 VR 콘텐츠의 수는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반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한 단일 영상 또는 다시점 영상을 통해서 Point Cloud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 세계의 배경 정보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d": "CFKO20213075977561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75618.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2D 이미지를 입력으로 받는 3D 모델러 결과를 이용한 피부 반사 및 투과 요소를 조절한 데이터 셋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고화질 얼굴 이미지로 된 Flickr-Faces-HQ 데이터셋을 이용해 3D 모델러의 결과인 3 차원 얼굴 모델과 텍스처를 추출해 이를 이용해 피부 반사 및 투과 요소를 조절한 2D 영상 생성 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피부 반사 요소를 조절하기 위해 여러 조명과 카메라로 이루어진 라이트 스테이지 (light stage)와 같은 환경 없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동시에 피부 투과 요소 측정 장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원하는 조건을 설정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과 데이터셋을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73560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35608.pdf", "abstract": "최근 기후 변화와 사회적 위험 요인이 결합된 복합 재난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재난문자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LTE 기반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시스템의 한계가 있으며, 단순한 정보 전달의 기능만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5G 이동 통신 서비스가 상용화 되면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도화된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리빙랩을 설계한다."} {"id": "CFKO20213075978161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1619.pdf", "abstract": "시청자의 시점 위치를 선택하여 360VR 콘텐츠를 경험하는 다중시점 또는 자유시점 360VR 콘텐츠의 전송은 매우 높은 대역폭을 소비하게 된다. 특히 다중 사용자가 존재하는 셀룰러 환경에서는 특정 사용자에게 한정된 대역폭만을 할당할 수 있으므로 불가피하게 전송 품질 악화 또는 전송 지연을 겪게 된다. 다중시점(multi-viewpoint) 360VR 콘텐츠의 경우 시청자가 시점의 위치를 변경하면 해당 위치의 콘텐츠를 전송하므로, 한정된 대역폭이 주어지는 통신환경에서 시점을 이동할 때 마다 큰 전송 지연을 겪게되어 사용자 경험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시점 360 비디오에서 시점 변경을 시도할 때 전송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주변 위치의 영상을 적절히 Pre-Loading 하는 전송방식을 고려하고, 실질적인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시점 변환에 따른 지연시간 성능을 분석하였다. 특정 수준 이하로 지연시간을 낮추기 위해서는 사용자 이동패턴에 대한 적절한 예측 기법이 요구되며, 정확도에 따른 지연시간 감소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77061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70617.pdf", "abstract": "기존의 이미지 분리 및 합성 과정은 전문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이미지로부터 사물이나 환경을 분리하거나 합성하여 이루어져 왔으며 생산되는 이미지의 양에서 일반 사용자가 생성하는 이미지의 비중이 높음에도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인원만이 기존 이미지를 분리하고 합성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량의 기존 이미지 내 요소를 손쉽게 분리, 합성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데이터 구조와 이를 활용하여 이미지 합성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는 object segmentation 을 기반으로 이미지의 각 요소를 분리하고 계층화 하여 이루어지며 이미지 합성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분리된 이미지의 속성을 메타데이터로 함께 표기하여 다량의 기존 이미지에서 필요로 하는 이미지 요소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리된 이미지 요소의 속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논의한다. 결과적으로 위 제안은 기존 이미지 요소를 분리, 합성하기 위해 필요한 장벽을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여 더 많은 사용자들이 이미지 합성에 참여할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CFKO20213075977261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72617.pdf", "abstract": "최근 팬데믹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서 온라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생체 신호를 이용한 로그인 시스템이나 자동 출결관리 시스템의 개발 또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체 정보 중 얼굴을 이용하여 산업에서 도입 가능한 수준까지 얼굴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자 한다. 우리는 성능향상을 위해 먼저 얼굴인식 시스템에서 성능 저하원인인 영상 속 얼굴 위치 및 각도 변화를 해결하고자 정면 얼굴 Capture 방법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는 FRR 오류가 발생하면 추가적으로 정면얼굴을 추출하여 개인 인증을 다시 시도방법을 제안하였다. 검증을 위해 얼굴인식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사도 기반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여 제안한 성능향상 방법을 적용, 실험 하였으며 420명의 Database를 구축하고 2주 동안 99개의 비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제 산업에서 도입 가능한 환경과 유사하게 구축해 우리의 제안 방법을 테스트 및 검증하였다."} {"id": "CFKO20213075970660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6602.pdf", "abstract": "최근 가상현실 및 증강 현실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깊이 추정, 객체 인식, 영상 분할 등의 다양한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360° 영상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다수의 RGB 카메라를 활용하여 3 차원 정보를 추출하는 깊이 추정 기술은 보다 나은 몰입감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다. 그러나 깊이 추정 알고리즘의 객관적 성능 평가를 위한 정제된 360° 영상 데이터셋은 극히 부족하며, 이로 인하여 관련 분야 연구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관적인 알고리즘 성능 평가가 가능하며, 정제된 360° 동영상 데이터셋을 제안하고, 추후 다양한 360° 영상 응용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id": "CFKO202130759712603",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2603.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단안비디오 입력으로부터 각 SAI(sub-aperture image)간의 넓은 기준선을 갖는 라이트필드 합성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라이트필드 영상은 취득의 어려움에 의해 규모가 작고 특정 물체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컴퓨터 비전 및 그래픽스 분야의 최신 딥러닝 기법들을 라이트필드 분야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실적 렌더링 기반의 가상환경상에서 실제환경과 유사함을 갖는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생성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기존의 새로운 시점을 생성하는 기법 중 하나인 다중 평면 영상(Multi Plane Image) 기반 합성기법을 통해 라이트필드 영상을 합성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단안비디오의 연속된 두개의 프레임으로부터 MPI 추정하는 네트워크와 입력영상의 깊이 정보를 추정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id": "CFKO202130759711603",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1603.pdf", "abstract": "디지털 홀로그램(digital hologram, DH)은 2차원 데이터에 3차원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세대 영상 콘텐츠이다. 따라서 이 콘텐츠의 유통을 위해서는 그 지적재산권이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딥러닝 기반 DH의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워터마크의 비가시성, 공격에 대한 강인성, 워터마크 추출 시 호스트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blind 워터마킹 방법이다. 이 네트워크는 고주파 성분이 강한 DH의 특성을 감안하여 호스트 데이터를 축소하지 않고 워터마크 데이터를 확장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또한 홀로그램의 복원성능을 위한 학습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다양한 종류와 강도의 공격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을 보인다."} {"id": "CFKO20213075970360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3601.pdf", "abstract": "본 연구는 딥러닝 기반의 복원 모델을 사용하여, 비디오 압축을 통해 변질된 위상 홀로그램의 화질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압축 효율을 위해 위상 홀로그램의 해상도를 감소시킨 후 압축한다. 원래의 해상도로 되돌린 홀로그램을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복원한다. 복원된 위상 홀로그램은 원본 홀로그램을 압축한 것보다 동일한 BPP에서 더 높은 PSNR을 보인다."} {"id": "CFKO20213075970560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5601.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머신 러닝 (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x, y, z 세 축의 가속도계 측정 값을 이용하여 5 가지 유산소 운동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는 운동 데이터 각 샘플 마다 운동을 분류한 개별 판단, 판단된 데이터 샘플을 그룹 지어 판단하는 다수결 판단, 각 데이터 샘플의 분류하여 확률을 결합하는 확률 누적 판단이 있으며 이를 적용하여 5 가지 유산소 운동을 분류하고 성능을 비교한다."} {"id": "CFKO20213075969359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93599.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VVC(Versatile Video Coding) 부호화 시간 감소를 위해 ISP(Intra Sub-Partition) 모드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ISP 모드 적용을 위한 RDO(Rate-Distortion Optimization) 탐색을 수행할 때 현재 블록의 모양에 따라 특정 ISP 모드 방향을 사전에 제한하여 RDO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부호화 시간을 단축한다. 실험 결과, 기존 VVC 방법 대비 BDBR(Bjøntegaard Delta Bit Rate) 측면에서 AI(All Intra) 구성하에 Y 채널에서 0.01%, Cb, Cr 채널에서 각각 -0.04%, -0.08% 변화로 2%의 부호화 시간 감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d": "CFKO20213075974460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44609.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저화질의 구작 콘텐츠를 고품질로 변환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변환 시스템에 대한 구조 및 설계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우선 저화질의 콘텐츠를 고품질로 변환하기 위한 핵심요소기술에 대하여 정의하고, 이러한 요소기술이 적용된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의 구조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에 기반하여 각각의 요소기술이 효율적으로 결합된 통합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상용화 수준의 솔루션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id": "CFKO20213075974360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43609.pdf", "abstract": "지상파 UHD 방송은 2017년 세계 최초로 본방송이 시작되었고 2018년 평창 올림픽과 러시아 월드컵을 지상파 UHD 방송으로 중계하면서 성장해 왔다. 그런데 최근 급변하는 미디어 기술과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미디어 시장이 요동치며 미디어 이용 플랫폼과 콘텐츠 그리고 미디어 이용 기기별 사용 시간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017년 본 방송 이후 지상파 UHD 방송에 대한 시청자들의 이용 실태 및 인식 변화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됐다. UHD KOREA와 KBS 공영미디어 연구소는 UHD 방송에 대한 인지도와 시청의향, TV 크기의 변화, TV와 인터넷 연결 여부 등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시청자의 미디어 이용 형태를 공동으로 조사했다. 그리고 지상파 UHD 방송의 추가 서비스의 선호도와 선호 콘텐츠, OTT 이용 여부 등에 대하여도 분석했다. 지상파 UHD 방송은 고화질, 다채널, 모바일, 재난방송, 양방향 서비스 등 ATSC 3.0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향후 지상파 UHD 방송 및 미디어 정책의 수립과 추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d": "CFKO20213075970060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0600.pdf", "abstract": "딥러닝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술은 GPU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인하여 소프트웨어 기반 처리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였고 기존 패턴 분석 기술 대비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 PC나 특정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영상분석기술은 적용분야의 한계가 발생하였다. 신경망 기술을 하드웨어로 구현한 NPU(Network processing unit)의 개발로 고가의 플랫폼이 아닌 임베디드 플랫폼에서의 딥러닝 구현이 가능해졌다. 반면에 하드웨어에서 활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제한적임으로 인하여 구현 가능한 딥러닝 모델의 크기, 메모리 등의 한계가 있으며 시시각각 변하는 딥러닝 기술에 기반한 최신모델 또는 고성능 모델을 구동하기에는 한계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istillation 기법을 적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에 기반한 딥러닝 모델의 구현 및 상황에 따른 가변적 딥러닝 모델의 적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id": "CFKO20213075974561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45610.pdf", "abstract": "인간 자세 추정 연구는 최근 크게 주목 받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본 연구는 또한, 자기 지도 학습이라고 명명된 딥러닝 기법이 부상하면서 여러 문제가 해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딥러닝 기반 인간 자세 추정 방법들을 유형별로 분류해본다. 그리고 각 분류별 설명과 함께 대표적인 방법들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본 연구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다."} {"id": "CFKO202130759762613",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62613.pdf", "abstract": "모션 전이 기법은 주어진 모션 시퀀스를 타겟 대상의 움직임에 적용하는 기법이다. 사실적인 모션 전이를 위해서는 소스와 타겟 휴먼의 포즈, 형태 및 카메라 정보를 기반으로 한 모션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최근 3 차원 인체 모델링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 SMPL 을 이용하여 정교한 모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한 모션 전이를 수행 할 수 있는 기법을 보인다. 소스와 타겟의 SMPL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모션 정보를 나타내고 이를 통해 encoder 로부터 추출된 특징 맵을 변형하여 모션 전이를 수행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정성, 정량적 분석을 보이고 휴먼 모션 전이 기법에 대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id": "CFKO20213075977961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79619.pdf", "abstract":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비대면 회의, 비대면 강의, 비대면 과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에 따라 가상공간을 활용한 활동 또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가상공간에서 인물들 사이 원활한 소통 및 현실감을 위해서는 실사적인 인물묘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실제 인물의 헤어스타일과 유사한 헤어스타일을 자연스럽게 증강시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사적인 아바타 생성을 위한 헤어스타일의 분류 및 탐색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와 K-means clustering 을 통해 헤어스타일에 대한 군집화를 진행한다. 그리고 Shape Indexed features를 이용하여 군집화 된 결과로부터 제일 유사한 헤어스타일 탐색방법을 제안하고 그 효용을 입증하였다."} {"id": "CFKO202130759723605",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23605.pdf", "abstract": "본문에서는 TMIV 에서 비디오 코덱으로 사용되고 있는 HEVC 를 MV(Multiview)-HEVC 로 대체한 실험결과를 소개하고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틀라스 생성 구조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푸루닝(pruning)된 패치를 패킹한 아틀라스 영상으로 구성된 MIV 앵커(anchor)에 MV-HEVC 를 적용하는 구조, 소스 시점영상으로부터 선택된 기본 시점영상으로만 패킹한 아틀라스 영상으로 구성된 MIV view 앵커에 적용하는 구조를 실험한다. 이와 더불어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된 기본시점 영상을 패킹함에 있어서 2 개의 아틀라스영상에 걸쳐 가장 인접한 시점을 배치하는 아틀라스 영상 구조를 제안한다. 실험결과, 기존의 MIV 앵커에 MV-HEVC 를 적용하면 성능 개선이 거의 없으며, MIV view 앵커와 제안한 MIV view 앵커의 아틀라스영상 구조에 MV-HEVC 를 적용하면 객관적인 성능이 최대로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d": "CFKO20213075970860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08602.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에서 주로 적용되어 왔던 푸아송 디스크 샘플링(Poisson Disk Sampling)을 3차원 영상 모델링에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샘플링 기법은 3차원 영상 센서의 핵심 기술로 사용되는 라이다 센서를 활용해 수집한 PointCloud가 특정 위치로 뭉쳐지는 클러스터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하게 분포하게 할 뿐 아니라 영상의 노이즈도 제거한다. Intel의 라이다 센서 L515와 Apple의 태블릿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추출한 PointCloud를 Poisson Disk Sampling 과정을 거쳐 Mesh를 생성하고 이를 SLAM 기법으로 추출한 경우와 비교한다. PointCloud의 수를 줄였을 때 더 좋은 Mesh를 생성할 수 있다."} {"id": "CFKO202130759715603",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5603.pdf", "abstract": "영상 스티칭은 다수의 영상을 넓은 시야각을 갖는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사용자들에게 몰입감과 현장감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영상에 시차(Parallax)가 존재하는 경우 스티칭된 영상에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칭 영상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는 시차로 인한 왜곡을 최소화하여 자연스러운 스티칭 영상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호모그래피 추정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스트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seam 기반 스티칭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단순히 작은 특징값을 따라 생성된 seam은 사물 영역 정보가 반영되지 않아 seam이 특징이 있는 부분을 지나가면서 시차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MegaDepth를 활용한 depth 예측 정보를 에너지 함수 기반의 seam 생성 행렬의 가중치로 사용하여 seam이 사물을 피해 생성되면서 시차가 작은 영역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seam optimization 기법을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766616",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66616.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IM-OFDM-SS(index modulat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th spread spectrum)와 IM-OFDM-QOS(IM-OFDM with quasi-orthogonal sequence) 시스템을 위한 2 단계 검출 (2-stage detection)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IM-OFDM-SS/QOS 시스템은 전송할 수열의 인덱스(index)와 변조심볼(modulation symbol)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며, 수신기(receiver)에서는 인덱스와 변조 심볼을 결합하여 동시에 검출하는 최대 우도(maximum-likelihood) 검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덱스를 먼저 검출하고, 검출한 인덱스에 대한 변조 심볼을 이어서 검출하는 2 단계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M-OFDM-QOS 시스템에 2 단계 검출 방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수열을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2 단계 검출 방법의 한계를 논의한다."} {"id": "CFKO202130759717604",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7604.pdf", "abstract": "최근, 딥러닝 및 인공신경망 기술의 발전으로 비디오 부호화 분야에서도 인공지능을 이용한 요소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변 참조샘플로부터 문맥정보를 이용하여 현재블록을 예측하는 CNN 기반의 화면내 예측 모델을 구현하고, 비디오 부호화의 블록 분할 구조를 반영한 학습 기법에 따른 부호화 성능을 분석한다. 실험결과 HM(HEVC Test Model)에 구현한 문맥적응적 신경망 기반 예측 모델에서 트리 분할 구조를 반영한 학습이 HM16.19 대비 0.35% BD-rate 부호화 성능 향상을 보였다."} {"id": "CFKO20213075977761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77618.pdf", "abstract": "LiDAR 장비 및 SfM 과 MVS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point cloud 와 mesh 에는 항상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선 노이즈와 edge 를 효과적으로 구분해낼 수 있어야 한다.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mesh 로부터 edge 를 먼저 구분해낸 후 edge 에 해당하는 영역과 평면에 해당하는 영역에 서로 다른 필터를 사용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강한 노이즈가 포함된 mesh 에서는 edge를 잘 구분해내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mesh 로부터 edge 를 구분해내는 알고리즘의 성능이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체 알고리즘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강한 노이즈에서도 edge 를 잘 구분해낼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CA 와 graph-cut 을 이용하여 강한 노이즈가 포함된 mesh 에서 edge 영역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749611",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49611.pdf", "abstract": "포인트 클라우드는 특정 개체 혹은 장면을 다수의 3 차원 포인터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데이터의 표현 방식 중 하나로 3D 데이터를 정밀하게 수집하고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압축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국제 표준화 단체인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에서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효율적인 압축 방법 중 하나로 Video based Point Cloud Compression(V-PCC)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였다. V-PCC 는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를 Occupancy, Geometry, Texture 와 같은 다수의 2D 영상으로 변환하고 각 2D 영상을 전통적인 2D 비디오 코덱을 활용하여 압축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V-PCC 에서 변환하는 Occupancy 의 정보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Texture 영상을 압축할 수 있은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제안방법이 V-PCC 에서 약 1%의 부호화 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id": "CFKO20213075974260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42609.pdf", "abstract": "최근 지상파 UHD 방송에서는 자막을 비디오 패킷에 삽입하여 전달하는 기존 방식이 아닌 별도의 전송로로 전달하는 폐쇄형 자막(closed caption)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자막에는 문자 뿐만 아니라 이미지까지 포함하여 청각장애인의 프로그램 이해도를 높이는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 내용의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상파 UHD 방송에서 기존의 문자 자막과 움직이는 이미지 자막(=감정표현 자막)을 수신하여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수신시스템을 제안한다."} {"id": "CFKO202130759764616",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64616.pdf", "abstract": "단일 이미지 초해상도는 딥러닝의 발전과 함께 놀라운 성능 향상이 이루어 졌다. 이러한 딥러닝 모델은 매우 많은 파라미터를 갖고 있어 많은 연산량과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경량화 시키려는 연구도 지속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Stochastic Weight Averaging (SW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메모리와 연산을 추가해 이미지 초해상도 모델의 성능을 높이고 안정적인 학습을 달성하였다. SWA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델은 그렇지 않은 모델에 비해 테스트셋에서 최대 0.13dB 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id": "CFKO20213075975961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59612.pdf", "abstract": "최근 영상의 활용도의 증가에 따라, 비정형 영상 데이터에 대한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디지털 영상을 획득할 시에 처리/압축/저장/전송/재생산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왜곡을 수반하게 되며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영상의 품질은 활용 결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품질이 저하된 영상은 분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사람이 수신된 모든 영상에 대해서 직접 분류를 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람이 인지하는 주관적인 영상 품질 평가와 유사하게 품질에 대한 평가를 위한 왜곡영상의 특징정보를 검출 및 분석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 방법은 사람이 영상을 인지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요소인 색상에 대한 선명도, 블러와 노이즈에 대한 특징정보를 이용한다. 검출된 특징정보를 공간 도메인으로 변환함으로써 왜곡 영상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IQA 데이터베이스인 LIVE를 이용하였으며, 원본영상 및 5가지 유형의 왜곡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결과 품질이 좋은 영상과 왜곡영상에 대한 특성을 검출할 수 있었다."} {"id": "CFKO202130759780619",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80619.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지식 증류 (knowledge distillation) 기법을 적용한 얼굴 초해상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최근 얼굴 복원 분야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준 얼굴 영역의 딕셔너리 (dictionary) 정보를 사용한 모델을 선생 모델로 선정하여 적대적 (adversarial) 지식 증류 기법을 통해 효율적인 학생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은 테스트시 얼굴의 사전 정보가 초래하는 추가적인 비용이 필요 없는 얼굴 초해상화 방법을 제시하고, 제안하는 기법과 다양한 기존 초해상화 기법과의 정량적, 정성적 비교를 통해 우수성을 보인다."} {"id": "CFKO20213075977161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71617.pdf", "abstract_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inactive region padding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Inactive region is an area that has no information, such as 360 or 3DOF+ vidoes. However, these inactive regions degrade the compression performance in general. To improve the compression performance, simple filtering is applied between active and inactive regions. But it does not ful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In the proposed method, inactive regions are padded through reinforcement learning that can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and the compression proces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i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padding method.",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비활성 영역 패딩하여 동영상 압축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비활성 영역이란 360 영상 혹은 3DOF+ 영상의 예시와 같이 영상 내에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비활성 영역은 일반적으로 영상의 압축 성능을 제한한다. 기존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활성 영역과 비활성 영역의 경계부분을 필터링하여 압축 성능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영상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게 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영상의 특성과 압축 과정을 고려한 강화학습을 통해서 패딩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id": "CFKO20213075979362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93622.pdf", "abstract": "증강현실은 현실 공간에 가상의 객체를 합성한 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기술 발전이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 사용자에게 현실을 기반으로 생성된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 정교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술로 생성된 합성 영상이 정교한 영상임을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기존의 머신 러닝 기반의 이미지 분류 모델들로 합성 이미지 예측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한다."} {"id": "CFKO20213075968659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86598.pdf", "abstract": "최근 자동화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얼굴 표정 인식 분야(face expression recognition)가 인공지능과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인공신경망에서 요구되었던 고성능 GPU 환경과 높은 연산량을 극복하고자 모델 경량화(Light weighted Model) 기법을 적용하여 드론 및 모바일 기기에서 적용될 수 있는 얼굴 표정 인식 신경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미세한 얼굴의 표정 인식을 위한 방법으로, 입력 이미지의 receptive field 를 늘려 특징 맵의 표현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효과적인 신경망의 경량화를 위하여, 파라미터의 연산량을 줄일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네트워크를 적용하면 많은 연산량과 느린 연산속도로 인해 제한되었던 네트워크 환경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AV(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 및 모바일 기기에서 신경망을 이용한 실시간 얼굴 표정 인식을 할 수 있다."} {"id": "CFKO202130759696600",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96600.pdf", "abstract": "오디오 대역 확장 기술은 저 해상도의 오디오 신호를 고 해상도의 오디오 신호로 복원 또는 생성해 내는 기술이다. 이와 관련하여 오디오 코덱에서는 고 대역 오디오 신호의 저 비트 부호화를 위해 사람이 청각이 둔감하게 인지하는 고 대역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 실제 신호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지 않고, 코딩 되어 전송된 저 대역 신호와 고 대역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합성하는 스펙트럼 대역 복제 기술이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 예측 기반의 주파수 대역 복제 방법을 통해 추가 정보를 활용한 오디오 대역 확장을 수행하고 신경망 기반의 오디오 신호 개선을 통해 복제된 신호의 개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평가는 MPEG 에서 코덱 평가용으로 사용되는 테스트 시퀀스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오디오 대역 확장 기술 대비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714603",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14603.pdf", "abstract": "지상파 방송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폐쇄자막(closed caption)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이를 저장하여 VOD 서비스 등에 제공하고자 할 때는 영상과의 비동기화(desynchronization) 문제로 인해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음성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과, 자막 동기화 문제에 맞게 변경된 동적계획법(modified dynamic programming)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문자열 정렬에서 삽입과 삭제 등 간격(gap)의 발생을 제어하는 제약조건과 그에 따른 점수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문자열 정렬 성능을 개선한다. 또한 정렬된 폐쇄자막과 음성인식 문자열로부터 시간 동기정보를 복원하고 동기화된 자막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TV 프로그램과 자막에 적용하여 기존 방법에 비해 성능의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d": "CFKO202130759794622",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94622.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얼굴 인식을 이용하여 실시간 360 공간 Classroom 과 실시간을 기반으로 한 가상 360 공간 Classroom 을 제안한다. MTCNN 을 이용한 얼굴 검출 및 Inception Resnet V1 모델을 이용한 딥러닝 기법을 통해 얼굴인식을 진행하고 HSV 색공간 기반의 화자 판별, 아바타 Rendering, 출석 체크 등을 진행한다. 이후 시각화를 위해 제작한 Web UI/UX 를 통해 사용자에게 현실과 가상 공간을 넘나드는 Twin Classroom 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화상 교육 플랫폼에서 보다 개선되고 생동감 있는 Classroom 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id": "CFKO202130759688598",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88598.pdf", "abstract": "근래에 메타버스가 크게 주목을 받으면서 VR 영상의 퀄리티가 중요해졌다. VR 실사 영상의 경우 HMD 로 시청할 때 모노 및 스테레오 환경으로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하지만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경우 제작자가 스테레오스코픽으로 촬영하지 않으면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RVS 를 Client 단에서 활용하여 제공하는 방식을 고려, 모든 장치에서 스테레오스코픽을 시청할 수 있는 웹 플랫폼을 aframe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PC HMD 등 HMD 에서 웹 플랫폼 접근 시 생기는 제한을 해결하는 방법도 같이 서술한다."} {"id": "CFKO202130759683597",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683597.pdf", "abstract":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수신 RSSI 신호는 다중경로 페이딩, 주변 신호의 간섭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불규칙한 잡음이 섞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실내 환경에서의 측정을 통해 RSSI 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한다. 또한, RSSI 신호의 잡음을 완화시켜서 효과적으로 실내 측위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모색해 본다."} {"id": "CFKO202130759726606", "publication_date": "2021.06.23",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2130759726606.pdf",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시간축 정보량을 감축하여 오디오 부호화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다. 시간축 정보량 감축 방법은 종전의 오디오 코덱에서도 활용되었던 대표적인 기술로 TNS(temporal noise shaping) 기술이 있다. 그러나 TNS 기술은 오디오 신호의 천이구간에서 선별적으로 유효하게 동작하며 그 효율성도 간헐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에서 예측 과정을 수행하는 구조적인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종전의 TNS 기술의 취약점을 보완한 ITES(intensive temporal envelope shaping) 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술은 TNS 보다 유효한 오디오 시간영역 정보량을 예측하고 감축하였으며, 개선된 음질을 나타냄을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여 검증하였다."} {"id": "JAKO202113150644211", "publication_date": "2021.03.31", "pdf_url":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13150644211.pdf", "abstract_en": "For the construction of a large underground space with a complex plant install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ability considering the ground conditions and various load conditions. In this paper,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upport load that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a large underground space for high-density arrangement of complex plant. An analysis of underground continuous wall (D-wall)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load and horizontal earth pressure in the large underground space. In addition, foundation ground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load condition of the complex plant. In order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increase the space layout utilization, and secure the stability of the plant structure when installing the complex plant underground, the pipe rack modul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optimal arrangement of underground complex plants using the analysis results.", "abstract": "고도의 기술 및 시설이 집약된 복합플랜트 설치 지하대공간 건설을 위해서는 지반 조건 및 다양한 하중 조건에 따른 안정성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활용하여 복합플랜트의 고집적 배치를 위한 지하대공간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해석조건(설계조건)을 검토하였다. 지하대공간 상부하중 및 수평토압을 고려한 지하연속벽체 해석, 복합플랜트 하중 조건에 따른 기초 지반의 변위 및 응력변화 검토, 복합플랜트 지하 설치 시 공사기간 단축 및 공간 레이아웃 활용성을 높이며 플랜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파이프랙 모듈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상세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검토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지하공간 연속벽체 원형배치가 사각배치 경우보다 수평 변위가 적게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복합플랜트 외부 프레임 하중지지 구조해석 결과 설계 안정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